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유물론적 페미니즘[여이연 08여름강좌] 2-3

 

3. 소외된 노동/소외되지 않는 노동

▶(나의 생각) 앞에서 말했던 생산적/비생산적 노동과 마찬가지로 소외된 노동/소외되지 않는 노동은 상품화된 노동/상품화되지 않는 노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1) 소외되지 않는 노동(상품화되지 않는 노동) 


① 리스 보겔(Lises Vogel, “지상가족 The Earthly Family”(1973))

가사노동이 사용가치를 생산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외되지 않는다고 주장. “그것은 일차적으로 유용한 노동이기 때문에 모은 노동이 일차적으로 유용한 것이 되는 미래사회를 제시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가정주부는 “소외되지 않는 생산 활동의 삶에 대한 비전을 가질 수 있다.”


② 안젤라 데이비스(Angela Davis “노예사회에서의 흑인 여성의 역할에 관한 성찰 Reflection on the black Women`s Role in the Community of Slaves”, 1973)

흑인 여성의 비판적 의식과 노예 저항운동의 중심으로 만든 것은 흑인 여성의 이중적 인식이었으며, 그 이중적 인식은 소외된 생산노동의 공적인 세계와 상대적으로 소외되지 않은 노동의 개인적 세계 양쪽에 다 관여한다는 사실.

▶(나의 생각) ①의 리스 보겔 견해보다는 ②의 안젤라 데이비스의 견해가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 가사노동은 단순히 사용가치만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에 의해 소비될 (남성)사용가치인 노동자계급의 노동력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노동력이라는 사용가치는 전혀 가치를 생산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자본의) 가치를 생산하는 과정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③ 엘리 자렛츠키(Eli Zaretsky, “자본주의, 가족과 개인의 삶 Capitalism, the Family and Personal life”, 1976)

소외되지 않은 개인적 영역과 자본주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좀더 광범위한 논의. “어떤 개인도 영향을 미칠 수 없는 거친 세계”로부터의 일종의 “유토피아적인 피난처”가 되고, “가족 내에 있는 여성에게 노동과 삶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통합되었다.”

▶(나의 생각) 이 의견은 여성의 성분업적인 역할을 신성하고 위대한 것으로 미화시켜 여성을 끊임없이 가사노동에 얽매이게 하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할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다.


2) 소외된 노동

질라 아이젠스타인은 어떤 특정한 집단에 미리 할당되는 임무들은 그것들이 자유롭게 선택되는 것이 아니므로 소외되고 있다고 주장. “사회 안에서의 노동의 성적인 분할은 특히 여성에게는 비창조적이고 고립적인 일을 떠맡게 된다.” 

▶(나의 생각) 위에서 ‘소외되지 않는 노동’에서 ‘소외되지 않는’다는 것은 가치를 직접적으로 생산하지 않고 노동생산물의 사용가치만을 생산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외’는 ‘상품화’, 즉 ‘상품 가치의 생산’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소외’는 ‘자신의 행위의 주체가 되지 못함’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1)과 2)에서 쓰이는 소외의 의미는 스펙트럼이 다르다(물론 이 둘 사이에 연관성이 있기는 하지만 이 둘 사이에 둘셋 정도의 매개를 거쳐야 한다). 동일한 소외의 의미가 기준이 되어야 할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