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천연농약>
 
․ 합성농약: 무기합성농약 / 유기합성농약(유기합성, 식물기원, 대사산물기원)
․ 생물농약: 미생물농약(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 생화학농약(항생물질, 식물성분, 페르몬) / 천적
 
․ 생물농약에 사용되는 주요 식물
 
1. 님(Neem): 인도에서 4,000여년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
 
- 님의 활성화 물질과 효과
․ 님빈(nimbin): 염증, 해열, 앤히스타민, 항진균
․ 님비딘(nimbidin): 항세균, 궤양, 진통, 부정액, 항진균
․ 눔비올(numbiol): 결핵, 해열, 애벌레 살충
․ 게도닌(gedunin): 혈관 확장, 말라리아, 항진균
․ 눔비네토나트륨(numbinetoNA): 이뇨, 관절염, 피임제
․ 켈세친(quercetin): 항산화, 염증, 항세균, 원생물 살충
․ 살란닌(salannin): 해충 기피
․ 아자디렉션(azadirachtin): 해충 기피, 해충 식해 저해, 해충 호르몬 컨트롤
 
2. 고삼(苦蔘, Sophora flaverscens): 고삼의 성분에는 matrine이라는 알카로이드가 약 2% 함유돼 있어 대단히 쓰며, 아로마트리닌과 플라보노이드, 이소안하이드, 로이카린을 함유
 
- 고삼 활용: 응애(녹응애, 차응애, 점박이응애)
 
3. 데리스(Derris elliptica): 뿌리를 원료로 만든 살충제의 총칭으로 로테논제(rotenone)제라고 하며, 살충 범위가 크나 어패류에 대하 독성이 높음
 
- 데리스 활용: 채소류의 응애류, 배추흰나비, 총채벌레류, 잎벌레류, 바구미류, 과수의 진딧물, 방패벌레류, 응애류, 나무이와 담배거세미나방, 온실가루이
 
4. 라이아니아(Rynia speciosa): 뿌리, 줄기, 잎에서 출출한 가루 형태의 천연물질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라이아노딘(ryanodine)
 
5. 쿠아시아(Quassia amara): 뿌리에서 추출해 원료로 만든 살충제의 총칭으로 쿠아시아 제제(quassia 제제)라고도 하며 살충 성분은 쿠아신(quassin)
 
6. 제충국: 꽃으로부터 추출한 기름을 살충제로 사용하며 살충 성분은 피레트린(pyrethrin) Ⅰ, Ⅱ와 시네린(cinerin)Ⅰ, Ⅱ
 
- 제조: 주정 20리터에 꽃이 피기 전 봉오리 상태로 베어 그늘에 말린 꽃봉오리와 꽃대를 자작하게 담궈 하절기 1달, 동절기 2달 정도 숙성
- 사용: 생육 초기에는 1,000배를 기준으로 하며 후기에는 500배까지도 가능
- 적용: 진딧물류, 총채벌레류, 온실가루이, 버섯파리류, 멀구류, 잎말이나방류, 과실파리류, 나무이류, 개무, 밤나방, 도둑나방, 딱정벌레, 자나방, 벼룩 등
 
7. 멀구슬(Melia azedarach L.): 줄기껍질→뿌리껍질→생잎 등의 순으로 살충 효과가 있으며 전체 종자, 뿌리, 줄기, 잎을 밀봉 침지했을 때 살충 효과가 증가
 
8. 창포(Acorus calamus L.): 창포의 뿌리/지하경의 oil에서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니는 Methyl eugenol(Dacus dorsalis의 암컷 유인제), β-asarone(진딧물과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벨레 훈증제와 살충제의 주성분), Acoragermacrone(암컷 멜론파리 유인제), Asaryl aldehyde(D. dorsalis와 C. capitata의 암수 유인제) 등 4가지 물질이 분리
 
9. 종목형: 잎 추출물 저장 해충 섭식 저해 효과
 
10. 협죽도: 제주도에 많이 분포, 줄기와 종자가 강력한 독성을 갖고 있어 천연살충제로 사용하나 맹독성이므로 상당한 주의가 필요
 
11. 미국자리공
 
12. 그 외 초목회제제, 돼지쓸개제제, 고추제제, 연초제제(순수니코틴의 경우 친환경자재로 활용하지 못하며 담배잎차로 사용), 피마자제제, 흑설탕제제, 나뭇잎제제, 은행열매, 은행푸른잎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9/19 17:43 2014/09/19 17:43
오늘 강의는 작물 재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주제에 따라 강사가 바뀌는 탓도 있겠지만, 앞쪽에 이런 내용을 먼저 하는 게 좋았을 법한 내용들이다.
 
▶ 식물재배 이것은 알고 농작물을 관리하자
: 뿌리 ⇒ 호흡 / 잎 ⇒ 광합성
 
<잎: 광합성>
: 빛 에너지 → 화학에너지
  
     빛
 
O2 (산소) → 기공을 통해 배출
 
      ↓
 
 
     H2O

 

H + H + O
CO2 (기공에서 흡수)
      ↓
 
     전자생산
 
NADP와 결합
+
      ↓ (FeS가 운반)
 
 
     ADP와 결합
ATP →→→→→
+ 소비(호흡, 생장 등 이용)
 
 
 
↓ ↗ 이동(K)
 
 
 
“당” 생산
 
 
 
↘ 이동(K)
 
 
 
저장(저장기관, 전분, 유분으로 전환
 
* 당의 이동
- 엽록소에서 광합성 작용으로 당 생산
- 잎 속에서 당이 가득차면(창고) 스스로 광합성 작용을 하지 않음 ⇒ 당의 이동이 필요함
광합성 작용 ⇒ 당 생산 ⇒ 당 이동 ⇒ 광합성 작용(당 생산)
- 저장기관(열매 등)의 비대기에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동물질(K, Mg)의 보충이 필요(이삭거름, 옆면살포 등)
 
* 광의 이용도를 높이는 방법
- 적정 잎의 확보
- 잎이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배치
- 검고 두껍게: 엽록소 함량을 많이 만들 것
- 크기: 크게 만들 것(햇빛을 받을 수 있는 면적을 많이 확보)
- 잎자루는 짧은 것이 좋음
 
<뿌리: 호흡>
* 식물체의 질소 흡수 및 단백질 생성 원리
  
 
암모니아가스
 
아질산가스
질산균
 
 
 
 
 
 
 
  요소태 질소[(NH2)2 CO]: 요소태 → 암모니아태(NH4) → 아질산(NO2-) → 질산(NO3-) → 식물흡수
 
 
 
 
 
 
 
 
미생물 분해
 
아질산균
 
질산균
 
 
 
 
     NO3- ⇒           NO2 ⇒                 NH4+ ⇒            아미노산        ⇒     단백질
 
 
 
 
 
 
호흡에너지
호흡에너지
호흡에너지
아미노산 결합
                                                                                                                      
* 생육과 뿌리
- 생육 촉진: 뿌리는 상대적으로 약함(탄질비에서 질소 함량이 높아지는 것이 원인으로 추측)
- 생육 억제: 뿌리 생육 촉진(지상부 생육이 억제되면서 당의 지하부 전류가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
 
* 친환경 “병” 예방
- 햇빛(광) 부족: 광 보충을 위해 티타늄(광 증폭 효과) 활용
- 토양 내 영양분(비료) 불균형: 토양 검정에 의한 적정시비,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는 토양 및 수분 보유력 증대 조성(입단구조화),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식물체가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의 미네랄 활용
- 미숙 퇴비: 가스 장해로 인한 뿌리 장해, 수분 및 비료흡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완숙 퇴비 사용
- 염류 장해: 담수(답전윤환), 제염작물(옥수수, 수단 등) 재배, 환토, 심토반전, 심경, 객토 및 이화학적 성질 개선(유기물 시용, 심토파쇄기 이용 경반층 파괴, 합리적 시비)
- 미생물 부족: 광합성세균,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 방선균 등 유용 미생물 활용
- 작물의 생육 조건 불량: 햇빛, 수분, 온도, 습도 등 불량 조건 개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8/29 15:36 2014/08/29 15:36
바닷물을 한번이라도 먹어본 사람이라면 이 짠 물을 농업에 쓴다는 말이 이해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짠 바닷물을 그대로 쓰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바닷물을 농사에 활용한다고. 하긴 요즘엔 심층수라는 게 큰 주목을 받고 여러 곳에서 쓰기도 하니 그럴 법도 하겠지만. 아무래도 상상이 되질 않는다. 더구나 과도한 비료 사용으로 인해 염류가 쌓이는 문제가 여기저기서 생기고 있는 마당이니. 바닷물 활용이 가능한 것인가 싶을 정도다. 하지만 바닷물 역시 미생물과 마찬가지로 토양 및 작물생육, 병해충, 잡초 방제에 효과가 있다고 하니. 우선은 작물별 시험 결과를 잘 살펴보고 작은 면적에서 시험해보는 게 중요할 듯하다.
 
● 바닷물의 특성
- 표층수: 해수 표면으로부터 100m까지
- 중층수: 해수 표면으로부터 100-200m
- 심층수: 해수 표면으로부터 200m-4Km 사이
- 저층수: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4Km 이하의 해저수
* 국내에서 농업적으로 활용하는 바닷물은 표층수와 심층수로 다량 성분 함량은 큰 차이가 없음
* 심층수는 온도 변화가 거의 없이 5-6℃ 유지
* 바닷물은 96.5%가 물, 3.5%의 광물질로 구성되며 약 75여 종류의 무기성분이 함유
* 3.5%의 광물질 가운데 염소가 55.%, 나트륨 30.6%, 황 7.7%, 마그네슘 3.7%, 칼슘 1.2%, 칼륨 1.1%, 기타 0.7%
* 국내 바닷물은 약알칼리성이며 해안별로 주요 성분 함량은 차이가 있음
* 바닷물을 장기간 저장 사용할 경우 마그네슘, 칼슘, 칼륨의 함량이 저하됨(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할 때에는 성분 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음)
 
● 바닷물의 시용 효과
- 간척지나 해일 피해를 받은 농경지에서 작물이 튼튼하게 자라고 품질이 우수하다는 사실이 국내․외에 잘 알려져 있음
- 작물의 미량 요소 공급 및 상업적 형질을 강화시켜 상품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짐
- 식물 생육에 필요한 다양한 무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오래 전부터 국내는 물론 일본에서도 작물 생육 촉진 및 당도, 색도 등 품질 향상을 위해 농업적으로 활용
- 무기 양분 공급 효과(생육 촉진, 고품질화, 토양미생물 활성화, 유기물 발효 촉진 등) 이외에도 염소 효과(광합성 촉진, 병 발생 억제 등), 염스트레스 효과(항산화 기능, 삼투압 조절 기능 등), 병해충 및 잡조 방제 효과 등이 있어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들을 중심으로 이용성이 확대
- 천일염 또는 바닷물을 고농도로 다량 시용할 경우 작물의 직접적인 피해는 물론 장기간 시용으로 토양에 염류가 직접, 작물이 생육할 수 없는 환경을 바뀔 수 있음
- 작물의 종류, 사용 시기, 사용량, 희석 농도 등을 충분히 고려해 사용 목적에 적합한 안전 사용 농도를 지켜 활용해야 함 
 
▶ 토양 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천일염을 10a 당 20Kg까지는 토양의 생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않았으나 30Kg 이상에서는 생물 활성이 현저히 감소
- 온실 조건에서 토양에 천일염을 처리할 경우 20Kg/10a 이상을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노지 조건에서는 강우 등의 영향으로 염분 유출이 용이하여 작물 생육에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
 
▶ 작물 생육 촉진 및 품질 향상
- 염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작물로는 양파, 마늘, 고구마, 감귤 등이 있으며, 반대로 염 저항성이 약한 작물은 오이, 딸기, 포도 등
- 잎 들깨의 경우 10-15배, 오이는 20-70배 범위의 희석 농도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처럼 작물의 종류에 따라 촉진 효과는 차이가 있음
- 염농도 조절을 통해 영양생장을 억제시켜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활용(고구마, 감자, 참다래)
 
▶ 병해충 방제 효과
- 인도네시아에서는 습지에서 재배하는 묘목에 발생하는 깍지벌레 예방 및 방제를 위해 바닷물 원액을 일주일 간격으로 살포, 전체 잎의 63%에서 해충이 발생하지 않고 피해 잎 수도 50% 이상 감소
- 방제 효과는 염분과 황산 등 살균 성분을 갖는 원소들이지만 퉁퉁마디(일명 함초)처럼 내염 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미생물이 저항성을 촉진시키기도 함
- 국내의 경우 고추(파프리카) 흰가루병 방제 효과 검정 결과 1주일 간격 3회 처리시 무처리 대비 바닷물 30배 희석액(EC 농도 2.1mS/cm)에서 81%의 방제 효과(포자 형성 억제율)
- 딸기 잿빛곰팡이병은 바닷물 처리(1주일 간격 3회)시 무처리 대비 바닷물 30배 희석액(EC 농도 2.7mS/cm)에서 49.7% 방제효과(부패과 발생 억제율)
- 바닷물 안전 사용 지침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작목에 따라 적절히 희석해 사용해야 한다는 점(염분에 민감한 작물에서는 2-3년 내에 생리 장해가 발생할 수 있음)이며, 바닷물 처리 후에는 지표수를 관주처리하거나 모래, 톱밥, 석회 등을 활용해 토양 개선을 병행해 염분 피해를 줄여야 함
 
▶ 잡초 방제 효과
- 유기농 감자 재배 시 잡초 방제를 26.6-50%까지 억제시킬 수 있으나 토양의 물리성 악화, 특히 토양 경도가 바닷물 처리구보다 천일염 처리구가 2.1배 증가하고 수량이 1.8-12.8% 감소
- 원액 또는 고농도로 토양에 직접 이용하는 것은 농경지에 문제 발생
 
※ 이외 작물별 바닷물 활용 효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2011년에 발행한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한 바닷물의 농업적 활용 매뉴얼』(발간 등록 번호 11-1390802-000311-01)에 있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7/23 10:28 2014/07/23 10:28
요즘은 퇴비 만들어 쓰는 사람이 거의 없다. 전화 한 통이면 밭까지 배달해주는 퇴비 탓일까, 규모화에만 골몰하는 전업농이 많아진 때문일까. 순환농업이 유기농업의 기본이라는 말에 동의한다면 퇴비 제조는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일 터인데. 전업농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물론 소농이라고 해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퇴비를 포기하는 것도 어려운 일.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야 한다.    
 
● 퇴비의 정의와 사용 목적
- 비료 성분이 들어 있는 볏짚, 톱밥, 쌀겨 등의 재료를 퇴적, 퇴비화 과정에 의해 분해돼 생성된 물질
- 퇴비화는 유기물이 미생물 및 토양 미소동물 등에 의해 분해돼 토양과 유사한 물질로 안정화되는 과정
- 토양의 화학성 및 물리성, 생물성 개선을 목적
- 유기퇴비는 항생제, 호르몬 등 화학합성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가축배설물 등 유기물을 사용
 
● 퇴비화 주요 인자
- C/N율: C/N율이 높은 원료는 미생물의증식이 억제되고, C/N율이 낮은 원료는 빠르게 분해되지만 암모니아가 대량 발생해 질소 손실 우려되므로 30-40으로 유지
- 수분 함량: 수분 함량이 40% 이하에서는 분해 속도가 저해되며 65% 이상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돼 퇴비화가 지연되므로 50-65%로 유지
- 통기성: 퇴비화 과정은 유기물의 호기적 분해이기 때문에 산소의 존재가 필수적
- 온도: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온도 상승은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에서 기인하며 광합성의 반대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40℃ 이하 중온대와 40℃ 이상 고온대로 구분하나 효율적인 온도 범위는 50-70℃
- pH: 유기물 분해는 중성 혹은 약알칼리성 범위(pH 6.5-8)에서 활성이 가장 높으나 혐기 조건이 형성되면 초산 등의 저급한 지방산이 축적돼 pH가 4-5부근까지 저하되기도 함
 
● 퇴비화 과정
- 유기물의 분해: 당질, 단백질, 전분 → 헤미셀룰로오스 → 셀룰로오스 → 리그닌 순
- 1단계: 당분해, 발육이 빠른 곰팡이, 세균 등이 분해에 관여
- 2단계: 셀로로오스 분해, 세균과 방선균 등이 분해에 관여, 산소공급 필요
- 3단계: 리그닌 분해, 당자균(버섯균)에 의해 분해
 
● 유기퇴비 제조 과정과 혼합방법
- 제조과정: 유기물 수집(볏짚, 파쇄목, 쌀겨, 깻묵 등) → 혼합 및 야적(질소 함량 1% 이상 유기물 조절, 수분 60% 유지) → 퇴적(뒤집기는 2주 간격, 퇴적기간 12-14주) → 후숙(30일 간 야적)
- 혼합방법: 주재료와 부재료를 7:3으로 혼합(질소 1% 이상 함유)하되 양분 가치 증진을 위해 각종 부산물(해조료 등), 천연자원(인광석 등)을 첨가
* 주재료: 유기물 공급원으로 탄소 함량이 높은 볏짚, 파쇄목, 수피, 산야초 등
* 부재료: 양분 공급원으로 질소 함량이 높은 쌀겨, 깻묵, 피마자박, 해산부산물, 식물성 유박 등
* 볏짚, 수피, 톱밥과 C/N율 조절원으로 유박, 미강이 효과적이며 볏짚 70%+쌀겨 30%+유박 30% 조합 시 양질 퇴비 생산
 
● 퇴비 부숙도 판정
- 수분 함량 40-50%(손으로 꽉 쥐었을 때 물기가 약간 나오는 정도)
- 형태(형상이 거의 없음), 색(황갈색→갈색→흑갈색→흑색), 냄새(거의 없음), 촉감
- 탄질률 20-30 전, 후
- 지렁이법, 종자발아법, 비닐봉투법 등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7/08 09:47 2014/07/08 09:47

2주를 쉬고 다시 수업이 진행된다. 한창 바쁠 때인지라 빈자리가 많다.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는 것도 원인일까? 암튼 이젠 고정된 숫자만 남았다. 끝까지 빠지지 않고 갈 사람들로.

 

<유기질 비료의 종류와 사용 원료>

 
● 비료의 구분
: 「비료관리법」과 동법 시행규칙, 농촌진흥청 고시 등에 따른 구분
 
● 보통비료
- 질소질비료: 질소를 주요 성분으로 보증하며, 황산암모늄(유안), 요소, 염화암모늄, 부산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석회질소, 암모니아수, 질산석회, 질황안, 질안석회, 피복요소, 씨디유(CDU), 아이비디유(IBDU), 엠유(MU), 칠레초석, 질산희토, 광물융합체질소 등 17종
- 인산질비료: 인산을 주요 성분으로 보증하며, 과린산석회(과석), 중과린산석회(중과석), 토마스인비, 용성인비, 용과린, 가공인산비료 등 6종
- 칼리질비료: 칼리를 주요 성분으로 보증하며, 황산칼륨(황산가리, 입상황산가리), 염화칼륨, 황산칼륨고토 등 3종
- 복합비료: 질소질, 인산질, 칼리질 3요소 성분 중 2종 이상 함유된 것으로 질소질비료, 인산질비료, 칼리질비료, 유기물질 등을 2종 이상 배합 또는 제조한 비료로 그 성분을 보증하며, 제1종복합, 제2종복합, 제3종복합, 제4종복합(엽면시비용, 양액․관주용, 화초용), 엠유(MU)복합, 비복복합, 씨디유(CDU)복합, 피복요소복합, 이이비디유(IBDU)복합, 포름요소복합 등 12종
- 석회질비료: 석회를 주요 성분으로 보증하며, 소석회, 석회석, 석회고토, 부산소석회, 부산석회, 패화석, 생석회, 액상석회, 수용성분상석회, 부산석고 등 10종
- 규산질비료: 규산을 주요 성분으로 보증하며, 규산질, 규회석(규회석비료1호, 규회석비료2호), 광재규산질, 경량콘크리트규산질, 규인, 규인칼륨 등 6종
- 고토비료: 고토를 주요 성분으로 보증하며, 황산고토, 가공황산고토, 고토붕소, 수산화고토 등 4종
- 미량요소비료: 철, 붕소, 구리, 망간, 몰리브덴, 아연 등 미량 성분을 보증하며, 붕산, 붕사, 황산아연, 미량요소복합 등 4종
- 유기질비료: 유기질 원료를 사용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일정량 이상 보증하며, 어분, 골분, 잠용유박, 대두박, 채종유박, 면실유박, 깻묵, 낙화생유박, 아주까리유박, 기타식물성유박, 미강유박, 혼합유박, 가공계분, 혼합유기질, 증제피혁분, 맥주오니, 유기복합 등 17종
- 기타: 위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아니한 비료로 제오라이트, 벤토나이트, 석회처리, 재, 아미노산발효부산액, 부산동물질액, 건계분, 아미노산부산박 등 8종
 
* 인산질비료는 용탈이 잘 안 돼 시설재배지의 염류장애 원인이 되기도 함
* 기타 비료는 주로 토양 물리성 개선에 사용
* 미량요소는 해조류에 풍부하게 있으므로 적극 활용할 가치가 있음
* 석회질비료는 pH 조절용으로 사용
* 3요소(질소, 인산, 칼리) 성분이 많은 유기질비료로는 생선 액비가 가장 좋음
* 미생물비료는 멸균된 상태에서 실험한 결과이기 때문에 토양 상태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므로 주의
 
● 부산물비료
- 부숙비료: 가축퇴비분, 퇴비, 부숙겨, 분뇨잔사, 부엽토, 건조축산폐기물, 가축분뇨발효액, 부숙왕겨, 부숙톱밥 등 9종
- 미생물비료: 토양미생물제제, 토양활성제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6/03 09:49 2014/06/03 0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