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얼마간 차이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오일정점에 이미 도달했다거나, 지금은 경제성이 떨어져 파내지 못하지만 기술발전을 고려하면 아직은 남았다 하더라도 말입니다. 화석연료가 고갈된다는 점은 바꿀 수 없는 사실입니다. 석유는 물론이고 석탄, 천연가스가 공기나 물과 다른 점은 바로 무한정 퍼낼 수 있는 게 아니란 얘기지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런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처럼 또는 애써 외면합니다. 인류 역사상 이처럼 안락하고 쾌적한 삶을 살았던 적이 있었을까요. 이들은 우리 후손들은 물론이거니와 자원을 갖고 있으면서도 정작 쓰지 못하는 동시대 사람들까지. 화석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하는 지구온난화 문제 또한 안중에도 없습니다.
 
2.
도시화는 어느 시대, 사회에서나 있어왔습니다. 인류 문명 발상지로부터 시작해 알렉산드리아(이집트), 테오티와칸(마야제국), 캄베이(인도 구자랏 왕국)와 같은 고대 국가 도시들은 물론 베이징(중국), 볼로냐(이탈리아), 페즈(모로코)와 같은 근대 도시들까지 말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멀리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만 해도 기와집이 18만 여 채가 있었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의 인류 문명이 이전과는 확연이 다르듯 산업화 이후의 도시화 역시 이전과는 속도나 규모면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로마제국의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보통 ‘콘스탄티노플’이라 부름)는 대략 14㎢(여의도보다 4.8배가 큼)에 40-50만 인구가 있었다고 하니, 지금으로 따지자면 겨우 우리나라의 중.소 도시 정도 쯤 되려나요.
 
3.
어느 도시들이나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식량과 물뿐만 아니라 거주할 집과 입을 옷 등을 만들기 위해서이지요. 하지만 산업화 이후 생겨난 거대도시들은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체계가 필요합니다. 자급자족은커녕 가까운 지역에서 조달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즉, 이전과는 달리 소비하는 거의 모든 것들을 다른 곳에서 만들어 가져와야 하는데, 이는 엄청난 양의 화석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또한 메트로폴리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24시간 꺼지지 않는 불빛과 거리마다 빼곡히 들어찬 자동차 역시 화석연료 체계에서나 가능한 얘깁니다.
 
4.
<태양도시, 에너지를 바꿔 삶을 바꾸다>는 일전에 소개했던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와 같이 글쓴이가 ‘기자’입니다. 그 덕에 ‘화석연료’ 도시의 문제점과 태양도시로의 전환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또 세계 각국의 태양도시들, 프라이부르크, 에테보리, 칼룬보르, 기타큐슈 등을 차례로 둘러보며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에너지를 바꿔 삶을 바꾸자는 건데요, 매우 실천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이 책 역시 맨 뒷머리에 추천 도서들과 웹사이트들을 소개하고 있어 더 깊은 고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 합치면 꽤나 많은데요. 모르겠습니다만, 앞서 소개한 책 속의 추천도서와 함께 다 읽고 나면. 두 ‘기자’들을 뛰어넘는 에너지 전문가가 될 것도 같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6/14 16:35 2015/06/14 16:35
사용자 삽입 이미지1. 
심포항은 이제 겨우 대 여섯 살인 얼라가 혼자 걸어가긴 먼 곳이었지요. 그래서 얼라는 늘 막내 삼촌을 졸라야만 했습니다. 고사리 같은 손에 대나무 낚싯대를 꼭 쥔 채 말이지요.  막내 삼촌은 넓디넓은 논 한가운데서 피를 뽑다가도. 무릎까지 자란 풀 더미를 낫으로 베다가도 허허 웃으며 자전거에 올랐습니다.
 
외할아버지는 화포리 집 뒷산 대나무 숲에서 장끼 잡는 일에 꼭 여섯 살배기 얼라를 데리고 갔습니다. 대낮에도 짙은 녹음으로 햇빛을 보기 힘든 그 숲은 얼라에게 꽤나 무서운 곳이었지요.  그래서일까요. 지금은 고걸 어떻게 잡았는지 통 기억이 나질 않지만, 꿩 잡는 외할아버지와 떨어질 새라 연신 발뒤꿈치를 쫓아 숨이 턱에 닿도록 뛰었답니다.
 
2. 
처음부터 새만금 사업은 낙후된 지역을 살려낼 구세주로 떠받들어졌습니다. 그러니 경제성이니 식량안보니 하는 말들은 말장난에 불과했지요. 또 갯벌이니 그 안에 사는 뭇 생명들, 망둥이, 도요새, 피조개 등은 처음부터 관심대상이 될 수 없었습니다. 오로지 개발로 인한 ‘돈 잔치’만이 중요했던 겁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업 목적도 바뀌었습니다. 이미 들어간 돈이 있으니 여기서 멈추면 안 된다는 말도 나왔구요. 썩어가던 시화화가 해수와 만나자 살아났는데도 여긴 다르다고 강변했습니다. 결국 ‘세계 최대’라는 요란한 수식어만 남게 됐습니다. 바닷물은 들어올 수 없게 됐고 만경강, 동진강 물은 나갈 수 없게 된 겁니다.
 
3.
갯벌 가장자리에 장화를 신고 선 막내 삼촌은 밀물 때를 맞춰 낚싯대를 던졌습니다. 망둥이는 낚싯줄에 줄줄 올라왔습니다. 거의 매번, 던지는 족족 잡혔단 말입니다. 익숙한 솜씨로 머리와 꼬리를 잘라낸 막내 삼촌은 어린 조카에게 된장을 듬뿍 바른 마늘을 올려 내밀었습니다. 얼라는 무슨 맛인지도 모른 채 아직 꿈틀대고 있는 망둥이를 덥석 입에 넣었습니다.
 
잡아온 꿩을 할머니께 건네주고는 외할아버지는 썰물 때를 맞춰 수건을 챙겼습니다. 이번엔 할아버지가 외손주의 발뒤꿈치를 아니, 손을 꼭 잡고 미쳐 다 빠지지 못한 바닷물이 웅덩이를 만들고 있는 갯벌로 갔습니다. 그곳에서 처음 바닷물에 몸을 담근 아이는 또 놀란 눈입니다. 가만 누워 있으니 몸은 저절로 둥둥 뜨고, 발가락 사이로는 갯지렁이가 꾸물꾸물. 
 
4. 
새만금은 박정희와 전두환이 서남해안 간척 자원 조사를 한 이후 대통령 선거 때마다 난도질당할 처지로 떨어졌습니다. ‘역사의 반동이며 집권 여당인 민정당은 노태우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p.37)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까지 그야말로 ‘제가 대통령이 되면 새만금, 확실하게 밀겠습니다.’(p.174)가 반복되며 밀어붙였던 겁니다.
 
집으로 돌아오던 길, 막내 삼촌 등 뒤에서 새근새근 잠에 빠졌던 아이는. 미끈한 갯벌에 발이 푹푹 빠지면서도 외할아버지 등에 업히지 않았던 아이는 삼심년도 더 지난 지금 그 심포항과 화포리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막내 삼촌이 잡아줬던 망둥이, 외할아버지와 목간했던 갯벌에서 아직 살아있을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9/15 23:18 2014/09/15 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