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천성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막아보겠다고 나선 지율 스님은 “저를 보지 말고 제 뒤의 천성산 생명붙이를 봐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바위를 깎는 포크레인 소리에 묻혀 그 목소리는 아주 가느다랗게 들렸습니다. ‘누구 없나요? 살려주세요...’라고. 어린아이의 울음소리 같기도 하고 늙은 어머님의 신음 같기도 한 이 소리’는 꼬리치레도롱뇽만이 울부짖는 소리가 아니라고 말이지요. 하지만 뭇사람들은 스님만 쳐다보며 하루, 하루 날짜만 샜습니다. 또 나라 걱정에 여념이 없는 이들은. 혈세(血稅) 낭비라는 얘기는 그나마 양반이었습니다. 어디서 들었는지 뜻도 모르는 말도 갖다 붙였지요. 스님이 하는 일은 ‘에코파시즘’이라나 뭐라나. 재판관에서부터 대선후보로까지 오르내리는 전(前) 청와대 수석까지. 사실 왜곡은 기본, 그나마 한 약속마저 손바닥 뒤집듯 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스님이 한 말, 아니 간곡한 호소에는 좀체 귀를 열지 않았습니다. 아니. 스님이 말씀한 대로 ‘천성산 생명붙이’는 외면하고 제 보고 싶은 것만 본 것이지요.
 
김진숙 지도위원이 크레인에 오른 지 250일이 훌쩍 넘었습니다. 아들 전태일 곁으로 가신 이소선 어머니마저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위해 꼭 살아 내려오라며 울부짖었지만. 또 김 지도위원 역시 여전히 정리해고가 철회되지 않는 이상, 내려오지 않겠다고 하는데도. 많은 사람들은 그저 하루, 하루 날짜만 꼽습니다. 희망버스며 희망비행기가 아무리 떠도. 현대자동차노조가 조합원 대신 식당 여성노동자를 버렸던 일이 다시 반복되고. 자본이 갈라놓은 정규-비정규가 노동자들을  옥죄고. ‘미래경영상의 이유’라는 기가 막힌 논리도 스스럼없이 말해지고. ‘귀족노조’니 ‘노조이기주의’란 공격에 꼼짝 없이 당해야 하는 현실이. 바로 그 정리해고 때문임을 보려하지 않으면서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9/28 18:35 2011/09/28 18:35

'애잡짤하다'

from 글을 쓰다 2011/02/14 20:10
초속 50m가 넘는 태풍도 견뎌냈던 한 노동자가 목을 맸습니다. 높이 35m, 85호 크레인. 금속노조 한진중공업지회 지회장 김주익은 정리해고와 손해배상, 가압류 철회를 요구하며 129일을 그렇게 머물다 떠났습니다. 그리고 8년. 연일 매서운 추위가 몰아치던 어느 날 새벽, 또 한 노동자가 다시 크레인에 오릅니다. 박창수에 이어 김주익, 곽재규까지 세 명의 동지를 열사라는 이름으로 떠나보낸 뒤, 몇 년 째 보일러를 켜지 않고 살던 김진숙 지도위원(민주노총 부산본부)이 말입니다. 가만히 서 있어도 뼛속까지 찬바람이 파고드는데. 그렇게도 아끼던 동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그곳에 올라. 기어이 그 외로운 영혼을 안고 살아서 내려오겠다고 다짐했답니다. 조합원들은 그런 그를 지키기 위해, 다시 떠나보낼 수 없는 동지들을 위해, 오늘도 밤을 꼬박 새우고 있구요. ‘노동자가 한사람의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나라. 그런데도 자본가들과 썩어빠진 정치꾼들은 강성노조 때문에 나라가 망한다고 아우성’이란 유서를 남긴 김주익 열사. ‘지난 일요일. 2003년 이후 처음으로 보일러를 켰습니다. 양말을 신고도 발이 시려웠는데 바닥이 참 따뜻했습니다. 따뜻한 방바닥을 두고 나서는 일도 이리 막막하고 아까운데 주익씨는.. 재규형은 얼마나 밟히는 것도 많고 아까운 것도 많았을까요. 목이 메이게 부르고 또 불러보는 조합원 동지 여러분’이란 글을 남긴 김진숙 조합원. 한 발, 한 발 박창수, 김주익, 곽재규를 떠올리며, 또 한 발, 한 발 일터에서 쫓겨나야 하는 동지들과 살아남았음을 미안해해야하는 조합원들을 떠올리며 크레인에 올랐을 그이를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지듯 안타깝고, 또 안타까워서 애가 탑니다. 
 
애잡짤하다: 가슴이 미어지듯 안타깝다. 또는, 안타까워서 애가 타는 듯하다.
 
김진숙 지도위원이 85호 크레인에 올랐다는 얘길 듣는 순간 김주익 지회장의 얼굴이 떠올랐습니다. 얼마나 외로웠을까, 그리고 또 얼마나 힘들었을까. “주익씨 영혼을 안고 반드시 살아서 내려가겠습니다”라고 약속한 김진숙 지도위원을 보자니 애잡짤해 통 일이 손에 잡히질 않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2/14 20:10 2011/02/1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