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보수(保守)와 진보(進步)를 가르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단어가 가진 뜻만 가지고 본다면 지키려는 쪽과 나아가려는 쪽으로 나눌 수 있겠는데요. 현실에선 그렇게 단순하게 구분할 수 없다는 걸 잘 아실 겁니다.
 
가령 정의(正義)라는 문제만 놓고 봐도 그렇습니다. 보수는 정의에 대해 진보적이라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은 진보보다도 더 보수적인 모습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예컨대 가난을 개인 탓 또는 게으름으로 돌리며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부정하는 것이 그렇지요. 마찬가지로 진보 역시 정의에 대해 보수보다도 더 보수적인 생각을 가지기도 합니다. 곽노현 교육감이 박명기 교수에게 건넨 돈을 놓고 진보라 얘기되는 사람들이 보인 잣대가 그렇습니다.
 
하지만 법(法)을 놓고 보면 이런 구분은 매우 유효하다고 보여집니다. 수백 년간 소크라테스가 했다고 얘기되는 “악법도 법이다”는 보수가 단골로 내세우는 말이구요. 잘못된 법, 나아가 시민을 억압하고 권리를 제한하는 정부는 언제든 폐기하고 재조직할 수 있다는 ‘시민불복종’은 진보만이 가진 특권일 테니까요.   
 
그렇다면. 하워드 진이 쓴 자전적 에세이,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에서 ‘밀워키 14인’*의 변호사가 진에게 던진 질문에 우리 사회에서 진보와 보수라고 자칭하는, 대표되는 이들은 어떤 설명들을 할까요. 물론 진이 처한 상황이 보수 쪽에서 보자면 썩 내키지 않은 상황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앞에서 봤지 않았습니까. 진보와 보수, 애매하잖아요. 
 
“진 박사님, 배심원들에게 법과 정의의 차이가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 ‘밀워키 14인’은 미국이 벌인 베트남 전쟁에 대한 상징적 항의로 징병위원회에 잠입해 수천 장의 서류를 빼내서 태워버린 신부와 수녀, 평신도들을 일컫습니다. 이들은 체포되어 절도및 방화죄로 기소됐으며 하워드 진은 ‘전문가 증인’으로 법정에 출두했지요. 변호사는 진이 ‘가격이 있음’을 보이기 위해 여러 질문들을 던졌으며, 이어서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이런 질문을 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곧바로 검사는 이의를 제기했으며 판사 역시 이를 인정했습니다. 결국 진 박사는 “왜 제가 본질을 말해선 안 되는 거죠? 왜 배심원들이 본질을 들을 수 없는 겁니까?”라고 큰소리로 물을 수밖에 없었습니다만, 끝내 판사는 법정모독죄로 감옥에 넣겠다는 말로 답변을 막았습니다.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 pp.208-22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9/20 14:42 2012/09/20 14:42

1.

춘천으로 온 지도 그새 2년이 다 되갑니다. 재작년 3월에 왔으니요. 벌써 이태 째 농사를 지었고, 길을 물어오는 이가 있으면 이젠 웬만한 곳은 알려줄 정도가 됐으니. 이젠 춘천 사람 다 됐다, 싶습니다. 그래도 여적 청평사니, 남이섬이니, 옥광산, 춘천 숲 등등을 거닐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서울 사람 남산 구경 못하고, 부산 사람 태종대 안 간다, 는 말이겠지요.

 

<올 여름 아파트 옥상에서 본 모습입니다. 가운데 솟아있는 산이 봉의산이구요,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왼쪽으로 소양호도 보인답니다. 그래도 이렇게 보면 여느 도시하고 다를 바가 별로 없는 것 같네요>

 

가끔 경춘선을 타고 구경 왔을 때도 그랬고, 이사 오고 나서도 한동안은. 그래요. 춘천은 정말 작은 도시였습니다. 그리고 어딜 가나 강과 호수를 바라볼 수 있는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대도시에서 나고 자란 이들에겐 뭔지 모르는 무언가가 자꾸만 이끄는 것이었습니다. 이 작고 아름다운 곳이라면 새롭게 시작할 수 있겠다, 는 생각과 함께.  

      

춘천시 인구지도가 바뀌고 있다는 얘기들이 들립니다. 최근 들어 도시 개발이 동내면과 동면 등에 집중되면서 지역별 인구 증가 추세가 동남권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지요. 특히 동면 지역은 최근 한 달 사이에 천여 명이 넘게 늘었구요, 동내면과 동면 두 지역은 작년에만 무려 5천 명이 넘게 늘었답니다.

 

호호. 서울 사는 이들이 들으면 한참을 웃을 만한 얘기일 수 있습니다. 동네에 아파트 단지 하나만 들어서도 금세 일, 이천 명도 아니고 일, 이천 세대가 입주를 하는 곳이 대도시이니. 한 해에 5천명이 늘었다고 여기저기서 얘기들이 오가는 모습이란. 하지만요. 여기 이제 막 26만이 넘은 이 작은 도시에선요. 이것만큼 큰 일이 또 어디 있을까 싶을 만치 중요한 일이랍니다. 

 

2. 

꾸리찌바CURITIBA는 브라질의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인구 2백만이 넘는, 빠라나 주의 주도라고 하는데요.

 

버스를 땅 위의 지하철로 만들고, 거기서 더 나아가 이용자들의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요금제도를 도입한. 자동차로부터 해방된, 보행과 자전거 교통을 녹색교통으로 이해하고 실천한. ‘녹색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쓰레기 문제와 빈곤 해소, 잉여농산물 흡수에 적극적인. 다민족도시이면서도 문화의 다양성을 살리기 위해 역사.문화 유산의 보존과 재활용에 창조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꾸리찌바에서 태어난 생명은 가치가 있다”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보육.교육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자조주택’, ‘실험주택마을’, ‘주상복합주택단지’ 등 소규모 주택 단지 건설을 통해 주택 문제 해결에 나선. 고대 문화유산에서 영감을 얻어 세운 ‘지혜의 등대’를 통해 주민들에게 ‘지혜의 길로 안내하는 도서관’을 제공하고. 공업단지를 세우면서도 “공단이 하나의 공원이자 정원이어야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기어이 그 목표대로 만들어 낸.


대전시보다 약간 큰 전형적인 대도시라고 합니다.

 

3.

사람이 늘면 지금보단 조금 낫지 않겠나, 싶은 게 여기 춘천에 많은 이들의 생각이겠지요. 그래서 고속도로가 생기는 것에, 기차가 복선전절화 되는 것에 관심들을 갖겠지요.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넉넉지 못한 시 재정 상황을 감안하면, 또 기반시설이 미약한 걸 보고 있자면. 사람들이 늘고, 거기에 따라 이것저것 들어서면 아무래도 지금보다야 나아지겠거니 싶지만요.   

 

재개발한다더니 몇 년째 민둥산으로 방치되고 있는 효자동, 소양동 일대. 또 최근에는 주민-시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소양․약사 등 도심재정비사업 지역. 성냥갑을 일렬로 늘어세워놓은 듯 아파트로만 채워지고 있는 동면과 동내면. 지금도 괜찮은 것 같은데 길 넓히겠다고 멀쩡한 건물들을 부수고 있는 남부로. 신호등이나 인도를 채 마련하지 않아 끝내 한 명이 주민이 숨지는 일까지 발생한 강촌IC 인근 도로.

 

<몇 년째 저 모양인지 모르겠습니다. 재개발을 하겠다고 집은 다 철거한 것 같은데....>

 

어째. 자전거를 타고 다니면서 대충 훑어 본 거만 열거했는데도 이리 숨이 턱턱 막힙니다. 뭐 춘천이라고 다른 도시들과 얼마나 다르겠습니까마는. 외적팽창과 아파트 중심의 개발은 좀 심하다 싶습니다. 다른 데하고는 다르게 딱히 내세울만한 특색도 없고. 아니 하다못해 유행이라도 타고 생색내기라도 해야지요. 남들 다 하는 ‘친환경’이니 ‘녹색성장’이니 말입니다. 상황이 이러하니 이젠 뭔가 딴 방법을 생각해도 해야 할 터인데.

 

그래서일까요. ‘생태도시’ 꾸리찌바 얘기가 더 남달라 보이는 거 있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12/16 15:13 2009/12/16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