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06/11
    [책] 우화라기엔 슬픈 희극
    평발

[책] 우화라기엔 슬픈 희극

* 장르문화 잡지 <판타스틱> 6월호에 실린 <트루를과 클라포시우스의 첫 번째 외출 혹은 가르강티우스의 덫>에 대한 메모. 

 

 

렘의 단편은, 이미 저자 자신이 소개한 바대로, 반전소설이다. 그런데 '전쟁에 반대한다'는 의미의 반전은 이야기의 말미에 보이는 희귀한 형태의 결말로 나타난 '얘기치 못한 전환'이라는 의미의 반전과 공명한다. 그런데 하나도 유쾌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너무나 당연하게도) 인간에겐 콘센트를 달 수 없기 때문이다.  

 

두 명의 창조주는 지배자들의 어리석음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들의 시나리오대로 이들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기계사회에서 창조주의 능력은 뛰어난 알고리즘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하는 예측력에 있다고도 볼 수 있겠다. (기계는 알고리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렘은 각각의 개체가 공동의 의식으로 고양될 수록 '공존'으로 이끌린다는 것을 강조한다. 인식의 너머에 있는 것에 대한 관심이 '아름다움에 대한 것'과 같이 뭐라 딱히 정의할 수 없는 문제에 까지 확장되는 것이다. 이런 인식의 확장에 비추어 보면 조그마한 영토를 둘러싼 싸움이 얼마나 우스운 일이겠는가?

 

동서 냉정의 한가운데서 활동을 했던 렘의 정치적 감각은 그가 의식하던 의식하지 않던 간에 또렸하게 드러난다. 그런데 이런 식의 결말에 대해 '웃을 수 있는가?'

 

개인적으로는 렘이 '로봇'들의 세계에 대해 글을 쓰는 것 자체가 인간사회를 벗어나기 위한 도피로 보인다. 우화라면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과 같이 같은 생명체를 대상으로 했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그래서 단편에서 보이는 이야기의 결말은 결국 렘의 독백이자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인간과 인간이, 콘센트로 연결되듯이 조금만 서로를 더 알 수 있다면, 그리고 모두 함께 같은 꿈을 잠깐이나마 꿀 수 있다면 전쟁따위는 세상에 존재할 리 없다는 렘 스스로의 희망 사항이라는 것이다.

 

지도자만 빼곤 다 현명한 로봇세상이 인간세상과 비슷하여 웃음이 나지만, 렘의 희망은 슬플 뿐이다. 인간인 우리는 과연 공존의 길로 가고 있는가?

 

이번에 출간될 단편집의 내용들이 이와 비슷하다면 꽤나 '쓸쓸한 마음'으로 책을 읽어야 할 것 같다. (끝)

작가소개- 스타니스와프 렘: 1921년 폴란드령 우크라이나의 르보프에서 태어나, 1946년 크라코우의 야기에보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했다. 학창 시절에는 이론생물학을 필두로 사이버네틱스, 수학, 철학 등의 다양한 학문을 연구했으며, 시와 소설, 희곡 창작에도 힘을 쏟았다. 1946년에 <화성에서 온 사나이>로 데뷔했다. 1955년에 발표한 <마젤란 성운>은 미래의 우주탐사를 사회주의적인 시점에서 묘사한 장대한 스케일의 작품으로, 폴란드 문단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1957년에는 우주 방랑자 욘 티키의 기상천외한 모험을 그린 <우주여행기>를 발표, 문명 비판가이자 신랄한 풍자 작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이후 <에덴>(1959), <솔라리스>(1961), <무적호>(1964) 등 '우주 3부작'을 발표해, 동구권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SF작가로서 부동의 명성을 쌓았다.

 

 

사이버리아드 - 6점
스타니스와프 렘 지음, 송경아 옮김/오멜라스(웅진)

 

솔라리스 - 10점
스타니스와프 렘 지음, 안종설 옮김/집사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