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스튜어트 홀

오늘은 매학기 초 지도교수와 지난 한 학기의 진도를 보고하는 모임을 가졌다. 진 교수와 학생들이 짧게 근래 상황을 공유하고, 간단히 진행상황을 체크하는 정도이지만, 짧은 이야기 속에서도 여러 상황의 변화들이 감지된다. 암튼 짧게 진도 보고를 했고, 논문 구상에 대해서도 간단히 이야기했으며, 9월 경에 논문계획서를 제출하라는 언질을 받았다.

진도 보고가 끝나고 나서는 연구소 차원에서 스튜어트 홀의 죽음을 추도하는 작은 활동이 있었다. 나름 30여년 전부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던 진 교수로서는 각별한 느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진 교수의 스튜어트 홀과의 인터뷰는 Morley, David and Chen, Kuan-Hsing (eds) (1996) Stuart Hall: Critical Dialogues in Cultural Studies, Routledge.에 수록되어 있다)  먼저 The Stuart Hall Project (UK 2013 directed by John Akomfrah,103 min)라는 다큐멘터리를 같이 보았고, 그 전후로 진 교수의 소개와 회고 등이 이어졌다. 다큐는 아주 예쁘게 만들어진 느낌이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Miles Davis의 재즈로 배경 음악을 깔았다.
 
진 교수는 심지어 스튜어트 홀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이 길을 걷지 않았을 것 같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진 교수의 강조점은 나에게는 두 지점에 있었던 것으로 느껴졌다. 첫째는 스튜어트 홀이 전적으로 '영국'이라는 지역local적 맥락에 충실한 작업을 진행했으며, 그것이 바탕이 되어 나름의 세계적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그가 가진 일종의 인격(personality)이 '문화연구'를 비롯해 상당히 광범위한 영역에서 새로운 지식과 사상의 흐름을 창출해냈다는 것이다. 대략 십 여명의 제자의 이름을 칠판에 적으면서 그들이 모두 스튜어트 홀의 영향 하에서 기존의 학문체제와 과감히 단절하여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고, 그러한 자장 하에서 우리와 같은 '문화연구'의 타이틀 아래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술적 공간도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인데, 스튜어트 홀과 그의 제자들의 관계는 기존의 사제지간과는 많이 달랐다고 한다. 아마도 모종의 특별한 인격 덕분이라고 진 교수는 해석했고,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도 들려줬다. 아울러 오래전부터 구상했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한 스튜어트 홀을 주제로 한 수업을 퇴임 이전에 꼭 한번 열겠다는 약속도 했다.
 
박사 초기에 수업 중에 홀 선생의 글을 몇 편 읽어본 적은 있지만, 이미 기억에서 가물가물하고, 그 후로도 나의 고민은 '문화연구'를 넘어서 있었기 때문에, 홀 선생의 죽음이 그다지 각별한 느낌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그러나 진 교수가 말하듯이 지금 우리가 있는 이 공간 자체를 홀 선생의 문화연구, 나아가 <신좌익평론>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은 확실하다. 당분간 우리 사상 내부에서 이러한 흐름들이 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지는 매우 비관적이지만, 그 자리를 비워두는 여유는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