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아시아 현대사상 계획 토론회 방청 메모

"Modern Asian Thought Project: 2011 East Asian Critical Journals Workshop in Shanghai"
 
어제 상해대학에서 열린 이 회의의 둘째 날 일정을 방청했다. 창작과비평, 대만사회연구, 현대사상, 返風, IMPACTION, Inter-Asia Cultural Studies가 중심이 되어 '아시아비판간행물회의'를 지난 몇 년간 진행해왔고, 이번 상해 회의는 그동안의 작업을 일단락하면서 구체적 실천 계획을 잡으려는 시도로 계획된 것 같다.
 
자료집 5페이지에 기본구상이 나와 있다. 기본적으로 탈냉전 시기 그동안 단절되었던 아시아 내부의 접촉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이를 유럽/미국의 시각으로 밖에 인식할 수 없는 한계를 함께 확인하였고,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그동안 인식 대상으로 배제되었거나 유럽중심주의의 시각으로 인식되었던 아시아 내부를 인식하고 그러한 인식을 통해 사상적 자원을 발굴하고 유통시키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터 아시아' 또는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라는 시좌는 국가차원을 넘어선다는 의미에서 국가주의에 비판적일 수 있고, 동시에 '세계'적이지 않다는 의미에서 보편주의에 비판적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방법으로서의 유럽', '방법으로서의 아프리카' 역시 가능한 것이다. 이는 매우 긍정적 시좌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시좌에서 아시아 내부의 개별적 특수성을 발견하여 구성하는 '현대/아시아/사상'이라는 것이 일정한 '방법으로서의 탈정치'를 전제한다는 것이다. 이는 '정치'적 올바름이 이미 유럽중심주의적인 개념과 인식틀에 묶여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아시아의 사상을 발굴하는데 이러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그 발굴 자체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상의 발굴은 정치와 거리를 두어야 하고, 이를 정치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일종의 패권이 된다는 것이다. 정치적 입장이 어떠하다고 해서 사상적 자원으로 볼 수 있느냐 없느냐를 따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일정하게 '정치성'의 장과 '역사성'의 장의 충돌이 소묘된다. 나는 둘 다 자율적일 수 없다고 보는데, 그럼에도 어느 한쪽으로 환원되어서도 안 됨은 분명하다. 중요한 것은 어느 순간에도 개념적 사유 없이 인식행위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아무리 '방법으로서'라고 해도 정치성을 역사성에 환원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진광흥 선생과 손가 선생의 논리이고, 이 회의의 지배적이고 주류적 논리이다. 그것이 물리적으로 소수라고 하더라도. 나는 어제 여기에 동의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더욱 확실해졌다. 그들은 정치와 개념을 버렸다고 하면서 '자율적인 정치와 개념'을 가지고 말을 하기 때문이다. 위선적인 것은 아니지만 지나치게 순진한 것이다.(손가 선생은 마지막 자유토론에서 한 젊은 연구자의 논의를 반박하였는데, 그 연구자는 아시아적인 것을 구성하려는 상해대학 채상 선생의 본질주의적 위험에 대한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손가 선생은 본질주의의 비판이 정치적 비판이 될 수 있는 위험을 경계하였다. 이는 왜 백원담 선생의 국가주의 비판이 토론될 수 없는지를 보여준다.)
 
물론 어제 회의 공간 자체는 다른 논리도 존재해서 일정한 긴장을 드러냈는데 공교롭게도 그런 긴장은 결정적 순간에 모두 진압되는 것 같았다. 백원담 선생이나 백영서 선생 그리고 대만에서 온 조강 선생은 이런 맥락에서 보면 '반(反) 탈정치'의 관점을 드러낸 것이었기 때문에 '비주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정치성'의 차원에서 보면 백원담 선생이 공개적으로 표명한 창비의 소국주의의 국가주의 문제는 그 자체 논의가 봉쇄된다. 이것은 손가 선생이 경계했던 이론적 정치적 패권의 역패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패권을 한국에서 오신 선생님들은 어떻게 의식하는지 모르겠는데, 내가 보기에 이 패권의 효과는 한국에서 거의 대표성을 가지지 못하는 분단체제론이 아시아 현대사상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과잉대표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정치성의 관점에서 보면 창비는 정치적으로 '비정치적 사상형성공간'을 이용하는데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백영서 선생은 '역사성'의 차원에서 비주류이면서, '정치성'의 차원에서 주류가 된 반면, 백원담 선생은 두 영역에서 모두 비주류가 되는 것이다.
 
나는 분단체제론이든 뭐든 어떤 사상적 자원이 정치적 정확성/올바름을 배제한 사상적 발굴작업을 통해서 발견했다고 했을 때, 그것을 사상적 발견이라고 판단하고 위치지을 수 있는 근거가 비/탈/정치적 사상논의 내부에 있다고 볼 수가 없다. 사상의 형성 또는 발견 나아가 재발굴이 정치라는 '타자'를 배제하고 논의될 수 없다는데 내 생각이다. '사상' 자체가 본래 정치적이지 않은가 반박하고 싶은 것이다. "역사에 대한 정치의 우위"라는 테제는 이런 관점에서 제출될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