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차별적인 법무부 차별금지법...(3)
- 반차별팀
- 2010
-
- 날 차별해? 그것밖에 안되는...(6)
- 반차별팀
- 2010
-
- 냄새(2)
- 반차별팀
- 2010
-
- 모성의 재구성 -정은 (1)
- 반차별팀
- 2009
-
- 메이크업한 자화상(1)
- 반차별팀
- 2009
아빠/아버지? 표현과 관계 맺기
유진
“너는 나이가 몇 갠데 아직도 아버지를 아빠라고 부르냐?”
“아버지가 니 친구야? 반말을 쓰게? 부끄러운 줄 알아.”
평소에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남성인 어버이’를 ‘아빠’라고 부르며, 편하게 반말을 쓰던 나인데 저런 꾸중을 듣고 난 후로는 남들 앞에 있을 때는 꼬박꼬박 ‘아버지’라 부르며 존댓말을 쓰기 시작했다. 매우 부자연스러웠지만, 아빠라고 부르며 반말로 ‘하늘 같은 아버지’를 대하는 것이 혼날 만할 일이고, 부끄러워야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됐기 때문이다. 그러던 어느 날 아빠가 왜 어색하게 갑자기 존댓말을 쓰고 아버지라 부르냐고 물으며, 편하게 대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 이후로 나는 아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반말을 쓰고 있다. 서로가 일종의 합의 하에 호칭을 정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순간 나의 ‘남성인 어버이’를 부르기 전에 잠시 동안 망설여 진다. 아빠라고 했다가 나를 어린애로 보면 어쩌지, 반말을 썼다가 아빠를 막 대하는 애로 보이면 어쩌지.
아빠는 사전적으로도 어린아이 말로 분류되며, 대체로 10대 후반 즈음부터는 아빠라는 호칭 대신에 아버지라는 호칭을 쓰는 것을 사회적으로 요구한다. 하지만 그런 관습을 이유로 오히려 서로가 불편해지고, 동등한 관계 맺기를 할 수 없다면 그것은 그 나름대로 저어해야 할 일이 아닐까. 현재 사회에서 아버지라는 표현은 단순히 어른의 말 이상으로 사회적 함의를 갖고 있다. 권위적이며 집안의 가장이자, 떠 받들어져야 하는 존재라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이 들면 아버지로 호칭을 고치고 그를 통해 아버지의 노고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사회 풍조다. 한편, 어머니를 ‘엄마’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시하지 않고 있다. 어머니는 자녀와 가깝고 편한 관계이며, 가족 내에서 지위도 남성보다 낮게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예의나 예절은 상대방을 존중하는 사회적 표현의 정형화된 형태다. 그것은 관계 맺기에 있어서 일종의 ‘예시’를 제공한다. 하지만 그러한 예의나 예절을 무조건적으로 주장하고, 원칙적으로 지키기를 요구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기도 하는 것 같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형태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고, 그것은 각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어떤 관계냐에 따라 서로 사용하는 호칭이나 표현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아빠라 부를 때, 관계가 더 편해질 수 있고 그러면서 동시에 상대방을 존중할 수 있다면 그리고 그에 대해 서로 합의했다면 그 아빠라고 부르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을까.
물론 요즘에는 아빠라고 부르는 것을 부모에게 경제적/심정적 의존을 떨치지 못한 이들이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그에 대해 문제제기가 나오고 있기도 하다. 나도 내가 정말로 어리기 때문에 아빠라는 호칭에 대해 서로 편하게 여기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나는 지금 유아적인 글쓰기를 하고 있는 걸까…). 게다가 예의나 예절이 가지고 있는 힘을 완전히 무시하기엔, 그것이 갖고 있는 힘도 너무 크다. 더 나이가 들고 나면 아버지냐 아빠냐를 두고 한참을 고민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지금은 아빠를 아빠라 부르는 것이 옳은지는 모르겠으나, 좋다.
댓글 목록
바람
관리 메뉴
본문
맞아요, 아빠라는 호칭 하나에 남들 눈치를 봐야한다는것 역겨운 사회적 압력같아요 사실 나이가 든다고 해서 어른이 되는것도 아니고 나이가 들어도 어른이 되기 싫고 어른이라는 소리를 듣기싫은 나같은 사람이 있는 것처럼 어린아이가 퍽이나 명확한 것도 아니고 어른도 썩 명확하지 않찮아요 결국 아버니이건 아빠이건 스스로에게 아빠라는 것이 중요한 것인데 남들 앞에서 눈치보며 '아버지'라고 하는것 무언가 아니라는 생각! 그래서 이제 본격적으로 사랑하는 아빠라는 호칭을 널리 사용해야겠어요!!부가 정보
돌찐
관리 메뉴
본문
나는 내가 전혀 어리다고 생각하지 않는데(나, 완전 어른!ㅎㅎ) "아버지"라고도 하고 "아빠"라고도 해요.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좀더 불편하거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의식적으로 "아버지"라고 부르게 되더라구요. 이것 역시 남들 눈치보기.근데 '예의나 예절이 가지고 있는 완전히 무시할 수 없는 큰 힘'은 뭘 의미하는 거죠? 궁금하네~
부가 정보
기정
관리 메뉴
본문
저는 조금 다른 경우이긴한데, 저는 어머니께 어머니라고 부르거든요.]어렸을 때 티비를 모다가 어떤 야채트럭장수(?)가 어머니를 옆에 태워 다니면서
훈훈하게 사는 뭐 그런 프로그램이였는데 "어머니","어머니~" 하는 소리가 왠지 좋아보니 더라고요. 그게 초등학생때인것 같은데.. 하여간 중학교 이전 부터 어머니란 호칭을 썻는데.. 요새에도 느끼는 거지만, 통화를 하거나 엄니와 대화 할적에 '어머니'라는 호칭을 쓰면 주위 친구들이 "으응?"하는 식으로 보더라고요.
어떤 느낌일런지 아실지 모르겠지만.나중 부터는 호칭 부르는것이 신경쓰이고 그러더라고요. 물론 신경만 쓰이지 여전히 어머니라고 하지만요.. 아마도
유진씨 말처럼 모두가 어머니는 엄마라고 하잖아요. 그 이유는 친근하고 남성(아버지)보다 낮은 지위로 인식된다는 것이.. 제게 그런 경험을 만들어 준거 같아요
부가 정보
돌찐
관리 메뉴
본문
그럼 기정씨는 '아버지'라는 호칭도 쓰나요?부가 정보
청올
관리 메뉴
본문
음... 전 그들을 휴대폰에는 이름으로 저장해놓고, 조금씩 가끔 가볍게 해보는건데, 'OO씨'라고 부르는 때도 있어요. 뭐 이건 2인칭으로 할 때만 쓰니까 다른 사람 눈치 보이는 것과는 좀 다른 경우겠지만. 가끔 그들이 나의 어머니-엄마-어미나 아버지-아빠-아비가 아니라 자연인 그 자체로 잘 보이고, 있는 그대로 살려서 불러주고 싶을 때가 있어요... 점점 늘어나고. 아빠, 엄마 같은 말은 대명사지만, 그들의 고유명사를 불러주고 싶은 때가 있달까... 장난으로 'OO야 밥먹어라' 하며 웃을 때도 있지요. 물론 이런 비약은 오해가 없도록 애교 넘치는 살인미소와 함께해야 함...ㅋ 오래전에는 제 동생이 나를 '야, 너'라고 하는 게 아주 심한 욕이었던 시절도 있지만, 지금은 그렇게 부르거나 이름을 부르는 게 자연스러워진 것처럼, 관계는 지속적이지만 관계의 위계나 성격은 계속해서 재설정되니까요...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