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와 디자이너

- 브루노 무나리 / 디자인 하우스

 

인간은 명확히 감지할 수 있는 많은 증후들을 통해 종적인 인식을 확립하면서

이기주의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사실 개인주의는 모든 분야에서 어떤 천재적 가치를 태어나게 하지만,

종의 감각은 거대한 집단적 구현을 가능케 합니다.

천재는 독특하고 뛰어난 결과들을 생산함으로써

다른 개인들의 야심을 좌절시키고 열등감을 유발시킵니다.

하지만 종의 감각은 타인을 위해 일하도록 하며, 크고 작은 문제들을 공동으로 해결하도록 이끕니다.

개인적 이기주의의 제거와 타인을 위한 희생으로 얻어지는 이러한 종의 인식은,

인류로 하여금 균형있는 변화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게 하며,

각 개인의 능력과 자질을 하나로 모아 문제를 해결하게 합니다.

불행히도 우리는 각자가 자신을 위해 사고하도록 수세기에 걸쳐 훈련을 받아왔으며,

도달해야할 목표로서, 그리고 따라야 할 표본으로서 과거의 모든 천재들의 전례에 기초한

정체된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인간활동의 중간적 가치들을 등한시해 왔습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의 개인은 평범한 인간이거나 천재, 또는 백치일 뿐입니다.

때마침 디즈니적 문화가 급속도로 침투해 퍼짐으로써 결국 공동체적 작업은

파멸로 이어지고 말았습니다.

그러므로 각 개인은 어릴때부터 공동체적 인식과 공동 작업을 습관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우리 모두가 이웃을 기만하거나 속이지 않고, 갈취하거나 훔치지 않는

보다 나은 사회의 건설에 이바지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각자의 활동분야에서 인간적 가치의 척도를 재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145P

 

어떤 집들은 혐오스럽고 빈곤한 느낌을 주는 반면에,

어떤 집들은 전혀 그런 느낌을 주지 않습니다.

어째서 나무, 지푸라기, 종이, 나무 껍질, 자연석 등으로 이루어진 일본의 전통적인 집은

우리에게 빈곤한 늒미을 주지 않는 반면, 벽돌, 시멘트, 우리, 대리석 등 더 비싼 재료로 만든

서양의 집들은 스산한 느낌을 주는 걸까요?

필자는 이러한 빈곤성이 자신의 의지와 맞지 않는 환경에 살도록 강요된 상황에서

비롯된다고 믿습니다.

또한 우리의 서민 주택들이, 다행히도 모두 그렇지는 않지만, 애정없이 설계되며,

설계자든 주민이든 거기에 인간적으로 관여하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서민주택'의 정의는 '주민들에게 참담한 상황을 만들어 주는 집'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중산층의 집에 적용될 때 불행은 가중됩니다.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어도 설계자는, 거실 겸 식당, 침실, 현관 등 큰 공간이 모두 들어간

'작은 집'을 설계합니다.

그 공간들은 여러가지 설비들과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스타일 가구들로 가득 채워져

축소되기 마련입니다.

크기나 기능 면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값비싼 가짜 고가구들은

분할 상환으로 힘겹게 지불될 것이며, 공간 속에 번듯하고 균형있게 자리잡게 되기를 바랄 것이나

열악한 공간으로 인해 오히려 빈곤성을 가중시킬 것입니다.

이렇게 애정 없이 설계되고 허영으로 채워지는 집은,

모두가 부러워하고 갖고 싶어하는 사치스런 주택의 최악의 모방일 뿐이지요.

 

일본의 전통적인 주택은 수세기에 걸쳐 끊임없이 개선되고 다양해져서

이러한 빈곤한 느낌을 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각 세대가 이루어 놓은 창의성이 후세들에게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최소한의 경비와 재료로 만들어졌지만, 전혀 스산하거나 혼란스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각 개개인이 최대한의 정성과 애정을 들여 만들었으며, 그 개개인의 집약된 창의성이

그것들을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특정 미학으로 인도하기 때문입니다.

실용, 미학, 심리 등 그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으면서 주거상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한 결과,

구석구석의 각 세부에서 창의성을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거주라는 인간의 기본적 필요 가운데 하나를 해결하는 이러한 공동 참여의 작업 형태는,

개인적인 사고가 아니라 종적인 사고를 보여 줍니다.

참여가 없고 애정이 없는 삶의 빈곤성은 사치스런 집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것은 문화적 빈곤을 보다 값비싼 재료들로 보상받으려는 욕구의 결과입니다

가격, 가치, 기능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

여기에서 하나의 특정 미학에 대한 요구가 태어납니다.

그것은 과거의 양식과도 관계가 없고, 현재의 예술적 유행과도 관계가 없으며,

디즈니적 문화의 영향과 혼합된 고전 문화의 결실도 아닙니다.

그것은 재료의 올바른 사용, 공간들 사이의 적절한 관계, 외형적이고 기능적인 일관성에 의해

탄생하는 새로운 미학인 것입니다.

 

159P~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12 20:52 2007/05/12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