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책 소개 [추적, 한국 건강 불평등]

작년 초에 한국 건강형평성학회와 한겨레 신문사가 함께 건강 불평등을 주제로 시리즈 기사를 내보내고 정책토론회를 열었던 적이 있습니다. 최근 한겨레 신문사의 이창곤 기자께서 당시 원고들을 수정하고 대폭(?) 보완하여 책을 냈습니다. 원고 써내라고 쪼아대던 전화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떡하니 책이 나왔네요 ㅎㅎ 이 블로그에 들르는 분들께서도 관심을 갖고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민주노동당 보건의료 공약 준비팀에서도 '무상의료'를 넘어 '건강불평등'을 의제화시켜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 책이 그런 노력에 조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솔직하게는, 이런 의제가 대선/총선을 앞두고 특정 개인 혹은 '좌파신자유주의' 집단의 '선전물'쯤으로 전유'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전문가 집단이 괜찮은 공약 셋트 만들어놓고, '아무라도 가져가서 이게 실현되면 좋은거 아니냐' 이렇게 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는 거죠. 오지랍의 반경이 저멀리 안드로메다까지 ㅎㅎㅎ 하여간, 많은 분들이 읽어보시길...



책을 내면서_이창곤

발문_김창엽 

서론 왜 건강불평등인가

1. 가장 치명적인 질병은 ‘빈부격차’

2. 건강은 순전히 개인 탓인가?

3. 교육수준?직업?소득수준이 건강을 결정한다?

4. 문제는 관점이다

5. 건강은 누구나 누릴 기본권

제1부 한국 건강불평등 추적 : 건강불평등 누구의 책임인가?

01. 흡연, 개인 탓인가?

1) 금연사회, 흡연자는 낙오자인가?

2) 흡연이 계층을 가른다

3) 사회계층 간 흡연율 격차 해소 방안

<취재를 마치고> 흡연을 권하는 사회

02. 부모의 지위는 아이의 건강지수

1)건강은 부모 탓인가?

2)가난한 집과 저체중아

3) 저체중아, 조기사망아 문제에 대한 국가의 지원과 정책 방향_ 손미아

<취재를 마치고> 지원 없이 내몰린 아이들_박주희

03. 동네 따라 수명 다르다

1) 지역은 계급의 다른 이름

2) 죽음마저도 계층을 가른다

3) 심각한 지역 간 건강불평등 실태

< 취재를 마치고> 가장 논쟁적인 건강불평등 이슈

04. 정신건강의 굴레, 비정규직

1) 비정규직 건강불평등 문제 돌아봐야 한다

2) 건강의 ‘사각지대’ 에 방치된 비정규직 현실

3) 비정규직 건강보호 대책

< 취재를 마치고> 건강검진 꿈도 못 꾸는 사회

05. 의료이용의 불평등

1) 요람에서 무덤까지 ‘타고 난 ’ 건강

2) 의료이용량의 양극화 현실

3) 의료이용 불평등 연구 사례_이상이

<취재를 마치고> 가난이 죄라면 죄겠지요_김양중

< 부록> 한국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과제_강영호

제2부 건강불평등 이슈화를 위한 사례 추적 : 선진국의 건강불평등과 정책

01. 건강불평등의 나라, 미국

1) 선진국에서 건강이 가장 불평등한 나라

2) 가장 잘 사는 나라, 미국의 건강수준은 왜 나쁜가?_김명희

3) 미국식 의료시스템 도입은 건강불평등 심화시킬 것 :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교수 인터뷰-_김명희

4) 미국 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_김명희

02. 블랙리포트의 나라, 영국 

1) 평등한 의료로도 불평등한 건강을 막지 못한다

2) 건강불평등 사회의제화에 어떻게 성공했나

3) 영국의 건강불평등 정책 전문가 릴레이 인터뷰_기명

4) 영국 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_손미아

03. 유럽의 건강불평등 정책

1)네덜란드 1989년부터 건강불평등 데이터 확보

2)<요약1> 세계보건기구 및 유럽국가의 공식정책

3)<요약2> 건강불평등과 관련한 주요 보고서의 정책권고

04. 건강불평등 사회의제가 되지 못하는 한국

1) 원인은 무엇인가?

2) 건강불평등 정책 사실상 없다: 보건복지부 담당자 인터뷰

3) 건강불평등 해결을 위한 보건학 연구자의 역할 및 주요과제

제3부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제안

01. 정부는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세우고 실행해야

02. 건강불평등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_김창엽

03. 의료이용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 : 공공적 국가보건의료체계를 확립해야_이상이

04. 건강불평등 해결을 위한 노력: <한국건강형평성학회>_ 윤태호

<부록> 한겨레-한국건강형평성학회 대토론회 토론문

1. 한겨레 건강형평성 토론회 토론요지_이상용

2. 건강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건의료정책의 모색_고경화

3. ‘건강불평등’ 토론문_현애자

4. 건강불평등, 사회양극화를 심화시킬 의료서비스 산업화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_조경애

5. 건강불평등과 환경오염_최예용

<추천의 글>

건강문제도 아는 만큼 볼 수 있다_신광영

건강불평등을 포괄적이고 직접적으로 다룬 유익한 책_정백근

의학, 보건학 대학원생, 학부생, 시민사회 활동가, 일반인들에게 권하고 싶다_윤태호

미래의 평등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을 위한 뜨거운 희망_이태수

책을 끝내며_이창곤

미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