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우리밀

  • 등록일
    2008/11/24 10:41
  • 수정일
    2008/11/24 10:41

우리밀 살리기 운동본부 주최로 전남 구례의 우리밀 공장을 다녀왔다.

가는 길에 30년 전부터 유기농을 마을 단위로 실천해온  홍성 홍동면 풀무마을.

오리농법을 위해 길렀던 오리들이 주변 개울가를 활개치고 다니고,

텃밭에는 유기농 무우와 배추들이 소복하게 추수를 기다리고 있다.

마을 안쪽에 자리잡은 유기농 제품 공장들을 둘러보고

다시 버스로 세시간 정도 남쪽으로 내려가 구례 농업체험관이라는 곳에서 여장을 풀었다.

그곳에는 80년말부터 우리밀을 제배하며 꾸준히 운동을 해오신 분이 있다.

그분 말에 따르면, 한국에서 먹는 밀 중 우리밀이 점유하는 비율은 고작 0.2퍼센트,

그 비율도 우리밀 살리기 운동을 안 했으면 사실상 불가능한 수치였을 것이다.

처음에는 종자라도 보호하자는 차원에서 시작했다는 우리밀 운동이지만

앞으로는 식량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안전하지 않는 먹거리의 대안으로 충분히 떠오를만 하다.

밀은 초겨울에 심어서 봄에 재배하기 때문에 추수가 끝난 논과 밭에 심어도 되고,

겨울을 나기 때문에 따로 방충제를 칠 필요가 없다고 한다.

단, 제초제를 뿌리는 밀과 제초제를 뿌리지 않는 밀이 있는데, 후자 앞에는 "친환경" 이란 수식어가 붙는 다는 것.

예전에 먹었던 우리밀은, 사실 질감과 맛이 좀 거칠다랄까?

그래도 자연스럽게 일반 수입밀가루에 입이 갔었다.

요즘 나오는 우리밀가루는 새로운 기계 등을 들여와 더 부드러워졌다.

하루에 밀가루 음식을 먹는 걸 계산해보면 밥보다 더 많은 것 같다.

아침에 빵 한조각, 점심에 밥, 저녁에 스파게티나 국수, 간식으로 과자...

밥은 고작 한끼 정도를 먹는 것 같다.

물론 수입밀 안좋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거 하나 먹는다고 죽겠나'하는 하는 생각으로

사먹었던 것 같다.

그런데 정말 이렇게 먹다간 죽겠구나 싶어진다.

미국에서 기계와 농약으로 대규모로 제배된 밀을 20일씩 30일씩 운반해오는 과정에서

약을 치는데, 그렇게 해서 생산된 밀가루는 쥐도 안 먹고 바그미도 끼지 않는다.

어떤 이는 밀가루를 방충제 대신 작물에 뿌린다고 한다.

그런 밀가루를 하루에 두끼 이상을 섭취하면 정말 소리소문없이 죽겠구나 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