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모든 실험들, 모든 혁명들, 모든 선언들에서 엄숙주의를 몰아내자. 우리는 더는 실험할 필요가 없는 단 한 번의 '진정한 실험'을 꿈꾸는 사람들이 아니다. 그 이상의 실험을 원하지 않는 실험, 우리는 그런 '진정한 실험'에 관심이 없다. 코뮨주의자로서 우리는 실험과 시도를 즐기는 사람들이다. 우리는 실험을 반복함으로써 한 발씩 한 발씩 걸어 나간다. 코뮨주의는 언젠가는 도달해야 할 세상의 이름이 아니라, 언제든 도달할 수 있고 언제든 실현할 수 있는 삶의 방식이다. 코뮨주의는 대안적 삶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과 시도 속에서 언제든 실현된다."
"타자의 절대 권리를 희생자의 절대 권리에서 찾고, 그 절대 권리를 영원한 정의로 바꾸어내는 사유의 전개 과정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우리는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예수의 삶보다 죽음을, 그가 삶 속에서 느꼈을 행복보다 십자가에서 느꼈을 지옥 같은 고통을 환기시킨 사제들, 그들이 어떻게 통치자가 되었는지를 생각해보라."
-고병권 · 이진경, <코뮨주의 선언>(Commun-ist Manifesto) 中
1.
오늘날 복음주의권의 그것이든, 에큐메니칼-민중신학의 그것이든, '기독교 사회운동'을 강하게 짓누르는 정서가 있다면 그것은 '엄숙주의'라고 할 것이다. 오늘날의 엄숙주의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희생자와 약자에 대한 애도의 정서인 "타자의 엄숙주의"라 할 수 있고,또 하나는 민주화 프로젝트가 신자유주의와 전지구화 앞에서 무너져 버린 데서 생겨난 정서인 "종말론적 엄숙주의"이다.
2.
예수는.. 그는 엄숙했을까? 에코의 <장미의 이름> 속에 묘사된 중세 학자들의 논쟁 - "예수는 웃었을까?" - 을 보면 예수에 덧씌워진 엄숙주의라는 이미지는 아주 오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중세의 성화에서 그는 늘 슬픈 얼굴을 하고 있다. 그는 웃는 장면에서도 엷은 미소만을 띄고 있을 뿐이다.
3.
니체를 비롯하여, 많은 이들이 바울을 탄핵한다. 그가 삶-예수를 죽음-예수로 바꾸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의 삶의 불멸성을 단 한 번의 십자가상의 '제사'로 바꾸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신앙의 중심 문제는 예수와 같이 지금-여여기에서 살림을 사는 것이 아니라, 죽은 자 예수에 대한 애도 속에서 그와 함께 죽은 자-타자들에 대한 사랑의 문제로 바뀌어버렸다는 것이다. 결국 신앙생활이란 죽은 자에 대한 사랑이다.(그러나 과연 바울이 엄숙주의자였는지에 대해 나 자신의 판단은 유보하려 한다. 난 아직 그를 충분히 알지 못한다.)
4.
복음서는 더욱 다루기 어렵다. 각 복음서들에 등장하는 종말론적 엄숙주의는 예수의 것인가? 아니면 유다전쟁을 겪은 유대적 그리스도인들의 것인가? 왜 복음서는 지금-여기에서 살림을 살 것을 주장한 예수를, 풍자와 해학으로 민중과 더불어 살았던 예수를, 종말론을 설파하는 세례 요한적 예수와 더불어 기록하고 있는가? 나는 감히 예수에게서 종말론을 제거하려 한다. 예수는 삶만을 설파했으며, 바로 그 때문에 죽었다. 바벨론 유수 이후로 종말론은 이스라엘의 우파와 좌파, 권력자와 민중을 막론하고 그들의 '공통감각'이었다. 때문에 단-한번의 종말과 왕-메시야의 도래를 거부한 예수, 미래에 올 하느님의 나라가 아닌, 지금-여기에서의 실험으로서의 하느님 나라를 설파한 예수는 죽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좌파와 우파, 권력자와 민중 모두의 공모 속에서.
5.
네그리는 스피노자를 "야만적 별종"이라고 말했다. 나에겐 예수야말로 "야만적 별종"이다. 그는 바울적 엄숙주의(타자의 엄숙주의. 그러나 과연 바울 공동체가 엄숙주의적이었을까!?)와 유대적-복음서 공동체적 엄숙주의(종말론적 엄숙주의) 모두에 대한 별종이다. 그는 유대인이었으나 유대주의를 넘어선 유대인이었다.
6.
자. 이제 나름의 결론을 내려야 할 때이다. 그러나 비참하게도 난 이 지점에서 침묵하게 된다. 타자의 윤리가 아닌 코뮨의 윤리를, 종말론적 윤리가 아니라 영원회귀의 윤리를, 예수의 윤리로 제시하면서 민중신학과 기독교 사회운동의 '회춘'을 부르짖어야 할 이 절에서 나는 안타깝게도 말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대선 트라우마(이명박이 대통령이 되었기 때문은 아니다.) 를 극복할 때까진 조금 더 침묵하지 않을까 싶다. 민중(multitude든 the minor건)이 어디에서건 국가를 중단시킬 때 나의 언어도 다시 터져나오지 않을까.(아니면, 그냥 공익근무로 인한 우울증 때문인지도 모르겠다만.)
댓글 목록
chesterya
관리 메뉴
본문
어렵다..부가 정보
삼
관리 메뉴
본문
니체의 바울 비판 얘기가 나와서 잠깐. 니체가 <안티 크라이스트>에서 의도했던 건 이랬던 것 같습니다: 바울의 공로는 기독교를 로마 사회(를 비롯한 비유대교 사회)로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유대적 구원론' 대신 '보편적 구원론'을 설파했다는 거죠. 그래서 기독교는 보편 종교가 됩니다. 이 과정에서 예수에 대한 재해석이 쟁점이 되는데, '차안'에서의 예수를 '피안'으로의 예수로 봉합했던 문제가 있었다는 거죠. 게다가 이 과정은 그러한 교리가 기독교 사제들, 즉 성직자 권력을 창출하고 지탱하는 문제로 이어졌다는 게 더 큰 문제인데, 그 역사적 시원이자 계기로서 바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지적입니다. 그로써 기독교는 과소인간을 양산하는 이데올로기가 되었다는 것이죠. ... 그런 면에서 니체가 보는 바울(과 바울공동체)에 대한 평가는 이러저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서구문명에서 대중들을 수백년간 좌지우지했다는 점에서 큰 문제다, 는 정도가 될 것 같아요. ㅋ 쓰고 보니 완전 기네요. ^^;;부가 정보
김강
관리 메뉴
본문
삼/ 끄~응... 제가 안티크라이스트 읽은지 좀 되어서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오히려 니체는 바울의 '유대성'을 탄핵하지 않던가요. 유대교의 복수의 논리를 기독교의 연민의 윤리로 옷을 갈아입힘으로써 세계에 유대교의 독약을 뿌렸다고 비난했던 것 같습니다...(안티크라이스트는 니체를 반유대주의자로 오해받도록 만드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텍스트 중 하나라고...)^^;;;부가 정보
양승훈
관리 메뉴
본문
술 한잔 털어 넣고 나면, 글이 튀어나올 지도 모르겠네요~ ^^부가 정보
김강
관리 메뉴
본문
양승훈/ ㅎㅎ 연말에 주(酒)님과 더불어 긴긴 시간을 보냈어도 글은 안 튀어나오더이다.ㅜㅜ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