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 참진보를 위하여!
- TPR
11년 째 자살률 1위인 한국 사회
어제 공개된 OECD ‘건강 통계 2015’(Health Data 2015)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9.1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여전히 1위이다(2013년 기준). 벌써 11년째다. OECD 회원국 평균 12.0명보다 2.5배가량 높고, 2위인 헝가리(19.4명)에 비해서도 압도적으로 높다. 자살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 그룹인 터키(2.6명), 그리스(4.2명), 멕시코(5.0명), 이탈리아(6.3명)에 비하면 5~10배 정도 높다.
주관성이 있긴 하지만 자신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한국이 35.1%로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낮다(OECD 평균은 68.8%). 한국의 15세 이상 성인의 연간 음주량은 8.7리터로 OECD 평균(8.9리터)과 비슷하며, 한국의 성인인구 흡연율 또한 19.9%로 OECD 평균 19.8%와 비슷하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과체중 또는 비만 인구의 비율은 31.5%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낮다(OECD 평균은 57.2%). 영아사망률은 신생아 1천 명당 3명으로 OECD 평균인 4.1명보다 낮다.
OECD의 국민 건강 통계는 한국인의 건강 문제가 위생 상태나 보건 의료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 국가의 보건 의료 상태를 상징하는 영아사망률은 OECD 평균보다 낮고, 연간 음주량과 흡연율 등 생활 습관도 평균치 정도이며, 성인병의 원인이라는 비만 인구 역시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건강이 가장 불량하다고 느끼고 있다. 그렇다면 그 원인은 OECD 국가 중 최장시간 노동, 고용불안, 실업 등 무한경쟁 사회가 빚어낸 극도의 정신적 고통이 낳은 비극으로 볼 수밖에 없다.
벌써 11년 째 1위, 그것도 2위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압도적인 자살률은 참담하다. 1980년대 군부독재 시절에도 자살률은 10만 명 당 10명을 넘지 않았다. 1998년 IMF 사태 이후 급격히 치솟기 시작하여 지난 20년 사이 3배 가까이 급증했으며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 4번째로 한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자리 잡았다.
자살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병리 현상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노인 자살률이 의미하는 바가 매우 크다. 현재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 인구의 13%이나, 2013년 자살한 사람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3.5%에 이른다. 생이 얼마 남지 않은 노인들의 자살률이 급증한 이유는 빈곤이다. OECD 국가 노인들 상대적 빈곤율은 12.6%인데, 우리나라는 49.6%로 세계 1위이다. 그 결과 노인 자살률은 10만 명 당 60명을 상회하고 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낳은 한국 사회의 모습은 비참하다. 인간이기 전에 동물로서 본성, 즉 생존하고 번식하는 것 자체가 파괴되었다. 자연이 부여한 수명을 포기하여 자기 손으로 목숨을 끊고,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여 종의 보존 자체가 위협받는 사회가 되었다.
나라 상황이 이 지경인데도 청년 실업 해결책이 베이비붐 세대의 임금을 깎는 임금피크제와 쉬운 해고에 있다는 대통령, 대기업 정규직의 이기주의와 전쟁을 선포한 집권여당 대표를 보고 있노라면 한숨만 나온다. 어제 치러진 7급 공무원 공채 시험 경쟁률이 125 대 1이었고, 취업·결혼·출산을 포기한 젊은이들이 하루 1명꼴로 자살하고 있는데, 대통령은 청와대 진돗개가 새끼 5마리를 낳았으니 이름을 지어달라고 한가한 트위터를 올리고 있으니 이 나라가 정작 어디로 가고 있는지 걱정이 태산 같다. 도대체 무엇을 위해 정치를 하고 있는 것인가?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