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제주, ‘가장자리’에서

 

 

제주, ‘가장자리’에서

 

박성인/가장자리 농원지기

<질라라비>2020.10월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뿌리! 더 아래로, 더 왼쪽으로!

 

땅속 깊이 내리는 것은

그만큼 줄기를 위로 솟게 하기 위해서다.

칠흙 같은 어둠 속을 헤매는 것은

잎이 햇빛을 마주하게 하기 위해서다.

왼쪽으로 뻗는 것은

꼭 그만큼 가지를 오른쪽으로 뻗게 하기 위해서다.

주근이 굵어야

잔뿌리가 많아지고,

그 가는만큼 흙속 무기물을

생명으로 바꾸어낸다.

뿌리!

살아서 땅속 길을 내고,

죽어서 땅속 거름이 된다.

 

시인은 꽃을 보지만,

농부는 뿌리를 본다.

시인은 꽃을 통해 뿌리에 다다라야 하고,

농부는 뿌리를 통해 꽃을 기다려야 한다.

 

8년차 초보농부다. 8년째 농사를 짓고 있는데도 여전히 한심하고 어설픈 ‘초보’ 농부다. ‘농사(農事)’라기보다 차라리 ‘농도(農道)’에 가깝다. 생태순환적인 자연농업으로 30~40가지 밭작물을 재배한다고 하지만, 하는 것마다 변변치 못하다. 8년간 겪어보고, 이것저것 주어들은 것도 있고, 책도 보고 해서 머리로는 자연농업을 조금 안다고 하지만, 무엇보다 ‘몸’이 따라주지 않는다. 나이도 있고, 농사짓는 평수(2,500여평)도 혼자 감당하기에 벅차지만, 역시 농사는 ‘몸’이 짓는 것이다. 체력뿐 아니라 몸의 리듬까지 농사를 짓게 몸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런 몸에서 농부다운 ‘농심(農心)’이 생긴다. 그래서 아직은 갈 길이 멀다.

집안에서 농사를 했었더라면, 귀향해서 농사를 짓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도 ‘자연 농업’을! 몰랐다. 농사가 이렇게 힘들고 진입 장벽이 높은 줄은. 농사를 짓기 시작할 무렵에 우연히 후배로부터 ‘자연농업’에 대해 소개받아 괴산에서 교육받고, 자연농업을 한답시고 지금까지 버텨왔다. 흔히 오해하듯이 자연농업은 ‘방치’가 아니다. 자연의 생태적인 순환을 이해하고, 그 자연의 흐름에 맞춰 그 땅에 맞는 자신만의 농법을 하나씩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다. 자연의 생태적인 순환을 이해하려면, 흙과 미생물, 농작물과 종자, 농작물의 영양 관리, 검질(잡초) 관리, 병해충 관리, 기후 변화 등을 알아야 한다. 알아야 할뿐 아니라, 필요한 조치를 ‘제때’ 해야 한다. 밭 만들기와 파종에서 수확과 보관까지 4계절의 변화에 맞춰 제때 해야 한다. 제때! 변화무쌍한 자연의 변화와 흐름 속에서 제때를 알아내는 것! 안다고 하다라도 제때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것! 자연재배 농사 10년 안에 이걸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이제 2~3년 남았는데. 그래서 여전히 ‘초보 농부’다.

 

검은 보리

 

검은 보리, 알이 여물어간다.
제 머리 무게를 감당하기에 벅찬,
가는 보리대는
흔들려야 버틴다.
흔들리면서 버틴다....

검은 보리가 흔들리면서
바람이 인다.
바람이 봄을 조금씩 밀어낸다.
초여름 볕이 따갑다.
검은 보리가 영글어간다.

흔들리며 영글어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도 ‘8년차’다! 검질(잡초)과 버렝이(벌레)에게 일방적으로 밀리지는 않는다.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몸이 따라주지 않아서 밀리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멋모르고 허무하게 밀리지는 않는다. 작지만 큰 깨달음도 얻었다. 자연 농업에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보다 먼저 최소한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가?’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깨달음이다.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가?’ 무엇을 하지 말기 위해서는 자연의 생태적 순환을 자연 자체로부터 배워야 한다. 자연 자체의 자생적인 복원력을 신뢰해야 한다. 그 바탕에서 농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을 자연으로부터 얻어내는 것! 그것이 자연농업에서 농사 실력이다. 무엇을 하기는 쉬워도 무엇을 하지 않기는 어렵다. 자연에 대한 ‘신뢰’와 자연에 대한 ‘실력’이 없으면 힘들다.

문제는 ‘과잉’이다. 21c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문제의 근원이 과잉생산과 과잉소비이듯, 지금 농업에서도 ‘과잉’이 문제다. 제초제, 화학농약, 화학비료의 과다 사용을 통한 농작물의 과잉생산이 흙과 바다를 오염시키고, 인간의 건강을 헤치며, 결국 자연의 생태적인 순환을 파괴해 버리고 있다. 이런 농업의 현실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농업에서의 자그마한 대안적 시도가 자연 농업이다. 그래서 버티고 있다. 자연 농업이 현실에서 지속가능한지를 직접 확인해보려고.

 

'생태화장실'이 부른다!

 

오라!

마려운 자는

큰거든

작은거든

가리지 말고

 

버리고

뒤도 안돌아 보는 것!

버리지 않으면

살 수 없어

살기 위해

매일 버리는 것!

 

모으고 모아

썩히고 썩혀

땅심으로,

다시 생명으로

되살려 낼테니

 

주저말고 와라

가장자리 농원으로!

생태화장실로!

 

자급자족을 위한 텃밭농사가 아니라면, 농사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작물을 수확하고, 가공하거나 보관하고, 판매하는 것이다. 특히 자연재배를 하는 소농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점은 힘겹게 재배한 농작물을 판매할 통로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자연 농업은 농사 자체도 힘들지만, 판매는 더 힘들다. 그래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많은 경우 몇 년 힘겹게 시도하다가 농사를 포기하거나 관행농업(석유화학농업)으로 방향을 바꾼다. 당분간 자연 재배 소농을 위한 농업 정책도 기대하기 힘들다. 그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기에 스스로 해결 방안을 찾아나가야 했다.

그래서 지난 2018년 10월에 자연재배를 하는 5개 농민단체들이 모여, 3무(무제초제, 무화학비료, 무화학농약)+Non GMO 농작물을 판매하는 주말(매주 토요일) 직거래장터인 ‘자연그대로 농민장터’를 열었다. 생산자인 ‘농민’이 직접 나서서 연 소규모 농민장터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버텨온 결과, 다음 주에 100회 장터를 연다. ‘100번의 고집! 100번의 소통!

 

자연그대로농민장터 ‘시농제’ 축문(2019.3.24.) 가운데서

 

이 ‘자연그대로 농민장터’를 통해,

생산자인 농민이 소비자를 살리고, 소비자인 시민이 농민을 살려 생산과 소비가 다시 하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민이 제주의 흙과 자연을 살리고, 그 흙과 자연이 다시 농민과 시민을 되살려 자연과 인간이 다시 하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촌이 도시를 살리고, 도시가 농촌을 살려, 농촌과 도시가 하나로 되살아날 수 있도록!

‘농민장터’가 그 씨앗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노동의 가치’, ‘농업의 가치’, ‘생태적 가치’, 그 가치를 공유하는 농민들끼리 만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고, 또 소비자와 소비자가 만나 그 가치와 문화를 공유하고 확산해나가는 ‘농민장터’가 되도록!

그래서 농민의 건강한 삶과 노동이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바램과 충돌하지 않고, 이런 생산자와 소비자의 만남이 청정제주의 흙과 자연을 지켜나갈 수 있게 하는 ‘농민장터’가 될 수 있도록!

포기하지 않고 끝내 함께 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질이 안심하고 자라는 농원, 버렝이가 안심하고 먹는 농작물’을 모토로 내걸었다. 8년째 그 검질과 버렝이 때문에 속타고 허덕이는 한심한 농부다. ‘가장자리’에서. 근데 농사를 지을수록 몸이 땅에 뿌리를 조금씩 내려 발목을 잡는다. 사실 그러고 싶지 않은데. 이게 내가 할 일인가? 내가 해야 할 일인가?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인가? 검질을 메고 버렝이를 잡을 때마다 스스로에게 묻고 또 묻는다.

‘가장자리 농원’! 사실 한반도와 동북아의 가장자리인 제주도에서, 도시와 농촌의 경계에 놓인 가장자리 땅에서, 자연 농업을 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겠다고, 역동적이고 다양한 변화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찾아보겠다고, 그 의지와 바람을 ‘가장자리 농원’으로 표현했다. 8년차 초보농부!, ‘가장자리’에 발 딛고 서서 다가 올 태풍을 어떻게 맞을까?

 

태풍과 소나무

 

기회다

솟구쳐 날아오를!

내 뿌리가 발목을

잡지만 않는다면

 

꺾이지 않고

엎드려 휘지 않고

스스로 태풍이 되어

태풍이 되어

다시 솟구쳐 오를!

 

뿌리에 발목잡혀

끝내 발목잡혀

아우성을 치는

소나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