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살아서, 살아서 여여(如如)했어야지
참 힘듭니다.
이 글을 쓰기가 힘듭니다.
이런 ‘추모집’에 글을 쓰기가 너무 힘들고 싫습니다.
동주가 지금 있어야 할 곳은 이 ‘추모집’이 아닙니다.
고향땅 함덕 서우봉 밑 바닷가 모래해변, 때만 되면 고사리, 버섯, 곰취를 찾아다니던 제주의 오름과 곶자왈, 그가 농막이라도 지어 농사를 지으려고 했던 동백동산 곁 이 천 평 밭에,
촌놈 동주는 거기에 있어야 합니다. 지금!
정녕 동주가 지금 있어야 할 곳은 그가 사랑했던 가족과 벗들과 지인들의 ‘마음’속이 아닙니다.
생계를 위해 서툴게 농사짓던 감귤밭 검질(잡초) 작업을 위해 예초기를 들고 있어야 합니다.
벗들과 밤 세워 막걸리잔을 기울이며 열띈 정치토론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가 그토록 원했던 이 사회와 정치의 민주주의를 위해 열린 촛불 광장에 다시 발 딛고 서 있어야 합니다.
지금, 동주가 있어야 할 곳은.
벌써 일 년이 훌쩍 지나가버렸습니다.
동주가 없는 일 년이 무심코 흘러가버렸습니다.
동주는 지금 여기에 없고, 왕방울처럼 꿈뻑이던 두 눈과 티 없이 맑은 미소도 없고, 쩌렁하던 목소리도 없고---
그가 남긴 글과 사진들만 블러그와 페북에 외롭게 남아있습니다.
동주는 글을 쓰고 사진을 찍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블러그와 페북에 버섯에 대해, 농사에 대해, 이 사회와 정치의 민주화에 대해 글을 쓰고 사진을 찍어 올리는 것을 즐겨했습니다.
근데 동주가 진짜 원하고 그리워했던 것은 ‘사람’이었습니다.
사람을 만나고 눈을 마주치고 소통하고 토론하고---
그가 블러그와 페북을 통해 글을 쓰고 사진을 올린 것은 사람이 그리워서입니다.
숨길 것 없이 자신의 온 몸과 온 느낌과 온 판단을 드러내고, 거칠 것 없이 사람들과 만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그가 남긴 글과 사진은 그가 그토록 만나고자 원했던 사람들에 보내는 절절한 손짓입니다.
그렇게 사람을 그리워했습니다. 동주는!
동주가 떠나고 나서야, 그가 남긴 글과 사진을 모두 묶으면서 비로소, 그가 살아왔던 삶과 그의 바람을 조금은 온전하게 알 수 있게 됐습니다.
그와 함께 했던 벗들과 지인들의 추모글을 통해서 동주가 어떻게 살았고 어떤 사람이었는지 이제야 어렴풋이 이해하게 됐습니다.
근데 지금 그게 다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지금 여기 동주가 없는데---
지금도 안타깝습니다. 이 사회의 민주화를 위해서라면 미문화원 점거든 울산 노동현장이든 촛불항쟁이든 타산하지 않고 자신의 모든 것을 내던졌던 동주가 자신의 병 치유를 위해, 자신의 몸을 위해 모든 것을 걸지 않은 것이 너무도 안타깝습니다.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고향에 귀향한 내게 동주가 제안했던 여러 일들을.
제주의 할머니들이 힘겹게 지은 농작물을 모아 팔 수 있는 온라인 유통망을 만들었으면 했습니다.
분열된 진보진영이 하나의 현실적인 정치세력으로 결집해 나가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제주도를 좀 더 민주적이고 생태적인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도지사 선거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며 직접 제안문을 쓰고 사람을 불러 모으기도 했습니다.
이제 동주의 제안과 바람은 살아남은 자들의 몫이 됐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을 떠납니다. 언제 떠날 지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닙니다.
특히 동주는! 지금은 아니었습니다.
살아서, 살아서 여여(如如)했어야 합니다.
뜻 그대로 “있는 그대로” 여여하게 살려면, 살아있었어야 합니다.
여래(如來)는 “오는 것과 가는 것이 같은 사람”, 즉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지만, 동주는 살아서 여여(如如)했어야 합니다.
살아야 여여(如如)할 수 있습니다.
‘여여(如如)하게 살아보자’던 동주는 떠났습니다.
그가 떠난 세월이 일 년이 됐지만, 동주는 지금 혼으로라도 되돌아와 무릎 꿇고 잘못을 빌어야 합니다.
그가 사랑했고, 그리워했던 가족들과 벗들과 지인 분들께.
먼저 떠나가서 미안하다고.
아마 동주는, 내가 아는 동주는 그럴 겁니다.
“먼저 가서 미안해요.”
동주의 명복을 빌며. 2019. 10.01.
가장자리 농원에서, 박성인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