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분수
- 08/12
-
- 우리 동네 김씨..
- 2023
-
- 선우사-백석 시
- 2023
-
- 우리의 삶 2 - 운동
- 2022
-
- 우리의 삶 1-죽음을 가로지르기
- 2022
34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 『시인 백석-백석 시 전집』 (송준 엮음, 흰당나귀, 2012) 중에서 #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거리를 걸어가는 것은 잠풍 날씨가
너무나 좋은 탓이고
가난한 동무가 새 구두를 신고 지나간 탓이고 언제나 꼭같은
넥타이를 매고 곻은 사람을 사랑하는 탓이다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거리를 걸어가는 것은 또 내 많지 못한
월급이 얼마나 고마운 탓이고
이렇게 젊은 나이로 코밑수엄도 길러보는 탓이고 그러고 어늬
가난한 집 부엌으로 달재 생선을 진장에 꼿꼿이 짖인 것은
맛도 있다는 말이 작고 들려오는 탓이다.
~# 『시인 백석-백석 시 전집』 (송준 엮음, 흰당나귀, 2012) 중에서 #
[내가 생각하는 것은]
밖은 봄철날 따디기의 누굿하니 푹석한 밤이다
거리에는 사람두 많이나서 흥성흥성 할것이다
어쩐지 이 사람들과 친하니 싸단니고 싶은 밤이다
그렇것만 나는 하이얀 자리우에서 마른 팔뚝의
샛파란 피ㅅ대를 바라보며 나는 가난한 아버지를
가진 것과 내가 오래 그려오든 처녀가 시집을 간 것과
그렇게도 살틀하든 동무가 나를 벌인 일을 생각한다
또 내가 아는 그 몸이 성하고 돈도 있는 사람들이
즐거이 술을 먹으려 단닐 것과
내손에는 신간서(新刊書) 하나도 없는 것과
그리고 그 「아서라 세상사(世上事)」라도 들을
류성기도 없는 것을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이 내 눈가를 내 가슴가를
뜨겁게 하는 것도 생각한다
~# 『시인 백석-백석 시 전집』 (송준 엮음, 흰당나귀, 2012) 중에서 #
[통영(統營)]
구마산(舊馬山)의 선창에선 조아하는 사람이 울며 날이는 배에 올라서 오는 물길이 반날
갓 나는 고당은 갓갓기도 하다
바람맛도 짭짭한 물맛도 짭짭한
전북에 해삼에 도미 가재미의 생선이 조코
파래에 아개미에 호루기의 젓갈이 조코
새벽녘의 거리엔 쾅쾅 북이 울고
밤새ㅅ것 바다에선 뿡뿡 배가 울고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십흔 곳이다
집집이 아이만 한 피도 안 간 대구를 말리는 곳
황화장사 령감이 일본말을 잘도 하는 곳
처녀들은 모두 어장주(漁場主)한테 시집을 가고 십허한다는 곳
산(山) 넘어로 가는 길 돌각담에 갸웃하는 처녀는 금(錦)이라든 이 갓고
내가 들은 마산(馬山) 객주(客主) 집의 어린딸은 란(蘭)이라는 이 갓고
란(蘭)이라는 이는 명정(明井)골에 산다든데
명정(明井)골은 산(山)을 넘어 종백(柊栢)나무 푸르른 감로(甘露)가튼 물이 솟는 명정(明井)샘이 잇는 마을인데
샘터엔 오구작작 물을 깃는 처녀며 새악시들 가운데 내가 조아하는 그이가 잇을 것만 갓고
내가 조아하는 그이는 푸른가지 붉게붉게 종백(柊栢)꽃 피는 철엔 타관시집을 갈 것만 가튼데
긴토시 끼고 큰머리 언고 오불고불 넘엣거리로 가는 여인(女人)은 평안도(平安道)서 오신 듯한데 종백(柊栢)꽃 피는 철이 그 언제요
녯 장수 모신 날근 사당의 돌층계에 주저안저서 나는 이 저녁 울 듯 울 듯 한산도(閑山島) 바다에 뱃사공이 되어가며
녕 나즌 집 담 나즌 집 마당만 노픈 집에서 열나흘 달을 업고 손방아만 찟는 내 사람을 생각한다
# 『시인 백석-백석 시 전집』 (송준 엮음, 흰당나귀, 2012) 중에서 #
[여우난곬족(族)]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 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걸이는 하로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집에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젓꼭지는 더 깜안 예수쟁이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山)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빩안 언제나 힌옷이 정하든 말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 곬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다ᇚ으려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애들 뫃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뽂운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게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노름 말 타고 장가가는 노름을 하고 이렇개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웋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 방등에 심지를 멫 번이나 독구고 홍게닭이 멫 번이나 울어서 조름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러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츰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 징게국을 끄리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시인 백석-백석 시 전집』 (송준 엮음, 흰당나귀, 2012) 중에서 발췌
[늙은 갈대의 독백(獨白)]
해가 진다
갈새는 얼마 아니하야 잠이 드ᇍ다
물닭도 쉬이 어늬 낯설은 논드렁에서 돌아온다
바람이 마을을 오면 그때 우리는 설게 늙음의 이야기를 편다
보름밤이면
갈거이와 함께 이 언덕에서 달보기를 한다
강(江)물과 같이 세월(歲月)의 노래를 부른다
새우들이 마름 잎새에 올라 앉는 이때가 나는 좋다
어늬 처녀(處女)가 내 닢을 따 갈부던을 결었노
어늬 동자(童子)가 내 잎닢 따 갈나발을 불었노
어늬 기러기 내 순한대를 입에다 물고갔노
아- 어늬 태공망(太公望)이 내 젊음을 낚어갔노
이 몸의 매딥매딥
잃어진 사랑의 허물자국
별 많은 어늬 밤 강(江)을 날여간 강다리ㅅ배의 갈대피리
비오는 어늬 아침 나루ㅅ배 나린 길손의 갈대지팽이
모다 내 사랑이었다
해오라비 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
-벼름질로 돌아오는 낫이 나를 다리려 왔다
달구지 타고 산(山 )골로 삿자리의 벼슬을 갔다.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 백석 -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燒酒)를 마신다
소주(燒酒)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힌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쟈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쟈
눈이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벌서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 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힌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 응앙 울을 것이다
- <<시인 백석-백석 시 전집>> ( 송준 지음, 흰당나귀, 2012)에서 발췌 -
좀전 저녁 먹다가 우연하게 든 생각이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의 결론인 <너 자신을 알라>는 아마도 소피스트(궤변론자라고 칭해지지만 본래의 뜻은 지혜로운 자이다. 소피(sophi)는 지혜를 뜻한다. 그런데 소피라는 이름은 서양에서 오로지 여성에게만 주어진다. 남성에게는 주어지지 않는다. 왜 그럴까?^^)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닐까 하는...
맥락은 이러하다.
<인간에 대한 규정>과 관련된 소피스트의 일화를 들어보자.
소피스트가 누군가에게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 누군가는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인간은 두 발로 걸어다니는 털 없는 짐승이다.>
이때 소피스트는 잠시 있다가,
털을 뽑은 닭을 그 누군가에게 던지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옛소! 여기 인간이오!>
이 일화에서 보자면, 누군가가 인간에 대한 규정이 옳다고 이야기할 때,
그 규정이 가지고 있는 불완전성, 특수성을 비판하기 위한 것임을 살펴볼 수 있다 하겠다.
그런데 이러한 불완전성, 특수성을 마치 보편성인 것인 양하는 것을 꼬집는 것 역시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고 한다면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의 결론인 <너 자신을 알라>는 결국 소피스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그 대화법 역시 소피스트가 이미 사용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지...
또한 소피스트들은 아마도 경험론자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경험론자들은 어떤 종류의 보편적인 것, 절대적인 것, 본질, 본성 등과 같은 것을 절대로 인정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들은 이 세계가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험론자들의 이러한 상대성에 기초해서는 어떠한 삶의 기준을 세울 수 없었기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상대성을 비판하면서 삶의 기준을 세워보고자 하였다.
그러한 기준을 소크라테스는 <진리>라고 칭하였다.
이러한 진리는 절대적이며 보편적인 것이라야 하며, 그 진리의 장소는 바로 <신>이다.
그런데 이 소크라테스의 '신'은 근대 데카르트의 '신'과는 다른 느낌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왜냐하면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대화법의 결론, 즉 진리로서의 <너 자신을 알라>는 타자의 <타자성>을 인지하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데카르트의 '신'은 타자의 타자성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소크라테스의 진리, 그리고 그 장소로서의 <신>은 타자의 타자성 그 자체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말하자면 칸트의 <물 자체(Thing Itself; Ding an Sich)>와 유사한 측면이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만일 절대적이며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진리를 말하고자 했다면,
그 즉시 자신의 진리인 <너 자신을 알라>는 자신의 칼에 자신을 찌르는 결과를 맞이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 기꺼이 독배를 마신 것이 아닐까?
두서없이 잡생각을 풀어보았다..^^
요즘 모기가 아주 극성이다.
일교차가 커서 그런 것일 수 있겠다.
일교차가 크니까 사람들이 이중으로 고생한다.
감기와 모기... 기씨 형제들..
그런데 모기들이 인간들에게 접근하는 전술에 변화가 생겼다.
무엇인고 하니...
전에는 1마리씩 게릴라 방식으로 인간의 피를 얻으려고 했다.
그래서 방 안에 있는 모기를 다 잡으려면 밤을 새다시피 해야 했다.
그런데 지금은 1마리씩 사람에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2~3마리씩 무리를 지어 접근하는 것이다.
아마도 1마리씩 접근하다가는 모두 전멸하는 사태가 벌어져,
피를 얻어야 하는 희생이 크므로 그 희생을 줄이고자 하는 것은 아닐지...
일종의 <성동격서> 방법이라고나 할까...
1마리가 앵앵 소리를 내며 사람에게 접근해서 사람의 정신을 그쪽으로 쏠리게 해 놓고서는
나머지 모기들이 소리 없이 피를 얻어가는 방식...
모기도 진화하고 있는 것 같다...
모기에 대처하는 인간의 방식도 진화해야 하지 않을까...
어떻게?
고민해봐야지...^^
어제 점심 때쯤 학교에 갔다.
학교에 있는 호수를 끼고서 도서관으로 향하던 중,
호수의 물가에 앉아서 하염없이 호수의 물을 바라보고 있는 고양이를 발견했다.
야 하고 불렀는데도 들은 척 만 척... 그냥 호수의 물만 바라보고 앉아 있는 거였다.
이야... 고양이 네가 뭔가 심사가 싱숭생숭한 모양이렷다!
그래.. 어찌 인간만이 철학적 사색에 잠기겠는가!
우리 고양이 선생도 그럴 수 있음을...
나에게 깨우쳐준 고양이 철학자 선생께 고맙다는 인사를...
내일 또 볼 수 있을까...
무얼 생각하는지 한번 물어봐야지...
=======================================
그 이후에 그 고양이 철학자를 보지 못했다...
언젠가는 또 만나게 되겠지...
그때 다시 물어봐야지...
<칼의 노래>(김훈, 생각의 나무, 2003)에서 발췌했다.
=============================================================
- 학익진
"일자진에서 학익진으로 전환하는 수상 훈련은 더디게 진전되었다. 나의 함대가 도주하고 적의 함대가 따라올 때, 적을 적의 사정거리 경계점까지 유도해 놓고 갑자기 나의 함대를 거꾸로 돌려 공세로 바꾼다는 것은 힘들지만 가능한 일일 것이었다. 그때, 나의 모든 함대는 거꾸로 돌아선다. 선두는 후미가 되고 후미는 선두가 된다. 선두나 후미는 본래 없는 것이다. 선두는 후미가 되고 후미는 선두가 된다. 선두나 후미는 본래 없는 것이다. 선두는 돌아서서 후미가 되고 후미는 돌아서서 선두가 된다. 선두는 돌아서면서 양쪽으로 펼쳐 날개를 이룬다. 날개는 적을 멀리서 둘러싼다. 제2열과 제3열은 빠르게 나아가면서 양쪽으로 펼친다. 제2열은 오른쪽 날개에 제3열은 왼쪽 날개에 가세한다. 제4열 제5열 제6열은 양쪽 날개의 분기점으로 집중해서 중군(中軍)을이룬다. 중군은 새의 가슴이다. 새는 가슴 근육으로 날개를 움직인다. 대장선은 중군의 한가운데 위치한다. 제7열 이후는 중군의 뒤쪽을 받친다. 중군에서 양쪽 날개의 끝까지는 낮에는 깃발로, 밤에는 쇠나팔로 연결한다. 날개는 가볍고 빠르며, 중군은 무겁고 강력하다.
날개는 멀리서부터 적을 조인다. 적은 집중되고 나는 분산된다. 집중된 적은 분산된 나를 향해 쏜다. 적의 화력은 집중에서 분산으로 흩어진다. 분산된 나는 집중되 적을 향해 쏜다. 나의 화력은 분산에서 집중으로 모인다.
날개는 더욱 다가온다. 적의 화력은 전방위를 감당해야 한다. 나의 화력은 초점을 이룬다. 중군을 휘몰고 들어가 분산된 적을 부순다. 적은 전방위를 쏘고 나를 한 방위를 쏜다.
적은 계통을 잃는다. 적은 흩어진다. 흩어지면서 중군의 외곽을 우회하는 적들을, 제7열 이후가 다시 막아선다. 진은 거대한 새처럼 물 위에서 너울거린다. 너울거리면서 적을 가슴 깊이 품는다. 품어서 죽인다. 펼쳐서 가두고, 조여서 품고, 품어서 죽인다. 적을 품어서, 적의 안쪽에 숨어 있는 적의 죽음으로 적을 죽인다." (93~94쪽)
- 코기토
"나의 적은 전투 대형의 날개를 펼치고 눈보라처럼 휘몰아 달려드는 적의 집단성이기에 앞서, 저마다의 울음을 우는 적의 개별성이었다. 그러나 저마다의 울음을 우는 개별성의 울음과 개별성의 몸이 어째서 나의 칼로 베어 없애야 할 적이 되어야 하는 것인지를 나는 알 수 없었다. 적에게 물어보아도 적은 대답할 수 없을 것이었다." (113쪽)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