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IMF 구제금융 이후 우리 사회는 극단적인 양극화로 치닫고 있습니다. 굳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은 기존 소득계층을 유지하겠지만 중산층은 감소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아니라도. 팍팍한 살림살이에 동전회수율은 높아지는 반면 공항이용객은 해가 갈수록 늘어만 가는 것만 봐도. 80대 20을 넘어 90대 10으로까지 진행됐다는 얘기가 결코 빈말은 아닐 듯합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더 심화될 거란 우울한 전망만이 나오는 이유는, 맞습니다. 지난 20여년의 시간 속에서 체념되고 내면화된, ‘나만 잘살면 되는 겨’ 식의 삶이 너무나 보편화됐기 때문입니다. 경쟁, 아니 정확하게는 무한경쟁만이 사회를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라는 믿음이 맹신이 된 겁니다.
 
게다가 어느 도지사가 스스럼없이 내뱉는 말마따나 신분사회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어느 순간 절망으로 떨어지곤 합니다. “상류층의 부와 신분 대물림”이라는 게 고작 아이들 밥그릇 빼앗아 교육복지에 써서 될 거였다면. 지금껏 해왔던 그 많은 ‘서민복지’들은 다 뭐였단 말입니까.
 
2.
글쓴이는 경상도 단성현의 ‘호적대장’에서 발견한 한 인물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김홍발’이라는 이가 바로 그 사람인데요, 실은 ‘김홍발’보다는 그의 조부 ‘김수봉’이 이 책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김홍발’은 ‘김수봉’이 평민으로 신분상승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양반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지요.
 
다 알다시피 조선 시대는 신분제 사회였습니다. 왕을 최고 정점으로 양반과 중인, 평민, 천민으로 이루어지는 피라미드형 사회였던 겁니다. 책 제목과 부제에서 잘 드러나듯. 피라미드에서 가장 밑바닥이라고 할 노비였던 ‘김수봉’, 그리고 그의 자손들이 피라미드의 제일 윗부분인 양반으로 올라서기까지 과정을 추적한 것이 바로 이 책입니다.
 
대대로 주인 집안에 예속된 소유물로 신분적 억압을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생계를 보장받아야 했던 대부분의 다른 노비들과는 다른 삶을 이어갔던 ‘김수봉’과 그 후손들. 상공업이 발달하면서 급격히 신분제가 흔들리기 시작하던 때임을 감안해도. 그들이 거친 과정은 그야말로 ‘머나먼 여정’이었음이 틀림없을 터이고, 글쓴이는 그 긴 여정을 꼼꼼히 기록한 겁니다.
 
3.
‘개천에서 용났다.’는 말이 심심찮게 들리던 때가 있었습니다. ‘자수성가’라는 말도 흔하지 않았구요. 검정고시로 사법고시에 합격하고 대통령까지 됐던 사람도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요즘엔 개천에서 용은커녕 모 항공사 회항사건에서 보이듯 새로운 신분사회를 알리는 말과 행동이 스스럼없습니다.
 
반면 ‘가난은 대물림된다.’는 말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할 수 없다.’는 말도 복지 지출을 줄이려하는 정부를 옹호하는 데 쓰고 있구요. 물론 자기들이 하는 복지는 신분상승을 위한 ‘희망의 사다리’인 반면, 남들이 하고자하는 복지는 ‘포퓰리즘’이라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노비 ‘김수봉’과 그 후손들이 보여준 신분상승을 향한 의지와 오늘날 우리 젊은이들이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해 쌓는 ‘스펙’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책에는 조선 후기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들도 있지만 결국 노비에서 양반으로 올라선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면서 보자면, 어찌됐거나 ‘김수봉’에서 ‘김홍발’로 이어지는 어느 한 노비 가계(家系)는 결국 양반으로 신분상승을 이뤘지만. 한 집 건너 볼 수 있는 ‘장그래’들은 과연 ‘정규직’이라도 될 수 있는 걸까요. 어찌 보면 조선시대보다도 더 한 신분사회, 그 속에서 신분상승은 꿈도 못 꿀 일인 듯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4/14 10:19 2015/04/14 10:19
이제 보름 후면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꼭 1년이 됩니다. 그동안 우리는 참 많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참 많이 반성도 했고, 많은 다짐들도 했습니다. 다신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자, 진실을 반드시 밝히자, 말입니다. 하지만 되돌아보면. 그 수많은 눈물, 반성, 다짐들 어느 하나라도 진정 마음이 담겼었는지 의구심이 들게 되는 시간들이었지 싶습니다.
 
전 국민이 보는 가운데 닭똥 같은 눈물을 흘렸던 이는 선거가 끝나자마자 언제 그랬냐는 듯 유가족들 면담 요청에 경찰을 내세웠구요. 관피아다 모피아다 요란스레 굴었지만 결국 해경만 해체됐고 ‘박하산’은 여전하니까요. 곡기를 끊어가며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유가족들 앞에서는 치킨과 피자를 나눠먹으며 한껏 조롱을 일삼았고, 진실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미국 잠수함을 말하는 것이냐”며 또 ‘종북’ 타령이니 말입니다.
 
처음부터 세월호는 시간과의 싸움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배는 기울어 침몰하고 있지만 선원들만 구조하고 있었던 시간들. 대조기(大潮期)니 정조(停潮)니 하며 때만 기다렸던 시간들. 언제든 만나겠다던 말만 믿고 청와대 앞에서 밤을 지새웠던 시간들. 특별법을 제정하라며 안산에서 팽목항에서 무수히 걸었던 시간들 말입니다.
 
사백 명이 넘는 사람들이 어찌됐는지 알 수 없는 데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속 시원히 알 수 없는 시간들. 코앞에 닥친 선거를 위해 무슨 말이든 못하랴 싶게 연일 속없는 말들을 내뱉던 시간들. 이건 이래서 안 되고, 저건 저래서 안 된다며 속절없는 공방만 하는 그 시간들 말입니다.
 
유가족들이 다시 농성에 들어갔습니다. 이번엔 416시간 농성이랍니다. 세월호 특위를 무력화시킬 시행령을 즉각 철회하라는 겁니다. 하지만 여전히 청와대로 가는 길은 경찰에 막혀있습니다. ‘기레기’들은 철지난 철새들 마냥 보이지도 않고, 대통령은 그리 자주 해외에 나가면서도 청와대 밖으론 한 발짝도 벗어나려 하지 않습니다.
 
세월호는 분명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광화문 한복판에서 시작된 농성이 비록 416시간이라고는 하지만. 416일이 되더라도 아니 4년 1개월 6일이 되더라도 싸워야 합니다. 그래야만 왜 그들은 그렇게 죽어갈 수밖에 없었는지, 또 왜 우리는 그걸 지켜보기만 했는지 알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그때야만 비로소 수많았던 다짐, 약속, 눈물들이 진심이었음을 알 수 있을 테니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4/02 16:31 2015/04/02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