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일본은 협력 파트너” 윤 대통령 3·1절 기념사에 나뉜 언론 평가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23/03/02 08:39
  • 수정일
    2023/03/02 08:3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 기자명 윤유경 기자 
  •  
  •  입력 2023.03.02 07:40



한겨레 “현안 덮어두고 일본을 파트너로 띄운 윤 대통령”

조선일보 “한국 이제 과거사 싸움해야 하는 수준은 넘어선 나라”

김순덕 동아일보 대기자 “검찰 출신 대통령 주변 포진…언론 지적에도 대통령조차 문제라고 여기지 않아”

디지털콘텐츠 봄 개편 소식 전한 동아일보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가 도마 위에 올랐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제104주년 3·1절 기념사에서 일본 정부에 과거사 관련 전향적 태도를 촉구했던 역대 대통령들과는 달리 일본을 “협력하는 파트너”로 규정하며 대일협력을 강조했다.

한-일 협의가 진행 중인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윤 대통령은 “3·1절 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3면 사진 갈무리.

2일 주요 아침신문들은 1면에 윤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실었지만 평가는 달랐다. 윤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 진보언론은 중요한 현안은 덮어둔 일방적 저자세 대일외교라고 비판한 반면 보수언론은 ‘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3월2일 아침신문 1면 갈무리.

한겨레는 3면 기사 <일본 책임 묻긴커녕…“우리가 세계변화 준비 못해 국권 상실”>에서 윤 대통령이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한 것을 두고 “일제 식민지가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우리 내부 책임이란 주장으로 읽힌다”며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해 10월 페이스북을 통해 주장한 ‘조선은 안에서 썩어 문드러졌고, 그래서 망했다’는 과거사 인식을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 한겨레 3면 기사 갈무리.

<현안 덮어두고 일본을 파트너로 띄운 윤 대통령>라는 제목의 사설에서도 “균형감을 잃었다고 할 수밖에 없다”며 “하필 3·1절 기념식에서 아무런 대국민 사전 설명도 없이 갑자기 우리의 일방적 양보를 시사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내야 했는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아울러 “무엇보다 이날 메시지가 우리 정부의 저자세 대일 외교로 이어질까 걱정스럽다”며 “당장 양국 협의가 진행 중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서도 일본 쪽의 입지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향신문도 3면 정치면 주제를 ‘3·1절 기념사 논란’으로 정하고, <일본의 변화 요구 없이 “관계 개선”…일방적 저자세 비판>에서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보이지 않는 일본에 대해 일방적으로 협력 의지만 강조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며 “미래만 강조하면서 관계 개선을 위한 조건을 분명히 밝히지 않음으로써 반성 없는 일본 정부 측 손을 들어줬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과거사에 대한 반성 없는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3·1정신에 부합한다는 윤 대통령의 말은 궤변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 경향신문 3면 기사 갈무리.

사설에서는 “국가지도자로서 헌법 전문에 명시된 3·1운동의 의미를 제대로 새기고 있는지 의심케 하는 연설”이었다며 “주요 기념일의 연설은 지도자가 자신의 비전을 시민에게 설득력 있게 제시해 사회통합을 촉진하고 국정운영 동력을 만들어가는 기회가 된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다운 비전도, 리더십도 찾아보기 어려운 실망스러운 연설로 그 기회를 날려버렸다”고 했다.

반면, 보수언론의 해석은 달랐다. 조선일보는 4면 기사 <징용 협상·정상회담 고려…日에 ‘가해자’ 표현 안해>에서 “양국이 과거사를 직시하되 미래를 내다보고 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열어야 한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며 “양국 외교 당국 간에 진행 중인 강제징용 협상을 염두에 뒀다는 것”이라고 했다.

<한국 이제 과거사 싸움해야 하는 수준은 넘어선 나라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는 “과거 대통령들은 취임 후 첫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에 날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런 연설 뒤 한일 관계가 서먹해지고 과거사 문제도 더 꼬이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곤 했다”며 “과거에 매몰돼 관성적으로 일본을 때리는 것은 국가 이익을 해치고 전략적 선택지를 스스로 제약하는 일이다. 한국은 이제 과거로 논쟁하는 나라의 수준을 넘어섰다”고 했다.

▲ 조선일보 사설 갈무리.

윤 대통령의 기념사가 한일 정상회담 등 관계 개선을 촉진시켰다는 평가도 있었다. 동아일보는 6면 기사 <尹, 3·1절 ‘위안부-징용’ 언급 안해…이달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는 “한일 정부가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의 핵심 쟁점을 놓고 막바지 협의 중인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며 “윤 대통령이 일본과의 협력 의지를 드러내면서 한일 정상회담 등 관계 개선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고 했다.

▲ 동아일보 6면 기사 갈무리.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무엇보다 강제징용 등 한·일 현안 타결을 도모하는 시점이라 상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일본의 화답을 끌어내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고 했다. 이어 “한·일 관계 개선이라는 미명 아래 굴욕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며 비판한 더불어민주당을 두고 “야당이 국내 정치적 목적에서 이렇게 꼬집을 수는 있을 것”이라며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치 현실을 직시하면 지금은 가치를 공유하는 이웃 일본과 손을 잡아야 할 때란 지적이 다수”라고 했다.

▲ 중앙일보 사설 갈무리.

 

한겨레 “인사 참사 책임 안 진다는 한동훈, ‘무책임 정부’의 민낯”

 

국가수사본부장에 임명됐다 하루 만에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와 관련해 검증 실패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책임선상에 있는 공직자들의 무책임한 행태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인사 검증 실패하고도 밀실·비밀주의 고집하는 법무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법무부는) 정작 국회와 언론이 묻자 함구하며 비밀주의로 일관하고 있다. 이렇게 검증 절차와 내용이 불투명하니 인사 실패가 드러나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바뀌지도 않는 것”이라며 “온통 검찰 출신으로만 짜인 인사 라인부터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검증 시스템의 문제라며 인사 라인 개편엔 선을 긋고 있다”고 비판했다.

▲ 조선일보 사설 갈무리.

그러면서 “대통령실과 법무부는 인사 검증 개선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인사 검증 절차를 투명하게 밝혀야 잘못을 고칠 수 있다. 책임질 사람엔 책임을 묻고 검찰 일색의 인사 라인도 개편해야 한다”며 “막연히 시스템 문제라고 하면 인사 실패가 반복되는 것을 막기 힘들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검증 작업을 하고 있고 무엇이 부족했는지부터 법무부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일차적 인사검증 기구인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을 통솔하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지난 28일 ‘제가 정무적인 책임감을 느껴야 되는 것 아니겠나’라면서도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냐’는 기자들 질문엔 ‘아니다’라고 잘랐다”며 “말로는 책임감 운운하면서 실제 책임은 지지 않겠다니 국민을 우롱하는 건가”라고 비판했다.

▲ 한겨레 사설 갈무리.

아울러 한 장관이 “구조적으로 지금 (인사검증) 시스템이 걸러지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서 제도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한 것을 두고 “권한 집중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법무부에 대규모 인사정보관리단을 만들더니 이제 와서 구조적 문제니 시스템 결함이니 핑계를 대는 게 부끄럽지도 않은 모양”이라며 “인사정보관리단은 거꾸로 국회와 언론의 질문에 일체 답변을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책임 정치’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정부다. 국민보다 대통령 측근이나 검사 출신 공직자들을 우선시하는 게 아니고서는 설명되지 않는 국정 행태”라며 “이런 ‘끼리끼리 국정’을 고집하면, 갈수록 더욱 큰 국민적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순덕 동아일보 대기자도 ‘김순덕 칼럼’에서 “국민이 검폭에 받은 충격은 너무나 큰데도 대통령실에서도, 법무부에서도 책임진다는 사람 하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검찰 출신들이 대통령 주변에 포진하고 있다. 좌우 불문 언론이 아무리 지적해도 대통령조차 문제라고 여기지 않으니 시정이 될 리 없다”며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들은 ‘책임정치’를 하는 나라들이다. 그 나라들과 연대 협력하기 위해서라도 책임질 검찰 출신들은 책임을 져야만 한다”고 했다.

▲ 동아일보 김순덕 칼럼 갈무리.

 

디지털콘텐츠 봄 개편 소식 전한 동아일보

 

동아일보가 디지털콘텐츠 봄 개편 소식을 전했다. 동아미디어그룹(DAMG)의 분야별 대표 콘텐츠 12개를 새롭게 선보인다. 낮 12시를 전후한 웰빙존에 취미와 여가생활을 위한 콘텐츠가 늘어나고, 주말에는 육아와 연예 콘텐츠가 추가된다.

▲ 동아일보 2면 기사 갈무리.

동아일보는 2면 기사 <뉴욕人-연예위키-부동산 빨간펜… 풍성해진 동아 디지털콘텐츠>에서 “스포츠와 과학, 게임, 연예까지…동아미디어그룹의 내로라하는 전문기자들이 ‘어벤저스’처럼 모인다”며 “야구 경기 없어 허전한 월요일엔 스포츠동아 강산 기자의 ‘스퀴즈번트’가, 축구 경기 없어 헛헛한 화요일엔 스포츠동아 남장현 기자의 ‘풋볼빅이슈’가 있다. ‘이 주변의 연예박사’를 원한다면 금요일 ‘이승미의 연예위키’를, ‘좀 아는 자동차 덕후’를 만나고 싶다면 수요일 ‘원성열의 카이슈’를 찾으면 된다”고 소개했다.

과학전문지 동아사이언스 신수빈 기자가 풀어주는 과학 ‘씨즈 더 퓨처’, 게임동아 조영준 기자의 ‘게임인더스트리’, IT동아의 ‘이럴 땐 이렇게’ 코너 등은 과학, 게임, IT 소식을 전한다. ‘김현수의 뉴욕人’에서는 김현수 뉴욕특파원이 한 달에 두 번씩 뉴욕인들을 소개하고, 네 아이 엄마인 이미지 기자가 ‘포에버 육아’에서 육아 노하우를 소개한다.

이밖에도, 동아일보 부동산 담당 기자들이 부동산 정책부터 청약, 상업용 부동산, 재개발·재건축 등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설명해주는 ‘부동산 빨간펜’, 대장동 이슈를 비롯한 법조계 현안을 치밀하게 분석하는 ‘법조 Zoom In’, AI와 데이터로 세상을 분석하는 ‘서영빈의 데이터경제’ 등 다양한 콘텐츠들을 만나볼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