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글 -1

*

초등학교 때, 아마 4학년쯤, '조깅'의 '조'가 '아침 조'라는 한자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왜 '석깅'이라는 말은 없을까 궁금했던 적 있다. 그때는 생소한 말들은 거의 한자말이라고 생각했나 보다. '깅'이 뭐라고 생각했는지, 생각이나 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

주거권 기사를 준비하면서 쪽방에서 사는 분을 한차례 더 만났다. "인권운동사랑방이라는 단체에서 나왔다"는 말을 하는데 이 분이 말을 못 들으셨다. '인권'이라는 말 자체가 생소한 말인 탓에, 못 알아들었다기보다는 차라리, 못 들으셨다. 사람의 당연한 권리를 짓눌러온 사회 때문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쓰는 말이 어때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사회를 바꾸는 것과 따로 갈 수 없음이 분명해졌다. "인권이 민중의 언어가 되"도록 하려면.



를 들춰보고 있다. 연수과정으로 인권하루소식 기사를 쓰게 돼서 그런지 더욱 신경이 쓰인다. 몇 년 전 우리글 바로쓰기를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거린 적이 많은데 글을 쓸 때마다 글매무새에 신경을 쓰기란 쉽지 않다. 이오덕 선생이 지적하는 글들을 보면 어색한데 막상 내가 쓰는 글에서는 비슷한 단어나 문장을 봐도 어색함을 느끼지 못한다.

이오덕 선생의 우리말에 대한 애틋함을 충분히 공감하지는 못한다. 이오덕 선생이 주장하는 내용들이 더 어색해보이는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도 우리말을 아껴야 하는 이유를 겨레의 혼에서 찾는 것은 간절히 와닿지 않는다.

하지만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시골의 할아버지 할머니와 나눌 수 있는 글을 써야 한다는 주장만은 늘 새기려고 노력한다. 글로 뭘 해보겠다는 생각을 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문자의 힘'을 빌어 여기까지 왔다는-학벌이든 사회적 지위든- 사실에 좀더 책임을 느껴야 하지 않을까 싶은 것. 그리고 앞으로 '글'로 말해야 하는 때가 온다면 그 말을 들어줄 사람이 누구여야 하는지를 항상 기억하고 싶은 것.

 

책을 읽다가 이오덕 선생이 지적하는 부분들을 써보기로 했다. 글에 대한 글이니만큼 쓰면서 읽으면 조금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듯해 가끔 책의 내용을 옮길 계획이다.

이오덕 선생이 말한 대로 '반드시' 써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단어 하나하나보다는 흐름이 중요할 테니 말이다. 하지만 바꾸려고 생각만 하면 충분히 떠오르는 말들이고 쉽게 바꿀 수 있다. 너무 익숙해져서 바꿔볼까 하는 생각이 쉽게 들지 않는 것이 문제다.

 

1-신문과 방송으로 자주 보고 듣고 하는 잘못된 중국글자말

 

-에 의하여 -> (내용에 따라 알맞은 말로) 따라서,  때문에, -에서, -으로, -에, 아주 다른 말로 바꿔쓰거나

 

시도하다 ; 중재를 시도했으나->중재를 하려 했으나, 그런 방법을 시도햇으나->그런 방법을 써왔으나, 제휴 시도->손잡으려고 해, 슈팅을 시도하자->공을 차넣자

 

기도하다 ; 자살을 기도했던->자살하려 했던, 은폐 기도->숨기려 해

 

돌입->들어가, 시작, 나서

시사->비쳐

고조->높아져, 한창

위치하다->있다

일조하다->도움되다

발발하다->터지다, 일어나다

미소->웃음

발족->시작, 출발, 생겨나

무산->깨져, 못해, 못 열어

수수->주고받다

수순->차례, 절차

살해->죽여

향후->앞으로, 다음

현안->문제, 걸린 문제

조우, 해후->만나다

전망된다->내다보인다

접하다->만나다, 듣다, 보다

석권->휩쓸다

지분->몫

역할->노릇, 일

속속->잇달아, 연달아

이견->생각 달라, 견해 달라

입장->처지, 태도

용의->생각, 준비

종용->권유, 권고, 시킴

차치하고라도->그만두고라도, 제쳐두고라도

가능성->할 수, 될 수

가능한 한->될 수 있는 대로

가능성도 배제 못해->할 수도, 할 듯해, 해

불가능하다->할 수 없다

그 귀추가 주목된다->그것이 어찌될지 주목된다. 그것이 어찌될지 관심거리다

박차를 가하고->힘을 들이고, 서두르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5/19 15:12 2005/05/19 15:12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aumilieu/trackback/252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뎡야 2005/05/19 15:16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헉 너무 많다-_-!! 게다가 귀추가 주목된다는 말은 내가 좋아하는 말!!
    -ㅅ-

  2. 미류 2005/05/19 15:22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ㅎㅎ 뎡야가 앞으로 그 말을 어떻게 할 지 '귀추가 주목'되는군요. -ㅅ- (뎡야가 그 말을 계속 좋아할지 관심거리네요? 쬐끔... 어색하네요. ^^;;)

  3. dalgun 2005/05/19 16:24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음 대체 할 말을 보니까. 정말 내가 말을 왜 이렇게 어렵게 쓰는지 알것 같아요.-_- 우리겨례의 혼이 근거 라는 건 저도 마음이 동하지 않아요. 백기완선생님이 말씀할때도 그렇구. 근데. 변혁이 나네다 라고 할때는 정말 멋지다고 생각했어요. 말에 뜻이 생기잖아요. :) 언땅을 뚫고 나오는 싹이라니.시어같아요. 그래서 나네 인가? 싹이나네~? 음 이상하군.ㅎㅎ
    미류님 관심가지고 볼테니까 종종 올려주세요 ^^

  4. rivermi 2005/05/19 17:20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저도 요즘 말을 아끼고 단어를 신중히 골라 써야겠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예요. 왜냐면 나이들수록 세상풍파?에 찌들며 말과 얼굴이 점점 닮아가기때문에 말은 곧 그사람이다라는 생각으루다가..
    미류님의 포스팅이 그래서 더 신기하고 소중하네요^^ 나두 달군님말에 99%동의~ 종종이 아니라 자주자주^^;;

  5. hi 2005/05/19 21:15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저는 "석깅"이 아니라 "야깅"을 하던 버릇이 있어서요... ㅋ
    거의 제가 쓰는 말이 죄다 중국글자말이었군요. ㅠㅠ
    근데, 우리말 쓰기라는 것이 옛말글을 되살리자라는 뜻인지 종종 헷갈리더군요. 위에 "미소 -> 웃음"이라고 되어 있는데, 폭소나 대소도 다 웃음이잖아요. 그럼 큰 웃음, 소리나는 웃음, 뭐 이렇게 해야하는지... 좀 억지를 부려봤습니다 ^^;;;

  6. 미류 2005/05/20 11:30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오우, 이건 또 웬 시츄에이션~? 갑자기 새로운 기획이 마구 떠오르는군요. ㅎㅎ 하지만 아마 예닐곱번 정도 올리면 끝날 꺼예요. ^^;;

    달군, 예부터 쓰던 순우리말에 관심있으면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이라는 책 한번 사보세요. 고운 말들이 참 많아요. 우리가 흔히 쓰는 말들과는 확실히 느낌이 달라요. 어쩌면 겨레의 혼은 없지만 땅에서 살아온 민중들의 혼이라는 게 있는 것도 같아요. 책은 전에 '네굽질'이라는 포스트에서 잠깐 소개한 적 있어요. ^^

  7. 미류 2005/05/20 11:41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미갱, 말과 얼굴이 점점 닮아간다는 거, 정말 맞는 말인 것 같아요. 하지만... 종종~ 죄송 ^^;; (혹시 궁금하시면 이오덕 선생이 쓰신 '우리글 바로쓰기 1' 을 함 보세요. 굳이 살 필요는 없는데... 보신다면 빌려드릴께요. ㅎ)

    행인, 야깅? ㅋ 이오덕 선생은 옛말글을 되살리자는 방향이라기보다는 우리말을 중국말처럼, 일본말처럼, 영어처럼 쓰지 말자는 쪽으로 많이 이야기하시죠. 미소를 웃음으로 바꾸는 게 핵심이라기보다는, 미소라는 말을 쓰면 '미소를 짓다'처럼 말할 때 쓰지 않는 표현이 된다는 거예요. 그러니 크게 웃다, 소리내어 웃다, 살포시 웃다, 이런 식으로 쓰자는 거죠.
    근데 고운 우리말을 찾아서 쓰는 것도 필요한 일인 듯해요.

  8. 산오리 2005/05/20 18:50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한자말에는 한자말이 어울리는 거 같죠?
    회의가 무산되었다.-> 회의가 깨졌다. -> 사람들 모임이 깨졌다.
    앞의 다른 명사들도 다 바꿔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아요..

  9. 미류 2005/05/20 20:54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맞아요. 그러다보니 한자말을 많이 쓰게 되는 것 같고... 한자말을 쓰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사실 옛부터 한자말을 빌어 말을 하고 글을 써왔으니까요. 근데 자꾸 어려운 한자말, 새로운 한자말들이 만들어져서 사용하는 단어 자체가 계층을 구분하는 효과가 생기는 것 같아요. 근데 정말 쉽지는 않아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