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민둥산에 가다.

지난 토요일, 난 갑자기 정선엘 갔다.

원래 아내가 지역 여성 당원들과 오붓하게 다녀오기로 했는데, 한 분이 갈 수 없어 아이가 있는 사무국장이 혼자 내내 운전을 할 수 없어 급히 날 끼워준 것이다.

어쨌든 난 고마운 마음(?)으로 따라나섰다.


교통방송은 이천 - 여주 구간이 정체라고 한다. 난 일죽에서 장호원 - 목계 - 제천 - 영월 - 증산 코스를 택했다.

 


 민둥산 입구에 찍은 가족사진 - 성연이 숙제에 쓰도록 가족사진을 많이 찍자고 했지만, 실제는 그러지도 못했다.



장호원을 지나고, 목계가 가까워지면서 멀리 강 건너 내가 태어난 고향동네가 보이기도 한다. 장호원부터는 새로 난 4차선 도로가 거의 고속도로 수준이다. 천둥산 밑 산척까지는 신호등조차 없다. 남한강 위로 높다란 다리가 생겼고, 그 밑은 깊은 강물인 두무소이고 야트막한 동산 너머가 엄마가 태어난 마을이다. 성연이와 아내와 난 이 길로 여러 번 와봤었기에


‘저기가 아빠 고향이야.’

‘맞네, 인다락.’

‘언니, 인다락이라는 이름 예쁘지? 사람 人, 많을 多, 즐거울 樂.’

‘그런데 정말 사람들 많아?’


좋다.


내내 푸른 산빛이 천둥산에서 비로소 단풍빛으로 변한다.

천둥산에도 터널이 뚫려 제천 봉양까지는 금새다. 예전에 터널이 생기기 전 산 위에서 한눈에 들어오는 충주분지가 시원하기도 했고, 백운면 골짜기를 돌아가는 길이 정겹기도 했는데, 지금은 너무나 빠르게 지난다.


제천에서 영월을 지나다는 길도 4차선으로 새로 났고, 고속도로 못잖은 시설이다. 서강을 지나고 동강을 지난다. 4차선 자동차전용도로로 휙 지난다는 게 이럴 땐 안타깝기도 하다.


신동읍 못 미쳐 전용도로는 끝난다. 아직 이곳은 공사 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에는 온통 단풍으로 한창 타오르고 있었다. 마지막 고개인 마차재를 지나면서 증산으로 가는 길은 협곡을 따라간다. 물은 탁하지만 계급은 더없이 아름답다.

 


  민둥산 입구에 있는 들국화 꽃다지

 

증산의 민둥산 입구에는 대형 주차장이 있고, 차들이 참 많이 와 있다. 유명한 억새밭을 보기 위해서 모여든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게다. 우리는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올라가겠다고 차를 몰고 산 쪽으로 올라갔다. 밭 옆에 주차하고 오르는 길은 아무래도 정상적인 등산로 같지 않다.


곧바로 험한 절벽이 나타나고, 사무국장은 어린 상유 때문에 밑에서 있겠다고 한다. 올해 급격히 체력이 떨어진 난 산에 오르기 힘들다. 팻말대로라면 정상까지는 5KM라고 한다.


‘성연아. 조금만 올라갔다 올까?’

‘안 돼. 끝까지 가야 돼!’

 


 장난에 정신이 없는 성연이

 

짜식. 답지 않게 단호하다. 그러나 200M도 채 가기 전에 성연이는 ‘조금만 올라갔다 오자’고 말을 바꾼다.


‘너 끝까지 가자고 했잖아?’

‘내가 언제 그랬어.’

 

역시 정치인 소질이 보이는 성연이다. 말을 바꾸는 것도, 시침이 떼는 것도, 그러면서 하나도 거리낌 없이 당당한 것도 하나같이 자질이 보인다.

 

  아내와 성연이

 

그래도 민둥산에 왔으니 억새밭은 구경하고 가야겠지. 처음에 힘들어하던 아내는 갈수록 힘이 난다고 한다.


절반을 지나면서 시야가 트인다. 멀리 보이는 봉우리에는 쌓인 눈이 보이고, 단풍이 한창인 산들이 보인다. 눈을 밑으로 돌리면 민둥산 중턱에 넓은 밭들이 있는데, 이는 석회암지대 특유의 지형인 돌리네(침식으로 움푹 꺼진 땅)이다.

 

  민둥산에서 바라본 주변 산들

 

  발구덕 마을 돌리네 - 고랭지 채소 단지로 쓰이는 것 같다.

 

  돌리네를 배경으로 한 아내와 성연이

 

성연이는 여기서부터 시야에 보이지 않을 만큼 앞서갔다. 산이 낮아지고, 나무들이 듬성듬성 나면서 반대로 억새가 늘어갔다. 정상이 가까워지고 있다. 이윽고 억새만 펼쳐진 초지가 나타나고, 조그마한 봉우리에 오르니 민둥산 정상까지 이어진 넓은 억새밭이 나타난다.

 

철이 조금 지나 이미 져버린 억새도 있었고, 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윤기를 잃어 기대한 ‘흰색’ 천지는 회색빛으로 바래 있었다. 그래도 넓은 억새밭은 시원한 눈맛을 주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회색빛이 감도는 억새도 빛을 바라보고 역광으로 보면 신기하게 흰빛 천지가 되기도 했다.

 


  성연이가 찍어준 사진 - 아내와 나, 성연이는 장난기 때문인지 실력 때문인지 내 머리를 잘라놨다.

 

성연이는 지금도 민둥산을 떠올리며 「밀과 보리」라는 노래를 흥얼거린다. ‘왜 그 노래가 생각나?’ 하고 물어보니 ‘밀과 보리하고 많이 닮았잖아.’ 하고 답한다. 그러고 보니 닮은 것도 같다. 난 성연이에게 노래를 불러보라고 했다.


밀과 보리가 자라네.

밀과 보리가 자라네.

밀과 보리가 자라는 건 누구든지 알지요.

...

 

  민둥산 능선에서 찍은 아내

 

  나도 모처럼 아내 덕에 사진 한장을 찍었다.


 

정상에 다가서니 억새밭은 멀리 지억산까지 이어져 있었다. 밑으로 골짜기마다 밭이 있고, 집이 있다. 지금은 예쁘고, 고랭지 채소 등으로 소득이 높겠지만, 예전에는 얼마나 살기 막막했을까.


억새밭으로 난 길은 부드러운 고무처럼 탄력있고, 부드러웠다. 오랫동안 퇴적된 억새풀이 거름이 되어 섞여서인 것 같았다. 내려오면서 성연이는 장난기가 또 나타난다. 올라오는 사람들을 보면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되요.’

‘응, 고맙다.’

‘그렇다고 아주 조금이라고 생각하면 안 돼요.’

‘하하하...’

 

  정상에 벌러덩 널부러진 성연이

 

우리는 구절리에 가서 민박을 하기로 했다.

증산에서 정선읍으로 가는 길은 가는 곳마다 절경이다. 읍내에서 저녁을 먹고나지 늦가을 짧은 해는 이미 지고 난 다음이었다. 구절리엔 사람이 넘쳐났고, 간신히 자리 잡은 민박은 수리 중으로 허름했지만 넓고, 더구나 주인 내외가 너무나 여유로워보였고, 실제로도 우리가 편히 쉴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했다. 민박집 이름은 「언덕 위의 하얀집」으로 구절리 우체국 뒤편, 교회당 옆에 있다.


아침에 민박집 창문을 여니 알맞게 단풍든 뒷산이 옅은 가을안개에 쌓여있다. 멋있다.

집을 나서는 우리에게 주인장은 맞은 편 골짜기에 있는 오장폭포에 가보란다. 달리 뚜렷한 계획도 없는 우리는 그곳으로 갔다. 폭포는 높이가 100M도 더 돼 보인다.

  오장폭포 새김돌 앞에서 찍은 가족사진. 옆에 사무국장의 아들 상유도 보인다.


우리는 진부 쪽으로 길을 잡았다. 사무국장이 언젠가 사고 싶다는 땅을 보자고 했는데, 진부로 향하는 오대천 계곡은 또한 절경이었다. 우리는 숙암마을에서 잠깐 물가에서 쉬다가 ‘이왕 땅을 볼 거면 골짜기로 더 들어가 보자.’며 옆에 있는 담임계곡으로 향했다. 별 기대 없이 들어선 계곡이었지만 입구부터 너무나 아름다워 일행의 탄성이 끊이지 않았다. 비포장도로라 길은 좋은 편이 아니었지만, 맑은 계곡과 윤기 가득한 단풍잎들이 황홀경을 이루고 있었다. - 사진을 못 찍은 게 아쉽다.


계곡을 들어가다 보니 예전에 TV에도 소개된 부부가 나무를 끌고 있다. 우리는 혹시 좋은 땅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는 깨졌지만 뜻하지 않은 경치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