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닫힌 문에 연연하지 않고 새로운 출구를 내가 만들면 돼

 
소년 아란타로 가다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설흔 (생각과느낌, 2008년)
상세보기

이금이와는 다른 성장 소설 한 편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 지은이인 설흔은 앞서 내가 강추했던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 글이 쉽게, 청소년을 위한 책답게 쓰여져 있다. 역사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역사를 연표로 알기보다는 삶의 현장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더욱 재밌게 읽을 만한 책이라 생각한다.

일본으로 가는 통신사의 얘기를 소설적 재미에 역사적 사실을 더해 재밌게 쓰고 있다. 소년이 통신사 행렬에 따르게 되면서 소년이 겪는 정신적 성장을 말하는 듯하면서도, 당대 소년과도 같던 조선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 깊이가 있다거나 문학적 성취보다는 '삶의 태도'에 이 소설은 촛점을 맞추고 있다. 새로움을 향하는 문을 열어달라고 '두들기기'만하는 소극적 태도가 아닌 닫힌 문을 '부수는' 적극적 태도를 얘기한다. 파괴의 적극성을 소설의 끝에서 소년의 선택을 통해 '새로운 문을 만드는 '창조적 적극성'으로 이 소설을 갈무리한다. 이러한 옮아감이 조선이 갔어야 하는 아쉬움에 대한 작가의 표현이기도 하겠지만, 작가의 의도만큼의 역사적 성찰과 깊이가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다만 성장통을 이겨가는 경로를 주어진 것-여기서는 '닫힌 문'으로 표현하고 있다.-에 대한 소극적 태도와 적극적 태도의 극복은 새로운 경로의 설정-문을 만드는 것-으로 제시하는 갈무리는 계속 성장을 바라는 어른의 입장에서도 새겨들을 만하다. 닫힌 문 앞에서 서성일 필요없이 새로운 문을 향하는 용기, 여전히 매력적인 삶의 길이지 않나 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