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평화회의'(평화회의)가 18일 오후 조계사 한국역사문화기념관에서 창립보고대회를 열어 공식 출범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남북평화회의'(평화회의)가 18일 오후 조계사 한국역사문화기념관에서 창립보고대회를 열어 공식 출범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격변의 다극화시대로 접어든 역사적 대전환기에 한반도 긴장 심화와 전쟁 위험 고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남북이 더불어 잘 사는 새로운 번영의 시대를 열어 나가기 위해서는 한반도 평화가 먼저 확립되어야 하며, 국익 중심의 외교를 바탕으로 평화주권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하는 사회 원로들이 새로운 통일평화단체를 출범시켰다.

'한반도 통일'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지상과제이며, 자주·자립의 정신에 입각한 실용외교로 남북대화의 전환점을 마련하자는 결의도 함께 담겨있다.

지난 2월 26일 천도교 수운회관에서 창립대회를 개최한 '남북평화회의'(평화회의)가 18일 오후 조계사 한국역사문화기념관에서 창립보고대회를 열어 공식 출범했다.

상임대표는 △이해학 겨레살림공동체 이사장 △김삼열 독립유공자유족회 회장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 △강창일 전 주일대사 △김성곤 (사)평화 이사장 △김충환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효림 경원사 주지 △도천수 시민의시대 상임대표 △김태일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선출됐다.

이해학 상임대표단 의장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이해학 상임대표단 의장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이해학 상임대표단 의장은 "통일이 가까이 왔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의 방식을 포기하고 바꿔야 한다"며, 새로운 모색을 강조했다.

"전쟁은 끝났다는 종전선언을 하고, 남과 북이 서로 침략하지 않겠다는 평화선언을 하며, 주변세력이 아무리 반대하더라도 힘을 합쳐 중립국 선언을 하면 그들은 우리의 손을 잡기 위해 달려들 것"이라며, "이제 우리는 국가의 주인, 민족의 주인으로 우리를 우뚝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평화회의는 주요 활동방향 및 목표로 △남북신뢰회복 △새로운 남북공동체 구현 △동북아평화 △한반도 평화 기반조성 △남남대화를, 구체적인 사업계획으로는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사업재개 △남북공동선언 국회비준 △군사훈련 축소 및 신뢰구축 △홍익인간·이화세계 이념 연구 △남북경제연합, 국가연합 등 통일과정 연구 △다극화시대 경제협력 모델 연구 △국제기구를 활용한 남북협력프로젝트 개발 △DMZ에 국제평화기구 유치 △이산가족찾기 등 인도적 협력 강화 △남북스포츠교류 및 단일팀 구성 △지속가능한 남북관계를 위한 남남대화와 협력 △통일 저변 확대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등을 제시했다.

평화회의 상임대표 및 공동대표단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