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동영 신당? N분의 1 참여일 뿐"

김세균 "정동영 신당? N분의 1 참여일 뿐"

[인터뷰]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

 

 

 
새정치민주연합이 애물단지다. 박근혜 정부에 대한 분노만큼이나 새정치연합에 대한 냉소도 짙다. 제1야당이 당면한 현실이 이렇다보니 야권 지형은 늘 불안정하다. 저변 확대를 위한 중도화를 주창하는 이도 있고, 분명한 진보·개혁 세력으로서의 위상 재정립을 주문하는 이도 있다. 모두 새정치연합의 틀을 유지한 해법이다.
 
그런가 하면 '외부 충격'이 차라리 더 현실적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최근 '새로운 진보적 대중 정당'을 들고 나선 '국민모임' 얘기다. 과거 '외부충격론'을 강조하며 추진했던 안철수 의원의 '제3신당'과도 다르다. 안철수 신당이 기존 양당의 존재를 인정하며 중도보수의 틈새를 파고드는 다당제 구도를 지향한 반면, 국민모임은 진보-보수 양당체제를 지향한다. 새정치연합은 이들에게 소멸 대상이다. 그만큼 급진적인 야권 재편을 도모한다.
 
19일 만난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서울대 명예교수)는 "새정치연합 내 혁신은 불가능하다"고 거듭 단언했다. "새정치연합 내 좌파는 당내 '우파를 즐겁게 해주는 좌파'에 불과하다"면서 '어쨌거나 함께한다'는 새정치연합 식 "폼잡기가 외려 문제"라고 짚었다.  
 
그는 "진보 정당이 살길은 시장 만능주의로 누적된 대중의 진보적 열망을 키워가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과거와 같은 민주-반민주 구도가 아닌, 신자유주의에 대한 입장과 태도를 기준으로 진보-보수가 구분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 관점에서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계승·발전된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정동영 전 의원 등 거물급 정치인의 참여에 대해선 "N분의 1로 참여하는 것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기성 정치인의 참여보다 중요한 것은 젊은 신인을 발굴하는 것"이라는 게 김 대표의 생각. '새 인물'과 '진보적 강령'으로 승부를 걸겠단 얘기다.  
 
현실은 녹록해보이지 않는다. 김 대표는 4월 전에 창당 작업을 완료할 계획이 아니라고 했다. 당초 국민모임은 4월 재보선에서 3곳에 모두 후보를 내겠다는 방침을 밝혔었다. 그러나 수도권 선거의 복잡성 등을 감안, 김 교수는 새정치연합의 지지기반인 광주 서구을에 우선적으로 집중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선명한 진보 정체성의 깃발만 높이 들었을 뿐, 돈과 조직, 인물로 구체화되는 창당 작업과 선거 대응의 현실적인 조건들도 빈약해보인다. 좋은 의도가 반드시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자칫 실패할 경우 진보 세력 전반에대한 냉소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얘기다.  
 
김 교수의 나이 올해 68세(1947년 생). "10년만 젊었어도 펄펄 날아다닐 텐데"라며 멋적게 웃었다. 2004년 총선에서 전성기를 맞았던 진보정당 운동이 10년 간의 쇠락 끝에 노학자를 정치 일선에 불러낸 셈이다. 이른바 '현실 정치'와 진보진영이 처한 조건으로 '국민행동'의 정치 실험을 폄하하긴 쉽다. 그러나 분노하지 않고 꿈꾸지 않는 '낡은 진보'에게 칠순을 앞둔 진보학자의 '결행'은 그 자체로 성찰의 질료다.
 
다음은 지난 19일 만난 김 대표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편집자 
 
▲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서울대 명예교수). ⓒ프레시안(최형락)

▲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서울대 명예교수). ⓒ프레시안(최형락)  

 
 
"중도자유주의 정당, 왜 필요한가…보수-진보 구도로 재편돼야" 
 
프레시안 : 일평생 진보 학자로 진보 운동에 매진했지만 창당 주도 작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세균 : 마음이 무겁다. 책임이 무겁다. 최소 60세 이상은 마음은 젊더라도 후견인 역할을 하고 다양한 젊은 사람들을 앞세워서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미래의 정당 되기 위해선 청년들이 많이 들어와야 한다. 일단 우리는 산파 역할이다. 신당추진위 경우도 공동대표로 나와 이수호 전 민주노총 위원장, 신학철 화백이 하고 하고 있지만 실질도 그렇고 내부에서도 위원장이나 이런 위치에는 젊은 사람들이 맡도록 바꾸려고 한다. 물론 나이 든 선배들이 자기들의 경험을 돌이켜보면서 후배들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주는 역할도 중요하다.
 
프레시안 : 세월호 참사를 겪으며 국민모임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안다. 정부의 무능이 참사의 본질인데 왜 새정치연합 비판에 포커스를 두게 됐나? 
 
김세균 : 지금의 새정치연합은 야당이라기보다는 제2 여당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측면이 강하다. 130명이나 있는 거대 정당임에도 역사상 가장 취약한 정치력을 가진 야당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세월호특별법 1차 협상, 2차 협상을 지켜본 많은 이들이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을 향한 분노 이상으로 새정치연합에 대한 실망감을 느꼈다. 세월호 광화문 농성장에 많은 인사가 자발적으로 모였는데 그 중에선 새정치연합 ‘해체 투쟁’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격분도 나왔었다.  
 
새정치연합과 같은 중도자유주의 정당이 보수와 진보 사이에서 제2 정당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나 하는 회의가 든다. 새정치연합은 과거 독재정권 시절 형성된 민주-반민주 대립 구도 속에서 만들어진 당이다. 그런데 오늘날 대립 구도의 본질은 민주-반민주가 아니다. 시장 만능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입장에서 보수와 진보가 갈린다. 쉽게 말해 신자유주의를 지지하면 보수이고, 신자유주의와 결별하자고 하면 진보다. 
 
지금 저 자유주의 정당(새정치연합)은 신자유주의를 적극 밀어붙였던 세력이지 않나. 신자유주의 체제로의 한국 사회 재편이란 관점에서 보면,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단절된 게 아니라 계승·발전된 정권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새정치연합도 이명박 박근혜에 반대하는 야당 역할을 하려다 보니 신자유주의를 견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불투명한 노선과 정체성 문제는 여기서 생겼다. 
 
한편으로는 통진당 사태로 패권주의와 종북주의 문제가 드러난 이후 한국 진보정치도 하나의 역사가 끝났다고 본다. 우리사회에 닥친 객관적 상황은 어느 때보다 진보 정치가 활성화돼야 한다. 그러나 가장 최저점에 떨어져 있다. 세월호 참사 때 나타났던 여러 진보적 열망을 모아서 새로운 진보정치의 활로를 개척할 수 있지 않겠나 하는 생각을 했다.  
 
분열된 진보정치를 재통합하려는 노력도 실패했고, 자주파 또는 엔엘(NL) 주도의 진보 운동은 아예 파산한 상태다. 평등파에도 문제가 없다는 건 아니지만 주도 세력이 자주파였던 만큼 이들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다. 2000년 창당 후 때때로 민주당보다 더 높은 지지율을 보이던 민주노동당은 당내 주도 세력인 NL의 패권 문제로 내분이 계속됐다. 여기에 종북 논란까지 겹치며 스스로 파산한 셈이다. 파산은 해산을 결정한 헌법재판소가 내린 결정이 아니다. 그 전에 이미 파산 상태였다.  
 
"새정치연합 내 좌파는 '우파를 즐겁게 해주는 좌파'일 뿐" 
 
프레시안 : 신당 창당보다는 기존의 야당 개혁이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김세균 : 새정치연합 내에서의 혁신은 불가능하다. 이미 지난 역사가 이를 증명한다. 보편적 복지와 같은 진보적 강령을 얘기하는 이인영 당 대표 후보 등 김근태 계열도 혁신 동력이 될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당내 개혁'을 말하며 정동영 전 의원의 탈당을 비판했지만, 과거 '새 기풍'을 말하며 민주당에 들어갔던 386세대의 문제의식도 애초와는 많이 달라졌다. 안보는 보수, 경제는 중도, 사회정책은 진보란 식의 '잡탕'을 내놓고 있을 뿐이다. 이런 새정치연합 내 좌파는 '우파를 즐겁게 하는 좌파'에 불과하다. 우파 입장에선 '이런 사람과도 함께하고 있다'는 폼을 잡을 수 있게 해주는 좌파다.  
 
이젠 새정치연합 내 보수 블록과 진보 블록이 양분되는 게 맞지 않나. 당내엔 정동영 전 의원처럼 신자유주의와 결별해야 한다는 이들도 있고, 새누리당과 사상적으로 거의 비슷한 인사도 있다. 그런데 제1야당으로서 가진 기득권과 계파 이해, 친소 관계 등에 얽혀 스스로 당을 해체할 능력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외부에서 강력한 신당이 출현해 새정치연합에 엄청난 충격파를 가하는 게 차라리 현실적이다. 그래야 '이러다간 우리가 무너지겠다'는 구체적 위협을 느낄 것이다.  
 
영국에선 과거 보수당-자유당 양당 체제였다가 노동당이 생겨났고, 그 노동당이 자유당을 대체 해 보수당-노동당 양당 체제 속에서 집권도 했다. 우리 또한 진보적 신당이 올라와 새정치연합을 대체하는 영국 모델로 갔으면 한다. 국민모임의 신당은 제3당이 되고 마는 것이 아닌 제1야당을 목표로 한다. 더 나아가 이에 기초해 수권 능력을 키워 정권교체도 할 수 있는 정당으로 키워보려고 한다.  
 
"기존 진보정치 세력에도 재편 동력 없어" 
 
▲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 ⓒ프레시안(최형락)

▲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 ⓒ프레시안(최형락)  

프레시안 :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촉구'하다가 지금은 신당 추진의 주체가 되셨는데.
 
 
김세균 : '중이 제 머리를 못 깎는다'고 하질 않나. 문제는 현재 진보정치 내에도 재편을 위한 자체 동력이 없다는 점이다. 맡겨놓으니 안 되겠더라. 일단은 우리가 새 흐름을 만들어내면 합류하지 않을 수 없는 조건이 되지 않겠나. 
 
 
정의당과는 오는 수요일(21일)에 만날 계획이다. 천호선 대표가 공식 회동을 하자고 연락이 왔다. 심상정 의원과 노회찬 전 의원 또한 진보 재결집에 좋은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 다만 정의당은 우선 진보 재결집 능력과 의지가 부족했다는 자기 평가를 우선해야 할 것이다. 이전에 다 하지 못한 숙제를 풀겠다는 적극적 자세가 있어야 하지 않겠나.
 
 
사실 이번 창당 작업, 즉 진보정치 재편 과정에 주도적 역할을 해줘야 하는 건 누구보다 무당파 진보인사들이다. 노동계 안을 봐도, 정의당이나 노동당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이들이 꽤 된다. 이 사람들의 제안으로 모든 진보 정당들의 각 정파를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 창당을 위해 각 정파에 연석회의를 제안하려 한다. 통합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노동계 참여 절실하나 배타적 지지 바라지 않는다" 
 
프레시안 : 과거 민주노동당은 민주노총의 배타적 지지에 힘입은 바 크다. 연로한 진보 명망가들 외에 '국민모임'의 지지 기반이 빈약해 보인다. 
 
김세균 : 당연히 조직 노동자들의 힘과 참여가 필요하다. 다만 과거와 같은 '배타적 지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정당 운동을 하는 이들에겐 배타적 지지에 대한 유혹이 어쩔 수 없이 생긴다. 잘 하건 못 하건 우리만 지지하는 배타적 지지, 얼마나 편한가. 하지만 우리는 어떤 조직적 결정이 아닌 자유로운 정치 판단으로 많은 노동계 사람이 신당에 참여해주길 바란다.  
 
개인적으론 민주노총이 과거 민주노동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 방침을 유지하던 때에도 이를 반대했었다. 어떻게 대중 조직인 민주노총이 한 정당만 지지할 수 있나. 게다가 배타적 지지는 수동적 당원을 만든다. 진보정당 운동엔 관심이 없는데도 조직 방침을 따라 민주노동당 당원이 되다 보니 '돈만 대고 표만 줬다'는 얘길 하는 조합원들도 적지 않았다.  
 
어차피 지금은 민주노총이 어느 정당을 배타적으로 지지하고 싶어도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민주노총 내엔 통진당 지지 그룹이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물론 국민모임이 '통합'을 표방하는 이상 '비(非)통진당 계열의 진보 정당'을 내세우더라도 노동계 내 통진당 지지 그룹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신당은 조직 노동자뿐 아니라 수많은 미조직 노동자들도 포괄하고자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민주노총이 아직 담아내지 못한 비정규직 노동자, 청년 아르바이트 노동자들의 정당이 되면 좋겠다. 이는 신당이 '투쟁하는 정당'이 되기 위해서도 매우 절실한 과제다.  
 
"신당, 예상보다 더 큰 지각변동 일으킬 수 있다" 
 
프레시안 : 진보 통합도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단순한 창당이 아닌 제1야당 교체를 할만한 당을 만드는 건 당위만으로는 되는 일이 아니다.  
 
김세균 : 아무리 당위적으로 필요해도 안 되는 시기가 있고 어떤 시대적 조건 속에서 일이 막 추진될 때가 있다. 나는 지금이 그런 때라고 본다. 기성의 모든 것들이 무너지고 있는 시기다. 경제는 물론, 정치도 보수와 진보할 것 없이 무너지고 있다.  
 
오케스트라나 연극을 보면 1악장에서 4악장 또는 1막에서 4막 같은 게 있다. 보통 3막에 주인공이 큰 위기에 처한 후 마지막에 반전해 절망적 상황에서 벗어난다. 1987년 이후 한국 정치에서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의 10년이 1막이라면 DJ-노무현 정부 시기는 2막이었다. 그리고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3막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은 '여기서 반전하지 않으면 다 죽는다'는 생각으로 사람들이 마음을 먹는 4막의 시기다. 
 
이런 마음을 잘 결합해 나가면 순풍에 돛 단식으로 일이 진행될 수 있다.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신당이) 더 큰 성과나 더 큰 지각 변동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는 얘기다. 지금이야말로 '주체적인 구성의 정치'가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는 때다. 이런 시기는 잘 오지 않는다.  
 
"'정동영 신당' 아니야…정동영 또한 N 분의 1일 뿐" 
 
프레시안 : 정동영 전 의원 등 과거 민주당에 몸 담았던 이들의 합류를 두고도 평이 무성하다. 기존 정당에서 밀려난 인사들의 정당, 더 나아가 '정동영 신당'이란 평가도 있다. 
 
김세균 : 국민모임은 세 불리기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 전 의원과 같은 기성 정치인을 마구 끌어들여야 한다는 생각은 애초에 없었다. 정 전 의원 등 구민주당계 또한 N 분의 1로 참여하는 것이다. (어떤 정치세력이라고 해서 창당 과정이나 신당에서 특별히 많은 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의미-편집자) 
 
다만 정 전 의원은 2010년 8월 반성문을 쓴 이후 그 진정성을 보이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한다. 진보적 대중 정치인으로 다시 태어나려는 노력을 일관되게 했다. 정동영이 대중적 정치인이라서 (새 진보정당을) 같이 하고 싶은 게 아니라, 그렇게 새로 태어난 정동영과 함께하고 싶은 것이다.  
 
정 전 의원은 그가 밝힌 대로 신당에서 밀알 역할을 할 것이다. 이번 신당 운동 또한 정 전 의원에겐 검증대다. '사의보다는 대의를 위한다'는 진정성을 다시 한 번 증명해 검증만 통과한다면 이후 얼마든지 새 기회가 올 수 있다. 이는 신당뿐 아니라 어디에서나 마찬가지다. 안철수 신당이 이미 그 한계를 보이질 않았나. 당 대표가 누가 되느냐에 상관없이 정당은 민주적이고 집단적인 리더십으로 운영돼야 한다. 
 
▲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 ⓒ프레시안(최형락)

▲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 ⓒ프레시안(최형락)  

 
 
 
"가장 중요한 것은 신인 발굴…호남에서 '새 후보' 반드시 낸다" 
 
프레시안 : 그렇더라도 지금 국민모임에 참여 인사들의 면면이 과거 민주당이나 민주노동당에서 전성기를 보냈던 올드한 이미지의 인사들이 많다. 
 
김세균 : 사실 이들보다 중요한 것은 신인을 발굴하는 일이다. 재집권을 눈앞에 두고 있는 그리스의 시리자(급진좌파연합이자 현재 그리스의 제1야당) 당수 알렉시스 치프라스는 올해 나이가 마흔이다. 이런 젊은 당이 나라 전체를 뒤흔들고 있다. 앞으로 우리 신당에서도 젊은 세대가 주력을 맡길 바란다.
 
프레시안 : 4월 재보선 적극 대응을 선언했다. 선거가 치러지는 서울 관악을, 경기 성남 중원, 광주 서구을에 모두 후보를 내나.  
 
김세균 : 4월 보선은 아까 말한 정파·정당 연석회의에서 대응책을 논의하려고 한다. 창당 작업을 4월 선거 전에 완료하려는 계획이 아니다. 연석회의 차원에서 어떤 후보를 지지할 것이냐를 결정할 것이다. 형식적으로 무소속 후보를 우리가 지지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새정치연합과의 야권연대는 없다. 새정치연합을 대체하려는 것인데 연대를 하는 것은 맞지 않다.  
 
3곳 지역구에서 모두 우리가 지지하는 후보를 세울 수 있느냐는 새정치연합이 어떤 후보를 내느냐 등의 주변 조건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하게 될 것이다. 다만 광주는 반드시 새로운 후보를 낼 것이다. 이는 호남 정치의 물갈이란 차원에서 중요하다. 호남에선 새정치연합이 여당이라고 하지 않나. 이곳을 지역구로 하는 새정치연합 의원들 중엔 지역 토호 출신이 많다. 이젠 호남 주민도 새정치연합에 대한 커다란 거부감을 느끼게 돼 '물갈이'를 해야 한다는 인식도 상당하다고 한다.  
 
신당에 정동영·천정배 두 정치인이 참여하면 다음 총선에선 호남 물갈이를 대폭 할 수 있을 거라고 본다. 호남이 만드는 의석수가 30석인데 내년 총선에선 이들을 물갈이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새정치연합 일각에선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이 정 전 의원에 이어 또 탈당할까 싶어서 비상이 걸렸다는데 나는 나올 거(탈당)라고 확신한다. 
 
"최대공약수 찾지 않고 진보 정강·정책 꾸준히 설득하는 게 살 길" 
 
프레시안 : 국민모임이 대중에겐 상당히 강경한 진보 이미지로 비쳐진다. 자칫하면 '대중적 진보정당'이란 표어와 달리 상당히 왜소해질 수도 있다.  
 
김세균 : 중요한 건 대중들이 가진 급진적 열망을 고양해 나가는 것이다. 대중은 보통 이중적이다. 보수적 열망도 있고 진보적 열망도 뒤섞여 있다. 시대에 따라서 보수적 열망이 전면으로 나오기도 하고 진보적 열망이 앞서 오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때 '잘 살아보자', '부자 되세요'와 같은 보수적 열망이 표출됐던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신자유주의 피해가 누적되며 진보적 열망이 올라오고 있다. 최근 한 여론조사를 보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를 묻자 36%가 빈부격차 심화를 꼽았고 25.6%는 실업·고용 불안을 지목했다. 좀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선결 과제로는 28.3%만이 경기회복을 꼽았을 뿐, 50%가 넘는 이들이 빈부격차 해소와 복지 강화를 원했다. 
 
일반적으론 정당의 정강·정책은 대중의 보수적 열망에 맞추는 게 현실적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하면 당이 통째로 보수화된다. 정강·정책을 세우는 데 있어 참여자들의 최대공약수를 찾으려고 하면 정체성도 흔들린다. 새정치연합이 바로 그런 것 아닌가. 대중의 진보적 열망을 격발시킬 수 있는 정강·정책을 지속해서 설득하는 게 진보정당이 살길이다.   
 
물론 급진적 개혁안을 내놓으면서도 대중에게 신뢰를 주는 것도 필요하겠다. '아 저 사람들이 집권하면 분명히 저걸 추진해 낼 거다'란 신뢰를 줘야 한다. 일각에선 신당이 자리 잡는 데 긴 시간이 걸릴 거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금은 우리 생각보다 지각변동에 대한 요구가 신속하게 모이는 시기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구성의 정치가 필요한 시기다. 
 
프레시안 :  신자유주의는 학술 표현이지만 대중들을 설득하는 정치적 용어로는 추상적이다. 국민모임이 표방하는 반(反)신자유주의의 수위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해달라. 가령 재벌 개혁의 수위는 어느정도로 생각하나? 
 
김세균 :  개인적인 생각으로, 재벌을 해체해서 전문경영인 체제를 만들자는 것은 진보적 대안이 아니라고 본다. 재벌 그룹을 잘게 자르는 것엔 동의하지만 전문경영인이 맡으면 친노동자 기업이 되겠나? 재벌 해체와 전문경영인 도입 역시 신자유주의적 개혁안이다. 재벌 개혁에 대한 국민적 정서를 밑바탕으로 노사 공동 경영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방안 등 여러 가지를 논의해 볼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검찰 표적수사 분명한데... 곤혹스러운 민변

 

과거사 사건 수임 검찰수사 두고 "과거사 배상 위축 의도"

15.01.21 10:27l최종 업데이트 15.01.21 10:46l

 

 

기사 관련 사진
▲  한 검찰관계자가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을 오가고 있다(자료사진).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아래 민변) 회원들이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검찰의 과거사 사건 수임 수사가 민변을 표적으로 하는 것은 분명한데, 수사 대상 수임행위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과거사 사건 수임 비리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 배종혁)가 21일부터 나와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한 변호사 7명 중 6명은 민변 소속이다. '수사 대상 중에 민변 소속도 있다'가 아니라 민변이 주 수사대상인 셈이다. 과거사 관련 위원회 활동과 재심·배상소송에 발 벗고 나선 이들이 주로 민변 소속이었기 때문인 점이 크다.

검찰은 수사대상 변호사들이 '공무원·조정위원 또는 중재인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 취급하게 된 사건'에 대해서는 변호사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한 변호사법 31조를 위반했다고 간주하고 있다.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 등 과거사 관련 국가위원회 위원은 공무원 신분이고, 이때 맡은 사건을 변호사로서 다시 맡아 재심·국가배상소송을 진행한 건 명백한 법 위반이라는 것이다. 

민변 "권력 이용한 표적·보복·정치탄압"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민변은 즉각 "민변 소속 변호사들에 대한 징계개시신청에 이은 검찰의 과거사 관련 수사 또한 합법적 권력을 이용한 표적∙보복∙정치 탄압에 불과하다"라고 반발했다. 

그러나 이런 사건 수임행위는 '공무원 재직 때 입수한 정보를 사건 수임에 활용해서는 안 된다'는 변호사법 취지를 위배했다는 게 변호사들의 중론이다. 과거사 관련 위원회에서 상임위원으로 활동한 민변 소속 A 변호사는 "변호사법 상 수임금지 대상이 된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위원회 활동을 마친 뒤 내가 맡았던 사건을 소송을 진행해달라는 요청도 있었지만 수임금지 조항을 의식해 맡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형사처벌하거나 도덕적으로 비난할 일은 아니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민변 소속 B 변호사는 해당 변호사들이 수임료를 과다하게 받지 않았다는 전제 아래 "국가에 피해를 당한 사람의 권리구제 후속조치로 사건을 맡아서 진행한 공익 목적의 수임으로 봐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또 "피해자들도 과거사 사건에 적극적인 변호사들이 별로 없어 결국 사건을 잘 알고 도와주려는 변호사에게 맡기려는 게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민변 소속이 아닌 C 변호사는 "과거사 관련 위원회 때 직접 심의한 사건을 수임했다면 분명히 위법이고 법적 처벌은 물론 도덕적인 비난도 피할 수 없다"라면서 "수임료를 받지 않았다 해도 위법으로 보인다"는 의견이다. 

표적수사 아니라지만... 까마귀 날자 배 떨어졌나

변호사법을 위반한 과거사 사건 수임에 관해서는 민변이 명분면에서 밀리는 상황이지만, 이를 처벌하겠다고 나선 검찰을 보는 시선도 곱지 않다. 일단 표적수사라는 의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민변 소속이 아닌 D 변호사는 "검찰은 아니라고 하겠지만, 대한변협에 민변 변호사들을 징계 요청한 것과 같은 맥락에 있는 걸로 보인다"라고 평했다. 민변 변호사들이 유우성씨 간첩사건이나 보위사 직파간첩(홍아무개) 사건에서 무죄를 받아낸 데에 검찰이 보복으로 민변을 털어 먼지를 찾아낸 게 아니냐는 것이다. 

검찰은 "2014년 9월 서울고검에서 수임규정 위반으로 변호사 1명을 수사의뢰했고 이후 비슷한 사례가 추가 확인돼 12월 16일 법조비리전담 부서로 재배당했다"라면서 "11월 3일 (민변) 변호사 7명에 대한 징계신청 이전부터 조사가 진행됐으므로 특정 변호사 단체를 공격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는 해명이다. 하지만 선후관계와 상관없이 간첩사건 무죄 뒤 진행됐다는 공통점은 확인된다. 

2000년 10월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활동을 개시한 이래, 과거사 관련 위원회 결정에 이은 재심·국가배상소송 판결이 나온 지는 10여 년이 넘었다. 이제야 검찰이 수임규정 위반 문제를 처벌하겠다고 나선 것도 석연치 않다.

"과거사 사건 배상청구 위축시키려는 움직임"

대법원이 지난 2011년 1월 과거사 피해자의 손해배상 지연이자의 계산 기준일을 불법행위 시점에서 민사 항소심 변론종결일로 바꾼 이후, 정부는 과거사 소송당사자들의 계좌 가압류 등 지연이자 초과지급액을 돌려받기 위한 조치를 강화해왔다. 

박근혜 정부는 과거사 피해자들에게 부당이익금 반환 소송을 적극 제기해 승소하고 있다. 그 한 예가 지난해 4월 인혁당 재건위 사건 피해자 유족들이 배상금과 지연이자로 이미 지급받은 금액 절반가량을 국가에 돌려줘야 한다는 판결이다. 

이에 더해 이번에는 검찰이 과거사 사건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에 적극 나섰던 변호사들의 수임규정 위반을 들춰낸 것이다. B 변호사는 "검찰이 10년 넘게 전혀 문제삼지 않다가 지금 위법이라고 나선 상황을 보면, 민변을 표적으로 하는 동시에 과거사 사건에 대한 재심이나 배상청구를 위축시키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라고 평가했다. A 변호사도 "박근혜 정권이 국가의 과거 잘못에 대한 배상청구를 축소시키려고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독재정권 탄압 피해자들의 모임인 과거사 단체들의 시각도 이와 비슷하다. 검찰의 이번 수사를 비롯한 일련의 흐름이 과거사 청산 성과를 무력화하고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다. 

민청학련계승사업회,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희생자 전국유족회,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등의 회원 30여 명은 20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결정에도 정부가 아무런 배상을 하지 않아 변호사들과 함께 길고 긴 소송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라면서 "이 변호사들에 대한 수사는 피해자들로부터 최소한의 법적 조력을 받을 권리마저 빼앗아 벼랑 끝으로 내몰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선진국들의 스텔스 전투기 개발 현황

 
2015. 01. 20
조회수 7353 추천수 0
 

  전투기들은 ‘세대’라는 기준으로 나뉘고 있다. 한 세대별로 대표되는 특정 능력이나 기술을 갖출 경우, 그 세대에 포함을 시킨다. 최근 몇 년간 이슈가 되고 있는 5세대 전투기의 필수조건은 바로 스텔스(Stealth)이다. 스텔스는 쉽게 표현하자면 적의 레이더가 나의 항공기를 식별하기 어렵도록 레이더 반사 면적(RCS)을 최소화 하는 기술이다. 여러 장점과 함께 실전에서 검증된 능력이지만, 일반적으로 스텔스는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텔스에 대응하기 위한 스텔스 탐지 기술들도 개발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스텔스와 스텔스에 대항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어디까지 왔는가?

 

 스텔스의 시작

 

  적의 상공에 진입하는 전투기는 여러 위협에 직면하게 된다. 먼저 적의 전투기에게 차단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상에서 발사하는 대공미사일은 항공기 격추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군사 항공기 개발자들은 오랜 시간 고민을 했었다.

기존에는 위협을 피하기 위해 두 가지 대응책을 활용했다. 하나는 적의 미사일이나 전투기가 따라 올 수 없는 정도의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하는 것이다. 고고도 비행을 하는 대표적인 항공기는 바로 U-2기이다. U-2는 냉전시절 소련의 내부를 정찰하기 위해 개발되었는데 7만 피트의 이상에서도 비행이 가능하다. 공기의 밀도가 낮으며 산소도 적은 곳을 비행하기 위해 U-2의 길이는 63피트인 반면 날개는 103피트나 되며 조종사는 조종복 보다는 우주복에 가까운 장비를 착용한다.

 

 sr71 블랙버드.jpg 
  SR-71 블랙버드, 마하 3.5가 넘는 속도로 비행하는 정찰기였다. 


  적의 위협을 피하는 두 번째 방법은 빠른 속도를 활용하는 것이었다. SR-71 정찰기는 높은 고도에서 비행할 뿐만 아니라 마하 3.5라는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는 항공기였다. 음속에 세배나 빠른 속도로 비행하기에 적의 전투기나 미사일들은 이 속도를 도저히 따라 올 수 없었다. 실제로 SR-71이 적에게 피격 된 적이 한 번도 없다. 하지만 고장으로 인한 추락은 잦은 편이었다.

하지만 고도를 위해서만, 또는 속도를 위해서만 만들어진 항공기는 한계가 있다. 위에서 소개한 두 항공기는 모두 정찰기였다. 더 많은 무장을 싣고 비행해야 하는 폭격기나 뛰어난 기동성을 필요로 하는 전투기들은 최고 속도나 고도만 고려하고 설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기술자들이 찾게 된 해답이 바로 스텔스였다.

 

 스텔스의 원리

 

  레이더는 특정 주파수를 하늘로 쏘아 올려 반사되어 오는 전자파를 형상화함으로써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한다. 즉, 레이더파가 반사되어 다시 적의 레이더에 입력되는 것을 막으면 적이 아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항공기의 크기, 모양, 재질에 따라 반사의 정도가 달라지는 정도를 바로 레이더 반사면적(RCS)라고 표현한다.

쉽게 생각해 보자. 내가 핸드폰 화면을 정면에 두고 바라보고 있을 때는 핸드폰의 크기가 가장 현실에 가깝게 나타난다. 하지만 그 같은 핸드폰은 눕혀두고 옆에서 바라본다고 생각해 보자. 같은 핸드폰이지만 내 눈이 실제로 인지하는 핸드폰의 면적은 확연한 차이가 있다. 레이더 반사면적을 줄인다는 것이 이와 비슷한 개념이다. 레이더파가 어느 방향에서 날아오든 항공기의 형태가 그 전자파를 정면으로 반사하는 면적으로 최소화 하면 RCS가 최소화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스텔스기인 F-22나 현재 개발 중인 F-35 등을 보면 항공기들이 과도하게 각이 져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F-15, F-16등은 각 보다는 부드럽게 처리 된 부분이 많다. 바로 날아오는 전자파를 다른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해 스텔스기들은 각진 형태를 지니는 것이다.

하지만 항공기 설계에 있어서는 항공역학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외형만으로는 충분한 스텔스 성능을 갗추기 어렵다. 그래서 사용되는 방법은 스텔스기에 레이더파를 흡수하는 특수 페인트를 칠해주는 것이다. 레이더 흡수 물질(RAM)의 역할은 레이더의 전자파를 직접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파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적의 레이더가 전자파를 다시 수신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이 외에도 플라즈마 스텔스라는 기술이 있다. 아직 베일에 싸여 있는 기술이며 러시아가 실용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기 주변에 플라즈마로 형성된 ‘층’을 발생시켜 전자파를 흡수시켜 버리는 것이다. 이론적으론 가능하나 아직 검증된 바가 없다.  

 

 미국의 독점

 

  아직까지 스텔스 기능이 검증된 항공기를 가진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다. 현존하는 최고의 전투기로 평가받는 F-22 랩터는 유일하게 실전 배치된   스텔스 전투기이다. 이 항공기의 RCS가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2005년 미공군은 F-22는 레이더의 입장에서 ‘금속 구슬’의 크기 정도이고, F-35는 골프공 정도라고 발표한 적이 있다.

  현재 러시아는 T-50(PAK-FA)를 개발 중에 있다. 1990년대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미국의 F-22와 유럽의 유로파이터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현재 5대의 원형기가 있으며, 2016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RCS는 약 1  정도로 알려졌다. 실제 제원이 어느 정도인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중국의 경우에는 두 종류의 스텔스기를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청두 J-20는 2011년 첫 시험 비행이 있었으며 5대의 원형기가 제작된 상태이다. 2017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센양 J-31은 2012년에 첫 시험 비행이 있었다. 아직 원형기는 1대 밖에 없다. 두 항공기 모두 스텔스 기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으나 정확히 어느 정도의 성능을 목표로 하는지, 기술 개발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스텔스의 한계

  F-117.jpg 
 F-117의 각이 진 외형이 눈에 띈다. 날아오는 전자파를 다른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해서이다


  스텔스라는 단어는 항공기가 아예 적의 레이더에 안 보인다는 착각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거리가 멀다. 어디까지나 적의 레이더에 발각될 가능성을 낮춰 주는 것이지 스텔스기라고 해서 적의 상공에서 마음대로 비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1999년 유고슬라비아 상공에서 미국의 F-117이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되었다. F-117은 록히드 마틴의 스컹크 워크스(Skunk Works – 록히드사의 가장 유명한 R&D 팀의 이름)에서 1980년대 개발한 스텔스 전폭기다. ‘나이트 호크’라는 이름이 붙은 이 항공기는 스텔스 기술이 항공기 전반에 적용된 첫 항공기였다. 1999년 3월 27일 작전 중이던 F-117은 유고슬라비아 방공부대의 SA-3에 격추되었다. 이 부대의 책임자였던 졸탄 다니 대령은  인터뷰에서 레이더의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스텔스기에 대한 식별 능력이 강화되었고 F-117이 폭탄 투하를 위해 내부 무장창을 열자(외형에 변화로 인해 RCS 증가)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스텔스에 대해서 두 가지 중요한 대목을 알려준다. 하나는 레이더의 개조나 변경을 통해 스텔스기에 대한 탐지 능력을 증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스텔스기도 미사일 발사를 위해서는 내부 무장창을 열어야 하고, 이는 항공기 형태에 변화를 가져와 일시적이나마 레이더 반사면적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물론 F-117은 스텔스 기술의 초기 단계에서 개발된 항공기이다. F-117 이후 개발된 B-2 폭격기는 F-117의 RCS의 반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앞서 소개한 F-22와 F-35는 그보다 더 작다. 하지만 스텔스 기술이 발전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하는 탐지 기술 역시 개발되고 있다.

 

새로운 레이더의 개발

 

 모든 군사 기술은 일종의 우위 경쟁이다. 스텔스 전투기는 군사 기술 진보의 끝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여러 국가들이 스텔스 기술을 견제하기 위한 새로운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JY-26.jpg    
JY-26. 중국은 스텔스기를 더 효과적으로 추적하는 레이더 개발에 힘쓰고 있다.  


  중국은 얼마 전 ‘주하이 에어쇼’에서 이동형 레이더인 JY-26을 공개했다. 행사에서 이 레이더가 주목을 받은 이유는 스텔스기 식별 기능이 강화되었다는 주장 때문이다. JY-26은 초고주파(UHF)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레이더보다 스텔스 물체 식별이 두 배 정도 향상되었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이번 레이더가 록히드 마틴의 장거리 레이더인 3DELRR과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 중국이 해킹을 통해 미국의 기술을 빼온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글로벌타임즈』는 산둥 지역에 배치된 JY-26이 한국 상공에서 비행하고 있는 F-22를 식별했다고 주장했다. 둘 다 정확한 사실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중국이 스텔스기 식별을 위한 레이더 개발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러시아 역시도 비슷한 형태의 UHF 레이더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렸다.

  체코에서 개발된 수동 레이더도 스텔스를 잡을 수 있는 후보 반열에 올라와 있다. 기존 레이더는 직접 전자파를 발생시키는데 반해 수동 레이더는 전자파를 수신만 한다. 기존의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휴대폰 통신망의 전자파들을 분석해서 상공에 떠 있는 물체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 기술은 유럽의 EADS사에서도 개발 중에 있다. 특히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레이더의 위치가 적에게 노출 될 위험도 상당히 적다

 

  스텔스면 무조건 승리?

 

  또한 레이더만이 항공기를 식별하고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다. 언론 매체들은 대부분 F-22와 같은 항공기가 ‘투명인간’인 것처럼 묘사한다. 물론 F-22은 뛰어난 항공기이며 자타공인 최고의 스텔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약점이 하나도 없는 완벽한 항공기는 물론 아니다. 2012년 6월에 실시된 ‘레드 플래그(Red Flag)’ 훈련에서 F-22 전투기들이 가상 전투 상황에서 유로파이터 전투기들과 맞붙었다. 이 훈련의 결과에 대해서 수많은 매체들과 언론에서 논쟁이 있었다. 독일 소속의 유로파이터가 F-22를 상대로 가상 격추를 여러 번 성공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왔기 때문이다. 근접 전투 즉 시계(視界) 내에서 유로파이터가 F-22 랩터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근접 전투 상황이 줄어든 현대 공중전에서는 F-22가 압도적인 우위에 있다. 장거리에서 적기를 먼저 식별하고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레드 플래그 훈련에선 여러 시나리오를 통해 조종사들이 훈련을 하기에 실제 전투 상황과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스텔스만 갖추면 우위를 지닌다는 것은 착각이란 점은 기억해야 한다.

 

 스텔스의 미래는?

 

  한국도 차세대 전투기 선정에서 기존의 결정을 번복까지 하며 스텔스기인 F-35 도입을 결정했다. 스텔스의 중요성은 항공 기술에서 이미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우수한 기술이라도 대응책이 마련되기 나름이다. 스텔스에 대응하기 위해 레이더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실증적인 결과를 아직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스텔스기를 잡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또 스텔스 기술 역시 현재의 단계에서 멈추지 않을 것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찾고, 또 다시 숨기 위한 경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김성현 디펜스 21+ 객원기자 kimster58@gmail.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한 제 7차 조선노동당 대회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5/01/21 12:49
  • 수정일
    2015/01/21 12:4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분석과전망>화두로 부각되는 북한 조선노동당 7차 당 대회 개최여부
 
한성 자유기고가 
기사입력: 2015/01/20 [20:11]  최종편집: ⓒ 자주민보
 
 

 

“당의 령도력과 전투력을 강화하는데서 새로운 리정표를 마련하여야 합니다”

북한의 올 신년사에 언급되어있는 대목이다. 신년사는 올해를 ‘매우 뜻 깊은 해’라고 규정하고 있다. 올해가 북한 조선노동당 창건 70돐이 되는 것과 연동시켜 내린 규정이다. 

 

신년사는 ‘당 창건 일흔 돐을 혁명적 대경사로 빛내여야 한다’고 했다. 과제를 제기한 셈이다. 이를 위해 신년사는 “모두다 백두의 혁명정신으로 최후승리를 앞당기기 위한 총공격전에 떨쳐나서자!”라는 구호를 제출하고 있다.

 

신년사가 제시하고 있는 당 사업에서의 ‘새로운 리정표’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이 특별히 방점을 찍어야하는 대목이다. 

 

재일 <조선신보>는 7차 노동당대회 개최여부가 올해 화두 중에 하나가 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19일 ‘연초의 화두’라는 논평을 통해서다. 신문은 그 근거로 지난 80년에 개최되었던 6차당대회가 “우리 당과 혁명발전에서 새로운 이정표”라고 기록되어있다는 것을 들었다.

당연히 주목할 만하다. 북한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으로 유명한 언론이 제기하는 문제여서다. 그런 점에서 이미 화두로 되었다고도 할 수도 있다. 

 

북한의 당 대회는 조선노동당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이다. 제1차 당 대회가 열린 것은 1946년 8월이었다. 마지막은 1980년 10월 10일부터 10월 14일까지 진행되었던 제6차 당 대회였다.

 

<위키백과>의 서술에 따르면 6차 당 대회는 주체사상을 유일지도 사상으로 확정했으며 ‘전국적 범위에서의 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혁명 및 북반부의 사회주의 완전 승리라는 당면목표와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 및 공산주의 건설’이라는 최종 목표를 채택했다. 

 

6차 당 대회는 또한 후계체제의 완성을 확정했다고 했다. 당대회 마지막 날에 열린 중앙지도기관 선거를 통해서였다. 이 선거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정치국위원, 당 중앙위원회 비서, 군사위원회 군사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나이 38세 때였다.   

 

7차 노동당대회가 화두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아울러 북한이 새해 첫 정론을 당 창건 70돌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발표한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통일뉴스의 20일자 보도에 따르면 북한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정론 '우리는 또 다시 승리하리라'를 발표했다. 

 

정론은 “백전백승의 향도자 조선노동당을 따르는 길에 우리의 영원한 승리가 있다”며 "누구나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으로 고난과 시련을 과감히 부시며 당을 따르는 신념의 한길, 백승의 한길을 끝까지 이어가자"고 주장했다. 

이어 정론은 "어머니 당창건 70돌을 맞는 올해에 백두의 혁명정신과 창조적 투쟁으로 마련한 자랑찬 선물을 안고 10월의 대축전장에 떳떳이 들어서자"고 호소하고 있다. 

 

북한 당 대회 개최 가능성은 올해 들어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비서가 새로운 직위를 부여받게 될 수도 있다는 일각의 전망과 맞물리는 것이기도 하다. 

 

차두현 전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과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연구부원장은 15일 <2015년 북한 신년사 분석: 자신감과 딜레마가 동시에 시사된 김정은 시대 선언>이라는 보고서에서 "금년 중 북한이 또 한 번의 헌법 개정을 통해 김정은 제 1비서가 새로운 직위에 오를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뉴시스 보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령제의 근간을 유지하면서도 김정은 스타일에 걸맞은 통치행태를 제도상으로 보장할 수 있게 주체사상의 김정은 식 재해석이 시도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것이다.

 

35년 만에 북한에 당대회가 열리게 된다면 그것이 북한에 국한되는 것을 뛰어넘어 세계사적인 의미를 띄게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전 당 대회 역사가 잘 보여주고 있다. 

 

7차 당대회가 화두로 되고 있는 것은 2015년이 격돌 내지는 격변의 한해가 될 것을 반영해준다. 북미대결전에서 전환적 국면이 마련되는 것을 필두로 남북정상회담은 물론 그리고 동북아정치지형에서의 질서재편을 추동하게 될 북러정상회담과 북일진전이 이루어지는 모든 것들이 한반도를 중심에 놓고 벌어지는 역사들이다.

 

발은 한반도에 두되 시선은 동북아 더 나아가 저 멀리 세계를 향하게 해야하는 큰 이유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상학·美인권재단, 3월 '디 인터뷰' 대량살포 예고

공동 기자회견, '무인헬기' 살포 가능성 배제 안해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1.20  17:19:03
트위터 페이스북
   
▲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20일 전쟁기념관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3월 '디 인터뷰'의 DVD와 USB를 대량 살포하겠다고 밝혔다. 가운데 말하는 이가 박 대표, 사진 오른쪽에서 세번째는 토르 하버슨 미국 인권재단 대표.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지난 19일 최소 10만장 이상의 대북 전단을 비공개로 살포한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오는 3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조롱하는 미국 영화 '디 인터뷰'의 DVD와 USB를 대량 살포하겠다고 20일 공공연하게 주장해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박 대표는 20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전쟁기념관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대화제의에 북측이 나오지 않을 경우 '디 인터뷰' USB와 DVD를 곧 대량 살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 영화가 담긴 USB와 DVD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국 인권재단(Humanrights Foundation, HRF)의 토르 하버슨(Thor Halvorssen Mendoza)대표 일행이 자리를 함께 해 눈길을 끌었다.

앞서 박 대표와 토르 하버슨 HRF 대표는 지난 19일 오후 11시 무렵 각각 파주시 문지리와 연천군 대광리 등에서 10만장 이상의 대북전단을 비공개로 살포했으며, 여기에 당초 예고했던 '디 인터뷰'의 DVD는 뺐다고 사후에 공개했다.

박 대표는 기자회견 자리에서 "(북측이)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하거나 북한인민들에게 진실을 말하지 말라느니 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국가주권과 국민의 기본권을 하나하나 압살하는 악랄한 행위"라며, "진실의 대북전단으로 계속 대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19일 밤 대북전단 살포시 DVD를 넣지 않았던 것은 정부의 조언을 받아들인 것 뿐"이며, "원칙적으로 대북전단은 계속 보낸다"고 말하고 "정부에서 말하는 진실성을 가진, 실현가능한 대화를 (북이) 한다든지, 이산가족 상봉을 한다든지 그런 경우에는 자제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서 그는 "2월 18일 설날을 맞아서 800만 이산가족이 그토록 원하는 상봉에 대해 북측이 답변해야 한다"며 "만약 (북측이)이산가족 상봉도 하지 않고 정부가 제안한 진정성있는 대화에도 응하지 않을 경우 그 시각부터 디 인터뷰의 DVD와 USB를 대량살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에 정부의 대화 제의에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중지하지 않으면 안하겠다든지, 우리 국민의 기본권을 박탈하지 않으면 안하겠다든지 이런 여러가지 조건을 댄다면 대화의 진정성이 없다고 간주하고 '디 인터뷰'를 보내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가 자제 요청을 하더라도 북측의 진정성있는 조치가 수반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대북전단을 계속 살포하겠다는 것인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는 "저는 관변단체도 아니고 비정부 NGO 인권단체다. 정부나 국회에서 이래라 저래라 할 북한인권법안이나 통과시키고 정부와 국회가 자기가 할 사명과 의무를 한 다음에 우리 탈북자들 보고 보내라든지 말라든지 하라"고 답했다.

이같은 박 대표의 태도는 지난 15일 통일부 당국자와 면담한 후 구두전달이 아닌 공문형식의 정부입장을 요구했으나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날 오전 상황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다.

박 대표는 이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국정에 책임 있는 분이 공문 형태로 자제를 요청하면 받아들이겠다고 했는데 그런 요청이 없었다"며 "우리로서는 정부의 구두 요청만으로는 자제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말한 바 있다.

   
▲ 기자회견장에는 박 대표와 HRF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대하는 일부 시민들의 반대행동이 있었으나 큰 사고는 없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기자회견에 모습을 나타낸 토르 하버슨 HRF 대표는 "어제(19일) 보낸 것은 비공개로 한 것이고 지역주민들이 위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비공개로 실행하고 사후에 알리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3월 경에는 평양과 그보다 더 깊숙한 내륙지역을 대상으로 정밀한 대북 전단 살포를 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이번에 실리콘밸리 기술자들과 기술적인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소 5명 이상 입국했다고 밝혔다.

전단살포에 무인헬기를 활용할 것이냐는 거듭된 질문에는 명확한 답변을 피하고 "모든 가능한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만 언급했다.

토르 대표는 '왜 외국인들이 선글라스를 쓴 채 한국 내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느냐'는 외신기자들의 질문에 "햇빛이 따가워서"라고 대답하는가 하면, 자신이 미국에 살고 있기는 하지만 국적은 베네수엘라라는 동문서답을 하기도 했고 입국목적을 묻기 위해 어떤 비자로 입국했느냐고 한 질문에 대해서도 "마스터카드와 비자 둘 다 있다"는 농담으로 받아넘기기도 했다.

CIA(미국 중앙정보국)를 비롯한 미국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절대 그런일 없다고 펄쩍 뛰었다.

기자회견장에는 박 대표와 HRF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대하는 일부 시민들의 반대행동이 있었으나 큰 사고는 없었다.

한편, '전쟁반대 평화실현 국민행동'은 이날 오후 3시 30분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대북전단 살포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있는 통일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코노미 워치, 한국의 자유 민주주의 위협받아

 
일련의 정치적 스캔들, 박대통령 민주주의 자질에 대한 의구심 불러
 
정상추 | 2015-01-19 14:09:54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이코노미 워치, 한국의 자유 민주주의 위협받아
-일련의 정치적 스캔들, 박대통령 민주주의 자질에 대한 의구심 불러
-언론의 자유 억압에 대한 국제적 경고

경제전문 온라인매체 이코노미 워치가 14일 ‘”한국의 자유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는 제목으로 동아시아포럼의 기사를 받아 한국의 언론과 인권탄압의 최근 추세를 보도했다.

이 기사는 한국이 2014년 경기침체와 인구의 노령화,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악화, 가계부채 상승 그리고 부동산 시장의 쇠퇴 등의 국내 문제와 일본, 중국, 그리고 미국 사이에서 겪어야할 외교적 문제 등 국내외적인 많은 도전을 앞에 두고 있지만, 현재 한국이 맞이하고 있는 가장 큰 도전은 박근혜 정권 집권 후 위협을 받고 있는 민주주의의 견실함과 강인함을 확보하는 일이라고 논평한다.

기사는 국정원 대선개입 혐의를 포함한 박근혜의 대통령직과 새누리당의 민주주의적 자질에 대한 의혹을 불러 일으킨 일련의 정치적인 스캔들이 박근혜의 지지율에 나쁜 영향을 미쳤고 한국의 보수정부들이 안보를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해 왔으며 남용하기조차 했었다는 의심도 사고 있다며 인사관련 스캔들과 세월호 참사에 대처하는 정부의 무능력함으로 대통령의 국정이행 능력에 대한 신뢰가 하락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대통령의 심각한 정치적 도전을 맞이할 때마다 안보관련 음모발표로 위기를 넘겨 대통령의 지지도를 더욱 증가시키기도 했다고 하며 일련의 조치들 중에 통합진보당 해산을 언급하며 이 경우도 예외가 아닌 여론의 방향을 돌리기 위해 사용된 경우라는 의혹이 있다고 말한다.

이명박 정부를 시작으로 한국의 언론의 자유에 대한 국제적 평가가 하락하기 시작했으며 박근혜 정부에 들어서 언론사들을 고소하기까지 하는 정부의 태도를 비난하고 박근혜가 독재자 아버지를 닮아가고 있다는 한 평론가의 말을 인용한다. 이코노미 워치는 민주주의를 약화시키는 대가로 신뢰도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통치스타일의 변화가 요구되지만 그렇게 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논평을 내놓으며 박근혜 정권의 앞길이 평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을 마지막으로 기사를 마무리하고 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이코노미 워치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DPgHUc

South Korea’s Liberal Democracy is Under Threat
한국의 자유민주주의가 위협받다

By: East Asia Forum Date: 14 January 2015

It is not hard to lis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llenges for South Korea for 2015. There are many.

2015년 한국이 직면한 국내외적 어려움들을 손꼽는 일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At the end of 2014, South Korea faces economic slowdown, an ageing population, worsening socio-economic inequality, rising youth unemployment, mounting household debt and a real-estate market slump. The list of diplomatic tasks includes sluggish or worsening relations with Kim Jong-un’s North Korea, soured relationships with Abe’s Japan and coping with the dilemmas of China–US dynamics.

2014년 말, 한국은 경제 부진, 노령의 인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청년 실업의 증가, 늘어나는 가계부채, 그리고 부동산 경기의 침체 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외교적 과업 중에는 김정은 체제 하의 북한과의 부진한 혹은 악화되는 관계, 아베 정권의 일본과의 틀어진 관계, 그리고 중국과 미국 사이의 역동적 관계의 딜레마에 대처하는 일 등이 포함된다.

But the biggest challenge that now faces South Korea will be ensuring the soundness and strength of its democracy. Since Park Geun-hye’s government took office in February 2013, soundness of political democracy requires special attention. South Korea’s liberal democracy is under threat.

하지만 현재 한국이 당면한 가장 큰 어려움은 이 나라 민주주의의 견실함과 강인함을 확보하는 일일 것이다.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정치적 민주주의의 견실함이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한국의 자유 민주주의가 위협을 받고 있다.

A series of political scandals have cast doubt over the democratic credentials of Park’s Saenuri Party and Park’s own presidenc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alleged interference in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in favour of Park and the enforced resignation of the Prosecutor General leading the investigation into the claims; the arrest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UPP) MP Lee Seok-ki; antagonism towards the labour unions; the legal suit against Sankei Shimbun journalist Tatsuya Kato and the ‘memogate scandal’ have all hurt Park’s public support.

일련의 정치적 스캔들은 박근혜의 새누리당과 박근혜 자신의 대통령직이 가진 민주주의적 자질에 의구심을 가지게 만들었다. 국정원이 2012년 박근혜에게 유리하도록 대선에 개입했다는 혐의와 이 혐의에 대해 조사하던 검찰총장을 강제로 사퇴시킨 일; 통합진보당 이석기의원의 구속; 노조에 대한 적대적 태도; 산케이신문의 언론인 가토 타츠야를 상대로 한 법적 소송과 ‘문서 스캔들’ 등이 모두 박근혜에 대한 대중의 지지도를 하락시켰다.

It is no secret in South Korea that conservative governments have used security concerns for domestic political purposes. Some suspect Park’s administration of abusing the security agenda to camouflage its poor political performance. From the beginning of her tenure, numerous nominees for key government positions — including the prime minister — have not passed the parliamentary hearings process or have had to quit once in office because of sex and political scandals.

보수정부들이 국내 정치적 목적으로 안보에 대한 우려를 이용해왔다는 것은 한국에서 비밀이 되지 못한다. 일부 사람들은 박근혜 정부가 빈약한 정치적 실적을 가리기 위해 안보 문제를 남용한다고 여긴다. 그녀의 임기 초기부터 국무총리를 포함한 정부 요직에 지명된 수많은 후보들이 국회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했거나 직위를 맡은 뒤 섹스와 정치적인 스캔들 때문에 사임해야했다.

Failure to rescue more than 300 passengers including about 25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tragic Sewol Ferry disaster has also discredited the government’s, and the president’s, capacity to manage national emergencies. But President Park’s biggest failing has been her lack of will and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constituents and even with her supporters.

비극적인 세월호 참사에서 250명의 학생들을 포함한 300명이 넘는 승객들을 구조하지 못한 것 또한 정부와 대통령의 국가비상사태를 처리하는 능력에 대한 신뢰를 실추시켰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가장 큰 약점은 유권자들, 심지어는 그녀의 지지자들과도 소통할 의지도, 능력도 없다는 점이다.

There is wide suspicion that whenever the president faces serious political challenges, announcements of espionage activities and subversion plots by pro-North Korea groups follow. Such claims are often found to be baseless by the courts. But they make citizens feel more secure and thus increase support for Park.

대통령이 심각한 정치적 도전을 맞이할 때마다 친북단체들에 의한 첩보활동과 전복음모 등의 발표가 따르곤 한다는 의혹이 널리 퍼져있다. 그러한 혐의들은 자주 법원에서 근거 없는 것으로 밝혀지곤 한다. 그렇지만 이런 일들은 시민들이 더 안전하다 느끼게 하고 따라서 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증가시킨다.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recent order to dissolve the UPP is not free from such suspicion. The tiny UPP — 5 out of 300 National Assembly seats — was disbanded on the grounds that it ‘aimed at using violent means to overthrow [South Korea’s] free democratic system’ and was ‘ultimately establishing a North Korean style system’. The court also ordered that the party’s five lawmakers be stripped of their parliamentary seats. As the first verdict of its kind in South Korea, it may stir up intensive political conflict because progressive South Koreans think that the evidence for the order is not persuasive. They also argue that the order is not fair — that is, it is politically motivated in favour of the president and conservative party.

한국 헌법재판소의 최근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은 그러한 의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총 300석 의회의 의석 중 5석을 차지하고 있는 극소수 정당인 통합진보당은 ‘폭력을 사용하여 [한국의] 자유민주적 제도를 전복’시키고 ‘궁극적으로 북한식의 정치제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이유로 해산됐다. 헌재는 또한 통진당 5명의 국회의원직을 박탈했다. 한국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이번 판결은 진보적 한국인들이 헌재판결에 대한 증거가 납득하기 어렵다고 여기는 가운데, 정치적 갈등은 더 심화될지도 모른다. 또한 그들은 헌재의 결정은 대통령과 보수정당의 이익을 위해 정치적 동기가 부여된, 공정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주장한다.

Institutionally, the nine members of the court — three each nominated by the presiden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 struggle to be seen as independent from the clout of the president. Normally, any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akes more than two years. The UPP dissolution order only took slightly more than a year. Pundits suggest that the court case was used by Park’s administration to distract from the memogate scandal, which dragged Park’s approval rating down to its lowest level since inauguration.

제도적으로 각각 3명씩이 대통령, 국회, 대법관에 의해 임명되는 총 9명의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은 대통령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것처럼 보이려고 애를 쓴다. 통상적으로 헌재의 결정은 2년 정도 소요된다. 통진당의 해산 결정에는 1년 조금 넘는 시간이 걸렸다. 전문가들은 헌재의 정당해산 결정이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을 취임후 취저로 끌어내린 문건유출 스캔들로부터 국민들의 관심을 돌리는 데에 사용됐다고 말한다.

The waning of press freedom is the deepest concern for South Korean democracy. In 2011, under the previous Lee Myong-bak administration, Freedom House downgraded South Korea from ‘free’ to ‘partly free’ citing increased online censorship and claiming that 160 journalists had been penalised for criticising the government. The Park administration has increased pressure on critical media, by increasing the number of active against journalists. Spearheaded by the case of Sankei journalist Tatsuya Kato in August, the Park administration boldly sued the Hankyoreh Newspaper, the Sisa Journal, the Chosun Daily, and the Segye Daily for the alleged defamation of the president and high government officials. A Korean political analyst criticises that the ‘government is sending a message to the press not to write negative reports about the government’. Borrowing a Korean observer’s words, ‘Park is taking a page from her dictator father’s playbook’.

언론의 자유가 점점 제한되는 것은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큰 우려이다. 2011년 전 이명박 정권 당시 프리덤하우스는 온라인 검열이 증가한 사실을 예로 들고, 정부를 비판한 것에 대해 160 명의 기자들이 처벌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한국을 ‘자유’에서 ‘부분적 자유’로 낮췄다. 박 정권은 반대하는 기자들을 상대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행동을 증가시킴으로써 비판적인 언론에 대한 압박을 가중시켰다. 지난 8월 산케이 기자 가토 타츠야 사건을 선두로 해서, 박 정권은 과감하게 한겨레, 시사인, 조선일보, 세계일보를 대통령과 정부 고위 관리들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한국 정치 분석가 한 사람은 ‘언론이 정부에 부정적인 기사를 작성하지 않도록 정부가 메세지를 보내고 있다’고 비난한다. 한 한국인 논평가의 말을 빌리자면 ‘박 대통령은 자신의 독재자 아버지처럼 행동하고 있다’.

The long-term cost of undermining democracy is the loss of presidential and governmental credibility. President Park changing her governing style to enhance transparency and democracy seems to be the solution, but is unlikely. Park and her chief aides emphasise that 2015 will be a golden year for reform: the administration will not face any elections at the national level until 2016.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일에 대해 치러야할 장기적 대가는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신뢰의 손실이다. 투명성과 민주주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박 대통령이 자신의 통치 스타일을 바꾸는 것이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이나 그럴 가능성은 없다. 박 대통령과 그녀의 주요 보좌관들은 2015년이 개혁을 위한 적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행정부는 2016년까지 전국 규모의 선거를 치를 일이 없다.

But a president with ideologically divided citizens cannot break through barriers to properly handle the controversial but imminent national challenges facing South Korea.

그러나 이념적으로 양분된 시민들과 함께 해야하는 대통령은 그 장벽을 뚫고 나가 한국이 당면해 있는, 논쟁이 되고 있는 그러나 아주 긴급한 국가적 어려움들에 적절히 대처할 수가 없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50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곽병찬 대기자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등록 : 2015.01.19 17:22수정 : 2015.01.19 18:13

툴바메뉴

기사공유하기

보내기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30%대 대통령 국정지지도에 조·중·동 벽창호식 국정운영 질타
지지도 추락 막으려 했던 이들조차 ‘인적쇄신 거부’에 분노한 것
40%대 새누리당 지지율보다 낮은 대통령 지지도는 치명적 지표
역대 가장 무능˙무책임하며, 비민주적·독선적 리더십 보인 결과
곧 새누리당도 등 돌릴 것…더 늦기 전에 불통과 독선 벽 깨야

곽병찬 대기자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91

 

지난 16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 조사 결과 앞에서 가장 분노에 찬 반응을 보인 건 이른바 ‘조중동’이었습니다. 조선과 동아는 사설로 벽창호식 국정운영을 질타했습니다. 중앙은 조선·동아의 뒤를 따라 사흘 뒤 만평을 통해 ‘줄줄 새는 지지율’이란 제목 아래 안절부절못하는 당신을 그렸습니다. 외부 필자의 ‘중앙시평’에서도 ‘대통령의 지지도 더 떨어질 듯’이라는 암울한 전망을 발문으로 뽑았습니다.

 

특히 <동아일보>는 ‘… 3인방 언제까지 안고 갈 건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대통령의 신년 구상인 특보단 신설에 대해 “실세 3인방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 시스템을 뜯어고치지 않으면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습니다. <조선일보>는 ‘… 여론의 경고 위험선까지 왔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경제는 창조경제, 경제혁신, 4대 개혁 등이 어수선하게 추진되며 풀릴 기미조차 없다. 인적 쇄신은 사실상 거부했다”고 절망감을 표시했죠.

 

다른 어떤 매체보다 그동안 당신을 떠받치기 위해 무던히 애를 썼던 언론사들입니다. 온몸을 던져 지지도 추락을 막으려 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12월초 완만한 하락세를 급락세로 만들었던 ‘비선 실세 국정농단’ 의혹과 관련한 보도는 좋은 실례였습니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이른바 ‘땅콩 회항’ 사건이 터졌을 때의 보도 태도는 압권이었습니다. 땅콩 회항으로 비선 권력의 국정농단 의혹을 덮어버렸기 때문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2월19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민추천포상 수여식에 참석하기 위해 김기춘 비서실장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그렇게 노력했건만, 소기의 성과는 거두지 못했습니다. 검찰을 동원해 우격다짐으로 깔아뭉개고 덮어버렸던 비선들의 권력농단 의혹이 다름 아닌 십상시 중 한 명에 의해 생생한 현장으로 살아났기 때문이죠. 심지어 음종환 행정관은 십상시와 박지만씨의 권력암투 의혹을, 십상시와 새누리당 지도부의 암투로 확장시켜 버렸습니다. 가장 체면을 구긴 사람은, “비선 실세는 없다”는 대통령이었습니다. 그 말을 억지로라도 믿고 싶었던 맹목적인 지지자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국갤럽 조사에는 한 가지 더 당신에게 치명적인 지표 하나가 있었습니다. 지지도 급락에 가려져 그렇지 그 못지않게 중요한, 대통령 국정 지지도와 새누리당 지지율 격차가 그것입니다. 이번 조사(1월 2주차)에선 그 차이가 무려 8%포인트에 이르렀습니다. 물론 지지도가 역전된 게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해 11월말 비선 실세 국정농단 의혹 감찰 문건 파동 직후 대통령 지지도는 계속 떨어져 새누리당 지지율에 근접하기 시작했습니다. 12월 2주차에서 41% 대 41%로 같아졌다가 3주차(37% 대 42%) 때 크게 역전됐습니다. 1월 첫주차 검찰의 엉터리 수사결과 발표로 격차가 조금 줄었는데(40% 대 44%), 음종환 행정관에 의해 실체가 일정 부분 드러나면서 8%포인트로 격차가 다시 벌어졌습니다. 이제 추세적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다른 여론조사기관(리얼미터)의 주간 조사에서도 그런 추세는 확인됩니다. 12월 마지막주만 해도 4.5%포인트 정도 앞서던 것이 2주차 조사에서 0.1%포인트 차로 좁혀졌습니다. 물론 대통령 지지도가 미세하나마 앞서긴 하지만, 추세적인 역전세는 명확합니다. 물론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높아져서가 아니라, 대통령 지지도 하락에 따른 결과입니다. 그동안 대통령의 인기에 업혀가던 새누리당이었지만, 이제는 대통령이 새누리당의 부담이 되기에 이른 것입니다.

 

지금까지 당신은 툭하면 정치가 국가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정치권을 힐난했습니다. 정부 잘못도 무조건 정치권에 떠넘겼습니다. 앞으로 그랬다가는 ‘너나 잘하세요’라는 면박을 피할 수 없을 겁니다.

 

사실 지난 2년 동안 당신이 보여준 것은 역대 가장 무능하고 무책임하며, 비민주적이고 독선적인 리더십이었습니다. 어떻게 국가 운영을 국회의원 시절 보필했던 소수 가신에게 내맡길 수 있습니까. 본인은 그저 부친의 후광을 되살리고 화장발을 세우는 데 애쓸 수 있습니까. 당신이 정상 외교나 국내 정치에서 남긴 것이라곤 옷과 뽀샤시한 미소밖에 없습니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앞줄 오른쪽) 등 청와대 참모들이 12일 박근혜 대통령의 새해 기자회견이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물론 그게 가능했던 건 50대 이상 저물어가는 세대의 맹목적인 지지 때문이었습니다. 당신의 개인적 인기와 후광 속에서 국회에 다시 입성하려는 새누리당 의원들의 진돗개 같은 충성심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런 건 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후광 효과가 아니라 혹덩이가 된다면 누가 당신을 찾을 것이며, 당신에게 충성하겠습니까.

 

한국 정치판에서 이런 지지도 역전 현상은 여러 극단적인 파열음을 낳곤 했습니다. 당신도 직접 그 현장 속에 있어봤고, 또 그 과실을 취하기도 했습니다. 한국의 정당과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정치적 미래가 걸린 사안 앞에서는 지독하리만치 냉혹합니다. 대통령이 부담이 된다면 대통령도 버리고 당이 부담스러우면 당도 버립니다. 당신이 몸담고 있는 새누리당의 변천사는 이를 웅변합니다. 민정당이 민자당으로, 민자당이 신한국당으로, 신한국당에서 한나라당으로, 한나라당이 새누리당으로, 대통령이 부담이 될 때마다 후계자와 국회의원들은 당명을 줄기차게 바꿨습니다.

 

정당은 본능적으로 정권을 추구하고, 국회의원은 재선을 추구합니다. 이념도 신념도 의리도 없다고 탓할 것만도 아닙니다. 특히 이 나라 보수정당들은 그랬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추락하자, 이명박 색깔을 말소하고 새누리당을 만든 건 당신이었습니다. 옛 열린우리당도 그랬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추락과 함께 당은 각자도생, 이합집산의 길을 걸었습니다. 새로운 리더십의 부재 속에서 지금까지 지리멸렬합니다.

 

족벌언론들도 마찬가지입니다. 2007년 대통령 후보 경선 때 그들은 대부분 당신을 버리고 이명박씨를 택했습니다. 그러다가 이명박 대통령이 추락하게 되자, 재빨리 당신에게로 돌아섰습니다. 지금 ‘불통’과 ‘독선’의 벽을 깨라는 그들의 목소리가 더욱 거칠어지고 다급해지는 건 또 다른 변신을 위한 예비 행동입니다. 그런 이들의 충고라도 새겨듣기 바랍니다. 물론 당신이 변할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의식은 유신시절에 머물고, 불신과 의심은 20년 가까운 유폐시절에 갇혀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앞으로 3년 이 나라 국민들을 더 깊은 수렁으로 빠뜨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당신은 바뀌어야 합니다. 부친의 비극이 상상 속에서나마 떠오르지 않도록 해주기 바랍니다.

 

곽병찬 대기자 chankb@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 정부만 모르는 '전월세 대란' 해결책

이걸로 확실해졌다, 서민은 안중에 없는 박근혜 정부

[게릴라칼럼] 박근혜 정부만 모르는 '전월세 대란' 해결책

15.01.19 21:29l최종 업데이트 15.01.19 21:29l

 

 

'게릴라칼럼'은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들이 쓰는 칼럼입니다. [편집자말]
기사 관련 사진
▲  중랑구 망우동의 한 아파트.
ⓒ 김동환

관련사진보기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한다는 건 자본주의 시장의 '원리'다. 수요 욕구가 높고, 구매력이 상승할 때는 가격이 올라간다.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다. '내 집 마련'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층이 많아지면 부동산 시장은 활기를 띤다. 지금과 같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구매력이 현저히 떨어져 있다는 게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소비심리를 살려내고 내수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동산시장이 회복되어야 합니다."

지난 12일 박근혜 대통령이 발표한 신년기자회견문 내용 중 일부다. 아무리 읽어봐도 이해가 안 된다. 앞뒤가 바뀐 논리다. 소비가 살아나고 내수가 개선되면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는 것이지, 부동산 시장을 회복시켜 소비와 내수를 살린다? 이는 수요, 공급의 법칙에도 어긋나는 주장이다. 

부동산 침체나 경기 활황은 경제 상태의 반영이자 지표다. 침체 원인에 대한 명확한 진단은 배제한 채 부동산 시장의 회복이 소비와 내수를 살릴 것이라는 대통령의 발언은 현실적으로나 논리적 측면에서 성립될 수 없는 '궤변'에 불과하다.

그동안 주거 공간의 안정과 편이성보다는 집값을 올려 성장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발상에 기초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효과는커녕 부작용만 키워왔다. 이명박 정권에 이은 각종 대출 제도와 규제 완화는 오히려 전·월세 가격은 폭등시켰고, 집값의 반등도 불과 몇 개월을 넘기지 못했다. 

그때마다 정부는 더 극단적인 부동산 정책을 꺼내들었지만 결과는 별반 다르지 않았다. 약발 안 먹히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 어쩌면 정부의 의도대로 거품이 집값을 띄우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중산층 위한 임대아파트를 만들겠다고?

지난 13일, 2015년 첫 부동산 대책이 나왔다. 올해 주요 업무 내용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국토교통부(아래 국토부)는 중산층을 위해 민간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는 정책을 들고 나왔다. 민간 사업자에게 세제 혜택 등 편의를 제공하여 300가구 이상을 짓거나 100가구 이상을 사들여, 8년까지 거주가 가능한 임대 사업을 할 수 있게 있게끔 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지어진 기업형 임대주택은 중산층을 겨냥한 고급 아파트로, 서울의 경우 한 달 임대료만 70~8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국토부는 2015년에만 1만호 이상의 기업주택을 공급하고 법 개정 후 공급을 대폭 늘린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업형 임대주택 계획안도 이전에 발표했던 부동산 대책과 조금도 다를 바 없다. 국토부는 전·월세 난을 겪고 있는 계층이 누구인지, 이들의 살림살이가 어떤 형편인지, 이들이 원하는 부동산 대책이 어떤 것인지, 한 번쯤이라도 진지하게 고찰했는지 궁금하다. 외곽으로 한없이 밀려나는 부평초 같은 도시 서민의 삶, 난방도 되지 않는 지하 단칸방에서 월세를 감당하기 위해 폐지를 주워 모으는 노인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부끄러워서라도 이런 대책을 내놓을 수 없었을 것이다. 

"전세는 아예 없어요. 집 주인이 남들보다 덜 올리는 것이라며 3000만 원을 더 내래요. 형편이 안 되면 그만큼을 월세로 바꾸래요. 방법이 없어요. 지금 전세에다 한 달 20~30만 원 월세를 어떻게 주고 있어요. 멀기는 하지만 좀 외곽으로 나가려고요."

이렇게 말한, 아이 둘을 둔 후배는 그래서 서울을 떴다. 직장까지 출근하는 데만 1시간 반이 걸리는데, 차가 막히는 날엔 2시간 이상도 걸린단다. 그래도 마음은 편하다는 후배. 그를 서울에서 밀어낸 건 '미친 전셋값'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숱하게 쏟아낸 부동산 대책은 그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살고 있는 동네에서 나와 인연을 맺었던 대부분의 지인들도 거의 다 떠났다. 대다수가 3~4년을 넘기지 못하고 이삿짐을 챙겼고, 그 자리는 조금 나은 동네에서 밀려온 사람들로 채워졌다.

최악으로 치닫는 서민 전월세난은 어쩌나
 

기사 관련 사진
▲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4단지의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2010년 8월 29일, 이명박 정권은 취임 후 아홉 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부부 합산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무주택자에게 2억 이하 연 5.2% 저리로 대출을 알선한다는 내용이었다. 말이 부동산 대책이지 아파트 분양광고나 다름없었다. 연 5.2%로 2억을 대출하면 한 달 이자만 86만 원에 달한다. 

한 달에 86만 원의 이자를 내고 아파트를 구입하라는 이명박 정권과 월 임대료 80만 원에 이르는 기업형 임대주택의 공급을 늘리겠다는 박근혜 정권. 두 정권 모두 대다수 국민들에게 월 80만 원이 갖는 무게가 얼마인지 알기는 하는 걸까. 

이번에 내놓은 기업형 임대주택은 정부가 인정하듯, 대기업 부장 정도의 중산층을 타깃으로 하는 사업이다. 그러니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서민들의 전·월세난의 해소책으로서는 어떤 효과도 기대하기 힘들다. 

그런데 정부는 이 사업을 위해 민간 사업자에게 택지·기금·세제 등의 혜택을 주어 참여를 유도하고 5∼6%의 임대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는 누가 보더라도 이해하기 어려운 정책이다. 대기업 부장을 위한 임대주택을 위해 온갖 특혜를 내놓다니... 이를 두고 '대기업 특혜 종합선물세트'라고 논평한 경실련의 주장은 전혀 과하지 않다. 

우려되는 점은 이것만이 아니다. 기업형 임대주택이 주변의 전·월세 가격을 부추길 우려도 있다. 뉴타운 조성 초기, '집 가진 사람들의 자산 가치를 올려주고, 집 없는 도시서민들에게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할 것'이라는 장밋빛 환상이 모두를 현혹했지만, 결국 수혜자는 건설사와 대기업이었다. 기업형 임대주택이 뉴타운 조성 때처럼, 광풍을 몰고 올 확률은 낮다. 그러나 서민들은 피해자가 되고, 기업과 건설사는 이익을 챙길 수 있는 구조인 것은 마찬가지다. 

'효과 0'인 부동산 대책, 아직도 이유 모르겠나

용산 참사 현장인 남일당 터는 지금도 임시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6년 전, 그곳은 당장 부수고 새 건물을 짓지 않으면 무슨 큰 사달이 날 것처럼 여겨졌던 땅이었다. 정부가 '기업형 임대주택'을 정말 좋은 대책인 것 마냥 내놓은 이 시간에도 누군가는 또 이삿짐을 꾸리고 있을지 모르겠다. 주택난을 핑계로 건설사에 온갖 특혜를 남발하고 은행에 대출을 알선하는 부동산 정책은 서민의 삶을 유린하는 범죄에 가깝다.

이제 박근혜 정권은 집값을 띄워 경제를 살리겠다는 아집을 버려야 한다. 정권의 의도대로 거품 위에 집값을 올려놓은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지만, 만에 하나 집값이 정부의 의도대로 경제 상황과 상관없이 치솟기만 한다면, 오히려 더 큰일이다. 그건 소비와 내수가 살아나는 신호가 아니라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와 같은 자산 파산 사태를 알리는 전조기 때문이다. 

소비와 내수를 살리는 것은 서민들의 경제력이다. 정부가 저임금 구조를 그대로 묶어 놓고, 집값도 띄워 경제를 살리겠다는 그릇된 부동산 정책을 거듭하고 있으니, 전·월세 가격이 폭등하고 서민들은 도시난민으로 떠도는 것이다. 그러니 부동산 정책의 약발이 채 서너 달을 가지 못하고, 무섭게 추락하는 것이다.

기업형 임대주택은 지금의 전월세난을 해결할 수 없다. 중산층의 주거를 위한 일이라 해도 지금 당장 급한 일은 아니다. 더구나 이는 노후 주택의 리모델링을 지원하고 주인에게 전·월세 상한제를 강제하자는 주장만큼의 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정책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신년사 관철 사업 본격화..언로 통한 관계개선 촉구


[주간북한동향] 1월 12일~1월 18일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1.19  15:57:58
트위터 페이스북

 

   
▲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강동정밀기계공장을 현지지도했다. [자료사진-통일뉴스]

 

<김정은 동향>

□ 군 분야 : 항공 및 반항공군 지휘부(13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항공 및 반항공군 지휘부를 시찰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3일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김 제1위원장은 “당의 군사전략전술사상과 주체전법, 현대전의 요구에 맞게 최단기간 안에 최상의 수준에서 풀어나가야 한다”며 “당의 훈련제일주의구호 밑에 훈련의 질을 높이는 데 모를 박고 비행전투훈련을 강화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시찰에는 황병서 총정치국장,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한광상 당 부장, 리병철 제1부부장, 김여정 당 부부장이 동행했으며, 최영호 항공 및 반항공군 사령관, 손철주 항공 및 반항공군 정치위원이 맞이했다.

□ 경제분야 : 강동정밀기계공장(16일), 금컵체육인종합식료공장(18일)

김 제1위원장이 평양 강동정밀기계공장을 찾았다고 북한 매체들이 16일 전했다. 그는 “공장 현대화사업을 진행하면서 편의봉사시설들을 손색없이 꾸리며 당의 전민과학기술 인재화방침을 철저히 관철할수 있도록 과학기술지식보급실도 지식경제시대의 요구에 맞게 일떠세워야 한다”면서 현대화를 강조했다.

한광상 당 부장, 리병철 당 제1부부장, 김영정, 홍영칠 부부장이 동행했으며, 김수길 평양시당위원회 책임비서가 맞이했다.

김 제1위원장이 평양 금컵체육인종합식료공장을 현지지도했다고 18일 북한 매체들이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당에서 적극 도와주겠으니 금컵체육인종합식료공장도 인민군대의 식료공장들처럼 우리나라 식료공장의 본보기, 표준이 될 수 있게 전변시키자”며 체육인 지원사업을 강조했다.

최룡해 당 비서, 리일환, 한광상 당 부장, 김여정 부부장이 동행했으며, 김영훈 체육상, 신용철 체육성 당위원회 책임비서가 맞이했다.

 

   
▲ 신년사를 담은 남북관계 관련 선전화가 16일 공개됐다. [자료사진-통일뉴스]

 

<정치>

□ 과학연구, 농.축.수산, 경공업부문 단위에서 신년사 관철모임이 12일 열렸다.

□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 평양의학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양인쇄공업대학, 김형직사범대학, 평양건축종합대학,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평양통계전문학교 등 학생들이 13일 사회정치활동에 돌입했다.

□ 건설건재, 국토관리 부문에서 신년사 관철모임이 14일 열렸다.

□ 교육, 체육, 문학예술, 보건, 민족유산보호부문에서 신년사 관철 모임이 15일 열렸다.

□ 새해를 맞아 남북관계를 소재로 한 선전화 7종이 16일 공개됐다.

□ 김정은 신년사 관철 우표 4종이 17일 발행됐다.

 

   
▲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7일 사설을 통해 한.미연합군사연습, 대북전단살포 등을 거론하며 평화적 환경마련을 촉구했다. [자료사진-통일뉴스]

 

<남북관계>

□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7일자 사설을 통해 한.미 연합군사연습, 대북전단살포 등을 거론하며 평화적 환경 마련을 촉구했다.

□ 웹 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18일 이산가족상봉에 앞서 한.미 연합군사연습 중단과 5.24조치 해제가 우선이라는 개인필명의 글을 공개했다.

<대외관계>

□ 김정은 제1위원장이 김정일 사망 3돌 전문을 보내온 국가들에게 답전을 15일 보냈다.

□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이사회 위원장이 김 제1위원장에게 7일 답신을 보내왔다고 매체들이 16일 보도했다.

□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콜린다 그라바르 키타로비츠 흐르바츠가공화국 신임 대통령에게 14일 축전을 보냈다.

□ ‘자금세척 및 테러자금지원방지를 위한 국가조정위원회’ 대변인은 16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질의응답에서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지원 방지를 위한 국제적 기준의 행동계혹을 이행할 뜻을 밝혔다.

□ 양성일 인구연구소 실장은 17일 유엔인구기금 가입 30년을 맞아 협력을 강조했다.

□ 밤방히엔드라스토 주북 인도네시가 대사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15일 신임장을 봉정했다.

□ 무하마드 자바르 자리흐 이란외무상이 12일 강삼현 주이란 북한대사를 만나 남북관계의 외세간섭 반대입장을 전달했다.

□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13일 논평을 통해 한.미.일 군사정보공유 약정을 비난했다.

 

   
▲ 신년사를 담은 우표 4종이 17일 발행됐다. [자료사진-통일뉴스]

 

<경제>

□ 평양시버섯공장이 건설, 12일 본격 생산에 돌입했다.

□ 지난 2013년 발표된 지방급 13개 경제개발구에 대한 개발총계획이 14일 작성됐다.

□ 피바다가극단, 국립연극단, 윤이상음악연구소 관현악단, 국립민족예술단, 국립교예단, 평양인형극단, 철도예술선전대, 청년중앙예술선전대, 직총중앙노동자예술선전대, 여맹중앙예술선전대 등이 17일 각 공장을 찾아 예술선전을 펼쳤다.

 

   
▲ 자강도 도서관이 최근 리모델링 공사를 마쳤다. [자료사진-통일뉴스]

 

<사회문화>

□ 평양 중앙동물원 2단계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라고 북한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4일 보도했다.

□ 자강도에 위치한 도립 도서관이 최근 리모델링됐다고 북한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3일 보도했다.

□ 세계레슬링연합이 2013-2014년 남자 자유형레슬링 57kg급 세계 1위에 정학진, 2위에 양경일 선수를 각각 16일 발표했다.

□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창립 69돌을 맞아 청년중앙예술선전대공연이 16일 평양 청년중앙회관에서 열렸다. 최룡해 당 비서 등이 관람했다.

□ 평양시 서포지구 환경개선사업이 완료됐다고 16일 매체들이 전했다.

□ 평양산원에서 지난 16일 올해 첫 세 쌍둥이가 태어났다. 이 세 쌍둥이는 평양산원에서 태어난 448번째 아이들이다.

□ 오는 21일 열리는 제20차 백두산상체육경기대회 준비가 한창이라고 매체들이 17일 보도했다.

□ 김일성종합대학 평양의학대학병원, 김만유병원, 평양산원, 평양시제2인민병원 등이 17일 각 지역을 찾아 현장의료봉사활동을 펼쳤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주목해야할 뉴욕채널

 
 
<분석과전망>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이는 북한의 ‘제안’
 
한성 자유기고가 
기사입력: 2015/01/19 [21:23]  최종편집: ⓒ 자주민보
 
 

 

'한미연합훈련을 임시 중단하면 핵 시험을 임시 중단할 수 있다'고 한 북한의 제안이 미국의 거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정세구성력을 유지하고 있어서 그 의미를 다시 한 번 상기해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제안을 오바마 행정부가 일축하고 말았을 때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북한의 그 제안은 더 이상 효력을 갖기 힘들 것으로 판단했다.

 

북한의 평화공세를 거절한 오바마 행정부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의 그 제안을 거절하는 데에는 하루 밖에 걸리지 않았다. 북한이 공식화한 것이 9일이었다. 하루 뒤인 10일에 미국은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을 앞세워 거절을 한 것이다. 

위협이라고까지 했다. '암묵적 위협(implicit threat)'이라는 언사를 동원했다. 북한이 핵 시험 명분을 쌓으려는 것으로 본 것이다. 

불쾌감도 표시했다. 북한의 핵 시험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고 2005년 6자회담 9.19공동성명에 따른 약속에 어긋나는 것이기도 한 것인데, 그 핵 시험 가능성에 통상적인 한미군사연습을 ‘부적절하게’ 연계시켰다는 것이었다.

 

오바마 행정부는 이어 한국정부를 통해 ‘키 리졸브’훈련을 애초의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임시 중단은 물론 수정도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미국의 이러한 태도는 북한의 제안에 대해 일축하는 것은 물론 그 뒤 쐐기까지 박는 것으로 이해해도 될 만했다.

이때 몇몇 전문가들이 판단했던 것이 북한의 제안이 힘을 잃고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실은 전문가들의 그 판단이 정확치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의 거절로 뒤로 처지는 듯했던 북한의 그 제안이 일단, 중국 언론의 입장 표명으로 다시 부각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중국 <신화통신> 미국 <뉴욕타임즈>의 오바마 행정부에 대한 비판

 

중국 관영 <신화통신>의 11일자 해설기사는 미국의 거절을 두고 “분단된 한반도의 신뢰구축과 평화 실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의례적인 반발이 아니었다. 반격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신화통신의 비판은 구체적이었다. 예리하기까지 했다. 

북한의 핵 시험과 한미군사연습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고 한 것이 그 비근한 예다. 그 지적의 과녁은 구체적으로 사키 대변인이었다. 한미군사훈련과 핵 시험을 연계시키는 것에 대해서 직접 불평을 표했던 사키 대변인을 정면에서 비판한 것이다. 놀랄만한 지적이었다. 출처를 밝히지 않으면 북한이 하는 대미공세처럼 보일만도 했다.

 

<신화통신>은 40년 간의 한미군사연습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한반도에 평화와 화해를 가져오지 못했다’고 했다. 그리고 ‘한미연합훈련이 북한의 벼랑 끝 전술을 부추기고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었다’는 지적을 했다. 

 

<신화통신>은 북한의 제안에 대해서는 매우 호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북한 국방위원회 김정은 제1위원장이 ‘미국과 한국에 취한 긴장 완화 노력’이라고 했다. 북한의 제안이 “수십 년 지속된 한반도 위기를 평화적으로 풀기 위해 내놓은 일종의 선의”라는 평가를 하면서다. 

 

<신화통신>의 지적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은 북한의 제안이 이행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한반도를 둘러싼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미국이 의도적으로 무시하기로 한 것 같다고 꼬집은 것도 있다. 미국이 한반도에서 원하는 것이 평화가 아니라 긴장이라는 것을 우회적으로 지적한 것으로 보일만도 했다.  

 

북한의 제안을 거절한 오바마 행정부에 대한 비판은 미국 내에서도 나왔다. 대표적으로 <뉴욕타임스>를 꼽을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북한의 제안을 진지한 제안이라고 보고 있는 미국 내의 몇몇 북한 전문가들의 입장을 강조하는 내용의 사설을 15일자로 게재했다. <통일뉴스> 16일자 보도가 확인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오바마 대통령이 ‘범세계적인 핵확산 감소’를 서약했다는 것을 상기시키며 “북한의 핵개발을 막기 위한 그의 정책은 실패했다”고 비판을 했다. 

그리고는 북한의 제안이 “(미국이) 군사연습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선의를 보여서 협상의 공간을 열 수 있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오바마 행정부에게 대북대화를 주문한 것이다.

 

북한의 제안은 여전히 유효한 것인가?

 

북한의 제안을 거부한 오바마 행정부에 대해 중국과 미국의 언론들이 비판을 하는 것은 북한의 제안에 정세구성력을 실어주는 동력으로 작동했다.  

 

미국의 거절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는 북한의 적극적인 태세가 물론 그 제안의 정세구성력을 유지하게 하는 결정적 요인이기는 했다. 북한이 외교관을 앞세워 미국에게 그 제안의 배경을 설명하겠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포함하여 언론플레이를 적극적으로 벌인 것 등이 그것들이다.

 

북한의 제안이 현재 여전히 정세구성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결코 단순하게 볼 문제가 아니다. 

19일 청와대에서 진행된 국방부의 ‘2015년 국방업무계획’ 보고는 미국이 계획대로 키 리졸브(KR)와 독수리연습(FE)을 3월 초부터 실시한다는 것을 또 다시 확인해주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이후에도 즉, 한미연합훈련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의 제안을 강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북한의 제안이 미국의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비판과 공세의 위력한 무기가 되게 될 것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북한은 만일 정세의 호전에 따라 북미대화와 관련되는 최소한의 성과가 마련되게 된다면 이를 자신 제안의 성과로 평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것들은 북한의 이 제안을 두고 무턱대고 일축하고 말 그런 것이 아님을, 더구나 우리의 국방부가 말하는 그 무슨 심리전이라고 단순히 접근해서도 안된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대목이다. 

 

실질적으로 매우 중대한 사안으로 되는 것이다. <신화통신>이 언급한 것에서 이미 확인되는 내용이다. 

북한의 핵 시험과 한미군사연습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고 한 것이 그 하나이다. 또 하나는 한반도에 평화와 화해를 가져오지 못했던 것이 한미연합훈련이라고 한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한미연합훈련과 핵 시험을 연계하여 임시로 중단을 하자는 제안이 김정은 제1위원장이 미국과 한국에 취한 긴장 완화 노력이라고 한 것이다.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복기해볼 만한 내용들이다. 북한의 제안이 그 정세구성력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현 시기 전문가들의 눈이 다시 뉴욕채널로 집중되고 있는 이유이다. 북한의 제안이 사용했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뉴욕채널이다.  

 

뉴욕채널을 구성하는 북한 측 장일훈 유엔 차석대사 그리고 미국 측 시드니 사일러 국무부 6자회담 특사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 것인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석유공사 막무가내 매입 ‘사기’ 당해

등록 : 2015.01.18 21:30수정 : 2015.01.19 11:04

툴바메뉴

기사공유하기

보내기
 

① 해양 시추 ‘사비아페루’에 가보니…

 
페루 대통령도 말렸지만…“3억달러짜리 12억달러에 덥석”

 

 

 

■ 사비아페루

 

2009년 2월 한국석유공사가 콜롬비아 석유공사와 함께 사들인 페루 석유회사다. 페루 북쪽 서해상에 위치한 해상 광구에서 석유를 생산 및 탐사한다. 석유공사 최초의 외국 석유회사 인수·합병(M&A) 사례다. 누적 투자액 7100억원으로, 서울시 무상급식 예산(1400억원)의 5배다. 석유나 수익을 국내에 전혀 들여오지 못한 채 현재 매각 추진중이다. 2009년 초 알란 가르시아 전 페루 대통령이 “거래하지 말 것”을 요청했으나, 정부와 석유공사는 거래를 강행했다.

 

 

 

지난 7일 오후 페루 북쪽 해안에서 석유 시추선이 사이를 배들이 오가고 있다. 리마에서 탈라라행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찍었다. 탈라라/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사진으로만 봤던 모습이 눈앞에 펼쳐졌다. 사막이 끝나는 곳에서 새파란 바다가 시작됐다. 바다에는 큐빅 모양 석유 플랜트가 띄엄띄엄 박혀 있었다. 그 사이를 배들이 오갔고, 바닷가 한켠에는 기름 탱크가 모여 있었다. 종종 죽은 물개가 떠내려온다는 해변에는 현지인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러나 40달러 아래로 떨어진 석유 값처럼, 바다 위 ‘석유 밭’에는 도통 활기라고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기름값은 6개월 전만 해도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았다. 손에 잡힐 듯한 바다 위 플랜트에는 예상했던 불기둥 따위가 보이지 않았다.

 

바다 밑을 통과해 육지에 닿은 운송용 파이프 라인은 얇고 앙상했다.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는 읍내 역시 풀이 죽어 있었다. 새카만 얼굴의 현지 주민들은 멀리서 찾아온 ‘꼬레아노(한국인) 기자’에게 “사비아가 몇년 째 새 유전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탐사광구에선) 물만 퍼내고 있다”며 걱정스런 얼굴로 말했다. 지난달 7~8일(현지 시각) 방문한 페루 북쪽 해안의 사막도시 딸라라의 풍경이다.

 

한국석유공사는 2009년 2월 콜롬비아 석유공사(에코페트롤)와 함께 이곳 딸라라의 석유회사 ‘사비아페루’(사비아)를 인수했다. 탐사광구 10곳에 생산유전 1곳의 사업권을 따내는데 12억달러(약 1조3천억원)를 지불했다. 양쪽이 반반씩 분담했다. 페루 해상 광구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하루 평균 석유 1만여 배럴을 생산하는 중소형 유전이다. 인수는 이명박 정부 들어서 2008년부터 본격화 한 석유공사 대형화의 ‘신호탄’이었다. 정부는 자원 수입량 중 우리가 직접 생산하는 비율인 ‘자주개발률’이 0.3%포인트 상승하게 됐다고 홍보했다. 생산량도 2015년까지 지금의 거의 다섯배인 일평균 4만5000배럴로 늘어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을 내놨다.

 

 

외교채널 통한 ‘인수 반대’ 충고 무시
석유공사 막무가내 매입 ‘사기’ 당해
당시 대사 “대통령이 한다는데…”
석유공사 관리 손놔…매각 추진중

 

 

지난 7일 탈라라 해변에서 찍은 사비아 페루의 해상 시추선 모습. 탈라라/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6년여가 흐른 지금, 석유공사는 이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사비야 매각을 추진중이다. 생산량은 수년째 1만배럴 그대로이고, 그동안 생산한 석유도 국내로 들여오지 못했다. 지난 5년 동안 1811억원(공사의 지분만큼만 반영)의 당기순이익이 났다고 하지만 모두 재투자되고 있다. 국내엔 한푼도 반입되지 않는 상황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세금·벌금을 둘러싸고 페루 정부 및 매각자와 소송이 이어지고 있다.

 

남미에 기반을 둔 독립언론인 <아이피에스(IPS) 뉴스>의 앙헬 파에즈 기자는 “사비아 매매는 페루 대통령까지 나서서 말린 거래였다. (이런 상황은) 예고된 것이나 다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사비아 매매에 대한 심층 분석 기사를 2009~2010년 여러 차례 썼다. 사비아를 공사에 판 미국인 윌리엄 캘롭은 양도세를 내지 않는 방식으로 거래를 추진했고, 2008년 말 페루 정가를 휩쓴 이른바 ‘오일 스캔들’ 도청의 배후로 지목받았다.

 

실제 <한겨레>가 김제남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당시 3급 비밀문서에는 이런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사비아 매매 직전인 2009년 1월20일부터 2월6일까지 외교통상부와 페루 및 콜롬비아 주재 한국대사관이 6차례 주고받은 대외비 문서를 보면, 가르시아 전 페루 대통령은 “(사비아에 대한) 부정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이를 인수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2009년 1월말 한국 쪽에 밝혔다. 벨라운데 전 페루 외교장관도 “이번 인수 계약이 체결되면 양국 관계 발전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당시 정부와 석유공사는 이런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병길 전 페루 대사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나도) 사비아 거래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하겠다고 하는데, 일개 대사가 (거래를) 하지 말자는 입장을 낼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의지가 실린 채 거래는 이뤄졌지만 페루 의회는 사비아 매매 완료 1주일 만인 2009년 2월 중순 사비아 매매의 불법성을 조사하는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렸다. 1년여 뒤 무려 4억8200만달러의 미납 세금과 벌금 등을 부과했다.

 

7161억원이 투자된 사비야 인수는 국민들에게 선전한 자원의 확보도, 금전적 수익도, 외교에도 득이 되지 않았다.

 

지난 9일 호르헤 사코네티 산마르코스국립대학 교수가 한겨레 기자에게 사비아 경영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리마/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지난 9일 오후 페루 리마의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에서 호르헤 자코네티 교수(경제학)를 만났다. 남미에서 가장 오래됐고, 페루의 가난한 수재들이 많이 다닌다는 곳이다. 교수는 지난해 사비아 노조 쪽 요청으로 사비아 경영 현황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경제학자답게 각종 통계 자료를 준비한 채 한국에서 온 기자를 맞았다.

 

애초 30분으로 예정했던 인터뷰는 2시간 동안 진행됐다. 노교수는 땀을 뻘뻘 흘리며 칠판에, 딸라라 해상 플랜트의 구조와 사비아 계약의 특징 등을 설명했다. ‘한국이 페루 정부의 경고를 무시하고 사비아를 산 것이 잘못된 선택 아니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는 웃으며 “필요하다면 살 수 있다. 그런데 너무 비싸게 샀다. 내가 보기엔 3억달러면 충분했다. 9억달러(최종 12억달러)에 샀으니, 한 마디로 사기 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취재를 위해 남미에 출장온 지 일주일 째 급기야 ‘사기’라는 단어를 듣게 됐다.

 

사비아를 공사에 팔았던 미국인 윌리엄 캘롭은 1993년 ‘20년 동안 7400만달러’를 투자하기로 하고 페루 정부로부터 회사 운영권을 땄다. 그는 16년 뒤인 2009년 초 회사를 한국과 콜롬비아에 12억달러에 팔았다. 게다가 거액의 양도세 납부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세운 지주회사를 매각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특명으로 자원 외교 기치를 내걸고 세계 석유 시장에 뛰어든 ‘풋내기’ 석유공사는 사실상 그의 ‘먹튀’ 행위를 도왔다.

 

석유공사와 페루 정부가 맺은 계약은 개발 허가권을 뜻하는 라이센스 계약이 아닌 서비스 계약이다. 석유공사는 딸라라 해상 시설을 빌려 기름을 뽑아내는 권리를 지닐 뿐, 시추 시설이나 생산된 기름의 판매 권한은 모두 페루 정부에 있다. 페루 정부가 기름을 생산하는 석유공사에 수수료를 지급하는 일종의 ‘하도급 계약’인 셈이다. 자코네티 교수가 ‘사기’라고 말하는 근거는 계약의 이런 형태 때문이다. 그는 “계약 특성상 사비아가 쓰는 해상 타워나 배 등은 사실 페루 정부의 것이고, 석유공사는 단지 이를 빌려 쓰는 것”이라며 “실제 그가 판 것은 사실상 서비스 계약서, 즉 종이 한 장”이라고 말했다.

 

 

7천억 넘게 투자해놓고
현지에 한국인 상주 직원 1명도 없어
시설물 대부분 ‘소유’ 아닌 ‘임대’에
국내에 석유 반입 못해 ‘자주개발’과도 무관

 

 

사비야의 수익성을 장담했던 석유공사는 지금 사비아 매각을 추진 중이다. 김명훈 석유공사 홍보실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사비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려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 자원개발 사업을 하는 한 사업가는 “사비아가 시장에 나왔지만, 회사 구조가 좋지 않고 인프라도 나쁘다”며 “시장의 관심이 낮다”고 말했다. 수익은 둘째치고 당초 투자금보다 적은 돈을 받고서 팔 수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매입 과정에서 실제보다 많은 돈을 치르는 문제는 사비아 뿐만 아니라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다른 사업에서도 비일비재하다. 캐나다 하베스트사의 경우 실제 가치보다 수천억원 높은 가격에 인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고, 영국 석유 탐사업체인 다나를 인수할 때도 고가 매입 논란이 일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상과제로 제시한 자주개발률을 높일 수 있는 물량만 있다면 계약의 형태나 가격을 따지지 않은 채 무리하게 계약을 추진한 탓이다.

 

그러나 사비아는 계약상 석유 확보도 하지 못하는 구조다. 사비아에서 생산하는 원유의 처분권은 한국이 아닌 페루 정부에 있다. 석유공사는 애당초 석유가 아닌 돈을 받는 계약을 맺고서는, 생산량을 자신들의 지분율(50%) 만큼 반영해 이를 석유 자주개발률에 포함시켰다. 이는 국민을 속인 것이나 다름없다.

 

사비아는 해상에서 뽑은 기름을 파이프라인로 육지에 보내고 있지만 기름 처분권은 페루 정부에 있다. 탈라라/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7일 오후 퇴약볕이 내리쬐는 가운데 딸라라의 사비아 현지 사무소를 찾았다. 기자가 ‘한국인 직원을 만나고 싶다’고 했으나, 경비원들은 “이곳엔 없고, 리마에 있다”고 답했다. 현지인 직원 700여명이 일하고 있고, 해마다 탐사 광구에 수백억원의 돈이 투입되는 딸라라 사무소에 단 한 명의 한국인 직원도 상주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70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자해놓고 관리엔 소홀한 것이다. 딸라라에서 만난 한 사비아 직원은 “한국인은 어쩌다 한 명 왔다가 금방 되돌아간다”며 “공동 경영진인 콜롬비아 쪽은 그나마 몇 명이 상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한 주민은 “사비아는 콜롬비아가 단독 운영하는 회사 아니냐”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행태는 비단 석유공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광물자원공사는 멕시코에서 벌인 볼레오 동광 사업에 지금까지 1조1534억원을 투자했으나 한동안 단 1명의 상주 직원만을 보내, 돈이 제대로 쓰이는지 관리 감독을 못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당시 광물공사의 사외이사로 일한 남효응 전 이사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2012년 볼레오 현장에 갔더니 한국인 직원이 딱 1명 있었다”며 “막대한 돈을 투자하면서 어떻게 이렇게 관리하는지, 공기업이 진짜 문제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지난 6년여 동안 석유공사가 투자한 사비아 탐사광구 10곳 중에 성공한 곳이 한 곳도 없다는 사실도 이런 경영 공백과 무관하지 않아 보였다. 사비아에서 30년 넘게 일하다 최근 퇴직해 택시 운전을 한다는 한 시민은 “기계를 산다고 돈을 받고서는 실제로는 중고 기계를 사거나, 일을 절반만 하고는 다 했다는 식으로 돈을 빼돌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20여년 동안 사비아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한 직원은 “경영진인 한국과 콜럼비아 쪽 사이에 문제가 있다. 콜롬비아 쪽이 돈을 떼 먹고 있지만 한국은 별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말을 하는 게 두렵지 않으냐’는 질문에 “사실을 빨리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페루 리마의 사비아 사무소에 이런 사실에 대한 의견을 물으려고 찾아갔으나, 이들은 인터뷰에 응하지 않았다.

 

리마·딸라라/최현준, 임인택 김정필 기자haojune@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직구성과 예산에 '세금도둑' 비난... 독립성 해치는 정치적 개입

"세금도둑" 비난한 새누리당
세월호 특위에 '가이드 라인'?

[여의도본색] 조직구성과 예산에 '세금도둑' 비난... 독립성 해치는 정치적 개입

15.01.19 08:22l최종 업데이트 15.01.19 09:42l

 

 

기사 관련 사진
▲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가 16일 오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원내현안대책회의에서 세월호 진상규명위원회 직제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지난 16일 새누리당의 원내대책회의. 인천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이 주요 현안으로 다뤄지는 중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가 "주제는 다르지만 한 가지 지적하고자 한다"라며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아래 세월호 특위)를 언급했다. 그의 말처럼 현안과 동떨어진 갑작스러운 발언이었다. 

그는 "세월호 특위가 여야가 120명으로 합의한 사무처 직원이 125명으로, 13개과를 둔 '거대조직'으로 구성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조직을 구성하는 사람은 '세금도둑'"이라고 직설적으로 비난했다. 그러면서 "조사를 하는 실무자는 없다"라며 "세금도둑적 작태를 절대로 용서하지 말아야 한다"라며 재차 비난의 강도를 높였다. 

곧바로 김 수석부대표의 말을 인용한 기사들이 쏟아졌다. 지난해 여야의 특별법 합의 과정에서 진통을 겪었던 세월호 특위를 김 수석부대표가 또다시 여론의 도마 위에 올려놓은 것이다. 

세월호 특위 예산은 아직 '협의중'

<오마이뉴스> 역시 확인 취재에 들어갔다. 특위 구성에 문제가 있다면 분명 구성 주체들부터 갈등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이석태 위원장을 비롯한 상임위원들, 새누리당 추천 위원과도 통화했지만 별다른 문제는 감지되지 않았다. 설립준비단 내부에서 일부 의견 차이가 있다고 해도, 조율하는 과정에 있고, 갈등이라고 할 만큼의 문제는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 김 수석부대표가 무슨 말을 했는지도 모르고 있었고,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알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 직제 구성과 예산 문제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불필요한 논란이 일어나는 것은 특위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걱정하며 답변을 조심스러워 했다. 준비단에는 유가족과 야당, 대법원, 대한변협 그리고 새누리당이 각각 1명씩 추천한 상임위원 5명과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전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기관 등이 들어와 있다.

설립준비단 측 설명에 따르면 현재 세월호 특위는 직제(안), 예산(안), 시행령(안)을 관련부처인 기획재정부와 행정자치부와 협의 중이고 아직 완료된 것이 없는 상황이다. 설립준비단 내에서 협의가 이뤄진 후에도 정부 차관회의와 국무회의를 거쳐 대통령의 최종 승인이 있어야 대통령령으로 시행 공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수석부대표는 왜 '세금도둑'이라는 원색적 표현으로 세월호 특위를 비난한 것일까? 세월호 특위가 여야가 합의한 특별법 범위 안에서 구성될 수밖에 없고, 예산 역시 정부와 협의를 거쳐야 하는 조건임에도 '세금도둑'이라고 지칭한 것은 또 다른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지적받을 수 있다. 

우선 김 수석부대표의 발언으로 세월호 특위의 활동은 시작하기 전부터 위축될 수밖에 없다. 진상조사를 위해 꼭 필요한 예산도 '세금도둑'이라는 규정 안에서 공격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일정한 직제가 있어야 함에도, 그것마저 비난받을 수 있다. 이래저래 눈치봐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세월호 특위의 독립성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세월호 특별법에는 '위원회는 그 권한에 속하는 업무를 수행할 때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고 업무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라며 독립성을 따로 규정하고 있다. 세월호 특위가 김 수석부대표 발언의 영향을 받는다면, 그것은 사실상 정치권력의 개입으로 비칠 수 있다. 

실질조사도 "이미 충분하다"는 새누리당

김 수석부대표의 발언에 맞춰 새누리당도 세월호 특위를 공격했다.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수백억의 국민 세금을 낭비할 작정인 듯하다"라며 "진상조사위원회의 규모가 너무 방대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재부에 요구한 예산이 241억 원에 달한다"라며 "일부 사업들은 당초 조사위가 목적했던 진상규명과도 거리가 멀다"라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변인이 문제 삼은 항목은 홈페이지 구축과 운영에 1억6000만 원, 번역료 3억2000만 원, 조사위 활동 홍보 6억7000만 원, 생존자 증언채록 8억 원 등의 비용과 수중탐색조사, 3D 모형제작, 탑승객 동선 DB구축 등의 실질조사에 들어가는 16억 원 등이다. 운영비용은 대부분 용역을 통하는 등 외부로 지출되고, 실질조사는 "이미 충분히 이뤄졌다"는 것이다. 

거꾸로 말하면 홈페이지 구축과 운영, 활동 홍보, 생존자 증언채록, 수중탐색조사, 3D 모형제작, 탑승객 동선 DB구축 등은 특위가 할 필요없는 활동이라는 것이다. 사실상 세월호 특위 활동 전반을 문제삼으면서 그 활동범위에 '가이드라인'을 치고 나오는 모습이다. 

새누리당은 또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종합대책 수립 과정에서 워크숍과 세미나, 전국순회 토론회, 해외 전문가 면담으로 책정된 11억 원도 문제 삼았다. 하지만 특별법에는 세월호 특위 아래 안전사회 소위원회를 두고 활동하게 돼 있다. 새누리당의 지적은 안전사회 소위원회가 워크샵과 세미나, 토론회, 해외전문가 면담 등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다름없다. 

특히 김 원내대변인이 위원회 청사에 들어가는 월 임대료 1억2000만 원까지 지적한 것은 악의적이다. 세월호 특위는 비어있는 정부청사에 입주하기를 원했으나, 담당부처가 어렵다고 해 현재 한국자산관리공사 소유 빌딩에 입주할 계획이다. 월 임대료가 공공기관의 수입이 되는 것임에도 막무가내로 흠집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설립준비단도 보도자료를 내고, 김 수석부대표의 발언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사무처가 125명이라는 지적에는 "정무직 5명(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 3명)을 포함하여 125명이며, 사무처 직원의 정원은 120명"이라며 "정무직 공무원을 직원의 정원에 포함하지 않는 것은 국가공무원총정원령 제2조 제2항에 근거해 볼 때 타당하다"라고 밝혔다.  

또 김 부대표가 '여성부, 방통위보다 더 큰 조직'이라고 한 것과 관련, 준비단은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안전사회 건설이라는 설립 목적을 감안할 때, 여성부나 방통위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다"라며 "조사 기능을 가진 국가인권위가 5국 19과 180명, 진실화해위가 4국 19과 150명인 것을 볼 때, 과다한 것이 결코 아니다"고 반박했다.  

특위 내부 분란, 그 다음은 보수단체 기자회견?
 
기사 관련 사진
▲  황전원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이 18일 국회 정론관에서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설립준비단의 예산 요구내역 일체 공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황 위원은 새누리당 추천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이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이번 김 수석부대표의 발언으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이것이 마치 '짜인 시나리오'처럼 흘러가고 있다는 점이다. 김 수석부대표가 '세금도둑'이라는 틀 안에 특위 활동을 제한시키고, 여기에 새누리당이 추천한 특위 위원들이 동조하면서 내부 분란을 만들고, 또 이를 비난하는 외부 여론이 조성되면서 특위 자체가 무력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황전원 특위위원은 18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특위 설립준비단이 정부에 요구한 예산액이 241억 원이라고 한다"라며 "세월호 특위 위원조차 듣지도 보지도 못한 금액으로 황당하고 터무니없다"라고 말했다. 황 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공보특보를 역임했고, 2012년 총선 당시 경남 김해을에 공천을 신청한 바 있다. 

그는 김 수석부대표의 발언이 나온 직후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아직 대통령에게 (위원으로) 임명받지도 않았고, 설립준비단에서 상임위원들이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을 잘 모른다"라고 말했다. 자신이 내용을 잘 모르고 있는 것을 당연히 여기던 황 위원이 어떻게 이틀 만에 태도를 바꿔 설립준비단을 비판하게 됐는지 의문이다. 

황 위원의 이날 기자회견으로 김 수석부대표의 발언에서 불거진 세월호 특위 구성 관련 논쟁에 불이 붙었다. 세월호 특위가 요청한 241억 원의 예산의 타당성을 놓고 여야가 대립하고 국민여론도 분리돼 갑론을박이 벌어질 게 뻔하다. 다음 시나리오를 예측하라고 한다면, 아무래도 세월호 특위를 규탄하는 보수단체의 기자회견이나 집회가 될 것이다. 또다시 쪼개진 여론 앞에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의 위기가 찾아 왔다. 

한편, 김재원 수석부대표는 세월호 특위 설립준비단의 명의로 보도자료를 배포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논란이 된 발언 당일 오후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설립 추진현황 [보도자료]'라는 제목의 메일이 새누리당 출입기자들에게 발송됐고, 발신자 명의 역시 '세월호 특위 설립준비단'이었다. 일부 매체는 그 보도자료를 설립준비단 측의 반론으로 여기고 그대로 보도하기도 했다. 

김 수석부대표 측이 "당 대변인 행정실의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아직 협의가 진행 중인 설립준비단의 내부자료를 공식해명인 것처럼 배포한 것은 문제가 있다. 이를 <프레시안>이 일종의 '도용'으로 보도하자 김 수석부대표는 "일부 언론사가 해당 자료를 요청해 배포한 것"이라며 "정정보도를 요청한다, 조치가 없을 경우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편집실의 창

편집실의 창

김종대 2015. 01. 19
조회수 1494 추천수 0
 

 142103855982_20150113.jpg

 

희안한 기자회견 풍경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여러모로 인상적입니다. 대통령 주변 좌석에 비서실 참모들을 앞줄에 앉히고 뒤쪽에는 총리와 장관을 배석시켰습니다. 우리 헌법과 정부조직법은 대통령이 총리를 통해 각 부 장관을 통할하면서 정부가 유지되는 대통령중심제입니다. 대통령이 신년 국정구상을 밝히는 자리라면 대통령과 총리, 장관들이 함께 기자회견을 하는 자리여야 합니다. 그런데 김기춘 비서실장, 김관진 안보실장과 수석들이 앞자리를 채우고 그 뒷줄에 국무위원들이 꿔다 논 보리자루같이 앉아있는 모습은 우리 정치권력의 비정상적인 단면을 드러냅니다. 본래 대통령 비서실은 대통령과 장관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는 말 그대로 비서들입니다. 자체적인 정책수립 기능이 있는 것도 아니고 공공기관으로서 위상을 갖추지 못한 일종의 기능직 스탭들입니다. 그런데 한국적 정치 현실에서는 어찌된 일인지 부처 장관 위에 비서실 수석들이 군림하는 현상, 즉 문고리 권력이 말을 하는 권력의 초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져 왔습니다. 이에 비하면 들러리 선 장관도 초라해 보입니다. 이렇게 기자회견을 하려면 장관들을 부르지 말았어야 합니다. 이날 한 장관은 기자회견에 참석하느라고 기관 창설 이후 첫 국회 업무보고에도 참석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냥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만의 기자회견으로 하는 게 차라리 낳았을 법 합니다.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왜곡되고 뒤틀어진 우리 권력구조에 대한 국민의 불안은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문고리 권력을 비호하는 대통령의 "마이 웨이(my way)"만 메아리쳤습니다. 여전히 소통과는 거리가 멀어지는 느낌입니다. 정치행정에서 말하는 원래 의미의 '소통(communication)'이란 국민의 요구(demand)에 정부가 응답(supply)하는 메커니즘을 말하는 것입니다. 반면 정치지도자를 대통령이 자주 만나 밥을 먹고 국민들과 접촉면을 넓히는 것이 소통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스킨십(skin-ship)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런 스킨십이라면 익명성을 요구하는 청와대 참모들의 속성상 오히려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청와대 실장, 수석이 여러 사람 만나고 다니면 익명성이 훼손되어 국정에 오히려 혼선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반면 국민 대다수가 원하고 합의된 여론이라면 정치권력에 이에 부응하는 것이 소통의 본질입니다. 작년 말 터진 정윤회 문건 파동에서 보수-진보 지 할 것 없이 언론은 강력한 인적 쇄신과 국정 스타일의 변화를 요구했다면 마땅히 대통령은 이에 화답하는 형태로 답을 내놓는 것을 일컬어 소통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론에 밀려서 누구를 내보내지 않겠다며 이를 거부하면 소통이 안 되는 것입니다. 또한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국정의 난맥 현상에 납득할 만한 설명이 없다면 이 역시 소통이 안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라진 국정비전

 

  이런 관점에서 이번 신년 기자회견은 실패작입니다. 그동안 이제껏 대통령이 말한 통일대박도, 규제 철폐도, 민생이나 복지도 이번 기자회견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오직 신자유주의의 전도사처럼 국가의 외형적 성장만 말하는 것으로는 국민에게 행복을 줄 수 없습니다. 대통령선거 당시 구호였던 경제민주화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아예 입에 올리지도 않았고 비정규직이나 반값 등록금 문제, 가계 부채 등 시한폭탄과 같은 사회 현안에 대한 언급도 회피했습니다. 작년 기자회견 때 말한 통일대박론도 이제는 벌써 구호로 끝나 대통령 자신마저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정말 걱정스러운 것은 올해 대한민국이 갑자기 새로운 활력으로 채워질 것 같은 낙관적인 느낌보다 더 나빠지지만 않으면 다행일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졌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런 느낌마저도 청와대에 대통령이 듣기 좋은 말만 녹음기처럼 되풀이하는 참모들에게 둘러싸여 전달될 것 같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이번에 사퇴하는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재임기간 7개월 동안 단 한 번도 대통령에게 대면보고를 해보지 못했다”며 자조와 탄식의 메시지를 남기고 청와대를 떠난다는 소식은 청와대 내의 정보유통에 얼마나 심각한 동맥경화증이 있는가를 미루어 짐작케 합니다. 심지어 국회 운영위에 출석한 김기춘 비서실장이 “모든 보고를 대통령에게 다 올리는 것이 아니고 중요한 것만 추려서 보고한다”며 대통령이 시중 여론은 물론 정보도 다 보는 게 아니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대통령이 어떤 정보는 보고 어떤 정보는 무시하는 것인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문고리 권력에 대한 국정의 의존도가 우리 상상을 초월한다는 우려를 갖게 합니다.
  작금의 동북아 정세를 보면 미국과 중국 간의 지역패권(regional hegemony) 경쟁이 격화되고 있고 대만과 인도가 한국경제를 맹추격하고 있으며 신냉전적 질서로 지역질서가 재편되고 있습니다. 국가 간 사활을 건 생존경쟁이 격화되면서 장차 한국의 생존과 번영에도 새로운 비전과 추진력이 요구되는 엄중한 시기입니다. 이 거센 도전을 헤치고 위대한 항해를 시작해야 하는 대한민국 호는 국가의 지혜와 역량을 결집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배의 선장이 보이지 않습니다. 국민의 에너지가 쏟아져 나와야 할 광장에는 서슬 퍼런 감시와 처벌의 공권력만 있고 대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보이지 않습니다. 여러 공허한 비전이 지나가고 나니 이제 지도자가 할 수 있는 말이라곤 ‘경제 살리기’ 외엔 더 남아있는 것도 없습니다. 그리고 국민의 질문에는 아~, 그~, 저~를 남발하는 더듬거리는 대통령에게서 국가 최고지도자로서의 당당함과 자신감이 보이지 않습니다. 단지 종갓집 맏며느리의 단아한 이미지만으로 어찌 이 거친 세파를 이길 수 있겠습니까? “무언가 잘 되고 있다”는 달콤한 착각만으로 이 엄혹한 현실의 문제를 직시하는 분별력은 더 흐려지고 현실의 문제를 애써 외면하려는 자기도피의 증상마저 나타나고 있지 않습니까?


  위험한 구조물이 된 권력

 

  박근혜 정부는 성공해야 합니다. 그것은 대통령 개인의 성공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국가의 성공을 말하는 것입니다. “단 하루도 빼놓지 않고 오직 국가만 생각한다”는 권력의 나르시시즘은 국민보고 자신만 잘 따라오라는 잘못된 명령으로 연결됩니다. 대통령도 실수할 수 있고 자신 만의 사생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실수나 사생활이 자신의 확장된 육신이기 때문에 모욕이나 비판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일종의 특권적 사고방식일 뿐만 아니라 문제의 본질도 아닙니다. 국민이 이런 문제를 걱정하는 이유는 유연하게 소통하고 자유롭게 교류하는 열린 국정을 바라기 때문입니다. 청와대는 국민 모두의 집이지 대통령의 구중궁궐이 아닙니다. 그런데 어떤 권력이 사유화되고 독점되면서 정작 주인인 국민이 소외되기 때문에 우리는 보다 투명하고 열린 자세를 촉구하는 것입니다.

 q1.jpg

 지금 청와대는 마치 안전진단 다 등급을 받은 위험한 구조물과 같습니다. 빨리 개보수를 하던지 철거하지 않으면 더 위험해집니다. 언제 항명, 기강문란, 문건유출 사건이 또 일어날지 알 수 없습니다. 대통령이 이런 여론을 무시한다는 것은 참으로 큰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경제혁신이라는 것도 대통령 혼자서 하는 일은 아니고 국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재벌 대기업에 유리한 감세와 규제완화를 추진하면서 국민의 동의를 구하지 않습니다. 이런 혁신을 꼭 해야 하는 것인지도 의문입니다. 국가가 이렇다면 국민은 스스로의 안위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작년에 세월호 사건을 비롯한 유난히 많았던 죽음들에 정부는 저 멀리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스스로 안위를 챙기고 알아서 자신을 지키지 않는다면 누가 우리를 보호하겠습니까? 도망친 선장처럼 공허한 이 국가에 과연 주인은 누구란 말입니까?

김종대 디펜스21 플러스 편집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 정부 “모든 돈은 재벌로…”올인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5/01/19 12:36
  • 수정일
    2015/01/19 12:36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이명박근혜 정부 10년’을 만드신 분들 어떠세요. 만족하십니까?
 
임두만 | 2015-01-19 10:08:49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13월의 보너스가 아니라 13월의 증세로 변해버린 연말정산 문제로 지금 나라가 시끄럽습니다. 여러 말 할 것 없이 재벌들에게 깎아주고서 보전하지 못한 세금을 월급쟁이들 유리 지갑에서 벌충할 작전이 들통난 때문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 흡연자 커뮤니티 아이러브스모킹이 지난해 11월 17일 오전 담배값 인상에 반대하면서 여의도 새누리당사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새누리당이 서민을 쥐어 짠다는 의미의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신문고뉴스 박훈규

상류층 법인들 법인세 감면해주고 돈많은 부동산 부자들 부동산세 감면해주느라 비어버린 나라 곳간을 담배세를 인상하여 서민들 갈취하고, 월급쟁이 월급 봉투에서 또 갈취하는 것으로 채우려는 속셈이 드러난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 여론이 매우 안 좋으니까 여권이 또 물귀신 작전을 쓰고 있습니다. “야당도 합의했으니 우리 책임만은 아니다”가 그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어떻든 담배세 인상도 세액공제로 바뀐 소득세법 개정안도 국회를 통과했으니 야당이 합의해준 것 맞습니다. 야당도 당연히 책임이 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야당이 지금 여당에 대고 종주먹질을 하는 것은 똥싼 놈이 성질내는 것 맞습니다.

하지만 지금 안정과반수를 확실하게 넘겨있는 새누리당이 운영하는 국회를 개별적 사안 가지고 야당이 따지면서 공전시키거나 하면 “민생국회를 볼모로 삼아 정쟁이나 하는 야당”으로 몰아친 것은 여당과 청와대입니다. 또 이에 동조한 조중동과 지상파 방송사 등 언론들입니다.

결국 현재 벌어진 월급쟁이 중산층 갈취사건은 정치권과 언론들의 합작품인 셈이지요. 그래서 저는 사실 조금 고소하기도 합니다. 고소득 월급쟁이들이 많은 지상파 방송국들이나 조중동 등 메이저 언론 종사자들의 이명박근혜 정부 올인을 통한 빨아주기 행태가 자신들 주머니 갈취사건으로 변화된 때문입니다. 얼렁뚱땅 넘어간 근로소득자 세액공제 세법개정안이 아마도 자신들 뒤통수를 바로 때릴 줄은 몰랐었던 것 같은데...그래서 더 고소합니다.

각설하고… 오늘 나온 정부의 민간투자 유도를 통한 경제활성화 방안이라는 정책...저는 이 정책이 과연 5,000만 국민의 생사화복(生死禍福)을 책임진 정부가 발표할 수 있는 정책인가에 다다르면 입이 다물어지지 않습니다. 이 정책은 곧 이 정부는 이제 확실하게 모든 창피를 다 내던지고 확실하게 나라 돈을 재벌에게 몰아주기를 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1.
‘용산 주한미군 이전용지’ 중 캠프킴 부지가 제1호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총 5조 원의 민간투자를 유도해 이 일대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겠답니다. 즉 용적률 800%가 적용되는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한다는 것인데, '입지규제최소구역'은 도심이나 철도역사 등의 부지에 용도·용적률·건폐율 등의 기준을 신축적으로 적용해 주거·상업·업무·문화 기능이 한 지역 내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한 지역을 말합니다.

말썽많은 잠실 제2롯데월드의 용적률이 600%가 안 됩니다. 그리고 용적률 800%면 도곡동 타워팰리스 수준입니다. 일단 용산미군기지 이전용지 중 캠프킴 부지에 6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을 포함해 주거,상업,업무지구로 만든다는 것이지요. 일단 이렇게해서 민간투자를 유도하면 5조원의 민간투자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지난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백지화되면서 침체를 거듭하던 대규모 개발 사업이 호황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계산입니다.

결국 이 정부는 경제 활성화는 부동산 시장 부추기기를 통한 투기자금 활성화이며, 이를 통해서 단기간에 재벌들에게 또 한 번 거대 이익을 몰아주겠다는 심산입니다. 또 여기에 편승한 일부 부동산 투기꾼들 주머니를 채우면서 대신 다양한 ‘부동산 푸어’들을 만들어내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단기간 경기가 살아나면 된다는 눈속임입니다. 그리고 이는 더욱 “내 임기만 아니면 돼”라는 또 다른 폭탄돌리기로서 나라를 더 질곡으로 몰아갈 것입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우윤근 원내대표,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이완구 원내대표가 15일 국회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실에서 열린 2+2여야 대표 회담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 새정치연합

2.
이보다 더 어이없는 정책은 카지노 같은 도박장 설립에 재벌이 참여하도록 허용한 것입니다. 정부는 어제(18일) 발표한 투자활성화 정책에서 용산개발 건 말고도 카지노 도박장이 포함된 복합리조트 사업자 2곳을 공모 방식으로 추가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인천 영종도 2곳과 제주도 1곳에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포함한 리조트 시설이 들어서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는 이 3개로는 부족하다는 겁니다. 또 여기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이므로 내국인이 출입할 수 없어서 투자유치가 힘들므로 내국인이 출입할 수 있는 도박장을 여러 개 더 만들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2조 원대 투자 효과가 생긴답니다.

즉 내국인 출입이 가능한 ‘오픈 카지노’와 같은 도박장을 만들기 위해 까다로운 허가 규정을 대폭 폐지해 투자 문턱을 낮추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도박장 투자 비율에서 외국인 지분 최소 51%이상이라는 허가 조건도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한마디로 앞으로 대기업 등 국내 투자자도 관광지에 최대주주 자격으로 카지노를 만들 수 있는 길을 열어 준 것입니다.

3.
이 외에도 정부는 또 서울 3곳, 제주 1곳 등 4곳의 면세점을 새로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시내 면세점은 16곳이 있는데 이게 턱없이 부족하니 재벌들에게 더 늘려주겠다는 것이지요.하지만 사실상 현재 국내 면세점은 여기에 투자한 재벌들 돈주머니입니다. 시내 면세점 매출액은 2005년 1조2,000억 원에서 2013년 기준 4조5천억 원으로 10년이 안 되어서 3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그래서 신세계와 롯데의 딸들이 면세점 전쟁을 벌인다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그런데도 정부는 조만간 사업자 공모를 실시해 하반기까지 사업자를 선정하는데 서울에 생길 2곳은 일반경쟁을 통해 사실상 대기업에 넘기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나머지 서울 1곳 및 제주 1곳은 중소ㆍ중견기업에 맡길 방침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말만 중소 중견기업이지 당연히 대기업연관 사업자가 선정될 것을 불을 보듯 환합니다.

4.
정부는 또 관광호텔 건설자금 1조 원을 3년에 걸쳐 추가로 공급해 호텔 5,000실을 더 짓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재벌들에게 경관이 좋은 해안 지역까지 특혜를 준답니다. 즉 해양관광진흥지구 지정. 자연공원 내 공원해상휴양지구 신설, 수자원보호구역 규제 적용 배제 등 관광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규제를 대폭 풀어주는 정책을 통해 경관이 수려한 해안지역에 재벌들의 투자를 유도하여 숙박시설과 음식점을 늘려줌으로 재벌들 배를 채워준다는 것이지요.

대형 호텔에 투자하는 재벌들에게는 산업은행의 기업투자 촉진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방식 위주로 자금을 지원하고, 중소형 호텔에 투자하는 중견기업에는 신용보증기금의 보증공급 규모를 확대하고 보증 한도를 100억 원에서 200억 원으로 늘려 지원하겠답니다. 그렇게 해서 호텔 5,000실을 공급하면 2017년까지 1조2,000억 원의 투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론
석탄산업 사양화로 지역경제가 다 죽어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역이 된다고 하여 만든 것이 정선 카지노입니다. 과천 경마장과 제주 경마장, 그리고 이를 중계하는 전국의 화상경마장, 경륜장, 경정장, 스포츠 토토… 여기에 로또 등 복권까지… 사실상 정부가 주도하는 사행산업은 지금도 천국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나자빠진 서민들 부지기수입니다. 더구나 알게 모르게, 보도되지 않는 수많은 폐인들...그거 정부가 만든 것입니다.

그래도 정부는 이들 사행산업을 통해 막대한 돈을 거둬들이고 있습니다. 2013년 기준 정부가 관장하는 이들 사행산업의 총 매출액은 약 19조원, 순 매출액은 8조4천억 원입니다. 이중 세금으로 약 2조2천억 원, 기금으로 조성한 돈이 약 3조 원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사행산업을 통해서만 서민들에게 연간 약 5조 원이 넘는 돈을 챙겨갔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사업체(마사회 등 공기업, 외국인카지노는 민간기업)등에 이익으로 돌려주었습니다.

그도 모자라서 박근혜 정부는 이제 경제활성화라는 이름으로 막대한 돈 빌려주고 정책으로 팍팍 밀어주면서 재벌에게 도박장 더 만들고 호텔 짓고 면세점 만들어서 모든 돈을 주머니로 넣으라고 당당하게 발표했습니다. 며칠 전에는 재벌들에게 임대주택 지어서 서민들에게 임대해주는 정책도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집 없는 서민들은 집세도 재벌들에게 내야합니다. 가히 재벌을 위해, 재벌을 위한, 재벌의 국가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박근혜를 찍어서 ‘이명박근혜 정부 10년’을 만드신 분들 어떠세요. 만족하십니까? 이 정부가 이런 정책을 추진한다는데 말릴 힘도 없는 야당을 갖고 계시니까 만족하십니까? 그래서 다시 주장합니다. 이제야말로 판을 바꾸지 않으면 우리는 정말 5,000만 국민이 1% 재벌과 10%그 아류들에게 모든 주머니를 저당 잡히고 살아야 합니다. 이제 정말 우리가 정신을 차려야 합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8&table=c_flower911&uid=23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관광개발구, 경제개발구의 ‘미끼 전술’?

 
<신년기획> 김정은, ‘북한의 덩샤오핑’될 수 있을까? ④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1.19  00:32:05
트위터 페이스북

 

김정은 제1위원장은 '북한의 덩샤오핑'이 될 수 있을까? 

북한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집권 4년째를 맞으며 여전히 경제발전에 전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이 전략적 노선으로 선택한 ‘경제 건설과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은 현 시점에서는 경제 건설에 방점이 찍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김정은 제1위원장은 신년사에서도 ‘인민생활 향상’을 강조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사회주의 진영의 몰락과 ‘고난의 행군’을 거치면서 사회적 인프라와 생산 시스템이 약화됐고, 대외적으로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어려운 조건에서 과연 북한이 경제건설에 성공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김일성 주석이 주체사상을 통해 정치사상강국을 건설했다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선군정치를 내세워 핵무력에 기반한 군사강국을 건설했고, 김정은 제1위원장은 경제발전을 통해 ‘북한의 덩샤오핑’이 되고자 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김정은 제1위원장은 ‘5.30담화’를 통해 새로운 경제정책 방향을 제시했고, 당창건 70주년을 맞은 올해는 그 같은 정책구상이 구체적인 경제적 조치로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올해 북한의 경제전망을 대내적인 경제관리 개선 조치와 대외적인 경제개발구 건설 전략, 협동농장과 식량 메커니즘, 그리고 남북경협 전망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 김정은 ‘5.30담화’와 내각 상무조
2. 쌀 ‘협정가격’ 알아야 북한 경제가 보인다
3. 기업소 지배인의 ‘수입병’ 왜 생겼나?
4. 관광개발구, 경제개발구의 ‘미끼 전술’?
5. 남북 모두 먹고 싶은 ‘그림의 떡’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사회주의경제강국 건설을 제시하면서 “대외경제관계를 다각적으로 발전시키며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를 비롯한 경제개발구개발사업을 적극 밀고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경제개발구’를 직접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북한 경제를 이해하고 전망하기 위해서는 협동농장과 기업소를 두 축으로 하는 내부 경제 메커니즘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지만, 대외경제 영역 또한 제대로 살펴야 한다. 기존 북한의 대외경제 부문이 대체로 중국과의 교역에 한정돼 있었다면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본격 제기된 경제개발구 개발전략은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또한 북한의 대외경제를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율과 기축통화 문제도 짚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국가 공식환율과 시장환율 사이에 큰 격차가 가로놓여 있고, 미국 달러화와 중국 위안화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더구나 경제개발구에 비해 ‘협동화폐제’는 거의 잘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2년의 준비 거친 13개 경제개발구 개발총계획

사실 경제특구는 우리들에게 낯선 용어나 개념은 아니다. 중국이 개혁개방 과정에서 경제특구 전략을 구사해 성공한 사례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고, 북한도 이미 1984년 합영법 제정을 시작으로 1991년 ‘라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창설, 2002년 신의주행정특별구 추진 등의 시도를 이어갔다.

2002년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병행해 야심차게 추진된 신의주행정특별구는 행정장관으로 임명된 네덜란드 화교 출신 양빈이 중국에 체포되면서 가로막혔고, 이후에도 이렇다 할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중국은 신의주 특구가 본격화될 경우 동북 3성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물론 해외투자가 신의주로 쏠릴 것을 우려했던 것으로 보인다.

 

   
▲ 2011년 6월 9일 '라선경제무역지대 조중 공동개발 및 공동관리 대상 착공식'이 화려하게진행됐다. 착공식 개회선포와 함께 라진항과 선박에서 축포가 터지고 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실제로 경제특구는 남북 간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관광지구, 북.중 간 라선경제무역지대와 황금평-위화도경제지대가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이었지만 그나마 남측의 금강산관광은 끊기고 황금평-위화도경제지대는 아직 본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북한이 새롭게 제시한 것이 바로 경제개발구 개발 전략이다. 2012년 ‘12.1조치’를 통해 “13개 직할시.도와 220개 시군에 대해서도 당위원장과 인민위원장이 주도권을 갖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자체 ‘개발구’ 개발”을 추진키로 한 것이다.(통일뉴스, 2012.12.28)

 

<북한 경제개발구 추진 일지>

2012.12.1 기업소 독립채산제 실시, 경제개발구 추진 (12.1조치)
2013.3.1 기업소 독립채산제 전면 실시, 협동화폐제 실시 (3.1조치)
2013.3.31 당 중앙위 전원회의, 김정은 경제개발구 언급
2013.5.29 최고인민회의, 경제개발구법 제정
2013.10.16 국가경제개발총국을 국가경제개발위원회로 승격, 
민간급 단체인 조선경제개발협회 설립
2013.11.6 경제개발구 관련 운영규정 3건 발표
2013.11.11 개성고도과학기술개발구 착공식
2013.11.21 신의주 특수경제지대와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 발표
2014.6.11 원산-금강산 국제광광지대 발표
2014.6.18 무역성을 대외경제성으로 확대 개편(합영투자위원회, 국가경제개발위원회 통합)
2014.7.23 ‘은정첨단기술개발구’ 등 6개 경제개발구 추가 지정
2015.1.1 김정은 신년사, 경제개발구 적극 추진 언급
2015.1.14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 개발총계획 작성 공개

(정리 - 통일뉴스)


이어 경제개발구법이 제정(2013.5.29)돼 법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국가경제개발위원회와 민간단체인 조선경제개발협회가 설립(2013.10.16)돼 이를 책임질 국가기관이 갖춰졌다.

 

마침내 신의주 특구와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과 일괄 발표됐으며(2013.11.21), 이후 원산-금강산 국제관광지대 발표, 6개 경제개발구 추가 지정(2014.7.23) 등으로 현실화됐고, 지난 14일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 개발총계획이 작성됐다고 보도됐다.

2012년 12.1조치부터 14일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의 개발총계획이 나오기까지 2년여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 셈이다.

어쨌든 이로써 중앙급 경제개발구는 중국과 공동개발키로 합의한 △라선경제무역지대 △황금평.위화도경제지대와 한국과 공동개발한 △개성공업지구 △원산-금강산 국제관광지대, 그리고 △신의주국제경제지대 △개성고도과학기술개발구 등 모두 6개가 됐다.

지방급 경제개발구는 2013년 11월 발표한 청진경제개발구 등 13개와 2014년 7월 발표한 은정첨단기술개발구 등 6개를 합쳐 총 19개다. 따라서 중앙급, 지방급 경제개발구 총합의 25인 셈이다.

대외환경 고려한 지방급 경제개발구 추진 전략

북한이 김정은 시대에 추진하고 있는 경제개발구 개발전략은 기존의 경제특구 개발전략과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별도의 법률인 경제개발구법을 제정하고 별도의 기구인 국가경제개발위원회를 설치(이후 대외경제성으로 재편)한 점으로도 이같은 차별성을 알 수 있다.

물론 경제개발구법은 “경제개발구는 국가가 특별히 정한 법규에 따라 경제활동에 특혜가 보장되는 특수경제지대”라고 규정해 통상적인 경제특구임을 밝혔지만, “국가는 경제개발구를 관리소속에 따라 지방급경제개발구와 중앙급경제개발구로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한다”고 명기해 차별성을 분명히 했다.

기존 경제특구와 달리 ‘지방급 경제개발구’를 설치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이 있으며, 13개 직할시.도와 220개 시군구가 자체적으로 권한을 갖고 특색에 맞는 경제개발구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 북측 국가경제개발위원회가 작성한 ‘특수경제지대 개발 실태와 전망’에 소개된 온성섬관광개발구. [자료사진 - 통일뉴스]

경제개발구법에는 “경제개발구에는 공업개발구, 농업개발구, 관광개발구, 수출가공구, 첨단기술개발구 같은 경제 및 과학기술 분야의 개발구들이 속한다”면서 “경제개발구에서 하부구조건설 부문과 첨단과학기술 부문,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은 상품을 생산하는 부문의 투자를 특별히 장려한다”고 명시됐다.

 

이같은 북한의 지방급 경제개발구 개발 전략은 대외적 환경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핵.미사일 개발 문제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국제적인 경제제재가 가해지고 있고, 미국과 한국, 일본의 자본이 거의 전면 차단된 상황에서 중앙급 대규모 경제특구가 현실성을 갖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때 북한의 중앙급 경제개발구 10곳이 일괄 발표될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지만 대외 환경이 날로 악화되자 현실화되지 못했고, 결국 현실성이 가장 높은 신의주 특구(2013.11.21)와 원산-금강산 국제광광지대(2014.6.11)만 발표됐다.

<중앙급 경제개발구(특구)>
 

중앙급 경제개발구

발표일

라선경제무역지대
(라진-선봉자유경제무역지대)

?
(1991.12.28)

신의주국제경제지대
(신의주특수경제지대)
(신의주특별행정구)

2014.7.23(2013.11.21)
(2002.9.12)

원산-금강산 국제관광지대
(금강산국제관광특구)
(금강산관광지구)

2014.6.11
(2011.4.29)
(2002.10.23)

개성공업지구

2002.11.20

황금평.위화도경제지대

2011.6.8

개성고도과학기술개발구

2013.10.17

(정리 - 통일뉴스)

대신 지방급 경제개발구는 투자비 추산액이 7천만 달러에서 2억 4천만 달러 수준으로 비교적 소규모 투자 만으로도 개발이 가능하고, 합영개발기업은 물론 외국투자가의 단독개발기업도 설립이 가능하며, 50년 협력기간을 보장받도록 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중국의 지방자치단체(성.시 등)나 단일 기업 수준에서도 지방급 경제개발구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투먼(圖們)시는 장성택 처형 다음날인 2013년 12월 9일 조선경제개발협회와 9천만 달러 규모의 개발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온성섬관광개발구 개발 계약서를 채결했다.

 

중앙급 특구인 신의주국제경제지대는 홍콩 대중화그룹이 사업자로 확정돼 착공식이 예정됐다는 보도가 오래 전부터 나왔지만 아직 착공식이 열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중앙급 특구인 원산 개발에 중국 다롄(大連)시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다롄시는 랴오둥(療東) 반도에 위치한 항구도시로서 일제시기부터 산업도시로 개발된 역사성 등이 원산지역과 유사한 점이 많아 내실있는 협력관계가 가능하다.

 

   
▲ 북한 국가경제개발위원회가 제작한 홍보영상에 소개된 ‘강령국제록색시범기지’의 한 장면. [자료사진 - 통일뉴스]

지난해 7월 2차 지방급 경제개발구 발표시 포함된 강령국제녹색시범구는 가장 먼저 ‘계획요강’이 알려진 곳으로 2013년 11월경 싱가폴과 홍콩, 중국 자본이 공동으로 이미 개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지방급 경제개발구지만 ‘국제’개발구로 개발되는 셈이다.

 

투자 여력이 부족한 북한 당국은 BOT방식 등 다양한 투자 유인책을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은 투자자가 자기자본으로 시설 등을 건설해 일정 기간 동안 운영한 뒤 정부에 무상 기부하는 사업방식이다.

원산-금강산관광지대 주력, 가능성 1위는 청진경제개발구

지난해 4월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를 둘러보고 온 박경애 캐나다 브리티시콜럼비아대 교수는 청진경제개발구가 가장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항구와 철도, 화력발전소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김책제철소가 있고, 노동력이 풍부하고 대학도 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청진 다음으로 신평관광개발구와 현동공업개발구 등이 개발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했지만, 지방급 경제개발구들은 대체로 인프라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상태여서 외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비치기는 어려운 것으로 평가했다.

<지방급 경제개발구>

 

1차 지방급 경제개발구(2013.11.21)

2차 지방급 경제개발구
(2014.7.23)

1. 평안북도 압록강경제개발구
2. 자강도 만포경제개발구
3. 자강도 위원공업개발구
4. 황해북도 신평관광개발구
5. 황해북도 송림수출가공구
6. 강원도 현동공업개발구
7. 함경남도 흥남공업개발구
8. 함경남도 북청농업개발구
9. 함경북도 청진경제개발구
10. 함경북도 어랑농업개발구
11. 함경북도 온성섬관광개발구
12. 량강도 혜산경제개발구
13. 남포시 와우도수출가공구


1. 평양시 은정첨단기술개발구
2. 황해남도 강령국제녹색시범구
3. 남포시 진도수출가공구
4. 평안남도 청남공업개발구
5. 평안남도 숙천농업개발구
6. 평안북도 청수관광개발구

(정리 - 통일뉴스)

 

북한 당국은 지난해 7월 ‘은정첨단기술개발구’ 등 지역 균형개발을 감안한 6개 경제개발구를 추가 지정하고, 지난 14일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의 개발총계획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경제개발구가 빠르지는 않지만 꾸준히 확대,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중앙급 경제개발구는 오랫동안 개발돼 온 라선경제무역지대가 지리적 이점과 양호한 인프라 덕에 원활하게 추진되고 있지만 황금평.위화도, 신의주 경제지대는 아직 본격 개발이 진행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개성고도과학기술개발구는 개성공업지구를 둘러싸고 남북 간 힘겨루기가 진행되는 와중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 원산-금강산 개발영역(위의 원부터 원산지구, 통천지구, 금강산지구)
[자료사진 - 통일뉴스]

가장 눈여겨 볼만한 중앙급 경제개발구는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도 언급한 원산-금강산 금강산관광지대다. 남측 금강산관광이 중단된 상황에서 지난해 6월 중앙급 경제개발구로 발표된 이곳은 원산지구, 마식령스키장지구, 울림폭포지구, 석왕사지구, 통천지구, 금강산지구가 포함되는 대규모 관광벨트다.

 

관광개발구는 경제개발구 ‘미끼’?

특히 원산시는 전력 사정이 여의치 않은 2000년대 말부터 ‘원산 불야성’을 자랑할 정도로 북한 당국이 집중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김정은 제1위원장의 고향인 원산을 평양에 이은 ‘제2의 도시’로 육성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원산은 일제시대에도 산업도시로 개발됐고, 교통의 요지이며 항구가 발달돼 있다. 또한 명사십리 등 자체 관광자원도 풍부하하고 이곳을 거점으로 금강산관광을 다녀오는 관광코스도 개발돼 있다. 뿐만 아니라 인근의 다양한 관광거리도 있다.

 

   
▲ 북한은 원산 개발에 각별한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원산항과 만경봉호 모습. [자료사진 - 통일뉴스]
이같은 원산의 이점을 활용해 북한은 우선 외부 관광객들을 최대한 유치해 관광산업을 발전시키는 한편, 이 지역의 상대적으로 우수한 인프라를 적극 알려 관광분야 뿐만 아니라 산업분야에도 외부 투자를 적극 유치할 계획인 것으로 관측된다.

 

정통한 소식통은 “아직 외국인 투자가 본격화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경제개발구 보다는 일단 관광개발구를 개발해 자꾸 외국인들 끌어들이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외부 투자가들에게 직접 현장을 보여주면서 외부 상황이 호전되는 상황에 맞춰 경제개발구 개발에 본격 나서려는 구상 아니겠느냐”고 진단했다.

지방급 경제개발구 중에서도 △신평관광개발구, △온성섬관광개발구, △청수관광개발구 등 3곳이나 관광개발구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곳들 역시 단순한 관광개발구로의 개발뿐만 아니라 경제개발구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어쨌든 북한의 경제개발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국제적 대북제재가 어느 정도 풀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의 대북 봉쇄전략이 바뀌어야 한국과 일본 등의 대북 투자도 현실성을 갖게 될 것이다.

북한이 지방급 경제개발구와 관광개발구 개발에 먼저 나서고 있는 것도 이같은 조건을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12년 중국인 북한 관광객 수가 25만명으로 집계된 통계만 보더라도 북한의 관광개발구 개발 추진은 나름의 현실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김한규는 박사논문을 통해 북한 당국이 최근 몇 년간 다채롭게 선보이고 있는 신규 관광 상품은 주로 서방 관광객들의 요청을 적극 수용한 것으로, 과거 실험적 수준에서 적용된 상품과 달리 본격적이며, 특히 주민과의 접촉이 보다 많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김정은 1위원장, 신년사에서 언급.. 대외무역성이 총괄

‘경제개발구법’은 경제개발구의 개발과 관리는 ‘중앙특수경제지대 지도기관’과 ‘도(직할시)인민위원회 산하 경제개발구 관리기관’이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13년 10월 국가경제개발총국을 국가경제개발위원회로 승격시켜 기존의 조선합영투자위원회(합투위)와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대풍그룹)이 수행해온 모든 대외 경제사업을 담당하도록 했다. 아울러 민간급 단체인 조선경제개발협회를 설립했다. 각 도(직할시)에는 경제개발국을 별도로 설치했다.

그러나 사실상 국가경제개발위원회를 지휘해온 당 행정부가 2013년 12월 장성택 처형으로 기능정지에 빠져 경제개발구 추진 전략도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외부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장성택 숙청 결정서를 채택한 8일, 중국 베이징에서 중국 대기업과 ‘신의주-평양-개성’ 간 고속철도와 고속도로 건설 합의서를 체결하는가 하면, 9일 중국 투먼(도문)시와 온성섬관광개발구 개발 계약서를 체결하고 이 사실을 즉각 대외에 알려 불안감을 잠재웠다.

당시 정창현 국민대 겸임교수는 <통일뉴스> 연재글을 통해 “지난 5월 29일자로 제정한 경제개발구법에서 확인되듯이 북한의 경제특구 확대정책 등 김정은시대의 주요 정책이 조직의 집단적 결정과 법률로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일부 간부의 인사이동으로 잠시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큰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김정은 제1위원장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내각책임제 확립, 사회주의 경제관리개선 조치 확대, 경제특구 확대 정책 등은 단기간의 조정을 거쳐 더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통일뉴스, 2013.12.9)

 

   
▲ 특수경제지대에 대한 대외협력 업무를 담당하는 조선경제개발협회가 2013년 10월 평양국제토론회를 주최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이어 2014년 6월 무역성을 대외경제성으로 확대 개편하면서 합영투자위원회(합투위)와 국가경제개발위원회까지 통합시켰다. 대외경제성은 무역성 상(장관)이던 리용남이 상을 맡고 합투위 부위원장이던 리광근이 부상(차관)을 맡았다. 국가경제개발위원회 위원장이던 김기석은 중책을 맡지 못했고, 김철진 합투위 부위원장은 대외경제성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국가경제개발위원회가 대외경제무역성으로 바뀐 다음달인 2014년 7월 ‘은정첨단기술개발구’ 등 6개 지방급 경제개발구가 추가 지정돼 소외된 도(직할시)가 없도록 보완조치가 취해졌다. 평양시와 황해남도, 평안남도에 첫 경제개발구가 지정됐고, 1곳 밖에 지정되지 않았던 남포시와 평안북도에도 추가 지정된 것이다.

이어 올해 들어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경제개발구 적극 추진 의사를 분명히 밝혔고, 14일 기존 13개 지방급 경제개발구 개발총계획 작성이 공개돼 경제개발구 전략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2013년 ‘3월 전원회의’에서 경제개발구에 대해 언급한 바가 있다.

그러나 라진-선봉특구 실패 사례나 7.1경제관리 개선조치에 대한 반격, 2009년 화폐개혁 등 개혁개방에 대한 반동이 언제 닥칠지 모른다는 우려도 일부 남아 있을 것이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수입병’을 경계하고 ‘국산화’를 제창한 것도 맥락은 다를 수 있지만 눈여겨 볼 대목이다.

북한은 주체사상을 지도사상으로 삼고 있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998년 자강도 현지지도에서 “그처럼 어려웠던 전후복구건설시기에도 우리는 관광업이나 외자도입이란 말을 모르고 살았다. 우리는 절대로 남을 쳐다볼 필요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협동화폐제와 ‘외환 주권’

경제개발구 추진 전략이 북한의 대외경제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면 2013년 ‘3.1조치’를 통해 실시한 ‘협동화폐제’는 북한의 경제가 외부 경제와 만날 준비를 갖추는 중요한 변화로 볼 수 있다.

사실 중앙급 경제개발구의 경우 중앙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는 만큼 외자유치나 관리가 기존경제시스템 내에서도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도(직할시) 인민위원회가 추진 주체가 되는 지방급 경제개발구의 경우 외자를 다룰 제도적 기반이 미흡한 편이다.

더구나 각 기업소들이 ‘사회주의 기업책임관리제’를 도입하고 필요한 원자재나 설비를 자체 조달하고, 생산품을 수출까지 할 수 있는 상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관련 제도의 손질이 필요했을 것이다.

북한 당국은 2013년 3월 1일 기업소 독립채산제 전면 실시와 협동화폐제 실시를 골자로 하는 이른바 ‘3.1조치’를 전력 단행했다. <통일뉴스>는 최초보도에서 “북한은 외화를 취급하는 모든 개인과 기업소, 기관에 ‘내화 구좌’와 함께 ‘외화 구좌’를 별도로 개설해 거래토록 하고 실제 시장에서 통용되는 환율을 적용하는 ‘변동환율제’를 실시했다”고 전했다. (통일뉴스, 2013.4.4)

당시 정통한 소식통은 “원래 은행 지정환율이 1:100이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가격은 1달러 당 5,800원 이상으로 괴리가 생겨 시장경제 질서가 확립되지 않아 외국기업 진출의 장애 요인으로 확인되었다”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이른바 ‘협동화폐제도’를 시행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모든 개인과 기업소, 기관은 외화 구좌를 개설해 달러화 등 외화를 투명하게 입출금해야 하며, 기존에는 외화구좌가 없어서 지키지 못했던 24시간 이내에 현금(외화 포함) 입금 규정을 보다 엄격히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동화폐제는 당시 민간에 음성적 풀려있는 약 40억 달러에 달하는 달러화를 양성화하고 환율을 현실화시켜 해외투자 유치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로도 평가됐다.

이후 북한을 방문한 해외동포들에 의해 협동화폐제 실시가 사실로 확인됐으며, 2013년 5월 기준으로 공식환율 1달러:120원과 ‘국내협동화폐가격’은 1달러:8,000원 수준이었다. (민족통신, 2013.5.5)

앞서, 북한 당국은 2009년 11월 30일 기습적인 화폐개혁을 단행했고, 외화 사용을 통제하기도 했지만 결국 다시 환율은 안정화 됐고, 중국과의 경제교류 증대에 따라 달러화에 더해 위안화 유통이 늘어나는 추세도 가세한 실정이다.

북한 당국은 정치적인 이유로 미국 달러화 영향권에 놓이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유로화를 공식 외화로 지정하기도 했고, 최근 러시아와의 교역에서는 루블화를 기축통화로 사용하기로 합의하는 등 ‘외환 주권’을 의식하는 행보를 보여왔지만 달러화와 위안화의 영향력을 축소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공식 환율과 시장 환율의 큰 격차를 협동화폐제를 통해 현실적으로 인정하고 제도화 해나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의 성공 여부가 해외 자본 유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