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한반도 통일에 인디언 추장을 앞세우자!

<기고> 김상일 전 한신대학교 교수
김상일  |  kimsykorea95@daum.net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1.30  20:33:48
페이스북 트위터

김상일 / 전 한신대학교 교수

 

역사는 반복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그것을 믿는 것은 바보 사관이다. 역사는 반복하기 때문에 성서 기자들은 역사를 뒤집어쓰고 있다. 창세기가 제일 처음 이야기이고, 출애굽기가 그 다음이 이야기인 것 같지만 사실은 이들 이야기는 기원전 4세기 경 바빌론 포로기에서 당한 처참한 경험을 들어 쓴 것이 창세기이고 출애굽기이다.

우리도 역사를 이렇게 쓰지 않고 편년체로 역사 서술하는 방법은 지양해야 한다. 이런 따위 역사책은 오히려 역사를 말살하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아래 이야기는 아즈텍이 스페인한테 당한 경험이 우리가 일본한테 당한 그것과 너무 같아서 타산지석으로 귀감삼아 쓴 것이다. 아즈텍과 북미주 인디언들은 백인들의 속임수에 망한 경험이 있다. 이들의 경험담을 듣는 것은 우리에게 반면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은 달 착륙 우주여행을 앞두고 미 서부 모하비 사막에서 훈련을 하고 있었다. 이 사막은 지구상에서 가장 달의 표면과 유사한 동시에 나바호와 호피 등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다. 어느 날 훈련 중이던 이들 우주 비행사들이 인디언 원주민 노인과 우연히 조우할 기회가 있었다.

이 원주민이 우주비행사들에게 이곳에서 무엇을 하고 있느냐고 묻자, 우주비행사는 달 탐사를 위해 지금 훈련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했다. 그러자 이 노인은 잠깐 침묵을 하다가 달나라에는 정령이 살고 있다고 믿는데 달에 가게 되면 꼭 자기 말을 전해 달라고 했다.

비행사들이 노인에게 “무슨 말을 전하기를 원하느냐”과 하니 노인은 자기들의 고유한 언어로 몇 마디 중얼거렸으나 비행사들은 그 말의 뜻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것 무슨 뜻이요” 하고 묻자, 그 말은 우리와 정령들 사이에서만 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말할 수 없다고 했다.

기지로 돌아온 비행사들은 원주민 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아내 그 말의 의미를 통역해 달라고 했다. 통역사는 원주민의 말을 이렇게 번역을 했다.

“이 사람들이 하는 말은 한 마디도 믿지 마세요. 이들은 당신들의 땅을 훔치러 왔어요.”

위의 글은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403-4)에 나오는 한 토막의 일화이다. 하라리는 전쟁사로 학위를 받아 전 세계 전쟁이야기들을 많이 알고 있다. 아래 이야기들 역시 그의 책에서 발췌하여 설명을 부연한 것이다.

해방이 되자 “미국놈 믿지 말고 소련놈에 속지 말라”고 했다. 배우지 못한 민중들은 그들의 정체를 알았었다. 그러나 유학까지 갔다 온 이승만 같은 식자들이야 말로 소련에 속고 미국의 거짓말에 다 넘어갔다. 그리고 민중들에게 자기들의 어리석음을 설파하고 주입시켰다.

서울역과 시청 앞 광화문 광장을 휘저으며 양손에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떠도는 부대들, 이들이 바로 이들 식자들한테 기만당하고 속은 자들이다. 기독교회 안은 이런 우중들의 집합소와 같다. 인디언들은 서구 제국주의에 속은 경험이 있다. 그래서 이들을 앞세우고 그들의 말에 경청을 하면 타산지석으로 통일에 귀감이 될 것이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향해 항해한 것보다 조금 뒤인 1519년 스페인의 코르테스는 멕시코에 상륙했다. 그 사이에 스페인은 이미 카리브제도의 여러 섬들을 이미 다 점령하고 있었다. 멕시코의 카리브 연안에는 마야 인들이, 그리고 지금의 멕시코 시 주변에는 아즈텍 인들이 살고 있었다. 코르테스의 배를 타고 있던 사람들은 고작 4-500여 명에 불과했다. 이들이 어떻게 수백만 명의 아즈텍 인들을 섬멸했는지 그 과정을 알아보자.

아즈텍들은 자기들의 눈앞에 나타난 이 미지의 인간들의 정체를 몰랐었다. 심지어는 하늘에서 내려 온 신들로 여기기까지 했었다. 그러나 스페인들은 아즈텍들이 무지하고 미개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래서 이들을 철저하게 속이기로 했다. 어떻게 속였고 아즈텍들은 어떻게 속았는가? 이 사실을 아는 것은 우리에게 만 가지로 도움이 된다.

1519년 7월 멕시코 해안에 닻을 내린 날은 화창한 날씨였다. 해변가에 모여 나온 아즈텍들은 이 외지의 인간들을 신기하고 나아가 경외로운 눈으로 바라보았다. 차마 이들이 자기들을 모조리 섬멸할 것이라곤 상상도 못했었다. 코르테스는 이 구경꾼 현지인들에게 “우리는 평화적인 목적으로 왔다. 너희 지도자에게 우리를 안내하라”고 하면서 코르테스 자신은 스페인 왕의 평화 사절단을 이끌고 왔다고 자처했다. 물론 이것은 거짓말이다.

코르테스는 뻔뻔한 거짓말을 하고 있으며, 탐욕스럽게도 잔인무도한 군인들을 끌고 왔으며, 그는 스페인 왕의 사절도 물론 아니었다.

그 당시 아즈텍의 지도자는 몬테주마 2세(1502-1520)였다. 코르테스의 말을 그대로 들은 현지인들은 그의 호위무사가 되어 그를 몬테주마 2세에게 안내한다. 그러나 코르테스는 몬테주마 2세와 접견하는 바로 그 순간에 몬테주마 2세의 경비병들을 모두 학살하고 몬테주마 2세를 고립무원의 상태로 만들고 말았다. 이 때 경비병들은 고작 나무 곤봉과 돌칼 밖에는 가진 것이 없었고, 코르테스의 군인들은 강철무기를 들고 있었다. 그래도 선군정치가 왜 필요한지를 모르는가?

아무리 강철무기를 들고 있다고는 해도 자기 군인들은 기백 명에 불과하고 자기는 수십만 명의 아즈텍 군인들과 수백만 명의 민간인들에 의해 포위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는데 코르테스는 얼마나 간이 컸으면 어떻게 이 위기를 뚫고 멕시코를 점령할 수 있었던가? 그는 간이 컸을 뿐만 아니라 뱀 같은 지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부터 우리는 서양 제국주의자들이 어떻게 우리 아즈텍을 속이고 지금도 우리를 속이고 있는가에 촉각을 세우고 보아야 할 것이다.

코르테스는 수하에 기백 명뿐인 군인들을 거느리고 있었고, 증원군은 무려 1500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그는 어떻게 기백만의 아즈텍을 손아귀에 넣을 수 있었던가? 일본이 조선을 먹을 때도 군인 기백 명에 불과했었다.

여기에는 원주민의 무지와 어리석음이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코르테스가 계속해대는 거짓말에 몬테주마 2세도 아즈텍 인들도 다 속아 넘어갔다. 그 어떤 무기보다도 ‘어리석음’이야말로 가장 취약하고 아니 가장 위험천만한 침략의 통로가 되었다. 이는 우리나 아즈텍이나, 그리고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코르테스는 몬테주마 2세를 궁전에 가두어 놓고 마치 왕은 포로로 잡혀 있는 것이 아닌 것처럼 꾸몄고, 스페인 대사로 위장한 그는 손님인 것처럼 위장하였다. 일본이 고종을 가두어 놓고 자기들은 전권대사인 것처럼 행세하는 것이나 하나 다를 것이 없다.

아즈텍 조직은 중앙집권적이었고 이는 최대의 약점으로 작용했다. 아즈텍의 중추 신경을 건드리고 마비시켜 놓으니 몬테주마 2세는 식물인간으로서 왕권을 구사해 나갔고, 신하들도 그의 말에 맹목적으로 순종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왕만 치면 그 구조는 순식간에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중앙집권적이라도 지도자는 인민을 위해 인민은 지도자를 위하는 호혜적인 관계이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여기에 부족장들의 반란은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었다.

몬테주마 2세(1502-1520)는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지금의 온두라스, 니카라과에 해당하는 지역을 원정해 영토 확장에 성공, 이들 부족들로 부터 공물을 받아왔었다. 그러나 여러 부족들로부터 공물을 받아낸 것 때문에 반감을 사서 코르테스가 이끄는 군대가 아즈텍을 공격했을 때에 여러 부족장들이 오히려 코르테스에게 협력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로 몬테주마 2세도 부족장들도 어리석었다. 코르테스는 먼저 몬테주마 2세를 사로잡고 다음에서는 이들 부족장들도 모두 처형 내지 노예로 삼고 말았다. 남북 어느 쪽도 외세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이다.

1519년에 에르난 코르테스의 군대가 테노치티틀란을 침공하는 것을 저지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그 대신 코르테스의 군대가 도착하자 그를 환대해 자신들의 권위를 강조하려 했다. 결국 테노치티틀란의 중심부가 점거되었고, 코르테스의 협박으로 아즈텍 병사들이 코르테스의 군대에 맞서기 위해 1만 명의 전사를 소집해 대응했으나, 코르테스가 이끄는 불과 400명에게 제압당하고 말았다. 코르테스는 아즈텍의 내부 분란을 최대 활용해 400여 명으로 수백만 명을 굴복시켰다. 남북 분단 이 자체가 내부 분란이란 사실을 타산지석으로 여겨야 할 대목이다.

코르테스는 먼저 아즈텍 언어 구조를 철저히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탐사대를 구성해 아즈텍 구석구석 돌아다니면서 문화 탐방을 철저히 하였다. 어쩌면 이것은 일제가 한 방법과 하나 다를 게 없어 보인다. 드디어 문화 전쟁으로 아즈텍 내부 안에서 스스로 내분이 생기도록 했다. 다시 말해서 아즈텍 지도급 인물들이 사분오열 갈라져 몬테주마 2세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부족 간 문화적 차이를 코르테스는 최대한 이용해 먹었다.

드디어 아즈텍은 내부로부터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다. 아즈텍의 지배를 받고 있던 피지배 민족들은 스페인 코르테스와 싸우기는커녕 몬테주마 2세를 향해 화살을 돌렸다. 이들은 카리브 해 일대에서 코르테스가 저질러온 대학살에 대한 정보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오히려 몬테주마 2세로부터 받은 원한으로 한에 사무쳐 있었다. 임진왜란 때에 탐관오리에 억압 받고 있던 토호들이 왜군에 협조한 형국이나 같아 보인다.

이들 부족 토호들은 어리석게도 코르테스의 도움을 받으면 몬테주마 2세의 억압에서 해방될 줄 알았었다. 이것은 큰 착오였고 무지와 어리석음은 언제 어디서나 같은 길을 걸어 왔다. 이들 토호들은 설마 스페인이 자기들을 지배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안하고 몰랐던 것이다. 아니 이들은 코르테스에게 수십만 명의 병력을 지원하기까지 했다. 일본이 우금치에서 동학군을 토벌할 때에 정부군이 일본군을 지원한 것이나 무엇 하나 다른가? 조선의 경우는 조선 왕조가 어리석었고, 아즈텍의 경우는 부족 토호들과 민중들이 어리석었다.

이러한 와중에, 스페인 본토에서 수만 명의 군인들이 들어오기 시작했고 심지어는 스페인 정착민도 같은 배를 타고 들어 왔다. 조선에도 얼마나 많은 일본인들이 군인들과 함께 들어 와 살았던가? 이들은 드디어 창씨개명까지 하면서 동족 말살 정책을 폈다.

아즈텍 현지인들이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자체를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었다. 코르테스가 도착한지 1세기 만에 원주민의 수는 90퍼센트 이상이 줄었다. 겨우 살아남은 10퍼센트마저 심각한 인종차별과 노예 수준의 지배를 받았다. 그 무엇보다 인종 말살의 위험성은 백인들의 혼혈 정책이었다. 북미 대륙의 침략자들과는 달리 멕시코와 남미에서는 혼혈 정책으로 지금 멕시코 인들은 스페인을 아버지 나라라고 부르고 있으며 적대 의식은 찾아볼 수조차 없다. 혼혈 정책으로 창씨개명이 저절로 되 버렸다. 순수 백인들은 지금 멕시코시에 약 10퍼센트 정도 살고 있으며 산간 지대에는 혼혈이 되지 않은 원주민들이 극소수 살아 남아있을 뿐이다. 대부분이 혼혈로 창씨개명 된 멕시칸들이다.

위에서는 스페인의 침략 정책과 일본의 그것을 비교하면서 우리의 처지를 이해하려 했다. 일본은 이미 한 세기 전에 서양의 이런 침략 정책을 철저히 알고 배워오고 있었다. 그 수법을 그대로 우리에게 적용했고, 우리는 아즈텍이 망하듯이 망하고 말았다.

아베는 지금 임진왜란과 구한말 식민통치 때 하던 수법을 그대로 구사하고 있다. 초계기 사건이란 일본의 마각을 드러내고 있는 전초에 불과하다. 지금 자유한국당은 철저하게 일본의 지령을 받고 있는 행동대원들이라고 보면 된다.

반기문이란 자는 외교에는 역사를 앞세우면 안 된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있고, 이는 지금 자유한국당의 기본 외교 정책이다. 이들이 정권을 잡으면 아즈텍의 그 어리석은 자들이 하듯이 그 이상으로 고스란히 일본에 넘길 것이다.

위 인디언 추장이 우주 비행사들에게 한 말로 다시 돌아가 생각해 보자.

“이 사람들이 하는 말은 한 마디도 믿지 마세요. 이들은 당신들의 땅을 훔치러 왔어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9년 남북해외 민간교류의 첫발 ‘새해맞이 연대모임’

2019년 남북해외 민간교류의 첫발 ‘새해맞이 연대모임’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9/01/31 [10:09]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 새해맞이 연대모임’ 관련 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 : 6.15남측위)     © 편집국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 새해맞이 연대모임’ 관련 단체들이 2월 12~13일 금강산에서 열리는 공동행사를 앞두고 관련 구상을 밝혔다.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년 새해맞이연대모임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은 30일 오전 11시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동행사 관련 계획과 함께 국민들에게  “평화, 번영, 통일의 가슴 벅찬 미래를 우리의 힘으로 함께 열어”나갈 것을 호소했다.

 

추진위는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한국종교인평화회의(7대 종단),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한국진보연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계가 망라된 남북공동행사는 2008년 년 6월 금강산 공동행사 이후 10년 만이다.

 

추진위는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통해 “새해 2019년은 한반도가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 통일로 나아가느냐를 마느냐를 가늠 짓는 중요한 한 해”라며 “다시는 적대와 대결의 과거로 되돌아가지 않기 위해 한반도 모든 구성원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지난해 남북 두 정상간 합의를 한반도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이행하고 발전시켜 나갈 것, 당국 간 협력을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다방면의 교류협력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 평화·통일의 미래상을 함께 마련하고 합의하기 위한 전사회적 토론을 시작할 것 등을 호소했다.  

 

추진위는 남측대표단 210명을 포함해 기자단 및 집행부 등 260명이 방북할 예정이며, 북측 대표단(100명 내외 추정)과 해외측 15명을 포함하면 총 400여명이 공동행사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측 대표단은 12일 오전 6시 서울 경복궁에서 출발해 낮 12시 금강산에 도착, 남북해외 공동단장 오찬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이어 금강산문화회관에서 새해맞이 연대모임 및 축하공연을 갖고 금강산 호텔에서 각 단위별 대표 모임을 진행한다. 이틀째인 13일은 아침 해금강 일출과 금강산 온천, 삼일포, 구룡연 등반 등을 협의 중이며 오후 3시 금강산을 출경해 돌아올 예정이다.

 

참가자 중 공동단장은 이창복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 김희중 한국종교인평화회의 대표회장, 지은희 시민평화포럼 고문, 한충목 한국진보연대 고문,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등이 맡았다.

 

주요참가자로는 7대 종단 수장(김희중 가톨릭 대주교, 이흥정 NCCK 총무, 원행 조계종 총무원장, 오도철 원불교 교정원장, 김영근 성균관 관장, 이정희 천도교 교령, 박우균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회장)을 비롯해 지자체 및 교육청 관계자, 각계 대표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년 새해맞이 연대모임> 개최에 즈음하여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오늘 이 자리에 모인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한국진보연대를 비롯한 각계각층 시민사회단체와 인사들, 그리고 한국종교인평화회의(7대 종단)는 남북해외 민간이 만나는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년 새해맞이연대모임>을 위해 오는 2월 12일, 13일 이틀간 금강산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2008년 6월 금강산 공동행사 이후, 10년 만에 한자리에 다시 모이게 된다는 점에서 무척 뜻깊습니다.

 

2018년, 우리는 남북관계의 획기적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한반도에서 전쟁과 대결을 끝내고, 평화와 번영의 시대로 나가고자 하는 남과 북 두 정상의 담대한 의지와 노력은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4월 27일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판문점에서 만나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리었음을 전 세계에 천명”했습니다. 남북 정상은 9월 19일 3차 정상회담에서 채택한 평양선언을 통해“핵무기와 핵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을 만들겠다며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거듭 천명했습니다. 또한 남북군사분야합의서가 체결되어 지난해 11월 1일 지상과 해상, 공중에서의 적대행위가 전면 중지됨으로써, 한반도는 정전 이래 가장 평화로운 시대를 맞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이 있습니다. 북미 대화가 아직 순탄치 않고 남북간 합의사항 이행에 관해 우리 내부의 정치적 이견도 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 새해 2019년은 한반도가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 통일로 나아가느냐를 마느냐를 가늠 짓는 중요한 한 해입니다. 다시는 적대와 대결의 과거로 되돌아가지 않기 위해 한반도 모든 구성원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호소합니다.

 

1. 온 겨레가 손 맞잡고 한반도 평화, 번영, 통일의 대전환을 함께 이루어 냅시다.  

 

지난해 남과 북 두 정상이 전 세계와 온 겨레 앞에 확약한 선언들을 통해 한반도 대전환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제 한반도의 모든 구성원이 이 합의를 함께 이행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한반도에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하는 일에 모두 다 주저함 없이 나서야 합니다. 첨예한 군사적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전쟁 위험을 실질적으로 해소하며 단계적 군비축소를 실현하는 일도 우리의 몫입니다.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의 재개, 남북도로와 철도를 잇는 실질적인 조치들을 통해 남북관계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일도 온 겨레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시급한 과제들입니다. 온갖 장애물을 걷어내고 작은 차이를 넘어 담대하게 한반도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갑시다.

 

2. 당국 간 협력을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다방면의 교류협력으로 발전시켜 나갑시다.

 

정부 주도의 대화와 협력만으로 한반도가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민간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남북교류협력의 현실적인 장벽이 되고 있는 대북제재를 유예, 완화, 해제할 수 있는 힘과 지혜를 내는 것도 각계각층 다방면적인 만남과 교류, 협력 속에서 가능해 질 것입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비롯한 각종 경제협력 논의가 다시 시작되고 있고, 여성, 지역, 종교계, 노동자, 농민, 청년학생, 학계와 법조계, 문화예술인, 시민·평화·환경단체 등 각계각층 시민들이 교류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이제 다양한 경제협력과 사회문화교류의 막힌 물꼬를 터야합니다. 금강산에서 개최되는 남북해외의 새해맞이 모임이 그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정부와 민간이 각자의 위치에서 다방면의 교류와 협력을 본격화하여 남북의 협력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켜냅시다. 

 

3. 평화·통일의 미래상을 함께 마련하고 합의하기 위한 전사회적 토론을 시작합시다.

 

한반도의 모든 구성원들은 누구나 한반도 문제해결에 주인으로 참여할 자격과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분단과 대결로 인해 희생과 고통을 겪어온 당사자도 우리들이고, 한반도 평화와 협력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열어갈 주인공도 바로 우리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겐 촛불집회를 통해 입증된 저력이 있습니다. 앞으로 닥칠 안팎의 장애물을 슬기롭게 넘어서고, 주변 강대국의 협력을 이끌어낼 역량도 우리 안에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내부의 합의가 중요합니다. 아직 우리 사회에는 냉전시대의 낡은 갈등과 퇴행이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게 논의될 공론의 장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자신의 역량을 믿고, 한반도 평화, 번영, 통일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고 준비해 나가야 할 때입니다. 한반도의 미래상은 무엇인지, 어떤 원칙과 경로를 통해 평화와 통일로 나아갈 수 있을 지 전국방방곡곡에서 민주적인 토론마당을 열고 새롭고 공고한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 갑시다.    

 

2019년, 뜻깊은 해에, <새해맞이연대모임>으로 남과 북, 해외 민간 교류의 첫발을 내딛습니다. 이 행사는 남한 각계각층의 민간 평화 통일 운동을 더욱 폭넓고 다채롭게 확대하고, 연대와 단합을 북돋우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남북공동선언 이행과 남북관계 발전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희망과 낙관을 가지고 평화, 번영, 통일의 가슴 벅찬 미래를 우리의 힘으로 함께 열어갑시다.   

 

2019년 1월 30일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년 새해맞이연대모임 추진위원회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500년 전통의 공동체 삶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9/01/30 13:33
  • 수정일
    2019/01/30 13:33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500년 전통의 공동체 삶

조현 2019. 01. 29
조회수 964 추천수 0
 

 

아미1--.jpg

 

과학문명을 선도하는 미국에 살면서도 말과 마차를 타고 다니며 단순 소박한 삶을 지켜가고 있는 그리스도인 마을 아미시들을 대상으로 박사학위 연구를 진행한 거투르드 앤더스 헌팅턴을 비롯한 인류학자들은 20세 중반까지도 그들의 문화가 인류역사에서 머지않아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그들은 인류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기는 커녕 매 20년마다 두 배로 인구가 증가하는 뜻 밖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열린 ‘아나뱁티스트 컨퍼런스’에서 캐나다 메노나이트 교회선교부 김복기 목사가 발표한 내용이다. 이날 컨퍼런스는 ‘아나뱁티스트들이 살아온 오랜 방식’ <공동체를 말하다!>란 주제로  열렸다. 최근 국내에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급중하면서 마을공동체운동의 원조격인 아나뱁티스트 컨퍼런스가 열리자 150여명의 청중들이 참가해 5명의 목사와 교수들의 발표를 경청하고 열띤 질의응답을 펼쳤다.

 

1컨퍼런스--.JPG 세미나--.JPG

 

아미쉬4--.jpg

 

 산상수훈 부르심에 응답한 삶 선택
   김복기-.JPG» 김복기 목사아나뱁티스트는 ‘재세례파’는 뜻이다. 태어나자마자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세례를 받는 것을 거부하고, 성인이 되어 자발적 의지로 세례를 받아 예수의 가르침대로 살아가는 삶을 택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500년 전 루터와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운동이 관주도개혁에 머무르자 초기교회의 공동체적 모습 그대로 따르려는 이들이 모여 살았다. 이에 대해 발표자인 김난예(침례신학대)교수는 “산상수훈의 부르심에 응답한 이들“로 정의했다. 
 아타뱁티스트들은 전쟁과 폭력을 철저히 반대하고 어떤 명분으로도 살상과 총기와 유아세례를 거부해 군부와 가톨릭, 주류 기독교로부터 모진 박해를 받고 쫓겨다니면서도 예수의 본질적인 사랑과 비폭력의 삶을 이어오며 인류사회에 큰 영감을 주었다. 감리교를 창시한 존 웨슬리는 1735년 영국에서 미국으로 가던중 배가 뒤집어질질뻔한 풍랑을 만나 자신을 비롯한 승객들이 두려움에 떨고있을 때 모라비언들만이 태연하게 찬송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회심했다고 한다. 그 모라비안들이 바로 아나뱁티스트의 선조들이다. 2006년엔 미국 필리델피아 아미시의 한 학교에 침입한 범인이 10명에게 총기를 난사에 5명이 죽고, 5명이 부상을 입었는데 아나뱁티스트의 일종인 아미쉬인들이 그날 해가 지기도 전에 범인을 조건 없이 용서하고. 답지하는 성금을 범인의 아내와 세자녀에게 먼저 할애해줄 것을 요청하고, 범인의 가족들을 식사에 초대해 위로해 전세계를 놀라게 했다.

 

아미2-.jpg 아미3-.jpg 아미쉬1-.jpg 아미쉬6-.jpg 아미쉬8-.jpg 아미쉬11-.jpg 
 
 혼삶 시대에도 왜 공동체로 사는 사람이 늘까
 김난예-.JPG» 김난예교수   아나뱁티스트로는 국내엔 부르더호프공동체가 널리 알려져있다. 그러나 더 많은 아나뱁스트들 그룹인 후터라이트와 아미시, 메노나이트 등이 있다. 모라비안의 후예로 미국과 캐나다에 정착해 14가정씩 개인소유 없이 공동으로 살아가는 후터라이트인구는 1980년 2만4천여명이었으나 현재 4만5천여명으로 늘었다. 아미시는 농촌지역에만 거주하며 자동차 등을 거부한채 말과 마차를 타고 다니고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건강성과 안녕을 우선시하는 삶을 유지하고 있다. 아미시는 1900년엔 6천명에 불과했으나 현재 33만여명으로 집계된다. 메노나이트는 교회 그룹으로 확산돼 현재 9624개 교회에 146만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설목사-.JPG» 설은주 목사 
 산업화, 도시화와 개인의 자유가 중시되면서 핵가족화와 혼삶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이렇게 공동체적 삶에 동참하는 이들이 줄기는 커녕 늘어나고 있는 것에 대해 설은주 ‘하늘숲-좋은나무공동체’ 목사는 “관계가 깨져가고 있는데 대한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이대로는 도저히 안된다’며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서 가시적으로 드러내보고 싶은 욕구의 분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난예 교수는 “현대사회가 물질적 부만을 추구하며 생긴 불평등으로 인한 온갖 문제의 해결책이 공동체에 있고, 특별히 장애인과 노인 등 어떤 사람도 소외되지않은 사회의 필요성으로 공동체가 더욱 필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복기 목사는 “통상적인 조직들은 실패하면 서로 욕하고 흩어지기 마련인데, 아나뱁티스트들은 성공과 실패까지 공유해왔다”고 지속성의 비결을 설명했다. 
 

아미쉬5--.jpg 아미쉬7--.jpg


 갈등과 두려움을 넘어 어떻게 함께살까
 최철호-.JPG» 최철호 목사 컨퍼런스에선 서울 인수동과 강원도 홍천 등에서 300여명이 공동체로 살아가는 밝은누리 대표 최철호 목사도 발표했다. 최 목사는 “‘나도 다 해봤는데, 다 부질없는 이야기야!’, ‘생각은 좋은데 현실에 맞지 않아!’라는 생각들은 그 자체가 불신앙, 체념적 삶의 표현”이라며 “일상에서 늘 욕망을 조작하고 불안을 조장해 생명을 고갈시키는 시대 우상이 강요하는 삶에서 탈주해 먹고 입고 자고 즐기는 생활양식과  결혼·임신·출산·육아와 수련, 치유, 교육, 노동, 놀이 등 구체적 삶에서 하나님 나를 증언하는 삶을 살아가는 건 개인이나 가정 단위가 아니라 마을이라는 관계망에서 가능한 일”이라고 밝혔다라이스-.JPG» 크리스 라이스 .
  크리스 라이스 메노나이트 동북아책임자는 인종차별의 본거지라는 미국 미시시피주 수도 잭슨에서 백인과 흑인들이 섞여살던 ‘갈보리의 소리’라는 공동체에서 겪은 갈등 사례를 들려주었다. 그는 “우리는 미국에서 인종적으로 가장 잘 통합된 공동체라는 자부심이 있었는데 흑인들이 ‘화해모임’을 조직해 ‘인종차별은 사회에 있기에 앞서 우리 공동체 안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위기에 봉착했다”며 “고통스런 과정을 거치며 내가 백인으로써 인종문제를 다루는 것은 선택적이었음을 깨달았다”고 했다. 즉 언제든 부유한 백인은 다른 부유한 백인 교회로 옮겨갈 수 있었으나 흑인 형제 자매들은 그런 선택이 없었으며, 백인들이 그런 특권을 이용한 해결은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이었다는 것이다. 그는 얕은 해결책에 머물지않는 진정한 화해를 위한 3단계 과정을 이렇게 제시했다. “첫째 사회적 긴장과 트라우마의 진실,억압, 특권을 극복하려면 정면으로 부딪히고, 애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두번째 진실이 없는 사랑은 거짓이라는 것이다. 즉 우리를 갈라놓고 망가지게 하는 것을 대면하지않는 화해가 있을 수 없으므로 괴로움과 분노의 과정까지 거치면서 진실과 사랑을 함께 결합해야한다는 것이다. 셋째 기독교공동체 화해의 핵심에는 자기부인이 있어야 한다.”

아미쉬10--.jpg

 

아미쉬2--.jpg

 

아미쉬3--.jpg

 
 고독의 시대, 공동체는 어떻게 세상을 돕는가
 이날 컨퍼런스에선 아나뱁티스트들이 공동체적 삶의 전통과 지혜를 살려 현대사회인들을 구제하는 사역들이 소개됐다. 6곳에서 운영되는 ‘그린크로프트’라는 ‘돌봄의 공동체’가 대표적이다. 이 공동체 중 한곳은 1922년 인대애나주 뉴 칼리슬의 30만평 숲에 만들어져 150명의 메노나이트 도우미들이 공동체로 살아가면서 배우자를 잃고 홀로 남은 65세 이상 노인들과 함께 총 270명이 살아간다. 또 고센 공동체엔 550명의 전문의료인 및 간호인을 포함해 노인등 1200명이 살아간다. 공동체 내엔 예배당과 소규모 예배실, 상담실, 도서관, 컨퓨터실, 영화관람실, 오락실, 각종 모임방 등이 있고, 건강한 이들은 은퇴 후에도 이곳에서 직업을 갖고 파트타임 일을 하거나 자원봉사에 나선다. 김복기 목사는 “돌봄의 공동체는 양노원이 아니라 메노나이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청지기의 삶으로 함께하는 것”이라면서 “이 공동체들은 외진 곳에 있지않고 도시 끝자라에 위치해 도시 내 자녀들 및 친척들과 공동체성을 잃지안하고 연결되게 한다”고 설명했다. 노령화와 혼삶으로 소외와 고독사가 사회문제가 되고있는 한국사회에도 필요한 돌봄공동체가 아닐 수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CNN, 韓日 군사갈등 심각한 위기 발생할 것

韓日 관계 정상화? 역사적으로 화해한 적 없어
 
뉴스프로 | 2019-01-30 10:41:09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CNN, 韓日 군사갈등 심각한 위기 발생할 것 
-韓日 관계 정상화? 역사적으로 화해한 적 없어 
-日 한국 강점, 많은 한국인 잔인하게 살해 노예화

최근 증폭되고 있는 한국 군함에 대한 일본의 초계기 근접비행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군사적 갈등에 CNN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동맹관계를 해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CNN은 27일 ‘Why a military spat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could snowball into crisis-한미 양국의 군사적 다툼, 재난으로 확대될 수도’라는 제목의 분석 기사에서 최근 벌어지고 있는 한일 군사적 갈등의 내용과 한일 간의 역사적 배경, 한미일 3국 동맹 관계에 대한 영향 등을 분석하며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한일 간의 군사적 다툼이 심각한 위기로 치달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CNN은 특히 양국의 군사적 다툼이 ‘빠르게 확대되어 이제껏 뒷전에 남겨졌던 예전의 역사적 논쟁으로까지 이어지며 그 지역의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동아시아 지정학이 마구 흔들려 이제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는 미국 국방부 전 아태지역 담당자였던 반 잭슨의 말을 전했다.

잭슨은 “이 모든 논란의 와중에, 그간 억제되었던 적대적 감정이 허울뿐인 지역 안정을 깨고 드러나기 시작했다.”고 내다봤다.

CNN은 이러한 갈등의 배경에는 역사적 적대감이 있다며 이런 한일 갈등은 미국에게는 아주 좋지 않다며 송영길 의원이 군사정보보호협정에서 한국이 탈퇴할 것을 제안하기까지 했다고 전했다. CNN은 지정학적으로 한일간에는 중국과 북 문제에 대해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지만 역사는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한국인들이 잔인하게 취급되고 살해되고 노예화되었던 일본의 한국 강점과 식민지화의 역사는 여전히 매우 감정적인 문제로서 양국 관계를 규정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1965년의 한일 관계정상화에 대해 그 당시 한국은 군사 독재정권 하에 있었으며, 대다수 한국인들은 그 조약이 불공평하다고 여기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그 조약에 반대하여 싸우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CNN은 미국의 중요한 동맹국인 한일 간의 갈등에 트럼프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동맹국이 미국의 이익을 지키고 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CNN은 “어떤 면에서 최근에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역사로의 회귀이다. 한일 양국은 1965년에 관계를 정상화했을 당시 결코 완전히 화해하지 않았고 미국과의 협력이라는 명분 하에 많은 이해 충돌을 잠시 보류했을 뿐, 뭔가 바뀌지 않는다면, 불행하게도 언젠가는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것이라고 본다.”는 전 미 국방부 관료인 잭슨의 말을 빌어 우려를 전달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CNN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cnn.it/2S8bN2y

Why a military spat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could snowball into crisis 
한일 양국의 군사적 다툼, 재난으로 확대될 수도

By Joshua Berlinger, CNN 
Updated 0552 GMT (1352 HKT) January 27, 2019

A photograph released by the South Korean Defense Ministry appears to show a Japanese plane as seen on board one of its destroyers, the Dae Joyeong, on Wednesday. 
수요일 한국 국방부가 배포한 사진은 구축함 대조영함 선상에서 목격된 일본 항공기를 보여준다.

(CNN) Japan and South Korea are engaged in a heated military dispute that analysts say could damage the already tenuous geopolitic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if the two sides do not reach a resolution.

(CNN) 일본과 한국이 뜨거운 군사적 논쟁을 벌이고 있으며, 양측이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면 동북아시아의 이미 불안정한 지정학적 상황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고 분석가들은 말하고 있다.

The spat began December 20 after an encounter between a Japanese plane, which Tokyo said was collecting intelligence, and a South Korean destroyer, which Seoul said was on a humanitarian mission.

그 다툼은 정보수집 중이었다고 일본 정부가 밝혔던 일본 항공기와 한국 정부가 인도적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고 말한 한국 구축함 사이의 근접상황이 있었던 12월 20일 시작되었다.

Both sides disagree on what happened next — the Japanese said the South Koreans targeted their aircraft with missile-targeting radar, while the South Koreans said the Japanese plane was flying dangerously low and that the radar “was not intended to trace any Japanese-controlled aircraft.”

한일 양국은 그 다음 벌어진 상황에 대해 서로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일본 당국은 한국이 자신들의 항공기를 미사일 목표 추적 레이다로 조준했다고 말한 반면 한국 정부는 해당 일본 초계기가 위험할 정도로 낮게 비행했으며 그 레이더는 “일본 항공기를 추적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The disagreement has quickly escalated, bringing to the fore historical disputes previously on the back-burner and — in turn — threatening the region’s stability.

양국의 이견은 빠르게 확대되어 이제껏 뒷전에 남겨졌던 예전의 역사적 논쟁으로까지 이어지며 그 지역의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East Asian geopolitics has been shaken loose and is now unsettled,” said Van Jackson, a former US Department of Defense official specializing in the Asia-Pacific.

미국 국방부 전 아태지역 담당자였던 반 잭슨은 “동아시아 지정학이 마구 흔들려 이제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고 말했다.

“China is seeking to push out the US, North Korea has pulled a jiujitsu move by using summit diplomacy to solidify its status as a nuclear state even as the ostensible purpose is to denuclearize Pyongyang, and the future of the US in the region is less certain now than any time since the 1970s.

“중국은 미국을 밀어내려 하고 있고, 북한은 표면상의 목적은 북한의 비핵화라고 하나, 마치 주짓수를 하듯 정상회담 외교를 통해 핵 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그 지역에서의 미국의 미래는 1970년대 이후 어느 때보다도 불확실하다.

“Amid all this tumult, suppressed animosities are started to crack through the veneer of regional stability.”

“이 모든 논란의 와중에, 그간 억제되었던 적대적 감정이 허울 뿐인 지역 안정을 깨고 드러나기 시작했다.”

A marriage of convenience

정략 결혼

South Korea and Japan are historical adversaries locked in a marriage of convenience, which makes for a complex partnership. Their relationship is still very much colored by the legacy of imperial Japan’s occupation and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한국과 일본은 정략 결혼으로 맺어진 역사적 적대국으로서 복잡한 협력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양국의 관계에는 20세기 전반기 제국주의 일본의 한반도 점령과 식민지배의 흔적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

This revived tension comes at a terrible time for the United States — the Trump administration is currently preparing for its second summit with North Korea, while also inching towards a key deadline in trade talks with China.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2차 정상회담을 준비 중이고 중국과의 무역회담의 주요 쟁점이 막바지에 이른 현 시점에 이렇게 다시 부활한 긴장관계는 미국에게는 아주 좋지 않다.

Shortly after the initial incident, Japan and South Korea held working-level meetings to try to resolve the issue behind closed doors.

첫 사건 직후에 일본과 한국은 비공개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무자급 회의를 개최했다.

It appears to not have worked — and neither side is buying the other’s explanation. 그러나 이는 성공적이지 못한 듯 보이며, 어느 쪽도 상대방의 설명을 수용하지 않고 있다.

Japan released video of the incident from its perspective on December 28. South Korea released its own video on January 4. Each accused the other of misleading the public and distorting the facts.

일본은 12월 28일 일본의 입장에서 사건에 대한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에 한국은 1월 4일 자체 영상을 발표했다. 양측 모두 서로에 대해 대중을 오도하고 사실을 왜곡했다고 비난했다.

Japan has conducted three other flybys over South Korean ships this month — one last week, one on Tuesday and another Wednesday. Seoul publicly condemned the latest as a “clearly provocative act” against a “partner country.”

일본은 이번 달에 한국 선박의 상공에서 지난 주에 한 번, 화요일 한 번, 또 수요일에 한 번 총 세 번의 또 다른 접근 비행을 실시했다. 한국 정부는 가장 최근의 비행이 “동맹 국가”에 대한 “명백한 도발 행위”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South Korea’s Defense Ministry released this radar photo, which it says shows a Japanese patrol aircraft 7.5 kilometers (4.6 miles) away from the South Korean naval destroyer Dae Joyeong.

한국 국방부는 레이더의 사진을 공개하며 일본 정찰기가 한국 해군 구축함 대조영함에서 7.5km(4.6마일) 떨어진 거리에 있었다고 말한다.

Lawmaker Song Young-gil, from South Korea’s ruling Democratic Party, has even gone so far as to suggest Seoul pull out of its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a pact allowing the two countries to share sensitive intelligence.

한국의 집권당인 민주당의 송영길 의원은 심지어 한일 양국이 민감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인 군사정보보호협정에서 한국이 탈퇴할 것을 제안하기까지 했다.

Jonathan Berkshire Miller, an analyst at the Tokyo-based Jap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ffairs, believes historical enmity contributed to the sudden deterioration of relations.

도쿄 소재 국제관계 일본 연구소의 조나단 버크셔 밀러 분석가는 역사적 적대감이 양국 관계의 급격한 악화에 기여했다고 믿고 있다.

“The context is key,” he said.

그는 “그러한 맥락이 핵심이다”라고 말했다.

Historical adversaries

역사적 적대감

Despite their historical differences, South Korea and Japan share plenty of surface similarities. They’re both vibrant democracies with developed economies. Geopolitically, they are both US allies; they both want a denuclearized North Korea; they both support free trade; and they both view China’s rise with trepidation.

역사적으로 서로 상이하긴 하지만 한국과 일본은 많은 표면상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양국 모두 경제 대국이며 역동적인 민주주의 국가이다. 지정학적으로 양국은 모두 미국의 동맹국이며, 양국 모두 비핵화된 북한을 원하고 있다. 양국 모두 자유무역을 지지하고 있으며 중국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But history looms larg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and colonization of Korea — when many Koreans were brutalized, murdered and enslaved — is still a highly emotional issue that defines their relationship.

그러나 역사는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한국인들이 잔인하게 취급되고 살해되고 노예화되었던 일본의 한국 강점과 식민지화의 역사는 여전히 매우 감정적인 문제로서 양국 관계를 규정한다.

South Korea and Japan signed a treaty in 1965 that normalized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was supposed to settle most of the wartime issues.

한국과 일본은 1965년 양국 간의 관계 정상화와 전시 사안의 대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조약에 서명했다.

But South Korea was a military dictatorship at the time, and many Koreans felt the deal was unfair — and today are still fighting against it.

그러나 그 당시 한국은 군사 독재정권 하에 있었으며, 대다수 한국인들은 그 조약이 불공평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그 조약에 반대하여 싸우고 있다.

The two countries are still locked in heated debate over statues depicting “comfort women” — Korean women forced into providing sexual services for Japanese soldiers — and recent decisions by South Korea’s Supreme Court allowing citizens to sue Japanese corporations for reparations for forced labor.

일본 군인들에게 성관계를 제공하도록 강요 받았던 한국 여성들 “위안부”를 묘사항 동상, 그리고 시민들이 일본 기업들을 고소하여 강제노동에 대한 배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최근 한국 대법원에 의한 판결을 두고 양국은 여전히 뜨거운 논쟁을 벌이고 있다.

Japan contends both issues were settled by the treaty.

일본 정부는 두 문제는 조약에 의해 이미 해결되었다고 주장한다.

Even further, they have been in a heated dispute for more than 50 years over ownership of a group of islands called Dokdo in Korean and Takeshima in Japanese.

또한 한일 양국은 한국어로 독도, 일본어로 다케시마라고 불리는 일군의 섬의 소유권을 두고 50년 넘게 열띤 공방을 벌여왔다.

Despite all this, military-to-military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often appeared largely unaffected by the ebbs and flows of political disagreements, said Miller, the analyst at the Jap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ffairs.

일본 국제문제 연구소의 분석가인 밀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간의 군사적 관계는 정치적 불일치의 변동에 그다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듯 보였다고 말했다.

“That was the one area that was kind of quarantined or immunized before,” he said. “It wasn’t always perfect … but it was one that they both agreed was for the better good for the both of them.”

밀러는 “그 문제는 여지껏 상호 인정하거나 면책을 받은 한 영역이였다”고 말하며 “항상 완벽한 것은 아니었지만, 양국 모두가 합의한 것이 양국 모두에게 더 좋은 일인 바로 그러한 분야였다”고 했다.

Alliance maintenance 동맹 유지 Japan and South Korea’s foreign ministers met on the sidelines of the World Economic Forum in Davos, Switzerland, Wednesday to discuss the issue, but their meeting ended with statements that did not appear to resolve anything.

수요일 한일 외교부 장관들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별도로 회동했지만 발표문을 보면 아무 것도 해결되지 못한 듯 보인다.

Not with them at Davos was their shared treaty ally, the Untied States, which typically would help mediate the dispute. President Donald Trump canceled his trip to Davos to deal with the US government shutdown.

한일 양국의 조약 동맹국으로서 보통 양국 간 논쟁을 중재하는 데 도움을 주곤 했던 미국은 다보스에서 양국과 함께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정부 셧다운을 해결하기 위해 다보스 방문을 취소했다.

Some have accused the White House of not placing enough importance on alliance coordination and management. Former Defense Secretary James Mattis pointed to that as a key disagreement between himself and the President in his resignation letter.

어떤 이들은 백악관이 동맹국 조정과 관리에 충분한 중요성을 두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제임스 매티스 전 국방장관은 사임서에서 자신과 대통령 사이의 중대한 의견차이가 있음을 지적했다.

“Our strength as a nation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strength of our unique and comprehensive system of alliances and partnerships,” Mattis wrote.

매티스는 “국가로서 미국의 힘은 동맹과 협력이라는 미국의 독특하고 포괄적인 시스템의 강점과 불가피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썼다.

“While the US remains the indispensable nation in the free world, we cannot protect our interests or serve that role effectively without maintaining strong alliances and showing respect to those allies.”

“미국은 자유세계에서 꼭 필요한 국가로 남아 있긴 하지만, 미국이 강한 동맹을 유지하지 못하고 동맹국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거나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Analysts like Jackson, the former Defense Department official, worry that the current spat is a manifestation of declining US leadership, and will play into the hands of North Korea and China — two countries that have historically sought to diminish US influence in the region by causing rifts between Washington and its allies.

전 미 국방부 관료인 잭슨과 같은 분석가들은 현재의 분쟁이 미국 리더쉽의 쇠퇴의 징후이며, 미국과 동맹국들 사이의 불화를 야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그 지역에서의 미국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려고 시도해온 북한과 중국의 손에 미국이 놀아나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What we’re seeing lately is a return to history in some sense — the two countries never fully reconciled when they normalized relations in 1965, and put a lot of conflicts of interest on the back burner in the name of cooperation with the US,” Jackson said.

잭슨은 “어떤 면에서 최근에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역사로의 회귀이다. 한일 양국은 1965년에 관계를 정상화했을 당시 결코 완전히 화해하지 않았고 미국과의 협력이라는 명분 하에 많은 이해 충돌을 잠시 보류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If something doesn’t change, I expect some kind of serious crisis to break out at some point, unfortunately.”

“뭔가 바뀌지 않는다면, 불행하게도 언젠가는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것이라고 본다.”

CNN’s Jake Kwon in Seoul and Yoko Wakatsuki in Tokyo contributed to this report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4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터뷰②] “이명박 때만 에너지 전환했어도...너무 늦었다”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 “에너지전환, 이제 생존 문제”

양아라·고희철 기자
발행 2019-01-29 18:34:14
수정 2019-01-29 19:54:57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이승빈 기자
 
 

'원전 사고 날 거라고 이야기했는데, 결국은 원전 사고가 안 나지 않았냐'고 따져 묻는다면?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은 안도의 미소를 지으며 "그러면 정말 다행이죠"라고 답한다.

그는 영화 '암수살인'에서 인상 깊었던 한 장면을 떠올렸다.

검사:형사님 생각이 끝까지 틀리면요?  
형사:그러면 차라리 다행이지요.  
검사:뭐가요.  
형사:세상에 나 혼자 바보 되면 그만 아닙니까?  
- 영화 '암수살인' 중에서
 

그는 암수살인에 나온 형사의 말에 크게 공감하며 이를 빗대어 말한 것이다. 암수살인은 피해자는 있지만 신고도 시체도 없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살인사건에 대해, 오롯이 피해자의 관점에서 다룬 영화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원자력산업계, 학자들, 그 지지자들과 싸워서 이기고 싶은 생각은 없다"면서, "원전사고를 강조하는 건 원전사고가 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이 노력의 결과로 원전이 사고가 나기 전에 문을 닫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사고는 회복 불가능한 사고다. 그래서 원전으로 '이익'을 보는 업계보다는, 원전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생각한다.

그는 원전시장은 더이상 신규가 아니며, 해체 시장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는 신재생에너지 전환으로 달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원전 반대 투쟁이 지속되고 있다.

그는 1994~1997년에 만난 유럽과 미국의 반핵 활동가들이 있다며 처음에는 시작이 비슷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른 뒤, 그들의 나라는 에너지전환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고, 한국은 뒤처지고 있었다.  

"갑자기 원전 왜 위험한지, 왜 안 되는지 쓰려고 보니까... 2000년~2001년에 끝난 논쟁인데 그걸 지금 2019년에 쓰려고 하니까 제가 너무 서글퍼졌다. 참 20년 동안 내가 뭘 했나, 무력감이 들기도 했다."  

원전 반대를 외쳤던 18년전과 달리 세계는 이미 '에너지 전환'이라는 세상을 맞이하고 있다.

풍력의 나라로 유명한 덴마크는 현재 전력 대비 71%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있다. 에너지 관련 기술 및 서비스가 덴마크 총 수출액의 약 12%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은 2022년까지 탈원전을 이루겠다고 선언했다. 2018년 독일 전력 생산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40%가 넘었다. 물론 독일도 석탄 발전소와 원전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 정부는 소위 '탈탄소위원회'를 구성해 논의한 결과 2038년까지 석탈발전소 제로를 준비하고 있다. 전력회사들은 에너지전환의 흐름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전세계적으로 신규 투자는 재생에너지가 대세"라면서 "석탄과 원전에 있는 노동자들을 어떻게 하면 전환시킬까, 수익구조를 어떻게 보장할 것이냐를 생각하면서 전력회사, 제조회사와 판매회사가 합종연횡이 쭉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만 원전 제포 포기? 자유한국당의 착각"  

차이잉원 대만 총통
차이잉원 대만 총통ⓒAP/뉴시스

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 정치권에서는 '탈원전 죽이기'가 이뤄지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지난해 11월 26일 논평을 통해 대만의 국민투표 사례를 들며 "탈원전 정책의 폐지를 가결했다"며 "대만 진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사형선고를 내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대만이 원전 제로 포기했다는 것은 자유한국당의 착각"이라며 "대만 정부는 실속을 챙겼다"고 말했다. 

2008년 집권한 국민당 마잉주 정부는 2011년 11월에 전체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정부 차원의 선언을 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사고 후 전국 각지에서 대규모 원전 반대시위가 일면서, 대만 국민들의 탈원전 요구가 거셌기 때문이다. 결국 마잉주 정부는 2014년 4월 신규 원전 룽먼의 건설을 잠정 중단하기도 했다.  

이후 2016년 대선에서 차이 총통은 "대만을 2025년까지 원전 없는 나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차이 총통은 원전을 없애는 대신 20%는 신재생에너지로, 50%는 천연가스로, 30%는 석탄으로 채우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차이잉원 정부는 집권 2년차인 2017년 1월 전기사업법 95조1항에 '2025년까지 가동 중인 모든 원전을 완전 중단시킨다'는 조항을 신설해 못을 박았다. 운영 중인 전체 6기의 원전 중 2기가 수명이 다해 폐쇄됐다.  

대만 정부는 지난해 11월 24일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전기법 95조 1항인 '핵발전소 시설은 2025년까지 모두 중단되어야 한다' 폐지에 동의하냐고 물었다. 총 유권자 대비 찬성률 29.84%로 통과되면서, 해당 조항은 효력을 잃게 됐다. 대만의 국민투표는 지난해 12월 관련법이 개정돼, 유권자 1.5%의 서명만 있어도 발의되며, 가결 조건도 찬성률 50%에서 25%로 낮춰졌다.

하지만 차이 총통은 "'원전 없는 나라 건설'은 환경법에 명기돼 있기 때문에 이번 국민투표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 목표는 변함없다"면서 "다만 이번 국민투표는 그 기한, 즉 '2025년까지'를 폐지했다"고 밝혔다.  

또한 대만은 국민투표에서 '석탄화력발전소 생산량을 매년 1%씩 줄이는 것'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과 신규확대를 중단하는 에너지정책 수립' 동의 의견도 함께 구했다. 이는 각각 총 유권자 대비 찬성률 40.27%, 38.46%로 통과됐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민진당 정부에서는 거버넌스 기구를 만들었는데, 총통 직속으로 사무국이 전 부처의 에너지 정책을 다 관할한다"며 "그래서 굉장히 속도가 빠르다. 그러니까 5.5기가와트 해상풍력을 기획한 지 1년만에 시장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2001년의 실패를 경험한 뒤 10년이 지난 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이렇게 다시 가고 있는데, 우리는 지금 실패하면 안 될 거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대만은 2001년 민진당 정부가 처음으로 집권한 뒤 타이페이시 인근에 신규로 건설 중이던 2기 원전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가 보수언론과 야당의 반대로 인해 국회 의결까지 간 뒤 다시 공사를 재개한 바 있다. 98% 완공된 이 원전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민당 정부에 의해 사업이 취소됐다. 10년 간 신규 원전을 지으면서 석탄발전은 50% 비중이었고, 재생에너지 확대는 제자리 걸음이었다. 그런데 지금 원전 건설을 중단한 대만은 재생에너지 확대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중국은 원전 많이 짓는 것 이상으로 재생에너지 생산이 폭발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원전 발전량의 두 배 가까이로 성장했고, 전체 발전량 비중도 원전은 4.2%인데 재생에너지 전기는 7.8%에 달한다"며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투자액은 화석연료발전 투자액의 두 배, 원전 투자액의 20배 가량"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재생에너지의 증가 이유에 대해 "원전이 없었고, 기존의 기득권 세력이 없으면, 발목잡는 사람들이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그는 10년이 걸리는 원전 건설보다 재생에너지의 공기(工期)가 훨씬 짧다고 설명했다. "원전은 10년이 걸린다. 태양광이나 풍력은 만약 허들만 없으면, 인허가 정식으로 밟고 하더라도 1년 이내에 건설할 수 있다. 덴마크나 독일처럼 환경영향평가가 굉장히 까다로운데도 불구하고 풍력 발전 인허가 절차가 3년 이내에 다 끝난다"면서 "신한울 3, 4호기를 지금 하면 10년은 걸릴텐데, 효과가 빠른 걸 먼저 해야지 않겠냐"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10년이 넘도록 3메가와트(MW) 풍력발전 터빈에 안주하고 있을 때, 제너럴일렉트릭(GE)는 12메가와트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GE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제프리 번스타인이 2017년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시장이 변했는데 우리는 충분히 빠르지 못했다"며 "전력시장을 잘못 평가해 과잉 투자했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고 전했다. 화석연료를 활용한 기존 발전 방식을 고수하는 것이 문제라고 말한 것이다.  

'원전 제로' 정책 없는 일본이 원전을 멈춘 이유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수소폭발로 떨어져 나간 원자로 벽의 일부가 그대로 남아있는 등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상흔이 7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남아있다.사진은 공동취재단이 제공한 것이다. 2018.02.20.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수소폭발로 떨어져 나간 원자로 벽의 일부가 그대로 남아있는 등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상흔이 7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남아있다.사진은 공동취재단이 제공한 것이다. 2018.02.20.ⓒ뉴시스

이웃 나라 일본은 어떨까?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일본은 우리보다 더 기술도 좋고 규제가 엄격해도 후쿠시마 사고가 나지 않냐"고 지적했다. 양이원영 처장은 우리는 후쿠시마의 값비싼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일본이 '원전 제로'를 정책으로 한 적은 한 번도 없지만 원전 제로가 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태로 원전 가동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일본은 9.0 규모의 지진과 15미터 쓰나미는 원전 관련 규제 기준에서 상정한 상황이 아니었다. 그런데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했지 않았나. 이를 감안해서 안전 기준을 높여야 하니까, 그 기준이 마련될 때까지 원래 기준으로 운영허가가 난 원전은 다 가동을 중단하고 상향된 안전 기준으로 재가동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 일본의 규제 절차다. 그러다보니 사고가 난 원전까지 포함해서 54개 원전이 동시에 문을 닫았다. 원전 전력 비중이 30%였는데 그걸 한꺼번에 가동 중단한 것이다. 그리고 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원전 설비를 업그레이드해서 재가동 허가를 하나씩 받고 있다. 2년간 원전제로가 된 것이다. 가동 중인 원전이 이제 9기이고, 원전 전기가 2%에 불과하다. 그 사이에 태양광발전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앞서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한 동경전력에서는 2011년 원자로 뚜껑에 균열이 간 것을 은폐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이 폭로 되면서, 동경전력 소속 핵발전소 17기가 가동 중단돼 점검에 들어간 바 있다.  

"우리나라는 그렇게 안 하고, 가동을 계속한다. 계획예방정비 때 혹시나 하고 들여다 본다. 그것도 전면조사하는 것도 아니고 몇 개 찍어서 보는데, 거기에 구멍이 나 있어. 그래서 주민들이 뭐라고 하니까 민간조사했고, 더 들여다보니까 이번엔 망치까지 나온 거 아니냐."

지난해 8월 28일 '한빛원전 안전성 확보 민관합동 조사단'의 한빛 4호기 격납건물 1~8단 공동조사 중간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원전 사고 시 방사성 물질의 유출을 막는 '최후의 보루'인 격납건물 콘크리트 내부에 최대 30cm까지 공극(구멍)이 발생했다. 또한 냉각 핵심 부품인 증기발생기 내부에서는 20년간 방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망치까지 발견됐다. 

그는 "일본은 6~7년 동안 태양광 40기가 늘었다"면서, "일본 환경단체들은 시민들한테 '재생에너지 전기를 판매하는 전력회사로 옮기세요'라는 캠페인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일본의 해외 원전 수출 사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일본 히타치(Hitachi) 사는 영국 '와일파 뉴이드(Wylfa Newydd) 원전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히타치 사는 2012년 11월 영국 원전회사인 호라이즌 뉴클리어 파워(Horizon Nuclear Power) 사를 인수해 2700메가와트(MW) 규모의 와일파 뉴이드 원전 프로젝트를 수주, 2020년 가동 개시를 목표로 건설 공사 준비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안전대책비용 증가 등으로 건설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 원전 수출은 사실상 백지화된 상태다.  

세계에서 원전 원천기술을 가진 나라는 일본, 미국, 캐나다, 러시아 등 얼마 되지 않는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일본의 도시바, 미쯔비시, 히타치가 미국의 원전 원천기술 보유회사들과 합병해 원전수출에 앞장섰다"면서도 "도시바와 히타치가 영국 원전시장에서 손을 들었다. 미쯔비시는 터키 원전수출 시장을 포기했다. 대신에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에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MB 때 에너지 전환정책 시작했으면... 
미세먼지 문제 상당 부분 해결됐을 것"
  

이명박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자가 2011년 3월 14일 오전(현지시간) 아부다비 서쪽 해안의 브라카에서 열린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기공식에서 원전 모형 전시물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이명박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자가 2011년 3월 14일 오전(현지시간) 아부다비 서쪽 해안의 브라카에서 열린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기공식에서 원전 모형 전시물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뉴시스

이처럼 탈핵운동은 에너지전환의 흐름으로 바뀌고 있다. 그는 2018년부터 에너지전환포럼 일을 새로 시작했다.  

환경운동연합에서도 처장을 맡고 있는 그는 지난 1년 동안 안식년을 보내면서 에너지전환포럼의 사무처장을 맡았다. 에너지전환포럼은 기업, 단체, 개인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다. '원전과 석탄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재생에너지로 바꾸는 목표'에 동의한 사람들이 회원이 될 수 있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에너지전환 포럼은 단순히 후원하는 곳이 아닌, 발언권을 가지고 주체가 돼 에너지 전환이라는 목표를 향해 상호 토론하고 방안을 제시하는 단체라고 설명했다.

반대 운동과 함께 변화를 실제 만들어 내고, 전환을 시켜내야 하는 '되게 만드는 운동' 역시 어렵다. 그는 에너지전환 정책과 관련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다리 역할과 설득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정부 관료들을 만나야 한다. 그들이 잘 좀 했으면 좋겠고, 그러니 내가 잘 부탁한다고 얘기할 수밖에 없다. 사람 생각이 어떻게 하루 아침에 바뀔 수 있겠나. 사람에게 주어진 하루 24시간은 동일하다. 어떤 사람을 만나고 어떤 얘기를 주의깊게 듣는 지가 중요하다."

탈원전 정책 분야에서 문재인 정부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 능력이 부족하다고 얘기하는 게 맞지 않겠나. 그렇다고 문 정부를 자유한국당과 똑같이 욕할 수는 없다. 속도 터지고 짜증난다고 해도 박근혜 정부와 같이 평가할 수는 없지 않나. 그래서 더 자주 만나고 얘기하고 최신 정보를 나누고 해결책을 같이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전환포럼이 그런 역할을 하고 싶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 정책이 이명박 정부 때 시작했으면, 이렇게까지 늦어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탄했다. 이어 "그때가 우리나라 경제나 에너지 정책 전반이 전환되기에 딱 적합한 시기였다"며 "10년이 지난 지금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문제들이 상당히 많이 해결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목표 아래 '녹색성장'을 내세운 이명박 정부는 대대적으로 원전 확대 정책에 나섰다. 원전 수주를 위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유사시 군 자동개입 등의 내용이 담긴 비밀 군사협정을 맺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  

양이원영 사무처장은 이명박 정부 당시 시작한 서남해 해상풍력 2.5기가와트는 10년이 지난 지금도 아직 60메가와트(MW) 실증단계에서 지지부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이 2008년도만 됐더라도, 이런 논쟁 속에서 세금 좀 축낼 수 있다. 월사금이라고 생각하고 길 잡아가면 된다"며 "그런데 지금은 이 좌충우돌이 생존의 문제가 된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많은 분 조문 와줬으면... 할머니 가시는 길 외롭지 않게"

[현장] 김복동 할머니 빈소 첫날의 기록... 약 1300여 명 조문

19.01.30 07:58l최종 업데이트 19.01.30 09:41l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2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2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이희훈
 
"생각보다 사람이 없네요."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은 조문객의 말이다. 그래서일까? 딸의 제안으로 조문을 왔다는 남성과 여성은 빈소를 앞에 두고 두리번거렸다. 시계를 봤다. 오후 8시 56분이다. 이 가족과 대화하는 사이 빈소에 들어가는 이는 없었다. 가슴에 근조 리본을 단 이들만이 빈소로 향하는 입구를 지키고 서 있었다.
 
인권운동가이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별세했다. 향년 93세다. 김 할머니는 28일 오후 10시 41분, 세상을 떠났다. 이튿날 할머니가 투병 생활을 해온 병원에 빈소가 마련됐다.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신촌 세브란스 장례식장이다. 29일 오전 11시, 정의기억연대는 기자 설명회를 열고 김복동 할머니의 유언과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의 장례 일정을 발표했다.
 
[관련 기사 : "끝까지 싸워달라" 김복동 할머니의 유언]
 
29일, 김 할머니 빈소에서 하루를 보냈다. 이 글은 그 기록이다.

"남은 숙제들은 남겨진 사람들이 잘 해결해야"
  
고 김복동 할머니 영정 모시는 윤미향 대표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장례식장에 차려진 고 김복동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빈소로 고인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장례식장에 차려진 고 김복동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빈소로 고인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이희훈
 
김 할머니의 빈소가 처음부터 적막했던 건, 아니다. 낮 동안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정치인과 시민단체 활동가, 대학생들, 일반인 등이 잇따라 조문했다. 장례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하루 약 1300명(오후 9시 25분 기준)이 김 할머니 영정에 국화꽃을 바쳤다.
 
낮의 분주함이 저녁엔 사그라들었다. 조문객이 밀물처럼 밀려왔다. 오후 6시 40분, 장례식장 건물 앞이 북적거렸다. 가방을 둘러맨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 지하 2층에 있는 빈소로 향했다. 개중엔 눈시울이 붉히고, '꺽꺽' 소리 내는 이들도 있었다. 이중 김 할머니 빈소로 가는 이는 적었다.
 
그렇다. 김 할머니의 빈소는 TV 브라운관에 나오는 유명인의 장례식장과 달랐다. 길게 늘어진 조문 행렬도 '퇴근길 추모 물결'도 없었다.
 
조문객 틈에서 낯익은 얼굴을 발견했다. 김 할머니처럼 진실규명을 외치는 이였다. 유경근 4.16 세월호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이다. 유 집행위원장은 "(김복동) 할머니와 특별한 인연은 없다, 보도를 통해서 싸우는 모습을 봤을 뿐"이라고 했다.
 
김 할머니에게 하고픈 말을 물었다. 그는 "글쎄요, 조금만 더 살았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있죠. 지금은 모든 짐을 내려놓으시고 편안하셨으면 좋겠어요. 이제 남은 숙제들은 남겨진 사람들이 잘 해결해야죠. 그 약속을 하는 것 말고 무슨 말이 필요하겠나"라고 답했다.
 
저녁 7시, 빈소 옆 한 귀퉁이에서 첫 번째 추모의 밤이 열렸다. 평화 나비네트워크가 마련한 자리였다. 김 할머니의 육성이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왔다.

"그 사랑 잊지 않고 그 뜻 기억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올해로 92세 된 김복동입니다."
 
햇수로 2년 전, 김 할머니를 인터뷰 한 영상이었다. 옆에 앉은 조문객이 고개를 숙이고 눈물을 훔쳤다. 모니터 앞에 앉아 있던 소녀는 빨개진 코를 소맷자락으로 문댔다. 김 할머니가 말했다.
 
"올바르게 살면, 언젠가는 좋은 날이 온다. 여러분 힘내세요. 나는 이 세상에 태어나서 여자다운 일을 못 해봤어. 사랑이라는 거가. 자슥들 가진 부모들 좋다고 물고 빨고 하지만 저렇게 좋은가. 난 귀염을 안 해봤어..."

추모식은 김 할머니를 기억하는 자리였다. 사람들 앞에 선 이들은 각자 김 할머니와 얽힌 추억을 꺼내며, 미리 준비한 편지를 읽었다. 때론, 목이 메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때론, 울먹이면서.
 
편지를 준비하지 못한 이들은 추모글을 남겼다. 빈소 입구 벽면에 있는 '내가 기억하는 여성 운동가 김복동'이라 적힌 펼침막에 색색의 나비 모양 종이에 적은 글을 붙였다.
 

"김복동 할머니! 덕분에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용기 내주셔서 너무도 감사합니다. 영원히 잊지 않을게요. 노란 나비가 되셨으리라 믿습니다. - 이화나비 이연수"
 
"한 행사에서 할머니 옆에 앉아 있었는데 나비~라면서 활짝 웃어주시며 손을 잡아주시던 게 떠오르네요. 그리고 항상 수요시위든 어디든 당차게 이야기해주시던 모습. 존경하고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부디 평안하세요."
 
"김복동 할머니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그곳에서는 고통 없이 편안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남은 할머니들이 잘살아갈 수 있도록 또 일본 정부가 정식으로 사과하는 그날까지 기도하며 싸우겠습니다. - 서대문구의 한 젊은 청년이"
 
"역사를 잊은 자 미래는 없다. 김복동 할머니의 행동을 본받아 저희 젊은 세대가 늘 깨어있겠습니다. 편히 쉬십시오. 임재환"
 
"김복동 할머니 1993년부터 할머니를 지켜보았습니다. 제주에서 온 초등학교 친구들에게 그냥 보낼 수 없다며 자장면 사주게 예약하라며 윤미향 대표를 찾으셨죠? 이젠 그 친구들이 그 사랑 잊지 않고 그 뜻 기억할 것입니다. 이젠 편히 안식하소서."


"할머니를 알고 있다면, 조문 와 달라"
  
 29일 밤 9시,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취해하던 방송 카메라팀이 모두 철수했다.
29일 밤 9시,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취해하던 방송 카메라팀이 모두 철수했다.ⓒ 정대희
 
조문객은 썰물처럼 빠져나가기도 했다. 오후 7시 55분, 추모 행사에 참여했던 이들이 떠나자 시끄럽던 빈소가 조용해졌다. 조문객만 떠난 건 아니다. 기자들도 자리를 떴다. "고생하세요"란 말을 남기고 방송 카메라 팀이 짐을 꾸렸다. 오후 8시 2분, 김 할머니 빈소 옆에 마련된 기자실이 텅 비었다. 사진 기자 한 명만이 홀로 모니터와 씨름하고 있다. 나머진 '퇴근'이라고 귀띔하고 가방을 둘러맸다.
 
오후 9시, 남아 있던 방송 카메라가 철수했다. 조문객을 세어봤다. 빈소로 들어가는 입구에 서서 딱 10분간만. 화환을 들고 온 아저씨가 빈소로 향했다. 1분 뒤, 조문객 1명이 들어가고 2명이 나왔다. 근조 리본을 가슴에 매단 장례위원회 사람들이 나왔다 들어갔다를 반복했다.

오후 9시 4분, 1명이 빈소로 향하는 입구를 통과했고, 여기서 2명이 밖으로 나왔다. 이렇게 들어가는 사람보다 빠져나오는 사람이 많은 상황이 몇 차례 반복됐다. 오후 9시 18분, 홀로 기자실을 지키던 사진기자도 떠났다.
 
오후 9시 30분, 윤미향 공동장례위원장을 만났다. 그는 "(오늘) 사람들이 많이 와줬다. 대통령도 오고, 정치인과 학생들, 시민단체까지 정말 고맙다"라며 "하지만 그동안 (김복동) 할머니가 만났던 사람들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수요집회 때 (보통) 50명 정도 만나는데, 지금까지 27년이니 얼마나 많은 사람을 만나겠냐. 못해도 5만 명은 넘을 것이다"라고 했다.
 
이어 윤 위원장은 "많은 분이 조문 와줬으면 좋겠다, 할머니가 가시는 길 외롭지 않게. 할머니가 훨훨 날아 갈 수 있도록 많이들 찾아오길 바란다"라며 "사실 걱정이다. 마지막 영결식을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하는데, 사람들이 적게 와 목소리를 제대로 못 낼까 봐. 이러면 할머니의 27년 삶을 오히려 축소하는 거다. 할머니를 알고 있다면, 조문을 와 달라"라고 말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오후 11시 50분,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 앞에는 아무도 없다.
 
 김복동 할머니 빈소 입구 앞에 마련된 펼침막에는 조문객들이 쓴 추모글이  붙어 있다.
김복동 할머니 빈소 입구 앞에 마련된 펼침막에는 조문객들이 쓴 추모글이 붙어 있다.ⓒ 정대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미대결이 국제질서의 중심축

[아침햇살10]북미대결이 국제질서의 중심축
 
북미대결은 사상대결, 체제대결, 군사대결
 
문경환 기자 
기사입력: 2019/01/29 [20:17]  최종편집: ⓒ 자주시보
 
 

지난 18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합의했다는 소식이 나오자 전 세계가 주목하였다. 이제 북미관계는 국제사회가 가장 관심을 갖는 쟁점이 되었다. 북미관계가 어느덧 국제질서의 중심에 자리 잡았다. 왜 북미관계가 국제질서의 중심이 되었을까?

 

▲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하는 김영철 부위원장 일행     ©자주시보

 

국제관계에서 대결의 기본 영역은 사상·체제·군사 대결

 

사상대결, 체제대결, 군사대결은 국제관계에서 대결의 기본 영역이다. 

 

2차 세계대전까지 국제관계의 기본은 군사대결이었다. 강대국이 약소국을 침략하거나, 강대국끼리 식민지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하는 식이다. 이러한 군사대결은 영토확장이 기본 목적일 뿐 체제대결의 성격은 없었다.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구 소련을 침공한 것도 체제대결이 아닌 영토확장의 성격이 기본이었다. 

 

그러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국제관계는 군사대결에 체제대결의 성격이 더해졌다. 세계는 자본주의권과 사회주의권으로 나뉘어 체제경쟁을 하였다. 그러다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 기간 구 소련과 동구권이 체제경쟁에서 패배해 몰락하였다. 자본주의권은 체제대결의 승리를 선언했지만 북한, 쿠바 등 사회주의 체제를 고수한 나라도 여전히 존재하였다. 

 

한편 1930년대 김일성 주석이 이끄는 항일무장투쟁은 사상대결이라는 새로운 영역의 시작을 알렸다. 

 

김일성 주석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사상을 문화 일반에서 분리하여 사상이 모든 것을 규정한다고 제시하였다. 김일성 주석은 항일무장투쟁의 전 과정을 사상의 힘으로 진행하였다. 당시 항일무장세력은 일제에 비해 볼 때 영토도 없었고, 의식주도 열악했고, 정규군도 없었고, 무기도 없었고, 군인 수는 비교도 되지 않았지만 사상의 힘으로 모든 객관 조건의 열세를 극복하였다. 

 

김일성 주석은 해방 후 한국전쟁도, 사회주의 건설도 사상의 힘을 앞세웠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군영도도 사상의 힘으로 ‘고난의 행군’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오늘날 김정은 위원장도 사상에 결정적인 의의를 부여하며 당과 국가를 이끌고 있다. 북한은 사상대결이 체제대결, 군사대결에 규제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며 명실상부 사상전의 영역을 구축하였다. 

 

이런 북한의 모습은 구 소련, 중국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구 소련은 사상을 의식 일반에 포함시켰다. 구 소련의 지도사상인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의식 등 상부구조가 물질적 토대에 의해 규제된다고 보고 사상을 부차적으로 대했다. 중국은 사상을 문화 일반에 포함시켰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중국은 문화에도 상당한 의의를 부여했으나 구 소련과 마찬가지로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해 경제 등 물질적 토대를 결정적으로 보았다. 

 

이런 이유로 구 소련, 중국은 생산력 발전, 즉 경제성장을 위주로 한 정책을 펼쳤다. 물질적 토대를 발전시키는 것이 결정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와 체제대결을 할 때도 마찬가지로 경제대결, 생산력 대결을 하였다. 한 마디로 사회주의가 경제적으로 더 풍요롭다는 걸 보여주면 체제대결에서 승리한다고 여긴 것이다. 이러한 구 소련, 중국의 모습은 북한의 사상대결 노선, 사상이 결정적 요체라는 입장과 분명히 달랐다. 

 

북한은 이러한 사상론에 입각해 민중의 사상을 하나로 모은 수령의 사상을 유일하게 인정하는 유일사상체계를 채택했다. 이에 따라 수령의 사상으로 전 사회를 일체화하자는 목표를 제시하고 이것이 가장 우월한 힘의 원천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수령, 당, 대중을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고 통일단결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기서 체제대결, 군사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는 힘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상의 힘으로 모든 것을 추동한다는 개념은 북한 외에 어디에도 없다. 

 

중국이나 구 소련은 수령을 집단으로 보는 집단지도체계를 채택했다. 예를 들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7~9명의 상무위원이 1인 1표를 행사하는데 공산당 총서기도 예외가 아니다. 또 각 상무위원은 국정의 한 분야를 전담하며 다른 상무위원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 북한의 유일지도체계와 다른 것이다. 

 

여러 명의 집단이 수령을 구성하면 사상도 유일사상이 아닌 여러 사상을 인정하게 된다. 중국은 지난해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개정한 헌법에 국가 지도이념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후진타오의 과학적 발전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열거했다. 이 이념들은 공통성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는 서로 다른 것들이다. 북한에서 김일성주의를 계승, 발전시킨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지도이념으로 하는 것과는 다르다. 

 

사상대결이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사상은 전파력이 가장 광범위하고 강력한 힘이 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주의와 러시아 혁명이 20세기 인류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생각해보면 잘 알 수 있다. 만약 북미대결에서 북한이 이기면 북한의 사상이 전 세계로 확산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정리하자면 현재 북미대결은 사상대결, 체제대결, 군사대결의 성격을 포괄하고 있으며 이런 대결은 북미대결이 유일하다. 

 

북한과 미국의 사상대결

 

북미 사상대결은 자주와 침략의 대결이다. 북한은 자주권을 수호하려는 사상을 전면에 내세우고, 미국은 북한을 지배하기 위해 이 사상을 변질시키려 한다. 

 

북한은 김일성-김정일주의를 기치로 온 사회의 사상적 일색화를 실현해 이 힘으로 미국에 대항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김일성-김정일주의를 그대로 계승하고 여기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고 전면적으로 발전시켜 북미대결에 임했다. 북한 국민은 ‘선대 수령’의 사상에 기초한 자주·사회주의·선군 노선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하나로 똘똘 뭉쳤다. 

 

이에 미국은 북한에 다원주의, 자본주의 사상을 밀어 넣으려 하였다. 인권, 종교의 자유, 사상의 자유, 정파의 자유를 허용할 것을 요구하며 북한을 독재사회라 비난하였다. 미국은 다양한 공작을 통해 이런 사상들을 들이밀려고 시도하였다. 다양한 공작의 앞장에는 탈북자가 있다. 미국은 탈북자를 앞세워 인권공세를 하거나, 탈북자를 훈련시켜 북한에 투입한 뒤 자본주의 사상을 퍼뜨리려 시도하였다. 탈북자 단체들은 미국 민주주의기금(NED)의 자금 지원을 받아 대북전단 살포 등을 하고 있다. 대북전단에는 음란물이 수록된 USB 메모리도 섞여 있다. 이 밖에도 선교사로 가장한 공작원들이 북한에 성경책을 밀반입하거나 북한 선전물을 훼손하기도 한다. 미국은 북한 주변에서 북한 체제를 비난하는 라디오방송도 하고 있다. 

 

북미 사상대결은 기본적으로 북한의 백전백승이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북한은 미국의 사상 공작에도 불구하고 일심단결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수준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음을 과시하고 있다. 지난해 공화국 창건 70돌 행사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빛나는 조국’, 2018년 12월 31일 밤부터 2019년 1월 1일 새벽까지 이어진 설맞이 축하무대 등을 보면 유례없는 단결이 실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미국의 공작은 다른 나라에 비해 북한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 미국의 공작으로 북한 내부에 혼란이 조성됐다는 증거나 징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편 2016년 북한에 체포된 미국인 오토 웜비어는 북한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이 미국 CIA에 이용됐으며 양각도 호텔에서 정치 선전물을 훼손한 범죄를 저질렀다고 인정했다. 그는 선전물 훼손의 목적이 북한 국민의 단결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며 “미국 정부는 다시는 나 같은 사람들을 범죄에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웜비어는 2017년 미국에 송환된 뒤 곧바로 사망하였는데 만약 웜비어의 기자회견 내용이 사실이라면 미국 정부 입장에서는 웜비어의 사망이 다행이었을 것이다. 

 

북한과 미국의 체제대결

 

북미 체제대결은 사회주의 대 자본주의의 대결이다. 북한은 사회주의를 지키려 하며 미국은 자본주의를 이식하려 한다. 

 

북한의 노선은 사회주의의 원칙을 강화하고 발전시켜 미국의 공세를 분쇄한다는 것이다. 사회주의의 특징은 생산수단의 개인 소유를 금지하고 국가의 계획경제가 시행되며 경제의 성과가 전 국민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북한은 생산수단을 국가와 협동조합만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협동조합 소유를 점차 국가 소유로 전환하고 있다. 북한에서 생산수단의 개인 소유는 철저히 금지된다. 

 

또한 국가가 경제를 통일적으로 지도하며 이에 기초해 계획경제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신년사에서도 경제관리에서 국가의 역할을 높일 것을 강조했다. 북한에서 경제를 시장에 맡기는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또 북한은 경제성과를 전 국민에게 나눠주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국유기업의 이익 등 국가수입을 이용해 무상교육, 무상의료, 무상주택 등 높은 수준의 복지정책을 펼쳐 전체 국민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 북한에서 소수 특권층이 경제성과를 가져가는 일은 일어나기 어렵다. 올해 신년사에서도 간부들의 세도와 관료주의, 부정부패를 아무리 작은 행위라도 엄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북한의 제도는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 베트남과 완전히 다르다. 중국과 베트남은 이른바 개혁개방을 통해 생산수단의 개인 소유를 인정하였다. 중국은 아예 장쩌민 시기인 2001년, 자본가의 공산당 입당도 허용했다. 이는 2002년 당 강령에 3개대표론(당이 자본가, 지식인, 노동자·농민을 대표한다는 노선)으로 공식화되었다. 중국 최대 부호로 꼽히는 마윈 회장(알리바바그룹 창업자)도 공산당원이다. 베트남도 2006년 당원의 개인사업과 자본가의 입당을 허용하였다. 

 

또 중국, 베트남은 자본주의 요소를 적극 도입해 경제에서 시장의 역할을 높이고 있다. 중국에는 상하이와 선전에 증권거래소도 있다. 베트남은 1991년 제7차 전당대회에서 시장경제 도입을 결정했다. 시장경제의 도입은 필연적으로 불평등과 양극화를 낳는다. 경제의 성과가 전체 국민에게 골고루 돌아가지 않고 소수의 자본가, 관료층에게 상당부분 집중되는 것이다. 중국, 베트남에서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문제가 고질적 문제로 된 것은 이미 오래된 일이다. 

 

이런 이유로 중국의 경제성장은 자본주의를 위협하지 않는다. 만약 중국 경제가 미국을 앞지른다 하더라도 그것은 중국이 자본주의 요소를 도입했기 때문이므로 자본주의의 우월성을 입증할 뿐이다. 따라서 중국과 미국이 현재 진행하는 무역전쟁은 체제대결이 아닌 패권경쟁으로 봐야 한다. 

 

반면 북한과 미국의 체제대결은 전혀 다르다.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를 철저히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해 7월 13일 논설을 통해 “세계는 우리 당이 어떻게 경제발전과 인민생활에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차이를 하늘과 땅처럼 만드는가를 똑똑히 보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게 과연 공허한 말일까? 북한이 경제총집중 노선을 선포하자 많은 이들은 북한의 국방과학기술, 군수산업시설이 민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했다. 올해 신년사를 보면 북한은 이미 군수공장에서 트랙터, 포클레인 등 산업용 기자재를 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류 역사를 돌아보면 전쟁이 과학기술과 경제, 사회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24시간 붙들고 있는 컴퓨터, 인터넷 등도 모두 국방과학기술의 산물이다. 북한이 숨겨온 핵기술, 무기 기술을 민간 경제에 도입할 때 얼마나 큰 효과를 낼지는 외부에서 알 수 없다. 

 

만약 북한이 미국과의 체제대결에서 이긴다면 사회주의-자본주의의 기나긴 대결은 끝이 나고 자본주의는 완전히 패배하게 된다. 전 세계에 사회주의가 급속히 확산되는 현실을 가져올 것이다. 

 

북한과 미국의 군사대결

 

북미 군사대결은 핵대결을 핵심으로 하는 군사대결이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핵전쟁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북미정상회담이 있었지만 북한을 향한 핵무기를 철거하지도, 핵정책을 철회하지도 않았다. 전략무기들은 여전히 제자리에서 대기 중이며 북한을 목표로 한 각종 작전계획, 선제핵공격 전략도 그대로 있다. 핵전쟁을 염두에 둔 한미연합훈련도 일시적으로 유예하거나 언론을 피해 조용히 진행하는 로키(low-key)로 할 뿐이다. 

 

북한도 핵전력을 약화시키지 않았다. 지난해 비핵화조치들은 더 이상 핵무기를 늘리지 않을 뿐, 있는 핵무기를 폐기하는 것은 아니었다. 핵미사일을 운용하는 전략군도 그대로다. 또한 미국이 약속 이행에 불성실하게 나오자 병진노선 복귀를 언급하는 등 북미 핵대결에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북미 핵대결은 정책적으로, 군사적으로 엄연히 존재한다. 

 

전 세계적으로 핵대결이 가장 첨예하며 실제적인 곳은 북미대결이다. 핵보유국 중 미국, 영국, 프랑스는 동맹관계에 있어서 서로 대결하지 않는다. 중국, 러시아와 미국은 대결적이기는 하지만 정치적으로 정상관계에 있고 경제적으로 교류하며 상호 의존하는 부분이 있고 인적 교류가 자유롭다. 즉, 핵전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일정하게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과 미국은 이러한 안전장치가 없다. 정치적으로 적대관계로 수교도 안 했으며, 경제적으로도 적대관계로 초강력 제재를 하는 상황이고, 인적교류는 차단된 상태다. 종전선언도, 평화협정도 맺지 않고 정전체제가 지속되면서 북미 사이는 기술적으로 전쟁상태에 있다. 언제 전쟁을 개시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북미 핵대결은 다른 나라들의 대결과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다. 

 

그렇다면 핵전쟁 능력에서 북미 가운데 누가 우위일까? 흔히 일반적인 전쟁수행능력이라고 하면 군사력, 전쟁 의지, 경제력 등을 꼽는다. 그런데 이 가운데 경제력은 장기전의 경우에 중요하지만 핵전쟁과 같은 단기전에서는 중요도가 떨어진다. 여기서는 군사력을 핵공격력과 핵방어력으로 나누고 전쟁 의지는 지도부와 국민의 의지 모두를 살펴보겠다. 

 

첫째, 핵공격력에서 북한이 우위에 있다. 미국의 핵무기 보유량은 대략 4천 기 정도로 추정된다. 하지만 북한과 핵전쟁을 하면서 북한에 4천 기를 다 쏟아 부을 수는 없다. 애초에 미국이 수천 기의 핵무기를 만든 이유는 광활한 영토를 가진 소련을 겨냥해서다. 좁은 북한 땅에는 4천 기까지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핵무기의 양보다 질이 중요한데 미국 내에서도 미국의 핵무기 수준에 대한 불신이 많다. 미국 헤리티지 재단의 ‘2017 미국 군사력 지수’에 따르면 핵탄두 현대화 지수를 5등급 중 4등급인 ‘약함’으로 평가했다. 이미 수십 년 전에 비축한 핵무기를 유지만 할뿐 새로운 기술 개발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미국의 주요 핵무기 탑재 폭격기 B-52는 케네디 대통령 시기 취역한 기종이며 유일한 육상 발사 미사일인 미니트맨3는 1970년 배치돼 80년대 초반 은퇴할 예정이었던 낡은 미사일이다. 보관시설은 대부분 1950년대에 지은 것으로 관리와 발사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니트맨 발사장치는 2000년대 들어 구경조차 힘든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할 정도다. 이런 이유로 미국 내에서는 설계수명이 지난 노후화된 핵무기를 개량하기 위해 새로운 핵실험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반면 북한은 가장 최근에 핵무기를 개발했다. 후발주자라서 기술이 뒤떨어진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역으로 후발주자의 장점을 살려 첨단 핵무기 개발 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도 있다. 북한은 이미 핵무기의 경량화, 소형화, 다종화를 실현했다고 발표했다. 더 이상의 개발이 필요 없다며 핵시험장을 폐기하기까지 했다. 

 

북한과 미국의 두드러진 기술적 차이점은 차량이동식 미사일 개발이다. 미국은 일찍부터 차량이동식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을 추진했으나 1980년대 들어서야 성과가 나오기 시작, 미지트맨이라는 철도 및 차량이동식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에 본격 뛰어들었다. 그러나 비용 등 여러 이유로 도중에 개발을 중단하고 말았다. 덕분에 미국의 지상 발사 미사일은 오로지 지하격납고에서만 발사한다. 반면 북한은 단기간에 개발에 성공하여 러시아, 중국에 이어 세 번째 차량이동식 대륙간탄도미사일 보유국이 되었다. 

 

둘째, 핵방어력에서도 북한이 우위에 있다. 북한은 수십 년 동안 미국의 핵공격에 대비해 주요 시설을 지하 깊이 건설하였고 전체 주민이 대피할 수 있는 지하대피소도 건설하였다. 평양의 지하철을 핵공격에 대비해 150m 깊이로 건설한 것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반면 미국은 본토 핵공격에 대한 대비가 거의 없다. 미사일방어(MD)체계는 불완전하고 특히 마하 20배가 넘는 대륙간탄도미사일 탄두를 요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물론 지휘부를 위한 지하벙커는 있다. 하지만 일반 병사와 민간인은 아무런 대책이 없다. 그나마 갑부들은 사설 지하벙커를 만들어 자기들 살 궁리를 하였지만 서민 입장에서는 언감생심이다. 

 

셋째, 핵전쟁 의지에서도 북한이 우위에 있다. 북한 지도부는 전쟁위기가 발생하면 ‘대화에는 대화, 전쟁에는 전면전으로’라는 구호를 들고 전시상태에 돌입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60년대 푸에블로호 사건부터 시작해 2017년에 있었던 전쟁위기까지 시종일관하다. 미국이 아무리 핵항공모함 등 전략자산을 집결시켜 위협해도 동요하지 않는다. 아마 전쟁이 개시된다면 북한 지도부는 아무런 주저 없이 가장 먼저 미국 본토에 핵미사일을 쏟아 부을 것이다. 

 

이런 지도부의 결단을 북한 국민들도 지지한다. 북한 국민에게 미국은 한국전쟁 때 엄청난 피해를 주었고, 대북제재로 수십 년 동안 고통을 주었으며, 통일을 가로막아 민족 전체에게 아픔을 준 ‘철천지원수’다. 따라서 북한의 반미의식은 매우 강하다. 전쟁위기가 고조되면 며칠 사이에 백만 명이 훨씬 넘는 청년들이 군에 입대하겠다고 탄원할 정도다. 한 마디로 전쟁이 나면 미국에게 그동안 쌓인 원한을 철저히 갚겠다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핵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계산하느라 쉽게 결단하지 못한다. 미국은 그동안 자신들이 마음껏 공략할 수 있는 상대만 대상으로 전쟁을 해왔기 때문에 진짜 핵미사일을 날려 보낼 나라와는 전쟁을 결단할 수 없다. 북한과 전쟁위기가 고조될 때마다 항공모함을 두세 척씩 한반도에 투입하고도 끝내 전쟁 개시를 하지 못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미군 병사와 미국 국민의 사정은 더 열악하다. 중동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오랜 전쟁에 시달려온 병사들의 사기는 땅에 떨어져있으며 미 국민들은 북한의 핵미사일에 대한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이는 지난해 1월 13일 하와이 미사일 경보 오보사태에서 잘 드러난다. 미 국민들이 지난해 연말 여론조사에서 중미 무역전쟁 대신 북미정상회담을 최고의 뉴스로 꼽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전쟁이 두렵지 않다는 북한과 정반대의 모습이다. 

 

이처럼 핵전쟁 능력을 비교해보면 북한이 압도적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상·체제·군사 대결에서 우위에 선 북한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사상전과 군사대결에서 북한은 압도적 우위에 있다. 남은 것은 체제대결, 특히 경제대결이다. 북한은 미국의 제재를 뚫고 경제건설에 전념하고 있으며 실제로 북한 경제가 매우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는 게 북한을 다녀온 이들의 전반적인 평가다. 북한은 자신들의 경제성장이 적대세력에게 날리는 미사일과 같다는 입장이다. 

 

2017년 4월 13일 준공한 평양 려명거리를 두고 김정은 위원장은 “미제와 그 추종세력들의 제재 속에서도 우리 식대로 보란 듯이 잘 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정치적 계기”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노동당 중앙위원회, 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무위원회는 려명거리 건설에 참여한 군인과 주민들에게 보낸 감사문을 통해 려명거리 건설이 “적대세력들의 제재·압살 책동을 굴함 없는 공격 정신, 사회주의 수호 정신으로 짓부숴버리기 위한 치열한 대격전”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경제건설에서도 사상전을 앞세운다. 사상의 힘으로 전 국민의 의지를 총동원해 경제건설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평화를 확보하고 그 토대 위에서 경제에 집중하고 있다. 만약 평화가 위협받고 전쟁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면 국방력에 국력을 집중해야 하므로 자금과 인력 등을 경제개발에 돌릴 수 없다. 또한 대형 건설사업도 진행할 수 없다. 북한에서 가장 높고 큰 건물이 평양에 있는 류경호텔인데 이런 대규모 건축물을 짓는데 국력을 집중했다가 만약 전쟁이라도 발발해 폭격을 받는다면 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다. 따라서 대형 건설사업을 하더라도 전쟁에 대비해 방어시설까지 갖춰야 하는데 이로 인해 경제개발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마치 지진이 잦은 지역에서 건물을 지을 때 내진설계를 해야 해서 건축비가 늘어나는 것과 마찬가지다. 

 

북한의 경제건설에서 주목할 부분은 핵융합발전소다. 아직 북한이 공개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으나 핵융합발전에 대한 상당한 기술 축적을 이루고 있음을 암시하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철저한 제재 속에서 독자적인 과학기술을 발전시켰고 특히 핵무기 개발을 위한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였으므로 핵융합발전 기술을 완성했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 북한이 가장 먼저 핵융합발전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인류 에너지 역사를 다시 쓰게 될 것이며 세계 경제에도 큰 충격을 줄 것이다. 대형 유전 발견과 비교도 안될 만큼 핵융합발전은 그 파급력이 엄청나다. 

 

만약 체제대결에서도 북한이 미국을 올라서기 시작한다면 국제질서는 완전히 뒤바뀔 것이다. 자주가 제국주의를 결정적으로 제압하고 사회주의가 대안으로 부상할 것이다. 또한 북핵을 전 세계가 지지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독특한 지점이 있다. 북미대결에서 미국의 힘이 강할 때 미국의 핵은 전쟁을 부르고 약소국을 압박하는 침략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힘이 강할 때 북한의 핵은 평화공세의 성격을 보였다. 북한은 핵무기를 가지고 전쟁을 하자는 게 아니라 미국의 핵전쟁을 막고 평화협정 체결과 동시 핵군축을 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북핵이 반전평화의 무기이자 비핵화의 수단, ‘핵 없는 세계’ 건설의 도구가 되고 있음을 현실에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북미대결에서 누가 승리하느냐에 따라 전 세계에 누구의 사상, 누구의 체제가 확산되느냐가 결정되며 그동안 국제 사회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던 미국의 운명도 판가름 난다. 북미대결이 한반도와 동북아를 넘어서 전 세계 질서에 근본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가장 중심적, 본질적 대결인 이유다. 

 

※이 글은 주권연구소와 자주시보에 동시 게재됩니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부, 24조1000억 규모 23개 사업 예타 면제···4대강보다 더 큰 규모

정부, 24조1000억 규모 23개 사업 예타 면제···4대강보다 더 큰 규모

박은하·박상영 기자 eunha999@kyunghyang.com

 

인쇄 글자 작게 글자 크게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안과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 안건 등을 심의·의결하는 국무회의가 29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려 이낙연 국무총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안과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 안건 등을 심의·의결하는 국무회의가 29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려 이낙연 국무총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정부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서울을 제외한 전국 16개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23개 사업에 예비타당성 평가 절차를 면제하고 24조1000억원 규모를 투자한다. 새만금 군산공항과 김천~거제를 잇는 남부내륙고속철도,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구축 사업이 예타 면제 대상에 포함됐다.

정부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가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기업과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이 지속되고 상대적으로 인구 수가 적고 인프라가 취약한 비수도권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가 어려워 새로윤 대규모 프로젝트 투자가 늦어지고 이로 인해 사람이 모여들지 않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며 “지역경제활력을 제고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R&D 투자 등을 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에 3조6000억원, 지역산업을 뒷받침할 인프라 확충에 5조7000억원, 전국 권역을 연겨하는 광역 교통 및 물류망 구축에 10조9000억원,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사업에 4조원이 투입된다. 

구체적 사업내용을 보면 R&D 투자 관련해서는 전북 사용차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에 2000억원, 광주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에 4000억원, 전남 수산식품수출단지에 1000억원이 투입된다. 지역산업을 뒷받침할 인프라 구축으로 새만금 국제공항에 8000억원이 투입된다. 석문산단 인입철도에 9000억원, 대구산업선 철도에 1조1000억원, 울산외곽순환도로에 1조원, 부산신항~김해 고속도로에 8000억원이 투입된다. 서남해안 관광도로에도 1조원이 투입된다.

광역교통망 사업으로 수도권과 경남북의 내륙을 연결하는 남부내륙철도에 4조7000억원으로 개별 사업으로는 가장 규모가 컸다. 평택~오송 복복선화에도 3조1000억원이 투입된다. 세종~청주 고속도로에 8000억원, 남양주~춘천을 잇는 제2경춘국도에 90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이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경부축 중심의 철도망이 X축으로 국토를 연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와에 4000억원,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에 2000억원을 들이기로 했다. 대전의 트램 지하철2호선 건설도 포함됐다.

조영철 고려대 초빙교수는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분을 내세웠다고 하더라도 경제성이 떨어지는 사업은 결국 그 부담이 지역 주민에게 돌아 갈 수 있다. 도시철도를 건설해도 운영 시, 적자가 나면 결국 지자체가 보전해야 한다. 그리고 그동안 예타에서 탈락했던 사업이 계획만 조금 수정해서 면제를 받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고민을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901291102001&code=920100#csidx3b4358050b9a8e48510cde8a4a8bb7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꽃피는 봄날 DMZ로 소풍가자"

DMZ인간띠운동본부 발족, 4.27에 50만명 DMZ 500km 띠잇기(전문)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1.28  18:46:13
페이스북 트위터
   
▲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는 28일 오전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DMZ 민(民)+평화 손잡기 발대식'을 갖고 4.27판문점선언 1주년이 되는 오는 4월 27일 DMZ 500km 구간에서 평화 염원 인간띠잇기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일제하에서 민이 나서서 독립운동을 한 것이 백년전이다. 이제 우리는 분단의 상징인 DMZ가 평화의 상징이 될 수 있도록 민이 나서서 평화를 촉구해야 되겠다."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8천만 우리 겨레와 전 세계에 엄숙히 천명'한 4.27판문점선언 1주년을 맞아 오는 4월 27일 강화도에서 강원도 고성까지 비무장지대 동서 500km를 50만명이 시민이 나서 평화에 대한 염원을 모으고 다지는 인간띠잇기가 진행된다.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본부장 이석행 사회책임연구소장)는 28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DMZ 민(民)+평화 손잡기 발대식' 기자회견을 갖고 4.27판문점선언 1주년이 되는 오는 4월 27일 오후 2시17분에 맞춰 70여년 분단의 상징인 비무장지대 동서 양끝인 고성-강화 50km, 10여 곳의 평화누리길을 중심으로 50만명이 평화를 염원하는 인간띠잇기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대회의 구호는 '"꽃피는 봄날 DMZ로 소풍가자~'로 정했다.

   
▲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인간띠잇기 상징의식을 진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지난해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의 새 시대가 천명되었으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부침하지 않는 항구적인 평화가 되도록 하려면 평화를 염원하는 민이 주도하는 확고한 흐름이 형성되어야 한다며,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올해 '우리 시대의 독립운동은 통일운동'이라는 각오로 이 운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부터 논의를 거쳐 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각계 시민이 참여하는 추진위원이 구성되었으며, 지금은 충북지역을 시작으로 133인(3.1운동 100주년+민족대표 33인)이 모인 운동본부가 결성되고 있다.

세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한차례의 북미정상회담이 모두 탑 다운 방식으로 한반도의 새로운 평화시대를 희망하게 하였으니 이제는 밑에서부터 끌어 오르는 민의 열기로 평화시대를 공고한 것으로 만들어야 하겠다며, 광역 및 기초 지역의 여러 단체가 모두 평등하게 참여하는 방식으로 조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DMZ 50km 구역안에서 인간띠잇기를 할 지역을 정한 후 하루 전날 해당 지역의 가까운 교회와 사찰, 학교 등에서 숙박을 하고 4월 27일 오후 14시 47분 정각에 일제히 손잡기를 하고 소규모 공연 등 자체적으로 준비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간은 4.27 1(주년)4시 27분이라는 뜻으로 '4271427'로 정해졌다.

제주도에서는 대표단을 보내 '4271427'에 DMZ 인간띠잇기를 하고 그 영상을 제주도로 보내 도민들이 제주 현지에서 인간띠잇기를 큰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고 미국에서는 '4271427'에 뉴욕 유엔본부를 둘러싸는 손잡기를 준비하고 있다.

기자회견에 참가한 철원 주민은 "3.1운동 100주년과 4.27정상회담 1주년을 앞두고 작년부터 이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고 하면서 50만이 결코 많은 인원이 아니라며 숫자에 연연하지 말것을 당부했다.

참가를 원하는 개인과 단체는 운동본부 홈페이지(www.dmzpeacechain.com) 등을 통해 희망지역을 신청하면 된다. 현지까지는 자체적으로 준비해서 이동하고 현지에서는 지역단체의 도움을 받아 행사를 준비한다. 참가비는 1만원.

"지금까지 우리에게 희망을 주었던 평화에 대한 논의가 탑 다운 방식으로, 각국 지도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이제 우리 민초들이 바닥에서부터 움직여야 할 때입니다. 평화는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타협을 넘어서는 국가의 주인인 국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분단의 땅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 미래세대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주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절실한 필요에 대한 응답으로 평화를 간절히 염원하는 시민들이 손에 손을 잡고 한반도의 갈라진 허리를 감싸안는 시간을 갖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평화를 향한 온 시민의 절절한 외침이 백년전 온 강산을 메웠던 만세의 외침을 더욱 풍요롭고 의미있게 만드는 시간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또한 우리가 함께 한 평화의 몸부림이 갈등과 분쟁의 아픔을 겪는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평화의 큰 감동과 울림을 줄 것입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총무로서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 공동위원장을 맡은 이은형 신부는 축사에서 지난해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이미 싹튼 평화를 향한 불씨를 놓칠 수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창복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은 "통일은 해도되고 안해도 되는 그런 것이 아니다. 절대절명의 과제인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앞당기기 위해서 민이 중심이 되어 추진하는 인간띠잇기운동은 평화통일로 가는 길목에서 분위기를 만들고 준비하는 의미있는 일"이라고 대회 취지에 적극적인 공감을 표시했다.

이어 "우리는 70년 이상 분단된 상태로 살아왔다. 우리 민족 비극의 원천은 분단에 있었다. 분단을 하루 속히 극복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우리 민간의 몸부림이 이제 인간띠잇기운동으로 승화되어 가고 있다. 조국의 발전과 민족의 번영을 위해서, 더 많은 사람과 더 함께 더 힘있게  인간띠잇기 운동이 진행되어서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이 앞당겨지기를 바란다"고 축하인사를 전했다.

김성근 KBS이사장은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에 총살되고 얼굴을 알아볼 수 없이 훼손되어 부패한 주검으로 발견된 부친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면서 "남과 북 모두에 손을 마주 잡기까지 참으로 거북한 깊은 상처와 정서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동안 스스로 북을 향한 증오도 깊었지만 북에도 자신과 같이 복수심에 가득한 동시대인이 있다는데까지 생각이 미친 건 한참이나 시간이 지나서였다는 회한도 풀어놓았다. 

"'꽃피는 봄날, DMZ로 소풍가자'는 구호는 '낭만적'이지만 자신에게는 넘어야할 산이고 극복해야할 장애이며, 그래서 기어코 4.27이 지향하는 '전쟁없는 인류, 죽이지 않는 인류의 문명'을 만들어 가자는 그 길로 가는 참으로 험하고 높고, 또 깊은 DMZ"라고 하면서 "남북이 함께 손잡고 이 장애를 넘어 인류문화와 문명을 바꾸자"고 역설했다.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 홍보대사인 영화배우 서주연씨는 "지금은 남에서만 인간띠운동을 벌이고 있지만 머지않아 통일이 됐을 때는 북 주민들과도 함께 손잡고 다시는 절대로 끊어지지 않는 인간띠가 되어서 한라에서 백두까지 한반도에 꽃피는 봄이오면 그분들과 함께 손잡고 소풍갈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말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지난 2017년 9월 네덜란드 헤이그를 출발해 401일간 유라시아 대륙 1만5,000km를 달려 압록강까지 평화마라톤을 진행한 강명구 씨는 자신의 계획은 성취하지 못했지만 "자그마한 촛불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렸듯이 이제 다시 DMZ에서 50만, 100만이 모여서 인간띠잇기를 계속한다면 한다면 휴전선을 녹여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당장 이번 주말부터 통일되는 그날까지 매주 DMZ 평화누리길 걷기 운동을 하면 우리의 평화는 그만큼 빨리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권 포천평화나무농장 대표는 "4월 27일 하루 모든 국민이 고성에서 강화까지 155마일 휴전선에 자기가 원하는 곳에 가서 손을 마주 잡을 수 있다. 아직 자리를 정하지 않았다면 전날 우리 농장에 와서 하루 주무시고 밥도 같이 먹고 차로 30분 거리에 있는 DMZ로 이동해 함께 손을 잡자"고 말했다.

   
▲ 이날 발대식 기자회견에서는 DMZ 민(民)+평화 손잡기 선언문이 발표됐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세계시민 서명 운동과 한반도 평화 UN 결의안 청원', 그리고 유명 가수들이 참가하는 평화콘서트를 기획하고 있는 한반도생명평화국제연대의 이원영 집행위원장은 4월 27일 DMZ인간띠잇기가 끝난 오후 4시부터 10시까지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평화콘서트를 연다는 계획을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이 집행위원장은 4월 28일 철원 화살고지 입구 DMZ평화공원에서 규모를 조금 줄인 콘서트를 열고 8월까지 세계 25개국을 순회하는 콘서트를 진행한 후 9월께 미국 뉴욕에서 유엔청원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철원주민 10여명과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 공동위원장인 김성수 대한성공회 대주교, 김준권 포천평화나무농장 대표, 나핵집 한국교회남북교류협의회 공동의장,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총무인 이은형 신부, 장상 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차경애 전 한국YWCA연합회 회장 등(안재웅 한국YMCA전국연맹 유지재단 이사장,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명예대표인 퇴휴스님은 불참),이장희 평화통일시민연대 상임공동대표, 노정선 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해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각계 원로 등이 참가했다.  

DMZ 민(民)+평화 손잡기 선언문(전문)
-4.27 판문점 선언 1주기를 맞는 우리들-

 

남북 정상이 판문점에서 만난 지 1년이 다가오는 지금, 우리는 3.1 독립선언 백년과 임시정부 탄생 백년을 기리는 2019년 벽두에 서있다. 전범 국 일본이 분단되었어야 함에도 역사는 평화를 사랑하는 이 민족에게 짐을 지웠고 분단 70년의 아픔을 겪게 했다. 

하지만 역사는 ‘처음이 있어 마지막이 있지 않고 마지막이 있어 처음이 있다’는 말을 믿고 이 땅, 오늘, 우리 과제를 해결하여 민족 역사를 새롭게 쓰고자 한다. 일제 치하의 약소국으로 살면서도 나라의 도의성을 강조했고 세계평화를 염원했던 선조들의 3.1 선언 정신에 따라 우리들 역시 철조망을 걷고 전쟁을 끝냄으로 이 땅과 세계의 평화를 기원코자 하는 것이다.

평창 올림픽을 통해 우리는 한반도에 드리운 평화의 기운을 감지했다. 그 힘이 남북 정상을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만나게 했고 그어진 금단의 선을 넘나들게 했으며 허리를 졸랐던 죽음의 줄을 끊어냈다. 하늘이 도왔고, 나라위해 피 흘린 조상들이 함께했으며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들이 마음을 보탰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 일이 정치적 현실이 되려면 나라 안팎에서 해결할 일들이 수없이 많다. 우리들 간의 이념적 갈등과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분단극복이 쉽지 않은 탓이다. 

그럼에도 이 시대의 독립운동은 통일운동이라 믿기에 이 일에 시민(民)의 힘을 다할 것이다. 독립을 원하며 3.1 선언을 외쳤던 당시 선열들의 심정되어 정치, 종교적 차이를 떠나 이 땅의 숨통을 막았던 분단에 통곡하련다. 오로지 우리가 원했던 독립과 세계평화의 길을 열어젖히고자 함이다.

기미년(己未年)이후 백년 만에 맞는 4.27 판문점선언, 그 1주기를 축하하며 이 땅의 민초들이 뜻 모아 ‘DMZ 民+ 평화 손잡기’ 행사를 펼칠 것이다. 그 날을 기해 50만 명의 남녀노소가 손 맞잡고 강화에서 고성까지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500킬로를 한 몸으로 엮어 낼 생각이다. 전쟁 없는 종전, 평화체제를 이루기 위해 있는 힘 다해 소리치고 염원하며 남북의 산하를 축복할 것이다. 

DMZ, ‘비무장 지대’라 불리는 그곳은 과연 어떤 곳인가? 남북을 비롯하여 십 수 나라에서 까닭 없이 징집된 젊은이들이 눈감지 못한 채 죽어 있는 곳이다. 남과 북이 서로를 해하고자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지뢰를 묻어 둔 공간이 아니던가? 지금도 눈감은 이들이 죽어서도 전쟁 없는 평화를 외치고 있다. 

그곳의 산하(山河)가 생명 파괴하는 온갖 감춰진 무기를 치우라 명(命)한다. 이곳을 더 이상 죽음의 땅으로 만들지 말 것을 죽은 자와 자연이 거듭 소리치고 있다. 함께 걷고 손잡는 우리들 역시 그곳 DMZ에서 이들의 탄식소리를 듣고 그들의 뜻을 좇을 것이다.
 
이제 독립을 외쳤던 과거 선혈들처럼 남북 간 전쟁 없는 평화체제를 원하는 시민(民)들 누구라도 4월 27일, 어린 자녀 손잡고 분단의 철조망을 따라 걷기를 청한다. 조금씩 허물어지고는 있으나 아직도 불투명한 우리들 미래를 위해 하늘에 기도하고 세계에 호소하면서 말이다. 

정당, 직업, 연령, 종교, 지역 등에 관계없이 이 땅 평화를 위해 마음 모으는 자리에 ‘民’의 이름으로 모두가 신나게 발걸음 옮기시라. 民들이 힘 합하여 100년 전 독립의 절규를, DMZ 따라 길 걸으며 다시 재현하자. 분단의 궤적을 밟아가며 항구적인 평화의 약속이 ‘독립’의 바른 길인 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땅의 종교인들에게도 호소한다. 억울한 주검이 묻혀있는 이곳, DMZ 땅에서 이들 한(恨)을 해원(解冤)하는 거룩한 의식을 함께 행해보자. 한반도를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이용하려는 주변국들에게 ‘평화’를 갈구하는 이들의 소리를 원 없이 들려주자. 종교 차(差)를 넘어 함께 같은 마음으로 이들 절규를 듣고 그들 바람을 이루는 것이 우리들 존재이유이겠다. 

과거에 사로잡힌 채 갈등을 증폭시켜 미래를 놓치는 우(愚)를 범해서는 아니 될 일이다. 용서와 약속이 종교인들 본연의 책무이자 사명인 것을 이번 손잡기 행사를 통해서 세상에 드러내 보자.

지난 세월 분단 상징이었던 DMZ가 이제는 평화와 생명의 공간으로 재탄생될 시점에 이르렀다. 아픔의 땅인 이곳이 우리들 미래에 희망을 선사하는 위대한 공간이 될 것이다. 온갖 생명이 꿈틀거리는 생태적 보고(寶庫)인 이곳에서 우리들 미래를 의논해보자. 생명을 사랑하고 공동체를 새롭게 꿈꾸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이들이여, 이곳에서 우리 한번 손잡고 큰 춤을 추어보자. 우리들 상상력이 이 땅을 세계평화의 발원지로 만들 것을 믿으며 말이다. 바야흐로 이곳에서 인류의 생명문화를 위한 대안이 창출되지 않겠는가?

촛불혁명을 통해 民이 주인 되는 세상이 되었다. 정치가들 손에 우리들 미래를 맡길 수만 없는 노릇이다. 그들을 돕되 평화와 정의 그리고 생명의 길을 걷도록 이끌 책임이 우리들 몫이다. 북의 民들도 우리와 함께 걸을 수 있기를 소망 한다. 금번 ‘DMZ 民+ 평화 손잡기’ 행사는 온전히 民이 주도하는 행사가 될 것이다. 

삶의 밑바닥에서부터 솟는 뜻과 힘이 모아져 기미년 못지않은 기해년(己亥年)의 기적을 이뤄 낼 것이다. 우리들 소리가 하늘에 닿아 허리 짤려 움츠려진 한반도가 우뚝 설 그 시점을 생각하며 民의 참여를 재차 촉구하며 독려한다.


 

2019년 1월 28일

‘DMZ 민(民)+ 평화 손잡기’ 운동 발대식 준비 위원회

DMZ 평화 인간 띠 운동 본부

 


 
Declaration for the Peace Human Chain of the People Plus DMZ

-First Year after the April 27 Panmunjum Declaration-
 

We stand in the verge of the year 2019, after the April 27 summit meeting at Panmunjum, remembering the birth of the Intermim Korea Government, and the 100 year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the March First Revolution fo Independence of Korea.

Japan the war criminal, should have been divided into two, but rather Korea, the victim of the Japan’s colonial rule, the peace loving Korea has the burden of being divided into two for the last 74 years,  

We want to write the new history of the people in order to resolve the tasks, believing in the fact that “There are the last because of the fact that there are first, not vice versa.

We will destroy the barbed wires, end the wars, and pray for this land  and the world on the base of the March First declaration spirit of our ancestors  who had yearned for the world  peace and morality of the nation, even under the crual Japan’s colonial rule as the weak and small country.

We felt the power of peace in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Pyungchang Olympic Games.

That power made Panmunjum Summit possible, crossing over and over the dividing line, cutting off the rope of death sqeezing the waist.

The only wish of ours was to make independence and peace of the world possible.

There are so many things, in and out of the country,  that should be resolved, if we want to make it a political reality.

It is not easy to overcome the division to resolved the internal conflicts of religious and ideological conflicts and the complicated interesty of the countries around.

We will do our best with all the people plus power, because we believe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the reunification movement.

We like to cry out to overcome the division which made us suffocate this land, beyond the religious differences,  with the heart and mind of the ancestors who shouted out the declaration of the March First.

The only wish of ours was to open the way for the peace of the world and indpendence of Korea.

We celebrated the Ist year of the April 27, 2019, which is the on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1919(Kiminyun).

We want to open “the Peace human chain,  People Plus”, with the  people’s will.

We plan to make human chain of men, women, children and old,  of half million  people from Kosung  to Kangwha of 500 Km.

We like to bless the mountains and the rivers of North and South Korea, praying for and crying out for  Ending the war without wars, Peace system.  

What is DMZ, Demilitarized Zone.  The young people drafted  and volunteered,  from some 17 countries, including North and South,  buried  There are countless land mines to kill and to hurt the people.

The mountain and the river asks to remove all the hidden weapons., that destrys the lives. The nature and the dead, repeatedly,  cry out the land should not be the death land.

We, the people with hand in hand, at the 읔,  also follow the will of the nature and the dead, by hearing the laments.

We welcome  any one who want the peace system without any wars, like the ancestors who cry out the independence, and hand in hand and walk along DMZ of the division.

We ask and pray to heave, although the future is not yet quite clear, yet some of that are tumbling domn, bit by bit.

Let us walk with the highest spirit,  with the names of the People on this place for the peace of the land. Let us walk along the DMZ  with the power of the people, with our ancestors crying out for the independence.

We will be sure to have the independence  by walking along the llines of the division.

We ask the religious people.   Lets walk, this holy ritual,  in order to liberated the hearts of vengence, on this land of DMZ.  

Lets make them, the surrounding countries who tried to misuse Korea for their own interests,  hear the crys of Peace

Our reason to exist is to realize the cries, beyond the religious differences.

We should not loose the future, by exxarating the  conflicts, being arrested to the past.

Let us show the forgiveness and promise is the responsibility and the mission, through this human chain.

Now is the time that DMZ, the symbol of division, become the space for lie and peace.

DMZ will be the great space for future wish.  Let us discuss on our future, on this spot where all kinds of lives, in this ecological treasure land.

Dance! and let’s dance together who dream of the beautiful community of love and life, with hand in hand, We wish to make this place, the beginning  spot for the peace of the world.

We wil make this place the alternative civilization for the life.

Through the candle lie revolution,  people became the lord of the world.

We cannot and should not ask the politicians take our future.

It is our responsibility to make politicians walk through the way of life.

We wish the north Korean people also walk with us.

Thei DMZ People Plus Peace Human Chain event will be the activity only by the people.

We will make it a miracle  fo the year 2019, Kihae nyun, like the 1919, the Kiminyun,  of the meaning and power from the bottom of life.

We repeatedly as you to join the human chain,  dreaming of the time to Korean peninsula dominate the world, although the waist of the peninsula divided into two and squeezed and shricked.

 
January 28, 2019.

Preparing Committee for DMZ People Plus Peace Human Chain Movement

DMZ Peace Human Chain Movement Headquarter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의 방위비분담금 인상요구 수용 반대” 58.7%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9/01/29 11:37
  • 수정일
    2019/01/29 11:37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리얼미터-YTN 조사… “주한미군 감축·철수 압박해도 인상 반대” 52%
▲ 사진 : 뉴시스

국민 10명 가운데 6명 가까이는 미국의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대폭 인상요구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위비분담금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카드로 압박한다 해도 국민의 절반 이상은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최근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협상에서 미국이 지난해 대비 무려 17.7% 증액된 1조1300억 원을 요구해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 YTN ‘노종면의 더뉴스’ 의뢰로 리얼미터가 미국의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인상요구 수용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해 28일 공개한 걸 보면,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반대 의견이 58.7%로 집계됐다. ‘받아들여야 한다’는 찬성 응답은 25.9%에 그쳤다. 반대 의견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모름·무응답’은 15.4%.

거의 모든 지역, 연령, 이념성향, 정당 지지층에서 반대 여론이 대다수거나 우세했고,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만 찬성 여론이 우세한 양상(반대 39.3% vs 찬성 44.6%)이었다고 리얼미터는 전했다.

또 미국이 협상과정에서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카드를 사용할 경우를 가정한 미국의 방위비분담금 인상요구 수용 찬반조사에선, ‘그래도 미국의 인상요구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그래도 반대’ 응답이 52.0%로 나타났다. ‘그러면 미국의 인상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그러면 찬성’ 응답(30.7%)보다 21.3%p 높았다. ‘모름·무응답’은 17.3%.

대부분의 지역, 연령, 이념성향, 정당 지지층에서 ‘그래도 반대’ 여론이 대다수이거나 우세한 가운데 대구·경북과 20대에선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섰고,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지지층, 보수층에선 ‘그러면 찬성’이 다수거나 우세한 양상이었다고 리얼미터는 밝혔다.

이런 조사결과를 두고 리얼미터는 “1년 이상 북한(조선)의 무력도발이 중단되고 있고 남북 간 교류·협력이 재개되면서 한반도 평화 무드가 지속됨에 따라 평화를 통한 안보 증진, 경제적 이해 우선의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5일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 504명(응답률 6.7%)을 대상으로 유무선 임의 전화걸기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김동원 기자  ikaros0704@gmail.com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은 베네수엘라에서 악마 짓 중단하라!

미국은 베네수엘라에서 악마 짓 중단하라!
 
 
 
이인숙 재미동포 
기사입력: 2019/01/29 [10:28]  최종편집: ⓒ 자주시보
 
 

 베네수엘라에서 <급변사태>(오바마 박근혜의 대북 정책처럼)를 일으키고있는 미국을 규탄하기 위한 시위가  1월 24일 헐리우드에 있는 CNN 방송국 앞에서 있었는데, 나도 이에 동참하였다. 시위대는 ‘미국은 베네수엘라에서 손 떼라!’  ‘미국은 내정간섭 중단하라’  ‘쿠테타 조장 중단하라’  ‘CNN의 거짓보도 규탄 한다’ 등을 외쳤다. 
 

미국이  베네수엘라에  일으킨 난동으로  우고 차베스 전 대통령의 동상이 Bolivar 시에서 불타올랐고, 경찰서가 Puerto Cabello 에서 불탔으며  최루 가스, 총기 및 장갑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와 여러 집들이 불타고, 많은 거리에는 쓰레기와 오래된 타이어의 바리케이드가 산재해 있다. 

같은 민족끼리 적이 되어 서로 죽고 죽이는 피의 혈극이 벌어지고 있다. 

 

온 매스컴들은  마드로 대통령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높은데도 반정부의 시위를  초점으로 보여주고 있다.   

전 대통령 우고 차베스를 몰아내려한 쿠데타 당시에도 TV가 조작까지 하여  방송을 내보내곤 했었는데  그것이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 Chavez: Inside the Coup”   

Nov 5, 2009   https://www.youtube.com/watch?v=Id--ZFtjR5c  >> 쿠데타 당시 우연히 아일랜드 기자가 녹음 하게 된 동영상인데 주요 언론보도들의 모략 조작을 반증.  

 

남미는 미국의 뒷마당이라는 말이 있다. 수많은 쿠데타와 초법적 횡포들을 거침없이 했다.

예를 들면, 칠레국민들이 뽑은 아엔데 정권을 쿠데타로 무너뜨리고 학살(공식집계 3197명과 행방불명 등)과 독재, 미국에 비밀계좌도 가지고 있었던 “칠레의 박정희” 피노체트의 뒤에는 미국이 있었다. (영화 Missing의 소재가 됨) 

 

파나마 노리에가는 쿠데타로 정권을 잡고 미 CIA가 콜롬비아의 마약을 미국에 반입시켜 그의 정치자금을 충당하도록 했다한다. 그러나 노리에가가 파나마운하를 미국과의 임대기간이 끝나갈 때 국가운영으로 하겠다고 하자, 미국은 “마약사범” 이라는 죄목으로 파나마를 침략하여 엉뚱한 마을들을 초토화 시키면서 노리에가를 플로리다로 잡아와 감옥에 넣었다. 이것은 명백한 침략전범이지만 미국은 “법” 위에 존재할 뿐이다.

▲     ©

<사진: 미국의 파나마인 학살>

 

 

미국이 제3세계를 침략하는 방법은 매국노와 반군들을 결성하고 용병들을 투입하여 반미정부를 규탄하는 시위를 선동하고, 그 시위대를 죽여서 정부소행으로 대대적으로 마녀 사냥하여 개입 침략의 명분을 만든다. 그리고 미국의 꼭두각시 정권을 세운다.

 

또는 아프카니스탄, 이라크 침략처럼  9.11테러 조작사건 또는 “대량살상무기”를 후세인이 가지고 있다고 거짓 조작 선전 선동으로 침략을 했던 방법을 쓴다.

 

지금 미국이  베네스엘라를 장악하려는 방식은 유고, 리비아, 우크라이나, 시리아등을 개입 침략한 수순 그대로인 것 같아 분노가 일어난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생지옥에서 헤매야 한단 말인가.

 

베네수엘라는 미국과 지척에 있으면서 세계 석유매장량 제 1위라 한다. 

당연히 미국 자본가들이 빨대를 꽂고 있고 마름 노릇하는 베네스엘라 자본무리들이 있고 대다수 국민들은 궁핍했다. 

“대한미국”이 자유당 민주당 매국노 양당체재이듯이, 베네수엘라 역시 매국정당 두 개갸 벌 갈아 가며 집권하는 양당체재였다. 

 

1998년 민주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제헌의회소집” 을 내세운 우고 차베스가 압도적으로 대통령이 되어,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선거공약대로 기존헌법은 효력정지 시키고 헌법을 새롭게 뜯어 고쳤다.  

기존국가 기구들이 모조리 해체되어 국회의원이건 판사건 직책을 잃고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만들었으며 나라가 일신됐다. 

 

석유를 국유화하고 무상의료 무상교육이 헌법에 명시되어 실시되고, 궁핍했던 국민들에게 사회복지 혜택이 주어지고 빈곤 문제 등이 개선되었다. 당연히 절대다수의 국민들은 차베스를 열렬히 지지했고 미국의 개들은 이를 빡빡 갈았다. 

 

2002년에 석유이권과 경제적 독점을 가지고 있던 미국의 마름들이 미국의 사주 하에 쿠데타를 하였으나 국민들의 대대적인 반기로 쿠데타는 실패했다.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6/”  Feb 22, 2009   https://www.youtube.com/watch?v=bMaR_8BQC7k  ). 이 베네수엘라의 자본가들은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권력’을 행사하여 끓임 없이 경제활동 사보타지와 내부혼란을 조성하였다. 

 

2012.10.07일 차베스는 4선에 성공하여 그 임기가 2019년 1월까지로 되어있으나, 2016.03.05일 암으로 사망했다. (암살전문가들이 독을 넣어 누구도 눈치 채지 못하게 “병” 으로 죽였을 것이라는  음모설이 퍼져있다. 미의회에서 조차 카스트로 암살 작전이 최소한 8번 이상이었다고 밝혔다.

 

카스트로는 자기를 638번 암살하려했다고 말함 …) 차베스를 흠모하는 국민들이 차베스의 장례식을 보려고 뙤약볕에서 10시간 넘게 기다렸다. (“차베스의 그림자가 베네스엘라를 덮다” 2017.07.26 시사IN) 

 

<위키 피디아>는 카스트로 쪽의 말을 빌려 암살 시도 횟수가 638차례라고 전하고 있다. 1975년 미국의 조직범죄를 조사하기 위해 꾸려진 미 상원 처치위원회에서도 카스트로의 암살작전은 최소한 8번 이상이었다고 밝혀졌다. (2013.03.22 한겨레 “차베스, 암인가 독살인가”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579334.htm  )

 

물론 차베스를 이은 마드로는 차베스와 같은 정책을 시행한다. 

그러나 세계 석유 값이 폭락한데다가  2015.03.09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베네수엘라가 미국안보에  위협을 준다면서 행정명령을 내려 식량수출을 금하는 등 더 혹독한 제재를 가해왔으며, 경제권을 쥐고 있는 자본가들의 사보타지로 베네수엘라 국민들의 삶은 어려워졌다. 

 

또 이렇게 삶이 어렵게 되면 이 기회를 선동 이용하여 미국은 미국 개를 총독으로 세우려 할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차베스가 집권하여 미국의 개들을 전부 처형해버렸으면 오늘과 같은 외세의 간섭 침략위기에 처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때 만일 차베스가 그 개들을 처형했다면, “독재자” “살인자”라는 대대적인 선전으로 명분을 만들어 미국이 침략해 올 것은 뻔하다. 

 

그러나 차베스 베네수엘라에는 세계 최강국의 침략으로부터 자기 나라를 지킬 수 있는 “핵무기”가 없기 때문에, 그런 청소를 할 수 없었다. 

 

이 말은 모든 약소국가들은 자기를 지킬 수 있는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베네수엘라에 대한  미국의  정권교체  음모는 이미  오래전부터  유럽과  그 주위 시녀국가들에 의해   계획되어 왔다. 

 

혁명국가인  베네수엘라에 허수아비 국가를 앉히기 위한  미국의 음모는  全 미대통령 내내  시도되어왔지만 이번 트럼프 행정부처럼  완전히 발가벗고 들어내기는 처음인 것 같다.

 

난 페북에서  2~3주전 ‘미국이  남미에  다음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고 해서 설마 하고 생각했었는데, 그때 누군가의 흘러가는 그말이 사실임을 알게 되었다. 

 

워싱턴은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내전을 선동하며 베네수엘라의 쿠데타를 주도하고 있으며, 베네수엘라의 봉건적 과두 정치인들은 혁명정부를 무너뜨리기 위해 CIA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고, 현재 CIA는 존 볼턴과 함께 베네수엘라에서 쿠데타를 일으키려고 준비하고 있다는 말을  이미 들었었다. ( <Washington orchestrates coup in Venezuela, incites civil war, in name of ‘democracy’> by Finian Cunningham 2019.01.24 RT )

 

미국은  남의 나라에 대해 내정간섭 정도가 아니라, 국민이  투표해서 뽑은  합법적인  베네수엘라  대

통령을  독재자라고 마녀사냥하면서  저들이 가짜 대통령을 앉히는  황당무게 한 코미디가 지금 이 세기에 일어난다는 것이 상상이나 되는가? 대체 미국에게 누가 이런 황당한 권한을  허락했는가?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은 2018년5월20일  야당 2명과의  대선출마 선거에서  압도적 지지율로 당당하게 승리했다. 그러나  2019년1월22일 미국 부대통령 펜스는 스페인어로 된 부제 비디오  매체에 나타나, 미국은  야당 수장인 35세의 Juan Guaido와 함께 한다면서  국민들에게 거리에 나와  마드로 대통령을 반대하는 시위를 하라고 충돌질 했으며, 트럼프 미 대통령은 다음날인 1월 23일  Juan Guaido를 과도 정부의 대통령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캐나다, 컬럼비아, 브라질은 재빨리 미국을 따랐다.

 

마두로 대통령이 재취임을 선서하기 2일 전인  1월 8일  미국은 공격용 중무장 헬리콥터를 파나마에 증파했다. 

 

그 전날 1월 5일  파나마 대통령 Juan Carlos Varela 는 미국 플러리다에서 미국 남부군사령관을 만났다.  

 

2018년5월20일 마두로 대통령 재임선거 이후 미 국무장관 폼페오와 미 부대통령 펜스는 베네스엘라 마두로 대통령의 재선이 "가짜 선거"라고 선전해왔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는 베네수엘라에 대한 제재 조치를 발표하면서 미국의 국가 자산과 부채 청산 능력을 제한하는 행정 명령을 발표했다. 

 

지난 9월에 워싱턴은 베네수엘라 부통령과 국방 장관을 포함하여 마두로의 부인과 여섯 명의 관리들에게도  제재를 가했는데, 이것을 평화인권단체들은 "광기, 야만적, 국제법에 절대적인 모순"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는 지난 유엔연설에서 베네수엘라에 대해  "오늘날 사회주의는 부유한 국가를 파산시켰고 국민들을 비참한 빈곤으로 이끌었다"고 말했었다. 

 

2018 년 6 월 펜스는 남아메리카 국가의 위기로 인해 미국의 안보와 국가들이 위험에 빠졌다면서 베네수엘라가 무너지는 동안 워싱턴은 "멍하게" 서 있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베네수엘라는 근본적으로 실패한 국가이며 베네수엘라 국민은 독재자인 마드로 대통령 통치하에서 고통 받고 있다고 말했다. 

 

마두로 대통령은  2018년8월4일 군사행사에서 반군단체 "티셔츠의 군대 내셔널 무브먼트"에 의해 암살공격을 받았지만 살아났다.  마두로는 "나는 전 세계에 이 말을 합니다. 마두로를 죽이기 위한 명령은 백악관에서 보고타의 콜롬비아 정부에 저를 죽이라고 지시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마두로 대통령은  "존 볼튼 (John Bolton)은 폭력 사태와 과도 정부를 위해 쿠데타를 계획하고 있다. 볼튼은 나의 암살 계획을 준비 중이다. 그는 콜롬비아와 공동으로 여러 곳곳에서 용병 및 준 군사 조직 부대를 훈련 시키고 있다. 컬럼비아 대통령 이반 듀크도 이 계획의 공범자이다."고 말했다.

 

폼페이오는 마두로의 재취임을 "불법"이라고 비난했고, 볼턴은"미국은 베네수엘라 독재자 니콜라스 마두로의 권력을 인정하지 않는다. 2018 년 5 월의 그의 '선거'는 자유롭고 공평하며 믿을만한 것이 아니다. 부도덕한 마두로 정권은 지도자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국민의 안전에 책임이 있으며, 우리는 현재의 헌법 을 뒤집은 베네수엘라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미국 경제 및 외교력의 힘을 십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시녀들인  브라질 컬럼비아 등 주위나라들은 상전의 명령을 충실히 이행하며  남미의 인민들에게  못을 박고 있는 것이다. 파나마도 노리에가 전 대통령때 혹심하게 당했으면서도 아직 정신 차리지 못하고, 미국이 세운 대통령 밑에서 미국의 하수인이 되어  명령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그루지야,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는 베네수엘라의 임시 대통령으로 Guaido를 인정했다. 안토니오 타자 니 (Antonio Tajani) 유럽 의회 의장, 도날드 터 스크 (Donald Tusk) 유럽 의회 의장, 페데 리카 모헤리니 (Federica Mogherini)  EU 외교 정책 대표도 Guaido지지를 표명했다.

 

24일 시위에 동참한 한 평화 운동가는  베네수엘라 인민들의 75%가  마드로 Bolivarian 혁명정부를 지지하지만  매스컴에는 오직  반 마두로 시위들만 보여준다고 한탄했다.  

베네수엘라 거리에서   인터뷰한 어느 베네즈엘라  남성은  1973년 9월 11일에  미국이  칠레에서 피노체트를 임명하여   쿠테타를 일으켜 사회주의자인 아엔데를  죽이고 피로 물들인 그 끔직한 역사와  그레나다에서 있었던 모리스 비숍의 끔찍한 사건과  과테말라에 있었던 Jacobo Arbenz대통령의 죽음이 이곳에서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면서 그 이유는  이곳(베네수엘라)에는 양심 인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 인터뷰에 응한 다른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 국민들을 구제 할 것이라 하지만 실은 석유 때문이라 했고, 어떤 이는  베네수엘라 이곳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등 온 영역에 걸쳐  인간의 표현과  생각의 자유가 엄연히 존재하며    자기가 원하는 사람을 투표할 자유가 있는데   이를 독재자라고 말한다는 거은  완전히 미친 짓이며  비논리적이라 말했다. 

 

이들의 말대로 이 날강도들은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인민을 구제하기 위해서라고 떠들지만  실은  미국의  부자, 코퍼레이션, 은행, 무기장사를  위한 것이지,  베네수엘라 노동자, 가난한 사람들, 원주민이나 흑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  그들의  말에 동감한다.  

 

남의 나라 자산을 강탈하고 미국의 세계기축화폐로써의 달러를 보호하기위한 침략전쟁이 본질이다. 

 

시리아 주제 베네수엘라 대사 시리아 호세 그레고리오 (Jose Gregorio)는  베네수엘라 야당이 민주주의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합법적으로 선출 된 대통령을 인정하지 않고, "알려지지 않은" 후보를 대통령으로 지명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그는 베네수엘라의 현재 위기가 리비아 시리아와 같이 미국이 일으키고 유럽 연합 (EU)의 지원으로 전개되고 있는 "같은 시나리오"라고 비판하면서,  시리아에서는 지난 8 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면서 그 파괴의 규모가 엄청나고 각 가정은 가족 한명을 잃었을 것이라 했다.

 

미국이 일으킨 이번 베네수엘라  쿠데타 조장 사태가 유고슬라비아, 시리아, 리비아 , 우크라이나와 짝퉁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미국이  자원을 강탈하기 위해  정권교체를 계획한 나라에 용병을 먼저 집어넣고 그나라 수장이  독재자라며  국민을 선동하는 모습이다. 

<힐러리 클린턴이... “왔노라, 보았노라, 죽었노라(We came, we saw, he died)"고 카다피 제거 계획 e-mail> 그리고 카다피는  살해당했다.

 

▲     ©이정섭 기자

< 참고: 펌> 

.1. 이태리 - 마이오 이탈리아 부총리는 프랑스가 지속적인 식민정책으로 아프리카를 가난하게 만들고 난민 위기를 발생시켰다며 프랑스에 대한 제재를 EU와 국제기구에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난민의 원인을 찾지 않고 결과만 이야기한다면 우리는 위선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Italian deputy PM calls on EU to sanction France for its 'continued colonization' of Africa”  2019.01.21  RT) ( “ITALY WANTS TO SANCTION FRANCE FOR CREATING MIGRANT CRISIS BY COLONIZING AFRICA”  2019.01.22 Newsweek)

.2. 미국이 일으킨  이라크의 파괴로  이라크는50조 달러의 금과 석유를 강탈당했고, 아프카니스탄은  양귀비 농장과 리튬 광산을 강탈당했으며, 이라크에서는 22톤 이상의 금과 30조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위한  통제를 상실,  리비아 중앙은행의 금괴150톤 행불이라 한다.   <사진 :  미군_이락금괴 (1)~(3) >   

 

▲     ©이정섭 기자

.3. (2015.12.24 sputnik) 월스트리트저널 "알아사드 정권 전복 음모" .. 미국, “시리아 정부  군사 전복 시도 실패” 

   ||  (2016.01.03 WorldTribune.com) 시리아 아사드 대통령 시리아 국민 지지율은 70%-나토 자료

.

4. 미국 CIA요원이 죽음을 앞두고 고백 –  “9.11은 우리가…”   http://c.hani.co.kr/hantoma/3335461   ||   럼스펠드는  2001년 9월 10일에  펜타곤은  $2,300,000,000,000을 잃었는데 모든 사람들은 그 사실을  기억에서 잊어버렸다고  <사진 : 럼스펠드9.11하루전>

 

내 패친 김ㅊㅁ 님의  “ 전쟁. 내전 유발, 민주화시위를 가장한 반정부시위, 요인암살, 쿠테타, 경제봉쇄를 비롯한 각종 군사. 경제. 외교적 고립. 봉쇄….친미정권수립과 식민지수탈…. 미국 너희들이 너희 자본가들을 위해 남의 나라 자주권. 생존권. 발전권을 억누르는 하지 않는 짓이 대체 무어냐?  이 날강도 같은 전 세계 악의 뿌리야! …”라는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이다. 

 

미국 용병이 준비중이고 < “Washington’s Mercenary Drift Towards Venezuela”  by Mison Verdad 2019.01.16 INTERNATIONALIST 360° >, 러시아가 미국에 군사개입을 경고하였으며 이란과 중국도 미국에 경고성 발언을 하였다. 

이 사악한 외세의 침략이나 조종을 받은 내전을 모든 양심인들은 반대한다. 

 

제국주의가 일으키는 모든  전쟁과 살육들은 금, 석유, 마약 그리고 각나라의 천연 자원을 강탈하여 부자1%를 더  배터지게 불리게 하는 것이다.  

- "세계인구 절반의 부, 슈퍼리치 8명이 소유" –(2017.01.16 매일경제) -

나이제리아의 한 여인이  나이제리아의 석유자원이 “신의 축복이 아니라 저주”라고 한탄한 말이 가슴에 남는다(“상식이 통하는 사회” 2016.04.25 한토마 http://c.hani.co.kr/hantoma/3066423  ).

 

미국은 이렇듯이  민주주의, 자유, 하나님이라는 가면을 씌워 자신의  탐욕을 채우기 위해  남의 나라를 침략하여  그 나라의 자원을 강탈하고  양심인들을 암살하고  온 산천초목들을 핏물로 적시고 있다. 

미국은 한국의 자한당 같은  미국의 허수아비 매국노들을 이용하여 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들어놓고 핏물로 적시지만   이런 매국노들을 청산하지 못하는 것은,  마음이 강하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적폐청산을 하면  인권유린 인권말살이라는 명목으로 미국이 군사개입하고 대학살당할 것이  두려울 수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약소국들은  자국과 국민을 방어할 수 있는 첨단 무기가 있어야 한다. 힘의 균등은 인민들을  발 뻗고 잠을 잘 수 있게 만든다. 

 

미국은  이스라엘에 돈뿐 아니라 핵무기도  바치고 이스라엘에 핵원자로도 지어주는데   왜 약소국이  자국을 방어하는 무기를 가져서는 안 되는가?  “너 죽고 나죽자” 라는 정책은 약소국들에게 필수다. 

모든 약소국가들은 어느 최강대국도 박살낼 수 있는 핵무기들을 충분히 많이 가지고 있어야한다. 

핵무기로 지구를 덮자는 미친 소리라고? 누가 이런 미친 소리를 하게 만드는가? 

 

악마들이 전멸 될 때까지는 내 주먹이 강해야한다. 왜 나만 죽어야하나?   

미국의 만행에  당하지 않으려면   방어능력이 있어야만 한다는 말이다.  그래야만  조폭 깡패 놀음이  멈추게 되고  이 땅에  억울한 죽음과 통곡의 눈물이 멈추게 될 것이다.  

 

북  핵은 남북 우리민족의 자위력인데, 북핵을 폐기하라는 남부조국의 병신 X들이 언제나 사람으로 부활하게 될지 갑갑하다. 

미국이 진정한 평화를 위해  먼저 핵무기를 내려놓는다면 다른 모든 나라들도  방어용무기를 내려놓게 될 것이다. 국가와 국가 간에는 힘의 균형만이  존재할 뿐이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권운동가·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28일 별세

이제 생존자는 23명 뿐..장례는 ‘여성인권운동가 시민장’으로 치뤄져

이소희 기자 lsh04@vop.co.kr
발행 2019-01-29 00:09:10
수정 2019-01-29 00:18:47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2) 할머니가 3일 서울 종로구 외교통상부 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해산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br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2) 할머니가 3일 서울 종로구 외교통상부 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해산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김철수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인권운동가인 김복동 할머니가 28일 밤 향년 9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정의기억연대는 28일 오후 10시 41분 경 김복동 할머니가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최근 암투병을 해오신 김 할머니는 노환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김 할머니의 빈소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차려진다. 조문은 29일 오전 11시부터 가능하다.  

장례는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으로 치뤄지며, 발인은 2월 1일 이다.

추석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1303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김복동 할머니가 집회 참석자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를 하고 있다.
추석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1303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김복동 할머니가 집회 참석자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를 하고 있다.ⓒ김철수 기자

김 할머니는 1926년생으로 경남 양산 출신이다. 1940년 만 14세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에서 고초를 겪었다. 1947년 8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왔다.  

1992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한 후,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전세계를 돌며 활발히 국제 활동을 펼쳤다. 매주 '수요시위'에 나가 시민들을 만나고 연대활동을 펼치며, 전쟁없는 나라, 전쟁 성폭력 피해자 없는 세상을 위해 활동했다. 줄곧 일본 정부를 향해 진정한 사죄, 제대로 된 배상을 촉구해왔다. 2012년엔 전시성폭력피해자 지원 '나비기금'을 설립했다. 

2015년엔 국경없는기자회와 AFP가 선정하는 '자유를 위해 싸우는 세계 100인의 영웅'에 선정됐으며,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2015 대한민국 인권상 국민훈장'도 받으셨다. 2017년엔 서울특별시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2017년 김 할머니는 사후에 모든 재산을 기부하기로 약정했다. 최근 '바른의인상' 등 수상을 통해 받은 상금 역시 재일조선학교 학생들에게 모두 기부했다.  

이소희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터뷰①] “원전 쇄국정책 넘어서야 에너지 전환 가능하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인터뷰 “원전 더 짓자는 건, 기존 기득권의 논리”

고희철·양아라 기자
발행 2019-01-28 10:22:03
수정 2019-01-28 10:31:39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김철수 기자
 

"월성원전 1호기 영구정지하고, 6개 신규 원전 취소하면 탈원전은 다 끝난 겁니까? 그래도 원전하고 석탄발전소는 늘어나고, 원전 안전 강화 제도는 제자리걸음이고 정치인들은 이제는 더 짓자고 하는데... 에너지 전환이 안 되면 어떻게 미세먼지가 줄겠습니까."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원전산업계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석탄화력발전소 대신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며 '원전 살리기'에 나섰다. 이에 합세한 정치인들은 '미세먼지가 탈원전 탓'이라며 '탈원전 죽이기'에 앞장서고 있다. 탈원전 시대로 가는 길에 또다시 걸림돌이 놓였다. 

탈원전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원전을 줄여서 재생에너지로 바꿔내는, 에너지전환을 말한다. 에너지전환은 탈석탄을 비롯한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줄이는 것도 포함된다. 즉, 탈원전, 탈석탄을 의미한다. 이처럼 에너지전환은 대용량, 원거리 집중방식의 원전과 석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에너지 분산의 과정이기도 하다.

20년간 탈핵운동을 벌여왔던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을 지난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 있는 카페에서 만났다.  

미세먼지 농도 매우나쁨 수준을 보인 1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가까운 건물 마저 잘 보이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 농도 매우나쁨 수준을 보인 1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가까운 건물 마저 잘 보이지 않고 있다.ⓒ김철수 기자

양이원영 처장은 "미세먼지가 중국 탓이다, 미세먼지가 탈원전 탓이다, 그 말로 인해서 이익을 보거나 면죄부를 받는 쪽이 누구냐. 그래서 어떻게 할 건 데 하고 보면, 의도가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탓이라고 하면 국내 경유차나 자동차 어떻게 할 거냐, 이런 얘기를 할 필요가 없는 거다. 석탄발전소에서 뿜어져 나오는 그 많은 미세먼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도 신경 쓸 필요가 없지 않나."

양이원영 처장은 "중국 탓만 하면 우리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며 "노력을 하지 않게 만드는 핑곗거리가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힘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하니 그 비싼 '공기청정기'만 사는 것"이라며 "실내 대기 오염 물질에는 미세먼지만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도 있다. 실내 대기 문제는 공기청정기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한다. 결국 환기를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1980년대 매연이 너무 심했고, 지금처럼 뿌연 게 아니라 그때는 시커멨다. 수도권은 대기환경개선 특별법까지 만들어 수조원을 비용을 쓰는 등 여러 가지 노력으로 매연이 급속도로 줄어든 것처럼 미세먼지도 노력하면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양이원영 처장은 '기상 정체 현상'과 미세먼지의 관계를 주목했다. 그는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미세먼지가 대기에 가두어져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 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충남에 있는 30개의 석탄발전소와 도심에 있는 경유자동차를 비롯한 내연기관차의 미세먼지 배출을 꼽았다.  

그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에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큰 효과가 없다"며 "기상 정체가 주로 일어나는 11월부터 5월까지는 시즌제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배출량을 미리 줄여야 기상 정체가 되더라도 미세먼지 농도가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국에 60개의 석탄발전소가 있다. 수도권 바로 밑 충남에 있는 30개 석탄발전소 이것만 잡아도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짧은 시간에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빠른 석탄발전소 문제를 잡고, 동시에 주거지 인근의 경유자동차 문제를 접근을 해야 한다. 2천여만 대 차 중에 경유차가 약 990만 대다. 990만 대 차량 잡는 것보다 전국에 60여 개 있는 석탄발전소를 절반으로 줄이든지, 발전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게 훨씬 빠르고 쉽다"  

정부는 지난해 3~6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5기를 가동 중단했다. 그 결과 813톤의 미세먼지를 줄였다고 정부는 밝혔다. 하지만 현재 국내엔 2020~2022년 완공 목표로 신서천, 고성하이 1·2호기, 강릉안인 1·2호기, 삼척화력 1·2호기 등 석탄화력발전소 7기가 새로 건설 중이다. 정부가 2022년까지 추가로 폐쇄할 노후 석탄화력발전소는 6기로, 결과적으로 현재 총 60기인 석탄화력발전소는 2022년엔 61기로 오히려 1기 더 늘어난다. 신규석탄발전소는 폐쇄되는 노후석탄발전보다 3배 이상 더 설비가 커서 설비용량으로는 훨씬 늘어난다.  

원전을 줄여서 석탄 발전이 늘었다는 최근의 일부 주장과 관련해 양이원영 처장은 석탄발전량 증감은 원전이 아니라 가스 발전 증감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석탄발전이 줄어들면 가스 발전이 늘어나고, 석탄발전이 늘어나면 가스발전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도권의 그 많은 가스 발전은 팡팡 놀면서 몇백 킬로미터 떨어진 원전과 석탄발전소를 가동해서 수도권으로 가지고 오지 않냐"면서 "가스 발전과 석탄 발전의 비중을 바꿔야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문제가 그나마 해결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양이원영 처장은 20%의 가스 발전 비중과 40%의 석탄 발전 비중을 뒤집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렇게 석탄과 가스 발전 비중을 뒤집으면 전기요금이 11%가량 오른다고 한다"며 "이거야말로 공론화를 해야 하는 거 아니냐. 11% 올려서 미세먼지양 줄이는 게 얼마나 경제적이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세먼지 때문에 경제 망하다고 하지 않나. 전기요금 인상 논의는 지금이 적기가 아니냐"고 물었다.  

또한 그는 경유차량이 도심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핵심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경유차는 미세먼지만이 아니라 각종 중금속도 다량 배출된다.  

"주거지 인근에 미세먼지 약자들이 경유차의 나쁜 먼지와 공기를 들여마신다. 택배차량이 주거지를 저속운행하면서 20~30배의 미세먼지를 배출한다. 통학차량의 95%가 경유차량이다. 마을버스도 경유차량이다. 배출가스가 버스 안에까지 오염시킨다. 그런데 이런 차량들만이라도 가스차량이나 전기차량으로 전환하도록 정부가 정책을 쓰면 생활주변 미세먼지 농도가 현격히 낮아질거다"

양이원영 처장은 "경유 가격은 낮고 휘발유 값은 높다. 그래서 경유차의 비중이 43%나 되는 것"이라며 "경유세를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반대로 휘발유세를 낮춰서 휘발유가격이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경유자동차가 줄어들 수 있다"며 "지금 당장이 아니라 최소한 앞으로 몇 년 안에 그렇게 하겠다는 정책적 목표를 제시하고 로드맵만 만들어도 소비자들의 소비행태가 달라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9 원자력계 신년인사회' 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앞줄 왼쪽 세번째부터 김춘호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총장,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송영길 국회의원. 2019.01.11.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9 원자력계 신년인사회' 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앞줄 왼쪽 세번째부터 김춘호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총장,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송영길 국회의원. 2019.01.11.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뉴시스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본부와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21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탈원전 반대 서명 청와대 전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본부와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21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탈원전 반대 서명 청와대 전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김철수 기자

양이원영 처장은 "신한울 3·4호기 이야기가 나올 줄 알았다"고 말하며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신한울 3·4호기(3GW)는 경상북도 울진군에 9번째, 10번째 원전으로 총 8조2600억원을 투입해 2023년 12월 준공 예정이었다. 신한울 3·4호기는 현재 부지 조성만 된 채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신한울 3·4호기는 2008년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건설계획이 확정됐다. 2017년 산업부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에 발전산업 허가를 내줬다. 이에 한수원은 건설허가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원전 설계용역과 원전에 들어갈 주기기에 대한 사전 제작을 외부에 맡겼다.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로드맵'에 따라 신규 원전 6기 건설을 백지화하기로 했고, 신한울 3·4호기는 2017년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취소된 6기 원전 중 2기다. 신한울 3·4호기는 계획 단계에서 취소됐고, 착공되기 전 백지화 것이다.  

최근 여당 중진 국회의원인 송영길 의원이 신울진 3·4호기 건설 재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장병완 민주평화당 원내대표를 비롯해,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등 보수 야당 원내대표들이 일제히 환영을 표하며, 신울진 3·4호기 건설 재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이승빈 기자

양이원영 처장은 "송영길 의원이 정말 미세먼지 걱정이 되면, 인천에 있는 영흥도 석탄화력발전소를 문을 닫게 하던지 아니면, 지역구 시민들 설득을 해서 원전 지으면 되는 거 아닌가. 인천 앞바다에 원전 들어갈 수 있다. 원전은 2만 5천명이상 인구밀집 지역과 4km만 떨어지면 된다"며 "신한울 3·4호기를 세우면 전기를 송전탑 또 세워서 수도권까지 가지고 와야하지 않나. 300만 명 살고 있는 부산에도 원전이 들어가는데 여기는 왜 못 들어가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신한울 3·4호기가 10조원짜리 사업이다. 절반은 설비업체에, 절반은 건설업체에 돌아간다"며 "원전 핵심부품인 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 독점 공급업체는 두산중공업이고, 원전 건설회사는 현대건설 등 4대강 건설회사들이 주업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그는 원전을 더 지어야 한다는 이유는 철저하게 '기존 기득권의 논리'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건설 중인 원전 5기는 이미 수주가 끝났다. 새로운 수주를 해야 원전산업계에게 돈이 도는데 그게 없는 것"이라며 "신한울 3·4호기가 되면 신규 수주가 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 돈을 에너지전환에 사용하면 더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정책 실현이 될 거고 더 많은 사람이 이익을 나눌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가동 중인 23기 원전에 2023년까지 추가로 5기의 신규 원전이 준공·운영될 예정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원전을 중단한 사례는 월성1호기가 유일하다.  

양이원영 처장은 "우리나라 원전은 전반적으로 노후화 돼 있어 언제 멈출 지 알 수가 없다. 월성 3호기 갑자기 멈췄다. 나중에 사후적으로 알지 않나. 원전은 안전 문제때문에 가동률을 보장을 못 한다. 원전 초기에 이용률을 엄청나게 끌어올리고 정비는 제대로 안 해 노후화가 빨리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얼마 전에도 월성 3호기가 갑자기 정지되고 일주일만에 한빛 2호기가 정지됐다"며 "원인을 알 수 없는 고장과 사고가 계속 발생하는데 무리해서 가동률을 올리라는 건 원전사고를 부추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원전 수출과 관련해 "해외에도 원전 시장이 안 열리고, 먼저 사겠다고 하는 데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탈원전 정책을 수립한 적 없는 미국과 영국에서도 이미 원전은 시장에서 경제성이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원전은 다른 발전원은 물론 재생에너지 발전원과의 경쟁에서도 밀려나서, 정부 지원책을 요구하는 것 외에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풍력 발전소의 모습.
풍력 발전소의 모습.ⓒ뉴시스

정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양이원영 처장은 그러나 정부가 재생에너지 규제를 강화했다고 주장했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이 들어가는 현장에서 지자체는 100% 주민 동의 받아오라고 하고 환경부, 산림청, 해수부, 농림부 곳곳에서 에너지전환의 현 정부 방향을 체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다보니 각종 규제와 걸림돌이 현장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는 "풍력이나 태양광을 반대하는 현장을 가보면, 결사반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주민들이 실제 피해가 발생하니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그에 따른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적절한 대안이 나오면 오히려 협력을 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 사례를 소개했다. "주민들 중에는 상생방안을 직접 고민하기도 한다. 지속 가능하게 풍력발전과 함께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보자고 하는 분들도 있다. 원전 온배수 피해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아픔을 받았던 주민들이다. 그 분들이 풍력 발전소 문제는 다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한 거다. 그래서 주민 2천여명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특별지원금으로 바다양식장을 같이 준비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소수 특정 지역만 들어가는 게 아니라 산과 논, 집, 도시, 바다에도 들어갈 수 있다. 양이원영 처장은 "모든 부처가 관련되고 모든 국민들이 다 관련이 돼 있다"며 "협력해서 같이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 전환 컨트롤 타워가 있어야 하지만 없다"면서, "현장에서의 그 아우성들을 해결해 줄 곳이 없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는 재생에너지 사회로 가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아니 되옵니다'하면서 '원전, 석탄 쇄국정책'을 쓰고 있다. 우리는 거의 수출 산업인데, 세계적인 표준에 맞추고 시장에서 경쟁하고 우위를 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우리나라만 고립된 섬인 갈라파고스로 남을 것이냐."

고희철·양아라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방위비 협상, '유효기간 1년' 두려워할 필요 없다

방위비분담 협상, 정부에 드리는 제언... 1년 제안 과감히 수용할 필요도 있어

19.01.27 19:52l최종 업데이트 19.01.27 19:52l

 

지금 한미 사이에 올해부터 적용될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 체결과 관련하여 막판 샅바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2018년 12월 28일 주한미 해리스 대사가 청와대를 방문해 "한국이 12억 달러를 분담해줬으면 좋겠다. 어떤 경우에도 10억 달러 미만은 수용할 수 없다. 협정 유효기간은 1년으로 하자"면서 이것이 백악관 수뇌부 회의에서 결정된 최종안이라며 사실상 최후통첩을 하였다. 이 자리에서 해리스 대사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을 다른 방식으로 이행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여 한국정부가 미국 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주한미군을 철수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김으로써 청와대를 압박하였다.

정부의 입장 변화는 국익을 훼손하는 중대한 실책
 

이야기 나누는 한-미 방위비협상 대사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한미방위비협상 제4차 회의에서 장원삼 우리측 한미방위비협상대사와 미국 측
티모시 베츠(Timothy Betts) 한미방위비협상대사가 회의 시작 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이야기 나누는 한-미 방위비협상 대사 2018년 6월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한미방위비협상 제4차 회의에서 장원삼 우리측 한미방위비협상대사와 미국 측 티모시 베츠(Timothy Betts) 한미방위비협상대사가 회의 시작 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주한 미대사가 통보한 안에 대한 우리 정부 입장은 무엇일까?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1조 원을 넘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에서 1조 원 이상도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선회하고 그 대신 유효기간은 3년으로 하자는 제안을 미국에 했다고 한다. (한겨레 2019년 1월 23일)

한국의 제안대로 하면 미국은 2019년 방위비분담금 총액으로 10억∼12억 달러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10차 SMA가 적용되는 첫해인 올해 방위비분담금은 최소 10억 달러(1조 1000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효기간 3년을 얻어내기 위해 1조 원을 넘길 수 없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포기하는 것은 미국의 협상전술에 휘둘린 것으로서 국익을 훼손하는 중대한 실책이 아닐 수 없다.

유효기간 1년 제안에 줏대 없이 허둥대는 정부

 

문재인 정부는 10차 SMA 협정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하자는 미국의 기습적 제안에 대해 허를 찔린 듯 당황스런 기색이 역력하다. 미국이 협정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하자는 제안을 처음한 것은 지난 2018년 12월 11일 열렸던 10번 째 협상 때였다고 한다. 그 이전 회의에서 미국 협상대표는 6∼10년을 주장하였다.

미국 측 협상 대표는 1년 제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새로운 방위비분담 원칙을 마련하고 있으니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하고 새 원칙에 따라 다시(2020년부터 적용될 협정에 대해서) 협상하자"(한겨레, 2019년 1월23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한국대표는 방위비분담금 규모는 '국민들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1조 원을 넘을 수 없으며 1년짜리 협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다고 한다. SMA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할 경우 10차 SMA가 체결되자마자 곧바로 내년(2020년)부터 적용할 협정 협상을 시작해야 하는데 이는 현실성이 없다는 판단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해리스 주한미 대사가 청와대를 방문해 협정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하자는 최후통첩성(?) 요구를 다시 꺼내자 우리 정부는 유효기간 1년 제안을 철회시키기 위해 1조 원을 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접기로 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방위비분담금) 숫자에서는 우리가 상징성을 포기할 수 있다. 하지만 1년은 받아들일 수 없다. (협상하고) 돌아서자마자 다시 내년 방위비 협상을 시작"(위 한겨레기사)해야 한다는 정부관계자의 발언에서 우리 정부가 협상유효기간을 1년으로 하자는 미국의 제안에 줏대 없이 허둥대는 것이 보인다. 

무원칙한 마지노선과 그것마저 포기하는 정부

우리 정부가 미국에 1조 원 이상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은 정부가 스스로 정한 마지노선(9999억 원)을 포기하였음을 의미한다. 정부가 방위비분담금 1조 원을 '국민들이 생각하는 심리적인 마지노선'이라고 여겼다는 것은 최악의 경우에도 1조 원을 넘는 것만은 막겠다는 의미다. 이 점에서 마지노선의 포기는 정부 스스로 협상 실패를 자인한 것과 다름없다.

사실 정부가 설정한 마지노선이란 것은 방위비분담금의 삭감을 바라는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수세적이고 무원칙한 목표다. 2017년 12월말 현재 미집행된 방위비분담금만 1조 788억 원(미집행현금 3292억 원, 불용액 968억 원, 감액 5570억 원, 2017년 예산 중 다음연도로 이월된 금액 958억 원)에 이른다. 이는 한 해 방위비분담 액수보다 많은 것으로 현재의 방위비분담금(2018년 9602억 원)이 과도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뚜렷한 증거다.

평택미군기지 이전이 마무리 단계인 것도 방위비분담(군사건설비) 삭감 요인이다. 미국이 불법적으로 방위비분담금을 이용해 얻은 이자소득만 최소 3500억 원이 넘는데 이 이자소득 역시 우리 국고로 환수하거나 아니면 그만큼 방위비분담금을 삭감해야 할 요인이다. 정부는 9차 SMA국회 비준 당시(2014년 6월 7일) 방위비분담금에서 발생한 이자소득을 확인해 차기(10차 SMA) 협상 때 방위비분담 총액에 반영하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마지노선'은 방위비분담금의 증액을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런 삭감요인을 반영할 기회를 스스로 차단해 버리는 자충수였다. 이런 수세적이고 무원칙한 마지노선마저 정부가 미국에 휘둘려 포기하게 되면 그렇지 않아도 과도한 주한미군 유지비 부담으로 허리가 휜 우리 국민들이 입는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  

협상을 두려워하면 필패다
 
정동 미대사관저앞, 방위비분담금 인상 강요 규탄 24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길 미대사관저 앞에서 민주노총,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진보연대,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주권, 국익, 평화정착에 역행하는 방위비분담금 인상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정동 미대사관저앞, 방위비분담금 인상 강요 규탄 24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길 미대사관저 앞에서 민주노총,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진보연대,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주권, 국익, 평화정착에 역행하는 방위비분담금 인상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정부에 묻고 싶다. 왜 '돌아서자마자 다시 방위비분담 협상을 하면' 안 되는가? 왜 1년짜리 협정은 '현실성'이 없다고 미리 단정해 버리는가?

미국의 제안을 수용해 이번 10차 SMA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하면 2020년 적용될 11차 SMA 체결을 위해서는 정부 말대로 올해 협상에 들어가야 한다. 그렇지만 작년에 이어 올해 또 협상을 한다고 해서 그것이 왜 현실성이 없다고 하는지 묻고 싶다.

그 어디에도 협정의 유효기간이 1년이면 안 된다는 원칙이 없다. 지금 한반도  정세로 보면 10차 SMA협정의 유효기간이 1년으로 되더라도 한국에 불리할 것이 없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협정에 관한 북미간 합의도, 적대행위 중지와 군사적 신뢰구축 및 군축에 관한 남북간 합의도 더 진전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주한미군 역할 및 기지 축소가 불가피해지는 등 주한미군 유지비에 대한 우리 국민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한국의 입장이 강화될 것이 틀림없다. 굳이 협정 유효기간을 1년이 아닌 3년으로 하기 위해 정부가 정한 마지노선을 포기할 이유가 없는 까닭이다.

SMA 협상에 관여하는 일부 관료 입장에서나 협상 안을 마련해야 하는 일부 정책입안자 입장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 또 협상을 한다면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이유로 1년짜리 협정을 체결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나아가서는 스스로 정한 방위비분담증액의 마지노선을 포기한다면 문재인 정부가 주권과 국익이 걸린 방위비분담 협상에 대해서 자신들의 편의 차원에서 접근한다는 지탄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 정부가 방위비분담금 1조 원 미만이라는 마지노선을 포기하면서까지 3년 유효기간을 받아내려고 하는 것은 미국과의 협상에 대한 자신이 없는 것으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 미국과의 협상을 두려워하면 우리의 주권과 국익이 지켜질 수 없음은 물론이다. 협정 유효기간이 1년이냐 3년이냐 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주권과 국익을 지키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없다는 데 문제의 본질이 있다고 하겠다. 

미국에 당당히 맞서는 것이 국익을 지키는 길  

유효기간 1년 제안의 배경이 "해외파병한 모든 미군의 주둔비용 분담원칙을 전면 재검토한 뒤 한국, 일본, 나토 등과 올해 협상에 나서겠다는 미국 쪽 방침 변경에 따른 것"(한겨레 2019년 1월 26일)이라는 보도도 있다. 그러나 미국이 해외 미군주둔비용 분담 원칙에 관한 새로운 협상기준을 마련하여 한국과 협상에 임한다 하더라도 한국은 이에 대해서 전혀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미국이 새 기준을 마련해 협상하겠다는 것은 뒤집어 보면 올해부터 적용될 방위비분담금으로 1.5∼2배 인상을 요구한 것이 객관적 기준에 의거한 것이 아니라 우격다짐식 요구였음을 미국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리고 주한미군이나 주일미군, 유럽주둔 미군에 대한 각 주둔국가의 지원은 각 주둔국과 미국 사이에 맺은 주둔군지위협정(소파)을 법적 근거로 한다. 따라서 미국이 이 소파를 무시하고 해당 주둔국에 임의로 미군유지비용 부담 기준을 들이밀 수는 없다.

또 나토의 유럽회원국들은 어느 나라도 한국처럼 방위비분담 특별협정을 맺고 있는 나라가 없다. 가령 독일이나 이탈리아는 자국에 미군이 주둔하지만 주둔미군에 대해서 한국처럼 방위비분담금조로 현금을 미국에 지급하지 않는다. 일본은 유일하게 한국처럼 미국과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을 맺고 있지만 주일미군에 대한 지원범위나 지원조건이 한국과 다르다.

한미소파 제5조는 주한미군 주둔경비의 분담에 대한 분명한 원칙을 정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한국은 시설과 구역에 대해서만 책임을 지며 그 외 모든 주한미군 유지비용은 미국이 책임지게 되어 있다. 미국은 걸핏하면 한국에 대해 불공정한 부담을 하고 있다고 몰아붙이는데 한미소파 제5조에 비춰보면 주한미군의 유지비의 일부를 한국에 떠넘기는 자체가 한미소파 위반이고 불공정 행위인 것이다.

한국은 미국보다 5배나 많이 부담

주한미군 유지에 대해 한국과 미국이 부담하고 있는 비용을 비교하더라도 한국은 미국보다 몇 배나 많은 부담을 하고 있어 한국이 불공정한 부담을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터무니없다.

2018년 방위비분담금 9602억 원(8억 7000만 달러)은 미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비인적주둔비 11억 6000만 달러의 75%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한국은 방위비분담금 이외에도 각종 명목으로 주한미군에 대한 직간접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그 내역을 보면 아래와 같다. 평화통일연구소가 2018년 국방예산 사업설명서를 뒤지고 또 국방부와 환경부, 행정안전부 등에 정보공개청구하여 얻은 결과이다.

2018년 기준으로 직접경비는 주한미군기지 시설부지지원(73억 원), 평택미군기지 이전비(5704억 원), 미국 소유 연합C4I체계 및 통신선 사용료(209억 원), 한미연합연습비용 분담(32억 원), 주한미군 손해배상금 지급(450억 원), 카투사 인건비 216억 원(추정치임), 미군기지 및 주변지역 환경조사(63억 원), 반환공여구역 토지매입비 국비지원(506억 원), 평택·동두천·의정부의 미군기지주변지역 정비비(2832억 원) 등 1조 85억 원이다.

또 간접경비는 미군기지 임대료 평가(용산 미군기지 81만 평의 임대료 평가만  4조 4000억 원), 카투사 가치평가(1192억 원) 등 4조 5192억 원이다. 이 직접 및 간접 경비와 방위비분담금을 합하면 대략 6조 5000억 원가량 된다. 이는 미국이 부담하는 주한한미군 유지비(11억 6000만 달러=1조 3000억 원)의 5배에 달한다.   

우리 정부는 협상을 두려워하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당당히 협상에 임해야 한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협정 동시병행으로 바뀐 한반도 정세 변화, 평택미군기지 이전 마무리 국면, 불법 취득한 이자소득 환수, 1조 원 넘는 방위비분담 미집행금 등은 정부가 협상에서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방위비분담 삭감 요인들이다.

협상의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미국의 협상 유효기간 1년 제안을 과감히 수용할 필요도 있다. 정부는 스스로 정한 마지노선을 지켜야 함은 물론이고 방위비분담금을 삭감함으로써 주한미군 유지비에 대한 우리 국민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고 우리 주권과 국익을 지켜내길 바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심층분석 - 미국의 대폭후퇴, 조선의 압승예감

[개벽예감 332]심층분석 - 미국의 대폭후퇴, 조선의 압승예감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9/01/28 [08:49]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한반도 군비통제상황과 조미비공개접촉에 관한 특별보고

2.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한 새로운 비핵화 방안

3. 트럼프 대통령을 집단적으로 면담한 조선대표단

4. 워싱턴에서 진행된 김혁철-비건 실무급회담

5. 스톡홀름에서 진행된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

6. 트럼프의 대폭후퇴로 조미협상의 견해차이가 해소되다

 

 

1. 한반도 군비통제상황과 조미비공개접촉에 관한 특별보고 

 

2018년 12월 2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 미국인 중년남성 한 사람이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 국무부 대조선정책특별대표 스티븐 비건이었다. 하루 전 서울에 도착한 그는 숙소로 정한 호텔에서 하룻밤을 묵고 그날 아침 판문점을 향해 출발했다. 주한미국대사관은 그의 판문점 행보를 외부에 알리지 않았다. 비공개방문이었다. 당시 그는 12월 21일에 예정된 한미실무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에 갔는데, 회의에 참석하기 전날 판문점부터 찾았던 것이다. 

 

비건 특별대표는 이전에도 서울을 네 차례 방문했었고, 방문할 때마다 2박3일 일정을 서울에서 보내곤 했는데, 2018년 12월 19일 서울에 도착하였을 때는 방문일정을 3박4일로 잡았다. 이것은 그가 방문일정 중에 시간이 남아서 즉흥적으로 판문점을 찾아간 것이 아니라, 워싱턴에서 서울로 출발하기에 앞서 판문점 비공개방문을 미리 준비하였음을 말해준다.

 

한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비건 특별대표는 그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3시간 동안 판문점에 머물렀다고 한다. 판문점에서 3시간 동안 무엇을 했을까? 판문점 방문시점이 사연을 말해준다. 그가 판문점에 나타나기 8일 전인 2018년 12월 12일 남과 북은 비무장지대 감시초소 철거현장들에 대한 상호검증을 완료하였다. 정전협정 체결 이후 65년 만에 군비통제를 시작한 중대한 변화다. 한반도 군사상황에 중대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미국이 그처럼 중대한 변화를 멀리서 구경이나 하고 있었을 리 만무하다. 미국은 정전체제를 뒤흔드는 변화의 첫 걸음을 내딛은 군비통제상황을 현장에서 직접 파악하고 싶었다. 그래서 비건 특별대표가 판문점에 나타났던 것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방문이 아니라 특별한 시찰이었다. 

 

비건 특별대표의 직속상관은 마익 팜페오 국무장관이지만, 그의 판문점 시찰은 국무장관이 단독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 비건 특별대표에게 판문점을 방문하여 군비통제상황을 현장에서 시찰하라는 지시를 내린 사람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군비통제상황에 관한 보고를 이미 받았지만, 서면보고만 가지고서는 만족할 수 없어서 비건 특별대표에게 현장시찰임무를 주어 그를 판문점에 보냈던 것이다. <사진 1>

 

▲ <사진 1> 이 사진은 2018년 12월 19일 서울에 도착하여 3박4일 머물렀던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조선정책특별대표가 12월 21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실무단 회의를 마치고 취재진을 상대로 즉석회견을 진행하는 장면이다. 비건의 서울방문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는 한미실무단 회의 전날 판문점을 비공개로 시찰하였는데, 그것은 한반도 군비통제상황을 현장에서 시찰하고 그 결과를 자신에게 보고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특별지시에 따른 것이었다. 또한 그는 서울방문기간 중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이미 결정해놓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할 기회를 찾고 있다는 중대한 정보도 흘려주었다. 또한 그는 서울방문기간 중에 주한미국군 주둔지원비 증액문제가 '북핵문제'와 직결되었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이 발언은 문재인 정부가 주한미국군 주둔지원비를 미국이 요구하는 만큼 증액하지 않으면 철군하겠다는 뜻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이런 맥락을 이해하면, 한국 국방부를 통해 한반도 군비통제추진과정에 은밀히 개입하여 그 속사정을 알고 있는 마이클 미니핸 주한미국군사령부 참모장과 버크 해밀턴 유엔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이 비건 특별대표의 판문점 시찰에 동행하여 군비통제상황을 자세히, 그리고 아주 실감나게 해설해준 것으로 생각된다. 비건 특별대표가 무려 3시간 동안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 머물렀던 까닭이 거기에 있다. 그는 판문점에서 군비통제상황을 시찰하고, 서울에 돌아가 한미실무단 회의를 진행한 다음 2018년 12월 22일 워싱턴으로 돌아갔다. 

 

그로부터 이틀이 지난 2018년 12월 24일 백악관에서 흥미로운 일이 벌어졌다. 미국인들이 들뜬 분위기 속에서 성탄절 전야를 맞이하고 있었던 그날,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 두 사람이 들어섰다. 그 중 한 사람은 나흘 전 판문점 시찰을 마치고 워싱턴에 돌아간 비건 특별대표였고, 다른 한 사람은 지나 해스펄 중앙정보국 국장이었다. 그 두 사람은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여기에 실린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곁에 서 있는 비건 특별대표로부터 받은 보고서를 읽고 있고, 그 옆에 서 있는 해스펄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할 보고서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 촬영된 것이다. 미국 국무부 관리들 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집무실에 들어가 직접 보고하는 사람은 팜페오 국무장관인데, 그날은 매우 이례적으로 비건 특별대표가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하였다. <사진 2>  

 

▲ <사진 2> 이 사진은 2018년 12월 24일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문건을 읽고 있는 장면이다. 그 문건은 비건 특별대표가 판문점을 시찰하고 작성한 한반도 군비통제상황에 관한 특별보고서다. 비건 특별대표 옆에 서 있는 여성은 지나 해스펄 미국 중앙정보국 국장이다. 사진 속의 해스펄 국장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하려는 특별보고서를 두 손으로 들고 서 있다. 해스펄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한 특별보고서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 초까지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가 조선측과 비공개접촉을 진행할 결과를 종합분석한 특별보고서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군비통제상황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까닭은, 그것이 한반도 평화협정체결문제 및 주한미국군철수문제와 직결되는 선행조건으로 되기 때문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트럼프 대통령은 비건 특별대표와 해스펄 국장으로부터 각각 특별한 보고를 받았다. 비건 특별대표가 제출한 보고서는 그가 판문점 시찰을 통해 파악한, 한반도 군비통제상황에 관한 특별보고서였고, 해스펄 국장이 제출한 보고서는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가 조선측과 여러 차례 비공개접촉을 진행한 결과를 종합분석한 특별보고서였다. <동아일보> 2019년 1월 17일 보도에 따르면, 조미협상 교착상태가 이어지고 있었던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 초까지 미국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는 판문점 등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와 몇 차례 비공개접촉을 하였다고 한다. 

 

위에 서술된 몇 가지 정보를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군비통제상황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조미협상 교착상태가 지속되던 기간에도 비공개접촉을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간접적인 의사소통을 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비건 특별대표와 해스펄 국장으로부터 각각 특별보고를 받고 자신의 트위터에 세 문장으로 된 메시지를 남겼다. 

 

“성탄절 전야에 우리 사람들로부터 북조선에 관한 설명을 들었음.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김 위원장과 만날 정상회담을 고대하고 있음!” 

 

사건의 전후맥락을 파악한 사람들은 위의 인용문에 담긴 뜻을 다음과 같이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성탄절 전야에 한반도 군비통제상황과 조미비공개접촉에 관한 특별보고를 받았다. 한반도에서 군비통제가 시작되어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있으며, 조미비공개접촉으로 조미협상 교착상태를 넘어설 길이 열렸으므로,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개최할 좋은 여건이 마련되었다!” 

 

 

2.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한 새로운 비핵화 방안

 

2018년 12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전용기에 몸을 실었다. 아르헨띠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마치고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전용기를 타고 가던 중에 그는 자신을 수행한 취재진을 상대로 즉석회견을 하였는데, 그 자리에서 흥미로운 일이 벌어졌다. 미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기내즉석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1월이나 2월쯤 제2차 조미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회담개최지로 세 도시를 선정, 검토하고 있다고 하였고, 앞으로 어느 시점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워싱턴으로 초청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런데 얼핏 읽어보면, 이건 이해하기 힘든 발언이다. 왜냐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기내즉석회견에서 위와 같이 말했던 2018년 12월 1일 당시까지만 해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2차 조미정상회담 개최문제에 관해 아무런 응답도 주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한 <아사히신붕> 2018년 12월 13일 보도에 따르면, 당시 미국은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2019년 초에 개최하는 문제를 타진하고 있었지만, 조선은 응답을 주지 않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너무 성급하게, 그리고 일방적으로 제2차 조미정상회담의 개최시기 및 개최지에 대해 언급하였고, 앞으로 때가 오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워싱턴에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까지 밝혔던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했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왜 그처럼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었을까? 비건 특별대표의 발언에서 해담을 찾을 수 있다. 외교소식통의 제보를 인용한 <중앙선데이> 2018년 12월 29일 보도에 따르면, 2018년 12월 21일 한미실무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에 머물고 있었던 비건 특별대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미국은 비핵화 협상 로드맵(추진경로도라는 우리말로 써야 하는 외국어)을 완성했으며, 북한에 설명할 기회를 찾고 있지만 아직 북한이 호응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로드맵에는 북한의 단계적인 비핵화조치와 연동된 미국의 상응조치가 담겨 있으며, 여기엔 대북제재이슈(문제라는 우리말로 써야 하는 외국어)도 담겨있다. 북미 간 신뢰가 부족한 상황에서 핵시설, 핵물질, 핵무기 등을 망라하는 완전한 신고서를 제출하라고 북한에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데 미국 내에서도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고 있다.”

 

위의 인용문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요한 사실을 읽을 수 있다. 

 

(1) 비건 특별대표가 위와 같이 발언하였던 2018년 12월 21일 당시, 백악관은 한반도 비핵화 경로도를 준비해놓았다는 사실이다. 그 경로도에는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선과 미국이 각각 실행해야 할 과업들, 단계적으로 실행해가는 순서들, 해당과업들을 언제 시작해서 언제까지 완료하는지를 표시한 추진일정표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것으로 보인다. 경로도를 완성했다고 밝힌 비건 특별대표의 말에 나오는 ‘완성’이라는 말이 바로 그런 사정을 반영한 표현이다. 두말할 나위 없이,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하고 결정한 한반도 비핵화 경로도는 미국의 대조선협상전략이 전면적으로 반영된 방안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조미정상회담 개최문제에 대해 자신 있게 발언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자신의 지시와 결정에 따라 대조선협상전략이 완성되었기 때문이었다.   

 

(2) 조선의 핵신고를 받아내려던 비현실적인 요구가 트럼프 대통령의 대조선협상전략에서 배제되었다는 사실이다. 미국이 조선에게 핵신고를 요구하는 것은 협상을 무한정 교착상태에 빠뜨릴 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트럼프 대통령은 대폭 후퇴하여 그 요구를 철회했던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조미정상회담 개최문제에 대해 자신 있게 발언할 수 있었던 것은, 조미협상을 교착상태에 빠뜨린 핵신고서 요구를 스스로 철회하여 협상의 걸림돌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3) 비건 특별대표가 위와 같은 발언을 꺼내놓았던 2018년 12월 21일 당시,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조선에게 설명할 기회를 찾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 사정을 좀 더 명확하게 서술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할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이른 시일 안에 개최하려고 하였으나, 당시까지만 해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해 내심 안타까워하고 있었던 것이다. <사진 3> 

 

▲ <사진 3> 이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1월 2일 새해 들어 처음 소집된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들어 보이면서 제2차 조미정상회담 개최문제에 관해 3분 동안 설명하는 장면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마련해놓고 제2차 조미정상회담 개최를 간절히 바란다는 소식을 통일전선부-중앙정보국 비밀연락선을 통해 들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8년 12월 말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냈다. 위의 사진에 나오는 친서가 바로 그 친서다.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을 헤아린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친서에서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이른 시일 안에 개최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사를 환영하면서, 정상회담 개최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조선대표단을 곧 워싱턴에 파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 속사정을 알게 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8년 12월 말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친서에서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이른 시일 안에 개최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사를 환영하면서, 정상회담 개최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조선대표단을 곧 워싱턴에 파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응답을 학수고대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위와 같은 내용의 친서를 받았으니, 어찌 흥분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그는 2019년 1월 2일 새해 들어 처음으로 소집된 백악관 각료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들고 나타났다. 미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보여주면서 3분 동안 제2차 조미정상회담 개최문제에 관해 언급하였다고 한다.   

 

그로부터 나흘이 지난 2019년 1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북조선과 매우 좋은 대화를 하고 있다. 나는 그 이상 자세한 것을 말하지 않겠지만, 매우 특별한 대화라는 점만 말하겠다.” 매우 특별한 대화라는 것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 초까지 판문점 등에서 미국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가 조선측과 여러 차례 비공개접촉을 진행하여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받게 되었다는 뜻이다.  

 

 

3. 트럼프 대통령을 집단적으로 면담한 조선대표단

 

2019년 1월 17일 저녁 김영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조선대표단이 워싱턴에 도착하였다. 조선에서는 제2차 조미고위급회담 대표단이라는 공식명칭을 쓰는데, 이 글에서는 편의상 조선대표단이라고 부른다. 

 

이튿날 조선대표단이 머무는 호텔에서 김영철 부위원장과 팜페오 국무장관 사이에 회담이 진행되었다. 당시 미국과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김영철-팜페오 고위급회담에 유별나게 시선을 집중하고 있었지만, 그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조선대표단을 워싱턴에 파견한 의도를 전혀 알지 못한 것이었다. 조선대표단이 워싱턴을 방문한 목적은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하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1) <워싱턴포스트> 2019년 1월 16일 보도에 따르면, 김영철 부위원장이 워싱턴에 도착하기 직전 중동지역을 순방하고 있었던 팜페오 국무장관은 순방일정을 줄이고 급히 워싱턴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런 정황은 팜페오 국무장관이 조선대표단의 워싱턴 방문시점을 임박해서야 알았다는 점을 말해준다. 조선대표단의 워싱턴 방문시점이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되었기 때문에, 중동에 나가있던 팜페오 국무장관은 뒤늦게 알게 된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조선대표단을 워싱턴에 파견한 목적이 김영철-팜페오 고위급회담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 면담에 있었다고 보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2) 한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영철-팜페오 고위급회담은 2019년 1월 18일 오전 11시에 시작되어 45분 만에 끝났다고 한다. 그처럼 짧은 회담시간은 그 회담이 의례적인 회담이었음을 말해준다. 

 

조선대표단이 숙소로 정한 호텔에서 팜페오 국무장관을 만나 의례적인 회담을 마친 김영철 부위원장이 대표단을 이끌고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 들어선 시각은 12시 15분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대표단을 반갑게 맞이하였다. 그 자리에는 팜페오 국무장관과 비건 특별대표가 동석하였다. 조선대표단의 2019년 1월 18일 백악관 방문과 조선대표단의 2018년 6월 1일 백악관 방문을 비교하면, 몇 가지 다른 점들이 보인다. <사진 4>  

 

▲ <사진 4> 위쪽 사진은 2019년 1월 18일 조선대표단을 이끌고 백악관에 들어간 김영철 부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하는 장면이다. 그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보내는 친서를 김영철 부위원장에게 전했다. 아래쪽 사진은 조선대표단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하는 장면이다. 그것은 단독 면담이 아니라 집단적인 면담이었다. 면담에는 팜페오 국무장관과 비건 특별대표도 동석하였다. 사진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슨 문건들을 자신의 책상 위에 잔뜩 펼쳐놓고 조선대표단에게 무언가 열심히 설명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은 그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할 한반도 비핵화 방안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대한 문제를 설명하느라고, 그는 30분 동안 예정되었던 면담시간을 2시간 가까이 연장하였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1) 2018년 6월 1일에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였는데, 2019년 1월 18일에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하였을 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보내는 자신의 친서를 김영철 부위원장에게 전하였다. 최근 두 정상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2018년 6월 1일에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통역관을 대동하고 백악관에 들어가 트럼프 대통령을 단독 면담하였고, 대표단 성원들인 김성혜 통일전선부 책략실장과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장 직무대행은 밖에서 기다렸었는데, 2019년 1월 18일에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통역관을 대동하고 대표단 성원들인 김성혜 통일전선부 책략실장, 김혁철 참사, 박철 참사와 함께 백악관에 들어가 트럼프 대통령을 집단적으로 면담하였다. (공식직책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대표단 성원 두 사람에 대해서는 편의상 참사라고 부른다.) 

 

당시 백악관 발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대표단을 면담하는 시간은 1월 18일 오후 12시 15분부터 45분까지 30분으로 정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대표단을 30분 동안 면담한 뒤에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을 면담하기로 예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뜻밖의 일이 벌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이례적으로 므누신 재무장관과의 면담시간을 1시간 30분 정도 뒤로 미루고, 장장 2시간 가까이 조선대표단과 면담하였다. 이런 이례적인 행동은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대표단과의 면담을 얼마나 고대하였고, 중시했는지를 말해준다. 

 

면담장면을 촬영한 사진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문서들을 집무책상 위에 펼쳐놓고 손짓을 해가면서 조선대표단에게 무언가 열심히 설명하는 모습이다. 이런 모습만 봐도, 그 면담이 외교관례에 따라 덕담이나 주고받는 자리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기의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할 중대한 기회를 기다려온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자기에게 대표단을 보낼 것이라는 연락을 받고, 자기의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그들에게 진지하게 설명하고 싶었다. 그래서 그는 관련문서를 보아가면서, 그리고 다른 면담일정을 한참 뒤로 미루면서 조선대표단에게 자기의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설명하였던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설명한 한반도 비핵화 방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논한다.)   

 

 

4. 워싱턴에서 진행된 김혁철-비건 실무급회담

 

2019년 1월 22일 팜페오 국무장관은 스위스 다보스에서 진행된 세계경제연단 화상연설 직후 질의응답시간에 조선대표단의 워싱턴 방문에 관해 언급하면서 비건 특별대표가 조선에서 새로 지명된 회담상대와 만났으며, 그 만남에서 더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이틀 뒤에 미국 국무부는 비건 특별대표와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조선반도사무특별대표가 1월 23일 워싱턴에서 진행한 미중실무급회담에 대해 언급하면서 지난 1월 18일 워싱턴에서 조미실무급회담도 진행되었다고 말했다. 이것은 조선대표단이 워싱턴에 머물고 있었던 지난 1월 18일 조선에서 새로 지명된 회담상대와 비건 특별대표 사이에 실무급회담이 진행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한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조선에서 새로 지명된, 비건 특별대표의 회담상대는 김혁철 참사라고 한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지난 1월 18일 조선대표단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뒤 숙소호텔로 돌아가서 팜페오 국무장관이 마련한 오찬을 마친 뒤에, 김혁철-비건 실무급회담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혁철 참사는 이전에 스위스 제네바 주재 조선대사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면서 국제핵감축문제를 담당했다고 한다. 제네바에는 조선과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65개 나라들이 가입한 유엔군축회의(Conference on Disarmament)가 있는데, 핵보유국들과 비핵국가들이 그 국제기구에서 핵군비통제 및 핵감축문제를 논의한다. 김혁철 참사가 제네바 주재 조선대사관에서 근무하면서 국제핵감축문제를 담당하였다면, 그는 핵군비통제 및 핵감축문제에 정통한 외교관이다. 

 

여기서 개념정리가 요구된다. 핵감축(nuclear disarmament)은 핵무기를 감축하는 것이고, 핵군비통제(nuclear arms control)는 핵무기를 폐기 또는 감축하지 않으면서, 핵무기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중단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핵군비통제와 핵동결은 동의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9년 신년사에서 핵무기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중단하는 핵동결 완료를 선언하고, 핵군비통제문제에 정통한 외교관을 비건 특별대표의 회담상대로 임명한 것은 앞으로 조미협상에서 조선과 미국의 상호핵동결문제가 논의될 것이라는 점을 예고한다. 2019년 1월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워싱턴을 방문하고 평양으로 돌아간 김영철 부위원장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받고, 조선대표단이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결과를 청취하였는데, 그 자리에 김혁철 참사가 동석하였다. <사진 5> 

 

▲ <사진 5> 위쪽 사진은 2019년 1월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워싱턴을 방문하고 돌아온 조선대표단 단장인 김영철 부위원장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받고, 김영철 부위원장의 보고를 듣는 장면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얼굴에 환한 미소가 어려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조미협상에서 대폭 후퇴하였다는 사실을 김영철 부위원장의 보고를 통해 확인하였기 때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그처럼 환한 미소로 친서를 전달받은 것이다. 아래쪽 사진은 2019년 1월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조선대표단 성원들로부터 트럼프 대통령 면담결과를 청취하는 장면이다. 김영철 부위원장의 옆에 앉은 사람은 조선대표단 성원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김혁철 참사와 박철 참사다. 국제핵감축문제에 정통한 김혁철 참사는 비건 특별대표의 회담상대로 지명된 노련한 외교관이고, 영어에 능통한 박철 참사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소속 간부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여기서 또 다른 개념정리가 요구된다. 조선과 미국의 상호핵동결은 조선이 핵무기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완전히 중단한 것에 상응하여 미국도 조선을 겨냥한 핵무기의 연습, 위협, 사용을 완전히 중단하는 것이다. 핵동결에도 상호성의 원칙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강조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조선과 미국이 상호핵동결을 합의하고 이를 완전히 실행한다는 뜻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박철 참사는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에 소속된 간부인데, 그 위원회 위원장은 김영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다. 박철 참사는 영어에 능통하다. 영어에 능통한 그가 이번에 조선대표단 성원으로 망라된 데는 사연이 있다. 2018년 6월 1일 김영철 부위원장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단독 면담하였는데, 성격이 급한 트럼프 대통령은 통역시간을 거의 주지 않고 말을 길게 이어가는 바람에, 김영철 부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길게 이어진 발언내용을 통역을 통해 파악하느라고 어려움을 느꼈다. 그런 사정을 간파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번에 조선대표단을 백악관에 파견하면서 영어에 능통한 박철 참사를 대표단 성원으로 임명하였고, 통역을 통해 미처 파악하지 못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묘한 어감차이나 심리상태까지 세심하게 관찰, 파악하라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월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워싱턴을 방문하고 평양으로 돌아간 김영철 부위원장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받았고, 조선대표단이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결과를 청취하였는데, 그 자리에 박철 참사도 동석하였다.   

 

그런데 조선대표단의 워싱턴 방문일정은 김영철-팜페오 고위급회담과 트럼프 대통령 면담으로 끝난 게 아니었다. 한국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2019년 1월 18일 저녁, 본 비숍 중앙정보국 부국장과 존 플레밍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 신임 총책임자가 조선대표단이 머물고 있는 호텔에 나타났다고 한다. 이것은 조선대표단이 중앙정보국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비공개회담을 진행하였음을 말해준다. 얼마 전 조미협상이 교착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을 때, 조선과 미국은 비밀연락선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면서 비공개접촉을 추진한 바 있었다. 조미협상과정에서 뜻밖에 일어날 수 있는, 예측하기 힘든 돌발상황에 대비하여 조선과 미국은 비밀연락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5. 스톡홀름에서 진행된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

 

2019년 1월 18일 저녁, 조선대표단의 워싱턴 방문일정이 거의 끝나가던 때, 미국 국무부가 뜻밖의 내용을 외부에 공지하였다. 비건 특별대표가 이튿날부터 2019년 1월 22일까지 사흘 동안 스웨리예(스웨덴)를 방문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것은 비건 특별대표가 스웨리예 수도 스톡홀름에서 진행되는 국제회의에 참석한다는 뜻이었다. 스톡홀름 국제회의는 2018년 11월 초에 조미고위급회담이 무산되자 스웨리예 외교부와 스톡홀름국제평화문제연구소가 공동주최한 것이다. 그래서 반관반민 국제회의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비건 특별대표가 워싱턴에서 김혁철 참사와 실무급회담을 마치자마자 급히 스톡홀름 국제회의에 참석한 까닭은, 그 회의에 최선희 조선외무성 부상이 참석하였기 때문이다. 최선희 부상이 스톡홀름에 도착한 때는 1월 17일 오후였고, 비건 특별대표가 스톡홀름에 도착한 때는 1월 19일 오후였는데, 그 사이에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월 18일 밤늦게 스톡홀름에 도착하였다. 스톡홀름 국제회의는 1월 19일 오후 6시에 시작되어 1월 21일 오전 10시에 끝났다. 스톡홀름 국제회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원래 스톡홀름 국제회의는 1월 19일부터 22일까지 3박4일 동안 진행하기로 예정되었는데, 하루 일찍 끝났다. 이런 정황은 최선희 부상과 비건 특별대표가 실무급회담에서 장시간 논쟁을 벌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실제로 회담분위기는 좋았다. 

 

(2) 영국 통신사 <로이터즈> 2019년 1월 22일 보도에 따르면, 스톡홀름 국제회의에서 지역안보체제문제를 논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할애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그 회의에서 최선희 부상과 비건 특별대표가 동북아시아안보문제에 관해 긴 시간 동안 논의하였음을 말해준다, 왜 갑자기 동북아시아안보문제가 제기되었을까? <사진 6> 

 

▲ <사진 6> 위의 사진은 최선희 조선외무성 부상이 2019년 1월 21일 스톡홀름 국제회의에 참석하여 비건 특별대표와 여러 차례 진행한 실무급회담을 모두 끝마치고 스톡흘름 주재 조선대사관에 도착하여 승용차에서 내리는 장면이다. 최선희 부상과 비건 특별대표는 스톡홀름 국제회의에 참석하여 별도로 실무급회담을 여러 차례 진행하면서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주고받았다. 그 회담들에서 한반도 평화체제수립방안과 한반도 비핵화 방안에 대해 논의되었는데, 참으로 놀랍게도, 쌍방의 견해차이가 사실상 해소되었다. 한때 견해충돌로 교착상태에 빠졌던 조미협상의 내부사정이 그렇게 갑작스럽게 진전된 근본원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조미협상에 제기하였던 종전의 비현실적인 요구들을 완전히 철회하면서 대폭 후퇴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머지않아 제2차 조미정상회담이 열리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체제수립문제와 한반도 비핵화문제를 극적으로 합의하게 될 것이 확실해 보인다. 그 역사적인 합의에 따라, 올해 3월부터 내년 10월까지 놀라운 격변들이 연속 일어나게 된다. 미국의 대폭후퇴가 조선의 압승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동북아시아안보문제는 조선과 미국이 상호핵동결을 이행하는 비핵화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조선이 핵무기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완전히 중단한 것에 상응하여 미국도 주일미국군기지들과 괌에서 조선을 겨냥하는 핵무기의 연습, 위협, 사용을 완전히 중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조선을 겨냥한 핵무기의 연습, 위협, 사용을 완전히 중단하는 것은 주일미국군기지들과 괌에 전진배치한 핵무기체계를 동원하는 대조선전쟁연습을 완전히, 영구히 중단하고, 그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로 조선을 위협하지 않고, 그 어떤 경우에도 조선에게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되려면, 조선과 미국이 역내 관련국들과 함께 조선과 미국의 상호핵동결을 공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동북아시아안보체제를 세워야 한다. 새로운 동북아시아안보체제는 ‘안보’라는 간판을 내걸고 전쟁을 추구하는 낡은 군사동맹체제가 아니라, 전쟁위험을 해소하는 지역평화체제로 되어야 한다. 그런 동북아시아평화체제가 한반도 평화지대 구축을 중핵으로 하여 세워질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앞으로 제2차 조미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한반도에 구축될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지대는 조선과 미국의 상호핵동결을 공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동북아시아평화체제를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지대를 구축하는 데서 결정적인 요인은 주한미국군 철수이며, 동북아시아평화체제를 세우는 데서 결정적인 요인도 역시 주한미국군 철수다. 주한미국군이 철수되지 않으면, 한반도 평화지대도 구축될 수 없고, 동북아시아평화체제도 세워질 수 없다.  

 

그런 까닭에 조선은 오래 전부터 주한미국군 철수를 중핵으로 하는 새로운 동북아시아평화체제 구축방안을 연구해왔다. 10여 년 전 조선측 대표단 성원으로 6자회담에 참가하여 지역안보문제에 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쌓은 최선희 부상은 그 문제에 정통한 노련한 외교관이다. 그에 비해, 비건 특별대표는 청년시절에 부쉬 행정부 콘돌리자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 밑에 들어가 실무자로 일하면서 미국-로씨야 관계에 관한 실무를 잠시 맡아보다가, 포드자동차회사에 들어가 오랜 기간 일했던 경력밖에 없으므로, 동북아시아평화체제에 관해서는 아는 게 없는 애송이 외교관이다. 노련한 외교관과 애송이 외교관이 동북아시아안보문제를 놓고 회담을 하였으니, 그 회담을 누가 주도했는지는 묻지 않아도 알 수 있다.  

 

 

6. 트럼프의 대폭후퇴로 조미협상의 견해차이가 해소되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대표단에게 설명한 한반도 비핵화 방안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을까? <요미우리신붕> 2019년 1월 27일 보도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2019년 1월 19일부터 21일까지 스톡홀름 국제회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과 최선희-비건-이도훈 실무급회담이 각각 병행되었는데, 그 회담에 참석하였던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의 말을 인용한 것이 확실해 보이는 <요미우리신붕> 보도기사에서 다음과 같은 중대한 사실들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1) 비건 특별대표는 최선희 부상에게 대륙간탄도미사일계획의 폐기, 핵시설들의 폐기 및 검증을 요구하였다. 

(필자의 해설 - 미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폐기하라는 종전의 비현실적인 요구에서 대폭 후퇴하여 대륙간탄도미사일‘계획’을 폐기하라는 현실적인 요구를 제기하였다. 이것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중단하는 핵동결을 의미한다. 또한 미국은 핵무기를 폐기하고 검증을 받으라는 종전의 비현실적인 요구에서 대폭 후퇴하여 핵시설들을 폐기하고 검증을 받으라는 현실적인 요구를 제기하였다. 이것도 역시 핵무기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중단하는 핵동결을 의미한다. 미국이 이번에 새로 제기한, 종전보다 대폭 후퇴한 요구들은 명백하게도 핵동결 요구다!)   

 

(2) 최선희 부상은 비건 특별대표에게 제3국의 대조선석유수출과 조선-제3국의 국제금융거래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고,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제재를 완전히 해제할 것을 요구하였다. 

(필자의 해설 - 미국은 위와 같은 조선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 조선은 미국에게 제재완화를 요구하지만, 제재완화보다 훨씬 더 중요한 요구는 평화협정체결이다. <로이터즈> 2019년 1월 21일 보도에 따르면, 2019년 1월 19일부터 21일까지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과 병행하여 같은 장소에서 진행된 스톡홀름 국제회의에서 “여러 가지 지역안보체제들”에 관해 논의되었다고 하였는데, 이런 보도내용은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체제문제가 논의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런데 <요미우리신붕> 서울특파원이 만난 익명의 제보자는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에서 평화협정체결문제가 논의되었는지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평화협정체결문제는 철군문제와 직결되는 매우 중대하고 민감한 사안이므로, 익명의 제보자가 그 문제에 대한 논의사실이 언론에 유출되지 않게 언급을 회피했을 수도 있고, 최선희-비건 실무급회담에서는 평화협정체결문제를 논의하였으나 최선희-비건-이도훈 실무급회담에서는 그 문제를 논의하지 않아서 제보자가 논의여부를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 두 경우 중에서 후자의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3) 최선희 부상과 비건 특별대표는 실행순서 및 실행시기와 관련하여 약간 견해차이를 보였지만, 상대의 요구를 “대체로 받아들일” 의향을 표명하였다. 

(필자의 해설 - 이것은 조미협상에서 견해차이가 사실상 해소되었음을 말해준다. 제2차 조미정상회담에서 세상을 놀라게 하는 역사적인 대타결이 이루어지게 될 것임을 예고하는 매우 중요한 정보다.)

 

(4) 최선희 부상과 비건 특별대표는 앞으로 조미협상에서 합의될 목표들의 이행을 “2020년 중에 완료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필자의 해설 - 2020년 11월 3일 미국 대통령선거가 예정되었으므로,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 임기가 사실상 끝나게 되는 내년 10월 말까지 조선의 핵동결문제와 미국의 주한미국군철수문제를 동시에, 완전히 해결하려는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내년까지 해결하고 통일국가건설을 한 걸음 더 앞당기려는 강한 의지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제2차 조미정상회담에서 조선과 미국의 상호핵동결을 합의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교체하는 과업을 합의할 것이다. 그 역사적인 합의에 따라, 올해 3월부터 내년 10월까지 놀라운 격변들이 연속 일어나게 된다. 미국의 대폭후퇴가 조선의 압승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