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남편과 아이들만 시댁으로... 12년 차 며느리의 반란

[며느라기, 그후] 나는 며느리가 되기 위해 결혼한 게 아니다

19.02.03 11:34l최종 업데이트 19.02.03 11:34l

 

여성에게 희생과 침묵을 요구하는 명절문화에 반기를 드는 며느리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며느라기'를 지나 자기만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이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소개합니다.[편집자말]
 웹툰 <며느라기> 6_4.제사편 중 한 컷 (작가의 동의를 얻어 싣습니다)
▲  웹툰 <며느라기> 6_4.제사편 중 한 컷 (작가의 동의를 얻어 싣습니다)
ⓒ 며느라기

관련사진보기


지난 추석, 나는 시가에 가지 않았다. 반란의 시작은 부부 싸움이었으나, 오래 전부터 하기 싫었던 일을 하지 않았을 뿐이었다.

결혼한 지 12년, 추석과 설날 전날에는 같은 지역에 사는 시어머니, 형님, 나 셋이 모여 항상 전을 부치고 음식을 준비했다. 간혹 시부모님이 나서서 '이번 명절에는 쉬라'는 집들도 있다는데, 나의 시부모님은 전혀 그럴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나 스스로 안식년을 가지고 싶었다. 그래서 남편과 아이들만 시가로 갔다.

눈치 싸움

 

그동안 여러 번의 명절을 겪을 때마다 형님과 나, 어머님이 서로 장 보는 일을 미루기 위해 보이지 않는 눈치 싸움을 벌였다. 여러 신경전이 오가면서 서로 감정이 상하는 건 기본이었다.

게다가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명절 전날에는 최대한 늦게 시가에 가려고 눈치를 봤다. 시부모님과 가까이 사는 덕에 저녁에는 집에 돌아갈 수 있었지만, 도리어 가깝기 때문에 명절 당일에는 남편과 아이들을 놔두고 새벽 일찍 시가에 가 오전 6시부터 명절 음식을 차려야 했다. 형님은 차례를 지내기 10분 전에 도착하시곤 했다.

이 모든 것이 명절 때마다 되풀이되는 신경전이었다. 어머님, 형님, 나, 이 집안의 여자들 누구 하나 달갑게 명절 음식을 준비하지 않았다. 그런데, 왜 매번 명절 음식을 차려야 하고, 차례를 지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형님, 즉 남편의 형수님은 나보다 나이가 한 살 어리다. 하지만, 결혼하고 나니 남편의 형과 결혼했다는 이유로 나는 '형님'이라는 호칭과 함께 존댓말을 써야 했고, 형님은 나에게 자연스럽게 말을 놓았다. 결혼을 하고 나니, '나'란 존재는 없어졌다. 시가에서 나는 전통의 역할을 부여받은 둘째 며느리일 뿐이었다. 모두에게 당연한 이 상황이 나는 내내 불편했다. 

누군가는 이틀만 참으면 된다고 했고, 아이들 생각해서 그냥 참으라고도 했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야 후손들이 잘되는 것이라고 또 참으라고 했다. 이 조언들의 기본 사상은 엄마는 희생하고 참는 존재, 그래야 아이들이 잘되고, 가정이 평화롭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궁금했다. 아이와 모성을 볼모로 여성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건 아닐까?

추석 때 시가에 가지 않았다는 말을 하자 주변 반응은 대체로 비슷했다. '대단하다', '용기 있다'가 첫 번째였고, '마음이 불편하지는 않았냐', '그 이후가 궁금하다'는 질문이 두 번째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마음이 불편했다. 추석 이후 어머님과 꽤 오랜 시간 냉랭한 관계를 유지해야 했다. 워킹맘인 나는 어머님의 도움을 받으며 아이들을 키우고 있다. 아이들 하원 후부터 내가 회사에서 돌아올 때까지 어머님이 아이들을 봐주시는데, 어머님은 추석 이후 나와 눈도 마주치지 않으셨다. 왜 오지 않았느냐고 묻지도 않으셨다.
 
 웹툰 <며느라기>의 한 장면(작가의 동의를 얻어 싣습니다).
▲  웹툰 <며느라기>의 한 장면(작가의 동의를 얻어 싣습니다).
ⓒ <며느라기>

관련사진보기

 
나름대로는 '추석의 반란(?)' 이후를 고민하기도 했다. 어머님께서 아이들을 봐주지 않으시겠다고 하면 아이 돌보미를 구하는 것까지도 고려했다. 그만큼 나에게는 힘든 결정이었다. 다행히 아이들은 계속 돌봐주셨지만, 한동안 불편함은 감수해야 했다.

그런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명절에 가기 싫냐고 묻는다면, 나는 '그렇다'고 답할 것이다. 결혼하고 12년이라는 시간 동안 명절을 참고 지낸 이유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아이들의 양육 문제 때문이었고, '응당 명절은 이래야 한다'는 선입견이 나에게도 있었기 때문이다. 가족들과 같이 둘러앉아 즐겁게 지내야 한다는 것.

평균의 이미지에서 벗어난 삶에 관대하지 않은 대한민국 사회에서, 평균에 뒤처지지 않으려고 노력하던 시간이었음을 고백한다. 그런데 나는 왜 갑자기 평균에서 벗어나고 싶었을까?

사위는 백년손님... 며느리는?

가끔 남편에게 묻는다. 왜 나와 결혼했는지.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살고 싶어서라는 대답이 나왔다. 나도 같은 이유였다. 나를 존중해주고, 내가 하려는 것들에 대해 지지해줄 것 같아서 결혼을 했다.

그런데 왜 같이 살 수 없는 조건들이 우리 관계에 따라다니는 것인지 이해되지 않았다. 나는 며느리가 되기 위해서 결혼한 것이 아니었다. 남편의 능력을 바라거나, 남편에게 의지하기 위해서 한 결혼이 아니었다. 남편이라는 존재를 보고 선택했는데, 결혼이라는 제도에 붙어오는 의무들이 너무 많았다. 서로 대등한 부부 사이를 유지하고 싶은데, 자꾸 가사노동이, 명절이라는 문화가, 며느리라는 역할이 내게 따라 붙었다. 불편했다. 그 불편함을 벗어버리고 싶었다. 

남편도 내가 명절 때 시가에 가지 않는 것에 동의하기는 했지만, 나름 불편했던 모양이다. 추석을 지내고 와서 나에게 말했다.

"너도 아들 둘 키우잖아."
"내가 시어머니 된 다음에 누가 차례 지낸대? 그리고 특별한 날엔 내 아들들만 보면 되지, 굳이 며느리까지 애타게 보고 싶을 것 같진 않은데?"


며느리를 보고 싶어 하는 이유가 노동을 위해서만은 아닐 테다. 하지만 사위는 '백년손님'이고, 며느리는 음식 준비라는 노동을 대물림해야 할 대상이라는 것. 그게 대한민국 명절의 현실이다.

아는 지인 A는 남자친구와 결혼을 하지 않고 십 년째 동거 중이다. 남자친구가 장남이라는 게 이유다. 그와 결혼하면 각종 제사와 차례 등 맏며느리의 의무가 자신의 몫이 될 게 뻔하기 때문이란다.

A는 남자친구의 가족 행사에도 대부분 참여한다. 남자친구 부모님 생신 때도 손님으로서 함께한다. 그러나 명절에는 가지 않는다. 남자친구는 남자 형제만 3명인데, 둘째 며느리가 제사 및 차례를 전담하고 있다고 한다.

또 다른 지인 B는 맏며느리인데, 어느 날 시어머니가 은근히 제사를 가져갈 것을 권유했다고 한다. 제사를 가져가라는 이야기는 제사 준비와 지내는 것 모두 지인 B의 집에서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B가 모든 것을 주도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했다. B는 그 뒤로 은근히 시어머니를 피하고 있다고 했다.

지인 A와 B의 사례, 나의 추석의 사례가 모두 가사노동의 대물림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며느리는 손님처럼 시가에 가면 안 되는 것일까? 남편이 백년손님인 것처럼.

그건 반쪽짜리 평화다
 
 가족의 평화를 위해서는 부처의 얼굴을 하고 참아야 하는 걸까?
▲  가족의 평화를 위해서는 부처의 얼굴을 하고 참아야 하는 걸까?
ⓒ unsplash

관련사진보기

 
이번 명절에도 나는 반란을 꿈꾸고 있다. 물론 불편하고 두렵다. 여전히 어머님께서 아이들 등하원을 도와주시기 때문이다. 직장을 그만둘 수도 없다. 내가 가정 경제를 책임지고 있으니까. 아이들 양육을 독립하겠다고 가정 경제를 내려놓을 수는 없지 않은가? 내가 온전히 전통적인 며느리 역할을 벗어 던질 수 없는 이유다.

추석이 지나고 한동안 냉랭한 관계를 유지하던 어머님과 내가 다시 화해를 하게 된 건 어머님 덕분이었다. 어머님은 다시 예전처럼 말을 걸어오시고, 이전처럼 아이들을 돌봐주시고, 파김치가 되어 퇴근한 나에게 수고했다고 말씀해주신다.

가끔, 어머님과 형님을 시가라는 관계가 아닌 일상 속 타인으로 만났다면 어떠했을까 상상해본다. 명절이라는 노동과 며느리라는 의무를 제외한 그들과의 관계를 생각해본다. 어머니는 아들 둘을 훌륭하게 키워내신 존경스러운 여성이었을 것이고, 형님은 편하게 수다 떨 수 있는 동네 친구 엄마였을지도 모른다. 

가족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하기 싫은 일도 해야 하고, 참을 줄도 알아야 한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가족의 평화를 위해 누군가 일방적으로 희생해야 하고, 그 희생으로 인해 불행하다면, 그건 반쪽짜리 평화다. 며느리도 가족의 일원이다. 그림자가 아니다. 모두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그림자처럼 부엌에 숨어들어 고된 노동을 감수해야 하는 존재에 머물러선 안 된다. 

설 연휴를 앞둔 지금, 나는 또다시 치열하게 고민한다. 나는 무엇을 지키고 싶은 것인지, 어떻게 해야 나와 가족의 행복을 지킬 수 있을지 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9년 北 신년사 제대로 읽기(3): 북미관계

2019년 北 신년사 제대로 읽기(3): 북미관계<기고> 김광수 정치학 박사
김광수  |  no-ultari@daum.net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2.02  22:23:30
페이스북 트위터

김광수 / 정치학 박사(북한정치 전공) · 『수령국가』 저자 · 평화통일센터 하나 이사장

 

모두가 신년 벽두부터 북의 신년사를 분석하느라 무척 바쁘다. 격세지감이다. 언제부터 우리 사회가 북의 신년사에 이렇게 관심을 가졌던가? 과거에는 주로 운동권이 관심을 가졌을 뿐이다.

  그런 신년사가 이제는 대한민국의 정계, 언론계, 학계를 넘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으니 참으로 격세지감이다. ‘희한한’ 일이다. 왜 그렇게 북의 존재가 180°로 확 바뀌었을까? 뭐니 뭐니 해도 그 중심에는 북의 핵무력 완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 그것밖에 달리 설명할 길도 없다. 

 그 전제하에 이 글은 총 세 번에 걸쳐 2019년도 북 신년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유는 많은 분들이 북 신년사를 분석해 내었지만, 본질을 제대로 짚은 신년사가 많이 없기 때문이다. (본인 또한 제대로 된 신년사에 접근하기 노력할 뿐 ‘완전하다’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오해하지 않길 바란다.) 

  제1부는 <2019년 북 신년사 제대로 읽기: 북 내부문제>이다. 제2부는 <2019년 북 신년사 제대로 읽기: 남북문제>이다. 좀 의역하면 ‘남북문제에 있어 2019년 북 신년사에서 오독하지 말아야 할 것들’ 정도가 되겠다. 그리고 마지막 편에 해당되는 제3부는 미국문제(대외정책)에 해당되는 <2019년 북 신년사 분석: “새로운 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실리게 된다. 

  독자들의 많은 필독을 원하고, 문재인 정부에게는 제대로 된 이해에 바탕 해 2019년도는 남북, 북미관계 정책을 세워내는데 도움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 <필자 주>  

 

  막상 시작해놓고 보니 고민이 많아졌다. 논리적 정합성 문제도 그렇고, 북의 정확한 의도를 읽어낸다는 것이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니... 그렇게 옥죄던 그 무게도 제3부, ‘북미관계’를 끝으로 종결하려하니 정말 가슴이 후련하다. 아울려 이제까지 부족한 글을 정독해주신 독자들께도 정말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황금 돼지해에 첫 반가운 소식은 뭐니 뭐니 해도 제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낭보였다. 2월 말(혹은, 3월)이면 정말 열리게 된다.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협상 2라운드가 그렇게 열리는 것이다.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말이다. 해서 이 글은 2019년 북 신년사 분석을 토대로 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정론적으로 고찰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유는 그래야만 ‘결렬과 파국’보다는 ‘협상과 해결’의 연장선상이라 할 수 있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제대로 예측할 수 있고, 그것보다 더 선행되어져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착화되어있던 ‘북미협상 2라운드가 왜 그렇게 시작될 수밖에 없었던가?’라는 물음에 답이 가능해져서 그렇다. 동시적으로 2017년에 발표된 북의 ‘국가 핵무력 완성’ 선언에 대한 진가도 알 수 있다. 종착점은 다름 아닌, 그로 인해 미국의 버티기는 끝나고, 결국에는 북미간의 관계변화와 주한미군 철수 및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과 평화지대라는 대격변이 있다. 

  이 글은 그 전제하에 있다. 

  ■ 2019년 신년사에서 밝힌 ‘핵동결 선언’이 갖는 그 정치적 의미는?  

  아시다시피 북은 2018년 4월 20일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새로운 핵정책을 결정한다. 더 이상 핵무기를 시험하지도 않고, 사용하지도 않고, 전파하지도 않는다는 3개 원칙의 명시가 그것이다. 이후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김정은 위원장은 2019년 신년사에서 핵무기를 이제 더 이상 생산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하나 더 추가하여 4원칙을 새로운 핵정책으로 천명한다. 이른바 4불(不) 핵정책이다. 

  생기는 의문은 (그 정책전환이 너무나 빨라) 갑자기 웬 동결? 충분히 생겨날 수 있는 의문이고, 그런 갑작스러운 우리의 인식이 과연 북의 전략시간표 상으로도 그럴까? 결론은 ‘그렇지 않다’이다. 

  2018년 신년사에서 이미 그 전략노출과 북이 달성해낸 국가 핵무력 완성속도를 보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그런 속도이다. “핵무기 연구부문과 로켓공업 부문에서는 이미 그 위력과 신뢰성이 확고히 담보된 핵탄두들과 탄도로켓들을 대량생산하여 실전배치하는 사업에 박차를 가해나가야 합니다”라는 신년사 언급이 그것이고, 이후 북은 1년 만에  핵무기와 미사일의 대량생산과 실전배치가 완료되었음을 선언한다. 

  바로 그 ‘1년’에 숨은 비밀이 들어있는 것이다. 북의 ‘국가 핵무력 완성’ 선언이 서방세계 인식으로는 불가능했던 엄청난 속도전이었듯이 그 대량생산과 실전배치 또한 그들의 속도방식(만리마속도)에 의한 1년만의 충분히 완성 가능한 시간이었던 것이다. 해서 해석할 수 있는 것은 2018년 후반기 어느 시점에 핵무기 대량생산이 마침내 최대 생산목표에 도달하여 더 이상 추가생산을 계속할 필요가 없어졌음으로 이번 2019년 신년사에서 핵동결 선언을 해낼 수가 있었던 것이다.  

  미국 <NBC>방송 2018년 12월 27일 보도를 보면 이는 금방 이해된다. <NBC>는 우드로우 윌슨 국제학술쎈터의 제1부소장 로벗 리트웍(Robert S. Litwak)의 발언을 인용 보도했는데, 북이 현재 추세로 핵무기를 계속 생산하면 내년 2020년에는 영국의 핵무기보유량(185발)의 절반에 이르는 약 100발의 핵탄두를 보유하게 된다고 보도한 것이 그것이다.

  또 핵탄두 추정치 개수는 다르지만, 보다 확실성을 띄고 있는 정보로는 이제까지 단 한 번도 공식적으로 북을 핵을 갖고 있는 그런 국가로 인정하지 않던 미국이 주일미군사령부(USFJ)를 통해 지난 1월 18일 발표된 동영상에서 북을 중국, 러시아와 함께 ‘핵보유 선언국’으로 확인해줬다. 숫자도 아주 구체적으로 북 15개, 중국 200개, 러시아 4000개로 각각 표시하면서 말이다. 

  이상과 같이 북이 핵동결 정책을 추진할만한 충분한 주·객관적 토대는 확보되어졌다고 보는 것이 맞다. 해서 더 이상 북이 핵보유 국가, 핵전략무기 보유국가, 전략국가로서의 위상을 갖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식의 논쟁은 무의미하다. 그런 국가-핵을 보유한 국가만이 할 수 있는 그런 핵동결 선언을 했다는 것, 그것자체가 이를 충분히 증명해주고 있어서 그렇다.  

  그러면 다음의 의문도 풀려질 수가 있는 것이다. 

  미국이 왜 제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단계적, 동시적, 등가적 이행방식에서 버티다가 전격적으로 2차 북미정상회담에 응했는가? 하는 그런 의문 말이다.

  가설은 이렇다. 핵보유국들이 취하는 일반적인 핵동결(nuclear freeze)정책이 핵무기의 생산, 시험, 사용, 전파를 중단한다는 의미에서의 4불(不) 정책이라고 한다면, 2018년 4월 개최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는 ‘생산’을 미완으로 남겨났고, 그 마지막 퍼즐에 해당되는 ‘생산’ 중단을 왜 이번 신년사에서 발표했는지가 설명되어지면 미국의 입장변화가 설명되어질 수가 있다는 가설이 그것이다.  

  결론에 북이 원래 가지고 있던 목표량, 적정량의 생산과 실전배치가 완료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북도 이러한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엄청난 희생과 대가를 감수했다. 간과해서는 안 될 지점이다. 온갖 간난신고와 국제사회의 멸시와 조롱, ‘그 돈으로 굶어죽는 인민들을 먹여 살려라!’를 견뎌내었어야만 했다. 그리고 북은 마침내 ‘국가 핵무력 완성’ 선언을 내왔고, 이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총화(결산)는 “우리 공화국은 마침내 그 어떤 힘으로도 그 무엇으로도 되돌릴 수 없는 강력하고 믿음직한 전쟁 억제력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결코 나와 우리 국가를 상대로 전쟁을 걸어보지 못합니다”였다. 

  구체적으로는 북이 2017년 11월 29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을 쏴 올렸고, 그렇게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기술과 ‘국가 핵무력 완성’을 정확하게 일치시켰다.(2017년 11월 29일) 이후 2018년도에는 수소폭탄을 포함한 핵무기의 소형화, 경량화, 다종화에 의한 대량생산과 실전배치를 완료시켰다. 그것도 이 지구상에서 가장 적대관계 ‘철천지 원수’에 있는 북이 미국전역을 공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등 전략무기를 보유하면서 말이다.  

  2018년 신년사에서 "핵탄두들과 탄도로켓을 대량생산하고 실전배치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면서 핵전력 강화를 선언한 것과, 그러고는 1년 만에 핵탄두와 로켓의 대량생산및 실전배치가 완료되었다는 의미의 ‘핵동결’선언을 내온다.(2019년 신년사) 말 그대로  ‘완료’되었기에 핵동결 선언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고, 이의 정치군사적 의미(북미대결사)는 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대량생산과 실전배치가 끝났음을 의미해준다. 

  바로 그 숨길 수 없는 사실이 결국 끝까지 버텨보려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북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시위능력으로 인해 미국은 미합중국 창건 이래로(이는 북도 마찬가지다. 공화국 창건 이래 처음으로) 처음 북과 정상회담에 나설 수밖에 없었고, 이제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까지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렸다, 그렇게 결론을 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객관적으로도 기존 취해왔던 ‘전략적 인내’ 정책의 포기, ‘대결과 압박’ 방식에서 ‘대화와 협상’의 그 최상위 형태인 정상회담을 부득불 수용했다는 것, 그것 자체가 이를 증명해주고도 충분히 남는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자국의 입장에서는 미본토를 지켜내어야 하는 절박감이, 패권국가로서는 NPT체제 유지를 그 근간으로 하여 유지되어온 자국 중심의 동북아 및 세계질서 유지라는 급박한 상황이 북과의 대결을 피하고 협상의 길로 나아갈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 요인이었던 것이다. 그렇게-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그런 완료된 핵동결 선언이 미국을 최종적으로 대결과 압박정책을 파기시키고, 대화와 협상의 장으로 다시 나올 수밖에 없게 하였던 것이다.   

  핵동결 선언이 이렇게 제2차 북미정상회담,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를 다시 연동시키는 정치군사적 요인임이 밝혀지는 순간이다. 
  
  하지만, 또한 분명한 것도 있다. 왜 그러면 지난해 그렇게 수많은 정상회담이 동시적으로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북핵문제의 성격이 정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는가? 하는 그런 점이다. 

  결론에는 위 연동-핵동결  선언, 제2차 북미정상회담,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가 처음부터 읽혀지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이유는 지금에 와서야-핵동결의 의미와 2차 북미정상회담의 그 상관성이 밝혀지고, 북이 왜 핵을 보유하려 했는지에 대한 의도가 분명하게 이해되어졌지만, 그 이전까지는 북이 다른 핵 패권국들과는 전혀 다른 패턴의 핵정책을 내놓았기 때문에 이를 해석해낸다는 것이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니었다. 

  그 어떤 국가도 가보지 않는 그 길을 제시하다보니 당연히 그 메시지를 유관국들이 잘 읽지 못했을 뿐더러 완전히 혼란스러워한 것이다. 이른바 ‘긴가, 민가’한 것이다.  

  그래서 혼란은 당연한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핵보유의 목적이 핵전력 강화를 통한 핵패권 추구에 있다고 본다면, 북은 핵보유의 목적을 처음부터 일관되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세계비핵화에 두고, 이를 핵동결 선언을 통해 시작해보려 했다는 점에서 다른 핵보유 국가들은 도저히 상상할 수도 없었던 그런 패턴이 선보여졌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미국도, 중국도, 대한민국도 그 패턴을 이해하려고도 인정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결과도 우리가 다 목도했듯이 2018년 내내 북중 정상회담과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1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지만, 그 프레임이 ‘북핵 비핵화’ vs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가 대립했음이 그 증거이다. 

  하지만, 제2차 북미정상회담부터는, 아니 앞으로 전개될 모든 북미협상의 기본 프레임은 온전하게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라는 개념으로 정립되고, 그 의제도 ▷한반도 평화체제 보장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세계비핵화 추동이라는 그런 개념들로 확정되어질 수밖에 없다. 핵동결 선언으로. 

   ■ 재등장한 ‘중국의 역할론’을 어떻게 해석해낼 것인가? 

  실제 미국을 대화와 협상의 테이블로 유인하기 위한 최고의 압박전략은 이렇게 정치·군사적 압박요인이 그 기본임을 누구나 다 알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끝나지는 않는다. 이른바 외교압박전술이 남아있어 그렇고, 그 핵심에 ‘중국의 역할론’이 있다. 

  그렇게 본다면 외교전에도 참으로 능한 북이다. 2019년 들어서자마자 전격적으로 발생한 중국방문은 그 화룡점정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자신의 생일(1.8)도 마다하고 2019년 새해 벽두부터 방중 정상회담에 나섰다. 2019년 신년사에서 밝힌 대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있어 그 당사자인 중국의 역할을 협의하기 위해서였다. 올해는 또 북중 수교 70주년이기에 그에 걸 맞는 북중 관계수립도 필수적이다. 즉, 작년까지는 북중관계의 복원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다면 올해는 그 복원을 넘어 협력관계 ‘공조’를 구축하는 그 단계까지 가야하고, 이를 위한 그 교집합에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될 주요 사안인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 의제가 놓여 있었던 것이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은 그렇게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조선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외교정책에 정확하게 부합하고, 좀 더 직접적으로는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제제로 인해 단절되었던 북중 경협을 전면적 수준까지 복원해야 하는 그런 이해관계까지 얽히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전격적인 중국 방중을 이행해낸다.

  만나야 할 수요는 그렇게 발생했고, 이것이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에서 밝힌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다자협상’으로 포장되어 언급되어졌다고 밖에 볼 수 없는 것이다. “정전협정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연계 밑에 조선반도의 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자협상도 적극 추진하여 항구적인 평화보장 토대를 실질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문장이 그것이다. 미국을 덜 자극하기 위한 문장조절일 뿐 실상은 ‘중국의 역할론’을 공식화한 것과 다름없는 문장이다.  

  이 방중은 또한 이후 김정은 위원장의 다음 행보를 읽어낼 수 있게 하는 그런 바로미터 역할도 된다.   

  ‘2차 북미정상회담→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정상회담) →시 주석의 평양 답방(정상회담)→남북미중 정상회담(그리고 그 어디 사이에선가 북러 정상회담도 열리게 될 것이다.)’ 순서로 말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남북미중 정상회담에서 평화협정체결이 완료될 것이고, 북미 간 새로운 관계정립도 본궤도에 오를 것이다.  

  동시에 이는 북으로 하여금 2016년에 채택된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완료연도: 2020)을 성공적으로 총화 될 수 있는 그런 충분한 기반과 여건의 마련은 물론, 김정은 체제의 정당성과 위력, 공고성을 더욱더 강고하게도 할 것이다.  

  내부적으로는 ‘자력갱생’의 정당성과 함께, 대외적으로는 남북 경협과 북중 경협의 복원을 통해 성과가 나오고, 외교안보적으로는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다자 협상"의 개시와 남북미중 정상회담을 통한 평화협정체결로 그 마침표가 찍혀지는, 그런 김정은식 사회주의 강국건설 설계도가 완성되면서 말이다. 

  ■ 대외관계에서 읽어내어야 할 핵심메시지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위 질문과 관련해서는 미국에게 태도를 분명히 할 것을 요구한 것이 그 핵심이다. “미국이 신뢰성 있는 조치를 취하며 상응한 실천적 행동으로 화답해 나선다면”에서 그 전제조건은 ‘신뢰할만한 상응 조치’이다. 따라서 이 같은 전제조건이 충족된다면 북은 적극적으로 대미 협상에 나섰겠으나 반면, 미국이 그러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들고 의연히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에로 나간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하겠다는 그 반대편의 답변이 그것을 상징해내고 있다하겠다. 

  그렇지만, 여기서도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그 반대편의 답변이 아니다. “어쩔 수없이 부득불”,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등과 같은 이른바 수동태 문장이 그 이유를 설명해준다. 따라서 그 본질은 북이 그 같은 상황을 원치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어야 하는 것이고, 부득불 미국이 그러한 자신들의 메시지를 잘못 읽거나 상응 조치를 거부한다면 그래서 북미 협상에서 진전이 없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하겠다는 그런 의미로 해석해내는 것이 그 정석이다. 

  해서 ‘새로운 길’이 그 핵심 키워드가 맞지만, 북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로 보자면 그 핵심에는 미국이 북의 제안에 응하라는 것이 그 본질이 된다.   

  어떻게? 한미군사연습과 전략자산 전개의 중지 등과 같은 평화적 조치가 그 첫 번째이고, 유엔안보리 제재와 미국의 독자적 제재, 즉 대북 제재 해제가 그 두 번째이다. 

  문장으로도 “조선반도 정세 긴장의 근원으로 되고 있는 외세와의 합동 군사연습을 더 이상 허용하지 말아야 하며 외부로부터의 전략자산을 비롯한 전쟁장비 반입도 완전히 중지되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입니다.”,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으로(강조, 필자) 나간다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 없이 부득불 나라의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6·12 조미 공동선언에서 천명한 대로 새 세기 요구(강조, 필자)에 맞는 두 나라의 요구를 수립하고 조선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완전한 비핵화로 나가려는 것은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의 불변한 입장이며 나의 확고한 의지”가 “나는 앞으로도 언제든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앉을 준비가 되어 있으며 반드시 국제사회가 환영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에서와 같이 ‘국제사회가 환영’하는 그런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전제하에 이번 신년사중 대외부분에서 파악해야 될 내용은 크게 세 부분이다.  

  그 첫째가, 북의 시선이 미국과의 새로운 관계수립을 넘어 이미 1960년대 북이 제3세계 비동맹운동을 주동했을 때 가졌던 ‘블록불가담운동’과 같은 그런 버전 업(ver.2)된 ‘세계자주역량’ 구축 운운을 눈여겨봐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새로운 길’에 대한 해석을 해냄에 있어 병진노선의 부활, 혹은 중국과의 밀월, 전쟁의 방식이라는 식의 분석을 반대하면서도, 보다 더 본질적으로는 ‘핵-경제 병진노선’의 부활을 무조건 ‘과거의 길’이기 때문에 그것이 ‘새로운 길’이 아니라는 식의 접근법도 경계해야 함이다. 

  이유는 1960년대의 ‘국방-경제 병진노선’ 버전 업이 2010년대의 ‘핵-경제 병진노선’인데, 그렇다면 이 ‘핵-경제 병진노선’도 낡은 ‘과거의 길’로 진입한 전략노선이었다는 말과도 서로 상통하게 돼 이는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아서 그렇다. 그 뿐만이 아니다. ‘선군정치’를 내세웠던 김정일 집권시기에도 북은 경제에서도 ‘국방공업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면서 경공업과 농업을 동시에 발전’시키는 선군 경제 노선을 표방했다.
   
  셋째로는, ‘미국과의 새로운 관계’가 어떤 로드맵을 통해 이뤄질지에 대한 가설을 간략하게 서술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2019년 북 신년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어서 그렇다. 

  (1) ‘세계자주역량’ 구축과 관련된 서술이다

  이미 알려진 대로 북의 외교노선 근본이념은 ‘자주, 평화, 친선’이다. 이에 따라 반제자주역량 구축은 항상 일관되어온 외교정책이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북은 전통적인 사회주의 국가들 사이의 단결과 협력을 통해 반제자주운동의 핵심 역량을 구축하는 전략이 항상 있어 왔으며, 이 구현방식이 전통적인 우호국이라 할 수 있는 중국, 쿠바, 러시아 등과의 단결과 협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났고, 좀 더 넓히면 시리아, 이란등과도 교류를 활발히 한 것 등이 모두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그렇게만 보면 우리가 놓치는 것이 하나 있다. 지난해에 교황의 방북 의사에 긍정 반응을 보인 것 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그런 문제가 남아있어서이다.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위기국면을 모면하기 위해’, ‘종교탄압 국가의 이미지를 지우기 위한’ 위장술로서 해석하는 것은 북을 몰라도 너무나 모르고, 왜곡정도도 심한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들과 세계 여러 나라들 사이 당 국가 교류가 활발히 되어 깊어지고 국제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추동하려는 입장과 의지가 확인되었습니다”(2019년 신년사 중에서)에서와 같이 ‘국제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추동’하려는 것은 북의 일관된 의지이다. 그런 만큼, (편견이 없다면) 그 연장선상에서 교황의 방북 긍정반응을 해석해내어야만 한다.   

   또한 2019년 북 신년사에서 주목해 봐야할 지점은 “세 차례에 걸치는 우리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과 쿠바공화국 대표단의 우리나라 방문은 사회주의 나라들 사이의 전략적인 의사소통과 전통적인 친선협조관계를 강화하는데서 특기할 사변(강조, 필자)으로 되었습니다”라는 평가이다. 

  왜 그렇게 표현했을까? 그것도 ‘특기할 사변’으로 말이다.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말 그대로 해석하면 ‘친선협조관계를 강화하는데서’ 뭔가 특별히 기억되어야만 하고, 새로운 전환점이 될 만한 그 뭔가의 성과가 일어났다는 것인데 과연 그것이 무엇일까? 

  이를 위해 다시 우리는 ‘자주, 평화, 친선’이라는 북의 외교이념을 소환해야만 한다. 연동하면 전통적인 사회주의 우호국과의 관계개선을 넘어 또 다른 한 세계(질서)이자 북이 기간 상당한 노력을 깃들여 만들어낸 제3세계와의 반제자주역량 구축문제가 남아있어서 그렇다. 이것이 고난의 행군 시기와 김정일 시대, 비핵국가 시기를 마감하고 스스로가 전략국가의 위상을 갖게 된 지금, 21세기를 자주의 시대로 전변시켜내기 위한 그 위대한 여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그런 의지와 신념(자신감)이 ‘특기할 사변’으로 그렇게 총화해 낼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는 자주, 평화, 친선의 이념에 따라 사회주의 나라들과의 단결과 협조를 계속 강화하며 우리를 우호적으로 대하는 모든 나라들과의 관계를 발전시켜나갈 것입니다.”

  마치 1960년대에 블록불가담운동으로 제3세계 자주외교를 실질적으로 이끌어나갔듯이, 이른바 ver.2로 업그레이드된 블록불가담운동을 다시 재가동 하겠다는 그런 의지가 이번 신년사에서 선보였고, 동시에 이는 미국과의 세기의 대결을 끝장내고, 21세기를 자주의 시대로 전변시켜 내기 위한 북의 전략적 의도가 엿보이는 대목이자 ver.2된 ‘세계자주역량’ 구축을 그렇게 시작하려는 것과 같다.  

  괜한 억측도 아니다. 충분한 이유도 가능하다. 예전과는 달리 북은 이제 사상강국, 정치강국, 군사강국에 이어 핵강국까지 되었다. 이른바 (경제력과 비례해야 한다는 그 착시와 편견을 떼고 본다면) 전략국가로서의 위용을 갖췄다는 말이다. 그런 국가이기에 미국과 중국 등 대국들을 움직일 수가 있었고, 그 움직임의 최종 종착지는 헌법과 당 규약에 나와 있는 반제평화전략일 수밖에 없게 되어 진다. “조선노동당은 자주, 평화, 친선을 대외정책의 기본 이념으로 하여 반제자주역량과의 연대성을 강화하고 다른 나라들과의 선린우호관계를 발전시키며 제국주의의 침략과 전쟁책동을 반대하고 세계의 자주화와 평화를 위하여 세계 사회주의 운동의 발전을 위하여 투쟁한다.”(노동당 규약 서문 중에서)

  북의 반제평화전략은 이렇듯 다른 여러 나라들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또렷하고 확고하다. 즉, 세계 최대의 핵강국이자 ‘마지막’ 제국주의 국가라 할 수 있는 미국을 상대로 펼쳐진 전선이기에 그 정당성 또한 대단하다. 그러다 보니 각국에게 “조선반도의 긍정적인 정세발전을 추동하려는 우리의 성의있는 입장과 노력을 지지”해 줄 것을 요청하고는 “평화를 파괴하고 정의에 역행하는 온갖 행위와 도전들을 반대하여 투쟁하여야 할 것”을 호소(주문)할 수가 있는 것이다.
  
  북은 그렇게 전략국가, 북의 외교버전 ver.2를 재가동하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말로써만이 아니라, 핵강국으로서의 힘을 갖고서 말이다. 그 연결고리에 ‘세계비핵화’라는 새로운 반제평화전략이 숨어있고, 결과도 참으로 궁금하게 되었다.

  (2) ‘핵동결 선언’과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상관성에 관한 서술이다

  앞에서 누누이 얘기하고 있었듯이 결론적으로 제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그 자체가 미국이 1차 정상회담 때 합의했던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이해를 이제야 정확히 했다는 것이고, 그 회담전략으로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 임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위 글, “■ 2019년 신년사에서 밝힌 ‘핵동결 선언’이 갖는 그 정치적 의미는?” 참조)  

  그 전제하에 우리가 살펴봐야할 몇 가지 지점은 첫째,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가 함의하는 그것은? 둘째, 그러면 ‘스몰딜’ 방식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셋째, 항구적 평화체제 수립과 주한미군 철수문제와의 그 상관성은? 이다.   

  ①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가 함의하는 그것은? 

  다음의 한편 그 기사가 힌트를 주고 있다. 2018년 12월 20일 <조선중앙통신>에 실린 기사하나가 그것인데, ‘낡은 길에서 장벽에 부딪치기보다 새 길을 찾는 것이 나을 것이다’라는 제목의 논평기사이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미국은 이제라도 조선반도 비핵화라는 용어의 뜻을 정확히 인식해야 하며 특히 지리공부부터 바로 해야 한다. 조선반도라고 할 때 우리 공화국의 영역과 함께 미국의 핵무기를 비롯한 침략무력이 전개되어 있는 남조선지역을 포괄하고 있으며 조선반도 비핵화라고 할 때 북과 남의 영역 안에서 뿐 아니라 조선반도를 겨냥하고 있는 주변으로부터의 모든 핵위협 요인을 제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데 대해 똑바로 알아야 한다. (중략) 애초에 비핵지대였던 조선반도에 핵무기를 대량 끌어다놓고 핵전략 자산의 전개와 핵전쟁연습 등 우리를 핵으로 끊임없이 위협함으로써 우리가 핵전쟁 억제력을 보유하지 않으면 안 되게 한 장본인이 미국이다. 그렇게 놓고 볼 때 조선반도 비핵화란 우리의 핵억제력을 없애는 것이기 전에 ‘조선에 대한 미국의 핵위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 제대로 된 정의이다.” 

  참으로 중대한 내용을 많이 담아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은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의미가 미국의 핵전략 자산들이 배치된 주일미국군기지들, 괌(Guam)의 미 공군기지, 미국의 전략잠수함 등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과 남의 영역 안에서 뿐 아니라 조선반도를 겨냥하고 있는 주변으로부터의 모든 핵위협요인을 제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가 그 증거문장이다.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가 정말 위와 같이 그렇게 해석되고 의미된다면, 그런  엄청난 결정을 트럼프 행정부가 할 수 있겠는가? 절대 할 수 없다. 주일과 괌 기지를 미 본토로 철수하는 문제는 미국의 동북아 지배질서와 연동된 것이고, 그 연장선상에서 주한미군 철수문제는 동북아 지배질서를 포기하라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를 임기 4년의 트럼프 행정부가 실현해내기는 불가능한 일이 된다. 그래서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는 세계비핵화와 연동된 매우 장기적인 프로젝트일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는 필연적으로 목표 재조정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 연장선상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왜 부쩍 ‘스몰딜’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지가 이제야 그 의문이 풀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속에는 미국이 핵패권 국가로서의 체면유지 때문에 ‘스몰딜’이라는 용어를 쓸 수밖에 없고, 그렇게 자기 합리화 과정이 필요할 만큼 ‘매우 깊은’ 수세에 빠졌음도 분명 보인다는 것이다. 해서 용어는 ‘스몰딜’이지만 그 내용까지 ‘스몰딜’일 수는 없고, 그 해결의 입구에도 ‘핵동결’에서 시작될 수밖에 없는 분명한 이유도 발견된다.

  연동해서 앞으로의 비핵화 공정도 <‘신고 → 검증 → 폐기’의 절차적, 기술적 공정이기보다는 ‘핵동결 → 핵군축 → 핵폐기’라는 정치적 해결과정>이 될 수밖에 없음도 안내한다 하겠다.   

  그 근거 첫째는, 신년사 제2부(남북관계)에서도 잠시 언급하였듯이 핵동결 선언이 핵보유 국가만이 취할 수 있는 그런 조처라는 사실을 암기해낸다면, 그런데도 이제까지 미국의 태도-북의 핵보유를 절대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와는 달리, 일언반구 논평도 없이 곧바로 제2차 북미정상회담으로 응수한 것은 북을 핵보유국(전략국가) 대 핵보유국(전략국가)으로서 동등한 자격으로 핵협상에 응하겠다는 그런 의미밖에 있을 수가 없다. 다시 말해 북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겠다는 그런 의미와 같은 말이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이 북의 양해를 받아 국제사회의 이목과 눈들 때문에 IAEA를 통한 검증절차를 이행시키는 그런 시늉은 해낼 수 있겠지만, 그 본질에는 미국과 북이 정치적 해결을 통해 그 비핵화프로세스를 완결시킬 수밖에 없다는 것이고, 그 의미는 결국 핵보유 국가가, 그것도 ICBM 등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보유한 전략국가가 핵보유를 ‘0(제로)’으 만든다는 의미에서의 ‘무(無)핵화(강조, 필자)’는 결코 불가능하다는 것을 서로 인정했다는 것과 같다. 

  바로 이 인식에 제2차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도, 북도 동의했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논리적으로도 ‘무핵화’가 핵무기와 핵시설이 아예 없어진다는 그런 뜻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 가능성의 유일성은 핵을 가진 모든 국가들이 동시적으로 비핵화를 이루겠다는 동의가 이뤄질 때만이 가능한 그런 개념이라 했을 때 핵을 가진 북만이 일방적으로 이뤄지는 그런 ‘무핵화’는 절대 이뤄질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미국의 입장에서 무핵화는 고사하고, 당장의 현실에서도 미국이 세계패권과 동북아 패권지위 유지와 관련된 그런 괌과 주일기지를 폐쇄한다든지, 거기에 배치된 핵전략자산들을 미 본토로 철수한다든지 하는 그러한 것들만으로도 트럼프 행정부가 할 수 있는 그런 권한범위 안에 있지 않다. 미국의 동북아 및 세계지배전략과 관련된 전략적 판단개념이기에 그렇다는 말이고, 북 또한 종국에는 세계비핵화, 그리고 지금 당장의 북미협상에서는 그러한 미 전략자산들의 한반도 완전철거가 목적이 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는, 즉 그렇게 서로의 전략적 구상이 확인되어진 지금의 이 상황 하에서는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의 등가도 핵보유 전략국가인 북의 입장에서는 과거의 핵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현재와 미래의 핵과 그 시설들을 제거해나가는 그런 개념으로서의 비핵화여야 한다는 것을 삼척동자도 다 알 수 있는 그런 비핵화개념이다.(해서 앞으로는 북만의 일방적 비핵화는 가능한 상상력의 범위영역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해서 그 이후 진행될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공정은 ‘핵동결선언’ (과거의) 핵은 유지’ : 대북제재 해제와 한미군사훈련 중단 및 전략자산무기 한반도 진입금지’, 핵군축’ (현재, 미래)의 핵무기 및 시설 검증 및 폐기’ : 주한미군 완전철수, 평화협정체결과 평화체제 구축, ‘한반도 완전 무핵화: 미국 무핵화’가 다 포함되는 그런 광의의 개념과 그 이행 로드맵 전체를 일컫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두 번째 근거는 이미 현실에서도 미국의 대북정책이 ‘가능하지’ 않는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정책목표보다는 ICBM 위협 제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얘기가 미 의회에서도 대두되고 있는 것, 바로 그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미 하원 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으로 내정된 브래드 셔먼 의원은 1월 18일 <VOA>와 인터뷰에서 “북한에 제한된 양의 핵무기 보유를 허용하고 미사일 프로그램을 동결하는 것이 비핵화보다 현실적”이라고 주장한 것이 그 예다. 

  또한 지난해 12월 국무부 동아태국과 국제개발처 아시아국이 공개한 '공동전략보고서'에서는 "미국의 장기 목적은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이나 "단기적으로는 핵개발 동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핵·탄도미사일 실험 및 분열성 물질 생산 중지 △비핵화 초기조치 획득을 열거한 바도 있다.

  이 외에도 이전과는 달리 현실 가능한 목표에 천착하자는 발언들이 쏙쏙 나온다. 마운트 미국과학자연맹 선임연구원은 "북을 비핵화하겠다는 비현실적 시도에 시간을 쓰느라 북으로부터의 위협을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중략)” 그렇게 지적했고<연합>, 클래퍼 전 미 국가정보국장은 "북의 비핵화, 더 이상 미국의 카드 아니다... 미국이 이를 수용하고 관리에 초점 맞춰야"라고 했으며, <블룸버그>는 "미국의 도전과제는 북의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능력을 파악하고 동결시킨 뒤 해체할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라며 동결, 군축, 폐기의 수순으로 보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미국 내 16개 정보기관을 관장하는 댄 코츠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1월 29일(현지시간)  “북, 모든 핵무기 포기하지 않을 듯”이라는 공개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이렇듯 과거와 비교하면 엄청난 변화가 이렇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분명 사전 여론정지 작업과 같은 것이다. 충격완화를 위한 그 사전정지 작업으로 말이다. 

  비교적으로도 기간 미국의 북핵정책 목표가 CVID(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에서 FFVD(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 최종적이고 전적으로 검증된 비핵화)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지난해(2018) 11월 ‘핵리스트 제출 요구’를 잠정 폐기한다고 했던 것에서 다 확인되며 이런 일련의 초치들이 다 북핵정책 목표 수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면 너무 과한 주장일까? 아니면 후퇴를 나름 정교하게 해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까? 

  판단은 독자들의 몫이겠으나, 엄연하고도 돌이킬 수 없는 결론은 그 최종 종착지에게 미국은 북을 핵보유 국가로 인정할 수밖에 없고, 그 핵문제를 정치적으로 풀 수밖에 없다는 그런 입장으로의 최종정리이다.

  이유도 충분하다. 쿠바 미사일 위기 때도 미국과 소련이 정치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으며, 미중 간의 핵문제도 핵대결로 치닫지 않고 외교관계가 작동하여 해결한데서. 그렇듯 북핵문제도 북이 핵을 보유한 이상, 그것도 이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미본토를 실제 공격할 의사가 있는 그런 국가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을 갖고 있는 이상 정치 담판이라는 외교가 작동할 수밖에 없어서 그렇다. 핵보유 국가 간의 핵문제 해결이 늘 그렇게 되어 왔듯이.

  ② 그러면 ‘스몰딜’ 방식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상황이 이쯤 되고 보니 부쩍 자주 언급되고 있는 것이 위에서도 잠시 언급한 ‘스몰딜’ 방식의 해법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여기에는 미국의 궁색한 고충을 반영하고 있으며 체면유지를 위한 그 발버둥에 다름 아니다. 

  실체적으로는 북을 핵보유 국가로, 그것도 ICBM 등을 보유한 전략국가로 인정해야 되지만, NPT체제유지와 핵패권 유지를 위해서는 그럴 수 없는, 그런 상황 속에서 만들어진 고육지책 논리가 바로 ‘스몰딜’이라는 해법 그것이다.  

  하지만, 그 내용과 정치적 의미가 결코 작지 않음을 위에서 이미 밝혀졌다. 이를 다시 한 번 요약해보면 그 첫째에 미국이 기간 고집했던 ‘선(先) 비핵화, 후(後) 제재 해제’를 철회했다는 의미가 그 속에 담겨져 있고, 둘째는 그러다보니 미본토를 겨냥한 북의 ICBM 위협 우선 제거와 일부 제재해제를 맞바꾸겠다는 그런 식의 인식이 가능해진 것이고, 셋째는 ‘스몰딜’ 운운하는 그 방식에는 기술적으로 북핵 완전폐기가 불가능하다는 그런 인식을 내포하고 있어서 그렇다. 이른바 핵동결 → 핵군축 → 핵폐기의 순으로 가는 그런 경로의 전제와 함께, 위에서도 잠시 언급하였듯이 기술적 해결방식 아니라 정치적 해결방식으로 해결되어진다는 그런 의미이다.  

  이와 관련된 미국의 속내도 분명하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월 11일 “어떻게 하면 미국민에 대한 리스크를 줄여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북·미 간) 대화에서 진전시키고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미국민의 안전이 목표”라고 말하기도 했다. 또한 보수 성향의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이에 대해 “미국이 본토에 대한 북한의 미사일 위협 문제만 해결되면 (북한과의) 합의를 수용할지 모른다”고 해석했다. 북미가 일단 핵동결과 대북 제재 일부 완화를 주고받는 합의를 하고 상호 이행하면서 신뢰를 조성한 뒤 다음 단계 협상으로 나아가는 ‘선 신뢰 조성, 후 비핵화’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그런 예측들을 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이 어찌 북미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논의가 정치회담이라 하지 않을 수 있으랴.

  그래서 본질을 제대로 이렇게 이해하기만한다면 제2차 정상회담을 앞두고 나돌고 있는 그런 굉장한 미국의 희망사항, ‘스몰딜’과 같은 그런 ‘가짜뉴스’가 판치는 충분한 이유를 알 수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ICBM 폐기-제재 완화'에 합의하고 곧바로 관계개선과 비핵화를 위한 핵사찰·검증을 위해 상호 연락사무소를 평양과 워싱턴에 개설하고, 이 과정에 '종전선언'을 시행하고 '평화협정'도 추진한다는 그런 시나리오이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북이 풍계리와 동창리 시설 현장검증 전문가 참관허용, 영변 핵시설 동결 등의 조치를 취하고 미국 자신은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제재 면제, 인도적 지원 재개, 연락사무소 개설 등으로 합의될 것이라며 그 회담의 성격을 포장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박지원 의원 같은 사람은 이에 대해 1월 15일 어느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북의 ICBM 폐기와 개성공단 재개 등 미국의 경제 제재 완화 조치라는 딜이 이뤄질 것이라며 "(그 경우) 금강산 관광이나 혹은 개성공단 두 가지 정도는 합의가 될 것 아닌가, 그래서 경제협력 인도적 지원 차원의 제재완화가 될 것이다"고 판단한다.   이런 판단은 박 의원만이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많은 언론, 대북전문가들과 정치권에서도 유사 반복된다. 그렇지만 불행히도(?) 그들의 이러한 바람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우선, 금강산 관광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 등은 민족내부의 문제로써 이런 문제를 북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절대 (공식) 의제화하지 않는다. 좀 더 의역하자면 논의된다 하더라도 비공식 논의이며, 또 백번 양보하여 이 비공식 논의결과가 설령 공개된다 하더라도 그 공개수위는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과 관련된 내용으로 포장될 것이다. (앞으로 남북문제에 대해서는 남북의 협의사항을 존중한다든지, 남북 간의 교류협력을 적극 이해하고 지지한다든지, 기간 적대정책에 대한 유감을 표명한다든지 ... 등등으로)      

  왜냐하면 북의 일관된 입장이 ‘민족내부의 문제는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우리끼리 해결해나간다는 그런 민족자주와 자결의 관점에 서 있기 때문이다. 

  바로 그 관점에서 봤을 때는 우리 민족내부의 문제를 미국이라는 외세를 끌어들여 논쟁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즉, 논쟁의 대상이 아니며 만약 미국이 실제 민족내부의 문제인 금강산 관광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에 그 브레이크를 걸어 놓았다면 이는 무조건 그 간섭을 철회해야 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그 대책과 남북 간의 교류협력을 존중해줘야 하는 것이지 북미정상회담에서 공식의제로 채택하여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그런 것의 성질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사안이 아니라는 말이다. 

  두 번째로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전 북은 일관되게 대북제제 해제와 종전선언을 주장했던 만큼, 그런 상황에서 북이 그 전제조건을 철회하지 않았는데도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렸다는 것은 그 자체가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그 대전제가 해결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논리적으로 맞는 것이다.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2일 "대북 제재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했지만, 그러면서도 “몇몇 매우 확실한 증거를 얻을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하여 그 출구전략을 제시한 것이 그것이다. 즉, ‘매우 확실한 증거’는 정치적 판단의 문제이고, 그 판단을 트럼프 자신이 할 수 있다는 말과도 같은 것이 되어서. 결과도 제2차 북미정상회담 2월 말 개최로의 확정이다.  

  그런 만큼,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는 보다 본질적인 문제, 평화협정체결 문제를 비롯한 평화체제 구축문제와 북미간의 새로운 관계정립이라는 그런 방향에서 그 핵심내용이 다뤄질 수밖에 없다. 어떻게? 구체적인 이행방안으로. 

  내용은 북의 선(先)행동에 대한 상호신뢰의 징표로 존재했던 대북제재 해제와 종전협정보다는(이는 이미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그 자체로 공식이든, 비공식이든 해결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기 때문에)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의 주된 내용은 한반도 평화지대 구축과 관련된 일련의 프로세스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북의 핵동결 확인과 이에 대한 등가로 미국의 한반도내 전략자산들의 배치, 반입, 훈련 등 중단과 한미합동군사훈련 영구중지 등이 협의-확정될 것으로 보인다.(2019년 신년사가 이를 명확히 해준다.)

  이후 핵군축 단계에서는 이제껏 우리 국민들이 귀가 아프게 들어온 평화협정 체결, 주한미군 철수, 북미국교 수립 등 그런 것들이 해결되면서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체제 수립과 비핵화정책은 계속 실현되어 갈 것이다.

  이렇듯 북핵문제의 본질은 이제 그 전략적 우위가 미국이 아니라 북이고, 그 성격도 북핵 비핵화가 아니라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이고, 그 이행방식도 신고-검증-폐기의 그런 기술적 방식이 아니라 동결-군축-폐기라는 그런 정치적 방식으로 나아가게 되어 있다.  
  
  ③ 항구적 평화체제 수립과 주한미군 철수문제와의 그 상관성은?  

  그 과정에서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인 평화체제구축 수립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될 수밖에 없는 것은 주한미군 철수문제이다. 그런 만큼, 어떤 연관이 있는지 하는 그런 문제는 필히 살펴봐야 하는 것이다. 
  
  결론도 매우 ‘깊은’ 연동관계가 있다. 바로미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서 방위비 분담, 동북아평화유지군 등 그런 문제로 주한미군 철수문제가 도저히 희석될 수는 없다. 본질적으로도 한반도에서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과 주한민군 철군문제는 상수로 밖에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무조건 철군이 그 정답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반드시 그렇게 되게 되어 있다.(최종적으로 향후 북미정상회담에서는 꼭 이 문제가 다뤄질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어떻게? 상상해보면 이는 금방 알 수 있다. 

  주한미군이 계속주둔 되고 있는 한 평화협정이 체결되어졌다고 해도(‘주한미군 있는’ 평화체제) 한반도는 여전히 언제든지 다시 미국이 개입할 수 있는 그런 땅으로 전락하게 되어 진다. 이른바 ‘가역적’ 평화체제라는 것이다. 즉, 평화협정만 체결되어졌지 여전히 미국으로부터 ‘완전한’ 자주권은 획득하지 못했다는 의미와 같다. 

  철수의 당위성은 또한 6.12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가 종전선언을 구두로 약속하면서 가진 그 기자회견에서 “지금 당장은 아니어도 주한미군을 집으로 데리고 오고 싶다”며 주한미군 철수문제를 이미 공식화하였다. 이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문제로 그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둘째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채택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국가정책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또 연방연합제 통일로 가는 그 과정에서도 주한미군 철수문제와는 비례할 수밖에 없어서 그렇다. 이른바 연방연합제는 ‘주한미군 있는’ 평화체제에서는 절대 가능하지 않는 그런 통일방안이라는 말이다. 왜? 연방제 통일이 외세로부터 빼앗긴 자주권 회복과 전 민족적인 단합과 단결을 실현하는 그런 방식의 통일이라고 한다면 주한미군 주둔과 자주권은 비례할 수가 없어서 그렇다. 그 연장선상에서 참고로 동북아 평화유지군도 반드시 털고 가야만 한다. 이유는 양국체제론에 그 기반을 두고 연방연합 통일대신, 남북 평화공존체제를 합리화시켜 주고 있는 그런 기저이기 때문이다. 

  (3) ‘새로운 길’에 대한 해석이다

  아래 한 문장 때문에 2019년 북 신년사에서 핵심키워드가 유일 결정될 뻔했다.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자기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우리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면서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 들고 의연히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에로 나간다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 없이 부득불 나라의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강조, 필자)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동시에 대전제에 대한 해석을 참 잘해내어야 한다. 다름 아닌, ‘새로운 길’이라 하여 제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그 ‘새로운 북미관계’ 그 자체가 파괴되고, 무조건적인 ‘미국과의 힘 대결 추구’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새로운 길’이라 하여 ‘새로운 북미관계’수립 그 자체가 궤도 이탈되는 그런 북의 독자적인 힘 노선이라기보다는 그 ‘새로운 관계’를 만들기 위한 방도가 ‘대화와 협상’의 방식보다는 다른 방도로도 바뀔 수 있다는 그런 엄중한 경고로 해석해 내어야만하기 때문이다. 

  즉, 그래야만 북의 전략적 의도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19년 신년사에서도 “호상 인정하고 존중하는 원칙에서 공정한 제안을 내놓고 올바른 협상 자세와 문제 해결 의지를 가지고 임한다면 반드시 서로에게 유익한 정착점에 도착”하게 될 것이라는 그 의미가 읽혀지고 ‘새로운 길’에 대한 진정성을 읽어낼 수가 있어서 그렇다.  

  그런데도 언필칭 전문가들과 언론들, 정치인들은 그 ‘새로운 길’을 2019년 신년사 중 북미관계에서 그 핵심 키워드로 뽑는데 주저하지 않으면서 그 ‘새로운 길’에 대한 해석을 병진노선의 부활(‘과거의 길’로 해석), 혹은 중국과의 밀월 등으로 오독해내고 있다.  

  <연합뉴스>는 1월 3일자 기사에서는 "김정은 '새로운 길'은 미국 대신 중국과 손잡기 시사"라는 제목기사가 그 예이고, 통일연구원 또한 같은 날 내놓은 신년사 분석 자료에서 “새로운 길 모색 언급은 과거 경제·핵 병진 노선으로의 회귀나 과거로의 퇴행으로 보긴 힘들다”며 “기본적으로 그런 길들은 새로운 길이라기보다는 과거의 길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연구원은 “결국 미국의 상응 조치들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6·12 합의를 이행할 필요가 없다는 수사적 배수진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고까지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둘 다 참으로 1차원적인 해석에 불과할 뿐이고, 특히 통일연구원의 해석은 그야말로 정말 형이하학적이다. 병진노선으로의 회귀가 ‘과거의 길’이기 때문에 ‘새로운 길’이 아니라는 그런 식의 분석은 연구원이 내놓을 수 있는 그런 분석법이 결코 아니다.

  이유는 북이 설령 병진노선으로 되돌아 갔다하더라도, 이것에 대한 분석기준은 대개 어느 한 국가가 전략노선을 변경할 때 그 본질이 해당시기 목표가 어떻게 변화되었느냐에 따라 그 전략노선의 변경이 이뤄졌다고 보는 것이 맞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 인과관계가 핵심일 수밖에 없으며 그것에 따라 전략노선의 유의미성을 판단해내어야지 그냥 과거와 같은 동의어가 사용되어졌다하여 그것 때문에 ‘과거의 길’이고, 그 전략적 선택이 잘못되었다고 그렇게 해석해내는 것은 참으로 정직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해서 ‘병진’이라는 단어가 다시 재등장했다는 것만으로 ‘과거의 길’이라 치부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한 국가의 전략적 목표 달성여부, 시대적 상황, 역사적 과업 등 이런 것들을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소요시기에 맞는 그런 전략노선이 채택되어졌느냐, 아니냐가 그 본질로 되어져야만 한다. 했을 때 단순히 같은 ‘병진’용어가 재등장 한다는 그 이유만으로 ‘과거의 길’이 될 수는 없다. 

  다만, 백번 양보하여 생각해볼 때 굳이 그러한 생각을 계속 갖고 가고 싶다면 기간 북이 핵-경제 병진노선에 대해 ‘혁명적 승리(완전 승리)’라는 총화를 해놓고도, 왜 또 다시 핵-경제 병진노선을 들고 나오느냐? 하는 그런 인식의 연장으로 그러한 문제의식을 계속 가져가고 한다면 그런 의도까지 매도할 수는 없다고 봐진다.  

  그렇다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인식적 오류는 경계해야 한다. 다름 아닌, 윗글에서도 잠시 언급되었지만, 1960년대의 ‘국방-경제 병진노선’과 2010년대의 ‘핵-경제 병진노선’에는 같은 ‘병진’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그런데도 그 어느 누구하나 2010년대의 병진노선에 대해 낡은 ‘과거의 길’로 진입한 전략노선이었다는 그런 평가를 하지는 않는다. 

  똑같은 논리로 그렇다면 2018년에 마감한, 그것도 ‘혁명적 승리’로 총화한 그 병진노선이 설령 1년 만에 다시 재등장한다 하더라도 그 용어의 재등장만으로 ‘과거의 길’로 낙인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40년의 기간은 되고, 1년의 기간은 안 된다는 것도 참으로 궁색한 변명이다. 이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전략노선이 기간의 문제라기보다는 그 시대적 상황, 역사적 과업달성 여부, 소여시기의 전략적 목표 달성여부 이런 것들로 판단해야 하는 그런 개념이이서 그렇다.) 연동해서 ‘선군정치’를 내세웠던 김정일 집권시기에도 북은 ‘국방공업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면서 경공업과 농업을 동시에 발전’시키는 사실상의 선군경제노선도 넓은 개념으로서는 병진노선인데, 그렇다면 이 또한 설명할 길은 없다. 

  다시 말해 결론은 해당시기에 전략상 필요하다면 재등장 할 수 있다는 것이 그 본질이라는 말이다.

  바로 그 전제로 지금의 정세 하에서 정말 정세를 냉정하게 분석해봤을 때 그 ‘새로운 길’을 다시 병진노선으로 회귀해야 할 만큼 그렇게 급변한 정세변화가 일어났느냐하는 그런 문제로 해석해내어야 하는 것에 대해서는 우선, 상황적으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예상되어 있는 등 북미협상은 계속 진행형에 있어 병진이 등장할 만큼, 그 전략적 환경이 절대적으로 변했다고 보기에는 다소 억측이 따른다는 점이다. 둘째는, 기간 핵-경제 병진노선을 가장 최상위의 의미가 있는 ‘혁명적 승리’로 결속(총화)하였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서 다시 그 병진노선 구호를 제시한다는 것은 다소 그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밖에 볼 수 없다. 셋째는, 핵보유국이자 전략국가는 굳이 병진노선을 채택하지 않더라도 핵전력 강화의 길은 충분이 걸을 수가 있다는 점이다.      

  이상으로부터 ‘새로운 길’은 적어도 현재까지는 병진노선의 재등장과는 아무런 인연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중국과의 신(新)밀월을 지칭하고 있는 것일까? 이 또한 가능하지 않는 발상이다. 왜냐하면 북은 이제까지 단 한 번도 대국주의 의존전략을 구사해본 적이 없어서 그렇다. 비록 그 해당국가가 사회주의 형제국이라 하더라도 말이다. 그러니 더더욱 가능하지 않는 발상이 될 수밖에.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이는 충분히 증명되는 범위 안에 있다. 

  북은 단 한 번도 중국, 러시아(소련)와 관계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그것과는 상관없이 기대지 않았다. 자주, 친선, 평화의 원칙에 입각한 대외정책이 매우 일관되게 작용한 결과이다. 그러면서도 또한 중국 등 사회주의권, 러시아 등 친선국과의 관계는 항상 우호적이었다. 왜냐하면 이들 국가들을 통해 평화, 번영을 추구한 것이 북의 아주 오래된 전통적인 대외정책이기 때문이다. 

  바로 그 연장선상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이후 북미관계가 제 아무리 좋아지더라도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이들 전통 우호국보다 우선시하는 그런 상황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뜻은 또한 대국주의와는 더 철저하게 자주, 평화, 친선의 외교관계가 실현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른바 사회주의 형제국가와의 관계 우선주의는 여전히 작동할 것이며 또한 여전히 그렇다하더라도 중국 등 사회주의대국에 기대는 그런 국가발전전략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다.(미국과도 마찬가지이고)   

  그러면 도대체 ‘새로운 길’이란 무엇이란 말인가? 

  상상 가능한 범위로는 전쟁도 생각할 수 있다. 근거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북은 이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미국과 싸울 수 있는 그런 국가이기 때문이다. 시늉만이 아니라 실제 전쟁을 하겠다는 그런 국가적 의지가 있는 유일국가임이 분명해서 그렇다. 

  그런 만큼, 미국을 최대한 압박하기 위해 전쟁이라는 방식도 상상할 수 있다. 역사적 경험으로도 이는 충분히 증명된다. 미국과의 전쟁경험이 그것이다. 그것도 승리한 경험이다.(북의 판단으로) 그러니 신년사에서 밝힌 것처럼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자기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우리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면서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들고 의연히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에로 나간다면”, “나라의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하여 전쟁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또한 전쟁 그 자체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그렇다하더라도 그 형태와 내용, 즉 당시에는 재래식 중심의 전쟁이었다면 지금 현대전은 상상할 수 없는 가공할만한 현대무기들로 치러지는 것만큼 ‘새로운’에 충분히 부합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결론은 그리 ‘가능성 그리 높지 않다’이다. 이유는 아래 글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핵전력 강화와 연동된 미사일 시험발사 재개, 전략국가에 걸 맞는 최대높이의 정치군사적 압박,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 및 민족공조에 의거한 역 포위 전략 등 다양한 압박수단들이 존재하고 있어서 그렇다. 그렇게 사용할 수 있는 유효실탄들이 많은데, 굳이 인류의 재앙을 초래할만한 최후의 수단인 핵전쟁을 선택한다? 그렇게 현명하지도 가능성이 높은 발상도 아니다. 

  그렇다면 어떤 길? 우선은, 핵전력 강화의 길을 걸을 수 있다. 

  왜냐하면 핵보유국의 핵전력 강화는 특별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군사영역과 경제영역에서 진행할 수 있는 매우 일상적인 활동들이다. 북이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포한 조건에서는 얼마든지 자연스럽게 운용할 수 있는 그런 정책인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해 신년사에서 대량생산과 실전배치라는 핵전력 강화를 언급한 이유도 그런 인식의 연장이라고 봐진다. 

  그리고 이는 또한 핵보유 국가들은 물론이고, 설령 미국과 북이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했다 하더라도 그 약속과도 당장 충돌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감안해야 한다. 이유는 위 글에서 이미 밝혔듯이 완전한 비핵화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을 거쳐 먼 훗날 실현될 장기과제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와 관련해 김정은 위원장의 ‘의미 있는’ 행보 하나가 눈에 띈다. 2018년 11월 16일 보도된 내용, 김정은 위원장이 현지지도 과정에서 언급된 "우리 당의 정력적인 영도 아래 오랜 기간 연구개발 되어온 첨단전술무기(강조, 필자)는 우리 국가의 영토를 철벽으로 보위하고 인민군대의 전투력을 비상히 강화하는 데서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고 밝힌 그 대목이 그것이다. 

  동시에 (핵전력 강화의) 그 본질을 미사일 시험발사(실전) 재개로 국한해서 볼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국가 핵무력 완성국가에서는 핵전력 강화를 핵시험이나 미사일 시험발사 없이도 진행할 수 있는 그런 충분한 능력과 조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적 시뮬레이션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말이다. 

  또한 그렇게 볼 수 있는 그 근거에는 핵동결을 왜 처음부터 왜 그렇게 완결적인 형태로 선언하지 않고, 이른바 미완의 핵동결‘3불’정책에서 완성된 핵동결 ‘4불’로의 정책전환이 왜 일어났느냐 하는 그런 문제에 천착하면, 숨은 1cm를 찾을 수가 있다.  

  다름 아닌, 미국을 최대한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었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북미 협상의 진척 정도를 봐가면서 내올 수 있는 그런 정책이었단 말인데, 그 연장선상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잡혔다는 것은 제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많은 부분에서 일정정도의 긍정적 진척이 꽤 진행되었음을 의미해서 그렇다.   

  다음으로는, 전략국가에 걸 맞는 정치군사적 압박도 상상 가능한 범위이다.  

  여기서 잠깐, 전략국가와 관련한 해설을 해내면 김정은 위원장은 2017년 11월 29일 핵무력 완성을 선포하고 난 며칠 뒤인 12월 22일 전략국가라는 개념을 썼다. 당 세포위원장 대회에서였다. 그때 처음 등장했다. 

  이의 정치적 의미가 전략국가라는 것이 세계체제의 관점에서 국제질서를 변경시킬 힘을 실질적으로 가졌느냐, 안 가졌는가가 더 중요하고도 본질적인 문제이고, 그 핵심에 바로 핵무력 개념이 있고, 그 핵무력의 실체가 첫째는, 핵보유와 함께, 핵무기를 보유했느냐의 문제. 둘째는, 그 핵무기 보유로 인해 게임 체인지 국가가 될 수 있느냐의 문제. 셋째는, 그 게임 체인지를 통해 인류의 염원이라 할 수 있는 ‘핵 없는 세계’를 추동해 나갈 수 있느냐로 나타난다 했을 때 북이 지금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얻어 내려는 결과가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체제, 북미 간의 새로운 관계,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라고 한다면 이것이야 말로 세계질서의 근본변화와 연관되어 있지 않다고 누가 감히 얘기할 수 있으랴. [전략국가에 대해서는 필자의 <통일뉴스> 기고 글(2018.06.05.), “정상국가와 전략국가 사이(하): 북한은 전략국가가 분명하다” 참조] 

  그렇게 북은 한 치의 양보 없는 치열한 북미대결전에서 사상강국, 정치강국, 군사강국에 이어 국가 핵무력 완성까지 한 핵강국이 되었기에 세계 정치구도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그런 국가 반열에 분명 들어섰다.(경제력과 비례한다는 그런 개념으로서의 전략국가를 이해한다면 이는 죽었다 깨어나도 북이 전략국가가 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일본이 왜 전략국가이지 않는가? 이 물음에 답할 준비가 되어있다면 북이 왜 전략국가인가? 도 충분히 답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그런 국가가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사회주의권과의 동맹관계 강화, 제3세계 국가들과의 세계자주역량 재구축, 민족공조이념 복원에 의한 남북의 공동전선, 미국(1) 대 북-중-러-남의 다자구도 구축 등 전략국가가 할 수 있는 그런 정치·외교적 압박은 충분히 미국을 설득해낼 수 있는 그런 압박수단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 결론을 대신하며

  이제 트럼프는 ‘사랑에 빠졌다’는 둥 그렇게 ‘썸’만 탈 수 없게 되었다. 핵동결 선언과 ‘새로운 길’은 정말 ‘사랑의 길’로 접어들게 만들 것이다.  

  실증적으로도 제2차 북미정상회담 그 자체가 회담개최의 대전제였던 제재해제와 종전선언(혹은, 생략하고 바로 평화협정체결로 직행하는 것도 가능하다)에 대해 공식, 혹은 비공식 합의가 있었다는 것이며, 또 ‘다자 협상’으로 포장된 중국의 역할론에 대해서도 1차 때와는 달리 미국이 일언반구가 없다는 것은 분명 미국이 2차 정상회담에 응할 태세가 완료되어다는 의미와 같다.   

  해서 북미 간의 ‘새로운 관계’와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시간표는 보다 분명 빨라질 것이고, 비례해서 남북관계도 연동되어져 숨 가쁘게 돌아갈 것 같다. 

  희망은 분명 그렇게 동 터오고 있음이다. 북미관계에는 오랜 적대관계, 그것도 ‘철천지원수’ 관계’가 끝장내지고, 남북관계는 분단 74년 만에 그 재결합의 서광이 깃들려 한다. 어찌 흥분되고 감격에 복받치지 않겠는가? 

  바로 그러한 상황에서 마침 한반도를 둘러싼 남북미의 관계도 그 유례가 없을 만큼,  선순환 구조가 잘 맞아떨어지는 그러한 상황과 맞닿았다. 분단 70여년 만에 찾아온 엄청난 기회이고, 이는 ‘모세의 기적’에 비견할 만하다. 

  결코 이 타이밍을 놓쳐서는 안 된다. 유대민족이 그 타이밍 ‘모세의 기적’ 때문에  살아남았듯이 마찬가지로 한반도의 국운상승도 결국 타이밍을 잡아야만 하는 것과 같다. 

  북에게는 국가 핵무력 완성이라는  정치군사적 힘이 있고, 남에게는 촛불정부라는 정당성이 있고, 미국에게는 국가우선주의라는 자국 중심의 정책우선주의가 있을 때, 그렇게 3박자가 다 맞아떨어질 때 기회를 확 잡아야 한다. 충분한 기회이다. 

  황금 돼지해가 그렇게 우리 민족을 일깨우고 있다.  
  

김광수 약력

   
 

저서로는 『수령국가』(2015)외에도 『사상강국: 북한의 선군사상』(2012), 『세습은 없다: 주체의 후계자론과의 대화』(2008)가 있다.

강의경력으로는 인제대 통일학부 겸임교수와 부산가톨릭대 교양학부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그리고 현재는 부경대 기초교양교육원 외래교수로 출강한다.

주요활동으로는 전 한총련(2기) 정책위원장/전 부산연합 정책국장/전 부산시민연대 운영위원장/전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사무처장·상임이사/전 민주공원 관장/전 하얄리아부대 되찾기 범시민운동본부 공동운영위원장/전 해외동포 민족문화·교육네트워크 운영위원/전 부산겨레하나 운영위원/전 6.15부산본부 정책위원장·공동집행위원장·공동대표/전 국가인권위원회 ‘북한인권포럼’위원/현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부산지역본부 운영위원(재가)/현 사)청춘멘토 자문위원/6.15부산본부 자문위원/현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외 다수가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여관, 중환자실, 흙더미…시간을 품은 이야기들의 집

여관, 중환자실, 흙더미…시간을 품은 이야기들의 집

등록 :2019-02-02 09:07수정 :2019-02-02 09:11

 

[토요판] 커버스토리
내가 시작된 집 

사진가 24명이 그들 삶 시작된 곳
수십년 만에 찾아가 사진으로 기록
옛 모습 그대로 영업하는 여관부터
주차장 또는 고속도로 중앙선으로, 
재개발이 흔적 없이 지운 집들까지 

 

24명의 사진가가 그들의 삶이 시작된 곳을 찾아 사진으로 기록했다. 재개발로 철거돼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집, 반짝이는 고층빌딩숲에 지워진 집, 축구 연습장을 만들기 위해 흙더미로 변한 집, 가장 낮은 자들을 품는 무료병원 중환자실로 바뀐 신생아실, 그 자리에서 그 모습 그대로 세월을 쌓아온 집들까지…. 과거 옛집에서의 한때를 찍은 사진과 수십년 만에 새로 찍은 사진이 포개져 서로에게 말을 건다. 누군가가 시작된 집에서 사진들도 자신들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시대가 사람 할퀴며 역사 쓰는 동안

 

사람 품었던 집은 말없이 시대 기억

 

내가 떠난 집에서 지워지지 않은 채

 

세계가 나를 흔들고 무너뜨릴 때도

 

끝내 살아남아 나를 지탱할 이야기

 

 

 

농촌의 가난이 몰려드는 곳에 도시가 있었다. 서울까지는 도착했으나 그 이상은 가지 못한 사람들이 비좁은 집에 몸을 포개 살았다. 1966년 박상찬(48·음악단체 프로젝트21앤드 대표)의 부모가 경남 고성군에서 이사한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의 열댓평 집에선 3대 3가구가 가족 구분 없이 섞여 잤다. 5년 뒤 그가 태어났을 때 그의 식구는 12명(그의 가족 7명+작은아버지 가족 4명+할머니)이 됐다. 좁은 골목은 아이들의 놀이터였다. 앵두를 따 먹고, 닭싸움을 하고, 개와 달리기를 했다. 그의 가족은 6살 때(1977년) 북아현동으로 이사 갔고 남아 있던 작은아버지 가족은 1985년까지 살았다. ‘86 서울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서울시가 ‘무허가 건축물을 정화한다’며 허물었다. 골목 안쪽에 있던 판잣집들이 철거돼 골목과 합쳐졌고 집이 있던 자리엔 담장이 세워졌다. 그가 수십년 만에 옛집 터를 찾아 카메라로 찍었다. 41년 만에 찍은 골목 사진 위에 어린 시절의 사진(그가 4살 때 장미를 꺾어 누나에게 주는 장면)을 포갰다. 사진 박상찬 제공, 그래픽 이정윤 기자 bbool@hani.co.kr
농촌의 가난이 몰려드는 곳에 도시가 있었다. 서울까지는 도착했으나 그 이상은 가지 못한 사람들이 비좁은 집에 몸을 포개 살았다. 1966년 박상찬(48·음악단체 프로젝트21앤드 대표)의 부모가 경남 고성군에서 이사한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의 열댓평 집에선 3대 3가구가 가족 구분 없이 섞여 잤다. 5년 뒤 그가 태어났을 때 그의 식구는 12명(그의 가족 7명+작은아버지 가족 4명+할머니)이 됐다. 좁은 골목은 아이들의 놀이터였다. 앵두를 따 먹고, 닭싸움을 하고, 개와 달리기를 했다. 그의 가족은 6살 때(1977년) 북아현동으로 이사 갔고 남아 있던 작은아버지 가족은 1985년까지 살았다. ‘86 서울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서울시가 ‘무허가 건축물을 정화한다’며 허물었다. 골목 안쪽에 있던 판잣집들이 철거돼 골목과 합쳐졌고 집이 있던 자리엔 담장이 세워졌다. 그가 수십년 만에 옛집 터를 찾아 카메라로 찍었다. 41년 만에 찍은 골목 사진 위에 어린 시절의 사진(그가 4살 때 장미를 꺾어 누나에게 주는 장면)을 포갰다. 사진 박상찬 제공, 그래픽 이정윤 기자 bbool@hani.co.kr
내가 시작된 집에서 그 이야기들도 시작됐다.

 

내가 이 세계로 들어와 섞인 이야기. 나를 이 세계에 심은 사람들의 이야기. 나와 그들이 이 세계에서 ‘서로’가 된 이야기. 나를 이 세계가 흔들어도 끝내 살아남아 나를 지탱해온 이야기.

 

 

시대가 사람을 할퀴는 동안

 

나(홍영진·67)는 섬의 여관에서 시작됐다.

 

서울대병원 소아과 의사였던 아버지(홍창의·96)는 한국전쟁 때 제주도로 파견됐다. 1951년 1·4 후퇴 때 병원도 부산과 제주로 피란했다. 아버지는 서울대병원이 제주 한림에 만든 구호병원에서 일했다. 마땅한 병원 건물이 없어 면사무소 창고를 빌려 피란민들과 제주도민들을 진료했다.

 

아버지의 동료가 소개해준 숙소가 태양여관(제주도 제주시 한림읍)이었다. 어머니가 임신 중이어서 방이 3개뿐이던 여관 전체를 빌려 썼다. 여관은 한림항으로 나가는 뒷골목에 있었다. 육지에서 온 외판원들이 들고 온 물건들을 파는 동안 머무는 여관이라고 했다. 아버지는 가끔 한림항에서 육지의 전쟁을 걱정하며 바다 저편 비양도를 바라보곤 했다. 1951년 7월 의료진이 부산으로 합류했을 때도 아버지는 외과의사 한명과 제주에 남아 환자들을 돌봤다.

 

나는 1952년 그 여관에서 태어났다. ‘결과적으로’ 나는 장남이 됐다. 출생신고도 하지 못한 형이 전쟁통에 세상을 떠났다. 1953년 귀경한 서울대병원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나의 식구들은 태양여관에서 살았다. 나의 기억엔 없는 여관을 아버지는 그리워했다. 제주도에 갈 때마다 수소문했으나 찾지 못했다. 수차례 방문 끝에 2015년 여관의 위치를 확인했다. 내 나이 62살에 내 출생의 장소를 처음 봤다.

 

나의 이야기가 시작된 태양여관의 이야기도 계속되고 있었다. 60년 넘게 같은 자리에서 같은 이름으로 영업을 이어가고 있었다. 1층짜리 건물은 2층이 돼 있었고 3개뿐이던 방도 7개로 늘어나 있었다.

 

그사이 “세상이 아프면 의사도 아파야 한다”던 아버지는 한국 소아의학계의 ‘어른’이 됐다. 1987년 6월항쟁 직후 창립된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의 초대 이사장이 됐고, 아버지의 이름을 딴 책(1975년 첫 발간 뒤 263명의 필자가 참여해 현재 11판까지 낸 <홍창의 소아과학>)은 선구적인 한글 의학 교과서로 평가받았다. 아버지를 따라 소아과 의사가 된 나도 전공의 시절 의사가 부족한 제주도에서 파견 근무했고 인의협 창립에도 참여했다.

 

지난해 추석을 맞아 아버지와 나, 내 아들들과 손자, 4대가 제주도로 건너가 태양여관 앞에 섰다. 낡은 새시문에 빨간 글씨로 이름을 새긴 여관 안에선 시간이 품어온 이야기들이 묵고 있었다. 지난 시간을 살아낸 세대와 앞으로의 시간을 살아갈 세대가 서로를 대견해하며 여관 앞에서 오랜 이야기를 풀어냈다.

 

2018년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태양여관은 1951년 한국전쟁 당시 서울대병원에서 파견 간 소아과전문의 홍창의(오른쪽 둘째·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초대 이사장)씨가 2년 동안 머물며 아들 홍영진(오른쪽 첫째·전 인하대병원 소아과 과장)씨를 낳은 곳이다. 지난해 추석을 맞아 4대가 제주도로 건너가 태양여관 앞에 섰다. 홍영진 제공
2018년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태양여관은 1951년 한국전쟁 당시 서울대병원에서 파견 간 소아과전문의 홍창의(오른쪽 둘째·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초대 이사장)씨가 2년 동안 머물며 아들 홍영진(오른쪽 첫째·전 인하대병원 소아과 과장)씨를 낳은 곳이다. 지난해 추석을 맞아 4대가 제주도로 건너가 태양여관 앞에 섰다. 홍영진 제공
나(안선영·49)는 동대문상가아파트(서울시 종로구 창신동) 다동 524호에서 시작됐다.

 

할머니를 모시고 살던 부모님이 1970년 부산을 떠나 방 하나, 부엌 하나인 집에 닿았다. 12평 남짓인 작은 집엔 한해 먼저 상경한 큰아버지 여섯 식구(큰아버지 부부와 사촌남매 넷)가 살고 있었다. 두 가구 합쳐 아홉인 집에서 단칸방을 쪼개 할머니 방을 따로 만들었다. 밤에 몸을 움직이려면 자고 있는 식구를 타고 넘어야 할 만큼 집은 비좁았다.

 

숨을 곳 없는 집에서 신기하게도 내가 생겼다. 입 하나 느는 게 큰 부담이던 시절이었다. 어머니가 큰어머니의 눈치를 볼까 염려한 할머니는 어머니에게 ‘절대 아이를 지우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해 연말 나는 기어코 태어났고 식구를 두자릿수로 만들었다. 인근 병원 의사가 집으로 왕진을 와 어머니의 출산을 도왔다.

 

농촌의 가난이 몰려드는 곳에 도시가 있었다. 서울까진 도착했으나 그 이상은 가지 못한 사람들이 5층짜리 아파트의 4층과 5층에 모여 살았다. 1~3층에선 노동자가 된 아버지들과 어머니들이 땀으로 젖은 동대문의 일상을 구성했다. 누군가는 한국이 입는 옷을 재단했고, 누군가는 한국이 신는 신발을 만들었다. 누군가는 옷과 신발을 등에 지고 날랐고, 누군가는 누군가가 먹는 밥을 머리에 이고 배달했다. 누군가의 아버지와 어머니와 아들과 딸로서 그들은 가난한 노동을 구원하느라 바빴다.

 

아버지와 큰아버지는 집에서 직선거리 600m 떨어진 동화시장에서 양복기술자로 일했다. 한 층을 두개 층으로 분리해 아래층에선 미싱(재봉틀)을 돌렸고 다락이 된 위층에선 재단과 ‘마도메’(미싱 작업 뒤 단추 등을 다는 마무리 손바느질·일본식 봉제용어)를 했다.

 

내가 태어나기 한달 전 붉은 화염(1970년 11월)이 일었다. 아파트에서 300m, 동화시장에선 100m도 안 되는 거리(평화시장)에서 스물두살의 재단사가 ‘근로기준법 준수’를 외치며 몸에 불을 붙였다. 그의 죽음에 놀란 만삭의 어머니는 두 팔로 뱃속의 나를 꼭 감싸 안았다. 내가 태어나기 8개월 전엔 서울시가 지은 와우아파트가 무너졌고(4월), 내가 태어나고 일주일 뒤(12월15일)엔 제주에서 부산으로 항해하던 남영호가 침몰했다. 불타고 무너지고 침몰하는 이야기들이 끊이지 않던 때였다. 3년 뒤 우리 식구는 그 좁은 집에서 분가(종로구 충신동)했다. 대학생이 된 나는 학생운동을 하며 그동안 외면하고 살았던 동대문의 전태일을 다시 만났다.

 

사진을 찍으러 45년 만에 찾아간 아파트는 재개발이 바꾼 풍경 속에서도 옛 모습(신발 도매상가로 특화)을 유지하며 여전히 땀을 흘리고 있었다. 촬영 몇달 전 어머니가 쓰러졌다. 뇌손상으로 기억이 흐려진 어머니의 뿌연 이야기를 부여잡고 내가 시작된 집을 찾아가 사진에 담았다. 낡은 아파트의 계단 창문 너머에 우리 식구가 아파트를 떠나던 해 지어진 ‘동대문맨숀’이 있었다. 그 잿빛 아파트를 바라보며 생각했다. 그 옛날 열 식구의 빨래를 들고 옥상을 오르내리던 엄마는 어떤 꿈을 꾸었을까. 피를 토하며 생산량을 맞추던 시대를 견디고 탄생시킨 오늘은 그때보다 덜 고달플까. 나는 지금 나와 내 가족이 살아갈 작은 집을 짓고 있다.

 

2018년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 1970년 안선영씨는 할머니와 큰아버지 식구가 같이 사는 12평 남짓 아파트에서 머릿수 10명을 채우며 태어났다. 그 한달 전 청년 재단사 전태일의 분신 소식에 만삭의 어머니는 뱃속의 그를 꼭 감쌌다. 현재 신발 도매상가로 특화된 동대문상가아파트 다동의 모습. 안선영 제공
2018년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 1970년 안선영씨는 할머니와 큰아버지 식구가 같이 사는 12평 남짓 아파트에서 머릿수 10명을 채우며 태어났다. 그 한달 전 청년 재단사 전태일의 분신 소식에 만삭의 어머니는 뱃속의 그를 꼭 감쌌다. 현재 신발 도매상가로 특화된 동대문상가아파트 다동의 모습. 안선영 제공
나(윤수영·38)는 학살이 일으킨 공포 속에서 시작됐다.

 

아직 신혼이었던 부모님은 광주의 이층 양옥집(광주시 남구 양림동) 1층에 방 하나를 얻어 살았다. 집주인 식구들이 1층에서 같이 거주하며 공간을 나눠 가졌다.

 

1980년 5월 아버지의 직장은 전남도청 근처 전일빌딩(5·18 당시 계엄군의 헬리콥터 기총소사 흔적이 남아 있는 건물)에 있었다. 거래장부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러 출근한 아버지를 기다리며 어머니는 나를 업고 금남로가 내려다보이는 집 앞 공원에서 혼자 무서워 떨었다. 밤에도 총소리가 들렸고 불꽃놀이 하듯 밖이 환했다. 소리가 새어나오는 집으로 총알이 날아든다는 소문에 어머니는 백일도 안 된 나를 이불로 말아 장롱 안에 숨겼다.

 

1년 뒤 여수(전남)로 이사 가며 떠난 그 집을 37년 만에 카메라를 들고 찾아갔다. 디자인회사로 바뀐 옛집 앞에서 주름진 어머니가 백발이 된 아버지의 팔짱을 꼈다. 시대가 사람을 할퀴며 역사를 쓰는 동안 사람을 안아주던 집은 말없이 시대를 기억하거나 기억에도 남지 못한 채 사라졌다.

 

 

나 없는 집을 지키며

 

사진들이 찍은 것은 존재가 아니라 부재였다.

 

내가 시작됐으나 이젠 내가 없는 곳을 기록했다. 수십년 만에 찍은 내 출생의 장소는 사람 대신 차들이 쉬는 공영주차장이 돼 있거나, 주차장을 나온 차들이 무섭게 내달리는 고속도로 중앙선이 돼 있었다. 수평을 깔고 앉은 수직의 고층빌딩으로 바뀌었거나, 재개발로 흔적을 잃고 아파트 단지 속으로 숨어버렸다. 내가 시작된 집을 담은 사진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나였다.

 

나(최경아·49)는 죽음이 대기하는 병원에서 시작됐다.

 

1970년 내가 태어난 성가병원(재단법인 천주교성가회·서울시 강북구 미아동)은 1990년 성가복지병원(사회복지법인 성가소비녀회·성북구 하월곡동)으로 이름과 장소를 바꿔 무료병원이 됐다. 성가복지병원은 일반 병원에서 받아주지 않는 가난한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의탁하는 의료기관(후원: 국민은행 017-25-0001-379)이었다. 노숙인과 무연고자, 장애인,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이 찾아가 아픈 몸을 맡겼다.

 

내가 48년 만에 병원을 찾아갔을 때 옛 신생아실은 중환자실이 돼 있었다. 내 삶이 시작된 자리에 죽음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누워 있었다. 이 세계로 삶이 오고 가는 통로는 그렇게 연결돼 있었다. 나의 어머니는 내가 중학생 때 의료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병원에서 처음과 끝을 맞는 삶들이 나를 운명처럼 글에 묶었다.

 

내 생의 자리에서 가장 낮은 생을 마무리하는 이들을 촬영하며 나(2018년 전태일문학상 생활·기록 부문 수상자)는 내가 걸어갈 길을 생각했다. 나(현재 르포문학작가)는 방송사에서 시사·다큐 작가로 20년 넘게 일했다. 2015년 세월호 참사를 다루는 기획이 거부당한 뒤 방송 일을 접었다. 나는 웅장하거나 으리으리한 것들에 내 글을 보태지 않을 것이다. 웅크리고 스러지는 것들 곁에서 나는 쓸 것이었다.

 

1970년 당시 서울시 도봉구 수유동: 최경아씨가 한살 때 집에서 목욕을 하고 있다. 최경아 제공
1970년 당시 서울시 도봉구 수유동: 최경아씨가 한살 때 집에서 목욕을 하고 있다. 최경아 제공
2018년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최경아씨는 1970년 미아동의 성가병원에서 태어났다. 48년 만에 찾아간 병원의 신생아실은 위치(하월곡동)와 이름(성가복지병원)을 바꿔 무료병원 중환자실이 돼 있었다. 일반 병원에서 받아주지 않는 가난한 환자들이 성가복지병원을 찾아 의탁했다. 최경아 제공
2018년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최경아씨는 1970년 미아동의 성가병원에서 태어났다. 48년 만에 찾아간 병원의 신생아실은 위치(하월곡동)와 이름(성가복지병원)을 바꿔 무료병원 중환자실이 돼 있었다. 일반 병원에서 받아주지 않는 가난한 환자들이 성가복지병원을 찾아 의탁했다. 최경아 제공
나(조혜경·48)는 지금 없는 병원에서 시작됐다.

 

부모님이 살던 동네 산부인과병원(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이었다. 어머니가 기억하는 병원 건물의 위치를 찾아냈을 땐 음식점으로 바뀌어 있었다. 갓난아기였던 내가 40대 후반의 나이가 되는 동안 병원은 스파게티 전문점이 돼 있었고, 건물 벽에선 벽화로 그려진 나무가 진짜 나무(가로수)와 경계를 섞고 있었다. 내 카메라 앞에서 74살이 된 어머니가 포크를 들었다. 나를 낳고 미역국을 먹었던 건물에 앉아 스파게티를 먹으며 어머니는 재빨리 가버린 세월을 낯설고 서먹서먹해했다.

 

나(정지현·45)는 어머니가 기억하기 싫어하는 집에서 시작됐다.

 

서해가 내려다보이는 유달산 중턱에 그 집(전남 목포시 서산동)이 있었다. 찬 바람이 눈보라를 휘날리던 1974년 새벽에 나는 조부모와 고모·삼촌의 사랑을 받으며 태어났다. 그 사랑이 어머니에겐 미치지 못했다.

 

한해 전 태백산맥 끝자락의 너른 평야(전남 영암)에서 시가로 온 어머니는 고된 시집살이를 겪었다. 할머니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밥을 이불을 덮어 아랫목에 두면서도 갓 결혼한 어머니에겐 누룽지 먹을 시간도 주지 않았다. 물 길으러 갈 때를 빼곤 대문 밖으로 나가지도 못하게 했다며 어머니는 눈물겨워했다. 음식 솜씨가 좋은 어머니에게 고모들은 “음식 잘하는 걸 보니 어디서 식모살이라도 하다 왔나 보다”며 핀잔을 줬다.

 

1992년 할아버지 사망(이후 할머니는 부모님의 분가(1976년)한 광주 집에서 생활) 뒤 처음으로 지난해 어머니와 그 집 앞에 섰다. 다시는 오고 싶지 않던 집을 딸과 오게 될 줄은 몰랐다면서도 어머니는 집 곳곳에 묻은 기억들을 되살렸다. 태어난 시각에 맞춰 사진에 담은 집의 빛깔은 새벽만큼 검푸르렀다. 이젠 우리 가족 아무도 살지 않는 쇠락한 동네에서 배를 타는 선원 이주노동자들이 가장 젊었다.

 

나(이연호·50)는 흙더미로 변한 집에서 시작됐다.

 

부모님이 결혼 뒤 마련한 첫 보금자리(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였다. 집은 김포공항에 바짝 붙어 있었다. 공항에 취직시켜준다는 사람의 말을 믿고 슬레이트로 지붕을 얹은 집에 아버지가 세를 얻었다. 그 사람은 ‘와이로’(뒷돈)만 챙기고 연락을 끊었다.

 

집에 있으면 비행기 뜨고 내리는 소리로 귀가 멍했다. 비행기가 머리 위로 날아갈 때마다 비행기 따라 고개를 쳐들던 나는 거꾸로 넘어져 논두렁에 처박혔다. 공항을 포기한 아버지는 미군부대에서 일했다. 아버지가 출근해 집을 비운 사이 큰아버지가 와서 살림살이를 차에 싣고 성남(경기)으로 가버렸다. ‘반강제 이사’를 당한 우리 가족은 지금까지 성남에서 터를 잡고 산다. 비행기 소리에 잠을 설치느라 우리 형제가 많아졌다고 어머니는 그 시절을 웃으며 회상했다.

 

지난해 어머니(아버지는 2010년 작고)와 방문한 옛집은 철거당해 축구장 터가 돼 있었다. 흙과 폐자재가 쌓인 집터에 서서 어머니가 어깨 위로 날아가는 비행기를 올려다봤다. 50여년 전에도 어머니는 저 자리에서 출근하는 아버지를 배웅하고 있었겠구나 생각했다.

 

1969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갓난아기 때 이연호씨가 김포공항 옆에 위치한 집에서 어머니의 품에 안겨 있다. 아버지는 김포공항에 취직시켜준다는 사람의 말을 믿고 공항 옆에 세를 얻었다. 이연호 제공
1969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갓난아기 때 이연호씨가 김포공항 옆에 위치한 집에서 어머니의 품에 안겨 있다. 아버지는 김포공항에 취직시켜준다는 사람의 말을 믿고 공항 옆에 세를 얻었다. 이연호 제공
2018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이연호씨가 45년여 만에 찾아간 옛집은 축구장 터로 철거돼 흙더미가 돼 있었다. 어머니가 폐자재가 쌓인 집터에 서서 어깨 위로 날아가는 비행기를 올려다보고 있다. 이연호 제공
2018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이연호씨가 45년여 만에 찾아간 옛집은 축구장 터로 철거돼 흙더미가 돼 있었다. 어머니가 폐자재가 쌓인 집터에 서서 어깨 위로 날아가는 비행기를 올려다보고 있다. 이연호 제공
나를 내보낸 집들을 시간이 통과하자 시간이 흘린 이야기들이 남았다. 방문을 열고 집 밖으로 나선 나는 맷돌질하는 세상에 갈리지 않으려고 세상보다 빨리 돌았다. 집이 헐려 사라져도 맷돌 사이로 떨어진 이야기의 가루는 땅에 붙어 날아가지 않았다. 그 이야기가 건네는 위안에 의지하며 나와 그들과 이 세계의 이야기도 계속될 것이었다.

 

*태어난 집을 이야기하는 사진집단 ‘포토청’의 단체전(‘Birthplace’)이 2월1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 성남시 ‘갤러리 카페앤드티’(중원구 산성대로 594 세영빌딩 3층)에서 열린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1992년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 당시 한살이던 ‘아기 김혜리’가 집이 있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유모차를 타고 있다. 김혜리 제공
1992년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 당시 한살이던 ‘아기 김혜리’가 집이 있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유모차를 타고 있다. 김혜리 제공

 

2018년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 27살이 된 김혜리씨가 같은 장소에서 카메라 앞에 앉아 아기 때의 사진을 들고 촬영했다. 김혜리 제공
2018년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 27살이 된 김혜리씨가 같은 장소에서 카메라 앞에 앉아 아기 때의 사진을 들고 촬영했다. 김혜리 제공

 

1973년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성애병원 신생아실에 갓 태어난 김중백씨가 누워 있다. 김중백 제공
1973년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성애병원 신생아실에 갓 태어난 김중백씨가 누워 있다. 김중백 제공

 

2018년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현재의 성애병원 모습. 신생아실이 있는 신관(왼쪽)과 장례식장이 있는 본관 사이를 구름다리가 잇고 있다. 김중백 제공
2018년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현재의 성애병원 모습. 신생아실이 있는 신관(왼쪽)과 장례식장이 있는 본관 사이를 구름다리가 잇고 있다. 김중백 제공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80947.html?_fr=mt1#csidx4ea1b244e835644a2f77e2fa7efe76c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치와 자본논리를 넘어 민중의 삶이 나아지는 나라”

“정치와 자본논리를 넘어 민중의 삶이 나아지는 나라”
 
노동시민사회단체, 설 맞이 합동기자회견 개최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9/02/02 [08:51]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설을 맞아 사회대개혁을 요구하는 합동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 : 민중당)     © 편집국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설을 맞아 적폐청산과 사회 전면개혁을 요구했다.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은 1일 오후 1130분 서울역 광장에서 합동기자회견을 열고 정치와 자본논리를 넘어선 민중의 삶이 나아지는 나라를 기원했다귀향길에 나선 국민들에게는 안전한 귀향길’ 선전물과 물티슈를 배포했다.

 

이들은 촛불항쟁 후 두 번째 설을 맞는 오늘우리는 개혁이 멈추고 실종된 곳에는 반드시 수구보수세력의 적폐가 부활하고썩은 내 나는 아우성이 들어찬다는 것을 다시 목도한다며 썩은 정치판을 흔들고 불의한 권력을 끌어내리며 국민의 힘으로 열어놓았던 한국사회 대개혁의 기회가 다시 역사의 뒤안길로 파묻히고 있는 꼴을 보고있다고 지적했다.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은 개혁이 실종되고 촛불의 요구가 짓밟히는 만큼 노동자민중 삶의 고통은 커지고 깊어진다며 이런 가운데 노동자농민빈민중소영세상인 등 삶의 질이 나아질 거라 기대했던 민중들의 바람과는 반대로 정부는 친재벌 정책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은 설 명절 이후 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와 함께 1,000인 단식단을 구성하고 2월 9일 7차 범국민추모제를 진행할 것이며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진상규명책임자 처벌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을 투쟁을 힘차게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이들은 노동자와 상인이 연대하고상인이 농민과 연대하고농민이 빈민과 연대하고빈민이 4.16 가족과 연대하고진보정당과 연대하고민중전체와 연대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동과세계보도에 따르면 합동기자회견에 참석한 고 김용균씨 어머니 김미숙씨는 예전 같으면 아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마련하고 있을 텐데 지금은 아무런 의미 없는 명절이 됐다서부발전이 죽였고정치인들이 죽였다그리고 구조적으로 비정규직을 만들어 놓은 이 나라가 내 아들을 죽였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용균이의 죽음 앞에서 정말로 위로하고 싶다면 죽음이 헛되지 않게 비정규직 정규직화 약속을 지켜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

정치와 자본논리를 넘어 민중의 삶이 나아지는 나라를 위한

<설 명절맞이 노동시민사회단체 합동기자회견문>

 

촛불항쟁 후 두 번째 설을 맞는 오늘우리는 개혁이 멈추고 실종된 곳에는 반드시 수구보수세력의 적폐가 부활하고썩은 내 나는 아우성이 들어찬다는 것을 다시 목도한다.

 

1,700만 촛불과 함께 가슴 벅차게 타올랐던 우리의 희망은 어디로 갔는가촛불광장에 나와 노동자 농민빈민청년학생영세자영업자 등 열심히 일하며 성실하게 살아가는 절대다수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 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개혁을 부르짖던 정치인들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는가.

 

정치개혁재벌개혁사법개혁교육개혁사회안전망 개혁 등 한국사회 70년 묵은 온갖 구조적 적폐를 청산하고 시민이 주인되는 새사회로 전진해야 한다는 촛불의 요구를 반드시 실행하겠다던 수많은 위정자들의 약속은 다 어디로 갔는가.

 

촛불정신과 개혁은 실종되고박근혜 국정농단 총관리자였던 황교안의 부활과 재벌특혜세력 부활을 지켜보고 있다썩은 정치판을 흔들고 불의한 권력을 끌어내리며 국민의 힘으로 열어놓았던 한국사회 대개혁의 기회가 다시 역사의 뒤안길로 파묻히고 있는 꼴을 보고 있다개혁이 실종되고 촛불의 요구가 짓밟히는 만큼 노동자민중 삶의 고통은 커지고 깊어진다.

 

경제관료와 보수정당보수언론 등 재벌과 재벌특혜세력들은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주도성장이 경제위기 원인이라며 책임 떠넘기기에 여념이 없다이런 가운데 노동자농민빈민중소영세상인 등 삶의 질이 나아질 거라 기대했던 민중들의 바람과는 반대로 정부는 친재벌 정책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심지어 이 사회 구석구석 쌓인 적폐를 청산하라는 준엄한 국민의 명령을 등한시 한 끝에재벌특혜세력은 4.16 참사마저 더럽히려 하고 있다.

 

재벌갑질에 신음하는 중소상공인과 영세자영업자 곡소리는 끊이질 않는다저임금 노동자와 다를 바 없는 이들의 삶을 개선할 방안을 정부는 몰라서 실행하지 못하는가어디에도 끼지 못하거나 비정규직으로 전락한 청년들의 삶은 고 김용균 노동자 삶이 웅변하고 있다고 김용균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지 54일째다설 명절 전 장례를 치르고 싶은 바람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공공기관 비정규직을 없애겠다는 문재인 정부 정책은 어디로 간 것인가억울하게 죽은 것도 모자라 54일이 되도록 장례조차 치르지 못하고 있지만 정부는 국가 주요시설인 발전소 비정규직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을 여전히 외면하고 있다.

 

우리는 설 명절 이후 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와 함께 1,000인 단식단을 구성하고 2월 9일 7차 범국민추모제를 진행할 것이다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진상규명책임자 처벌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을 투쟁을 힘차게 전개할 것이다.

 

우리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노동자와 상인이 연대하고상인이 농민과 연대하고농민이 빈민과 연대하고빈민이 4.16 가족과 연대하고진보정당과 연대하고민중전체와 연대할 것이다우리는 설을 맞아 어느 때보다 행복해야할 권리와 바람이 있다이를 위해 우리는 투쟁하고 연대할 것이다.

 

우리는 연대로 강해질 것이고강해진 우리는 정부가 미룬 적폐청산과 우리 사회 전면개혁에 나설 것이다.

 

2019년 2월 1

설을 맞이하는 노동시민사회단체 일동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차 북미 정상회담, '빅 딜' 나오나?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9/02/02 09:14
  • 수정일
    2019/02/02 09:14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정욱식 칼럼] 마지막 핵무기가 북한을 떠나면

 

 

 

"저에게는 같은 시간에 마지막 핵무기가 북한 땅을 떠나고 제재가 해제되며 대사관 국기가 내걸리고 평화조약이 체결되는 완벽한 결말이 있습니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1월 31일 스탠퍼드대학에서 한 연설과 일문일답 중 가장 눈에 띈 부분이었다. 이 대목을 주목한 이유는 개인적인 희망 및 활동과 맞닿아 있다. 

나는 북한이 주장했던 "단계적" 해법으로는 문제 해결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왔다. 이게 틀려서가 아니다. 단계를 하나씩 밟으면서 정상으로 가는 방식은 당사자들의 변심과 교체, 한반도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세력의 반격과 저항, 예기치 못한 변수들의 개입 등으로 정상 정복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지난 25년간 북핵을 비롯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실패한 핵심적인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 

그래서 대안으로 톱다운 방식을 제안해왔다. 이건 정상회담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협상 당사자뿐만 아니라 의제도 톱다운 방식이 유용하다는 것이다. 비핵화의 마지막 단계로 간주되어온 북한의 핵무기와 핵물질의 폐기를 최종적인 상응 조치들인 대북 제재 해제, 평화협정 체결, 북미관계 정상화와 동시적이고 구체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로드맵에 합의하는 것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핵심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유력한 방식으로 제안한 것은 이랬다.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핵물질이 북한 땅을 떠나 제3국으로 반출될 때 상기한 상응 조치들을 취하고, 이러한 상응 조치들이 완료될 때 제3국에서 핵무기와 핵물질 폐기에 돌입하자는 것이다. 여기서 제3국은 러시아나 중국을 유력하게 검토할 수 있다고도 봤다. 이 방법밖에는 희망이 없다고 여긴 나는 이 방안을 졸저 <비핵화의 최후>에 담았고, 국내외에 알리려고 노력했다. 

북미 간 공감대 형성? 

경로의존성을 경계하면서도 이러한 해법이 조금씩 가시화되는 것 아닌가 하는 느낌도 받는다. 우선 앞서 소개한 비건의 발언은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우선 그는 "마지막 핵무기"의 처리 방안을 두고 '폐기하다(dismantle)'가 아니라 '떠나다(leave)'라는 표현을 썼다. 이는 북핵 폐기 방식으로 외부 반출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 하나는 제재 해제, 대사관급 관계 수립, 평화협정 체결 등 핵심적이고도 최종적인 상응 조치를 "마지막 핵무기가 북한을 떠나는 것"과 "같은 시간"에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부분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선 비핵화, 후 상응 조치'가 아니라 동시 이행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건 역시 여러 차례에 걸쳐 "북한이 먼저 하면 우리는 나중에 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동시적이고 병행적으로 하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물론 비건의 발언이 북한 측과 얼마만큼 공감대를 형성하고 나온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몇 가지 주목할 점들도 있다. 우선 비건은 최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최선희 외무성 부상, 그리고 그의 새로운 파트너가 된 김혁철 외무성 대미정책 특별대표를 두루 만났다. 그 직후에는 중국 및 러시아의 대표단과도 회의를 가졌다. 이들 두 나라는 북핵 외부 반출시 유력한 접수국들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신년사에는 미묘하지만 중대한 변화의 조짐도 담겼었다. 이전까지 북한이 고수한 "단계적 조처"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 대신에 "빠르게"를 강조했기 때문이다. 또한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 "국제사회가 환영할 만한 결과"를 내놓겠다는 자신감도 피력했다. 그 직후 김 위원장은 시진핑 주석과의 4차 정상회담을 갖고는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북중 공조 의지도 다졌다. 

그리고 1월 중순 김영철 부위원장을 만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믿을 수 없을 만큼 매우 좋은 만남"이었다고 했고, 김영철 일행으로부터 방미 결과를 보고받은 김정은은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해결을 위한 비상한 결단력과 의지를 피력한 데 대하여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예단키는 어렵지만, 두 정상 사이에 큰 공감대가 형성되었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한다. (☞ 관련 기사 : 트럼프와 김정은이 고무된 까닭은? 

결승점에 합의하면 

정리하자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선 '스몰딜'보다는 '빅딜', 특히 북핵 폐기 방안 및 근본적인 상응 조치들을 두고 통 큰 합의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러한 결승점에 합의하면, 한반도 정세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게 끝은 아니다. "디테일 속의 악마들"도 수두룩하고 비건의 연설과 질의응답에서도 북미간의 여전한 시각 차이도 발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평화적으로 한반도 질서를 변경하려는 '작용'은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세력의 '반작용'도 수반할 수밖에 없다.

반작용을 이겨내려면 김정은과 트럼프의 정상회담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중재자로, 때로는 당사자로 역사적 기회를 포착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역할도 대단히 중요하다. 비건의 표현처럼 "70년 묵은 한반도의 전쟁과 적대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기 위한 거보(巨步)는 남북정상회담에서 시작되었고, 또한 남북관계 발전을 통해 불가역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저서 <비핵화의 최후> 보러 가기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제2차 수뇌회담의 초점은 단계별, 동시행동” <조선신보>

“제2차 수뇌회담의 초점은 단계별, 동시행동” <조선신보>
이계환 기자  |  k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2.01  17:08:25
페이스북 트위터

“제2차 수뇌회담의 초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재일 <조선신보>는 1일 ‘조미(북미)공동성명의 정신에 기초한 행동계획의 확정’이라는 기사에서 “조미쌍방이 공동성명 이행의 첫걸음을 내딛자면 무엇보다 조선의 선행조치와 제안, 정책적 의지에 상응한 미국의 비핵화 조치, 관계개선을 위한 신뢰조성 조치와 계획이 합의되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초점을 짚었다.

즉, 현재 북미관계 교착상태의 출로는 “단계별, 동시행동에 의한 신뢰조성”이라는 것이다.

특히, 신문은 “조선반도를 핵무기와 핵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기 위한 미국의 과감한 행동계획, 대화상대에게 적대시정책과 핵전쟁 위협의 종결을 확신케 하는 실천적 조치들을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하고 그 집행을 위한 준비가 마무리될 때 또 하나의 역사적인 상봉이 이루어지게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신문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 비핵화를 이룩해나가는 과정에서 단계별, 동시행동원칙을 준수하는 것”에 합의했는데, 이후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져든 원인은 미국이 이 합의에서 탈선해 “신뢰조성과는 전혀 인연이 없는 일방적 핵무장 해제 요구와 무모한 제재압박 소동에 매달린데 있다”고 짚었다.

즉, 미국은 ‘선(先)핵폐기-후(後)보상’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북한에 대하여 핵시설과 물질, 무기에 관한 목록을 먼저 신고할 것을 요구해 나섰다는 것이다.

신문은 미국이 “조미 핵대결의 귀추를 바로 보지 못하고 패전국에나 적용될 수 있는 일방적이며 강압적인 논리를 들고 나왔다”고 꼬집으면서, 그러기에 제1차 북미정상회담은 “핵무기로 서로 상대를 겨루는 조선과 미국이 70년에 걸치는 대결에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기 위해 마련된 평화담판”이었기에 “여기서 미국은 결코 ‘승자’가 아니었다”고 명확히 했다.

따라서 “공동성명에 조선의 일방적 핵폐기를 의미하는 용어인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FFVD(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는 없으며 오직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명기되었다”는 것이다.

신문은 “그 실현을 위해서는 조선이 해야 할 몫이 있고 미국이 해야 할 몫이 있는 것만큼 쌍방이 단계별, 동시행동으로 신뢰를 구축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향하여 한발 한발 함께 나가야 한다”면서 “이렇게 놓고 보면 앞으로 개최될 제2차 조미수뇌회담은 그동안의 미국의 그릇된 협상태도가 시정되어 공동성명의 정신에 기초한 동시행동조치가 확정되는 자리가 된다”고 예측했다.

신문은 “조선은 ‘세계최대의 핵보유국’으로서 강권과 전횡을 일삼는데 익숙된 미국이 악습에서 벗어나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걸음을 착실히 이어나가도록 이끌고 있다”며, 북미협상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음을 시사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서른살 전교조의 ‘딥 체인지’, 조합원 뜻대로~

[인터뷰] 권정오 전교조 위원장

1월2일부로 임기를 시작한 권정오 전국교직원노조 위원장을 만났다. 지난해 연말 시행된 전교조 19대 임원선거에서 기호 3번 권정오(53)·김현진(45) 후보조가 51.5%를 득표해 결선 투표없이 당선했다. ‘바꾸자! 전교조, 주목하라! 교사의 일상에, 선택하라! 새로운 세력을, 딥(DEEP) 체인지’를 슬로건으로 건 권정오 위원장의 서른살 전교조의 새 계획을 만날 수 있었다. [편집자]

오전 9시, 출근과 동시에 진행된 다소 어수선한 인터뷰는 권정오 위원장이 직접 타준 차 한 잔의 여유로 안정을 찾았다.

연초에 누구나 그렇지만 울산에서 올라와 6만 조합원의 위원장이 된 권정오 선생님은 최근 일상이 없는 일상을 살고 있다.

[사진 : 선현희 기자]

근본적인 변화

권 위원장의 고단한 서울 생활 이야기가 채 끝나기도 전에 첫 질문을 던졌다. 영어까지 써가며 ‘딥(DEEP) 체인지’라고 했는데, 어떤 의미를 담았는지…?

“근본적인 변화. 전교조 전체가 근본적인 변화를 하지 않으면 이 위기상황을 돌파할 수 없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모였음을 표현했다.”

권 위원장은 전교조가 위기라고 진단했다. 그래서 위기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는지 물었다.

“선거 기간 가장 많이 들은 이야기가 ‘노동조합이 제발 조합원 얘기 좀 들어주세요’였다. 이말을 바꾸면 조합원이 전교조의 주인이 아니었다는 것. 활동가 중심의 사업관행들이 너무 오래되다보니, 대중조직 다운 활동은 사라지고 대중과 지도부가 격리된 상황이 위기의 본질이다.”

사실 진보진영 내에서는 너 나 할 것 없이 한 번쯤 이런 진단을 했다. 문제는 실행 여부. 권정오 집행부는 ‘조합원을 주인으로’라는 결심이 ‘구호’로 끝나지 않을 것이란 담보가 있는지 물었다.

“조합원들이 나서기 시작했다. 아무도 예상 못했던 결선 투표 없이 1차에 당선된 선거 결과는 ‘딥 체인지’에 대한 단순한 지지가 아니라 조합원들이 체인지의 주역이 되겠다는 의사 표현이다.”

[사진 : 선현희 기자]

조합원의 뜻대로

권 위원장은 조합원의 힘과 지혜를 모으면 ‘참교육의 함성’을 넘어 서른살 전교조가 한국사회의 새로운 30년을 설계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넘쳐났다.

2019년 집행 첫해, 권 위원장은 직접민주주의의 토대를 닦는 것을 제1목표라고 했다.

“첫째 전교조 중앙본부의 인원과 기능을 줄이고 지부와 지회의 역할을 높이겠다. 두 번째는 의사결정 구조에 조합원들의 직접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신설된 조합원총회의 기능을 높이겠다.”

시스템을 아무리 잘 갖춰도 결국 일은 사람이 하는 것인데, 조합원들이 움직이지 않으면 소용없는 일 아닐까? 권 위원장은 이런 의구심을 풀어 주었다.

“조합원의 뜻대로. 조합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사업은 기획 단계에서 폐기한다. 사업의 시작은 조합원의 발기로, 집행은 조합원의 힘으로, 결과는 조합원이 덕 보게….”

[사진 : 선현희 기자]

교육권은 보호되어야 한다

권 위원장은 우리 사회에 ‘교육권’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교육권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교육권 보호법을 제정하겠다.”

교사의 권리와 권위를 보장받겠다는 ‘교권’이 아니라 교육할 권리를 의미하는 교육권. 교육권이라는 조금은 생소한 표현에서 ‘선생질’이 아니라 선생님이라는 존경받는 스승의 모습이 떠올랐다.

“정작 무너진 것은 교권이 아니라 교육하고 교육받을 권리 바로 교육권이 무너졌다.”라는 권 위원장의 말은 오래도록 마음을 무겁게 했다.

권 위원장은 최근 50대 교사의 명예퇴직자가 늘어나는 이유도 교육권 문제라고 지적했다. 교사에게 부여되는 교육 이외의 과다한 업무와 스트레스가 그들을 더 이상 학교에 버틸 수 없게 한다는 것이다.

교육권이 무너진 데는 학부모의 책임도 있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마라’는 옛이야기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자녀들에게 학부모가 선생 욕을 해대는데 그 학생이 선생님을 어떻게 대할지는 뻔한 일이다.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스카이 캐슬’을 어떻게 봤는지 궁금해졌다. 전편을 다 보진 못했고, 중간중간 몇편을 봤다는 권 위원장은 ‘스카이 캐슬’은 드라마 장르로는 호러(공포)물이라고 답했다.

“30년 교사생활을 하고 있지만 설마 진짜 저럴까… 싶다가도, 학교장 표창(대학진학에 반영) 받으려고 자기 자녀를 학생회장 시키기위해 온갖 수단 다 동원하는 것 보면 또 그럴 것 같기도 하고…”

서른살 전교조의 꿈

권 위원장은 민주노총을 비롯한 노동운동의 위기상황을 전교조는 어떻게 함께 헤쳐나갈지에 대한 물음에는 즉답을 피했다. 다만 관성적이고 형식적인 사업태도와 구호만 난무한 실속없는 투쟁전략으로는 진보진영의 위기를 돌파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권 위원장은 말한다. “1989년 전교조를 창립한 지난 30년간 전교조의 상상이 현실이 되는 과정이었다. 무상급식, 고등학교 무상교육, 혁신학교 등 모두 전교조의 꿈이었다. 서른살 전교조는 여전히 미래를 꿈꾼다. 교육이 미래고, 전교조의 상상이 미래다.”

 

강호석 기자  sonkang114@gmail.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현장]“김복동 할머니 훨훨 날으소서” 94개 만장과 노란 나비들의 행진

故 김복동 할머니 노제, 600여명 시민들 참여한 가운데 엄수돼

양아라 기자 yar@vop.co.kr
발행 2019-02-01 12:10:59
수정 2019-02-01 12:14:20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운구행렬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앞을 지나 영결식이 열리는 옛 일본대사관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운구행렬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앞을 지나 영결식이 열리는 옛 일본대사관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뉴시스
 

"우리의 영웅! 김복동 당신이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일본군 성노예 책임자 처벌..."

평화·인권운동가이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故 김복동 할머니의 마지막 배웅길. 청년들은 김복동 할머니의 삶을 보여주는 94개의 만장을 들고 서울광장에서 구 일본대사관까지 행진을 펼쳤다. 시민들은 평화를 상징하는 노란 나비를 흔들며 만장 뒤를 따랐다.

고 김복동 할머니의 영면을 기원하는 거리의 제사, 노제가 1일 오전 8시 50분 경부터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시작됐다. 김 할머니를 배웅하기 위해 시민들은 이날 오전 8시 30분 경부터 서울광장에 모여들었다. 600여명이 넘는 시민들은 "김복동 할머니 사랑합니다. 할머니의 꿈 이뤄드리겠습니다"라는 사회자 최광기 씨의 말에 함성으로 답하며 첫 발걸음을 뗐다.

이날 행렬의 선두엔 환한 웃음을 지은 김복동 할머니가 두팔을 벌리고 나비들과 함께 날아가는 그림이 걸린 차량이 섰다. 해당 차량은 온통 노란 꽃과 나비로 꾸며져 있었다.

윤홍조 마리몬드 대표가 운구차에 앞서 김 할머니의 영정 사진과 위패를 들고 걸었다. 침통한 표정의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이사장과 손영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평화의 우리집' 소장도 노란 나비를 들고 그 뒤를 따랐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도 연신 눈물을 닦아내며, 다른 정부 인사들과 함께 운구차 곁을 따라 걸었다.  

뒤이어 시민들이 "여성인권운동가 고 김복동님 나비되어 훨훨 날으소서"라고 쓰인 현수막을 들고 걸어갔다.  

김복동 할머니의 목소리가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울려 퍼졌다. 만장을 두손으로 꽉 쥐고 선 학생과 시민들은 할머니의 목소리가 들리자 고개를 떨궜다가 천천히 움직였다.

시청광장 벽면에 설치된 시민 게시판에는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는 김복동 할머니의 생전 인터뷰 영상이 나왔다. 시민들은 행진을 잠시 멈추고 할머니의 영상을 지켜보기도 했다.

시청광장-세월호광장-미대사관을 지나 구 일본대사관 인근에 다다르자 행진이 잠시 멈췄다. 사회자는 "김복동 할머니 기억하겠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할머니의 꿈을 이루겠습니다"라고 소리 높여 외쳤다. 시민들도 구호에 맞춰 수차례 힘찬 함성을 질렀다.  

또한 시민들은 "일본은 공식 사죄하고 법적 배상하라"라고 함께 거듭 외쳤다. 일본 정부의 사죄를 요구하는 김복동 할머니의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다시 스피커를 통해 울려퍼졌다. 시민들은 "김복동 할머니와 끝까지 함께 한다"고 다짐했다.  

노제 행렬은 마지막으로 27년간 일본 정부를 향해 공식 사죄를 요구한 김복동 할머니가 있었던 곳, 매주 수요집회가 열리는 구 일본대사관 앞에 도착했다. 만장을 든 시민들은 구 일본 대사관을 등지고 소녀상을 향해 만장을 들어보였다.  

노제가 끝나고 같은 장소에서 오전 10시 30분부터 여성인권운동가 고 김복동 시민장 영결식이 시작됐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베네주엘라에서 석유강탈을 추구하는 미국의 음흉한 목적과 기만성

미국 베네주엘라 사태에서 석유강탈이 진짜 목적이다.
 
번역, 기사 이용섭 기자 
기사입력: 2019/02/01 [11:31]  최종편집: ⓒ 자주시보
 
 

베네주엘라에서 석유강탈을 추구하는 미국의 음흉한 목적과 기만성

 

긴박하게 진행되고 있는 베네주엘라 사태는 미국과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 그리고 그 괴뢰국가들에 의해 정치, 경제, 군사, 사회, 언론 등 모든 분야에서 동시적으로 현 베네주엘라를 이끌어가고 있는 니꼴라스 마두로 정부에 대한 압박과 회유 그리고 선전선동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과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자신들에게 고분고분하지 않은 나라들을 무너뜨리기 위해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구호는 바로 “민주주의의 회복”이요, “인도주의 붕괴”요하면서 그 나라를 이끌어가고 있는 지도자를 “독재자” “인민생활을 붕괴시켜 고통을 주는 무능한 지도자” 등으로 매도를 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 독재정권을 교체(실제로는 강제로 붕괴)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선전전을 벌이면서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하여 압박을 가하고 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자신들이 키워놓은 해당 나라의 허수아비(주구)를 “탁월한 야당 지도자”요, “민주화의 투사”요 하면서 그를 적극적으로 내세우면서 그 나라에서 정부를 반대하는 대규모 유·무혈시위와 폭동을 일으키도록 사주를 한다. 2017년에 이어 채 2년도 안되어 발발한 베네주엘라 사태가 바로 그렇게 일어난 것이다.

 

대규모 유·무혈시위와 폭동과정에 대해 해당 나라의 정부당국이 강력하게 대응을 하면 또 다시 인권탄압이요, 민주주의파괴요, 자유의 보장이요 뭐요 하면서 해당 나라를 부도덕하고 악랄한 독재국가,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옥같은 나라로 몰아가는 선전선동을 대대적으로 벌인다.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그것도 통하지 않으면 마지막 수단으로 해당 나라 내부적으로 군사쿠데타를 일으키도록 지휘를 한다. 현재 베네주엘라는 군사쿠데타를 일으키기 직전에 돌입한 상태다. 

 

하지만 자신들이 지휘한 군사쿠데타가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을 경우 바로 반군세력이요 뭐요 하면서 자신들이 조직한 고용병들을 동원하여 해당나라에 투입을 하여 군사적인 작전을 펼친다. 물론 당연히 자신들이 투입한 고용병들에 대해서도 독재체제에 맞선 정의의 반군세력이라고 치켜세워주는 것은 두 말 할 필요가 없다. 물론 미국과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베네주엘라에 대한 군사적 조치로 이 단계도 철저히 준비를 마친 상태에 있다.

 

그것도 통하지 않으면 그때에는 드디어 군사력을 동원하여 직접 해당 나라를 침략공격을 한다. 베네주엘라에 대해서 이 역시 준비를 마친 상태에 있다. 바로 그를 위해 볼튼의5,000명의 군대 꼴롬비아 파견”이라는 내용이 적힌 쪽지가 공개되었으며, 미국의 13개 주와 중남미 15개 국가를 담당하고 있는 “미국 남부군 사령관 꼴롬비아 방문” 그리고 “미군 전투기들 꼴롬비아에 계속해서 착륙”이라는 사실들이 공개가 되었다.

 

미국과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자신들에게 고분고분 하지 않은 나라들에 대해 위와 같은 만행을 저지르고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목적이 존재한다. 먼저 첫째가는 목적은 “신세계질서”구축을 위한 지배주의와 패권주의의 달성이다. 이는 그 세력들의 최종적이며 궁극적인 목표이다. 두 번째는 온 누리를 영원히 식민  배를 하기 위한 것이다. 세 번째는 경제적 목적이다. 즉 해당 나라에 존재하는 무궁무진한 자원 및 노동력을 착취하고자 하는데 있다. 넷째는 현실적이며 즉시적인 목적인데 바로 무기와 군수물자 그리고 생필품 등과 같은 소모품들을 팔아먹으면서 경제적인 부를 계속 쌓아가고자 하는데 있다.

 

이번 베네주엘라의 사태 역시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벌이고 있는 것이다.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베네주엘라에서 얻고자 하는 숨겨진 속셈은 바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는 석유자원의 강탈에 있다. 일반인들이 제대로 된 정보를 모르기에 오늘 날 연료시장(에너지 시장)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이 된다고 믿고 있을 뿐이지 국제적인 석유수요와 공급은 실질적으로 국제석유연합(카르텔)에 의해 결정이 된다. 당연히 국제유가 역시 그들 결정을 하는 것이지 석유의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2015년이 베럴 당 100달러 선이던 국제유가가 석 달만에 그 1/3수준인 36달러 까지 대 폭락을 했던 이유가 바로 그들이 국제석유시장을 완전히 틀어쥐고 통제를 하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당시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서규에 나라의 경제를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던, 그리고 자신들에 맞서 자주적인 나라를 이끌어가고 있던 러시아, 이란, 베네주엘라의 경제를 붕괴시켜 궁극적으로 해당나라를 무너뜨리고 다시 자신들이 석유와 경제 그리고 정치적인 지배를 하기 위해서 벌인 음흉한 계책에 의해 발생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계획은 러시아와 이란에서는 통하지 않고 실패를 하였으나 나라의 경제가 거의 석유에 의존을 하고 있던 베네주엘라는 나라의 경제가 심각하게 타격을 받았다. 그로인해 베네주엘라 인민들의 삶이 피폐해질 수밖에 없었다.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바로 이를 빌미로 마두로 정부가 무능하고 부패해서 베네주엘라의 경제를 붕괴시켰다는 둥, 인민들을 탄압하고 부패한 독재정권이다 보니 경제가 무너져 내려 베네주엘라 인민들의 삶이 궁핍해졌고 또 인도주의의 재난이 닥쳤다는 등 하면서 자신들이 벌인 비열하고 악랄한 책동에 대한 책임을 고스란히 마두로 정부에 떠 넘겼다. 바로 이 과정에서 커다란 역할을 한 것 역시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소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거대 런론들과 이를 고스란히 되받아 물어 나팔을 불어댄 괴뢰국가들의 언론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현재도 그 기조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이를 빌미로 2017년 몇 개월에 걸친 대규모 시위와 폭동을 조장하였으며, 작년도 8월에는 마두로에 대한 암살을 시도하였다. 또 그 과정에서 미미했지만 군사쿠데타를 지휘하기도 하였다.

 

베네주엘라는 1998년 마두로 대통령 이전 우고 차베스는  통령에 당선이 된 후 자국에 무궁무진하게 묻혀있는 석유자원을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강탈해가는 것을 막기 위해 과감하게 자국의 원유채굴시설들을 국유화해버렸다. 차베스는 거기에서 얻어지는 수익을 과감하게 베네주엘라 인민들에게 돌렸다. 차베스가 시행한 정책은 바로 사회주의 정책이다.

 

이를 대단히 못 마땅해 하던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그 이후부터 오늘 날까지 다시 석유패권을 가져오기 위해 끊임없이 베네주엘라에서 대규모 시위와 폭동 등을 사주하여 그 나라를 정치적인 위기로 몰아갔다. 또한 그들은 베네주엘라의 지도자를 암살하기 위해 갖은 방법을 다 동원하였다. 위키리키스가 폭로한 바에 의하면 이전 대통령 우고 차베스는 재임 14년 반 동안 무려 135회의 암살에 시달렸으며, 현 대통령 마두로는 겨우 5년 여 기간 동안 무려 36회의 암살 위기에 처했었다.

 

이와 같이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약 20여 년간 자신들에게 맞서 자주적인 베네주엘라를 이끌어오고 있는 정권들을 붕괴시키기 위해 갖은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하였지만 실패를 하자 이번에 드디어 정치, 경제, 외교, 사회 등에서 벌인 붕괴책동을 넘어 군사적인 방법까지 동원을 하는 만행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와 같이 현재 왜 베네주엘라 사태가 발발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분명하게 알아야 한다. 결코 서방의 거대 주류언론들이나 현 남쪽의 언론들이 보도하는 내용을 절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 그들은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 더 정확히는 검은 그림자 세력들의 나팔수들일 뿐이지 결코 온 누리 인민들이나 현 남쪽에 살고 있는 우리 겨레 구성원들에게 정의와 진리에 입각한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지 않는다.

 

아래 스뿌뜨닉끄 1월 31일 자 두 편의 기사는 바로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명백하게 증명을 해주고 있다. 기사에 대해서는 따로 분석은 하지 않으니 위 내용과 연결하여 읽어보기 바란다.

 

 

----- 번역문 전문 -----

 

미국 국제개발처, 구아이도 베네주엘라의 ‘민주주의 회복’에 대해 동의

 

▲ 마크 그린 미국 국제개발처(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USAID) 처장 은 베네주엘라의 자칭 임시 대통령 구아이도와 전화로 회담을 가졌으며, 회담과정에서 라띤 아메리까 나라의 민주주의 "회복을 돕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데 합의를 하였다고 처장이 말했다. 그린은 베네주엘라 국회 뿐 아니라 인권문서 그리고 독립 언론과 관련된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같은 핵심 민주적인지지자들에 대한 미국의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또한 그린 처장은 미국 정부의 니꼴라스 마두로에 대한 비난을 하고 있는데 대해 강조하고, 베네주엘라에서 완전한(원문-반구) 자유를 추구하는 시민 중심적 통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에 대해 미국 국제개발처가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였다."고 미국 국제개발처가 수요일 성명서에서 밝혔다.     ©이용섭 기자

 

라띤 아메리까 2019년 1월 31일 11시 00분(최종 2019년 1월 31일, 11시 04분)

 

모스끄바 (스뿌뜨닉끄) - 마크 그린 미국 국제개발처(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USAID)  처장 은 베네주엘라의 자칭 임시 대통령 구아이도와 전화로 회담을 가졌으며, 회담과정에서 라띤 아메리까 나라의 민주주의 "회복을 돕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데 합의를 하였다고 처장이 말했다.

 

"그린은 베네주엘라 국회 뿐 아니라 인권문서 그리고 독립 언론과 관련된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같은 핵심 민주적인지지자들에 대한 미국의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또한 그린 처장은 미국 정부의 니꼴라스 마두로에 대한 비난을 하고 있는데 대해 강조하고,  베네주엘라에서 완전한(원문-반구) 자유를 추구하는 시민 중심적 통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에 대해 미국 국제개발처가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였다."고 미국 국제개발처가 수요일 성명서에서 밝혔다.

 

국제개발처에 따르면 논의를 하는 동안 구아이도는 베네주엘라의 "긴박한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서 그린에게 말하였으며, 그린(원문-후자)은 미국은 "증가하는 인도주의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베네주엘라 전지역에 긴급 구호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잇다."고 되풀이 하여 강조하였다.

 

"처장과 임시 대통령 구아이도는 베네주엘라의 존엄과 인권 및 민주주의 회복을 돕기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공동의 약속을 한 후 대화를 마쳤다."고 성명서는 덧붙였다.

 

개발처는 앞으로도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위해 구아이도파(팀)와 지속적으로 접촉할 것이다고 말하였다.

 

니꼴라스 마두로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워싱턴이 쿠데타를 일으키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러시아, 메히꼬, 뛰르끼예, 우루구아이 등 다른 나라들은 마두로를 합법적으로 선출된 유일한 대통령으로 인정을 하면서 베네주엘라에 대한 외부의 불간섭원칙을 존중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베네주엘라는 국제 유가의 하락으로 촉발된 정치, 경제적 위기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반정부세력들(원문-야당)은 악화된 인도주의 문제를 말잔치(원문-수사학)를 통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1월 23일 베네주엘라 국회의 야당 지도자인 구아이도가 반정부 시위가 진행되는 가운데에 스스로를 임시 대통령이라고 선언을 한 후 위기는 새로운 방향으로 접어들었다. 다음 날 신속하게 구아이도를 인정한 미국은 인도주의지원에 2천만 달러 이상을 제공한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했다.

 

 

----- 번역문 전문 -----

 

'기름 강탈" 미국 '베네주엘라 인민들과 함께 서 있다.' 내용 트위터를 뜨겁게 달구었다.

 

▲ '기름 강탈" 미국 '베네주엘라 인민들과 함께 서 있다.' 내용 트위터를 뜨겁게 달구었다. 니꼴라스 마두로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이전에 미국시민들에게 호소하였고 그리고 그를 지지해주고 트럼프 행정부가 자신의 "조국을 라띤 아메리까의     ©이용섭 기자

 

라띤 아메리까 2019년 1월 31일, 10시 03분(최종 2019년 1월 31일, 12시 41분)

 

니꼴라스 마두로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이전에 미국시민들에게 호소하였고 그리고 그를 지지해주고 트럼프 행정부가 자신의 "조국을 라띤 아메리까의 웻남화"하는 것을 막아달라고 하였다.

 

백악관 언론 담당 허커비 사라 센터스는 야당이 주도하고 있는 베네주엘라 국회의장인 구아이도가 올린 내용:" 미국은 베네주엘라 인민들과 함께 한다."는 글을 뉴욕타임스 기사에 연계시켰다.

 

그렇지만 사회관계망(눈) 이용자들은 센더스의 호응에 대해 별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였고 그리고 그녀의 상관인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인들과도 함께 서 있지도 않다."고 주장하였다.:

 

일부 누리꾼들의 반응은 마두로의 - 워싱턴은 세계 최대의 석유 매장량을 돌파하였다라는 생각을 반영하였다.:

 

▲ 베네주엘라 누리꾼들은 트위터를 통해 미국이 현재 베네주엘라에서 벌이고 있는 만행의 진짜 목적은 베네주엘라의 민주주의와 인도주의 그리고 인권의 회복을 위한다는 미국의 주장에도 불구하고석유강탈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용섭 기자

 

▲ 현재 미국이 벌이고 있는 베네주엘라 사태의 진 목적은 베네주엘라에 매장되어 있는 무궁무진한 석유 강탈에 그 진짜 목적이 있다.     ©이용섭 기자

 

1월 23일 스스로 라띤 아메리까 나라의 임시 대통령이라고 선언을 한 구아이도는 베네주엘라 군의 지지는 니꼴라스 마두로를 퇴진시키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것이라고 말하는 내용을 (트위터에)썼다.

 

"마두로씨에 대한 군부의 지지철회는 정부를 변화시키는데 대단히 중요하며,  관련업무에 종사하는 대다수는 최근 이 나라의 고통스러운 상황을 지지할 수 없다는데 동의한다. 이번의 전환은 핵심 군사파견단의 지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는 군대와 보안군과 비밀협상을 가졌다."

 

센더스의 지지트윗은 마두로가 트럼프 행정부가 까라까스 내정에 개입하지 못하게 하고, 조국은 또 다른 웻남(웻남전쟁)화 하지 말 것을 "미국 인민들"에게 호소를 한 직후에 나왔다.

 

▲ 니꼴라스 마두로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미국이 현 베네주엘라 사태를 일으킨 진짜 목적은 베네주엘라에 매장되어 있는 무궁무진한 석유를 강탈하기 위한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용섭 기자

 

1원 29일 베네주엘라 대법원은 과도정부의 은행계좌 및 금융거래를 자국 관할내에서 차단을 하고 그의 활동에 대한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연금(여행금지)조치를 결정하였다.

 

화요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볼튼은 워싱턴은 구아이도를 협박하기 위해 기소한 검찰을 비난하였으며,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야당 지도자를 해치려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고 말하였다.

 

마두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은 베네주엘라의 국영석유회사인  PDVSA에 제재를 가하였으며, 미국 보험회사(원문-은행)에 동결되어 있던 특정 자산에 대한 통제권을 구아이도에게 넘겨주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베네주엘라 인민들의 의지를 반영한 합법적인 지도자(구아이도를 지칭)"에 동의를 하고 퇴진을 할 것을 마두로에게 요구하였지만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워싱턴이 쿠데타를 지휘하고 있다고 비난을 하면서 미국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구아이도의 자칭 대통령직은 곧바로 미국, 카나다, 이스라엘, 그루이자, 알바이나 그리고 남미의 12개 국가들에서 인정을 받았으나 반면 러시아, 중국, 뛰르끼예 그리고 또 다른 여러 나라들은 마두로를 베네주엘라의 합법적인 유일한 대통령으로 받아들였다.

 

 

----- 원문 전문 -----

 

USAID Administrator, Guaido Agree to Work to 'Restore Democracy' in Venezuela

 

▲ 마크 그린 미국 국제개발처(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USAID) 처장 은 베네주엘라의 자칭 임시 대통령 구아이도와 전화로 회담을 가졌으며, 회담과정에서 라띤 아메리까 나라의 민주주의 "회복을 돕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데 합의를 하였다고 처장이 말했다. 그린은 베네주엘라 국회 뿐 아니라 인권문서 그리고 독립 언론과 관련된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같은 핵심 민주적인지지자들에 대한 미국의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또한 그린 처장은 미국 정부의 니꼴라스 마두로에 대한 비난을 하고 있는데 대해 강조하고, 베네주엘라에서 완전한(원문-반구) 자유를 추구하는 시민 중심적 통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에 대해 미국 국제개발처가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였다."고 미국 국제개발처가 수요일 성명서에서 밝혔다.     © 이용섭 기자

 

LATIN AMERICA 11:00 31.01.2019(updated 11:04 31.01.2019)

 

MOSCOW (Sputnik) -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Administrator Mark Green held phone talks with Juan Guaido, self-declared interim president of Venezuela, during which they agreed to "work together to help restore" democracy in the Latin American country, the agency said.

 

"Green reaffirmed the United States' commitment to continue supporting the Venezuelan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other key democratic actors like local civil society organisations that are involved in human rights documentation and the independent media. Administrator Green also underscored the US government's condemnation of Nicolas Maduro, and reaffirmed USAID's commitment to promoting citizen-responsive governance in Venezuela, in pursuit of a Hemisphere of Freedom", the USAID said in a Wednesday statement.

 

During the talks, Guaido told Green about "the dire humanitarian situation" in Venezuela, while the latter reiterated that the United States was "ready to provide emergency aid throughout Venezuela to help meet this increasing humanitarian need", according to USAID.

 

"The Administrator and interim President Guaidó closed their conversation with a mutual commitment to work together to help restore dignity, human rights, and democracy in Venezuela", it added.

 

The agency noted that it would continue to be in contact with Guaido's team to work out concrete plans in the coming days.

 

Venezuelan President Nicholas Maduro accuses Washington of staging a coup in the country. Russia, Mexico, Turkey, and Uruguay among other countries, continue to recognise Maduro as the country’s only legitimately-elected president and demand that others respect the principle of non-interference in Venezuela's internal affairs.

 

The country has been suffering from a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triggered by the fall of global oil prices, with the opposition actively using deteriorating humanitarian issues in its rhetoric. On 23 January, the crisis took a new turn when the speaker of the opposition-led Venezuelan National Assembly, Guaido, declared himself interim president amid ongoing anti-government protests. The next day, the United States, which swiftly recognised Guaido, said that it was ready to provide the country with more than $20 million in humanitarian assistance.

 

 

----- 원문 전문 -----

 

'To Steal Their Oil?' WH Roasted for US 'Stands With People of Venezuela' Tweet

 

▲ '기름 강탈" 미국 '베네주엘라 인민들과 함께 서 있다.' 내용 트위터를 뜨겁게 달구었다. 니꼴라스 마두로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이전에 미국시민들에게 호소하였고 그리고 그를 지지해주고 트럼프 행정부가 자신의 "조국을 라띤 아메리까의 웻남화"하는 것을 막아달라고 하였다.백악관 언론 담당 허커비 사라 센터스는 야당이 주도하고 있는 베네주엘라 국회의장인 구아이도가 올린 내용:" 미국은 베네주엘라 인민들과 함께 한다."는 글을 뉴욕타임스 기사에 연계시켰다. 그렇지만 사회관계망(눈) 이용자들은 센더스의 호응에 대해 별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였고 그리고 그녀의 상관인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인들과도 함께 서 있지도 않다."고 주장하였다.:     © 이용섭 기자

 

LATIN AMERICA 10:03 31.01.2019(updated 12:41 31.01.2019)

 

Venezuelan President Nicolas Maduro previosuly appealed to US citizens and asked them to support him and prevent the Trump administration from turning his "homeland into a Vietnam in Latin America".

 

White House press secretary Sarah Huckabee Sanders has shared a link to The New York Times' article by Juan Guaido, the head of Venezuela's opposition-led National Assembly, with the message: "America stands with the people of Venezuela".

 

Social media users, however, appeared to be unimpressed by Sanders's response and claimed that her boss, President Donald Trump, "doesn't even stand with Americans":

 

Some netizens' reactions reflected Maduro's sentiments — Washington is after the world's largest oil reserves:

 

▲ 베네주엘라 누리꾼들은 트위터를 통해 미국이 현재 베네주엘라에서 벌이고 있는 만행의 진짜 목적은 베네주엘라의 민주주의와 인도주의 그리고 인권의 회복을 위한다는 미국의 주장에도 불구하고석유강탈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이용섭 기자

 

▲ 현재 미국이 벌이고 있는 베네주엘라 사태의 진 목적은 베네주엘라에 매장되어 있는 무궁무진한 석유 강탈에 그 진짜 목적이 있다.     © 이용섭 기자

 

Guaido, who declared himself the Latin American country's interim president on 23 January, penned an op-ed, in which he said that support from the Venezuelan military was "crucial" to forcing Nicolas Maduro out of office.

 

"The military's withdrawal of support from Mr Maduro is crucial to enabling a change in government, and the majority of those in service agree that the country's recent travails are untenable. The transition will require support from key military contingents. We have had clandestine meetings with members of the armed forces and the security forces".

 

Sanders's supportive tweet came shortly after Maduro had called on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to not let the Trump administration interfere into Caracas's internal affairs and turn his motherland into another Vietnam.

 

▲ 니꼴라스 마두로 베네주엘라 대통령은 미국이 현 베네주엘라 사태를 일으킨 진짜 목적은 베네주엘라에 매장되어 있는 무궁무진한 석유를 강탈하기 위한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 이용섭 기자

 

On 29 January, the Venezuelan Supreme Court blocked Guaido's bank accounts and financial transactions within the country's jurisdiction, and imposed a travel ban on him until an investigation into his activities is completed.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er John Bolton stated on Tuesday that Washington condemned Venezuelan prosecutors for threatening Guaido, and warned of "serious consequences for those who attempt to subvert democracy and harm" the opposition leader.

 

In a bid to ramp up pressure on Maduro, the US introduced sanctions against Venezuela's state-owned oil giant PDVSA, and passed control over certain frozen assets held by US-insured banks to Guaido.

 

The Trump adiminstration has been calling on Maduro to step down in favour of a "legitimate leader reflecting the will of the Venezuelan people", while the Venezuelan president has accused Washington of orchestrating a coup and severed diplomatic ties with the country.

 

Guaido's self-proclaimed presidency was instantly recognised by the US, Canada, Israel, Georgia, Albania and over a dozen South American countries, while Russia, China, Iran, Turkey, and several other nations consider Maduro to be the only legitimate president of Venezuela.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화려한 공작 꼬리, 표범은 보지 못한다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9/02/01 12:18
  • 수정일
    2019/02/01 12:18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화려한 공작 꼬리, 표범은 보지 못한다

조홍섭 2019. 01. 31
조회수 745 추천수 0
 
1m만 떨어져도 포식자 눈에는 주변과 구분 안 돼
 
513.jpg» 날개 덮개를 부채처럼 펼친 공작 수컷. 암컷의 눈에는 선명하게 보여도 포식자 눈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터너 호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공작 꼬리만 보면 토할 것 같아.” 찰스 다윈은 1860년 동료 과학자에 보낸 편지에 이렇게 적었다. 물론 농담조였지만, 수컷 공작의 꼬리는 공들여 이룩한 그의 진화이론을 망쳐버릴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보석처럼 아름답고 거대한 공작 수컷의 꼬리(실제로는 꼬리가 아니라 확장한 날개 덮개)는 포식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도망치는 발걸음을 가로막을 뿐이다. 자연은 어떻게 이런 불리한 형질을 선택했을까.
 
이후 다윈은 자연에 앞서 암컷의 선택이 주요하게 작용한다는 ‘성 선택’ 이론을 제시했지만 논란은 계속됐다. 이스라엘 생물학자 아모츠 자하비가 1975년 내놓은 ‘핸디캡(불리한 조건) 이론’은 그런 예다. 천적의 눈에 잘 띄고 움직이기 힘들 정도로 큰 장식을 하는 개체일수록 건강하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공작 수컷은 이런 허세의 대표적 예이다. 꼬리 장식이 과대한 열대어 구피도 마찬가지다.
 
512 (7).jpg» 거추장스럽게 긴 날개를 끌고 날아가는 공작 수컷. 부담을 감수하는 만큼 능력이 있다는 핸디캡 이론이 있다. 세르보프바브,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그런데 이런 주장은 하나같이 수컷 공작을 사람이나 암컷 공작이 보는 것처럼 포식자에게도 보일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다. 과연 그럴까. 수잔 아마도르 케인 미국 하버포드대 물리학 교수 등 미국 연구자들은 이런 의문을 풀기 위해 반사율 분광학과 멀티스펙트럼 이미징 등 물리학 기술을 동원해 포식자의 눈에 공작 수컷이 어떻게 보이는지 조사했다.
 
흔히 다른 동물이 사람보다 시력이 좋을 것처럼 생각하지만, 최근 사람 등 영장류의 시력은 동물계에서 맹금류 등 일부 조류를 빼고 최고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관련 기사거미줄에 '조류 충돌 방지' 무늬 넣는 호랑거미). 영장류는 잘 익은 과일과 새순을 찾고 숨어있는 포식자를 가려내기 위해 다른 포유류보다 뛰어난 시력을 간직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빨강, 초록, 파랑 등 빛의 3원색을 본다. 새들은 여기에 더해 자외선까지 본다. 그러나 고양이과 동물 등 대부분의 포식자는 2가지 빛만 보는 적·녹 색맹이다.
 
00502479_20180601.JPG» 동물의 시력 분포. 가로축은 눈 지름이고 세로축은 시력이다. 사람은 최상위에 위치한다. 케이브스 외 (2018) ‘생태학과 진화 동향’ 제공.
 
짝짓기 철 수컷 공작은 푸른색과 초록색이 어울려 보이는 각도에 따라 무지갯빛으로 보이는 현란한 날개깃에 한껏 펴고 흔들어 댄다. 특히 부채처럼 편 공작 깃털의 들어있는 눈꼴 무늬는 암컷의 시선을 사로잡아, 그 무늬가 짝짓기 성공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연구도 있다.
 
연구자들은 수컷 공작 꼬리의 색깔, 밝기, 질감의 콘트라스트를 초록색 수풀 배경에서 조사했다. 놀랍게도 포식자의 눈으로는 1m만 떨어져도 이런 무늬와 색깔을 배경 수풀과 거의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암컷 공작에게는 깃털의 무늬와 색깔이 푸른 식물에 달린 열매처럼 선명하게 보였다.
 
512 (9).jpg» 숲의 배경 속으로 공작 수컷의 날개가 녹아드는 모습을 그린 테일러의 1907년 그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은 “포식자에겐 색깔이 화려한 깃털보다 흑백 깃털이 더 잘 보인다”며 “빨강과 노랑 깃털도 마찬가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사람과 다른 새에게는 화려한 색깔로 보이는 새들도 포식자의 눈에는 단조롭게 칙칙하게 보인다”고 덧붙였다. 공작의 주요 포식자는 표범, 승냥이, 호랑이 등이다. 연구자들은 포식자가 시각 이외에 움직임 감지, 청각과 후각 등을 이용해 사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공작 날개의 눈꼴 무늬는 가까이에서 가장 도드라지지만 실제로는 주변 배경에 쉽게 녹아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좀 떨어진 곳에서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 부위는 공작의 머리, 목, 가슴에 드러난 푸른 깃털이었다. 부채꼴 꼬리보다 포식자 눈에 더 띄지만, 암컷을 유혹하는 효과는 꼬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또 실제 공작이 사는 어두컴컴한 숲 속이나 황혼녘에 공작의 화려한 깃털은 이번 실험보다 훨씬 포식자의 눈에 띄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12 (10).jpg»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공작 수컷의 가장 두드러지는 부위는 큰 날개가 아니라 머리와 목의 푸른 깃털이다. 파보 크리스타투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 연구는 미발간된 생물학 분야의 연구를 동료 비평을 듣기 위해 미리 공개하는 누리집인 ‘바이오리시브’에 7일 실렸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Suzanne Amador Kane, How conspicuous are peacock eyespots and other colorful feathers in the eyes of mammalian predators?, bioRxiv preprint first posted online Jan. 7, 2019; doi: http://dx.doi.org/10.1101/514240.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靑, 대선공정성 제기에 “이미 국민 판단…전제가 잘못”

김진태 ‘대선무효’, ‘대통령 알고 있었나’엔 답변안해…문 대통령, 한정우 신임 부대변인 임명

조현호 기자 chh@mediatoday.co.kr  2019년 02월 01일 금요일
 

김경수 경남도지사의 드루킹 댓글조작 유죄판결을 두고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야권과 일부 언론에서 대선공정성을 문제삼고 나서고 있으나 청와대는 말을 아끼고 있다.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달 31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바둑이(김 지사의 별칭)’가 구속됐으니 경인선을 알고 있는 김정숙이나 광화문은 공범 아닌가”라며 “지난 대선은 여론조작으로 치러졌으니 무효”라고 주장했다. 김태흠 의원은 청와대 분수대 앞 의총에서 “문재인 정권이야말로 찬탈한 정권”이라고 했고, 김영우 의원은 “이 정도면 문재인 정부는 문을 닫아야 하지 않느냐”고 비난했다.

대선 공정성 문제제기까지 쏟아져나오자 말을 아껴온 청와대는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1일 아침 기자들과 만나 “대선공정성에 대해서요. 이미 국민의 판단을 받은 문제이기 때문에 그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 자체가 전제가 잘못됐고,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판결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냐’는 질의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이미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한 입장이 공식적인 입장이다. (그 외의) 비공식 입장을 이런 자리에서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 입장이 정리되면 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이번 판결과 관련해 자유한국당 등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경수 지사와 드루킹의 댓글활동의 관계를 어디까지 알고 있었느냐도 강하게 따져묻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답을 하지 않았다. 

지난달 30일 김 지사가 법정구속됐을 때 ‘드루킹 사건의 대통령 사전인지 여부’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터무니없다”고 답한 이후 아직 한번도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고 있지 않다.  

 

▲ 나경원 원내대표와 정용기 정책위의장을 비롯한 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김경수 경남지사의 드루킹 댓글 조작사건 등의 대통령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사진=자유한국당
▲ 나경원 원내대표와 정용기 정책위의장을 비롯한 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김경수 경남지사의 드루킹 댓글 조작사건 등의 대통령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사진=자유한국당
 
청와대 관계자는 1일 오전 통화에서 “그런 비판은 사실로 굳어졌을 때를 전제로 해명과 사과를 요구하는 것인데, 대변인이 밝힌 ‘최종심을 지켜보자’는 것 안에 모든 답이 있다. 묻는 모든 사안에 일일이 코멘트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경수 지사는 문 대통령의 경선후보 시절부터 대변인을 지내 선거운동 과정 등을 보고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드루킹 활동도 보고했을 것이라고 합리적 의심을 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이 관계자는 “댓글을 다는 것까지 보고하는 것이 합리적 추정이라고 주장하는데, 과연 대변인이 댓글 달고 왔다는 것까지 보고 했겠느냐. 수많은 선거운동에서 과연 그것이 득표에 대단한 도움이 됐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보고를 했을 것이라는 것이 과연 합리적 의심인가 하는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청와대는 부대변인을 한 명 더 임명했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1일 신임 부대변인에 한정우 행정관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오늘 대변인실에 새로 인사가 났다. 부대변인 추가로 한 명 더 임명을 했다. 오늘부터 업무를 한다. 대변인 업무가 과잉이라 한정우 부대변인이 새로 업무를 맡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정이 신임 부대변인은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는 주요 국정 현안에 언론인 여러분께 잘 설명드리는 역할을 하겠다”며 “언론 소통을 강화해 어떤 정책을 어떻게 하는지 잘 알리기 위함이다. 김의겸 대변인과 고민정 부대변인 저 자주 만나 잘 설명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 한정우 신임 청와대 부대변인. 사진=청와대
▲ 한정우 신임 청와대 부대변인. 사진=청와대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6668#csidx1d0e8a822b417c38293bd00c1674fb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제주도민이 말하는 감귤 따기 알바가 ‘극한 직업’인 이유

감귤은 물론, 한라봉, 천혜향 등 각종 만감류도 꼭 드셔 보시기 바랍니다
 
임병도 | 2019-02-01 08:53:43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2017년 10월 뉴스입니다. 제주도가 감귤 수확 인력을 모집하고 이들에게 항공권과 숙박까지 제공한다는 내용입니다.

비록 2년 전 뉴스이지만, 매년 감귤 수확철만 되면 나오는 뉴스라 아마 올해 10월쯤에도 또 등장할 것 같습니다.

감귤 따는 인력이 없어 제주도가 지원한다는 얘기는 2013년에도 나온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도 뉴스에 소개됐듯이, 해마다 감귤 수확 인력을 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감귤 따기 알바를 극한직업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감귤 농사를 하면서 밭에 비료를 뿌리는 모습. 비료 포대를 메고 좁은 통로를 헤집고 다녀야 해서 그리 쉽지 않은 작업이다.

아이엠피터는 2013년에 제주에서 감귤 농사를 했습니다. 돈을 벌려고 시작한 것은 아니고, 제주에서 살면서 1인 미디어 활동을 하니 제주를 알아야겠다는 생각에 감귤농사를 시작했습니다.

감귤 농사는 다른 농사에 비해 손이 덜 갑니다. 봄에 전정하고, 풀 베고, 비료와 농약을 시기별로 뿌려주면 끝이 납니다. 물론 이 작업도 저와 같은 초보 농사꾼에게는 엄청 힘들었습니다.

특히 감귤밭은 돌이 많습니다. 제초제를 뿌리지 않고 풀을 베려면 돌이 튀는 등 쉽지 않습니다. 친환경농법을 왜 포기하는지 그때 깨닫기도 했습니다. 농약을 쓰지 않으면 그만큼 손이 많이 가서 더 힘듭니다.

감귤 농사 중에서 가장 힘든 작업은 무엇일까요? 바로 감귤 따기입니다.

▲눈을 맞은 감귤과 폭설과 냉해로 밭에 버려진 감귤.

감귤은 수확철이 짧습니다. 11월부터 12월 중순, 특히 눈이 오기 전에는 귤을 따야 됩니다. 왜냐하면 눈이 오면 귤껍질과 알맹이 사이가 떠서 맛이 없어지기 때문인데요.

감귤 수확 전에 폭설이나 강추위가 오면 제주에서는 감귤이 피해를 입습니다. 이때는 감귤을 폐기 처분하기도 합니다. 한 해 농사를 망치게 됩니다.

간혹 제주도에서 보상을 해주기도 하지만 금액이 적어, 농민들은 많은 손해를 봅니다.

▲제주에는 일손이 귀해 벌초 방학이나 감귤방학 같은 이색 방학이 있었다. 지금은 거의 사라졌다.

짧은 수확 시기에 감귤을 따야 하니 감귤 수확철만 되면 제주는 난리가 납니다. 그래서 직장을 다니는 가족들은 월차 휴가까지 받아 감귤을 따기도 합니다.

제주에서는 감귤 수확철에는 ‘감귤방학’까지도 있었습니다. 남원읍이나 서귀포 등 감귤이 많이 나는 지역에서는 일손이 부족해서 아이들까지도 감귤을 따야 하니, 방학을 해서 일손을 도왔습니다.

그래도 감귤 따는 인력이 부족하니 육지, 아 제주 사람들은 제주 이외는 육지라고 부릅니다. 육지 사람들을 비행기표도 보내주고 숙박까지 시켜주며 감귤 따는 인력으로 모집합니다.

▲감귤따기는 나무에서 딴 감귤을 들고 다니는 바구니에 넣었다가 나중에 노란색 컨테이너에 싣는 작업 순서로 이어진다.

제주에서 감귤 따기 알바, 뭔가 꿀알바 같아 보입니다. 감귤도 따고 제주 여행도 하고 아주 좋아 보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아주, 아주 힘듭니다.

일단 육지에서 특히 남자들이 감귤 따기 알바로 가면 감귤을 따는 것이 아닙니다. 감귤은 가위를 이용해서 따서 바구니에 넣고 나중에 노란색 컨테이너로 옮깁니다.

문제는 초보자의 경우 제대로 감귤을 따지 못하니 감귤 따는 일을 시키지 않고, 컨테이너를 나르는 작업만 한다는 점입니다.

▲감귤을 싣기 전인 컨테이너와 트럭에 상차한 감귤 켄테이너

할머니라고 하는 숙련된 할망들이 하루에 혼자서 600킬로 30박스를 땁니다. 5명이서 작업을 하면 30X 5= 150 박스가 나옵니다. 결국 하루에 20킬로 노란색 컨테이너를 150박스를 날라야 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냥 컨테이너를 나르면 되니 쉬울 것 같지만, 한 두 박스도 아니고 수백 박스를 나르는 일은 생각보다 아주 힘듭니다.

감귤밭은 굉장히 좁습니다. 가지가 뻗어서 중간에 서서 걸어가지도 못합니다. 할망들이 밭 사이에 귤을 따 놓고 가면 허리를 숙이고 들어가서 컨테이너를 들고 차가 있는 곳까지 와야 합니다.

여기에 보통 1톤 차량에 가득 상차를 해야 하는데, 처음에는 낮아서 괜찮지만, 컨테이너를 쌓을수록 올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제주에서 감귤 수확철이 끝나면 남자들은 허리가 아파서 병원을 찾는 일이 많습니다.

▲감귤을 따서 택배로 보내기 위해 박스 작업을 마친 모습

남자는 그렇다 치고 여자들은 어떨까요? 보통 할망들이 하루에 600킬로 땁니다. 600 킬로면 여러분들이 흔히 보는 10킬로 감귤 박스 60개입니다. 혼자서 60개를 작업해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그냥 귤을 따는 게 아닙니다. 처음에는 괜찮은 감귤, 즉 팔 수 있는 사이즈가 되는 상품성 귤을 잘 보고 빠르게 따야 합니다.

보통 제주에서는 초보자들은 감귤 따기를 시키지 않습니다. 데려다가 일을 시켜봤자 손이 느리니 일당만 나가고 생산성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제주에서 감귤 수확 아르바이트를 모집하는 공고

뉴스에 나왔던 감귤 따기 알바 공고를 보겠습니다. 근로시간을 보면 08시에서 17시로 되어 있습니다. 근무시간은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문제는 일당입니다. 임금 수준을 보면 6만 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보통 제주 할망들이 8만 원까지 받는 것에 비하면 낮은 것 같지만, 또 숙련도를 따지면 그리 적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제주에서는 이런 임금을 가지고 사람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남자들은 노가다를 해도 10만 원씩 받으니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젊은 여자들은 하고 싶어도 감귤 따기 알바가 쉽지 않으니 갔다가 며칠 만에 포기합니다.

여기에 나온 선과장 알바는 조금 괜찮습니다. 그래서 요새 제주 사람들은 똑같은 돈이면 감귤 따기 알바가 아니라 선과장에서 일을 하는 알바로 대거 몰립니다. 당연히 또 감귤 따기 알바를 할 사람이 없어지는 겁니다.

▲감귤 농사와 따기는 보통 가족들이 많이 한다. 일손을 구하기 힘들어 체험농장으로 운영할 때 모습. 지금은 감귤 농장을 하지 않고 있다. (체험 농장도 하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 감귤 수확철에 육지에서 저희 부모님과 장인, 장모님이 오셔서 도와주셨습니다. 그래도 힘들어서 아예 감귤을 체험 농장으로 돌렸습니다. 먹고 싶은 만큼 공짜로 따서 먹고, 사고 싶은 사람은 자기가 따서 10킬로 한 박스에 만원씩 가져가라고 했습니다.

감귤 따는 할망 부르면 최소 6만원씩 3명만 써도 18만원, 여기에 밥값에 교통비까지 주면 남는 게 없습니다. 그래서 인건비로 손해 보느니 아예 싸게 일반 소비자에게 넘긴 겁니다.

예전에 감귤나무를 대학나무라고 불렀습니다. 감귤 농사로 자식들을 대학까지 보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주에는 카페 이름이 대학나무인 곳도 있습니다.

그런데 요새는 감귤 값은 똥값이 되고, 땅값은 올라 감귤 농사보다 땅을 팔아 다른 일을 하는 게 더 나아졌습니다.

▲1970년대 감귤을 나무 상자로 거래하는 모습과 감귤 따는 장면

감귤 따기 알바가 극한 직업에 속할 정도로 힘듭니다. 과거에는 자식들을 대학에 보내기 위해 힘들어도 참고 버텼습니다.

당시에도 감귤 인력은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전라도 지역에서 많은 인력들이 대거 제주로 오곤 했습니다. 제주에 전라도 지역 분들이 많이 거주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당시에 제주에 왔다가 계속 사는 분들 때문입니다.

제주는 고령화가 되면서 감귤 농사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감귤 농사 대신 감귤밭을 펜션이나 카페 등으로 만드는 일도 제주에서는 쉽게 볼 수 있습니다.

▲ 1톤 트럭에 감귤을 싣고 선과장에 가다가 전복된 모습. ⓒ제주의 소리

감귤 수확철에 제주를 여행하신 분들은 사진 속 장면을 목격한 적이 있을 겁니다. 밭에서 딴 감귤 컨테이너를 1톤 트럭에 잔뜩 싣고 가다가 사고가 나서 감귤이 몽땅 쏟아진 모습입니다.

저도 길지는 않지만, 짧게 감귤 농사를 했기에 저런 장면을 목격하면 참 마음이 아픕니다.

방송이나 뉴스를 보면 감귤 따는 알바하면 제주 여행도 하고 아주 좋을 듯 포장해서 방송합니다. 방송이나 뉴스만 보고 혹 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감귤 농사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악마의 알바라고 불리는 택배 상하자 아르바이트 ⓒTV조선 화면 캡처

뭐 다른 일도 힘들겠지만, 감귤 따기도 택배 상하차만큼 어려운 일입니다. 남성들의 경우 쌀 20킬로 150포대를 나른다고 생각해보세요. 허리가 나갑니다.

감귤 따기 알바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진짜로 감귤 따러 왔다가 며칠 만에 도망가신 분들도 많습니다.

혹시라도 감귤 따기 알바를 환상처럼 생각하는 분이 있다면, 신중하게 생각했으면 합니다.

▲택배로 받은 감귤이 터진 경우 모두 골라내야 나머지 감귤도 오래 먹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혹시 감귤을 택배로 주문하셔서 드신다면 택배를 받자마자 꼭 박스를 열어서 밑에까지 확인해야 합니다.

귤은 상처 나기 쉬운 과일이라 박스에 하나라도 깨진 귤을 방치하면 전부 못 먹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감귤은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 오래 먹을 수 있습니다. 냉장고에 보관했을 경우 먹을 만큼만 실온에 일정 시간 놔뒀다가 먹으면 더 맛있습니다.

혹시라도 겨울철에 제주를 여행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감귤은 물론이고, 한라봉, 천혜향 등 각종 만감류도 꼭 드셔 보시기 바랍니다. 다만, 1월 이후에는 노지감귤은 모두 수확이 끝났기 때문에 감귤 따기 체험 등은 할 수 없습니다.

제철 과일이 맛있지만, 감귤은 겨울철이 제주에서 먹는 게 더 맛있답니다.

유튜브에서 바로보기:제주도민이 말하는 감귤 따기 알바가 극한 직업인 이유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173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경수와 드루킹, 처음부터 잘못된 전략이었다

[주장] 네이버 댓글작업이 '업무방해'가 아닌 이유... 인터넷에 혐오글만 남길 것인가

19.01.31 10:38l최종 업데이트 19.01.31 10:38l

 

법정구속된 김경수 경남지사 김경수 경남지사가 30일 오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어 구치소행 호송차를 타고 있다.
▲ 법정구속된 김경수 경남지사 김경수 경남지사가 30일 오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어 구치소행 호송차를 타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처음부터 잘못되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드루킹을 분리해서 사고하려는 전략 자체가 힘겨워 보였다. 그렇게 긴 기간, 그렇게 많은 텔레그램 메시지 등이 오는데 (김 지사가) 보지 않았다고 입증하기가 어려워 보였다.

이럴 게 아니라 드루킹의 행위 자체가 중범죄가 될 수 없음을 힘을 합쳐 소명했어야 한다. 드루킹에 대한 유죄판결은 이미 인터넷의 사회적 역할에 조종을 울린 날이었다.

물론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댓글/추천 올리기에 대해서 컴퓨터 업무방해죄를 적용한 사례들이 있지만 내가 아는 한 모두 벌금형 정도였다. 당연하다.

 

첫째, 다른 이용자들에게 피해를 준 것도 아니고 컴퓨터들이 작동하는 방식대로 그 결을 따라 이용을 했고 일일이 손으로 할 것을 자동화한 것뿐인데 이걸 갑자기 범죄로 몰아치는 것은 신뢰 이익에 어긋난다. 미국 교수에게 웹사이트라는 게 원래 막노동으로 하던 걸 자동화한 것인데 웹사이트 만드는 것도 범죄냐고 반문한다. OECD 국가 중에서 매크로 어뷰징을 범죄로 처벌하는 나라 있으면 제발 알려달라.

둘째, 한국의 인터넷 규제가 유별나서 드루킹의 행위도 처벌된다고 치자. 다른 댓글들에 쏠렸을 관심을 가로챘다는 잘못이 있다. 오프라인에 비교하자면 길거리에서 가두확성기를 불법데시벨로 틀어놓은 정도의 일이다. 절대로 징역 살 일이 아니다.

네이버 '업무방해'로 징역 2년?

업무방해? 네이버의 업무에 대한 손해가 정녕 징역 2년어치가 되는가? 네이버의 실명 정책을 어겼다고 한들 그건 네이버의 비지니스모델일 뿐 국가가 개입해서 형사처벌로 보호할 일인가?

더욱이 지인들이 자신의 계정을 제공해준 것이라면 실명정책을 어기기는 한 것인가? 네이버가 각자 스스로 쓴 댓글로 여론을 보여주려고 한다는 것도 네이버의 소망일 뿐 이용자들이 곧이곧대로 안 따라 주면 범죄가 되는가?

교수가 좋은 학생들 키우고 싶어서 제발 하루에 10시간 이상 공부하라고 얘기하는데 학생들이 10시간 공부 안 하면 교수에 대한 업무방해가 되는가? 검찰이 업무방해죄로 노조 탄압할 때 사용자가 피해 없다고 해도 막무가내로 노조에게 업무방해죄 뒤집어씌울 때가 자꾸 생각난다.
 
 19대 대통령 선거 등을 겨냥해 댓글 조작을 벌인 혐의로 기소된 '드루킹' 김동원 씨가 30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선고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려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2019.1.30
▲  19대 대통령 선거 등을 겨냥해 댓글 조작을 벌인 혐의로 기소된 "드루킹" 김동원 씨가 30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선고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려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2019.1.30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여론 훼손? 네이버 댓글 양상이 언제부터 여론이 되었는가? 사람들이 많이 몰리면 그냥 그건 여론이 되고 거기서 다른 사람이 안 쓰는 도구를 써서 주의를 끌면 여론훼손죄가 되는가?

'미네르바' 사건과 비슷한 냄새가 난다. 페이스북이 나오기 전인 2008년, 다음 아고라에서 활동하던 미네르바는 수십만 명의 팬을 거느렸다. 이 수십만 명이 몰리는 걸 보고 여론을 호도한다며 난리 쳐서 미네르바가 처벌을 당했다.

게다가 여론훼손죄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데 이런 식으로 처벌하는 건 '원님 재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근대국가에 여론훼손죄는 이정현씨가 최근 유죄판결을 받은 방송간섭죄밖에 없고, 방송은 방송에게 주어진 특수하고 독점적인 임무 때문에 그런 보호를 받는 것이다.

국민들이 '좌표' 찍으면 불법인가

언론소비자주권캠페인의 활동이 생각난다. 소비자 불만전화는 소비자 불만을 털어놓으라고 만든 곳이고 소비자들이 전화해서 '당신 물건 팔아줬는데 당신네 회사가 조중동에 광고해서 기분나쁘다'라고 불만 털어놓았더니, 불만을 조금 많이 털어놓았다고 업무방해죄로 처벌당했다.

네이버 게시판은 이용자들이 댓글을 달고 추천하라고 만들어놓았고, 드루킹은 댓글을 달고 추천하는데 더 열심히 하려고 소프트웨어를 이용했더니 업무방해죄로 처벌되고 있다. 애당초 알고리즘의 기능방식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므로 원래 컴퓨터 업무방해죄의 입법목표였던 해킹도 아니었다.

인터넷을 통해 대중들이 자유롭게 이합집산하며 의견을 표시했던 날은 이제 종지부를 찍는 것인가? 이제 인터넷은 대중운동의 요람이 되지 못하고, 극우보수의 가짜뉴스와 일베의 혐오글들만 남기자는 것인가?

국정원 댓글과 비교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그때와 다르다. 2012년 국정원 댓글사건은 선거에 영향을 줘서 범죄가 된 게 아니라 국정원 직원들이 선거에 영향을 주려고 해서, 즉 국가의 주인은 국민이고 공무원은 종인데 종이 주인을 오도하려고 해서 범죄가 된 것이다.

국민들이 합법적인 도구를 이용해서 (매크로가 불법이라고 생각하는 분들 있는데 그럼 MS엑셀도 불법이다) 열심히 의사표시를 한 걸 가지고 불법이라고 주장하는 것부터 문제이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박경신 기자는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입니다. 이 기사는 박경신 교수의 페이스북 글을 본인의 동의를 얻어 편집해 게재한 것입니다. 박경신 교수의 자세한 주장은 '드루킹 '댓글조작' 의 형법 및 공직선거법 적용에 있어서 합헌적 해석의 필요성 ' 논문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트럼프 “북미관계 최고, 제대로 된 비핵화 기회” 정보당국 회의론 정면 반박

 
트럼프 “북미관계 최고, 제대로 된 비핵화 기회” 정보당국 회의론 정면 반박
 
 
 
김원식 | 2019-01-31 11:18:07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트럼프 “북미관계 최고, 제대로 된 비핵화 기회” 정보당국 회의론 정면 반박
“진전이 이뤄지고 있고, 김정은 곧 만나길 기대”… 미 조야 대북 회의론 조기 차단 포석

지지자들에게 주먹을 들고 호응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자료 사진)ⓒ뉴시스/A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 시간) 지금이 어느 때보다도 북미관계가 최고이고 제대로 된 비핵화 기회라며, 전날 댄 코츠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의 의회 청문회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이날 트위터에 이란, 시리아 철군, 북한 등 자신의 외교정책을 비판한 코츠 국장의 언급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정보당국을 향해 “수동적이고 순진하며, 틀렸다”고 비판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북한과 미국의 관계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최고(best)”라면서 “(핵) 실험도 없고 유해들이 송환되고 있으며, 인질들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이) 비핵화의 제대로 된(decent) 기회”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북한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지만, 이전 (미국) 행정부 말기에는 끔찍했고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나려고 했었다”면서 “지금은 완전히 이야기(story)가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나는 곧(shortly) 김정은을 보게 되길 기대한다”면서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 (이것이) 큰 차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 시간) 트위터를 통해 지금이 북미관계가 최고이고 제대로 된 비핵화 기회라며, 미국 정보기관의 최근 평가를 정면 반박했다.ⓒ트럼프 공식 트위터 캡처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특히, 미 정보당국 수장이 북한 비핵화에 대한 불신론을 언급한 것에 관해 미국 조야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에 관해 회의론이 이는 것을 조기에 차단하고, 북미협상의 동력을 확보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전날 코츠 국장은 미 의회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 출석해 “현재 우리는 북한이 그들의 WMD(대량파괴무기) 역량을 유지하려고 하고, 핵무기와 생산 능력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한다”면서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관해 외신과 미 주류 언론들은 그동안 비핵화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면서 대북 낙관론을 펴온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과 상충하는 것이라며, 미국 정보기관 수장들의 입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충돌’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자신의 외교정책과 차이를 빚은 코츠 국장의 언급을 하나씩 비판하며 “정보기관(Intelligence)은 아마도 학교로 돌아가야 할 것!”이라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코츠 국장을 비롯한 정보기관 수장들은 교체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민중의소리’에 게재된 필자의 기사입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1&table=newyork&uid=29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흑역사’를 낱낱이 파헤쳐드립니다

[정치톡] 자유한국당 국회 보이콧 ‘전수조사’해보니…결론은 ‘빈손 회군’

남소연 기자 nsy@vop.co.kr
발행 2019-01-31 08:58:00
수정 2019-01-31 08:58:00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김슬찬 기자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의 임명을 두고 연초부터 자유한국당이 국회 보이콧을 선언했습니다. 전무후무한 상상력을 발휘한 '5시간 30분 릴레이 단식 농성'으로 덩달아 국회 보이콧도 떠들썩하게 알려졌죠.

그런데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선언에 왠지 모르게 기시감이 듭니다. 왜일까요?

기억을 되짚어보니 일 년 전에도, 불과 몇 달 전에도 자유한국당이 국회를 멈춰 세웠기 때문입니다. 여야 불문 자유한국당을 두고 "습관성 보이콧 정당"이라는 촌평이 나오지만, 자유한국당은 이러한 기억을 잊어버렸다는 듯 되려 역정만 내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의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아 주기 위해서라도 민중의소리가 20대 국회가 시작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자유한국당이 보이콧 흑역사를 꼼꼼히 따져봤습니다. 대체 자유한국당은 얼마나 많은 국회를 멈춰 세웠던 걸까요. 그리고 왜 보이콧을 했고, 보이콧을 통해 자유한국당이 얻은 것은 또 무엇일까요. 

20대 국회만 해도 24번이나 국회가 열렸으나 
자유한국당 보이콧만 무려 11번
 

자유한국당 보이콧에 텅빈 회의장. 자료사진
자유한국당 보이콧에 텅빈 회의장. 자료사진ⓒ정의철 기자

20대 국회 들어 국회는 총 24번 열렸습니다. 정기국회가 3번, 임시국회가 21번인데요. 국회법에서 규정한 정기국회와 2·4·6·8월 임시국회를 제외하더라도 12차례 임시국회가 추가로 열린 것입니다.  

이 중 자유한국당이 국회를 보이콧한 사례는 총 11번으로 절반에 가깝습니다. 매 회기마다 다른 이유로 자유한국당발 국회 파행사태가 이어진 셈이죠. 야당일 때는 물론이고, 심지어 국회 운영을 원만하게 이끌어야 할 여당일 때에도 보이콧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자유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은 '여소야대' 지형 핑계를 대며 여당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4번이나 국회 파행 사태를 자초했습니다. 심지어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들의 인사청문회조차 들어가지 않으면서 야당만 청문회에 참석하는 황당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촛불혁명으로 여야가 뒤바뀌자 자유한국당의 보이콧은 좀 더 노골적으로 변했습니다. 이번처럼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에 반발하며 되려 '협치를 파괴했다'고 주장하는 식이죠. 채용 비리 등에 연루된 자당 의원을 검찰 소환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방탄국회'를 열고, 파행시키고, 곧바로 또다시 방탄국회를 연 사례도 빠져서는 안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흑역사 유형을 총 4가지로 나눠 봤습니다. 

◆유형 1:"헌정사상 처음" 집권여당이 국회 파행의 중심에 

2016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기국회 개회식에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개회사를 문제 삼아 항의하고 있다.
2016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기국회 개회식에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개회사를 문제 삼아 항의하고 있다.ⓒ뉴시스

먼저, '집권여당도 보이콧한다' 형입니다. 여당이 국회 파행의 중심에 서고 야당이 국회를 지키는 이 웃지 못할 상황은 2016년 실제로 벌어졌습니다. 

2016년 7월 임시 국회, 박근혜 정부 당시 여당이었던 새누리당(자유한국당의 전신)은 당시 야당이었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결산안을 처리한 데 대한 반발로 국회 보이콧을 선언했습니다. 상임위 한 곳의 문제를 빌미로 전체 국회를 멈춰 세운 것입니다.

당시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야당의 사과"를 국회 정상화의 조건으로 내걸었는데요, 환노위원장이었던 홍영표 민주당 의원이 원론적인 유감을 표명하자 보이콧 선언 후 겨우 '반나절' 만에 국회 복귀를 선언했습니다.  

2016년 정기국회 첫날에도 '여당발 국회 파행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정세균 국회의장이 국회 개회사에서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사드 배치 논란을 언급하자, 이를 빌미로 새누리당이 국회 일정을 또다시 전면 거부한 것입니다. 

이때 새누리당이 보여준 모습은 집권여당이라고 하기에는 가히 민망한 수준이었습니다. 의원 수십 명이 국회의장실로 몰려가 항의하고, 정 의장에 대한 사퇴 촉구 결의안까지 제출했을 정도였으니까요. 

이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이 지명했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여당 의원 없이 진행되는 사태도 벌어졌습니다. 참고로, 이 보이콧이 있기 하루 전날에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었는데요. 당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도 새누리당 의원들이 불참하면서 야당 의원들만 참여한 채 진행됐습니다. 여당이 없는 청문회는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이후 처음이라고 하죠? 

새누리당은 국회를 정상화시키기 위해서 정 의장의 사퇴와 본회의 사회권 이양, 재발방지책 등을 요구했고, 일단 정 의장이 박주선 당시 국회부의장에게 사회권을 넘기면서 20대 국회 첫 정기국회가 다시 정상화되는 듯했습니다. 

2016년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정세균 사퇴 관철을 위한 새누리당 당원 규탄대회’에서 규탄발언을 마친 이정현 대표가 정진석 원내대표와 포옹하고 있다.자료사진
2016년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정세균 사퇴 관철을 위한 새누리당 당원 규탄대회’에서 규탄발언을 마친 이정현 대표가 정진석 원내대표와 포옹하고 있다.자료사진ⓒ정의철 기자

하지만 이후 정기국회는 또다시 파행됐습니다. 이번엔 야당이 제출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의 해임결의안이 본회의에서 통과되자 국회가 정상화된 지 3주 만에 또 보이콧을 선언한 것입니다. 당시는 국정감사 기간이었는데요, 새누리당은 정 의장의 사과와 즉각적인 사과 없이는 국회를 정상화하는데 협조할 수 없다고 으름장을 놓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새누리당의 내부 균열로 웃지 못할 해프닝도 많이 발생했습니다. 강경투쟁을 해야 한다는 친박계와 국회에 복귀하자는 비박계가 충돌한 것이죠. 

심지어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이었던 김영우 새누리당 의원은 당론과 달리 국정감사를 진행하겠다고 하자, 새누리당 의원들이 김 의원을 '감금'하는 사태도 발생했습니다. 김 의원은 당시 국방위원들에게 "제가 지금 국방위원장실에 갇혀있다"는 'SOS' 문자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112에도 김 의원이 감금돼 있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국회에 출동하는 해프닝도 벌어졌습니다.

새누리당의 강공에도 정 의장이 꿈쩍 않자, 이정현 당시 새누리당 대표는 단식 투쟁에 들어갔습니다. 마침 이 때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비선실세 의혹이 서서히 드러나는 시점이기도 했는데요. 뜬금없는 이 대표의 단식 투쟁은 박 전 대통령을 향한 의혹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였냐는 뒷말도 나왔습니다. 

이때부터 새누리당의 출구전략은 꼬이기 시작했습니다. 단식 중이던 이정현 대표가 의원들에게 국정감사 복귀를 당부했지만 이를 의원들이 수용하지 않았고, 오히려 동조 단식에 나서는 등 투쟁 수위는 점차 높아졌습니다. 결국 이 대표가 일주일 만에 단식 중단을 선언하고 나서야 새누리당은 슬그머니 국회로 돌아왔습니다.  

당시 원내 투쟁을 담당했던 정진석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의 당파적, 편파적 국회 운영의 횡포를 바로잡으라는 것도 국민의 뜻이고 동시에 집권여당으로서 국정감사에 복귀해 국정 책임을 다하라는 것도 국민의 뜻"이라며 국회 복귀 명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새누리당이 당초 요구했던 국회의장의 즉각적인 사퇴는커녕 사과조차 받아내지 못하면서 대다수의 언론은 '빈손 회군'이라는 혹평을 내놓았습니다. 집권 여당이 정치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주로 야당이 하는 국회 보이콧을 일삼으면서 새누리당 스스로 여당으로서의 무능력을 입증한 꼴이었죠. 

한 해가 지난 2017년 2월 국회에서도 어김없이 새누리당은 상임위 파행 사태를 빌미로 국회 보이콧을 선언했고, 이때에도 야당과 원론적인 합의를 타결한 후 국회로 돌아왔습니다.

◆유형 2:국회 내팽개치는 대신 정부 발목 잡자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과거 국회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의원총회 중 열린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명 문재인 대통령 규탄대회에서 규탄 피켓을 들고 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과거 국회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의원총회 중 열린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명 문재인 대통령 규탄대회에서 규탄 피켓을 들고 있다.ⓒ양지웅 기자

이제부터는 여야가 바뀝니다. 야당이 된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선언은 조금 더 황당한 이유로, 더 자주 벌어지는데요.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두 번째 유형은 '정부 힘 빼기' 형입니다.

대선 직후 문재인 정부가 주요 정부 부처 인사들을 잇따라 발표했던 2017년 6월 임시국회와 7월 임시국회에서 자유한국당은 또다시 보이콧 카드를 남발했습니다.

6월 임시국회에서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임명이 발단이 됐습니다. 당초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임명될 때부터 보이콧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집권 초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로 인해 전면적인 대여 투쟁을 나서는 데에는 부담을 느끼는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강 장관이 임명되자마자 당시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여권과 냉각기를 가져야 한다'는 이유로 하루 이틀 정도 상임위 활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합니다. 야당이 반발한 인사를 임명한 데 대한 일종의 항의성 보이콧인 셈이지만, 그야말로 국정을 발목잡기 위한 '몽니'라는 인상을 지울 순 없었습니다.  

보이콧을 할 명분이 부족했던 만큼 국회 정상화를 위한 여야의 합의도 사실상 유의미한 내용이 없었습니다. 당시 자유한국당은 문 대통령의 사과와 인사 검증 책임을 묻기 위한 국회 운영위 개최 등을 요구했지만, 여야는 7월 중에 정부로부터 업무 보고를 받기로 하고 국회 파행 사태를 매듭지었습니다.  

7월 임시국회도 문재인 정부의 인사로 인한 국회 파행 사태가 이어졌습니다. 자유한국당이 당시 '부적격 3종 세트'로 규정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중 김상곤 사회부총리가 임명되자 또 보이콧을 선언한 것입니다.  

그러나 자당이 정부를 향해 공세를 펼칠 수 있는 안보 관련 상임위원회는 선택적으로 열기로 하면서, 과연 자유한국당의 보이콧이 진정성이 있는 것이냐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됐습니다.

그러던 중 자유한국당이 반드시 낙마시키겠다고 벼르던 '부적격 3종 세트' 가운데 한 명인 조대엽 후보자가 끝내 자진 사퇴하자 자유한국당은 국회 일정에 복귀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 유형 3:언론 정상화도 막고, 국회도 막자 

2017년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가 국회를 보이콧 한 채 서울 강남구 코엑스 광장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의 ‘5천만 핵인질ㆍ공영방송 장악 저지’ 국민보고대회에서 문재인 정부 규탄 발언을 하고 있다.
2017년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가 국회를 보이콧 한 채 서울 강남구 코엑스 광장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의 ‘5천만 핵인질ㆍ공영방송 장악 저지’ 국민보고대회에서 문재인 정부 규탄 발언을 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이 사진, 기억하시나요? 자유한국당이 2005년 이후 12년 만에 장외투쟁에 나서기로 하면서 큰 관심을 모았던 바로 그 집회의 한 장면입니다. 

이때도 어김없이 자유한국당은 국회를 보이콧했습니다. 그런데 이 보이콧의 명분은 너무나도 황당해서 따로 유형을 분류해야 했습니다. 바로 '국회도 막고, 언론 정상화도 막자' 형입니다.

2017년 정기국회 당시 자유한국당은 보도통제·부당노동행위 책임자로 지목된 김장겸 MBC 전 사장 체포영장 발부에 반발하며 정기국회 일정을 전면 보이콧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김 전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은 언론 탄압, 자유민주주의 파괴로 규정하며 장외투쟁까지 불사했는데요.

너무나도 황당한 명분에 국회를 내팽개치고 언론 정상화를 막았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당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이러한 보이콧을 두고 "학교 앞에 자기들이 잘 다니던 분식점 가게 주인이 구청에 소환됐는데 수업을 왜 거부하는 것이냐"라며 촌철살인 평가를 내놓기도 했죠. 보수정당인 당시 바른정당마저도 자유한국당의 '국회 파업'을 외면했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명분은 하나씩 더해졌습니다. 공영방송 장악 저지를 외쳤던 보이콧은 북한의 핵실험을 빌미로 사드 추가 배치 완수, 대북정책 기조 전환 등 자당의 필요에 따라 이런저런 명분이 추가돼 도대체 무엇을 요구하는지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이었는데요.

이쯤 되면 출구전략을 찾는 것도 어려워집니다. 홍준표 당시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해외 순방 중에는 장외투쟁을 중단하겠다며 슬슬 발을 뺄 준비를 하고, 정우택 원내대표도 정부가 언론장악 시도를 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의사 표시가 있다면 국회로 복귀하겠다는 국회 정상화 조건을 밝힙니다. 

결국 이 보이콧의 끝은 어떻게 됐을까요. 정우택 원내대표가 국회에서 정부를 향해 강력한 질타를 이어나가겠다는 선언을 하며 또다시 일주일 만에 '빈손 회군'을 했습니다.

그로부터 45일 만에 자유한국당은 여당에서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임명 절차를 밟자 또 반발하며 보이콧을 선언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당초 자신들이 '여당 몫'으로 추천한 방문진 이사가 사퇴해 생긴 공석이니, 자신들이 추천한 인사를 선임해야 한다는 논리였습니다.

그러나 이번 보이콧 역시 명분이 없다는 비판에 직면해야 했고, 자유한국당은 불과 나흘 만에 보이콧 해제를 선언했습니다.  

◆ 유형 4:우리 당 의원은 우리가 지킨다! 방탄국회 

권성동 자유한국당 의원
권성동 자유한국당 의원ⓒ임화영 기자

마지막 유형은 온 국민을 공분하게 했던 '방탄국회' 형입니다. 

2018년 2월 임시국회, 당시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었던 자유한국당 권성동 의원은 강원랜드 채용비리 수사 대상이었는데요. 이 때 권 의원이 수사 과정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법사위 회의도 파행을 면치 못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은 수사외압 의혹을 받고 있는 법사위원장이 법사위 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권 의원의 법사위원장직 사퇴를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자유한국당은 이를 빌미로 국회 보이콧을 시작합니다. 결국 자당 소속 의원을 감싸기 위해 국회 전체를 멈춘 것입니다.  

국회 파행을 이어갈 수 없었던 당시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자유한국당의 사과 요구를 받아들여 짤막한 유감 표명을 했고, 이에 흡족했던 김성태 원내대표는 더 이상 문제 제기를 않겠다며 보이콧을 중단했습니다.  

보이콧 선언까지는 아니지만, 자당 의원의 검찰 소환을 막기 위한 국회 파행 사태는 이후에도 반복됐습니다. 2018년 4월 임시국회는 본회의가 한 번도 안 열린, 그야말로 개점휴업 상태로 끝났음에도 자유한국당은 4월 임시국회 회기 종료 이후 단 하루도 쉬지 않고 5월 임시국회를 단독 소집합니다. 

왜 그랬냐고요? 

현역 국회의원은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을 처리해야만 영장실질심사를 할 수 있는데요, 4월 국회부터 국회 파행 사태가 반복되면서 자유한국당 홍문종·염동열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가 계속 미뤄졌습니다. 그리고 이 파행의 원인은 자유한국당의 몽니로 인해 발생한 경우가 대다수였죠. 국회를 또 다시 열면 국회 파행을 명분으로 두 의원의 체포동의안 표결을 미룰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셈입니다. 이걸 두고 방탄국회라고 하는 것이죠. 

당연히 5월 임시국회도 제대로 열릴 리가 없었습니다. 더욱이 이 시기는 김성태 원내대표가 드루킹 댓글조작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특검 도입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벌이던 때였습니다. 사실상 보이콧 선언을 하지 않았을 뿐 국회는 파행을 거듭했습니다.  

그런데 자유한국당은 6월 임시국회를 또 단독으로 소집합니다. 지난해 6월 13일에는 지방선거와 재보궐 선거가 예정돼 있어 실질적으로 국회가 제대로 운영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국회가 해야 할 일이 많다"는 이유로 국회를 소집한 것이죠. 이 역시 권 의원을 지키기 위한 방탄국회 만들기라는 비판이 쏟아졌고, 6월 임시국회도 본회의 한번 열지 못한 채 회기를 종료했습니다.

명분 없는 보이콧→출구전략 고심→빈손회군 
반복되는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결국 피해는 누가?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원내대표를 비롯한 2.27 전당대회 당 대표 후보들 및 당원들이 27일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좌파독재 저지 및 초권력형비리 규탄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원내대표를 비롯한 2.27 전당대회 당 대표 후보들 및 당원들이 27일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좌파독재 저지 및 초권력형비리 규탄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철수 기자

자유한국당 보이콧 흑역사를 정리해보니, 고구마를 100개 먹은듯한 답답함이 밀려옵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지금까지 정리한 사례들은 국회 자체를 보이콧한 경우에 한정했다는 점입니다. 각종 상임위 파행까지 포함하면 헤아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자유한국당의 보이콧에는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명분이 부족한 보이콧을 남발하고, 이 때문에 출구전략을 찾는 것도 쉽지만은 않았다는 점입니다. 보이콧을 계속하자니 여론의 반발이 심상치 않고, 그렇다고 중간에 포기할 명분 역시 없었던 셈이죠.

이 때문에 당초 자유한국당이 국회 정상화 요건으로 내세운 내용보다 훨씬 부족한 안으로 협상하게 되면서 빈손 회군이라는 비판이 잇따라 나오게 됩니다. 결국 국회를 멈춰 세워놓고 역풍만 자초한 모양새입니다. 

이번 국회 파행 사태도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이번엔 자당이 소집하자고 요구한 1월 임시국회에 이어 2월 임시국회 보이콧까지 예고해둔 상태라 더 큰 비판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의 자유한국당 보이콧을 두고 국민의 원성이 자자한 이유는 비단 '5시간 30분 단식'이라는 농성 방식 때문만은 아닐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히려 여당일 때나 야당일 때나 민생현안은 뒤로 한 채 국회 파행을 주도해 온 그동안의 자유한국당 행태 탓이겠죠.

당연한 이야기지만 국회 파행으로 필요한 법안이 제때 통과되지 못한다면 그 피해는 온전히 국민들에게 돌아갑니다. 자유한국당은 지금이라도 자신들의 과오를 돌아보고 자성할 수 있을까요. 다가오는 2월 임시국회에 임하는 자유한국당의 태도를 다 같이 지켜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정치톡’은 정치팀 기자들이 여의도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이슈의 전말을 옆 사람에게 이야기하듯 풀어내는 기사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