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헌재가 '김영란법' 판결하며 세월호 언급한 까닭

 

[김영란법과 언론인②] '김영란법 합헌' 헌법재판소 결정문 읽어보니

16.07.28 18:28l최종 업데이트 16.07.28 18:28l

 

기사 관련 사진
▲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직원이 청탁금지법시행준비단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사건에서 4개 쟁점에 모두 합헌 결정을 내렸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28일 언론은 모두 고개를 숙였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김영란법이라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적용 대상에 언론인과 사립학교 관계자를 포함하는 것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결정문에서 왜 언론인과 사립학교 관계자가 김영란법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지 조목조목 밝혔다. 헌법재판소 결정문에는 언론인이 보면 뼈아플 대목이 많다.

언론인은 부정 청탁과 촌지 수수라는 나쁜 관행을 자성하고 이를 끊을 수 있을까. 한국기자협회는 이날 낸 성명에서 대부분의 내용을 헌법재판소 결정을 비판하는 데 할애했다. '기자 사회 내부에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관행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도 인정한다',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을 다 할 것이다'라는 주장은 뒤로 밀렸다.

헌법재판소는 왜 세월호를 언급했을까

 

헌법재판소는 결정문에서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를 거론했다. "공공부문의 부패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의 부패도 세월호 참사의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면서 "세월호 참사와 같은 비극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국회는 청탁금지법(김영란법)안을 압도적 지지로 통과시키면서 청탁금지법 적용 대상에 민간부문 중 사립학교 관계자와 언론인을 포함시켰다"라고 밝혔다. 

언론의 문제가 세월호 참사의 직접적인 원인이라 할 수 없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기레기'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언론은 편향 보도 등으로 큰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언론계는 민간부문 중에서 왜 언론과 교육만 김영란법 적용 대상에 포함시켰느냐는 입장을 보였다. 헌법재판소는 이에 대해 "부패가 문제되는 민간부문은 많이 있다, 하지만 교육과 언론은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연결된 분야이고, 국민들은 이 분야의 부패 정도가 심각하고 그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피해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라고 반박했다. 

또한 "이런 인식이 여론조사 결과에 반영되어 청탁금지법(김영란법)에 시랍학교 관계자와 언론인이 포함된 것을 지지하는 여론이 이를 반대하는 여론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라고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언론인에게 공직자에 버금가는 높은 청렴성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보도 내용이 사실이 아니고 편파적 기사임이 나중에 밝혀지더라도 해당 보도 내용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제거하거나 이를 원상회복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거나 어렵다, 언론인은 보도를 통해 국민의 의사소통과 여론 형성을 위한 통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라고 강조했다. 

"언론계의 자정노력에만 맡길 수 없다"
 

기사 관련 사진
▲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직원들이 헌법재판소의 부정청탁금지법 합헌 판결 관련 보도를 시청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사건에서 4개 쟁점에 모두 합헌 결정을 내렸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헌법재판소는 부패와 청탁에서 자유롭지 않은 언론의 현실을 거론하면서 뼈아픈 일침을 가했다. 스스로 변화하지 못하고 외부의 충격을 받아야 하는 언론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교육 및 언론 부문에 상당기간 동안 형성되어 온 청탁이나 금품수수 관행에 대한 의식 개선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전문적 인력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부정한 청탁이나 금품 등의 수수를 공직자와 같이 법률로 금지하고 위반하는 경우 제재를 가하는 것이 교육계와 언론계에 남아 있는 부패를 근절하는 유효하고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교육계와 언론계에 부정청탁이나 금품 등 수수 관행이 오랫동안 면연해 왔고 크게 개선되고 있지 않다는 각종 여론조사결과와 국민 인식 등에 비추어 볼 때, 교육계와 언론계의 자정노력에만 맡길 수 없다는 입법자의 결단이 잘못된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헌법재판소는 부정청탁이나 금품 수수를 하지 않은 언론인에게는 김영란법이 적용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고도 했다. 

헌법재판소는 "종래 받아오던 일정한 금액 이상의 금품이나 향응 등을 받지 못하게 되는 불이익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이런 불이익이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하는 권익의 침해라 보기도 어렵다. 오히려 대다수 사립학교 관계자와 언론인은 부정청탁과 정당한 이유 없는 금품 제공 유혹으로부터 벗어나 정당하고 떳떳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권익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

헌법재판소는 언론 자유 침해 주장도 물리쳤다. "아직 시행되기도 전의 법률을 국가권력이 남용하거나 악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언론인 등의 기본권 침해 여부를 미리 추상적으로 단정하여 판단할 수는 없다"라고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김영란법이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수언론의 주장을 반박하기도 했다. 

"부정청탁을 금지하고 공직자 등의 금품 등 수수를 금지함으로써 이런 관행에 의존하고 있는 경제 분야에 일정한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부패가 감소하면 경제가 발전한다는 것은 여러 나라에서 실증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우리 사회의 청렴도를 높이고 부패를 줄이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야가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부패의 원인이 되는 부정청탁 및 금품 수수 관행을 방치할 수 없다."

☞ [클릭] 김영란법과 언론인 기획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위안부 재단' 출범, 돈다발 흔들며 '화해'

기자간담회 앞두고 반대 시위..김태현, 캡사이신 세례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6.07.28  14:51:44
페이스북 트위터
   
▲ 지난해 '12.28합의'에 따라 '화해치유재단'이 28일 오전 공식 설립됐다. 이날 현판식에서 윤병세 외교장관, 유명환 전 외교장관, 김태현 재단 이사장, 강은희 여가부 장관(왼쪽부터) 등이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지난해 일본군'위안부' 합의(12.28합의)에 대한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 주도의 '일본군'위안부'재단(화해치유재단)'이 28일 출범했다. 일본 정부가 오는 8월 중 출연할 것으로 보이는 10억 엔(약 107억 원)은 배상금이 아닌 치유금이라는 인식은 여전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서울 서대문구 바비엥스위트3에 위치한 '화해치유재단' 사무실에서 첫 이사회를 갖고 현판을 달았다. 이어 약 350m 거리에 있는 바비엥스위트2 지하 그랜드볼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재단 이사장을 맡은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는 일본 정부가 출연할 10억 엔이 지금까지 정부가 설명한 사실상 배상금이 아닌 치유금이라는 인식을 확인했다. 지난 5월 재단 준비위원회 발족 당시에도 "배상금이 아닌 치유금"이라고 말해 뭇매를 맞은 바 있다.

   
▲ 김태현 '화해치유재단' 이사장이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 바비엥스위트 2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재단 출범을 공식화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김태현 이사장 "10억 엔으로 할머니 삶 좋아질 것"

김태현 이사장은 "지난 5월 준비위 출범 이래 총 3차례 회의 개최등 수시로 의견을 교환하고 최근 재단 등록 행정절차를 마무리했다"며 "오늘 1차 이사회 및 재단 출범 현판식을 가졌다"고 재단 출범을 공식화했다.

그리고 "지난 한일간 합의로 피해자분들의 상처를 치유할 희망을 불씨를 찾았다. 어렵게 찾아낸 불씨를 합의를 둘러싼 논쟁으로 마저 꺼트리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문은 언제나 열려있다. 피해자를 중심에 놓고 희망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 지혜를 모으고 노력하는 모습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또한, "재단 설립의 목적은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존엄을 회복하는 사업을 하는 것"이라며, 일본 언론이 제기한 장학사업이 아니라고 못박았다.

그는 특히 "합의내용에도 소녀상과 10억 엔은 전혀 별개"라고 강조했다. "소녀상과 연계해서 10억엔이 나오는 것은 절대 아니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 이사장은 ''위안부' 피해자의 희망'은 공식사죄와 법적 배상이 아니라 '10억 엔'을 치유금, 일종의 '목돈'으로 활용하기 원한다고 했다. 사업 내용 관련 기자들의 거듭된 질문에 "할머니들이 쓰고자 하는 게 다르다. 할머니마다 정말 하고 싶은 게 있고 그걸 통해서 삶이 좋아질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했다.

"각각 용도가 다르다. 그런 것을 채워서 하나의 소망이 생기고 희망이 생긴다. 할머니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고 지원해야 위로받고 소망도 생기고 긍정적으로 사시는게 목적이다. 용처 파악을 위해서 맞춤형 지원을 할 것이다."

그는 '12.28합의'를 반대하는 피해자들에게도 '돈'을 줘서 마음을 풀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처음에 반대하시는 분도 구체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있었다. 지원을 해드리자 재단에 대해서 호의적으로 달라지셨다. 무엇이 부족한지 성심성의껏 해드렸다. 마음의 상처가 치유됐다. (반대하는 분도) 언젠가는 저희와 함께 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재단 출범 기자간담회에 앞서 대학생 10여 명은 행사장에 들어와 재단 설립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이날 그는 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피해자가 '소수'라고 주장했다. 나눔의 집을 방문한 사례를 언급하며, 자신이 만난 피해자 2명 중 1명이 찬성했다고 말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운영하는 '쉼터' 거주 피해자와의 만남은 거절당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김 이사장이 주장한 찬성했다는 분은 손님이 와서 반갑다고 한 것뿐이지 찬성한다고 말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지난달 28일 김태현 이사장이 방문했을 당시, 구체적으로 '12.28합의'나 재단에 대한 설명을 하지도 않았는데, 93세의 피해자가 무엇을 알고 찬성 이야기를 했겠느냐는 것.

안 소장은 "찬성과 반대를 떠나서 단 한 명이라도 반대하면 힘든 것 아니냐. 그 분들은 정치적으로 정부관료에 가깝다. 민간재단이면 중립성이 있어야 하는데, 외교부와 여가부의 눈치만 보는 것 아니냐. 솔직히 무늬만 민간이지 속은 정부기관"이라고 꼬집었다.

정대협 측도 지난달 29일 김태현 이사장의 면담 요청에 대해 피해자들이 거부한 것일 뿐 정대협이 관여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쉼터에 거주하는 김복동 할머니는 "합의를 파기하고 대통령이, 일본정부가 우리에게 사죄한다는 답변을 가지고 오면 만날 것이다. 파기하지 않으면 절대로 만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발족한 '화해치유재단' 이사진에는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김재련 법무법인 온세상 대표, 심규선 <동아일보> 대기자, 이원덕 국민대 교수,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 조희용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소장, 진창수 세종연구소 소장과 당연직으로 장병원 외교부 동북아국장, 이정심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이 이름을 올렸다. 준비위에 참여했던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은 고문으로 위촉됐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작년 12월 한일 양국 정부 간 합의에 따라서 재단이 출범하게 된 만큼 오늘 출범한 재단을 통해서 모진 인고의 세월을 견뎌 오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이 한 분이라도 더 살아계시는 동안 이분들의 마음의 상처가 치유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재단이 출범한 만큼 사업실시 과정에서 피해자 분들의 의사가 보다 명확하게 표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정대협 등 시민단체는 이날 오전 '화해치유재단' 사무실 앞에서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읽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재단 발족 첫 날부터 진통..대학생들 시위에 김 이사장 '캡사이신' 세례

'화해치유재단'이 발족한 이날도 반대 목소리는 여전했다. 대학생들은 기자간담회장에 들어와 시위를 벌였으며, 김태현 이사장은 '캡사이신 세례'를 받기도 했다.

이날 오전 11시경 대학생 10여 명은 기자간담회장으로 들어와 "할머니들은 25년간 사죄받기 위해 싸워오셨다. 그깟 10억 엔 필요없다. 대학생들과 시민들이 지키는 소녀상을 지켜주세요"라고 구호를 외쳤다.

그리고 "(김태현) 위원장님 어디계십니까. 재단설립을 위해 거들먹거리며 졸속으로 만들어진 사무실에 현판을 달고 이곳에 와서 기자들 앞에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한일관계 모두 청산되었다. 일본은 이제 전쟁할 수 있도록 보통국가가 되었다고 자랑스럽게 선포하려고 하셨습니까"라고 질타했다.

30여 분간 진행된 이들의 시위는 경찰의 강제해산으로 마무리됐으며, 기자간담회는 당초 계획된 시간보다 늦게 열렸다. 대학생들의 구호 속에서 외교부와 여가부 관계자는 팔짱을 끼며 비웃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 재단 설립 반대를 외치다 여경들에 의해 끌려가는 대학생.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 기자간담회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김태현 이사장은 캡사이신 세례를 받아 병원으로 후송됐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30분간 진행된 기자간담회를 마친 김태현 이사장은 건물 후문으로 나가다 20대 초반 남성으로부터 캡사이신 세례를 받아 긴급 후송되는 소동도 벌어졌다.

'화해와치유재단'이 공식 출범한 이날 사무실과 기자회견장 건물 밖에서는 정대협 등 시민단체들이 모여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인 김학순, 강덕경, 강순애, 김순덕, 황금주, 이옥선, 길원옥, 김복동 할머니의 피해증언을 읽었다. 그리고 성명서를 발표했다.

"기어이 박근혜 정부는 역사정의를 저버리려 하는가. 10억 엔으로 거래를 끝낸 정부의 막장 질주가 오늘 화해치유재단 출범 강행에까지 이르렀다. 정의도 인권도 올바른 과거사 청산도 모두 실종되었다. 피해자의 권리를 한낱 돈의 문제로 전락시키며 제 손으로 살아있는 역사를 봉인하는 박근혜 정부의 광기가 낳은 화해치유재단을 반대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가장 무서운 건 ‘중국의 뒤끝’ 작렬

 
중국이 보기에 한국 내 사드 배치는 주요 강대국 간 전략균형을 파괴하고 국제정치에서 미국의 패권주의와 독단주의를 심화시키는 조치다. 향후 중국이 취할 대응은 한국의 안보에 심각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조회수 : 4,860  |  변한수 (국제안보문제 전문가)  |  webmaster@sisain.co.kr
 
 

 

 

한국 정부가 사드(THAAD) 배치를 공식화함에 따라 한·중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 중국 외교부와 국방부는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고 표명했고 사드 배치와 관련한 작업을 중단하라고 강하게 요구했다.

중국의 이와 같은 격한 반대는 한국 내 사드 배치가 자국의 대외 전략과 안보 이익을 심각하게 손상시킬 것이라는 우려에 기인한다. 중국은 사드가 대륙간 탄도미사일 요격용으로 설계돼 북한의 미사일 요격에는 실효성이 적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결국 한국의 사드 배치는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을 빌미로 중국의 핵과 재래식 무기의 억지력을 무력화하기 위한 시도로 본다. 다시 말해, 미국이 중국의 부상을 저지하기 위한 아시아·태평양 회귀 전략의 일환으로 글로벌 차원의 미사일 방어체계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의 국가 싱크탱크인 국방과학기술정보센터 전문가들의 분석은 이렇다. 미국은 최근 자국 본토 및 동맹국에 지상·해상·공중·우주 등의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구축해 통합하는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사드 시스템은 중간단계 요격 시스템인 지상발사형 중간단계 미사일방어체계(GMD), 종말단계의 패트리엇(PAC-3) 시스템과 함께 지상 미사일방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중국은 사드 시스템의 미사일 요격 능력보다는 기술 정보 수집 능력을 더욱 우려한다. 중국 공군장비연구원 장원창(張文昌) 원장에 따르면, 사드 시스템의 AN/TPY-2 X밴드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2000㎞에 달해, 한국 내 사드 배치가 현실화하면 중국 내륙의 미사일 실험과 로켓 발사 활동이 미국의 감시에 전면적으로 노출된다. 이뿐만 아니라 AN/TPY-2 레이더는 미군 우주기지의 적외선 조기경보 시스템과 연동돼 대륙간 탄도미사일의 조기경보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 이는 미국의 지상발사형 중간단계 미사일방어체계(GMD)의 요격 능력을 대폭 높여준다고 본다. 한편 ‘제1도련(오키나와-타이완-남중국해를 연결한 지역)’ 내 미국 해군기지의 미사일방어체계와 관련해서는, 사드는 이지스함 발사형의 SM3 요격미사일 및 패트리엇(PAC-3)과 연동돼 중간단계 저층, 종말단계 고층과 저층의 미사일방어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결과 중국은 미군기지와 미국 항공모함 전단에 대한 미사일 억지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Xinhua</font></div>7월8일 중국 해군의 구축함 윤청호가 하이난 도와 시사군도 사이에서 미사일 발사 훈련을 하고 있다.  
ⓒXinhua
7월8일 중국 해군의 구축함 윤청호가 하이난 도와 시사군도 사이에서 미사일 발사 훈련을 하고 있다.

결국 중국은 한국의 사드 배치로 미국의 핵공격에 대응할 대미 핵 보복 능력이나 미래에 가능할 ‘대(對)타이완 통일전쟁’ 수행 시 미군의 개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반접근·지역거부(A2AD :Anti-Access Area-Denial)’ 능력이 상당히 무력해지리라 본다. 동시에 중국은 자국의 항공우주 활동에 대한 미국의 일상적 감시로 이 분야 안보가 크게 위협받을 것을 우려한다. 결론적으로 중국이 보기에 한국 내 사드 배치는 글로벌과 지역 차원에서 주요 강대국 간 전략균형을 파괴하고, 국제정치에서 미국의 패권주의와 독단주의를 한층 심화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그동안 시진핑 국가주석과 왕이 외교부 부장을 포함한 중국 지도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국 정부에 사드 배치 문제를 신중하게 다뤄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중국의 적극적인 외교 노력에도 한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결정한 것에 중국 정부와 민심은 큰 실망과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7월11일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은 미국의 사드 배치에 동의함으로써 사실상 스스로 이 지역의 전략적 균형이 파괴되는 비상 국면에 휘말려들어갈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이뿐 아니라 중국 외교부와 국방부는 사드 배치에 상응하는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는 의견을 공식 표명했다. 이에 더해 앞서 언급한 사드에 대한 중국의 인식, 최근 지역안보 이슈에서 보여준 중국의 행보를 종합해볼 때, 향후 중국이 취할 조치는 한국의 안보에 심각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Xinhua</font></div>중국 외교부는 한국의 사드 배치에 강한 반대를 표명했다.  
ⓒXinhua
중국 외교부는 한국의 사드 배치에 강한 반대를 표명했다.

정치·경제·사회 영역까지 뻗칠 중국의 ‘보복’

앞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조치들은 중국이 이미 밝힌 바와 같이 군사적 전략균형 유지에 초점을 둘 것이고, 이러한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전례 없는 강경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면, 천안함 사건 당시 미국 항공모함의 서해 진입이나 일본 순시선의 중국 어민 나포 사건이 발생했을 때 중국의 조치는 관련 사건의 해결에 국한된 것이어서 국면 전환이 상대적으로 쉬웠다. 반면 사드의 경우 배치 취소나 시스템 철수 이외에 다른 대안을 찾기 어려운 데다 한국이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현 시점에서 중국의 조치는 일단은 ‘억지’와 외교적 담판을 통한 문제 해결을 포기하지 않는 수준에서 이뤄질 것이다. 그리고 중국은 기존 지역 안보 이슈 해결 과정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외교나 국방 영역 외에도 정치·경제·사회 제반 영역에서 대응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드 배치와 관련된 지역의 기관·기업·인물에 대한 직접적 제재, 한·중 간 경제교류와 협력에 대한 비협조, 한국 기업의 대중 투자 제약이나 주요 대중 수출품에 대한 비관세 장벽 설치, 주요 외교 일정의 취소나 중단, 북·중 고위급 교류의 활성화와 경제교류 강화, 중·러 연합군의 군사적 시위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사회교류 영역에서 반한(反韓) 분위기의 방관이나 조성을 통해 중국 관광객의 한국 여행이나 중국 내 한류 확산을 차단하려 할 수 있다. 중국의 이러한 조치는 표면적으로는 국제법과 기존 국제적 합의에 크게 위배되지 않는 형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형식은 국제법에 어긋나지 않지만, 내용은 강도 높은 제재에 나설 가능성이 큰 셈이다.

나아가 만일 중국이 외교적 협상을 통한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거나 남중국해 문제를 비롯한 미국의 대중 압박을 정면 돌파하려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선택할 경우, 중국은 한·중 관계의 근본을 뒤흔드는 더욱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럴 때 중국은 군사적 전략 균형 유지 이상의 목적 달성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단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조치에는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사드와 연관된 전략 목표물에 대한 직접 타격 준비가 기본적으로 포함될 것이다. 이와 함께 중국에서는 이이제이(以夷制夷) 관점에서 북한과의 군사협력 강화와 북한에 대한 군사지원 문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이다. 결국 한국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은 북핵 문제 해결을 더 어렵게 만들 것이고, 경제 등 비전통 안보 위협까지 가져올 수도 있다. 게다가 군사 강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과 같은 더욱 심각한 안보 위협까지 초래할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 검사 사망', 검찰은 왜 꼬리만 자르나?"

Why뉴스] "'김 검사 사망', 검찰은 왜 꼬리만 자르나?"

 

뉴스의 속사정이 궁금하다. 뉴스의 행간을 속 시원히 짚어 줍니다. [Why뉴스]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통해 들을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 방송 : 권영철의 Why뉴스  
■ 채널 : 표준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권영철 CBS 선임기자  
 

검찰이 고 김홍영(33) 검사의 사망과 관련해 직속상관이던 김대현 부장검사에 대해 해임을 법무부에 청구했다. 김 검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지 70여일 만이다. 

검찰은 그러나 남부지검에 대해서는 김진모 검사장에 대해 지휘책임을 물어 서면 경고 조치하는 데 그쳤다. 김수남 검찰총장은 사과도 하지 않았다. 

법조계에서는 부장검사 한 사람에게만 책임을 묻고 끝내려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않다.

그래서 오늘 [Why뉴스]에서는 "'고 김홍영 검사 사망', 검찰은 왜 꼬리만 자르나?" 라는 주제로 그 속사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 직속상관인 부장검사를 해임하기로 했는데 그게 꼬리만 자른거냐?

= 검사에 대한 징계는 가장 무거운 게 해임이다. 파면은 탄핵을 받았거나 금고이상의 형이 확정되었을때만 가능하다. 따라서 해임은 법정최고형을 선고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아주 무거운 징계인건 맞다. 

그렇지만 고 김홍영 검사의 사망과 그 이후의 일들에 대한 책임이 부장검사 1명에게만 있을까?

김진모 남부지검장에 대해 경고하지 했지만 서면경고는 정식 징계가 아니다. 검찰에서는 검사장이 경고를 받으면 승진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며 상당히 강력한 징계에 해당한다고 하지만 그건 검찰 내부의 논리에 불과하다. 

현직검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검찰의 자체 감찰에서 폭언과 폭행이 이었다고 확인했다. 그런데 해당 부장검사 1명에게 책임을 묻는 것으로 끝낸다는 게 타당한 일일까?
 

(사진=임은정 검사 페이스북 캡처)

▶ 부장검사 외에도 책임질 다른 사람들이 있다는 거냐?

= 그렇다. 임은정 검사는 지난 6월 27일 페이스북에 "검찰의 눈부신 내일이었을 참 좋은 후배의 허무한 죽음에 합당한 문책을 기대한다"는 글을 올렸는데 부장검사 1명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게 합당한 문책일까? 

검찰 안팎의 의견을 들어보니 첫 번째 서울남부지검의 직속상관인 지검장과 차장검사가 분명하게 지휘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02년 서울지검 강력부에서 일어난 '피의자 구타사망 사건' 때 주임검사가 구속됐지만 윗선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묻지 않았다. 당시 차장검사와 지검장이 책임을 지지 않으면서 결국 이명재 검찰총장이 사퇴했다. 

검찰의 한 중견간부는 "검사장과 차장검사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부장검사에게 책임을 묻는 건 당연하지만, 부장검사가 검사를 학대하고 피해를 주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해서 대처했어야 하는데 검사장이나 차장검사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면서 "사건결재만 하라고 부장검사 위에 차장검사와 검사장을 두는 건 아니지 않느냐?"라고 반문했다.

두 번째는 검찰이 유족의 문제제기 후 사회문제가 된 뒤에야 감찰에 나섰다. 왜 감찰이 제때 이뤄지지 못했는지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검사가 사망한 게 지난 5월 19일이다. 그런데 검찰은 서울남부지검에 자체 조사를 맡겼다가 유족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김 검사의 연수원 동기들이 성명을 발표하는 등 여론이 비등하자 뒤늦은 7월 1일에서야 대검에서 감찰조사에 착수했다. 부장검사를 해임까지 해야할 중대한 사안을 남부지검 자체조사에 맡겨서 사건을 적당히 덮으려 한 게 누군지 그걸 파악해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사건이 일어난 남부지검에 조사를 맡긴건 적당히 넘어가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누가 그런 결정을 했는지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는 검찰내부의 인사시스템에 대한 진단과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부장검사는 부산지검 공안부장 재직시절에도 그랬고 법무부 법조인력과장 재직시에도 그랬다. 그런데도 다시 서울남부지검 형사2부장으로 영전을 했고 결국 사고를 쳤다. 이는 검찰의 인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걸 입증하는 것이다. 

한 중견검사는 "김 부장검사가 검찰내에서 후배검사들을 심하게 다루는 간부 중 1명이긴 하지만 가장 악질적인 간부라는 평을 받는 건 아니었다. 그냥 성질 더러운 간부 중 1명이었다"면서 "김 부장이 그렇다는 건 검찰내에서 다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어떻게 법조인력과장으로 가고 남부지검 부장으로 갔느냐? 인사에서 걸러내지 않고 묵인했던거 아니냐?'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수도권에 근무하는 한 검사는 "인사평정을 제대로 하고 인사를 잘 했더라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윗사람 말 잘듣는 검사들을 발탁하고 영전시키다보니 이런 참사가 일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자료사진)

▶ 검찰이 김 부장검사를 희생양 삼아서 사건을 끝내려 한다는 거냐?

= 김 부장검사의 잘못이 감찰조사에서 드러났으니까 '희생양'이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만 부장검사 1명에게만 책임을 묻는 걸로 끝내려 한다면 희생양으로 삼아 꼬리를 자르려 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전현직 검찰간부들에게 김 부장검사를 해임하는 게 맞느냐?와 부장검사 1명 해임만으로 끝내는 게 맞느냐?고 물었더니 해임에 대해서는 검찰내부에서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외부에서는 찬반으로 의견이 엇갈렸다. 김 부장검사 1명에게만 책임을 묻는데 대해서는 검찰내부나 외부 대부분이 '옳지 않다'고 말했다. 

검사장 출신의 한 중견 변호사는 "검찰의 생리 잘 알지 않느냐? 희생양이 필요할 때는 기꺼이 내 놓는다"면서 "파면 안시키는게 다행이라고 해야 않겠나?"라고 말했다.

검사의 신분은 법률에 보장돼 있으니까 불가능하지만 검찰의 속성상 파면조건이 되도록 만들어서라도 파면을 할 수 있을텐데 해임만 하기로 한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한다는 얘기다.

수도권지역 검사장 출신의 중견변호사는 "여론을 의식해서 너무 과하게 징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휘부가 책임을 부장검사 1명에게만 떠넘기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찰총장이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 검찰이 사과하지 않았나? 

= 대검 감찰본부장이 감찰결과를 발표하면서 사과했다. 정병하 대검 감찰본부장은 "감찰본부장으로서 이번 사건에 대해 송구스런 마음을 금할 수 없으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정 본부장은 "고 김 검사의 부모님 등 유족과 국민여러분께 다시 한 번 머리 숙여 진심으로 사과를 드리며 검찰은 앞으로 고 김 검사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사후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듭 사과했다.  

기자들이 '검찰총장이 사과안하나?'라고 물으니 "총장도 간부회에서 의견 여러 차례 표명했다. 총장도 발표 내용과 동일하다"고 답했다. 기자들이 다시 "사과는 총장의 사과냐?"라고 물으니 "제 발표 내용과 총장님 의견이 똑같다"고 말했다. 대독사과를 한 셈이다. 

사과를 대독으로하면 그게 사과일까? 김수남 검찰총장은 진경준 검사장이 구속된 뒤 사과문을 냈다. 당시에는 김현웅 법무부장관이 사과를 했으니 그럴 수 있다. 그렇지만 신분이 보장된 부장검사를 해임해야할 중대한 사안인데 대독사과로 그친다면 그게 옳을까? 

그런데 이런 대독사과 어디서 많이본 장면 아니냐?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2013년 3월 30일 허태열 비서실장 명의의 사과문을 김행 대변인이 '17초 대독' 한 적이 있고 이남기 홍보수석이 한밤중에 긴급 기자브리핑을 열어 "윤 전 대변인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국민과 대통령에 사과드린다" 사과를 해야할 대통령에게 사과하는 코메디 같은 일도 있었다. 

검찰내부에서는 "책임을 져야할 사람이 책임을 지지않고 책임을 묻고 있다"며 책임지지 않는 검찰수뇌부를 질타했다. 김 검사의 부친 김진태씨는 "김 부장검사에 대한 형사처벌과 검찰총장의 정식 사과"를 재차 요구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서울 남부지검 김홍영 검사의 어머니 이기남(57)씨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 김 부장검사에 대해 형사처벌을 할 수는 없는 거냐?

= 유족들이 형사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고 김 검사의 동기회 회장인 양재규 변호사는 "김 부장을 해임한다면 지휘감독책임 등 징계에 대해서는 수용하고 더 이상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폭행 등에 관해 김 부장을 형사처벌해야 한다는 유족의 의사표명이 있으므로 이 부분에 관해 유족을 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검사 사법연수원 동기(41기)인 김기태 변호사는 "김 부장검사의 비위행위가 여러 건이 적발됐다는 점에서 향후 형사 고발이 가능할 수도 있다"면서 "감찰 내용을 잘 살피고 유족과 협의해 향후 대응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형사처벌은 어렵다는 것이 법조계의 의견이다. 

정병하 감찰본부장은 형사처벌 여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형사사처벌에 이를 정도는 아니다"면서 "술자리에서 목격할 수 있는 것처럼 격려차원에서 '잘해봐'하면서 등을 쳤다는 행위가 몇번 있었지만 형사처벌의 폭행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도 "형법의 제1원칙이 예측가능성이다. 예측가능성이 없는건 처벌하지 못한다"면서 "김 부장의 폭행이 죽을 정도이거나 죽으라고 때린건 아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석태, 단식농성 돌입.. “세월호 진상규명 활동 계속돼야”

 

“정부의 특조위 강제종료, 위법‧부당한 행위…미수습자 문제 등 할 일 산적”

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이석태 위원장이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정부의 조사방해활동 중단과 특조위 조사활동 보장을 요구하기 위해서다.

이석태 위원장은 27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특조위 강제종료는 위법하고 부당한 행위”라고 지적하며, “내년 2월까지 활동 기간 보장을 위해 무기한 단식 농성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사무실을 뛰쳐나온 것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염원하는 유가족과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고뇌어린 결단”이라는 심경을 전했다.

단식농성은 이석태 위원장을 시작으로 권영빈 진상규명소위원회 위원장과 박종운 안전사회 소위원장 등 상임위원들이 릴레이로 이어간다. 특조위 직원들도 자발적으로 단식농성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 <사진출처=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이 위원장은 이날 “정부는 6월30일로 활동기간이 끝났다고 하지만 별정직 일부를 채용해 인적 토대를 갖춘 지난해 7월27일로부터 이제 정확히 1년이 됐을 뿐”이라며 특히 “정부는 지금까지 특조위를 지원하기보다 오히려 방해활동을 해왔다”고 비판했다.

당초 90여명의 조사관‧공무원으로 구성됐던 특조위에는 현재 별정직 조사관 54명만 남아있는 상태다. 게다가 정부의 일방적 특조위 활동 종료로 예산이 중단돼 특조위 활동비는 물론 월급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미수습자의 수습과 선체조사를 포함해 아직 조사해야할 것이 적지 않게 남아있다”면서 “진상규명을 위한 조사활동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가 안전한 곳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라도 진상규명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부에 전향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동시, 국회에는 신속하고 올바른 특별법 개정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4.16연대 이태호 상임운영위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이석태 위원장이 단식농성중인 광화문광장 소식을 전했다. 그는 “비가 계속 내려서 비닐을 치려니 경찰들이 매트리스 위에까지 난입해 비닐 가림막을 몸으로 막고 있다”고 현장 상황을 알렸다.

   

 

   

 

[관련기사]

 
김미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제는 야당이 ‘박근혜 탄핵’ 발의할 때

‘박근혜탄핵 범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해서 야당을 지원하는 것도 민주화에 큰 도움이 되리라.
 
김종철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기사입력: 2016/07/27 [16:54]  최종편집: ⓒ 자주시보
 
 

 

박근혜의 대통령 임기가 19개월 남은 이 시점에 그에게 묻고 싶다. “당신이 지금 같은 자세와 ‘믿음’으로 임기를 마치게 된다면 국가와 민족은 어떻게 될 것인가?” 세 야당을 향해서는 이런 질문을 해야겠다. “헌법을 서슴없이 유린하면서 ‘총체적 국란(國亂)’을 빚어내고 있는 박근혜의 대통령직 수행을 더 이상 방임하는 것이 대다수 주권자들의 동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먼저 이 글의 결론부터 말하겠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국회의원들은 하루라도 빨리 박근혜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해야 한다. 그것이 국가와 민족이 파멸의 수렁에 더 깊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박근혜 탄핵론’은 새삼스런 주장이 아니다. 대표적인 사례들을 짚어보기로 하자.

 

지난 4·13 총선 선거운동 첫날인 3월 31일, 서울 서초을 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후보 김수근은 선거벽보에 자신의 사진을 싣지 않고 ‘박근혜 탄핵소추안’이라는 큼지막한 제목의 긴 글을 올렸다.

 

 

내용은 이렇게 시작된다. “주문: 헌법 제65조 및 제130조의 규정에 의하여 박근혜의 탄핵을 소추한다. 피소추자: 성명 박근혜, 직위 제18대 부정선거 대통령.” 김수근은 탄핵소추 사유로 다섯 가지를 열거했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제2의 을사늑약인 한일 ‘위안부’ 합의로 국권을 팔아넘김”, “권력기관이 총동원된 부정선거에 의한 당선은 무효”, “세월호 참사의 최종 책임자”, “불법·위헌적인 개성공단 전면 중단”, “불법적 선거 개입으로 민주주의 파괴.”

 

서초구 선거관리위원회는 그 벽보에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 “공직선거법상으로 해당 벽보를 제한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났다는 것이었다.

 

▲ 지난 4·13 국회의원선거 선거운동 첫날인 31일 서울 서초을 선거구 선거벽보에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나붙었다. 

 

지난 총선에서 대구 달성구(병)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조석원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공약으로 내걸고 24%의 득표율을 올렸다. 박근혜의 ’정치적 철옹성‘이라는 대구에서 놀라운 일이 벌어진 것이다.

 

청와대 전 홍보수석 이정현이 KBS 보도국장에게 ‘보도지침’을 내린 사실이 폭로된 지 얼마 뒤인 지난 7월 7일자 한겨레 사설 제목은 ‘대통령이 사표 받으라 했다면 탄핵감 아닌가’였다. “방송법 위반은 물론 정치적으로 탄핵감”이라는 것이었다.

 

국민의당 소속 의원 김동철은 지난 7월 5일 국회 대정부질의에서 박근혜 정부가 ‘선거탄핵’을 받았다고 주장하면서 “무능한 국정 운영으로 국가 위기가 심화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박근혜가 18대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것들 가운데 파기해버린 사항들을 조목조목 열거했다. ‘영남 신공항 건설’, ‘지역 균형발전과 대탕평 인사’, ‘모든 국민 100% 행복한 경제민주화’, ‘전시작전권 전환’, ‘만 5세까지 무상보육 및 무상 유아교육’, ‘대학생 반값 등록금’, ‘4대 중증질환 완전 국가책임’ 등. 김동철은 박근혜가 취임한 뒤 2년 동안 공공기관 임원 318명을 ‘낙하산’으로 보낸 사실도 지적했는데, 이 수치는 이명박의 245명보다 30%나 많은 것이었다.

 

전 보건복지부 장관 유시민은 지난 2월 15일 정의당 팟캐스트 ‘노유진의 정치카페’에 출연해서 “박근혜의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는 헌법 위반에 해당한다”며 “야당이 다수였다면 명백한 탄핵감”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한 김상곤(더민주 전 혁신위원장)은 실질적으로 ‘박근혜 탄핵론’을 주장했다.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경우가 잘못된 특권층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인데 그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않으면 국민이 뽑아준 박근혜 대통령의 권위도 국민들이 회수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라는 생각까지 할 수 있다.”  

 

"박근혜 탄핵이 대안이다!" 피켓을 들고 사드반대 시위하는 성주군민

 

박근혜가 최근 가장 강력한 비판과 저항에 부닥치게 만든 사건은 경북 성주에 사드를 배치하기로 한 결정이다. 박근혜는 국회의 동의나 비준도 없이 국무회의의 ‘합의’(외교부 장관 윤병세는 강력히 반대했다고 함)만으로 그것을 기정사실화해 버렸다. 이것은 삼권분립의 원칙을 자의적으로 어긴 행위임이 분명하다.

 

게다가 현직 청와대 민정수석 우병우가 저지른 온갖 위법행위와 부정축재가 사실로 입증되었는데도 박근혜는 단 한마디 질책이나 문책도 하지 않은 채, 그가 참석한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고난을 벗 삼으라”는 투의 ‘격려사’를 했다. 실질적으로 검찰을 총괄하고 공직자들에 대한 사정을 지휘하는 민정수석의 위법행위가 드러나면 당장 해직하는 것이 대통령의 정당한 직무 행사인데 박근혜는 정반대 길로 간 것이다.

 

박근혜를 탄핵하기 위한 사유를 나열하면 끝이 어디인지 알 수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꼽으라면 수시로 국회의 입법권을 침해한 일과 지난 총선에서 노골적으로 새누리당의 ‘진박’ 후보들을 지원한 사실을 들 수 있을 것이다. 2004년에 소추를 당한 당시 대통령 노무현의 ‘탄핵 사유’를 여기서 되돌아보면 박근혜는 열 번도 넘게 탄핵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 해 3월 12일 야당인 새누리당과 새천년민주당, 그리고 자민련 의원 159명이 서명해 국회에서 발의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의 요지는 이랬다. “노 대통령은 불성실한 직책 수행과 경솔한 국정 운영으로 인한 정치 불안 때문에 국정이 파탄지경에 이르러 국민을 극도로 불행에 빠뜨리고 있으므로 나라를 운영할 자격이 없음이 극명해져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게 되었다.” 탄핵 사유에서 가장 핵심이 된 부분은 “헌법과 법률을 수호해야 할 국가원수가 특정 정당을 위한 불법선거운동을 계속했다”는 것이었다.

 

그해 2월 18일 경인지역 6개 언론사와 가진 합동회견에서 “개헌저지선까지 무너지면 그 뒤에 어떤 일이 생길지는 나도 정말 말씀드릴 수가 없다”고 말하고, 2월 24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국민들이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을 압도적으로 지지해 줄 것을 기대한다”, “대통령이 뭘 잘해서 열린우리당이 표를 얻을 수만 있다면 합법적인 모든 것을 다하고 싶다”고 발언한 일이 바로 ‘불법선거운동’이라는 뜻이었다. 5월 14일 헌법재판소는 “이 사건 심판 청구를 기각한다”는 ‘결정 주문’을 낭독했다.

 

당시 국회에서 노무현 탄핵에 앞장섰던 의원들이 지금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에서 ‘지도자’나 중견 정치인으로 움직이고 있다. 그 의원들은 당시의 쓰라린 패배와 좌절 때문에 ‘탄핵’의 ‘탄’자만 들어도 진저리를 칠 것이다. 그들은 그렇다 치고 박근혜가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나라와 겨레를 살리는 지름길이라고 믿는 다른 의원들은 마땅히 탄핵 소추안을 발의해야 옳지 않은가? 현재 의석 분포는 더민주(121석)와 국민의당(38석), 정의당(6석)을 합치면 165석이고 야권 성향의 무소속 의원이 4명쯤 된다. 탄핵 소추안 의결에 필요한 과반수를 훨씬 넘는 수자이지만 실제로 소추에 필요한 3분의 2 이상의 찬성에는 한참 모자란다. 새누리당에서 20여명이 가세한다면 모르지만.

 

김종철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세 야당이 ‘박근혜 탄핵’을 현실적으로 관철할 수 없다 하더라도 그것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박근혜의 악정과 실정을 나라 안팎에 널리 알리면서 여론의 압도적 지지를 받는 것만으로도 민주주의를 되살리기 위한 정권교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탄핵 발의권은 없지만 뜻있는 주권자들과 시민단체들이 ‘박근혜 탄핵 범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해서 세 야당의 활동을 지원하는 것도 민주화에 큰 도움이 되리라고 믿는다.

 

자유언론실천재단


원본 기사 보기:서울의소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정래, 서울대에서 '나라 망했다' 생각한 까닭은?

 

국회 교육희망포럼 초청, 신작 <풀꽃도 꽃이다> 토크콘서트

16.07.27 18:36l최종 업데이트 16.07.27 18:36l
기사 관련 사진
▲  조정래 작가가 2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교육희망포럼, 조정래 작가와 함께 하는 교육 토크 콘서트, "풀꽃도 꽃이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의원.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권력으로 150억 원을 부정 축재한 그 사람(진경준 건 검사장), 서울대입니다. 머리 좋은 자들이 겸손하지 않으니 다 그 꼴이 되는 거예요."

조정래 작가가 "암기만 시킨 교육이 서울대를 망쳤고, 그것이 대한민국도 망쳤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교육을 주제로 한 소설 <풀꽃도 꽃이다>를 발표한 조 작가는 27일 국회를 찾아 "1등만 하면 되는 거라고 가르치다 보니 한 명의 엘리트를 기르기 위해 수만 명을 버리고 있다. 이게 나라인가"라며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이날 국회 교육희망포럼(공동대표 도종환·안민석 의원)이 주최한 토크콘서트에 초대된 조 작가는 자신이 서울대를 찾았던 일화를 소개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제가 서울대에 가서 학생들 모인 곳에서 물었어요. '너희가 머리가 좋아 서울대에 왔는데 그게 너희의 능력이라고 생각하느냐'라고. 그랬더니 90%가 손을 들어요. 아, 이 나라 망했다고 생각했어요. 그 사람들은 0.01%의 행운을 타고난 거예요. 머리 좋은 건 자신의 능력이 아니고 머리 나쁜 자를 대신해 받은 행운이에요. 그러니 나머지를 무시하면 안 되는 겁니다. 재능에 대한 겸손이 없으면 인간이 아닌 거예요.

그런데 우리는 그런 걸 가르친 적이 없어요. 1등만 하면 되는 거라고 가르쳐요. 그러니 암기만 하다 망한 거예요. 그나마 서울대가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4.19혁명 이후 국난을 극복하기 위한 투쟁의 현대사가 있기 때문인데,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서울대 선배들이 이 나라 망치는 일에 앞장서기도 했어요. 여러분이 (뉴스로) 보고 계시는 그분들도 다 서울대입니다."

"교육민주화 못 이루면 나라 망할 거라고..."

최근 조 작가는 국회에서 화두로 떠올랐다. 조 작가가 2012년 대선에서 후원회장을 맡기도 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는 트위터에 <풀꽃도 꽃이다>를 찍은 사진을 올리며 "제가 지금 고민하고 있는 문제를, 더 깊고 묵직한 시선으로 바라본 책이다. 교육이 기회를 막는 담벼락이 아니라 기회를 주는 사다리가 될 수 있도록 고쳐 나가겠다"라고 썼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다음 달 1~5일 휴가 동안 읽을 도서 목록에 조 작가의 <허수아비춤>을 포함시켰다. 김 대표의 아내인 김미경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직접 골랐다는<허수아비춤>은 이날 조 작가가 "경제민주화가 필요하다고 해서 썼다"라고 소개한 책이다.

<허수아비춤>이 경제민주화를 위해 탄생한 책이라면 이날 토크콘서트에 올려진 <풀꽃도 꽃이다>는 조 작가가 "교육민주화를 이루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거라고 생각하며 쓴 책"이다. 이날 조 작가는 "우골탑이란 말이 생길 만큼 우리는 교육의 힘으로 국민소득 2만5000달러라는 위대한 성취를 이뤄냈다"라며 "그런데 국민소득 5만달러를 넘어가려고 한다면, 현재 교육 방식으로는 망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조 작가는 "우리나라는 암기하고, 주입해서 선진국의 기술을 흉내 내며 지금까지 왔다"라며 "우리나라가 엘리베이터, 자동차, 선박 등을 많이 수출하지만 핵심기술을 갖고 있는 건 몇 개나 되나. 원천기술은 창의력에서 나오지 암기에서 나오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 작가는 "주입식 교육을 토론식 교육으로 바꾸고, 암기와 오지선다형 시험을 완전히 폐지한 뒤 논술을 생활화해야 한다"라며 "지금 진행하고 있는 논술은 다 서울에 가서 돈 500만 원씩 주고 한 것 아닌가. 말이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기사 관련 사진
▲  조정래 작가가 2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교육희망포럼, 조정래 작가와 함께 하는 교육 토크 콘서트, "풀꽃도 꽃이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의원.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도종환 "나향욱 보며 막중한 책임감 느껴"

조 작가는 2014년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을 거론하며 "어떻게 대한민국이 그런 줄 아셨는지 (교황께서) 광화문에 와 '무한경쟁이 있는 사회는 불행한 사회'라고 말하더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조 작가는 "지난 정권에서 대통령이 무한경쟁을 강조하지 않았나. 유한한 인생을 사는 인간이 어떻게 무한경쟁을 하나"라며 "경쟁은 상대를 원수로 삼는 거다. 교육은 인간을 서로 다독이고 사랑하는 것인데 서로를 원수로 삼고, 노트 찢어버리는 무한경쟁이라니. 아, 무섭다"라고 혀를 찼다.   

이날 조 작가와 함께 토크콘서트 무대에 오른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북 청주흥덕)은 "소설을 읽으면서도 마음이 무거웠는데 (오늘 조 작가의) 말씀을 들으니 마음이 가라앉아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입을 열었다. 

도 의원은 "(최근 나향욱) 교육부 정책기획관의 발언 중 1대 99의 불평등 문제를 어쩔 수 없다고 당연히 받아들이는 것에서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라며 "연민과 철학이 없는 교육이 교육정책을 설계·집행하는 사람들이 신분제 공고화가 당연하다고 기자와 논쟁하는 그런 사회를 만들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도 의원은 "이러한 교육 속에서 죽어가거나, 죽지 못해 사는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라고 덧붙였다.

조 작가는 "소설을 쓰기 위해 만난 혁신학교 교사들에게서 가능성을 봤고, 결국 이 소설을 쓸 수 있었다"라며 "아래에서부터 바뀌고 있으니 도 의원을 비롯한 국회에서 열심히 일한다면 전체가 바뀔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라고 말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상대는 삼성이고 이건희 회장이었다

 
동영상은 충격적이었다. 영화 <내부자들>을 떠올리게 했다. 기자라면 흥분할 수밖에 없는 자료였다. 하지만 이걸 과연 보도할 수 있을지 헷갈렸다. 영상을 분석하고 현장을 확인했다. 그리고 확신을 얻었다.
  조회수 : 39,118  |  김경래 (<뉴스타파> 기자)  |  webmaster@sisain.co.kr
 
 

 

 

지난 4월 어느 날, 어버이연합 관련 취재로 머리가 아프던 날 저녁이었다. 책상 건너편의 후배 기자가 어딘가에서 온 제보 전화를 받고 있었다. 표정이 심각했다. 몇 차례 통화와 문자를 주고받는 것이 바빠 보였다. 그러더니 내게 말했다. “선배, 담배 한 대 피웁시다.” 덕수궁이 내려다보이는 저녁 옥상은 선선했다.

후배는 대뜸 휴대전화에서 사진 한 장을 보여줬다. 뭔가 ‘야동스러운’ 동영상을 갈무리한 화면이었다. “응? 이게 뭐지?” “누군지 모르겠어?” 목소리가 낮아졌다. “이거 이건희야?” “응.” “뭐야 도대체 이 사진은?” 누군가 이건희 회장의 성매매 동영상 원본을 가지고 있다며 제보를 하겠다는 전화를 걸어왔다고 했다. 그러고는 이 사진을 보내줬다고 한다. 우리는 한동안 말이 없었다. 담배 불빛은 빨갛게 오래 타들어갔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뉴스타파 영상 갈무리</font></div><뉴스타파>가 보도한 ‘이건희 회장 성매매 의혹 동영상’의 한 장면.  
ⓒ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뉴스타파>가 보도한 ‘이건희 회장 성매매 의혹 동영상’의 한 장면.

동영상은 충격적이었다. 누구나 그렇듯 영화 <내부자들>을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 사회 최고위층의 난잡하고 불법적인 사생활. 근엄하고 믿음직스러운 무대 뒤의 민낯. 기자라면 흥분할 수밖에 없는 자료였다. 그런데, 그런데 말이다. 정말 그런데 말이다. 우리가 이걸 과연 보도할 수 있을까, 삼성인데. 헷갈렸다. 이 뉴스를 볼 독자들에게 어떤 이익이 있는가. 공공의 이익이라는 것이 있는가. 황색 저널리즘의 사생활 까발리기와 무엇이 다른가. “선배, 이거 할 수 있을까.” “음… 이런 걸 확보하고도 어떻게든 뉴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그건 소스의 문제가 아니야. 능력의 문제지.”

막상 분석에 들어가니 영상은 길고도 지루했다. 젊은 여성들이 떼로 등장하고, 이건희 회장의 얼굴이 비치고, 살색 육체들이 얽혀 있는 장면들이 보였다. 일이 끝나면 관리자는 그 여성들과 함께 오랜 시간 그날의 서비스를 혹독하게 평가했다. 어떻게 하면 회장님을 만족시켜드릴까 고민하고 토론했다. 성매매의 정황은 뚜렷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어느 하나 확실한 것이 없었다. 상대는 삼성이고 이건희 회장이었다. 이 동영상은 진본일까. 영상 속의 인물은 이건희 회장이 맞는가. 장소는 어디인가. 날짜는 언제인가. ‘화대’는 얼마인가. 누가 찍었을까. 왜 찍었을까. 의문의 연속이었다.

먼저 전문가들에게 의뢰해 영상과 음성을 분석했다. 편집과 위·변조의 흔적이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화면 속의 인물이 이건희 회장이 아닐 확률은 ‘매우’ 낮았다. 다음으로,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확인했다. 간혹 우연히 찍혀 있는 야외 화면에는 건물들의 자투리가 걸려 있었다. 판독이 어려운 간판 글씨가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수없이 펼쳐진 전봇대와 전선들. 방법이 없었다. 그냥 하나하나 확인해보는 수밖에. 서울 시내를 헤매고 다녔다. 전봇대마다 사진을 찍었다. 뭔가 수상한 빌라에는 경비 아저씨가 졸 때를 기다려 들어갔다. 어떤 때는 2층에도 경비가 있었다. “거기 어디 가세요?” “20X호요.” “왜요?” “친구네 집인데요?” “거기 노인분들만 사시는데.” “아, 여기가 아닌가?” 강남 졸부의 아들로 코스프레하고, 동료 여기자를 아내처럼 대동하고, 와이셔츠 단추를 2개쯤 풀고, 몇 년 만에 구두에 광을 내고, 30억원짜리 고급 빌라를 구매하겠다며 돌아다녔다. 결국 두 달 만에 장소를 특정했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연합뉴스</font></div>이건희 회장(앞)이 삼성 서초사옥에서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사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건희 회장(앞)이 삼성 서초사옥에서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사옥을 둘러보고 있다.

인물은 뚜렷하고, 영상은 확실하고, 장소는 특정됐고, 성매매의 정황은 뚜렷했다. 성매매는 불법이다. 성매매의 양태도 매우 난잡했다. 매우 영향력 있는 공인이 수년 동안 불법행위를 계속했다. 자, 이제 충분한가.

하지만 ‘사생활’이라는 강력한 방어 논리가 남아 있었다. 성매매는 매우 논쟁적인 사안이다. 성매매를 당연시하는 한국적인 풍토도 걸림돌이었다. 사생활을 침해하는 몰래카메라라는 점도 문제였다. 이건희 회장은 성매매라는 불법을 저지른 범법자이지만, 몰래카메라에 찍힌 피해자이기도 하다.

돌파구는 뜻밖의 곳에서 발견했다. 이건희 회장이 ‘안가’로 사용한 서울 논현동 빌라 등기부등본에서 삼성 관련자가 등장했다. 전세권자로 ‘김인’이라는 사람이 등장했다. 김인씨는 전 삼성SDS 사장이고 현재는 고문이다. 회장 비서실 출신이다. 입사 4년차에 비서실로 발탁됐다. 비서실에서 인사팀장이라는 핵심 보직을 역임했다. 이건희 회장을 지근거리에서 보필한 인사였다.

이 회장의 성매매는 개인 일탈을 넘어서

취재진은 의심했다. 김인 고문이 집을 빌려서 이건희 회장에게 제공했을까. 이건희 회장이 김인 고문의 동의를 얻어 명의를 차용해 집을 빌렸을까. 이건희 회장이 김인 고문의 동의 없이 몰래 명의를 도용해 집을 빌렸을까. 김인 고문을 수소문해 직접 물어보기로 했다. 이 취재에서 ‘잭팟’이 터졌다.

김인 고문은 아주 당연하다는 듯이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동명이인일 것이다”라고도 했다. 그는 등기부등본을 보더니 생각에 잠겼다. 그리고 아마도 삼성SDS에서 외국인 임원들에게 제공할 집을 마련하기 위해 당시 대표였던 자신의 이름으로 집을 빌린 것이 아닐까 추측했다. 물론 삼성SDS에서는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회사 용도로 집을 빌리면서 개인 명의로 하는 회사는 없다.

이제 이건희 회장의 성매매는 개인의 일탈을 넘어섰다. 회사가 관여한 개연성이 나타난 것이다. 누군가 회사 임원의 명의를 도용해서 집을 빌렸고, 이 집을 이건희 회장이 성매매 장소로 사용했다(삼성그룹 취재를 시작하자 김인 고문은 자신이 빌렸다고 말을 바꿨다).

기사를 쓰고, 편집을 하고, 보도 날짜를 확정했다. 떨렸다. 잠이 오지 않았다. 솔직히 삼성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있었다. 끊임없이 되물었다. 모든 팩트는 확실한가. 실수는 없었나. 윤리적으로는 옳은가. 소송이 시작되면 이길 수 있나. 다른 언론은 이 기사를 받을까. 아무도 받지 않는 저주받은 특종이 되지 않을까. 나는 기자 생활을 계속할 수 있을까. <뉴스타파>는 존재할 수 있을까. 모든 게 충분해도 삼성 앞에서는 충분하지 않아 보였다.

보도가 나가고 <뉴스타파>에는 기자와 앵커의 ‘안위’를 걱정하는 전화와 메시지가 쇄도하고 있다. 삼성이 우리 사회에서 갖는 비정상적인 비중과 위상을 실감하고 있다. 하지만 광고가 없는 <뉴스타파>는 그나마 밥그릇에 대한 공포가 덜하다. 우리라도 삼성이라는 공포와 싸워야 한다. 최승호 PD의 말처럼 ‘시민의 가호’를 믿으면서 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동아시아 포럼, 박근혜의 오판, 차기 지도자에 집권 가능성 열어줘

동아시아 포럼, 박근혜의 오판, 차기 지도자에 집권 가능성 열어줘
 
 
 
뉴스프로 
기사입력: 2016/07/27 [02:15]  최종편집: ⓒ 자주시보
 
 

 

동아시아 포럼, 박근혜의 오판, 차기 지도자에 집권 가능성 열어줘
-‘한반도 평화’ 한국인들만이 해낼 수 있다.
-한미 대북정책 ,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어
-미국, 북한 고립으로 항복 받아낸다는 환상만 가져

                                                                                 2016년 7월 22일

남북관계, 한반도 평화 심지어는 북미 관계까지도 한국인들의 손에 달려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의 한국 내 사드배치를 둘러싼 한미일-북중러의 긴장 관계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동아시아 포럼은 20일 포럼의 자문위원인 스티븐 코스텔로의 ‘North Korea–US diplomacy needs Seoul-북한 대 미국 외교에는 한국이 필요하다’라는 제목의 분석을 게재하며 한반도 문제, 북한 문제 나아가서는 동북아 긴장 완화 및 북미 외교 문제에 이르기까지 열쇠는 한국이 쥐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한반도 변화는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이 바뀌는 시점, 특히 그중에서도 한국의 차기 지도자가 바뀌는 시점에 더욱 크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스티븐 코스텔로는 미국의 대통령이 바뀌는 것은 정책을 재검토하는 등 잠깐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큰 기대는 하고 있지 않다며 오히려 한국의 새 대통령은 ‘과감하게 정책을 수정하며, 권력과 이해관계에 보다 더 근접한 전략을 세워 이해 국가들 간 외교관계에 새로운 출발의 신호를 보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는 ‘한국인들만이 이를 해낼 수 있다’고 강조하며 ‘빌 클린턴 이후 미국의 대통령들은 1990년대의 대한반도 지역 계획으로 회귀할 통찰력이나 능력을 가지지 못했다’고 비판하며 (한반도에 충돌이 일어나면) ‘북한 다음으로 가장 많은 것을 잃을 수 있는 국가는 바로 한국이다’고 상기시켰다.

 

스티븐 코스텔로는 ‘미국은 제재와 고립을 통해 북한을 몰아붙인 후에 북한의 항복이라는 환상을 제외하고는 그 어떠한 대책도 제안하지 않았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많은 오판에 대한 일반화된 인식은 야심 찬 새로운 지도자의 집권 가능성을 만들어 놓았다’고 분석했다.

 

스티븐 코스텔로는 미국이 1990년 이후 북한 문제를 해결할 외교적 능력도 비전도 보여주지 못했다며 ‘힐러리 클린턴은 매우 유능하다. 그러나 그녀 또는 그녀의 잠정적인 외교정책 보좌관들이 북한과의 기회를 포착하는 일에 있어서 빌 클린턴만큼 잘할 수 있으리라는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광범위한 계획과 노력, 인력을 투입해 1994년 북미핵동결협약과 1998-2008 남북 관여라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돌아본 스티븐 코스텔로는 ‘그 이후로, 이와 비견되는 양국의 중요한 정책적 접근의 결여는 남북 논의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고 지적했다.

 

스테븐 코스텔로는 한국과 미국의 지도자가 바뀌는 대통령 선거를 주목하며 미국보다는 ‘북한과의 외교로 진지하게 복귀할 주요 지역적 요소들 중, 한국 리더십의 변화가 가장 큰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한국의 새로운 지도자가 한반도 변화의 키를 쥐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스티븐 코스텔로는 ‘아마도 차기 미국 대통령이 도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말라’며 미국의 역할에 대해 큰 기대를 갖지 말 것을 당부했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의 운명은 우리가 결정한다는 해묵은 진리를 이 기사는 아프게 지적하고 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동아시아 포럼의 기사 전문 번역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a9LfcI

 

 

 

 

 

North Korea–US diplomacy needs Seoul

북한 대 미국 외교에는 한국이 필요하다

                                          20 July 2016


 Author: Stephen Costello, Asia East

 

 

US and North Korean diplomats attended the Northeast Asia Cooperation Dialogue (NEACD) in Beijing on 22 June. Despite having talked at dinner, the US State Department insisted they did not ‘meet’ with North Korean officials. Also in June, Han Song-ryol, Director-General of the department of US affairs at North Korea’s Foreign Ministry, reportedly met with retired US ambassador Thomas Pickering in Sweden. So do these diplomatic movements mean we should expect som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nfortunately, they do not.

미국과 북한의 외교관들이 6월 2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동북아시아 협력대화(NEACD)에 참석했다. 만찬에서 대화를 나누었지만 미국무부는 북한측 관료들을 ‘만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난 6월 북한 외무성의 한송렬 미주국장이 전직 미 대사 토마스 피커링을 스웨덴에서 만났다고 전해진다. 그러면 이러한 외교적 움직임은 한반도에서 무언가 변화가 있을 것을 의미할까? 아쉽게도, 그렇지는 않다.

 

 

To see why, the political atmosphere surrounding Northeast Asia issues and US policy needs to be more central to understanding policy. There is a profound deficit of consequential leaders with a vision and a realistic plan for progress in Northeast Asia, just when tensions are growing. Much discussion — even among government and policy experts — is dominated by assumptions and policy alternatives that are fundamentally political and short term. Any breakthrough befor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seems unlikely.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 동북아시아 문제와 미국의 정책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적 분위기는 정책을 이해하는 일에 있어 더욱 핵심적이다. 긴장이 고조되는 이 시점, 동북아시아의 발전을 위한 비전과 현실적 계획을 지닌 결정적인 지도자가 현저히 부족하다. 정부와 정책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대부분의 토론이 가정, 그리고 근본적으로 정치적이고 단기적인 정책 대안들로 채워진다. 미국 대통령 선거 이전에 어떤 획기적인 정책이 나올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After the US election there may be a short window for a policy re-think, but the most important window will open 13 months later, when South Korea elects a new president. At that time, the country’s next leader could decisively change policy, signalling the beginning of a realignment of players that would see strategy more closely match power and interests.

미국 대통령 선거 후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는 짧은 기회가 있을 수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기회는 13개월 후, 한국이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할 때나 있게 될 것이다. 그 때에 한국의 차기 지도자는 과감하게 정책을 수정하며, 권력과 이해관계에 보다 더 근접한 전략을 세워 이해 국가들 간 외교관계에 새로운 출발을 신호할 수 있을 것이다.

 

Only South Koreans can lead this. China’s leaders cannot force the United States to provide acceptable channels for North Korea to evolve. And, since Bill Clinton, US presidents have lacked the insight or capabilities to return to the great Korea regional project of the 1990s. After North Korea, the country with the most at stake is South Korea.

한국인들만이 이를 해낼 수 있다. 중국의 지도자들은 북한이 점진적으로 문호를 개방하도록 수용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미국을 압박할 수 없다. 그리고 빌 클린턴 이후로 미국 대통령들은 1990년대의 대한반도 지역 계획으로 회귀할 통찰력이나 능력을 가지지 못했다. 북한 다음으로 가장 많은 것을 잃을 수 있는 국가는 바로 한국이다.

 

China is in some ways the most predictable of the key players. It has never made sense for Chinese leaders to encourage or allow real instability in North Korea. Meanwhile, the United States has not matched Chinese cooperation on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by re-engaging North Korea on broad strategic issues. And those, rather than oil, food, or secret promises, are the only issues that matter. The US has also not suggested any endgame after squeezing the North through sanctions and isolation, except the fantasy of its capitulation.

어떤 면에서 중국은 주요 핵심 국가들 중에서 가장 예측 가능한 국가다. 북한이 실제로 불안정하도록 부추기거나 이를 허용하는 것이 중국의 지도자들로서는 전혀 원하는 바가 아니었다. 한편 미국은 폭넓은 전략적 문제들에 북한 이슈를 다시 포함시킴으로써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들에 대한 중국의 협조에 상응하지 못했다. 원유, 식량, 혹은 비밀 약속들이 아니라 바로 이러한 문제점들이야말로 중요한 유일한 것이다. 또한 미국은 제재와 고립을 통해 북한을 몰아붙인 후에 북한의 항복이라는 환상을 제외하고는 그 어떠한 대책도 제안하지 않았다. 

 

South Korea, for its part, is winding up a decade of post-democracy conservatism. It has been a divisive lost decade for politics, ideology and North–South interaction. Democratic institutions have been undercut and freedoms have been curtailed. Yet broader recognition of the multiple misjudgements of President Park Geun-hye has created the possibility for a newly ambitious leader.

한국으로 말하자면, 민주주의 이후 보수화의 10년을 마치고 있다. 이는 정치, 이데올로기 및 남북 교류에 있어 확연히 구분되는, 잃어버린 10년이었다. 민주적 제도들이 약화되고 자유가 축소됐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의 많은 오판에 대한 일반화된 인식은 야심 찬 새로운 지도자의 집권 가능성을 만들어 놓았다.

 

The United States must be part of the solution to the destabilising pattern of statements, policies and politic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t controls much of the economic machinery required to integrate North Korea into global systems. North Korean leaders for at least 30 years have logically seen formal (as opposed to close or good)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s the key to their regional security. And the United States has diplomatic tools that — when wisely used — can induce cooperation or overcome stumbling blocks among China, Japan and the Koreas.

미국은 한반도를 둘러싼 성명, 정책 및 정치 등 불안정을 기하는 동향에 대한 해결책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미국은 북한을 세계체제 안으로 통합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시스템의 큰 부분을 관장하고 있다. 최소 지난 30년 동안 북한 지도자들은 미국과의 공식적인 관계(가깝거나 좋은 관계에 대비해서)가 북한지역 안보의 핵심임을 이해해왔다. 그리고 미국은 –현명하게 사용한다면- 중국, 일본, 남북한 사이에 협력을 유도하거나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외교적 장치들을 가지고 있다.

 

But there are limitations to US diplomacy that have grown since the 1990s. The Republican Party increasingly lacks interest in governing and problem solving, as the rise of Donald Trump demonstrates. The practical collapse of a Democrat foreign policy in Northeast Asia under President Barack Obama has also reduced, if not eliminated, the potential for Washington to attempt anything like another Iran nuclear agreement.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 미국의 외교는 그 한계가 더욱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의 등장이 보여주는 것과 같이, 공화당은 통치와 문제 해결에 점점 더 관심을 잃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정권 하에 민주당의 동아시아 외교정책이 실질적으로 실패한 것 역시, 미국이 또 다른 이란 핵 협상과 같은 시도를 할 가능성을 완전히 없앴거나 감소시켰다.

 

The delays hampering the nuclear agreement with Iran one year after it was signed are revealing. James Durso argues that the US should either ‘put up or shut up’ and do more to help the promised economic aspects of the deal to go forward. The US administration’s timidity in making the deal work means that, at a minimum, the next US president will have to establish a full-time, multi-agency group that would have to work for at least the next three presidential terms for it to succeed.

서명한 후 1년 동안 이란과의 핵 협상을 저지하며 지연시킨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제임스 두르소는 미국이 “감내하거나 입을 닥치고”, 약속된 협상의 경제적 측면이 진전되도록 더욱 노력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이 협상을 실행함에 있어서의 미국 행정부의 소심함 때문에 미국 차기 대통령은 협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여러 기관과 협력하는 상근 단체를 설립해서 이 단체가 최소한 다음 세 번의 대통령 임기 동안 일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dynamics of the Iran deal are directly relevant to any US–North Korea diplomacy. What Durso calls the ‘Sanctions Industrial Complex’ built by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for Iran was also used for North Korea, and it will confound all but the most adept and prepared president. Hillary Clinton is very capable. But there has been no indication that either she or her presumptive foreign policy advisors are as good as Bill Clinton was at grasping the potential opportunities with North Korea.

이란 협상의 정치 및 제도적 역동성은 북한 대 미국 외교와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두르소가 ‘공업단지 제재’라고 부르는, 부시와 오바마 정부가 이란에 대해 만든 제재는 북한에게도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가장 숙련되고 준비된 대통령이 아니면 누구라도 난처하게 만들 것이다. 힐러리 클린턴은 매우 유능하다. 그러나 그녀 또는 그녀의 잠정적인 외교정책 보좌관들이 북한과의 기회를 포착하는 일에 있어서 빌 클린턴만큼 잘할 수 있으리라는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

 

Former presidents Kim Dae-jung and Bill Clinton put extensive planning, commitment and personnel into the achievements of the 1994 Agreed Framework and the 1998–2008 North–South Engagement. The lack of any similar overarching policy approach by either government has crippled discussions since. Discussions have remained exclusively transactional since 2001. This, combined with the electoral calendar, means that recent meetings are unlikely to deliver a change in positions.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광범위한 계획과 노력, 인력을 투입해 1994년 북미핵동결협약과 1998-2008 남북 관여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그 이후로, 이와 비견되는 양국의 중요한 정책적 접근의 결여는 남북 논의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2001년 이후, 양측의 협의는 상업적인 영역에만 국한되어 왔다. 대선 일정과 부합되어, 이것은 최근에 가진 회의들로 어떤 입장 변화가 있지는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Still, there have been openings that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could explore in the future. If the next South Korean and/or US leader does the necessary planning, then negotiating structures should not be a problem. The Six-Party Talks are overdue for retirement. Their best aspects actually pre-date their creation in 2003: the US Agreed Framework and North–South Engagement projects already included robust regional consultation. They were replaced, in the Six-Party Talks, by a flashy substitute born of ideology, confusion and hubris.

 

하지만 미국과 한국이 앞으로 검토해볼 수 있는 기회들은 있었다. 차기 한국과 미국 대통령, 혹은 둘 중 어느 대통령이라도 필요한 계획을 한다면, 협상 구조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6자 회담은 진즉 끝냈어야 한다. 실제로 북미핵동결협약과 남북 관여 사업들은 이미 탄탄한 지역적 협의를 포함하는 등, 6자 회담의 최고의 측면은 2003년 6자 회담이 창시되기 전에 있었다. 이러한 일들은 6자 회담에서 혼란과 자만이라는 이념에 기인한 현란한 대체물로 교체되었을 뿐이다.

Most policy assumptions about what motivates the current North Korean leadership are highly speculative and badly analysed. As the North continues to advance its weapons development in a state of increasing isolation, new thinking is needed about how to open dialogue channels. Unfortunately,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n administrations are go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is North Korea.

 

무엇이 북한의 현 지도자를 움직이는지에 대한 대부분의 정책적 가정들은 상당 부분 추측에 근거하며 잘못 분석됐다. 북한이 점점 더 고립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무기 개발을 진행하는 가운데, 어떻게 대화 채널을 열어나갈지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 요구된다. 안타깝게도 미국과 한국 정부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북한도 마찬가지다.

This assessment is not encouraging. There are two elections and at least 18 months to get through. But, for now, a change in leadership in South Korea offers the most likely opportunity among the key regional players for any serious return to diplomacy with North Korea. Just possibly, the next US leader can help. But don’t count on it.

 

이러한 평가는 고무적이지 않다. 두 번의 대선이 있고, 그때까지 최소한 18개월이라는 시간을 헤쳐나가야 한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북한과의 외교로 진지하게 복귀할 주요 지역적 요소들 중, 한국 리더십의 변화가 가장 큰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마도 차기 미국 대통령이 도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말라.

Stephen Costello is an independent analyst and consultant and the producer of AsiaEast. He was formerly director of the Korea Program at the Atlantic Council, director of the Kim Dae Jung Peace Foundation, USA, and Vice President of Gowran International.

 

스티븐 코스텔로는 독자적인 분석가이자 동아시아 포럼의 자문위원 및 프로듀서이다. 그는 미국 대서양위원회에서 한국 프로그램을 담당했고, 미국 김대중평화재단에서 전무이사, ‘Gowran International’에서 부사장을 역임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다시 쓰는 7분의 전투: EMP로 본, 방산비리 종합셋트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국방이라는 단어에 항상 묶여 등장하는 멋진 말이 있습니다. “군사기밀!” 그것도 왠지 빨간 도장으로 “TOP SECRET"라고 찍혀있으면 더욱 폼 나는 단어이지요.

 

 

 

stamp-143799_960_720.jpg

 

 

 

우리나라의 군사기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전시에 사용할 작전계획이나 군 수뇌부의 비밀 공간 등일 것입니다. 영화에서 보면 전면 가득 수십 개의 패널을 설치하고 몇 개의 전자 지도를 바라보면서 위성의 화면을 추적하는 ‘벙커’라는 곳의 실제 모습은 기밀 중에 기밀일 것입니다. 이까지가 국민이 생각하는 상식입니다.

 

 

 

그런데 그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합동참모본부의 설계도가 시중에 돌아다니고 있고, 국방부가 그것을 아직도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믿으시겠습니까?

 

 

 

‘201사업’이라고 불리는 합참 신축사업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을 위해서 전·평시 한반도의 전구작전 지휘를 전담하는 군 지휘시설의 필요성으로 인해 시작됐습니다. 2008년 8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설계를 진행하고, 2010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공사를 진행하였지요. 총 사업비는 1,700억 원 규모입니다.

 

 

 

처음 군은 A업체에게 EMP 방호시설을 포함하여 추후에 정식 계약을 하기로 ‘구두 약속’하고, 일단 기술 자문과 합참의 설계도면을 의뢰합니다.

 

*편집자 주: EMP란 Electro Magnetic Pulse의 약자로, 전자기파를 뜻합니다. EMP 탄은 강력한 전자기파로 특정 지역의 모든 전자 장비를 무력화시키는 무기입니다. 스타크래프트의 사이언스 베슬이 쓰는 EMP 쇼크와 비슷한 느낌입니다. 이 무기로부터 보호 가능한 시설을 EMP 방호시설이라 부릅니다.

 

다운로드.jpg

 

합참의 설계도는 그 자체가 군사기밀이기에 당연히 비밀취급인가를 받은 자가 비밀인가를 받은 공간에서 제작해야 하고 도면이 완성되면 군이 원본을 보관하고 사본은 폐기해야 합니다.

 

 

 

그러나 정식으로 계약을 맺은 것이 아니니 당연히 비밀인가를 받은 공간이라는 곳이 존재할 수 없었고, 업체는 본인의 설계 사무소에서 도면을 작성합니다. 그 도면을 근거로 공사는 계속 진행되었습니다만, 최종 설계계약 단계에서 이 업체는 탈락하게 됩니다. 구두계약을 통해서 작성된 설계도와 동일하게 공사를 끝내고서도 합참이 설계비를 지급하지 않으니, 업체는 2012년 5월에 국민권익위원회에 설계비를 지급해달라는 민원을 제기하게 됩니다. 권익위원회가 이 내용을 기무사로 통보해주고 나서야 기무사의 조사가 시작됩니다.

 

 

 

그런데 기무사는 뜻밖의 결과를 발표합니다.

 

“이 도면은 비밀이 아니고 군사비밀보호법의 적용이 제한된다. 시설본부에서 관련 자료를 회수하기 바란다.”

 

군사비밀을 생산하는 곳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당연히 비밀등급을 분류한 적이 없으니 비밀문서가 아니라는 논리인 것이지요. 솔직한 속내는 돈을 주고 의뢰한 내용이 아니니 기무사가 개인 업체를 조사할 법적 권한이 없어 제대로 조사할 수 없으니 계약에 관련되어있던 시설본부가 알아서 잘 해결하라는 것이였지요. 결론적으로는 책임지는 사람이 없게 만들기 위한 수사종결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대로 합의가 이루어졌으면 아무도 모르게 끝났겠지만, 합참은 다른 업체에 설계비를 다 지급해버렸으니 합의를 할 수 있는 예산이 남아있지 않게 되고 그것이 다시 2014년 5월에 언론에 공개됩니다.

 

asf.png

출처 - <YTN>

 

어쩔 수 없이 2014년 5월에 국방부 검찰단이 수사에 착수하게 되지요. 당시 사업의 단장이었던 대령은 구속되었고, 사업을 총괄했던 중령은 자살을 하는 일까지 발생합니다.

 

 

 

시작부터 꼬였던 이 사업은 당연히 마무리도 잘 되지 못했습니다. 방산비리의 종합셋트로, 결국 그런 결과의 총체로서 우리 군의 수뇌부의 시설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가슴 아플 뿐입니다.

 

 

 

방산비리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ROC(Requirement Operational Capability:작전 요구 능력)을 계약 이후에 낮춰주는 것입니다. 이는 두 가지 효과가 있습니다. 첫째는 경쟁 업체의 참여를 어렵게 합니다. 군이 100이라는 성능을 요구한다면 그 수준을 보유하지 못한 업체는 입찰 자체를 할 수 없으니까요. 그렇게 계약을 성사시키고 나면 요구 성능을 80으로 낮춰주는 것입니다. 당연히 공사비를 줄일 수 있으니 큰 이익이 생기겠지요. 처음부터 80의 성능을 요구했다면 80이나 90정도의 성능을 갖추고 있던 다른 업체들도 입찰에 참가했겠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도록 배려해준 것이니 누군가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따르겠지요.

 

 

 

2008년 12월 국방부 화생방 방호시설 설계, 시공 지침(p.186)에 따르면 “특급방호도 EMP차폐 효율 요구수준을 최소 100dB 이상의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명시되어있으며, 2010년 7월 시공사(H건설)의 차폐시설공사 현장설명서 17번 시방서 내용에서는 “항파장/항전자 방호실은 100dB 이상의 성능을 보장한다”라고 송부되어있습니다. 또한 2011년 P모 시설본부장은 당시 김관진 국방장관에게 EMP 방호시설 전력화 계획을 보고하면서 “특급(전쟁 지도 본부)은 핵폭발 시 100dB 이상 차폐 효율 제공”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처음의 계획은 EMP 방호를 위해서는 최소 100dB이상은 막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원청인 H 건설도 하청을 맡은 건설사도 이와 관련한 시공능력이 검증되지 않아 계획대로 공사가 어렵자, 핵심기능은 방호성능을 80dB로 낮춰버립니다.

 

 

 

80dB의 방호성능은 ‘마비수준’의 전자파는 차단할 수 있으나 ‘파괴수준’의 전자기충격파는 차단할 수 없어 막대한 예산을 들여 구축한 최첨단 방호시설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군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20120808184125.jpg

합동참모본부 신청사

 

 

 

우리 군의 상황을 보면 1995년도에 건설된 포항 해군 기지도 2003년에 건설된 국방부 지휘 시설도 1996년에 건설된 주한 미군 시설도 100dB의 기준으로 건설되었습니다. 민간 시설을 보면 2002년에 건설된 삼성전자 전자제품시험실, 2003년에 건설된 쌍용자동차 차량용 전자파 측정시설, 2008년에 건설된 LG전자 전자파 측정시설 등은 모두 110dB로 만들어져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결과적인 평가는 독자 여러분들께서 내려주시기를 바랍니다.

 

 

 

도대체 어떻게 그런 일이 벌어질 수 있었을까? 다들 의아해하실 것입니다. 답은 그리 멀리 있지 않습니다.

 

 

 

국방부의 EMP 방호 성능검증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시공사인 H 건설과 자문계약을 맺습니다. 1년에 1억에서 1억5천만 원 정도를 자문료로 받게 되지요. 성능 검증 기관과 시공사가 이런 부적절한 관계를 맺게 되니 당연히 정상적인 성능검사는 어렵게 됩니다. 그리고 당시의 시설본부장이였던 P 소장은 퇴임 이후에 EMP 방호시설의 시공사였던 H 건설 임원으로 취업하게 됩니다. 대략 어떤 그림이 그려지시는지는 여러분께 맡기겠습니다.

 

 

 

지난 기사

 

 

프롤로그

대한민국 군복은 왜 엉망진창인가

대우조선해양과 통영함 방산비리

 

 

 

 

김광진

 

편집 : 딴지일보 cocoa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들끓는 중국, 한국을 '미국개'에 빗댄 만평 등장

 

[해외리포트] 사드 배치 결정에 비판 보도 이어져... 웨이보에서도 성토

16.07.26 18:57l최종 업데이트 16.07.26 18:57l

 

기사 관련 사진
▲ 웃는 한국, 굳은 중국 윤병세 외교장관이 25일 오전(한국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돈찬팰리스호텔에서 열린 중국과의 양자회담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2016.7.25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지난 15일 중국 현지 유력 언론에 만평 하나가 실렸다. 사드 배치를 결정한 한미 양국을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만평 속에는 10살 남짓한 '아동'이 등장한다. 옷에는 한국 국기가 그려져 있다. 이 아동은 미국 국기가 그려진 옷을 입은 성인 남성의 손을 잡고 있다. 마치 대등한 입장에서 외교 전략을 구사하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한국 정부의 착각일 뿐이라는 내용을 표현한 것이다.  

하단으로 이어진 만평에는 한국 국기를 두른 커다란 개가 목줄을 달고 중국을 향해 짓도록 강요받고 있다. 이 개의 목줄을 쥐고 있는 주인은 미국 국기를 입고 있다. 개는 이 사람이 리드하는 바에 따라 짓거나 또는 조용히 입을 다문다. 영락없는 꼭두각시 같은 모양새를 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의 꼭두각시"

 

해당 만평은 지난 15일 공개된 직후 중국 SNS인 웨이보와 웨이씬에서 수 만회 공유됐다. 또 SNS 검색어 순위 상위에 링크되는 등 사드 배치를 굳건히 고수하고 있는 한국 정부를 조롱하는 대표적인 시사 만평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논란이 커지자, 중국 포털 사이트와 SNS에서 해당 만평은 자취를 감춘 상태다.

한미가 경북 성주에 사드 배치를 결정한 이후 중국 현지에서는 한국 정부를 미국 정부의 '꼭두각시'라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경북 성주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도 사드 배치 입장을 고수하는 건 우리 정부 뜻이 아니라 미국의 압력이라는 해석이다. 

더욱이 날아오는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도록 설계된 사드가 방어 목적의 무기라는 우리 정부의 설명과 달리, 현지에서는 사드 배치로 중국을 견제하는 등 미국이 얻게 될 외교적 이익을 위해 한국이 전략적으로 희생당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이에 앞서 지난 2010년 서해상에서 진행됐던 한미 합동 군사 훈련을 앞두고, 중국 정부가 관영 언론을 통해 한미 군사 합동 훈련을 강하게 비판했는데, 이번 사드 배치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는 지적이다. 
 

기사 관련 사진
▲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25일 오전(한국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돈찬팰리스호텔에서 열린 중국과의 양자회담에서 윤병세 외교장관의 발언을 듣던 중 불만이 있는 듯 손사래를 치고 있다. 2016.7.25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당시 중국 정부는 <환구시보>를 통해 "미국이 한국의 서해상에서의 한미 군사 합동 훈련을 통해 중국에 대한 압력 행사를 꾀하고 있다"며 한미 합동 군사 훈련의 뒤에 미국 정부가 있다고 정면으로 비판한 바 있다.

또한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총참모부 부참모장은 '홍콩위성TV'에 이례적으로 출연해 "미국 항모가 서해상에 출연한다면 중국군의 훈련용 과녁이 될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아닌 미국 정부를 강도높게 비난했다. 

중국 현지 언론들은 성주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한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고수하는 건 한국 정부의 단독 결정에서 나온 게 아니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실제로 이곳 유력 언론들은 한국 도심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드 배치 반대 집회를 일제히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문에서 '사드배치 반대', '한반도 전쟁터 만드는 사드배치 철회하라' 등의 문구가 등장하는 한국 현장 사진을 자주 볼 수 있다. 

관련 보도에서는 "국민들이 반대가 이토록 강력한데도 불구하고 정부가 큰 이득이 될 것이 없는 사드 배치를 강력하게 고수하는 저변에는 반드시 표면상의 이유 외에 숨겨진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현지 유력 언론 <중국청년망>(中国青年网)은 지난 15일 성주 군민들이 황교안 총리에게 계란 투척하며 사드 배치에 항의한 소식을 빠르게 보도했다. 

해당 사진을 본 중국 누리꾼은 "성주 주민의 의견을 묻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이에 대한 성주 시민들의 뿔난 민심"이라고 평했다. 또 "누가 성주에 사드를 설치해달라고 요구했느냐(谁叫你在星州设置THAAD)"며 격한 반응을 보이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해당 기사에는 3만개 가까운 댓글이 달리는 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웨이보도 시끌... "사드 배치는 한-중 평화 위협"
 

기사 관련 사진
▲  지난 4월 남양상보에 게재된 한국 정부의 사드 배치 관련 만평.
ⓒ 남양상보

관련사진보기


중국 SNS 웨이보에도 이 사안에 대해 연일 성토하는 글이 올라온다. 

아이디 '上想'은 "이번 사건은 한국 정부가 지금껏 지속해왔던 미국과 중국 사이의 '등거리' 외교 전략과도 정면에서 배치되는 입장이며, 이는 오히려 지리적, 역사적으로 더 가까운 관계에 있는 중국과 멀어질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결과는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상당수 중국인들 가운데는 한국 정부의 이 같은 전략이 오히려 중국과 한국 사이의 갈등을 증폭시킬 것이라고 본다. 나아가  한중 무역 거래 등 민간 영역으로까지 문제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는 상황이다.

또다른 아이디 'bomonier'는 "과연 사드가 대한민국을 방어하는 데 얼마나 큰 효용성이 있는지 의문이다"면서 "사드배치는 오히려 한중 사이의 평화를 위협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 "사실상 전세계인은 사드 설치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일본 내에 설치된 오키나와 미군 기지 사례를 통해 자국에 설치된 미군 시설물이 결코 자국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드배치 앞장! 방산비리 비호! 한민구 국방장관 사퇴하라”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6/07/27 08:59
  • 수정일
    2016/07/27 08:5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민권연대,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 개최 (전문)
백남주 통신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6.07.26  19:07:31
페이스북 트위터
   
▲ 민권연대는 26일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민구 국방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사진 - 통일뉴스 백남주 통신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 결정에 대한 국민들의 반대여론이 커져가는 가운데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민권연대)는 26일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민구 국방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국가안보를 가장 앞장서서 책임져야 할 국방부가 안보에 가장 위협이 되고 있다며 그 근거로 사드배치와 방산비리 문제를 지적했다.

답답하고 화가 나서 나왔다는 홍덕범 민권연대 회원은 한민구 국방장관이 미국의 입장과 이해관계를 더 중시하는 것 같은 태도를 문제시 했다. 홍 회원은 7월 5일까지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던 사드배치를 3일후 긴급 결정했다며 미국의 압력으로 인한 굴욕 배치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그는 지난 20일 국회 본회의에서도 한 장관이 사드배치가 미국이 결정하고 미국이 승인해서 진행됐다는 식의 발언을 했다며 무책임한 태도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런 한 장관의 태도는 군인으로서 국방장관으로서 자격미달이라며 사퇴를 주장했다.

연대발언을 위해 참석한 평화재향군인회 이천동 사무국장은 방산비리 문제를 지적했다. 이 사무국장은 방산비리 문제가 계속 생기고, 통제되지 않고 있다며 그 원인으로 국방산업이 불투명하고 처벌이 약한 문제를 들었다.

그는 정부와 감사원, 시민단체 등의 감시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며 방위사업의 ‘문민화’를 통해 군의 기득권을 깨야한다고 주장했다.

한민구 국방장관에 대해서는 근본원인 해결을 위한 노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민구 장관은 작년 '방산비리는 생계형 비리'라며 장관이 직접 방산비리를 감싸주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된 바 있다.

   
▲ 민권연대 기자회견에는 윤한탁, 이규재, 권오창 등 통일원로들이 참석했다.
 

민권연대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사드배치로 ‘신냉전’이 도래했다는 목소리들이 곳곳에서 나온다”며 “사드배치는 미국의 동북아 패권전략의 하위 파트너가 됨으로써 우리 안보를 더욱 위태롭게 할 뿐이다”고 주장했다. 최근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 결정 이후 서해와 인접한 지역에서 대규모의 군사훈련을 진행한 바 있다.

이어 민권연대는 대북방송을 위한 확성기 구매 과정에서도 100억원 가량의 계약금액 뻥튀기 의혹이 생기는 등 방산비리를 근절하지 못하는 국방부의 모습도 규탄했다. 국방부 내 방산비리가 만연해 있고, 그 책임자도 안이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권연대는 이런 국방부를 믿고 국민들이 이 땅에서 편안하게 살아갈 수 없다며, 국방부를 책임지고 있는 한민구 장관은 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문 (전문)>
사드배치! 방산비리! 대한민국 안보 위협하는 한민구 국방장관 사퇴하라!

최근 국가안보를 가장 우선에서 책임져야 할 국방부가 안보에 가장 위협이 되고 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한반도 사드배치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것이며 주변국들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 안보에도 결정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믿을 국가들과 국민들은 없다. 과연 한반도 사드배치 결정으로 한국의 안보는 더 튼튼해지고 있는가? 오히려 안보환경이 더욱 악화된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한반도 사드배치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중국은 ‘경제보복’을 넘어서 실질적인 군사훈련까지 하고 있다. 최근 중국은 서해와 인접한 지역에서 무인정찰기와 전투기, 공중급유기 등 중국 해군이 보유한 거의 전 기종이 총출동하는 군사훈련을 진행했다. 미국내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개전(開戰)을 가정한 상황하에서 한국의 사드 기지를 최우선적으로 무력화시키는 연습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 상원 국방위원회는 사드의 한국 배치 결정에 대한 대응 조치로 미사일 부대를 러시아 동부 지역에 배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한반도 사드배치로 ‘신냉전’이 도래했다는 목소리들이 곳곳에서 나온다. 사드배치는 미국의 동북아 패권전략의 하위 파트너가 됨으로써 우리 안보를 더욱 위태롭게 할 뿐이다.

방산비리 문제도 심각하다. 최근 대북방송을 위한 확성기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비리 의혹이 불거졌다. 업체선정 과정에서 특혜의혹이 불거진데 이어 계약금액도 뻥튀기 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아무리 비싸도 80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비를 180억원에 계약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방산비리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왔다. 세계 최초의 가라앉지 못하는 잠수함, 총알을 막지 못하는 방탄복, 구조를 하지 못하는 구조함 등은 우리 국방의 부끄러운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작년에 발표된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의 보고만 보더라도 통영함·소해함 납품비리 669억원, 고속함 호위함 납품비리 805억원, 정보함 사업비리 230억원, 해상작전헬기 도입비리 5천890억원, 잠수함 인수 평가 관련 비리 1천475억원, 전자전 훈련장비 납품대금 편취 1천101억원 등등 천문학적인 액수다. K-16 전투기 성능개량 사업에서 1040억원 상당의 사업비를 날리기도 했다.

이런 국방부를 믿고 우리 국민들이 이 땅에서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겠는가. 국방부를 책임지고 있는 한민구 장관은 그 책임을 져야 한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국민들의 사드배치 반대 목소리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 그것도 모자라 주한미군사령관겸 한미연합사령관이 필요하다고 미국 국방부에 요청을 하고, 미국 국무부가 승인해서 사드배치가 결정된 것을 우리 정부의 ‘자주적결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도대체 그가 말하는 안보가 누구를 위한 안보인지 모를 노릇이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작년 '방산비리는 생계형 비리'라며 장관이 직접 방산비리를 감싸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물론 이후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입장을 표명했지만 얼마나 방산비리가 만연해 있고, 책임자가 얼마나 안이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사드배치 앞장! 방산비리 비호! 한민구 국방장관은 책임지고 물러나라!

2016년 7월 26일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민권연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일어나, 김광석> 이상호 감독 “진실의 목격자 돼 달라”

 

지승호 “올해 본 영화 중 가장 쎄다…이상호, 죽을 각오로 만든 영화”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 24일 <일어나, 김광석> 이상호 감독이 예정에 없던 ‘즉석 GV’를 열고 관객의 물음에 답하고 있다. Ⓒ go발뉴스

<다이빙벨> 이상호 감독의 두 번째 영화 <일어나, 김광석>이 지난 21일 개막한 제20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관객들의 호평 속에 상영을 이어가고 있다.

<일어나, 김광석>은 가수 김광석 사망 의혹에 관한 이상호 감독의 20년에 걸친 취재 영상 보고서다. 그의 20년간의 기록은 81분으로 압축돼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전날에 이어 24일 오후 5시 부천 소사구청 소향관에서 진행된 2회차 상영에서도 관객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상영관 불이 꺼지고 스크린에 불빛이 켜지자 관객들은 숨을 죽이고 영화에 몰입했다. <일어나, 김광석>은 음악 영화이자, 추적 다큐다. 영화 초반부 관객들은 김광석의 음악에 빠져들었다. 중반부부터 20년 만에 공개된 사건의 전말과 충격적 진실이 드러나는 클라이막스로 갈수록 관객들은 짧은 탄성을 내뱉는 등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이날 이상호 감독은 예정에 없던 ‘즉석 GV’를 열고 관객의 물음에 답했다.

   
▲ 24일 오후 5시 부천 소사구청 소향관. <일어나, 김광석> 이상호 감독이 예정에 없던 ‘즉석 GV’를 열고 관객과 만나고 있다. Ⓒ go발뉴스

“민‧형사 소송 압박…그 과정 통해 진실 밝혀질 것”

이상호 감독은 “김광석 사망 의혹과 관련해 20년의 조사는 끝이 났고, 이제 본격적으로 진실을 밝히기 위한 싸움이 시작됐다”며, “<일어나, 김광석>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민‧형사 소송의 압박이 시작되겠지만, 그 과정을 통해 진실이 밝혀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며 “후속편도 준비 중이다. 기자에게 수사권도 없고, 영장 칠 권한도 없지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갈 것이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일어나, 김광석>은 올 가을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배급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화 개봉 여부를 묻는 한 관객의 질문에 이상호 감독은 “영화관계자들이 배급을 고사하고 있는 상황에서 영화를 알리는 방법은 많지 않다. SNS 등 입소문으로 알리는 방법밖엔 없다”면서 “하지만 이게 결코 작은 부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러면서 “다이빙벨도 멀티플렉스의 외면을 받았지만 네티즌들의 꾸준한 관심과 홍보 속에 유튜브 관객 118만을 돌파했다”고 전하며 “<일어나, 김광석>을 보신 관객 분들이 진실의 목격자가 돼 달라”고 당부했다.

지승호 “올해 본 영화 중 가장 쎄다…이상호, 죽을 각오로 만든 영화”

한편, <일어나, 김광석> 1차 상영 이후 관객들은 SNS와 블로그 등에 후기를 공유하며, 입소문에 동참하고 있다.

전문 인터뷰어 지승호 작가는 올해 자신이 본 118편의 영화 중 <일어나, 김광석>은 “가장 뭔가 쎄게 느낀 영화”라고 평했다. 그는 영화 보기 전 이상호 기자가 소송에 휘말릴까 걱정했는데 막상 영화를 보고나니 “‘이상호 기자가 소송을 기다리고 있겠구나’란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일어나, 김광석>은 이상호 기자가 목숨 걸고, 죽을 각오로 만든 영화 같다. 만듦새도 훌륭하다”며 “정말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다”고 강조, 관객들의 관심을 당부했다.

   

지승호 작가의 후기를 읽고, 영화 관람을 결정했다는 재불작가 목수정 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영화는 명확하게 그(김광석)를 죽인 자를 가리킨다”며 “그의 육성을 듣고, 모습을 보고, 살기어린 여자가 내뱉는 미끈한 거짓말들을 들으며, 어이 없이 자살로 포장된 죽음을 맞은 김광석의 마지막 순간을 지켜보는 것만으로 심장은 감당할 수 없이 뜨거웠다”는 감상평을 올렸다.

☞ 목수정 작가 페이스북 바로가기

또 장영승 서촌갤러리 대표는 “20년 동안이나 진실을 밝혀내고자 했던 이상호기자의 뚝심이 느꼈던 시간이었다”며 “그리고 노래 외사랑과 함께 올라가는 크레딧을 보며 정말 답답하고 슬펐다”는 소감을 전했다.

그러면서 “오늘 놀라운 사실을 하나 알았다”면서 “영화가 끝나고 감독과의 질의응답시간에 어느 관객분이 말하시길 고 김광석의 미망인이 장애를 가진 딸조차 케어하지 않았다고 한다. 미국에서 그 딸을 맡아 키우셨다는 이야기를 듣고 정말 분노가 치밀었다”고 밝혔다.

   

현재 <일어나, 김광석> 부천국제영화제 상영은 오늘(25일) 저녁 8시50분 (부천시청 판타스틱 큐브) 3차 상영과 오는 27일 오후 2시(부천시 소사구청 소향관) 마지막 상영을 남겨두고 있다.

 

<☞ BIFAN 공식 홈페이지> 

 

 

[관련기사]

 
김미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중·러·북의 치열한 ‘사드 셈법’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6/07/26 10:43
  • 수정일
    2016/07/26 10:43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7월8일 한국은 ‘사드 배치’를 발표했고, 나토는 폴란드와 발트 3국에 나토군 파병을 결정했다. 신냉전의 징후는 뚜렷하고 한국이 그 한복판으로 뛰어든 형국이다. 사드를 둘러싼 미국·중국·러시아·북한의 의도를 짚었다.남문희 기자  |  bulgot@sisain.co.kr
 
 
 
 
 
 

한·미 양국이 미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발표한 7월8일 유럽에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렸다. 7월9일까지 이틀간 열린 이 회의에서 나토 정상들은 발트 3국과 폴란드에 각각 1개 대대씩 4개 대대, 모두 4000명의 나토군을 파병하기로 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무력으로 개입한 데 이어 발트 3국과 폴란드를 압박해온 러시아에 맞선 파병 결정이다. 이로써 1997년 러시아 국경 주변에 나토군을 상주시키지 않겠다던 러시아와 나토 간 기본협정이 무력화됐다. 러시아는 즉각 반발했다. 유럽이 신냉전에 접어들었다는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7월8일 서울에서는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를 발표했다. 나흘 뒤인 7월12일, 네덜란드 헤이그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는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에 쐐기를 박는 판결을 내렸다. 중국의 주장이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사드 배치로 험악해진 미·중 갈등이 이 판결로 더욱 증폭되었다.

유럽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신냉전의 전선이 활활 타오르는 와중에 한국이 섶을 지고 그 한복판으로 뛰어든 형국이다. 사드 배치 선언을 계기로 최대 안보 현안이었던 북한 핵과 미사일은 시야에서 사라져버렸다. 대신 여태까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중국과 러시아의 핵공격 위협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덮쳐오고 있다. 늑대를 피하려다 호랑이굴과 사자굴 속으로 뛰어든 셈이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록히드마틴</font></div>미국 록히드마틴 사가 개발한 사드 미사일 발사 장면.  
ⓒ록히드마틴
미국 록히드마틴 사가 개발한 사드 미사일 발사 장면.

유럽과 한국에서 거의 동시에 벌어진 사태들의 배후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했는지는 확정할 수 없다. 다만 사드 배치 선언과 헤이그 국제상설중재재판소 판결은 하나의 패키지로 엮여 있다.

사드 배치부터 짚어보자. 사드 배치 발표 전, 미국 국무부와 재무부는 김정은 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 인사 15명을 인권유린 혐의로 첫 제재 대상에 올렸다. 사드 배치가 군사적 의미를 넘어 일련의 대북 압박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 셈이다. 사안의 성격상 북한뿐 아니라 중국에 대한 충격요법의 의미도 동시에 띠었다. 북·중 대화 과정이라는 맥락에서 보면, 사드 배치는 지난 6월 이래 양측으로부터 파상공격을 받아온 미국이 수세를 공세로 바꾸기 위한 ‘게임 체인저’로 꺼낸 카드라 할 수 있다.

미국에 대한 북·중 양국의 공세란, <시사IN>이 그동안 보도해온 6월 초 베이징 북·미 군사회담 무산과 관련이 있다(<시사IN> 제461호 ‘무수단 보고 놀란 가슴 사드 놓고 달래나’). 북·미 군사회담이 무산된 지 열흘 뒤인 6월17일, 중국 수호이30 전투기 두 대가 일본 측 방공식별구역(ADZ)과 겹치는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순찰 비행했다. 이 비행 전에도 중국 함선의 긴급 출동이 있었다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6월9일, 15일, 16일 세 차례에 걸쳐 중국 함선이 센카쿠 열도 근방의 일본 영해나 접속수역에 접근했다. 당시 일본 열도는 영문을 몰라 당혹스러워했다고 한다. 6월9일이면 미국이 북·미 군사회담을 최종 거부한 6월3일로부터 약 일주일이 지난 시점, 즉 베이징 미·중 전략경제대화(6월7~8일)를 한 다음 날부터 행동에 돌입했음을 의미한다. 북한은 북한대로 6월22일 무수단 미사일을 성공적으로 발사해 미국에 충격을 주었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연합뉴스</font></div>7월8일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토머스 벤달 미8군 사령관이 ‘사드 배치’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7월8일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토머스 벤달 미8군 사령관이 ‘사드 배치’ 발표를 하고 있다.

북·중 양국이 왜 그러는지 미국이 모를 리 없었다. 4월부터 두 달이나 끌어온 북·미 군사대화 제안을 막판에 틀어버린 데 대한 반발이었다. 정부 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북·미 군사회담을 무산시킨 미국으로서는 사과하고 다시 시도해보자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차라리 강공책으로 치고 나가 협상의 공간을 노려보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 강공책이 바로 사드였다. 수세 국면을 일거에 공세로 전환해 판을 주도할 게임 체인저로서 사드 조기 배치 카드가 떠오른 것이다. 워싱턴 사정에 밝은 외교 소식통은 “미국도 막상 쓸 수 있는 카드가 많지 않았다. 사드 배치야말로 북한과 중국 양쪽을 압박할 수 있는 유일한 카드였다”라고 밝혔다.

2014년 6월 스캐퍼로티 당시 주한미군 사령관이 사드 배치 문제를 공식 거론한 이래 미국은 배치와 관련한 실무 준비를 계속해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중국이나 러시아를 압박하는 협상용 카드로만 톡톡히 활용했다. 즉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의 대북 제재에 이들을 동참시키는 협상용으로 쓴 것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실제 배치에 무게를 두기보다는 엄포용이었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후 진행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제2270호에 중국과 러시아가 적극 동참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요구대로 무작정 대북 압박의 강도를 높일 수만은 없었다. 북한이 반발해 사고를 치는 일이 없도록 관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유엔 대북 제재에 동참하는 대신 민간 기업을 통해 북한을 지원하는 ‘이중 플레이’를 했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은 비핵화와 평화협정을 위한 6자회담을 조속히 개최해 곤혹스러운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다. 미국 처지에서는 어느 선 이상으로 대북 제재의 진도가 나가지 않아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결국 협상용 사드 카드로는 대중국 압박도 한계에 봉착했다.

미국은 사드 실전 배치라는 강공책을 현실화했는데, 그 뒤의 전개가 영 매끄럽지 않았다. 먼저 북한 반응부터 살펴보자. 미국은 사드 배치를 선언하면 북한이 강력 반발하며 시끄럽게 굴 줄 알았다고 한다. 그래서 북·미 사이 티격태격하다 보면 의외의 접촉 공간이 열리고 협상의 여지도 생길 거라고 기대했다고 한다. 하지만 북한이 예상 밖의 행동을 취했다. 아예 미국과의 접촉 채널을 끊어버린 것이다. 바로 북·미 간 뉴욕 채널의 폐쇄다.

  <div align=right><font color=blue>ⓒEPA</font></div>중국과 러시아는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발하고 있다. 위는 6월25일 정상회담을 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EPA
중국과 러시아는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발하고 있다. 위는 6월25일 정상회담을 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북한과 미국은 그동안 어떤 상황에서도 대화 채널은 유지한다는 불문율을 지켰다. 베이징 채널과 뉴욕 채널을 통해서다. 특히 뉴욕 채널은 1994년 제네바 합의 때도 가동됐고 6자회담 국면이나 북한에 억류된 미국 시민 석방, 하다못해 북한의 핵실험이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사전 통보 채널로도 가동되어왔다.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에 대미 대화를 전담하는 팀이 있을 정도였다. 그런데 지난 6월 북·미 군사회담 무산으로 베이징 채널이 폐쇄된 데 이어 최근에 뉴욕 채널까지 문을 닫아버린 것이다. 북한이 아예 대미 대화 전담요원을 전부 철수시켰다는 말도 들린다.

이 같은 폐쇄는 미국이 김정은 위원장을 비롯해 15명을 인권유린 혐의로 제재 명단에 올린 데 대한 항의 표시로 보인다. 7월8일 북한 외무성은 성명에서 ‘미국의 조치를 선전포고로 간주하고 미국과 관계되는 모든 문제를 공화국의 전시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때 이미 북한의 제재 명단 철회 요구를 미국이 거부할 경우 ‘조·미 사이 모든 외교적 접촉 공간과 통로는 즉시 차단될 것’이라고 통고했다. 실제로 북한이 유엔 주재 상임대표부를 통해 미국 정부에 뉴욕 채널을 폐쇄하겠다고 통보한 시점은,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선언이 나온 뒤였다. 사드 배치 선언을 하면 의외의 대화 통로가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던 미국으로서는 뜻밖의 일격을 당한 셈이다.

사드 배치에 따른 최대의 수혜자는 북한?

그렇다면 북한은 왜 대화 채널 폐쇄로 응답했을까? 외교 소식통은 몇 가지 이유를 거론한다. 첫째 한·미 당국의 사드 배치 선언으로 북한이 불리할 게 없다는 점을 들었다. 당장 그 이후 전개된 상황을 보자. 사드 배치로 한국은 중국과 러시아에 분노의 표적이 되었다. 미국 역시 사드 배치라는 카드를 써버린 이상, 중국과 러시아를 통제할 지렛대가 사라졌다.

이는 중국이나 러시아가 유엔의 북한 제재에 동참해야 할 이유가 사라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드 배치 이후 조성될 한·미·일 관계 강화에 맞서기 위해서라도,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강화하고 북·중·러 간의 대응 체제 구축에 나서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아이러니하게도 사드 배치에 따른 최대 수혜자가 북한이라는 얘기가 나올 만한 상황인 셈이다. 사실 약간의 셈법만 있다면 충분히 예견 가능한 상황이었다. 또 사드 배치 선언으로 중국과 러시아가 흥분해 있는데, 북한이 대화 채널을 유지하며 미국과 따로 만날 경우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도 있었다. 북한이 매우 주도면밀하게 상황을 읽고 행동에 나섰다는 얘기다.

사드 배치 카드를 실행에 옮긴 미국이 정작 아쉽게 됐다. 현재 북한에 억류된 미국 시민 두 명을 송환하게 할 뾰족한 수가 없다. 북한은 두 사람을 전시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미국으로서는 속이 탈 노릇이다. 그렇다고 중국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없다. 사드 배치 이전이라면 모를까 일단 사드 카드를 써버린 이후 중국을 통한 북한 통제는 이제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이 아무리 패권국이지만 모든 카드를 한꺼번에 쓰지는 않는다. 상황을 통제해가며 순차적으로 쓴다. 이런 점에서 사드 배치를 먼저 발표하고 미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국제상설중재재판소 판결을 연기시키는 것이 원래 구상이었다고 한다. 중국과 협상의 여지를 남겨놓기 위해서다. 이미 지난달 필리핀 두테르테 정부를 통해 중국에 대화로 해결하자고 제안함으로써 협상 사인을 보내놓기도 했다. 그런데 여기서 뜻하지 않은 상황이 벌어져, 재판이 연기되지 않고 중국의 영유권을 부정하는 판결이 곧바로 나온 것이다.

대북 제재에 협조하면 미국이 사드를 한반도에 배치하지 않을 것이라 믿고 있던 중국은 국제상설중재재판소 판결로 잇달아 뒤통수를 얻어맞은 꼴이다. 판결은 물론 재판관들이 했지만 이번 재판 이면에는 미국과 중국 간 패권 다툼이 놓여 있다. 패소한 중국으로서는 분노가 끓어오를 상황이다. 사드 배치와 이번 판결로 당분간 미국은 동북아 상황에 대해 중국의 협조를 구하기가 쉽지 않게 됐다.

중국뿐 아니라 나토와 대치 전선을 벌이는 러시아도 극동에서 제2 전선이 형성되었다고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러시아 처지에서 보면 이번 사드 배치를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와 비교해 ‘역지사지’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당시 소련은 미국 턱밑인 쿠바에 핵미사일 기지를 구축했다. 이번에는 미국이 러시아의 턱밑인 한국에 사드를 들여놓은 것이다. 러시아 처지에서는 미국의 최전선 국가인 한국에 자신들의 극동 군사기지를 들여다볼 수 있는 레이더가 세워진 것이다. 중국이 느끼는 위기감도 러시아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양국의 대응 강도를 예상할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북제재는 어디로? 손잡는 북중 관계

대북제재는 어디로? 손잡는 북중 관계
 
 
 
nk투데이 김준성 수습기자 
기사입력: 2016/07/26 [02:13]  최종편집: ⓒ 자주시보
 
 

  

북중관계가 최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선되고 있다.

 
ⓒ sputniknews.com

ⓒ sputniknews.com

북중관계는 올 해 초 중국의 UN대북제재 동참으로 상당 기간 교착상태에 놓여있었다.

 

그러나 지난 5월 31일에 방중한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시진핑 주석을 만나 북중관계 개선에 합의한 이후 점차 정치적으로 개선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먼저 북중 두 지도자는 북중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한지 55주년이 되는 7월 11일 상호 축전을 교환하며 북중관계 발전을 기원했다.

 

조선중앙통신 7월 11일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우리는 중국동지들과 함께 조중친선협조관계를 새 세기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켜나감으로써 두 나라 사회주의건설 위업을 추동하며 동북아시아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수호하는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진핑 주석은 축전을 통해 “두 나라 사이의 전통적인 친선협조관계를 끊임없이 공고발전 시켜나가는 것은 중국 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방침”이며 “중국 측은 조선 측과 함께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교류와 협조를 촉진시키며 중조관계를 계속 발전시켜 두 나라와 두 나라 인민들에게 복리를 가져다줄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경제 분야에서는 북중 간 교역액 증가가 눈에 띈다.

 

미국의 소리 7월 23일 보도에 따르면 북중 간의 교역액은 6월 들어 약 4억9000만 달러로 전달인 5월과 비교해 20.1%나 증가했다고 한다.

 

이는 작년 6월과 비교해서는 약 8.3% 증가한 수치다.

 

북한의 대중 수입액은 약 2억8000만 달러로, 전달보다 20% 증가했고, 대중 수출은 약 2억1000만 달러로, 19.8% 증가했다.

 

 

 

또한 랴오닝 성과 지린 성 등 중국 동북지방 정부의 대북 경협사업은 꾸준하게 추진되고 있다.

 

특히 지린 성은 북한과 인접한 지안과 허릉에 새 경제합작구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랴오닝 성은 단둥시의 호시무역구를 활성화해 북중 경협을 발전시키고, 단둥을 국제무역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외에도 랴오닝 성 정부는 개성-단둥 간 고속도로 건설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북중 간의 관광사업도 활발해지고 있다.

 

요녕신문은 7월 9일 시작된 반나절 코스의 북한 신의주 무비자 관광이 중국인들 사이에 인기라고 보도했다.

 

단둥시는 북한과 러시아와의 협력사업인 두만강 국제관광구 사업도 진행중이다.

 

사회 분야에서 중국 당국은 북중 국경지역에서 탈북자 사업을 하는 한국 선교사를 추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CBS소식통은 7월 4일 "중국 당국의 이러한 단속은 북한 측이 추가 탈북을 방지 하기위해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 소식통은 "지난 4월 초 중국 저장성 닝보시의 류경식당에 근무하던 종업원 13명의 집단탈출한 뒤 중국 당국이 단둥을 비롯한 북중 국경지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선교사들을 무더기로 적발해 추방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 korean.china.org

ⓒ korean.china.org

문화 분야에서도 변화된 중국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6월 1일 홍콩 성도일보에 따르면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드라마 ‘38선’이 5월 28일부터 중국 전역에 방송되고 있다.

 

드라마 38선은 한국전쟁 시기 압록강 변에 살던 주인공이 미군의 폭격으로 아버지를 잃고 자원입대해 북한에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환구시보는 한국, 미국과의 관계 때문에 금기시되었던 한국전쟁 관련 드라마가 이례적으로 방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재 환구시보 등 중국 관영언론들은 항미원조(抗美援朝:미국에 대항하고 북한을 지원) 전쟁의 승리를 잘 그린 드라마라며 38선을 호평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달라진 미국에 대한 입장을 반영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북중 우호관계를 드러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김준성 수습기자  NKtoday21@gmail.com    ⓒNK투데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