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이우학교 6년을 마치며
“요즘 느끼는 건데 절 ‘이우’라는 곳에 보내(준 용기-두 줄로 지워진 부분임)주기 위해 많은 갈등이 있었을 것 같아요.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결이가 지난 해 크리스마스 때 카드에 적어 보내 온 글입니다.
결이에게 묻지 않았습니다. 왜 엄마 아빠가 ‘갈등’했을 거라고 생각하냐고.
결이가 졸업할 때까지는 그냥 그대로 간직하고 싶었습니다. 결이가 지금 이우에 대해 가지고 있는 판단과 느낌을.
물론 궁금합니다. 무엇을 ‘감사’하고 있는지.
그래서 졸업하는 날에 결이에게 물어 볼 생각입니다. ‘이우 학교, 어땠냐?’고.
아마 결이가 졸업하면서 느끼고 판단한 만큼, 꼭 그만큼 이우에서의 6년은 의미를 가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우학교를 보낼 때, 무슨 대단한 ‘용기’가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딜레마와 불안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6년 전에 결이를 이우학교에 보낼 즈음에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 ‘짧은 머리’를 강요했던 지난 세대의 억압에 맞서 소위 ‘민주화’라는 기치를 내걸고 싸운 수십 년간의 노력의 결과, 엄마 아빠의 세대는 자녀들에게 한편으로는 ‘자유로운 개성’을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과 물질적인 조건을 열어 주었지만, 동시에 그 ‘자유로운 개성’이 신자유주의적 무한 경쟁의 틀 속에서 경쟁의 승자와 패자로 나뉠 수밖에 없는 ‘냉혹한 현실’ 또한 남겨주었다.
그래서 아빠인 나는 갈등한다. 한편으로는 ‘신자유주의’를 반대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신자유주의적 경쟁’에서 우리 애들이 패배하지 않도록 공부할 것을 부추긴다. 두 아이가 ‘자유로운 개성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할 것을 바라면서도, 현실의 경쟁에서 뒤쳐지면 어쩌나 하고 불안해진다.
머리를 빡빡 깎고 싶다는 결이에게 “쓸데없는 생각 하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해”라고 윽박지른 것은 ‘빡빡 머리’에 대한 나의 ‘감성적 반감’도 있었지만, 동시에 이 신자유주의적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쓸데없는(?) 것에 시간을 소비하지 말고, 공부를 통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초조감 때문이 아니었을까?”
어쩌면 소박한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결이‘들’이 시험 성적에 의해 평가되거나 재단되지 않길 바랐습니다.
경쟁 논리보다 공동체 속에서 서로 존중하고 도울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길 바랐습니다.
무엇보다 결이‘들’이 가지고 있는 소질과 개성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길 원했습니다.
‘대안’학교 자체에 대한 여러 논란이나 그 실험의 성공 가능성, 그리고 결이‘들’이 그 실험의 첫 대상일 수 있다는 점 등 초창기의 여러 어려움이 있겠지만, 이우는 의미있는 하나의 시도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결이가 고등학교 1학년 때인 2006년 5월이었다고 기억합니다.
고1이 돼서야 간신히 마련한 핸드폰으로 문자메세지를 보내왔습니다.
“아빠 나 머리 좀 튀게 자를께” / “어떻게?”
“음 닭머리, ㅋㅋㅋ”, “아빠는 어떻게 생각해?” / “너무 튀지 않겠니?”
“음 그걸 노린건데 ㅜㅜ 해도 괜찮지?” / “니가 감당할 수 있겠니? 알아서 결정해라”
“나 닭머리 결심했어”
영국 축구 선수인 베컴의 닭머리를 생각했는데, 웬걸 결이는 그날 저녘에 가운데 머리털만 남기고 나머지를 다 밀어버린 ‘스킨해드’를 해서 집으로 들어왔습니다다.
당황 --- 분노(?) ---
그래서 결이를 붙들고 협박(?)했습니다. “스킨해드는 안된다. 스킨해드는 극우 인종차별주의자들이다. 이건 개성 수준의 문제가 아니다. 나는 스킨해드족과 한 집에 같이 살 수 없다. 니가 아무리 니 마음이 그렇지 않다고 해도 결국 그렇게 비춰질 수 밖에 없다 --- 운운.”
결국 결이를 끌고 이발소로 데려가 머리를 빡빡 밀게 했습니다.
간신히 한 고비를 넘겨 안심하던 중, 열흘 뒤에 다시 결이로부터 문자메세지가 왔습니다.
“아빠 나 축구공 스크래치해도 돼?” / “축구공 스크래치가 뭔데?”
“음 그냥 해보고 싶은건데 머리에 축구공 모양으로 파는거야” / (심각한 고민 끝에) “결아, 네 개성이 꼭 머리로만 나타나야 하는 거니? 다른 것으로 개성을 표현할 수 없니?”
“음 나도 다시 곰곰히 생각해 볼께” / “그래”
드디어 설득시켜 냈다고 안심하던 중, 다시 열흘 뒤 --- 문자메세지로 최후 통첩!
“아빠 저 오늘 머리 자를께요. 돈은 그냥 제가 하고 싶어 하는 거니까 용돈으로 할께요”
그날 축구공 스크래치한 결이의 머리를 보며, 화를 내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억지로 잘했다고 할 수도 없고, 어찌할 바를 모른 채 그냥 무시해서 지나쳤는데 ---
다음 날 결이 엄마로부터 전해들은 결의의 한마디 ‘결정타’ 때문에 하루종일 넋을 잃고(?) 지낼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빠는 내가 곰곰이 생각한 결론이 꼭 아빠의 생각대로 되야한다고 생각하나봐”
이렇게 결이는 한 ‘인간’으로 커갔습니다.
물론 6년간 머리를 길렀다 밀었다 변화무쌍했지만, 그 내면은 아빠에게 ‘결정타’를 날릴만큼 쑥쑥 자랐습니다.
엄마 아빠는 결이 ‘속’에서 이우를 언뜻 보았고 느꼈습니다.
***
“아빠, 내가 잘하고 싶은 것과 내가 잘 할 수 있다는 것이 다르다는 걸 깨달았어요.”
작년, 그러니까 결이가 고2 때 가을이었을 겁니다.
갑자기 급히 의논할 일이 있다고 해서 밤늦게 들어 온 내게 결이가 뜬금없이 한 얘기였습니다. 얘기인즉슨, 1여 년간 뮤지컬 배우가 되고 싶다고 온갖 열정을 쏟아 붓다가, 진로를 바꾼다는 것이었습니다.
자신이 뮤지컬 배우가 되고 싶었던 것은 노래와 연기를 잘 하고 싶어서 였는데, 잘하고 싶은 것과 잘 할 수 있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잘 할 수 있는 것이 뭔지 고민한 결과 과학을 잘 할 수 있고, 그래서 문과에서 이과로 바꾼다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뮤지컬 배우가 된다고 했을 때 은근히 부담이 됐었습니다.
그래도 본인이 원한다면 그러라고 했었습니다.
1년간 온갖 노력을 하다가 결국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으로 스스로 방향을 고쳐 잡았습니다.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했습니다.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한 결정 때문에 지금 ‘고생’하고 있지만, 판단이 또 달라질 수 있지만, 자신이 스스로 내린 선택과 결정에 대해 스스로 책임져 나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우에서 결이가 얻은 것은 다른 것이 아닌 바로 이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아빠, 요즘 많이 헷갈린다. 나는 시간을 가지고 집중해서 문제를 푸는 게 내게 맞는 것 같은데, 수능은 잘 안맞는 것 같아.”
며칠 전, 개학을 앞두고 결이를 다시 학교 앞 자취방으로 데려다 줄 때 자동차 안에서 결이가 토로한 고민이었습니다.
“앞으로 80여일 밖에 안남았으니까, 그 때까지만 참고 일단 수능 준비에 전념해 봐. 대학에 들어가면 네가 하는 공부 방식이 커다란 장점이 될 거다”고 조언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빠, 친구가 촛불집회에 같이 가지고 했는데, 가고 싶었는데 --- 안갔어. 한 번 가면 촛불집회에 계속 빠져버릴 것 같아서.”
“그러냐. ---” 그 날 차 안에서 저는 결이에게 더 이상 아무 얘기도 하지 않았습니다.
결이를 자취방에 데려다 주고 돌아오면서, 이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지난 6년간 결이는 저렇게 자랐는데, 우리는 여전히 ‘원점’에 있구나.
엄마 아빠의 딜레마와 불안도, 우리의 교육 현실도 여전히 그 자리에 있구나.
그래도 졸업하는 날, 아니 수능이 끝나는 날, 수능 결과에 관계없이 결이에게 이렇게 물어 볼 생각입니다.
“이우 학교 6년간, 행복했냐?”
***
(꼭 드리고 싶은 얘기)
이우학교 선생님들, 그리고 학부모님들 그간 고마웠습니다. 사실 지난 6년간 저의 가족이 학교일이라고는 전혀 하지 못했습니다. 그냥 무임승차한 기분입니다. 그래도 선생님과 여러 학부모님들께서 많이 도와주셔서 6년간 무사히 학교를 마치게 됐네요. 그래서 ‘학교에 대해’ 편지를 쓰라고 했는데, ‘결이’ 얘기밖에 쓸 수 없었습니다. 여러 어려움과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지만, 저희는 졸업하는 날 결의로부터 이런 답변을 들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6년간 행복했다”고.
2008.08.27.
3학년 박결 엄마 유영란, 아빠 박성인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