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오한과 미열..

뼛속까지 파고드는 이유없는 추위와 미열이 계속되고 있다.

조금 괜찮다가도...

 

또 그렇다.

 

이거 조류독감 아닌지..?

왠지 날개짓이 하고 싶다. ㅜ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종교와 수업의 자유..

http://blog.jinbo.net/PassMan/?pid=21  독고다이님의 한인철교목실장께 드리는 공개서한과 관련된글

 

 

나는 조계종 재단의 학교를 졸업했다. 우리 교과 중에는 필수과목으로 '불교학개론'과 '불교문화사'가 있었다. 이것을 이수하지 않으면 졸업이 안된다고 해서 교양 쌓는 마음으로 이수했고, 생각보다 재미있게 수업을 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군대 제대하고 복학해보니.. 교내에 있는 절에서 수업받는 불교 명상 수업이 필수교과목에 들어가 있었고, 더욱 가관인건 이건 학점도 없는 수업이라는 것이었다. 특히 이 수업을 수강했던 후배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수업이 참선을 빙자한 거의 불교 종교의식과 비슷해서 기독교를 믿는 사람에게는 참을 수 없는 수준이라 했다. 그래도 이수하지 않으면 졸업이 안되니.. 억지로 수강한다고 했다. 나는 워낙 종교하고는 무관하게 살아온 사람인지라 이것저것 안 따지지만 아무리 불교재단 학교지만 너무 한다싶어 학부제 반대 투쟁을 조직하면서 이 수업에 대한 공식적인 문제 제기를 했었다. 최소한 학점은 인정해야하는 것 아니냐며... 

 

그런데 학교가 발칵 뒤집어 졌다. 불교학생회를 선두로해서 교내 스님들로 구성된 00회, 교수회 등에서 건학이념을 훼손하고 부처를 부정하는 훼불사건으로 전락시킨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사고하는 방식부터가 다른 이 사람들과 한참을 답없는 싸움을 했다. 여기 저기 불려다니며 내가 교회에 다니는지를 검증 받아야 했고, 기독교 동아리조차 허용되지 않는 배타적인 학교에서 나는 무슨 지하에서 기독교 전파운동을 펼치는 전도사처럼 낙인 찍히기도 했다. 결국 제적 얘기까지 나오고... 학교에서 쫒겨날 뻔 했다. 

 

나는 결국 타협했다.

교내 광장에서 불상 갔다놓고 108배를 하는 것으로 제적을 면했다. 

 

이것은 내 인생에서 가장 치욕스러운 일 중에 하나다.

나는 끝까지 싸우지 못했고 타협을 택했다.

함께 치욕의 108배를 했던 동지들은 한창 치열해지고 있는 학부제 투쟁을 위해서 최소한 짤리지는 말아야 할 것 아니냐며.. 그냥 운동하는 셈 치고 108배 하는게 뭐 어떠냐고 했지만.. 나는 인간이 누려야할 최소한의 자유를 반납하는 일에 타협하고 학교에 붙어 있을 수 있었다. 이건 지금 생각해봐도 온 몸이 부들부들 떨리는 치욕이다.

 

그래서....

 

 

나는 가끔 이렇게 학교가 강요하는 종교에 대해 반대하고 싸우는 이들을 만나면 한없이 부끄러워지고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싸우라는 얘기를 전하고 싶다.

 

평생동안 후회하고 살고 싶지 않다면... 타협을 택한 나처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무료 공부방 운영을 위해..

가난이 필연적으로 대물림되는 남한의 자본주의 사회..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는 가난한 부모에게서 태어나 자라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무료공부방을 운영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사업 공모에 기획서를 냈다.

나의 형편없는 기획서가 설마 채택될까하는 생각에 경험쌓는 정도로 만족하려고...

 



그런데 도대체 어쩌라고 나의 말장난에 불과한 기획서가 채택되어버렸단 말인가?

뭘 믿고 거금을 우리 계좌에 입금시켜버렸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능력도 되지 않는 무료공부방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스텝들을 모집하는 광고를 냈더니 사설 학원강사처럼 생각하고 찾아오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그 사람들을 붙잡고 내가 그리고 있는 공부방의 모습을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노라면 반응들이 참 다양하다.

 

그 사람들 눈에는 내가 마치 동화속 얘기를 하는 것처럼 들렸나 보다.. 열나게 얘기하고 있는데 피식 웃는 비웃음도 들리곤 한다. 힘 빠진다.

 

얘들 성적이나 올려놓자고 운영하는 공부방이 아니라고...

 

가난이 필연적으로 대물림되는 이 사회에서 살아가면서 한없이 작아지고 자신감이 사라지고 결국엔 자신의 가치조차  제대로 모르고 사는 수많은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서 희망을 가르치자고..

 

친구들 다 학원가고 혼자 내버려진 가난한 왕따들을 위해서 친구가 되자고..

 

땀흘려 일하는 노동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깨닫게 해주자고...

 

그래서 이 아이들이 커서 어른이 되면 부모들이 가난할 수 밖에 없었던 착취의 구조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깨달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열 나게 설명하면 나를 무슨 외계인 쳐다보듯이 본다.

 

그런데 오늘 아프카니스탄에서 선교활동을 하고 왔다는 한 지원자가 모처럼 나의 얘기에 귀 기울여 주었다. 자신도 전쟁에 찌든 아이들이 얼마나 피폐해 있는지 직접 보고 왔다고, 그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공부가 아니라 희망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하면서 나의 의견에 동조해 주었다.

 

이 사람은 꼭 나의 파트너가 될 것이다. 여섯명의 스텝을 꾸리기 위해 수 많은 지원자를 만났지만 나의 얘기를 알아듣고 이해해 주는 사람은 몇 없다.

 

무료 공부방을 운영하기 위해 나는 이들 부터 조직하고 동지로 만들어야 한다. 젠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