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논리(2)

비공식적인 허위논증들(fallacies )
허위(fallacy)를 나타내는 진술들은
단순히 거짓전제들 (premises)을 의미하는 것보다 더 어떤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허위는 추리하는 과정에서의 오류(mistake)를 포함하며,
그 허위는 “그것에 따르지 않는다”
즉 전제에 의해 제기된 문제가 결론에 가서, 잘못된 것으로 판명이 되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연역적인 것과 귀납적인 논증들은 허위들을 포함하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그진술들이 거짓되거나 일관성이 없는 논증들에 위존하면 오류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허위에는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그룹들이 있다.
공식적인 허위는 단순히 논증의 형태나 구조를 조사하여 확인할수 있는 것이다.
그런 허위들중에 연역적인 논증들중에 카테고리적인 삼단논법(syllogism), 선언명제적인(disjunctive) 삼단논법, 그리고 가설적인 삼단논법이 있다.

비공식적인 허위들은 논증의 내용을 조사하여 확인할수 있는 허위이다.
비공식적인 허위에는 22가지의 비공식적인 허위들이 다섯종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관련적(relevance)인 허위들, 약한 귀납적인 허위들,모호성(ambiguity)의 허위들, 문법적인 유추(analogy)의 허위들이 있다.

관련성의 허위들(fallacies of relevance)
관련성의 허위들은 공통적으로 심리적으로는 맞는 전제에 맞는 결론을 펴고 있어도,
논리적으로는 전제와 결론을 서로 맞지 않는 비적절한 표현들이 나타난다.
이런 종류의 논증들은 논리적으로 맞지않으나, 감정적인 표현에 있어,
전제와 결론이 서로 연결되어있다.
고로, 이 허위들을 판단하고 분석(identify)하기위해,
여러종류의 감정적인 제안(appeal)들을 가진 형태들로부터 참된 증명을 분별해야 한다.

1. 강압적인 제안 (appeal to force)
이런 어필은 논증자가 다른 사람에게 결론을 이야기할 때에,
그 결론을 받아들이지 못하도록 그 사람에게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해를 가하는 허위이다.
이 허위는 육체적인 위협을 가하는 것이 있고, 또한 심리적으로 해를 가하는 것이 있다.

예 1. “만일 내가 당신을 위협하는 것에 성공한다면,
그때에 내 월급을 올리는일이 수월 할 것이다.”
예2. “만일 내 동생이 당신에게 테레타비가 어린이 텔레비프로의 최고의 프로라고 우기다면,
사실 그 어린이 베스트 프로쇼안에 탈리타비가 보여질 것이다.”

2. 동정을 사는 제안 (appeal to pity)
이제안은 논증자가 독자나 청취자에게 동정을 일으키는 결론을 유도하려고 할때 일어난다.
이 논증은 아주 자주 쓰이는 것으로 학생이 교수에게 혹은 변호사가 재판관에게 쓰는 논법이다.
예: 납세자가 재판관에게/ 존경하는 판사님, 나에게는 비록 두아이가 있지만,
나는13명의 어린이들을 통해 세금을 돌려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당신이 나에게 세금포탈의 혐의를 발견한다면,
내 명성은 엉망이 될 것입니다. 아마 나는 직업을 잃게 되겠지요.
나의 불쌍한 아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식료품을 구입할수 없을 것이고,
우리아이들은 굶어죽게 되겠지요. 나는 분명히 죄가 없습니다.”

3. 사람들에게 호소 (appeal to the people)
이 제안은 독자나 청취자들이 자신이 제안한 결론을 받아들이오록
자신의 바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것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것이 있고, 또 하나는 간접적으로 호소하는 것이 있다.

직접적인 접근법은 논증자가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제안을 받아들일수 있도록
군중심리를 자극하여, 감정이나 열정에 호소하는 제안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감정즉 의혹이나 의심을 군중에게 일으키게도 하는 방법이다.
이제안은 과거 히틀러가 자주 썻던 방법이다.
간접적인 접근은 논증자가 자신의 호소를 군중이나
혹은 개인에게 차별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밴드웨건논증법,
허무(공허함)에 호소하는 논증, 속물근성(윗사람에게 아첨하는 법)논증이 있다.

벤드웨건 논증은 논증자 자신이 원하지 않는 부산물을 낳게 하기 위해,
사람들을 뒤에 남기거나, 혹은 사람들을 내버려두도록(관심을 잃도록) 하는 것이다.
예: “ 물론 당신은 징 제품의 치약을 살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미국인의 90%가 징제품으로 이를 닦기 때문이다”

공허함에 호소하는 논증은 칭찬하든지, 설득하든지, 모방하든지,
자신이 사용하기를 원하는 아이디어로
논증자자신이 원하는 제품들을 연상하도록 하려는 논증이다.
최근에 미국의 TV에서 나오는 광고에서 나오는 문구에서 이방법을 쓴다.
예: “소수자, 자랑할 만한 것, 그것은 마린(제품이름)이다.”

속물근성논증법(appeal to snobbery)은 연상하는 작용을 이용하는
위의논증과 비슷하게 활용하는 논증이다.
예1: “롤스로이스(제품이름)는 누구에게나 위하지 않고,
선택된 소수자인 당신에게 주어지는 것이며,영국의 자동차회사들도 애용하는 것이다.”
예2. 엄마가 여자자아이에게/ “너는 슈퍼우먼같은 여성(wonder woman)으로 자라고 싶지 않니?
그러면 홍당무를 잘먹으려무나.”

Patrick J. Hurley 의 A concise introduction to logic 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