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독서후기]사막의 꽃을 읽고..

非자본주의 아프리카의 와리스가 자본주의의 꽃이라는 광고의 요소인 모델이 되었다? 사람들은 책을 읽을 때 각자의 관심이 더 큰 영역이 비중있게 각인되나 보다.

그녀는 성공(?)은 용기에서 출발한 것이라 생각했다. 가출할 수 있는 용기(?), 낯익음을 떠날 수 있는 용기. 이 책을 재밌다고 해야할까? 그렇게 말하기는 어렵다. 어려워서가 아니라 한 하늘 아래에서 동시대를 살아가면서도 이렇게나 다를 수 있는 삶의 공간이 있다는 것은 다소 충격적이다.

우리 학교 선생님 보건 교사이신 양인순 선생님의 독후기록을 나의 기록으로 대신한다. 어차피 양인순 선생님의 권유로 읽은 것이니...

 

---------------------------------------------------------------------------------

 

 


『사막의 꽃』을 읽고


와리스 디리․캐틀린 밀러 지음


소말리아의 가난한 유목민의 딸로 태어나 열세 살 때 아버지가 낙타 다섯 마리를 받고 노인에게 시집보내려 하자 가족을 버리고 자유를 찾아 떠난다. 고단한 여정을 끝내고 모가디슈의 친척 집에서 가정부로 일하다 우연한 기회에 런던의 소말리아 대사로 있는 이모부의 가정부로 가게 된다. 이모 가족은 대사 임기가 끝나고 소말리아로 돌아가지만 영국에 혼자 남기로 결심한다. 영국에서 우연한 기회에 슈퍼모델이 되어 뉴욕과 파리, 밀라노 등 세계적인 무대를 누비는 매혹적인 꽃으로 우뚝 섰지만, 그에 머물지 않고 문화적 금기, 죽음의 침묵을 깨고 자신의 상처, 할례의 고통을 세상에 드러내 보이며 지금 이 시간에도 응어리진 고통의 소리를 낼 수조차 없는 수 억 명의 자매를 대표하여 유엔의 특별사절로서 “여성성기절제술”(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반대운동을 하고 있다.

여성할례, 여성성기절제술이란 말을 막연히 여성의 성기에 행하는 주술적 행위 정도로만 짐작했었는데 여성의 성기는 애초부터 불결하고 음탕하므로 모든 가능성을 뿌리째 도려내 버리는 도륙행위라니....이 어찌 여성의 몸을 전쟁터로 만드는 것이 아니겠는가? 전통이라는 미명하에 행해지는 무지몽매한 관습, 너무 가혹하고 소름이 끼친다.



「아프리카에서 자라서 좋았던 것 가운데 하나는 내가 순수한 자연과 순수한 삶의 일부였다는 점이다. 나는 삶을 체득했다. 피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의 삶이었다. TV에 나오는 남의 인생을 지켜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끼는 그런 인위적인 삶이 아니었다. 처음부터 내겐 생존본능이 있었다. 나는 기쁨과 고통을 동시에 느꼈다. 행복은 소유에서 오는 게 아니라는 것도 알았다. 가진 것이 없어도 행복하기만 했으니까.」


「소말리아에서 크면서, 우리는 사소한 것들에 감사할 줄 알았다. 비를 반갑게 맞은 이유는. 비가 오면 물이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뉴욕에서 물 걱정하는 사람은 없다. 부엌에서는 물을 틀어 놓고 다른 일을 하기도 한다. 언제든지 필요하면 쓸 수 있다. 수도꼭지를 돌리면 곧바로 나온다. 부족함을 알아야 감사할 줄도 안다. 아무 것도 없던 우리는 매사에 감사했다.」


「오늘도, 나는 여전히 사소한 것들을 소중히 여긴다. 나는 호화로운 집을, 때로는 한 채도 아니고 여러 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차, 보트, 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매일 만난다. 그러나 그 사람들은 더 많은 걸 원한다. 다음으로 구입할 것이 마침내 행복과 마음이 평온함을 가져다 줄 듯이 말이다. 그러난 나는 다이아몬드 반지가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 이제 사고 싶은 걸 다 살 수 있는 능력이 된다고 해서 하는 말이 아니다. 나는 아무 것도 원하지 않는다. 인생의 가장 가치 있는 재산은 인생 그 자체이고 그 다음은 건강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온갖 하찮은 일에 안달하면서 귀중한 건강을 망친다. 미국은 세계에서 제일 부유한 나라지만, 국민들은 모두 자신이 가난하다고 느낀다.」


 - 2007년 7월 8일 양 인 순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