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권력재편기] 모색 ③ 생활정치와 아젠다 - 부산 중구 사례와 이데올로기 전쟁

[권력재편기] 모색 ③ 생활정치와 아젠다 - 부산 중구 사례와 이데올로기 전쟁

하나

얼마전, 손석춘의 문성현 동지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손석춘과 문성현 동지는 "비정규 노동자들을 위해 싸웠는데,,,", "노동자, 농민, 빈민, 청년, 실업자들이 유권자의 절대다수인데도 왜 진보정당은 2002년 대선에서 100만 표도 채 얻지 못했을까?" 고민하더군요. 사실, 그 고민은 손석춘과 문성현 동지만의 고민이 아니라 진보정당 운동을 하는 우리 모두의 고민일 것입니다. (그래서 "문성현,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라고 썼었습니다)

어쨋든, 민주노동당은 (그 누가 지도부이든 상관없이) 늘 '노동자 민중적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춰 당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제 보기에 모두 열심이었습니다. 그런데 왜 다수의 노동자 민중은 민주노동당을 지지하지 않(못하)는 것일까요? 왜 아직도 민주노동당을 노동자 민중적 '희망'으로 승인하지 않(못하)는 것일까요?



당이 좀 더 다양하게 '생활' 정치에 파고들어야 합니다. 묵직한 정치적 잇슈를 일상적인 생활인의 문제로 풀어내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가령, 한미FTA 저지 투쟁 서명전에 있어서 부산 중구의 "민주노동당식 서명운동-연고자 사업사례" 경우가 그 것입니다. 세탁소, 약국, 쌀가게, 정육점 등 당 지지자들의 직업별로 선전하고 제각각을 서명 운동의 주체로 세우는 경우입니다. 아주 모범적인 '생활 정치'의 사례입니다.

그런데, 부산 중구 '연고자 사업사례'가 (천편일률적인 서명 운동에 비해) 단순한 서명 운동 방식의 차이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당이 묵직한 정치적 잇슈를 어떻게 일상의 문제로 제기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이 들어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노동자 민중을 조직할 것인가에 대한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부디, 부산 중구 '연고자 사업사례'가 단순 아이디어로 '모범 따라 배우기' 정도에 그치지 않길 바랍니다. 특히, 지도부.



김호철 당원의 '추석이 서러운 사람들, 당이 보듬어 주자'를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특히, 김호철 당원이 건설노조 공안 탄압과 KTX 승무지부 노동자 탄압, 그리고 평택 대추리 탄압 등을 사례로 들면서 '독재정권시대에도 볼 수 없었던 가혹한 탄압 앞에 놓여진 동지들이 있건만, 우리의 분노는 이상하게도 고요하기만 하다. 시대가 변했다는 말이 워낙에 유행처럼 되뇌어지다보니, 우리의 감각도 무뎌진 것은 아닌지 싶다'라는 지적에 동의합니다.

"장기 투쟁 사업장 동지들을 챙기자"는 주장은 '한가위' 일회적인 행사가 아니라, 항시적인 당 사업으로 자리 매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아니, 김호철 당원의 주장에서 한 발 나아가, '한가위'를 서럽게 맞이하는 (투쟁하는 동지들만이 아니라) 모든 노동자 민중적 삶의 문제를 보다 더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물론, 당은 각종 정책과 실천을 통해 그렇게 하려 노력하지만,,, 무언가 부족해 보입니다.



김호철 당원은 '한국사회 양극화는 누구에게나 즐거워야 할 명절도 전혀 다른 양상으로 맞이하게 만든다'고 말합니다. '한국사회 양극화'와 '전혀 다른 명절',,, 맞는 말이지만 고민이 필요합니다. '양극화'라는 개념에 일종의 '이데올로기적인 장치'가 숨겨져 있지는 않을까요? 즉, 지배 집단이 '양극화'라는 개념어를 의도적으로 확산시키며 인민들 간의 '경쟁' 심리를 부추기고 있지는 않은 지,,,

'양극화'라는 용어를 접하는 국민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요?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니 그 불합리한 구조를 깨기 위해 투쟁하자고 맘먹을까요? 아니면, 남들보다 더 상층에 오르기 위해 갈수록 이기적이 될까요? 혹여, '양극화' 이데올로기는 한국 사회 보수화를 완성하기 위한 일종의 '메타포'가 아닐까요? 어쨋든, '양극화'는 사회 현실을 설명하기 위한 (정태적인) 분석어로 사용되기보다, 그 용어를 받아들이는 구체적인 국민들의 (동태적인) 시선으로 재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섯

사회 '양극화'라는 개념어는 대단히 '정치'적입니다. 마치, 지난 531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압승의 이데올로기적 장치였던 "세금 폭탄"이라는 개념어가 중산층(?) 혹은 서민(?)들까지 흔들어 댔듯이,,, 사회 양극화라는 개념은 노동자 민중의 진보정당적인 사회 인식을 가로막는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적 장치라고 판단됩니다.

또한, "세금 폭탄"이라는 이데올로기 공세를 노무현이 넘어서지 못했던 것처럼, 사회 전반을 규정짓는 일종의 '프레임'으로 작용하는 '양극화'라는 이데올로기 장치를 진보진영이 돌파하긴 쉽지 않습니다. 하기에, '양극화'보다 "신빈곤-절대빈곤시대"란 개념을 사용했으면 합니다. 아니, 개념만이 아니라 부산 중구의 경우처럼, "신빈곤-절대빈곤의 시대"를 살아가는 생활인들의 '분노'를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조직했으면 좋겠습니다.

일상 생활 속에서 분노를 조직하라.

*

노동자 민중의 독자적인 정치 세력화에 자신감을 갖기 위한 '전략"과 '기획"을 수립합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