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도 사설에서 “빈도가 높아진 봄철 산불은 대형화·장기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기후위기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말한다”며 “겨울 가뭄이 산림을 메마르게 만들고 기후위기로 인해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상대습도가 낮아지면서 봄철 산불 발생과 대형화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전 지구적으로 커져가는 산불 예방 대책은 기후재난의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정부가 산불 조기 진화에 국가의 재난 대응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소방·산림 당국은 진화 장비와 시설을 확충하고, 방재·위험예보 시스템과 재난 대응 체계를 더욱 촘촘히 구축해야 한다”며 “진화 매뉴얼도 가다듬어 진화 도중 인명피해가 없도록 해야 하고, 빨리 발견해 조기 진화하는 종합대책을 마련해 매년 되풀이되는 봄철 산불의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했다.
한겨레도 사설에서 “산을 찾는 이들 모두가 경계심을 높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정부의 산불 예방·대응 체계에 문제가 없는지도 점검이 필요하다”며 “산불 발생의 빈도를 높이고 조기 진화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 산불의 위험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면 그에 따른 당국의 대응도 이전보다 훨씬 강화돼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중앙일보 또한 사설에서 제대로 된 대책 점검을 강조했다. 중앙일보는 “매년 반복되는 봄철 산불에 우리가 제대로 된 예방법과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이 필요하다. 산불의 가장 큰 원인이 입산자의 실화(31%)고, 이번 산불도 묘지 정리나 농막 제작 과정에서 불꽃이 튀어 발생한 실화로 추정된다. 봄철 입산 시 실화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며 “지자체가 기간제로 뽑아 운영하는 진화대원이 전문 소방 인력이 아닌 지역의 고령자들로 구성된다는 점도 되돌아봐야 한다. 이들은 살수 기능을 갖춘 개조 트럭이나 등짐펌프, 방화선 구축용 갈고리 등을 사용한다. 대형 산불 대응의 책임을 소형 산불에 맞춰진 대원들에게 지우고 있는 것은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고 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1면 기사 <나라가 타 들어가는데, 최상목 탄핵 철회 않는 野>에서 국가적 재난 상황에 민주당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탄핵을 추진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전국에서 잇따르는 산불 대응을 책임지고 있는 정부 수장을 끌어내리겠다는 것”이라며 “현재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직무정지 상태이고, 재난 대응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 장관도 공석이어서 최 대행이 재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고 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