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5면 보도에서 불에 잘 타는 침엽수 비율이 산림의 50%가 넘고, 산길도 부족해 진화 효율이 적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기상 여건 외에도 침엽수림과 임도 부족이라는 우리나라 산림의 구조적 문제도 있다”며 “침엽수는 기름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산불이 발생하면 불쏘시개나 화약 역할을 한다. 산불 진화용 인력과 차량이 다닐 수 있는 산길인 임도가 제대로 조성됐다면 진화 작업이 수월했겠지만, 울창한 숲 경관을 해친다며 환경 단체와 산주들이 반대했던 게 대형 산불로 돌아왔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이례적 강풍으로 불이 무섭게 번졌다곤 하지만 이번 산불은 우리의 취약한 방재 능력을 여실히 드러냈다”며 “지자체들은 산불이 지자체 경계에 도달해서야 대피 경보를 내린 경우가 많았고, 그마저 어디로 피하라는 안내도 없이 막연히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라’고 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산림청이 2년 전 헬기·진화인력 확충 등 내용을 담은 산불백서를 냈음에도 큰 변화는 없다면서 “지자체의 재난 매뉴얼 정비 등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체계적 시스템이라도 갖춰야 한다. 큰 산불이 날 때마다 비 오기만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라고 밝혔다.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노후하고 부족한 소방 헬기 등 진화 역량, 보호장구·교육이 충분하지 않은 산불 진화대원 운용, 주로 고령층인 지역 주민 대피 시스템 등의 문제점이 노출됐다”며 “산불 대형화의 구조적 원인을 살피고 예방·대응 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거듭 드러난 것이다. 그러나 당장 급한 것은 산불 진화와 이재민 지원에 정부, 지자체, 정치권, 민간의 총력을 모으는 일”이라고 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