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화해와 치유, 쓰는 사람에 따라 얼마나 폭력적인지…”

 

[이영광의 발로GO 인터뷰 87] ‘위안부’ 문제 다룬 소설 <한 명> 김숨 작가이영광 기자  |  kwang3830@hanmail.net
 

6월항쟁의 도화선이 된 청년 이한열의 운동화 복원과정을 그린 <L의 운동화>의 김 숨 작가가 이번에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처절한 삶을 소설화 한 신작 <한 명>을 출간했다.

소설 <한 명>은 ‘위안부’ 피해자로 정부에 등록된 생존자가 단 한 명 남은 시점에 등록되지 않은 ‘위안부’ 피해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현재와 과거를 오간다. 출간까지의 뒷이야기를 듣기 위해 지난 12일 서대문역 근처 커피숍에서 김 숨 작가를 만났다.

김 작가는 <한 명> 집필 계기와 관련해 “신고한 ‘위안부’ 피해자보다 신고하지 않은 피해자의 숫자가 훨씬 많은데 여전히 ‘위안부’ 피해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살아가는 분이 어딘가에 계시지 않을까하는 생각에서였다”고 밝혔다.

소설은 줄곧 주인공을 ‘그녀’로 표현하다 마지막에 ‘풍길’이란 이름을 등장 시킨다.

그 이유에 대해 김 작가는 “소설 속 주인공인 ‘그녀’는 13살 때, 납치를 당해 만주 위안소로 끌려가는 순간 영혼과 육체를 강탈당한다. 소설 <한 명>은 ‘나’라는 실존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서 ‘그녀’가 잊고 있던 13살 이전, 고향에서 부모님과 친구들이 불러주던 ‘그녀’의 이름을 찾아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김 숨 작가와 나눈 일문일답을 정리했다.

   
▲ 소설 <한 명> 김숨 작가 ⓒ 이영광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순간적 아닌 지속적인 것”

- 소설 <한 명>, 지난 8월 초에 출간되었는데, 반응은 어떤가요?

“‘위안부’ 문제에 평소 관심이 있으셨던 분들이 많이 읽어주시는 것 같아요. 고등학생들의 반응이 무엇보다 고맙고 뜻깊게 다가왔어요. 청소년 기자들과 만나 <한 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해 갖는 그들의 관심과 애정에 감탄했어요. 피해자들의 증손녀뻘 되는 그들이, 손녀뻘 되는 나보다 더 가까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저 자신이 부끄럽기도 했어요. 그들의 관심이 순간적인 게 아니라 지속적인 것에 안도했죠.”

- 주위에서 책을 읽고 뭐라고 하나요?

“‘쓰기 힘들었겠다’거나 ‘애썼다’ 같은 말씀을 주로 해주셨어요. 읽기도 고통스러운 이야기를 썼으니, 쓰는 동안 힘들었을 거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위안부’ 피해자들이 겪은 일들과 살아 돌아온 이후에 그분들께 주어진 삶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만큼 끔찍하고 고통스러웠잖아요. 하지만 그 말들이 이상하게 제게 위로가 되고, 든든한 힘이 되었어요.”

-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는 아픈 역사로 지금도 해결되지 않았어요. <한 명>을 쓰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제 중편 <뿌리 이야기>에 ‘위안부’ 피해자가 지나가는 인물로 등장해요. 잠깐의 등장이었지만, 제게는 무척이나 중요한 인물이었어요. 그 소설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을 때 언젠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소설을 쓰고 싶다는 고백을 했어요. 바람은 있었지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결코 만만한 소재는 아니잖아요. 써지지 않으면 쓸 수 없겠구나 싶었는데, 작년에 ‘한 명’이라는 제목이 오면서 소설이 써지기 시작했어요.”

- ‘위안부’에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제가 관심을 갖는 대상 중 하나가 ‘노인’이예요. 노인들에게 시선이 가요. 그들의 표정, 행동, 말들에 흥미를 느껴요. 영감을 받기도 하고요. 현재 생존해 계시는 ‘위안부’ 피해자들은 노인들이세요. 정주하신 못한 삶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는데, ‘위안부’ 피해자 대부분이 열대여섯 살 이후로, 정주하지 못하고 뿌리 뽑힌 삶을 살아오셨어요. 그래서인지 자연스럽게 피해자들에게 시선이 갔던 것 같아요.”

- ‘위안부’ 문제를 처음 접했을 때 어땠나요?

“막연하면서도, 그분들이 죄인처럼 숨어서 살아간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제 친할머니나 외할머니가 ‘위안부’ 피해자가 아니어서, ‘위안부’ 피해자들이 저와 먼 분들처럼 느껴지기도 했어요. 그런데 그분들의 증언들을 읽으면서 그분들이 제 아주 가까이에서 살고 계셨다는 것과 제 친할머니나 외할머니를 대신해 ‘위안부’로 동원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위안부’ 피해 사실 숨길 수밖에 없었던 분들의 ‘입’이 되어 주고자…”

- <한 명>은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하지 않은 할머님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는데 이유가 있을 것 같아요.

“‘위안부’ 피해자 신고를 하고, 역사적인 사명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증언하시는 피해자분들을 보면 존경스러워요. 그런데 살아 돌아온 많은 피해자들이 끝까지 가족에게조차 말하지 못한 채 가슴 속에 한으로 품고 살다 돌아가신 걸고 알고 있어요. 그런 분들의 내면을 그리고 싶었고, 수면 아래에서 숨죽이고 있는 그분들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싶었어요. 소설로라도, 자신이 피해자라고 떳떳하게 말씀하시는 못하는 분들의 ‘입’이 되어 주고 싶은 마음이 제게 있었던 것 같기도 하죠.”

- 소설 속에서는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하지 않은 분이 한 명인데, 실제로는 더 있을 것 같아요.

“여전히 ‘위안부’ 피해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살아가는 분이 어딘가에 계시지 않을까 생각해요.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보다 신고하지 않은 피해자의 숫자가 훨씬 더 많으니까요. 그리고 그분들 대부분은 자신들이 피해자라는 사실을 끝끝내 말하지 못한 채, 사과의 어떤 말도 듣지 못한 채, 피해자임에도 도리어 죄인처럼 살다가 돌아가셨죠.”

- 소설은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요.

“저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현재의 삶을 이해하는 것도 무척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분들이 오늘을 어떻게 살아가고 계신지 그려 보이고 싶었어요. 왜냐하면, 현재의 오늘의 삶이 여전히 과거의 영향을 받고 있으니까요.”

-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해야 해서 취재도 많이 필요했을 것 같아요.

“증언집들과 관련 기사를 찾아 읽고, 관련 영상 자료들을 찾아보았어요. 제가 구할 수 있는 자료들은 거의 구해서 읽고, 본 것 같아요. 하지만 ‘위안부’ 피해자분들을 찾아뵙지는 않았어요.”

- 왜 안 만났죠? 직접 만나 증언을 듣는 것도 의미 있었을 텐데.

“일종의 거리 두기를 한 것인데, 한 분의 경험에 갇히는 것을 우려했던 것 같아요. 할머니들을 찾아뵙고 ‘할머니께서 겪은 일들을 소설로 쓰고 싶으니 저에게 좀 들려주세요’라는 말을 할 엄두가 나지 않기도 했어요.”

“소설 <한 명>, 돌아가신 ‘위안부’ 피해자들이 남긴 증언”

- 현재 살아계신 분이 적지만 그래도 여러 분을 만나시면 되지 않을까요?

“현재 생존해 계시는 ‘위안부’ 피해자분들은, 그분들이 하실 수 있는 증언을 수십 수백 차례 하셨어요. 그분들이 들려주실 수 있는 이야기들을 충분히 들려주셨다고 생각해요. 돌아가신 분들이 남긴 증언들도 제게는 중요했고요.”

- 증언집을 읽으며 느끼는 것도 있을 것 같아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제가 너무 몰랐다는 반성을 절로 하게 되더라고요. 증언집에 실린 내용들이 상상을 초월해 놀랐어요. 피해자분들이 증언하는 동안 얼마나 고통스러우셨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증언 작업을 꾸준히 해오신 분들에 대한 고마운 마음도 들고요.”

- 힘드셨을 것 같은데 가장 가슴 아픈 부분은 무엇이었어요?

“불임의 몸이 되어 돌아온 피해자분들이 많으세요. 대개의 여자에게는 자연스럽게 주어지는 평범한 삶이 그분들께는 주어지지 않았어요. 평범한 삶을 간절히 바라고, 바라는 대목을 읽을 때 가슴이 아팠어요.”

- 소설에서 주인공을 ‘그녀’로 표현하다 마지막에 ‘풍길’이란 이름을 등장시켰는데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연재할 때만 해도, 주인공은 물론 다른 소녀들에게 이름을 부여하지 못했어요, 그러나 퇴고하는 과정에서 이름을 부여하게 되었어요. 소설 속 주인공인 그녀는 13살 때, 납치를 당해 만주 위안소로 끌려가는 순간 영혼과 육체를 강탈당해요. 저는 <한 명>이 ‘나’라는 실존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고 생각해요. 그녀가 잊고 있던 13살 이전 고향에서 부모님과 친구들이 불러주던 태초의 이름을 찾아주고 싶었어요.”

“위안소의 소녀들이 가장 그리워했던 존재.. 엄마”

- 마지막 부분에 주인공과 여동생의 대화에서 ‘뭘 갖고 싶냐’는 여동생의 물음에 주인공은 대답을 못 하지만 여동생이 잠들었을 때 “엄마, 엄마가 갖고 싶어”라고 말하는데 왜 엄마가 갖고 싶다고 했을까요?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증언을 읽다 보면, 위안소 시절 죽어서라도 고향에 돌아가고 싶어 했어요. 어떻게든 살아서 고향에 돌아가자는 약속을 서로 하기도 했고요. 위안소의 소녀들에 가장 그리운 존재는 엄마였던 것 같아요. 살아서 돌아온 그녀들을 가장 따뜻하게 보듬어준 존재가 엄마였던 것 같고요.”

- 소설에서 각주가 많은 건 거의 드문 것 같은데 아무래도 증언집을 참고로 해서 그런가요?

“저의 소설적인 상상력만으로는 쓸 수 없고, 써서는 안 되는 소설이었어요.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진실과 사실에 근거해야만 했어요.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증언들을 소설 안으로 끌어오기로 했어요. 그분들의 증언이 제게 영감을 주었을 뿐 아니라, 소설을 끌고 나가는 데 큰 힘이 되었어요. 출처를 정확히 밝히는 게 피해자분들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했어요.”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최근 공식 출범한 '화해치유재단'에 일본 정부가 이달 중으로 10억 엔(약 111억 원)을 집행한다며 외교부가 발표한 다음 날인 26일 오전 서울 마포구 연남동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쉼터 '평화의 우리집'에서 길원옥(왼쪽), 김복동 할머니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화해와 치유, 쓰는 사람에 따라 얼마나 폭력적인지…”

-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박근혜 대통령 면전에서 우리 정부 주도로 출범한 ‘화해 치유 재단’에 10억엔을 송금했다는 이유로 소녀상 철거를 압박하면서 이면합의 의혹이 또다시 불거졌어요.

 

“화해와 치유가 굉장히 좋은 낱말이잖아요. 그러나 좋은 낱말을 어떤 사람들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쓰느냐에 따라 폭력적인 낱말이 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관련기사]

 
이영광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할머니 사랑해요" 한복소녀는 눈물을 쏟았다

 

[현장] 추석 연휴 첫 날에 열린 1128번째 일본대사관 앞 수요시위

16.09.14 17:03l최종 업데이트 16.09.14 17:40l

 

▲ 한국 정부가 이 할머니의 손 잡아줄 수 없나요?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참여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이날 시위 사회를 맡은 김동희 정대협 사무처장(오른쪽)의 부축을 받으며 일본대사관을 향해 쓴소리를 하고 있다. ⓒ 남소연
▲ 한복 입고 수요시위 참가한 초등학생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초등학교 6학년생 최유리양이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수요시위에 참가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길원옥 할머니의 손을 잡고 있다. ⓒ 남소연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초등학교 6학년생 최유리양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앞에 섰다. 

유리양은 "일본에서 할머니들을 데려갔는데, 할머니는 원하지 않았지만 굉장히 많은 일을 겪으셨다"라고 말했다. 이어 울먹이는 목소리로 "일본이 사죄하지 않으니까, 너무 속상하다. 할머니들이 건강하셨으면 좋겠다. 할머니 사랑해요"라고 말했다. 두 할머니는 유리양의 손을 꼭 잡았다. 주변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유리양은 이날 오전 경기도 성남시에서 광역버스를 탔다. 행선지는 할머니·할아버지집이 아닌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이었다. 유리양은 발언 후 기자에게 "(사람들 앞에 서는 게) 부끄러웠지만, 할머니들한테 도움을 드릴 수 있는 좋은 일이라고 생각돼 발언을 했다"라고 말했다. 
▲ 부축받으며 발걸음 내딛는 김복동 할머니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김복동 할머니가 참여하고 있다. 발언에 나선 김복동 할머니가 부축을 받으며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 남소연
▲ 김복동 할머니, 일본대사관 향해 쓴소리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참여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이날 시위 사회를 맡은 김동희 정대협 사무처장(왼쪽)의 부축을 받으며 일본대사관을 향해 쓴소리를 하고 있다. ⓒ 남소연
▲ 추석 연휴에도 변함없이, 김복동 할머니...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가 참여하고 있다. 할머니의 오른편에 "10억엔을 받고 끝내는 것은 정부가 할머니들을 팔아넘기는 것 밖에 안된다"고 적힌 노란 피켓이 보인다. ⓒ 남소연
14일 1248번째 수요시위가 열렸다. 추석 연휴 첫날인데도 200여 명의 시민들이 김복동·길원옥 할머니와 함께 하기 위해 나왔다. 아이와 함께 나온 가족들이 눈에 띄었다. 

경기도 부천시에 사는 이민호(39)씨는 가족과 함께 수요시위에 참석했다. 19개월 된 아이는 평화의 소녀상 옆에 앉아 놀았다. 이씨는 "직장인이라 수요시위에 참석할 수 없었는데 마침 추석 연휴 때라 참석할 수 있었다"면서 "여행을 가는 것보다 수요시위에 참석하는 게 아이에게 더 의미가 있을 것 같아 나왔다"라고 밝혔다.
▲ 오늘도 변함없이 자리지킨 길원옥 할머니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참여하고 있다.ⓒ 남소연
▲ "이제 저희들이 하겠습니다" 노란나비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 현장에 노란나비가 내걸려 있다. 평화를 상징하는 노란날개에 "할머니들의 꽃은 지지 않았습니다" "이젠 저희들이 하겠습니다" 문구가 보인다. ⓒ 남소연
▲ 초등학생들도 "진심으로 사과하세요"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이 "진심으로 사과하세요"라고 적힌 노란 피켓을 들고 있다. ⓒ 남소연
서울 서초구에 사는 김도영(39)씨는 9살·7살 딸과 1시간가량 버스를 타고 평화의 소녀상을 찾았다. 그는 "아이들이 이곳에서 위안부 문제와 같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알게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중학생 이종현군은 학교 선생님과 이곳을 찾았다. 종현군은 "학교에서 신문 스크랩 활동을 하다가 위안부 문제를 알게 됐다"라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는 우리나라 정부가 아닌 것 같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도 우리나라 국민인데, 정부가 할머니들을 위해 일하지 않는 것 같다"면서 "저라도 할머니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을 하겠다. 친구들과 위안부 문제를 얘기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복동 할머니 "대한민국 정부가 우리를 팔아먹었다"
▲ 김복동 할머니의 깊은 주름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가 참여하고 있다.ⓒ 남소연
수요시위에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반대에도 지난해 12월 일본과 한 합의를 밀어붙이는 박근혜 정부에 대한 거센 비판이 나왔다. 지난 7일 한일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평화의 소녀상 이전을 요구했지만, 박 대통령은 명확한 반대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김복동(90) 할머니는 "대한민국 정부가 우리를 팔아먹었다"면서 "(정부가) 일본과 (위안부 문제를) 타협하려면 우리들 앞에 먼저 와야 한다. 우리도 할 말이 있다, (정부는) 자기네들끼리 숙덕거려 '소녀상을 철거하고 다시는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지 않겠다'고 하려는 것 아니냐"라고 지적했다. 

김 할머니는 "일본은 배상금이 아니라 위로금으로 10억 엔을 내놓는다고 한다, 위로금을 받겠다고 이때까지 싸우고 있는 게 아니다, 1000억 원을 줘도 받지 않겠다"면서 "모든 것이 해결된 후에 사죄를 받아야 하는데, 박근혜 정부가 산산조각을 내놓았다"라고 말했다.

김 할머니는 일본대사관을 향해 "우리들은 일본이 진실로 사죄하기 전에는 언제까지나 싸울 것이다, 아베 (총리)한테 잘 전해라"며 "박근혜 정부에게 준 돈(10억 엔)과 관련해, 우리는 한 푼도 손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라이브 인터뷰에 응한 길원옥 할머니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길원옥 할머니가 참여하고 있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오른쪽)가 길원옥 할머니를 인터뷰하며 스마트폰으로 라이브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 남소연
▲ 노란 팔찌 옆에 보라 팔찌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왼쪽 손)가 참여하고 있다. 길원옥 할머니의 오른 편에서 스마트폰으로 라이브방송중인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오른쪽)의 손에는 보라색 팔찌가 둘러져있다. 1991년 8월 14일은 고 김학순 할머니가 최초로 위안부 증언한 날이며, 현재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로 삼고 있다. ⓒ 남소연
▲ 할머니들 배웅한 고등학생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참여한 길원옥·김복동 할머니가 이날 시위에 참여한 안양 신성고등학교 학생들과 인사하고 있다. ⓒ 남소연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는 "(추석 연휴 때) 아직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수많은 할머니들을 생각했으면 좋겠다"며 "아직도 우리는 얼마나 많은 여성이 그곳으로 끌려갔는지 잘 모른다, 긴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은 갈 길이 멀다, 제대로 진상이 규명되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윤 대표는 "정부는 한일합의로 피해자에게 폭력적 가해를 저질렀다"며 "범죄자를 은폐하고 지우면서 시대의 지우개를 자처하는 한국 정부에 그 책임을 묻고, 정부가 피해자와 국민에게 사죄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한국 정부가 이 할머니의 손 잡아줄 수 없나요?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참여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이날 시위 사회를 맡은 김동희 정대협 사무처장(오른쪽)의 부축을 받으며 일본대사관을 향해 쓴소리를 하고 있다. ⓒ 남소연
▲ 어깨 내어준 길원옥 할머니 "수고했어 오늘도"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1248번째 수요시위에 참여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차량에 올라탄 김동희 정대협 사무처장(왼쪽)에게 어깨를 내어주고 있다. 김 처장은 이날 수요시위에서도 변함없이 사회를 맡아 수고했다.ⓒ 남소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전화위복의 북부수해복구전투 본격 가동

북, 전화위복의 북부수해복구전투 본격 가동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6/09/15 [05:04]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북 언론들이 북부지역 홍수피해 극복 전투에 주민들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선전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자주시보

 

13일 북 중앙텔레비죤 방송에서 북의 온 주민들이 해방 후 가장 혹심한 피해를 끼친 북부지역 홍수 피해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새로운 사회주의 선경을 만들어가기 위한 전투에 온 주민들이 떨쳐일어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특히 5차 핵시험 성공으로 받아 않은 조선민족의 긍지와 자긍심을 북부징역 홍수피해 극복의 힘으로 전환시켜가고 있는 북 주민들의 열의를 적극 소개하였다.

 

▲ 회령지역 주민들이 홍수로 무너진 제방을 다시 쌓는 작업을 정력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자주시보
▲ 수해복구현장에서 선전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만수대예술단     © 자주시보

 

▲ 낙원연합기업소에서 신속히 제작하여 북부지역 수해복구현장으로 보내주고 있는 대형 굴착기     © 자주시보

 

방송에서는 회령지구 주민들이 떨쳐나서서 제방을 정비하는 모습, 세포지구 축산기지를 건설하던 북 주민들도 결의대회를 열고 홍수피해극복을 위한 전투현장으로 달려가는 모습, 낙원연합기업소 사람들이 신속하게 여러대의 굴착기를 생산하여 신속하게 북부지역으로 보내주는 모습, 만수대예술단 성원들도 떨쳐나서 홍수피해극복 전투 현장에서 힘을 북돋아주는 선전공연을 힘있게 전개하는 모습 등을 보도하였다.

 

북 조선노동당은 현재 진행 중인 여명거리건설, 세포지구 축산기지 건설장 등 200일전투 주요 건설장의 건설을 일시 중단하고 그 모든 역량을 북부지역홍수피해 극복에 투입한다는 결정을 내리고 추위가 닥치기 전에 모든 북부지역 주민들이 살림집에 들어갈 수 있게 하겠다고 전 국력을 동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WFP, ‘북 홍수 피해 14만명 긴급 구호’ 개시

WFP, ‘북 홍수 피해 14만명 긴급 구호’ 개시
이광길 기자  |  gklee68@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6.09.14  12:35:28
페이스북 트위터
   
▲ 홍수 피해를 입은 함경북도의 한 마을. [사진출처-WFP]

세계식량계획(WFP)이 13일, 태풍과 홍수 피해를 입은 북한 주민 14만명을 대상으로 긴급구호에 착수했다고 평양발로 발표했다. 

WFP는 지금 이재민들에게 시급한 것은 쉼터와 오염되지 않은 물, 보건 서비스, 식량과 영양 지원이라고 밝혔다. 4만 4천명을 대상으로 7일치의 영양비스켓, 30일치의 콩을 즉시 배급했다. 9만 6천명에 대한 구호도 추가로 실시했다고 알렸다.  

달린 타이모(Darlene Tymo) WFP 평양사무소장은 “모든 마을이 홍수에 휩쓸렸다”고 전했다. 북한 주민들은 부엌과 생활도구, 가축 등을 모두 잃었다. 농작물 수확기 직전에 홍수가 덮쳤다는 점도 지적했다.

“북한 북부는 조만간 온도가 영하 25도까지 떨어지는 겨울이 닥친다”며 “주민들이 가장 혹독한 겨울을 헤쳐나갈 수 있게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WFP는 취약계층인 어린이와 여성 구호를 위해 당장 12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내년 8월까지 계속 지원하려면 2,10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CNN>은 13일, 1945년 이후 북부 지역에 가장 큰 비가 내렸다는 북한 측 보도를 전했다. 브래들리 윌리엄스 홍콩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북한 정부가 공개적으로 지원을 호소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논평했다.

국제적십자사 대표단을 이끌고 지난 6~9일 함경북도 현지를 방문한 크리스 스테인스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홍수가 모든 것을 쓸고 갔음을 목격했다며, 시급한 것은 쉼터 건설이라고 지적했다. 밤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10월말 이전까지 이재민들이 거주할 쉼터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8월 29일부터 9월 2일까지 태풍 ‘라이언록’이 몰고온 폭우로 두만강이 범람하면서 함경북도 무산, 회령 등에서 133명이 사망하고 395명이 실종됐다. 가옥 3만 5,500세대가 파손됐으며, 14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리용호 북한 외무상도 유엔 인도지원기구 관계자들과 만나 구호 문제를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워싱턴포스트>는 “지난주 핵실험으로 국제적 규탄에 직면한 때, 북한이 국제사회에 도와달라고 하기에는 불편한 입장에 처했다”고 평했다. 

[관련기사]

 
이광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백남기 농민을 쓰러트린 물대포의 수압은 얼마나 되었나?

백남기 농민을 쓰러트린 물대포의 수압은 얼마나 되었나?
 
 
 
주권방송 
기사입력: 2016/09/14 [12:26]  최종편집: ⓒ 자주시보
 
 

 

 


백남기 농민을 쓰러트린 물대포의 수압은 얼마나 되었나?

 2016-09-13


2016년 9월 12일 국회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살인진압에 관한 청문회에서 전산유체역학 전문가 노현석씨가 증언하고 있다.


노씨는 백남기 농민이 “제일 큰 상용차 엔진을 돌릴 수 있는 힘보다 더 큰 위력으로 딱딱한 아스팔트 바닥에 머리를 부딪친 것”이라고 증언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괌 중고 쓰다가 사드를 사라는 얘기다”

 

미국의 의중은 괌에 있는 사드 포대를 우선 가져다 놓고 한국 정부가 획득 능력이 될 때 3개 포대를 공식 구매하라는 것이다. 이 경우 5조원 안팎의 예산이 필요하다. 우리 공군 전체 예산과 맞먹는 규모다.

남문희 기자 bulgot@sisain.co.kr  2016년 09월 12일 월요일 제469호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2000년 김대중·김정일 남북 정상회담, 2007년 노무현·김정일 남북 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모두 참여했다. 한국 국제정치학의 권위자인 그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통일준비위원회(외교·안보 분야 민간위원)에 참여해왔다. 그의 표현에 따르면 ‘통일준비위원회는 개점휴업’ 상태에 가깝다.

문정인 교수가 보는, 사드 배치를 주도한 세력은 누굴까? 한·미 양국 정부는 그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까? 양국 정부 안팎에 폭넓은 인맥을 가지고 있는 문정인 교수를 만났다.


미국이 사드를 한국에 배치하려고 하는 이유와 관련해 전문가 시각이 나뉘는 것 같다.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벌 MD(미사일 방어체계)의 일환 또는 북한 미사일로부터 미국 본토를 방어하기 위한 것, 그리고 록히드마틴 등 미국 군산복합체의 재고 무기 처리라는 시각 등이 대표적이다. 어떻게 볼 수 있을까?

군산복합체와 태평양 사령부 산하 현지 미군의 이익이 맞아떨어진 것이 일차적이라고 본다. 록히드마틴이 사드를, 레이시온이 X밴드 레이더를 만들었다. 문제는 상당히 고가라는 점이다. 미국의 MD 예산 자체는 얼마 되지 않는다. F35처럼 수요가 많아져야 생산단가가 떨어져 군산복합체가 먹고살 수 있다. 그쪽(군산복합체 세력)에서 체계적으로 ‘푸시’했을 가능성이 크다. 주한 미군 사령부와 태평양 사령부는 북한의 도발로부터 주한 미군을 보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서로의 필요가 잘 맞아떨어진 것이다.
 

160829문정인교수10.jpg
ⓒ시사IN 조남진
문정인 교수 
연세대 명예특임교수. 한반도평화포럼 공동대표. 영문 계간지 <글로벌 아시아(Global Asia)> 편집인. 전 동북아시대 위원회 위원장. 전 외교통상부 국제안보 대사. 1, 2차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 전 미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
미국 정부도 MD의 일환으로 사드 배치에 적극적이지 않았나?

사드 문제가 처음 나왔을 때 오바마 대통령의 관심 사항이 아니었다. 척 헤이글 전 국방장관이 방한했을 때도 사드 문제가 전면에 놓이지는 않았다. MD가 필요하지만 한국더러 꼭 참여하라는 건 아니었다. 미국과 한국의 미사일 방어체계 간 호환성을 높이자는 얘기를 주로 했다.

미사일 방어체계 간 호환성을 높이자는 얘기가 곧 사드의 한국 배치를 의미한 것은 아닌가?

그건 다른 얘기다. 이 문제는 김대중 정부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1년 미국 국방부 미사일방어청장이 한국을 방문해 MD에 참여해달라고 했다. 당시 김대중 정부는 한국에서는 MD 시스템이 기술적으로 적실성이 없어 보인다는 점과 외환위기로 경제가 어렵다는 이유를 들었다. 말은 안 했지만 남북 관계나 한·중 관계 개선에 MD가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다. 대신 우리는 한국형 MD(KMD)로 가겠다고 했다. 당시 윌리엄 페리 전 국방장관이 우리 입장을 수용해줬다. 한국에서는 MD 시스템으로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분명히 이야기했다. 그래서 미국은 미국형 MD로 가고, 한국은 한국대로 가서 상호 호환성을 논의하자고 한 것이다. 노무현 정부 때 패트리엇 미사일, 공중조기경계관제시스템(AWACS), 차세대 전투기, 이지스 구축함 등 미국 무기를 구매하려 한 것도 유사시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 때문이다.
 
140426한미정상-연합02.jpg
ⓒ연합뉴스
2014년 4월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한·미 연합사령부를 방문해 연합방위 태세 현황 보고를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2014년 3월 헤이그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MD에 대해 언급하고, 그해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전시작전권 반환 연기와 미사일 방어체계(MD)의 상호 운용성을 개선하자고 한 것이 사드 도입의 실질적 계기가 된 것으로 보는데?

미국의 MD 구상 안에 사드가 들어 있는 것은 분명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과연 한국에 적실성이 있는가, 그리고 미국 대통령이나 국방장관, 국무장관이 이야기할 정도의 사안인가는 다른 문제다. 미국이 사드 문제를 대전략 차원에서 생각했다면 대통령이나 국방장관이 이야기했을 것이다. 그러나 무기체계 하나 가져다 놓는 것에 대통령이 나선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 오바마 대통령이나 미국 주요 정책 결정권자들이 고도의 전략적 사고를 가지고 아시아 전략 일환으로 사드 배치를 추진했다고 보지 않는다.

군산복합체의 로비가 작용할 수도 있지 않나?

아무리 군산복합체라 해도 장관급쯤 되면 좌지우지하지 못한다. 그동안 사드의 한국 배치를 적극 주장한 사람들을 보면 미국 정부의 차관보나 부차관보급이다. 그들은 나중에 방위산업체 사장이나 부사장으로 많이 간다. 그래서 그들 수준에서 사드가 이야기됐지 최고위 수준에서 논의된 건 아니라고 본다. 오바마 대통령도 MD에 대해서는 얘기했지만 사드는 거론한 적이 한 번도 없다. 지난해 10월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 갔을 때도 사드 얘기가 나온다고 했는데 안 나왔다.
 
김천사드-조남진01.jpg
ⓒ시사IN 조남진
8월24일 김천시와 가까운 곳이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자 김천 시민들이 강력히 반발했다.
2014년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MD의 상호 운용성을 개선하자고 한 것도 일반론을 환기한 것으로 보아야 하나?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2014년 12월 한민구 국방부 장관 취임할 때도 ‘우리는 한국형 MD( KMD)로 간다. 대신 호환성은 생각할 수 있다’라는 정도로 얘기했다. 2014년으로 돌아가면 미국 측 최고위급에서 사드 얘기는 거의 안 나왔다. 척 헤이글 당시 미국 국방장관이 왔을 때 한 번도 거론하지 않았다. 제일 중요한 것은 2015년 4월에 애시턴 카터 신임 국방장관이 와서 한 말이다. 당시 그는 미국에서도 사드 생산 체계가 본궤도에 오른 게 아니기 때문에 사드에 대해 이야기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했다. 애시턴 카터는 핵물리학자 출신으로 국방부에서 무기 획득을 담당했다. 기술적인 면을 잘 아는 사람의 발언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결국 내가 볼 때는 군산복합체와 자기 영내 미군 보호 필요성을 앞세운 주한 미군 사령관 및 태평양 사령관의 요구가 일치하면서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하게 되었다. 그다음 이른바 싱크탱크들이 사드 도입에 관여했다.

싱크탱크들은 어떤 방식으로 작용했나?

미국은 하나의 큰 전략을 만들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나라가 아니다. 국방부, 태평양 사령부, 그리고 싱크탱크들이 각각의 전략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상황이 벌어지면 국가안보회의(NSC)에서 토의하고 대통령이 그중 하나를 선택하는 게 미국 시스템이다. 싱크탱크 소속 전문가들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주로 많이 되었다.  ‘아시아 재균형(Pivot to Asia) 전략의 핵심은 중국 견제인데, 중국 견제 핵심이 MD이다. MD가 미국과 일본만 되어 있고 한국은 빠져버리면 한·미·일 3국 공조에 구멍이 생긴다. 한국을 어떻게든 포함시켜 나가자. 한·미 양국에 공통으로 도움 되는 사드 같은 것이 필요하다.’ 이 논리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원한 점도 작용했다.

사드 배치 결정에 우리 정부 뜻이 강하게 작용했다는 것인가?

지난해 하반기까지만 해도 우리 정부 태도가 분명하지 않았다.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 정부는 ‘미국이 사드 배치를 요청한 적도 없고 한·미가 협의한 적도 없고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는 3노(NO) 입장을 유지했다. 지난 1월6일 북한이 핵실험을 하자 1월13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익과 안보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사드 배치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2월2일 주한 미군 사령관이 사드의 한국 배치를 건의하고 북한이 2월7일 다시 미사일 시험발사를 하니까 한·미 간 사드 배치 협의를 시작한다. 7월8일 사드 배치 결정을 내렸다. 즉 2014년, 2015년은 미국이 사드 배치를 선호했지만 한국이 부정적 태도를 보이니까 쟁점화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지난 1월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을 하고 박근혜 대통령 수준에서 사드 배치 발언이 있자, 미국이 수동적으로 응하는 것처럼 나왔다. 이것이 내가 보는 큰 그림이다.

한국 정부 입장이 바뀌는 과정에 미국 측 영향은 없었나?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나 랜드연구소 등 싱크탱크가 우리한테 계속 사드 도입을 권고했다. 미국 싱크탱크들은 우리가 MD 시스템에 참여해 중국 견제가 완벽해지기를 원했다. 이런 권고가 청와대 국가안보실(NSC)에 직접 전달되었을 것이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사드 배치 선언 이틀 전인 7월6일에도 올해 말에나 배치 문제가 결정될 거라고 했다. 이 발언을 보더라도 결정 과정에서 한민구 장관은 제외되었을 것이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중심이 되어 결정을 한 것이다. 한국 정부가 강력히 원하지 않았다면 사드 배치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우리가 주도적으로 배치를 원한 결과였다면 앞으로 비용 문제가 불거질 텐데?

당연하다. 재작년으로 기억되는데 미국 국방부 고위급 관리가 한국에 와서 매우 핵심적인 발언을 했다. 북한의 위협에 대비해 잠정적으로 괌에 있는 사드를 우선 가져다 놓고 한국 정부가 획득 능력이 될 때 3포대를 공식 구매하라는 것이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사드를 전 세계 미국 동맹 국가들의 보편적 무기체계로 삼고자 하는 록히드마틴의 의중을 그대로 보여준 발언이다.

괌에 있는 사드가 주민들 저항 때문에 영구 배치된 것이 아니어서 그것이 성주로 올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다. 미국 논리대로라면 성주 사드도 한국이 3개 포대를 살 때까지만 임시로 갖다 놓겠다는 얘기 아닌가?

앞으로 협상을 통해 윤곽이 나오겠지만 성주에 영구 배치하겠다는 얘기는 아직 없었다. 미국이 2년 전에 한 얘기는 앞으로 한국더러 3개 포대를 사라는 얘기다. 언론이 왜 그 점에 주목하지 않는지 모르겠다. 사드 한 포대가 1조5000억원에서 2조원인데, 차세대 전투기 사업 예산이 8조원이다. 우리 공군 전체 예산하고 맞먹는데 그걸 어떻게 감당하나.

중국은 사드 레이더로 인해 미국과의 전략 균형이 무너진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데?

사드로 인해 전략 균형이 무너진다고 볼 수는 없다. 미국은 전진 배치된 핵무기가 500개가 넘는 데 비해 중국은 전체 해봐야 300개, 그것도 실전 배치도 안 되어 있다. 핵능력은 미국이 압도적으로 우위이다. 미국은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주한 미군과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타깃을 정한 건데, 중국의 저항이라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직면했다. 정치학 용어로 ‘시그널 문제’라고 하는 것이 발생한 셈이다. 미국이 아무리 MD가 아니라고 시그널을 보내봐야 중국은 믿지 않는다. MD에 대해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처음부터 설명을 잘하든지, 아시아 회귀 같은 정책을 펴지 말고 중국과 같이 갈 거라고 했으면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에 처음부터 참여했는데 통일준비위 정책과 사드 배치는 서로 안 맞는 것 아닌가?

지난해 7월 초 통일준비위원회 회의를 청와대에서 했는데 대통령이 그때 이런 취지로 말했다. 첫째, 고위급 탈북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북한 체제에 동요가 있는 것 같다고 확신을 갖고 이야기했다. 둘째, 통일이 내년에 올 수도 있기 때문에 통일 준비를 잘 해야 한다고 했다. 모두 북한 붕괴론을 전제로 한 얘기다. 그 이후로 박 대통령 인식에 변화가 없는 것 같다.

박 대통령의 그런 발언은 왜 나왔다고 보는가?  

지난해 5월에 북한에서 정찰국 대좌가 탈북했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중요한 것은 대통령이 결국 북한과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생각을 버린 거라고 본다. 북한이 계속 도발하면 방어해야 하지 않느냐는 식이다. 박 대통령이 북한 군사력이 진화한다고 했는데 북한 군사력이 자체 메커니즘을 가지고 진화하는 게 아니다. 한국과 미국에 대응하다 보니까 진화가 되는 것이다. 한국과 미국이 만들어준 진화이다.

중국의 반대에다, 배치 후보지로 꼽히는 성주군과 김천 시민들 반대까지 겹쳐 있는데 내년에 배치가 가능할까?

내가 볼 때 중국 반대는 큰 변수가 아니다. 중국의 반대가 거세지면 국민들이 단합해 오히려 중국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할 것이다. 문제는 제3후보지가 검토되면서 발생했다. 김천 시민들이 그것을 수용해도 새로 부지를 사려면 돈이 많이 든다. 예비비로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국회가 개입할 여지가 생겨버렸다. 국방위원회에서 통과되어야 한다. 즉 대통령 임기 내에 배치가 어려워진다는 의미다. 사드 배치를 비공개로 했다면 모를까 공개했을 때는 모든 것을 투명하게 했어야 한다. 군사적 유용성의 문제, 비용의 문제, 북한과 중국의 반응 등을 복합적으로 토론하는 공론의 장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없었다. 새 정부가 들어오면 그런 과정을 밟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내년 대선에서 새누리당이 정권을 잡아도 그냥 밀어붙이지는 못한다.

사드 배치가 연기되거나 불발로 그칠 경우 미국은 어떻게 할까? 

사드는 우리가 필요 없다고 하면 그만이다. 미국이 함부로 가져다 놓을 수 없다. 그렇다고 한·미 동맹이 깨지는 것도 아니다.

 

녹취 도움·김연희 기자

 
 
<저작권자 ⓒ 시사IN (http://www.sisai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번 지진의 원인은 세 가지에 있다

 
 
[김갑수의 조선역사 에세이] - 37
 
김갑수 | 2016-09-13 16:57:22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우리나라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사서들의 무수한 기록이 증언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2.000건이 넘는 지진 기록이 있다. 또한 지진 기록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에서도 숱하게 찾아볼 수 있다.

신라 혜공왕 15년(779년),  “3월에 경도(경주)에 지진이 나서, 백성들의 집이 무너지고 죽은 사람이 100명이 넘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오늘날 지진 규모 6.5 이상의 강도라고 한다.

1659년 현종실록, 즉위년 12월 26일 자 기사에는, “금산군(金山郡)에 지진이 일어, 서쪽으로부터 소리가 들려왔는데 마치 1만 대의 수레가 달리는 것 같았고 집들이 흔들리고 산 위에서는 꿩떼들이 울어댔다.”라고 되어 있다. 1만 대의 수레가 달리는 것 같은 굉음이 났다니 실로 무서운 수준의 지진이었음이 틀림없다.

중종 13년(1518년)에는 “소리가 성난 우레 소리처럼 크고 담장과 성벽이 무너졌으며 도성 안 사람들이 밤새 노숙하며 집에 들어가지 못했다.”라고 되어 있다. 숙종 7년(1681년) 5월에는 “강원도 양양에서는 바닷물이 요동쳤는데, 마치 소리가 물이 끓는 것 같았고“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지진과 함께 바닷물이 육지를 뒤덮은 이른바 쓰나미 현상도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다면 지진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나는 노자가 말한 ‘천지불인(天地不仁)’에 답이 있다고 본다. 천지, 즉 자연은 인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니 지진 같은 자연재해는 언제 어디서라도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러나 나는 조선인들이 지진의 원인을 인간의 잘못으로 보면서 지진에서 교훈을 찾으려고 한 자세에도 반대하지 않는다.

“그윽이 살펴보건대, 근년에 재앙과 변괴가 자주 나타나 지진이 일고 햇무리가 있으며 겨울에 뇌성이 나고 여름에 눈이 오며, 흰 기운이 하늘에 가로지르고 금성(金星)이 낮에 보이며 변방 백성들이 염병에 걸려 거의 다 죽어가니, 재앙과 변괴의 일어남이 비록 춘추(春秋) 때의 쇠퇴한 세상일지라도 오늘 같이 심한 적은 없었습니다. 이것이 어찌 원인이 없이 그렇겠습니까. 전하께서는 아직도 두려워하실 줄을 모르고 옛날에도 있었다고 하여, 별로 몸을 근신하고 행동을 반성하는 마음이 없으시니, 신 등이 통분한 마음 이길 수 없습니다.”(연산군일기, 연산 3년 6월 5일, 1497년)

이것은 당시 예문관 봉교 강덕유 등이 군주 연산군에게 올린 상소문이다. 지진을 이용하여 폭정을 일삼는 국정 최고 책임자의 근신과 반성을 촉구한 것이다. 이 상소문은 연산 말고도 오늘날 박근혜에게 올리면 아주 제격이 아닌가?

또 다른 기록을 살펴보자.

“이번 지진의 변괴는 음이 성하고 양이 쇠해서 그런 것인데, 음은 소인(小人)이요 양은 군자(君子)인 것이다… 지금도 소인이 있어 군자를 눌러서 그런 것이 아니냐?... 군자를 불러들이고 소인을 물리치는 것은 관계가 매우 큰 것이다.” (중종실록 33권, 중종 13년 5월 16일, 1518년)

이것은 당시의 군주 중종이 한 말이다. 중중은 지진의 원인을 ‘소인이 군자를 누르고 득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면서 정치에 소인을 물리치고 군자를 등용해야 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소인이 판을 치는 현상은 오늘날이 당시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다.

마침 문재인이 트윗에다 지진 소감을 날린 것이 문제가 되고 있나 보다. 그는 ‘양산 집에 있는데 지진이 세게 일어난다. 계속되면 집 밖으로 나가야 하는 건지 겁이 난다.’고 말했다. 전형적인 소인의 발언이 아닌가? 그가 보통사람이라면 이런 발언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득세하고 있는 정치인이다. 중종에 따르면 지진은 바로 문재인 같은 사람이 득세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고려 고종은 재위 15년(1228년)에 큰 지진이 일어나자 직접 대궐의 뜰에 내려가 정좌하여 지진이 가라앉기를 빌었으며, 공민왕 6년(1357년)에는 지진이 나자 중죄인을 제외한 사면령을 내렸다고 한다.

조선 세종 때에는 지진을 외적이 침입한다는 경고로 받아들인 기록이 있다. 이것은 마침 북의 핵실험이 있었고 미군 핵폭격기가 우리 영토의 상공에 출현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아주 심각하게 생각해보아야 할 대목이다.

천지불인, 이 말은 ‘천지는 언제나 불인하다’는 것도 아니다. 이 말을 정확히 해석하자면 천지는 ‘인할 수도 있고 불인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렇기에 나는 지진이 인재라는 식의 ‘재이설(災異說)’을 신뢰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 담긴 지혜와 정신만큼은 받아들여도 좋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원인은 세 가지, 즉 ‘군주의 폭정’, ‘소인의 득세’, ‘외세의 침탈’ 에 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4&table=c_booking&uid=35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독소 100% 제거 불가능... 낙동강 '위험'

 
[4대강 청문회 열자] 일본 녹조 전문가 박호동 국립신슈대 교수

16.09.13 21:40 | 글:정대희 쪽지보내기|편집:김예지쪽지보내기

4대강 사업, 그 뒤 5년. 멀쩡했던 강이 죽고 있습니다. 1000만 명 식수원인 낙동강 죽은 물고기 뱃속에 기생충이 가득합니다. 비단결 금강 썩은 펄 속에 시궁창 깔따구와 실지렁이가 드글거립니다. 혈세 22조원을 들인 사업의 기막힌 진실. '4대강 청문회'가 열리도록 '좋은기사 원고료 주기'와 '서명운동'에 적극적인 동참을 바랍니다. 이번 탐사보도는 환경운동연합, 대한하천학회, 불교환경연대, 오마이뉴스 10만인클럽이 공동 주최합니다. 4대강 특별취재팀의 활동은 페이스북에서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말]
▲ 23일 오후 충남 부여 금강 백제보 상류 2km 지점에 마름과 엉켜 녹조가 확산 되고 있다. ⓒ 이희훈

"낙동강 녹조물을 2리터 먹을 경우 사람도 동물도 사망한다."

일본 녹조 전문가 박호동 일본 국립 신슈대 교수의 말이다. 지난해 그는 우리나라 4대강의 녹조를 분석한 결과를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이유가 있었다. 남조류(녹조)는 '마이크로시스틴'이란 독성물질을 분비하는데, 4대강에서 최대 182ppb(ug/L)이 나타났다는 것.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치는 1ppb(ug/L)이다. '독조라떼'란 말이 괜히 생긴 게 아니다.

"세계 선진국에서도 녹조독의 독소를 100% 제거하지 못한다. 고도처리에서도 미세조류로 불리는 남조류세포가 정수처리 과정을 빠져나와 정수된 물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정부가 내세운 '남조류 독성은 정수하면 마실 수 있다'는 논리를 반박하는 내용이다. 정수처리를 해도 1%의 독성이 마시는 물에 들어있다는 말이다. 쉽게 말해 최대 녹조 농도가 182ppb(ug/L)인 4대강 물을 정수처리하면, 1%에 해당하는 1.82ppb(ug/L)의 독성물질은 아무리 애를 써도 들어있다는 거다. 이명박 정부가 국민 세금 22조 원을 들여 만든 게 '독극물'이란 소리다. 아래는 현재 일본에 머무는 박호동 교수와 세 차례에 걸쳐 이메일로 나눈 인터뷰 내용이다.

- 일본에서 하는 연구는?
"1980년대 일본과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의 호소 부영양화에 따른 독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일본에선 녹조독의 생산원인과 생물축적과분해, 생태계에서의 태동, 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한국 4대강 녹조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1992~1995년 사이 한일공동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4대강의 주요 댐 부영양화에 따른 녹조와 녹조의 독을 연구했다. 이후에도 한국의 연구자와 공동연구로 유독조류를 조사해왔다. 4대강 사업이 끝난 후 한국에서 녹조 문제가 보도되면서 한국과 일본의 동료 연구자의 권유가 있었다. 또 한국에서 녹조독의 연구를 처음 시작했다는 책임감을 느껴 4대강을 방문했다."

세금 22조 원 들여 만든 '독극물'
 
▲ 지난해 8월 박호동 일본 국립신슈대 교수가 4대강에서 채취한 녹조의 마이크로시스틴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 박호동 제공

- 지난해 한국 4대강에서 녹조를 채취해 분석한 것으로 알고 있다. 결과는 어떤가?
"지난해 8월 한국의 4대강을 방문하고 남조류 샘플을 채취해 대학 연구실에서 분석했다.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틴의 생물량이 생각했던 것보다 많았고, 독소의 함유량도 많았다. 분석 결과를 보고 놀랐다. 

4대강 주요 지점별로 살펴보면, 낙동강 대동선착장에서 채취한 남조류의 총마이크로시스틴량은 215ppb(ug/L)이다. WHO 기준으로 환산하면 94ppb(ug/L)이다. 달성선착장에서 채취한 녹조에선 무려 456ppb(Oug/L)의 총 마이크로시스틴량이 검출됐다. WHO 기준으로 환산해도 182ppb(ug/L)이나 된다. 영산강의 영산교 선착장에서 채취한 녹조는 204ppb(ug/L), 금강 웅포대표 324ppb(ug/L), 한강 가양대교 410ppb(ug/L) 등이다. 분석결과 자료를 보내니 참고하길 바란다.

무엇보다 낙동강이 문제다. 1300만 명 시민의 식수원이라고 하는데, 걱정이다. 지금 한국의 4대강 상황은 세계적으로 비교해봐도 심각하다. 상수원인 강에 이처럼 높은 농도의 녹조가 나타나는 나라는 지금까지 보고된 예가 적다. 댐이나 하구둑의 녹조집적 현상이 4대강에서 나타나고 있다."

- 한국 정부는 '남조류 독성이 정수처리를 거치면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한국 정부의 설명대로 남조류 독성은 정수장에서 고도정수처리, 특히 활성탄 처리를 하기 때문에 99%가 제거된다. 하지만 세계 어느 나라도 녹조독의 독소를 100% 제거하지는 못한다. 이유는 고도 처리에서도 미세조류로 불리는 남조류세포가 정수 처리 과정을 빠져나와 정수된 물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원수의 녹조독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고도처리가 어렵다. 99% 제거한 후의 정수라도 녹조독의 농도가 WHO의 음료수 기준치를 넘을 때는 음료수로 쓰기 부적절하다. 한국의 4대강 녹조는 1%가 남더라도 WHO의 기준치를 초과한다.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정부가 되려면, 정수처리의 안정성을 증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녹조독 농도를 원수의 조체시료, 원수여액, 정수시료로 나누어서 공표하는 것이 필수다."  

- WHO의 기준 1ppb(ug/L)은 어떤 의미인가? 
"먹는 물 기준을 말한다. 동물실험 결과를 인간에 적용한 기준으로 사람이 하루에 필요한 음료수의 양 2리터를 음용할 경우, 마이크로시스틴은 독성 당량으로 1ppb 이상이면 건강에 유해하다고 정하고 있다. 4대강의 녹조는 WHO의 기준을 훨씬 초과한다. 낙동강 녹조를 분석한 결과 최대 182ppb(ug/L)로 나타나는데, 이 물을 2리터 음용할 경우, 사람도 동물도 사망한다. 동물이 녹조로 오염된 물을 먹고 사망한 사례는 많다."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4대강에서 분석한 녹조의 독소 농도로 추정해보면 동물성 플랑크톤, 수서곤충, 각종 어패류, 새들에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예전에는 남조 독소의 급성독성이 주로 문제가 되었으나 요즘의 연구동향은 남조 독소의 만성 독성이다. 즉, 독성의 장기영향으로 동물의 포란수 감소, 간장질환 등의 조직 이상 등이 일어난다. 이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하다. 개체수 감소는 생태계에서 종수의 감소로 이어져 다양성 감소,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 이것은 결국 생태계의 불균형을 불러일으켜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 4대강 녹조물에 직접 들어갔다 나왔는데, 몸 이곳저곳이 가려웠다.
"녹조에는 간장 신경독소 이외에도 피부 독소를 생산하는 녹조 종이 있다. 또한, 녹조 발생 시 수중에는 pH(수소이온농도)가 10 이상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지방 성분이 씻겨나가면서 가려울 수도 있다. 화분 알레르기가 있는 제자들 중에는 녹조 물에 손을 담갔다가 가려움으로 고생하고 난 후부터 고무장갑을 착용한 경우도 있다."

- 일본에도 녹조 피해가 있었나?
"녹조현상이 발생하면 농업용수의 수질이 악화된다. pH(수소이온농도)가 일본의 농업용수기준치의 수십에서 수백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독소 자체와 녹조가 농작물의 성장에 피해를 주어 이파리의 탈색, 뿌리성장 저하, 씨의 발아 저하 등이 생겨난 사례도 보고됐다. 특히 녹조를 함유한 물로 키운 농작물에 미량의 독소가 축적된다는 보고가 있어 농작물의 독소 농도 측정과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 한국 영산강은 농업용수로서 기능이 큰데, 조사결과에 따르면 영산강 승촌보 인근 pH 7.7~8.0, 죽산보 인근 PH 8.0~8.4로 조사됐다.  
"한국의 농업용수로서 하천수질 중 수소이온 농도 pH(6.0~8.5)의 환경 기준과 일본의 농업용수기준치 pH(6.0~7.5)를 비교하면 상한 값에서 pH가 10배 차이 난다. 한국 기준대로라면, 승촌보와 죽산보의 pH는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본 기준치를 따르면, 약 10배가 초과된다. 같은 벼농사에 기준치가 다른 이유는 모르겠다."

일반적으로 녹조가 발생해 집적되면 pH는 10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농업용수기준으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량(SS)도 녹조가 발생하면 농업용수 기준치를 초과하게 된다.

WHO 기준 훨씬 넘어서는 녹조... "단시간에 해결되지 않아"

-4대강 강바닥이 시커먼 펄이 됐다. 공기방울이 보글보글 올라오기도 한다. 녹조와 연관성이 있나?
"녹조는 강의 일차 생산량이 급속히 증가했을 때 생겨난다. 강바닥 퇴적물의 탄소량 증가를 초래해 녹조 등의 유기물 증가로 이어진다. 강바닥의 산소 소비도 퇴적물의 저산소 혐기성 조건을 불러와 결국 메탄가스를 발생시킨다. 공기 방울이 올라오는 이유다."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은.
"한국 정부는 시급하게 4대강 녹조 발생원인 규명과 녹조 발생 제어 대책 강구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녹조 발생 원인의 제어책으로 인과 질소 부하 감소 대책, 체류시간 조정, 녹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일본에서 일어나는 녹조 피해는 정수 과정의 어려움과 비용 증가다. 일본 정수장 관계자들은 원수에 녹조가 발생하면 자발적인 독소 측정과 그 측정치의 신속한 공표를 꺼리지 않는다. 녹조 발생 시의 새, 수서생물의 독서 측정과 어패류의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녹조 문제는 단시간에 해결되는 않는다." 

*오마이뉴스 10만인클럽은 환경운동연합, 불교환경연대, 대한하천학회와 공동으로 '4대강 청문회를 열자' 탐사보도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좋은 기사 원고료주기'로 응원을 해주시길 바란다. 목표액 3000만 원이 달성되면 지난 10년간 1000개의 댐을 허문 미국으로 날아가 4대강의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4대강 청문회 서명운동에도 참여해주시기 바란다. 국회에 청원해서 강을 망친 사람들을 심판하기 위한 청문회가 개최되도록 촉구하겠다. 

[이전 기사 보기] 4대강 청문회를 열자 
☞ '4대강 청문회' 10만 서명운동 바로가기 


 

독자의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두테르테, "오바마 개xx" 사건의 전모를 파헤치다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이 또 한 번 전 세계 언론의 이슈가 되었다. 오바마 대통령에게 "개xx"라고 욕을 했다는 이유였다. 이 뉴스는 전세계 미디어로 단번에 뿌려졌다. 반나절도 지나지 않아 두테르테가 오바마에게 사과를 하는 기사까지도 순식간에 퍼졌다. 두테르테에게는 더 이상 주워 담기 힘든 완전히 엎어진 물컵인 셈이다.

 

 

3213.PNG 
출처 - <아시아투데이>

 

 

이 소식이 퍼지자, 필리핀 SNS가 들끓었다. 아니나 다를까? 두테르테에 대한 YELLOW MEDIA의 공격이라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때 한 미국 언론의 기사가 올라왔다. 미국 언론이 굳이 두테르테를 옹호하고, 그를 위해 거짓 기사를 쓸 리는 없을 터. 관심을 가지고 읽어보았다.

 

이 미국의 언론사는 영어/타갈로그가 섞여 있는 두테르테의 다바오(두테르테 대통령이 시장을 지냈던 Davao시) 연설을 영문 기사로 번역/분석하였고, 두테르테가 그 연설에서 오바마에게 “개XX”라고 욕을 했는지 분석했다.

 

필자는 기사 중 주요 의사록이 설명된 부분을 해석해 보기로 했다.

 

 

기사 원문

 

'We Hired A Native Tagalog Speaker: Here’s What The Filipino Prez REALLY Said', <LIBERAL AMERICA>

 

 

 

 

 

After giving his speech, he asked the audience for questions and clarifications, saying:
(두테르테가 연설 후 청중들에게 자신의 연설을 이해했는지를 물으며 관련한 질문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Any questions? I will give you a few for clarification for the statement only. Do not come more on to politics. It’s too far away.”
(두테르테: 혹시 질문? 몇 개는 대답하겠습니다. 방금 연설에 대한 것으로 질문을 제한합니다. 정치적인 질문은 너무 거리가 머니 삼가 해주세요.)

 

 

 


Despite his warning of not going too far, one reporter asked him:
(너무 선을 넘지 않도록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기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였다.)

 

 


“Sir, there have been concerns on extrajudicial killings, sir. And you will meet leaders, any line of communication that we have prepared to address this issue in front of other foreign leaders?”
(로이터 기자: 대통령님, 초법적 살인에 대한 우려가 많습니다. 지금 다른 국가 리더들을 만나러 가는데요, 그들에게 이 이슈에 대한 대답으로 준비한 것은 없으신가요?)

 

 


To which Duterte replied:

 

 


“To whom shall I address myself to? Who will be asking the question? May I know?”
(두테르테: 제가 누구에게 대답을 해야 하는 겁니까? 이 질문을 누가 한데요? 제가 알 수 없을까요?)

 

 


Somebody from the audience said “Like Obama, Sir.” And that started it all. Here is his answer:
(청중들 중 누군가가 "오바마 대통령이면요?" 그 후 모든 것이 시작되었다. 여기서부터 그의 답변이다.)

 

 


“You know, the Philippines is not a vassal state. We have long ceased to be a colony of the United States. Alam mo marame dyan mga kolumnista (You know there are a lot of columnists) who look up on Obama and the United States as if we are the lapdogs of this country.”
(두테르테: 모두들 알다시피 필리핀은 속국이 아닙니다. 우리는 미국의 식민지로부터 벗어난 지 오래입니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미국의 애완견이기를 바라듯 오바마와 미국을 우러러보는 많은 칼럼니스트들이 있습니다.)

 


In this statement, Duterte was clearly addressing his audience, Obama’s name was only mentioned as an example because somebody in the audience mentioned Obama. I am not a Duterte-fan, but anybody listening to that line, who understands the language will know that he is not degrading Obama, he is merely lifting his people up. He ended it by saying:
(이 부분에서 청중들 중 오바마를 언급한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두테르테는 그들에게 오바마의 이름을 한 예로서 유일하게 언급하였다. 나는 두테르테의 팬은 아니지만 이 부분을 들은 타갈로그를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두테르테는 오바마를 비하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그가 국민들에게 기운을 북돋우려 한 것이다.)

 

 


“I do not respond to anybody but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두테르테: 저는 필리핀 국민에게만 책임이 있습니다.)

 


Now, this is the part that gets dirty. In trying to lift his people, he was subconsciously saying something that can be used against him. Again, from our point of view, his point is that the Philippines should never bow down to any country, there is nothing against President Obama, his name was just dragged.
(이제부터가 잘못된 부분의 시작이다. 국민들을 북돋우려 하면서 그는 무의식적으로 그에게 해가 될 말을 하였다. 우리의 관점에서 그가 주장하는 바는 필리핀이 다른 어떤 국가에도 절대 굴복하면 안 된다는 것이지, 오바마 대통령과는 관련이 없으며 그의 이름을 단지 한 예로 든 것뿐이다.

 

 

“Wala akong pakelam sakanya (I don’t care about him). [1구역] Who is he? I am not beholden to anybody.”
(두테르테: 저는 그에 대해 아무 신경도 쓰지 않습니다. 그가 누구인가요? 저는 누구에게도 신세 지지 않습니다.)

 


After this, he went on and addressed the columnists.
(이후 그는 칼럼니스트들에게 대답을 계속하였다.)

 

“May mga kolumnista dyan na (There are columnists out there that write headlines such as) ‘Wait until he meets..’ Who is he? I am a President of a sovereign state and we have long ceased to be a colony. I do not have any master except the Filipino people.”

(두테르테: "그가 오바마를 만나면 어쩔 것인가?" 같은 헤드라인을 쓰는 칼럼니스트들이 있습니다. 그가 누구입니까? 저는 한 주권국의 대통령이며 우리는 식민지 시대를 떠난 지 오랩니다. 저의 주인은 필리핀 국민뿐입니다.)

 

The next line is addressed to the reporter who asked the question, not to Obama as the media is claiming:
(다음은 이 질문을 한 기자에게 한 대답이지 미디어들이 떠들어 대는 오바마를 지칭한 것이 아니다.)

 

 

 

“You must be respectful. Do not just throw away questions and statements. Putangina (son of a bitch) I will curse you in that forum.”[2 구역]

(두테르테: 당신은 다른 사람을 존중해야 합니다. 그냥 질문과 말을 던지지 마세요. 개XX. 여기서 당신을 욕할 것이요.)

 

 

 

As a clarification, Duterte is referring to reporters who are not respectful and are throwing questions at him that are not on topic.

 

(명확히 두테르테는 그가 요구하지 않는 주제의 질문을 던진 그 기자들을 가리켰던 것이다.)

 

 

 

 

여기까지가 이 기사의 해석이다. 이제 실제 인터뷰 영상을 보자. 주의할 점은 위 기사에서도 인터뷰 내용의 일부만 인용했다는 점이다. 어쨌던 이 동영상의 6분 30초부터 13분 52초까지 보자.

 


자세히 보신 분들은 위 의사록이 중간중간 빠진 것을 알 수 있다. 타갈로그와 약간의 영어로 대답한 내용들로 영어권 사람들이 듣기에는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 이슈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이 빠진 부분들을 직접 해석해 보기로 하였다.

 

 

첫 번째 빠진[1구역]


Who is he? When the matter of fact at the turn of the century, before the Americans left, the Philippines in the pacification campaign of the Moro in this island, there were about 6 Million ang population ng Moro. How many died? 600. If he can answer that question and give the apology, I will answer him.


(누가 초법적 살인에 대해 묻는 것인가? 실제로 20세기 미국이 필리핀을 떠나기 전 이 섬에서 필리핀 남부 이슬람계 부족인 Moro족에 대한 진압작전이 있었다. 당시 600만 명의 모로족이 살고 있었다. 그중 얼마나 죽었는가? 600명. 그가 이 질문에 대답을 하고 사과를 한다면 나는 질문에 대답할 것이다.)

 

 

두 번째 빠진[2구역]


Wag mo akong ganunin. Tell that to everybody. Itong mga columnista para ba akong tinatakot anak ka ng. Pumunta umalis kayo dyan sa Pilipinas. Pumunta kayo doon sa America. You write  column like you are the  lapdogs of these Americans. Who is he to confront me? As a matter of fact he has so many. America has one too many to answer for the misdeeds in this country. Hanggang ngayon di pa tayo nakatikim ng apology nyan. That is the reason why Mindanao  continue  or continues to boil. Sabi mo that was in the last century.  Yang wounds na ya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a matter of fact we inherited this problem from the United States. Why? Because they invaded this country and made us  their subjugated people.


(나에게 그러지 말라. 여기 계신 분들에게 대답한다. 이런 칼럼니스트 XX들은 나한테 겁주는 거냐? 너희들은 필리핀에서 왜 사는가? 미국으로 가라. 당신들이 이런 미국인들의 애완견인 것처럼 쓰는 칼럼들을 쓰고 있지 않는가? 나랑 맞닥뜨릴 그가 누구인가? 실제로 미국은 너무…. 미국이야말로 이 나라 한 몹쓸 짓에 대한 대답을 해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사과를 받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민다나오 섬은 지금까지도 들끓고 있는 것이다. 내가 말했지. 그게 바로 20세기 일어난 것이다.  이런 상처는 세대와 세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 문제는 미국으로부터 붉어진 것이다. 왜인가? 왜냐하면 그들은 이 나라를 침공하였고 우리를 그들에게 복종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Everybody has a terrible record of extrajudicial killing. Why make an issue about drug fighting crime? Di nga nila maubos -ubos ang sa Mexico border nya.  Look at the human rights of America along that line, the way how they treat the migrants there.


(초법적 살인의 기록은 누구나 있다. 마약과의 전쟁으로 인한 살인을 왜 이슈화하는가? 그들은 멕시코 경계의 문제도 풀지 못하고 있다. 미국에 사는 이민자들을 대하는 방식을 볼 때 미국의 인권은 어떤지 보라.)


Masyado kayong bilib sa America. Bumilib kayo dito sa atin. Anong America? Sya ang mag-explain sa akin. Bakit kayo extrajudicial killing nila? Can he explain the 600,000 Moro massacred in this island? Do you want to see the pictures? Maybe you'll ask him and make it public. We have a recorded history of that sordid period of our national life. Nobody but nobody can just...


(당신들은 미국을 너무 믿는다. 우리를 믿어야 한다. 무슨 미국? 당신들이야말로 이걸 나에게 설명해야 한다. 왜 당신들은 그들을 초법적으로 죽였는가? 그가 이 섬에서 일어난 60만 모로족 학살을 설명할 수 있는가? 그 사진들을 한번 보겠는가? 한번 그에게 이런 식으로 물어보고 그 내용을 공개시켜라. 우리는 이 나라의 추악한 역사적 시대가 있다. 그 누구도 단지..)


 Sino ka? E yung mga American Indians sa sine inubos mo e . What about the rights of those who died in the past? Is it because it just the past tense, we do not answer for the present tense? You must be kidding! Stop joking yourself.  Kayong mga sobrang kabilib  dyan, sino ba si Obama to ask me that ? I will tell him who are you? Tell him that.Telegraph mo ngayon. Punta dito nagpaka ulila dyan sa...


(당신은 누구냐? 당신들 영화에서는 미국 인디언들을 학살하였다. 그러면 과거에 죽은 이들의 인권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그게 그냥 과거라서 현재에는 대답할 필요가 없는 것인가? 농담하는 거냐? 농담하지 마시라. 미국에 대한 경외심이 너무 깊은 당신들은 오바마가 누구길래 그걸 나에게 묻는 것인가? 내가 그에게 당신 누구냐고 말할 것이다. 그걸 그에게 전해줘라. 당장 메시지 쳐라. 중얼 중얼..)


We have long been a republic. I do not, I said, I do not kneel down before anybody else, except the Filipino in Quiapo walking in misery and in extreme poverty and anger. Di kayo maghinto dyan sa droga? The campaign against drug will continue. Maraming mamatay dyan. Plenty will be killed until the last pusher is out of the streets until the drug manufacturer is killed. We will continue and I will continue and I don’t give a shit about anybody observing my behaviour.


(우리는 오랜 공화국이다. 나는 다른 사람 앞에서 절대 무릎 꿇지 않을 것이다. 단지 필리피노 국민들, 키아포(빈민이 많은 마닐라의 한 지역)에서 빈곤에 괴로워하며 성난 이 필리피노에게만 무릎을 굽힐 것이다. 마약을 멈추지 않는다면 마약 캠페인은 지속될 것이다. 많은 이들이 죽을 것이다. 마지막 마약 판매상이 거리를 뜰 때가지, 마약 제조꾼이 다 죽을 때까지 많은 사람들이 죽을 것이다. 우리는 계속할 것이고 나는 계속할 것이고 나를 감시해도 나는 신경 쓰지 않는다. )


Sige na  magbilib kayo dyan. Yang mga column… Magbasa susmaryosep! Pagka lapdog ng mga ..pretending to be the conscience of this... Tinawa. Di ako bilib dyan sa America. Sipain ko pa yan sa harap nyo e. Punta kayo dun.


(그래 미국을 믿으려면 믿어. 이런 칼럼니스트들..  오 마이 갓! 완전 애완견들.. 양심적인 척하는.. 웃기는 것들. 나는 미국을 경외하지 않는다. 차버릴 수 도 있다. 갈려면 가라.)

 

 

여기까지가 오바마에게 개XX라고 욕을 했다고 알려진 두테르테의 연설문 전문이다.

 

 

 

 

관련 기사

 

국제사회 비난의 중심 두테르테, 왜 현지에선 인기 있나

 

 

 

 

 

 

 

삐약

 

편집: 딴지일보 cocoa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가디언紙, 對北 제재 노골적 실패! 교류 나서라!

제재 철회하고 북한 개방 위해 교역과 교류 촉진해야
 
뉴스프로 | 2016-09-12 14:47:04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가디언紙, 對北 제재 노골적 실패! 교류 나서라!
-제재 끝낸다고 더 위험 초래하지 않아
-제재 철회하고 북한 개방 위해 교역과 교류 촉진해야

뉴욕타임스, 워싱턴 포스트를 비롯한 서방의 대표적인 언론들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은 미국 주도의 경제 제재를 비롯한 대북 제재가 실패했다는 반증이라고 일제히 지적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의 가디언이 대북 제재가 실패한 것이라며 이를 그만 끝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가디언은 9일 자 사이몬 젠킨스의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failed. End them now-실패한 대북 제재, 그만 끝내라’는 논평을 통해 ‘최근의 핵실험이 보여주듯이 경제 봉쇄는 역효과를 낳았다. 따돌림은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지만, 교역과 문화교류는 효과가 있을지 모른다’고 권고했다.

가디언은 ‘최근 북한의 핵실험은 경제 제재가 전적으로 실패했음을 입증한다’며 서방세계가 북한 제재를 어떻게 확대할 것인가를 논의하고 있지만 1992년부터 시행된 대북 제재는 이후 계속해서 강도가 높아진 제재는 ‘제제가 목표로 삼았던 고성능 무기 보유 억제와는 정반대로 오히려 개발을 앞당기는 등 정반대의 행동으로써 궁지에 몰린 정권이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이 논평은 ‘포위경제는 단순히 교역을 막는 장벽이 아니라 정치담화를 시작하는 데 중요한 문화 및 상업적 교류까지 방해한다’며 ‘북한과 시리아에서처럼 포위경제가 정권의 강력한 동맹국에 의해 무력화되면 그것들은 무의미해지며 제재만으로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사이몬 젠킨스는 ‘지금까지 북한에 가해진 제재는 극동아시아의 평화를 유지하는 데 노골적으로 실패해왔다’고 단정 지으며 ‘이상적인 대안은 북한 개방을 위해 활발한 교역과 문화교류를 촉진하고 언젠가는 동독처럼 남북이 통일할 거라는 희망을 갖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고 교류 촉진을 주장했다.

젠킨스는 제재하에서 교류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며 제재를 끝낸다고 지금보다 더한 위험을 초래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교류를 확대하고 제재를 끝내야 한다고 강조하며 마무리했다.

전 세계 서방 언론들이 앞다투어 대북 제재가 실패했음을 알리며 교류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오로지 박근혜 정권과 그 일당들만이 북한 심장부 초토화니, 평양을 지도상에서 사라지게 할 것이라니 하는 등의 시대착오적인 발언을 일삼고 있어 박근혜 외교 안보라인에 심각한 인식 장애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음은 가디언의 기사를 뉴스프로가 전문 번역한 것이다.
번역 감수 : Elizabeth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cMmPao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failed. End them now

실패한 대북 제재, 그만 끝내라.

Simon Jenkins

사이먼 젠킨스

As the latest nuclear test shows, economic embargos are counterproductive. Bullying will not bring change, but trade and cultural exchange just might.

최근의 핵실험이 보여주듯이 경제 봉쇄는 역효과를 낳았다. 괴롭힘은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지만, 교역과 문화교류는 효과가 있을지 모른다.

People watch a North Korean television news broadcast announcing the country’s latest nuclear test at a railway station in Seoul, 9 September 2016. Photograph: Jung Yeon-Je/AFP/Getty Images
9월 9일, 서울의 기차역에서 시민들이 최근 핵실험 소식을 전하는 북한 텔레비전 뉴스 방송을 보고 있다.

The latest nuclear test by North Korea proves that economic sanctions against the regime have failed utterly. So how is the west proposing to react? It is debating how to extend sanctions.

최근 북한의 핵실험은 경제 제재가 전적으로 실패했음을 입증한다. 그러면 서방 세계는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이들은 제재를 어떻게 확대할지 논쟁 중이다.

Embargos of increasing ferocity have been imposed on North Korea since 1992. While they were undermined by Beijing, they ostracised Pyongyang from the outside world, effectively freezing any rapprochement with the south. Sanctions are intended to hurt an economy as a lever to induce political change. In North Korea’s case they have driven an embattled regime to prove its worth by doing the opposite, militarising its society and hastening precisely the goal the policy was supposed to halt – the acquisition of high-profile weaponry.

1992년부터 시행된 대북 제재는 이후 계속해서 강도가 높아졌다. 제재 조치들이 중국에 의해 약화되긴 했지만, 그 덕분에 북한은 바깥세상으로부터 고립되었고 남한과도 사실상 모든 친교 관계가 단절됐다. 대북제재는 경제적 타격을 통해 정치변화를 유도하려는 의도로 시행된 것이다. 북한의 경우 그 제재들은 북한이 사회를 군사화하고 애초 이 제재가 목표로 삼았던 고성능 무기 보유 억제와는 정반대로 오히려 개발을 앞당기는 등의 행동으로 궁지에 몰린 정권이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는 결과를 초래했다.

Economic aggression has been waged on states as diverse as Cuba, Iran, Burma, South Africa, Iraq, Serbia, Libya and Syria. In almost all cases they were counterproductive, internally strengthening the deplored regime and its policy. In Iraq, Serbia and Libya their failure was an incitement to violence and war.

경제 제재는 쿠바, 이란, 미얀마, 남아프리카, 이라크, 세르비아, 리비아 및 시리아와 같은 다양한 국가들에 부과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그것들은 공격당하는 정권과 그 정책이 내부적으로 강화되는 역효과를 낳았다. 이라크, 세르비아 그리고 리비아에서 이러한 실패들은 폭력과 전쟁을 가져왔다.

Sanctions impoverish the poor, militarise the state and cripple the mercantile middle class from which opposition to a regime might arise. Siege economies are not just barriers to trade, they prevent the cultural and commercial exchange vital to opening up political discourse. When, as in North Korea and Syria, they are obviated by a powerful ally of the regime, they are senseless. Clearly they do not prevent the acquisition of nuclear weapons.

제재는 가난한 사람들을 더욱 가난하게 만들고 정권을 더욱더 무장하도록 하며 체제에 반대해 봉기를 일으킬 수도 있는 문화 및 상업중산층을 무력하게 만든다. 포위경제는 단순히 교역을 막는 장벽이 아니라 정치담화를 시작하는 데 중요한 문화 및 상업적 교류까지 방해한다. 북한과 시리아에서처럼 포위경제가 정권의 강력한 동맹국에 의해 무력화되면 그것들은 무의미해진다. 제재만으로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하는 것은 분명하다.

The urge to bully and dominate lesser nations remains a potent force in western diplomacy, as potent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s it was in the 19th century. Economic sanctions are certainly a preferable form of state-on-state aggression to war. But like those currently imposed on Russia, they do not achieve their purpose. They are feel-good gestures, denying economic prosperity as an ultimate guarantor of peace among nations.

작은 나라들을 괴롭히고 지배하고자 하는 충동은 19세기에 있었던 것 만큼이나 냉전종식 이후에도 서방 세계 외교에서 강력하게 존재한다. 경제 제재는 국가 간 공격 방식으로서 확실히 전쟁보다는 선호할 만 하다. 그러나 현재 러시아에 가해진 제재들처럼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제재는 그럴싸한 제스처일 뿐이며, 경제적 풍요만이 국가들 간 평화를 궁극적으로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The sanctions so far imposed on North Korea have blatantly not made the far east a safe place. How much more dangerous is moot, since it is inconceivable China would allow North Korea to commit an act of nuclear aggression on the south. The sane alternative is to do everything to open North Korea, to flood it with trade, promote cultural exchange and hope one day that, like east Germany, it will reunite with its neighbour.

지금까지 북한에 가해진 제재는 극동아시아의 평화를 유지하는 데 명백하게 실패해왔다. 중국이 북한으로 하여금 남한에 핵공격을 가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얼마나 더 많은 위험이 있는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이상적인 대안은 북한 개방을 위해 활발한 교역과 문화교류를 촉진하고 언젠가는 동독처럼 남북이 통일할 거라는 희망을 갖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This will never happen under sanctions. Ending sanctions cannot cause more harm than what is happening now. It would probably do good. So end the sanctions.

이런 일은 제재 하에서는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제재를 끝낸다고 지금보다 더한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마도 이 대안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니 제재를 철회해야 한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76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새누리당-경찰, '백남기 진상규명' 대놓고 방해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6/09/13 07:19
  • 수정일
    2016/09/13 07:1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백남기 농민 청문회] 기초자료 제출 거부로 책임 규명 막혀

16.09.12 20:43l최종 업데이트 16.09.12 20:43l

 

 

기사 관련 사진
▲  백남기 농민의 부인 박경숙씨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청문회에 참석해 강신명 전 경찰청장의 답변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국회 '백남기 농민 청문회'를 통한 책임규명은 자료제출 거부에 가로막혔다. 경찰이 사건 뒤 자체 조사한 내용이 담긴 가장 기초적인 자료부터 제출하지 않은 탓에 청문회는 무력화됐고, 당시 사건 책임자는 사과를 거부했다. 

 

12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경찰에 지난해 11월 민중총궐기 집회 때 백남기씨에게 물대포를 쏜 충남살수09호차 운용요원 한아무개·최아무개 경장 등에 대한 청문감사 중간보고서 제출을 요구했다. 당시 백남기씨가 쓰러진 후, 서울지방경찰청 청문감사관실은 사건 관련자에 대한 감사를 실시했다. 

백재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청문감사 중간보고서는 백남기씨가 쓰러진 이후 충남살수09호차 운용요원 등에 대한 최초의 질문·답변이기 때문에 사실에 가까울 것"이라면서 "이 내용이 밝혀지지 않는다면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어렵다, 정치적인 논리로 중간보고서를 숨기고 제출을 미룰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경찰 쪽은 "현재 수사와 소송이 제기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료가 공개되면 혼선이 초래될 수 있다"면서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야당 의원들은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국회 증언·감정법)을 언급하며 경찰을 압박했다. 법 4조에 따르면, 국가기관은 군사·외교·대북관계의 국가기밀이 아닌 이상 국회에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만약 국가기관이 서류 제출을 거부하면, 같은 법 4조의2에 따라 주무부장관에게 자료 제출 거부에 대한 해명과 관련자 징계를 요청할 수 있다. 
 

기사 관련 사진
▲ 박남춘 "경찰 살수보고서 거짓, 처음부터 직사살수"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청문회에 참석해 "살수차 사용 결과보고서와 달리 총 7번 살수한 걸루 나오고 모두 다 직사살수로 보인다. 이 중 4차 살수에 백남기 농민이 쓰러졌다"며 "곡사살수를 했다면 13호차의 화면처럼 나와야 하는데 충남살수09호기는 처음부터 직사살수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안전행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박남춘 의원이 "중간보고서에는 지휘 계통의 문제가 적나라하게 나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국회 증언·감정법에 따라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데, 왜 주지 않겠다는 것이냐"라고 따졌다. 

경찰의 입장이 난처해지자, 여당이 나섰다. 경찰 출신의 새누리당 간사인 윤재옥 의원은 "경찰에서 수사가 진행 중이기에 곤란하다고 하는데, 이해되는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박남춘 의원이 국회 증언·감정법에 따라 이철성 경찰청장이 출석해 자료 제출 거부 이유를 해명해야 한다"라고 하자, 윤재옥 의원은 "이철성 청장이 출석해서 해명하기에는 부적절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1시간 넘게 공방과 정회가 이어지면서, 청문회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은 야당을 겨냥해 "청문회를 하지 말자는 것이냐"라고 항의했다.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청문회를 제대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새누리당의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맞받았다. 이후 3당 간사 협의와 청문회가 동시에 진행됐다.

강신명 "사망했다고 무조건 사과는 안 돼"... 다친 경찰·의경 부른 여당 
 

기사 관련 사진
▲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청문회에서 민중총궐기 당시 살수차를 직접 운용한 충남경찰청 소속 한모·최모 경장이 증인으로 출석해 가림막 뒤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기초 자료부터 제출되지 않는 상황은 책임규명도 어렵게 했다. 사건 당시 경찰의 최고책임자인 강신명 전 경찰청장은 사람이 다쳤거나 사망했다고 무조건 사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백남기 농민에 대한 사과를 거부했다.

'도의상의 사과는 가능하지 않느냐'는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강 전 경찰청장은 "구체적인 사실 관계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을 전제로 하는 이야기는 대단히 적절치 않다"며 "사실 관계가 명확하게 확정된 다음에 답변을 드려야 한다"고 조금도 물러서지 않았다. 

한편, 청문회에서 여당 의원들은 백남기씨 사건의 진상규명보다는 당시 민중총궐기 집회의 폭력성·불법성을 부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 민중총궐기 때 다친 경찰과 의경을 청문회장으로 불렀다. 

박순자 의원은 참고인으로 출석한 한 의경에게 트라우마가 남아 있는지 물었다. 의경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게 있지만, 지금 복무하는 입장에서 따로 판단내리고 싶지 않다"라고 답을 피했다. 하지만 박 의원은 재차 "당시 현장은 끔찍했는데, 지금 용감하게 근무하고 있다는 뜻으로 이해해도 되겠느냐"면서 답을 종용하기도 했다.

표창원 의원은 "청문회는 백남기씨 사건에 누구의 과실이 있었는지 밝혀내기 위한 것"이라면서 "하지만 새누리당은 이 사안과 관련 없는 당시 집회의 불법성을 부각하고 있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경찰관들에게 당시 어떤 일을 했는지 질의한다면 감사할 것 같다"라고 밝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오바마 대북제재에 북 핵무력 계속강화, 세계는 가공할 군비경쟁 속으로

오바마 대북제재에 북 핵무력 계속강화, 세계는 가공할 군비경쟁 속으로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6/09/12 [23:32]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일부 야당의원들까지 나서서 전술핵무기 재배치까지 거론하는 등 한반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 자주시보

 

북이 5차 핵실험에 따른 추가 대북제재 등의 중대 조처를 하겠다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성명을 비난했다.


1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북 외무성 대변인은 같은 날 담화를 통해 "오바마가 직접 나서서 이번 핵탄두폭발시험에 대한 추가적인 중대조치들을 취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였다"며 "핵탄두 폭발시험은 미국을 비롯한 적대세력들의 핵전쟁 위협과 제재소동에 대한 실제적 대응조치의 일환으로서 적들이 우리를 건드린다면 우리도 맞받아칠 준비가 되여있다는 초강경 의지의 과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의 가증되는 핵 위협과 공갈로부터 자주권과 생존권, 평화를 수호하기 위하여 병진노선을 높이 들고 나가고 있으며 우리의 이번 핵탄두폭발시험도 병진노선 관철의 한 공정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5차 핵시험은 무슨 특별한 계기나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진행한 전술적 차원의 조치가 아니라 미국의 항시적인 핵위협과 적대정책에 대한 핵-경제 병진노선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북미 평화협정과 같은 안전담보가 없다면 북은 자체의 계획에 따라 앞으로도 이런 핵무력 강화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면서 대변인은 "퇴임을 앞둔 오바마패는 우리의 핵 공격 능력을 시시각각으로 강화하는 결과만 초래한 저들의 대조선(대북)정책의 총파산으로 하여 지금 국내외의 비발치는(빗발치는) 비난 속에 허덕이고 있다"며 "오바마의 이번 성명 발표놀음에는 우리를 핵보유에로 떠민 책임을 회피하고 세계 면전에서 납작해진 저들의 체면을 조금이라도 세워보려는 속심이 깔려있다"고 지적하였다.


사실 중국과 러시아는 물론 미국의 뉴욕타임스 등 언론들도 오마바 대통령의 '전략적 인내' 정책이 이런 사태를 유발했다며 이미 제재로는 북의 핵무력 강화를 막을 수 없다는 권위있는 미국 대북전문가들의 주장을 잇따라 소개하고 있다. 뉴욕타임스에서 소개한 전문가들을 보면 빅터차, 페리, 크리스토퍼 힐 등 전, 현직 대북정책 담당자들이거나 직접 북과 협상을 했던 이들로 가장 북을 잘 아는 인사들이었다. 이들이 이제라도 북과 대화를 통해 근본적으로 한반도 핵문제를 풀 방도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북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이야말로 우리를 핵탄두개발에로 추동하고 떠밀어준 장본인이며 지난 수십년간 매일과 같이 우리를 항시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미국의 핵 위협 공갈은 우리를 여기까지 밀고 온 원동력이 되였다"고 말했다.


12일 미국에서 북의 핵무력 강화는 제재에 적극 나서지 않은 중국의 책임이라는 지적을 하자 중국은 '미국이 온갖 핵공격 훈련으로 북을 압박하지 않았다면 오늘과 같은 북의 핵무장은 없었을 것이라며 근본적인 책임은 미국에 있다'고 강하게 반발하였다. 북 대변인의 주장에 대해 중국 등 적지 않은 나라들이 동의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 북 외무성 대변인은 "이미 천명한 바와 같이 미국의 가증되는 핵전쟁 위협으로부터 우리의 존엄과 생존권을 보위하고 진정한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국가 핵무력의 질량적 강화조치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1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우리 군 당국은 북이 풍계리 3번 갱도서 이미 또 다른 핵시험을 할 완벽한 준비를 끝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발표하였다. 이 정보가 사실이라면 북의 경고가 벌써 실천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이다.

 

이를 잘 알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 외무부는 12일(현지시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전화로 북한의 최근 핵실험과 관련한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북의 5차 핵실험을 비난하면서도 관련국들에 추가적 긴장 고조 행동을 자제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연합뉴스는 이에 대해 북의 핵실험 이후 미국과 일본, 한국 등이 군사적 조치를 포함한 강경 대응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자제를 주문한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중국과 러시아 외교장관이 긴급하게 북의 핵시험 반대보다 한반도 긴장고조 반대에 초점을 맞추어 입장을 발표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그런 긴장이 북의 반발을 초래하여 악순환의 반복 심화와 한반도 군비경쟁을 더욱 가중시킬 우려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전쟁으로까지 연결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두 외교장관이 긴장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미국은 내일 기어이 B-1b 랜서 초음속  핵폭격기를 한반도 상공에 전개하는 등 대북 압박훈련을 하겠다고 발표하였는데 강한 북의 반발이 우려된다.

 

한국 정치권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정부는 북의 원점 타격용으로 f-35를 20대나 더 미국에 주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제도권 언론에서도 노골적으로 핵잠수함 보유를 촉구하고 있으며 박근혜 정부가 미국에게 전술핵무기를 다시 한반도에 배치해 달라고 요청해야 한다는 김종인 야당 의원의 발언까지 나왔다.

 

이런 식으로 가면 북의 추가적인 핵억제력 강화조치는 피할 수 없을 것이며 그 행보 또한 가속화될 것으로 예견된다. 한반도 정세가 더욱 요동치게 될 우려가 높다.

군비경쟁이 가속화되면 결국 전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모든 세계 대전 직전에 폭발적인 군비경쟁이 있었다. 전쟁까지 가지 않는다고 해도 군비경쟁은 한반도와 그 주변국의 경제에 치명상을 주게 된다.

한반도만이 아니다. 북의 미사일에 공포를 느낀 영국에서도 신형 핵잠수함을 천문학적 비용을 투입하여 건조하기로 결정하였다. 영국이 군비를 강화하면 그 주변국도 하게 된다. 세계적인 군비경쟁 도미노가 일어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발 금리인상 언급이 나와 우리 주가가 폭락하고 있는데 경제는 더욱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군비경쟁은 일시적으로 군수분야 일자리를 늘려 경제를 활성화시킬지는 몰라도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수요가 없는 투자이기 때문에 일시에 세계 경제를 공항 속으로 몰아넣게 된다.

 

특히 북의 핵무력을 막기 위해 투입하려는 우리 정부의 국방비가 장난이 아니다. 자체개발이라면 그래도 일시적인 고용창출이라도 하겠는데 f-35처럼 미국에서 마구 사들이는 방식으로 대응한다면 나라 재정이 거덜나지 않을까 걱정이다. 핵억제력이라는 것이 어디 한 두 푼 들어가는 일인가.

담배세까지 올려 막대한 세금을 싹싹 거두어들여 경제활성화에 투자해도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아 박근혜 정부는 계속 빚을 내서 돈을 풀고 있는데 그 세금마저 미국 무기 사들이는데 마구 사용할 것이라니 우리 경제의 앞날이 캄캄하다.

 

6.15시대 때처럼 남북관계를 개선하면 오히려 경제활성화에도 도움이 되고 한반도 평화적 통일도 이룰 수 있어 더 완벽하게 한반도 평화를 지킬 수 있을 것인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단독]국민안전처 홈페이지 지진 발생 이후 ‘먹통’

 

주영재·박홍두 기자 jyj@kyunghyang.com

 

12일 오후 9시12분 현재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갈무리

12일 오후 9시12분 현재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갈무리

경향신문의 확인 결과 오후 8시30분 현재 국민안전처 홈페이지에 들어갈 수 없다. 단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점검 작업으로 인하여 현재 웹서비스가 중단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는 안내문만 볼 수 있다. 기상청, KBS, 청와대, 국회안정행정위원회 등 재난 관련 다른 부처 및 산하기관의 기관들은 접속이 가능하다.

경향신문이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실을 거쳐 확인한 결과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오후 8시23분 접속 불가 상태에 들어간 이후 일시 회복됐다가 오후 8시30분 이후 먹통이 됐다. 국민안전처는 이재정 의원실에 “접속 폭주에 따른 접속 불가 현상이다. 현재 복구 중이다”고 말했다.

국민안전처는 긴급재난문자도 ‘늑장’ 발송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이날 “처음 지진 발생 즉시 방송국에 재난방송을 요청했다”며 “오후 7시52분 송출반경 120㎞에 해당하는 부산, 대구, 울산, 충북, 전북, 경북, 경남 등 지자체 주민들에게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주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국민안전처가 재난문자를 발송한 시간은 첫 지진이 발생한 오후 7시44분32초에서 약 8분이 지난 때였다.

국민안전처는 박근혜 정부가 세월호 참사 이후 각종 재난·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출범시킨 기관이다. 이재정 의원은 “안전한 대한민국의 선봉장 역할을 해야 할 국민안전처가 정작 대형재난이 발생하자 접속자 폭주조차 막지 못한 채 먹통이 됐다는 것은 국제적 망신거리”라며 “국정감사에서 안전불감증에 걸린 국민안전처의 존재 이유를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12일 오후 8시30분 현재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갈무리

12일 오후 8시30분 현재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실

사진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핵 5차 실험으로 가장 큰 이득을 본 사람은?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6/09/12 12:12
  • 수정일
    2016/09/12 12:12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북핵 실험-안보위기론-전쟁 공포’ 만 나오면 등급하는 박근혜 지지율
 
임병도 | 2016-09-12 09:15:58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오전 라오스 현지에서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관련해 긴급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

 

북한이 지난 9일 5차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 라오스를 방문하던 박 대통령은 현지에서 긴급회의를 주재한 뒤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오전 10시부터 15분간 전화 통화를 했습니다. 당시 청와대 대변인은 “역대 북한 핵실험 이후 가장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진 한미정상간 통화”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한 뒤 한-라오스 비즈니스 포럼을 취소하고 4시간 앞당겨 조기 귀국을 했고, 이후 저녁에는 북한 5차 핵실험 관련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진행했습니다.

북한 5차 핵실험 이후 벌어진 박근혜 대통령의 행보가 과연 한반도의 전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행동과 발언이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북한 5차 핵실험, 박근혜 대통령은 몰랐나?’

38노스핵실험징후보도-min

 

▲9월 8일 북한의 핵실험 징후를 보도한 38노스 ⓒ38노스 캡처

 

가장 먼저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문제는 과연 북한의 5차 핵실험을 박근혜 대통령이 사전에 알지 못했냐는 점입니다.

해외 언론의 보도를 보면 미국과 국정원은 이미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미’38노스’에서는 9월 8일 북한의 핵실험 징후를 보도했고, 일본 정부는 북한의 9월 9일 핵실험 징후를 미국으로 사전에 보고 받았다는 보도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국정원도 북한 정권수립일인 9월 9일 북핵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북핵 실험이 9월 9일에 벌어질 수 있다는 상황을 알고 있었는데도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회의는 북핵 실험이 발생한 뒤에야 열렸습니다. 대통령이 부재 중인 상황에서 핵실험 징후가 있었다면 이미 비상 체제로 돌입했어야 하지만 황교안 국무총리와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다른 일정이 예정돼 있었습니다.

알면서도 사전에 경고나 대비를 하지 않았다면 또 다른 의도가 있었다고 봐야 하고, 만약 몰랐다면 대한민국의 국방력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말만큼은 최고의 국방력을 자랑하는 박근혜 정부’

북핵참수작전언론보도1-min

 

▲북핵 실험 후인 9월 12일 월요일 중앙일보,동아일보 1면 ⓒ중앙일보,동아일보PDF 화면 캡처

 

중앙일보는 9월 12일 1면에 ‘핵 사용 징후 땐 지도서 평양 사라질 것’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미국의 전략폭격기 사진과 함께 내보냈습니다. 중앙일보는 ‘대량응징보복(KMPR:Korea Massive Punishment & Retaliation)’을 언급하며 ‘지도상에서 평양의 일정 구역을 완전히 사라지게 만드는 작전’을 감행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최대 1000여 기의 미사일을 동시 다발적으로 발사할 수 있다’는 군 당국자의 말을 언급하며,’핵공격 징후 땐 북 주석궁 일대 초토화’라는 제목을 1면에 달기도 했습니다.

중앙과 동아일보 1면 제목만 보면 우리 국민들은 북핵 실험에 전혀 겁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핵미사일이 발사되기 직전에 평양이 초토화될텐데 무슨 걱정을 하겠습니까?

하지만 ‘참수작전’이라 불리는 ‘대량응징보복’은 그리 쉽지 않은 작전입니다. 미국이 했던 ‘참수작전’은 단순 암살보다는 반정부군을 지원해 내전을 발생해 최고 지도부를 제거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문제는 김정은을 제거한다고 해서 북한이 핵미사일 버튼을 누르지 못한다고 그 누가 장담할 수 있느냐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평양을 타격하려고 미사일을 발사하는 순간에 북한도 핵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이고 상식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중앙과 동아일보의 1면 머릿기사가 한반도를 사라지게 하는 무서운 이야기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북핵 실험의 가장 큰 수혜자는 박근혜 대통령’

북핵실험후지지율급등-min

 

▲리얼미터의 9월 1주차 박근혜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와 지난 4차 북핵 실험 직후 나온 박근혜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리얼미터

 

북핵 실험으로 언론과 종편은 전쟁의 공포를 조장하고 있습니다. 국민은 불안에 떨고 있지만, 오히려 가장 큰 이득을 보고 있는 사람은 박근혜 대통령입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대표 이택수)에 따르면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직후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5주만에 올랐습니다. (관련기사:北風으로 朴대통령 반등, 安風으로 金·安·文 초박빙)

현재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는 61.6%입니다.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지난주에 이어 3주째 하락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리얼미터 9월 1주차 주중동향] G20 정상회담 불구, 朴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지속) 하지만, 북핵 5차 핵실험 이후 안보 위기론 등으로 또다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을 급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박근혜불순분자감시-min

 

▲박근혜 대통령의 북핵 5차 실험 관련 안보상황 점검회의 발언 ⓒ청와대tv 캡처

 

박근혜 대통령은 북핵 5차 실험 관련 안보상황 점검 회의에서 NSC에게 ‘상시비상체제 유지’와 ‘국내 불순 세력과 사회 불안 조성자들에 대한 철저한 감시’를 요구했습니다.

안보와 국방력을 이해하는 대통령이라면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NSC를 질책했어야 합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국민을 ‘불순 세력이나 사회불안 조성자’로 낙인을 찍고 그들을 감시하라며 대놓고 ‘공안정국’을 만들려고 합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북핵 실험에도 서울 시민들은 평소와 다름이 없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국민들이 동요하지 않는 이유는 ‘안보 위기’를 ‘정권 유지’에 이용했던 지도자들 때문입니다. 대통령이라면 자신의 지지율보다는 진짜 안보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북핵실험박근혜조기귀국-min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114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핵을 ‘말폭탄’으로 막을 수 있나

 

[김종철 칼럼] ‘위기의식 부채질’보다 이성적 대응이 절실하다

김종철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cckim999@naver.com  2016년 09월 12일 월요일
 

북한이 지난 9일 5차 핵실험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한국사회에는 마치 곧 전쟁이라도 터질 것 같은 위기의식이 감돌았다. 핵실험 자체를 냉정하게 평가하고 대응책을 차분히 논의하기보다는 북한 정권의 무모함과 호전성을 규탄하는 소리가 훨씬 더 요란하게 들렸다. 박근혜와 새누리당이 ‘말폭탄’을 쏟아낼 때마다 대다수 언론매체는 열심히 ‘실황 중계’를 했다.

지난 9일 라오스 공식 방문 일정을 단축하고 귀국해 청와대에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한 박근혜는 “권력 유지를 위해 국제사회와 주변국의 어떠한 이야기도 듣지 않겠다는 김정은의 정신 상태는 통제 불능이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은 과거와는 다른 지극히 엄중한 안보 상황”이라며 “국가 비상사태에 준하는 자세로 북한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국내 불순세력이나 사회불안 조성자들에 대한 철저한 감시 등 국민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북한이 핵실험을 한 것과 ‘국내 불순세력’이나 ‘사회불안 조성자들’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 박근혜 대통령이 9월9일 오전 (현지시각) 비엔티안 숙소에서 북한 핵실험 관련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새누리당 ‘중진들’은 해묵은 ‘핵무장론’을 더 큰 소리로 외치기 시작했다. 지난 11일 원유철 새누리당 의원은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전술핵을 재배치해 북한과 ‘공포의 균형’을 이루고,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핵무기를 최소한 북한의 2배 이상 규모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대표 김무성은 지난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한미원자력 협상 등을 통해 핵추진잠수함 도입,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개발, 미국의 전략 핵무기 배치의 필요성이 더욱 명백해졌다.” 당 대표 이정현은 같은 날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북한의 핵이나 미사일 개발처럼 무모한 도발 시도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조치들을 정치권과 정부가 함께 강구해야 한다”며 ‘핵무장론’을 중요한 논제로 삼겠다는 뜻을 밝혔다. ‘핵무장론’에는 전 경기도 지사 김문수도 가세했다. 친박 의원 홍문종은 “핵실험 징후가 있으면 북한을 선제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에서 핵무장 주장이 폭탄처럼 터져나오던 9월 11일 청와대 관계자는 “그런 것과 관련해서 정부 입장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지난 1월 13일 박근혜가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밝힌 ‘한반도 비핵화’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런 현상을 보면, 집권세력 안에서 북핵에 관한 한 새누리당이 청와대와 전혀 다른 길을 걷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0일 KBS의 <뉴스9>는 “독자적 핵무기 개발론이 힘을 얻고 있다”며 독자적 핵무장을 위해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짜 조선일보 1면 머리기사는 “‘핵 광인(狂人)’ 앞에 벌거벗은 우리의 운명”이라는 통단제목 밑에 해골이 그려진 핵탄두를 양손에 들고 말을 탄 채 돌진하는 김정은의 사진을 대문짝만하게 올렸다. 그야말로 공포심을 극대화하는 ‘작품’이었다. 9월 11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기사는 제목(“군 ‘북 핵사용 징후 포착 시 평양 지도상에서 없앨 것’···김정은 잡을 레이저부대도 운영”)부터 으스스했다. ‘군 소식통’의 말을 인용한 이 기사는 “국방부가 국회에 보고한 ‘대량응징보복’ 작전개념은 지도상에서 평양의 일정 구역을 완전히 사라지게 만드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고 보도했다. “현재 우리의 탄도·순항미사일 능력으로도 상당 수준의 응징보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우리 군 스스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남한이 따로 핵무기를 개발할 필요가 없는 셈이다.

 

▲ 원유철 새누리당 의원은 언론에 북한 핵실험 보도가 나온 이후 대한민국도 독자적인 핵무기를 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포커스뉴스

새누리당의 ‘핵무장론’처럼 주권자들을 긴장시키는 주장과는 달리 뉴욕타임스 9월 10일자(현지 시각)에는 북한 지배체제의 본질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사가 올랐다. 맥스 피셔가 쓴 기사 제목은 ‘북한, 미치기는커녕, 너무나 이성적’(North Korea, Far From Crazy, Is All Too Rational)이다. “북한은 비이성적인가? 아니면 그런 척하는 것뿐인가?”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그 기사의 요지는 이렇다.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잇단 도발을 하는 배경에는 생존을 위한 이성적인 사고가 자리 잡고 있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의 정치전문가 데이빗 C. 강은 “북한 지도자들이 국내외에서 하는 행동들이 혐오감을 자아내긴 해도 자국의 이익을 빈틈없이, 그리고 이성적으로 잘 추구하고 있다”며 “그런 경향이 지금도 잘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전문가 데니 로이는 “‘미치광이 국가’나 ‘무모한 도발’ 등 북한에 붙은 꼬리표가 자국의 이익을 지키는 데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 기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특히 강조했다. “미국이 앞장선 이라크 침공, 리비아의 ‘대령’ 무암마르 알 카다피를 제거하기 위해 나토 군대가 그 나라를 침략한 사실 때문에 북한은 미국의 침공을 두려워하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북한은 미국의 침공을 피할 수 있는 수단으로 핵개발 프로그램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박근혜와 새누리당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해 ‘말폭탄’을 날리는 동안 국회는 ‘식물’이 되다시피 해버렸다. 사드 배치 일방적 결정 때문에 ‘한·미·일 삼각동맹’이 중국과 러시아 등에 안기고 있는 위기의식과 긴장, 청와대 민정수석 우병우를 포함한 권력층의 부도덕한 행위, 세월호 참사, 농민 백남기에 대한 경찰의 ‘살인적 물대포 공격’, 한진해운 ‘침몰’ 같은 중대 사안들이 파묻혀버린 것이다. 군사전문가 김종대(정의당 의원)는 지난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비상사태? 뭣이 중헌디?’)의 결론부분에 다음과 같이 썼다.

“지금이 왜 비상사태인지, 근거가 없습니다. 딱히 북한에 대해 조치할 만한 것도 없습니다. 정작 비상사태는 우리가 아는 것이 없다는 데 그 이유가 있는 것 아닐까요? 그런데 박근혜 대통령이 ‘김정은은 제정신이 아니다’라며 생뚱맞게 ‘국론분열세력과 불순세력을 철저히 감시하라’고 말하는 그 의도가 뭔지도 아리송합니다. 아무런 정보도 없고 체계적인 위기관리 방향도 없이 저렇게 감정적으로 말하는 대통령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도대체 뭘 알고서 대비를 하는 것인지, 정부 설명을 들으면 들을수록 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중한 것입니까?”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 iSt

지난 6일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오바마는 핵 ‘확장 억제’를 재확인하면서 앞으로도 북핵문제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1만6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7만6천50개를 실제로 운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한겨레 9월 9일자 기사). 미국 국방장관 애슈턴 카터는 지난 12일 한국 국방장관 한민구와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은 위협을 억제하기 위해 핵우산, 재래식 억제, 미사일방어 능력을 포함하는 모든 범주의 억제 능력으로 한국과 함께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미국은 초음속 전략 폭격기인 B-1B 랜서에 핵폭탄 24발과 유도폭탄 48발을 탑재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북한이 핵무기를 실용화해 어떤 나라를 공격한다면 그 폭격기 한 대가 북한 전역을 ‘석기시대’로 되돌려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5차 핵실험은 종전의 어느 경우보다 한반도와 국제사회에 더 큰 위기감을 안겨주었다. 미국도 중국도, 유엔의 다른 회원국들도 북한을 더욱 강하게 제재해야 한다는 데는 의견이 일치하고 있지만, 막상 현실적으로 ‘응징’하는 데는 정도의 차이가 크다. 특히 ‘조·중군사동맹’을 통해 북한과 ‘우방’이 되어 있는 중국은 북한체제를 뒤흔드는 일 같은 것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남한의 집권세력이 ‘북한 자체 붕괴론’이나 ‘외부의 힘에 의한 궤멸론’을 주장하고 있는 것과는 정반대이다. 이런 시기일수록 새삼스럽게 느끼는 것은 북한이 6자회담 같은 대화의 마당으로 나오도록 미국과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김정일 집권 시기에 국제사회 일각에서 강조하던 ‘북한 개방·개혁론’을 김정은체제가 순리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노력이 다방면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감정적으로 퍼부어대는 ‘말폭탄’보다는 남북의 평화공존을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자세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 이 글은 <뉴스타파>에도 함께 실립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