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윤회 문건’ 박관천 “최순실 권력서열 1위” 발언 재조명

이재명 시장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도둑이 너무 많다…썩어빠진 나라”

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 박근혜 대통령의 의원 시절 비서실장 역할을 한 정윤회(좌측) 씨와 전 부인 최순실(우측) 씨가 이혼 전인 2013년 7월 서울 근교의 한 공원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 중앙시사매거진

최순실씨가 재단법인 미르와 K스포츠의 설립과 운영에 깊숙이 개입해온 정황이 드러난 가운데, ‘정윤회 국정 농단 문건 유출’ 사건의 핵심 인물로 구속 기소된 박관천 경정의 “최순실 권력서열 1위” 발언이 재조명 되고 있다.

지난해 1월 <동아일보>는 박관천 경정이 검찰 수사 과정에서 故 최태민 목사의 딸이자 정윤회 씨의 전 부인인 최순실씨가 권력서열 1위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동아일보>는 검찰 수사 초기 박 경정이 검사에게 갑자기 “우리나라의 권력 서열이 어떻게 되는 줄 아느냐”면서 박근혜 정부의 권력 지형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박 경정이 박근혜 정부 권력지형에 대해 “최순실씨가 1위, 정윤회 씨가 2위이며, 박근혜 대통령은 3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고 덧붙였다.

‘최순실 朴정권 최고실세’ 의혹은 이보다 앞선 지난 2014년 12월 ‘go발뉴스’ 뉴스쇼 <이상호의 상해임시정부> 11회 ‘바보야 정윤회가 아니라 최순실이야’ 편에서 최초 제기된 바 있다.

<☞ 관련기사 [단독] “박근혜 취임식 한복까지 최태민 딸 순실씨가 챙겨”>

☞ <이상호의 상해임시정부> 11회.. “바보야 정윤회가 아니라 최순실이야” (51분21초~)

한편, 박근혜 대통령의 퇴임 후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이라는 의혹을 받아온 두 재단에 최순실 씨가 깊숙이 개입해왔다는 의혹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김홍걸 전 국민통합위원장은 “쉽게 거액을 모금할 수 있었던 이유가 이것이었군요”라고 꼬집었다.

   

그런가하면 이재명 성남시장은 “썩어빠진 나라, 이것뿐이겠냐”며 “나라에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도둑이 너무 많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국민 세금으로 도둑질 하는 것도 모자라는 모양”이라며 “증세없는 복지요? 누구처럼 대국민사기용 거짓말이 아니라,부정부패 예산낭비 세금탈루만 막으면 진짜로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상지대 홍성태 교수는 이재명 시장의 해당 글을 자신의 SNS에 공유하며 “돈 많은 못 사는 나라. 이 나라의 문제는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비리가 너무 많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문제를 그냥 두고 개혁이나 진보를 외치는 것은 그저 한심한 것일 뿐”이라고 질타했다. 

   

 

[관련기사]

 
김미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가판대서 잡지 파는 기자... 날개 돋친 듯 팔렸다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①] 대가 없이 만들어 거리 판매에 나선 기자들

16.09.20 21:19l최종 업데이트 16.09.20 21:19l

 

10개 언론사 20명의 기자들과 문화예술인들이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을 펴냈습니다. 아무런 대가도 바라지 않고 비정규직 문제를 알리겠다는 마음에 힘을 합쳤습니다. 이 잡지의 판매수익금(1부 5000원)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편히 쉬고 연대할 수 있는 안식처인 '꿀잠'을 만드는 일에 사용됩니다. <오마이뉴스>는 앞으로 <꿀잠>에 실린 몇몇 기사를 저자의 동의를 얻어 공개할 예정입니다. 그에 앞서 <꿀잠> 제작에 참여한 선대식 기자가 직접 거리에서 잡지를 판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 편집자말
 

기사 관련 사진
▲  9일 오후 홍대입구역 8번출구 앞에서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을 팔면서 기념사진을 찍었다. 왼쪽부터 필자, 송경동 시인, ‘두리반’ 운영하는 유채림 작가, <프레시안> 허환주 기자다.
ⓒ 노순택

관련사진보기


"거리에서 잡지를 팔겠습니다."

조심스레 꺼낸 말에 박수가 쏟아졌다. 일어나 술잔을 들고 "3만부를!"를 외치자, 모두 일제히 "팔자!"라고 소리쳤다. 곳곳에서 술잔 부딪치는 소리가 들렸다. 잡지 책거리를 겸해 마련된 술자리는 떠들썩했다. 이어진 2차 술자리. 술기운이 돌자, 내 제안에 살이 붙기 시작했다.

 

"선대식 기자가 거리에서 100부를 팔겠대요." 

사람들은 '와'하며 격한 반응을 보였다. 당초 한나절 잡지를 팔 생각이었는데…. 입으로는 "잘 해보겠습니다"라고 하면서, 속으로는 '하루 종일 100부를 다 팔 수 있을까' 하며 셈을 했다. 

다른 기자와 함께하면 덜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프레시안> 허환주 기자를 꼬드겼다. 그의 일성은 내 예상을 완전히 빗나간 것이었다. 

"100부 받고, 200부 더!"

아뿔싸, 일이 커졌다. 거리 판매 계획은 열띤 분위기 속에서 일파만파로 퍼졌다. 술자리가 파할 때쯤, 9일 '불금' 홍대입구역 앞에서 300부를 파는 계획이 마련됐다. 이튿날 허환주 기자는 술자리에서 있었던 일을 잘 기억하지 못했지만, 우린 이미 사람들로부터 좋은 일을 하는 '참기자'가 된 뒤였다.

우리가 팔려는 건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이다. 10개 언론사 20명의 기자들과 문화예술인들이 대가를 바라지 않고 힘을 합쳤다. 비정규직 문제를 다루는 이 잡지의 판매수익금(1부 5000원)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편히 쉬고 연대할 수 있는 안식처인 '꿀잠'을 만드는 일에 사용된다.

'꿀잠'을 짓기 위해 10억 원이 필요한데, 현재 절반가량이 모금됐다. 잡지 <꿀잠>은 나머지 후원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맡았다.

'그래, 좋은 일을 하는 것인 만큼 잘 해보자.'

낮 12시

디데이 아침은, 책상과 의자를 옮기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홍대입구역 8번 출구까지 1km 떨어진 사무실에서 가판대로 쓸 책상과 의자를 빌렸다. 그런데 어떻게 옮기지? 우린 기사만 쓸 줄 아는 샌님인 탓에 그에 대한 생각은 하지 못했다. 택시를 불렀다. 택시기사는 "용달을 불러야지" 하는 핀잔을 남긴 채 떠났다. 

결국 책상과 의자를 앞세우고 지하철을 탔다. 인파를 헤치며 홍대입구역 8번 출구 앞에 책상을 내려놓았다. 소개 문구를 붙이니 제법 가판대 같았다. 하지만 잡지가 도착하지 않아, 1시간 동안 멀뚱히 자리만 지켰다. 한 아저씨가 잡지를 사겠다고 했지만, 돌려보낼 수밖에 없었다.

<꿀잠>은 지난 5일 발행된 후, 이틀 만에 선판매분을 합쳐 1쇄 1만 부가 모두 팔려나갔다. 디데이에 우리가 팔 잡지는 남아 있지 않았다. 이날 급하게 2쇄 1만 부를 찍었고, 오후 2시께 가까스로 100부만 건네받았다. 
 

기사 관련 사진
▲  9일 오후 홍대입구역 8번출구 앞에 마련된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 가판대에서, 필자가 <꿀잠>을 홍보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 노순택

관련사진보기


오후 2시

곧 앞서 발길을 돌린 손님이 다시 나타났다. 알고 보니 핫바 노점상이었다. 가판대와의 거리는 불과 3m. 장사에 방해된다고 항의할 법도 한데, 오히려 잡지를 사고 응원을 보냈다. 장사 준비를 막 시작한 그에게 말을 걸었다. 그는 "길바닥에서 일하는 사람인데..." 하며 손사래를 쳤다. 채근하자, 그가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비정규직 문제는 '내 일이 아니다'라고 생각하잖아요. 그렇게 되면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투쟁하는 사람들이 적어, 안타까워요. 기자들이 좋은 일 한다고 해서 샀어요." 

누군가 서둘러 돈이 든 봉투를 내놓고 잡지 한 권을 가져가기도 했다. 봉투에 든 돈은 3만 원이었다. 유통 일을 하는 김기백(37)씨였다. "많은 도움 못 드려 죄송하다", "노동자들 설 곳이 없는데, 앞으로도 좋은 취재를 해 달라"는 말을 남겼다. 출발이 좋다. 

오후 3시 

위기가 찾아왔다. 건물 경비원이 우리에게 다가왔다. "여기서 팔면 안돼요"라고 말하며 가판대를 살폈다. 벌여놓은 잡지의 절반을 가리키며 거둬들이라고 했다. "금방 팔고 가겠습니다"라고 아쉬운 소리를 했다. 경비원은 탐탁지 않는 표정으로 되돌아갔다.

우리는 좀 더 적극적인 판촉에 나서기로 했다. 1호 구매자 노점상 아저씨로부터 빈 손팻말을 얻었다. 여기에 <꿀잠> 포스터와 소개 문구를 붙였다. 이를 들고 8번 출구 바로 앞에 섰다. 쑥스러웠다. 행인들과 시선이 마주칠까 눈길을 돌렸다. 

잡지는 곧잘 팔렸다. 다만, 구매자는 대부분 아는 얼굴이었다. 페이스북에서 거리 판매 정보를 얻었다고 했다. 나도 글을 썼지만, 많은 이들이 페이스북에 거리 판매 홍보를 해준 덕이었다.

칼국수 집 '두리반'을 운영하는 유채림 작가도 가판대를 찾았다. 두리반은 2009년 문화예술인들이 재개발 철거에 맞서 지켜낸 가게다. 유채림 작가는 50부를 사겠다고 했다. 우린 환호성을 질렀다.

"두리반이 1년 반 넘게 농성할 때 많은 이들이 함께해줬는데, 대부분 비정규직이었어요. 시간이 흘렀는데, 여전히 비정규직 세상이네요. 앞으로 <꿀잠>이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에 큰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기사 관련 사진
▲  9일 오후 홍대입구역 8번출구 앞에서 필자가 확성기로 소리치며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을 파는 장면을 정기훈 <매일노동뉴스> 기자가 사진에 담았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관련사진보기


오후 6시

저녁 어스름이 깔리자, 홍대 앞은 인파로 넘쳤다. 하지만 다들 가판대를 스쳐지나갔다. 기자를 돕기 위해 나온 박점규 비정규직없는세상만들기 집행위원과 송경동 시인이 목청껏 <꿀잠>을 홍보했지만, 행인들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했다.

일을 저지른 건 나인데, 손팻말만 들고 있으면 안 될 일이다. '소리통'이 되기로 했다. 숨을 깊이 들이켰다. "언론인들이 만든 꿈잠..." 말이 꼬였다. 도망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처음부터 크지도 않는 소리였는데, 모기 소리로 바뀌었다. 

누군가 확성기를 얻어와 내게 건넸다. 태어나서 처음 확성기를 손에 들었다. 눈을 질끈 감고 확성기를 입에 댔다. 가슴은 터질 듯 쿵쾅쿵쾅 거렸다. '하..., 도저히 못하겠다.' 확성기를 내려놓았다. 이러기를 10여 차례, 끝내 목에서 소리가 터져 나왔다.

"현직언론인과 사진작가들이 만든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입니다."

한번 하고 나니, 긴장감이 조금씩 사라졌다. 행인들은 확성기 소리에 반응했다. <꿀잠> 제작을 처음 제안한 <한국일보> 장재진 기자도 확성기를 잡았다. 이어 많은 집회에서 소리통 역할을 한 명숙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는 확성기에 수다를 떨 듯 말했다.

오후 7시

1부, 1부... 잡지가 팔리기 시작했다. 대학생, 알바생, 취업준비생, 정규직·비정규직 직장인 구분 없이 다들 "비정규직 문제는 우리의 문제"라며 잡지를 샀다. 7시 15분 마지막 100번째 잡지가 팔렸다. 잡지를 사러 오겠다고 연락을 한 이들이 있어서, 두리반에 가서 20부를 다시 가져왔다. 잡지는 날개 돋친 듯 팔렸다.  

곧 120번째 마지막 손님이 나타났다. 아내와 함께 온 21개월짜리 아들이었다. 고사리 손으로 5000원을 내고, <꿀잠>을 받았다. 아이를 안고 '인증샷'을 찍었다. 아이가 커서 이 사진을 보고 자랑스러워하길, 그때는 비정규직 없는 세상이길 바랐다. 

오후 7시 40분. 더 이상 팔 잡지가 없었다. 매진을 선언하고 가판대를 접었다.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 기사 모아보기
 

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은 어떻게 구입하나요?


10부 이상은 비정규직 없는 세상 홈페이지에서, 10부 미만은 온라인 서점 알라딘에서 문의하고 주문할 수 있다. 가격은 5000원이다. 지난 5일 발행 후 이틀만에 선판매분을 합쳐 1쇄 1만 부가 모두 팔렸다. 현재 2쇄 2만부를 찍었고, 절찬리에 판매 중이다. 

이 잡지는 전종휘 <한겨레> 기자가 편집책임을 맡았다. 김지환(경향신문), 구은회·제정남(매일노동뉴스), 이하늬(미디어오늘), 오세진(서울신문), 선대식(오마이뉴스), 최하얀·허환주(프레시안), 김민경·박태우·정은주(한겨레), 장재진(한국일보) 기자가 기사를 썼다. 노순택·정택용(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사진가모임) 작가와 박승화(한겨레21) 기자가 사진을 맡았다. 김선식·신윤동욱·황예랑(한겨레21) 기자가 편집을, 장광석·손정란·박민서(디자인주)씨가 디자인을, 유홍상(한겨레) 부장이 사진리터치 작업을 담당했다. 잡지 기획·광고·판매는 송경동·박점규·오진호(비정규직 없는 세상 만들기)가 맡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모이자, 서울로! 2016년 민중총궐기로!”

“모이자, 서울로! 2016년 민중총궐기로!”
 
 
 
편집국 
기사입력: 2016/09/20 [17:24]  최종편집: ⓒ 자주시보
 
 
▲ 20일 오후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2016 민중총궐기투쟁본부 발족 기자회견이 열렸다. (사진 : 민중의소리)     © 편집국

 

작년 13만의 시민들이 운집해 박근혜 정권 심판의 목소리를 높였던 민중총궐기가 올해 또다시 개최될 예정이다. 9월 20일 오후 2시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는 550여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2016 민중총궐기투쟁본부 발족 기자회견이 열렸다.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노동개악 저지정리해고 분쇄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책임자처벌,밥쌀 수입 저지사드배치 반대세월호 진상규명 등의 구호를 내걸고 오는 11월 12()서울광장에서 민중총궐기를 개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작년 민중총궐기와 올해 4월 총선을 통해 정권 심판에 대한 민의가 검증되었지만 박근혜 정권은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사드 배치를 강행하고위안부 야합을 성과라 우기며부패한 민정수석의 경질조차 거부한 채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며 작년에 이어 또다시 민중총궐기를 개최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야권을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총선을 통해 야당이 과반의석을 확보했지만 지난 5개월 간이전처럼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고 평가하며 민중들이 직접 나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먹고 살기 어려워 살 수가 없고전쟁날까 불안해 살 수가 없고억압과 폭정으로 숨이 막혀 살 수가 없는 민중들에게 박근혜 정권 심판을 위해 나서줄 것을 호소했다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향후 홍보활동 등을 통해 15만명의 참가자들을 조직할 계획이다.

 

--------------------------------------------------------------------

 

 

<2016 민중총궐기투쟁본부 발족 선언문>

 

 

 

오늘 우리는이미 내려진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거부한 채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박근혜 정권을 끝장내기 위한 2016년 민중총궐기 투쟁을 선포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

 

 

 

무려 13만의 노동자농민빈민청년학생시민들이 운집한 작년 민중총궐기는 취임 후3년 간 지속되어 온 박근혜 정권의 반민주반민생반평화반통일 폭정에 대한 국민의 분노를 보여준 장이었으며이러한 분노는 그대로 4월 총선으로 이어져 여당은 참패하였고,여소야대 국회가 구성되었다.

 

 

 

민의는 검증되었으며박근혜 정권은 심판되었다.

 

 

 

이 나라가 정상적인 민주주의 국가였다면드러난 민의에 따라 심판을 받은 정권과 여당은 교체되거나그간의 폭정을 중단하고 민의가 반영된 여소야대 국회를 중심으로 정국이 운영되었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박근혜 정권은 마치 민중총궐기가 없었던 것처럼총선이 없었던 것처럼국민의 심판을 정면으로 거부한 채 매일 안보 타령을 일삼으며 사드 배치를 강행하고위안부 야합을 성과라 우기며부패한 민정수석의 경질조차 거부한 채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

 

 

 

이 정권은 소위 국회선진화법을 방패로상위법에 근거하지 않은 월권 시행령을 창으로 여대야소 국회를 개원 즉시 무력화시켰다그리하여 일반해고 등 노동개악은 강행되었고,세월호 특조위는 무력화되었으며밥쌀수입노점단속공공부문 민영화 등 각종 반민생 폭정은 지속되고 있다.

 

 

 

심지어 이 정권은 백남기 농민에게 치명상을 가한 경찰 당국자들을 처벌하고 사과하는 대신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을 체포하여 무려 5년이라는 중형을 선고하는 폭거까지 자행하였다.

 

 

 

과반 의석을 얻은 야당은 지난 5개월 간이전과 마찬가지로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세월호특별법 개정정권의 실정에 대한 각종 청문회 등 8개항을 야3당이 합의하더니얼마 되지도 않아 유일한 지렛대였던 추경과의 연계를 스스로 포기하며 자신들이 야당이 아니라2중대임을 스스로 증명하였다.

 

 

 

파렴치한 박근혜 정권이 심판을 거부하고무기력한 2중대 야당이 국민을 방치한 이 상황에서쌓이고 쌓인 민중의 분노커지고 더 커진 민중의 분노를 드러낼 방법은 이제 스스로의 투쟁 뿐이며우리는 이러한 민중의 분노를 받아안고올해 11월 12일 또다시 민중 총궐기를 개최할 것이다.

 

 

 

먹고 살기 어려워 살 수가 없고전쟁날까 불안해 살 수가 없고억압과 폭정으로 숨이 막혀 살 수가 없는 민중이여,

 

 

 

심판을 거부한 박근혜 정권에 대한 국민 저항권을 발동하자!

 

심판을 거부한 박근혜 정권을 종식시키기 위한 대항쟁을 전개하자!

 

모이자서울로! 2016년 민중총궐기로!

 

더 큰 분노로더 큰 힘으로불통정권독재정권을 끝장내고 민중의 희망을 열자!

 

 

 

2016년 9월 20

 

2016 민중총궐기 투쟁본부

 

 

 

 

 

 

 

<2016년 민주총궐기 12대 요구안>

 

 

 

1. 일자리노동

 

노동개악·성과퇴출제 폐기구조조정 중단

 

최저임금 1만원 실현

 

위험의 외주화 중단

 

모든 노동자 노조할 권리’ 보장

 

 

 

2. 농업

 

쌀 수입 중단대북 쌀 교류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와 최저가격 및 농산물 값 보장

 

대기업 · LG 농업진출 중단

 

 

 

3. 빈곤

 

노점단속·강제퇴거 중단순환식 개발 시행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복지축소 중단복지예산 확대

 

 

 

4. 청년학생

 

재벌 곳간 열어 청년-좋은 일자리 창출 요구

 

직업교육훈련생 차별 철폐와 노동법 교육 의무화

 

대학구조조정 반대

 

 

 

5. 민주주의

 

공안탄압 중지국가보안법과 테러방지법 폐지국정원 해체양심수 석방

 

공영방송 정상화언론공정성 실현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역사왜곡 중단

 

 

 

6. 인권

 

차별금지법 제정여성·이주민·장애인·성소수자 차별 및 혐오 중단

 

국가인권위 독립성 확보정부 및 지자체 반인권행보 중단

 

물대포 사용 및 차벽 설치 중단

 

 

 

7. 자주평화

 

한반도 사드배치 반대

 

대북적대정책 폐기한미일 삼각군사동맹 중단일본의 군국주의 무장화 반대!

 

 

 

8. 한일 위안부합의 무효화 재협상 추진

 

소녀상 철거 저지

 

일본 정부의 군 위안부 강제연행 책임인정과 공식 사과법적 배상

 

 

 

9. 세월호

 

신속하고 온전한 세월호 인양

 

세월호 특별법 개정과 특검 의결

 

진상규명 안전사회 건설

 

 

 

10. 생태환경

 

신규 핵발전소 건설 저지노후 핵발전소 폐기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과 법 제도 개선

 

국립공원 케이블카 건설 계획 폐기

 

- 4대강 수문개방-청문회 개최

 

 

 

11. 사회공공성

 

모든 서민에게 사회안전망 강화

 

철도 가스 의료 민영화 추진 중단

 

권력형 낙하산 근절

 

 

 

12. 재벌책임강화

 

상시지속업무 정규직 전환-하청노동자 직접교섭 참여 등 재벌 사용자 책임 이행

 

재벌 사내유보금 환수로 좋은 일자리 창출·복지 확대

 

 

 

특별요구안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책임자처벌한상균 위원장 석방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단독] K스포츠 이사장은 최순실 단골 마사지 센터장

[단독] K스포츠 이사장은 최순실 단골 마사지 센터장

등록 :2016-09-20 05:00수정 :2016-09-20 08:39

박 대통령 비선 측근 지목 받는
최씨 재단설립 개입한 정황
정동춘 이사장 “전경련서 제안”
최순실씨
최순실씨
여기 ‘의문의 재단’ 두 곳이 있다. 재단법인 미르와 재단법인 케이(K)스포츠다. 두 재단은 지난해 10월과 올해 1월 재벌들이 800억원 가까운 거금을 내 만든 것이다. 그런데 두 재단은 설립 이후 별 성과가 없다. ‘개점 휴업’ 상태다. 그래도 재벌들은 재단이 뭘 하는지 모르고 알려고조차 하지 않는다. 재단 설립은 신청한 지 하루 만에 허가가 떨어졌다. 대놓고 가짜 서류를 제출하고 그나마도 서로 베낀 것인데 문화체육관광부는 재까닥 도장을 찍어줬다. 도대체 두 재단의 배후에는 누가 있는 것일까?

 

19일 <한겨레> 취재 결과,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인 최순실(60·최서원으로 개명)씨가 재단 설립과 운영에 깊숙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케이스포츠재단 이사장 자리에 자신이 단골로 드나들던 스포츠마사지센터 원장을 앉힌 것이다.

 

지난 5월13일 새로 취임한 정동춘(55) 케이스포츠 재단 이사장은 그 직전까지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서 ‘운동기능회복센터(CRC)’라는 이름으로 스포츠마사지 센터를 운영했다. 정 이사장은 서울대학교 사범대 체육교육과 출신으로 <머리 마사지> <발을 자극하라, 허리가 좋아진다> 등 외국인이 쓴 스포츠마사지 책자를 번역한 이 분야 전문가다. 이 센터는 최순실씨가 지난해까지 살았던 신사동 자택과는 골목 하나를 사이에 두고 50m 남짓 떨어져 있다. 이 센터 관계자들은 “최순실씨는 5년이 넘는 단골손님인데다 집도 가까워 자주 찾아오는 편이었다”고 말했다. 최씨의 치료와 상담은 정동춘 원장이 직접 맡았다고 전했다.

 

19일 설립과 운영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 케이스포츠 출입구에 재단 간판이 걸려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9일 설립과 운영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 케이스포츠 출입구에 재단 간판이 걸려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최순실씨는 올해 초부터 자신이 잘 아는 주변의 체육인들에게 케이스포츠재단의 취지를 설명하며 재단 이사장 등의 자리를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동춘 이사장과 함께 운동기능회복센터를 공동 운영한 적이 있는 이아무개씨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씨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저도 최순실님으로부터 (케이스포츠재단 참여) 제의를 받았다. 취지가 참 좋다고 생각했지만 저는 따로 하고 있는 일이 있어서 참여하지 못했다”며 “정 박사님(정동춘 이사장)은 인품도 훌륭하고 스펙도 준비가 된 분이니 최순실님이 제안을 하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점으로 봐서 지난 2월 케이스포츠재단의 정동구(74) 초대 이사장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며 물러난 직후부터 최순실씨가 직접 이사장 후보를 찾아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정동춘 이사장은 “최순실씨는 우리 고객의 한 사람”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재단 이사장 제안은 전경련에서 어떤 사람하고 연결이 되어가지고 연락이 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경련의 어떤 사람’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제계가 뜻을 모아 설립했다는 설명과 달리 대통령의 최측근이 이사장 선임에까지 개입한 정황이 드러난 만큼, 재단의 실제 기획자와 배후가 누구인지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의겸 김창금 방준호 기자 kyummy@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국감서 언론계 총체적 문제 다루자"

언론노조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 열어
전혁수 기자 | 승인 2016.09.19 17:26
 
 
▲19일 오후 2시 전국언론노동조합이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을 열었다. 왼쪽부터 박주용 출판노조협의회 출판정책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송영훈 대전일보지부장, 장길문 대전일보지부 전 지부장(해직언론인), 방창호 MBC본부 수석부위원장, 박진수 YTN지부장, 김동훈 수석부위원장, 김환균 언론노조 위원장, 추혜선 정의당 의원, 성재호 KBS본부장, 정영하 특임부위원장(해직언론인). ⓒ미디어스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이번 20대 국회 첫 번째 국정감사에서 다뤄져야 할 주요 의제를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언론계의 총체적 문제에 대해 국회가 나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언론노조는 19일 오후 2시 국회 정론관에서 국회 국정감사의 의제를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추혜선 정의당 의원, 김환균 언론노조 위원장, 김동훈 수석부위원장, 성재호 KBS본부장, 조능희 MBC본부장, 박진수 YTN지부장, 정영하 특임부위원장, 장길문 대전일보지부 전 지부장, 방창호 MBC본부 수석부위원장, 박주용 출판노조협의회 출판정책특위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본격적인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 앞서 김환균 위원장은 "대한민국의 언론 현실은 현장에 있으면서도 제가 잘 알지 못했던 그런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곳에 계신 분들 중에는 조합원들도 있을 것이고, 모두 언론 생업인들인데 우리가 말하는 노동의 문제 이런 것은 언론계와는 거리가 먼 것처럼 그렇게 인식해왔었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확인하고 현장에서 고민을 들으면서 느낀 것은 어찌 보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악질적 악덕기업들은 언론계 안에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는 김환균 위원장. ⓒ미디어스

김환균 위원장은 "MBC문제, 최근에는 KBS 문제 같은 것이 발생하고 있다. KBS가 MBC를 닮아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지역의 언론들은 노조를 한다는 이유로 해고를 당하는 등의 무지막지한 일들을 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부당노동행위인 것이 분명해 보인다. 문제가 더 심각한 이유는 사측의 노조혐오에서 비롯된 부당노동행위라는 것"이라며 "언론노조에서는 대한민국 언론이 바로 서기 위해서 이런 종류의 노조혐오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환균 위원장은 "공영언론을 중심으로 지배구조 개선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2011년 파업 잘 아실 것이다. 그때 외쳤던 것은 다른 것이 아니고 공정보도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그런데 그것 때문에 많은 언론인들이 해고당하고 여전히 길거리에서 원래 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YTN사태는 만 8년이 다 됐다. 이런 동료들이 빨리 돌아오는 것, 그것이 대한민국의 언론을 바로 잡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공정언론인 제자리로 돌려놓자"

이어진 의제 제안에서 첫 발언자로 나선 정영하 특임부위원장은 "공정언론인은 제자리로, 정권 부역자는 엄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직언론인을 대표해서 이 자리에 나왔다"며 "여전히 바뀌지 않고 있는 정권의 언론장악, 이제는 국민의 뜻을 받들어 국회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고, 공정한 언론을 만들어서 내년 대선을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정영하 특임부위원장(가운데)이 발언하고 있다. 정영하 특임부위원장은 '공정언론인'을 복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스

정영하 특임부위원장은 "오는 10월 6일은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에 맞서 싸우던 YTN 구성원들에게 대량 해고와 무더기 징계가 자행된 지 꼭 8년째 되는 날"이라며 "대한민국 언론사는 이날 이후 암흑기에 들어갔다. KBS, MBC 등 공영방송에서 상시적으로 부당노동행위가 자행되고, 보도는 통제됐으며, 저항하는 언론인은 해고됐다"고 전했다.

정영하 특임부위원장은 "지난 6월 김시곤 전 KBS보도국장이 세월호 사건 당시 청와대가 직접 보도에 개입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세월호 특조위 청문회에서 이 같은 보도통제는 상시적이었다는 사실이 추가로 폭로됐다"며 "하지만 정작 시민의 대표기구인 국회는 아직까지 어떠한 증언과 질문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정영하 특임부위원장은 "이번 국정감사를 시작으로 공정언론인들은 일터로, 정권에 부역해 언론자유를 말살한 이들은 단죄해야 한다"며 "나아가 언론장악 진상규명 청문회를 열고, '청와대 언론장악 방지법', 즉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안을 통과시켜달라"고 호소했다.

"고대영 취임 후 KBS가 망가졌다"

국감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 참석한 성재호 KBS본부장은 "저희 KBS는 MBC나 YTN과 달리 해고자는 없지만,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KBS도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이라며 "불 앞에 놓인 화약고와 같은 상황"이라고 KBS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19일 오후 2시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성재호 KBS본부장이 발언하고 있다. 성재호 본부장은 고대영 사장 취임 이후 KBS의 불공정·불법적 행태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사진=추혜선 의원 블로그)

성재호 본부장은 "지난 7~8월 사이 보도본부를 중심으로 많은 일이 일어났다"고 전했다. 그는 "김시곤 전 보도국장이 폭로한 청와대 보도개입을 비롯해 기자협회보에 글을 올린 기자가 3일 만에 제주로 인사발령이 나고, 사드 보도에 대해 중국관영매체의 주장을 베끼지말고 국익을 생각하라는 등 사실상 보도지침성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며 "사드 관련 국제적 우려를 전달했던 해설위원은 일주일이 안돼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났고, 성주의 사드배치 반대를 담당했던 기자들은 근거도 없고, 뉴스거리도 안되는 취재 지시에 항의했다는 이유로 특별감사가 진행되고 징계를 앞두고 있다"고 전했다. 성 본부장은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과다 홍보성 취재에 대해 다른 의견을 냈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기도 하고, 공추위 간사가 공정방송 관련 조사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성재호 본부장은 "KBS는 6000억 원 가까이 조세성격의 수신료를 받고 있는 공영방송사"라며 "최근 저를 비롯해 KBS가 과연 그런 수신료를 받을 만한 합당한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아침교양프로그램의 출연자가 원인 모를 이유로 갑작스럽게 배제됐다는 소식도 들었다"며 "김미화 블랙리스트 논란처럼 홍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성재호 본부장은 "수신료를 받고 있는 KBS가 가습기 살균제 청문회가 국회에서 열려도 중계도 안하고, 3번에 걸쳐 열린 세월호 청문회도 단 한 차례도 중계하지 않았다"며 "이런 상황에서 과연 KBS가 다른 방송사와 무엇이 다르다고 할 수 있겠느냐"고 한탄하기도 했다. 그는 "단지 뉴스나 교양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동안 KBS만이 해왔던 대하드라마마저 고꾸라졌다"고 지적했다.

성재호 본부장은 "이 모든 일들은 공교롭게도 지난 11월 말 국회에서 청문회를 거쳐 고대영 사장이 취임한 이후 일어난 일"이라며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반드시 현재 벌어지고 있는 KBS의 불공정 방송행태와 여러 불법적 행태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묻고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직언론인들 복직이 곧 언론이 바로 서는 길"

이어 박진수 YTN지부장은 "8년 전 추석에 YTN 11명에게 경찰서에서 고발장이 날아왔다"며 "YTN에서 부당징계가 발생한 지 벌써 8년"이라고 전했다.

박진수 지부장은 "공정방송은 방송노동자의 근로조건이라는 것이 법원의 판례"라며 "그런데 YTN 해고노동자들은 공정방송을 외쳤다는 이유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통탄을 금할 수 없다"고 말하며, 복직하지 못한 언론인 3인의 사진을 들어보였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박진수 YTN지부장이 해직언론인들의 사진을 들어보이고 있다. ⓒ미디어스

박진수 지부장은 "언론인이 제자리를 찾지 않는 한 사드도, 세월호도, 국정교과서도, 백남기 농민의 억울함도, 그 어떤 부분도 밝혀낼 수 없다. 그래서 제자리를 찾아야 하는 것"이라며 "이 3명은 다른 사람도 아니고 기자 여러분의 동료고 기자였다"고 밝혔다. 그는 "연대가 필요하고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진수 지부장은 "20대 국회가 여소야대로 열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다"며 "하지만 근본을 바르게 하지 않고 맑게 하지 않으면 문제는 계속 발생한다. 3명의 해직언론인들은 꼭 돌아와야 한다"고 호소했다.

박진수 지부장은 "20대 첫 여소야대 국면에서 해직언론인들이 거론되지 않는다면, 여기 기자들이 요구하고 건의해주기 바란다"며 "해직언론들의 원직복직 특별법을 요청한다. 2016년을 해직기자 복직과 언론을 바로 세우는 원년으로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신문진흥은 국가의 책무"

김동훈 수석부위원장은 신문진흥에 대한 정부의 약속이행을 촉구했다. 김 수석부위원장은 "한겨레 신문사 소속으로 신문사들의 대표로 나왔다"며 "지역언론은 물론이고 중앙에 있는 신문사들도 고사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김동훈 수석부위원장이 발언하는 모습. 김동훈 수석부위원장은 정부가 신문진흥하겠다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디어스

김동훈 수석부위원장은 "대한민국 정부는 지난 2004년과 2005년 신문진흥을 선언하고,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과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등 2가지 법을 통과시켰다"며 "하지만 핵심인 지역신문발전기금과 언론진흥기금은 고갈돼 법이 있으나마나인 상태"라고 밝혔다.

김동훈 수석부위원장은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가 기금을 고갈시켰기 때문"이라며 "지역신문발전기금은 3년 연속, 언론진흥기금은 4년 연속해 단 한 푼도 국고를 출연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김 수석부위원장은 정부를 향해 "약속을 이행하라"고 경고했다.

이어 김동훈 수석부위원장은 국회를 향해 "국가 예산의 심의와 의결 권한은 국회에 있다"며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올해 12월 국회가 정부의 약속 이행을 얼마나 감시하고 촉구했는지 꼼꼼히 점검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주주 전횡으로 죽어가는 지역방송"

방창호 MBC본부 수석부본부장은 대주주의 전횡으로 지역방송이 죽어가고 있다며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방 수석본부장은 "지역과 서울 간의 문제가 힘들다"며 "대주주들의 전행에 지역방송들이 죽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방창호 MBC본부 수석부본부장이 발언하고 있다. 방창호 수석부본부장은 지역방송을 살리기 위해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스

방창호 수석부본부장은 "지역방송이 어렵다는 사실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획기적인 판갈이가 필요하다"며 "시장의 구조를 재편하는 일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당장 할 수 있는 일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MBC와 지역 민영방송사 모두 소유와 경영의 분리는 여전히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며 "지역 시청자들의 시청률로 얻은 지역 민영방송사의 수익은 대주주들의 배당으로 빠져나가고 있고, 지역 MBC의 사장직은 대주주의 전리품처럼 취급 돼 꼭두각시로 전락한지 오래"라고 지적했다.

방창호 수석부본부장은 "방통위는 지난 2013년 지상파 방송사 재허가 심사에서 지역 민영방송, 지역 MBC의 문제를 모두 인지하고 재허가 조건을 달았다"며 "하지만 이후 무슨 점검을 하고 무엇을 시정했는지는 깜깜 무소식"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어려운 지역방송을 지원하고자 만든 '지역방송발전지원특별법'은 법만 있고, 그에 따른 예산지원은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방창호 수석부본부장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바로 잡아달라"며 "서울에는 대한민국 인구 4분의 1이 살고 있다. 그 밖의 지역에 대한민국 인구 4분의 3이 살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노조탄압하는 언론사주 퇴출하라"

대전일보에서 노조활동을 이유로 해직된 장길문 대전일보지부 전 지부장은 노조를 탄압하는 '대전일보' 남상현 사장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장길문 전 대전일보지부장(가운데)이 남상현 대전일보 사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디어스

장길문 전 지부장은 "지난 2014년 4월 10일, 대전일보 기자들이 전국언론노동조합에 가입하자 해괴한 일이 벌어졌다"며 "지부장을 찍어서 괴롭히다가 결국 해고하고, 노조 집행부들에게 인사 불이익을 가했고, 심지어 5억5000만 원의 손해배상 가압류까지 걸었다"고 전했다. 그는 "견디다 못한 조합원 7명은 회사를 떠났다"고 덧붙였다.

장길문 전 지부장은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이어 중앙노동위원회가 지부장에 대한 해고가 부당하다며 복직 판정을 내렸고,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은 부당노동행위가 인정된다며 일부 기소 의견으로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남상현 대전일보 사장은 지금도 노조를 탄압하고 있다. 최악의 '노조탄압' 언론사주"라고 비판했다.

장길문 전 지부장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향해 "남상현 사장을 반드시 국감 증인으로 채택해 달라"며 "이번 국감을 통해 부당노동행위를 뿌리 뽑고, 부디 대전일보가 지역에서 신망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출판업계 근로기준법을 준수해야"

박주용 출판노조협의회 부위원장은 출판업계가 근로기준법을 준수할 것을 요청했다.

▲19일 오후 2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국회 국정감사 의제 제안 기자회견에서 박주용 출판노조협의회 부위원장이 출판업계의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고 있다. ⓒ미디어스

박주용 부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은 틈만 나면 '한류'와 '창조경제'를 강조한다. 문화융성이 곧 창조경제이고, 미래 먹거리 산업이라고 말한다"고 밝혔다. 그는 "문화의 기초가 무엇인가. 바로 '문자'다. 문자로 책이 출판되고, 대본이 나오고, 공연과 영화가 만들어진다"며 "그런데 정부가 우리 출판노동자들 작가노동자들이 어떤 대우를 받으며, 어떤 환경 속에서 일하는지 거들떠보지 않는다"고 전했다.

박주용 부위원장은 "출판노동자, 작가노동자들의 요구사항은 정말 간단하다"며 "근로기준법을 준수해 달라는 것이다. 일하는 여느 시민들처럼 사회보험의 적용을 받고, 성희롱 없는 일터에서 일하고 싶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주용 부위원장은 "국회가 나서야 한다. 이들 노동자들의 고용실태부터 파악하도록 정부에 촉구해 달라"며 "이들에게는 '그림의 떡'인 표준계약서를 의무화하도록 법을 개정해 달라"고 호소했다.

▲19일 오후 전국언론노동조합 기자회견이 끝난 후 추혜선 정의당 의원이 조합원들에게 언론의 총체적 문제 해결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미디어스

마무리 발언에서 추혜선 의원은 "오늘 여러 분들이 하셨던 말씀은 미방위 뿐 아니라 여러 상임위가 걸쳐있다"며 "모두 여러 상임위를 관통해 다뤄야 할 국감 의제"라고 말했다.

추혜선 의원은 "또한 단지 하나의 의제가 아니고 소위 민주국가에서 일어나지 않아야 할 상식선이고, 국가의 품격을 최소한이라도 요구하는 마지노선"이라며 "이번 국감에서 잘 다뤄질 수 있도록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보도해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전혁수 기자  wjsgurtn@naver.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암에 걸린 후배 해직 기자를 바라보며

천도시야 天道是耶
 
암에 걸린 후배 해직 기자를 바라보며
 
강기석 | 2016-09-20 08:38:02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언론동지 백무현이 암을 극복하지 못하고 간 지 얼마나 됐다고, 오늘 아침 또 MBC 해고기자 이용마 후배가 암에 걸렸다는 소식을 접한다.

나는 아직 호남 지방 구태 토호 정치인들 중 누가 암에 걸렸다는 소식을 들어 본 적이 없다. 김재철 이래 MBC 경영진 중 암에 걸렸다는 사람을 본 적도 없다. 그래서 사마천이 천도시야비야(天道是耶非耶)를 울부짖었나 보다.

그러나 새삼 ‘하늘의 뜻이 (도대체) 옳은가 그른가’를 따지는 것도 무망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순수하고 정의로운 사람들이 쉽게 암으로 쓰러지는 것은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이치로 여겨진다.

암에 걸리는 최대 요인이 스트레스라 하지 않나. 그러므로 암에 걸리는 사람은 스트레스 받는 사람이지 주는 사람은 아닐 것이다. 이명박이나 박근혜, 그리고 그 일당이 암 걸릴 일은 절대로 없으리라고 내가 장담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용마가 싸워 이길 것을 응원한다.
천도시야임을 입증해 주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김종구 칼럼] 암에 걸린 후배 해직 기자를 바라보며

▲김종구 논설위원

추석 연휴 마지막날 오후에 고등학교 후배 한 명을 만났다. 그는 최근 암 판정을 받았다. 그것도 ‘복막암’이라는 매우 희소한 암이다. 복막은 복강을 둘러싼 얇은 막 조직으로 복강 내 장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곳인데 이곳에 악성 종양이 생겼다. 병세가 악화할 때까지 자각증상도 별로 없는 고약한 병이다.

우리나라에서 수술 잘하기로 첫손가락 꼽히는 대형병원에서는 수술 불가능 판정을 내렸다. 암세포가 너무 많이 퍼져 수술하기에는 늦었다는 판단에서다. 다행히 일산 국립암센터 쪽에서 수술을 한번 해보자고 나섰다. 다음달에 수술 날짜도 잡혔다. 하지만 결코 낙관할 수 없는 수술이다. 복막뿐 아니라 다른 장기에도 암세포가 전이돼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그는 이제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 섰다. 2012년 공정방송을 위한 문화방송 파업 당시 노조 홍보국장을 지내다 해고된 이용마 기자 이야기다.

동네 한 커피숍에서 마주한 그는 예상외로 꿋꿋하고 침착했다. 자신의 증세와 상태, 수술 계획 등을 담담히 설명했다. 평소의 단단하고 흐트러짐 없는 모습에 변함이 없었다. “암이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암 선고가 사람을 죽인다는 말이 있다”는 말도 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암 발병 소식이 세상에 알려지는 것은 꺼렸다. 어렵사리 그를 설득했다. “병은 되도록 널리 광고해야 한다고 하지 않느냐”는 논리도 동원했다.

복막암의 발병 원인을 규명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그의 암 발병 소식을 접한 사람들은 입을 모아 ‘화병’이라고 말한다. “얼마나 속이 썩었으면 그런 몹쓸 병에 걸렸을까.” 실제로 그의 친가나 외가 쪽 모두 암에 걸린 사람이 없다고 하니 일단 유전과는 무관해 보인다.

그가 해고된 지도 어느덧 4년 6개월이 흘렀다. 그사이 해고무효 소송, 업무방해, 손해배상 청구 소송 등 각종 법정 다툼도 지루하게 이어졌다. 법원은 1심과 2심 모두 해직자들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회사 쪽은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해직자들이 낸 ‘근로자 지위 보전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자 마지못해 복직을 시킨 적도 있었으나, 6개월 동안 건물 한구석 골방에 처넣고 일도 주지 않았다. 그리고 2심 판결이 나오자 “다시 가처분 신청을 내라”며 해직 상태로 되돌려버렸다. 대법원 판결까지 계속 버티자는 심산이다. 옆에서 지켜보는 사람도 울화병에 걸릴 지경인데 본인들은 오죽했을까. 이용마 기자는 해직 뒤 대학원 공부를 계속해 정치학 박사 학위도 따고, 대학교 강의, 팟캐스트 진행자 등으로 열심히 살았으나 가슴속에서 시시때때로 솟구치는 불길을 쉽게 끄지는 못했으리라. ‘심화’는 사람을 태운다.

그의 나이 이제 겨우 마흔여덟. 졸지에 직장을 잃은 남편을 대신해 직업 전선에 뛰어든 아내와 갓 초등학교 2학년인 귀염둥이 아들 쌍둥이를 남겨두고 떠나기에는 너무 원통하고 이른 나이다. 다시 치열한 언론 현장으로 돌아갈 날만을 손꼽아 기다려온 시간을 무위로 돌리고 여기서 꺾일 수도 없다. 게다가 그를 해고한 사람들은 여전히 희희낙락하며 잘만 살고 있지 않는가. 그러니 그런 비극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아니, 일어나서는 안 된다.

애초 칼럼을 통해 암 투병 소식을 알리겠다고 했을 때 그가 우려한 것은 자신의 개인 문제가 너무 부각되는 점이었다. “해직된 뒤에도 공영언론이 잘만 굴러간다면 그래도 위안이 될 수 있을 텐데 그러지 못하는 상황을 보면서 느끼는 참담함”, “방송이 백주에 사실을 왜곡하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도 토로했다. 그러나 글을 쓰는 자의 감정의 일렁임 탓에 그의 바람을 담아내지 못했다. 다만 이것만큼은 말하고 싶다. 세상을 떠받치는 힘은 상식과 공감이며 언론의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고. 그런데도 대다수 언론은 상식을 외면한 채 그들의 고통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했고, 심지어 이념의 색깔을 씌워 모욕하는 언론마저 있었다. 이용마 기자의 암 발병은 언론의 이런 무관심, 적대감과 무관한 것일까.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언론인의 윤리 문제가 언론계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언론인의 윤리 준수는 실로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제대로 된 언론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 공정언론을 가로막는 권력의 힘은 여전히 언론계의 하늘에 짙은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놓인 한 젊은 후배 기자를 바라보며 언론계의 상식과 공감, 연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한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61718.html?_fr=mt2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0&table=gs_kang&uid=9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통일부 “북 요청있어도 수해지원 가능성 낮아”

북민협, 수해지원 접촉신청..야당, 인도지원 촉구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6.09.19  11:56:05
페이스북 트위터
   
▲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수해 지원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북한으로부터 수해지원 요청은 아직 없으며, 앞으로도 요청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 북한의 요청이 있더라도 현 상황에서는 이것(수해지원)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좀 낮다고 보고 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북한 함경북도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수해에 대한 정부 입장을 설명하면서 “이번 수해복구와 같은 긴급구호에서 해당 국가의 요청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 국제적인 원칙”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정 대변인의 언급은 박근혜 정부가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의 5차 핵실험 문제를 연계하고 있음을 명시적으로 확인해준 셈이다.

정 대변인은 “북쪽이 8월 말에서 9월 2일까지 수해가 났다. 그것이 당면한 북한의 과업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것과는 관계없는, 민생과는 관계없는 부분(5차 핵실험)에 자기들의 비용과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북한의 책임이 먼저 다뤄져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인도적 지원’ 등을 규정한 북한인권법이 지난 4일 발효된 만큼,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정부 입장도 바뀌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정부가 끊임없이 해야 된다는 게 기본입장”이라면서도 “지금 상황은 다른 측면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북한인권법에 따른 인도적 지원을 해야 된다고 하는 게 꼭 타당하지는 않다”고 말끝을 흐렸다.

북한인권법 시행령 제7조는 ‘재해 등으로 인하여 북한주민에게 발생한 긴급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원’ 등 인도적 지원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 54개 대북지원단체로 구성된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이하 북민협)는 지난 5일 통일부 교류협력시스템을 통해 수해 지원과 관련한 북한주민 접촉신청을 했으며, 통일부는 수리 여부를 현재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야당은 최악의 홍수피해를 겪고 있는 북한에 지체없이 수해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북한의 수해 문제만큼은 인도적 차원에서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원을 미룰 수 없다고 본다”며, 북측의 수해 피해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우 원내대표는 "과거 극단적인 남북 대치 상황에서도 수해 피해를 번갈아 지원한 선례가 있다"며 "직접 지원하기 어렵다면 유엔을 통한 지원 방안도 있다"고 덧붙였다.

조배숙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도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인도적 지원으로 대화의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통일부는 대북 접촉을 조속히 승인해 민간의 대북 지원이 원만히 되도록 해달라"고 밝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주민들 공포, 첨성대도 흔들... 규모 4.5 지진 이후 경주 풍경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6/09/20 08:21
  • 수정일
    2016/09/20 08:21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영남 및 수도권에서도 지진동 느껴... 기상청 '추가 피해' 경고

16.09.19 23:44l최종 업데이트 16.09.20 00:08l

 

[기사보강 : 19일 밤 11시 30분] 

19일 오후 8시 33분쯤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역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은 이 지진은 12일 발생한 규모 5.8 지진의 여진이라고 밝혔다. 
 

기사 관련 사진
▲  19일 밤 경북 경주시 인근에서 일주일 만에 다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날 서울 동작구 대방동 기상청에서 관계자가 지진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기상청 측은 "지난 12일 규모 5.8 지진 때 피해를 입은 지역은 이번 여진으로 추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지난 12일 발생한 지진 이후 이날 오후까지 경주 인근에서는 370여 회의 여진이 발생했다. 

특히 이번 지진의 경우 기존 여진에 비해 규모가 커 주변 영남 지역이나 수도권에서도 지진동이 감지됐다. 
 

 
▲ 경주 지진 19일 오후 8시33분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로 건물이 흔들리자 경주시내의 한 가게에서 시민들이 뛰쳐나오고 있다.
ⓒ 경주시

관련영상보기


지진이 발생하자 대구와 경북에서는 수천 건의 피해신고가 접수됐다. 경북에서는 오후 9시 45분 현재 2187건의 지진감지 신고가 접수됐고 대구에서는 1324건이 접수됐다. 대구교육청은 이날 오후 8시 46분 각 학교에 재난문자를 보내 야간자율학습 중이던 학생들을 모두 귀가 조치시켰다. 

 

지난 12일 지진으로 크게 피해를 당했던 경주시의 추가 피해상황은 아직까지 접수된 게 없다. 경주시 관계자는 "오후 9시 현재까지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신고는 접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연이은 지진에 불안감을 떨치지 못했다. 경주의 한 주민은 "건물이 흔들려 두려움을 느꼈다"며 "지난번 지진과 비슷하게 10초 이상 흔들리자 겁이 나 밖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주민들 "겁나서 집밖으로" ... 첨성대도 심하게 흔들려 

지진이 발생하자 경주 감은사지 석탑과 첨성대 등 문화재가 심하게 흔들리고 일부 가게에서는 주민들이 밖으로 피신하는 모습이 동영상에 찍히기도 했다. 경주역 인근에서는 70대 여성이 지진을 피해 대피하다 발목을 다쳐 119 구급차에 실려 가는 모습이 CCTV에 잡히기도 했다. 
 

 
▲ 경주 지진 발생으로 첨성대 흔들려 19일 오후 8시 33분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첨성대가 흔들리고 있다.
ⓒ 경주시

관련영상보기




지진은 대구에서도 심하게 감지됐다. 특히 고층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은 건물이 크게 흔들려 두려웠다고 말했다. 대구시 수성구 범물동의 한 주민은 "아파트가 흔들리면서 무너질 것 같아 불안했다"며 "5살 어린 아이가 바닥에 바짝 엎드려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사드 반대 촛불집회를 진행하던 성주에서도 많은 주민들이 지진을 느끼고 두려움에 떨었다. 지진이 발생하자 촛불을 든 주민들은 "또다시 지진이 일어난 것이냐"며 "경주 인근에 원전이 많은데 괜찮은지 걱정이 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기사 관련 사진
▲  19일 오후 규모 4.5의 여진이 발생하자 경북 경주시 황성도 유림초등학교 운동장에 시민들이 대피해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번 지진에 비해 훨씬 강도가 약한 편"이라며 "기존의 월성원전 1,2,3,4호기는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지한 상태이고 신월성 1,2호기는 정상 가동 상태"라고 말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도 원전 운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이번 여진의 영향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관측된 최대 지진값이 0.0137g(월성 원자력발전소)으로, 설계지진값인 0.2g에 못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학과 교수는 이날 여진 이후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 학교에 있는데 나도 꽤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느꼈다"면서 "여진 중에서는 규모가 꽤 큰 게 발생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통상 본진의 규모가 5.8이라면 작은 여진도 이어지지만 4.3~4.5 규모의 여진도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지진으로 지난 12일 접속 장애를 겪었던 국민안전처 누리집이 또 접속에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지진 이후 여론의 비판을 받은 국민안전처는 처리 용량을 향상했다고 해명했지만, 이번 일로 대책이 유명무실했다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일반수소탄보다 더 위력적인 핵탄 보유

[개벽예감219] 북, 일반수소탄보다 더 위력적인 핵탄 보유
 
 
 
한호석 (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6/09/19 [12:13]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수소탄보다 2.6배 더 깊은 땅속에서 폭발한 핵탄두
2. 1998년 핵탄두기폭시험의 기억에서 찾은 해답의 실마리
3. 1998년과 2016년 사이에 일어난 엄청난 질적 변화
4. 760kg에서 500kg으로 대폭 경량화된 핵탄두
5. 늦장출동 전략폭격기의 폭탄창은 텅 비어 있었다
6. 공중무력시위 포기한 미국, 보복조치 예고한 조선
7. 미국의 내우외환 격화시킨 미태평양사령부의 오판

 

▲ <사진 1> 이 사진은 미국지진연구협의회(IRIS) 연구원 앤디 프라세토가 공개한 지진파측정자료다. 그 사진에서 푸른색으로 표시된 지진파동은 2016년 1월 6일 조선이 진행한 수소탄기폭시험에서 발생한 것이고, 붉은색으로 표시된 지진파동은 2016년 9월 9일 조선이 진행한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지진파측정자료는 수소탄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지진강도보다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지진강도가 훨씬 더 강하였음을 증명하였다. 그로써 조선이 수소탄보다 폭발위력이 훨씬 더 강한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확인되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1. 수소탄보다 2.6배 더 깊은 땅속에서 폭발한 핵탄두 

 

2016년 9월 9일 조선이 진행한 핵탄두기폭시험에 대해 거론할 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조선이 열핵융합탄(수소탄)보다 더 강한 폭발위력을 가진 핵탄두를 가졌다는 사실이다. <사진 1>이 그것을 증명해준다.   
기폭시험의 지하심도가 깊어질수록 폭발에너지에서 발생되는 지진강도는 지표 위에서 낮게 나타나는 법이다. 따라서 기폭시험의 지하심도가 얼마나 깊은가 하는 문제는 폭발위력을 측정하는 데서 중요한 요인으로 된다. 
주목되는 것은, 지난 9월 9일에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이 지난 1월 6일에 진행된 수소탄기폭시험보다 더 깊은 지하심도에서 진행되었다는 사실이다.

 

<연합뉴스> 2016년 1월 13일 보도에 따르면, 2016년 1월 6일 조선의 수소탄기폭시험은 지하 770m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프랑스에 있는 유럽지중해지진쎈터(EMSC)와 미국지질조사국(USGS)이 각각 발표한 바에 따르면, 그 날 조선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강도는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로 5.1이었다. 이것은 조선이 지하 770m에서 진행한 수소탄기폭시험에서 5.1의 지진강도가 발생하였음을 말해준다.  
유럽지중해지진쎈터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9월 9일 조선의 핵탄두기폭시험은 지하 2,000m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모스끄바에 있는 러시아수문기상쎈터(Hydrometeorological Center of Russia)와 미국지진연구협의회(IRIS)가 각각 발표한 바에 따르면, 그 날 조선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강도는 리히터 규모로 5.3이었다. 이것은 2016년 9월 9일 조선이 지하 2,000m에서 진행한 핵탄두기폭시험에서 5.3의 지진강도가 발생하였음을 말해준다.  
핵탄두기폭시험이 수소탄기폭시험보다 2.6배나 더 깊은 땅속에서 진행되었으면, 폭발위력이 더 약하게 발생해야 하는데, 그런 예상을 뒤엎고 훨씬 더 강한 폭발위력이 발생하였다. 

 

2016년 9월 9일 조선의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5.3의 인공지진강도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면 얼마나 강한 폭발위력이 나오는가? 
러시아국가안보기관의 정보를 인용한 러시아 언론매체 <리아노보스찌(RIA Novosti)> 2016년 9월 9일 보도에 따르면, 보도 당일 조선에서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폭발위력은 30킬로톤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다른 한편,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국 국방부 당국자는 취재기자에게 그 폭발위력이 10킬로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는데, 이것은 너무 노골적인 사실왜곡이므로 더 이상 거론할 가치도 없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의 전문가들이 2006년에 개발한, 지진강도에 대한 “현실적” 파악을 준다는 ‘켈리 킬로톤 지표(Kelly Kiloton Index)’에 따르면, 5.3의 지진강도에서 나오는 폭발위력은 90킬로톤이다. 
‘켈리 킬로톤 지표’에 의거하여 추정한 폭발위력은 90킬로톤인데, 러시아국가안보기관이 추정한 폭발위력은 30킬로톤이다. 실측이 아니라 추정이라서 정확하지 않다고는 해도, 편차가 3배로 벌어졌으니 어느 한 쪽이 오류인 것이 분명하다. 어느 쪽의 추정이 틀린 것일까?

 

▲ <사진 2> 이 사진은 파키스탄 핵개발 총책임자였던 압둘 카디르 칸 박사가 1998년 5월 28일 제1차 핵시험이 진행된 핵시험장 갱도입구에서 찍은 사진이다. 파키스탄은 1998년 5월 28일에 진행된 제1차 핵시험에 관해서는 현장까지 공개하였으나, 5월 30일에 진행된 제2차 핵시험에 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넘어갔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 1998년 핵탄두기폭시험의 기억에서 찾은 해답의 실마리

 

조선의 핵탄두기폭시험에서 얼마나 강한 폭발위력이 발생하였는지를 해명하려면, 1998년에 조선이 진행한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98년 5월 30일 파키스탄 밸러치스탄(Balochistan) 사막에 굴설된 수직갱에서 “소형화된 핵탄”을 사용한 핵시험이 진행되었다. 이 핵시험은 파키스탄이 그 수직갱시험장으로부터 150km 정도 떨어진 수평갱시험장에서 먼저 진행하였던 핵시험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것이다. 5월 28일 수평갱에서 진행된 핵시험은 파키스탄의 제1차 핵시험이고, 5월 30일 수직갱에서 진행된 핵시험은 파키스탄의 제2차 핵시험이라는 것이 정설처럼 굳어졌지만, 파키스탄 당국은 자기들이 진행한 제1차 핵시험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였으면서도 제2차 핵시험 현장은 언론에 공개하지 않은 것부터 뭔가 이상한 느낌을 준다. 그들이 제2차 핵시험 현장을 공개하지 않은 것은, 무언가 감추어야 할 비밀이 그 핵시험에 연관되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사진 2>

 

아래에서 언급하게 될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해보면, 1998년 5월 30일에 진행된 제2차 핵시험의 비밀은 그 핵시험이 파키스탄 영토에서 진행된 조선의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이라는 사실이다. 그렇게 판단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이 두 갈래에서 설명된다.

 

첫째, 우라늄농축기술을 가지고 우라늄핵탄만을 개발해온 파키스탄에서 만들 수 없었던 플루토늄핵탄이 제2차 핵시험에 사용되었다. 파키스탄에도 플루토늄을 원료로 쓰는 시험용 원자로가 있기는 있었으나 거기서 추출되는 플루토늄은 너무 적은 분량이었기 때문에 그것을 가지고서는 핵탄을 1발도 만들 수 없었다. 
그런데 1998년 5월 28일에 진행된 제1차 핵시험에 우라늄핵탄이 사용되었던 것과 달리, 5월 30일에 진행된 제2차 핵시험에는 플루토늄핵탄이 사용되었다. 파키스탄에서 두 차례의 핵시험이 연속적으로 진행된 직후, 방사성핵종탐지장비를 실은 미국의 특수정찰기 WC-135가 급파되어 대기표본을 포집하여 분석하였더니, 제2차 핵시험에서 플루토늄핵탄이 폭발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플루토늄핵탄을 만들지 않는 파키스탄에서 플루토늄핵탄을 기폭시킨 핵시험이 진행된 것은, 그 핵시험에서 사용된 핵탄이 조선의 플루토늄핵탄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둘째, 1998년 5월 28일에 진행된 파키스탄의 제1차 핵시험은 소형화된 핵탄두가 아니라 일반 핵탄을 기폭시킨 핵시험이었으나, 곧 이어 진행된 제2차 핵시험은 일반 핵탄이 아니라 소형화된 핵탄두를 기폭시키는 핵탄두기폭시험이었다. 그런데 1998년 당시 파키스탄은 핵탄을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도록 소형화하는 첨단기술을 갖지 못했다. 
소형화된 핵탄두를 만들지 못하는 파키스탄에서 소형화된 핵탄두를 기폭시킨 핵탄두기폭시험이 진행된 것은, 그 핵시험에서 사용된 핵탄두가 조선의 핵탄두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주목되는 것은, 조선이 1998년 5월 30일에 소형화된 핵탄두를 기폭시키는 핵탄두기폭시험을 진행할 만큼 1990년대에 이미 최첨단 수준의 핵무기공학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조선이 1990년대에 이미 최첨단 수준의 핵무기공학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면, 2016년 9월 9일에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이 얼마나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는지 가늠할 수 없게 된다.

 

▲ <사진 3> 파키스탄 핵개발 총책임자였던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조선을 두 차례 방문하였고, 조선의 지하핵무기병기화공장에 들어가 핵탄두 실물을 직접 살펴보면서 핵탄두제조기술에 관한 해설을 들었다. 그런 그가 언론에 공개한 놀라운 사실은 조선이 이미 1990년대에 세계적인 수준의 핵탄두소형화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의 회고담을 읽어보면, 조선은 핵탄두소형화기술에서 러시아, 중국보다 한 발 앞선 세계 최고 수준의 핵무기공학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조선이 20여 년 전에 이미 최첨단 수준의 핵무기공학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는 놀라운 정보를 알려준 사람은 파키스탄의 핵개발사업 총책임자였던 압둘 카디르 칸(Abdul Qadeer Khan) 박사다. 그는 2008년 6월 4일 미국 통신사 <맥클래취 뉴스페이퍼즈(Mcclatchy Newspapers)>와 대담한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나는 조선을 두 차례 방문하였다. 서방언론매체들은 내가 조선을 13차례나 방문하였다는 헛소문을 말한다. 조선의 핵프로그램은 원자로에서 플루토늄을 재처리하는 기술에 전적으로 기반을 둔 것이다. 조선은 우리가 핵프로그램을 시작하기도 전에 이미 그 분야의 기술에 정통(master)하였다. 나는 조선의 핵무기체계를 직접 본 뒤, 파키스탄 정부에게 나의 소견을 말해주었다. 조선은 뛰어난 기술(excellent technology)을 가졌다. 조선은 파키스탄보다 훨씬 더 앞섰다(much more advanced).  조선은 (핵탄두에 관련하여) 매우 정교한 설계(very sophisticated designs)를 가졌다. 핵탄두를 미사일에 탑재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우리는 조선과 협상하였다. 우리는 조선의 미사일을 도입했다. 우리는 조선이 파키스탄에서 어떤 기술도 가져갈 이유가 없다는 점을 알았다. 조선이 기폭시킨 핵탄이 플루토늄탄이라는 사실에 모두 만족하였다. 고농축우라늄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조선의 모든 핵프로그램은 플루토늄에 기반을 둔 것이다. 우리는 조선의 미사일기술을 공식적으로 도입했는데, 이에 관해 숨길 것이 없다. 세상이 다 안다.” <사진 3>

 

<워싱턴포스트> 2009년 12월 28일 보도기사에서 칸 박사는 자신이 조선을 방문하여 핵탄두 실물을 직접 고찰하였던 경험을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1999년에 내가 조선을 방문하였을 때, 산중동굴(mountain tunnel)에 가보았다. 거기에서 그들은 나에게 완성된(finished) 핵탄두 3발의 부품들이 담긴 보관상자를 보여주었다. 그들은 자기들이 1시간 안에 그 핵탄두 부품들을 조립하여 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핵탄두설계기술에 대해 설명하면서 나에게 6개의 보관상자를 조용히 보여주었는데, 그 보관상자들에는 핵탄 1발마다 조립되는 64개의 점화기폭장치들(ignitors/detonators)과 분해된 탄두핵심들(split cores for the warheads)이 들어있었다.”


위에 서술한 칸 박사의 회고담을 읽어보면, 조선은 1999년에 조선의 지하핵무기병기화공장를 방문한 칸 박사에게 보여준 것과 같은 종류의 핵탄두, 다시 말해서 1시간 안에 조립하여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소형화된 핵탄두 1발을 1998년 5월 30일 파키스탄에서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에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일보> 2016년 9월 10일 보도기사는 조선이 핵탄두를 중국이나 러시아보다 더 작은 크기로 소형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였는데, 위에 서술한 칸 박사의 회고담은 조선이 중국이나 러시아보다 더 작은 핵탄두를 만드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핵무기공학기술을 가졌다는 놀라운 사실을 말해준다. 조선의 핵무기공학기술이 중국이나 러시아에 비해 뒤떨어졌을 것이라고 당연하게 여겨온 그릇된 고정관념을 버리고, 요즈음 스스로를 ‘동방의 핵강국’이라고 부르는 조선의 자존심이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사진 4> 이 사진은 조선의 북부핵시험장을 보여주는 컴퓨터합성사진이다. 북부핵시험장은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는 만탑산 화강암층 깊은 곳에 굴설되었다. 2016년 9월 9일 오전 북부핵시험장에서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리히터 규모 5.3의 인공지진이 발생하였다. 그 인공지진에 해당하는 폭발위력은 최소 84킬로톤이다. 지하핵시험에서 발생하는 폭발위력의 증감이 기폭심도와 지층구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화강암층이 발달한 만탑산의 해발고 1,500m 봉우리에서 수직으로 2,000m나 내려간 매우 깊은 땅속에서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폭발위력은 90킬로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3. 1998년과 2016년 사이에 일어난 엄청난 질적 변화

 

1998년 5월 30일에 진행된 조선의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과 2016년 9월 9일에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을 대비할 때 드러나는 질적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지질조사국의 발표에 따르면, 1998년 5월 30일에 진행된 조선의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강도는 리히터 규모로 4.6이었다. 다른 한편, 러시아수문기상쎈터와 미국지진연구협의회가 각각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6년 9월 9일 조선의 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강도는 리히터 규모로 5.3이었다. 
리히터 규모 4.6의 인공지진에서 발생한 폭발위력이 12킬로톤이었으니, 리히터 규모 5.3의 인공지진에서는 얼마나 더 강한 폭발위력이 발생한 것일까? 지진학의 법칙에 따르면, 리히터 규모의 지진강도가 0.2씩 커질 때마다 폭발에너지의 강도는 2배씩 커진다. 그런 법칙에 따르면, 리히터 규모 4.6의 인공지진에서 발생한 폭발위력이 12킬로톤이었으므로, 리히터 규모 5.3의 인공지진에서 발생한 폭발위력은 최소 84킬로톤이다. <사진 4>

 

여기서 ‘최소’라는 말을 덧붙인 까닭은 지하핵시험에서 발생하는 폭발위력의 증감이 기폭심도와 지층구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기폭심도가 깊고, 암석층 같은 단단한 지층구조가 발달한 곳에서 지하핵시험을 진행하면 폭발위력의 감소폭이 당연히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지표면에서 측정된 인공지진강도도 당연히 낮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1998년 5월 30일 조선의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은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33m밖에 파내려가지 않은, 급조된 수직갱에서 진행되었고, 2016년 9월 9일 조선의 핵탄두기폭시험은 만탑산에 있는 해발고 1,500m의 봉우리에서 수직으로  2,000m나 내려간 매우 깊은 땅속에 특수공법으로 건설된, 완전히 밀폐된 기폭실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1998년 5월 30일의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은 굵은 모래와 자갈이 푸석푸석하게 깔린 사막지층에서 진행되었고, 2016년 9월 9일의 핵탄두기폭시험은 만탑산의 단단한 화강암층에서 진행되었다.

 

이런 대비점들을 살펴보면, 2016년 9월 9일의 핵탄두기폭시험에서 실제로 발생한 폭발위력은 ‘켈리 킬로톤 지표’에 나오는 84킬로톤을 넘어 90킬로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90킬로톤의 폭발위력은 상용폭약(TNT) 90,000톤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폭발위력이다. 상용폭약 90,000톤은 적재중량 25톤급 대형화물차 3,600대로 실어 나를 엄청난 분량이다.

 

▲ <사진 5> 이 사진은 2016년 9월 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를 받으며 화성포병들이 평양개성고속도로 황주구간에서 일본 홋까이도 쪽으로 3발을 연속발사했던 화성-6 개량형이 화염을 뿜으며 솟구쳐 오르는 장면이다. 화성-6 개량형 탄두부에 장착되는 핵탄두가 바로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이다. 이 핵탄두는 무게가 500kg로 줄어들었으면서도 폭발위력은 기존형에 비해 6배나 더 증폭된 초강력 전략핵탄두이다. 조선의 언론매체들은 그 핵탄두가 표준화, 규격화되어 조선인민군 화성포병부대들의 전략미사일들에 장비되었다고 보도한 바 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4. 760kg에서 500kg으로 대폭 경량화된 핵탄두

 

조선이 1998년 5월 30일에 진행한 비공식 핵탄두기폭시험에 사용된 핵탄두, 1999년 조선을 방문한 칸 박사에게 보여준 그 핵탄두는 조선이 1993년 5월 29일 서태평양 한복판으로 발사하여 미국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든 준중거리탄도미사일 화성-7에 장착된 바로 그 핵탄두이며, 그 놀라운 소식을 들은 당시 파키스탄 총리 베나지르 부토(Benazir Bhutto)가 1993년 12월 29일 조선을 방문하여 설계도면을 받아간 화성-7에 장착된 바로 그 핵탄두이며, 파키스탄이 1999년에 대량으로 수입하여 ‘가우리(Ghauri)’라는 이름을 붙였던 화성-7에 장착된 바로 그 핵탄두이며, 이란이 조선에서 수입한 화성-7 설계도면을 가지고 모방생산한 샤합(Shahab)-3 준중거리탄도미사일에 장착된 바로 그 핵탄두이며, 칸 박사가 언론대담에서 자랑스럽게 말했던 것처럼, 파키스탄을 미국의 저지공세를 따돌리고 핵무장에 성공한 유일한 무슬림국가로 일으켜 세워준 바로 그 핵탄두이다. 그 핵탄두의 무게는 760kg이다. 
화성-7은 무게가 760kg인 핵탄두를 장착하고 1,500km를 날아가는 준중거리탄도미사일이다.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화성-7의 사거리를 1,300km라고 보도하지만, 1998년 4월 8일 파키스탄이 조선에서 완제품으로 수입한 화성-7을 자기 영토에서 처음으로 시험발사하였을 때, 그 미사일은 1,500km를 날아갔다. <사진 5>

 

그런데 2016년 9월 9일 조선에서 진행된 핵탄두기폭시험에 사용된 핵탄두는 조선이 지난 2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온 첨단기술로 핵탄을 더욱 소형화, 경량화하면서도 폭발위력을 훨씬 더 강하게 만든 90킬로톤급 핵탄두이며, 2016년 9월 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를 받으며 화성포병들이 평양개성고속도로 황주구간에서 일본 홋까이도(北海道) 쪽으로 3발을 연속 발사했던 화성-6 개량형에 장착되는 바로 그 90킬로톤급 핵탄두이며, 사거리가 700km에서 1,000km로 늘어난 화성-6 개량형에 장착된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이며, 무게는 500kg밖에 되지 않는데도 폭발위력은 기존형에 비해 6배나 증폭된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이며, 조선의 언론보도에 나오는 표현을 빌리면, “우리식의 혼합장약구조로서 열핵반응이 순간적으로 급속히 전개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로 설계, 제작된”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이며, 2016년 3월 8일 핵무기병기화공장을 현지지도하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것이 진짜 핵억제력이다. 조선사람이 마음만 먹으면 못해내는 일이 없다”고 높이 평가한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이며, 조선의 언론보도에 나오는 표현을 빌리면, “조선인민군 화성포병부대들이 장비한 전략탄도로케트들에 장착할 수 있게 표준화, 규격화된”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이다.

 


5. 늦장출동 전략폭격기의 폭탄창은 텅 비어 있었다

 

조선이 폭발위력 90킬로톤급 핵탄두를 폭발시킨 기폭시험을 진행한 날로부터 4일이 지난 2016년 9월 13일 괌의 앤더슨공군기지에서 이륙한 미공군 B-1B 전략폭격기 2대가 경기도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나타나 저공비행을 하였다. 
B-1B 전략폭격기 2대가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나타나자,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B-1B의 한반도 전개는 한미동맹의 맞춤형 억제전략에 대한 의지를 시현한 것”이라고 하면서 “이를 통해 북한 핵실험에 대한 분명한 경고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원래 그 B-1B 전략폭격기 2대는 하루 전인 9월 12일 오전 6시경 괌의 앤더슨공군기지에서 이륙하여 약 4시간 동안 비행한 끝에 오전 10시경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미태평양사령부는 출동이 예정된 그 날 오전 8시 30분경 B-1B 전략폭격기 2대의 출동을 갑자기 연기하였다.  
출동을 연기한 이유는 당시 괌에 불어온 강한 측풍(cross wind)으로 기상이 악화되어 B-1B 전략폭격기가 이륙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B-1B 전략폭격기가 강한 측풍 때문에 이륙할 수 없게 되었다던 당일 괌의 기상자료를 찾아보면, 오전 8시 31분 현재 괌의 풍속은 시속 27.4km였다. 시속 27.4km의 측풍이 불면, B-1B 전략폭격기가 이륙하지 못하는 것일까?

 

항공기의 이착륙이 금지될 정도로 강한 측풍은 시속 55.5km로 매우 강하게 부는 바람이다. 관제시설이 허술하고, 활주로가 짧은 공항에서는 시속 37km의 측풍만 불어도 항공기의 이착륙이 금지될 수 있다. 
그런데 앤더슨공군기지는 최첨단 관제시설을 갖추고 매우 넓고 긴 활주로를 가진 전략공군기지이다. 그런 공군기지에서 측풍으로 전략폭격기가 이착륙하지 못하는 경우는 측풍의 풍속이 시속 55km 이상 되어야 한다. 그런데 2016년 9월 12일 오전 8시 30분경 괌에 부는 측풍의 풍속은 27.4km밖에 되지 않았다. 그래서 같은 시간대에 괌의 앤토니오비원팻국제공항(Antonio B. Won Pat International Airport)을 이륙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출발한 민간항공기들은 모두 아무런 이상 없이 정상적으로 이륙하였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미태평양사령부는 B-1B 전략폭격기 2대의 출동을 갑자기 연기시켰고, 이튿날 출동하였다. 이것은 미태평양사령부가 측풍을 핑계로 출동시간을 24시간이나 늦춘 고의적인 늑장출동이었다. <사진 6>

 

▲ <사진 6> 이 사진은 2016년 9월 13일 괌의 앤더슨공군기지를 이륙한 미공군 B-1B 전략폭격기 2대 중 1대가 전투기들의 호위를 받으며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을 저공비행으로 선회하는 장면이다. 원래 그 전략폭격기 2대는 하루 전에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도착할 예정이었는데, 미태평양사령부는 괌에 불어온 강한 측풍으로 기상이 악화되어 이륙할 수 없다고 하면서 출동을 하루 연기하였다. 하지만 당일 괌의 기상기록을 찾아보면, 전략폭격기가 이륙하지 못할 만큼 강한 측풍이 불었던 것은 아니다. 미태평양사령부는 출동시간을 고의적으로 24시간이나 늦춘 것이다. 게다가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하루 늦게 나타난 그 전략폭격기 2대의 폭탄창은 텅 비어 있었고, 그 기지 상공을 한 바퀴 도는가 싶더니 1분 만에 사라져버렸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연합뉴스> 2016년 9월 13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菅義偉)는 취재기자들에게 B-1B 폭격기 2대가 앤더슨공군기지에서 이륙하여 오산미공군기지로 북상비행하던 중 일본 규슈(九州) 서쪽 상공을 지날 때 일본항공자위대 F-2 전투기 2대와 합동훈련을 진행하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왜곡이다. B-1B  폭격기 2대가 F-2  전투기 2대와 갑작스러운 합동훈련을 진행한 것이 아니라 일본방공식별구역(JADIZ)을 지나가면서 F-2 전투기의 호위를 받은 것이다. 폭격기 2대가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공역으로 들어설 때는 반드시 전투기의 호위를 받아야 한다. B-1B 전략폭격기 2대는 한국방공식별구역에 들어오면서는 한국공군 F-15K 전투기 4대와 주한미공군 F-16 전투기 4대의 호위를 받으며 비행하였다. 
B-1B 전략폭격기 2대가 전투기 8대의 호위를 받으며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나타나자, 한국 언론매체들은 미국이 ‘핵우산제공공약’을 재확인하여 한국에게 안심을 주고, 공중핵타격수단을 동원하여 조선에게 위협을 주는 공중무력시위를 단행하였다느니 뭐니 하면서 대결분위기를 고취하기에 정신이 없었다.

 

그러나 B-1B 전략폭격기에는 핵탄을 탑재할 수 없다. B-1B는 공중핵타격수단이 아니다. <연합뉴스>가 2016년 9월 12일 보도기사에서 B-1B 전략폭격기를 거론하면서 핵탄 24발을 탑재하고 핵타격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략핵폭격기인 것처럼 묘사한 것은 오보다. 핵탄탑재기능이 제거되어 핵타격능력을 갖지 못한 그 폭격기에는 통합직격탄(JDAM) 같은 재래식 고성능 폭탄들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B-1B는 스텔스폭격기도 아니다. 
1986년부터 실전배치된 B-1B 전략폭격기는 핵타격능력도 없고 스텔스기능도 없는데 유지비만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2001년 7월 미국 국방부는 그 전략폭격기의 보유대수를 92대에서 67대로 줄였다.

 

▲ <사진 7> 위쪽 사진은 2015년 6월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고사포병군관학교를 시찰하는 중에 훈련생도의 컴퓨터로 조종되는 고사포실내모의사격훈련을 바라보는 장면이다. 아래쪽 사진은 2015년 6월 1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를 받으며 진행된 고사포병사격경기에서 고사포병들이 해변에서 100mm 고사포 사격태세를 갖추고 있는 장면이다. B-1B 전략폭격기가 폭탄창과 연료통을 가득채워 비행속도가 아음속으로 떨어지는 경우, 그 전략폭격기는 조선 각지에 조밀하게 설치된 100mm 고사포 화망에 걸려 격추될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영국의 공군기술전문지 <에어포스 테크놀로지 (Airforce Technology)>의 자료에 따르면, B-1B 전략폭격기의 최고비행고도는 9,144m밖에 되지 않는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에 그 전략폭격기의 최고비행고도가 18,000m라고 표기된 것은 오류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조선인민군 고사포부대에 배치된 100mm 고사포의 최고사격고도가 15,000m나 된다는 사실이다. 레이더사격통제장치로 쏘는 100mm 고사포는 파괴반경이 매우 넓은 고폭파쇄탄(high-explosive fragmentation shell)을 15km 고도로 사격하여 고고도비행기종을 격추할 수 있다. <사진 7> 

 

최고비행고도가 15,000m인 B-2 스텔스폭격기도 조선인민군 반항공군의 번개 계열 요격미사일에 격추될 위험을 피하기 힘든데, B-1B 전략폭격기는 최고비행고도가 9,100m밖에 되지 않는데다가 스텔스기능도 없다. B-1B 전략폭격기는 최고비행속도가 마하 1.18이라고 하지만, 폭탄창과 연료통을 가득 채우면 기체가 무거워져 비행속도가 아음속으로 떨어진다. 그런 B-1B 전략폭격기는 조선인민군 반항공군이 번개 계열 요격미사일로 상대하는 게 아니라 고사포병들이 100mm 고사포로 상대해도 충분하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미공군이 B-1B 전략폭격기를 실전에 투입해도 조선인민군이 강력한 방공망으로 ‘철갑지붕’을 씌운 한반도 상공 가까이 접근하지 못한다.   
사정이 그런데도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B-1B 전략폭격기가 평양을 초토화할 수 있다느니, 그 무슨 정밀폭격으로 어느 특정지점을 파괴할 수 있다느니 하면서 생뚱맞은 소리를 늘어놓았다. 
<문화일보> 2016년 9월 13일 보도에 따르면, 보도당일 오전 10시경 오산미공군기지 상공에 나타난 B-1B 2대에는 실탄은커녕 모의훈련탄도 탑재되지 않았다. 공중무력시위로 조선에게 위협을 주겠다던 그 전략폭격기들은 그냥 이름만 전략폭격기들이었을 뿐, 실제로는 폭탄창이 텅 비어있는 비무장폭격기들이었던 것이다. 그 비무장폭격기들은 오산미공군기지에 착륙하지 않고 그 기지 상공에서 한 바퀴 저공비행을 하더니 약 1분 만에 사람들의 시야에서 사라졌다.

 


6. 공중무력시위를 포기한 미국, 보복조치를 예고한 조선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진 것처럼, 지난 8월 초 미공군은 미국 본토에 배치해두었던 B-2 스텔스전략폭격기 편대와 B-1B 전략폭격기 편대를 괌의 앤더슨공군기지로 전진배치하고, 그 공군기지에 이전부터 배치되어 있었던 B-52H 전략핵폭격기 편대에 합류시켰다. 그리하여 그 3종의 전략폭격기들은 괌주변 공역, 동중국해 공역, 남중국해 공역에서 대규모 공중타격연습을 감행하였다.


그처럼 3종의 전략폭격기를 괌에 전진배치한 미국이 이번에 조선에 대한 공중무력시위를 감행할 때, 전략핵폭격기들인 B-2나 B-52H를 출동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그런 예상과 달리 핵타격능력이 없는 B-1B를 출동시켰다. 그것도 예정된 출동시간보다 24시간 늦춰 출동시켰으며, 폭탄창에 모의훈련탄도 탑재하지 않은 비무장상태로 출동시켰으며, 오산미공군기지에 착륙할 생각은 하지도 않고 그 기지 상공을 한 바퀴 휙 돌더니 기수를 돌려버렸다. 그런 어설프기 짝이 없는 군사행동은 미태평양사령부가 조선에 대한 공중무력시위를 사실상 포기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미국이 이번에 조선을 위협하는 공중무력시위를 단행하였다고 대서특필하였으나, 사건의 내막을 들여다보면 미태평양사령부는 공중무력시위를 사실상 포기하고, 공중무력시위의 필수요건들이 배제된 형식적인 군사행동만 보여주었던 것이다. <조선일보>가 2016년 9월 14일 보도기사에서 “무장 안한 미 폭격기, 1분 에어쇼만 하고 갔다”고 야유한 것처럼, 비무장폭격기의 늑장출동과 맥빠진 왕복비행은 조롱거리로 되고 말았다.

조선에 대한 공중무력시위를 사실상 포기하고, 비무장폭격기의 늑장출동과 맥빠진 왕복비행이라는 ‘땜질처방’을 꺼내놓은 미태평양사령부의 어설픈 행동은 두 가지 심각한 후과를 가져왔다. 

 

첫째, 미태평양사령부의 그런 어설픈 행동은,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미국 본토를 파괴할 핵타격능력을 실물로 입증, 과시하여 미국의 안보가 최악의 위기에 직면하는 날, 백악관국가안보회의가 한국에 대한 ‘핵우산제공공약’을 조용히 포기할지도 모른다는 심각한 불신과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핵우산제공공약’에 대한 불신과 우려는 미국의 ‘핵우산’에 명줄을 걸고 있는 한국을 공황에 빠뜨릴 치명적인 독소가 아닐 수 없다. 지금 한국의 정치권과 언론매체들에서 불거져 나오는 ‘한국의 독자적 핵무장론’은 미국의 ‘핵우산제공공약’ 포기위험이 실재한다는 ‘비밀’이 드러나면서 확산되기 시작한 조건반사적 심리반응이다. 하지만 한국군 작전통제권을 주한미국군사령관에게 통째로 위임하고 그의 지휘에 따라 움직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핵확산금지조약과 미사일기술통제체제, 한미원자력협정과 한미미사일협정이라는 4중 족쇄가 채워진 한국이 ‘독자적 핵무장론’을 들먹이며 미국을 자극하는 행동은 미국의 핵확산금지정책을 거스르며 무모하게 핵무기개발을 시도하려다가 미국으로부터 버림을 받고 몰락한 유신독재자의 비참한 최후를 상기시켜줄 뿐이다.

 

▲ <사진 8> 이 사진은 2016년 9월 16일 베네수엘라에서 진행된 비동맹운동회의에 참석한 리용호 외무상이 연설하는 장면이다. 그는 그 자리에서 "조선은 미국의 도발에 대응해 또 다른 공격을 가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명하였다. 이것은 미태평양사령부의 B-1B 전략폭격기 출동을 대조선도발행위로 규정한 조선이 미국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강력한 보복조치를 단행할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둘째, 미태평양사령부는 이번에 조선에 대한 공중무력시위를 사실상 포기하고 비무장폭격기의 늑장출동과 맥빠진 왕복비행으로 ‘땜질처방’을 하고 넘어가려 하였지만, 조선은 미태평양사령부의 그런 어설픈 행동을 묵인해주고 넘어갈 태세가 전혀 아니다. <사진 8> 
조선은 미태평양사령부의 B-1B 전략폭격기 출동을 자기에 대한 도발로 규정하였을 뿐 아니라, 미국의 도발에 대한 보복조치를 단행하려고 한다. 2016년 9월 16일 베네수엘라에서 진행된 비동맹운동회의에 참석한 리용호 외무상은 연설에서 “조선은 미국의 도발에 대응해 또 다른 공격을 가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명하였다. 이것은 조선이 미국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강력한 보복조치를 단행할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미국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조선의 강력한 보복조치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예견하기는 힘들지만, 미국을 공황에 빠뜨릴 조선의 무력시위수단은 하나 둘이 아니다. 지금 조선에는 핵탄두, 증폭핵분열탄두, 수소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중거리탄도미사일, 대륙간탄도미사일 같은 가공할 무력시위수단들이 줄이어 대기하는 중이다.  

 


7. 미국의 내우외환에 불똥 튀긴 미태평양사령부의 오판

 

미태평양사령부는 왜 조선에 대한 공중무력시위를 사실상 포기하고, 비무장폭격기의 늑장출동과 맥빠진 왕복비행을 해야 하였던 것일까? 이 민감한 문제를 해명하려면, 지금 미국이 처한 내우외환의 위기상황부터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첫째, 미국이 처한 ‘내우’의 위기상황은 만성적인 국가재정파탄위험에 의해 조성된 것이다. 재정파탄위험에 빠진 연방정부기관들이 일제히 며칠 동안 폐쇄되는 비상사태가 이미 몇 차례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국가재정적자상한선을 높여주는 미봉책으로 파산위험을 가까스로 피해가곤 하였다. 하지만 그런 미봉책으로는 파산위험을 막지 못한다. 미국의 국가재정파탄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메가톤급 시한폭탄이다. 

 

미국이 만성적인 국가재정파탄위험에 빠진 주된 원인은 국가재정을 군비증강에 마구 쏟아 부었다는 데 있다. 그래서 미국은 국가재정파탄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한 긴급대책을 국방비자동삭감에서 찾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미국의 지속적인 국방비자동삭감조치는 미국군의 전쟁준비태세를 약화시키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지금 미국군은 전면전을 수행하기 힘들 정도로 전투력이 약화되어, 전면전이 일어나면 패전을 피하기 힘들다. 

 

이런 ‘내우’의 위기상황은 뜻하지 않은 정치격변을 불러왔다. 그 격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 바로 이색적인 대선후보로 등장하여 파란을 불러일으키는 도널드 트럼프(Donald J. Trump)다. 미국 정치권과 주요언론매체들은 그를 거리낌 없이 막말이나 쏟아내는 골칫거리로 묘사하지만, 몰락해가는 미국을 다시 일으켜 세워줄 ‘강한 대통령’을 바라는 미국인들은 기존 대선후보들의 식상한 모습과는 전혀 다른 도널드 트럼프의 기이한 언행에서 어떤 초능력(charisma)을 감지하며 열광하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정치권의 기존관념을 뒤흔드는 ‘막말능력’밖에 가진 것이 없는 부적격한 대선후보인데, 그런 부적격자가 백악관에 들어가면 ‘막말능력’으로 어떤 정치적 대형사고를 일으킬지 아무도 모른다. 오는 11월 8일에 진행될 미국 대통령선거가 미국에게 불길한 예감을 안겨주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도널드 트럼프가 일으킨 뜻밖의 정치적 돌풍은 미국이 처한 ‘내우’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사진 9>

 

▲ <사진 9> 지금 미국은 겉으로는 멀쩡한 것 같아도 내우외환의 위기상황에 빠져 허덕이는 중이다. 내우외환의 위기상황은 뜻하지 않은 정치격변을 불러왔다, 그 격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 바로 도널드 트럼프다. 미국 정치권과 주요언론매체들은 그를 막말을 거리낌 없이 쏟아내는 골칫거리로 묘사하지만, 몰락해가는 미국을 다시 일으켜 세워줄 '강한 대통령'을 바라는 미국인들은 기존 대선후보들의 식상한 모습과는 전혀 다른 도널드 트럼프의 기이한 언행에서 어떤 초능력을 감지하고 열광한다. 도널드 트럼프는 막말능력밖에 가진 것이 없는 부적격한 대선후보인데, 그런 부적격자가 백악관에 들어가면 '막말능력'으로 어떤 정치적 대형사고를 일으킬지 아무도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은 B-1B 전략폭격기를 동원한 미국의 대조선적대행동에 대한 강력한 보복조치를 예고하였다. 조미대결상황은 미국에게 극도로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는 중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둘째, 미국이 처한 ‘외환’의 위기상황은 미국의 군사패권을 위협하는 악재들이 중첩되는 과정에 조성된 것이다. 이를테면, 유럽에서 미국군과 러시아군의 긴장이 날로 격화되고 있으며, 중동에서는 미국군이 시리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이란혁명수비군과의 군사대결에서도 밀리며 수모를 겪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서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중국인민해방군과 미국군의 심상치 않은 갈등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위에 열거한 것처럼, ‘내우외환’의 위기상황에 빠진 미국이 조선으로부터 강경한 보복조치를 받는다면 그에 대응하기도 힘들고, 그 후과를 수습하지도 못하게 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태평양사령부는 어쩔 수 없이 조선에 대한 공중무력시위를 포기하고 비무장폭격기의 늑장출동과 맥빠진 왕복비행으로 ‘땜질처방’을 하는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미태평양사령부가 ‘땜질처방’으로 넘어가려 한 생각도 오판이었다. 미태평양사령부의 ‘땜질처방’을 도발로 규정한 조선은 더 강력한 보복조치를 예고하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뉴욕타임스, 한국 정부 북한 관련 뉴스 보도 작태 비판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6/09/19 11:45
  • 수정일
    2016/09/19 11:4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뉴스프로 | 2016-09-19 09:26:02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뉴욕타임스, 한국 정부 북한 관련 뉴스 보도 작태 비판
– 대부분 북한 뉴스 국정원이 생산 후 언론에 흘려
– 외국 언론들의 사실확인 철저히 거부하는 국정원
– 북한 보도 작태 우려하는 전문가 인터뷰 함께 실어

남한의 북한 보도의 작태에 대해 뉴욕타임스가 신랄하게 비난했다.

지난 15일 뉴욕타임스(NYT)는 서울발 보도를 통해 그동안 한국언론이 북한 뉴스에 대해 취한 행태를 ‘소문, 오보 및 익명성’으로 규정하며 북한 보도 문제점의 실태를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북한 기사의 출처를 한국의 국가정보원(국정원)이며, 국정원이 한국 언론에 북한 소식을 제공하면 국제 뉴스매체는 이 뉴스를 종종 적극적으로 받아 재포장하여 보도한다. 또한, 국정원은 종종 몇몇 대표적인 한국 언론매체에 익명의 제보자로 해줄 것을 주장하며 정보를 흘린다. 다음 날 한국 언론매체는 동일한 보도를 하며, 국정원 대변인실은 해외 언론 기관의 기자들이 전화하면 그 정보에 대한 확인을 거부한다. 이것이 기사가 본 한국에서 통하고 있는 북한 관련 보도의 실체다.

그러나 분석가들은 국정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 않는 점이 국정원에서 나온 북한 관련 정보의 질을 손상한다고 경고한다. 또한, 한국 정부 특히 국정원은 국내 여론에 영향을 미치고 정책을 밀어붙이기 위해 선택된 정보들 심지어는 불충분하고 입증되지 않은 정보를 유출한다는 비난을 받아 왔다.

기사는 “지난 몇 달 동안 남한 국방부는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북한은 지도자 김정은이 승인하면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일반적이고 가장 안전한 답변만 해왔다”며 한국 정부가 북한 정보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꼬집어 비판했다.

기사는 또한 그동안 북한 정보분석의 실패 사례들을 전하며 북한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북한 관련 확인되지 않는 루머들이 유통되는 것에 대한 경고를 함께 실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2czrV6e

Rumors, Misinformation and Anonymity: The Challenges of Reporting on North Korea

소문, 오보 및 익명성: 북한 관련 보도의 문제점들

By CHOE SANG-HUN
SEPT. 15, 2016

Times Insider delivers behind-the-scenes insights into how news, features and opinion come together at The New York Times. In this piece, Choe Sang-Hun, The Times’s Seoul bureau chief, discusses the difficulties inherent in covering North Korean news.

A North Korean soldier near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 at the demilitarized zone that separates North and South Korea in February. CreditWong Maye-E/Associated Press
남북을 가르는 비무장 지대의 판문점 휴전마을 근처에서 지난 2월 한 북한군 병사.

SEOUL, South Korea — If North Korea’s fifth nuclear test on Friday rattled outside policy makers by demonstrating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country’s weapons program, it also reminded them of how difficult it remains to parse the country, one of the world’s most isolated and secretive.

한국 서울- 금요일 북한의 5차 핵실험은 북한 무기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진전을 보여줌으로써 외부 세계의 정책 결정자들을 떠들썩하게 만들긴 했지만, 가장 비밀스럽고 고립된 국가인 북한을 분석하는 것이 여전히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또한 깨닫게 했다.

Not even those of us in South Korea saw what was coming on Friday morning until European monitors of seismological signals reported a tremor emanating from the Punggye-ri test site. South Korea’s president, Park Geun-hye, had to cut short her state visit to Laos. The prime minister and the unification minister had to rush back to Seoul from trips to provincial cities.

유럽의 지진파 감시장비들이 북한 풍계리 시험장에서 발생한 미진을 보도할 때까지 한국에 있는 우리들조차도 금요일 아침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지 못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라오스 방문을 단축해야 했다. 총리와 통일부 장관 또한 지방 도시 순시 중에 서울로 급히 돌아와야 했다.

For months, the Defense Ministry here has given the standard — and the safest — answer when asked about the likelihood of another nuclear test by the North: The country was ready to conduct one at any time, whenever its leader, Kim Jong-un, gives the go-ahead.

지난 몇 달 동안 남한의 국방부는 북한에 의한 또 다른 핵 실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북한은 지도자 김정은이 승인하면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일반적인 – 그리고 가장 안전한 – 답변을 해왔다.

That answer, though, is hardly satisfying for those of us who cover the region — and who live within striking range of North Korean missiles, which Mr. Kim seeks to mount with nuclear warheads.

그러나 그러한 답변은 김정은 위원장이 핵탄두를 탑재하고자 하는, 그리고 북한의 미사일 타격 범위에 있는 지역에 대해 보도하며 그 안에 거주하는 우리를 전혀 만족시키지 못한다.

Still, it is often a fruitless exercise to try to predict North Korean developments. Being on constant alert, always ready for surprise, is the safest course.

하지만 북한의 상황을 예측하려 하는 것은 종종 성공적이지 않다. 항상 놀랄 준비를 하며 꾸준한 경계태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길이다.

I remember how startled I was when North Korea announced the death of Mr. Kim’s father and predecessor, Kim Jong-il, in 2011. And The Times was not the only organization caught off guard: Outside intelligence agencies did not know about the leader’s death until the North announced it two days after the fact. Many journalists and senior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presidential aides, were out for lunch when an announcer appeared on North Korean television and read the news in a weepy voice.

나는 2011년 북한이 김정은의 아버지이자 전 지도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죽음을 발표했을 때 얼마나 놀랐는지 기억한다. 그리고 뉴욕타임스만 허를 찔린 것이 아니었다. 외부 세계의 정보기관들도 사망 이틀 후에 북한이 이를 발표할 때까지 국방위원장의 죽음을 알지 못했다. 많은 언론인들과 대통령 비서관들을 포함 고위직 정부 관계자들도 북한 텔레비전에서 한 아나운서가 나와 눈물을 머금은 목소리로 발표문을 읽을 때 밖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다.

The news of the North’s latest nuclear test was less dramatic but still took many people — including this reporter — by surprise.

북한의 최근 핵 실험 소식은 덜 극적이긴 했지만 여전히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Television screens at the Yongsan Electronic Market in Seoul, South Korea, last week showe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fter his country announced it had conducted a nuclear test. CreditAhn Young-Joon/Associated Press.
지난주 북한이 핵 실험을 했다고 발표한 후 한국 서울의 용산전자상가에 있는 텔레비전 화면이 북한 지도자 김정은을 보여주고 있다.

For decades, American spy satellites have been scouring key North Korean military sites, including the hilly Punggy-ri site where the North has conducted all its previous underground nuclear tests. In recent years, private think tanks have also scrutinized the site, relying on commercial satellite imagery. The results, however, are often inconclusive.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의 첩보 위성들은 북한이 이전에 지하 핵실험을 했던 풍계리 구릉 지대를 포함한 북한의 주요 군사시설을 자세히 살펴왔다. 최근 몇 년간 민간 전문기관 역시 상업적인 위성 이미지에 의존하여 그 지역을 면밀히 조사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종종 어떤 식으로도 결론을 내려주지 못했다.

Some outside news outlets, such as The Associated Press and the Japanese news agency Kyodo, operate bureaus in Pyongyang, the North Korean capital. But their reporters are not allowed to meet people or to travel freely.

AP통신과 교도통신과 같은 몇몇 외부 언론들은 북한 수도 평양에 지부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그곳의 기자들은 북한 사람들을 만나거나 자유롭게 여행할 수 없다.

Those trying to report on North Korea from the outside sometimes talk to sources — often paid sources — inside the North, but the accounts from such sources usually cannot be verified. Outside reporters also often rely on defectors from the country, but few defectors arrive with access to valuable intelligence on its nuclear programs or top leaders.

해외에서 북한을 보도하려는 사람들이 간혹 북한 내부의 소식통(종종 유급 소식통)과 말을 나누지만 이렇게 들은 이야기는 보통 확인될 수 없다. 해외 기자들은 자주 탈북자들에 의존하기도 하지만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나 최고위급 지도자들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탈북자들은 거의 없다.

And, of course, all of North Korea’s news media is state-controll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parate fact from propaganda.

그리고 물론 북한의 모든 언론 매체들은 국가의 통제를 받고 있어서 사실과 선전을 구별하기가 어렵다.

South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r N.I.S., is a frequent source of North Korean news in the South Korean media — which, in turn, is often eagerly picked up and repackaged throughout the international news media, feeding a high demand for updates. (N.I.S. often leaks information to several representatives of the local media, insisting that it be attributed to an anonymous source. The next day, the local media outlets offer identical reports — and the N.I.S. spokesman’s office refuses to confirm the information when reporters from foreign news organization call in.)

한국의 국가정보원(국정원)은 한국 언론에 북한 소식을 자주 전하는 제공처이고, 국제 뉴스매체는 이어서 이 뉴스를 종종 적극적으로 받아 재포장하며 새로운 소식을 얻으려는 드센 요구를 충족시킨다. (국정원은 종종 몇몇 대표적인 한국 언론매체에 익명의 제보자로 해줄 것을 주장하며 정보를 흘린다. 다음 날 한국 언론매체는 동일한 보도를 하며, 국정원 대변인실은 해외 언론 기관의 기자들이 전화하면 그 정보에 대한 확인을 거부한다.)

But analysts warn that the agency’s lack of political neutrality often taints its information.

그러나 분석가들은 국정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 않는 점이 국정원에서 나온 정보의 질을 손상한다고 경고한다.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especially N.I.S., has been accused of leaking selected information — or even incomplete and unverified intelligence — about the North to help influence domestic opinion and push its policies.

한국 정부 특히 국정원은 국내 여론에 영향을 미치고 정책을 밀어붙이기 위해 선택된 정보를 혹은 심지어는 불충분하고 입증되지 않은 정보를 유출한다는 비난을 받아 왔다.

In recent months, it took the unusual steps of publicly announcing high-profile defections from the North and the executions of top officials there, invariably citing them to portray North Korea as unstable and desperate under Mr. Kim.

최근 몇 달 동안 국정원은 북한 고위급 인사의 탈북과 북한의 고위급 관리 처형을 이례적으로 발표했는데, 항상 그렇듯이 북한이 김정은 체재 하에서 불안하고 절망적이라고 묘사하기 위해 그 정보를 인용했다.

Andray Abrahamian, a North Korea expert who works for the Choson Exchange, recently warned of unverified rumors about North Korea finding audiences via the foreign news media.

조선익스체인지의 북한 전문가 안드레이 아브라하미안은 해외 뉴스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있는, 북한에 관한 확인되지 않은 루머들에 대해 최근 경고했다.

“North Korea’s opacity makes it seemingly easy to start rumors about what may be taking place there, as corroboration often seems too difficult to pursue,” Mr. Abrahamian wrote. “Reader interest in North Korea — and especially in salacious news — is high, making it very hard for journalists and editors to resist repeating a rumor when they are far from the story and thus less accountable for it.”

아브라하미안은 “확증을 잡기도 종종 아주 어렵기 때문에 북한의 불투명성은 그곳에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들에 대해 소문을 만들어내는 일이 쉬워 보이게 할 수 있다”며, “북한에 대한, 특히 추잡한 뉴스에 대한 독자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언론인들과 편집자들은 루머가 실제 이야기와 전혀 다르고 그래서 이를 설명하기가 어려울지라도 그 루머를 따라 하지 않기는 아주 어렵다”고 말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76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국내 최대 습지, 논에서 만난 늦여름 동물들

국내 최대 습지, 논에서 만난 늦여름 동물들

윤순영 2016. 09. 19
조회수 47 추천수 0
 

논우렁이부터 벼메뚜기, 참개구리, 저어새로 이어지는 생명의 터전

도시를 지키고 생명다양성의 보고이지만 난개발과 매립으로 사라져

 

크기변환_포맷변환_크기변환__DSC2958.jpg» 벼가 여무는 논에서 벼메뚜기도 굵어간다. 한때 논에서 자취를 감췄지만 요즘엔 제법 많이 보인다.

 

습지는 생명의 요람이다. 습지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곤충은 잠자리다. 애벌레 단계에서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크기변환_DSC_5324.jpg» 왕잠자리의 비행.

 

크기변환_DSC_8459.jpg» 볏잎에 앉은 실잠자리.  

크기변환_DSC_5666.jpg» 들깃동잠자리가 짝짓기를 하며 논 위를 날고있다.

 

습지엔 다양한 생물이 그물처럼 얽혀 살아간다. 그 먹이그물의 꼭대기에 터줏대감처럼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백로과의 새이다. 새는 풍요로운 습지의 상징이다.

 

크기변환_DSC_2417.jpg»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저어새도 논을 찾아왔다.

 

크기변환_DSC_2732.jpg» 먹이를 사냥하러 이리저리 논을 살피는 중대백로.

 

크기변환_DSC_3211.jpg» 사냥을 위해 자리 다툼을 하는 황로.

 

습지의 물이 마르면 생명이 사라지는가 했다가도 물이차면 어느새 생명의 숨소리가 고동친다. 자연의 생명력이 요동치는 곳이지만 습지는 우리의 무관심과 개발로 인해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1970~1980년대 무차별적으로 농약을 치면서 논에서 개구리가 사라졌다그 후 30년이 지났지만 논에서 개구리를 만나는 일은 흔치 않다.

 

자연친화적인 농약을 살포하고 유기농으로 농사기법이 바뀌면서 논 습지에 생명이 돌아오고 있다. 그러나 개구리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물과 뭍 모두에서 살며 피부호흡을 하는 개구리는 환경변화와 오염에 민감하다. 생태계의 지표인 이유이다.

 

크기변환_YS3_1964.jpg»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금개구리가 논에 대표적인 식물 개구리밥에 숨어 있다.

 

크기변환_YS3_1136.jpg» 가장 흔한 개구리였지만 농약살포로 자취를 감춘 참개구리.

 

크기변환_DSC_3793.jpg» 주로 나무 위에서 먹이를 찾는 청개구리.

 

옛날엔 수리안전답이 부족하여 2월 중순이면 논에 물을 미리 대고 모내는 시기를 기다려 4월 말이면 성장한 개구리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5월초부터  언제든지 모를 내고 싶은 시기에 물을 대 모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개구리가 번식할 시기를 잡는 것고 번식 장소를 확보하는 것도 힘들어졌다. 친환경농법이 도입돼도 개구리가 늘지 않는 큰 요인이다.

 

크기변환__DSC2922.jpg» 논바닥은 우렁이가 살아가는 최적의 환경이다.

 

크기변환_DSC_8108.jpg» 왕파리매가 풍뎅이를 사냥해 먹고 있다.

 

크기변환_DSC_7865.jpg» 논바닥에 앉아 양분을 섭취하는 호랑나비.

 

크기변환_DSC_8391.jpg» 화홍깔다구길앞잡이가 논바닥에서 짝짓기를 하고 있다.

 

논은 벼를 키우기 위해 물을 대고 빼는 일을 반복적으로 한다.  논 습지의 생물은 이 시기에 맞춰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간다.

 

크기변환_DSC_6989.jpg» 흰뺨검둥오리 가족이 논둑위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다.

 

크기변환_DSC_8400.jpg» 논은 털말똥게의 서식지다. 논두렁은 안식처이고 논바닥은 먹이터였다. 그러나 지금은 보기 힘들다.

 

크기변환_DSC_8354.jpg» 논 주변과 볏잎에 쳐진 거미줄은 다양하고 많은 곤충이 살아가는 먹이그물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크기변환_DSC_8434.jpg» 볏 잎을 이용해 민갈거미가 수평으로 거미집을 짓고 있다.

 

크기변환_DSC_8359.jpg» 볏잎 끝에 걸린 거미줄.

 

우리나라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습지는 논이다실제로 논 생태계는 친자연적인 영농법을 한다면 다양한 생물이 사는 생육지로서 공존할 수 있다.

 

도시화로 택지와 도로, 산업용지를 만드느라 또는 갯벌을 메워 농지를 조성하느라 자연 습지가 대부분 사라졌다. 그나마 논은 넓은 면적의 자연스런 인공 습지를 유지하는 보루이다.

 

크기변환_DSC_8358.jpg» 이른 아침 논의 모습.

 

크기변환_DSC_3836.jpg» 원앙이 부부도 논을 찾아 왔다.

 

그러나 도시 팽창 앞에 농경지 매립이 계속되면서 마지막 생명의 터가 위협을 받고 있다. 논은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곳이기도 하지만 도시를 홍수와 가뭄에서 지켜 주는 배후 습지이기도 한데 말이다.

 

크기변환_CRE_7536.jpg» 농경지 주변에 늘어나는 건축물들.

 

크기변환_YSJ_4155.jpg» 매립되는 농경지의 모습.

 

농업은 자연이다라는 말이 있다우리의 농경문화는 자연과 함께 살아 온 역사다. 항상 우리 곁에 있지만 무관심했던 생명의 보고인 논 습지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해야 할 때다.

 

크기변환_DSC_6175.jpg» 해오라기도 논을 자주 찾는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뉴욕타임스, 북은 철저히 합리적 국가

뉴욕타임스, 북은 철저히 합리적 국가
 
 
 
뉴스프로 
기사입력: 2016/09/19 [01:07]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북한 지도체제 분석
– 비합리적인 행동이 오히려 계산된 합리적 행동
– 북한이 핵에 매달리는 이유 분석 

 

휴전 이후 지속된 북한의 행동들을 비이성적이기보다는 지극히 합리적(too rational)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0일 자 뉴욕타임스(NYT) 는 “세계 정치 석학들이 바라보는 북한의 행위는 미친 것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너무나 합리적이며 이는 지속적으로 학계에서 주장되어온 것이다”고 전했다.

 

기사는 북한이 한국전쟁 후 지속적으로 자행한 전쟁 위협, 남한을 상대로 한 간헐적인 공격들 그리고 괴팍한 지도자들과 터무니없는 선전 활동 등은 북한이 비합리적이어서가 아니라 오히려 너무나 합리적이어서 그들의 생존을 위해 취한 행동들이라고 전했다.

 

북한이 만들어가는 이미지 즉 ‘미치광이 나라’ ‘무자비한 폭력’ 및 ‘핵무기 개발’ 등의 나쁜 평판은 오히려 주변 강대국들의 침입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 해도 북한이 개발한 핵무기를 이용해 패배를 피할 방법을 미리 마련해 놓았다. 북한지도체제는 철저히 계산된 이같은 도발로 인해 대내외적으로 상당한 위험에 처하게 될 수도 있지만, 그들이 겪게 될 강대국의 침략 혹은 자체 붕괴라는 훨씬 더 큰 위협으로부터 약하고 고립된 그들의 정부를 유지하게 해준다고 보고 있다.

 

정치학자들의 주장처럼 비합리적인 국가는 오래 살아남을 수 없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국가들은 대개 비합리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국제 시스템은 매우 경쟁적이며 자기 보존을 위한 욕구는 대단히 강력하다. 북한이 지구 상의 다른 어떤 나라들과 많이 다르긴 하지만, 북한이 생존을 위해 선택한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행동들은 아마도 북한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행동일 것이다.

 

한편, 기사는 정치학자들이 왜 북한의 행동을 철저히 계산된 합리적 행동으로 보는지 북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함께 실으며, 북한이 이러한 비합리성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군대’와 ‘정치’에서 찾고 있다.

 

기사는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실험을 불규칙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계속해서 위기 상황을 조성하는 이유로 “이러한 군사조직화는 북한의 지도부를 내부적으로 안정시켜 주었고 적국들의 접근을 저지해주기도 했다. 즉, 한반도에 대립 상황을 유지함으로써, 북한은 남한과 미국에 한 발짝 물러서야 할 부담을 떠넘겼다”고 분석했다.

 

기사는 “무엇보다 미국을 두려워하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 가까이에 있는 미군 기지와 한국의 항구들을 우선 타격하고 그다음 미국 본토에 대한 미사일 발사로 위협하면서 미국의 침공을 저지하도록 고안되었다”고 믿고 있는 일부 학자들의 의견도 함께 전하고 있다.

 

또한 북한이 핵개발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이유를 ‘합리성’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2cMVUap

 

▲ 북의 핵무장은 북 입장에서는 자국의 생존을 지키기 위한 합리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는 뉴욕타임스 인터넷판 화면     © 자주시보

 

 

North Korea, Far From Crazy, Is All Too Rational

북한은 미친 게 아니라 너무나 합리적이다

 

SEPTEMBER 10, 2016

By MAX FISHER

 

 

✦ Is North Korea irrational? Or does it just pretend to be?

북한은 비합리적인가? 아니면 그냥 비합리적인 척하는가?

 

North Korea has given the world ample reason to ask: threats of war, occasional attacks against South Korea, eccentric leaders and wild-eyed propaganda. As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have grown, this past week with a fifth nuclear test, that concern has grown more urgent.

 

이렇게 물어볼 만한 충분한 이유를 북한은 전 세계에 제공해왔다: 전쟁 위협, 남한을 상대로 한 간헐적인 공격들, 별난 지도자들과 어처구니없는 선전 등. 지난주의 5차 핵실험이 보여주듯 북한의 핵 미사일 프로그램이 성장함에 따라 그 우려 또한 더욱 긴박해졌다.

 

But political scientists have repeatedly investigated this question and, time and again, emerged with the same answer: North Korea’s behavior, far from crazy, is all too rational.

 

그러나 정치학자들은 되풀이해서 이 질문을 연구해왔으며 계속해서 같은 답변을 제시했다: 북한의 행위는 미친 것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너무나 합리적이다.

 

Its belligerence, they conclude, appears calculated to maintain a weak, isolated government that would otherwise succumb to the forces of history. Its provocations introduce tremendous danger, but stave off what Pyongyang sees as the even greater threats of invasion or collapse.

 

정치학자들은 북한의 호전성은, 만일 호전적이 아니라면 역사의 힘에 굴복할지도 모를 약하고 고립된 정부를 유지하기 위해 계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을 내린다. 북한의 도발은 엄청난 위험을 야기하지만 이는 북한이 보기에 침략 혹은 붕괴라는 훨씬 더 큰 위협을 피하게 해준다.

 

Denny Roy, a political scientist, wrote in a still-cited 1994 journal article that the country’s “reputation as a ‘crazy state’” and for “reckless violence” had “worked to North Korea’s advantage,” keeping more powerful enemies at bay. But this image, he concluded, was “largely a product of misunderstanding and propaganda.”

 

정치학자 데니 로이는 아직도 인용되는 1994년 기사에서 “‘미치광이 나라’라는, 그리고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한다는 평판”이 “북한에 유리하게 작용”해서 더 강한 적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주로 오해와 선전의 산물”이라고 그는 결론지었다.

 

In some ways, this is more dangerous than irrationality. While the country does not want war, its calculus leads it to cultivate a permanent risk of one — and prepare to stave off defeat, should war happen, potentially with nuclear weapons. That is a subtler danger, but a grave one.

 

어떤 면에서 이것은 비합리적인 것보다 더 위험하다. 북한이 전쟁을 원하지 않기는 해도, 북한의 계산은 영구적인 전쟁의 위협을 조성해서 설사 전쟁이 일어난다 해도 핵무기를 이용해 패배를 피할 방법을 미리 마련해 놓는 것이다. 그것은 보다 미묘하지만 아주 커다란 위험이다.

 

 

✦ Why scholars believe North Korea is rational

왜 학자들은 북한이 합리적이라고 믿는가?

 

When political scientists call a state rational, they are not saying its leaders always make the best or most moral choices, or that those leaders are paragons of mental fitness. Rather, they are saying the state behaves according to its perceived self-interests, first of which is self-preservation.

 

정치학자들이 한 국가를 합리적이라고 할 때 그것은 그 국가의 지도자들이 언제나 최고 또는 최선의 도의적 선택을 하거나 이들이 정신 건강의 귀감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은 그것은 그 국가가 국가 이익, 그중 첫째로 자기 보호를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

 

When a state is rational, it will not always succeed in acting in its best interests, or in balancing short-term against long-term gains, but it will try. This lets the world shape a state’s incentives, steering it in the desired direction.

 

국가가 합리적일 때 그 국가는 최상의 국익을 위해 행동하거나 단기적 이익과 장기적 이익 간의 균형을 잡는 일에 항상 성공하지는 않을지라도 그런 방향으로 시도는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세계는 이 국가에 혜택을 베풀어 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려 하게 된다.

 

States are irrational when they do not follow self-interest. In the “strong” form of irrationality, leaders are so deranged that they are incapable of judging their own interests. In the “soft” version, domestic factors — like ideological zeal or internal power struggles — distort incentives, making states behave in ways that are counterproductive but at least predictable.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을 따르지 않을 때 이들은 비합리적이다. “심하게” 비합리적인 상태에서 지도자들은 제정신을 잃고 스스로의 이익을 판단할 능력조차 가지지 못한다. “덜 심하게” 비합리적인 상태에서라면 이념적인 열성 또는 내부 권력 투쟁 같은 국내 요인들이 동기를 왜곡시키며 국가로 하여금 비생산적이긴 하나 적어도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만든다.

 

North Korea’s actions, while abhorrent, appear well within its rational self-interest, according to a 2003 study by David C. Kang, a political scientist now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t home and abroad, he found, North Korean leaders shrewdly determined their interests and acted on them. (In an email, he said his conclusions still applied.)

 

현재 유에스시(남가주) 대학의 정치학자인 데이비드 C. 강의 2003년 연구에 따르면, 북한의 행동이 혐오감을 주긴 해도 북한은 합리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철저히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에서 북한 지도자들이 현명하게 국가의 이익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그는 관찰했다.(그는 자신의 결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이메일에서 말했다.)

 

“All the evidence points to their ability to make sophisticated decisions and to manage palac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with extreme precision,” Mr. Kang wrote. “It is not possible to argue these were irrational leaders, unable to make means-ends calculations.”

 

“모든 증거들은 그들이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왕실과 국내외 정치를 극도의 정확성을 가지고 운영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 씨는 적었다. “이들이 이해타산적인 계산을 할 줄 모르는 비합리적인 지도자들이었다고 말할 수 없다”

 

Victor Cha, a Georgetown University professor who served as the Asian affairs director on George W. Bush’s National Security Council, has repeatedly argued that North Korea’s leadership is rational.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국가 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이사였던 조지타운 대학 빅터 차 교수는 북한의 지도층이 합리적이라고 수차례 주장했다.

 

Savage cruelty and cold calculation are not mutually exclusive, after all — and often go hand in hand.

 

잔혹성과 냉정한 계산은 상호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고 결국, 그리고 종종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이다.

 

States are rarely irrational for the simple reason that irrational states can’t survive for long. The international system is too competitive and the drive for self-preservation too powerful. While the North Korean state really is unlike any other on earth, the behaviors that make it appear irrational are perhaps its most rational.

 

비합리적인 국가는 오래 살아남을 수 없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국가들은 대개 비합리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국제 시스템은 매우 경쟁적이며 자기 보존을 위한 욕구는 대단히 강력하다. 북한이 지구 상의 다른 어떤 나라와도 정말 다르긴 하지만 북한을 비합리적으로 보이게 하는 행동은 아마 북한의 가장 합리적인 행동일 것이다.

 

 

✦ North Korea’s rational irrationality

북한의 합리적인 비합리성

 

North Korea’s seemingly unhinged behavior begins with the country’s attempt to solve two problems that it took on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at it should have been unable to survive.

 

불안정해 보이는 북한의 행동양식은 냉전 시대의 종식과 더불어 북한이 떠안게 되었으며,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했었을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려는 북한의 노력과 함께 시작된다.

 

One was military. The Korean Peninsula, still in a formal state of war, had gone from a Soviet-American deadlock to an overwhelming tilt in the South’s favor. The North was exposed, protected only by a China that was more focused on improving ties with the West.

 

첫 번째 문제는 군대였다. 공식적으로는 아직까지 전쟁 중인 한반도는 소련-미국 간의 교착상태를 거쳐 남한 쪽에 현저히 유리하게 기울어졌다. 북한은 노출되었으며 오직 중국에 의해서만 보호를 받았지만, 중국은 서방과의 유대관계를 개선하는 일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 김정은국무위원장     ©자주시보

 

The other problem was political. Both Koreas claimed to represent all Koreans, and for decades had enjoyed similar development levels. By the 1990s, the South was exponentially freer and more prosperous. The Pyongyang government had little reason to exist.

 

또 다른 것은 정치적인 문제였다. 한반도 전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해 온 남북한 모두 지난 수십 년간 비슷한 수준의 발전을 누리고 있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며 남한은 훨씬 더 자유롭고 부유하게 되었다. 북한 정부는 존재감이 거의 없었다.

 

The leadership solved both problems with something called the Songun, or “military-first,” policy. It put the country on a permanent war footing, justifying the state’s poverty as necessary to maintain its massive military, justifying its oppression as rooting out internal traitors and propping up its legitimacy with the rally-around-the-flag nationalism that often comes during wartime.

 

북한 지도층은 이 두 문제 모두를 소위 말하는 선군, 즉 “군사 위주”의 정책으로 해결했다. 이는 나라 전체를 영구적인 전시 체제로 놓고, 거대한 군대를 유지하기 위해 국가적인 빈곤은 어쩔 수 없다고 합리화하며, 정치적 탄압을 내부적인 반역자를 뿌리뽑기 위한 것이라 정당화시키고, 전시에 흔히 볼 수 있는, 국기를 중심으로 결집하는(역주: 국가적 위기나 전쟁 시 단기적으로 국가에 대한 지지가 증가하는 정치적 현상) 민족주의로써 정권의 정통성을 지탱하려 했다.

 

Of course, there was no war. Foreign powers believed the government would, like other Soviet puppets, fall on its own, and barring that wanted peace.

 

당연히,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외국의 세력들은 북한 정권이 소련의 다른 꼭두각시들과 마찬가지로 스스로 무너질 것이며, 무너지지 않는다 해도 평화는 원한다고 믿었다.

 

So North Korea created the appearance of permanently imminent war, issuing flamboyant threats, staging provocations and, sometimes, deadly attacks. Its nuclear and missile tests, though erratic and often failed, stirred up one crisis after another.

 

그래서 북한은 항시적으로 전쟁이 임박한 것 같은 모습을 연출하고, 대담한 위협을 가하며 도발을 일으키고, 때로는 치명적인 공격을 가한다.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실험은 불규칙적이고 종종 실패하기는 하지만 계속해서 위기 상황을 조성해왔다.

 

This militarization kep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internally stable. It also kept the country’s enemies at bay.

 

이러한 군사조직화는 북한의 지도부를 내부적으로 안정시켜 주었다. 이는 적국들의 접근을 저지해주기도 했다.

 

North Korea may be weaker, but it is willing to tolerate far more risk. By keeping the peninsula on the edge of conflict, Pyongyang put the onus o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pull things back.

 

북한은 더 약할지 모르나 훨씬 더 큰 위험을 감수할 의지가 있다. 한반도에 대립 상황을 유지함으로써, 북한은 남한과 미국에 한 발짝 물러서야 할 부담을 떠넘겼다.

 

From afar, North Korea’s actions look crazy. Its domestic propaganda describes a reality that does not exist, and it appears bent on almost provoking a war it would certainly lose.

 

멀리서 보면, 북한의 행동은 미친 것처럼 보인다. 북한의 국내 선전은 존재하지 않는 현실을 묘사하며, 확실히 패배하게 될 전쟁을 선동할 작정이라도 한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But from within North Korea, these actions make perfect sense. And over time, the government’s reputation for irrationality has become an asset as well.

 

그러나 북한 내부에서 보면, 이러한 행동은 말이 되고도 남는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북한이 비합리적이라는 평판은 자산이 되기도 했다.

 

Scholars ascribe this behavior to the “madman theory” — a strategy, coined by no less a proponent than Richard M. Nixon, in which leaders cultivate an image of belligerence and unpredictability to force adversaries to tread more carefully.

 

학자들은 이러한 행동양식을 “광인 이론”, 즉 리차드 닉슨에 의해 이론화된 전략으로 지도자가 호전적이고 예측불가능한 이미지를 만들어냄으로써 적들을 조심스럽게 움직일 수밖에 없이 만든다는 이론으로 설명한다.

 

Dr. Roy, in an interview, said North Korea “intentionally employs a posture of seemingly hyper-risk acceptance and willingness to go to war as a means of trying to intimidate its adversaries.”

 

로이 박사는 인터뷰에서 북한이 “적국들에게 겁을 주려는 수단으로서 극도의 리스크를 감수하고 기꺼이 전쟁에 뛰어들 것 같은 태도를 의도적으로 취한다”고 말했다.

 

But this strategy works only because, even if the belligerence is for show, the danger it creates is very real.

 

그러나 그 호전성이 단지 쇼일 뿐이라고 해도, 이러한 전략이 만들어내는 위험이 아주 실제적일 때만 작동한다.

 

 

✦ Is a rational North Korea more dangerous?

합리적인 북한이 더 위험한가?

 

In this way, it is North Korea’s rationality that makes it so dangerous. Because it believes it can survive only by keeping the Korean Peninsula near war, it creates a risk of sparking just that, perhaps through some accident or miscalculation.

 

이런 면에서 북한을 매우 위험한 존재로 만드는 것은 북한의 합리성이다. 한반도를 전쟁에 준하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만 자신이 생존할 수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북한은 사고나 계산착오 등을 이용해 전쟁을 촉발시킬 위험 상황을 만들어낸다.

 

North Korea is aware of this risk but seems to believe it has no choice. For this reason, and perhaps because of the United States-led invasion of Iraq and the NATO intervention in Libya against Col. Muammar el-Qaddafi, it appears to earnestly fear an American invasion. And this is rational: Weak states that face more powerful enemies must either make peace — which North Korea cannot do without sacrificing its political legitimacy — or find a way to make any conflict survivable.

 

북한은 이러한 위기를 인지하고 있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믿는 듯하다. 이러한 이유로, 그리고 아마도 미국 주도의 이라크 침공과 무아마르 알 가다피 장군을 축출하기 위한 나토의 리비아 개입 때문에 북한은 미국의 침공을 진정으로 두려워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것은 합리적이다: 보다 강한 적들을 마주하고 있는 힘없는 국가들은 화해를 하거나 – 북한은 정치적 정통성을 희생하지 않고는 이렇게 할 수 없다 – 혹은 어떠한 대립 상황도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some analysts believe, is designed to halt an American invasion by first striking nearby United States military bases and South Korean ports, then by threatening a missile launch against the American mainland. While North Korea does not yet have this ability, analysts believe it will within the next decade.

 

일부 분석가들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 가까이에 있는 미군 기지와 한국의 항구들을 우선 타격하고 그다음 미국 본토에 대한 미사일 발사로 위협하면서 미국의 침공을 저지하도록 고안되었다고 믿는다. 북한이 아직은 이러한 능력을 보유하지 못했지만 분석가들은 향후 10년 이내에 그러한 능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본다.

 

This is the culmination of North Korea’s rationality, in something known as desperation theory.

 

바로 이것이 절망이론으로 알려진 북한 합리성의 최절정이다.

 

Under this theory, when states face two terrible choices, they will pick the least bad option — even if that choice would, under normal conditions, be too costly to consider.

 

이 이론에 의하면 만일 국가가 두 가지 나쁜 선택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면, 그러한 선택이 정상적인 상황에서라면 너무 손실이 많아 고려할 여지도 없는 것일지라도 그 국가는 그중 덜 나쁜 것을 선택하게 된다.

 

In North Korea’s case, that mean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a war it would most likely lose. And it could mean preparing a last-ditch effort to survive that war by launching multiple nuclear strikes, chancing a nuclear retaliation for the slim chance to survive.

 

북한의 경우 그러한 상황은 북한이 십중팔구 패배할 것이 뻔한 전쟁을 벌일 조건들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것은 북한이 전쟁을 살아남기 위한 최종적 노력을 위해 복합적인 핵 공격을 시작한다는 것을, 즉 살아 남을 희박한 기회를 위해 핵 보복을 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North Korea’s leaders tolerate this danger because, in their calculus, they have no other choice. The rest of us share in that risk — vanishingly small, but nonzero — whether we want to or not.

 

북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계산상으로 그 외의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감내한다. 나머지 우리들은 극히 희박하지만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닌 그러한 위기에, 원하든 원치 않든 간에 함께 하게 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선대인 “납득할 수 없는 KBS의 출연정지 통보…유감”

 

“윗분들 지시 인정해놓고…시청자 항의 운운하며 출연자 잘못으로 사안 왜곡?”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KBS아침마당 <고급정보열전>에 출연 중인 선대인 소장(선대인경제연구소>이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출연 정지를 통보받았다며 KBS측에 강한 유감을 표명, 해명을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선대인 소장은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담당PD로부터 ‘윗분들의 지시에 따라 더 이상 아침마당에 출연 할 수 없다’는 통보 전화를 받았다고 털어놨다. 

KBS아침마당 <고급정보열전>은 각 분야 전문가들의 강연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선 소장은 최근 6주간 이 프로그램에 출연해왔다.

선 소장은 “이 프로그램은 다른 출연자가 낸 퀴즈를 맞춘 점수와 ‘티벗’ 앱을 통해 참여한 시청자 점수를 3주간 합산해 최하위자를 탈락자로 가려내는 규칙을 적용한다”고 설명하며 “이 탈락 시스템에서 살아남은 전문가들은 다시 3주간 출연이 보장되고, 저는 가장 최근 방송된 9월12일 방송 결과 3주간 합산 점수로 전문가 다섯 명 가운데 3위를 차지해 3주간 더 출연하는 것으로 결정돼 있었다”고 밝혔다.

   
▲ <이미지출처=KBS 방송화면 캡쳐>

선 소장에 따르면, KBS 측은 다음 방송분의 원고까지 재촉해 받아 놓고도 돌연, 출연자의 의향을 묻거나 요청하는 수준이 아닌 이미 결정된 사항을 통보했다.

선대인 소장은 담당CP 또한 “선 소장이 특별히 어떤 걸 잘못했다는 게 아니다”면서도 “저희 국장이 다른 곳에서 선 소장에 대해 부정적 얘기를 들은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선 소장이 재차 해명을 요구하자 KBS측은 “그 동안 선대인씨가 방송 중 밝힌 아파트 관련 의견이 KBS의 공식입장이냐고 묻는 시청자들이 있어 제작진은 회의 결과, 실제 오해가 있다는 판단 아래 선대인씨의 출연을 중지시키기로 했다”는 내용의 출연 하차 방송 안내문을 보내왔다.

이에 대해 선 소장은 “자신들의 잘못된 행태는 전혀 거론하지 않고 저에게 잘못을 돌리겠다는 압박으로밖에 여겨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선 소장은 “지금 KBS관계자들이 내세우는 ‘시청자’는 도대체 누구냐”면서 “담당PD와 CP도 누구인지 모르는 ‘시청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렇게 원칙 없고 전례 없는 무리한 결정을 하는 것이 공영방송이라는 KBS의 위상에 맞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시청자에게 한 약속도 지키지 못하는 방송을 만들면서 KBS수신료를 인상해달라고 요구할 자격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 <이미지출처=KBS 방송화면 캡쳐>

그러면서 이 문제를 공론화한 이유에 대해 “이런 문제를 알고서도 침묵한다면 저와 같은 제2, 제3의 피해자는 얼마든지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고심 끝에 털어놓는 이야기들이 KBS의 공영성과 공정성을 강화하고, 시청자들을 좀 더 두려워하는 방송으로 거듭나도록 기여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선대인 소장의 해당 글을 접한 KBS 출신 최경영 <뉴스타파> 기자는 “공영방송 KBS는 대체 누구를 위해 방송할까요?”라며 “이게 사실이면 시청자들, 출연한 전문가들 모두를 능멸하는 짓”이라고 질타했다.  

   

다음은 선대인 소장이 페이스북에 게재한 글 전문이다.

[KBS 아침마당의 납득할 수 없는 출연정지 통보에 깊은 유감을 표시합니다. KBS의 고위 간부들을 움직일 수 있고 프로그램이 정한 자체 규칙까지 어겨가며 출연 중지를 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그 정체불명의 '시청자'는 도대체 누구입니까?]

여러분들 추석연휴는 잘 보내셨는지요? 추석연휴의 끝자락인 오늘 저는 송구스럽게도 KBS의 납득할 수 없는 행태에 대한 사실을 알리고자 합니다. 추석연휴 내내 이 문제로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대의와 원칙, 제 양심에 따라 이 문제를 공론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로 인해 불이익과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더 높겠지만, 공적인 문제는 공개적으로 제기해야 한다는 게 제 결론입니다. 더구나 다른 사람도 아니고 저 스스로 생생하게 경험한 사실을 아무 일도 없었던 양 그냥 지나칠 수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판단에 따라 그 동안 제가 출연중이던 KBS 아침마당에 출연을 정지당하게 된 경위를 설명드리려 합니다. 그 동안 여러 일들이 있고 민감한 문제들이 있어서 충분히 설명하다 보니 글이 좀 길어졌는데 양해를 바랍니다. 이해의 편의상 시간 순서에 따라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KBS 아침마당의 월요일 방송 프로그램인 ‘고급정보열전’에 최근 6주간 출연해왔습니다. 고급정보열전은 각 분야 전문가 다섯 명이 나와서 시청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약 10분씩 설명해 겨루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다른 출연자가 낸 퀴즈를 맞춘 점수와 ‘티벗’ 앱을 통해 참여한 시청자 점수를 3주간 합산해 최하위자를 탈락자로 가려내는 규칙을 적용합니다. 이 탈락 시스템에서 살아남은 전문가들은 다시 3주간 출연이 보장됩니다. 저는 가장 최근 방송된 9월 12일 방송 결과 3주간 합산 점수로 전문가 다섯 명 가운데 3위를 차지해 3주간 더 출연하는 것으로 결정돼 있었습니다. 제작진도 추석 연휴 전날(13일) 오전까지 다음 방송분 원고를 빨리 수정해달라며 재촉했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오전중에 부랴부랴 원고 수정을 마치고 오랜만에 아내와 점심을 먹고 있는데 담당 PD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자신이 최대한 버텨봤지만 더 이상 버틸 수 없어서 윗분들의 지시에 따라 저를 더 이상 아침마당에 출연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제게 의향을 묻거나 요청하는 수준이 아니라 이미 결정된 사항을 통보하는 전화였습니다.

처음에는 그 말을 듣고도 믿기지 않았습니다. 엄연히 시청자들에게 공개적으로 약속한 ‘탈락 규칙’이 있고 그 규칙에 따라 3주간 출연이 보장돼 있는 출연자에게 동의도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중도하차를 통보하는 것이니 말입니다. 제작진도 인정하지만 올초 해당 프로그램 방송 이후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저로서도 주거정보앱 ‘집코치’ 론칭 등으로 일이 쌓여 있어서 어차피 더 오래 출연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수백만 시청자와의 약속인 만큼 3주간은 어떤 일이 있어도 출연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비속한 표현을 쓰거나 방송심의규정에 어긋난 표현을 쓴 것도 아니고 제 방송내용과 관련해 시청자게시판에 논란이 일어났던 일도 없었습니다. 사전에 제작진과 상의해 원고를 작성하고, 제작진이 마련한 대본을 최대한 충실하게 소화하려 했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방송내용과 관련해 별다른 문제를 지적받지도 않았고, 오히려 담당 피디로부터 “전반적으로 퍼포먼스(performance)가 좋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불과 그 며칠 전 가졌던 회식자리에서도 담당 PD는 “한두 분이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분들이 있지만, 사내에서도 대체로 평이 좋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KBS가 시청자에게 한 약속도 어기고 저의 사전 동의나 양해도 전혀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출연 정지를 통보한 것이었습니다. 담당 PD에게 이유를 물어봤지만 “시청자게시판이나 티벗에도 별다른 시청자 불만이 없었는데, 윗분들한테 일부 부정적 의견이 들어온 것 같다”는 설명이 전부였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정 설명을 듣고 싶어 잠시 후 담당CP(책임피디)와 통화했습니다. “구체적인 이유와 경위에 대한 설명도 없이 추석연휴 전날 갑자기 출연하지 말라니 납득할 수 있느냐”며 “제게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CP는 “선소장이 특별히 어떤 걸 잘못했다는 게 아니다”라면서도 “저희 국장이 다른 곳에서 선소장에 대해 부정적 얘기를 들은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도 담당 CP는 국장이 들었다는 그 의견의 소스(source)가 어디인지는 모른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다시 “담당 PD와 CP가 모르는 시청자 의견을 바탕으로 제가 무리하게 하차해야 하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그 시청자의 의견이 어떤 것인지, 제가 납득할 수 있게 알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후 두시간반쯤 후에 담당CP로부터 다시 전화가 왔습니다. 담당 국장과 본부장의 이름까지 제게 불러주며 “(제가 방송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해) 일부 부정적인 의견이 있었고, 이를 검토한 결과 KBS의 입장인 양 시청자들이 오인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게 국장과 본부장의 판단”이라고 했습니다. 특히 9월 5일 ‘아파트 분양, 받을까? 말까?’라는 제목으로 제가 방송에서 설명한 내용이 KBS의 입장인 양 오인받을 수 있다는 것을 문제삼았다는 겁니다. 출연한 전문가들이 각자 자신이 가진 전문성에 바탕해 사안을 설명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것인데, 그걸 KBS입장으로 오해할 사람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만약 많은 시청자들이 그런 반응을 보였다면 제가 납득할 수 있었을 겁니다. 그래세 제가 제가 외부에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한 사람들이 누구냐고 다시 물었지만, “그게 누구인지 (국장 등에게) 캐묻기는 곤란한 입장이었다”고 했습니다.

제가 구체적인 출처도 밝힐 수 없는 일부의 의견을 근거로 프로그램 자체 규칙까지 어기며 이미 출연이 결정돼 있는 사람의 출연을 막을 수 있느냐고 따졌습니다. 그러자 담당CP는 “선소장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타당하다”며 “저희가 어떤 형태로든 다음 방송에서 소장님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사과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는 또한 “개인적으로는 선소장이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방송을 했다고 생각하며, 당연히 담당 PD도 그렇게 생각한다. 다만 일부 분들이 과거에 선소장이 주장했던 내용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있는 것 같다”고 했습니다. 담당CP나 PD가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데도 국장이나 본부장의 말 한 마디로 그렇게 사람을 무리하게 하차시켜도 되느냐고 묻자 “통상적인 실무 판단은 저와 담당 PD가 하지만 이번 결정은 최종적으로 본부장이 내렸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는 소장님께 죄송하지만, 저로서는 방송국 입장을 관철해야 하는 책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10여분 간 통화 후 전화를 끊은 뒤 제가 다시 담당CP에게 전화를 드려 시청자에 대한 안내문안을 보내기 전에 저의 동의를 반드시 구해달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 날 저녁 담당PD를 통해 보내온 다음과 같은 안내멘트 문안은 저로서는 수용할 수 없었습니다. “선대인소장이 오늘부터 사정상 출연하지 못합니다. 지난 6주간 노후대책이나 현명한 소비전략 등 유익한 경제정보를 전해주셨는데, 아쉬운 마음입니다. 고맙습니다.”

방송국의 책임은 하나도 거론하지 않으면서 마치 제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갑자기 출연하지 못하는 것처럼 인식하게 하는 문구였습니다. 수백만 명이 본다는 프로그램을 제 개인 사정에 따라 아무런 사전 양해도 구하지 않고 갑자기 무책임하게 그만두는 출연자의 모습으로 저는 비쳐지기를 원치 않았습니다. 뒤에 따라온 저에 대한 형식적인 감사 표시는 제가 요구했던 것도 아니었습니다. 저는 PD에게 전화를 걸어 멘트를 다시 작성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이후 아무런 연락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추석날 오후 다른 출연자가 원래 안내멘트 문안이 들어간 대본을 보고 제가 개인 사정으로 갑자기 중도하차하는 줄로 알고 아쉽다는 문자를 보내왔습니다. 제가 분명히 제 뜻을 반영한 수정을 요구했는데도 당초 멘트가 그대로 나가게 될 상황이라고 판단됐습니다. 그래서 해당 안내멘트는 절대 동의할 수 없다며 제가 KBS의 책임을 명확히 명시하고 저의 깊은 유감을 표시하는 별도의 문안을 보내면서 수정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묵묵부답이었습니다.

다음주 방송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이어서 제가 기다리다 못해 어제 저녁 다시 담당PD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그런데 PD의 태도가 확 달라졌습니다. 20분간 통화했지만, 미리 준비해둔 듯 통화 직후 PD가 보내온 장문의 문자가 그 입장을 잘 보여줍니다.

핵심 내용은 “(이번 결정이 내려진 것은) 선대인씨가 제작진과의 사전 협의를 무시하고 두 번이나 독단적으로 방송하는 실수를 범한 데 있다”며 마치 제 스스로의 잘못 때문에 저를 출연정지시키는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제 주장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진이 준비한 뉴스 화면 등을 제가 소개하지 않고 지나갔다는 겁니다. 지금까지는 저의 양해를 구하다가 그래도 제 태도가 달라지지 않자 저의 문제제기를 예상한 제작진이 꼬투리를 잡아 사후에 알리바이를 만드는 것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왜 그러냐. 생방송에서 10분 안에 준비한 내용을 전달하자면 긴장되고 시간에 쫓길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그래프나 수치 등을 제시해야 하는 경제 문제는 더더욱 시간에 쫓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상 준비한 대본 내용 가운데 70~80% 정도밖에 소화하지 못합니다. KBS가 문제삼은 방송분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에서도 제가 다루지 못하고 생략한 내용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제작진이 뒤늦게 문제삼는 해당 방송분 두 편에서 사용하기로 돼 있었던 뉴스화면 한 편씩을 소개하지 않았다며 그걸 출연 정지 사유로 삼는 겁니다. 그 화면들을 소개하지 않았다고 해서 그들의 주장처럼 갑자기 제가 설명한 내용이 “아파트 값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선대인씨의 발언 내용이 KBS의 공식적인 입장인 것처럼 오해받을 소지가 있게”되는 것일까요? 제작진이 준비한 영상은 제작진 설명대로 제 주장을 뒷받침하는 KBS의 방송 내용인데, 그런 영상들이 들어갔다면 오히려 제 발언을 KBS의 공식적인 입장인 것처럼 더 강화해준 꼴이 된 것 아닐까요? 백보를 양보해도 저를 출연 정지시킬 정도로 그토록 중요한 내용이었다면 사전에 이 부분은 꼭 설명해달라고 요청을 하거나 최소한 사후에라도 그런 부분을 지적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그런 요청이나 지적이 없었습니다.

또한 장문의 문자에는 제가 제 때 방송원고를 주지 않아 제작진이 밤늦게 고생하게 했다며 갑자기 저의 ‘성실성’을 문제삼습니다. 이 부분도 저로서는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섭외가 왔을 당시부터 제가 일이 너무 많아서 출연이 어렵다고 했습니다. 출연 이후에도 최근에 주거정보앱 ‘집코치’를 론칭하고 그 기념으로 저희 연구소 특별이벤트까지 진행한 상황이어서 원고가 늦어질 때 피디와 작가들께 사과하고 양해를 구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벤트가 끝난 뒤에는 작가가 요청한 시간에 늦지 않게 일찌감치 원고를 전달했습니다. 더구나 담당PD는 출연 초기에 지금까지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가장 완벽한 원고를 보내준 사람이 저라고 여러 출연자 앞에서 추켜세우기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와서 이런 것까지 꼬투리를 잡으려는 모양입니다.

어제 보내온 문자의 압권은 마지막 부분입니다. 당초 안내멘트 문안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안내 멘트를 내보내겠다는 겁니다. “그동안 선대인씨가 방송중 밝힌 아파트 관련 의견이 KBS의 공식입장이냐고 묻는 시청자들이 있어, 제작진은 회의 결과 실제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판단 아래 선대인씨의 출연을 중지키로 하였습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자신들의 잘못된 행태는 전혀 거론하지 않고 저에게 잘못을 돌리겠다는 압박으로밖에 여겨지지 않았습니다. 이 글을 쓰는 도중 위의 내용을 포함해 다른 두 개의 안을 보내왔습니다만, 저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어제 담당PD로부터 이런 문자를 받고 저는 이 문제를 공론화하기로 최종 결심했습니다. 제 개인적 차원에서는 상당한 불이익과 피해가 따를 수 있지만 많은 고민 끝에 대의와 원칙, 양심을 따르기로 했습니다. 저는 대학시절에도 학내 언론활동을 했고, 신문기자로서 사회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그래서인지 올바른 정보가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사람들이 올바른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입니다. 아침마당에 출연하게 된 것도 바로 그런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출연 전 여러 가지 일로 바빠서 출연이 어렵다고 난색을 표명했는데도 제작진에게 설득당한 것은 바로 수백만 명의 시청자들에게 도움되는 경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어제 통화 도중 PD가 “선소장 저의가 뭐냐. 이 방송을 망치려는 거냐”라고 했는데, 저는 분명히 대답했습니다. “아침마당이 더 좋은 방송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것뿐이다”라고. 솔직한 심정입니다. 저는 아침마당이 좀 더 다양한 식견과 통찰을 가진 전문가들이 나와서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되려면 다양한 양질의 정보가 전달돼야 하고 전문가가 출연하고 탈락하는 과정이 시청자에게 약속한 그대로 투명하게 지켜져야 합니다. 그런데 저의 출연 정지는 그런 과정을 결여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KBS가 그런 과정을 사실과는 왜곡되게 설명하려 하고 있다고 느낍니다. 그러하기에 저는 제가 그 동안 겪은 일들을 최대한 정확히 설명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KBS 관계자분들게 다시 묻습니다. 지금 KBS 관계자들이 내세우는 ‘시청자’는 도대체 누구입니까? 제가 발언한 내용이 문제가 있어서 시청자게시판이나 티벗 댓글 등에서 논란이 되거나, 대표성이 있는 시청자단체 또는 KBS의 시청자 옴부즈맨 등이 문제를 제기했다면 이번 결정에 어느 정도 납득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몇 번을 물어도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도 않고, 담당PD와 CP도 누구인지 모르는 ‘시청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렇게 원칙 없고 전례 없는 무리한 결정을 하는 것이 공영방송이라는 KBS의 위상에 맞는 것인지 의문입니다. 저는 그 ‘시청자’의 정체를 알고 싶습니다. 이 문제가 불거진 이후로 제가 줄기차게 거듭 물었지만 아직도 명쾌한 답변을 듣지 못했습니다. 한두 번의 의견으로 KBS 국장과 본부장을 움직일 수 있고, 수백만 시청자와의 약속까지 어기며 출연자를 쫓아낼 수 있는 그 막강한 힘을 가진 ‘시청자’가 누구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 사람이 정말 ‘시청자’라고 불려야 하는지도 의문입니다. 충분히 대표성을 갖추지 못한 시청자에게 휘둘리는 방송이라면 KBS는 공영방송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또한 시청자에게 한 약속도 지키지 못하는 방송을 만들면서 KBS 수신료를 인상해달라고 요구할 자격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저는 이번 일이 제 개인 차원의 문제라면 속이 상하고 불쾌하더라도 얼마든지 넘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언론의 공정성과 여론 다양성을 훼손할 수 있는 문제이고, 공영방송의 가치에 의문을 갖게 하는 문제입니다. 이런 문제를 알고서도 침묵한다면 저와 같은 제2, 제3의 피해자는 얼마든지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제가 고심 끝에 털어놓는 이야기들이 KBS의 공영성과 공정성을 강화하고, 시청자들을 좀 더 두려워하는 방송으로 거듭나도록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좀 더 성숙한 ‘열린사회’가 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로 이 글에 담긴 내용의 대부분을 뒷받침할 통화 녹음파일과 통화내용 메모 및 문자 내용 등이 있습니다. 저는 이런 자료들까지 공개해야 할 상황이 오지 않기를 바라지만, 제 말의 진실성을 검증하는데 꼭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이들 자료를 공개할 용의가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명박 ‘단죄’ 언제까지 미룰 것인가

 

[김종철 칼럼] ‘지존’의 엄명이 떨어지지 않았나? ‘4대강’부터 ‘대선 부정’까지 청문회 시급하다

김종철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cckim999@naver.com  2016년 09월 19일 월요일

지난 추석 연휴에 4대강(낙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지역을 찾아간 사람들 가운데 특히 낙동강변을 둘러본 이들은 참담한 마음을 가누지 못했을 것이다. 이른바 ‘녹조 라떼’가 뒤덮인 곳이 수두룩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22조원이 넘는 국가예산을 들여 4대강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거액의 ‘토목공사 비리’가 일어나게 한 장본인인 이명박은 연휴가 시작되기 하루 전인 9월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페친 여러분, 고향 가는 길 평안하십니까”라고 물은 뒤 “여러 모로 어수선한 요즘이지만, 명절 연휴를 맞는 마음만은 풍성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라고 ‘덕담’을 했다. 규모 5.8의 강진이 일어나자 갈팡질팡을 거듭한 박근혜 정권을 은근히 비꼬면서 태연스럽게 ‘한가위 인사’를 한 셈이었다. 그러면서 이명박은 자기 이름 자랑도 했다. “저희 어머니는 밝은 보름달이 치마폭에 안기는 꿈을 꾸고 제 이름을 밝을 명(明), 넓을 박(博) 자를 써서 ‘명박’이라고 지으셨습니다. 그래서 보름달을 볼 때마다 어머니 생각이 더 깊어집니다.” 이명박의 할아버지가 일제강점기에 ‘츠키야마(月山)’로 ‘창씨개명’을 했고 이명박도 그 성을 따라 자연스럽게 ‘츠키야마 히로아키(明博)’가 되었는데 엉뚱하게 어머니의 ‘깊은 뜻’을 강조한 것이다. 하기야 ‘전과 14범’으로 대통령이 된 인물에게 그런 사실 왜곡쯤이야 대수로운 일이 아닐 법도 하다.

 

▲ 사진=ⓒ연합뉴스
 

 

이명박은 대통령 재임 기간 5년 동안 국정을 파탄 상태로 몰아넣을 정도의 온갖 부정과 비리가 저질러진 데 대해 최종적 책임을 져야 할 장본인이다. 그런데도 그는 박근혜가 집권한 지 3년 반이 넘도록 단죄(斷罪)를 받기는커녕 대통령에 버금가는 경호를 받으면서 나라 안팎에서 호사를 누리고 있다. 그는 지난해에 펴낸 회고록(<대통령의 시간>)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세계 금융위기를 다른 OECD 국가들보다 빨리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자화자찬을 하면서 “그와 동시에 한 해 수백 명의 인명 피해와 수조 원의 재산 피해를 내는 수해에 대한 근원적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기초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야말로 사실 왜곡의 극치를 보이는 궤변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아니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명박은 임기 중에 ‘내란’을 저지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자원외교’라는 이름으로 해외에 36조 원을 투자했다가 국제적 사기를 당하거나 부실한 투자로 국고에 4조원 가까운 손실을 끼친 것은 ‘외환(外患)’이라는 용어 말고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방산 비리’는 이명박이 책임을 져야할 또 하나의 중대한 사건이다. 검찰, 경찰, 군으로 구성된 정부합동수사단이 2014년 11월 하순부터 7개월 동안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 7년에 걸쳐 9800억여원에 이르는 방산 비리가 저질러졌는데, 그 액수 가운데 대부분이 이명박 정부 시기의 것이었음은 물론이다. 이명박 본인이 비리에 관련되었다는 증거가 없다 하더라도 국정 운영의 최고 책임자인 그는 그런 거액의 부정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지난 2012년 대통령선거 기간에 이명박 정부가 저지른 부정행위들이다. 국제방송인 <독일의 소리>는 2014년 8월 6일 “한국 국정원의 지난 2012년 대선 개입은 대통령의 지시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거기 대해 이명박은 지금까지 항의를 하거나 정정보도를 요구한 적이 없다. 그가 감독권과 인사권을 장악하고 있던 국정원은 물론이고 국군 사이버사령부와 보훈처 등이 대선 부정행위에 가담한 사실은 여러 가지 증거로 입증된 바 있다.

이명박은 재직 중에는 형사소추를 면할 수 있었지만 퇴임 뒤에는 당연히 법의 심판을 받아야 마땅하다. 그러나 박근혜 정권의 검찰은 그를 수사할 엄두도 내지 않고 있다. ‘지존’의 엄명이 떨어지지 않아서일까? 그래서인지 이명박은 박근혜를 조롱하는 투의 언행도 서슴지 않았다. 그는 지난 7월 초 새누리당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나도 못했지만, (박 대통령은) 나보다 더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명박 정부는 롯데그룹에 갖은 특혜를 베풀었다. 논란이 컸던 제2롯데월드 건축 및 서울 서초대로 인근 부지 용도변경 허가부터 부산롯데월드 부지 변경, 맥주사업 진출 허용, 면세점 사업 독과점 승인에 이르기까지 ‘롯데 천하’를 만들다시피 해주었다. 그런데 올해 들어 검찰이 수사를 집중하고 있는 것은 이명박의 개입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었을 그런 특혜들이 아니라 롯데그룹 경영진 일가의 부정이나 비리 의혹뿐이다.

 

 
 

 

이명박은 재직 중에 ‘국기를 문란’하게 한 온갖 사건들에 대해 당연히 검찰의 수사를 받고 확인된 증거에 따라 기소되어야 한다. 그런데 박근혜 정권에게는 그것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국회가 나서서 먼저 청문회를 열어야 할 것이다. 새누리당이 반대하리라고 지레 짐작하며 포기하지 말고 야권 3당이 합심해서 이명박을 청문회에 세워야 한다. 그리고 현재 대선후보 경선 출마 의사를 밝힌 야권 정치인들은 ‘이명박 단죄’를 명확한 공약으로 내걸기 바란다.

· 이 글은 <뉴스타파>에도 함께 실립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백남기 선생이 지키려했던 우리밀 현황은?


한국인 소비 2위 작물이지만 자급률 1%… 품종다양화, 가격경쟁력 확보 등 정책과제 많아
▲ 밀 생산주기 (사진출처: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지난해 11월14일 민중총궐기에서 살인 물대포에 의해 300일 넘게 사경을 헤매는 백남기 선생은 죽어가는 우리밀을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농민이다. 백남기 선생은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광주·전남본부에서 활동하며 30년 간 밀농사를 지어왔다.

밀은 평균적으로 한국국민이 1인당 섭취하는 칼로리의 약 11%를 차지해 28% 가량인 쌀에 이어 두 번째로 비율이 높은 작물이다. 그러나 국내 밀 자급률은 약 1% 수준에 그치고 있다.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등은 “수확 전 제초제 살포(프리하베스트), 유전자조작밀의 가능성 등 먹을거리 안전성 문제도 있지만, 밀 생산은 2모작을 통한 논농업 소득보전 기여로 쌀 시장 완전개방시대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중요한 기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현재 국내 밀 생산 현황과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는 무엇인가?

해방 이후 원조 형식으로 밀가루가 국내에 들어오기 시작해 1960년대를 거치면서 수입밀이 시장을 완전히 장악했다. 몇몇 수입밀 업체들은 오늘날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국내 밀생산은 붕괴됐고 정부는 1984년 결국 밀수매제도마저 폐지했다.

2007년 세계 곡물가 폭등으로 밀 자급률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자 정부도 제2녹색혁명 주창 속에 우리밀살리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20년 가까운 우리밀살리기운동에도 불구하고, 0.2~0.5%에 머물던 밀 자급률이 오늘날 1%에 이른 것은 이 덕분이다. 정부의 관심만으로 1%에 도달했다. 우리밀 발전에 정책의 역할이 얼마나 큰지를 잘 보여주는 내용이다.

그렇지만 정책당국이 2015년까지 밀 자급률을 10%로 올리겠다는 목표는 실패했다. 우리밀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그에 맞는 정책이 함께하지 못한 탓이 크다. 이에 정부는 올해 다시 2020년까지 밀 자급률 5.1%로 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밀 생산자를 포함한 산업 관계자들은 국산밀 자급률을 끌어올리는 데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품질과 가격을 들고 있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 접근이 행해지지 못하고 있다.

송동흠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사무총장은 “밀 품질 제고의 핵심은 품종이다.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 3~5개에 그치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자신의 손으로 품질을 결정짓는 개별 가게에서는 가능하지만, 양산체제에서 요구하는 품질을 맞추기는 쉽지 않다. 5.1% 자급은 이 같은 문제 해결 없이 도달하기는 쉽지 않다. 현재 국산에서 가장 많이 재배중인 종자인 백중밀에 대해 ‘2017년부터 백중밀은 받지 않겠다’고 현수막을 내거는 수매업체까지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고 설명했다.

밀은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기보다 가공업자들이 주요 1차 소비자인데 애국심만으로 밀을 사라고 강요할 수 없다. 송 사무총장은 “밀산업이 시장 경쟁력을 가지려면 빵, 국수, 과자, 막걸리 등 각각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종자들이 개발돼야 하는데 국가차원의 투자가 빈약하다. 우리가 늘 관심을 두고 있는 일본, 그들은 현재의 밀 12% 대의 자급이 품종개발의 힘이라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격문제를 보면 우리밀은 현재 알곡 기준으로 수입밀 대비 3배 정도 가격이 높다. 송 사무총장은 “국산밀이 가격저항력을 가지려면 정부에서 종자비나 비료대 등 생산자재를 지원해 생산비를 낮추거나, 직접 지불금을 높여 싼 가격에 밀을 팔더라도 밀농가의 소득보전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송 사무총장은 “정부에서 뒤늦게나마 관심을 가져준 덕분에 밀 자급률이 1%는 넘어섰다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 이대로라면 더 이상의 자급률 향상은 어렵다. 정부 차원에서 단순히 ‘우리밀이 좋으니까 우리밀 먹자’고 홍보하는 수준을 넘어 근본적인 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수영 기자  heoswim@naver.com

허수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