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어릴 적 제사나 명절 때마다 어른들이 숨죽이며 증언했던 4.3을 떠올렸다.
80년대 초반, 선후배⋅동료들과 4.3에 관련한 자료를 구해 토론하고, 연구하고, 분노했던 4.3이 다시 기억 저편으로부터 생경하게 떠올랐다.
지난 5월16일, 모친의 49제를 마치고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4.3평화공원에 갔을 때 가장 먼저 다가 온 것은 과거의 ‘기억’이었다.
그것은 ‘다랑쉬굴에서의 학살’에 대한 기억이었고, ‘숨막힘’과 ‘공포’의 기억이었고, ‘분노’와 ‘절망’의 기억이었다.
4.3은 할아버지의 ‘죽음’이었고, 셋아버지의 ‘행방불명’이었고, 아버지의 ‘가난’이었고, 우리 모두의 ‘숨죽임’이었다.
사실 90년대 초반 이후, 나는 4.3을 벗어나고 싶었다.
그 어둡고 끔찍한 기억이 싫었고, 숨막힘이 싫었고, 그 고통과 패배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아마 90년대 후반쯤이라고 기억한다.
4.3진상규명을 위한 활동이 한창일 때, 학술토론회를 마친 뒷풀이 자리에서 이렇게 얘기했던 기억이 난다.
“4.3은 더 이상 학살과 주검이 돼서는 안된다. 4.3이 더 이상 패배의 기억으로만 남아서는 안된다. 4.3은 우리 노동자민중운동의 진전만큼 밝혀질 것이다. 역사의 진전만큼만 4.3은 자신의 온전한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그래서 강요배 화백의 ‘4.3 연작 그림’ 가운데, 한라산을 배경으로 제주도민들이 밝은 모습으로 서 있는 그림을 가장 좋아했다.
해방 직후 제주도민들이 원했던 것이 무엇이었을까?
바로 자신들의 힘으로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꿈이었을 거다.
진정으로 ‘해방’된 세상을 스스로 직접 만들어 가야하고 갈 수 있다는 희망이었을 거다.
어쨌든 한 매듭이 지어졌다.
2003년 ‘4.3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정부차원의 공식적인 사과를 했으며, 방대한 4.3평화공원이 만들어짐으로써 한 매듭 지어졌다.
50여 년간 ‘없었던 역사’, ‘억울한 죽음의 역사’는 이제 ‘평화’와 ‘인권’의 관점에서 한 매듭됐다.
아버지와 함께 찾아간 위령제단에서 13,000여개가 넘는 4.3희생자 명패 가운데 할아버지와 셋아버지의 명패도 있었다.
이제 모두 ‘학살’과 ‘공포’의 기억을 잊고 편히들 쉬시라.
4.3평화공원을 나서면서 지난 20여 년간 제주를 잊고 제주를 떠나고자 했던 나의 ‘의지’도 그곳에 묻고 나왔다.
4.3 당시 ‘해방’을 꿈꾸었던, 당시 제주도민들의 꿈, 그 해방을 향한 열망만을 오롯이 가슴에 품고 나섰다.
그리고 4.3평화공원을 뒤로 하고 달리는 자동차에서 멀리 한라산을 바라보며, 이런 상념이 언뜻 스쳐간다.
“제주도는 자연이 역사를 압도하고, 그 자연을 거대자본이 장악해 가고 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