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한라산기슭에서 살아가기 위해

4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05/19
    제주 4.3평화공원에서
    푸르른 날
  2. 2010/04/11
    [견우를 그리워하며1] 어머니의 마지막(?) 자존심
    푸르른 날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어릴 적 제사나 명절 때마다 어른들이 숨죽이며 증언했던 4.3을 떠올렸다.

80년대 초반, 선후배⋅동료들과 4.3에 관련한 자료를 구해 토론하고, 연구하고, 분노했던 4.3이 다시 기억 저편으로부터 생경하게 떠올랐다.

지난 5월16일, 모친의 49제를 마치고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4.3평화공원에 갔을 때 가장 먼저 다가 온 것은 과거의 ‘기억’이었다.

그것은 ‘다랑쉬굴에서의 학살’에 대한 기억이었고, ‘숨막힘’과 ‘공포’의 기억이었고, ‘분노’와 ‘절망’의 기억이었다.

4.3은 할아버지의 ‘죽음’이었고, 셋아버지의 ‘행방불명’이었고, 아버지의 ‘가난’이었고, 우리 모두의 ‘숨죽임’이었다.

 

 

사실 90년대 초반 이후, 나는 4.3을 벗어나고 싶었다.

그 어둡고 끔찍한 기억이 싫었고, 숨막힘이 싫었고, 그 고통과 패배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아마 90년대 후반쯤이라고 기억한다.

4.3진상규명을 위한 활동이 한창일 때, 학술토론회를 마친 뒷풀이 자리에서 이렇게 얘기했던 기억이 난다.

 

“4.3은 더 이상 학살과 주검이 돼서는 안된다. 4.3이 더 이상 패배의 기억으로만 남아서는 안된다. 4.3은 우리 노동자민중운동의 진전만큼 밝혀질 것이다. 역사의 진전만큼만 4.3은 자신의 온전한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그래서 강요배 화백의 ‘4.3 연작 그림’ 가운데, 한라산을 배경으로 제주도민들이 밝은 모습으로 서 있는 그림을 가장 좋아했다.

해방 직후 제주도민들이 원했던 것이 무엇이었을까?

바로 자신들의 힘으로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꿈이었을 거다.

진정으로 ‘해방’된 세상을 스스로 직접 만들어 가야하고 갈 수 있다는 희망이었을 거다.

 

 

어쨌든 한 매듭이 지어졌다.

2003년 ‘4.3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정부차원의 공식적인 사과를 했으며, 방대한 4.3평화공원이 만들어짐으로써 한 매듭 지어졌다.

50여 년간 ‘없었던 역사’, ‘억울한 죽음의 역사’는 이제 ‘평화’와 ‘인권’의 관점에서 한 매듭됐다.

 

아버지와 함께 찾아간 위령제단에서 13,000여개가 넘는 4.3희생자 명패 가운데 할아버지와 셋아버지의 명패도 있었다.

이제 모두 ‘학살’과 ‘공포’의 기억을 잊고 편히들 쉬시라.

 

 

4.3평화공원을 나서면서 지난 20여 년간 제주를 잊고 제주를 떠나고자 했던 나의 ‘의지’도 그곳에 묻고 나왔다.

4.3 당시 ‘해방’을 꿈꾸었던, 당시 제주도민들의 꿈, 그 해방을 향한 열망만을 오롯이 가슴에 품고 나섰다.

그리고 4.3평화공원을 뒤로 하고 달리는 자동차에서 멀리 한라산을 바라보며, 이런 상념이 언뜻 스쳐간다.

 

“제주도는 자연이 역사를 압도하고, 그 자연을 거대자본이 장악해 가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견우를 그리워하며1] 어머니의 마지막(?) 자존심

[견우를 그리워하며1] 어머니의 마지막(?) 자존심

 

 

어머니의 호인 ‘견우’가 牽牛인지 見牛인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천천히 알아 볼 생각이다.

급할 것은 없다.

견우가 이제는 이 세상에 없기 때문이다.

벌써 열흘이 지났다.

 

지난 열흘간 어머니의 영정을 볼 때마다 자꾸 떠오른 것은, 그래서 눈물을 가눌 수 없게 하는 것은 지난 3월 11일, 그러니까 돌아가시기 3주 전 제주대학교 병원에서의 어머니의 모습 때문이다.

 

***

 

제주대 병원에서의 하루 밤은 마치 전쟁을 치르는 것 같았다.

어머니는 병원에서 모든 식사를 거부했다. 통증 때문에 밤새 잠도 주무시지 못했다.

“어머니! 식사를 해야 약도 드실 수 있고, 약을 드셔야 밤에 잠도 주무실 수 있지 않으꽈?”

“싫다.”

“무사마씨?”

“먹기 싫다. 설사를 자꾸하는데 먹으면 또 설사할 것 같다.”

 

***

 

“저 *(요양사)이 우리집 망허게 할 거라”

“무사 경 말햄수꽈? 어머니 도와주시는 분인디”

“우리집 망허게 할 거라”

“어머니! 돈 때문에 걱정햄꾸나”

“맞아”

“돈 걱정하지맙써. 우리집 안망헙니다. 경허고 어머니가 걱정헌덴허영 방법이 이수과?”

“그건 맞아”

 

***

 

밤새 허리 통증, 가슴 통증 때문에 잠을 못 이루시자 어머니께

“경해도 좀 자려고 해봅서”

“무사 내가 이렇게 아픈지 모르커라. 무사 내가 이렇게 아파야허는지 모르커라.”

“밤새 앉아 있지만 말고, 누워서 자젠해 봅서게. 어머니가 안 자난 나도 못잠수게. 나도 잠을 자사 내일 일 나갈 수 이신디---”

“그건 맞아. 경헌디 내가 무사 이렇게 아파야 하는지 모르커라.”

 

***

 

한밤 중 담배 피려고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 어머니는 병실에서 복도로 나오셨다.

다시 모시고 들어갔다. 몇 번이고 되풀이됐다.

“어머니, 지금 한밤중이고 다른 환자들도 자고 이시난 복도밖으로 나오면 안돼마씸”

“집에 가야메. 집에 아버지한테 가야메”

“아버진 내일 아침 일찍 오켄해수다. 오늘 병원이 마지막날이니까 잡서게.”

“아니라. 아버지 안올꺼라. 내가 가야메. 내가 가야메.”

“아버지 아침 일찍 오켄해수다. 꼭 옵니다. 걱정하지맙서”

“아니라, 집에 가야메 --- 집에 가야메 ---”

 

***

 

“병원에서 나가믄 우랭이(어머니 고향)에 가게”

“경헙주게. 겐디 우랭이에 옛날집 다 어서진거 알아? 다 아파트가 들어서서--”

“경해시냐? 경해도 우랭이에 가게 --- 우랭이에 가게”

 

밤새 어머니와 치르는 실랑이 속에서 어머니가 회복하기 힘든 과정을 가시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머니는 왜 자신이 통증 때문에 이런 고통을 받아야 하는지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그 고통 속에서도 어머니는 당신만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려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곁에서, 그 자존심을 지키시려는 어머니를 위해 자식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다는 그 무력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