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의 아웃팅

from 우울 2005/07/19 02:42
친구의 생일에 놀러갔는데
그자리에 온 독일 친구들이 그 자리에 없는 다른 친구 이야기를 하면서
그녀가 레즈비언임을 별 신경쓰지 않고 거론하는 것을 보고
사실 굉장히 깜짝 놀랐다.
'아니, 얘가 아웃팅을 모르고 있나? 이건 거의 범죄수준이잖아!'

독일에서는 동성애가 상대적으로 공공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TV의 시트콤에 게이남성이 주인공으로 나오고
쇼프로에서도 자주 동성애자들을 볼 수 있다.
독일 친구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주변에 동성애자인 친구들이 한둘씩은 있는 것 같다.

아직도
6월에 있는 'Christopher Street Day'에는
베를린의 수많은 게이/레즈비언들이 다양한 복장으로
경찰의 보호를 받으면서 긴 행렬을 이루어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고
여전히 실재하는 편견과 폭력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이지만
우리나라에 비해 그들의 삶에 더많은 기회가 있는 것임은 분명하다.

어찌되었건,
나는 깜짝 놀라서 과감하게 '아웃팅'을 한 친구에게 물었다.
'너 그렇게 다른 친구의 성정체성을 남에게 쉽게 이야기해도 되니?
독일에는 아웃팅의 개념이 혹시 없는거니?'
그러자 그 친구가 웃으면서 말했다.
이제 독일은 동성애에 대한 시각이 많이 변화되어서
누군가가 동성애자라는 것을 밝히는게 사회적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오히려 밝힘으로써 그녀가 가질 수 있는 기회도 더 많아지고
주변 사람들도 더 자연스럽게 그녀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여기 와서 만나는 동양인들은
대부분 자국에서 동성애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충분히 갖고 온 사람들인데
심심치 않게 그들이 자신의 생각이 변화되었음을 토로하는 것을 보게 된다.
주변에서 자주 보게 되다보니 어쩔 수 없이 그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아직 우리 사회에서 스스로를 동성애자로 드러내는 것은
사회적 자살에 가까운 것인지도 모르겠다.
언제쯤 우리는 레즈친구이야기를 이성애자 친구이야기처럼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될까.
독일에서의 아웃팅,
어쨌든 부러운 단면이었다....

덧붙여,
글을 쓰고 나서 생각해보니,
이곳의 'Christopher Street Day' 때
내가 본 모습으로는
사회적 편견이나 폭력에 대한 반대를 위한 목소리를 내는 것보다
자신들만의 축제를 즐기면서 스스로들을 드러내고
'AIDS' 예방을 주로 이야기했던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7/19 02:42 2005/07/19 02:42
한달에 50유로 기본료를 내고 전화와 인터넷을 사용하기로 했다.
갑자기 화면이 빨리 뜨고 메일이 바로 보내지고
메일 보내기 전에 복사해서 저장을 해두지 않아도
글을 쓰면서 계속 복사를 해두지 않아도 되는것이 너무 낯설다.

보내기 버튼을 누를 때마다 찾아오던 불안한 감정을
막 느끼려고 하자마자
메일이 보내지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인터넷을 신청하니 1달 반만에 설치를 해준다.
전에 쓰던 인터넷을 해지하려니 1달 후에나 해지가 가능하단다.
전화설치해주는 아저씨가 전화를 해서
자기가 8시부터 오후 6시 사이에 오니 그날 집에 있으란다.
내가 오전에 어학원에 가야하니 1시 이후에 와주십사 부탁했더니
그럴 수는 없단다.
무조건 집에 있던지 다른 사람을 불러놓던지 하란다.
결국 어학원을 하루 안가버렸다.
뭐 이런 나라가 다 있나 싶지만 이런 일을 겪고 또 겪는 사이에
조금씩 익숙해 져간다.
그래도 겪을 때마다 욕이 나온다.
친절함같은 것은 귀를 씻고 찾아봐도 없는 나라.

한국같이 살기 좋은 나라가 없다고
이곳 사람들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특히 날씨가 정말 사람을 너무 괴롭히니까
자연만큼 사람 힘겹게 만드는게 없다.
여기 있는 사람들 중에 독일이 살기 좋아 이곳에 있는 사람은
한번도 못봤다.
대부분 힘겹게 와서 못돌아가고 있는 거다.
돈안들이고 공부할 수 있는 나라는 이곳밖에 없으니까.
그래도 정말 사람 살 곳은 아니다 싶을 때가 많다.
지내다 보면 정이 들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7/15 06:48 2005/07/15 06:48

화장실에서 또

from 우울 2005/05/16 17:07
아침에 일어나서 메일확인을 할까하고 컴퓨터를 켰더니
인터넷이 유난히 빠르고 끊김이 없다.
여기 와서 사용해본 날 들 중 최고로 잘 되고 있다.
아마도 연휴마지막 날 아침이기 때문인 것 같다.
어제는 거리에서 축제가 벌어져서
베를린 사람들이 거의 다 거리에 쏟아져 나온 것 같았다.
아마 어제 축제 구경갔다가 맥주도 한잔씩 하고
늦게 들어와서는 다들 인터넷을 안쓰나 보다.

축제가 참 많다. 큰 축제들이 한달에 한 번씩은 있는 것 같다.
어제는 세계문화축제였는데 해마다 하는 행사라고 한다.
그냥 이곳에 사는 외국 사람들이
자기 나라 문화를 보여줄 수 있는 옷이라던가 화장으로 꾸미고
간단한 퍼레이드 용 수레(?) 같은 것을 만들어서 베를린 시내를 몇시간 동안
줄줄이 이어 돌아다니면
베를린 사람들이 거의 다들 나와서 그걸 구경한다.
꽤 볼 만한 구경거리였다.
작년에는 우리나라가 2등을 했다던데...
나는 우리나라 행렬은 못봤다.
어학원 다른 친구들도 특이한 옷과 화장으로 꾸미고
퍼레이드를 ?아가면서 춤도 추고 사진도 찍고 즐겼는데
보기에 좋았다.^^

베를린에는 워낙 외국인들이 많다보니
그런 축제를 하면 참여할 수 있는 사람들도 많은 것 같다.
자유롭게 신청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모양인데
사람수가 모자라거나 나라수가 부족할 상황은 전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축제를 할 수 있을까?
외국인들 수가 너무 부족할래나...?
외국인들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는데 참 괜찮은 행사가 아닌가 싶다.
함께 춤추고 웃다보면
아, 저사람들은 나와 다른 문화에서 온 사람들이지만 또 같은 사람이구나
하고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고
그들의 문화에 대해서 신비하게 느끼게 되고
알고 싶게 되고 함부로 무시하지 않게 될 것 같다.

같이 일하는 것보다 더 사람들을 가깝게 하는 것은
같이 노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베를린은 주말에 지하철을 밤새 운행한다.
주말에는 파티를 하는 게 당연한 문화다.
밤에 지하철을 타보면 꽤 사람들이 많다.
버스도 정해진 시각에 반드시 온다.
몇시에 오는지도 정거장에 자세히 안내되어있다.
난폭운전은 절대로 없고 그냥 지나가는 일도 절대로 없고
느리게 탄다고 화를 내는 기사도 절대로 없다.
유모차를 혼자 데리고 타는 여성들도 정말 많다.
(그런데도 아직 버스나 지하철에서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사람은 한번도 못봤다)
그대신 운임이 무지하게 비싸다.
한번 타는데 2유로니까 우리돈으로 2800원정도 되려나...
하루권을 끊으면 5유로정도니까 7000원 정도...
이곳 물가가 전반적으로 한국과 거의 비슷한 정도라고 생각하면
버스와 지하철 요금은 정말 비싼 거다.
나는 어학원을 다니다 보니 학생신분이라 한달권을 46유로에 끊을 수 있다.
대략 7만원이 좀 안되려나.
다행이다....

화장실에 앉아서 글쓰는 게 영 익숙해지지 않는다.쩝.
불편하다...쩝..쩝...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5/16 17:07 2005/05/16 17:07

화장실에서

from 우울 2005/04/30 16:08
난 화장실에 앉아있어요
지금 당신은 뭘하고 계실까?

화장실에서만 인터넷이 된다.
90년대 모뎀보다 더 느리고,
불안정한 면에 있어서는 뭐 비교할 대상이 없는 인터넷 서비스라고 할 수 있겠다.

인터넷을 해보겠다고
화장실까지 노트북을 들고 들어와 본 나도 참 우습다.
하지만 서비스 이용료도 냈는데 어떻게든 사용함이 옳지 않겠나...^^

곧 5월 1일이 된다.
어제는 어학원에서 독일어 선생이 독일의 메이데이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검은 옷을 입은 '좌파' 노동자들과 경찰들의 충돌로 다칠 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충고해줬다.
충고와는 관계없이 'Links-좌파', '노동자의 날' 등의 단어가 나오자
가슴이 두근두근 거렸다.

사람들이 참 크다.
여자들도 남자들도.
나같은건 정말 작기도 참 작다.

힘도 참 세다.
1리터짜리 물병을 가방에 넣고 다닌다.
사람도 크고 가방도 크고 물병도 크고 데리고 다니는 개도 크고
번쩍 번쩍
한국사람들이랑은 물건을 드는 세기에 있어 차원이 다른 것 같다.

뭐랄까...
이곳은... 물의 농도가 진해서 흐름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아주 거대한 강이랄까
그런 느낌이다.

햇볕이 찬란한데도
회색안개 속에서
표면에 진한 녹색의 이끼가 두껍게 덮인,
건너편이 보이지 않는 강가에 서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같은 유럽이라지만 각 나라 사람들이 참 다르다.
뭐랄까 세상에는 정말 전형이라는 것이 있구나 싶다.

베를린에서는 색깔을 느낄 수가 없다.
사람들의 옷색깔이 너무 낯설다.
대부분이 참...선명하지 않다.
빛바랜 도시.

흐름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느려서
한국에서 처럼 무언가가 마구 떠내려가 버리는 일은 없다.

들은 이야기로
한국에서 오는 노동자대표들은
해마다 다른데
해마다 같은 질문을 한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그런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다.
왜 지난 자료들을 미리 읽고 새로운 것을 준비해 오지 않는가 묻는다.

연방정부대표가 TV에 나와서
자신이 한 결정이 잘못이었음을 인정하고 사과하기도 한다.
지난 주였나 나는 사실 깜짝 놀랐다.
Fehler gemacht - 대략 상황에 맞게 우리말로 하자면 '잘못 결정했었다'
좀 더 많은 정보를 검토했었어야 했다
고 이야기 하는데 너무 낯설어서 너무 낯설어서 너무 낯설었다.
정치가라면 적당히 쇼맨쉽을 발휘할만도 한데
참으로 담백하기도 하였다.

사람 사는 곳이 다 똑같기도 하지만 참 다르기도 하다.
이곳에도 작은 한국이 있다.
한국인들이 모인 곳은 참 한국스럽다.
참 그렇다....야옹...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30 16:08 2005/04/30 16:08

드디어 인터넷을...

from 우울 2005/04/24 21:51
bear.jpg
집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상당히 느리고 불안정하지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기쁘다.
이러 저러하여 베를린에 왔다.
벌써 온지 한 달이 넘었다.
참으로 긴 한 달이었다.
운좋게 2년유효비자를 받았다.
보통 어학원 등록기간 정도의 비자를 주는 경우도 많다는데
어찌되었건 운이 좋았다.
집계약도 하고 어학원도 끊어서 다니고 은행계좌도 개설하고
기타 등등 하는 사이에 이곳에 봄이 왔다.
처음 도착했을 때는 진짜 진짜 추웠는데.
눈도 왔는데.

내 방 창문으로 보이는 나무들이 갑자기 무성해졌다.
이곳 나무들은 상당히 크다.
내 방 창문으로 보이는 나무들은 대략 이곳 10층 건물 높이 만큼 크다.
이곳 건물들은 한 층의 높이가 우리나라 건물들보다 높으니까
어쨌든 나무들이 진짜 큰 거다.

내 방은 건물 7층(우리나라 8층)에 있는데도 나무들이 크니까
방안에서 창문을 통해 나무들이 보인다.
여기서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일은
창가의 라디에터에 앉아서(뜨끈하니 좋다)
햇볕을 받는 나무들을 보거나
노을이 지는 것을 보거나
지나가는 개들을 내려다보는 것이다.

이곳의 개들은 대개 나만큼은 크다.
그리고 무척 순하다.
하지만 아직 한번도 제대로 같이 놀아본 적이 없다.
다들 주인이 있어서 혼자 제멋대로 돌아다니는 녀석은 아직 한번도 못봤다.
뭐랄까 사람들이 많은 곳은 언제나 이렇게 조금씩은 답답한걸까?

베를린에는 한국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사실 한국말만 하고 살려면 살 수도 있을 것 같다.
독일 사람 찾기가 오히려 어려울 정도로
외국사람들이 많다.
특히 음악공부하러 온 한국학생들이 어찌나 많은지 좀...끔찍할 정도.

때로는 믿기어려울 정도로 외롭다.
아무와도 아무말도 할 수 없으니까.
나는 이제 너무 까다로워져서
아무하고나 이야기를 할 수 없게 되었다.
딱히 속한 곳이라고는 어학원 뿐인데
대화가 가능한 사람은 아직 못찾았다.
함께 음악도 듣고 영화도 보고 이야기도 하고
뒹굴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도 아직 없는 건
뭐 당연한 거지만
그래도 외롭기는 하다.

가장 견디기 어려운 것은 책을 읽을 수 없다는 것이다.
생각도 못했던 벽이었다.
한국에 있으면 1년 동안 365권의 책을 읽을 수 있는데
이곳에서는 지난 한달 동안 겨우 3권의 책을 읽었다.
한국에서 가져온 '사요나라 갱들이여'는 두 번 읽었다.
역시 한국에서 가져온 보르헤스의 책 중에서 한권을 한 번 읽었다.
그리고 이곳 벼룩시장에서 1유로주고 '어린 왕자'를 사서는
더듬더듬 기억을 되살려가며 가까스로 읽었다.
독일어를 빨리 잘 하고 싶어서
한국어로 된 책은 안읽으려 했는데
그랬다간 당장 읽을 수 있는 책이 거의 없다.
서점에 가서 어린이를 위한 동화를 뒤적이는 데도 사전을 몇 번씩 찾아야 하니
답답한 일이다.

어린왕자를 읽는데,
항상 엉엉 울곤하던 부분에서 눈물이 목까지밖에 올라오지 않았다.
쩝.

아침 7시 30분에 일어나서 아침먹고 씻고
9시까지 어학원에 갔다가
12시 조금 넘어 어학원이 끝나면 대략 한시쯤 집에 돌아오거나
다른 일들을 보고 2,3시쯤 집에 돌아와서 밥을 먹는다.
TV를 틀어놓고 뒹굴뒹굴 혹은 처리해야하는 자질구레한 일들을 처리한다.
하우스마이스터를 찾아가서 서류를 낸다거나 등등
저녁을 먹고 잔다.

같은 건물에 살고 같은 어학원에 다니는 한국친구들이 가끔 찾아와서
정보를 주기도 하고 약간 귀찮게 굴기도 하고
같이 파티에 가기도 하고
파티를 연적도 있다.

근데 난 너무 게을러서 그냥 혼자 집에 있는게 더 좋다.
야옹...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24 21:51 2005/04/24 21:51

Hello!

from 우울 2005/04/12 23:18
I'm in Berlin.
How are you?
I'm O.K.
I can't write Hangul in this place.
Besides I forgot many english words.
As I memorize a Deutsch word, I forget two English words.
It's so strange for me to use English.
I'm not sure of the order of words, spelling....
Forgive me.

anyway...
I can't remember anything about Korea.
I don't have enough time to think about Korea.
But I miss you inside of my deep mind.

What's going on there?
Here, I really want to make a friend.
You know,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friend.
All the persons around me are very young and have different thinkings from me.
I know that It will take a long time but sometimes I want real conversation.
But It's O.K.
That's as usual.
Please, Keep in touch with me.

Tschus! Bis dann!

Hallo!
Ich bin in Berlin.
Wie geht's?
Ich bin O.K. Ich bin gesund.
Ich habe Visum fur zwei jahre gehabt
und auch vertrag fur mein Zimmer geschlossen.
Alles sind O.K.
Aber Ich vermisse dich.
Bitte schrieb mir einen Brief oder e-mail.
Tschus. Bis dan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2 23:18 2005/04/12 23:18

개토는독일에

from 우울 2005/03/11 19:22
개토는독일에있는작은방으로옮겨살게되었습.니다.
야옹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3/11 19:22 2005/03/11 19:22

모래인형

from 우울 2005/02/11 14:26
책을 읽고 음악을 듣고 영화를 보고, 생각한다.
그물처럼 내 기억들을 건져올려내는 책과 음악, 영화들을
기억들과 끼워맞춰 재조립하면서 하나의 체계로, 어떤 DNA로...
마치 그것들은 정답처럼 느껴진다.
그것이외의 답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나는 아주 견고한 정답을 만들 줄 알아서
때로는 그것이 진짜 정답같다.
그러나 실제 세계로 반발짝만 내딛어도 그 체계는
모래인형처럼 바람에 흩어져 버린다.

나는 텍스트를 경험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만든다면 굳이 그것을 만들어야 하는것인지 모르겠다.
끝없이 모래인형을 만드는 일.

하지만 그것이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2/11 14:26 2005/02/11 14:26

아름다운 밤이야기

from 우울 2005/02/11 14:18
밤시간이라는 것은,
참으로 정서적이고 정신적인 시간이어서
밤의 나는 낮의 나와 전혀 다른 어떤 것이 된다.

머릿속에서 글이 줄줄 나오기도 하고
음악이 열배쯤 몸에 잘 스미기도 하고
누군가와 함께 있을 때는
끝도 없이 조용하면서도 뜨거운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오기도 한다.

밤에 피는 장미...라는 말이 좀 웃기게 들리기는 하여도
사실 밤시간에 새롭게 나타나는 나는
그야말로
작은 봉오리에서
장미가 갑작스레 피어나는 것처럼 신기하고 놀라운 황홀함인 것이다.
밤이 아니었으면 결코 할 수 없었던 일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굳이 뭐 장미일 필요는 없으나
대중가요 제목이고 하니...

만약 모든 사람들이
밤시간을 일과로 살았다면
지금의 모든 과학체계나 세계관이 전혀 다른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돼.

아늑하고 어둠의 보호를 받는
이 시간이 일상의 공격으로 괴로운 작업공간으로 변한다면
끔찍하잖아...

햇볕이 참 좋은 오후다.
햇볕과 음악과 가습기와 따스한 차...
어떤 시간도 일상에서 벗어나면 좋구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2/11 14:18 2005/02/11 14:18

자기 싫어

from 우울 2005/02/09 02:36
일찍 잘 수가 없어.
생각해보면, 일찍 잠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이불 뒤집어쓰고
공허한 잡념과 도저히 잠이 오지 않는다는 괴로운 자각으로 보냈는지...
참으로 아까운 시간들이었다.
그 시간에 차라리 그저 좋아하는 책이나 읽고
조바심내하지 않았더라면
건강에도 좋았을 것을...

일찍 자야하는 이유는 단 한가지,
일찍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일찍 일어나야 하는 이유는,
학교에 가야하기 때문이었고 회사에 가야하기 때문이었고
무언가 사회속에서 꼭 처리해야하는 일들(관공서 출입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이다.

학교가 2시쯤 시작되었다면
나도 지각같은 거 굳이 하고 싶지 않았고
맨날 혼나는 것도 지겨워서
아마 지각안했을 거다.
아아~ 얼마나 많은 처벌을 받았더랬나......
지각만으로도 학교생활은 끔찍하기 짝이 없었다.

개개인의 생활리듬을 무시하는 것으로부터
학교라는 제도는 폭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나보다.

밤인간으로 살 권리는
만화가나 가수한테만 주어지는 걸까?
난 언제쯤 밤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될까?

밤인간으로 살 수 있게 된다면
나도 규칙적으로 살 수 있다.
3시나 4시쯤 자서 11시쯤 일어나고
2시쯤 일을 시작한다거나
하루를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다면
아주 규칙적인 생활이 될텐데.

규칙적으로 살게 되면 건강도 좋아질텐데.
야옹 야옹
내가 맨날 일부러 약속시간을 어기는게 아니란 말이다
생활을 사회적 규칙에 맞추기 위해
불규칙하게 살게 되다보니
무언가 불안정하게 일이 밀리거나
몸이나 정신 상태가 타인을 만나기 힘들게 되거나
한단 말이다.

결국
요새는 약속같은 건 안하게 되었다.

"개토는 게으르지 않아요!!!"
내 담임 선생들, 교련 체육 음악 등 생활지도 선생들에게 외치고 싶다.
생각해보면
나는 나름대로 늘 열심히 살았건만
그들이 하라는 걸 안한다는 이유만으로 게으른 아이였다.

밤인간으로 살 수 있는 나만의 요새를 건설하기
야옹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2/09 02:36 2005/02/09 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