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독서후기]이 영화를 보라, 고미숙

이 영화를 보라

고미숙

그린비 2008.06.10

 

 

 

 

대학 시절이었다. 현대문학을 가르쳐주시던 교수님이 한 날은 영화를 이야기하셨다. '붉은 수수밭', 이 영화에 숨겨진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코드에 대한 세세한 이야기를 3시간 동안 하셨는데, 그때 우리 과 여학생들 교수님에게 뿅~하고 가버렸다. 교수님은 단숨에 꽤 많은 펜을 확보하게 되었다. 영화를 안 만들어도 영화평만 잘해도 누군가를 '뿅'가게 할 수 있다. ^^

 

1200만 관객을 동원한 대박작 '괴물'에 대해서부터 이야기한다. 위생권력에 대한 이야기는 현재에도 재현되는, 그래서 더욱 실감나는 분석이었다.

'황산벌'은 무거운 대서사를 표준어를 폭력적 언어를 포기함으로써 얻게 된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국어생활을 가르치면서 표준어에 대한 얘기를 할 때 고미숙의 '황산벌' 평을 곁들여 얘기하게 된다.

'음란서생'에 대한 아쉬움에 대한 서술에서 보여주는 고미숙의 예리함과 '음란서생'의 줄거리가 그렇게 흘러갈 수밖에 없었던 필연적 이유를 설명해내는데서 다시 한번 고미숙의 예리함을 보게 된다.

'서편제'는 수업을 하면서 제법 많이 써먹고 있다. 우리 선생님들과 하는 독서모임 오선지(오래도록 선생하려면 책을 읽자)의 취지가 직접적으로 와닿는 영화 분석이었다. 안타깝게도 서편제가 오래된(?) 영화이다보니 비디오를 구하지 못해 학생들에게는 '천년학'을 대신 보여주고 있다.

'밀양', 이 책에서 언급한 영화 중에 유일하게 보지 않은 영화다. 우선 영화부터 봐야겠다.

'라디오스타', 이 영화는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영화다. '혼자 빛나는 별이 없다'는 압축적 아포리즘적인 언사가 마음을 더욱 끌었던 영화이다. 명절 때마다 반복해서 몇 번을 봤었던 그 영화. 영화 분석도 잔잔하지 좋았다.

 

고미숙의 날카롭다. 전에도 그랬지만 이 아줌마의 글을 읽다 보면 '뿅'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