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독서후기]88만원 세대

이 책을 읽으면서 정리를 해보고 싶었다. 각 장별로 정리도 하고 모아서 좀더 이해하기 쉽게 도식화도 시켜보려 했지만, 나의 지적 수준이 함량미달이었다.

  지금껏 세상 사람들을 분류하는 기본을 계급이나 계층 정도로만 사고해왔는데, 이 책은 주로 '세대'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삶의 궤적과 배경을 통해 그들 세대를 분석하고 있다.

  제목은 꽤 만만하게 보였는데, 그처럼 쉽지만은 않다. 제목만큼 내용이 만만하지 않았던 이유를 짐작해 본다면, 지식적인 것이기보다 실천적 문제들이 짙게 드러나기에 어렵다고 느끼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아니면 분명한 변화들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논리정연하게, 경제학적으로 분명히 일러줌에도 불구하고 무엇부터 그 변화를 시작해야 하는 것인지 여전히 막막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저 기억나는대로 떠올려본다면, '승자독식사회'라는 것과 우리 사회가 20대에게, 10대에게 좀더 많은 양보와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 정도를 이해했다. 아니 이해와 배려는 너무 사치스런 말인지도 모른다. 그들을 '착취'한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요즘 애들이 말야'라며 비난을 시작하기 전, 그들이 처한 상황이 30,40대들이 어렸던 그 시절과 상황이 사뭇 다름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는 것도 내가 이해한 점 중의 하나이다.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 변화의 주체는 누가 될 것이며 등을 다른 나라들의 사례를 통해 비교하고 대조하면서 길을 모색한다. 이 길의 모색에 30대 후반의 나이에 들어선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분명히 있을 텐데....

 

  또 이 책을 읽는 내내 지역에서 청소년 아르바이트 권리 찾기 사업을 했던 경험이 떠올랐다. 연소자근로에 대한 무지와 그들에 대한 어른들의 착취를 직면하고 소위 '어른들'에 대해 환멸을 느꼈는데, 직접 당사자인 아이들을 어떠했을까? 전교조 조합원으로서, 전교조의 주된 사업 중의 하나가 청소년에 대한 근로권 보장 투쟁이어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생각들이 잘 정리되지 않는 것은 나의 무지다. 예전 우석훈 씨 강의를 들은 적이 있는데, 지역에서 우석훈 씨 초청강연회를 한번 만들어봐야겠다. 나의 부족한 이해를 풀어줄 수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 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