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영양제 즉 액비의 제조와 활용에 대한 강의가 진행됐다. 실습 위주가 아닌 것이 아쉽고. 강사 말마따나 직접 만들어보는 게 중요할 터인데, 당분간은 어려우니 또 아쉽다. 그래도 자료와 함께 정리는 잘 해둬야 한다. 꼭 필요한 것이니.
 
<액비 제조와 사용 방법>
 
- 전체 양분 소요량 가운데 퇴비 60%, 액비 40% 비율이 적당
- 액비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농산부산물, 축산부산물, 임산부산물, 어류부산물, 광물부산물, 토양, 효소, 미생물, 활성액 등
- 질소, 가리, 인산(골분), 생리활성 액비와 혈분, 모분, 골분, 어분, 채종유박, 면실박, 피마자박, 대두박, 게박(게껍질), 구아노, 배트구아노, 난각분말, 폐화석, 쌀겨, 해초, 당밀 등의 액비가 있음
- 활성액으로는 당밀, 주정액, 설탕, 목초액, 식초 등을 이용
- 액비의 기대 효과로는 연작장애, 염류직접 해소와 착과 촉진, 과실 비대 등이 있으며, 풍부한 미생물에 의한 작물성장과 뿌리 발육강화, 농약사용량 및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에 따른 친환경 농업 실천이 가장 큼
 
- 기본액비: 어분, 골분, 썰포마그, 당밀, 미생물을 재료로 물을 채운 다음 온도를 30℃로 조정한 후 기포기와 순환펌프를 이용 발효 한 다음 PH 4.5 확인 후 사용
- 질소액비: 주로 생선이나 혈분 액비로 만들며 비용으로 조금씩 자주 사용
- 가리액비: 가리성분이 풍부한 유기태 원료가 거의 없으므로(깻대, 콩대, 담뱃대 등) 썰포마그를 80℃ 이상으로 온도를 맞춘 후 기포기와 순환펌프를 연속 24시간 가동해 녹인 후 발효
- 혈분: 광우병 발병 후 초식성 반추동물 사료 첨가가 금지되면서 농업용 비료로 개발, 시설재배에서 관주 처리 시 피비린내가 나 기피되기도 함
- 골분: 증제골분(쪄냄)과 소성골분(태움)의 경우 인산과 칼슘 성분이 매우 높음(증제골분: 2-23-0.3-25, 소성골분: 0-35-0.3-35
- 채종유박: 미발효 된 상태로 건조, 포장, 판매되므로 본포에 사용 시 15일 전 살포, 경운 후 파종 또는 정식해야 함
- 난각분말: 계란껍질을 재료로 유기산으로 녹여 사용, 동물성 천연 탄산칼슘(칼슘 흡수는 수분이 충분해야 함)
- 폐화석: 알칼리도가 강하므로 암모니아 염류나 수용성 인산을 함유한 비료와 배합할 경우 질소분이 모두 날아가므로 배합하지 않으며, 폐화석을 먼저 시비한 후 유박이나 퇴비를 시비함
 
- 고급 액비 제조와 사용 예
① 3.5t 물탱크에 재료를 넣고 기포기로 공기방울을 24시간 주입
② 비닐하우스의 경우 20일, 외부에서는 2개월 가량 발효
③ 사용하기 전날 기포기 발생기 가동 중단 후 펌프를 이용 해 위의 것부터 사용(펌프 호수 끝에 180메쉬망을 사용하면 펌프와 여과기의 막힘 방지)
④ 고추의 경우 액비와 물을 25:1로 섞어 모를 심고 난 후 1주일 뒤에 한 번, 그 후 과실 비대기에 1일 간격 사용
⑤ 토마토는 액비와 물을 50:1로 섞어 과실 비대기에 1주일에 한 번씩 뿌려줌
⑥ 액비 살포량은 고추와 토마토 등 모든 작물에 300평 당 4t을 기본으로 토양수분 상태와 작물 상태 및 특성에 따라 가감
※ 재료
- 유기농: 혼합유박 5포, 어분 3포, 폐화석 2포, 목초액 2말, 미생물 2봉지, 당밀 1말
- 무농약: 혈분 3포, 유박 3포, 어분 3포, 골분 2포, 목초액 2말, 미생물 2봉지, 당밀 1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3/27 12:26 2014/03/27 12:26

 

언제 다 녹으려나 싶었던 눈들이 조금씩 사그라질 때 쯤, 농업평생학습대학 친환경농업과정에 등록했다. 자격증 때문만은 아니었지만 몇 년 전 들여다봤었던 책도 다시 꺼내고. 농진청에서 주관하는 사이버 강의도 신청하고. 가물가물한 기억도 다시 되살려보고자 하는 것이다. 지난 3년 간 경험을 정리해보는 의미도 있겠고, 외우기만 했던 것들을 직접 해보는 시간이 있을 것도 같으니. 두루두루 좋은 기회일지 싶어서다. 
 
게다가 어찌된 게 춘천에서보다 더 밭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을 어떻게든 벗어나보고자 함이니. 이번 기회에 두루두루 안면도 넓히고 동네도 차분히 알아보면 좋겠다, 싶은데. 입학식이라는, 생각지도 않았던 거창한 행사(?)를 치르고 함께 1년간 공부할 사람들을 만나고보니. 벌써 수년 째 유기농사를 지어오신 분들도 있고. 이제 막 농사를 시작하는 사람, 농사짓는 걸 고민하는 사람, 텃밭농사 짓는 사람 등등. 사는 곳들도 농사짓는 곳들도 사람만큼이나 다양하니. 사뭇 기대가 된다. 
 
다만 일 년 간 공부할 내용을 보니 만만치가 않은데. 한여름 한 달을 빼고 주 1회씩 진행되는 수업이 조금은 아쉽다. 하지만 이 과정이 원래 농사짓는 분들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아니 어떻게 보면 4시간, 아니 왔다, 갔다하는 시간까지 하면 꼬박 반나절을 빼야 하니 농부들에겐 큰 부담일 수 있겠다. 한 창 바쁠 땐 고사리 손도 아쉬운 게 농사니. 그러니 이론 중심보단 실습 중심이었으면 더 좋겠단 생각인데. 글쎄 어떻게 진행될는지. 
 
각자 자기소개도 하고, 회장 뽑고 총무 정했지만 아직은 서먹하다. 몇 몇 서글서글한 분들과 함께 온 사람이 있는 이들은 삼삼오오 모여 얘기꽃도 피우지만. 콩 종자 판다는 말에 그것 사러 가는 사람에, 벌써 시작된 봄 농사 준비하러 서둘러 자리를 뜬 분들이 있으니. 몇 주는 더 지나야 어색함이 사라지겠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3/18 16:09 2014/03/18 16:09

만천리 농사 끝

from 11년 만천리 2011/11/20 10:20
서리태 - 첫째 날(11월15일/맑음 -3-13도)
 
지지난주에 서리태를 베어 널었는데 이제야 털러 나왔다. 오락가락 비가 자주 온 탓이긴 한데, 덕분에 푹 쉬었으니. 이제 부지런히 털어야 하는데, 얼추 보니 이틀, 사흘이면 다 끝낼 수 있을 것 같다. 금요일부터 또 비가 온다고 하니 그때까진 다 마쳐야겠고. 하루 정도 밭 정리할 시간이 필요하니. 음, 오늘 해야 할 양이 많군.
 
서리태 - 둘째 날(11월 16일/맑음 0-15도)
 
점심 먹고 서둘러 밭에 나왔다. 오늘까진 끝내야 내일 하루 팥 골라내고, 이것저것 정리도 해야 하니 시간이 없다. 다행이 허겁지겁 한 숨도 안 쉬고 일한 덕에 계획했던 대로 일은 다 마쳤으니. 수확해야 할 건 다 했고. 올 농사도 이젠 마무리다.   
 
만천리 농사 끝(11월 17일/흐림 6-13도)
 
만천리 밭에서 농사를 지은 게 3년이다. 첫 해엔 고추를 중심으로 심었다가 둘째 해엔 콩. 그리고 올 해엔 잡곡을 많이 심었는데. 자전거로 오가며 보낸 3년이 오래된 사진처럼 남는다. 그렇다고 ‘정’까지 생긴 건 아니고. 어차피 내년엔 어찌될지 모르니 접는 게 당연하겠지만. 그래도 아쉽긴 아쉬운가보다. 지난 추위에도 살아남은 콩 꼬투리만 따고 오려 했는데. 해가 져서야 겨우 집으로 돌아왔으니 말이다. 이제 차분히 지난 3년, 아니 삼천동까지 해서 4년 간 실험해왔던 농사를 돌아보며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해야 한다. 차분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20 10:20 2011/11/20 10:20
Tag //

메주콩 털기

from 11년 만천리 2011/11/06 15:03
서리태를 베어 널다(10월 31일/맑음 5-20도)
 
마지막으로 수확해야 할 서리태를 베어 널었다. 주말에 비가 온다고 하니 다음 주 후반쯤에는 털어야 할 터인데. 베면서 보니 역시 빈 꼬투리가 많고. 아예 꼬투리가 달리지 않은 것도 꽤 되고. 웃자라기만 한 것도 있고. 아무래도 양은 많지 않을 듯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주콩 털기 - 첫째 날(11월 2일/맑음 9-22도)
 
봄 날씨다. 울긋불긋한 낙엽만 아니면 봄 인가, 착각할 듯. 20도를 오르내리고 아침 기온도 10도에 육박하니. 가을 상추나 배추, 무 등을 심었으면 한참 잘 자랐을 터. 이래저래 신경 써야 할 일이 있어 가을 작물을 하나도 안 한 게 아쉽기만 하다. 하지만 어쩌겠나. 마지막으로 수확해야 할 메주콩과 서리태라도 꼼꼼히 거둬야지. 그래야 조금이라도 섭섭한 마음이 덜 할 것 같으니. 오늘은 몸 풀기로 두 시간 남짓 털고 날리고 골라냈는데. 그새 등 뒤로 땀이 주르륵 연신 흐른다. 바람도 없는, 봄 날씨 탓이다.
 
메주콩 털기 - 둘째 날(11월 3일/맑음 6-23도)
 
내일까진 일을 마쳐야 한다. 주말에 비 소식이 있기에. 바짝 오늘과 내일, 이틀 털면 다 할 것도 같은데. 점심 때 아버지가 오시는 바람에 오늘 일을 반도 못했다. 아무래도 내일은 아침보단 낮에 밥 먹고 나와 해야 하지 않을까.
 
메주콩 털기 - 셋째 날(11월 4일/흐림 11-21도)
 
다행이 일을 다 마쳤다. 아침을 먹자마자 바로 나와 12시까지. 물 마실 틈은커녕 쉬지도 않고 일한 덕이다. 이제 서리태 베어 널은 것만 거두면 되나. 아차차. 오늘까지 털어낸 메주콩 골라내야지. 쭉정이며, 콩깍지며, 돌..... 벌레까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06 15:03 2011/11/06 15:03
Tag //

지주(支柱)

from 11년 만천리 2011/10/31 19:39
지주(10월 14일/흐림 9-15도)
 
내년에 농사를 짓지 못한다고 하니 이것저것 생각해야 할 게 많다. 우선 어렵사리 모아 올 한 해 잘 키워 갈무리한 종자들을 잇지 못한다는 게 가장 걸린다. 내후년까지도 농사를 짓는 게 어찌될지 모르니 무작정 보관만 할 순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다 밥에 넣어 먹는 것도 그렇고. 아무래도 여기저기 조금씩 다 나누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또 걸리는 게 있다면. 100평 농사를 짓던 1,000평 농사를 짓던 꼭 필요한 농사기구들이 문제다. 삽, 괭이, 호미, 낫 같은 것들이야 잘 닦아서 보관하면야 문제가 없지만. 비닐 끈이라든가. 첫 해에 쓰고 남은 멀칭용 비닐이라든가. 창고에 넣어둔 고추용 대나무 지주. 토마토, 호박, 오이에 쓴 각목 지주까지. 덩치가 꽤 있는 것도 있어 이래저래 보관하기도 그렇고. 또 내년엔 이사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버리자니 아깝기도 하고. 참 난감하다.
 
오늘도 그렇다. 내일 또 영하에 가까운 추위가 온다 해서 마지막으로 팥꼬투리 따기 위해 밭에 나왔지만. 황량하게 서 있는 각목 지주를 보니 저걸 어째나 싶어 한참을 망설이다. 버릴 때 버리더라도, 아니 집으로 갔다 놔야 짐만 될 게 뻔해 어딘가 처박아 둘 게 뻔하지만. 일단은 한데 모아두자는 마음에 찬바람 맞으며 한 시간 넘게 끈 잘라내 모으기까지 하며 다 뽑아냈는데. 다 하고 나니 저걸 어째 다 자전거로 옮기나 싶어. 괜한 짓하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하고. 또 참 난감하기만 하다. 
 
율무(10월 28일/맑음 8-20도)
 
봄 날씨다. 낮 기온은 20도를 오르내리고. 아침나절도 쌀쌀하지 않으니. 엊그제 그리고 지난 주 딱 이틀만 춥지 않았더라면 팥을 제대로 수확했을 터인데. 이미 지나간 일, 그리고 사람이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두고두고 안타깝다.
 
지난주에 베어 널다 남겨둔 메주콩을 마저 다 베고. 서리태는 어찌 여물었나 보니 음. 오늘은 율무 수확하고 내일은 서리태를 베어야 할 듯. 빈 꼬투리가 많이 보이긴 하지만 이만치 속이 찼으니 이제 거둘 때다. 
 
한 시간 남짓 쭈그리고 앉아 율무 따내고 나니 등에 땀이 날 지경. 날씨가 거꾸로 가는 건가. 마침 배도 고프고 하니 듬성듬성 서 있는 들깨 몇 개 더 베어 널고는 자전거에 오른다. 한 봉기 가득 딴 율무 싣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0/31 19:39 2011/10/31 19:39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