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018 - 빠이에서 루랑 - 길위에서 길을

018 - 빠이(八一)에서 루랑 - 길위에서 길을

 

길을 가다 보면 자주 속도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천장남로 길을 가는데 있어 가장 빠른 속도는 아마도 랜드크루져를 이용하는것이다.

그다음이 승합차나 버스일거구, 오토바이도 비슷할 것이다.

 

그다음은 자전거, 도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체투지 순례일 것이다.

 

비용과 편안함도 비례 할 것이다.

 

하지만 나의 시선은 어찌하여 편안함과 속도와는 거리가 먼

자전거나 도보 순례자들에게 눈길이 갈까?

 

나중에 모터사이클이나 자전거로 아니면 진짜 무리해서 도보로 이길을 다시 가고 싶다.

 

여행자에게는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철칙이 있다.

잠시 머무를 수는 있어도 언제인가는 떠나야 한다는 것이다.

빠이 버스 터미널(신축이라 깔금하다)

 

 

라싸를 떠나 천장공로에서 첫 하루밤을 보낸 곳이다.  어제 하루 라싸에서 424km를 달려왔다.

 

이른 아침부터 떠날 채비를 서두른다.

 

출발에 앞서 짐 싣는 버스

 

이곳의 버스는 단순히 사람만을 실어 나르는 것이 아니라 많은 물자들을 운송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짐을 싣는데도 요령이 있어야만 하는 듯 보였다.

 

먼저 내릴 짐, 나중에 내릴 짐, 무거운 짐, 가벼운 짐,  험한 길이기에 차의 균형까지 고려 해야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단히 묶는 것.  내 배낭은 다행히 버스 뒷 트렁크에 실렸다.

 

 

빠이에서 린즈(닝트리)로 해서 써지라산(色季拉 山, 세킴라 해발 4730m) 고개로 계속

오르막길로 치달았다.

써지라산은 진달래꽃(두견화)로 유명한 산이다. 6월이 되면 진달래 꽃으로 뒤덮인다고 한다. 

그러나 내가 지나온 써지라 산은 온통 눈으로 덮여 있었다.

눈 덮인 써지라 산 고개

고개를 넘을 때마다 버스안은 역시 잠시 소란스러워진다.

그 순간을 놓쳐서는 안될듯이 준비해둔 오색종이를 창밖으로 날린다.

역시 창밖에는 롱다가 걸려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 라싸로 혹은 운남으로 사천으로 오고 갔을까?

해발 4700미터의 고개를 넘자 끝없는 연봉이 시선을 압도한다.

고개를 넘었다지만 가야 할 길도 만만치 않다.

지그재그 눈 덮인 산으로 가야 할 길들이 보인다.

 

 

천장공로를 가면서 든 생각은 이 길이 험할 뿐만 아니라 천변만화, 변화무쌍하다는 것이다.

평탄한 길도 있고, 고개도 있고, 계곡도 있고, 황량한 곳을 지나다가

어느새 울창한 산림지대를 지나기도 한다. 그것도 하루에....여행자에게는 더 없는 행복이다.

나에게 자주 어색한 시간들이 있다. 그건 아침 처음 버스를 탔을때의 분위기다.

서로 각자의 자리를 잡고 오늘 동행 하게될 사람들을 살피어 볼때이다.

하지만 한시간 정도 지나면 어느새 '한배를 탄' 의식같은 게 생겨 자리다툼의 실갱이나 

초면의 어색함은 사라지고 서로에 대한 호기심,관심과 배려(특히 먹을 것 나누어 먹는 일...)가

생겨나곤 한다.

티를 내려 하진 않지만 쉽게 이국의 여행자임이 드러나는 내게는 차안의 공기가

어색함에서 친밀함으로 변하는 것이 예민하게 느껴진다.

나에겐 익숙해져 별 불편함이 없지만 비위가 약하거나 깔끔파 여행자에게는 티벳 현지인들의

야크 버터향, 버스안 흡연 등이 괴로울 것이다.

흡연자인 나에게도 가끔은 버스안 흡연은 힘들 때가 있다.

특히 이 친구들의 흡연 습관은 필터부분에 이를 때 까지 흡연을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실제로 흡입하는 것보다 그냥 들고 있어 담배연기가 필터를 거치지 않고

그냥 날린다는 것이다. 실제로 흡연이 건강에 않좋는 건 두말할 필요도 없지만

필터를 거치지 않는 담배연기는 더 힘들다.

하지만 어쩌랴 시간이 필요 한 것을,...

중국의 동부지역 대도시는 이미 차내 안은 금연을 하고 있다.

서부로 시골로 갈수로 흡연이 많은 건 사실이다.

한국에서도 내 경험으론 90년대 초반까지 시외버스를 타면 맨 뒷좌석에서 창문을 열고

흡연을 하였던 것 같다. 아마도 점차 중국에서도 대중교통에서의 금연은 정착 되리라 생각한다.

다만 시간이 필요 할 것이다.

그래도 현지인과 서로 담배를 주고 받아 함께 피우는 것은 쉽게 친해질수 있는 한 방편이기도 하다.

비흡연자는 어려운 일이지만...

루랑(魯郞)에서 써지라산 고개를 넘은 버스를 잠시 쉬게 한다.

버스들이 대개 수냉식이라서 자주 물을 보충하여야만 엔진과열을 막을 수 있다.

루랑치오 앞에서 사람들은 여기저기서 일(물 버리는 일)을 보고,

버스는 물을 채운다.

 

이리 저리 바쁜 운전사 아저씨.

루랑 주변은 초원과 산림이 어우러진 곳이다.

여기 저기 새로이 건물들이 들어서는 모습도 보인다.

그런데 한 사내의 어깨가 무거워 보인다.

삶은 그리 쉽지 않음을 잘아는 나에게 그렇게 보여진다.

오히려 등짐을 지고 걷는 이는 편안해 보이는데...

중국 정부가 서부 대개발을 추진하면서 많은 곳에서 이런 것을 보게 된다.

먼저 개발되어 부(富)를 쌓은 광동의 지원으로 건설되었다는 뜻일 것이다.

이런 것은 자주 목격하게 된다.

 

 

지원(持援)인가, 투자(投資)인가  아니면 진정한 연대(連帶)인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