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017 - 천년의 나무 - 길위에서 길을

017 - 천년의 나무 - 길위에서 길을

 

오래되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존귀하다.

 

 

오후 늦게 빠이(八一)에 도착하였다.

 

빠이는 원래 '라르가(拉日伽)'라고  하는 작은 부락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1951년 중국인민해방군이 주둔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

린즈(林芝, 닝트리)지역의 중심도시이다.

그래서 이름도 중국인민해방군의 창군기념일(8월 1일)을 따서 八一로 불린다.

린즈는 원시삼림 지역으로서 나무가 빠른속도로 자라고 질이 좋아서

목재산업이 발달해 있다.

버스터미널 앞에 있는 숙소에 방을 잡고 택시를 탔다.

'천년의 나무'가 있다는 곳을 가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택시비는 담합을 하였는지 일률적으로 30원을 부른다.

깍으려해도 안된다. 거리가 꽤되려나. 지도상으론 얼마 안되는데...

채 10분이 안걸렸다.

허 참....

'세계백수왕원림(世界柏樹王園林)'이란 곳이다.

입장료는 15위안이다.

비교적 늦게 도착하여 폐장시간을 물어보니..

관리인이 참 걸작이다.

'24시간' 언제나 가능하단다. 시간에 구애 받지 말고 천천히 보란다.

참 맘 좋은 아저씨...

수천년을 버텨온 나무들을 관리해서인지 통 한번 크다.

그 이름에 비해 입구는 소박하다.

바이수(柏樹)는 측백나무과의 나무로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에서는 소나무와 함께

사찰이나 묘지에 많이 쓰이는 나무이다.

린즈에 있는 바이수는 중국 최대, 최고의 바이수이다.

해발 3040미터 주변에 10헥타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그중 가장 큰것은 중국최대로 높이 57미터, 직경이 5.8미터, 추정 수령은 2600년이라고

입장권에는 안내가 되어 있다.

 

그런데....이건 뭔가...????

 

이 표지석의 설명에는 높이는 50미터, 수령은 2500년으로 나와 있다.

갑자기 키가 7미터, 나이가 100년이 줄어버렸다.

아니면 이 표지석은 이 나무가 50미터 정도, 2500살쯤일 때 세워진 것일까?

적어도 표지석이 100년 전 것이란 애긴가? 그럼 100년 동안 7미터 컸다는 이야기인데...

그냥 웃자고 하는 이야기다. 아직은 여러가지 것들이 정확히 정리되지 못한 측면 들이 많다.

수천년을 모진 풍상을 겪으며 버티어온 역사 앞에서 100살이 많고 적음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미 단순한 나무를 넘어 '생명의 나무'로 숭배의 대상이 되어 경배되고 있는 마당에...

나무가 크고 오래되어서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그래서 앞으로도 더욱 잘 보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바이수 주변에는 수 많은 하닥(흰 비단천 : 티벳인들의 존경과 경의의 표시로 바치는 것)이

이 걸려 있었다.

경배의 대상이 된 다바이수(대백수 : 大柏樹)를 한 컷으로 담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대백수왕 ,ㅎㅎㅎ 어감이 그렇다. 나의 삶의 적지 않을 부분을 지칭한 말이기도 하다.

백수,... 친근하기도 하고 좀 거시기 하기도 하고,,,,,

아래부분

윗 부분

줄기 부분,,

다바이수왕 옆에는 사당 비슷한 것도 있다. 이미 주변에는 땅거미가 갈리고 있었다.

주변은 한 30여분 호젓하게 걸을 수 있는 산책길이 마련되어 있었다.

각양 각색의 나무들은 수천년을 지켜오면서 서로를 의지하며 군락을 이루었다.

 

 

척박한 땅에 뿌리를 굳건히 내린 모습을 보면 자연스럽게 경외감을 갖게 한다.

비록 그 줄기가 잘리고 갈리엇다 해도 생명의 연속성마저 귾을 순 없다.

그렇게 서로를 의지하며 그 자리를 지켜 내고 있었다.

저 멀리 어둠이 밀려와 여행자의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었다.

자연에 비해 인간이 하는 짓이란 때론 이 정도 밖에 안된다. 그렇게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고 싶을까?

하지만 저 나무는 그 상처마저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또 몇 천년을 버티어 낼 것이다.

낡은 표지판이지만 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 너의 행동이 좋으면 그많큼 경치도 좋다 "   - 정확한가...ㅎㅎㅎ

오늘 밤에도 타르초는 낮은 울림으로 바람결에

'인간의 행복'을 위해 경전을 외고 있을 것이다.

 

올 때 받았던 명함을 이용 택시를 불렀다. 돌아가는 것 역시 30위안..

입구에서 택시를 기다리는데 진짜 '돼지 멱' 따는 소리가 들려왔다.

어린시절 집안에 잔치나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돼지를 잡을 때 듣던 그 소리다.

주변을 둘러보니 군용 트럭에 군인들이 농가에서 돼지 두마리를 잡아서 실고 있는 중이다.

오늘 저 부대원들 '회식"하는 날인가보다.

앳된 병사의 얼굴들에는 오늘 밤에 있을 만찬을 기대하며 안색이 밝다.

집떠나, 애인과도 떨어져,,,얼마나 외롭고 힘들 것인가....

  

하지만 2008년 오늘은

그 때 보았던 병사들이 티벳 전역에서 티벳인들을 학살하는 도살자가

되지 않기를 간절히 빌뿐이다.

 

문제의 핵심은 그 젊은 병사들이 아니다.

그들에게 총 칼을 쥐어 내보내서 학살을 명령하는 자들이고,

이를 방조하는 자들이다.

 

이밤도 앳된 병사들의 밝은 얼굴이 간직되어지기를,

티벳의 자유와 평화를 기원해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