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소시민 허위의식과 사자의 변증법

ou_topia님의 [니콜라이 고골의 "코". 소시민 허위의식를 다룬 괴기화] 에 관련된 글.

 

김예슬의 대자보에서 내가 그녀의 ‘소심함’에 주목했던 것은 그녀의 글을 ‘이제는 자본에 포섭된 대학이라는 공간을 거부하고 진정한 大학생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선언’이라는 이야기로 구성하는 식의 논의들이 정말 중요한 무엇인가를 놓치고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그 무엇이란 우리가 일상적으로 체계에 공모해왔다는 사실을 ‘소심하게’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진보라는 ‘대의’ 앞에 그러한 공모쯤은 ‘대심’하게 덮어두고 우리가 싸워야 할 진정한 적에게 눈을 돌리자는 말들이 얼마나 그 진보의 앞길을 막아왔는지는 두고두고 파헤치고 논쟁할 일일 것이다.

 

확실히 고골이 보여주고 싶었던 절망은 자신이 기대어 왔던 권위의 소실에 따른 주인공 코발로프의 절망일지도 모른다. 고골이 살았던 시대나 그의 다른 작품들을 고려해 보면 그가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 소시민의 ‘허위의식’보다는 관료들의 부패상과 그것이 낳는 그로테스크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고골의 소설 이야기를 꺼낸 것은 그가 그 시대에 진짜로 하고 싶었던 말이 무엇인가에 주목하자는 뜻에서가 아니었다. 그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웃음’은 코발로프가 자신의 코가 ‘원래 있어야 할 곳’에서 떨어져 나와 제멋대로 움직인다는 상황에 당황하고 있다는 설정에 기인한다. 그것이 코가 되었든, 입이든, 귀든 신성한 것으로 여겨져 온 인간의 신체의 일부분들이라는 것은 붙었다 떨어졌다 하기도 하는 것이구나 하면 되지 싶다.

 

요컨대 소시민, 혹은 ‘허위의식’에 사로잡힌 소시민이라는 것은 상상의 산물이다.

 

이른바 ‘사자의 변증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사자가 무서운 동물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 실제로 사자와 만난다면, 그러한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이게 되고 그것을 신뢰하게 될 것이다. 그밖에도 사자에 관한 이야기들이 출현하여 사자를 다루는 방법을 설명하고, 그것이 실제로 사자를 만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면, 그것을 계기로 사자의 사나움과 그 사나움의 원인에 대한 이야기들이 넘쳐나게 될 것이다. 이렇게 사자에 관한 이야기들의 초점이 사자 그 자신이 아니라 사자의 사나움이라는 주제로 모아짐에 따라 사나운 사자를 다루는 방법이 실제로는 사자를 더욱 사납게 만들고, 사자를 반드시 사나워야 하는 것으로 만들게 될 것이다. 사나움은 실제로 사자의 성질이며, 그것이 사자에 관해 우리들이 알고 있는 것의 본질이고, 또는 알 수 있는 ‘유일한’ 지식이기 때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