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9/02/02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9/02/02
    골든 햄스터(3)
    무나
  2. 2009/02/02
    J
    무나

골든 햄스터

  • 등록일
    2009/02/02 10:27
  • 수정일
    2009/02/02 10:27

I

어제 어느 할인매장 지하에서 골든 햄스터를 봤어.

노오란 털이 송송 까만 눈이 수박씨같은, 고급 3D ,애니메이션(라따뚜이 같은?)에서 갖 튀어나온 듯한 이질적 생동감이 느껴지는 그런 귀여운 아이였어.

만져주고 싶은 도닥여주고 싶은 뽀뽀해주고 싶은 그리고 가지고 싶은,

내 뜰에 풀어 키우고 싶은, 물주고 싶은, 먹을 걸 주고 똥을 치워주고 싶은,

이야기해주고 옹알이를 듣고 싶은...

귀엽고 이쁜 것에 대한 단순한 욕심인지, 아니면 생명을 키우고 싶은 모성인지.

 

II

요즘, 남아공출신의 Coetzee('쿠시에'라고 읽나봐)의 Age of Iron에서 등장하는

암에 걸린 늙은 주인공 백인 여자가 남아공의 흑백분역정책 속에서 살해당하는

흑인 아이들의 죽음을 보고 "I"를 반성하는 대목이 나오지. 

부유하고 포근한 안락함 속에 살아가지면 사실은 분열되고 고립되고 죽었으나 살아있는,

살아있지만 죽지 못하는, 인형의 머리처럼 텅빈 "I",

분열된 존재의 이면에는 노예노동과 흑백차별이 존재하고 있어.

안락한 I 는 원래 그런 존재라는 거지. 날때부터 그림자들을 끌고 다니는 밝음.

어릴때 엄마 손에서 걸음마하며 찍은 사진 한장을 놓고

"사진에 찍히는 순간 삶은 내 속에서 빠져나가버렸다"고 얘기하는 대목이 있어.

그리고 삶은 영원히 사진의 프레임 밖에 존재한다고.

아직 책을 다 읽진 못했지만, 그 프레임 밖이 의미하는 건 짐작은 가. 하지만 아직 규정하진 않을래.

규정하는 순간 그림자는 프레임 밖은 또 안이 되고 밖은 계속해서 생겨나니까 양파껍질처럼...

 

III

왜 햄스터의 얘기가 남아공의 늙은 여자의 한탄으로 이어지는 걸까?

서서히 느껴지는 '나'라는 껍질의 가벼움/혹은 무거움 때문일까?

삶의 무거움을 짊어지기에는 너무 비겁하고 자신감이 없어서,

삶의 가벼움을 풍선처럼 머리에 인 채 살아가기엔 발이 땅에 안 닿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J

  • 등록일
    2009/02/02 09:47
  • 수정일
    2009/02/02 09:47

J는 미국의 어느 시골 복음주의 공동체의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자랐다고 해.

어렸을때부터 엄격한 교리에 따라 생활하며, 다른 아이들은 락과 연애를 이야기 할때

교회에서 하나님과 영적 교감을 나누며 눈물 흘리곤 했다지.

지금의 J를 보면 다소 과장스럽고 감정적인 제스쳐를 갖고 있는 다른 영어권 친구들과는 달리,

곧은 자세와 다소 냉담한 듯한 냉철한 말투가 그때의 훈육떄문이 아닌가도 싶어.

하여간 대학에 들어오기 전까지는 한번도 키스를 포함한 성애적 접촉을 하지 않았었다니

다른 미국 아이들과는 완전 딴 세상에서 살았던 거지.

안경을 쓰고 입에 치아교정기를 낀 조용한 주근깨 왕따 모범생이 눈앞에 떠오르더라.

여동생이 하나 있는데, 부모님이 '한 아이의 영혼을 구하겠다'며 남미에서 입양한 아이래.

그 아이도 J처럼 엄격한 신앙 속에서 생활하다가 복음주이 교회가 운영하는 수녀원같은 대학 기숙사에 들어갔대.

J는 세상에 눈을 번쩍 뜨고 난 후에, 동생을 그 감옥같은 기숙사에서 빼내기 위해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대.

J의 부모는 비싼 변호사를 사서 맞섰는데, 결국 J가 어르고 달래서 소송을 취하했대.

그래서 J의 동생은 해방되었어.

 

그래서 그런지, J의 말과 행동에서는 자신감과 분별력이 느껴져.

세상은 이렇게 저렇게 생겨먹었고, 그 속에서 나는 이렇게 저렇게 하면

행복하고 의미있어 질 수 있을거라는 그 분명하고 생생한 비전.

 

그래서 나에게 필요한 건 용기와 자신감이 아닐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