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낙태죄 폐지, 국회와 정부가 수상하다

우리는 '폐지'라는 진전을 원한다

본문듣기 등록 2020.09.29 08:24 수정 2020.09.29 08:24
 
2012년 헌법재판소는 낙태죄가 합헌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당시에 나는 심드렁한 기분이 들었지만 위기의식이 생기진 않았다. 내게 낙태죄는 단순히 시대착오적이고 불평등한 법안 정도로만 느껴졌다. 그래서 낙태죄가 유지된다는 소식을 듣고도 딱 이 나라에 어울리는 정도의 구린 판결이 나왔다고 생각했다. 사실 위헌 판결이 내려지리란 희망도 그다지 없었다.

그리고 그해 11월 임신중단 수술을 받던 10대 여성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대부분의 언론들이 이 사건을 한 청소년의 일탈처럼 묘사하거나 사람들의 이목을 끌 가십처럼 소비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사망한 이의 부모가 인터넷을 통해 비밀상담이 가능한 병원을 수소문 했다는 기사의 한 문장을 읽은 후 심장이 덜컥 주저앉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가 병원을 찾을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게 무엇일까. 접근성·친절·병원의 설비 등등 다양한 요소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병원에서 우리는 의사에게 그 무엇도 아닌 스스로의 몸을 맡기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의사가 실력이 좋은지, 되레 몸에 안 좋은 과잉 처방은 하지 않는지 등을 수소문 한 후에 병원을 찾을 때가 많다. 비용이 더 들어가도 그건 고려할 사항이 아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사건에서 사망한 이의 부모들은 다른 무엇보다 비밀 유지가 가능한지를 먼저 물었다. 무려 수술을 해야 했는데 말이다. 왜 그랬을까. 딸이 낙태죄로 처벌을 받고 사회적 비난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 아니었을까.

뉴스를 읽고 곰곰이 생각했다. 만일 임신중지가 죄가 아니라면 그 부모들은 무엇을 가장 먼저 질문했을까. 거기까지 생각했을 때 비로소 위기감이 느껴졌다. 낙태죄는 정말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조항이었다.

겨우 가능성 열자 들려온 소식
  

▲ 낙태죄 완전 폐지 촉구 기자회견이 28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앞에서 모두를위한낙태죄폐지공동행동 주최로 열렸다. ⓒ 권우성

  
프로라이프 의사회의 이어진 임신중지 시술 병원 고발,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합헌 판결, 그리고 비극적인 죽음까지 이 일련의 상황들에 충격을 받은 것은 나뿐만이 아닌 듯했다. 점차 낙태죄는 사람들이 주목하는 이슈로 부상했고 많은 이들이 속속 낙태죄 폐지 운동에 합류했다.

이후 거의 해마다 낙태죄 폐지를 요구하는 시위가 열렸고 그 규모는 점점 커져갔다. 추운 날에도 더운 날에도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면서 집회에 함께했고 그만큼 낙태죄 폐지를 향한 염원은 커졌지만, 낙관적인 결과를 확신할 순 없었다. 하지만 목소리를 계속 내면 사회가 조금씩이라도 움직이는 걸까. 2019년 4월 헌법재판소는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라는 역사적인 결정을 내렸다.

당시에 낙태죄 폐지를 간절히 염원해온 동료들과 기뻐했지만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수는 없었다. 헌법재판소는 위헌이 아니라 헌법불합치 판정을 내렸고, 이는 2020년 전에 국회가 대체법안을 통과시키거나 혹은 그 기간이 지나 낙태죄가 자동으로 사라지게 두어야 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즉 낙태죄는 아직 완전히 사라진 게 아니었다. 그리고 새로운 낙태죄 관련 법률이 처벌조항은 그대로 둔 채, 임신중지가 가능한 예외적인 조건이나 허용 기간을 두는 식으로 만들어질 가능성도 있었다. 그리고 이 불길한 가능성이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는 소식이 얼마 전 들려왔다.

우리는 후퇴한 논의를 원하지 않는다

최근 몇몇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23일 낙태죄 조항의 개정을 논의하기 위해 국무총리실의 주재로 법무부·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등 5개 부처 장관들이 모인 회의가 열렸다고 한다. 입법 시한을 겨우 3개월을 남겨놓고 부랴부랴 회의를 연 것도 실망스러운데 논의 내용이라도 긍정적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이조차도 그렇지 못하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기사에 인용된 정부 관계자들의 말대로라면 진행된 논의 결과 처벌조항은 존속하되 허용 기간과 예외조항을 두는 방식으로 결론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물론 관계자의 전언이라는 것이 아주 명료한 정보도 아니고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볼 수도 없기에 섣불리 단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보도의 내용이 사실임을 가정한다면 이건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정도의 개정으로는 임신중단과 관련된 여러 사회문제들을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불필요한 혼란까지 야기될 위험까지 존재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법무부의 자문기구인 양성평등정책위원회가 한 권고에도 매우 상세히 드러나 있다. 위원회는 지난 8월 발표한 권고에서 신체적 조건과 상황이 개인마다 다르고 정확한 주수를 인지하거나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임신 주수를 기준으로 형벌을 면제하거나 부과하는 것은 형사처벌 기준의 명확성에 어긋나 타당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당사자들조차 처벌 여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기준이 무슨 쓸모가 있나.

'낙태죄'의 존치는 인권 탄압이다
 

▲ 모두의페미니즘 회원들, 낙태죄 폐지 촉구 기자회견 2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대학생연합동아리 모두의페미니즘 회원 및 관계자들이 낙태죄 전면폐지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몰래 임신중지 시술을 받기 위해 암암리에 병원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높은 비용을 치르는 일, 보다 안전하게 시술을 받을 병원을 찾지 못하고 의사 앞에서 환자로서 권리를 주장하기 어려운 상황, 임신중단을 이유로 이미 헤어진 배우자나 파트너에게 고발하겠다는 협박을 당하는 일까지 이 모든 상황들은 임신중단이 범죄인 때에 계속해서 발생해왔다.

누군가 자신의 몸에 대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필요한 정보 속에서 최선의 의료적 선택을 할 권리를 박탈당한 채 도리어 범죄자 취급을 받고 그게 약점으로 잡히는 일 말이다. 특정 인구집단이 이런 일에 처하거나 혹은 그럴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살아간다는 것은 대규모의 인권 억압이 자행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게 지금까지 한국의 현실이었다.

국회와 정부는 이런 끔찍한 상황을 수십 년간 방치해 왔다. 그런데 낙태죄를 완전히 폐지시킬 기회 앞에서 이를 유지하는 선택을 한다면, 이제는 방치 정도가 아니라 상황을 조장하는 게 아닌가.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임신중단과 관련된 유일한 사회적 문제는 집단적인 기본권 박탈과 인권 탄압이며 이로 인해 개인의 삶이 파괴되는 것이다. 그 외에 고민되고 검토되어야 할 시급한 문제란 존재하지 않는다. 정부는 추석 이후에 개정된 법안을 입법예고 했다고 한다. 부디 그 법안이 낙태죄에 대한 제대로 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기를 바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북지원 불법으로 매도한 가짜뉴스 사과하라”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20/09/29 10:02
  • 수정일
    2020/09/29 10:02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시민단체들, 국회 앞에서 지성호 의원 항의 기자회견
이하나 통신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20.09.28  21:11:54
페이스북 트위터
   
▲ 겨레하나는 북민협 및 민주노총과 함께 28일 오전 10시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 - 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남북관계 ‘가짜뉴스’ 폐단이 심각한 가운데, 대북지원사업마저 불법행위라고 규정하는 가짜뉴스까지 배포되자 시민단체들이 항의하고 제동을 걸고 나섰다.

얼마 전 국민의힘 지성호 의원은 시민단체 겨레하나의 2016년 북한수해돕기모금사업이 위법이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지성호 의원은 해당 자료에서 “통일부가 불법기부금 모금 진보단체, 기부금품법 위반 친여성향 법인은 놔둔 채 애꿎은 단체만 감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겨레하나는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및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함께 28일 오전 10시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지성호 의원은 대북인도적지원사업마저 불법으로 매도하며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지성호 의원은 가짜뉴스에 대해 책임지고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통일부 비판 위해 시민단체 이용”

   
▲ 신미연 겨레하나 사무총장 직무대행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기자회견에서 신미연 겨레하나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지성호 의원의 가짜뉴스에 담긴 정치적 의도를 지적했다.

“지성호 의원이 현재 통일부가 진행 중인 대북전단 살포와 관련 있는 25개의 탈북자단체 감사를 막고 싶은 심경은 알겠다. 그러나 최소한 가짜뉴스까지 동원해서 시민단체를 이용해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 겨레하나는 위법단체가 아니다. 2016년 북한수해모금사업 대부분은 겨레하나 회원 및 단체회원의 모금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기부금품법 위반이 아니다. 지성호 의원은 사실관계 확인도 하지 않고 겨레하나를 ‘불법단체’로 낙인찍는 가짜뉴스를 배포했다.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대북지원단체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지성호 의원의 과거 행적을 언급하며 “지 의원은 가짜뉴스 제조기나 다름없던 과거 행각에 대해서도 사과한 적이 없다”며 “국회의원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가짜뉴스를 배포, 양산하는 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북민협 이주성 사무총장은 “북민협은 55개의 진보-보수, 불교-기독교 등 다양한 단체가 모여 있다. 우리는 대북인도적지원사업은 우리 자신의 정치적 이해와 경제적 이득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북민협은 2016년 북한수해모금 돕기 사업에 국제적십자사와 연대했고, 겨레하나도 회원단체로 함께 했다. 국회가 이런 인도적 활동을 인정하고 존중하기는 커녕 가짜뉴스를 만들어 국민들을 현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가 가짜뉴스 진원지인가

   
▲ 이주성 북민협 사무총장은 국회가 가짜뉴스 진원지가 되고 있다고 규탄했다. [사진 - 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지성호 의원이 문제삼은 2016년 북한수해모금사업에 겨레하나와 함께 참여했던 민주노총의 엄미경 부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이주성 사무총장은 국회가 가짜뉴스 진원지가 되고 있다는 점 역시 지적했다.

“우리가 바로잡아야 할 것이 있으면 겸허히 수용하겠다. 그러나 순수한 인도적 지원에 대한 악영향을 끼치는 가짜뉴스는 단호히 대처할 것이다.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가짜를 선별하여 진실을 만들어내야 할 국회가 오히려 가짜뉴스 진원지가 된 것이다. 국회의원은 정의를 세우는 사람이고, 부정한 것에 대한 날선 비판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가짜뉴스에 대한 사과를 요청한다. 지성호 의원은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국회의원이 되고 싶다면 용기를 내주길 바란다.”

2016년 북한수해모금사업에는 민주노총, 전농, 전교조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함께 참여했다. 이날 민주노총 엄미경 부위원장은 “민주노총의 많은 조합원들이 그 동안 겨레하나를 비롯한 시민단체들과 남북협력사업에 꾸준히 한마음으로 함께 해 왔다”고 확인하고 “그런데 이렇게 ‘아니면 말고’ 식의 가짜뉴스, 시민단체에 대한 부당한 정치 공세가 계속된다면 민주노총도 이를 민주노총에 대한 공격으로 판단할 것”이라며 “공당의 국회의원이라면 가짜뉴스를 만들게 아니라 남북화해에 대해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성호 의원을 비판했다.

지성호 의원 측 “사과할 일 아냐, 통일부 편향 비판 위한 것”

   
▲ 지성호 의원 측과의 면담 결과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할 뜻이 없음”이 확인됐다. [사진 - 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기자회견 이후 겨레하나측은 지성호 의원실 항의면담을 진행했다. 신미연 직무대행은 의원실 면담 결과에 대해 “지성호 의원실은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며 “도리어 이번 일이 탈북자 단체를 보호하고 ‘통일부의 편향’을 비판하기 위해 시민단체를 이용한 것임을 인정하는 취지의 발언까지 했다”고 전했다.

신미연 직무대행은 “이번 일로 대북인도적지원 모금이 위법이고 겨레하나가 불법단체인 것처럼 매도되었다. 무엇보다 시민들의 따뜻한 마음, 북녘 동포들과 함께 하겠다는 마음이 정치적으로 훼손되었다”며 “이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고 더욱 단호하게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하나 통신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반도 전쟁 위기, 어떻게 해소되었나

[아침햇살96] 한반도 전쟁 위기, 어떻게 해소되었나

 

문경환 | 기사입력 2020/09/29 [08:19]
  •  
  •  
  • <a id="kakao-link-btn"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font-size: 12px; line-height: 16px; font-family: dotum, 돋움, Arial; color: rgb(102, 102, 102); text-size-adjust: none;"></a>
  •  
  •  
  •  
  •  
 

1. 2017년 전쟁위기

 

밥 우드워드는 신작 『격노』에서 2017년 북미 사이에 전쟁이 일어날 뻔하였다고 밝혔다. 우드워드는 “이것은 진짜 위기였다”라고 적었다. 

 

그해 8월 8일 트럼프 미 대통령은 “북한이 미국을 위협하면 지금껏 전 세계가 보지 못한 ‘화염과 분노’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11월에는 항공모함 3척을 한반도 주변 해역에 투입해 훈련을 하도록 했다. 12월에는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미국을 향해 발사될 경우 요격미사일로 격추할 권한을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에게 부여했으며 2017년 4월과 2018년 1월 “한국에 있는 미군 가족을 전부 데려오라”라며 비전투원 후송 작전(NEO)을 지시했다. 

 

이처럼 당장 북한을 공격할 것처럼 큰소리치던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은 자신이 전쟁을 막았다며 대표적인 치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북한이 미국을 공격하려 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막았다’거나 ‘미국이 북한을 공격하려 했는데 아쉽게도 하지 못했다’라고 해야 말이 맞는데 ‘내가 전쟁 하자고 했는데 내가 막아서 기쁘다’라고 하니 말이 안 된다. ‘전쟁을 하고 싶다’와 ‘전쟁을 막아 기쁘다’ 사이에 뭔가 있어야 한다. 

 

그 답은 『격노』에 실린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이 보여주었다. 그는 당시 핵전쟁에 대한 공포로 워싱턴 국립대성당 2차 세계대전 추모 예배실을 여러 번 찾아 기도를 올렸다. 북한은 국가 핵무력을 완성했고 미국은 이를 감당할 수 없었던 것이다. 

 

과거에도 미국은 여러 차례 북한을 공격하려 하였다. 하지만 끝내 전쟁을 개시할 수 없었다. 모두 비슷한 이유 때문이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만 살펴보자.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과 그에 대한 유엔 대북제재, 한미연합훈련 키리졸브 실시, 그리고 이에 맞선 북한 조선인민군의 3월 30일 전시상황 돌입 선언으로 한반도는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을 맞았다. 그러다 4월 15일 케리 국무장관의 대북특사 파견 제안, 5월 1일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 제안, 5월 7일 북한의 1호 전투근무태세 해제로 전쟁 위기가 누그러졌다. 

 

▲ 2013년 전쟁위기 당시 김정은 위원장이 전략회의에서 미국 본토 타격 계획을 검토하였다.   [출처: 인터넷]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 출신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2013년 4월 1일자 USA 투데이에 “전쟁 시뮬레이션에선 결국 우리가 승리하지만 1차 세계대전 수준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왔다”라고 밝혔다. 1차 세계대전의 피해는 어마어마하다. 독일을 중심으로 한 동맹국의 군 병력 사망자는 438만 명, 부상자는 838만 명, 그리고 실종자는 362만 명, 민간인 사망자는 314만 명에 달한다.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의 피해는 군 병력 사망자 552만 명, 부상자 1283만 명, 실종자 412만 명, 민간인 사망자는 360만 명에 달한다. 종합하면 4천만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아마 핵전쟁을 가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정도 피해를 감수하며 전쟁을 할 수 없었다. 

 

2002년 부시 정부도 전쟁을 준비했다. 북한 정권을 교체한다는 목표까지 세웠다. 이를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전쟁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는데 구체적 결과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다만 2003년 5월 30일에 진행한 1차 워게임에 입회한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의 기자는 2003년 8월 18일 영국의 BBC 텔레비전에 출연해 “결국 참가자들은 중대 결단을 내리려다가 중단하고 말았다. 유효한 군사적 선택카드가 하나도 없다는 점 때문에 그들은 좌절감을 맛보았다”라고 밝혔다. 2차 워게임은 7월 중순에 진행되었는데 2003년 8월 1일자 뉴욕타임스 오피니언 기사에 따르면 “우리가 패배한다(we’re doomed)”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한다. 이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았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2005년 럼스펠드 국방장관은 북한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선제공격 계획을 승인했다. 하지만 중앙일보 2020년 9월 19일자 보도 「“서울 불바다 되지만 北선제공격"” 美대통령마다 준비한 카드」를 보면 “북한을 제압할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라고 한다. 

 

1994년 클린턴 정부는 영변 핵시설만 제거하는 ‘외과수술식 정밀 폭격’을 준비했다가 포기했다. 앞의 중앙일보 보도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미국은 당시 모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면전 상황도 예측해 봤다. 그 결과 90일 이내에 주한미군 5만2000명, 한국군 49만 명이 다치거나 죽는 것으로 나왔다. 민간인을 포함해 100만 명의 사망자가 예상됐다. 당시 결국 선제타격을 포기한 배경이다.”

 

물론 이 결과 역시 북한에 핵무기가 없다는 가정 아래 나온 것이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1968년 1월 23일 발생한 푸에블로호 사건이 있다. 미 해군의 최신예 전자첩보함 푸에블로호가 북한 영해인 원산 앞바다에서 첩보활동을 벌이다 북한 해군 함정에 나포된 사건이다. 미국 존슨 정부는 즉각 세계 최강이라 자부하는 제7함대 주력 기동부대와 항공모함 3척을 비롯해 핵잠수함과 전투기 수백 대를 한반도에 급파하였다. 

 

그러자 2월 8일 북한의 김일성 주석은 “우리는 전쟁을 반대한다. 그러나 전쟁을 두려워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평화를 사랑한다. 그러나 평화를 구걸하지는 않겠다”라고 선포하면서 동시에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보복에는 보복, 전면전에는 전면전으로”라며 북한인민군과 각급 준군사조직, 전 인민에게 전시동원체제를 명령했다. 사태는 전쟁으로 치달았다. 

 

그런데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미국은 푸에블로호의 영해 침범 사실을 시인하고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1968년 12월 푸에블로호 승무원들은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배는 북한의 전리품이 되어 아직도 북한에 남아있다. 

 

▲푸에블로호     ©자주시보

 

당시 상황을 다룬 북한 소설을 보면 미국이 항공모함을 집결시켜 북한을 위협할 때 북한 지도부가 항공모함을 격침시킬 수 있는 미사일을 미국 정찰자산이 볼 수 있게 노출시켰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뿐 아니라 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미국의 핵공격에 대비해 주요 군사시설을 지하 깊이 마련하고 전국 곳곳에 지하 방공호를 건설했다. 또 군부대는 물론 주요 건물과 심지어 열차에까지 엄청난 수의 대공포를 배치해 폭격기의 접근을 막았다. 해안선을 따라 바위지대 속에 포와 미사일기지를 잔뜩 배치해 군함의 접근도 차단했다. 이런 상황을 정찰기와 정찰선으로 확인한 미국은 북한을 공격할 수 없었다. 

 

1976년 판문점 도끼사건 때도 미국은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F-111 전투기 20대를 포함해 대규모 폭격기, 항공모함 등을 투입해 북한을 위협했다. 그러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당시 북한은 유감성명을 발표했다. ‘유감’은 참으로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미국은 유감성명이 잘못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며 거부했지만 결국 수용하고 사태를 종결지어야만 했다. 미군 대위 1명, 중위 1명이 사망하고 병사 4명이 중상을 입었지만 미국은 아무런 보복도 응징도 못하고 나무를 자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북한과 전쟁을 하기 힘들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북한을 공격하려는 미국의 시도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끊임없이 반복됐지만 그때마다 이를 좌절시킨 건 북한의 군사적 능력과 의지, 즉 전쟁능력이었다. 북한은 자신의 핵무력이 수많은 전쟁 위협을 막아낸 ‘평화의 보검’이라고 주장하는데 위의 과정을 보면 이런 북한의 주장에 객관타당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인 것 같다. 

 

2. “한반도에 대한 무력 사용은 우리의 동의 없이 불가능하다”

 

『격노』에서 미국이 북한에 핵무기 사용을 검토했다는 내용이 나오자 청와대는 “한반도에 대한 무력 사용은 우리의 동의 없이 불가능하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런데 역사적 사례들을 보면 한국정부는 전쟁위기 고조와 해소 과정에 어떤 책임적인 개입을 할 수 있는 상황이나 여지가 전혀 없었다.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은 자서전에 1994년 전쟁 위기 당시 자신이 미국 대통령에게 전화해서 전쟁을 막았다고 썼다. 하지만 미국 정부나 평론가 중 김영삼 전 대통령 때문에 전쟁이 나지 않았다고 평가하는 사람 단 한 명도 없다. 앞의 중앙일보 보도는 “클린턴 행정부의 선제타격 방안 검토 과정에서 한국 정부는 배제됐다. 김영삼 정부는 미국에서 선제공격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2017년 위기 때도 마찬가지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으로 사람이 죽어도 한반도에서 죽는다”라며 전쟁 위기를 고조시켰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에 호응해 반북공세를 펴며 위기를 부추겼다. 하지만 미국이 실제 전쟁 준비를 하고 있었는지 파악조차 못했다. 

 

“당시 주한미군에 미 본토와 해외 미군 기지로부터 참모 인원을 중심으로 한 증원이 이뤄졌다. 눈에 띄지 않게 조금씩 들어왔다. 미군은 자기들끼리 이야기를 나누다 한국군이 오면 입을 다물곤 했다. 그리고 한국군을 뺀 채 자기들끼리 비밀회의를 자주 열었다.” (중앙일보 9월 27일 보도 중)

 

미국은 결국 핵전쟁 피해를 감당할 수 없어 전쟁을 포기했다. 물론 이 과정에 문재인 정부가 영향을 미쳤다는 그 어떤 자료나 평가도 존재하지 않는다. 앞의 19일자 중앙일보 보도는 “한국은 이처럼 한반도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 있는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을 논의할 때 단 한 번도 초대받지 못했다. 미국은 전략무기인 핵무기에 관해선 사용 계획을 동맹국과도 협의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렇게 보면 이번에 청와대가 얘기한 “한반도에 대한 무력 사용은 우리의 동의 없이 불가능하다”라는 소리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 그저 ‘나도 살아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는 외마디 비명일 뿐이다. 비참하지만 이게 우리 현실이다. 

 

이런 비참한 현실을 나타내주는 징표는 여기저기 널려있다.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핵무기 반입 여부를 모른다. 심지어 미군이 몇 명 있는지도 모른다. 세균무기 실험을 하는지도 모르고 택배로 살아있는 탄저균을 반입해도 모른다. 주한미군이 국내에 들어올 때 코로나19 검사도 못한다. 이태원에 코로나19가 갑자기 확산됐을 때도 주한미군 연관설이 파다했지만 파악조차 못 한다. 경기도 포천에서 주한미군이 안전조치를 위반해 자국민이 4명이나 죽었지만 미군에 아무런 책임도 묻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미군 책임을 묻는 대학생의 입을 틀어막느라 여념이 없다. 

 

▲ 경찰은 진상규명단이 캠프 케이시에 면담요청하러 가는 것조차 매일 가로막고 있다.     ©김영란 기자

 

이런 걸 놓고 볼 때 한미 관계는 동맹관계가 아니다. 독일을 비롯해 여러 나라에 미군이 주둔하고 있지만 해당 국가 정부의 승인 없이는 미군이 한국에서처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다. 독일 같은 나라들과 비교해보면 한국은 식민지라고 누가 비난해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한국에서 일어나는 미국 관련 일들은 식민지에서나 있을법한 일이다. 그래서 비참하고 참담하다. 

 

문재인 정권은 미국의 ‘승인’을 추구한다. 하지만 『격노』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를 거칠게 대하는 상대를 좋아한다고 한다. 이 말 뜻은 줏대를 가지고 자기 주장을 강력하게 제기하는 그런 상대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와 반대로 트럼프 앞에 가면 기가 죽어 아부하고 굴종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개돼지로만 보고 그렇게 취급한다. 트럼프에게 저자세를 보인 아베 전 일본 총리는 미일정상회담 자리에서 레드카펫에 올라가지도 못했다. 기자들이 모두 보는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레드카펫에 못 올라오게 막아 망신을 준 것이다. 

 

2019년 2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한국이 전화 두어 통으로 방위비 분담금을 5억 달러 더 내기로 했다”라며 한국을 개돼지 취급했다. 2019년 8월 9일에는 “브루클린의 임대아파트에서 114.13 달러를 받는 것보다 한국에서 10억 달러 받는 것이 더 쉬웠다”라며 또 한국을 모욕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런 비참하고 참담한 현실을 제대로 알고 이를 혁파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주권국가임을 과시하고 우리 동의 없이 누구도 한반도에서 전쟁 못한다는 것을 확립해야 하는데 그 시작으로 정부는 한미워킹그룹과 동맹대화를 해체하는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자주시보와 주권연구소에 동시 게재됩니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최근 5년간 의사 성범죄 686건… 강간·강제추행에도 의사 면허 유지

 
최근 5년간 의사 성범죄 686건… 강간·강제추행에도 의사 면허 유지
 
 
 
임병도 | 2020-09-28 08:51:10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최근 5년간 의사 성범죄는 686건이었고, 그중 90%가 강간이나 강제추행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전남 목포시)이 국정감사를 위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의사로 인한 성범죄는 686건으로 매해 평균 137건이나 됐습니다.

2015년 114건던 의사 성범죄는 매년 꾸준히 늘어 2018년엔 163건 발생했으며, 지난해에도 147건의 의사 성범죄가 발생했습니다.

의사에 의한 성범죄 유형을 보면 686건 중 613건이(89.4%)이 강간이나 강제 추행이었습니다. 불법촬영이 62건(9%), 통신매체 이용음란이 10건 (1.5%), 성적목적 공공장소 침입이 1건(0.1%) 등이었습니다.

의사, 성범죄 저질러도 면허 계속 유지

▲최근 3년간 면허 취소된 의사들의 재교부율은 89.3%이고, 승인 받은 의사 면허의 취소 사유는 대부분 의료행위에 국한됐다. ⓒ최혜영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비례)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면허를 다시 받았던 의사들의 면허 취소 사유를 보면 ‘성범죄’가 없습니다. 대부분 ‘마약류 관리법 위반’, ‘무면허 의료행위’, ‘진료기록부 허위작성’ 등이었습니다.

최근 5년간 평균 130건이 넘는 의사에 의한 성범죄가 발생해도 의사들은 면허를 취소당하지 않고, 의사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2000년 의료법 개정 이전에는 의료관련 범죄행위 이외에도 모든 형사 사건에서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으면 결격 사유로 의사 면허 취소가 됐습니다.

현행 의료법은 의사를 포함해 의료인들이 성폭행이나 불법촬영 같은 성범죄를 저질러도 의료행위와 연관성이 없다면 의사 자격이 유지됩니다. 또한, 성범죄 의사의 범죄이력도 공개되지 않습니다.

2000년 “보건의료와 관련된 법령을 위반한 경우에만 면허취소가 가능하다”는 의료법 개정안을 발의한 것은 의사 출신 김찬우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의원이었습니다.

2018년 KBS <추적60>이 보도한 ‘범죄자가 당신을 진료하고 있다, 불멸의 의사 면허’ 편에는 자신의 병원에서 일하는 19살의 간호조무사를 상습적으로 성폭행한 의사에 대한 내용이 나왔다. 해당 의사는 12년간 강간과 협박을 일삼았지만,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이후 다시 병원으로 돌아왔다. 몰카 범죄를 저질렀던 의사는 면허를 박탈당하지 않았고, 수백 명의 몰카를 다시 찍다 걸리기도 했다.

미국은 형사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의사면허 발급 자체가 안 되고 범죄사실도 반드시 이력에 포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독일은 범죄를 저지른 의사는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의료 업무를 볼 수 없습니다.

김원이 의원은 “의사가 강력범죄를 저질렀음에도 면허를 유지하게 하는 현행법은 특정집단에 대한 과도한 특혜”라면서, “범죄 의사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들이 이미 21대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만큼 국민의 상식 수준에 부합하도록 법 개정에 앞장서겠다”고 밝혔습니다.

2000년 의료악법 개정 요구하는 시민들

▲지난 8월 31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2000년 의료악법 개정 청원글. 35만명이 넘게 동의했다. ⓒ청와대 홈페이지 화면 캡처

코로나 사태에도 공공의대 설립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한 의료계의 파업이 이어지던 지난 8월 청와대 홈페이지에 의료법 개정을 요구하는 국민청원이 올라왔습니다.

청원인은 ‘의사집단을 괴물로 키운 2000년 의료악법의 개정을 청원합니다’라는 제목의 게시글에서 “코로나19 위기가 극에 달해 시민들이 죽어가는 시기에도 의사들이 진료 거부를 할 수 있는 이유는 2000년 개정된 의료악법 때문”이라며 “당시 개정된 의료 악법으로 의료인은 살인, 강도, 성폭행을 해도 의사면허가 유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지금의 의사집단은 의료법 이외의 어떠한 범죄를 저질러도 면허를 유지할 수 있으니, 3년 징역이나 3000만 원 벌금 정도의 공권력은 전혀 무서울 게 없는 무소불위의 괴물이 된 것”이라며 “이후 이 악법을 개정하기 위해 2018년 11월까지 총 19건이 발의됐지만 의사들의 반발로 단 한 건도 통과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의료악법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정하여, 시민들의 안전과 국가 질서를 공고히 하기 바란다”는 의료법 개정 청원은 28일 현재 35만여 명이 넘게 동의했습니다.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m/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213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단독] “박덕흠이 담합 지시” 판결문 명시…검찰은 기소도 안했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20/09/28 10:25
  • 수정일
    2020/09/28 10:2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등록 :2020-09-28 04:59수정 :2020-09-28 07:33

 

2008년 짬짜미 적발에도 처벌 모면
박덕흠, 직원 시켜 입찰금액 등 전달
17개업체 가담 514억공사 담합 주도
검찰, ‘업체 대표’ 아니라고 기소 제외
공정위선 대표 아니라며 조사도 안해
당시 판사 “혜영건설 실경영주 지시”
가담업체 “인맥 총동원 수사 피해…”
검찰·공정위, 박덕흠 비리의혹 한 몫
법조계 “수사 안 한 검찰의 봐주기”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이 23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기위해 입장하고 있다.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이 23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기위해 입장하고 있다.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박덕흠 무소속 의원(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이 대주주인 건설회사가 과거 입찰 담합 행위로 적발된 사건에서 당시 박 의원이 다른 건설사들 쪽에 직접 입찰 담합을 지시한 정황이 판결문을 통해 확인됐다. 그러나 박 의원은 명목상 업체 대표가 아니라는 이유로 검찰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조차 받지 않았고, 다른 업체들과 이들한테 뇌물을 받은 공무원들만 처벌됐다. 업계에서는 “당시 대한전문건설협회장 신분으로 담합을 지시한 그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박덕흠은 의원이 될 수 없었다. 지금의 그를 만든 데에 검찰과 공정위도 한몫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2008년 3월 서울시가 추진한 ‘구의 및 자양취수장 이전 건설공사’(공사 금액 514억원)에서 발생한 입찰 담합은 혜영건설 대주주인 박 의원의 주도 아래 진행됐다. 이 사건은 취수장 이전 공사와 관련해 혜영건설과 대지종건·재현산업 등 17개 업체가 입찰 담합을 모의하고, 서울시 공무원들이 이 업체들로부터 수천만원의 뇌물과 향응을 제공받은 혐의 등으로 경찰에 구속되면서 불거졌다.

먼저 수주전에 뛰어든 혜영건설은 상하수도 건설업체인 대지종건, 재현산업과 함께 입찰 짬짜미를 하기로 모의했다. 이들이 입찰 담합을 위해 처음 모인 곳이 바로 혜영건설 사무실이었다. 이어 이들 업체들은 담합을 돕기 위한 ‘들러리’ 업체 15곳을 모았다. 혜영건설은 이후 회사 사무실로 대지종건 직원을 불러 사전에 조작된 투찰내역서가 담긴 이동식저장장치(USB)를 건넸고, 이 자료는 사흘간에 걸쳐 각 들러리 업체에 차례로 전달됐다. 일부는 입찰 당일 퀵배달 서비스를 통해 전달됐고 들러리 업체 쪽은 이 내역서대로 입찰가를 입력했다.

이 사건을 재판한 재판부는 박 의원이 직원들을 시켜 담합에 참여하기로 한 회사들에게 입찰금액과 산출내역서를 전달하고 그대로 투찰하도록 지시했다고 판단했다. 2009년 12월 서울중앙지법 형사23부(재판장 홍승면)가 선고한 이 사건 판결문을 보면 “박덕흠은 그 무렵 ○○○(당시 혜영건설 부장) 등에게, 혜영건설, 태원건설, 대경기업, 재현산업 등 10개 업체의 입찰에 관련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투찰을 지시하고, 위 10개 업체는 각 회사별 입찰 금액 및 산출내역서를 등록·전송하여 투찰하였다”고 적혀 있다. 재판부는 당시 대한전문건설협회장이었던 박 의원에 대해 “혜영건설의 실경영주”라고 표현했다. 혜영건설 직원 등에게 전달받은 입찰 금액대로 들러리 업체들의 투찰이 이뤄진 과정은 2012년에 나온 공정위 의결서에서도 확인된다.

재판부는 박 의원이 구체적인 담합 지시를 한 것으로 판단했지만 그는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았다. 12개의 회사들을 들러리로 세운 최아무개 대지종건 대표와, 업체들로부터 뇌물과 향응을 제공받은 공무원들이 구속돼 1심에서 집행유예 판결을 받았지만, 박 의원은 혜영건설의 명목상 대표가 아니라는 이유 등으로 경찰에서 참고인 조사만 받았다. 박 의원의 지시대로 10개 건설사에 담합 수법을 전달한 혜영건설의 손 본부장도 검찰에서 벌금형에 해당하는 구약식처분을 받는 것에 그쳤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박 의원이 담합을 주도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는데도 수사가 이뤄지지 않은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 대형로펌 소속 변호사는 “판사가 증거들을 바탕으로 담합을 지시했다고 판단한 것인데 검사가 여죄 수사를 하지 않았다는 건, 최소한 직무태만이거나 봐주기로밖에 안 보인다”고 했다. 이에 대해 당시 재판에 참여한 ㅇ검사는 “당시 서울중앙지검 공판부 소속으로 재판에만 참여했다. 사건 수사를 맡지 않아 잘 모른다”고 해명했다. 2017년 박 의원의 입찰 담합 등 비리 의혹에 대한 진정이 서울중앙지검에 접수됐지만, 당시에도 검찰은 진정인 조사만 하고 수사를 벌이지 않았다.

당시 입찰 담합에 참여했던 한 업체 대표 ㄱ씨는 “박 의원이 입찰에 관여했다는 사실은 입찰 업체들은 다 알고 있었다”고 했다. 또 다른 입찰 업체 대표 ㄴ씨는 “당시 담합을 주도했던 최씨도 ‘박덕흠 회장이 해결해 줄 거’라는 이야기를 했다”며 “당시 수사를 피하는 데 박 의원의 화려한 인맥이 총동원됐다는 얘길 들었다”고 했다.

오히려 박 의원이 대주주인 혜영건설은 공정위 조사가 시작되기 전에 자진신고를 하고 “조사에 적극 협조”했다는 이유로 담합 주도 업체 중 유일하게 과징금의 30%를 추가 감면받았다. 이로 인해 혜영건설은 다른 담합 주도 업체보다 4억원가량 과징금을 적게 냈다. 공정위 관계자는 “적극적으로 담합을 입증하는 데 기여를 해 감면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당시 검찰과 공정위가 철저하게 수사해서 처벌했다면 사상 최악의 이해관계 충돌은 없었을 것이다. 박 의원이 입찰 담합 삼진아웃법을 무산시킨 건 결국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것임이 드러난 만큼 국회 차원에서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 국회 윤리위 제소를 적극 추진하는 한편, 담합 제재 강화 법안을 재발의하겠다”고 했다.

오승훈 강재구 채윤태 조윤영 기자 vino@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63856.html?_fr=mt1#csidx93d1fc89875df438782a42f8151346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추석, 가장 나쁜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

[서리풀 논평] '모든 재난은 인재'를 되새기자

지금은 별다른 대안이 없으니 방역 당국이 말하는 권고를 따르는 것이 최선이리라. 덜 움직이고 덜 모이는 쪽으로. 무엇을 하든 코로나19 유행을 염두에 둔 예방적 행동이 개인과 공동체를 함께 안전하게 하는 최선의 길이다.

 

추석이야 그렇다 치자. 문제는 언제까지 이렇게 할 수 있는지, 현재 방식의 지속 가능성을 확신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외국의 유수 언론이 인정하고 국제기구도 동의하는 대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시민의 협력, 참여, 정책 순응 같은 것들이다. 그 무엇이 토대가 되었든 우리는 현재 방식의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한계에 가까워졌다고 판단한다.


 

정신, 심리, 감정으로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생활과 생존의 조건이 나빠지는 것이 큰 걱정이다. 먹고 사는 문제 또는 죽고 사는 문제가 많은 이의 과제가 되면, 개인의 규범과 사회문화적 압력만으로는 지탱할 수 없다. 생계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시위에 나선 이들이 더 이기적이거나 덜 도덕적이어서 그러지는 않을 터다.(☞ 관련 기사 : <연합뉴스> 9월 9일 자 '[르포] "버틸 만큼 버텼다. 살길 열어줘야"…성난 PC방·노래방 업주들')


 

방역보다 경제가 더 중요하니 한쪽을 포기하자는 의미가 아니다. 사실 우리가 처한 조건에서 유행 정도에 따라 방역 단계를 올리느니 마느니 논쟁하는 것은 무용하다. 과학적 근거와 사회적, 정치적 근거를 다 동원해서 따져 봐야 다 부질없어서다. 어느 쪽으로 '결단'하고 '선언'하는지와 무관하게 당사자가 실행하고 실천할 수 없다면 방역 단계를 변경하는 것이 무슨 소용인가.


 

실행 가능성이 없는 조치는 면피용일 뿐이다. 영업하는 가게를 닫으라고 공권력이 개입해도 생존을 위해서 법을 어기거나 피하는 사태를 걱정한다. 정부는 할 말을 했다고 하겠지만, 스스로 감염을 의심하면서도 생계를 위해 이동하고 남과 접촉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주로 개인에 의존했던 지금까지의 대응과 분명히 눈에 보이는 한계, 그리고 눈앞에 다가온 재유행의 가능성을 비교해 보시라. 설마 다시 큰 유행이 있을까, 낙관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한다. 1년이 더 걸릴지 그 이상 갈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 백신도 금방 답이 되지 않고 치료제도 이 일에 해당하지 않는다.


 

아무리 따져 봐도 지금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조건을 준비해 놓는 일 말고 무엇이 있는가. 영웅적 개인과 "국난을 극복하는 한민족의 저력"을 되뇔 일이 아니라 어떤 조건에 있는 누구라도 그렇게 할 수 있도록 공적·사회적·구조적 대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유감스럽게도 이제 처음 꺼내는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는 몇 달 전부터 유행에 대비해 의료 시스템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비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가능한 사회경제적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 : '실천 가능한 '록다운' 방안, 미리 준비하자''재난 자본주의'가 밀고 들어온다)


 

다시 비슷한 말을 강조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정부의 대응 태세가 실망스럽기 때문이다. 대구에서 유행이 끝난 후부터 8월의 재유행까지 무엇을 준비하고 훈련했는가? 지난 6월 중순에 우리가 촉구한 준비 사항 중 의제가 된 것이 무엇이라도 있는가?


 

"뭐니 뭐니 해도 수많은 사람의 생활과 생계 대책이 중요하다. 실직자와 비정규 노동자, 영세 자영자, 한계 상황의 중소기업을 어떻게 살릴(!) 것인지, 꼼꼼하지만 담대한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감염병 유행의 사후 대책이 아니라 방역 대책 그 자체다.


 

그 누구도 ‘부채 사회’를 벗어나지 못하는데, 임대료, 이자, 공과금, 건강보험 보험료 등을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업은 우리가 말하지 않아도 정부의 가장 큰 관심사일 테니 더 말하지 않는다. 모든 분야에 연쇄 반응이 일어날 터, 정부의 진짜 실력을 발휘해야 한다."


 

우리는 잘 모른다. 비슷한 것이 있다 한들, 그것은 모든 이가 기꺼이 실천하고 안심할 수준에 이르지 못한, 그야말로 흉내 내기나 찔끔 면피용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었다. 구조와 관련이 있는 사회적 거리 두기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것들이니, 이른바 2차 재난지원금이 대표적 사례다.


 

중환자 치료를 비롯한 의료체계도 무엇이 달라졌는지 잘 모르겠다. 중환자 치료용 병상 확보를 그토록 강조했지만, 부족 사태는 재현되었고 민간 병원에 호소하는 상황도 나아지지 않았다.(☞ 관련 기사 : <연합뉴스> 9월 11일 자 '코로나19 중환자 증가속 병상부족 심화…인천-광주 등 6곳 '0개'') 서류로 만든 도상계획은 어떤지 모르지만,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준비 태세는 과거와 대동소이다.


 

짐작하건대 어떤 상황은 더 나빠졌을 수도 있다. 질병관리청 등 정부 조직이 개편되면서 정부 내 지휘체계가 바뀌고 심지어 중대본의 '총괄조정관'도 바뀌었으니 하는 말이다. 중환자 병상을 챙기던 책임자도 새로운 자리로 이동했다고 한다. 이 와중에 다시 '손발'을 맞춰야 하는 사정이 된 셈이니, 그 사이의 비공식적 정보 공유와 일의 절차, 규칙은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행정부는 큰 문제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나, 감염병 관리 그리고 병상 배정을 비롯한 '임상 거버넌스'는 다른 재난이나 자원과는 차이가 크다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 이른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재난안전법)'이 감염병에도 적용된다고 되어 있지만, 이번 사태에 무슨 소용이 있었는가.(☞ 바로 가기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요컨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정부는 낙관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국민·시민·주민에게 개인행동을 호소하고 촉구하는 대응 전략으로 시종했다. 8월에 시작된 수도권의 유행도 그럭저럭 수그러든다고 생각하면, 앞으로도 그 기조를 크게 바꾸지 않을 것 같다. 적어도 정부의 추경예산으로 판단하건대, 사회적 수준에서 '대유행'에 대비한다는 생각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모두를 위해서 정부가 생각하는 시나리오가 맞았으면 좋겠다. 우리 또한 큰 유행이 다시 없기를, 그리하여 인명 손실과 나쁜 사회경제적 결과로 이어지지 않기를 학수고대한다. 정권과 정부의 성공, 'K-방역'의 성과, 국가 위신 따위가 아니라, 사람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상한다고 해서 또는 희망한다고 해서 이게 그렇게 될 일인가? 지금 만약의 가능성에 대비하지 않으면 더 큰 피해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닥쳐서는 어쩔 수 없는 일, 미리 피할 수 있는 죽음을 막아야 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가능한 조건을 만들어 두어야 한다. 이를 괜한 걱정에 낭비라 할 것인가?


 

시간이 많지 않다. 추석을 어떻게 안전하게 보낼까 하는 것과 더불어, 국가와 정부가 미리 준비해야 할 일을 챙기고 논의하고 결정해야 한다. 국민에게 의견을 듣고 동의를 받는 일도 급하다.


 

다시 강조하지만, 두 달 뒤 이후를 대비한 준비를 지금 해야 한다. 아마도 법과 예산까지 바꾸어야 할 일이 많을 것이다. 행정부와 국회, 주요 정당들이 이렇게 느긋하게 있을 때가 아니다. 모두가 이동과 만남을 줄인 이번 추석에는 '모든 재난은 인재'라는 경구를 모두가 되새겨야 하지 않을까?


 

ⓒ시민건강연구소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92808310693479#0DKU 프레시안(http://www.pressian.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기업 죽이기? 기업 살리기?... 공정경제 3법의 실상

재계는 법안 저지 총공세... 학계·시민사회 "불공정 개선할 최소한의 장치, 입법 서둘러야"

20.09.28 08:21l최종 업데이트 20.09.28 08:21l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접견하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접견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최근 정부·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공정경제 3법'(상법·공정거래법·금융그룹감독법 제·개정안)에 대한 재계의 반발이 거셉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마저 이 법안에 힘을 싣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재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재계와 이들의 입장을 충실히 대변하고 있는 일부 언론들은 공정경제 3법이 '기업 옥죄기'라며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박용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은 지난 22일 국회를 찾아 "기업들이 어려운 지경에 처해있는데 기업 옥죄는 법안이 자꾸 늘고 있어 걱정"이라며 법안 통과를 재고해달라 읍소했습니다. 

지난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한국상장회사협의회(회장 정구용), 코스닥협회(회장 정재송), 한국중견기업연합회(회장 강호갑)도 '상법·공정거래법에 대한 경제계 공동성명'을 내고 강력 반발했습니다. 

도대체 어떤 법안이길래 이토록 시끄러운 걸까요. 하나씩 따져보았습니다. 

[상법] 감사를 따로 뽑는 이유 

지난달 31일 정부가 제안한 상법 일부개정안 가운데 논란이 된 부분은 크게 2가지입니다. 경영감독 기능을 하는 감사위원 중 1명을 이사회에 소속된 이사가 아닌 별도의 인물 중에서 뽑도록 하는 것과, 모회사 주주가 자회사 경영진을 대상으로 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감사위원 분리 선임의 경우 재계에선 보유지분에 의한 다수결의 원칙을 훼손하는 법안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해당 개정안에선 감사위원을 뽑을 때 최대주주가 특수관계인과의 지분을 포함해 최대 3%까지만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허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최대주주가 한 기업의 총주식 가운데 30%를 가지고 있어도 감사위원 선출 안건에 대해선 3%만큼만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에 대해 재계는 주주총회에서 주식을 더 많이 가진 개인이나 법인이 자신의 의사를 더 많이 반영하기 어렵게 하는, '1주 1표'로 대표되는 주식제도의 기본원리를 무너뜨리는 방안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정부도 할 말이 많습니다. 정부는 의안서에서 "모회사 대주주가 감사위원 선임에 영향력을 발휘해 직무의 독립성을 해치는 등 전횡을 방지하고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상훈 변호사(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실행위원)는 "3%룰 자체는 대주주의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원래부터 존재했던 제도"라며 "감사위원 분리 선임이 도입되면 3%룰도 실효성을 갖게 돼 반발하는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중대표소송제에 대한 재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는 모회사 주주가 1%(상장회사의 경우 0.01%)의 지분만 가지고 있어도 자회사 이사에 대해 책임을 추궁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한 제도입니다. 

전경련은 지난 1일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법안이 통과하면 자회사의 소송 위험이 커지고 자회사 주주의 권리도 침해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재계의 주장은 기우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상인 서울대 교수는 "상법상 기업의 모자관계가 형성되려면 모회사가 자회사의 지분을 50% 이상 가져야 하는데, 우리나라 재벌이나 기업집단 구조를 볼 때 상장사 중에선 이러한 경우가 거의 없다"며 "실제 벌어지지도 않을 문제로 재계가 공포마케팅을 벌이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LG화학의 사례를 보면 모회사 주주의 자회사 소송이 필요한 이유를 알 수 있다고 했습니다. 박 교수는 "최근 LG화학의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지주회사에 대한 디스카운팅(저평가) 때문으로 볼 수 있다"며 "만약 다중대표소송제로 지주사 주주들이 자회사 임원의 일탈을 막을 수 있었다면 디스카운팅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도 "자회사의 이사가 임무해태 등으로 자회사에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 모회사 주주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라고 법안 신설 배경을 밝혔습니다.

[공정거래법 ①] 법 때문에 30조원 손실? 
 
중소상인, 시민사회단체 “재계-경영계, 공정경제3법과 유통산업발전법 저지 시도 중단하라” 맘편히 장사하고픈 상인모임,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민생경제연구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여연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ㅏ총연합회 회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정경제3법과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을 가로막는 재계와 경영계를 규탄하며 법안 처리를 촉구했다.
▲ 중소상인, 시민사회단체 “재계-경영계, 공정경제3법과 유통산업발전법 저지 시도 중단하라” 맘편히 장사하고픈 상인모임,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민생경제연구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여연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ㅏ총연합회 회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정경제3법과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을 가로막는 재계와 경영계를 규탄하며 법안 처리를 촉구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공정거래법 개정안 중에선 지주회사 지분율 규제와 일감몰아주기(사익편취) 규제를 강화한 점이 재계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법 관련 사건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만 고발이 가능하도록 한 전속고발권 제도를 폐지하는 부분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는 개정안을 통해 대기업 집단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거나 기존 지주사가 자회사나 손자회사를 새로 편입할 경우 지금보다 자·손자회사 지분을 더 많이 취득하게 할 계획입니다. 현행법상 지주회사 지분율 요건이 높지 않아 대기업이 적은 자본으로 과도하게 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새롭게 설립되거나 전환되는 지주회사는 자·손자회사 지분을 상장회사의 경우 30% 이상, 비상장사의 경우 50% 이상 보유해야 합니다. 현재보다 각각 10%포인트씩 상향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지주회사 체제 전환비용만 30조1000억원, 그에 따른 일자리 손실은 23만8000명에 이를 전망"이라고 강력하게 반발했습니다. 지난 18일과 21일 한 경제지는 이같은 주장을 그대로 차용해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그때마다 정부의 반박도 조목조목 이어졌습니다. 공정위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강제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각 기업집단이 지주체제 전환에 따른 지분매입 소요비용과 각종 세제상 혜택 등 편익을 비교해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보도된 지분매입 소요비용은 그 전제 조건에 있어 비현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며 "특히 추정 비용 30조1000억원이 모두 한 사업자로부터 발생한다는 점을 보면 추가 지분매입을 위한 비용이 모든 기업에게 보편적으로 발생한다고 보기엔 무리"라고 덧붙였습니다. 

박상인 교수도 "지주회사 전환에 드는 돈을 비용이라 말해선 안 된다"며 "오히려 문제는 신규 설립·전환 지주회사에 대해서만 이 같은 규제를 적용하려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대부분의 재벌들이 지주사로 전환했지만 삼성, 현대차 등은 경영권 세습 문제 때문에 이를 꺼리고 있다"며 "신규 전환을 (강제할)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공정거래법 ②] 일감 몰아주기 규제 강화에 불편한 재계

재계는 일감 몰아주기 규제 강화에도 예민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현행법에서는 기업집단 소속 회사가 일정 지분(상장사 30%, 비상장사 20% 이상)을 가진 계열사와의 거래로 총수일가 등 특수관계인에게 부당이익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를 상장사와 비상장사 구분 없이 20%로 규제하는 내용이 개정안에 포함됐습니다. 

이에 대한상의는 "기업투명성 제고 차원에서 정부가 지분율 상향을 유도해 왔는데, 정책에 순응해 자회사 지분율을 높인 회사가 오히려 규제를 받는 역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지주사에 속한 계열사 사이의 거래에 대해선 내부거래 규제의 예외로 인정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전경련은 "정부안에 따라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이 확대될 경우 경영상 필요에 의해 수직계열화한 계열사 사이 거래가 위축돼 기업 경영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고 반발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이 법안의 핵심은 정상적인 내부거래는 허용하면서 '부당 내부거래'만 규제한다는 것입니다. 

공정위가 판단하는 부당 내부거래는 ▲정상 거래보다 상당히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하는 행위 ▲회사가 직접 또는 지배 중인 회사를 통해 회사에 상당한 이익이 될 사업기회를 제공하는 행위 ▲특수관계인과 현금 등을 상당히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하는 행위 ▲사업능력, 재무상태 등에 대한 합리적인 고려나 다른 사업자와 비교 없이 상당 규모로 거래하는 행위 등입니다.

이상훈 변호사는 "일감몰아주기 규제 강화에 반대하려면 애초부터 해당 규제 자체를 반대했어야 한다"며 "SK의 경우 30% 규제를 피하기 위해 한 계열사 지분을 29.9%까지 보유하고 있는데, 이번 개정안은 이같은 꼼수에 대한 보완책으로 나온 것"이라고 했습니다. 

[공정거래법 ③] 가격담합 등 이젠 검찰에서 직접 조사

이밖에 재계는 공정위 전속고발권 제도 폐지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제도가 폐지되면 누구나 공정위를 거치지 않고 기업을 직접 고발할 수 있게 돼 경쟁사가 무분별하게 고발하거나 공정위와 검찰이 중복조사에 나서면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공정위 입장은 단호합니다. 공정위는 의안서에서 "현행법상 부당 공동행위는 공정위의 고발이 있어야 형사처벌이 가능하도록 규정돼 있어 경쟁 제한의 폐해가 크다"며 "신속하고 엄정한 조치가 필요한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이 제한되는 결과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 "검찰의 수사력으로 신속하고 엄정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부당 공동행위 중 중대하고 명백한 공동행위(가격·공급제한·시장분할·입찰담합 등)는 검사가 직접 공소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속고발권 제도 폐지의 경우 이로 인해 소송 남발 등 심각한 시장 유린 행위가 일어나더라도 매우 통제된 상태에서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재벌과 일부 보수·경제지의 태도는 엄살에 가깝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경쟁사 등이 고발을 남발하는 일이 설사 발생하더라도 검찰 조사 과정에서 필요 절차를 거치게 돼 현재 재계에서 우려하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겁니다.  
   
[금융그룹감독법] 부실 어음 계열사 판매, 불가능해진다
 
 금융소비자원은 동양그룹의 회사채,기업어음(CP) 불완전판매로 피해를 당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상황을 접수하고 있다. 온라인을 포함해 현재까지 접수된 피해 신청자는 4500명으로 신청건수는 7500건이다.
▲  금융소비자원은 동양그룹의 회사채,기업어음(CP) 불완전판매로 피해를 당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상황을 접수하고 있다. 온라인을 포함해 현재까지 접수된 피해 신청자는 4500명으로 신청건수는 7500건이다.
ⓒ 김지혜

관련사진보기


의외로 금융그룹감독법 제정안에 대한 반발은 크지 않습니다. 해당 법은 삼성, 현대차 등 금융계열사를 2곳 이상 보유한 복합금융그룹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현재는 삼성생명의 경우 보험업법으로만, 신한은행의 경우 은행법상으로만 규제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 같은 기업집단에 속한 금융회사 사이의 내부거래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무·경영상 위험까지 감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지난 2013년 부실 계열사의 기업어음(CP)을 계열 증권사를 통해 판매해 수많은 소비자들이 피해를 본 '동양사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죠.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법을 제정하겠다는 것이 정부 쪽 계획입니다. 

이에 재계에서도 별다른 이견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에서는 이미 업권별 규제 법안이 있는데 새로운 법을 추가하는 건 이중규제라는 반발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에 금융위는 "기존 개별업권 감독과 금융그룹감독법이 규제하는 위험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는 이중규제나 옥상옥 규제가 아니다"라며 "업권별 감독은 개별 금융사의 건전성을 관리하는 것이고, 금융그룹감독은 계열사 간 전이위험, 자본의 중복이용 등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이상훈 변호사도 "과거 동양그룹처럼 금융-비금융 계열사가 섞여 있는 경우 소비자 피해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규제가 필요하다"며 "동양사태 피해자는 4만명에 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그동안 복합금융그룹에 대한 규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를 옥상옥 규제라고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재계, 충치 심한데 치료 안받겠다는 꼴"

이처럼 재계와 일부 언론의 총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여권과 시민사회단체에서는 빠른 법 통과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박용진 의원은 "공정경제 3법에 대한 재계의 반응은 충치가 심한데도 치과 입구에서 치료를 받지 않겠다고 하는 것과 같다"며 "공정경제 3법은 썩은 이를 치료하기 위한 법안이므로 빠른 처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참여연대도 논평에서 "재계의 이익을 일방적으로 대변하는 경제구조와 이를 옹호하는 담론이야말로 그동안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고, 실질적인 시장원리의 작동을 저해해온 주된 요인"이라며 "국회가 우리 경제의 고질적인 부의 독점과 세습, 불공정거래 환경을 개선할 최소한의 원칙 마련을 위해 공정경제 3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작계와 흉계의 복합체는 어떻게 파탄되었는가?

[개벽예감 413] 작계와 흉계의 복합체는 어떻게 파탄되었는가?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 기사입력 2020/09/28 [08:48]
  •  
  •  
  • <a id="kakao-link-btn"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font-size: 12px; line-height: 16px; font-family: dotum, 돋움, Arial; color: rgb(102, 102, 102); text-size-adjust: none;"></a>
  •  
  •  
  •  
  •  
 

<차례>

1. 작전계획 5029와 6개의 급변사태 씨나리오

2. 군사정변과 참수작전은 어떻게 결부되었는가?

3. 마카오 비밀연락선으로 평양 염탐한 미국 중앙정보국

4. 후진타오의 침묵은 무슨 뜻이었을까?

5. 극비정보가 평양에 전해졌다

6. 오바마의 참수작전능력증강과 박근혜의 망상

7. 친서를 보내면서 참수작전능력 증강하는 문재인

 

 

1. 작전계획 5029와 6개의 급변사태 씨나리오

 

2010년 2월 9일 <동아일보>가 흥미로운 사실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군 합참본부 영관급 장교들과 주한미국군사령부 영관급 장교들이 한미연합사령부에 모여 도상훈련을 반복하면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도상훈련(table-top exercise)이라는 것은 작전지도 위에 타격대상들을 표시해놓고, 마치 실제 작전을 전개하는 것처럼 전투병력과 무장장비를 출동시켜 적을 공격하는 군사행동을 뜻한다. 

 

당시 군사전문가들은 그 도상훈련이 2010년 3월 8일부터 시작될 ‘키리졸브-독수리연습’을 앞둔 준비행동이겠거니 생각하고 넘어갔다. 그러나 그런 추정을 뒤집어버린 사건이 ‘키리졸브-독수리연습’을 며칠 앞두고 일본 도꾜에서 일어났다. 2010년 2월 17일 미국 태평양해병대사령관은 주일미국대사관에서 일본방위성 고위간부들에게 “오끼나와에 주둔하는 미국 해병대의 공격대상은 북조선이다. 남과 북이 충돌할 가능성보다 북조선 정권이 붕괴할 가능성이 더 크다. 북조선 정권이 붕괴하면, 북조선의 핵무기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임무”라고 말했다. 그의 발언이 충격적으로 들린 까닭은 그 발언 속에 다음과 같은 엄청난 정보가 담겼기 때문이다. 

 

첫째, 2010년 당시 오바마 행정부는 조선의 정권이 붕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1990년대 말에 떠돌았던 ‘조선붕괴설’은 사회주의국제무역체제의 해체와 미국의 대조선경제제재, 그리고 거듭되는 자연재해를 겪으며 ‘고난의 행군’을 하고 있었던 조선이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3개월 안에 무너질 것이라는 흉흉한 소문이었는데, 2010년에 떠돌았던 ‘조선붕괴설’은 다른 배경에서 나온 것이었다. 2010년 당시 조선은 ‘고난의 행군’을 오래 전에 결속하고 국가경제발전에 힘쓰고 있었고, 자연재해도 겪지 않았다. 그러므로 2010년에 떠돌았던 ‘조선붕괴설’은 조선의 정권이 혹심한 경제난으로 붕괴될 것이라는 소문이 아니라, 조선에서 뜻밖의 급변사태가 일어나면 미국군이 조선을 침공하여 최고지도부를 제거하고 정권을 전복시킨다는 뜻이었다.  

 

둘째, 2010년에 오바마 행정부가 예상한 조선의 급변사태는 군사정변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 무렵 오바마 행정부는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전복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셋째, 조선의 군사정변에 대비하여 오바마 행정부는 오끼나와에 주둔하는 미국 제3해병원정군(3rd Marine Expeditionary Force) 18,000명을 급파하여 조선을 침공하고, 반란조직의 군사정변을 지원하여 정권을 전복시키려고 획책했다.  

 

넷째,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 위와 같은 씨나리오로 구성된 북침특수전을 계획했는데, 그것이 바로 작전계획(Operation Plan) 5029다. 

 

월간지 <신동아>는 2007년 11월호에서 미국의 작전계획 5029에 6개의 급변사태씨나리오가 들어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 동안 한국 언론매체들이 산만하게 보도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6개의 급변사태씨나리오는 다음과 같은 모습을 드러낸다. 

 

1) 조선에서 출현한 반란조직이 군사정변을 일으키는 급변사태 

2) 조선의 최고령도자가 급서하여 조선이 대혼란에 빠지는 급변사태

3) 조선에서 출현한 반란조직이 핵무기와 핵물질을 장악하는 급변사태 

4) 남측 주민들이 북측에서 인질로 잡히는 급변사태

5) 북측 주민들이 대량으로 탈북하는 급변사태

6) 조선이 자연재해로 대재앙에 빠지는 급변사태 <사진 1>  

 

▲ <사진 1> 이 사진은 2010년 3월 3일 '키리졸브-독수리연습'에 참가한 미국 제3해병원정군 제3해병사단 본부 직속대대 전투원들이 기관총 실탄사격을 연습하는 장면이다.일본 오끼나와에 주둔하는 이 전투부대는 조선을 침공하고 반란조직의 군사정변을지원하여 정권을 전복시키는 북침선봉부대다.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키는 급변사태를 기대하면서 북침특수전을 계획했는데, 그것이 바로 작전계획 5029다.  

 

 

2. 군사정변과 참수작전은 어떻게 결부되었는가?

 

 <연합뉴스> 2010년 10월 12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군부는 작전계획 5029에 들어있는 급변사태씨나리오를 세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고 한다. 작전계획 5029의 급변사태씨나리오를 세분화한다는 말은 6개의 급변사태들에 각각 대처하는 북침특수전을 더 세부적으로 계획한다는 뜻이다. 조선의 급변사태에 대처하는 작전계획 5029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1) 조선에서 출현한 반란조직이 군사정변을 일으키면, 미국군 특수전부대는 한국군 특수전부대를 이끌고 평양에 침투하여 참수작전으로 정권을 전복시킨다. 

2) 조선의 최고령도자가 급서한 이후 조선이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에 빠지면, 미국군 특수전부대는 한국군 특수전부대를 이끌고 평양에 침투하여 ‘참수작전’으로 정권을 전복시킨다.   

3) 조선에서 군사정변을 일으킨 반란조직이 핵무기고를 점거하고 핵무기와 핵물질을 장악하면, 미국은 핵무기와 핵물질과 핵기술자들이 제3국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조선을 완전히 봉쇄하고, 특수전부대를 침투시켜 핵무기와 핵물질을 탈취하고, 핵기술자들을 납치한다.   

 

미국 육군 웹싸이트 2009년 5월 1일 보도기사에 따르면, 미국 육군 제1공수특전단과 제20CBRNE사령부 예하 특수부대는 한국군 특수전부대와 함께 2009년 1월 말부터 2월 초까지 지리산에서 ‘밸런스 나이프(Balance Knife)’라는 작전명을 내걸고 조선의 대량파괴무기를 제거하는 북침특수전연습을 감행했는데, ‘미래지휘소(Command Post of the Future)’라고 부르는 신형 전술지휘통제체계를 사상 처음으로 특수전연습에 도입하였다고 한다. 미국 매릴랜드주에 주둔하는 제20CBRNE사령부의 명칭에 들어있는 CBRNE라는 약어는 화학(Chemical), 생물학(Biological), 방사능(Radiological), 핵(Nuclear), 폭발물(explosive)의 영문머리글자를 합친 것이다. 제20CBRNE사령부는 적국의 대량파괴무기를 제거하는 특수임무를 수행한다. 

 

이처럼 오바마 행정부는 이전보다 더 강화된 북침특수전연습을 2009년에 감행했을 뿐 아니라, 2010년도 ‘키리졸브-독수리연습’ 중에 또 다시 감행했다. 2010년 3월 11일 주한미국군사령관 월터 샤프(Walter L. Sharp)는 한미연합사령부 청사에서 취재진에게 “우리는 제20CBRNE사령부에 북조선의 대량파괴무기를 제거하는 부대를 두었는데, 이 특수전부대가 지금 키리졸브연습에 참가했고, 전쟁이 일어나면 전쟁에도 참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2011년도 ‘키리졸브-독수리연습에 제20CBRNE사령부 예하 특수부대 전투원 500명을 또 다시 참가시켰다. 

 

<경향신문> 2015년 8월 27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2010년 8월 16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을지프리덤가디언연습’에서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참수작전을 연습했다고 한다. 이것은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군이 이전보다 더 강화된 북침특수전연습에서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참수작전을 사상 처음 연습하였음을 말해준다.  

 

미국군 특수전부대는 2012년도 ‘키리졸브-독수리연습’에서 한국군 특수전부대와 함께 또 다시 참수작전을 연습했으며, 2013년도 ‘키리졸브-독수리연습’에서 참수작전을 또 다시 연습했다. 미국의 군사전문 온라인매체 ’워 이즈 보어링(War Is Boring)‘ 2014년 1월 19일 분석기사에 따르면, 2013년 4월 전라북도 익산 인근과 전라남도 담양 인근에서 벌어진 북침특수전연습인 ’밸런스 나이프‘에는 미국 육군 제1공수특전단 제3대대 산하 찰리중대(Charlie Company)의 알파(Alpha) 1336소대와 알파 1333소대가 한국군 공수특전단 제11여단과 함께 참가했다는 것이다. 

 

위의 서술내용에서 명백히 드러나는 것은,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한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가 그런 예상에 근거하여 작전계획 5029를 작성했으며, 작전계획 5029에 의거한 북침특수전연습을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해마다 집중적으로 실시했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이 일어날 것이라는 미국의 예상은 터무니없는 망상이었을까?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가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키는 급변사태에 대비하여 북침특수전을 계획했을 뿐 아니라,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들여 북침특수전계획을 해마다 집중적으로 연습한 것을 보면,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상은 망상이 아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미국군 특수전부대의 북침특수전연습은 조선에서 반란조직을 육성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키는 씨나리오에 따라 진행되었다는 사실이다. 미국의 군사전문 온라인매체 ’워 이즈 보어링‘ 2014년 1월 19일 분석기사에 따르면, 미국군 특수전부대는 2013년 4월 ‘밸런스 나이프'라는 명칭의 참수작전을 연습할 때, 조선에서 “자생적인 저항조직(indigenous resistance organization)을 육성하는” 씨나리오를 사상 처음으로 도입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생적인 저항조직이라는 것은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전복시키는 반란조직을 뜻한다. <사진 2> 

 

▲ <사진 2> 이 사진은 2013년 4월 지리산에서 진행된 밸런스 나이프라는 명칭의 북침특수전연습의 한 장면이다. 미국 육군 제1공수특전단 예하 전투부대가 한국군 특수전부대를 이끌고 이런 북침특수전연습을 감행했다.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하면서, 작전계획5029를 작성했으며,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작전계획 5029에 의거한 북침특수전연습을 해마다 집중적으로 실시했다. 오바마 행정부가 대조선정책기조라고 발표한 이른바 전략적 인내라는 것은 조선 정권의 핵심부에 들어간 장성택이 반란조직을 결성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킬 때를 기다리겠다는 뜻이었다.  

 

 

3. 마카오 비밀연락선으로 평양 염탐한 미국 중앙정보국 

 

사태가 그 정도로 심각해졌다면, 조선에서 출현한 반란조직이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전복시키려는 작전계획 5029 속에는 세상이 알지 못하는 어떤 흉계가 들어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그 흉계는 무엇이었을까?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조선에서 군사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전복시킬 반란조직의 출현을 기다리고 있었다. 조선에서 반란조직이 출현할 것이라는 그들의 예상은 2007년 1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행정부장에 새로운 인물이 임명된 것으로 하여 믿음으로 바뀌었다. 그 중책에 임명된 사람이 바로 장성택이다. 장성택은 2009년 4월 조선 국방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2010년 6월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내각 부총리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9월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과 당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장성택은 2007년과 2010년 기간에 정권 핵심부에 들어간 것이다.   

 

장성택은 2013년 12월 8일 정권찬탈역모죄로 조선 국가안전보위부(당시 명칭)에 체포되어 특별군사재판을 받고 사형을 당했는데, 그런 극악한 반역자가 정권 핵심부에 들어갔고, 더욱이 장성택의 둘째 형과 셋째 형은 고위급 군사지휘관 출신이었으므로, 미국 중앙정보국은 자기들과 비밀연락관계를 맺은 장성택이 정권 핵심부에 들어간 것을 보면서 그를 사주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키고 조선의 정권을 전복할 기회가 찾아왔다고 판단했다.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Hillary D. R. Clinton)은 2010년 5월 26일 청와대를 찾아가 대통령 이명박에게 자기들의 대조선정책기조가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라는 사실을 밝혔는데, 그가 말한 전략적 인내는 조선 정권의 핵심부에 들어간 장성택이 반란조직을 결성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킬 때를 기다리겠다는 뜻이었다.

 

<월간조선> 2014년 1월호에 실린 심층보도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1997년에 황장엽의 소개로 장성택과 연락하는 비밀연락선을 만들었는데, 남측 대북경제사업가 두 사람이 국정원과 장성택 사이를 연결하였다고 한다. 또한 국정원은 장성택과 비밀리에 연락하는 과정에서 그가 “전쟁(조국통일대전을 뜻함-옮긴이)을 반대하는 인물”이며, “개혁적이고 합리적인 인물”이라는 평가를 내렸다고 한다. 1997년 당시 장성택은 남측 대북경제사업가를 통해 국정원과 비밀연락을 주고받았지만, 그것은 장성택이 자기의 이권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행위에 불과했다. 

 

미국 중앙정보국은 남측 대북경제사업가를 통해 장성택과 연락하던 국정원의 비밀연락선을 폐기시키고, 자기들이 장성택과 직통하는 새로운 비밀연락선을 만들었다. 미국 중앙정보국과 장성택을 연결하는 비밀연락임무를 맡은 사람이 바로 김정남이다. 김정남은 중국 마카오에서 살고 있었으므로, 장성택과 직통하는 비밀연락책으로서는 안성맞춤이었다. 

 

영국 언론매체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 2019년 6월 10일 보도에 따르면, 김정남은 자신이 중국에서 미국 중앙정보국과 접촉했다는 사실을 일본인 취재기자에게 털어놓았다고 한다. 미국 언론매체 <월스트릿저널(Wall Street Journal)>도 2019년 6월 10일 보도기사에서 김정남이 미국 중앙정보국과 “연계(nexus)"를 가졌다고 했다.    

 

장성택이 정권찬탈역모죄로 사형을 당한 직후인 2013년 12월 13일 한국 텔레비전방송 <YTN> 대담프로그램에 출연한 탈북자 강명도는 “장성택과 연계해서 체제변화를 도모하려고 했다. 장성택이 실권을 잡으면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남북관계를 움직일 수 있다고 해서 연계까지 했었다. 우리가 실제로 ‘네가 김정은을 치지 않으면, 장성택 네가 다친다’고 알렸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장성택이 정권찬탈역모를 꾸미고 있었음을 말해준 확실한 증언이다. 

 

2013년 12월 12일 평양에서 진행된 국가안전보위부 특별군사재판의 판결문에 따르면, 장성택은 2009년 한 해 동안 도박장을 돌아다니며 460여만 유로(미국화폐로 약 400만 달러)를 탕진했다고 한다. 그가 그런 거금을 도박으로 탕진한 것은 중국과 거래하는 대외경제사업으로 벌어들인 엄청난 자금을 비자금으로 빼돌린 부정축재범죄를 저질렀음을 말해주는데, 장성택은 라선경제특구에 있는, 중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도박장에 출입하면서 비자금을 탕진했을 뿐 아니라, 김정남과 함께 마카오 도박장도 출입했던 것으로 보인다. 장성택은 부정축재와 도박으로 타락과 방탕에 빠진 범죄자였다.  

 

그처럼 타락과 방탕에 빠진 장성택은 미국 중앙정보국이 노리는 좋은 먹이감으로 되었다. 미국 중앙정보국은 김정남을 통해 장성택에게 접근하여 그를 포섭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진 3>   

 

▲ <사진 3> 이 사진은 미국 중앙정보국과 비밀리에 연락하면서 정권찬탈을 역모한 장성택이 조선 국가안전보위부에게 체포되어 2013년 12월 12일 특별군사재판에 끌려나온 장면이다. 그는 특별군사재판에서 정권찬탈역모죄로 사형을 언도받고 처단되었다.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미국 중앙정보국은 한국 국정원이 남측 대북경제사업가를 통해 장성택과 연락해온 기존 비밀연락선을 폐기시키고, 자기들이 장성택과직통하는 새로운 비밀연락선을 만들었다.  

 

 

4. 후진타오의 침묵은 무슨 뜻이었을까?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거하였고, 조선 인민은 슬픔에 잠겼다. 그런데 미국의 작전계획 5029에 따르면, 조선의 최고령도자가 서거했을 때 반란조직이 군사정변을 일으키면, 미국군 특수전부대가 한국군 특수전부대를 이끌고 평양에 침투하여 참수작전으로 정권을 전복시키는 씨나리오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런 씨나리오에 따르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거한 이후 조선에서 정치적 불안정이 심화되는 틈을 타서 장성택이 반란조직을 결성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킬 결정적인 기회가 눈에 보이는 듯했다. 그러나 미국의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조선에서 정치적 불안정은 발생하지 않았고, 장성택은 반란조직을 결성하지 못했다.      

 

2012년 8월 13일부터 18일까지 장성택은 대표단을 이끌고 조선과 중국의 경제협력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했다. 장성택은 8월 15일 시찰명목으로 중국 남부에 갔는데, 중국 남부에 있는 마카오에서 김정남을 만난 것이 확실하다. 장성택은 8월 17일 베이징으로 다시 돌아가서 중국 국가주석 후진타오(胡錦濤)와 회담했다. 그런데 장성택은 조선 대표단과 함께 후진타오를 면담한 직후, 조선 대표단을 밖으로 내보냈고, 심지어 자기 통역관도 배석시키지 않은 채 후진타오와 단독회담을 진행했다. 단독회담에는 중국측 통역관 한 사람만 배석했다. 이런 이상한 행동은 장성택-후진타오 단독회담에서 장성택이 극비정보를 꺼내놓았음을 말해준다. 

 

<연합뉴스> 2015년 2월 23일 보도에 따르면, 장성택은 단독회담 중에 후진타오에게 “김정남이 최고지도자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언론에 보도되지는 않았지만, 장성택은 후진타오에게 자신이 김정남을 최고령도자로 내세워 중국식 개혁개방을 추진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던 것이 분명하다. <연합뉴스> 2015년 2월 23일 보도에 따르면, 후진타오는 장성택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묵묵히 듣기만 했다고 한다. 이런 정황은 후진타오가 중국식 개혁개방을 따르는 친중정권을 세우겠다는 장성택의 말을 듣고 한편 놀라면서도 다른 한편 기뻐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불러일으킨다. 후진타오의 침묵은 장성택의 정권찬탈역모에 무언의 동의를 표시한 것이었다. 

 

2013년 12월 12일 조선 국가안전보위부 특별군사재판에서 발표된 판결문에 따르면, 장성택은 “비렬한 방법으로 권력을 탈취한 후 외부세계에 <개혁가>로 인식된 제 놈의 추악한 몰골을 리용하여 짧은 기간에 <신 정권>이 외국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어리석게 망상하였다”고 한다. 장성택이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탈취하여 인정을 받으려고 망상한 외국은 후진타오 집권기의 중국이었다. 

 

장성택이 후진타오와 단독회담을 진행했다는 소식은 미국에게 별로 좋은 소식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장성택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 양다리를 걸치는 계략을 쓰려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만일 장성택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 양다리를 걸치면, 미국은 작전계획 5029를 수행하는 데서 큰 차질을 빚게 될 것이 뻔했다. 불안감을 느낀 미국은 작전계획 5029를 더욱 보강하는 작업에 매달렸다.  

 

미국 언론매체 <월스트릿저널> 2013년 3월 26일 보도에 따르면, 주한미국군사령관 제임스 서먼(James D. Thurman)은 2013년 3월 23일 한국군 합참의장 정승조와 함께 급변사태계획문서에 서명했다고 한다. 이런 움직임은 미국이 장성택을 사주하여 군사정변을 일으키고 정권을 전복시키려는 작전계획 5029를 더욱 보강하였음을 말해준다. <사진 4>

 

▲ <사진 4> 이 사진은 조선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한 장성택이 2012년 9월 17일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중국 국가주석 후진타오와 회담하는 장면이다. 장성택은 후진타오를 면담하기에 앞서 시찰명목으로 중국 남부에 갔는데, 중국 남부에 있는 마카오에서 김정남을 만났던 것이 확실하다. 장성택은 김정남을 만나고 다시 베이징으로가서 후진타오를 만났는데, 조선 대표단을 이끌고 후진타오를 면담한 직후 후진타오와 단독으로 만나 회담했다. 그 단독회담에서 장성택은 "김정남이 최고지도자로 될것"이라고 말했다. 그렇게 되어 후진타오는 장성택의 정권찬탈역모를 알게 되었지만,그에 관한 정보를 조선측에 알려주지 않았다.  

 

 

5. 극비정보가 평양에 전해졌다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조선 국가안전보위부가 장성택의 일거일동을 은밀히 감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2013년 12월 13일 <YTN>이 방영한 대담프로그램에 따르면, 북측 사법당국은 장성택이 특별군사재판을 받고 사형당하기 약 1년 전부터 그를 감시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것은 장성택이 베이징에서 후진타오와 단독회담을 하고 평양으로 돌아간 뒤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가 국가안전보위부 감시망에 걸려들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어떻게 그런 놀라운 일이 벌어졌을까? 의문을 풀어줄 결정적인 정보는 찾을 수 없지만, 장성택이 특별군사재판을 받고 사형을 당한 때로부터 약 5년이 지난 2018년 2월 13일 일본 텔레비전방송 <NHK>의 보도내용이 눈길을 끈다. 보도에 따르면, 2012년 8월 1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진행되었던 장성택-후진타오 단독회담의 극비정보가 2013년 1월 평양에 전해졌다는 것이다. 이런 정황은 장성택이 특별군사재판을 받고 사형당하기 약 1년 전부터 국가안전보위부 감시망에 걸려들었다는 <YTN> 대담프로그램의 내용과 부합한다. 

 

세상에서 오직 장성택과 후진타오 두 사람만이 알고 있었던 단독회담의 극비정보를 조선측에 전한 사람은, 2018년 2월 13일 <NHK> 보도에 따르면, 저우융캉(周永康)이다. 2007년부터 10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정법위원회 서기를 지낸 저우융캉은 장성택-후진타오 단독회담에 관한 극비정보를 접할 수 있는 최고위급 인사였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저우융캉이 중국식 개혁개방로선보다는 정통사회주의로선에 가까운 좌파정치인이었다는 사실이다. 중국식 개혁개방로선을 거부하고 정통사회주의로선을 견지하는 조선이 장성택의 정권찬탈흉계로 위험지경에 다가서고 있음을 직감한 저우융캉이 장성택-후진타오 단독회담에 관한 극비정보를 조선에 전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런데 장성택이 국가안전보위부에 체포되기 직전인 2013년 12월 1일 저우융캉도 중국 사법당국에 체포되었다. 그는 국가기밀루설죄, 직권남용죄, 뇌물수수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지금도 복역 중이다. 

 

장성택이 특별군사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았다는 소식을 들은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Barrack H. Obama)는 미국 중앙정보국의 비밀공작이 파탄되었음을 직감하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를 긴급히 소집하여 대책을 논의했다. 백악관은 장성택이 사형선고를 받았다는 소식을 들은 때로부터 불과 1시간 만에 이례적으로, 매우 신속하게 조선의 사법처리를 맹비난하는 논평을 발표했다. 

 

장성택이 사형을 당하자, 그의 정권찬탈역모도 파탄되었고, 미국의 비밀공작과 북침특수전도발음모도 파탄되었다. 장성택을 사주하여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전복시키고, 핵무기와 핵물질을 탈취하려던 작전계획 5029는 장성택의 사형과 함께 파탄되었다. 미국의 북침특수전계획과 장성택의 정권찬탈역모가 빚어낸 흉악한 복합체가 깨져나간 것이다. 

 

그러나 정권찬탈역모와 북침특수전도발음모가 모두 파탄되었는데도 미국은 산산이 깨진 복합체의 파편을 버리지 않았다. 미국의 제국주의적 침략본성은 집요하다. 미국 국방부와 중앙정보국은 복합체의 깨진 파편들을 집요하게 움켜쥐었는데, 그 사연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 장성택의 사형으로 파탄된 작전계획 5029를 내버리지 않고, 다른 작전계획들과 혼합하여 새로운 통합전쟁계획을 만들어냈다. <아시아경제> 2015년 2월 11일 보도에 따르면, 작전계획 5029, 작전계획 5027, 국지전 작전계획을 통합한 새로운 작전계획 5015가 2015년 3월 중에 완성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작전계획 5015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합전쟁계획으로 완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중앙정보국은 장성택이 사형을 당한 이후에도 김정남과 비밀접촉을 유지하였다. <월스트릿저널> 2019년 6월 10일 보도에 따르면, 김정남은 2017년 2월 9일 말레이시아의 휴양지인 랑카위섬에 있는 어느 호텔에서 며칠 머무르면서 한국계 미국인을 만났는데, 말레이시아 사법당국은 김정남이 만난 그 미국인이 중앙정보국 비밀요원이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미국 중앙정보국에게 매수되어 자기 조국을 배반하고 장성택의 정권찬탈역모에 가담한 김정남은 장성택이 사형을 당한 후에도 중앙정보국과 비밀접촉을 유지하다가 2017년 2월 13일 말레이시아 국제공항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말레이시아 사법당국은 사망한 김정남의 가방 속에 미화 124,000달러가 들어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런 정황은 미국 중앙정보국과 김정남이 얼마나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말해준다. <사진 5>

 

▲ <사진 5> 위의 사진에 나타난 사람은 김정남이다. 그는 중국 마카오에 거주하면서 미국 중앙정보국과 장성택을 연결하는 비밀연락책으로 암약했고, 장성택의 정권찬탈역모에 가담했다. 미국 중앙정보국은 장성택이 사형을 당한 뒤에도, 김정남과 비밀접촉을 유지하였다. 김정남은 2017년 2월 9일 말레이시아의 휴양지인 랑카위섬에 있는어느 호텔에 며칠 머무르면서 미국 중앙정보국 비밀요원과 접촉했다. 미국 중앙정보국에게 매수되어 자기 조국을 배반하고 장성택의 정권찬탈역모에 가담한 그는 2017년 2월 13일 말레이시아 국제공항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말레이시아 사법당국은 사망한 김정남의 가방 속에 미화 124,000달러가 들어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런 정황은 미국 중앙정보국과 김정남이 얼마나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말해준다.  

 

 

6. 오바마의 참수작전능력증강과 박근혜의 망상

 

조선이 장성택을 제거하고 미국의 대조선비밀공작과 작전계획 5029를 파탄시키자, 그에 앙심을 품은 오바마 행정부는 북침전쟁계획을 더욱 보강하면서 광분했다. 위에서 서술한 대로, 미국 국방부는 작전계획 5029, 작전계획 5027, 국지전 작전계획을 긁어모아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합전쟁계획을 완성했다. 주한미국군사령관과 한국군 합참의장은 2015년 6월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합전쟁계획으로 완성된 작전계획 5015 문서에 서명했다. 그리고 미국군은 2015년 8월 17일부터 28일까지 벌어진 ‘을지프리덤가디언연습’에서 새로 완성된 작전계획 5015를 처음으로 연습했다. 

 

2015년 8월 27일 서울에서 개최된 안보학술쎄미나에 발언자로 출연한 국방부 군구조개혁추진관 조상호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합전쟁계획으로 완성된 작전계획 5015의 일부내용에 대해 언급했다. 그의 발언에 따르면, 한미연합군은 조선인민군의 공격징후를 포착하는 즉시 30분 안에 선제타격을 개시하고 참수작전에 돌입할 것이며, 조선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하는 즉시 참수작전에 돌입할 것이라고 한다. 반란조직을 사주하여 군사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전복하려던 흉계가 장성택의 사형으로 파탄되었기 때문에,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 선제타격과 참수작전으로 조선의 정권을 전복하려는 작전계획 5015를 만들어낸 것이다. 

 

작전계획 5015에 따라, 미국군과 한국군은 고도로 발전된 정밀타격미사일을 평양에 발사하여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선제타격을 더욱 광란적으로 연습하기 시작했고, 고도로 훈련된 특수전부대를 평양에 침투시켜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참수작전을 더욱 광란적으로 연습하기 시작했다.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 2015년 11월 2일 한미안보협의회 제47차 회의에서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정밀타격능력과 선제타격능력을 증강하기 위한 4D이행지침을 승인했고, 2016년 3월 ‘키리졸브연습’에 처음으로 4D작전개념을 도입했다. 여기서 말하는 4D라는 것은 탐지(detect), 교란(disrupt), 파괴(destroy), 방어(defense)의 영문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약어다. 또한 미국은 작전계획 5015에 의거한 새로운 북침전쟁씨나리오를 2016년 8월 22일에 시작된 ‘을지프리덤가디언연습’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오바마 집권기의 미국 국방부는 참수작전능력도 더욱 증강했다. 2016년 3월 8일 미국 특수전사령관 조섭 보틀(Joseph L. Votel)은 연방상원 군사위원회 인준청문회에서 지금 한국에는 미국 특수전병력이 그 어느 때보다 많이 배치되었고, 공중과 해상과 지상의 유능한 특수전 전투원들이 당당히 주둔하고 있다고 하면서, 미국 특수전사령부가 수행할 책임 가운데 하나는 적국이 비밀리에 보관하는 핵무기를 압류(seize)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오바마 행정부가 선제타격능력과 참수작전능력을 증강하며 광분하는 것을 보고 고무된 대통령 박근혜는 조선에서 급변사태가 일어나 정권이 전복될 것이라는 망상에 빠졌다. 국정롱단의 주범 최순실이 그런 망상을 더욱 부채질했다. 급변사태와 정권전복을 전제로 하는 흡수통일을 망상한 박근혜는 통일준비위원회를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창설하고 자신이 위원장직을 맡았다. 박근혜는 2015년 8월 10일 청와대에서 비공개로 진행된 통일준비위원회 회의에서 “통일은 내년이라도 될 수 있으니 여러분이 준비하셔야 한다”고 말했다. 그보다 앞서 2015년 3월 10일 통일준비위원회 부위원장 정종욱은 서울에서 진행된 강연회에 출연하여 통일준비위원회 산하에는 체제통일을 준비하는 실무진이 있고, 정부 내 다른 조직에서도 체제통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하면서 “제체흡수통일은 하기 싫다고 해서 일어나지 않는 건 아니다”라는 망언을 내뱉었다. 

 

국정원은 박근혜의 승인을 받은 폭탄테러를 은밀히 준비했다. 그것은 제2장성택을 매수하여 조선의 최고수뇌부를 폭탄테러로 제거하려는 흉계였다. 2017년 5월 5일 조선 국가보위성 대변인이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국정원은 로씨야 하바롭스크변강 림업지부 로동자였던 김 아무개를 매수하여 금수산태양궁전에서 진행되는 국가행사 또는 김일성광장에서 진행되는 열병식에서 최고수뇌부를 노린 폭탄테러계획을 준비시키고, 그를 조선에 침투시켰다고 한다. 국가보위성은 국정원에 매수된 폭탄테러범을 2017년에 체포했다. <사진 6>

 

▲ <사진 6> 이 사진은 2020년 9월 25일 특수전사령부에서 개최된 국군의 날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고공락하훈련을 진행한 특수전 전투원들의 훈련성과를 치하하면서 주먹악수를 하는 장면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선제타격능력과 참수작전능력을 대폭 증강하는 미국의 북침전쟁준비에 부화뢰동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대북선제타격능력을 증강하기 위해 대량응징보복체계를 강화했고, 특수전사령부에 특임여단(참수부대)을 창설했으며, 참수부대 전투원들을 평양에 침투시킬 미국산 수송기를수입했고, 기존 작전헬기들을 참수작전용 침투헬기로 개조했으며, 미국군 특수전부대와 한국군 특수전부대의 합동공중강습훈련을 계속 벌여놓았다.  

 

 

7. 친서를 보내면서 참수작전능력 증강하는 문재인

 

촛불시위와 탄핵판결로 박근혜 정부는 퇴진했고, 남북대화와 평화번영을 주장하는 문재인 정부가 2017년 5월 10일에 출범했다. 국민들은 문재인 정부의 출범으로 모든 것이 좋게 바뀔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부풀었다.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남북합의사항을 담은 공동선언도 발표되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여 조미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조미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과 대화를 시작하고, 문재인 정부가 북과 대화를 시작한 것과 전혀 무관하게, 미국군과 한국군은 선제타격능력과 참수작전능력을 대폭 증강하면서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합전쟁계획인 작전계획 5015를 광란적으로 연습하고 있다. 

 

작전계획 5015에 따라 평양에 침투하여 참수작전을 벌이려는 미국군 특수전부대들은 2020년 6월 15일부터 23일까지 일본 요꼬다공군기지에서 특수작전용 수송기를 타고 공중침투훈련을 벌였다. 또한 2020년 7월 28일 미국 특수전사령부는 요꼬다공군기지에서 이륙한 특수작전용 수송기를 경상북도 포항 인근 해상으로 접근시키는 침투비행훈련을 벌였다.   

 

청년시절 특수전부대 전투원으로 복무했던 문재인 대통령은 선제타격능력과 참수작전능력을 대폭 증강하는 미국의 북침전쟁준비에 부화뢰동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급변사태가 일어나면 즉시 평양에 침투하여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한국군 특수전부대의 작전능력을 박근혜 정부보다 더욱 증강시켰다. 이를테면, 문재인 정부는 대북선제타격능력을 증강하기 위해 대량응징보복체계(KMPR)를 강화했고, 특수전사령부에 특임여단(참수부대)을 창설했으며, 참수부대 전투원들을 평양에 침투시킬 미국산 수송기 C-130H를 수입했고, 기존 작전헬기들을 참수작전용 침투헬기로 개조했으며, 미국군 특수전부대와 한국군 특수전부대의 합동공중강습훈련을 계속 벌여놓았다. 

 

문재인 정부는 참수작전임무를 맡은 특수전사령부에서 사상 처음으로 국군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2020년 9월 25일 경기도 이천에 있는 특수전사령부 연병장에서 개최된 국군의 날 행사에 나타난 문재인 대통령은 전투차량을 타고 행사장에 입장했고, 참수작전에 동원될 특수전부대 전투원들의 고공락하훈련과 무술시범을 참관하며 박수를 보냈으며, 평양으로 침투할 때 사용되는 참수작전용 헬기들의 전술비행을 참관했고, “단호한 대응”을 역설했다. 참수작전으로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뜻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9월 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국무위원장님과 가족분들께서 항상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라고 정중히 인사했다. 그런 그가 9월 25일에는 조선의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참수작전을 격려했으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미국을 추종하여 부화뢰동하면서 참수작전능력을 대폭 증강하는 문재인 대통령은 북에게 대화를 제의해도 그것은 진정성이 없는 제의이며, 북의 경계심을 풀어놓게 만들려는 술책으로 보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국회의원 32명 1708억원 비상장주식, 어떻게 형성했나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입력 : 2020.09.27 07:57

 

5개월 사이 재산 껑충은 ‘착시’… 비상장주식 평가방식 변경이 재산폭증 원인
 

경제정의실천연합은 9월 14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에서 21대 국회의원들의 선관위 신고 때와 당선 후 재산 신고액 비교 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었다. 권호욱 선임기자

경제정의실천연합은 9월 14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에서 21대 국회의원들의 선관위 신고 때와 당선 후 재산 신고액 비교 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었다. 권호욱 선임기자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이번에 ‘국회공보’를 통해 재산 현황을 공개한 의원은 총 175명이다.

신규등록자, 즉 초선이거나 다시 국회에 돌아와 재등록대상이 된 의원을 포함한 숫자다.

자료는 인터넷에 공개된 ‘국회공보’를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지만, 전체 815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재산공개내역에서 추려야 한다.

국회의원이 비상장주식을 보유하는 건 불법이 아니다.

부동산이나 상장주식을 보유하는 것처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사적 재산이다.

그런데 비상장주식은 상장주식처럼 증권사나 시장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주식이 아니다.

회사와 개인 사이의 계약을 통해서만 구입할 수 있는 증권자산이다.

취재는 간단치 않았다.

의원실을 통한 문의에 상당수 의원은 “보유 시점이 기억나지 않는다”, “예전부터 알고 지냈던 지인의 권유로 보유한 주식”과 같은 식으로 해명했다.

이른바 ‘재테크’와 무관한 주식이라는 해명도 대부분의 의원이 공통적으로 내놓은 해명이기도 했다.

실제 현재는 비상장주식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한때 상장이 되었다가 폐지되면서 매도하지 못하게 된 주식도 상당수였다.

“증권시장에 나와 있는 주식이라면 누군가에게 팔릴 수도 있지만, 상폐되면서 처분 못 하고 들고 있게 된 주식”이라는 하소연도 들려왔다.

서류상 남은 흔적은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주식 매수 시점에도 과연 그러했을까.

공개 자료에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와 평가가액만 나와 있다.

주식을 보유한 경위나 시점 등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기자가 32명의 의원에게 비상장주식 보유 경위 등을 취재한 이유다.

신고한 비상장주식이 석연찮은 경우도 있다.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이 신고한 재산신고 내역 중 배우자가 보유하고 있다는 ‘벨 마레’라는 비상장회사 주식 1만주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공보에 따르면 1만주의 평가액은 9731만원.

지난해 10월 설립된 이 회사의 등기부등본을 보면 지난해 11월 등기된 이 회사의 발행주식 총수는 2만주다. 그러니까 박 의원의 배우자는 현재까지 발행주식의 50%를 가지고 있는 지배주주다. 그런데 대표이사는 다른 사람이 맡고 있다.

‘커피 프랜차이즈점 모집 및 운영업, 제조업 및 판매업’ 등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이 회사의 본점으로 명기되어 있는 두 주소(울산광역시 북구 당사동 307-3, 322-8번지)를 확인해보면 인접해 있다.

현재 지목은 임야와 답이다. 해안가 언덕 위로 나 있는 도로 옆의 땅들이다.

다시 재산신고 내역을 보면 박 의원의 배우자가 322-8번지 땅 595㎡ 중 297.60㎡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신고되어 있다.

이 토지의 등기부등본을 보면 박 의원의 배우자와 벨 마레의 대표이사가 2분의 1씩 지분을 공유하고 있다.

307-3번지의 소유자는? 벨 마레다.

두 필지는 경남은행의 채권최고액 13억2000만원의 근저당이 설정되어 있다. 벨 마레가 돈을 빌린 채무자로 설정되어 있다.

매입 시점은 둘 다 지난해 11월이다.
 

■ 석연찮은 배우자 소유 비상장주식
 

“대출이자가 3%만 하더라도 월 300만원인데 수익이 없는 벨 마레의 이자는 누가 대는지 모르겠다.”

안영호 울산 중구 의원의 말이다. 안 의원은 322-8번지 땅 중 절반만 소유한 것도 농지법 위반을 피해가기 위한 꼼수가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실제 두 필지를 합치면 주말농장 운영 등으로 농촌에 거주하지 않은 도시민이 구입할 수 있는 1000㎡가 넘는데, 그것을 피해가기 위해 307-3번지는 비상장 법인 벨 마레가, 322-8번지는 개인이 나누는 식으로 쪼개기 구입을 했을 것이라는 것.

이번에 공개된 재산공개 내역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박성민 의원 측은 “논란이 된 비상장주식은 9월 25일 백지신탁 등록하려고 한다”며 “의원 배우자가 샀다는 땅도 농지법 제10조를 보면 1년 이내에 처분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데 그 이전에 처분하면 법 위반은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국회의원 32명 1708억원 비상장주식, 어떻게 형성했나

송재호 민주당 의원이 가지고 있던 제주 유리의성 비상장주식 1만6200주는 지난 총선 때부터 논란이 제기됐다.

송 의원은 과거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 회사의 사외이사를 맡았고, 이후엔 송 의원의 부인이 사외이사를 맡고 있다. 선거 당시 제주 지역언론이 분석한 이 회사의 재무제표상 현금배당액에서 과거 송 의원에게 지급된 금액은 단순 추산해봐도 2억원이 넘는다는 것.

“송 의원에 이어 사외이사로 활동하는 부인급여를 포함하면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당시 언론은 보도하고 있다.

송 의원실 관계자는 “이번에 공개된 국회 재산공개는 7월 14일 기준이었고 공직자윤리위원회의 백지신탁 권고에 따라 7월 30일 국회의원회관 농협거래지점을 통해 매각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과 배우자가 가지고 있는 비상장주식 유앤지아이티와 지오씨엔아이 주식은 지난 2016년부터 설립 때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대학과 지자체 등에서 벤처지원금을 받아 회사를 세웠지만, 실제 운영은 가족기업 형태로 해왔다는 것이다.

조 의원은 후보자 시절 선관위에 비상장주식으로는 지오씨엔아이 주식만 신고했다. 당시 신고가액은 액면가 기준으로 4억9000만원.

그러나 이번 신고에서는 지오씨엔아이와 더불어 자신과 배우자가 있는 유앤지아이티 비상장주식도 포함됐다. 각각 9만주와 1만주다. 신고금액은 조 의원이 46억5469억원, 배우자가 6468만원이다.

액수만 보면 선관위 때보다 아홉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조 의원 측은 “국가와 지자체 지원을 받아 만든 벤처를 가족기업으로 운영했다”는 과거 보도가 과장됐다는 반응이다.

조 의원 측의 말이다.

“가족기업이라고 하지만 본인이 퇴직금을 투자해서 만든 것이다. 현재 대표를 맡은 사람은 조 의원 가족과 관련이 없다. 과거 대표를 맡은 딸이나 감사를 맡았던 장남도 모두 그만두고 현재는 독립생계를 하고 있다. (가족들이 여전히 등기부상 임원을 맡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아직 담보도 잡혀 있고 본인이 투자한 회사도 아닌데 직원 중에 선뜻 나서서 임원을 맡으려는 사람이 없어 어쩔 수 없이 가족들에게 부탁한 것이다. 사실 이런 작은 회사에서 임원을 맡는다고 해서 얻는 건 별로 없다. 그런 이유로 과한 지적이라고 하는 것이다.”
 

■ 의원님 소유 비상장주식 주목받는 까닭은
이번 재산 신고 때 재등록한 이광재 민주당 의원이 보유한 것으로 신고한 스탠드다그래핀 2000주도 정치권 안팎의 주목을 받고 있다.

스탠드다그래핀은 실리콘과 탄소나노튜브를 넘어서서 ‘꿈의 나노물질’이라는 평가를 받는 신소재다.

주목받는 것은 이 회사의 이정훈 대표다.

이 대표는 참여정부 시기인 2003년 청와대 행정관을 지냈다. 구체적으로 2003년 9월부터 홍보기획비서관실과 해외언론비서관실에서 일하다 2007년 1월 대통령비서실장 수행과장을 맡아 퇴임 직전까지 일했다. 참여정부 국정상황실장을 역임한 이 의원과 프로필이 겹친다.

이 대표는 지난 6월 ‘시사저널’ 인터뷰에서 “지난해 미국 한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하루 25만5000갤런 규모의 수처리 시스템을 개발해왔고, 시스템 개발과정에서 우리 제품이 수출되고 있다”며 “시스템은 7~8월경 완성될 것이며 이후 제품 공급, 매출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고 밝히고 있다.

이 의원이 가진 이 회사 주식 2000주는 액면가 기준으로 주당 500원에 신고, 100만원 평가가액으로 신고되어 있다.

이 대표의 주장대로라면 ‘대박’이 예고된 셈이다. 이 의원의 주식보유는 이 의원의 의지와 무관하게 장외주식시장에서 회사의 뒷배경으로 거론될 수 있다.

9월 22일 통화에서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이 의원이 정확한 시점은 기억하지 못하지만 4~5년 전에 오래 알던 지인이었던 이 대표로부터 주식을 산 것은 맞다”라며 “원외에 있을 때 지인(이정훈 대표)이 사업을 시작한다고 했고, 미래가치 신소재 사업 도전을 격려해준 기억이 있다고 이 의원이 말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의정활동과 이해충돌 가능성 여부에 대해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문의해둔 상태”라며 “조만간 백지신탁이나 매매 권고가 나오면 그대로 따를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비상장주식이기 때문에 백지신탁을 하더라도 팔릴지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점.

이 의원측은 “그렇지 않아도 매매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장외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되는 시세를 알아보니 주당 3천원 선에 거래되고 있었다”라며 “애초 돈을 벌기 위한 투자가 아니었던 만큼 매매가 가능하다면 그전이라도 처분에 나설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국회의원 32명 1708억원 비상장주식, 어떻게 형성했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9월 14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재산공개자료를 바탕으로 당선 5개월 만에 평균 10억원이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경실련 주장의 근거는 지난 21대 총선에 입후보할 당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재산내역과 이번에 발표한 국회재산공개(2020년 5월 30일 기준)의 평가액 차이였다. 후보 당시와 당선 후 재산 신고액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이는 전봉민 국민의힘 의원이었다. 선관위에 신고한 전 의원의 재산은 48억원. 그런데 국회 신고액수는 914억원이었다. 당선 5개월 만에 무려 866억원이 늘어난 것이다(경실련은 전 의원 소유의 부동산 값 계산에서 계산착오가 있다고 밝혔다. 즉 “분양권 잔금납부, 공시가 상승 등으로 부동산 재산이 12.3억 증가했다고 애초 기자회견에서는 밝혔으나 실재 증가분은 2.3억원으로 계산착오가 있었다고 당일 내놓은 보도자료에서 정정했다).

전봉민 의원의 재산공개 자료를 보면 비상장주식으로 주식회사 이진주택 1만주와 주식회사 동수토건 5만8300주를 가지고 있다.

이번 재산공개에서 이 두 비상장주식의 평가액이 858억7313만6000원으로 전 의원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경실련이 확보한 전 의원이 출마 당시 선관위에 제출한 ‘재산신고사항’을 보면 이진주택 주식이 1억원, 동수토건 주식이 약 17억으로 평가되어 있다.

전 의원은 전광수 이진종합건설 회장의 아들로 이 회사의 대표이사를 지냈다.

비상장된 두 회사는 이진종합건설의 자회사로, 전 의원 지분은 이진주택이 33.3%, 동수토건은 37.51%다.

“다스의 실소유자 MB가 장남 시형씨에게 했듯 알짜배기 자회사를 통한 우회상속을 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것과 같은 의혹이 제기될 수 있다. 전 의원 측은 “돈이 많다며 금수저로 보는 시각이 없지 않은데 실제로 아버님 사업이 망하면서 고가 밑에서 살았고 초등학교 때 이모집에 살며 버스 타고 학교를 다녔던 것은 지역에서는 널리 알려진 이야기”라며 “건설업을 하시던 부친이 ‘은행빚’의 무서움을 알고 무차입경영을 하다보니 회사가치가 확 뛰게 되면서 비상장주식 가치가 올라가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해충돌 여부에 대해서는 “부산에서 시의원할 때부터 이런 문제로 오해를 받는 것을 싫어해서 교육이나 복지 쪽으로 전문성을 쌓았고, 현재도 국토위 등 건설업과 연관 상임위는 본인 스스로 피하고 있다”라며 “결국 주식부자 금수저라는 소리를 듣게 되었지만 팔 수 있는 주식도 아니고 본인이 감당해야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 “주식부자 금수저 별명 억울하다”
‘5개월 만에 떡상’이라는 것은 선관위 등록 당시와 국회 공직자재산신고 신고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벌어진 ‘착시’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

가르는 핵심기준은 비상장주식이다.

선관위 신고 때는 액면가 기준이었지만 공직자윤리위원회 재산신고에서는 지난 6월 1일부터 실거래가나 1주당 당기순이익 가치의 60%에 1주당 순자산 가치 40%를 더해 기재하는 식으로 ‘현실화’되었다.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이 이번에 밝힌 비상장 주식 ㈜대지 6189주의 평가액은 18억9946만5천원이다. 입후보 당시 신고한 ㈜대지 6189주의 신고액은 6189만원. 주당 1만원씩 액면가로 신고한 액수와 현실가를 반영한 신고액 상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윤의원 측은 “광고회사 대지 주식은 부모님으로부터 상속받은 것이며 윤 의원 본인도 근무했던 회사”라며 “현재 영업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주식소유로 인한 추가적인 소득은 없다”라고 밝혔다.

비상장주식을 가진 모든 의원이 적극 소명에 나선 것은 아니다.

“저는 임차인이자 임대인입니다” 5분 자유발언으로 유명세를 얻은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은 KG그룹 계열사인 케이지에듀원 3340주(평가액 486만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신고했다.

경실련이 입수한 선관위 신고자료에는 ‘케이지패스원’ 주식을 3340주(신고액 1670만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국회신고 후 오히려 평가액이 더 떨어진 특이한 케이스다.

KDI 교수를 역임한 윤 의원이 해당 주식을 갖게 된 ‘경위’가 궁금하지만 윤 의원 측은 “직접적으로 아는 분이 아니고, 건너서 아는 분을 통해 2012년도에 산 것으로 아는데 공개되어 있는 자료 이외에 밝힐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밝혔다.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 측은 “적법 절차에 맞춰 신고를 했고, 선고한 내용을 넘어서 설명할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취재를 사실상 거절했다.

반면 신고 제도미비로 의혹을 사게 되었다며 적극 호소하고 나선 의원들도 있다. 유성티에스아이, ㈜넥솔론, 인젠 등의 비상장주식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는 김민철 민주당 의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취득한 지 10년도 넘은 회사이며 현재 대부분 상장폐지된 회사”라며 “사실상 액면가가 0원에 해당하는 회사들이기 때문에 다음번 신고 때는 신고할 필요가 없다는 안내를 들었다”고 밝혔다.

배우자가 비상장회사 ㈜이썸테크 주식 2000주를 가진 것으로 신고한 정태호 의원은 2018년 청와대에 있을 때나 지난 총선 출마 당시는 이 주식의 가치를 액면가로 1000만원으로 신고했다. 이번 공직자윤리위 신고에서 평가금액은 1억642만4000원이다. ‘주식값어치가 16배 뛰었다’고 부풀리기 쉬운 소재다. 9월 23일 통화에서 정 의원은 “20년 전에 집사람이 직장동료들과 함께 만들었던 회사이며, 회사가 옮기고 주인도 바뀌고 감자하면서 남은 주식이 액면가 5000원으로 계산한 2000주”라며 “그때부터 계속 1000만원어치 주식으로 신고하다가 이번에 계산방식이 바뀌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과거에는 EDI라고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을 만드는 회사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현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이 회사의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썸테크는 “국내 금융권 외환/외신 및 리스크 사업분야의 솔루션”을 만드는 회사라고 소개하고 있다.

 

■ “공직자 재산공개 지금보다 더 투명해야

박신용철 더체인지플랜 선임연구위원은 “설령 법적으로 문제가 안 되더라도 정치권 주변 인사가 비상장주식을 사고 보유하는 것은 결국 과거 낡은 정치권력을 이용한 사적 취득이라는 비난을 자초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 국회에 들어간 초선의원들의 경우 의원 되기 전 취득한 주식이라고 항변할지 모르지만 비상장주식은 근본적으로 취득과정을 투명하게 밝히기 힘든 주식”이라며 “설령 이해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각 당 차원에서 의원들은 모두 처분 정리하도록 하는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경실련 상집위원을 맡고 있는 조정흔 감정평가사는 “주식회사 제도의 본래 취지는 투명하게 공시하면서 회사가 개인의 소유가 아닌 사회가 같이 만들어가야 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인데, 이게 오히려 재산을 은닉하고 편법으로 승계하는 식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직자 재산공개제도 상 비상장주식 보유 여부를 공개하도록 되어 있지만 현재는 주식회사와 법인을 별개로 보고 있기 때문에 법인 뒤에 숨은 사람이 실질적인 지배권을 행사할 수 있고 부정직한 돈도 법인으로 받으면 잡아낼 방법이 없다”라며 “특히 가족이 보유하는 비상장주식의 경우 회사의 등기부등본을 포함해 소유구조와 영업상황,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까지 공개하는 식으로 바꿔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청와대 “‘서해 공무원 피살’ 북측에 추가조사 요구..필요시 공동조사”

“북 통지문, 우리 측 첩보 판단과 차이있어..계속 조사”

김백겸 기자 kbg@vop.co.kr
발행 2020-09-26 11:07:50
수정 2020-09-26 11:07:50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북방한계선(NLL) 인근 소연평도 남방 1.2마일 해상에서 업무중 실종된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 공무원 A씨가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2020.09.24.
북방한계선(NLL) 인근 소연평도 남방 1.2마일 해상에서 업무중 실종된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 공무원 A씨가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2020.09.24.ⓒ사진=서해어업지도관리단  
 
청와대는 26일 '서해 실종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해 계속 조사하기로 하고 북측에 추가 조사를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필요하다면 남북 공동조사도 요구할 방침이다.

청와대는 25일 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청와대는 "북측에서 온 통지문에서 밝힌 사건 경과와 우리측 첩보 판단에 차이가 있다"며 "계속 조사해서 사실관계를 규명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측에 대해서도 추가 조사를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북측과의 공동조사도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와 같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서해에서의 감시 및 경계태세를 더욱 강화하는 조치를 시급히 취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1일 서해 소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실종된 해양수산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공무원 A씨가 북측의 사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북측은 지난 25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 명의의 통지문을 청와대에 보내 사건을 인정하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사과를 전했다.

다만 북측의 통지문 내용에는 "사격 후 확인 수색했으나 침입자는 부유물 위에 없었으며 많은 양의 혈흔이 확인됐고 부유물은 소각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가 '사격 후 시신을 화장했다'고 파악한 내용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김백겸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경찰은 위법한 출석요구, 체포협박 즉각 중단하라!”

범민련, 경찰의 인권침해에 국가인권위 진정과 긴급구제신청
이기영 통신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20.09.27  08:58:48
페이스북 트위터

“경찰은 적법절차를 준수하고 위법한 출석요구 자체를 철회하라!”

   
▲ 범민련 남측본부와 공동변호인단은 24일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범민련탄압! 인권침해!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제공 - 범민련남측본부]

24일 오전,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이하 범민련 남측본부)와 범민련탄압 대응 공동변호인단(이하 공동변호인단)은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범민련탄압! 인권침해!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을 열고, 원진욱 범민련 남측본부 사무처장에 대한 경찰당국의 위법한 출석요구 반복과 체포 협박 중단을 요구하고 국가인권위원회 진정과 긴급구제신청을 접수했다.

지난 17일, 청와대앞 기자회견을 통해 범민련 남측본부는 ‘판문점시대 역행하는 국가보안법 탄압과 위법한 출석요구와 체포 협박’을 가하고 있는 공안당국을 규탄하고 ‘불출석투쟁’으로 단호히 맞서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후 공동변호인단은 변호인 의견서를 두 차례 제출하고 △수사당국이 위법한 출석요구로 당사자에게 압박을 가하며 체포될 수 있음을 고지하는 방법으로 신체구속을 위협한 점 △위법한 수사관행에 따라 헌법과 법률이 보장하는 피의자의 정당한 권리, 피의자의 알권리와 진술거부권, 방어권, 변호인의 조력권 등을 제약한 점 등 심각한 인권침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경찰당국에게 △위법한 출석요구 관행이 재발하지 않도록 반드시 법적 책임을 묻고 △위법한 낡은 수사관행에서 벗어나 적법절차를 준수할 것과 출석요구 자체를 철회할 것을 계속해서 요구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은(경찰청 보안수사과 권모 경위, 홍제동 대공분실) ‘처음부터 출석요구사유를 통보했고 적법절차를 준수했다’는 거짓말을 되풀이하며 계속해서 경찰청에 출석하여 피의자신문을 받으라고 출석기일 협의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범민련의 탄압은 남북의 모든 합의내용에 대한 부정이고 방해책동이다!”

   
▲ 권오헌 명예회장은 “차별과 탄압을 받고 있는 범민련 남측본부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가 적극 나설 것”을 요구했다. [사진제공 - 범민련남측본부]

이날 기자회견에서 권오헌 명예회장은 “이미 말했듯이 국가보안법에 의한 범민련 탄압은 자주통일운동에 대한 탄압이고 또 남북의 모든 합의내용을 부정하고 방해하는 책동이다”고 일갈했다. 또한 “모든 사람들의 차별과 탄압에 대해 그것을 해결해주는 국가기구가 국가인권위원회”라며 “만인이 법 앞에 평등한데 차별과 탄압을 받고 있는 범민련 남측본부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가 진정을 받아들여 반드시 해결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범민련은 싸우고 있다!”

   
▲ 공동변호인단 장경욱 변호사는 “범민련의 결의를 보면서 미력하나마 변호사로서 범민련 탄압에 공동대응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 - 범민련남측본부]

이어 국가인권위원회 진정과 긴급구제신청을 담당한 공동변호인단의 장경욱 변호사는 “평화의 시대 여전히 국가보안법에 의한 이적단체가 존재하고 탄압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한국사회는 국가보안법 문제, 범민련 자주통일운동에 대한 탄압을 극복할 힘이 없다”고 개탄했다.

장경욱 변호사는 “수사준칙에도 피의자에게 출석을 요구할 때 어떤 혐의인지 죄명이 뭔지 범죄사실의 요지를 명시해서 알려주도록 돼 있다”고 설명하고 “자주통일에 대한 부당한 탄압도 억울한데 출석요구를 남발하면서 체포위협까지 가하고, 위법한 출석요구에 대해 시정을 하기는커녕 계속 출석요구를 남발하고 있다”며 경찰의 위법한 수사관행에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 구호를 외치고 있는 참가자들. “위법한 출석요구와 체포협박을 즉각 중단하라!” “범민련 탄압 부당하다.” [사진제공 - 범민련남측본부]

또한 그는 “보안경찰이 국정원으로부터 대공수사권을 전부 가져오기 위해 국가보안법을 앞세운 평화의 시대 화해의 시대에 역행하는 준동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하고 “범민련을 희생양삼고 있는 보안경찰의 공안탄압에 참을 수도 없고, 우리가 용납해서도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러한 수사관행을 종식시키기 위해 보안경찰의 준동을 저지하겠다는 각오로 지금 범민련은 싸우고 있다”면서 “범민련이 싸우는 이유는 자주통일운동으로 그 정당성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과 더불어 바로 국민들의 인권, 피의자로서 형사절차에 따른 당당한 피의자로서 권리를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국가보안법에 의해 우리 국민들이 탄압받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앞장서겠다는 것”이라고 범민련의 투쟁을 평가하고 “미력하나마 변호사로서 범민련 탄압에 공동대응을 해나가겠다”고 밝히고 ‘각계가 함께 나서줄 것’을 호소했다.

   
▲ 기자회견 이후 참가자들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와 긴급구제신청서를 접수했다. 왼쪽부터 원진욱 사무처장, 장경욱 변호사, 권오헌 명예회장. [사진제공 - 범민련남측본부]

“피진정인을 징계조치하고 위법한 출석요구 재발방지 약속하라!”

한편 범민련과 공동변호인단은 국가인권위원회 진정과 긴급구제신청의 취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먼저 진정 취지는 △피진정인(경찰청 보안수사과 권모 경위)의 진정인(원진욱 사무처장)에 대한 출석요구는 진정인의 알 권리와 방어권,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임을 확인, △또한 피진정인의 2020. 9. 18. 이후 출석요청은 진정인의 진술거부권을 침해하고, 헌법이 규정한 적법적차 및 형사소송법 제200조(피의자의 출석요구)에 위배되는 것임을 확인, △따라서 피진정인을 징계조치하고 더 이상은 위법한 출석요구가 재발하지 않도록 조치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다.

또한 긴급구제신청 취지는 △신청인(원진욱 사무처장)에 대한 경찰청 보안수사과의 출석요구행위를 중지할 것을 권고한다는 내용의 긴급구제를 신청한다는 것이다.

   
▲ 범민련과 공동변호인단은 ‘경찰청 보안수사과의 출석요구행위를 즉각 중지할 것을 권고한다는 내용의 진정과 긴급구제를 신청했다. [사진제공 - 범민련남측본부]

이날 참가자들은 ‘위법한 출석요구에 대한 시정을 촉구’하는 ‘진정’과 ‘긴급구제신청’을 접수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바로 이어 권오헌 명예회장, 장경욱 변호사, 원진욱 사무처장 세 사람이 국가인권위원회 접수를 진행했다.

 

[진정내용(요약)]

진 정 내 용

1. 이 사건 진정에 이르게 된 경위

가. 진정인과 피진정인의 관계

진정인은 범민련 남측본부 사무처장으로 국가보안법위반등의 혐의로 입건된 피의자이고, 피진정인은 경찰청 보안수사과 소속 사법경찰관(경위)로서 진정인에게 2020. 9. 1., 같은 달 7. 및 같은 달 16. 각 출석요구서를 보내어 진정인에게 출석을 요구한 자입니다.

나.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이하 ‘수사준칙’이라 합니다) 제19조 제1항을 위반한 출석요구 반복 및 체포 협박

수사준칙 제19조 제1항은 “사법경찰관이 피의자 또는 참고인에게 출석을 요구할 때에는 별지 제4호서식 또는 별지 제5호서식에 따른 출석요구서를 발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출석요구서에는 출석요구의 취지를 명백하게 적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진정인은 진정인에게 2020. 9. 1. 오후 전화를 걸어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국가보안법위반등의 혐의로 조사할 것이 있다며 출석요구서를 발부하였다고 통보하였습니다. 이에 진정인은 출석요구사유를 문의하였으나 진정인은 출석요구서에 상세히 기재하였다는 말만 하였습니다.

진정인은 그 후 2020. 9. 1.자 출석요구서(이하 ‘제1차 출석요구서’라 합니다)를 받았으나, 그 출석요구서에는 출석요구사유를 알고 싶으면 전화하라는 취지의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었습니다(증 제1호증 제1차 출석요구서 참조).

이후 피진정인은 같은 달 7. 2차 출석요구서를 발송하겠다는 내용의 문자를 진정인에게 보냈습니다. 실제로 문자가 발송된 이후 진정인에게 같은 달 15. 경찰서에 출석하라는 내용의 2020. 9. 7.자 출석요구서(이하 ‘제2차 출석요구서’라 합니다)가 진정인에게 송부되었으나, 그 출석요구서에도 역시 출석요구의 이유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진정인이 경찰관서에 출석하거나 전화시 직접 고지하겠다는 취지의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었습니다(증 제2호증 제2차 출석요구서 참조).

진정인이 계속하여 부당한 출석요구를 거부하자 피진정인은 제2차 출석요구서에 적시된 출석요구일 하루 전인 2020. 9. 14.에 다시 출석요구서를 보내며(이하 ‘제3차 출석요구서’라 합니다, 증 제3호증 제3차 출석요구서 참조), 이번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법에 따라 절차대로 진행하겠다며 체포하겠다는 취지의 협박을 하였습니다(이하 증 제4호증 진정인 사실확인서 참조).

다. 진술거부권 행사 의사를 명확하게 밝힌 피의자에 대한 반복된 출석요구

진정인은 2020. 9. 18. 법무법인 상록(담당변호사 장경욱)을 변호인으로 선임하고, 변호인의견서를 통하여 향후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것임을 명확히 통지하였습니다(증 제5호증 2020. 9. 18.자 변호인의견서 및 증 제6호증 2020. 9. 21.자 변호인의견서 각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진정인은 계속하여 유선으로 진정인의 변호인을 통하여 출석기일 협의를 요청해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체의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의사를 명백히 하고 있는 진정인을 상대로 한 위법한 제1차, 제2차, 제3차 출석요구에 더하여 계속되는 반복적 출석요청은 ‘수사의 필요성’을 출석요구의 요건으로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00조(피의자의 출석요구)에 위배하여 무용한 피의자신문을 실시하겠다고 요청하는 것은 자백강요의 목적이 아니라면 무용한 절차에 다름 아닙니다.

2. 피진정인의 제1차 내지 제3차 각 출석요구는 진정인의 알 권리와 방어권,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입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사준칙 제19조 제1항은 출석요구서에 출석요구의 취지를 명백하게 적도록 규정하고 있고, 인권보호수사규칙 제37조 제1항 제4호 역시 “피의자에게 출석을 요구할 때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의자가 출석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부여하고, 주요 죄명 또는 피의사실의 요지 등 출석요구 사유를 알려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피의자에게 어떠한 혐의로 인하여 수사를 받는지 미리 알려주어 사전에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자신의 방어권을 충분히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진정인은 수사준칙을 위반하여 사전에 출석요구사유를 진정인에게 고지하지 아니하고, 출석하면 알려주겠다는 태도로 일관하였으며, 진정인이 그의 부당한 출석요구를 거부하자 체포하겠다는 취지의 협박을 하였는바, 이는 진정인의 알 권리, 방어권 및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입니다.

3. 피진정인의 2020. 9. 18. 이후 출석요청은 진정인의 진술거부권을 침해하고, 헌법이 규정한 적법적차 및 형사소송법 제200조(피의자의 출석요구)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진정인이 변호인을 선임한 이후 피진정인은 일응 출석요구사유를 변호인에게 고지하기는 하였습니다.

그러나 진정인이 변호인을 통하여 일체의 진술을 거부할 것임을 피진정인에게 고지한 이후에도 피진정인은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하여 경찰청에 출석할 기일 협의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출석을 요구하는 것은 피의자를 신문하기 위함인데, 이미 피의자가 진술거부권 행사를 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의자신문의 필요성’, ‘피의자신문의 실익’도 없는 피의자신문을 실시하겠다고 하며 계속하여 출석을 요청하는 것은 결국 헌법이 보장하는 진술거부권의 행사를 방해하려는 의도로서 중대한 권리침해이고 헌법이 규정한 적법절차에 위배되는 위헌적 수사이고 ‘수사의 필요성’을 출석요구의 요건으로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00조(피의자의 출석요구)에 위배되는 위법적 낡은 수사관행입니다.

4. 결어

이상과 같은 사유로 이 사건 진정을 제기하오니 부디 피진정인의 인권침해행위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신청이유(요약)]

신 청 이 유

1. 신청인은 범민련 남측본부 사무처장으로서, 경찰청 보안수사과 소속 경위인 피신청인은 2020. 9. 1.부터 세 차례에 걸쳐 출석요구사유를 기재하지 않은 출석요구서(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제19조 제1항 위반)을 보내어 체포하겠다는 취지의 협박까지도 하였습니다.

2. 신청인이 피신청인의 위와 같은 위법한 출석요구를 거부하고, 변호인(법무법인 상록 담당변호사 장경욱)을 선임하자 피신청인은 그제서야 출석요구사유를 위 변호인에게 통보하였습니다.

3. 신청인은 2020. 9. 18.에 위 변호인을 통하여 향후 일체의 진술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피신청인에게 통보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신청인은 계속하여 경찰청에 출석하여 피의자신문을 받으라고 출석기일 협의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이에 대하여 신청인은 국가인권위원회법 제30조 제1항에 따라 진정하였으나, 특히 2020. 9. 18. 이후의 계속적 출석요구행위에 대하여는 진정과 더불어 긴급구제를 신청합니다.

즉, 진술거부권은 헌법 제12조 제2항이 명시적으로 보호하고 있는 기본권이며, 신청인은 이와 같은 기본권의 행사를 명백히 피신청인에게 밝혔습니다.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출석을 요구하는 것은 피의자를 신문하기 위함인데, 신청인이 무용한 피의자신문을 위한 출석요구의 철회를 요청하며 피의자 신문 시 진술거부권 행사 의사를 명백히 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신청인이 계속하여 출석을 요구하는 행위는 진술거부권 행사의 의사를 밝힌 피의자에 대한 심리적 압박으로서 결국 그의 진술거부권을 침해하는 것입니다.

‘피의자신문의 필요성’, ‘피의자신문의 실익’도 없는 피의자신문을 실시하겠다고 하며 계속하여 출석을 요청하는 것은 결국 헌법이 보장하는 진술거부권의 행사를 방해하려는 의도로서 중대한 권리침해이고 헌법이 규정한 적법절차에 위배되는 위헌적 수사이고 ‘수사의 필요성’을 출석요구의 요건으로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00조(피의자의 출석요구)에 위배되는 위법적 낡은 수사관행입니다.

이처럼 피신청인의 신청인에 대한 인권침해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 진술거부권이 헌법 및 형사사법절차에서 가지는 중요성에 비추어 수사기관이 이를 침해하거나 형해화하려는 시도는 헌법이 규정한 적법절차의 준수를 요청하는 법치국가에서 용납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 실제로 체포영장이 발부될지 여부와 무관하게 영장청구 신청권을 가진 사법경찰관인 피신청인은 위 권한을 남용하여 신청인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시어, 국가인권위원회법 제48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위법하고 불필요한 신청인에 대한 출석요구 중단을 권고하여 주실 것을 신청합니다.

 
 

[관련기사]

 
이기영 통신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경제 ‘한국’ 만은 예외

한국, 코로나 시국 속 보건과 경제 모두 완화하는 모범국
 
뉴스프로 | 2020-09-25 12:44:36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경제 ‘한국’ 만은 예외
– 한국, 코로나 시국 속 보건과 경제 모두 완화하는 모범국
– OECD 전망 2020 GDP 감소율 단지 1% 불과 중국 이어 두 번째
– 재난지원금 은행 예금하는 미국, 쓸 수 있게 만드는 한국 대조
– 수출 의존국으로서 앞으로의 한국 경제, 세계 경제 회복이 숙제
  

포린폴리시가 지난 9월 16일자 기사로 내보낸 COVID-19 Has Crushed Everybody’s Economy—Except for South Korea’s (전세계 경제를 무너뜨린 코로나바이러스 – 단 한국은 예외!)라는 기사에서 “한국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한 보건과 경제적 여파, 둘 다를 완화하는 방법을 보여준 듯하다. ” 는 서두로 운을 뗀 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최근 경제 전망에서 한국은 2020년 국내총생산(GDP) 감소율이 단지 1%에 불과해 주요 경제국 중 중국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고 보도했다. OECD의 수석 경제학자가 전세계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극심한 경기 침체를 겪고 있다고 말한 가운데 한국의 경제적 성공과 전염병 억제 성공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강조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기사는, 한국이 처음부터 대유행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관리를 시작했기에 비교적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지 않았던 이유도 포함된다고 말하면서 한국의 재난지원금이 적기에 지급되었던 것이 큰 이유가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현재 4차가 발표된 한국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은 소비 침체를 막을 것이며 정책 전문가들은 내년까지도 계속 확장적인 정책 방안을 실행할 것임을 표명했다고 전하고 있다.

한국의 이 같은 노력은 미국과 특히 대조된다고 기사는 말하면서, 미국은 방역에도 실패했지만 경제적 지원 역시 올해 초 이후로 계속 늦추고 있으며 정책적으로도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 이유로 미국인들은 지급된 재난 지원금의 상당 부분을 은행에 예금함으로써 실질적인 소비촉진으로 이어지지 못한 반면 한국은 재정 지원과 함께 소비 진작을 위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내놓았으며 그 중 하나가 3개월이라는 시한 동안 경기도의 지역상점에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화폐 형식의 재난 지원금이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지역 화폐는 경기도의 모든 상점에서 쓰일 수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비증가를 가져왔고 소상공인의 경우 56%의 상인들이 매출이 증가했다고 말했으며, 지역상권의 월매출은 18%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말하고 있다.

기사는 현재 한국은 2주 넘게 매일 100-200건의 신규 감염이 지속되고 있어 새로운 코로나 발병위험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하면서 한국의 심야영업 규제와 배달, 포장만 허용되는 현실에 대해 언급하면서 정부가 ‘경제와 통제 사이의 아슬아슬한 상황’을 잘 통제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은행은 연간 경제전망치를 당초 예상보다 1. 3% 하향 조정했으며 정책 반대파들은 이로 인한 대규모 재정 부양책이 장기적인 부채 축적을 가져올 것이며 한국 정부의 예산 수지가 악회되고 있다는 말로 부정적인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고 기사는 전한다.

한 경제학자는 한국은 수출 경제국으로서 코로나 대유행이 대외무역을 억제하고 있어 더욱 심각한 요소라고 언급하면서 OECD 역시 한국의 내년 경기회복은 전세계 국가들이 코로나 19에서 해방되느냐 아니냐에 달려있다고 말하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OECD는 앞으로도 한국의 경제 회복도는 기타 다른 지역의 반등 규모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하면서, 한국은 세계 경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국가임을 강조했다고 전한다. (글, 박수희)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포린폴리시의 기사 전문이다.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bit.ly/3ktzQDE

COVID-19 Has Crushed Everybody’s Economy—Except for South Korea’s

전세계 경제를 무너뜨린 코로나바이러스 – 단 한국은 예외!

Seoul seems to have shown the way to mitigating both the health and the economic fallou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한국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한 보건과 경제적 여파, 둘 다를 완화하는 방법을 보여준 듯하다.

BY MORTEN SOENDERGAARD LARSEN |
SEPTEMBER 16, 2020, 2:23 PM

People walk through the Myeongdong shopping district in Seoul on Aug. 27. JUNG YEON-JE/AFP VIA GETTY IMAGES
8월 27일 시민들이 서울의 명동 쇼핑가를 걷고 있다.

SEOUL—As the United States struggles with a stubbornly persistent pandemic and a stubbornly slow return to economic growth, South Korea seems to have found the recipe to succeed on both fronts—if it can survive a late-year uptick in new coronavirus cases.

서울-미국이 지겹도록 지속되는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과 느린 경제 성장의 복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이 두 가지 측면에서 성공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은 것 같다.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사례의 최근 증가를 이겨낼 수만 있다면.

In the latest economic projections by the OECD, South Korea is looking at a mere 1 percent GDP contraction for 2020, the second-best performer among major economies behind only China. In contrast, the euro area is expected to shrink by around 8 percent, and the United States could see full-year contraction on the order of almost 4 percent of GDP.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최근 경제 전망에서 한국은 2020년 국내총생산(GDP) 감소율이 단지 1%에 불과해 주요 경제국 중 중국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럽 국가들은 약 8%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은 1년 내내 GDP의 거의 4%가 위축될 수 있다.

“The world is facing the most dramatic economic slowdown since the Second World War,” said Laurence Boone, the chief economist of the OECD, introducing the newest outlook.

OECD의 수석 경제학자 로렌스 분은 최근 전망을 내놓으면서 “전세계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극심한 경기 침체를 맞고 있다”고 말했다.

The OECD presentation underscored that economic success went hand in hand with success in tamping down the pandemic. That’s part of the reason for South Korea escaping relatively unscathed economically—starting with its highly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andemic in the first place.

OECD 발표는 경제적 성공이 전염병을 억제하는 데 성공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강조했다. 한국이 처음부터 대유행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관리를 시작했기에 비교적 경제적인 큰 피해를 입지 않았던 이유도 일부 여기에 있다.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both recorded their first case of the new coronavirus on the same day; since then, cases in South Korea peaked at 851 new daily cases in March, before flattening to the single digits. In the United States, the cases never really plateaued until mid-July, where the peak was at 74,818 confirmed infections in a single day. South Korea has recorded seven deaths per million people; the United States has seen nearly 600 deaths per million, according to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Johns Hopkins University.

미국과 한국 양국은 같은 날 첫 신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사례를 기록했지만, 그 이후 한국의 경우 3월에 하루 851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한 자릿수로 계속 편평선을 유지했다. 반면 미국은 실제로 편평선에 한 번도 이른 적이 없이 7월 중순에는 하루 감염 확진자 최고치인 74,818명를 기록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와 존스 홉킨스 대학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 100만 명당 7명의 사망자를 기록한 반면 미국은 100만 명당 거의 600명이 사망했다.

That efficacious handling of the outbreak made a strict national lockdown—of the sort that paralyzed entire European economies for months on end—largely unnecessary in South Korea, which in turn meant less economic dislocation from shuttered factories, closed restaurants, and the like.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로서 수개월 동안 유럽 경제 전체를 마비시킨 그런 유형의 엄격한 국가 폐쇄는 한국에서는 전반적으로 필요치 않았다. 그로 인해 폐쇄된 공장이나 문닫은 식당 등과 같은 경제적 혼란이 덜했다.

“The main reason is that they’ve been able to contain the epidemic much better than others, so disruptions to activity have been more limited,” said Christophe André, the senior economist for South Korea at the OECD.

OECD 한국담당 선임 경제학자인 크리스토프 안드레는 “한국인들이 다른 나라보다 코로나바이러스-19 전염병을 훨씬 잘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이 주요 이유이며, 그래서 활동 제재가 보다 적었다”고 말했다.

That can be seen in Google’s mobility data, which shows South Korea barely changed its normal routines after the outbreak in late February, and what little changed quickly recovered in April. The biggest factors for change were weather and public holidays, not the virus. In contrast, hard-hit Italy saw shop visits plummet.

이점은 구글의 모빌리티 데이터를 통해 확인될 수 있는데 지난 2월 코로나 확산 이후 한국에는 정상정 일상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약간의 변화마저도 4월에 이르러 곧 정상으로 돌아왔다. 일상을 바꾼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가 아니라 날씨와 공휴일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코로나로 심하게 타격을 입은 이탈리아에서는 상점 매출이 급락했다.

Further, even though South Korea wasn’t hit as hard as most other countries, it quickly launched a fairly aggressive fiscal response, pouring around $12.2 billion, or about 0.7 percent of the country’s GDP, into the pockets of businesses and citizens in early spring.

더 나아가서, 한국은 다른 국가만큼 큰 타격을 받지도 않았지만 서둘러 상당히 공격적인 재정정책을 마련하여 올봄 초, 기업과 시민에게 약 122억 달러(한국 GDP의 0.7%)를 지원했다.

That wasn’t as big as countries such as Germany, which is launching a stimulus package worth around 4 percent of GDP, but because Seoul provided support quickly, it helped keep consumption up. South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vide support in the form of loans and guarantees totaling about $230 billion.

이는 GDP의 4%에 해당하는 재난지원금을 공급한 독일과 같이 큰 규모는 아니었지만 정부가 조속히 지원했기 때문에 소비침체를 막을 수 있었다. 한국은 대출과 담보 형태로 총 약 2천 300억 달러의 경기부양책을 계속해서 제공하고 있다.

More to the point, South Korea has kept the fiscal taps open: Last week, it announced its fourth round of stimulus adding an additional $6.5 billion, and South Korean policymakers say that expansionary approach will likely continue through next year to combat the lingering economic impacts of the pandemic.

더 중요한 것은, 한국 정부가 재정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으로서, 지난 주 정부는 65억 달러를 추가하는 4차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고, 한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대유행으로 지속되는 경제적 타격과 싸우기 위해 확장적인 정책 방안이 내년까지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That, too, stands in contrast to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which started the year with a fiscal and monetary bang but which has since slowed down efforts to throw cash at the continued economic weakness. Earlier this month, the U.S. Congress failed to agree on a fresh stimulus package, after Republican lawmakers sought to trim already paltry benefits, while Democrats sought more aid for the huge numbers of unemployed Americans.

이점 역시 미국과 같은 나라와는 대조적인 모습으로서, 미국 정부는 올해 재정적이고 금전적인 대규모 지원을 시작했지만 그 이후로는 계속되는 경기 침체에 현금을 지원하는 노력을 늦추고 있다. 이달 초, 엄청난 수의 미국 실업자들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요구하는 민주당 의원들과 그나마 얼마 되지도 않는 혜택을 더 줄이려 애를 쓰는 공화당 의원들로 인해 미 의회는 새로운 경기 부양책을 위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The OECD’s André said that fiscal response was one key to getting domestic consumption back on track.

OECD의 안드레는 재정적인 대응이 내수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하나의 열쇠였다고 말했다.

“So domestic demand has remained relatively solid; there was a fall in consump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but there was a rebound which was helped also by fiscal support,” he said.

“그래서 내수는 비교적 꾸준했고, 올 상반기에는 소비가 감소했지만 재정지원에 힘입어 반등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And South Korea’s fiscal response carried more bang for the buck than in other places. First, more businesses were open to spend those cash payouts at, which translated to South Korean consumers spending more and saving less of their bailout check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money distributed in the first three tranches of stimulus was spent by South Korean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many households simply banked much of their famous $1,200 stimulus check.

그리고 한국의 재정 정책은 다른 국가보다 큰 영향력을 불러왔다. 첫째로 그 현금지원금을 소비할 수 있는 더 많은 상가들이 영업을 하고 있었고, 한국 소비자들은 재난지원금을 저축하기 보다는 더 많이 소비하게 되었다. 처음 3번의 경기 부양책으로 분배된 돈의 상당 부분이 한국에서는 소비자에 의해 소비되었지만, 많은 미국 가정들은 그 유명한 1,200달러 경기 부양책의 상당분을 은행에 넣어두었다.

“There was a big impact on consumption, consumption rebounded actually, end-of-June consumption was up year-on-year, which is quite spectacular. So, this stimulus was very important,” André said.

“소비에 큰 영향이 있었고 실제로 소비가 반등했으며 6월 말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많이 증가했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그래서 재정부양책은 매우 중요했다”라고 안드레씨가 말했다.

Second, some South Korean provinces also used creative solutions to ensure that government payouts would be recycled into the economy and help boost consumption.

둘째, 일부 한국 지방 정부들은 정부 지원책이 경제에 재순환이 되고 소비를 진작시킬 수 있도록 창의적인 해결책을 사용하기도 했다.

Lee Jae-myung, the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the country’s most populous region, decided to test out non-cash payments. Each resident received 100,000 won, about $85, which could be spent over a three-month period. But it came in the form of a local currency that could only be spent in shops inside the region, rather than as cash that could be hoarded.

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인 경기도의 이재명 도지사는 비현금 지급을 시험해 보기로 했다. 주민 한 명당 10만 원(약 85달러)을 받았으며 이 돈은 받은 이후 3개월에 걸쳐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돈은 지역 화폐의 형태여서 경기 지역의 상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 비축할 수 있는 현금이 아니었다.

“We used the [money] to eat out at local restaurants; we ate out more often than usual to use the emergency funds,” said Lee Jong-hyang, a mother in her 50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에 사는 50대 주부 이종향씨는 “근처 식당에서 외식을 할 때 이를 사용했다. 재난지원금을 사용하기 위해 평소보다 자주 외식을 했다”고 말했다.

She wasn’t alone. “After the disaster relief was distributed [local businesses’] monthly sales went up 18 percent, and for small business owners, 56 percent of them said their sales went up,” said Heo Yeung-gil, the leader of the Safety Planning Division in Gyeonggi province, which oversees the distribution of the disaster relief.

이종향씨뿐만이 아니었다. 재난지원금 분배를 총괄하는 경기도 허영길 안전기획과장은 “재난지원금이 유통된 후 [지역 상권]의 월매출이 18% 증가했고, 소상공인의 경우 56%의 상인들이 매출이 증가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Heo said that despite a price tag for the region of about $850 million, he believes the program is sustainable.

허 과장은 재난지원금으로 약 8억 5천만 달러가 들었지만 이 프로그램이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It was to boost consumption and to create a more virtuous cycle of spending for the economy. And in that sense, yes, it is worth it,” Heo said.

“경기도 재난지원금은 소비를 활성화시키고 경제를 위해 소비의 선순환을 더 많이 창출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Despite its relative success so far, South Korea is far from done dealing with the virus or its fallout. The country has been hovering between 100 and 200 new daily cases for over two weeks, stoking fears of a new outbreak. Seoul has been forced to restrict business activity, such as only allowing restaurants to serve takeout after 9 p.m. and making cafes carryout only.

지금까지 비교적 성공적이긴 했어도 한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나 그 여파에 대한 대응을 마친 것은 전혀 아니다. 한국은 2주 넘게 매일 100-200건의 신규 감염이 지속되고 있어 새로운 발발에 대한 공포가 증폭되고 있다. 한국은 밤 9시 이후 식당은 포장음식만, 그리고 카페는 테이크아웃만 허용하는 등 영업활동을 제한해야 했다.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said that the government is walking “a tightrope between virus control and the economy,” and after pressure from local businesses Seoul eased those restrictions again, two weeks after they went into effect.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가 “바이러스 통제와 경제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말했고, 기업들로부터 압박을 받는 가운데 실시 2주 만에 다시금 그러한 규제를 완화했다.

South Korea may even be in for more economic pain that it expected. The country’s central bank last month downgraded its full-year outlook for the economy to a contraction of 1.3 percent, a big jump from its earlier rosier estimates. The second wave of virus in South Korea is also what has caused the OECD to adjust its initial assessment from negative 0.8 percent growth to negative 1 percent.

한국은 스스로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경제적 고통을 겪을지도 모른다. 지난 달 한국은행은 연간 경제전망치를 보다 낙관적이었던 당초 예상보다 훨씬 큰 폭인 1.3퍼센트 경기 저하로 하향조정 했다. 한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재유행 역사 OECD가 초기 마이너스 0.8% 성장 평가에서 마이너스 1%로 조정하게 된 원인이다.

And, as in many countries, deficit hawks are worried about the sustainability of big fiscal stimulus packages that can ameliorate short-term pain but only at the cost of long-term debt accumulation.

많은 나라에서 그러하듯, 적자재정 강경반대파들은 대규모 재정 부양책의 지속가능성을 우려하며 이러한 정책이 단기적인 고통을 개선시킬 수 있겠지만 그 대가로 장기적인 부채 축적을 가져올 것이로 예상한다.

“Basically, it’s a government subsidy to the Korean people, but the thing is, we cannot provide subsidies forever. Because of these subsidies, the Korean government budget balance is deteriorating,” said Lee Doowon, an economist at Yonsei University in Seoul.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 교수는 “이는 기본적으로 정부가 국민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인데 정부가 언제까지나 보조금을 지원할 수는 없다. 이런 보조금 때문에 한국 정부의 예산수지가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For South Korea, an export-oriented economy, that’s a particularly acute risk as the pandemic continues to depress cross-border trade.

수출 지향적인 경제국인 한국으로서 이 대유행이 계속해서 대외무역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특히 심각한 위험요소이다.

“Korea depends a lot on international trade. And because of this pandemic, global trade has shrunk and tha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Korean export industry. Unless we make a serious breakthrough in the near future, this situation will be even worse in the coming several months,” Lee said.

이 교수는 “한국은 국제무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유행으로 인해 세계 무역은 위축되었고 대유행이 한국 수출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진지한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몇 달 동안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Boone from the OECD agrees. South Korea’s hopes for a rebound next year depend on the rest of the world climbing out of the COVID-19 hole—and that is outside Seoul’s control. OECD

수석 경제학자인 분 역시 이에 동의한다. 한국의 내년 경기 회복에 대한 희망은 전세계 국가들이 COVID-19 구렁에서 벗어나는 것에 달려 있으며 이는 한국이 통제할 수 없는 일이다.

“Looking ahead, Korea is very much integrated in the global economy,” Boone said. “And for that reason, the extent of the rebound will be either limited or helped by the size and the magnitude of the rebound elsewhere.”

분 수석 경제학자는 “앞으로도 한국은 세계 경제에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며, “그래서 그 때문에 (한국) 경제회복의 정도는 기타 다른 지역에서의 반등의 규모와 크기에 따라 제한되거나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m/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101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생도 농사도 기다림입니다, 벼도 아이도 자립해야죠”

등록 :2020-09-26 09:07수정 :2020-09-26 09:17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토요판] 커버스토리
농부과학자 이동현

미생물학 박사 출신의 농부
서울대 석사 거쳐 규슈대 유학
귀국 3년 만에 곡성서 농사 시작
벼 품종 연구와 발아현미 사업도

“먹거리 생산과정 잊지 않으려
귀한 시간 들여서 직접 농사”
“농부의 삶 감사히 받아들여서
국민 식량창고 끝까지 지킬 것”
이동현 대표가 지난 17일 오전 ㈜미실란 앞 들판에 있는 자신의 논에서, 긴 장마와 태풍을 이기고 풍년을 이룬 벼 이삭을 보며 친환경 생태농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이동현 대표가 지난 17일 오전 ㈜미실란 앞 들판에 있는 자신의 논에서, 긴 장마와 태풍을 이기고 풍년을 이룬 벼 이삭을 보며 친환경 생태농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 전남 곡성에는 농부과학자가 산다. 발아 현미를 만드는 농업회사법인 ㈜미실란의 이동현 대표가 그다. 순천대 농대를 졸업한 뒤 서울대 석사와 일본 규슈대 박사가 된 미생물 과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일본에서 귀국한 지 3년 만인 2006년 서른일곱 젊은 나이에 농부가 됐다. 국내 학계의 높은 벽과 가난한 집안 사정 때문에 후순위로 택한 직업이긴 하지만, 그는 폐교를 가꿔 미래로 가는 길을 열고 있다. 논에서는 친환경 생태농업을 하며, 마을에선 공동체 가꾸기에 열심이다. 또 집안에선 가장의 권위를 버리고 헌신과 사랑을 실천한다. 농사처럼 삶도 풍성하고 건강하다. 최근 김탁환 소설가는 이동현 대표에 관한 얘기를 책(<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으로 펴냈다. 지난 17일 김 작가의 책을 들고 곡성을 찾았다. 곡성읍에 있는 ‘미실란 밥카페 반하다’에서 6시간 동안 이동현씨 부부를 만나, 이들이 곡성의 논바닥에 그리고 있는 삶의 무늬를 들여다봤다.
“기다림이죠. 인생도 마찬가지지만 농사도 기다릴 줄 알아야 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다림을 모르거나 기다릴 여유가 없어 중도에 포기하고 말죠.”지난 17일 전남 곡성에서 이동현(51) 농업회사법인 ‘미실란’ 대표(이하 호칭 생략)가 검거나 푸른 쌀은 검게, 흰쌀은 누렇게 색색으로 물들고 있는 그의 논을 가리켰다. 벼는 알곡의 무게 때문에 고개는 숙였지만, 긴 장마와 몇차례의 태풍에도 쓰러지지 않고 꼿꼿이 서 있었다. 이웃 논의 벼 절반 정도가 쓰러져 누워 있는 것과 대조적이었다.“벼가 땅속 깊이 뿌리를 내려 튼튼하게 자라니까 어지간한 바람에는 끄떡도 없고, 병해충도 스스로 이겨냅니다. 땅이 이 정도로 생태적이 되려면 최소한 3년은 기다려야 하는데 보통은 그것을 못 기다리죠.”우렁이와 각종 생물이 살고 있는 논을 찬찬히 둘러보는 사이 논 옆에 있는 ‘미실란 밥카페(cafe) 반(飯)하다’에서 아들 재혁(21)과 부인 남근숙(48)이 점심을 준비했다. 지난 8월 말 2차 코로나 위기 이후부터 밥카페는 문을 닫고 있어 당분간 이동현 가족만의 식당이다. 두부요리와 묵은김치찜, 양배추찜, 백김치, 된장국, 부추전 등 채식 반찬들이 정갈했지만, 유기농 현미를 발아시켜 지은 밥이 핵심이었다. 밥만 한술 떠서 오래 우물거리다 삼켰다. 다른 양념의 맛을 섞고 싶지 않을 정도로 밥맛이 구수하면서도 고소했다. 소설가 김탁환은 “밥알 하나하나가 탱탱하게 씹히며 다른 맛을 내고 다른 방향으로 튀었다. 반백 년을 밥상머리에 앉았지만, 이런 밥은 처음이었다”(<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고 표현했다. 맛도 맛이거니와 한그릇 깨끗이 비우고 나니 밥심이 불끈 생기는 것 같았다.
이동현 미실란 대표가 지난 17일 오후 연구실에서 삼광, 녹미 등 그가 키우고 연구 중인 벼 품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이동현 미실란 대표가 지난 17일 오후 연구실에서 삼광, 녹미 등 그가 키우고 연구 중인 벼 품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유엔 모범농민상 수상미실란의 밥 한그릇에는 이동현의 세가지 정체성이 담겨 있다. 벼 품종을 연구 개발해(과학자), 모내기부터 벼베기까지 농사를 지은 뒤(농부), 스스로 개발한 발아기로 쌀눈을 틔우는(회사 대표) 땀의 결실이다. 유기농 발아 현미와 그 가공품을 만드는 회사인 미실란은 직원 11명에, 지난해 매출 9억원을 기록했다. 15년의 관록으로 회사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지만, 그는 지금도 농촌진흥청과 벼 육종 및 재배 기술에 대해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그가 다른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발표한 벼에 관한 논문은 13편에 이른다. 주변 농민들과 계약을 맺어 유기농 벼를 제값 주고 사들이고 있지만 그는 지금도 약 3천평의 논에서 벼농사를 직접 짓는다. 2006년 곡성에 들어온 첫해부터 실천해온 친환경 생태농업이다.“농업회사도 회사니까 시이오(대표)가 거래처 사람들과 골프 등으로 어울리면서 물건을 잘 납품하면 매출이 더 올라간다는 것을 저도 알아요. 그러나 제가 그렇게 하지 않고 부족한 시간을 들여 농사를 짓는 것은 먹거리를 만드는 기본은 생산이기 때문이에요. 농부가 아니면서 농부인 척하게 되면 나중에 생물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제품이 어떻게 나오는지 잊어버리게 되거든요. 그러면 저도 건방져져서 벼가 비싸면 수입해서 쓰자거나, 병해충이 심하면 계약 농민들에게 그냥 제초제 뿌리고 농약을 치자고 말하는 시이오가 되고 말 겁니다. 그런 걸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많든 적든 간에 최소한의 농사는 직접 지으면서 현장에 머무르려고 합니다.”농부로서의 땅에 대한 헌신과 사업가로서의 도전정신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농업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권위를 지닌 대산농촌문화상을 수상(2015년)했으며, 지난해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선정한 모범농민상을 받았다.
농부과학자 이동현씨는 지난해 9월 유엔식량기구가 주는 모범농민상을 받았다. 태국 방콕에서 상을 받은 뒤 부인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동현 제공
농부과학자 이동현씨는 지난해 9월 유엔식량기구가 주는 모범농민상을 받았다. 태국 방콕에서 상을 받은 뒤 부인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동현 제공
이동현은 사실 농부나 사업가 이전에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병해충 방제 분야의 전도유망한 과학자였다. 2003년 일본 규슈대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을 때 이미 7편의 논문이 ‘국제 과학 논문 색인’(SCI)에 오를 정도로 명성을 떨쳤다. 연구자로서의 창의성과 능력을 높이 산 지도교수 오바 미치오는 그에게 일본이나 미국에서 박사후과정(포스닥)을 마칠 것을 간곡하게 권유했다. 이동현은 넓은 세계에서 연구하고픈 생각도 있었지만, 하루빨리 고국에서 자리잡고 싶어 2003년 9월 귀국했다. 가난한 집안에서 나고 자란 그로서는 현실적이고 절박한 선택이었다.“한국에 오면 대학에서 저를 서로 데려가려고 하는 등 환대받을 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귀국 직후 두 대학의 교수에 지원했다가 안 됐어요. 그 뒤에 들려오는 소리가 ‘너는 실적 평가는 100점이지만, 교수들과 관계를 잘 맺어야 하고 학교 당국에도 어떻게 해야 한다. 좀 더 기다리면서 해보라’고 하더군요. 연구 외에 다른 것은 할 줄도 모르거니와 집이 너무 가난해서 기다릴 여유가 없었어요.”이동현은 1969년 전남 고흥군 동강면 오월리 시골 마을에서 7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고흥군수가 부임하면 늘 인사드리러 찾아온 유학자 아버지는 새벽부터 밤까지 글만 읽었을 뿐 생활에는 무능하고 무관심했다. 산골짜기 밭을 혼자 일구는 등 생활력이 강한 어머니의 도움으로 이동현은 벌교중을 거쳐 광주의 전남고로 유학했지만, 1학년 담임 선생님의 ‘촌놈 차별’에 방황한 뒤 1988년 후기 대학인 국립 순천대 농대에 입학했다. 1992년 서울대 대학원에 들어간 뒤 박사과정까지 진학했지만, 곰팡이 독소 실험 과정에서 쥐를 죽여야 하는 게 너무 싫어서 자퇴했다. 다행히 그를 학자의 길로 이끌고 아꼈던 순천대 지도교수(고영진)가 규슈대에 추천해 2000년 일본 문부성 장학생으로 선발돼 유학을 갔다.
이동현 미실란 대표의 논은 아이들의 생태농업 체험활동 무대이기도 하다. 2016년 6월 이 대표가 논에 들어갔다 나온 아이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동현 제공
이동현 미실란 대표의 논은 아이들의 생태농업 체험활동 무대이기도 하다. 2016년 6월 이 대표가 논에 들어갔다 나온 아이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동현 제공
처음부터 유기농 생태농업 실천시민으로서 마을 가꾸기에 앞장음악회·전시회로 문화 꽃피우고교육운동 참여로 공교육 개선두 아이에겐 공부 강요 않고스스로 살아가는 자립 강조평등한 가족회의 매주 열어소통과 대화로 문제 해결현미 발아기도 직접 개량규슈대 지도교수까지 나서서 사업 진출을 말렸지만, 생계가 급했던 그는 전공을 살려 순천에서 2004년 9월 미생물을 이용해 병해충을 방제하는 신약을 만드는 회사(픽슨바이오)를 창업했다. 신기술에 대한 특허를 받았으나 경험 부족 등으로 얼마 못 가 회사 문을 닫고 말았다. 새 길을 모색하던 그에게 발아 현미가 운명처럼 다가왔다. 고향(고흥) 마을의 한 귀농 농부가 스스로 만든 현미 발아 기계의 고장이 잦고 발아율이 낮자 농학박사인 이동현에게 도움을 요청하고는 내처 기기 인수를 제안한 것이다. 전공 분야가 아니었지만, 이동현은 고심 끝에 친환경 농업과 쌀 소비 증진 등으로 농촌과 생태계를 살릴 수 있겠다는 판단에서 미생물에서 벼농사 및 현미 가공 사업으로의 방향 전환을 결심했다. 마침 그의 특강을 들은 곡성군수(고현석)가 폐교 및 논 임대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면서 농부과학자의 꿈을 곡성에서 펼쳐볼 것을 간곡하게 청했다. 이에 그는 순천 생활을 정리하고 2006년 5월 8년 전에 문을 닫은 폐교(곡성동초등학교) 건물에 입주했다.“지금이야 마당에 잔디가 있고 건물도 정비됐지만, 처음 올 때는 마당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건물 내부 곳곳에는 거미줄이 뒤덮여 금방이라도 귀신이 나올 것 같은 곳이었죠. 지금 밥카페가 있던 자리에 컨테이너를 놓고 가족 4명이 살았어요. 8년 동안 비었던 자리에 갑자기 불빛이 있으니까 지나던 사람들이 저녁에 다가와서 들여다보기도 했어요. 그래서 아내가 더 무서워했죠.”폐교 건물에 미실란 간판을 내건 이동현이 맨 먼저 한 일은 볍씨 278개 종을 골라 모를 키운 뒤 모내기를 한 일이었다. 논 1천평에 품종별로 한줄씩 손으로 일일이 심었다. 어느 품종이 어떻게 자라고 병충해에 강한지, 어떤 게 가장 현미 발아가 잘되는지, 맛과 기능은 어떤지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품종 연구는 지금까지도 계속하고 있으며, 올해는 북한 벼 5개 종을 포함해 모두 28개 종을 심었다.“북한 벼는 예전 농촌에서 재배하던 재래종처럼 다른 벼보다 키가 커요.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실험으로 북방계 벼를 키워보고 있는데, 남북정상회담이 다시 열리면 남쪽 벼와 북쪽 벼를 5종류씩 섞어서 지은 평화와 화합의 밥을 만찬장에 올리고 싶어요.”이렇게 키운 벼들로 미실란 한쪽에 마련한 실험실과 발아실에서 현미 발아 실험을 계속했다. 그 결과 삼광벼가 현미 발아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발아기도 개량을 거듭해 특수 저온건조 발아법에 적합한 4호기까지 제작했다. 덕분에 까다로운 현미 발아율을 95%까지 높였다. 쌀눈이 붙어 있는 현미 자체로도 백미보다 영양학적으로 훨씬 뛰어나지만, 발아 현미는 맛이 좋아질 뿐 아니라 몸에서 소화 흡수도 훨씬 잘된다.“기능성이라는 말이 딱 맞지는 않지만, 이제는 당뇨에 좋은 벼 등 특수 품종 개발에 힘쓰고 있어요. 값싼 외국 쌀과 경쟁하려면 친환경 보급과 함께 좀 더 고급화된 쌀 생산이 필요하거든요. 또 우리 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소비를 늘리는 일도 중요하고요.”2015년에 ‘미실란 밥카페 반하다’의 문을 연 것도 우리 쌀을 알리고, 농민과 소비자 간 대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사실 곡성에 올 때부터 밥과 떡이 있는 농가 레스토랑을 만들어 운영할 생각이 있었어요. 생태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쌀 소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거든요. 그러나 식당 운영이 힘들잖아요. 그래서 집사람이 결심할 때까지 기다렸죠.”
이동현씨 부부는 곡성으로 이사한 2006년부터 매년 봄, 가을에 아마추어 음악인들이 참가하는 ‘미실란 작은 들판 음악회’를 열고 있다. 2011년 5월에 열린 음악회에서 이씨 부부와 두 아이가 노래를 하기 위해 무대에 섰다. 이동현 제공
이동현씨 부부는 곡성으로 이사한 2006년부터 매년 봄, 가을에 아마추어 음악인들이 참가하는 ‘미실란 작은 들판 음악회’를 열고 있다. 2011년 5월에 열린 음악회에서 이씨 부부와 두 아이가 노래를 하기 위해 무대에 섰다. 이동현 제공
“너무 사랑스러운데 왜 공부 강요해요?”이동현은 농부, 과학자, 사업가로만 머물지 않는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또 곡성군민의 한 사람이자 마을 주민으로서도 열심히 살고 있다. 귀국 직후부터 새만금 간척사업 반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이 시민으로서의 활동이었다면, 곡성에 자리잡은 첫해 가을부터 매년 봄, 가을마다 한두차례씩 열고 있는 ‘미실란 작은 들판 음악회’는 마을 사람으로서의 자기 몫이다. 곡성과 인근 지역의 아마추어 음악인들이 주로 출연하는 들판 음악회는 코로나19 때문에 규모가 줄긴 했지만 지난 5월 22회를 기록했다. 가을 추수가 끝날 즈음인 다음달 17일에도 창작 판소리를 중심으로 한 음악회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또 밥카페 복도에는 미술가 등 지역 예술인들의 작품을 돌아가면서 전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행사는 이동현의 짝꿍인 남근숙이 주도한다.“어릴 때부터 음악을 좋아해서인지 제가 어딜 가나 문화콘텐츠를 즐기고, 그런 게 없으면 직접 만들어요. 여기서도 모닥불을 피우고 싶었죠. 하하. 곡성에 와서 지역축제에 가보면 너무 술판 위주고 어른을 위한 행사더라고요. 그래서 가족 단위로 와서 남녀노소가 다 즐길 수 있는 문화행사가 됐으면 좋겠다고 해서 만든 게 음악회였어요. 중학교 때부터 꿈꾼 소원을 이뤘는데 애들 아빠가 전적으로 지원해줘서 가능했어요. 처음 5년간은 밥과 떡을 만들어 오시는 분들한테 다 대접했거든요. 또 출연자들이 다 재능기부를 했더라도 뭔가 사례를 해야 하는데 없는 살림에 남편이 그런 비용을 모두 허락해서 가능했죠.”
이동현 미실란 대표와 부인 남근숙 이사가 지난 17일 오후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미실란 밥카페 반하다’에서 생태농업과 지역사회 문화활동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이동현 미실란 대표와 부인 남근숙 이사가 지난 17일 오후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미실란 밥카페 반하다’에서 생태농업과 지역사회 문화활동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부인 남근숙 미실란 이사는 이동현 대표의 동반자이자 동지다. 두 사람이 2009년 가을 벼를 수확해 경운기에 싣고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이동현 제공
부인 남근숙 미실란 이사는 이동현 대표의 동반자이자 동지다. 두 사람이 2009년 가을 벼를 수확해 경운기에 싣고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이동현 제공
이동현과 남근숙은 곡성의 시민단체인 ‘곡성교육희망연대’에도 처음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교육이 희망이 되는 곡성, 함께 지켜나가는 활기찬 지역공동체, 학생·교사·학부모가 교육의 당당한 주체”가 되는 것을 목표로 창립(2011년)한 교육희망연대에서 남근숙은 초대 사무처장(현재는 공동대표)을 맡았으며, 이동현은 기록 담당을 자임했다. 이 단체는 곡성중학교 교장공모제 실시(2011년)에 기여했으며, ‘곡성 교육 200인 원탁토론회’(2016년) 등을 열어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또 학부모들이 학생들의 진로체험행사에 직접 참여해서 아이들과 대화하는 ‘사람책 콘서트’도 곡성중에서 열었다.“여기 와서 보니까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많은 아이들이 광주 등 대도시로 전학을 가는 거예요. 교사들도 빨리 떠나려고 하는 등 중학교 분위기가 너무 안 좋았거든요. 자영업자 등 지역 주민들의 위기감이 컸죠.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주민들이 나섰죠. 우리들 학부모끼리, 또 선생님들과 대화하면서 아이들과 소통하기 위해 애썼어요. 일주일에 한번씩 아침 등교시간에 교장 등 선생님들과 학부모, 학생회 간부들이 교문 앞에서 아이들을 안아주면서 ‘사랑합니다’ 하고 인사했어요. 처음에는 ‘이게 뭐지’ 어리둥절해하던 아이들이 차츰 자존감이 높아지는 게 뚜렷해지고, 아이들 간 폭력도 거의 사라졌어요. 치맛바람이 세진다면서 싫어하던 선생님들도 우리 활동을 받아들이는 등 태도가 바뀌더라고요.”(남근숙) 남근숙은 순천에서도 상가 지역에서 나고 자란 까닭에 순천대 농대 임학과에 들어갈 때까지 손발에 흙을 묻히지 않고 살았다. 친구의 소개로 서울대 대학원을 자퇴하고 순천에 내려와 있던 이동현을 만나 1년 남짓 사귀다가 1999년 초에 결혼했다. 그는 아파트 생활이 익숙한 도시 사람이었지만, 곡성의 폐교로 이사하는 것을 반겼다. 당시 큰아이(재혁)가 초등학교 1학년이었음에도 조금의 주저도 없었다.“둘째 애가 아토피가 아주 심해서 흙에서 뛰어놀 수 있는 곡성이 아이에게 더 좋을 것이기에 잘됐다 싶었죠. 애들 공부 걱정이요? 그건 결혼 전부터 우리에겐 없었어요. 제가 대학원에서는 상담을 전공했는데 청소년 상담을 하면서 공부 압박 때문에 힘들어하는 아이들을 많이 봤어요. 부모들의 욕심 때문에 아이들을 망치고, 가족 전체가 불행해지는 것을 보면서 아이를 낳더라도 공부를 시키지 않기로 남편한테 다짐을 받았어요. 하하.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지방대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공부한 사람이 가지기 쉬운 학력 콤플렉스를 아이들에게 전가할까봐 솔직히 걱정됐어요. 잘난 사람들이 자식들에게 그렇게 하는 것을 많이 봤거든요. 다행히 남편은 수용성이 아주 좋아서 제 의견이 맞다 싶으면 지금도 다 받아주고 실천해요. 공부만 빼면 아이들이 너무 사랑스러운데 왜 공부를 강요해요? 하하. 우리는 사교육뿐 아니라 학교 공부도 강요하지 않았어요.”(남근숙)“곡성에 이사 와서 경운기를 맨 먼저 샀는데 읍내에 나갈 때 짐칸에 아내와 애들을 태우고는 오픈카 놀이를 했어요. 하하. 젊은 부부가 미친 모양이라고 사람들이 우리를 쳐다봤는데 저 사람이 박사농부구나 하고 쉽게 저를 알아보는 계기가 됐어요. 아무튼 큰아이는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때까지는 대학에 안 가겠다고 해서 저희는 좋다고 했죠. 2학기가 돼서 다른 친구들이 다 대학 간다면서 자기도 대학에 가면 안 되겠느냐고 해서 그러라고 했죠. 뒤늦게 뒤처진 학습을 따라가느라 아이가 1년 남짓 고생을 많이 했죠.”(이동현)
농업회사법인 ㈜미실란의 대표인 농부과학자 이동현(왼쪽)씨가 지난 17일 오후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미실란 밥카페 반하다’에서 부인 남근숙씨, 큰아들 재혁씨와 함께 사진을 찍으려 하자, 반려견 복실이가 자신도 끼워달라는 듯 다가오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농업회사법인 ㈜미실란의 대표인 농부과학자 이동현(왼쪽)씨가 지난 17일 오후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미실란 밥카페 반하다’에서 부인 남근숙씨, 큰아들 재혁씨와 함께 사진을 찍으려 하자, 반려견 복실이가 자신도 끼워달라는 듯 다가오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아침밥은 아빠, 저녁밥은 아들이공부 대신에 이들이 강조하고 신경쓴 것은 아이들의 자립심이었고, 부모의 모범이었다. 결혼 초기에는 서로 반말을 하다가 큰아이가 말을 배울 때부터는 존댓말로 바꿨다. 또 매일 아침밥을 이동현이 짓는 등 부부가 서로 아끼고 존중하는 모습을 아이들에게 보여줬다. 어느 순간부터 저녁밥은 대부분 두 아들이 준비한다.“2007년 어느 날 아침 새벽에 일어나 들판에 일하러 나가려고 하는데 아내가 악몽을 꾸더라고요. 얼마나 힘들면 저럴까 싶어서 쌀을 씻어서 아침밥을 지어놓고 나갔다 왔더니 아내가 고맙다면서 평소 안 하던 뽀뽀를 해주더라고요. 그래서 그다음부터 계속 했죠. 하하. 내가 조금 더 노력하면 식구들이 편하고 행복해진다는 사실을 깨달았죠.”(이동현)아이들이 사춘기에 들어갈 즈음부터는 가족회의를 주말마다 열었다. 방에 둘러앉아 서로 발을 맞대고 시작하는 가족회의에서 멤버들은 모두 평등하다. 좌장과 서기는 매번 가위바위보로 정하며, 발언하는 사람은 누구나 존댓말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가족회의는 남근숙이 제안했고, 매 주말 빠짐없이 회의를 준비하고 실천한 것은 이동현이었다.“재혁이가 사춘기가 되니까 아빠의 모든 것을 부정하는 등 대항하려고 하더군요. 이때 부모의 권력과 힘으로 누르면 어긋나게 되죠. 그때 고민해서 생각한 것이 평등하게 진행되는 가족회의였어요. ‘재혁님, 얘기해보세요. 아, 그러셨어요. 그럼 기분이 상당히 나빴겠네요’라는 식으로 말하는 게 처음에는 우습고 그랬지만, 꾸준히 하니까 각자의 삶을 돌아보게 되고 가족 간의 갈등과 문제를 대화로 풀게 됐죠. 지금도 아이들 진로 문제 등을 가족회의에서 결정해요. 재혁이 대학 진학 문제도 그렇게 결정했어요.”(남근숙)
농부과학자 이동현씨 부부는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하지 않는 대신에 자립심을 키워주려고 노력했다.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부모를 도왔다. 큰아들 재혁이가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논에서 피를 뽑다가 잠시 포즈를 취했다. 이동현 제공
농부과학자 이동현씨 부부는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하지 않는 대신에 자립심을 키워주려고 노력했다.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부모를 도왔다. 큰아들 재혁이가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논에서 피를 뽑다가 잠시 포즈를 취했다. 이동현 제공
아이들에게 최선을 다한 뒤 기다려준 결과는 천천히 나타났다. 두 아들은 이제 부모의 조력자를 넘어 동지로 성장했다. 전남대 식물생명공학부(농대)에 재학 중인 재혁은 아버지 같은 농부가 되겠다는 생각을 굳혔으며, 같은 대학 생명과학기술학부(자연대)에 다니는 재욱(19)은 아버지가 걸었던 미생물 과학자의 길을 꿈꾸고 있다. 둘은 공부하는 틈틈이 예초기로 논두렁 풀깎기, 밥카페 앞 나무데크 깔기, 미실란 창고 페인트칠하기 등 크고 작은 집안일에도 앞장선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를 도와 논에 들어가서 피뽑기를 했던 형제에게 노동은 자연스러운 일과다.“농대를 선택할 때부터 명확한 뜻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농업에 대한 기초를 배우고 싶다는 가벼운 마음이었어요. 주위 환경이나 부모님을 보면서 평소 이렇게 살면 좋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던 것 같고, 농업과 농부에 대해 본격적으로 생각하게 된 것은 올해부터입니다.”(이재혁)“올해는 코로나 등으로 두 아들이 집에 있어서 저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몰라요. 올해 같으면 농사를 더 지어도 될 것 같아요. 하하. 큰아들이 앞으로 미실란을 잇겠다고 하니까 저는 둘째와 함께 미생물 연구를 본격적으로 다시 하고 싶어요. 일본에서 암세포를 죽이는 미생물 연구를 본 적이 있는데 그런 연구를 하려고요. 그 생각 하면 지금도 가슴이 뛰어요. 우여곡절 속에서 제 인생의 폭이 넓어졌기에 지금의 삶에 만족하지만, 전공 분야 연구에서 멀어져서 아쉬움이 있었거든요.”(이동현)그러나 이동현의 뿌리는 생명이 꿈틀대는 논에 굳건히 박혀 있다. 앞으로도 그는 이 땅의 농부로 살아갈 것이다.“나는 농부입니다. 죽는 날까지 잘할 자신은 없습니다. 작은 힘이지만 농부의 삶을 고맙게 받아들이고 최선을 다해 국민의 식량창고, 식량주권 지키는 데 늘 현장에서 고민하고 기록하고 지켜가겠습니다.”(이동현 페이스북. 2020년 8월27일) 곡성/김종철 선임기자 phillkim@hani.co.kr
농부과학자 이동현 미실란 대표는 현미 발아기를 개량해왔다. 자신이 개발한 발아기 앞에서 지난 17일 이 대표가 현미 발아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농부과학자 이동현 미실란 대표는 현미 발아기를 개량해왔다. 자신이 개발한 발아기 앞에서 지난 17일 이 대표가 현미 발아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농업회사법인 ㈜미실란과 ‘밥카페 반하다’의 전경. 폐교였던 곳을 이동현 대표가 2006년에 이주해 가꿨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농업회사법인 ㈜미실란과 ‘밥카페 반하다’의 전경. 폐교였던 곳을 이동현 대표가 2006년에 이주해 가꿨다. 곡성/장철규 선임기자 chang21@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63721.html?_fr=mt1#csidxa740051781d6e49b3b6ccf489d5899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년 전 용산기지의 괴물, 아직 진행형이다

[용산공원을 상상하다 ④] 윤상훈 녹색연합 사무처장20.09.25 16:57l최종 업데이트 20.09.25 16:57l이다예(greenkorea)

용산은 오랫동안 군사기지였던 탓에 ‘금단의 땅’으로 여겨졌습니다. 작년 12월, 용산기지 반환 협상이 시작되면서 오래도록 미뤄졌던 용산기지 공원화에 대한 논의가 이제 막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한세기 넘게 군사기지였던 땅이 생태역사공원으로 거듭난다고 합니다. 새롭게 들어서는 공원에 우리는 무엇을 담아야 할까요? 깨진 유리조각 맞추듯 오랫동안 용산이라는 공간에 천착한 사람들을 만나 담장 너머 펼쳐질 공간을 상상해보았습니다. 역사, 생태, 예술, 환경 분야의 전문가와 활동가를 만나 용산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나누었던 이야기를 연재합니다.[편집자말]

천만 관객 흥행에 성공했던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을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영화 <괴물>은 어두컴컴한 미8군 영안실에서 군무원이 시체 방부 처리에 쓰이는 포름알데히드 용액을 싱크대에 붓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하지만 이 장면이 2000년 실제 일어난 미군 한강 독극물 무단방류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미8군 영안실에서 부소장 맥팔랜드의 지시로 포름알데히드 475ml 480병을 아무런 정화처리 없이 한강으로 내보낸 이 사건은 당시 언론에 대서특필되며 화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미군의 공식 사과와 함께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에 부속서 형태로 환경 관련 조항이 신설되었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이후 현실은 얼마나 바뀌었을까?
 

 용산 미군기지에서의 한강 독극물 방류사건은 영화 괴물의 모티프가 된다
▲  용산 미군기지에서의 한강 독극물 방류사건은 영화 괴물의 모티프가 된다
ⓒ 청어람

관련사진보기

 
영화 속에서도 적나라하게 표현되는 미군의 무법적 행동과 한국 정부의 무능함은 지금도 여전하다. 아직도 녹사평역 지하수에서는 기준치의 수백 배가 넘는 발암물질이 검출되고, 미군은 제대로 된 오염정화를 하기는커녕 한국 정부가 정화 비용을 부담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용산기지의 괴물은 아직 진행형이다.

용산기지 공원화에 대한 논의가 조금씩 시작되고 있지만, 오염 문제 해결 없이 용산기지의 반환과 공원화는 요원하다. 대부분의 기지 반환은 미군과 오염 정화 책임을 따지는 과정에서 수년씩 지연된다. 반환된 기지의 오염을 정화하는 데도 수년이 소요된다. 용산공원에 대한 장밋빛 미래를 그리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말이다. 

기지 반환 협상의 핵심이자 공원 조성의 장벽인 오염문제, 어떤 원칙을 가지고 해결해 나가야 할까? 환경단체 녹색연합에서 18년간 몸담아온 윤상훈 녹색연합 사무처장을 만나 용산기지 반환을 둘러싼 쟁점을 살펴보고 해결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미군의 책임 불분명, SOFA 및 부속서 조항 개정 필요"
 

 인터뷰 중인 윤상훈 녹색연합 사무처장
▲  인터뷰 중인 윤상훈 녹색연합 사무처장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 녹색연합이 2000년 폭로한 미군의 한강 독극물 무단방류사건은 영화 <괴물>의 모티프가 될 정도로 유명하다. 언제부터 군기지 환경문제에 대응해왔으며, 주요 활동은 어떤 것들이 있나?
"녹색연합은 1992년 만들어진 환경단체다. 군기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고 꽤 오랫동안 중심의제로 다뤄왔다. 군사기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문제, 특히 토양 지하수 오염 문제를 많이 다뤄왔고, 군공항, 군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문제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문제 제기를 시작했던 초기, 20년 전만 해도 주한미군은 감히 우리가 넘볼 수 없는 영역이었다. 국가안보에 관한 일이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에 주한미군기지에서 발생하는 오염 문제에 대한 문제 제기조차도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현재는 주한미군의 역할과는 별개로 오염 문제는 주민의 건강권과 생명권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당연한 권리를 찾는 것에 많은 사람이 지지해주고 있다."


- 미군의 한강 독극물 무단방류사건 이후 SOFA(주둔군지위협정)에 환경조항이 만들어졌다. 환경조항이 생기기 전과 후의 큰 차이점이 무엇인가? 규정이 생겼음에도 왜 문제가 계속되는가?
"말한 것처럼 1966년 체결된 SOFA에는 환경 관련 조항이 없었다. 맥팔랜드 사건이 계기가 되어 2001년 SOFA가 개정되고 환경조항이 신설되었지만 본협정이 아닌 합의의사록에 들어갔다. 여러 제도와 절차들이 마련되긴 했지만 미군이 오염자부담원칙에 따라 오염정화의 책임을 지지 않는 현실은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가장 쟁점이 되는 '오염을 누가 정화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이 부속서의 KISE(Known, Imminent, Substantial, Endangerment to human health)라는 조항으로 명시되어 있는데 굉장히 애매한 기준이다. '인간 건강에 대해 잘 알려진(Known), 급박하고(Imminent) 실질적인(Substantial) 위험(Endangerment)'일 경우에만 미군이 정화한다는 것인데, 사실상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같은 내용이다. KISE에 해당하는가 여부도 주한미군사령관이 판단한다. 작년 반환된 캠프마켓에서는 다이옥신과 같은 맹독성 발암물질까지 검출이 되었는데 주한미군은 KISE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이뿐만 아니라 SOFA 환경조항의 내용도 한국 정부의 의견을 청취, 존중한다는 것이지 이를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기본적인 오염상황에 대한 정보공개도 하지 않을 뿐더러 현장 조사를 위한 권한도 없고, 오염정화에 대한 비용까지 지속해서 한국 정부가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용산 미군기지는 평택으로 이전이 될 테지만 평택과 대구 등 미군기지가 집중 재배치된 지역에서는 향후에도 이러한 문제가 반복될 것이다. 한국 국민의 알 권리와 건강권을 보장하고 비용부담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SOFA 및 부속서 조항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FOIA 자료를 바탕으로 한 용산 오염 지도
▲  FOIA 자료를 바탕으로 한 용산 오염 지도
ⓒ 용산미군기지온전한반환을위한대책위원회

관련사진보기


- 용산기지는 우리나라 전체 미군기지 중 가장 많은 오염사고가 발생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녹색연합이 미국의 정보자유법을 통해 확인한 용산 미군기지 내 유류 유출 사고 건수는 84건이나 된다. 용산미군기지 내 오염은 얼마나 심각하다고 볼 수 있는가?
"당시 정보자유법(FOIA: Freedom of Information Act)을 통해 미 국방부에 정보공개 청구한 내용은 두 가지다. 과거 삼십 년간 용산기지에서 발생했던 오염 사건과 오염 물질, 처리현황을 요구했는데 첫 번째는 기름 항목, 두 번째는 독극물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미 측에서는 유해화학물질에 해당하는 탄저균이나 세균실험 의혹과 같은 내용을 제외한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한 오염 정보만 선택적으로 공개했다. 

여하튼 당시 공개된 기름 오염 발생 건수가 84건이었고 그 외 한국 정부나 주한미군 인터뷰를 통해 오염이 확인된 사례까지 합쳐보니 90건 정도의 오염사고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메인포스트와 사우스포스트, 산재부지를 포함한 용산기지 전역에서 오염이 확인되었다. 주한미군 자체 기준으로도 이것은 심각한 오염이다, 최악의 유출량(3780L)이라고 말한 건이 7건이나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한미군은 이에 대해 일언반구의 답변도 하지 않았다. 향후 한국 정부가 용산 미군기지를 반환받을 때, 정보자유법 자료를 토대로 기름유출이 발생한 지점을 엄밀히 검증,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용산기지 반환을 위한 두 가지 조건

- 용산기지 반환과 관련해 어떤 주장을 하고 있는가?
"'온전한 반환'을 주장하고 있는데, '온전한'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 번째는 완전한 오염정화다. 미군이 오염정화에 대한 분명한 책임을 지고 정화와 비용부담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땅을 온전히, 남김없이 돌려주라는 것이다. 용산 미군기지가 반환된다고 하여도 계속해서 잔류하는 부지가 몇 개 있다. 국방부 옆에 위치한 헬기장과 드래곤힐 호텔이다. 메인포스트 위쪽, 캠프코이너 부지에도 미 대사관이 들어올 예정에 있다. 이 땅의 역사성이나 공원이라는 시민의 공간으로 활용함에서도 미군이 일부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미군기지 반환절차
▲  미군기지 반환절차
ⓒ 국방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 용산기지 반환 절차는 현재 어느 단계인가?
"용산기지는 지난 5월부터 우리나라 환경부와 주한미군이 오염조사에 들어간 상태다. SOFA 절차에 따라 주한미군이 환경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환경부는 이를 바탕으로 환경조사를 한다. 한미 양측은 SOFA 운영체계 중 하나인 환경분과위원회에서 이 조사 결과를 비탕으로 논의가 이루어지는데, 여태까지는 한 번도 한국 환경부와 주한미군이 오염 문제에 대해 합의를 본 적이 없다. 

이 단계에서 합의가 되지 않으면 그 위 단계, 특별 합동위에서 환경협의가 이루어진다. 여태까지는 주한미군사령관과 우리나라 외교부 북미국장이 앉아서 도장을 찍는 형태로 미군의 책임을 무마시켜왔다. 용산기지도 관례에 따르면 비슷한 절차를 밟아 반환될 것이다. 하지만 여의도 면적만 한 그 넓은 땅덩어리를 정화되지 않은 그대로 가져왔을 때 치러야 하는 비용이 너무나 크다." 

- 용산 미군기지 오염 정화 비용을 1조 원으로 예측했다. 국토부가 책정한 비용인 1030억보다 10배가량 높은 수치인데, 어떻게 계산된 수치인가? 
"2013년 반환된 동두천 캠프캐슬의 면적과 정화 비용을 산술적으로 용산기지 면적에 대입한 것이다. 캠프캐슬은 반환 이후 동양대학교 부지로 사용되었는데 성급한 정화와 매각으로 학교 공사 과정에서 오염이 재확인되기도 한 곳이다. 전체면적 15만㎡ 중 40%의 토양을 정화하는 데 196억 원의 정화 비용이 소요되었다. 이 면적당 비용을 용산기지 면적인 243만㎡에 적용해보니 거의 1조 원에 육박하는 금액이 나왔다. 만약 미군에게 정화책임을 지우지 못하면 우리 국민의 세금으로 고스란히 부담할 수밖에 없는 비용이다."
 
 동두천 미군기지 주변, 기름에 오염된 흙
▲  동두천 미군기지 주변, 기름에 오염된 흙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 반환기지 협상의 핵심은 정화 비용 부담이라고 이야기했다. 오염자부담원칙에 따라 미군이 이를 책임지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제도적, 정치적 노력이 필요한가?
"기본적으로 정부가 미군에게 요구를 해야 한다. 해봤더니 안되더라는 인식이 강하기도 하고 과도하게 인상된 방위비 분담금 협상만으로도 부담스러워서 정부가 용산의 오염정화 비용에 대한 이야기조차 꺼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기지반환 협상 테이블에 오염문제 이슈를 분명히 올려야 한다. 

오염 정화 책임을 명시할 수 있도록 SOFA 본협정과 부속서 개정도 또다시 필요하다. 국내법에 따라 주한미군에게 조치를 내려볼 수도 있을 것이다. 국내 토양환경보전법에는 오염을 발생시킨 자가 그것을 처리하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오염자부담의 원칙이 분명히 명시되어 있다. 오염이 기지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고 기지 바깥으로도 흘러와 지역주민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므로 국내법을 적용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필요하다면 2007년 23개 기지 반환 이후 열렸던 국회 청문회처럼 용산기지 반환에 대한 국회 청문회를 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을 기지가 22개 남은 상태이고 그중 9개가 용산에 있다. 용산기지는 거의 마지막으로 오염자부담원칙을 미군에게 요구할 수 있는 가장 큰 사건이다. 미군이 제대로 된 오염정화의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녹색연합은 녹색연합대로 대응을 이어나가려 한다."

- 용산공원 설계계획과 관련해 국토부는 내년까지 대국민 공론화를 통해 조성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앞으로의 용산공원 조성에 있어 제언이 있다면?
"선 오염정화, 후 공원화가 원칙이 되어야 한다. 용산공원에 대한 공론화보다 용산기지 오염에 대한 공론화가 우선이라 생각한다. 현재 국토부 중심으로 진행되는 용산공원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에는 오염정화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다. 용산공원 특별법도 마찬가지이다. 오염현황도 파악되지 않았는데 건물존치라든가 설계계획을 세우면 나중에 필연적으로 계획이 바뀔 수밖에 없다. 공원화 계획에 앞서 오염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 파악과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 미군에게 어떻게 책임을 지울 것인지에 대한 공론화부터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녹색연합 홈페이지(www.greenkorea.org)에도 게재됩니다.

태그:#용산#오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정은 “문 대통령과 남녘동포들에 대단히 미안”

(추가) 북 통전부 통지문, 사격과 ‘부유물 소각’ 경위 해명(전문)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20.09.25  15:12:10
페이스북 트위터

지난 22일 서해 북측 해상에서 남측 어업지도원이 사살된 사건에 대해 북측이 25일 이례적으로 사건경위를 해명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과를 전해왔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이에 친서가 오간 사실도 확인됐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2시 브리핑을 통해 “25일 오전 북측에서 통지문을 보내왔다”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 명의의 통지문 내용을 밝혔다.

북 통일전선부는 청와대 앞으로 보낸 통지문에서 “국무위원장 김정은 동지는 가뜩이나 악성비루스 병마의 위협으로 신고하고 있는 남녘 동포들에게 도움은커녕 우리 측 수역에서 뜻밖에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여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 준 데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하라고 하시었다”고 김 위원장의 사과를 전했다.

남북간 접경지역에서 발생한 불미스러운 사건에 대해 북측 최고지도자가 즉각 사과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통지문은 “우리 군인들은 정장의 결심 밑에 해상경계근무 규정이 승인한 행동준칙에 따라 10여 발의 총탄으로 불법 침입자를 향해 사격하였으며, 이때의 거리는 40~50m였다”며 “사격 후 아무런 움직임도, 소리도 없어 10여m까지 접근하여 확인 수색하였으나 정체불명의 침입자는 부유물 우에 없었으며 많은 양의 혈흔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우리 군인들은 불법 침입자가 사살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침입자가 타고 있던 부유물은 국가비상방역 규정에 따라 해상 현지에서 소각하였다고 한다”고 경위를 밝혔다.

피격된 남측 어업지도원을 불태운 것이 아니라 부유물을 소각했다는 주장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우리 측, 우리 군의 첩보를 종합한 판단과 일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조사와 파악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북측 통지문에 대해 “정부가 아직 어떤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은 예단하지 말라”면서 “문자 그대로 봐주고 판단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통지문은 “우리는 귀측 군부가 무슨 증거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불법 침입자 단속과 단속 과정 해명에 대한 요구도 없이 일방적인 억측으로 ‘만행’, ‘응분의 대가’ 등과 같은 불경스럽고 대결적 색채가 깊은 표현들을 골라 쓰는지 커다란 유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남측에 불만을 표시했다.

나아가 “우리 지도부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발생했다고 평하면서 이 같은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상경계 감시와 근무를 강화하며, 단속 과정에 사소한 실수나 큰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일이 없도록 앞으로는 해상에서의 단속 취급 전 과정을 수록하는 체계를 세우라고 지시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 측은 북남 사이 관계에 분명 재미없는 작용을 할 일이 우리 측 수역에서 발생한 데 대하여 귀측에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고 사과하고 “우리 지도부는 이와 같은 유감스러운 사건으로 인하여 최근에 적게나마 쌓아온 북남 사이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허물어지지 않게 더욱 긴장하고 각성하며, 필요한 안전 대책을 강구할 데 대하여 거듭 강조하였다”고 남북관계 악화를 원치 않음을 분명히 했다.

서훈 실장은 브리핑에 앞서 “먼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상황이 발생한 데 대해 우리 국민들께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리고, 유가족들에게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예를 갖췄고, 북측 통지문을 낭독한 뒤 “방금 발표한 통지문은 우리가 북에 공식적으로 요구한 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답신을 보내온 것으로서 사태 발생 경위에 대한 북측의 설명, 우리 국민들에 대한 사과와 유감 표명, 재발 방지 내용 등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참고로 김정은 위원장이 유감스러운 사건이라며 최근 적게나마 쌓아온 남북 사이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는 최근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에 친서를 주고받은 사실이 있고, 친서에서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어려움과 현재 처한 난관들이 극복되면서 남북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의 내용들이 담겨 있었음을 참고로 말씀드리다”고 덧붙였다.

남북 최고지도자 사이에 최근 친서를 주고받은 사실이 공개된 것은 처음이며, 친서는 최근 한달 이내에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서훈 실장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는 남북관계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한반도 정세와 남북관계를 만들어가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청와대 앞

귀측이 보도한 바와 같이 지난 22일 저녁 황해남도 강령군 금동리 연안 수역에서 정체불명의 인원 1명이 우리 측 령해 깊이 불법 침입하였다가 우리 군인들에 의해 사살(추정)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사건 경위를 조사한 데 의하면 우리 측 해당 수역 경비 담당 군부대가 어로작업 중에 있던 우리 수산사업소 부업선으로부터 정체불명의 남자 1명을 발견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하였으며 강령반도 앞 우리 측 연안에 부유물을 타고 불법 침입한 자에게 80m까지 접근하여 신분 확인을 요구하였으나 처음에는 한두 번 <<대한민국…>> 아무개라고 얼버무리고는 계속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우리 측 군인들의 단속명령에 계속 함구무언하고 불응하기에 더 접근하면서 2발의 공탄을 쏘자 놀라 엎드리면서 정체불명의 대상이 도주할 듯한 상황이 조성되었다고 합니다. 일부 군인들의 진술에 의하면 엎드리면서 무엇인가 몸에 뒤집어쓰려는 듯한 행동을 한 것을 보았다고도 하였습니다.

우리 군인들은 정장의 결심 밑에 해상경계근무 규정이 승인한 행동준칙에 따라 10여 발의 총탄으로 불법 침입자를 향해 사격하였으며, 이때의 거리는 40~50m였다고 합니다.

사격 후 아무런 움직임도, 소리도 없어 10여m까지 접근하여 확인 수색하였으나 정체불명의 침입자는 부유물우에 없었으며 많은 량의 혈흔이 확인되였다고 합니다. 우리 군인들은 불법 침입자가 사살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침입자가 타고 있던 부유물은 국가비상방역 규정에 따라 해상 현지에서 소각하였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우리 지도부에 보고된 사건 전말에 대한 조사 결과는 이상과 같습니다.

우리는 귀측 군부가 무슨 증거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불법 침입자 단속과 단속 과정 해명에 대한 요구도 없이 일방적인 억측으로 <<만행>>, <<응분의 대가>> 등과 같은 불경스럽고 대결적 색채가 깊은 표현들을 골라 쓰는지 커다란 유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지도부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발생했다고 평하면서 이 같은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상경계 감시와 근무를 강화하며, 단속 과정에 사소한 실수나 큰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일이 없도록 앞으로는 해상에서의 단속 취급 전 과정을 수록하는 체계를 세우라고 지시하였습니다.

우리 측은 북남 사이 관계에 분명 재미없는 작용을 할 일이 우리 측 수역에서 발생한 데 대하여 귀측에 미안한 마음을 전합니다. 우리 지도부는 이와 같은 유감스러운 사건으로 인하여 최근에 적게나마 쌓아온 북남 사이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허물어지지 않게 더욱 긴장하고 각성하며, 필요한 안전대책을 강구할 데 대하여 거듭 강조하였습니다.

국무위원장 김정은 동지는 가뜩이나 악성비루스 병마의 위협으로 신고하고 있는 남녘 동포들에게 도움은커녕 우리 측 수역에서 뜻밖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여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 준 데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하라고 하시였습니다.

벌어진 사건에 대한 귀측의 정확한 리해를 바랍니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
2020년 9월 25일


(추가, 15:3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