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예상 밖 초강수... '지소미아 절충' 시 역공 빌미 우려

[지소미아 종료 전격 결정] 정부는 왜 종료했나... 미국 입장이 주요 변수

19.08.23 10:33l최종 업데이트 19.08.23 10:33l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있다.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정부가 마침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파기를 선언했다. 김유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은 2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는 한일 간 '군사비밀정보의 보호에 관한 협정'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소미아는 당초 연장될 것으로 예상됐다.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지소미아 연장 여부를 결정할 NSC 상임위원회가 열릴 무렵만 해도 협정의 틀은 유지하되 당분간 실제 정보는 교환하지 않는 절충안이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청와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 사실이 전해진 직후, 이미 협정 연장을 기정사실화하고 이날 저녁 일본 대사관 앞에서 '문재인 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예고했던 시민단체는 급하게 이를 취소해야했다. '지소미아 연장 결정'으로 미리 기사의 가닥을 잡고 있었던 청와대 출입기자들도 부랴부랴 기사를 고쳐 써야했다. 그만큼 이번 결정은 많은 예상을 빗나갔다.

 

이날 오후 3시 청와대에서 시작된 NSC 상임위원회 회의는 한 차례 장소를 옮겨가며 약 세 시간에 걸쳐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1차 회의에는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상당한 격론이 벌어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지소미아를 유지하면서 정보교류만 하지 않는 절충안은 일본 측이 '협정을 유지하면서 왜 정보를 교환하지 않느냐'며 역공을 가할 빌미만 줄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두 시간의 격론 끝에 지소미아 종료를 결정한 참석자들은 문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여민1관으로 장소를 옮겨 2차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문 대통령과 이낙연 총리,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김현종 안보실 2차장까지 참석한 가운데 사실상 확대 전체회의로 진행됐다.

세시간 NSC 회의서 격론... 일본의 무대응이 결국 파기 불러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있다.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정부가 지소미아 연장 종료라는 초강수를 두게 된 가장 큰 배경은 일본에 대한 신뢰상실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했다. 일본이 아무 근거 없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시켜 양국 간 신뢰가 훼손된 상황에서 가장 민감한 정보인 군사정보를 일본과 공유하는 것이 우리 국익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일본 정부의 일방적 조치로 시작된 갈등 사태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화 노력이나 외교적 해결 시도를 거부한 것도 연장 종료 결정의 이유 중 하나다. 앞서 우리 정부는 지난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 당시 한일 정상회담을 제안했지만 일본이 이를 거부했고, 7월에도 두 차례 특사를 파견했지만 일본 정부는 철저히 무대응으로 일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본에 대화와 타협의 길을 제시했는데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며 "21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일본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등 우리 정부 노력에 부응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국가 이익이라는 건 명분도 중요하고 실리도 중요하고 국민의 자존감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소미아가 파기돼도 이와 별도로 2014년 12월 29일 체결된 한·미·일 정보공유약정(TISA)를 활용해 필요할 경우 일본과의 간접적 군사공유는 계속할 수 있다는 판단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2016년 11월 23일 지소미아가 체결되기 전까지 한국이 미국에 제공한 정보를 한국의 허락을 받아 미국이 다시 일본에 주는 방식으로 일본과 군사정보를 교환해 왔다.

"안보 공백 없다"지만... 일본보다 미국 입장에 촉각

평가와 전망은 엇갈린다. 그 핵심 중 하나는 미국이다. 정부는 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어디까지나 한·일 간의 문제로 한·미 동맹과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입장이지만, 이번 결정이 향후 한일 관계는 물론 한·미 동맹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그동안 미국은 지속적으로 지소미아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우리 정부에 공식, 비공식적으로 전해 왔다. 지난 9일 방한한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정경두 국방장관과 회담에서 지소미아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고,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도 22일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을 만난 자리에서 지소미아를 언급했다.

미국의 공식 입장은 아직 조금 모호하다. 한국 정부의 종료 발표 직후 나온 미국 국방부 대변인의 공식 논평은 "한국과 일본이 함께 견해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기를 독려한다"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얼마 후 다시 논평을 냈는데 "문재인 정부가 이 협정을 연장하지 않은 것에 강한 우려와 실망(strong concern and disappointment)을 표한다"고 수위를 높였다.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역시 22일(현지시각) 오전 "우리는 한국이 이 협정에 대해 내린 결정을 보고 실망했다"고 언급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이번 (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미국이 국방과 관련한 전략적 파트너로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한국이 점차 인도-태평양 방위동맹에서 이탈하려는 모습으로 비춰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도 "최근의 흐름을 보면 동북아에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가 점점 떨어지는 상황"이라며 "이번 선택은 미국의 방위선을 점점 더 한반도 밖으로 후퇴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표적인 지소미아 폐기론자였던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2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소미아 협정이 당장 파기된다 해도 우리 안보에 있어서 큰 손실이나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국방부는 청와대에 지소미아로 인하여 지금까지 얻은 안보상의 실익은 크지 않다고 답변했다"면서 "안보 상황에 대한 면밀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해서 이번에 청와대가 결정한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은 과연 ‘한일군사정보협정’ 덕을 보고 있을까

‘연장’ 또는 ‘폐기’, 그리고 ‘제3의길’…이르면 22일 결론 나올 듯

신종훈 기자 sjh@vop.co.kr
발행 2019-08-21 20:52:00
수정 2019-08-21 21:02:20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 자료사진ⓒ뉴시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기한 만료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2016년 체결 이후 두 번에 걸쳐 협정을 연장한 문재인 정부에 다시 선택의 순간이 돌아온 것이다. 이번에는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한 국민적 반발이 거센 만큼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이목이 쏠린다.

정부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한일 외교장관 회담의 내용을 검토한 뒤 오는 22일 NSC(국가안전보장회의) 회의를 거쳐 연장 여부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연장'과 '폐기' 외에 정보공유를 제한하는 방식의 '절충점'까지 선택지에 올려놓고 고심을 거듭하는 기류다.

이와 관련, 지소미아의 군사적 효용성에 비춰 협정을 유지하는 것이 정말 국익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오히려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지소미아를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의 허점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군사대국화' 일본 야망에 부역하는 지소미아

당초 정부의 기본 방침은 협정 연장을 긍정 검토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일본은 한국을 사실상 '안보우려국'으로 취급하면서 화이트리스트(안보상 수출우대국) 배제를 밀어붙였고, 결국 정부는 막판까지 최종 결론을 유보하면서 지소미아를 대응카드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모양새다.

지소미아가 태생부터 미국의 이해가 강하게 반영된 산물이라는 점에서 문재인 정부가 미국을 의식한 결정을 내리지 않겠냐는 관측은 일찌감치 나왔다. 마크 에스퍼 신임 미 국방부 장관은 지난 9일 첫 방한 때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한다고 노골적으로 압박했다.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역시 전날 국내 대기업 임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소미아 유지를 위한 역할을 당부했다.

미국이 한일 경제분쟁에는 짐짓 뒷짐을 지다가 지소미아 문제에 적극 목소리를 내는 데는 그만한 맥락이 있다. 지소미아를 활용한 일본의 조기경보체계는 미국 주도의 통합 MD(미사일방어체계)를 구축하는 데 유리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는 2013년 6월 24일 미 의회조사국(CRS)이 발간해 상·하원에 제출한 공식 보고서에 적시된 내용이기도 하다.

특히 보고서는 "한국은 지리적으로 북한과 너무 가까워 미사일이 수분 내에 저궤도로 날아오기 때문에 한미일 3국 미사일방어 공조로 별다른 이득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솔직하게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는 한미일 '안보협력'과 그 산물인 지소미아의 본질이 잘 드러난다. 한국이 지소미아를 통한 미사일 정보 공유의 전략적 수혜국에 포함된다고 보기 힘들다는 것이다.

오히려 지소미아는 미국과 그 핵심 동맹국인 일본의 안보를 위해 한국의 국익을 헐값에 팔아넘기는 장치로 활용되는 측면이 크다는 지적은 오랫동안 제기돼왔다. 군사대국화를 통한 '보통국가' 건설을 꿈꾸는 일본 우익들의 오랜 야망에 한국이 적극 부역하고 있다는 것이다.

2016년 11월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한민구 당시 국방부 장관(오른쪽)과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당시 주한일본대사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서명하고 있다.
2016년 11월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한민구 당시 국방부 장관(오른쪽)과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당시 주한일본대사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서명하고 있다.ⓒ국방부 제공

태생부터 '졸속'

이미 2015년 안보법제를 개정해 집단적자위권 행사의 근거를 마련한 일본은 지소미아로 날개를 달았다. 이는 대중국 견제를 아시아 전략의 핵심으로 하는 미국의 이해관계와, 이를 적극 이용하려는 아베 총리 등 일본 우익의 속셈이 절묘하게 결합된 산물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 역시 그 연장선에 놓여 있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비롯한 동맹 의존적 군부는 미일동맹을 구성하는 이런 핵심적 요소에 참여해야 강력한 '한미일 안보협력'이 완성된다고 판단했다. 이는 지난 2016년 11월 23일 '박근혜 탄핵' 촛불이 타오를 당시 여론의 관심이 다른 곳에 있는 틈을 타 졸속으로 지소미아를 체결한 배경이 됐다. 또한 2012년 6월 이명박 정부가 몰래 협정을 추진하던 이유이기도 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쫓겨나기 직전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와 함께 밀실에서 비공개로 지소미아를 체결했다. 그 과정은 군사작전을 방불케 했고, 협정 주체가 격에 맞지 않을 정도로 졸속이었다. 여론의 비난이 빗발쳤지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국방부는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얻기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며 고개를 숙였을 뿐이다.

이달 초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밝힌 바에 따르면, 지소미아 체결 이후 4년 동안 한일 간에 이뤄진 군사정보 공유 실적은 30건 미만이다.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됐던 2017년에 집중적으로 정보가 공유됐으며, 주로 미사일 발사 등 군사행동 초기단계의 탐지정보가 일본에 제공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정보는 일본의 대비태세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핵심 정보로 평가된다.

일각에서는 일본이 압도적인 정찰위성과 이지스체계, 공중조기경보기, 해상초계기 등 첨단 정보자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상 일본의 정보자산은 사후 분석 자료에 활용되는 수준이라고 설명한다.

실제 2012년 4월 13일 북한이 인공위성 광명성3호를 탑재한 로켓 은하3호를 쏘아 올렸을 때 한국의 세종대왕함은 발사 54초 만에 이를 탐지한 반면, 일본은 전혀 알지 못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2016년 8월 3일 북한의 노동미사일이 일본 아오모리현 인근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졌을 때도 상황은 비슷했다.

지난 2016년 10월 28일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재추진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2016년 10월 28일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재추진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이다.ⓒ김철수 기자

"실제론 한미일 협력에 큰 비중 차지 안 해"

일본은 '지소미아 폐기' 가능성이 거론되자 "협정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강도 높게 밀어붙이던 일부 수출규제 품목을 최근 부분적으로 다시 허가하기도 했다. 그만큼 지소미아가 일본에 대한 협상카드로 효용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측면도 있다.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며 외교협상력을 높이려는 정부 역시 비슷한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정부가 어떤 기준으로 최종 판단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일단 정치권을 비롯해 언론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달아오른 국내 여론과 미국의 압력 사이에서 과연 어떤 선택을 하느냐로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분위기다. 이 사안이 한일 양국의 문제를 넘어 동북아 정세에 어떤 후폭풍을 가져올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런 고정관념을 갖고 접근할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영준 국방대학교 교수는 '민중의소리'와의 통화에서 "지소미아가 한미일 안보협력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잘라 말했다. 애당초 지소미아가 한미일의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데서 결정적 요인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지소미아를 폐기하면 미국의 불만을 살 수 있다는 우려는 한국에서만 나오는 얘기"라며 "지소미아 카드는 수많은 외교적 선택 사항 중 하나로 보도 오히려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소미아 폐기에 대해 스스로 공포감을 확대 재생산하는 건 자승자박"이라며 "폐기든, 절충이든 필요하면 외교적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일본의 전향적인 태도와 군사정보의 양적·질적 평가 등 여러 사안들을 종합적으로 놓고 판단할 사안"이라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했다. 판단의 기준을 일본의 태도 변화에 놓고 마지막 순간까지 패를 내보이지 않으면서 상대의 반응을 최대한 이끌어내겠다는 판단으로 읽힌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이날 한국방송기자클럽 주최 토론회에서 지소미아 연장 여부와 관련해 "여러 상황을 고려할 것"이라며 "한국을 신뢰할 수 없다고 하는 나라와 민감한 군사정보를 교류하는 게 맞느냐는 측면에서 마지막 순간까지 고민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육상자위대 훈련장에서 관열식을 하는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자료사진)
육상자위대 훈련장에서 관열식을 하는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자료사진)ⓒAP/뉴시스 제공
 

신종훈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北바로알기, 민족공조의 첫발”

뉴욕 맨하탄에서 통일기러기 로창현기자 방북강연회 열려
다음 기사는 글로벌웹진 뉴스로(Newsroh) 민지영기자 newsrohny@gmail.com의 보도 를 사진을 제외하고 전제한 것입니다. [편집자]

 

▲ 뉴스로(Newsroh) 대표기자 로창현 기자

 

“남북정상과 북미정상이 3차례나 만났지만 아직도 남과 미국은 북을 너무 모르고 있습니다. 북을 제대로 알지 않고서는 현재의 膠着(교착) 국면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글로벌웹진’ NEWSROH의 로창현 대표기자가 17일 뉴욕 맨하탄 인터내셔널 액션 센터(IAC)에서 ‘북 바로알기 방북강연회’를 가졌다. 6.15 뉴욕위원회가 주최하고 미주진실화해평화위원회, 흥사단뉴욕지부 등 5개 단체가 후원한 이번 강연은 6월 판문점 북미정상회담 이후 최근 정세에서의 북녘동포들 이해하기를 주제로 열려 관심을 모았다.

▲ 김수복 6.15뉴욕위 대표위원장
▲ 마이클 크래머 베테랑스포피스(VFP) 뉴저지 대표

강연이 열린 IAC는 미 주류 시민활동가들의 求心點(구심점) 역할을 하는 곳으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촉구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6.15 뉴욕위 김수복 대표위원장과의 돈독한 친분으로 장소를 제공하게 되었다.

판문점선언이후 현역언론인으로는 처음 방북 취재를 하고 돌아온 로창현 대표는 지난해 11월과 올 3월 직접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주제별로 북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정리하고, 한반도 정세를 진단했다.

로창현 대표는 우선 북에 대한 일반의 고정된 견해들은 상당 부분 과장됐거나 진실과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은 북이 무섭고 위험하다고 말한다. 보수 언론과 수구세력이 북을 끊임없이 악마화하고 무서운 독재국가라는 프레임을 씌웠기 때문이다. 지금 이순간도 미국과 한국을 제외한 수많은 나라의 관광객들이 북을 자유롭게 방문하고 어느 나라보다 안전한 여행을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어느 나라를 가도 출국시 검색대 통과시 물이나 음료를 소지할 수 없는데 북에선 괜찮다고 미소짓는 것을 보고 안전에 대한 자신감을 느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로창현 대표는 ‘북엔 종교 자유가 없고 종교시설도 보여주기에 불과하다’는 세간의 믿음에 대해 “종교시설이 한국전쟁때 산중 사찰까지도 대부분 파괴될만큼 초토화된데다 외부 위협과 봉쇄로 인한 특수성이 주민들의 신행생활에 영향을 주었지만 종교의 자유는 보장되고 있다. 김일성주석의 외가가 기독교 집안이라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고 평양의 봉수교회와 칠골교회 일요 예배도 우리와 다를바 없는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다. 불교든 기독교든 북의 종교인들은 강한 자부심과 애국심을 갖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방북기간중 받은 신선한 충격중 하나는 휠체어나 목발 장애인들의 외출 모습들을 여러 차례 목격한 것이다. 이들이 대로를 당당하게 오가는 모습을 보면서 과거 ‘평양엔 장애인이 없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했다. 과학기술전당만 해도 장애인열람실이 따로 있고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돌보는 시설도 평양에서 여러 곳이 운영되고 있다.

북의 ‘식량난’에 대해선 “오랫동안 경제제재를 받은 북은 자력갱생을 통해 식량자급률을 90%까지 끌어올렸다. 반면 남의 식량자급률은 30%도 안된다. 엄밀히 말해서 북은 식량난이 아니라 대북제재라는 외부 요인이 식량수급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이다. 경제제재가 풀려서 정상무역만 가능해도 북의 식량문제는 남의 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북 최초의 장마당인 평양통일거리시장을 방문한 소식과 함께 “북에서 시장이 운영된다고 시장경제가 도입된 것으로 생각하는 건 커다란 錯覺(착각)이다. 북은 시장을 사회주의 경체체제로 흡수 관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창현 대표는 한반도 정세 진단과 관련, 북미 정상이 전격적인 판문점회동을 하고 나서 두달이 되도록 실무협상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군산정 복합체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연술과 함께 11월 미국 중간선거에 임박해 4차 북미정상회담 카드를 쓸 가능성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지나친 소극성으로 약화된 문재인대통령의 역할론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9월 평양정상회담에서 남북이 사실상의 종전선언을 했지만 남은 미국의 압력으로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연초 신년사에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에 대해 조건없이 문을 열겠다고 파격 제안을 했음에도 미국 눈치를 보는 바람에 이같은 사태를 자초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14일 정경두 국방장관이 첨단무기 수입 등 무려 290조원이 넘는 국방중기계획을 발표하고 이튿날 문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의 감정을 자극하는 단어와 문구들을 사용한 것에 상당한 불쾌감을 가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로창현 대표는 문재인정부가 일본의 무역보복 등 여러 문제에 逢着(봉착)했지만 민족공조로 눈을 돌린다면, 70년 친일잔재 청산과 대일종속경제 탈출, 한미일 군사족쇄 위기를 벗어나는 천재일우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기위해선 철저하게 민족의 이익을 우선하여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선언의 담대한 결정을 내리고 판을 주도적으로 끌고 가는 당사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김동균 6.15 뉴욕지역위 사무국장

이날 강연후 질의응답 시간에 참석자들은 북화폐의 가치, 자가용 소유 등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것부터 미국정부가 2011년이후 북을 방문한 한국인들에 대한 비자의무화 조치에 대한 배경, 트럼프정부가 막대한 분단의 이익을 포기하고 평화협정을 하겠느냐는 회의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문을 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6.15미국위 김동균 사무국장은 “오늘 방북강연회는 우리 조국반도(한머리)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이 뚝뚝 묻어나는 강연이었다. 강연 도중에 박수를 치고 싶은 대목이 여러 곳 있었는데 강연 흐름에 방해 될까봐 여러번 절제했다”며 “로창현대표가 설명한 현재 남북미 사이의 정세이해와 분석은 일반 대중 미디어에 꼭 공개 되었으면 하는 내용이었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김수복 6.15뉴욕위 대표위원장도 “로창현 기자의 진솔한 방북기를 통해 많은 새로운 소식을 접할 수 있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북에 가고 또 북의 동포들도 여기 와서 미국 물정을 볼 수 있도록 미국정부는 여행금지를 해제해야 한다. 서로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이 통일의 첫 발자국이다”라고 강조했다.

로창현 대표는 오는 22일엔 로스앤젤레스에서 서부 첫 방북강연회를 갖게 되며 9월초엔 필라델피아 강연을 추진하고 있다.

선현희 기자  shh4129@gmail.com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직구밖에 모르던 모난 돌" 이용마, 세상을 바꾸고 가다

故 이용마 MBC 기자 빈소 풍경
2019.08.22 01:08:02
 

 

 

 

빈소가 차려질 무렵,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가 양 옆에 부축을 받으며 빈소로 들어갔다. 침통한 표정의 유족들이 뒤를 이었다. 이윽고 안경을 쓴 쌍둥이 남자아이들이 도착했다. 초등학생 쯤 됐을까, 입고 온 청바지와 흰 셔츠는 곧 검은 상복으로 바뀌었다. 가슴 한켠에는 검은 리본이 달렸다.
 
2019년 8월 21일, 자랑스러운 아들이자 잘난 동생, 사랑하는 남편이자 소중한 아빠이기도 했었을 누군가가 세상을 떠났다. 곤조 강했던 친구, 물러서지 않던 후배, 앞서 나간 선배... 한국 사회는 그를 '언론 노동운동의 상징'으로 기억할 것이다. 이명박 정권의 언론 장악에 저항하며 MBC 파업을 주도했던 고 이용마 기자다. 지난 2016년 복막암 투병 사실을 알렸던 고인은 이날 오전 6시 44분 50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서울 아산병원에 차려진 고인의 빈소는 침통하고 허탈했다. '부산 MBC', '기자협회', '방송기자협회' 등등. 빈소의 입구부터 복도 전체를 겹겹이 메운 화환이 고인이 차지하던 무게를 보여주는 것 같았다. 
 

▲고 이용마 기자의 빈소가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프레시안(조성은)

고인의 후배인 양윤경 MBC 기자협회장은 고인에 대해 "시대의 짐을 짊어진 운명적인 사람"이라며 "올 봄까지만 해도 차도가 있어 현장에 복귀하겠다는 의지가 강했다"라며 눈물을 보였다. 
 
정영하 MBC 정책기획부장과 박성제 보도국장 등이 고인의 빈소를 지켰다. MBC 노조 집행부 시절부터 파업 투쟁, 해직과 소송, 복직의 모든 과정을 함께한 이들이다. 정 부장은 당시 노조 위원장이었다. 
 
고인은 2016년 8월에 복막암 판정과 함께 1년 6개월의 시한부 판정을 받았다. 그는 처음 자신을 덮친 불행을 쉬쉬했다. 그해 9월 19일 한겨레 김종구 논설위원(현 한겨레 편집인)이 '암에 걸린 후배 해직 기자를 바라보며'라는 칼럼을 통해 그의 투병 사실을 세상에 알렸다. 해고된 지 4년 6개월 째, 공영방송을 망가뜨릴대로 망가뜨린 박근혜 정부 시절이었다. 2017년 12월 복직하던 날 그는 "단 한번도 오늘이 올 것임을 의심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암울하던 시절이었다.  
 
이용마 기자의 고등학교 선배인 김종구 논설위원도 그의 투병 사실을 알리기까지 많은 고민을 할 수밖에 없었다. 칼럼에도 밝혔듯 "암 투병 소식을 알리겠다고 했을 때 그가 우려한 것은 자신의 개인 문제가 너무 부각되는 점" 때문이었다고 한다. 복막암은 복강을 감싸 장기를 보호하는 막이다. 수술도 어려운 희귀 병이다. 그 절망적인 시점에도 그는 '대의'를 생각하고 있었다. 김 논설위원의 칼럼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의 투병 소식이 2017년 MBC 노조의 장장 170일 파업을 촉발했고 공영방송 정상화의 길을 닦는데 일조했다는 걸 부인할 이는 없다.  
 
그가 본격적으로 항암치료를 시작한 17년 12월에도 '잘 해야 한두 달 더 살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정영하 부장은 "그런데도 20개월이나 더 살았다"며 "의지가 참 강했던 사람"이라고 말했다. 
 
"타협할 줄 모르던 사람이었지. 자기도 알아요 '모난 돌'이라고 스스로 말했으니까. 안 간 부처가 없었어요. 좋게 말하면 능력이 있었던 거지만 나쁘게 말하면 상사 입장에서 껄끄러운 후배였죠. 상사 입장, 보도국 입장 고려 안하고 '이거다' 싶으면 그대로 밀어 붙이니까"
 
정 부장은 또 "'삼성 공화국'이라는 말을 방송에서 처음 쓴 게 고인이 처음일 것"이라며 "아무도 삼성의 문제를 그런 식으로 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뭐든 정공법이었어요. '분양 원가 공개'를 90년 대부터 주장했어요. 지금도 안 하고 있는 걸. '문제는 꺼내 놓고 해결하자', '시기상조란건 없다'는게 고인의 지론이였어요. 직구만 던지는 스타일이라고 해야 할까요. '가끔은 변화구도 던져야 한다'고 얘기한 적이 있었는데..."
 
정 부장은 2012년 당시 파업에 대해서도 "이길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시작한 투쟁이 아니었다"며 "'지금 우리가 피하면 후배들이 더 세게 맞는다, 우리 그러진 말자'는 마음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MBC의 현재 상태가 만족스럽다는 것을 떠나 정상화하겠다는 의지, 원동력은 그 때 시작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며 "고인이 뿌린 씨앗이자 남긴 과제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조문 온 천정배 의원은 고인에 "언론자유가 짓밟히던 시절 앞장서서 언론자유를 수호하던 분"이라며 "모든 언론인이 고인의 뜻을 계속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고인은 1996년 MBC에 입사해 보도국 사회부와 문화부, 외교부, 경제부, 정치부 등을 거쳤다. 2012년 한국언론노동조합 MBC 지부에서 홍보국장을 역임하며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 시도에 맞서 MBC 파업을 이끌다 해고당했다. 이후 국민라디오에서 <이용마의 한국정치>를 진행했고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도 활동하던 중 2017년 최승호 MBC 사장이 취임하면서 해직된 동료들과 함께 복직했다. 저서로는 <세상은 바꿀 수 있습니다>(창비 펴냄)이 있다. 
 
고 이용마 기자의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 35호실에 마련됐다. 고인의 장례식은 23일 시민사회장으로 오전 9시 MBC 상암동 광장에서 열린다. 
 
조성은 기자 pi@pressian.com 구독하기 최근 글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명상 9일차, 읽고 쓰는 것까지 끊었더니...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9/08/22 08:40
  • 수정일
    2019/08/22 08:40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더 늦기 전에 명상 여행 3] 태국 수랏타니, 수안 모크 국제 수행림

19.08.21 21:27l최종 업데이트 19.08.21 21:29l

 

찜질방 '마이 플레이스'를 벗어나,바람 좋은 강변 식당. 코사모이, 코팡안으로 향하는 여객선 선착장 옆에 있다.
▲ 찜질방 "마이 플레이스"를 벗어나,바람 좋은 강변 식당. 코사모이, 코팡안으로 향하는 여객선 선착장 옆에 있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수안 모크 국제 수행림은 태국 남부의 여행 관문 도시인 '수랏타니(Surat Thani)'에서 53km 떨어진 곳에 있다. 1989년 문을 연 이곳은 매월 1일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영어로만 진행하는 10일간의 명상 집중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 시작일이 열흘이나 남았지만 나는 방콕에서 12시간 걸리는 수랏타니행 기차에 후다닥 몸을 실었다. 지난 번 센터에 찾아갈 때 생고생한 탓도 있지만 최소 여행 경비로 두 달을 버티려니 체류비가 적게 드는 남쪽을 택한 것이다.

기차가 수랏타니역에 닿자 객차마다 외국인 여행자들이 물밀듯이 쏟아져 나와 기차역 앞에 즐비한 코사무이, 코팡안으로 실어다주는 전세 버스에 올라탄다. 나도 그들처럼 멋진 섬과 바다를 만끽하고 싶었지만 가격 착하고 평점 좋은 시내 한 게스트하우스에 정박한 채 9일간을 보냈다.

좋은 사람들의 도시

마이 플레이스 호텔 4층 객실은 섬을 오가는 하룻밤 배낭 여행자들로 가득하다. 착한 가격 때문인데 비밀은 에어컨이 없기 때문이다. 200바트(약 7000원)짜리 이 방은 새벽과 아침을 제외하고는 하루 종일 찜질방으로 변한다.

아침은 바나나 한두 개로 때우고 점심으로 40바트(1570원)짜리 식사를 하고 노점 아이스커피를 마시며 지출을 줄였다. 후끈한 방은 물에 적신 목욕 수건을 이불로 사용하여 견뎌냈다.

하지만 밤이면 밤마다 야시장의 숯불꼬치구이와 창(Chang, 태국 맥주)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 돈이면 에어컨 빵빵한 방에서 쉬거나 맛나는 요리를 먹을 수 있는데 이런 멍텅구리가 어디 또 있을까.
 
무료로 음식을 나누는 화교 행사. 화교들의 입지와 친화력이 돋보였다.
▲ 무료로 음식을 나누는 화교 행사. 화교들의 입지와 친화력이 돋보였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인구 12만의 수랏타니는 이름 뜻 그대로 '좋은 사람들의 도시'였다. 사람도 차도 적절하여 번잡하지 않았다. 아침 시장은 사고파는 사람들로 활기가 넘쳤다. 대지와 강, 바다가 내어준 풍요로운 재료는 밤마다 열리는 야시장의 산해진미로 변신한다. 한낮의 열기가 식은 뒤 열리는 야시장은 태국 사람들에게 최고의 낙인 듯했다. 집에 주방 시설이 없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친구, 연인, 가족들이 야시장 먹거리를 즐긴다.

야시장 중앙에는 사원이 하나 있는데 입구와 경내에서 버젓이 새우구이와 닭꼬치를 팔고 있다. 먹고 사는 것이 해결되어야 정신적인 삶도 모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다. 아침 시장의 생계는 야시장의 생계로 이어진다. 서로가 서로의 생계를 도우며 선순환하는 것이다. 아침·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따삐강변 공원에는 함께 어울려 춤추고 운동하고 놀이하는 사람들이 가득하다. 여기 시민들은 그렇게 자신의 의무를 다하며 건강한 삶을 꾸려가고 있었다.
 
매일 저녁 함께 어울려 집단 군무를 즐기는 시민들. 춤은 단순하고 음악은 경쾌해 지나가면 절로 흥이난다.
▲ 매일 저녁 함께 어울려 집단 군무를 즐기는 시민들. 춤은 단순하고 음악은 경쾌해 지나가면 절로 흥이난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몰려드는 외국인, '명상 휴양' 붐을 확인하다

1월 31일 등록일에 맞추어 미니버스를 타고 수안 모크로 갔다. 학교 숙제로 견학가는 여학생들과 나와 목적이 같은 미국, 독일 남자 둘이 동석했다. 국제 수행림(International Dharma Hermitage)은 수안 모크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은 연간 1000여 명의 외국인이 10일 집중 수행 코스에 참가한다. 국제 수행림은 근현대 태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선사 아잔 붓다다사(1906~1993)의 외국인 제자들이 머물던 꾸띠(kuti, 작은 토굴)가 있던 곳이다.

등록을 받는 식당채에는 어디서 몰려왔는지 외국인들로 한가득이다. 친구, 연인, 부부 등 짝으로 들어온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종교가 아닌 영성(spiritual)을 찾고 명상 휴양하는 요즘 서구 젊은이들의 트렌드가 엿보였다.

이곳은 등록비로 2000바트(한화 약 7만원)를 먼저 내야 한다. 함께한 인원은 150여 명, 남녀성비는 반반, 국적은 다채롭다. 대부분 젊은 초급자들이고 일부 나이든 숙련자들도 눈에 띄었다.

여기는 스님과 재가자 선생님들이 함께 명상하고 법을 가르친다. 완전 채식의 하루 두끼 식사와 5계, 묵언을 기본으로 지키며 좌선(가부좌 하고 정신에 집중하는 수행)과 행선(가볍게 걸으며 하는 수행)을 병행하고 매일 아침 한 시간 반 요가 수업도 있다. 하루 일정은 빼곡하지만 식사 후 휴식 시간에는 독서를 하거나 천연 노천 온천에서 사우나를 즐길 수 있는 등 규율은 엄격하지 않다.
 
등록일, 오리엔테이션 시간. 이날 저녁부터 10일간 묵언을 지켜야 한다.
▲ 등록일, 오리엔테이션 시간. 이날 저녁부터 10일간 묵언을 지켜야 한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삼만 평이 넘는 숲속, 거대한 열대 나무들 사이에 지어진 명상홀에서 하루만 머물러 보면 왜 CNN이 세계 10대 명상센터 중 한 곳으로 이곳을 뽑았는지 쉽게 알게 된다. 메인 명상홀은 2중 지붕에 벽이 없다. 열기는 막고 바람은 잘 통하게 설계한 것이다. 이곳의 건물들은 꾸밈 없고 목적에 맞게 지어졌다.

잡음이 들리지 않는 고요한 명상홀에서 떠오르는 아침해, 한낮의 새소리, 그리고 저녁이면 울려 퍼지는 풀벌레의 합창과 반딧불이가 펼치는 빛의 공연, 손에 잡힐 듯 쏟아지는 별빛을 보고 듣고 있노라면 명상과 휴양을 함께 누리는 기분이 절로 든다. 명상 휴양지라는 단어가 딱 어울리는 곳이다. 자연 속에서 내면의 본성(Nature)을 찾기에 이렇게 좋은 환경이 또 있을까 싶다.
 
매일 아침 연못으로 모여 뜨오르는 아침해를 맞이하는 명상가들. 말없이 천천히 걷고 멈추며 지금 이순간을 음미한다. 초세속은 장소가 아니라 마음 상태 이지만 때론 장소도 중요한 듯 하다.
▲ 매일 아침 연못으로 모여 뜨오르는 아침해를 맞이하는 명상가들. 말없이 천천히 걷고 멈추며 지금 이순간을 음미한다. 초세속은 장소가 아니라 마음 상태 이지만 때론 장소도 중요한 듯 하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아침 요가 수업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왔다는 중국계 미국인이 가르쳤는데 만족도가 높았다. 그는 요가와 태극권을 버무려 '휴식의 무브먼트 요가'를 선보인다. 수업의 3분의 1은 격하지 않게 움직이고, 3분의 2는 누워서 쉬며 몸의 변화를 관찰한다. 수업을 마치고 나면 긴장된 마음과 뭉쳐진 다리 근육들이 풀렸다. 나는 이 요가를 '해장 요가'라 불렀다.

87세 노선사와 하루 두 번, 두시간씩 함께 명상을 했다. 처음에는 느끼지 못했는데 날이 갈수록 좌정한 어른의 모습은 그 자체로 경외감이 들었다. 평생 간결하고 청정하게 살아온 노장은 그렇게 침묵으로 평정심의 경지를 가르치고 감화를 주었다.

어른의 젊은 수제자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미들 웨이(middle way), 중도를 강조한다. 좌선 자세는 너무 타이트하지도 너무 루즈하지도 않게 하고 눈은 반쯤 뜨고 숨은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은 중간쯤으로 쉬라고 한다. 너무 길거나 짧게 쉬다가는 다음 숨을 영영 못 쉴 수도 있다며.

명상을 방해하는 두 가지
 
차를 마시며 독서를 하시는 노선사 아잔 포. 영문판 코스모스를 조그마한 영어 사전을 옆에 두고 읽어신다. 이곳의 가풍이 보인다.
▲ 차를 마시며 독서를 하시는 노선사 아잔 포. 영문판 코스모스를 조그마한 영어 사전을 옆에 두고 읽어신다. 이곳의 가풍이 보인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영어로 명상(meditation)과 의학(medicine)은 어간(medi)이 서로 같다. 명상은 자신에게 박힌 독화살(삼독: 욕망, 화, 어리석음)을 스스로 뽑아내는 자가 치유술이라고 볼 수 있다.

붓다다사 선사는 고대로부터 전해진 이 치료법을 자신의 저서 <아나빠나삿띠>에 세밀하게 밝혀 놓았다. 먼저 수행자의 기질을 여섯가지(욕망형, 분노형, 무지형, 맹신형, 지성형, 사변형)로 구분하였고 40가지의 명상 주제 중 각 기질에 맞는 명상 주제를 일러준다. 하지만 40가지 주제 중 가장 기본이며 가장 뛰어난 들숨 날숨에 마음을 집중하는 '아나빠나삿띠'를 모두에게 권한다.

치료는 몸, 느낌, 마음, 법칙, 네 단계로 나누고 각각 네 단계씩 더해 16단계로 풀어 놓았다.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아나빠나삿띠의 첫 번째(몸의 관찰) 네 단계는 수식(數息), 상수(相隨), 접촉, 고정이다.

수식은 호흡이 긴지 짧은지를 숫자를 붙여 측정하는 것이며 상수는 호흡이 들어오고 나갈 때 코끝, 가슴, 배 순으로 마음이 호흡을 따라가는 것이다. 접촉은 코끝에 호흡이 닿는 지점에 집중하는 것이고 고정은 접촉에 대한 마음 집중이 완전히 성취되어 집중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멈추는 상태다.

하지만 여기 닿기까지 수많은 방해요인을 만난다. 산만함, 기대, 갈망, 망각, 태만, 흥분 등은 마음이 불건전한 상태에서 일어난다. 명상 중 가장 힘든 장애는 잡념인데, 대부분 이미 지나간 과거와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생각이다.
 
"과거는 마음을 산만하게 만들고, 미래는 마음을 동요하게 한다. 과거의 대상들은 과거의 인상 또는 인식에 의존해서 나타나고, 미래의 대상들은 느낌과 일으킨 생각에 의존해서 나타난다. 마음에서 마음의 불건전한 상태를 제거하려면 두 가지 방법, 즉 의지력과 지혜로운 이해를 이용할 수 있다."

자신의 생각을 집중 대상에 향하게 하고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느낌 등 뒤엉킨 생각들은 모두 실체가 없는 무상하고 고통스러운 것임을 지혜롭게 고찰하라는 것. 이렇게 마음의 기능들이 강화될 때 수행자는 열의, 정진, 지혜 등이 성취되고 마음은 완전히 정화된다고 붓다다사 선사는 말한다.

읽고 쓰는 것도 금지... 깊은 침묵과 더없는 경건함

힘겨운 3일이 지나고 익숙한 일주일이 흐른 뒤, 9일째는 대침묵의 날이다. 책읽기, 글쓰기도 금지되고 식사는 아침 한끼만 먹는다. 여성 리더는 이것은 '브라흐마차리야'를 실천하는 것으로 "금욕을 통해 에너지를 높은 차원에서 사용하는 것"이라 했다. 이날 밤 명상홀은 깊은 침묵과 더없는 경건함으로 오묘한 조화가 넘쳤다.

나는 10일간 행선은 하지 않고 좌선만 하며 호흡의 접촉 지점을 맹렬히 관찰하는 훈련을 했다. 그러나 내 정신은 여러 나라로 분열되어 좀체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전투만 치렀다. 10일째 오후 4시, 모든 명상 스케줄이 끝나기 30분 전 변화가 찾아왔다. 처음으로 숨이 들어오고 나가는 지점이 선명하게 관찰됐다. 잡념은 여전했지만 집중하지 않아도 저절로 접촉 지점과 마음은 하나가 되었다. 이제야 막 시작점에 닿은 듯한데 아쉽게도 집중 수행은 그렇게 끝을 맺었다.
 
코스를 마치고 다시 수안 모크에서. 명상의 16단계를 초, 중, 고, 대로 나눈다면 우리는 초급생들일 것이다.
▲ 코스를 마치고 다시 수안 모크에서. 명상의 16단계를 초, 중, 고, 대로 나눈다면 우리는 초급생들일 것이다.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이날 저녁 침묵이 해제되고 그동안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뒤풀이 자리가 열렸다. 다들 얼마나 할 말이 많던지, 그리고 얼마나 웃기던지 울며 웃으며 자신들의 사연을 드러내었다. 그들은 마치 아카데미 시상식 때 상을 탄 배우처럼 가르침을 주신 스님과 선생님, 친구들에게 고마움을 표했고 실수와 힘겨움 그리고 행복감 등 인생 희로애락을 10일 만에 다 느낀 듯했다. 그들의 진솔한 자기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곳을 두 번째 찾은 이들도 많았다. 등록일 날 나와 동행했던 미국 친구를 비롯한 몇 명은 몇 해 전에 왔다가 2~3일 만에 도망갔다고 한다. 70대 프랑스인 부부, 이태리인 부부는 20여 년 만에 다시 찾아왔다고 했다. 한 여성은 명상이 자신을 치유하는 치료제가 되어주었다고 기뻐했고 한 남성은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을 배웠다며 친구와 가족들에게 좀더 친절해질 수 있을 것 같다는 신선한 감상을 남겼다.

나이듦이 좋은 것은 젊은 날 이해되지 않던 것들이 자연스럽게 풀리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이라 말하는데 나는 지금이라도 알게 된 것을 천운으로 생각한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실천하고 살 것이다.

떠나는 날 새벽에는 다함께 명상홀을 청소했다. 뒷정리를 하는 백발의 스태프 아주머니는 앉고, 서고, 걷고, 먹는, 매순간 명상을 하라는 고급 정보를 내게 슬쩍 흘려주었다. 그러고선 양초 부스러기를 담은 바스켓을 들고 유유히 퇴장했다.

침묵의 연극이 끝난 명상홀은 다음 공연을 기다리며 다시 조용한 휴식에 들었다.
 
떠나는 날 새벽. 삶의 매순간을 명상하라고 가르침을 주신 스텝 아주머니.
▲ 떠나는 날 새벽. 삶의 매순간을 명상하라고 가르침을 주신 스텝 아주머니.
ⓒ 손승열

관련사진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부는 좌고우면하지 말고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하라”

“정부는 좌고우면하지 말고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하라”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9/08/22 [06:10]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지난 8월 15일 아베규탄집회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폐기를 촉구하고 있는 시민들.     © 편집국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연장 통보 마감시한(24)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각계각층에서 지소미아 폐기를 촉구하는 목소리들이 커지고 있다.

 

아베규탄시민행동은 21일 성명을 통해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우리 국민 그 누구도 원하지 않는 일본과의 군사동맹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라며 과거사 반성은커녕 군국주의 부활을 노리는 일본과 피로써 서로를 지켜주는’ 군사동맹을 맺는다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분노했다.

 

아베규탄시민행동은 문재인 정부를 향해 “‘한미동맹을 운운하며 아베가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판결에 맞서 우리를 길들이기 위한 경제보복을 자행하고 있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검토중이라며 파기를 주저하고 있다며 협정을 연장하는 것은 아베의 도발에 맞서는 가장 강력한 무기를 스스로 버리는 것이며범국민적 불매운동과 광복절 10만 촛불 등 단호한 대응을 염원하는 민의를 외면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베규탄시민행동은 22일 오후 5시부터 24일 오후 5시까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를 위한 48시간 비상행동'에 돌입한다. 24일 비상행동을 끝낸 후에는 저녁 7시 광화문광장에서 제6차 아베규탄 촛불문화제가 이어질 예정이다.

 

민중당도 21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아베정부는 과거사 반성도 하지 않고 군사대국화전쟁가능 국가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런 판국에 자위대를 군사협력 파트너로 인정하고 한반도 개입의 길을 터준 한일지소미아는 경제침략이 아니더라도 마땅히 파기해야 할 협정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민중당은 한일지소미아는 한미일 안보동맹을 만들려는 미국의 압력으로 체결됐다며 국민들의 여론이 심상치 않고 연장시한이 다가오는 현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을 비롯한 미국 측 인사들이 한일지소미아가 중요하다고 떠들어대고어제는 해리스 주한미대사가 국내 대기업 임원들을 불러 놓고 한일지소미아가 한미일 안보동맹 차원에서 중요하다며 기업인들에게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고 미국의 행태를 비판했다.

 

이날 참여연대도 논평을 통해 “(지소미아는과거 불법 점령과 침략의 역사를 부정하고 군사 대국화에 나서는 일본 아베 정부와의 군사협력 관계를 공식화하는 것이자자위대를 군사 협력의 파트너로 인정하는 것이며 한미일 삼각협력의 일환으로 작동하여 동북아 분단체제를 고착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최근 한일 간의 군사 정보 교류는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2017년 19건이었던 군사 정보 교류는 최근 2건으로 급감했는데그 이유에 대해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화해치유 재단 해산 결정에 대한 일본의 정보 보복 조치라고 지적했다고 전했다아베 정부가 협력의 파트너로서 적절치 않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해왔다는 것이다.

 

참여연대는 문재인 정부는 평화를 위협하는 아베 정부와의 군사협력을 지속할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에 평화공존과 협력체제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정부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의 내용을 검토한 뒤 22일 NSC(국가안전보장회의회의를 거쳐 연장 여부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연장과 폐기’ 외에 정보공유를 제한하는 방식 등의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

[성명문재인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하라!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연장 여부를 결정하는 시한이 이제 며칠 남지 않았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이명박 정권 시기 강행되려다 국민의 분노에 의해 철회된 바 있고촛불항쟁으로 사실상 사망선고를 받은 박근혜 적폐정권이 무너지기 직전 알박기하듯이 강행한 대표적 적폐이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우리 국민 그 누구도 원하지 않는 일본과의 군사동맹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다.

우리에게 일본은 침략의 원죄를 가진 가해자이며과거에 대한 진정한 반성은커녕 오히려 군국주의 부활을 통해 호시탐탐 한반도 재진출을 노리고 있다이러한 일본과 피로써 서로를 지켜주는” 군사동맹을 맺는다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문재인 정부는 진작에 파기했어야 할 이 협정을 두 차례에 걸쳐 연장하였으며, ‘한미동맹을 운운하며 아베가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판결에 맞서 우리를 길들이기 위한 경제보복을 자행하고 있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검토중이라며 파기를 주저하고 있다.

협정을 연장하는 것은 아베의 도발에 맞서는 가장 강력한 무기를 스스로 버리는 것이며범국민적 불매운동과 광복절 10만 촛불 등 단호한 대응을 염원하는 민의를 외면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번 도발의 과정에서아베 정권은 스스로 안보상의 신뢰를 운운함으로써 그간 우리 국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일본이 그토록 집착해오던 우리와의 군사협력관계 강화를 스스로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아베가 그렇게 하겠다는데 우리는 이를 말릴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며협정 파기의 책임은 아베에게 있는 것이다.

 

가보지 않은 길이라고 갈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문재인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협정을 파기하고일본의 진정한 반성을 전제로 한 새로운 한일관계 수립을 향한 대장정에 나서야 할 것이다.

 

2019년 8월 21

아베규탄시민행동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한반도 정세 악화는 美..."국가방위 위해 물리적 수단들 개발"

북, 한반도 정세 악화는 美..."국가방위 위해 물리적 수단들 개발"
 
 
 
박한균 기자 
기사입력: 2019/08/21 [09:15]  최종편집: ⓒ 자주시보
 
 

북이 ‘한미연합지휘소훈련’이 종료된 다음날인 21일 한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이 미국에게 있다고 비판했다.

 

노동신문은 이날 ‘우리의 자위적국방력강화조치는 정당하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상대가 칼을 빼들고 덤벼드는데 팔짱을 끼고 앉아 지켜보고만 있을 수야 없지 않는가”고 묻고는 “우리의 자위적국방력강화조치는 너무나도 정당하며 그 누구의 시비거리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신문은 “평화와 화해의 기운이 감돌던 조선반도정세가 이번에 또다시 긴장상태에 빠져들었다”며 “모든 것은 미국이 남조선과 함께 강행한 광란적인 합동군사연습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명백히 이번 합동군사연습은 대규모증원무력의 신속투입과 기습타격으로 우리 공화국을 타고 앉는 것으로 일관된 매우 위험천만한 전쟁연습, 북침시험전쟁”이라며 “미국이 조선반도의 평화와 관계개선을 바라지 않고 있으며 불순한 목적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원래 적대관계를 해소하고 관계개선과 공고한 평화를 이룩하자면 상대방을 자극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며 “불신과 오해를 가시고 신뢰의 감정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대화를 앞세워야 한다. 적대관계에 있는 나라들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고 강조했다.

 

이에 신문은 “미국남조선합동군사연습은 우리에 대한 엄중한 군사적도발이고 우리의 평화노력에 대한 도전이며 우롱이다”며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하고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6.12조미공동성명에 대한 노골적인 무시이며 공공연한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신문은 “힘의 대결을 반대하며 대화와 협상을 통하여 조미관계를 개선하고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하려는 것은 우리의 일관한 입장”이라고 강조하면서 “(미국은)합동군사연습중지공약은 안중에도 없이 최신공격형무장장비들을 남조선에 대대적으로 들이 밀면서  군사적 긴장상태를 고조시켜왔다”고 지적했다.

 

또 신문은 싱가포르북미정상회담이 이후 미국이 한미연합훈련을 진행하고 ‘전략무기’들을 한반도에 들여왔다고 언급하면서 “미국의 무분별한 전쟁연습소동과 무력증강책동으로 조선반도와 지역정세는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긴장이 격화되면 관계가 개선될 수 없고 대결이 고취되고 있는 속에서 건설적인 대화와 진정한 평화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이치”라며 “미국의 변함없는 대조선적대시정책은 우리 국가를 잠재적, 직접적 위협들을 제거하기 위한 자위적대응조치들을 취하는 데로 떠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신문은 “우리는 합동군사연습과 같은 반공화국소동이 조미관계개선을 가로막고 우리가 취한 중대조치들을 재고려하는 데로 이어질 수 있다는데 대하여 한두 번만 경고하지 않았다”며 “미국이 합동군사연습의 강행을 통해 도발적으로 나오고 있는 것만큼 그에 대처하여 우리는 국가방위에 필수적인 위력한 물리적 수단들을 개발, 시험, 배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무죄추정 원칙 뒤로 김장수·김관진 숨겨준 ‘세월호 재판부’

이정일 | 변호사·민변 세월호TF팀장
입력 : 2019.08.21 06:00 수정 : 2019.08.21 06:01
 
 

특별 기고 - ‘세월호 보고 조작’ 판결을 보고

청와대·국가안보실 책임 여부 결정 짓는 ‘마지막 생존시점 이전 보고 여부’ 때문에
최초 보고 통화시간 앞당기려 한 의도 있었지만 재판부 “불과 7분 앞당겨, 허위 동기 없다”
김장수 국가안보실, 타임테이블 ‘보고 시점’ 등 계속 수정…‘공모’ 합리적 의심에도 무죄 선고
김관진도 ‘국가위기관리지침’ 개정 절차 어기고 수정했지만 “고의 인정 못한다” 무죄

‘세월호 보고 조작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법 형사30부(재판장 권희 부장판사)는 세월호 참사 당일 상황보고서 1보가 오전 10시19~20분쯤 대통령 관저에 도착했고, 대통령의 구조지시도 10시22분쯤 처음 내려졌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이는 김장수(당시 국가안보실장)가 당일 10시에 최초로 서면보고하고, 10시15분쯤 박근혜(당시 대통령)와 통화한 후 대통령의 구조지시를 받았다는 게 거짓이라고 재판부가 인정한 것이다. 세월호 탑승객의 마지막 생존 시점이 10시17분쯤이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청와대가 이 시점을 의미 있는 시각으로 인지한 점도 인정했다. 재판부는 마지막 생존 시점 7분이 지난 뒤 대통령 구조지시가 나온 점을 인정하고도 김장수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김장수의 유무죄를 가른 기준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최초 통화 시각을 허위로 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여부이다. 둘째는 국가안보실 직원과 공모했는지 여부다. 공모가 중요한 이유는 김장수가 2014년 5월23일 국가안보실장에서 물러난 이후에 ‘VIP 관련 주요 쟁점사항 및 답변기조’의 허위공문서가 최종 작성됐기 때문이다. 공무원이 아닌 사람이 허위공문서 작성행위에 해당하려면 퇴임 전 또는 퇴임 후에 공무원과 공모행위가 있어야 한다.

■ 김장수, 유무죄 가른 두 기준

국가안보실은 김장수와 박근혜 사이 첫 통화 시간이 10시15분쯤이라는 취지의 대응자료를 만들었다. 검사는 국회 일정 등에 대비하려고 만든 필수 자료라고 봤다. 검사는 국가안보실이 언론과 국회 등에서 신속하게 사고 대응을 했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의도를 갖고 최초 통화 시간을 앞당기려 했다고 봤다. 재판부는 달리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장수가 업무용 휴대폰을 직접 확인한 뒤 그 시간을 알려줬고, 신인호(당시 위기관리센터장)에게 알려준 3건의 발신내역이 일치하며, 구조지시 시간을 불과 7분 앞당긴 10시15분으로 허위로 만들어낼 동기가 없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재판부의 판단이 합리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 생존 시점과 박근혜의 구조지시 시각은 불가분 관계에 있다. 김장수가 국가안보실 직원에게 알려준 보고 시각의 일치 여부만을 가지고 의도를 판단해서는 안된다. 그 보고 시각에 박근혜가 인명 구조지시를 실제로 했는지 여부까지 고려해야 한다. 재판부는 김장수가 주장하는 박근혜와의 통화 시간에 박근혜의 인명 구조지시가 실제로 없었다는 사실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신인호, 국가안보실 직원 백○웅 및 김○영은 10시15분쯤이 아니라 10시22분쯤 처음으로 구조지시가 내려졌다고 증언한다.

10시15분과 10시22분은 약 7분 차이에 불과하다. 생사의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7분은 절체절명의 시간이다. 세월호 탑승객의 마지막 생존 시점 이전에 박근혜가 구조지시를 내렸는지 여부는 국가안보실과 청와대의 책임 소재를 따지는 데 결정적인 요소다. 이런 점에서 김장수가 자신과 박근혜의 책임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마지막 생존 시점 이전에 최초 서면보고가 이뤄졌고, 대통령의 구조지시가 내려졌다는 사실을 기재하도록 지시한 데 충분한 동기가 있다고 봐야 한다. 박근혜와 통화했다는 ‘10시15분쯤’은 김장수가 마지막 생존 시점(10시17분) 이전 재난 상황 보고와 박근혜의 구조지시가 있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을 보여준다. ‘10시15분쯤’으로 최초 통화 시각을 말한 것은 허위 의도를 가졌다는 것을 말해준다.

10시15분쯤 대통령 구조지시 통화내역이 수신인지, 발신인지가 중요하다. 통화내역이 수신인 경우에는 김장수가 박근혜의 구조지시 전화를 받았다는 취지의 주장에 설득력이 있다. 재판부는 김장수가 발신한 통화내역 3건(11시23분, 13시13분, 14시50분)만 기록이 있고, 10시15분 통화는 주장만 있는데도, 10시15분쯤 김장수가 박근혜에게서 통화를 수신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런데 10시15분쯤 통화내역은 김장수와 박근혜 사이에 이루어진 통화가 아니라는 게 합리적인 판단이다. 상황보고서 1보를 전달하라고 지시된 시점이 10시12~13분쯤이다. 김장수는 박근혜와 통화를 시도했다가 이뤄지지 않자 안봉근(당시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과 통화해 대통령께 보고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안봉근은 승용차를 타고 관저로 가 침실 밖으로 나온 박근혜에게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 급히 통화를 원합니다”라고 보고했다. 이 시점이 10시19~20분쯤이다. 박근혜가 김장수와 통화했다는 시각은 10시22분쯤이다. 이러한 사실은 재판부가 검찰이 제출한 증거 및 증언을 기초로 확정한 사실이다. 따라서 10시15분쯤 통화내역을 김장수가 수신한 것으로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적용한 재판부의 판단은 합리적이지 않다. 재판부는 이 판단을 하며 피고인에게 불리하게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무죄추정의 원칙을 적용했다.

공모의 점이 충분히 인정된다. 세월호 참사 직후부터 국가안보실은 자체적으로 국가위기관리센터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2대에 녹화된 내용을 확인해 최초 서면보고 시점과 대통령의 구조지시 시점에 관한 타임테이블을 작성했다. 김장수가 퇴임하기 훨씬 이전부터 시작된 것이다. 타임테이블 작성은 국회와 언론의 의혹제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김장수와 국가안보실 직원 사이에 이루어진 공모 단서다. 이때도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은 구조지시와 관련한 대통령과의 통화 시간을 기준으로 타임테이블을 작성했던 것이다. 박근혜와의 통화 시간도 김장수가 알려준 것이었다. 2014년 5월15일 국정조사가 합의된 상황에서 아무런 근거 없이 최초 서면보고 시점과 대통령의 구조지시 시점을 만들어낼 수는 없었다. 김기춘(당시 대통령비서실장)은 5월15일 국회 운영위가 개최될 것에 대비해 청와대의 사고 첫 접수, 내용 전파, 초동조치 등에 대해 철저한 준비를 지시했다. 이러한 사실을 국가안보실도 알고 있었다. 김장수는 5월22일에야 퇴임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사고 당일 상황보고서 1보가 10시19~20분쯤 대통령 관저에 도착한 것과도 다르게 정리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박근혜의 구조지시도 실제로는 10시22분쯤 처음 나왔는데 10시15분쯤 한 것으로 정리되고 있었다. 이것이 국회 및 언론의 비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든, 국회 운영위 또는 국정조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든 모두가 허위의 내용을 공모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초 서면보고 시점과 박근혜의 구조지시 시점이 계속 수정된 것은 공모자들이 알리바이를 근거가 있는 양 은밀하게 조작하려 한 것에 불과하다.

최초 서면보고 시점과 대통령의 구조지시 시점에 관한 정리 업무를 총괄한 신인호가 김장수의 퇴임 전 2차례에 걸쳐 확인한 것도, 김장수가 업무용 휴대폰에 나오는 통화 시각을 보고 허위내용을 기재하도록 지시한 것도 알리바이를 정밀하게 조작하려는 의도에 불과하다.

재판부는 세월호 탑승객의 마지막 생존 시점인 10시17분쯤을 구조에 의미 있는 시각으로 청와대가 인지했다는 점을 인정했다. 실제로는 마지막 생존 시점 이후에 대통령의 구조지시가 최초로 내려졌는데도 이와 다른 허위의 내용이 기재됐다면 김장수와 국가안보실 직원 사이에 공모가 있었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이런 점에서 재판부의 판단은 비판받아야 한다.

■ 김관진 지침 개정 절차 몰랐다?

김관진 전 국가안보실장 지시로 삭선·가필된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국가안보실장은 위기 상황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를 지우고 ‘국정수행을 보좌한다’로 썼다.  출처 : 검찰 기소 보도자료

김관진 전 국가안보실장 지시로 삭선·가필된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국가안보실장은 위기 상황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를 지우고 ‘국정수행을 보좌한다’로 썼다. 출처 : 검찰 기소 보도자료

김관진(김장수 후임 국가안보실장)에 대한 재판부의 판단도 김장수의 무죄 판단과 같은 논리이다. 재판부는 김관진이 적법한 개정 절차가 아닌 삭선·가필의 방법으로 위법하게 지침을 수정한 것에 대한 고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신인호와 공모했다는 점을 두고도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다고 봤다.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원본 중 ‘2. 국가안보실장은 대통령의 위치관리 국정수행을 보좌하고, 국가 차원의 위기관리 관련 정보의 분석·평가 및 종합, 국가 위기관리 업무의 기획 및 수행체계 구축 등 위기 상황의 종합·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안정적 위기관리를 위해 전략커뮤니케이션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를 밑줄로 지우고, 그 밑에 ‘국가 위기 관련 대통령의 안정적 국정수행을 보좌(를 한다)’를 써넣었다. 김관진이 보고받고 승인한 사실을 재판부도 인정했다.

공용서류손상행위죄는 공용서류에 해당한다는 인식과 그 공용서류의 효용가치를 훼손한다는 인식이 있으면 성립한다. 그런데 공용서류손상행위가 적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는 정당한 행위이지 범죄행위가 아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원본에 대한 수정행위가 위법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았는가 여부가 중요하다.

재판부도 신인호 지시를 받는 지위에 있던 박○석이 개정 시일을 촉박하게 잡으면서 법제처 심사를 거치지 않게 된 것이 위법하다는 점을 알았다고 인정했다. 재판부는 신인호가 2014년 7월21일쯤 “아직도 수정되지 않았나”라는 김기춘의 말을 질책으로 받아들이고 그 자리에서 조속히 지침을 수정하겠다고 보고했다는 점도 인정했다. 신인호는 이를 김관진에게 보고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신인호가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원본 수정 절차에 관한 사항을 보고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이를 근거로 적법한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김관진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재판부의 판단이 합리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김관진은 국가안보실장이 되기 전 상당한 기간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대통령 훈령에 해당하는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의 경우 법제처 심사를 거쳐야 하고, 시행되려면 대통령 재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충분히 알 수 있었다.

김관진은 2014년 7월7일 국회 운영위에 출석해 자신을 대신해 김규현(당시 국가안보실 1차장)이 청와대가 재난 상황의 컨트롤타워가 아니라는 김장수의 발언과 관련해 국회의원의 추궁을 당하는 것을 지켜봤다. 추궁의 핵심은 세월호 참사 당시 대통령이 국가재난의 컨트롤타워이고, 국가안보실이 실무로서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김관진은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원본 내용이 볼펜으로 두 줄을 그어 삭제되고, 그 위에 수기로 수정 내용이 기재되는 경우에 또 다른 비난이 가해질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런데도 김관진은 7월25일 1단계로 7월 말까지 부분 수정하고, 2단계로 전면 개정한다는 내용의 검토보고서를 승인·결재했다. 그 결재 내용에는 향후 추진 계획으로 “7월한, 정부 각 부처에 위기관리기본지침 수정 지시 사항 하달”이 있었다. 이것은 7월25일 수정 검토 후 7월 말 바로 수정사항을 각 부처에 지시·실행하겠다는 것이다. 김관진은 수정 지시의 실행 시점을 촉박하게 잡으면 법제처 심사를 거치지 않게 되고, 이것이 위법하다는 점을 충분히 알았음을 말해준다. 김관진의 법정 발언에서도 이런 인지가 드러난다. “국가안전처 신설 전에는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부분 수정’을 하고, 다음해에 국가안전처가 신설되면 개정을 통해 지침을 정상적으로 절차를 거쳐서 개정한다는 취지이지요”라는 검사의 질문에 “예, 맞습니다”라고 답변했다.

그런데도 재판부는 김관진의 고의를 인정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의 개정 절차에 관한 논의가 없었다는 사정과 이에 대한 보고를 받은 사실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위법하게 개정하려는 인식이 없었다고 판단했다. 이 판단은 억지스럽다. 재판부의 판단과 달리 개정 절차에 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워 보이기 때문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재판부가 인정하는 것처럼, 2014년 7월1일 대통령비서실장 주재 회의에서 지침을 수정하기로 의견이 모아졌으나, 7월10일 예정된 국조특위가 지날 때까지 보류되었다가 7월21일 김기춘의 질책을 받았다고 생각한 신인호가 급히 수정을 진행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개정 절차를 논의할 생각도 없었고, 그 필요성도 논의되지 않았다.

무죄추정 원칙 뒤로 김장수·김관진 숨겨준 ‘세월호 재판부’

신인호는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개정을 논의한 대통령비서실장 주재 회의에 모두 참석해 김관진에게 보고하는 방법으로 서로 정보를 공유했고, 김관진은 최종적으로 적법한 개정 절차가 아닌 삭선·가필의 방법을 승인했기 때문에 김관진에게 고의와 공모를 인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재판부는 피고인들의 고의와 공모가 증명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며 무죄추정 원칙에 따라 선고했다.

앞서 살펴봤듯 김장수와 김관진의 범죄행위에 유죄를 인정할 수 있는 합리적 이유는 충분하다. 재판부는 김장수와 김관진의 범죄행위를 무죄추정의 원칙 뒤에 숨겨준 꼴이 되고 만 판결을 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8210600005&code=940100#csidxb2ed7a1b04ca3fb8cece2046c696b2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폭주하는 아베 정권에 탄압받는 일본 노조, 세계 노동자들 함께 맞선다

[인터뷰] 이영철 건설노조 수석부위원장 “연대노조, 한 해 동안 76명 체포당하고 인종차별주의자들에게 괴롭힘 당해”

이승훈 기자 lsh@vop.co.kr
발행 2019-08-21 08:07:52
수정 2019-08-21 08:14:16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지난 7월 5일 연대노조가 시민사회와 함께 오사카 경찰본부를 찾아 공안탄압에 대해 항의하고 있는 모습.
지난 7월 5일 연대노조가 시민사회와 함께 오사카 경찰본부를 찾아 공안탄압에 대해 항의하고 있는 모습.ⓒ건설노조 관계자
 

한·일 양국의 노동단체들이 ‘반아베’ 구호로 하나가 되고 있다. 점차 극우화로 치닫는 아베 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을 취하고, 자국 노동자들을 상대로 탄압을 일삼으면서다.

광복절을 맞아 방한한 일본 제2노총인 전노련(全勞聯, 전국노동조합총연합회)이 노동자대회에 참석해, 한일 양국의 노동자가 함께 일본 아베 정권의 잘못된 행보에 맞서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6일에는 일본의 또 다른 노총인 전노협(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 全勞協)이 아베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를 비판하며 한국의 노동자와 연대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일본의 노동단체들도 과거 침략전쟁에 대한 반성 없이 이웃 국가를 상대로 경제전쟁을 강행하며 양국의 노동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아베 정부에 맞서 서서히 반기를 들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노동단체도 일본 아베 정부로부터 탄압받고 있는 일본 노동단체와 연대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전국건설노동조합(이하, 건설노조)이다. 이영철 수석부위원장과 소영호 조직국장을 비롯한 건설노조 관계자 8명은 지난달 4일 3박4일 일정으로 방일하여, 아베 정부로부터 집중적인 공안탄압을 받고 있는 전일본건설운수연대노동조합(이하, 연대노조)의 저항에 연대했다. 반전·평화와 노동 운동을 펼치는 연대노조 간부들 70여 명이 최근 1년 사이에 황당한 이유로 12차례에 걸쳐 체포되거나 구속되는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이영철 건설노조 수석부위원장이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사무실에서 민중의소리와 인터뷰하고 있다.
이영철 건설노조 수석부위원장이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사무실에서 민중의소리와 인터뷰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경찰 도끼만행’으로 시작한 건설노조와 연대노조의 교류
일본 경찰, 산케이 기자 데리고 노조 사무실 압수수색

연대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지난 16일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건설노조 사무실을 찾았다. 이날 만난 이영철 수석부위원장과 소영호 조직국장은 일본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상치 않은 상황과 분위기를 전했다.

1984년 11월 결성된 연대노조는 3천여 명의 건설, 시멘트·레미콘, 트럭운전 노동자들이 모인 단체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연대노조는 노동운동 외에도 주일미군 70% 이상이 집중돼 있는 오키나와(沖縄島)에 상근자를 배치하는 등 지속적인 반전·평화 운동을 펼치는 단체이기도 하다. ‘전쟁을 할 수 있는 국가’로 평화헌법을 개정하려는 일본 아베 정부와는 의지와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단체인 셈이다.

건설노조와 연대노조의 인연은 2001년 ‘경찰의 도끼 만행 사건’에서 시작됐다. 한국의 건설노동자들이 노조 인정을 요구하며 레미콘 차량을 타고 서울 여의도에서 노숙 시위를 진행한 바 있는데, 당시 경찰은 도끼와 쇠망치를 들고 차량을 부수며 노동자들을 끌어냈다. 노동자들은 수십일 째 노숙농성으로 저항할 힘도 남아있지 않은 상태였다. 이 모습을 언론으로 접한 일본의 건설노동자들이 분노해 연대활동을 시작한 것이다.

이후 건설노조와 연대노조는 꾸준히 교류해 왔다. 연대노조는 매해 11월 서울 광화문에서 열리는 전태일 열사 정신 계승 노동자대회에 참가해 왔으며, 건설노조 또한 매해 5~7월경 일본을 찾아 연대노조의 일정을 함께 소화했다.

그런데 최근 일본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는 게 건설노조 관계자들의 말이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시작되고 한국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시작될 무렵인 올해 7월, 이 수석부위원장과 소 조직국장 등은 3박4일간 연대노조 일정에 동행했다. 이들은 연대노조와 함께 오사카(大阪)·시가(滋賀)현에 있는 경찰서와 오쓰(大津)지방법원 등을 항의 방문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일본 경찰이 연대노조 사무실을 급습해 압수수색하는 일까지 목격했다.

지난 7월 5일 일본 경찰이 산케이 신문 기자들을 대동하고 연대노조 사무실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지난 7월 5일 일본 경찰이 산케이 신문 기자들을 대동하고 연대노조 사무실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건설노조 관계자 제공

소 조직국장은 “7월 5일, (체포된 연대노조 간부들의) 재판이 있어서 법원으로 이동하는데, 함께 있던 연대노조 관계자들이 웅성거렸다. 경찰버스들이 노조 건물로 향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던 것”이라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차를 돌려 다시 노조 사무실로 돌아갔을 때는 이미 무장한 경찰 60여명이 압수수색을 위해 노조 사무실 앞에서 대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현장엔 극우 성향의 산케이신문 기자도 함께 였다. 일본 경찰은 자신들의 공권력 집행이 정당하고, 이에 항의하는 노조의 행동이 폭력적이라고 기사를 써줄 언론이 필요했던 것이다. 실제로 산케이 신문은 연대노조가 폭력적이라는 취지의 보도를 일삼아 왔다고 한다.

그럼에도, 제대로 저항 한번 못해보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이 부위원장은 “일본의 집회·시위 문화는 우리와 많이 다르다. 모여서 항의 같은 걸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다. 또 연대노조에 상급단체가 없다보니 더욱 표적이 된 듯하다”고 전했다.

연대노조가 일본의 한 레미콘 공장을 찾아가 항의행동을 전개하고 있다.
연대노조가 일본의 한 레미콘 공장을 찾아가 항의행동을 전개하고 있다.ⓒ건설노조 관계자 제공

일본 경찰의 창조적인 노조 탄압

건설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7월 사이에 12번에 걸쳐 총 76명의 연대노조 관계자가 체포됐다. 파업은 ‘위력업무방해’, 위험 건설현장에 찾아가 시정을 촉구하는 활동은 ‘공갈미수’, 아들·딸이 다니는 어린이집에 제출해야 할 취업증명서에 날인을 찍어달라고 한 것엔 ‘강요미수’ 혐의를 적용했다. 일본 경찰의 노조 탄압 방식은 가히 창조적이었다.

일본의 레미콘업체는 대부분 영세해서, 거래처인 대기업 건설사와 시멘트제조업체 양쪽으로부터 갑질을 당해왔다. 사실상 사용자도 노동자와 같은 처지였다. 이 때문에 노조는 사용자와 함께 협동조합을 꾸리고, 대기업을 상대로 ‘가격 적정화’를 요구하며 싸워왔다. 지금도 일부 사용자들은 노조와 함께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 최대 규모의 오사카광역협동조합이 “가격 적정화가 이루어지면 임금을 인상하겠다”는 노조와의 약속을 어기고, 자신들의 이익으로 착복했다. 이에 노조는 파업과 항의행동으로 맞섰다. 하지만 이런 행위들이 노조활동으로 인정받지 못한 채, 각종 혐의가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오사카광역협동조합은 혐한으로 유명한 인종차별집단을 이용해 대규모 거짓선전과 노조 사무실을 습격하는 일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게다가 일본 경찰은 체포한 연대노조 조합원과 간부들에게 사건에 대해 묻지도 않고, “노조를 그만두라”고 종용했다고 한다. 하나로 병합할 수 있는 사건을 별개의 사건으로 나눠서 혐의를 적용하기도 했다. 구속된 조합원이 보석으로 풀려나면 다른 혐의를 적용해서 다시 잡아 가두는 방식이다. 한국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 일본에선 아무렇지도 않게 벌어지고 있었다.

소 국장은 “일본에선 공모 죄라고, 테러 방지로 만든 법이 있다. 구체적인 행위가 없더라도, 사전에 이를 공모한 혐의가 있으면 처벌할 수 있는 법이다. 이 법의 시범 케이스로 연대노조를 탄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언론이 침묵하고 있어서 잘 알려지지도 않고 있다”며 “방송을 틀어도, 개인의 문제쯤으로 치부할 수 있는 내용만 그날의 주요 뉴스로 나오더라”고 전했다.

무관심이 노동자들에 대한 탄압,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전환 시도 등으로 흐르고 있었다.

이영철 건설노조 수석부위원장이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사무실에서 민중의소리와 인터뷰하고 있다.
이영철 건설노조 수석부위원장이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사무실에서 민중의소리와 인터뷰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계속되는 연대..“9월, 전세계 노동단체가 일본으로 모인다”

물론, 일본 사회에서 연대노조가 완전히 고립된 것은 아니다. 지난달 5일에도 일본의 다른 노동조합 단체인 전노협과 시민사회가 함께 경찰서에 항의방문 하는 등, 연대노조가 처한 문제에 함께했다. 이 부위원장도 “최근 일본 시민사회 중심으로 힘을 모아보자는 흐름이 생겨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부위원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대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까운 일정으로, 건설노조는 오는 9월 14일 다시 일본을 찾을 계획이다. 이날 일본에서 아베 정부의 노조탄압 행위와 관련한 국제심포지엄 행사가 열리기 때문이다. 이 행사엔 한국의 건설산업연맹 상급단체인 국제건설목공노련(Building and Wood Workers’ International, BWI) 등 건설관련 국제 노동단체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지난 7월 6일 건설노조와 연대노조가 마지막 연대교류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모습. 이날 건설노조는 연대노조에 투쟁기금을 전달했다.
지난 7월 6일 건설노조와 연대노조가 마지막 연대교류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모습. 이날 건설노조는 연대노조에 투쟁기금을 전달했다.ⓒ건설노조 관계자

심포지엄에서 이 부위원장은 한국의 노조탄압 사례에 대한 발표에 나선다. BWI도 그동안의 스포츠 캠페인 사례를 발표하고, 참가 단체들과 함께 2020년 도쿄올림픽에 관한 스포츠 캠페인을 어떻게 전개할지 논의한다. 스포츠 캠페인은 BWI가 올림픽·월드컵 개최지에서 경기장과 부대시설을 짓는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 및 안전이 제대로 지켜지는지 감시하는 내용의 캠페인이다.

이 부위원장은 최근 일본의 연이은 수출규제 조치와 일본 권력층의 혐한 발언으로, 한국 국민들의 감정이 ‘반아베’에서 ‘반일’로 격화되고 있는 점에 대해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일본 내에서 지난 침략전쟁의 과오를 뉘우치고 반전·평화 운동을 펼치는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연대활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반일’이란 표현보다는 ‘반아베’가 돼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일본을 방문했을 때를 떠올리며 “그들도 한국 상황을 아니까, 소식을 듣고 굉장히 좋아하더라. 그런 걸 우리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우리야, 겨울 내내 탄핵을 외쳐서 실제로 그걸 실현시켰는데, 일본은 그런 일을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MBC 정상화 상징 이용마 기자, 암 투병 끝 결국 별세

오전 6시 44분께 세상 떠나...빈소는 아산병원에 차려질 듯
2019.08.21 07:59:01
 

 

 

 

MBC 파업을 주도했던 이용마 기자가 21일 세상을 떠났다. 이 기자는 파업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해고됐고, 이후 암 판정을 받고 투병 중이었다. 향년 50세다. 

21일 전국언론노동조합에 따르면 이 기자는 이날 오전 6시 44분께 서울아산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최근 복막암 병세가 악화해 치료를 거의 중단했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에 차릴 예정이다. 

이용마 기자의 형 용학 씨는 이날 이 기자의 페이스북을 통해 부고를 알렸다. 용학 씨는 "잘난 동생(용마)가 먼저 앞서서 갔습니다. 못난 형은 왜 그리도 못났느니... 잘난 동생은 왜그리 성질머리를 급하게 썼는지... 그 먼 곳을 혼자 떠나는지 모르겠네요"라고 밝혔다. 

용학 씨는 "죽도록 아픈 고통이 아니고 죽어야만 되는 고통을 받아들습니다"라며 "너무나도 슬프고 마음 아픈 이별입니다. 팔순 노모 눈에 가시가 되어 감을 수 없다면서... 다음 생애에도 똑같은 마누라 데리고 살고프다 하면서... 아직 필 날이 너무 많이 남은 쌍둥이들 눈에 밟혀 눈감기 싫다 하며... 그렇게도 너무 멀리 떠났습니다"라고 떠난 동생을 그리워했다. 

용학 씨는 이용마 기자를 두고 "아직은 가족들에게 할 일이, 회사에서 할 일이, 사회에서 할 일이, 나라에서 할 일이 너무 많이 남아있고 만들어야 할 일들 너무 많은데, 이제는 조금이나마 머리 속에 들어있는 것, 풀어헤쳐 널리 흩날려서 모두가 함께 화답하고 해바라기 꽃이 활짝 피어야 되는데, 날아가버렸습니다"라고 죽음을 안타까워했다. 

MBC는 2012년 공정방송을 요구하며 170일간의 파업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이 기자와 최승호 사장(당시 MBC PD) 등 6명을 해고했다. 

MBC 노조는 이에 반발, 사측을 상대로 해직자 6인의 해고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해 1심과 2심에서 모두 승소했다. 

이후 2017년 12월 취임한 최 사장은 MBC 노조와 해직자 전원 복직에 합의했고, 이 기자를 비롯한 해직 언론인들은 약 5년 만에 MBC로 돌아왔다. 

 

 

▲ 이용마 MBC 해직 기자. ⓒ프레시안(최형락)

 

허환주 기자 kakiru@pressian.com 구독하기 최근 글 보기
2009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이후, 사람에 관심을 두고 여러 기사를 썼다. 2012년에는 제1회 온라인저널리즘 '탐사 기획보도 부문' 최우수상을, 2015년에는 한국기자협회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美 세계패권전략 이행비용을 왜 한국이 떠맡나"

평통사·참여연대 등, 美 50억달러 요구 11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협상 중단 촉구(전문)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8.20  17:07:50
페이스북 트위터
   
▲  평통사·참여연대 등 평화시민단체들은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사전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20일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의 세계전략 이행 비용을 한국에 떠넘기려는 SMA협상 중단과 SMA 폐기'를 주장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2020년 방위비분담금으로 50억 달러(약 6조 550억 원)을 요구하고 있는 미국과 우리 외교부 협상 대표단 사이에 제11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pecial Measures Agreement, SMA) 체결을 위한 비공개 사전 논의가 20일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평통사)·참여연대를 비롯한 평화시민단체들은 이날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의 세계전략 이행 비용을 한국에 떠넘기려는 SMA 협상을 중단하고 SMA 자체를 폐기하라고 정부 당국에 촉구했다.

이들은 미국이 주한미군 주둔비용 뿐만 아니라 한미연합연습, 해외 미군의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 호르무즈 해협 작전과 남중국해 작전 비용 분담 등의 명목으로 50억 달러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한국이 부담하는 방위비분담금(1조 389억 원)의 약 5.8배에 달하고 미국이 국방예산에서 지출하는 주한미군 총경비인 35억 달러를 훨씬 상회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결국 미국의 요구는 한국 방어를 위한 주한미군 경비를 넘어 해외 미군에 대한 지원까지 요구한다는 점에서 미국의 세계 패권전략 이행에 드는 비용을 한국에 떠넘기려는 것으로, 한국 방어라는 주한미군의 성격과 임무를 미국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한국이 더 이상 주한미군 경비를 부담할 근거도 소멸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지난 2월 제10차 SMA 협상에서 '작전지원' 항목을 신설해 △전략자산 전개비용 △주한미군 순환배치 비용 △주한미군 작전준비태세 비용 등 미국의 세계전략 이행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한국에 전가한 것은 한국 방어와도 무관할 뿐만 아니라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도 사문화하는 불법 부당한 요구하고 비판했다.

오미정 평통사 평화통일연구소 연구원은 "미대사관 앞도, 외교부 앞도 아닌 이곳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이유는 방위비분담금 문제가 단순히 지출해야 할 비용이 크다는 차원을 넘어 미국의 세계 패권전략에 편입될 것인지, 대한민국의 평화와 경제와 안보를 근간에서부터 다시 정립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엄중한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불법 부당한 미국의 요구를 마땅히 거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가 2020년 사상 최대 규모인 7,500억 달러(852조 7,500억 원)의 국방예산을 책정하여 중국과 러시아를 상대로 벌이는 무한 군비경쟁에 우리의 국부를 쏟아 붓게 만들겠다는 것과 다름 없다"고 미국의 의도를 지적하고 "우리의 경제와 안보, 평화를 위해서 방위비분담협정은 이제 정말 그만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가 주한미군을 위해 부담하는 총액은 이미 2019년에 1조 389억 원의 방위비분담금외에 카츄사 주둔비용, 공공요금 감면비용, 각종 미군기지 정비비용 등을 포함해서 5조 4,000억 원을 부담하고 있으며, 토지비용 저평가분을 포함하면 6조4,000억 원이나 된다"고 하면서 "미국이 요구하는 방위비분담금 50억달러를 수용하면 우리는 매년 11조원을 미국에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규모가 비슷한 터키의 국방예산 9조 7,000억 원을 상회하고 최저임금 일자리 60만개를 만들 수 있는 막대한 금액이다.

오 연구원은 "문재인 정부의 외교, 국방 관료들은 법적 근거도 없이 미국이 달라는대로 주는 구태의연한 행태를 반복해서는 안된다. 우리의 미래가 달린 문제이다. 문재인 정부는 이제는 평등한 한미관계를 위해서 , 평화·번영·통일의 새 시대를 맞이하는 자세로 방위비분담협정 폐기하고 '더 이상 미국에 수조원의 돈을 부담할 수는 없다'고  당당하게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미지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간사는 규탄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차 때도 그랬던 것 처럼 협상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SNS를 통해 사실과 다른 말을 쏟아내고 어처구니없는 금액을 요구하면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을 협박해 왔다"고 하면서 "이는 무례한 외교적 행위이며, 상대국 정부와 국민을 희롱하는 행위이다. 미국외에 어떤 나라가 이런 식으로 정부가 협상을 하나"라고 비판했다.

한국은 부유한 나라라고 하면서 주한미군 주둔경비를 더 내라고 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서는 "한국이 부유한 것은 한국 국민들이 열심히 일하고 세금을 냈기 때문이며, 이 돈은 다시 한국 국민들을 위해서 쓰여야지 미군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걸 분명히 알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안보 무임승차론에 대해서는 "한국은 주한미군 주둔경비로 이미 충분하다 못해 남아도는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방위비분담금 외에 주한미군을 위한 직·간접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고 하면서 "도대체 누가 무임승차를 하고 있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또 호르무즈 해협 파병과 관련해서는 "일방적으로 이란과의 핵협정을 무효화하고 이란의 원유 수출을 봉쇄한 미국 편에 서서 한국이 돈을 대고 동참할 이유가 전혀 없다"며 "정부는 미국의 이런 무례하고 어처구니없는 요구에 휘둘리지 말 것을 요청한다. 방위비분담금은 돌려받아야 한다. 삭감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간사는 "지금은 미국의 눈치를 볼 것이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눈치를 봐야 할 때"라며, "SMA 협상 과정을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회의 동의절차를 제대로 밟아 진행해 줄 것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11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사전 논의에 즈음한 기자회견>(전문)

 

미국의 세계전략 이행 비용을 한국에 떠넘기려는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협상을 중단하고 특별협정을 폐기하라! 


20일, 한미 당국자들 간 11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사전 논의가 이루어진다. 미국은 2020년 방위비분담금으로 50억 달러(6조 550억 원)를 제시하면서 인건비를 포함한 주한미군 주둔비용뿐만 아니라 한미연합연습, 해외미군의 전략자산 전개, 심지어는 미국의 호르무즈 해협 작전, 남중국해 작전 등에 드는 비용까지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이 액수는 한국이 부담하고 있는 방위비분담금(1조 389억 원)의 5.8배에 달하며, 한국이 부담하고 있는 주한미군 경비 약 5조 4천억 원(『2018 국방백서』, 2015년 기준)을 11조 원으로 2배 이상 올리게 되는 터무니없는 금액이다.

그러나 미국이 자국의 세계전략 이행에 드는 비용을 방위비분담금에 전가시키는 것은 아무런 법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한미소파와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을 휴지조각으로 만들고 한미 안보관계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무모한 요구가 아닐 수 없다. 이에 우리는 미국의 불법 부당하고 터무니없는 방위비분담금 증액 요구를 즉각 철회할 것과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을 폐기할 것을 한미 당국에 강력히 촉구한다.

미국의 천문학적인 방위비분담금 증액 요구는 불법 부당한 요구다.

미군은 한미상호방위조약 4조에 근거해 한국에 주둔하고 있다.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조약의 적용범위(3조)를 남한 방어에 한정하고 있다.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2조는 주한미군의 남한 방어 임무를 전제로 해 한국이 주한미군에게 시설과 구역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한미소파 5조 1항은 한국이 시설과 구역을 제공하는 것 외에 주한미군 유지에 따르는 모든 경비를 미국이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은 ‘한미상호방위조약 4조에 의한 한미주둔군지위협정(한미 SOFA) 5조에 대한 특별조치에 관한 협정’이다.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은 미국의 주한미군 철수 압력에 못 이겨 주한미군 주둔 경비는 미국이 부담한다는 한미 SOFA 5조 1항에 반해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경비(주한미군과 군속의 인건비를 제외한 주한미군 경비)의 일부를 부담하도록 한 협정이다. 이처럼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은 비록 미국의 강요로 맺어졌지만 ‘남한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주한미군’ 주둔 경비(비인적 주둔비)의 ‘일부’를 부담하기로 한 협정인 것이다.

그런데 미국이 해외 미군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 미군의 호르무즈 해협 작전이나 남중국해 작전 비용을 요구하는 것은 ‘적용범위’를 벗어난 지역에 한국을 연루시키고, 또한 한국을 미국의 세계패권전략 수행을 위한 전초기지로 만든다는 점에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반하며 해외 미군의 비용을 부담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한미 SOFA에도 어긋나고, 주한미군 인건비를 포함한 주한미군 총 주둔 경비를 훨씬 뛰어넘는 액수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방위비분담특별협정에도 위배된다. 

즉, 미국의 세계전략 이행을 위한 방위비분담금 대폭 증액 요구는 남한 방어라는 주한미군의 임무를 부정하고 주한미군을 미국의 세계패권전략 수행을 위한 군대로 성격과 임무를 전환시킴으로써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 소파,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을 무력화하고 사문화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이 방위비분담금을 포함한 주한미군 경비를 부담하는 근거를 미국 스스로 소멸시키는 셈이다.

이에 주한미군이 한국 방어가 아닌 미국의 세계패권전략 수행을 임무로 하게 되는 이상 한국이 주한미군에게 시설과 구역을 제공할 근거가 사라졌으며, 오히려 우리가 미군기지에 대한 임대료(2015년 기준 7105억 원)를 받아 내야 한다. 아울러 아무런 법적 근거(이승만-맥아더 구두 협약)도 없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운용되는 카투사 제도(2015년 기준 직·간접비용 합계 1034억 원)도 폐지해야 하며, 주한미군에 대한 세금 면제·감면(2015년 기준 1312억 원) 등 주한미군에 대한 불법 부당한 직·간접 지원을 즉각 전면 철회해야 한다.

‘작전지원 항목’ 신설 결코 안 된다.

미국은 방위비분담금 증액을 위해 10차 협상 때 작전지원 항목(전략자산 전개비용, 주한미군 순환배치 비용, 주한미군 작전준비태세 비용 등)을 신설하여 그동안 미국이 부담해 왔던 전략자산 전개 등 한반도 역내, 외에서의 미군의 작전지원비용을 한국에 전가시키기 위해 골몰했다.

그 결과 10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 이행약정에 “일시적 주둔 지원을 위해”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훈련차 한국을 방문하는 해외 미군에 대한 지원의 길이 열렸다. 나아가 군수분야 분담 세부항목에 “기지운영지원의 일부(공공요금 중 전기·천연가스·상수도·하수도 요금, 저장, 위생·세탁·목욕, 폐기물 처리 용역)” 비용을 추가해 주한미군뿐만 아니라 해외 미군이 쓰는 공과금과 폐기물 처리 용역 등까지 한국이 지원하는 길을 텄다. 이제 한국을 거쳐 호르무즈 해협, 남중국해로 가는 해외 미군까지 방위비분담금을 통해 지원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미국은 이번 11차 협정 협상에서도 미국의 세계패권전략 이행 비용의 한국 전가를 위해 작전지원 항목 등의 신설에 매달릴 것이다. 그러나 항공모함, 잠수함, 전략핵폭격기 등의 전략자산 전개비용이나 주한미군 순환배치비용, 사드 운영비 등은 미국의 세계전략 이행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으로 한국 방어와는 무관하며, 한미 소파와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의 규정을 한참 벗어나는 불법적 요구라는 것은 앞서 지적한 대로다. 강경화 장관도 전략자산의 전개비용에 대해 “분담금의 기본 취지와도 안 맞다.”(2018.10.1)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미국은 불법 부당한 작전지원 항목 등의 신설 요구를 즉각 철회해야 하며 한국은 결코 이 불법적인 작전지원 항목 등의 신설 요구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방위비분담금은 대폭 삭감되어야 한다. 미국이 끝내 방위비분담금을 대폭 올리려고 한다면 한국은 즉각 협상을 중단하고 방위비분담특별협정 폐기에 나서야 할 것이다!

감액 5570억 원, 불용액 1171억 원, 군사건설비 미집행현금 2880억 원, 2019년도로 이월된 784억 원 등 미집행 방위비분담금과 설계지연 등의 사유로 집행되지 않은 군사건설비 9302억 원 등 미집행 현물 지원 방위비분담금을 합쳐 2018년 12월 현재 미집행 방위비분담금은 무려 2조 원에 달한다. 미국이 미집행 방위비분담금으로 이자놀이를 해 불법 착복한 이자소득도 최소 3000억 원 이상이다. 또한 2018년 말 평택미군기지 이전사업이 마무리되어 매년 군사건설비로 들어가던 수천억 원의 감축 소요가 발생한다. 방위비분담금을 대폭 줄이거나 전액 삭감해야 할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

앞서 지적한 대로 미국의 방위비분담금 50억 달러 요구는 한국 방어와 무관하며, 아무런 법적 근거도 없이, 미국의 세계패권전략 이행 비용을 한국에 전가시키려는 것이다. 미국의 주류 언론과 안보 전문가들도 트럼프 정권의 무모한 방위비분담금 증액 요구에 한미 안보관계가 크게 훼손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정권이 한국을 그저 자신들의 잇속이나 챙기는 대상으로 여긴다면 한국이 막대한 국민혈세를 축내며 방위비분담금 협상에 나서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아울러 트럼프 정권이 한국에 불법 부당한 청구서를 내미는 창구가 되고 있는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을 폐기하는 것 외에 달리 길이 없다.

미국이 요구하는 약 6조 원의 방위비분담금은 2019년 추경예산 약 5.8조 원을 상회하며, 최저임금 일자리 30만 개 이상을 창출할 수 있는 막대한 금액이다. 또한 한국이 미국의 요구대로 주한미군 유지 경비로 11조 원을 부담하게 되면 이는 한국과 경제 규모가 비슷한 터키의 국방예산(9.7조 원)을 상회하는 천문학적 액수의 금액이다. 한국이 이 막대한 예산을 미국에 헌납하며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을 지켜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오히려 그 대가는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 재개, 남북 철도·도로 연결을 가로막는 등 남북관계 발전의 발목이 되어 돌아오고 있지 않는가? 그렇다면 이제 한반도와 민족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유일한 길인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의 이행을 위해서도 한미동맹을 탈피해 한반도와 동북아의 새로운 안보 틀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방위비분담특별협정부터 과감히 벗어던져 버려야 한다.

2019. 8. 20.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AWC한국위원회, 전국학생행진, 참여연대, 사회진보연대
기자회견 참가자 일동

(추가-18:3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국회의원 '톱 30명', 소유 부동산만 4000억대

경실련 "3년간 평균 30억 원 시세 차익...재산 공개토록 법 개정해야'
2019.08.20 11:44:53
 

 

 

 

부동산 재산 상위 30명 국회의원이 가진 부동산 평균 시세가 144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공개한 평균 신고가액의 두 배에 달했다. 
 
20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서울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회의원 상위 29명, 보유 부동산 시세 절반만 신고
 
경실련이 올해 기준 가장 많은 부동산 재산을 신고한 국회의원 30명(이완영 제외 29명)의 부동산 보유 현황과 임기 중 재산가액 변화를 조사한 결과, 이들이 보유한 부동산 시세 총합은 4181억3632만 원으로 나타났다. 평균 보유 부동산 시세는 144억1849만 원이었다. 
 
이들이 공개한 신고가액 2233억4346만 원(1인당 평균 77억149만 원)의 두 배에 가까운 차이다. 신고가액과 시세의 차액이 1947억9286만 원으로 시세반영률은 53.4%에 불과했다. 
 
국회의원 중 가장 비싼 부동산 자산을 보유한 이는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었다. 박 의원은 보유 부동산으로 352억503만 원을 신고했으나, 이들 부동산의 시세는 657억6983만 원에 달해 차액이 305억6480만 원이었다.  
 
뒤를 김세연 자유한국당 의원(신고가액 300억1891만 원, 시세 657억2678만 원), 박덕흠 자유한국당 의원(신고 295억1398만 원, 시세 476억4024만 원), 홍문종 우리공화당 의원(신고 123억949만 원, 시세 240억6508만 원), 정우택 자유한국당 의원(신고 42억1780만 원, 시세 176억1603만 원)이 이었다.  
 
이들 부동산 보유 상위 5명의 재산 신고가액은 1113억 원에 달했으나, 시세는 2208억 원에 달해 시세반영률이 50.4%에 불과했다.  
 
특히 정우택 의원은 신고가 기준으로 국회의원 중 재산 22위였으나, 그가 보유한 성수동 빌딩 등의 신고가액 시세가 적용되면서 재산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별로 보면 자유한국당 의원이 16명으로 가장 많았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6명, 바른미래당 의원이 3명, 민주평화당 의원이 2명, 우리공화당 의원이 1명, 무소속 의원 1명이었다. 
 
3년간 평균 30억 원 시세 차익 올려 
 
이들 국회의원 29명의 부동산 자산 가치는 임기를 시작한 2016년 이후 3년 간 시세 기준 868억2000만 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부동산 투자로 평균 29억9000만 원의 시세 차익을 올렸다.  
 
김세연 의원이 2016년 가진 부동산의 시세는 499억7000억여 원이었으나, 2019년에는 657억 원이 넘어 시세 차익 157억6000만여 원을 올렸다.  
 
박정 의원이 얻은 시세 차익은 139억4000만 원이었다. 정우택 의원이 113억7000만 원, 박덕흠 의원이 62억4000만 원의 시세 차익을 얻었다.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6년 부동산 3억2000만 원을 보유했다고 신고했으나(당시 시세 3억9000만 원), 2019년에는 58억5000만 원을 신고했다. 현재 해당 부동산의 시세는 70억5000만 원에 달한다는 게 경실련 측의 조사 결과다.  
 
조사한 전체 의원 29명의 부동산 자산은 2016년 3313억 원에서 올해 4181억 원으로 868억 원 증가했다.  
 
경실련은 "국회의원들의 부동산 재산 신고가액이 시세를 절반만 반영해, 투명한 재산공개를 통해 부정한 재산 증식을 방지하고 공직자 윤리를 강화한다는 법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며 "대부분 국회의원이 부동산 재산을 공시지가로 신고해 재산을 축소했고, 막대한 세금 특혜까지 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 20일 경실련이 서울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국회의원 부동산 재산 현황을 발표했다. ⓒ프레시안(이대희)

경실련 "국회의원 부동산 재산 온라인 공개토록 공직자윤리법 개정해야"
 
상위 29명 국회의원이 보유한 부동산은 총 484건이었다. 1인당 평균적으로 논·밭·임야 등 대지 10건, 아파트·오피스텔·주택 등 주택 3건, 상가·빌딩·사무실 등 1건씩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덕흠 의원이 총 83건의 토지를 보유했고 그 뒤를 김세연(45건), 주승용(42건) 의원이 이었다. 주택이 많은 국회의원은 이용주(27건), 박덕흠(7건), 강석호(6건) 의원 순이었다. 상가·빌딩·사무실을 많이 가진 국회의원은 이철규(4건), 진영(3건) 의원 순이었다. 
 
경실련은 이 같은 조사 내역도 완전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국회의원 중 19명의 가족 38명이 독립생계 유지, 타인부양 등을 이유로 재산 고지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경실련은 이 같은 이유로 인해 이들 국회의원이 가진 정확한 재산 규모가 축소됐다고 밝혔다. 
 
신고 자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고 경실련은 지적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박정 의원은 2014년 12월 서울 상암동 트루텍 빌딩을 383억 원에 샀으나, 취득가보다 낮은 공시지가로 신고했다. 정우택 의원은 보유한 서울 중랑구 도로부지를 '0원'으로 신고했다. 공시지가는 2018년 기준 제곱미터당 120만 원이었다.  
 
공직자윤리법은 공시가격 또는 실거래가 중 높은 가격으로 부동산 재산을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부 국회의원이 시세를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관 의원이 운중동 단독주택을, 장병완 의원은 한남동 한남더힐을, 김세연 의원은 부산의 상업용지를 새로 취득하며 실거래가로 신고했다.  
 
경실련은 "국회의원 재산 공개가 공시가격 기준 축소, 고지거부, 인사혁신처의 허술한 심의와 불투명한 공개 등에 따라 '반쪽짜리 공개'로 이뤄지고 있다"며 "대부분 공직자가 시세의 30~60% 수준의 공시가격으로 신고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순철 경실련 사무총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본인 재산을 처음 공개하면서 다른 고위공직자의 재산도 강제로 공개토록 했다"며 "당시 김 전 대통령이 남긴 유명한 말이 '돈과 명예를 같이 갖지 말라'는 것이었다. 자기가 가진 재산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공직자의 자세일 것"이라고 일침했다.  
 
경실련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공직자윤리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동산 재산의 공시가격과 실거래가를 모두 신고하고 △재산 신고 시 해당 재산의 취득 일자·취득 경위·소득원 등 재산형성 과정을 의무적으로 심사토록 하며 △고위공직자 재산을 현행 공고 게시 대신 재산 변동 현황을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개로 바꾸고 △인사혁신처의 실거래가 평가 시기를 취득 시점으로 해석하는 문제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헌동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본부장은 "한국의 상위 0.001%에 불과한 고위공직자 5300여 명이 권력 90% 이상을 독점하고 있다. 특히 국회의원은 입법권까지 갖고 있다"며 "이들이 그 막강한 권력으로 자기 재산을 절반으로 축소하고, 가족의 재산을 숨기는 게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 본부장은 특히 최근 정치권의 논란이 되고 있는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포함한 장관 후보자의 재산 검증도 조만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조국 후보자가 2017년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취임할 당시 신고한 재산 내역이 있을 것"이라며 "당시 제대로 신고했는지, 실거래가를 신고했는지 여부 등을 검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국회 관보에 게재된 부동산 공개현황을 토대로 시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부동산 시세는 최근 3년 이내 해당 필지 또는 주변 실거래가 평균값이며,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은 KB부동산 시세 자료를 활용했다고 경실련은 전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진핑의 진압 3종 세트: 무경, 공안, 해방군

6.4 톈안먼에도 무경 투입, 무경은 해방군과 공안 중간 성격
 
뉴스프로 | 2019-08-20 07:29:21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시진핑의 진압 3종 세트: 무경, 공안, 해방군 
– 6.4 톈안먼에도 무경 투입 
– 무경 선전에 집결 
– 무경은 해방군과 공안 중간 성격 
– 《기본법》에 따라 개입 가능

8월 17일 타이완 야후 포털에 진보적 언론매체인 상보(上報)의 기사가 올라왔다.

국제사회는 1989년 6.4 톈안먼의 피비린내 나는 진압이 홍콩에서 재연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중국정부가 이미 홍콩 변경지역으로 부대를 집결시켰다는 정보를 받았다고 밝혔으며, 중국 관영매체인 《인민일보》 또한 웨이보(微博)를 통해 무경 차량 행렬이 이미 선전(深圳)에 집결해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무경(武警)’은 1982년 성립된 국가 군대조직 중 하나로 중앙군사위원회가 무경총부를 통해 지휘한다. 무경부대의 무관은 현역군인으로 해방군에 속하지는 않지만 전시에 해방군 인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해방군에 편재되어 전장에 배치될 수 있다.

1989년 6.4 사건 당시 베이징 당국은 무경과 해방군을 파견하여 공안과 협력하도록 하였다. 6.4 사건으로 중국 정부는 국내 안보 지출을 증가시키기로 결정했으며 또한 도심 항의 진압에 있어 무경의 권한을 확대했다.

홍콩이 미국으로 ‘기울어져’ 미국의 대중국 억제책의 교두보가 된다면, 혹은 홍콩이 심각한 정치 불안으로 인도주의적 재난이 발생해 무정부 상태에 빠져 민생이 도탄에 빠진다면, 극단분자들의 무장 폭동으로 실질적인 정권이 수립된다면, 베이징 정부 혹은 해방군은 홍콩 정국에 강력하게 개입할 것이다.

《기본법》 제18조에 따르면‘홍콩에서 홍콩특구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국가 통일 혹은 안보에 위협이 되는 동란이 발생할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특구가 긴급상태에 진입했음을 선포할 권리가 있으며, 중앙인민정부는 전국에서 시행되는 관련 법률을 홍콩에서 시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진보적 언론매체인 상보의 기사를 번역한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아행

기사 바로가기: https://bit.ly/2TKbfht

【香港反送中】習近平鎮壓3寶 武警、公安、解放軍大解密

[홍콩 범죄인 송환] 시진핑의 진압 3종 세트: 무경, 공안, 해방군의 비밀을 밝히다

上報 國際中心

2019年8月17日 上午11:01 / 2019년 8월 17일 오전 11:01

香港反送中運動自6月延燒至今,國際社會擔憂1989年的六四天安門的血腥鎮壓將在香港重演。美國總統川普(Donald Trump)甚至在推特表示,美方已經收到情報,稱中國政府正調動部隊在香港邊境集結;中國官媒《人民日報》也在微博公布,武警車隊已在深圳集結。

홍콩 범죄인 송환 반대 운동이 6월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1989년 6.4 톈안먼의 피비린내 나는 진압이 홍콩에서 재연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심지어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중국정부가 이미 홍콩 변경지역으로 부대를 집결시켰다는 정보를 받았다고 밝혔으며, 중국 관영매체인 《인민일보(人民日報)》 또한 웨이보(微博)를 통해 무경 차량 행렬이 이미 선전(深圳)에 집결해 있다고 밝혔다.

風聲鶴唳、風雨欲來的氛圍之下,中國武力鎮壓香港已被傳得沸沸揚揚。而中國「武警」屬於何種性質的武裝力量,與公安、解放軍有何區別,過去曾扮演的角色為何?在何種條件下,武警或其他部隊會介入香港局勢?

위험으로 가득 찬 일촉즉발의 분위기 속에서 중국의 홍콩 무력 진압은 이미 떠들썩하게 알려졌다. 그렇다면 중국의 ‘무경(武警)’은 어떤 성격의 군사력이고 공안 및 해방군과는 무슨 차이가 있으며 과거에 어떤 역할을 했을까? 어떤 상황에서 무경 혹은 다른 부대들이 홍콩 정세에 개입할까?

武警部隊中的武官是現役軍人,但不隸屬於解放軍。(湯森路透) 
무경부대의 무관은 현역군인이지만 해방군 소속은 아니다. (톰슨 로이터, TRI)

《香港01》報導,中國人民武裝警察部隊(簡稱武警、武警部隊)1982年6月依《中華人民共和國人民武裝警察法》成立,是國家武裝力量的組成部分之一,由中央軍事委員會透過武警總部領導。

《홍콩01(香港01)》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中國人民武裝警察部隊, 약칭 무경 혹은 무경부대)는 1982년 《중화인민공화국 인민무장경찰법(中華人民共和國人民武裝警察法)》에 따라 성립된 국가 군대조직 중의 하나로 중앙군사위원회(中央軍事委員會)가 무경총부(武警總部)를 통해 지휘한다.

武警部隊中的武官是現役軍人,平時主要負責執勤、處理突發事件、反恐怖、參加和支援國家經濟建設等任務,戰時配合解放軍進行防衛作戰,以維護國家政治安全和社會穩定。

무경부대의 무관은 현역군인으로 평소에는 임무수행, 돌발사건 처리, 반테러, 국가 경제 건설 참여 및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전시에는 해방군의 방위작전에 협조해 국가의 정치적 안전과 사회 안전을 수호한다.

香港反送中運動情勢升級,港府屢次出動鎮暴警察對付示威行動。(湯森路透) 
홍콩의 범죄인 송환 반대 운동이 고조되면서 홍콩 정부는 여러 차례 진압경찰을 출동시켜 시위대에 대응했다. (톰슨 로이터, TRI)

「武警」不屬於解放軍 戰時仍可能上陣

해방군 소속이 아닌 ‘무경’, 전시 투입 가능

武警像是介於解放軍和公安之間的武裝力量,與解放軍一樣完全實行軍事化管理,公安則屬於機關事業編制,而武警亦不屬於解放軍,只有在戰時解放軍人手不足時,武警才有可能被編入解放軍中上陣。

무경은 해방군과 공안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군사력으로 해방군처럼 완벽하게 군대식으로 관리하지만 공안은 기관의 사업으로 편재되어 있다. 무경은 해방군에 속하지는 않지만 전시에 해방군 인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해방군에 편재되어 전장에 배치될 수 있다.

一般來說,武警常與公安合作,當公安需要強大的武裝力量處理內部事務時,如緝毒或打擊恐怖主義等,但又不至於需要「大陣仗」直接調用軍隊鎮壓時,就會出動武警。報導稱,目前武警部隊轄內衛、機動、海警三大總隊,成為受中國中央政府、軍委直接領導、管理、指揮的中國重要武裝力量。

일반적으로 무경은 대체로 공안과 협력한다. 마약 단속이나 테러리스트 공격 등 공안 내 사무 처리에서 있어 강력한 무력이 필요하지만 ‘대규모 전투’로 군대를 직접 동원해 진압할 필요까지는 없는 경우 무경이 출동하게 된다. 보도에 따르면, 현대 무경부대에는 내위(內衛), 기동(機動), 해경(海警) 3대 총대(總隊, 연대 혹은 사단급에 해당, 역자 주)로 나뉘며, 중국중앙정부와 군사위원회의 직접적인 지도, 관리, 지휘를 받는 중국의 중요 군사력이다.

六四也出動「武警」 北京處理示威的幫手

6.4 톈안먼 때도 출동한 ‘무경’, 베이징의 시위 처리 조력자

1989年六四事件中,北京當局即派出武警、解放軍和公安協力合作,在天安門廣場對示威集會進行武力清場行動,其中解放軍、武警由解放軍北京軍區司令員周衣冰統一指揮。

1989년 6.4 사건 당시 베이징 당국은 무경과 해방군을 파견하여 공안과 협력하도록 하였다. 톈안먼 광장에서 시위 집회를 무력 진압했을 때는 해방군 베이징군구(北京軍區) 사령(司令) 저우이빙(周衣冰)이 해방군과 무경을 통합 지휘했다.

據報導,有說法指稱,六四事件讓中國政府決定增加國內安全開支,並且擴大武警在鎮壓城市抗議活動時的權限。

보도에 의하면, 6.4 사건으로 중국 정부는 국내 안보 지출을 증가시키기로 결정했으며 또한 도심 항의 진압에 있어 무경의 권한을 확대했다.

近年來,中國各地經常使用武警來對付抗議民眾,例如,被視為是中國集體事件的標誌性里程碑之一的2011年廣東省烏坎村抗議事件等。武警的職責有時也會被直接隸屬於公安機關的特種警察(簡稱特警)替代,例如2019年發生的武漢抗議建焚化爐事件。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각 지역에서는 종종 무경을 통해 항의하는 민중들에게 대응해왔다. 중국 단체 사건의 상징적인 이정표 중 하나인 2011년 광둥성 우칸촌(烏坎村) 항의 사건 등이 그 일례이다. 무경의 직위가 때로는 공안기관 직속 특공경찰(特種警察, 약칭 특경)로 대체되기도 했다. 2019년에 발생한 우한(武漢) 소각로 건설 항의 사건이 그 예이다.

3種解放軍鎮壓情況 3가지 해방군 진압 상황 若香港局勢持續惡化,武警是否真的已「蓄勢待發」、準備進入香港?中國官媒《環球時報》總編胡錫進先前指出,若是香港出現對愛國力量的大清洗,香港「倒向」美國,真要變成美國遏制中國的橋頭堡;或者是,香港因為嚴重政治動盪出現人道主義災難,譬如不同派系相互大規模仇殺,城市陷入完全無政府狀態,出現民不聊生。再者,還可能發生極端分子搞武裝暴亂,控制香港中樞機構,建立事實上的政權等,上述3種狀況,北京政府或解放軍就會強力介入香港局勢。

홍콩 상황이 계속 악화된다면 무경은 정말 이미 ‘대기 상태’로 홍콩 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일까?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環球時報)》의 총편집자 후시진(胡錫進)은 얼마 전 다음과 같이 밝혔다. 홍콩에서 애국세력에 대한 대청소가 일어나 홍콩이 미국으로 ‘기울어진다면’ 미국의 대중국 억제책의 교두보가 될 것이다. 혹은 홍콩이 심각한 정치 불안으로 당파간 상호 대규모 살상과 같은 인도주의적 재난이 발생할 경우 도시는 완전한 무정부 상태에 빠지게 되고 민생은 도탄에 빠질 것이다. 게다가 극단분자들의 무장 폭동이 일어나 홍콩 중요 기관들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정권을 세울 수도 있다. 상기 3가지 상황에서 베이징 정부 혹은 해방군은 홍콩 정국에 강력하게 개입할 것이다.

中國解放軍在深圳集結的畫面流出。(湯森路透) 
중국 해방군 션전 집결 사진 유출(톰슨 로이터, TRI)

中國提《基本法》背書武警駐港 중국 《기본법(基本法)》에 따른 무경의 홍콩 주둔 거론 報導指出,環球時報記者付國豪在香港機場遭遇圍堵、攻擊後,解放軍東部戰區陸軍微信公號「人民前線」發表文章指出,《基本法》第18條有規定:「香港發生特區政府不能控制的危及國家統一或安全的動亂時,全國人大有權宣布特區進入緊急狀態,中央人民政府可發布命令將有關全國性法律在香港實施。」

보도에 따르면, 환구시보 기자 푸궈하오(付國豪)가 홍콩 공항에서 시위대에 둘러싸여 공격을 당한 후 해방군 동부전구(東部戰區) 육군 공식 위챗 ‘인민전선’은 《기본법》 제18조에 ‘홍콩에서 홍콩특구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국가 통일 혹은 안보에 위협이 되는 동란이 발생할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특구가 긴급상태에 진입했음을 선포할 권리가 있으며, 중앙인민정부는 전국에서 시행되는 관련 법률을 홍콩에서 시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다고 밝혔다.

該文章還引中國《人民武裝警察法》第2章第7條規定,武警參加處置暴亂、騷亂、嚴重暴力犯罪事件、恐怖襲擊事件和其他社會安全事件。

또한 《인민무장경찰법》 제2장 7조 무경은 폭동, 소란, 심각한 폭력 범죄 사건, 테러 습격 사건 및 기타 사회 안보 사건을 처리한다 라는 규정을 인용하였다.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m/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7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해외동포원호위원회 재일동포자녀들에 대한 일본당국의 탄압말살행위를 규탄

프레스아리랑 | 기사입력 2019/08/20 [02:01]
  •  
  •  
  •  
  •  
  •  
 

 

▲ 일본정부의 <유아교육 보육의 무상화> 정책에 조선인 아동들이 제외될 위기에 놓인가운데 일본당국의 비인도적인 탄압책동에 재일조선인들이 항의하고 있다.

 
 

8월 19일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조선해외동포원호위원회가 공화국과의 그 무슨 《조건부없는 대화》를 운운하며 너스레를 떨던 일본이 또다시 총련과 재일동포들에 대한 탄압말살책동에 광분하고있는것과 관련하여 19일 이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미 보도된바와 같이 일본당국은 지난 5월 10일 국회에서 《유아교육, 보육무상화》를 내용으로 한 《아이키우기지원법》이 성립된데 따라 10월 1일부터 유치원,보육소 등의 유아교육,보육시설에 다니는 3살부터 5살까지의 모든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그 비용을 《무상화》하는 조치를 실시한다고 한다.
 

성명은 문제는 일본당국이 이 지원제도에서 조선학교의 유치반들을 배제하려는 의도를 로골적으로 드러내보이며 악랄하게 책동하고있는것이라고 까밝혔다.
 

유아보육,보육지원대상에서 조선학교의 유치반들을 제외시키려는 일본반동들의 책동에는 재일조선인들의 민족교육을 파탄시키고 동포사회의 장래발전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워보려는 간특하고 음흉한 정치적기도가 깔려있다고 하면서 성명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학령전의 유아들과 유치반대상 재일동포자녀들에게 전대미문의 차별정책을 강요하려고 미쳐날뛰는 일본반동들의 속심은 불보듯 명백하다.
 

그것은 재일동포 새 세대들을 우리 공화국과 총련조직의 품에서 떼여내고 동화,귀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일본땅에서 재일동포사회자체를 없애버리자는것이다.
 

력사적, 도덕적책임과 의무의 견지에서 보아도 일본당국은 조선학교 유치반 원아들을 지원대상에 선참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죄행에 대한 반성과 도덕적책임은 안중에도 없이 오히려 재일조선인이라고 하여 모국어를 한창 배워야 할 유치반 어린이들에게까지 로골적인 차별과 배타적행위를 감행해나선것은 정치난쟁이 섬나라 족속들의 가장 너절하고 파렴치한 파쑈적범죄로 된다.
 

우리는 총련과 재일동포들을 대상으로 더욱 교활하고 악착스럽게 감행되는 일본반동들의 졸렬하고 유치한 탄압말살행위를 절대로 수수방관하지 않을것이다."

 
본사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명박과 싸운 기자, 그가 벌레를 먹어야 했던 이유

[삽질 10년, 산 강과 죽은 강] 금강-낙동강 탐사보도를 떠나며

19.08.20 09:38l최종 업데이트 19.08.20 10:05l

 

조만간 출범할 국가 물관리위원회는 오는 9월~10월경 '금강-영산강 보 처리 방안'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까? <오마이뉴스>는 8월 21일부터 31일까지 금강과 낙동강 현장을 환경단체들과 동행취재하면서 4대강 보의 문제점 등을 탐사보도한다. '삽질 10년, 산 강과 죽은 강' 특별기획 보도는 9월 말까지 이어진다. 10월에는 <오마이뉴스>가 제작한 4대강 다큐멘터리 영화 <삽질>(영화투자배급사 <엣나인필름>)을 영화관에서 개봉한다.[편집자말]

'자전거 탄 금강' 행사 공동 주최 : 
금강유역 환경회의,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세종환경운동연합, 서천생태문화학교, 이상돈 국회의원실, 충남연구원(기술 후원)

동행취재 : 
김종술 이철재 권우성 김병기 기자

 



한 남자가 땡볕에 금강 모래톱에서 풀을 뽑고 있다. 검게 그을린 팔뚝은 벌레에 물리고 풀에 벤 상처투성이다. 지난 7월부터 시작한 일이다.

 

누가 시킨 일은 아니다. 그늘 한 점 없는 뙤약볕에서 땀을 비 오듯이 흘리는 고된 노동의 대가를 누가 지불해주는 것도 아니다. 지난 10년 동안 거의 매일 금강에 나가 4대강사업으로 죽어가는 강의 모습을 취재해 기사로 올렸던 그는 요즘 취재수첩과 카메라뿐만 아니라 낫과 삽을 들고 공주의 국가 명승지인 곰나루로 출근한다.

'금강의 요정'이라는 별명이 붙은 김종술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그가 페이스북에 올린 풀을 뽑는 모습을 보고 더러 지인들이 연락 해온다고 했다. 대부분 "너무 고생한다"면서 "함께하지 못해 미안하다"는 말로 위로를 한단다. 실제로 삽을 들고 와서 함께 풀을 뽑는 지인도 있다. 하지만 더러는 "미친 짓"이라고 손가락질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나도 처음 이야기를 들었을 때 뜨악했다.

"아침부터 풀을 뽑기 시작해서 오후에 뒤를 돌아보면 거짓말처럼 풀들이 이만큼 자라있더라고요. 다음날 또 같은 일을 반복합니다."

그는 왜 이 일을 계속하고 있는 것일까?

[풀과의 전쟁] 그가 삽을 들고 금강에 가는 까닭
 
 김종술 기자가 풀뽑기 작업을 하고 있는 금강 곰나루 모래톱은 국가 명승지이다.
▲  김종술 기자가 풀뽑기 작업을 하고 있는 금강 곰나루 모래톱은 국가 명승지이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예쁘지 않잖아요."

그가 곰나루 모래톱에서 '풀과의 전쟁'을 벌이는 이유는 단순했다. 금강 공주보의 수문개방 이후 드러난 모래톱이 풀로 뒤덮여 있어서 보기에 좋지 않다는 것이었다. 3~4개월 전만 해도 곰나루 모래톱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풀이 키보다 높이 자라서 사람들이 접근할 수 없는 곳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모래톱에 풀이 나기 시작한 건 4대강사업 후유증이다. 원래 강변에 쌓인 모래톱에는 풀이 많이 자라지 않는다. 배수가 잘되는 모래 속에는 풀이 자라는 데 필요한 물이 없다. 곰나루 모래톱 역시 4대강사업 이전에는 금은모래가 펼쳐진 곳이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래사장에서 모래성을 쌓고 강수욕을 하면서 멱을 감았다. 이곳은 '소풍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4대강사업 때 수심 6m를 유지하려고 모래를 다 파냈다. 하류에 공주보를 세워서 이곳을 수몰시켰다. 매년 여름만 되면 모래 대신 녹조가 창궐했다. 수심이 깊기에 곳곳에 '접근금지' 안내판이 나붙었다. 보에 갇혀 오도 가도 못하는 펄이 쌓인 강바닥에서는 최악의 수질 4급수 지표종인 실지렁이와 붉은 깔따구가 득시글했다.

아래 두 개의 사진을 비교하면 이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니라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4대강 사업 전 곰나루에서 본 상류의 모습
▲  4대강 사업 전 곰나루에서 본 상류의 모습
ⓒ 오마이뉴스

관련사진보기

 
 4대강 사업 후 곰나루에서 본 상류의 모습
▲  4대강 사업 후 곰나루에서 본 상류의 모습
ⓒ 오마이뉴스

관련사진보기


그가 두려워하는 것

이곳에 모래톱이 다시 쌓이기 시작한 것은 문재인 정부 들어서다. 상류의 세종보와 하류쪽의 공주보 수문을 열자 강바닥의 펄이 쓸려갔고, 상류에서 흘러온 모래가 쌓이기 시작했다. 최근에 4대강사업 때 금강에 세운 3개 보 중 유일하게 닫혀 있었던 백제보마저 열린 뒤에는 강바닥이 더 드러났다.

겉보기에는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10년 전의 모래톱은 아니다. 아직도 강변에선 시큼한 냄새가 가시지 않고 있다. 풀도 자라고 있다. 4대강사업 이후에 쌓인 펄들이 완전히 씻겨 내려가지 못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풀들이 모래 속에 남은 펄에 뿌리를 박고, 그곳에서 수분과 양분을 공급받으면서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것이다.

"공주보의 수문이 지금은 열려있지만, 구조물이 그대로 서 있는 한 언제 다시 닫힐지 모릅니다. 그게 두렵습니다. 곰나루의 모래톱이 예전과 같아야만 사람들이 자주 찾아올 수 있습니다.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면 공주보 수문이 또 닫힐지도 모르죠. 그래서 오늘도 나는 풀을 뽑고 있는 겁니다."

4대강사업의 흔적인 펄이 완전히 씻기려면 앞으로 몇 년이 더 흘러야할지는 그도 모른다. 금강의 보 수문이 계속 열려있거나 해체된다면, 곰나루는 저절로 과거의 모습을 되찾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날이 저절로 오리라는 것을 믿지 않는다. 사람들이 계속 이곳으로 소풍을 와야만, 그날이 좀 더 빨리 오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는 삽과 낫 한 자루 들고 다시 흐르기 시작한 금강을 지키고 있다. 풀과의 전쟁을 벌이면서 마침내 다시 쌓이기 시작한 모래톱을 사수하고 있다. 곰나루 모래톱에서 풀을 뽑으면서 시민들에게 '이곳으로 소풍을 오라'고 외치고 있다.

[삽질과의 10년 전쟁] 뱀에 물리고 정신과 약을 먹으며...

그가 금강에서 풀만 뽑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10여년 전만해도 이 지역에서 잘나갔던 지역 언론사인 백제신문사의 대표 기자였다. 기자와 직원을 거느린 사장이었다. 하지만 4대강사업을 취재하면서부터 자치단체와 기업-업체 광고주들은 4대강사업 비판 기사를 중단하지 않으면 모든 광고를 끊겠다고 협박을 해왔다.

재정이 열악한 대부분의 지역 언론사들은 여기에 굴복했지만, 그는 달랐다. 신문사의 광고부서를 없앴다. 더 이상 기사를 대가로 부당한 광고를 받지 않겠다고 작심한 것이다. 그리고 몇 개월간 통장에 남아있던 돈을 기자들의 월급과 취재비로 써버리고 신문사 문을 닫았다. 그 뒤부터 <오마이뉴스>의 4대강 취재 전문 시민기자로 나서서 '삽질과의 전쟁'을 벌였다.

10년 동안 옆에서 지켜본 그의 취재활동은 '나홀로 삽질'처럼 무모하리만치 처절했다. 2009년, 비밀군사작전을 벌이는 것도 아닌데 4대강 공사장 인부들은 카메라를 든 그를 내쫓았다. 망치를 내던지고 삽을 휘두르면서 그를 협박했다. "밤길 조심하라"는 말은 수도 없이 들었고 "4대강 공사를 취재할 때는 태어나서 듣지 못한 쌍욕을 다 들었다"고 했다.

물고기가 금강에서 떼죽음을 당했을 때 그는 매일 새벽 강에 나갔다. 썩은내가 진동하고 구더기가 들끓는 물고기 사체를 마대 자루에 담았다. 이명박 정부가 물고기 떼죽음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기 때문이다. 공무원들의 출근시간인 오전 9시 이전에 죽은 사체의 정확한 숫자를 취재해서 기사에 담았다.

물고기의 사체가 꿈속에서도 떠올라 정신과 약을 입에 털어 넣기도 했다. 풀숲에 들어가 취재하다가 벌에 쏘이고 뱀에 물렸다.
 
 서울 동대문에서 청바지를 팔던 잘 나가던 사장 김종술은 4대강 사업으로 빈털터리가 됐다.
▲  서울 동대문에서 청바지를 팔던 잘 나가던 사장 김종술은 4대강 사업으로 빈털터리가 됐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시궁창 펄을 맨손으로 뒤지면서 죽은 강 고발

2014년에 그는 금강에 창궐한 큰빗이끼벌레를 특종 보도했다. 첫 보도 때에는 강에서 볼 수 없었던 괴생물체의 존재를 확인하려고 손가락 두 마디 정도 크기의 큰빗이끼벌레를 입에 집어넣기도 했다. 기사를 송고한 뒤 그는 혼자 풀밭에서 배를 잡고 뒹굴어야 했다.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고 구토가 밀려왔다.

그 뒤에도 그는 공산성 붕괴 특종을 했다. 공사장 인부들이 취재를 가로막아 사비를 털어 비행기를 띄워서 취재한 기사였다. 또 4급수 지표종인 붉은 깔따구와 실지렁이가 강바닥에 창궐한 것을 기사로 써서 4대강사업 이후 죽어가는 금강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 시궁창 냄새가 진동하는 펄을 한 삽 퍼서 맨손으로 뒤지면서 찾아낸 특종이었다.

지금까지 그가 쓴 4대강 관련 기사는 총 1700여 개에 달한다. 지난 10여 년 동안 이틀에 거의 한 번꼴로 기사를 쓴 셈이다. 그의 이런 기사와 특종은 혹독한 노동의 대가였지만, 그는 4대강 기사를 쓰면서 한 번도 월급을 받은 적이 없다. <오마이뉴스>의 원고료와 간간이 들어오는 강의료 등이 수입의 전부였다. 차의 기름값을 충당하기에도 모자란 돈이다.

간혹 그에게 전화해서 안부를 물으면 이렇게 말하는 때가 있었다.

"목포에서 타일 붙이고 있어요."
"공주에서 밤 따고 있습니다."
"노가다 뜁니다."


'삽질과의 전쟁'으로 많은 빚을 진 그는 짬짬이 아르바이트를 뛰면서 취재비를 마련하고 있다. 최근 '풀과의 전쟁'을 시작한 뒤에는 이마저도 못하고 있다.
 
 '금강 요정'으로 불리는 김종술 시민기자가 취재비를 마련하려고 타일 붙이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모습.
▲  "금강 요정"으로 불리는 김종술 시민기자가 취재비를 마련하려고 타일 붙이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모습.
ⓒ 안정호

관련사진보기


[동행 취재] 삽질 10년, 산 강과 죽은 강

이런 그와 함께 21일부터 금강과 낙동강 탐사 취재를 떠난다. 23일까지 2박 3일간 '자전거 탄 금강' 행사의 동행 취재다. 금강유역 환경회의,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세종환경운동연합, 서천생태문화학교, 이상돈 국회의원실이 공동주최하는 행사다. 충남연구원은 기술후원을 한다.

금강은 4대강사업의 흔적을 지우면서 산 강으로 거듭나고 있다. 1년 넘게 수문이 개방된 세종보 하류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 생물 1급 물고기인 흰수마자 31마리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맑은 물에 사는 재첩도 돌아왔다. 금강에 세운 3개보를 개방한 뒤에 드러난 모래톱에서도 꼬마물떼새 등 4대강사업 이후 사라졌던 철새들이 보금자리를 틀고 있다.

최근 자유한국당은 지난 2월 4대강조사평가기획위원회가 '세종보 해체', '공주보 부분해체', '백제보 수문 상시 개방' 방안을 발표하자 이에 반발하면서 '4대강사업으로 4대강이 살아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래 도표 하나로도 자유한국당의 주장이 얼마나 허무맹랑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충남연구원이 제시한 녹조 발령 상황
▲  충남연구원이 제시한 녹조 발령 상황
ⓒ 충남연구원

관련사진보기


지난 10년간 금강의 수환경을 모니터링해왔던 충남연구원이 확인한 녹조 발생 '관심 이상' 발령 기간이다. 수문이 닫혔던 2017년에는 무려 8개월 동안 119일에 걸쳐 녹조경보를 발령했다. 2018년 세종보의 수문이 열리자 절반 수준인 59일로 떨어졌다. 그 뒤 공주보 수문을 전면 개방하고, 최근 백제보의 수문까지 열린 2019년의 녹조 발령 횟수와 기간은 '0'이다.

금강 하굿둑에 갇힌 하구 지역은 여전히 수질이 나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예전보다는 나아지고 있는 게 분명하다. <오마이뉴스>는 환경단체들과 함께 금강을 동행취재하면서 4대강 보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사보도한다. '산 강의 귀환'을 생생하게 전할 예정이다.

반면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거의 수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낙동강 지역은 올 여름에도 여전히 녹조밭이다. 8월 28일부터 31일까지 3박4일 동안 낙동강 살리기 네트워크와 생명그물,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대구환경운동연합 등과 함께 동행 취재하면서 '이명박근혜 정권' 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죽은 강' 낙동강도 탐사보도한다.

특히, 낙동강 보의 수문을 열거나 해체하면 농업용수가 부족하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자유한국당이 여론을 주도하고 있고, 일부 관변단체와 농민들도 가세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달간 <오마이뉴스> 취재 결과 공주지역의 경우, 공주보 해체 시 농업용수가 부족할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이 모두 가짜뉴스로 판명됐다. 이번에 낙동강 지역을 취재하면서 농업용수 부족의 진실도 파헤칠 예정이다.

마지막 날인 31일에는 1조 1000억 원을 들여 지어놓고도 녹조 등의 폐해 때문에 담수도 하지 못하는 영주댐의 내성천에서 열리는 '영주댐 해체 문화제'도 취재해 보도한다.

[나무를 심은 사람] 10여 일간의 탐사보도
 
 23일 오후 충남 부여 금강 백제보 상류 2km 지점에서 오마이뉴스 김종술 시민기자가 강바닥의 토양을  채취해 살펴보고 있다.
▲  2016년 8월 23일 오후 충남 부여 금강 백제보 상류 2km 지점에서 오마이뉴스 김종술 시민기자가 강바닥의 토양을 채취해 살펴보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다시 김종술 기자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내 화단과 밭의 잡초를 뽑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남의 땅에 난 잡초를 뽑을 때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일당을 받고 하는 일이라면 특별하지 않다. 하지만 김 기자는 자기의 땅도, 남의 땅도 아닌 금강 곰나루의 모래밭에서 풀을 뽑고 있다. 그곳을 자기 땅인 양 가꾸고 있다. 왜일까?

비약이 심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최근 풀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그에게 처음 그 이유를 물으면서 나는 프랑스의 작가 장 지오노가 쓴 '나무를 심은 사람'이 떠올랐다. 작가는 1.5m 길이의 쇠막대기를 들고 다니던 양치기 엘레아르 부피에에게 물었다고 한다.

"그가 가려고 한 곳에 이르자 그는 땅에 쇠막대기를 박기 시작했다. 그렇게 해서 구멍을 파고는 그 안에 도토리를 심고 다시 덮었다. 그는 떡갈나무를 심고 있었다. 나는 그곳이 그의 땅이냐고 물었다. 그는 아니라고 했다. 그러면 누구의 땅인지 알고 있는 것일까? 그는 모르고 있었다.(중략) 그는 그 땅이 누구의 것인지 관심조차 없었다. 그는 아주 정성스럽게 도토리 100개를 심었다."

엘레아르 부피에는 혼자 도토리를 심어 화전민들이 휩쓸고 가서 황무지가 됐던 숲을 30~40년 동안 일궈 많은 사람들의 삶터로 만들었다. 김 기자 또한 지금 풀을 뽑고 있지만, 앞으로 수천 년간 미래세대가 향유해야할 우리의 강을 다시 회복시키는 일을 지난 10여 년 동안 해온 셈이다.

지오노는 본문에 앞서 서문격인 짧은 글에 이렇게 적었다.

"한 사람이 참으로 보기 드문 인격을 갖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 해 동안 그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행운을 가져야만 한다. 그 사람의 행동이 온갖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있고, 그 행동으로 이끌어 나가는 생각이 더없이 고결하며, 어떤 보상도 바라지 않고, 그런데도 이 세상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잊을 수 없는 한 인격을 만났다고 할 수 있다."

'잊을 수 없는 인격'과 함께 10여 일 동안 탐사보도를 떠난다. 아니 '삽과 낫을 든 바보 기자'와 함께 한 달여 동안 현장 취재 기사와 기획 기사를 이어간다. 이번 기획기사에 독자들이 보내주시는 좋은 기사 원고료의 일부는 나홀로 강을 지켜온 '금강의 부피에'에게 전달된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후원을 바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