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국회는 방위비분담금협정 비준안을 거부하라”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9/02/12 09:10
  • 수정일
    2019/02/12 09:10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국회는 방위비분담금협정 비준안을 거부하라”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9/02/12 [06:33]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시민사회단체들이 한미간 가서명한 방위비분담금협정 비준안에 대한 국회비준 거부를 촉구했다. (사진 : 평화행동)     © 편집국

 

지난 10일 한국과 미국이 8.2%인상된 1389억원에 방위비분담금협정 가서명을 한 가운데시민사회 단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주노총한국진보연대민중당평화재향군인회 등 5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소속된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이하 평화행동)과 SOFA개정국민연대는 11일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폭 인상된 한미방위비분담협정 가서명을 규탄 하고 국회에서 비준을 거부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한국정부는 인상근거를 설명하기는커녕 외통위간사인 여당의원이 국민이 구체적인 금액을 알아서 무엇하냐는 망발만 남긴체 미국의 난폭한 요구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였다며 한국정부는 주권자인 국민의 뜻에 반하여 굴욕적인 협상으로 주권과 국익을 훼손하였다고 규탄했다.

 

이들 단체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 등 평화협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면 주한미군 감축과 철수는 불가피한 일이라며 그런데 이와는 정반대 방향인 방위비분담금 묻지마 인상은 평화를 깨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들은 방위비분담금 인상 근거인 8.2%라는 숫자가 한국국방비 인상율이라는 점에도 주목한다며 방위비분담금 묻지마 인상은 주둔비 걱정없는 주한미군을 강화시켜 무기강매를 지속하게 만드는 것으로 어렵게 정착된 평화를 깨뜨리는 위험요소로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방위비분담금 협정은 정부가 가서명을 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회비준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며 국회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방위비분담금협정 비준을 거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국회비준 거부운동을 시작으로 방위비분담금 협상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불평등한 한미관계 해소와 주한미군 감축 및 철수에 대한 근본적인 여론을 결집시켜 한반도평화의 시대에 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기자회견문>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협정 묻지마 대폭인상을 규탄한다.

국회는 비준을 거부하라.

 

한국과 미국은 대폭인상된 1389억원의 방위비분담금협정에 가서명 했다방위비분담금은 주한미군이 불법적인 전용을 일삼았음에도 불구하고 1조나 넘게 남아돌고 있는데서 보듯이 대폭 삭감이 마땅하다.

 

최근 여론조사결과에 의하면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는 국민여론도 인상반대가 찬성에 비해 두배로 높았다그런데도 불구하고 한국정부는 인상근거를 설명하기는커녕 외통위간사인 여당의원이 국민이 구체적인 금액을 알아서 무엇하냐는 망발만 남긴체 미국의 난폭한 요구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였다한국정부는 주권자인 국민의 뜻에 반하여 굴욕적인 협상으로 주권과 국익을 훼손하였다우리는 이에 분노하고 규탄한다.

 

2월말 열리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에서는 한반도를 평화의 시대로 확고하게 전환시키기 위한 논의가 예정되 있다평화협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면 주한미군 감축과 철수는 불가피한 일이다그런데 이와는 정반대 방향인 방위비분담금 묻지마 인상은 평화를 깨뜨리는 일이다.

 

우리는 방위비분담금 인상 근거인 8.2%라는 숫자가 한국국방비 인상율이라는 점에도 주목한다국민의 삶이 이토록 힘든데도 불구하고 북핵을 막는다는 핑계로 미국산 무기구입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썼다지금은 평화로 나아가는 시대이다평화정착을 위해서는 군축이 당연히 뒤따라야 한다그러자면 천문학적인 외국산 무기구입비부터 줄여나가야 하는데 미국은 평화를 말하면서도 주한미군을 미끼로 천문학적인 무기강매를 줄일 생각이 전혀 없다.

방위비분담금 묻지마 인상은 주둔비 걱정없는 주한미군을 강화시켜 무기강매를 지속하게 만드는 것으로 어렵게 정착된 평화를 깨뜨리는 위험요소로 될 것이다.

 

방위비분담금 협정은 정부가 가서명을 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회비준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그렇다면 국회가 제역할을 할 것을 촉구한다우리는 주권과 국익그리고 평화정착을 위한 국민적 의지를 결집하기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해나갈 것이다국회는 국민의 뜻을 받들어 방위비분담금협정 비준을 거부하라.

 

2019년 2월 11일 

평화행동·SOFA개정 국민연대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5.18 유공자 명단, 알권리 위해 공개해야" 맞는 말일까?

[팩트체크] 김진태 "이번엔 명단공개" 발언과 김순례 "가짜 유공자 걸러내야" 발언, 검증해보니

19.02.12 07:43l최종 업데이트 19.02.12 07:43l

 

 '5.18 망언'으로 비판 받고 있는 김진태, 김순례 자유한국당 의원.
▲  "5.18 망언"으로 비판 받고 있는 김진태, 김순례 자유한국당 의원.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검증 대상] "국민 알 권리 위해 5.18 유공자 명단 공개해야"

지난 8일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 공동 주최로 '5.18 모독' 비판을 받고 있는 김진태 (강원 춘천) 한국당 의원이 11일 입장을 냈다. 김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공청회 참석자들(이종명, 김순례)의 발언은 주관적인 것이고 향후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다. '진짜 유공자'분들께 상처를 주려는 의도는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이번에는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 국민 혈세가 들어갔으므로 우리는 알 권리가 있다."

 

이러한 인식은 5.18 유공자 중 '폭도'나 '가짜 유공자'가 있을 수 있다는 일부 보수진영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8일 5.18 공청회에 참석해 '5.18 폄하' 발언을 한 김순례 (비례) 한국당 의원도 11일 입장문을 통해 같은 인식을 드러냈다. 이날 김 의원은 "(공청회 당시) 내가 이야기한 부분은 5.18 유공자 선정 관련해서 허위로 선정된 부분이 있다면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좀 더 선정기준을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만들어서 '허위 유공자'를 철저히 걸러내는 게 '유공자'분들의 명예를 지키는 길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김진태 의원의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라는 주장과 김순례 의원의 '5.18 유공자 중 폭도·가짜유공자가 있을 수 있다'는 주장, 이 내용은 과연 사실일까? 맞는 말일까?

[사실검증 ①] 5.18 유공자 명단 공개? 법원 "불가능"

서울행정법원은 이미 2018월 12월 일부 시민들이 국가보훈처를 상대로 낸 '5.18 유공자 명단 및 공적내용 공개 행정소송'에서 "5.18 유공자 명단과 공적사항은 유공자들의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공개하는 것은 개인의 사생활 침해에 해당된다"면서 원고패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국가보훈처 역시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관련 법률에 따라 5.18 유공자 명단은 비공개 자료"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유공자 명단 공개와 관련한 <오마이뉴스>의 질의에 "독립유공자 명단을 제외하고 다른 유공자들 명단도 비공개로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 성명은 개인식별정보에 해당하며, '공적 사유'는 당시에 사망이나 행방불명, 부상일시 및 장소, 구체적 경위, 질병 치료 등 장해 발생 내용 및 정도 등 구체적 사항이 포함돼 있어 공개될 경우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하는 사안"이라고 판단했다.

물론 일부 예외도 있다. 독립유공자 명단은 공훈록 자료로서 독립유공자의 공적을 기록·보존하고 연구자료 및 공훈 선양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1986년도부터 책으로 발간하고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6호에 근거).

'참전유공자'의 경우, 등록하고자 하지만 그 증거를 찾기 어려운 참전자들이 전우나 참전 사실을 증명해 줄 수 있는 인우보증인을 찾고자 할 때, 민원인의 편의를 위해 이름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해놨다.

결론적으로 5.18 유공자 명단뿐 아니라 모든 유공자 명단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비공개다. 개인정보이기 때문이다. 이걸 공개하는 것이 오히려 위법이다.

[사실검증 ②] 5.18 유공자 중 폭도? 법원 "허위사실"

5.18 유공자 중 '폭도'가 숨어 있다는 주장은 전두환씨가 <전두환 회고록>에서도 비슷하게 기술한 적이 있다(일명 '교도소 습격 사건').

법원은 2018년 9월 이를 '허위사실'로 판단했다. 전씨는 회고록에서 '시민들이 무기고를 먼저 습격했다며 계엄군이 집단 발포가 정당했다'는 취지로 서술했으나, 이를 허위라고 본 것. 재판부는 약 7000만 원 배상과 동시에 해당 표현을 삭제하지 않고는 회고록의 출판·배포를 금지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지난 4월 3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회고록이 서가에 배치돼 있다. 2017.4.3
▲  2017년 4월 3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회고록이 서가에 배치돼 있는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가짜 유공자' 논란에 대해 5.18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관계자는 "불가능하다"라고 밝혔다. 김후식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회장은 "유공자 신청 시 수차례 심사·확인 절차가 있다, 부상자의 경우 병원에서 의사에게 검사를 받는다, 치료 기록이 필요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유공자로 인정받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그는 "가짜 유공자가 존재하기는 대단히 어렵다"며 "(오히려) 5·18 당시 행방불명이 됐는데, 시신을 찾지 못해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경우도 많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유공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심의위(보상심의위)를 통해 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 법 18조(사실조사 및 협조의무)에 따르면, 보상심의위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검증 또는 필요한 조사 등을 할 수도 있다. 즉 보상심의위를 통해 보상을 받은 사람은 국가보훈처에 등록신청을 하면 보상사실 확인 등의 절차를 거쳐 5.18 유공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

5.18 유공자의 경우 광주시가 관련 법에 따라 보상심의위를 거쳐 금적적인 지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가보훈처에서는 별도의 금전적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의료지원, 교육지원 등 기타지원은 국가유공자와 동일한 수준이다. 국가보훈처가 2018년 9월 말 기준으로 발표한 5.18 유공자 수는 4407명이다.

한편 광주시가 공개한 바에 따르면, 관련 법률에 근거해 지난해 12월까지 보상을 받은 사람은 총 5807명이다. 신청자 총 9227명 중에서 심사를 거쳐 62%가 인정받았다. 통계에 따르면 보상자 중 사망자는 223명, 상이 후 사망자는 140명, 행방불명은 448명 등에 이른다(2018년 12월 기준).

[검증 결과] 김진태·김순례 주장은 틀렸다

서울행정법원이 2018년 12월 "5.18 유공자 명단과 공적사항은 유공자들의 개인정보기 때문에 공개하는 것은 개인의 사생활 침해에 해당한다"라고 밝힌 점, 법원이 5.18 유공자 중 폭도가 섞여 있다는 <전두환 회고록>의 서술을 '허위사실'로 판단한 점 등을 미뤄봤을 때 김진태·김순례 의원의 주장은 '거짓'으로 판단된다.

 
 factcheck [거짓]
   
누리꾼과 함께하는 팩트체크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래 6단계 이미지를 클릭시 피노키오 지수가 올라갑니다.
 
15
 
 
0
 
 
1
 
 
0
 
 
3
 
 
8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지난 1월 24일 보도된 '5·18 유공자 명단 공개하라? 이 요구가 황당한 까닭'에 기반해 작성된 팩트체크 기사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간교류 활성화로 평화통일 앞당길 것”

금강산 새해맞이 대표단 252명, 기자회견 갖고 출발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2.12  06:39:08
페이스북 트위터
   
▲ 2019 새해맞이 연대모임 남측대표단 252명이 12일 오전 6시 서울 경복궁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출발했다. 공동단장인 이창복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이 첫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이번 새해맞이 연대모임은 전 민족적인 관심 속에서 민간의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지난 1년 동안에 있었던 판문점회담 또 평양회담에서 결정한 것을 실천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이번 모임을 통해서 협의하고 고민해볼 것이다.”

이창복 6.15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은 12일 새벽 5시 40분 서울 경복궁 동편주차장에서 출발에 앞서 열린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 새해맞이 연대모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창복 의장은 “민간교류의 활성화는 끝내는 남북 정상 간의 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조국의 평화 통일이 앞당겨질 수 있는 그런 분위기를 만들고, 그러한 프로세스를 촉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고 “특히 이번 모임은 각 종단의 김희중 대주교를 비롯해서 여러 수장님들, 여러 시민사회단체, 민화협 의장님 모두 함께 출발하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고 인사했다.

기자회견 사회를 맡은 이연희 6.15남측위원회 대변인은 “2019년 첫 공동행사이자 대단히 오랜만에 진행되는 민간의 공동행사라는 점에서 매우 뜻 깊다”면서 “252명 대표단과 실무진이 출발하게 되는데 준비과정이 순탄치는 않았다”고 밝혔다.

남측 대표단은 이창복, 김희중, 지은희, 한충목, 김홍걸 공동단장을 비롯해 7대종단 수장과 설훈 더불어민주당, 황영철 자유한국당, 최경환 민주평화당 의원등 정치인,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등 지차제 관계자들, 박중기 추모연대 명예의장 등 재야단체 관계자 등 220명 가량의 대표단과 실무진.취재진 등 총 252명으로 구성됐다.

북측 대표단 명단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박명철 6.15북측위원회 위원장, 강지영 조선종교인협의회 회장, 김영대 민족화해협의회 회장 등을 공동단장 100여명 내외가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측 대표단은 손형근 6.15해외측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15명 내외가 참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 2019 새해맞이 연대모임 출발에 앞서 경복궁 동편주차장에서 간략한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이연희 대변인은 “지금 취재장비 반입 문제도 대단히 어려운 상태에 있어서 불투명하고, 아마 못 들어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대표단 세 분에 대한 불허도 있었다”고 짚고 “아직 남북관계와 남북교류를 실현하는 데서 우리가 넘어야 될 벽이 많다는 것을 또한 확힌하게 되는 오늘의 모임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행사 하루 전인 11일, 이번 행사에 동행하는 기자단 10명에게 노트북과 카메라, 녹음기 등 취재장비 반입이 어렵다고 공지했다. 이례적인 취재장비 반출입 불허는 대북제재가 그만큼 강화됐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통일부는 또한 이규재 범민련 남측본부 의장 등 3명에 대해 방북을 불허해 선별 방북불허의 구태를 되풀이했다. 이규재 의장은 경복궁 주차장에 나와 출발을 앞둔 대표단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서운함을 달래기도 했다.

남측 대표단과 실무진 252명은 이날 오전 6시 경복궁에서 출발해 오전 11시 군사분계선(MDL)을 통과, 금강산호텔에서 점심식사를 한 뒤 오후 3시부터 온정각 문화회관에서 ‘새해맞이 연대모임’을 진행하고 오후 4시 30분부터 6.15공동위원장회의 등 단위별 상봉모임을 가진 뒤 공동만찬으로 첫 날 일정을 마무리한다.

새해맞이 연대모임에서는 김영대 북측 민화협 회장과 이창복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 손형근 6.15해외측위 위원장이 축하연설을 할 예정이며, 공동호소문을 발표한다. 공동호소문에는 남북 정상들이 발표한 공동선언 이행과 4.27~개천절까지 계기별 공동행사 추진, 각계각층의 교류.협력사업 활성화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틀째인 13일에는 해금강에서 해맞이 행사를 진행하고 오전 10시부터 단위별 상봉모임과 신계사 참관을 병행하며, 오후 3시 군사분계선을 통과해 돌아올 예정이다.

   
▲ 남측 공동단장이 나란히 기자회견에서 발언했다. 왼쪽부터 김홍걸 민화협 대표상임의장, 이창복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 김희중 대주교, 지은희 시민평화포럼 고문, 한충목 한국진보연대 상임대표.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김희중 가톨릭 대주교는 종단을 대표해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민족의 혈맥을 다시 잇고자 고심분투한 모든 국민들을 대신해서 이 기회를 함께 갖게 된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수천년 동안 함께 살아왔던 민족이 70여년 동안 갈라져 살았는데, 더 이상 분열이 계속되지 않고 다시 하나로 합해서 민족공동번영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인사했다.

지은희 시민평화포럼 고문은 “2019년은 한반도 역사에서 정말 아주 중요한 한해가 될 것”이라며 “지금까지 평화운동을 함께한 모든 분들이 다 함께 지금 북을 만나서 평화체계와 공동번영을 함께 논의하는 그런 교류를 한다는 것이 굉장히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충목 한국진보연대 상임대표는 “새해 벽두, 남북해외가 함께 공동행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쁨이다. 희망이다”며 “각계각층이 남북간에 교류하고 협력하는데 이번 새해맞이 공동행사가 대통로를 열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홍걸 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은 “민화협도 이번 행사 이후에 3.1절에 남북 공동행사를 하게 돼 있다”며 “민간 차원에서 올해 크고 많은 행사가 이뤄질 것이고 그것을 대비하는 모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번에 각계각층에서 모여서 상봉하게 되는데, 한반도 평화가 확실히 왔다는 것을 온 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모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뉴스>는 새해맞이 연대모임 1박2일 일정을 동행 취재해 보도할 예정이다.

   
▲ 제주 농민회에서 대표단을 위해 준비한 귤 등 지역 특산품.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트럼프의 묘한 답변, 긴 여운을 남겼다

[개벽예감 334] 트럼프의 묘한 답변, 긴 여운을 남겼다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9/02/11 [11:01]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오산기지에 잠깐 들렀다가 평양으로 되돌아간 특별기

2. 트럼프의 트위터 메시지를 분석하면

3. 중대한 실천방안 합의할 하노이 조미정상회담 

4. 트럼프의 묘한 답변, 긴 여운을 남겼다 

 

 

1. 오산기지에 잠깐 들렀다가 평양으로 되돌아간 특별기  

 

2019년 2월 8일 오후 6시 35분 특별기 한 대가 경기도 평택에 있는 오산미공군기지에 착륙했다. 특별기에서 내린 사람들은 스티븐 비건 국무부 조선정책특별대표,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코리아문제 담당관, 존 플레밍 중앙정보국 산하 코리아임무쎈터 책임자 등이었다. 지난 2월 6일 오전 9시 오산미공군기지에서 특별기를 타고 평양으로 출발한 그들은 평양에서 2박3일 동안 조선측과 진행한 실무협상을 마치고 돌아간 것이다. 

 

미국 실무협상단 성원인 앨리슨 후커는 원래 국무부 정보조사국에서 동아시아태평양지역 분석관으로 근무하였는데, 2014년 오바마 행정부 시기에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코리아문제 담당관으로 전직하였고,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그 직책에 계속 남아있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백악관에서 코리아문제에 관한 정보에 가장 정통한 그가 조미협상에 관한 정보보고서를 작성하여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하는 임무를 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미협상을 마익 팜페오 국무장관에게 맡겨두고 그에게서 가끔 보고나 받아보는 게 아니라, 자신이 직접 조미협상 관련업무를 틀어쥐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조미실무협상에서 전면에 나선 비건보다 막후에서 움직이는 후커의 비중이 더 커 보인다. 

 

조선 실무협상단과 미국 실무협상단은 2박3일 동안 평양에서 무엇을 논의하였을까? 그 협상은 임박한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사전협상이었으므로, 당연히 정상회담을 준비하는데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실무문제들을 논의하였을 것이다. 그들이 논의한 여러 가지 실무문제들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6월 12일 제1차 조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사안을 이행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합의하는 것이었다. <사진 1>  

 

▲ <사진 1> 이 사진은 2019년 2월 6일부터 8일까지 2박3일 동안 평양에서 조선측과 실무협상을 마치고 서울에 돌아간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조선정책특별대표가 2019년 2월 9일 오후 청와대 본관 백악실에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담화하는 장면이다. 담화에서 그는 정의용 실장에게 조미실무협상결과에 관해 설명하였다. 조선 실무협상단과 미국 실무협상단은 제2차 조미정상회담을 준비하는데서 제기되는 실무문제들을 논의하였는데, 그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6월 12일 제1차 조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합의하는 것이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데 협상이 한창 진행되던 둘째날 뜻밖의 일이 벌어졌다. 미국 실무협상단을 태우고 평양에 들어갔던 특별기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오산미공군기지에 다시 나타났던 것이다. 원래는 다음날까지 평양국제공항에 머물렀다가 미국 실무협상단을 태우고 돌아갔어야 할 특별기가 갑자기 오산미공군기지에 착륙한 것이다.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이 분명하다. 

 

한국 언론매체들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당시 평양에서 진행되던 조미실무협상이 끝나기 하루 전인 2월 7일, 비건 특별대표가 아닌 미국 실무협상단 일부 성원들이 특별기를 타고 오산미공군기지로 갔다가 당일 오후 4시쯤 다시 특별기편으로 평양에 돌아갔다는 것이다. 특별기를 타고 오산미공군기지에 잠깐 들렀다가 평양으로 되돌아간 사람은 앨리슨 후커 백악관 코리아문제 담당관이다. 그가 조미실무협상 도중에 협상장에서 나와 특별기를 타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오산미공군기지에 잠깐 들렀다가 평양으로 되돌아간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어떤 급박한 사연이 있었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 방안에 관한 자기 의견을 2019년 1월 18일 백악관을 방문한 조선대표단에게 오랜 시간에 걸쳐 설명하였고, 지난 1월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평양에 돌아간 김영철 조선대표단 단장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도 받고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에 관한 보고도 받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김영철 부위원장을 통해 전달받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와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세웠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이번에 2박3일 동안 평양에서 진행된 협상에서 조선 실무협상단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안에 따라 협상을 진행하였고, 미국 실무협상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안에 따라 협상을 진행하면서 중대한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지난 2월 7일 평양에서 진행된 조미실무협상 둘째날 오전에 미국 실무협상단은 자기들이 생각하지 못한 파격적인 제의, 다시 말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안을 뛰어넘는 매우 중대한 제의를 조선 실무협상단으로부터 받았다. 그래서 앨리슨 후커 담당관은 급히 특별기를 타고 오산미공군기지로 날아가서 백악관으로 직통하는 보안통신망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파격적이고 중대한 제의를 직접 보고하였던 것이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뛰어넘는 파격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제시한 파격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후커 담당관의 긴급보고를 통해 전해들은 트럼프 대통령은 팜페오 국무장관을 급히 자기 집무실로 불러 긴급히 제기된 중대사안을 놓고 토의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결정한 내용을 오산미공군기지에서 대기 중이던 후커 담당관에게 전해주었고, 대통령의 결정을 받은 그녀는 곧바로 평양으로 돌아가 협상을 계속하였던 것이다. 

 

 

2. 트럼프의 트위터 메시지를 분석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제시한 파격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전해들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2월 8일) 자기의 트위터계정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나의 대표단 성원들은 내가 김정은과 만나는 제2차 정상회담의 시간과 날짜를 합의하고, 매우 생산적인 회의를 마친 다음 방금 북조선을 떠났음. 제2차 정상회담은 2월 27일과 28일 윁남 하노이에서 열릴 것임. 나는 김 위원장을 만나기를 고대하고 있으며,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키기를 고대하고 있음. 북조선은 김정은의 영도 아래서 경제강국이 될 것임. 그는 조금 놀랄지 모르지만, 나는 그를 알고 있으며 그가 얼마나 유능한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놀라지 않을 것임. 북조선은 다른 종류의 로켓, 곧 경제로켓을 쏘아올리게 될 것임!” 

 

(한국에서 다른 나라 국호를 제멋대로 부른다. 이전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가 언제부터인가 베트남이라고 바꿔 부른다. 월남이라는 말은 越南이라는 중국식 국호표기를 우리식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 또한 베트남이라는 말은 Viet Nam을 일본식 발음으로 잘못 읽은 것이다. 조선에서 쓰이는 윁남이라는 말이 그 나라 국호의 원음에 가장 가까운 발음이다. 그 나라의 공식국호는 윁남사회주의공화국이다.) <사진 2> 

 

▲ <사진 2> 위의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2월 8일 자신의 트위터계정에 남긴 메시지 가운데 일부다. 그는 2월 6일부터 8일까지 2박3일 동안 평양에서 진행된 조미협상 둘쨋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조선 실무협상단을 통해 자기에게 제시한 파격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미국 실무협상단 성원인 앨리슨 후커 백악관 코리아문제 담당관으로부터 긴급히 전해듣고 위와 같은 트위터 메시지를 남긴 것이다. 그는 트위터 메시지에서 자신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기를 고대하고 있으며,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키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제2차 조미정상회담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위에 인용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메시지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다. 

 

(1) 트럼프 대통령이 위와 같은 트위터 메시지를 쓴 시각은 2월 8일 오후 4시 33분인데, 평양과 워싱턴 사이의 시차를 계산하면 그 시각은 평양 시간으로 2월 9일 오전 6시 33분이다. 미국 실무협상단 성원들이 잠에서 깨어나는 시각이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방금 평양을 떠났다고 트위터에 썼던 것이다. 미국 실무협상단이 평양을 떠나 오산미공군기지에 도착한 시각은 2월 9일 오후 6시 35분이었다. 그런 착오가 생긴 데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차계산을 잘못한 까닭도 있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가 미국 실무협상단이 한시바삐 돌아와 자기에게 협상결과를 보고해주기를 학수고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번 조미실무협상에 그처럼 커다란 기대를 걸었다. 

 

(2)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 메시지를 통해 제2차 조미정상회담이 윁남 수도 하노이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너무 안달이 난 나머지, 백악관 대변인이 공식적으로 발표할 정상회담 개최지를 대통령이 사적으로 서둘러 발표해버린 것이다. 이것 하나만 놓고 봐도, 그가 제2차 조미정상회담에 얼마나 큰 기대를 걸고 있는지 알 수 있다. 

 

(3)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 메시지에서 “나는 김 위원장과 만나기를 고대하고 있으며,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키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썼다. 그의 심정이 고스란히 드러난 문장이다.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키기를 고대하고 있다(I look forward to advancing the cause of peace)”는 표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킨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2018년 6월 12일 싱가폴공화국에서 진행된 제1차 조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세 가지 중대사안을 합의한 바 있는데, 그 가운데서 한반도 평화문제에 관한 합의는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한다고 서술되었다. 그러므로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 메시지에 남긴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킨다”는 말은, 제1차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명시된 것처럼,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는 뜻이다. 만일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후반기에 제2차 조미정상회담 개최문제에 관한 트위터 메시지를 발송하였다면, 평화의 원인을 진전시키기를 고대한다고 쓰지 않고 비핵화의 원인을 진전시키기를 고대한다고 썼을 것이다. 그런데 그 사이에 그의 생각은 바뀌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서로 떼어놓지 않고 포괄적으로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런 변화는 오는 2월 27일과 28일 하노이에서 진행될 제2차 조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에 관한 중대한 합의가 이루어질 것임을 예고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합의가 이루어질 것인지는 아래에서 다시 논한다.

 

(3)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 메시지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영도하는 조선이 “경제강국(great Economic Powerhouse)”으로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조선을 경제강국으로 일으켜 세울 유능한 지도자라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3일 미국 텔레비전방송 <CBS>의 대담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단독대담을 진행할 때도 조선이 경제강국으로 일어설 기회가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그는 왜 이런 그런 말을 거듭하는 것일까?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우호적인 분위기를 띄워보려고 마음에도 없는 말을 꺼내놓은 것일까? 미국 일간지 <워싱턴타임스> 2019년 1월 28일 보도에서 해답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조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특별한 경제지원(special economic package)”을 제안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워싱턴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준비하는 특별한 경제지원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한다고 하면서도, 그것이 조선을 비핵화로 유도하기 위한 물질적 보상이라고 이해하였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물질적 보상을 ‘미끼’로 사용하여 조선을 비핵화로 유도하려고 생각한다면, 그런 헛된 생각은 일찌감치 포기하는 게 좋다. 왜냐하면 조선은 핵동결 이상으로 나아가는 비핵화를 생각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3. 중대한 실천방안 합의할 하노이 조미정상회담 

 

눈앞에 다가온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은 지난해 싱가폴 조미정상회담보다 더 중요한 회담으로 될 것이다. 왜냐하면 조미관계에 얽혀있는 모든 문제들이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에서 해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노이 조미정상회담 이후에 제3차 조미정상회담은 열릴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런 까닭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무박1일로 진행하였던 싱가폴 정상회담과 달리, 하노이 정상회담을 1박2일 동안 충분한 시간을 두고 진행하면서 최종담판을 결속하려는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20년 8월 15일 조국광복 75주년을 앞두고 어떻게 해서든지 통일국가건설의 결정적 국면을 열어놓으려는 강렬한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미협상을 이른 시일 안에 결속해야 하고, 따라서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최종담판을 단행하려는 것이다. 다른 한편, 2020년 11월 3일 미국 대통령선거에 다시 출마할 트럼프 대통령은 역사적인 조미협상타결을 자기의 가장 중요한 외교치적으로 내세워 재선되고 싶은 강렬한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미협상을 이른 시일 안에 결속해야 하고, 따라서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최종담판을 단행하려는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도 하노이 정상회담은 최종담판의 기회이고,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그 회담은 최종담판의 기회다.  

 

그런데 미국 언론매체들과 한국 언론매체들은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에 관하여 앞뒤가 맞지 않는 억측을 쏟아내고 있다. 그들이 머릿속에서 쥐어짜낸 몇 가지 억측을 살펴보면,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에서 평화협정체결문제는 논의되지 않고 종전선언발표문제만 논의될 것이라느니, 미국이 조선에게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포함한 모든 미사일을 폐기하라고 요구한다느니, 미국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만드는 조선의 고급기술자들 명단을 달라고 조선에게 요구한다느니 뭐니 하는 헛소리들이다.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될 의제들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이미 명시되었다.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중대사안들을 행동에 옮기기 위한 실천방안들을 합의하기 위해 열리게 된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사진 3>    

 

▲ <사진 3> 이 사진은 2018년 6월 12일 싱가폴공화국 쎈토사섬에 있는 카펠라호텔에서 진행된 제1차 조미정상회담 중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악수하는 장면이다. 그날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공동성명에 나오는 중대사안들은 2019년 2월 27일과 28일 윁남 수도 하노이에서 1박2일 동안 진행될 제2차 조미정상회담에서 논의할 의제로 되었다. 다시 말해서, 하노이 조미정상회담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중대사안들을 행동에 옮기기 위한 실천방안들을 합의하기 위해 열리는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폴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중대사안들은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하는 것, 한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것,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하여 노력하는 것 등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018년 6월 12일에 진행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세 가지 중대사안을 합의하였는데, 그것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었다.

 

(1)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해”나간다. 

(2)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한다.

(3)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하여 노력”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월 말 하노이에서 열릴 정상회담에서 위에 열거한 세 가지 중대사안을 행동에 옮기기 위한 실천방안들을 합의할 것이다. 실천방안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1)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하는 관계정상화방안을 합의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관계정상화방안은 두 나라가 단계적으로 국교를 수립하는 것이다. 적대관계에 있는 두 나라가 단번에 관계정상화를 실현할 수는 없으므로, 단계적으로 관계정상화를 실현해야 마땅하다. 단계적 실현과정에서 첫 단계는 미국이 대조선제재를 대폭 완화하고, 조선과 미국이 공동이익에 맞게 상호왕래 및 상호교류를 추진하고, 조선과 미국이 상시적인 상호의사소통망을 설치하는 것이다.

 

(2)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평화협정체결문제를 합의할 것이다. 최종담판을 앞둔 쌍방에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종전선언발표를 생략하고 평화협정체결로 나아가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협정은 남북미중 4자가 체결하게 될 것이다. 조선과 미국의 관계에서는 평화조약이 체결될 수 있지만,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남북관계에서는 평화조약이 체결될 수 없으므로, 남북미중 4자는 평화합의라는 대체명칭을 쓸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조선과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과 중국이 동참하는 형식으로 4자 평화합의가 체결될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은 정전협정 체결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주도자로 될 수 없고, 중국은 한반도에 자기 병력을 주둔시키지 않기 때문에 주도자로 될 수 없다. 

 

4자 평화합의를 체결하기 위한 실천방안은 이른 시일 안에 2+4 평화회담을 시작하는 것이다. 2+4 평화회담은 조선과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과 중국이 동참하는 양자-다자복합회담이다.  

 

그런데 왜 4자 평화회담이 아니라, 2+4 평화회담인가? 조선과 미국이 2자회담에서 논의할 사안이 따로 있고, 남북미중이 4자회담에서 다함께 논의할 사안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2자평화회담과 4자평화회담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조선과 미국이 2자평화회담에서 논의할 사안은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다. 이 문제 이외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다른 사안들은 4자평화회담에서 다함께 논의될 것이다. 

 

조선과 미국이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2자평화회담에서 논의해야 하는 까닭은, 철군이 한반도 정세와 동북아시아 정세를 뒤바꿔놓을 것이기 때문이고, 워싱턴과 서울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철군반대파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사국들끼리 제3자를 배제하고 신중하게, 그리고 철군반대파들에게 미리 알려지지 않도록 은밀하게 2자평화회담에서 철군문제를 논의하려는 것이다. 

 

지난해 싱가폴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논의하지 않았지만, 협상결속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최종담판을 벌여 조미협상을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철군문제를 논의하지 않을 수 없다. 하노이 조미정상회담 일정 중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따로 만나는 단독회담이 철군문제를 논의할 최적의 기회로 될 것이다.

 

그런데 요즈음 워싱턴과 서울에서 철군반대파들은 주한미국군이 철수하면 무슨 변고나 재앙이 일어날 것처럼 공포를 느끼면서 말이 되지 않는 부언랑설을 세간에 퍼뜨리고 있다. 그들의 부언랑설은 미국의 반트럼프 언론매체들의 가짜보도와 한국의 종미반북 언론매체들의 가짜보도를 통해 증폭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주한미국군 철수문제에 두 가지 측면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미국군 철수를 요구하는 측면이 있고, 트럼프 대통령이 그런 요구와 무관하게 주한미국군을 철수하지 않을 수 없는 측면이 있다. 이 두 가지 측면이 하나로 합쳐지는 철군씨나리오가 펼쳐지게 될 것이다. 

 

그런데 주목되는 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철군을 요구하는 측면보다 트럼프 대통령이 철군하지 않을 수 없는 측면이 더 중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아직 철군을 요구하지 않았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철군의사를 여러 차례 강한 어조로 표명해왔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논한다.

 

(3)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합의할 것이다. 그런데 조미협상에서 제기된 비핵화라는 개념은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비핵화라는 개념과 다르다. 조미협상에서 제기된 비핵화라는 개념은 핵무기를 폐기하는 통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핵군비감축에 적용되는 특수한 개념이다. 그 특수한 개념을 핵동결이라고 부른다. 조미협상에서 제기된 비핵화라는 개념이 핵동결이라는 특수개념으로 되는 것은, 조선과 미국이 상호성의 원칙에 따라 핵무기를 서로 폐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조선과 미국이 상호성의 원칙에 따라 비핵화를 실현한다면, 두 나라가 각각 자기 핵무기를 폐기해야 하는데, 미국에게 있어서 핵무기 폐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미국은 핵무기를 폐기하지 않고, 조선만 핵무기를 폐기하는 것은 한반도의 비핵화가 아니다. 따라서 조미협상에서 제기된 비핵화라는 개념은 핵무기를 서로 폐기한다는 뜻이 아니라 핵동결을 서로 실행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상호성의 원칙에 따라 조선도 핵동결을 실행하고, 미국도 핵동결을 실행하는 것이다. 

 

조선의 핵무기 폐기는 그 어떤 경우에도 협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조선은 핵무기 폐기를 생각하지 않고 있다. 핵무기를 갖지 못한 이란이슬람공화국도 자국 미사일을 폐기하는 문제를 미국과 협상할 수 없다고 단호하게 선을 그었는데, 국가핵무력을 완성하였을 뿐 아니라, 핵무기를 대량생산하여 명실공히 핵강국으로 전변된 조선이 핵무기를 폐기하는 것은 상상하지 못할 일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9년 신년사에서 언급한 조선의 핵동결은 핵무기를 생산하지 않고, 시험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고, 다른 나라에 전파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에 상응하는 미국의 핵동결은 핵무기를 한반도와 주변에 배치하지 않고, 한반도와 주변에서 연습하지 않고, 한반도와 주변에서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런 맥락을 이해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조선과 미국의 상호핵동결을 한반도 비핵화 방안으로 합의할 것으로 예견할 수 있다.

 

 

4. 트럼프의 묘한 답변, 긴 여운을 남겼다 

 

2019년 2월 3일 미국 텔레비전방송 <CBS> 대담프로그램에 출연한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담진행자가 “한국에 있는 미국군을 계속 유지할 것인가?”라고 단도직입적으로 질문하였다. 그 물음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답변하였다.

 

“그렇다. 내 말은 우리가 그것 이외에 어떤 것도 말하지 않았다는 거다. 아마도 어느 날. 내 말은 누가 알겠냐는 거다. 하지만 당신도 알다시피, 그곳에 군대를 주둔시키는 데 매우 많은 비용이 든다. 한국에 4만명 병력이 주둔하는데, 매우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나 나는 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담에서 위와 같이 답변하였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철군반대파의 대변인 노릇을 하는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국군을 철수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느니 뭐니 하면서 헛소문을 한바탕 퍼뜨렸다. 그러나 그런 헛소문은 위에 인용된 트럼프 대통령의 답변을 철군반대파의 ‘입맛’에 맞게 아전인수격으로 잘못 해석한 것에 불과하다.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는 매우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그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언론매체와 대담하면서 모두 털어놓을 수는 없다. 따라서 위의 답변 속에 들어있는 진의를 파악하려면, 철군문제에 관한 여러 정보들을 서로 연관시켜 정확하게 해석해야 한다. 

 

(1) 답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가 주한미국군을 유지하는 것 이외에 어떤 것도 말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는 뜻이다. 이 말은 그가 싱가폴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철군문제를 논의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답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철군문제를 논의하지 않았다는 말끝에 “아마도 어느 날. 내 말은 누가 알겠냐는 거다(Maybe someday. I man who knows.)”라는 말을 덧붙이면서 묘한 여운을 남겼다. 묘한 여운 속에 담긴 진의는 자기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은 없지만, 앞으로 어느 날 그 문제를 논의하게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싱가폴 정상회담에서는 철군문제가 논의되지 않았지만,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철군문제를 논의하게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고 말한 것이다. 이런 발언내용을 새겨들으면,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철군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진 4>  

 

▲ <사진 4> 이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2월 3일 미국 텔레비전방송 대담프로그램 '페이스 더 네이션'에 출연하여 대담진행자 마가렛 브레넌과 담화하는 장면이다. 그 자리에서 대담진행자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국에 있는 미국군을 계속 유지할 것인가?"고 단도직입적으로 질문하였다. 답변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철군문제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아직) 논의하지 않았다는 말끝에 "아마도 어느 날. 내 말은 누가 알겠냐는 거다"라는 말을 덧붙이면서 묘한 여운을 남겼다. 묘한 여운 속에 담긴 진의는 자기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은 없지만, 앞으로 어느 날 그 문제를 논의하게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싱가폴 정상회담에서는 철군문제가 논의되지 않았지만,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철군문제를 논의하게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고 말한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3) 답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국군 주둔비용문제를 거론하였다. 철군문제를 질문했는데, 주둔비용문제를 거론하였으니 심상치 않아 보인다. 그는 미국이 주한미국군 주둔비용을 너무 많이 지불하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물론 그가 그 문제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주한미국군 주둔비용문제에 대한 그의 불만은 오래 전부터 덧쌓여왔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그의 답변은 문재인 정부가 주한미국군 주둔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하는데, 만일 문재인 대통령이 전액부담요구를 끝내 거부하면 주한미국군을 철수하겠다는 뜻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제와 직결된 실제상황을 거론할 필요가 있다. 2018년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된 제10차 주한미국군 주둔지원금 책정협상에서 미국 협상단은 주둔지원금 책정유효기간을 현행 5년에서 1년으로 줄이자고 제의하였다. 이것은 주둔지원금을 해마다 증액, 갈취하다가 몇 해 뒤에는 전액을 갈취하려는 강도적 요구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도 문재인 정부는 그런 강도적 요구에 굴복하여 지난 2월 10일 주한미국군 주둔지원금 특별협정문에 가서명하였다. 특별협정문은 문재인 정부가 2018년에 비해 8.2% 증액된 1조389억원(9억2437만달러)을 올해 주한미국군 주둔지원금으로 지불할 뿐 아니라, 책정유효기간은 1년으로 줄이도록 규정하였다. 미국의 강도적 요구를 거부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말대로 주한미국군이 전격 철수될까봐 잔뜩 겁을 먹은 문재인 정부는 저들의 강도적인 요구를 받아들이는 굴욕을 선택하고 말았다. 하지만 주둔지원금을 대폭 증액하는 협상을 해마다 벌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강도적 요구를 들이대면서 해마다 증액협상을 벌이는 척하다가 문재인 정부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반발하면, 그것을 빌미로 철군명령을 내리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음흉한 계책이다. 문재인 대통령에게는 그 계책을 돌파할 방도가 없으므로, 철군은 불가피하다. 

 

(4) 답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주한미국군 철수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 말은 사실이다. 그는 주한미국군을 철군하려는 의지를 가졌지만, 철군계획까지 세워둔 것은 아니다. 미국 텔레비전방송 <NBC> 2018년 5월 1일 보도에 따르면, 2018년 1월 하순 어느 날,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국군 철수명령을 미국 국방부에 하달하려고 하였는데, 그 사실을 알게 된 존 켈리 당시 백악관 비서실장이 강하게 만류하는 바람에 철군명령을 내리지 못했다고 한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철군명령을 내렸더라도, 제임스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은 명령집행을 거부하거나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면서 명령집행을 회피하였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방부에게 주한미국군을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국방부는 그 명령을 집행하기 위한 철군계획을 작성해서 대통령에게 보고해야 하는데, 철군을 반대하는 각료들이 대통령의 철수명령을 가로막았으니, 철군계획이 나올 리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사정이 달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의 철군의사를 거스르는 각료들을 모조리 해임했다. 그러므로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 결심대로 주한미국군 철수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가 임의의 시각에 철군명령을 내리면, 미국 국방부는 철군계획을 작성하여 대통령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철군은 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므로, 연방의회는 헌법을 개정하지 않는 한 철군을 막을 방도가 없다.  

 

(5) 답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또 다시 말했다. 이 말은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린 말이다. 미국의 저명한 언론인 밥 우드워드가 집필한, ‘두려움: 백악관의 트럼프’라는 제목의 책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백악관에서 각료들과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놓고 여러 차례 논쟁을 벌여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가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한 것은 거짓말이다. 하지만, 그는 싱가폴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철군문제를 논의하지 않았으므로, 그가 철군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는 말은 참말이기도 하다. 그는 조미정상회담에서 철군문제를 논의하지 않았지만, 백악관 각료회의에서는 철군문제를 두고 여러 차례 논쟁을 벌였다. 그렇지만 이제는 그런 철군논쟁도 막을 내렸다. 왜냐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철군을 반대하는 각료들을 모두 해임했기 때문이다. 

 

철군을 반대하는 각료들을 모두 해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에 들어와 자기의 철군의사를 마침내 행동에 옮기기 시작하였다. 수리아에서 미국군이 철수하기 시작했고,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쟁을 끝내고 미국군을 철수하기 위해 탈레반과 협상을 시작하였다. 이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정전상태를 종식시키고 주한미국군을 철수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할 차례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극우 vs 진보’ 유튜버들의 격렬한 몸싸움 현장 (동영상)

공청회라고 써 놓고, 광기의 현장이라 읽다
 
임병도 | 2019-02-11 08:45:09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지난 2월 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 앞은 아수라장이었습니다. 자유한국당 김진태, 이종명 의원이 주최하고 지만원씨가 발표하는 5.18 공청회 때문이었습니다.

오후 2시부터 시작되는 공청회는 이미 1시부터 몰려드는 사람들 때문에 방문증을 발급하는 의원회관 입구는 북새통이었습니다.

아이엠피터는 도저히 시간 내에 방문증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 후문을 통해 겨우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해방 이후 벌어진 좌우익의 격렬한 싸움과도 같았다

▲극우와 진보 성향의 유튜버들이 카메라로 서로를 촬영하며 방송하고 있는 모습

도착해보니, 이미 공청회가 열리는 대회의실 앞에는 극우와 진보 성향 유튜버 십여 명이 휴대폰과 캠코더 등을 통해 현장을 중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방송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서로를 향해 ‘빨갱이’, ‘친일파’ 등의 막말이 오갔고, 급기야는 주변에 있던 사람들 간의 몸싸움도 벌어졌습니다. 아이엠피터가 목격한 몸싸움만 해도 5번이 넘었고, 경찰까지 출동했습니다.

처음에는 각자가 주장하는 이야기를 들어 보자며 토론도 시작됐습니다. 그러나 이내 ‘이 XX들은 모두 빨갱이야’라는 말이 터져 나왔고, 결국 욕설과 고성이 오갔습니다.

현장을 바라보고 있는 내내, 아이엠피터의 머릿 속에는 마치 해방 이후 좌우익 투쟁 과정에서 벌어졌던 피투성이 싸움이 떠올랐습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끼리 사상이 다르다고 어떻게 서로를 죽일 수 있을까라고 생각했던 의문은 사라졌습니다. 손에 무기를 들고 있었거나 카메라만 없었다면 몸싸움이 아니라 더한 일도 벌어졌을 듯한 분위기였습니다.


공청회라고 써 놓고, 광기의 현장이라 읽다

▲극우 지만원씨가 발표한 5.18 공청회에 나왔던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망언

회의실 밖이 고성과 욕설, 몸싸움으로 시끄러웠다면, 내부는 마치 종교 집단과 같은 광기의 현장이었습니다. 상식적으로 대한민국 입법부라는 국회에서 도저히 나올 수 없는 망언들도 이어졌습니다.

공청회 공동주최자였던 자유한국당 김순례 의원은 “저희가 방심하며 정권을 놓친 사이 종북좌파들이 지금 판을 치면서 5.18 유공자라는 이상한 괴물집단을 만들어 내면서 우리의 세금을 축내고 있다.”라며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공자를 비하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김 의원은 대한약사회 부회장이던 2015년 4월 28일 SNS 모임에 ‘시체장사’, ‘거지근성’ 등 세월호 유가족을 비하하는 표현이 담긴 글을 공유했다가 대한약사회에서 직무정지 3개월 징계를 받았던 인물입니다.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발표를 맡은 지만원씨를 향해 ‘제가 제일 존경하는 지만원 박사님, 5.18 문제에서만큼은 우리 우파가 결코 물러서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는 인사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공청회(公聽會):공개적인 토론을 통하여 어떠한 행정작용에 대하여 당사자 등, 전문지식과 경험을 가진 자 또는 기타 일반인으로부터 의견을 널리 수렴하는 절차를 말한다.

이날 열린 행사의 공식 명칭은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였습니다. 그러나 참가자들 발언의 요지는 ‘5.18은 북한군 특수부대가 개입한 폭동’이었고, 이에 반하는 의견은 깡그리 무시됐습니다.

5.18 관련 단체들은 ‘폭동이 아니라며 광주를 모욕하지 말라’고 하자마자 강제로 쫓겨났습니다. 여론을 수렴하는 공청회에서 반대 목소리를 쫓아 내는 것은 이미 결론을 내고 의견을 받지 않겠다고 작정한 것입니다.


허접한 논리, 진실이 되어버린 가짜 뉴스

▲공청회 자료집에 나온 사진, 지만원씨는 광주인들 대부분이 북한 특수부대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 공청회에서 배포한 자료집에는 속칭 ‘제00광수’ (5.18 당시 시민들을 가리켜 광주 북한 특수군이라며 부르는 줄임말)의 근거라는 사진들이 수십 장 나와있었습니다.

지만원씨는 5.18 당시 사진에 나타난 인구들 대부분이 북한 사람들이며 고정간첩이거나 내국인 스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광주에 왔던 북한군들이 인민군 원수나 인민군 대장, 북한 노동당 비서라는 황당한 논리도 펼쳤습니다.

이날 공동주최자였던 이종명 자유한국당 의원은 육군 대령 출신입니다. 군 장교 출신이면 현실적으로 북한군 600명이 국내에 들어올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음에도 ‘첨단 과학화된 장비로 북한군이 개입됐다는 것을 하나하나 밝혀 나가는 그런 역할을 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북한군 개입을 부정하는 사람들의 근거들
대법원 판결로 종결됐다
반론1, 당시에는 북한군 개념 자체 부존재
5.18에 북한군이 개입됐다는 가설은 오로지 지만원 한 사람만 했다. (지만원씨가 발표한 5.18 공청회 자료집 중에서)

지만원씨는 ‘5.18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가설은 오로지 본인만 했다’며 ‘대법원이 무슨 수로 북한군이 오지 않았다는 판결을 할 수 있었는가’라며 자신의 주장이 맞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자료집에 당당히 올렸습니다.

이런 수준의 주장과 논리를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들이 옹호하고 있습니다. 극우 성향 지지자들은 물론이고 일부 노령층은 가짜뉴스를 진실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이날 공청회에서 5.18 관련 단체 활동가는 ‘광주를 모욕하지 말라’라는 현수막을 펼치며 광주 북한군 개입설이 거짓이라고 반박했다.

난장판이 되어버린 5.18 공청회를 보면서, 아직도 대한민국은 최소한의 상식조차 무시하고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사회임을 깨달았습니다.

과연 어떤 말을 하고, 어떤 글을 써야 저들이 믿고 있는 진실이 가짜뉴스인지 깨달을까라는 고민을 해봤지만, 결국 해답은 찾지 못했습니다.

취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분에 겨워 말조차 하지 못하는 5.18 유가족의 모습을 보니 참 많이 부끄럽고, 미안했습니다.

유튜브에서 바로보기: ‘극우 vs 진보’ 유튜버들의 격렬한 몸싸움 현장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173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차 북미정상회담] ‘하노이 공동성명’에 김정은-트럼프 통 큰 거래 담길까

1박 2일 정상회담, 북미관계 개선 구체적 청사진 나올 전망

김원식 전문기자
발행 2019-02-10 16:25:49
수정 2019-02-10 16:33:01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1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1차 북미정상회담 합의문 서명하고 있다.(자료 사진)
1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1차 북미정상회담 합의문 서명하고 있다.(자료 사진)ⓒ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지난해 6월 12일, 역사적인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이 열린 지 8개월여 만에 다시 회담이 개최되는 것이다.

1차 정상회담의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는 북·미가 70여 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할 관계 개선과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 그리고 완전한 비핵화라는 세 가지 큰 틀에서 합의를 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는 2월 28일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른바 ‘하노이 공동성명’에서는 어떠한 내용이 담길지에 관심이 쏠린다.

무엇보다도 이번 ‘하노이 공동성명’에서는 북·미가 1차 정상회담의 합의문을 이행할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담을 것이라는 데는 이론이 거의 없다. 하지만 문제는 북·미가 과연 어느 수준이나 어느 단계까지 합의를 성사시켜 이번 ‘하노이 공동성명’에 담아낼 것인가가 핵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번 ‘하노이 공동성명’에서 북한이 내놓을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와 이에 따른 미국의 구체적인 ‘상응 조치’ 내용이다. 현재는 영변 핵시설 폐기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폐기 등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락사무소 개설, 종전선언, 대북제재 완화 등 미국의 상응 조치 등이 거론된다. 

이러한 공동성명의 도출을 위해 북·미는 현재 치열한 실무회담을 펼치고 있다. 스티브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최근 평양을 2박 3일간 방문한 데 이어 곧 추가 실무회담도 열릴 예정이다. 그만큼 북·미가 구체적인 사항에 관해서는 합의에 이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방북한 비건 특별대표가 서울로 다시 와서 이번 실무회담에 관해 “대화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겠지만, 생산적(productive)이었다”고 말했지만, 한편으로 “북한과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있다”고 언급한 사실은 이를 잘 말해준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에서 스티븐 비건 미 대북특별대표와 면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에서 스티븐 비건 미 대북특별대표와 면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김슬찬 기자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 가지 긍정적인 변화는 미국의 대북 입장이 다소 유연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완료 전에는 제재 완화 등 일체의 보상을 제공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에서 다소 유연하게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북 실무협상을 총괄하는 비건 특별대표가 지난 1일 스탠퍼드대학 연설에서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 했던 모든 약속을 동시적·병행적으로(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 추진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점은 이를 잘 말해준다. 

하지만 아직 미국은 ‘완전한 비핵화 전 제재 완화 불가’라는 기본 입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비건 특별대표가 동시·병행 원칙을 언급하면서도 “북한이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 약속을 지킨다면,”이라는 전제 조건을 단 이유이다. 

미국의 대북제재 완화 유연성 여부가 성패의 핵심  

따라서 이번 ‘하노이 공동성명’에서 과연 어느 정도까지 성과를 낼 수 있는지는 실제로 미국이 대북제재 완화에 얼마만큼의 유연성을 발휘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이 동시·병행 원칙만이 아니라 ‘행동 대 행동 원칙’을 내세우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북·미 간에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실무협상에서 이러한 문제에 관해 최종 타결을 이룰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 않다. 쉽게 말해 ‘비핵화 완료 전 대북제재 완화 불가’라는 미국의 원칙을 실무급이나 고위급 차원에서는 깨기다 힘들다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주목되는 부분이 바로 최근 북미정상회담은 기존 방식을 탈피한 ‘탑-다운(Top-Down)’ 방식이라는 점이다. 사실 1차 북미정상회담도 트럼프 대통령이 전격적인 수락과 개최 결정을 하지 않고, 실무선에만 맡겨 놓았다면 불가능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전격적으로 유예하기로 결정한 배경도 ‘탑-다운’ 방식의 회담 성격을 잘 말해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전에 실무진에게 귀띔도 하지 않았고, 일부 실무진의 반대에도 군통수권자로서 회담 당일 이를 결정해 명령했다.

이는 북한이 1차 정상회담 이후 고위급회담에서도 북미협상이 교착상태에 이르자,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상대하겠다고 나서는 이유와도 무관하지 않다. 김정은 위원장이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방미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비상한 결단력, 사고방식을 믿는다”고 말한 대목도 이를 잘 말해준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전 회담장인 카펠라 호텔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위해 만나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자료 사진)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전 회담장인 카펠라 호텔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위해 만나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자료 사진)ⓒ뉴시스

28일 양 정상의 최종 결단 담은 ‘하노이 공동성명’ 발표 예정  

이런 측면에서 또 하나 눈여겨볼 대목이 바로 이번 베트남에서의 2차 북미정상회담은 싱가포르처럼 당일치기가 아니라, 1박 2일간 개최된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에서는 정상회담 개최 전날 새벽까지도 북·미 양측의 실무협상이 펼쳐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북·미 정상 간에 통 큰 거래를 할 시간이 있는 셈이다. 

즉 2차 정상회담 첫째 날인 27일은 북·미 정상 간의 만남과 함께 실무진이나 고위급에서 풀지 못한 의제를 놓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역으로 이는 정상회담 직전까지 공동성명 초안만 합의한 채, 상호 이견이 있는 안건은 각 정상의 최종 결단에 맡긴다는 의미이다. 최종 공동성명은 정상회담 마지막 날인 28일에 발표될 예정이다. 

따라서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의 최종 결과물인 ‘하노이 공동성명’에서는 북·미 간 적대관계 청산과 이에 따른 관계 정상화, 그리고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청사진이 나올 전망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북제재 완화의 최종 칼자루를 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더욱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를 위해 이를 전격적으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물을 미국 국내 정치를 위해서도 홍보해야 할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김정은 위원장과의 최종 대면 담판에서 구체적인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 

이에 관해 워싱턴의 한 한반도 전문가는 “이번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단지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tangible)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대북 문제와 관련해 미국 내에서 더욱 곤경에 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다만 “트럼프 대통령도 그동안 이러한 비판론자(critics)들의 비난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보다 본질적인(substantial) 성과를 이루려고 할 것”이라면서 “이런 측면에서도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덧붙였다.

김원식 전문기자

국제전문 기자입니다. 외교, 안보, 통일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1조 원 넘어

한미, 이르면 3월부터 내년 분담금 다시 협상해야
2019.02.10 17:38:33
 

 

 

 

올해 한국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이 1조 원을 조금 넘는 수준에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가 제시한 이른바 '한국 국민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1조 원 이하'는 관철되지 못했지만 미국이 애초 제시한 금액에 비해서는 상당 부분 줄어든 결과다. 

10일 한미 양측 정부는 10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의 가서명을 진행했다. 양국의 협상 수석대표인 장원삼 외교부 한미 방위비분담협상 대표와 티모시 베츠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협정문에 가서명했다. 

협정은 미국 측이 제시한 유효기간 1년을 한국이 받아들이는 대신 총액에서 미국이 마지노선으로 제시했던 10억 달러(1조 1305억 원)보다 낮은 1조 389억 원 으로 확정됐다. 이는 지난해 분담액인 9602억 원에 올해 한국 국방 예산 인상률인 8.2%를 적용해 산출된 액수다. 

이날 기자들과 만난 외교부 당국자는 1억 원을 넘기게 된 결과에 대해 "최초 미국의 요구가 약 1조 4000억 원이었고 마지막까지 10억 달러(1조 1305억 원)를 고수했다. 최종적으로는 이보다 낮은 1조 389억 원이 된 것"이라며 "여러 여건을 감안해 최대한 총액을 줄이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측은 우리의 위상과 경제력에 상응하는 대폭 증액을 요구했다. 미국은 어느 동맹국도 예외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며 미국 측이 총액 증가에 대해 상당한 압력을 넣었다고 덧붙였다.  
 
한미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연내 타결을 목표로 10차례 협상을 진행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 간 서울에서 열린 10차 회의에서 양측은 총액과 유효기간 등에 상당한 접점을 보이며 연내 타결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은 돌연 '최상부의 지침'이라면서 그동안 협의 내용을 무시하고 총액 12억 5000만 달러(한화 약 1조 4000억 원)를, 유효기간 1년(기존 유효기간은 5년)을 제시했다. 

최상부 지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해지지 않았으나,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뜻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대통령 선거 후보 시절부터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이들 국가들이 방위비 분담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에 한국은 그동안 논의해온 사항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국의 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고 이후 한미 양측은 여러 채널을 통해 추가 협의를 진행했다. 미국은 외교 채널을 통해 역시 '최상부의 지침'이라는 전제 하에 12억 달러(한화 약 1조 3500억 원)를 새롭게 제시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어떤 경우에도 10억 달러(약 1조 1000억 원) 미만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여기에 대해 정부는 한국 국민들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1조 원을 넘을 수 없고, 유효기간은 3~5년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다시 전달했다. 이렇듯 지난해 12월 이후 사실상 평행선을 달리던 양측은 결국 유효기간은 한국 측이, 총액은 미국 측이 양보하는 식으로 절충안을 마련했다.  
 

▲ 장원삼(오른쪽) 외교부 한미 방위비분담협상 대표와 티모시 베츠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가 10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제10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에 서명하고 있다. ⓒ외교부


미국은 주한미군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전개되는 미군 전략자산과 관련해 '작전 지원 항목'을 협정의 새로운 항목으로 추가하자고 요구했다. 전략자산의 전개 비용 일부를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방위비 분담금이 주한미군의 주둔 경비를 분담하기 위한 목적임을 강조, 이같은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미국의 요구는 철회됐다. 

정부는 이번 협정에서 그동안 제기됐던 분담금 협정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했다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군사 건설 분야에서 예외적인 현금 지원을 철폐했고 설계·감리비에 대한 현금 지원 비율인 12%를 집행 실적에 따라 축소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물지원 체제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군수 지원 분야에서 그 해에 집행하지 않은 지원분이 자동으로 다음 연도로 이월되는 것이 관례였으나, 이번 협정부터 양측은 사업연도 내에 계약이 이뤄졌거나 사업연도 12월 1일까지 입찰공고가 이뤄지는 경우에만 이월이 허용되도록 하는 별도의 기준을 만들어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군사 건설 사업을 선정할 때도 한국 측이 사업 목록 조정 및 추가 사업 제안을 할 수 있도록 조치했으며, 미국 측에 5개년 사업 계획을 제출하도록 결정했다. 이를 통해 분담금 집행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였다는 것이 정부의 평가다.  

이밖에 이번 협정에서는 주한미군 내 한국인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규정을 최초로 협정 본문에 삽입했다. 또 실질적 조치로, 한국 정부가 분담금을 통해 부담하는 인건비 비율 상한선인 '75% 이하'를 철폐하고 75% 이상 분담 노력 의무를 규정했다. 

한편 이번 협정은 가서명 뒤 법제처 심사와 국무회의, 대통령 재가 등을 거쳐 정식 서명된다. 이후 국회에서 비준 동의안을 의결하면 정식으로 발효된다.

올해 겨우 끝냈는데…내년 분담금 협상 조만간 또 시작해야 

이번 분담금 협정은 협상 막바지 미국 정부 측 '최상부의 지침'이 제기되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하지만 결국 양측이 일정 부분 양보하면서 절충안을 마련했다. 

이같은 절충안이 마련된 것은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진행될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양측이 외교적으로 부담이 되는 사안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번 협정으로 양측은 이르면 오는 3월부터 내년 분담금 협상을 또다시 시작해야 한다. 한국 정부는 처음부터 양측의 협상 기간을 고려했을 때 유효기간 1년은 비현실적이라는 입장을 지속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이 2020년으로 다가왔다는 점도 한국이 유효기간 3년 이상을 고수한 이유 중 하나인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유효기간이 3년 이상으로 확정됐다면 다음 협상은 최소 2021년 이후에 진행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성공 여부와 방위비 분담금 문제가 연계되지 않는다.  

그러나 결국 유효기간이 1년으로 정해지면서 방위비 분담금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성공 여부와 일정 부분 연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동맹국들에게 방위비 분담금의 대폭 증액을 요구해 왔다. 이에 자신의 재선 성공을 위한 외교적 성과의 일환으로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활용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해졌고, 분담금의 대폭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런데 대북 및 무역 사안에서 미국 측의 협조가 필요한 한국이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무시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추후 협상에서 한국 측은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다음번 협정이 적절한 시기에 타결되지 못할 경우 협정 공백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협정의 유효기간은 1년으로 하되, 양측이 합의할 경우 협정을 연장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며 일정한 안전장치를 만들어 놓았다고 설명했다. 

추후 협상과 관련 이 당국자는 언제 진행될지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조속히 협상에 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은 한국뿐만 아니라 동맹국들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에 통일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이에 따라 분담하겠다는 원칙을 세웠고, 이 원칙을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알고 있다"며 "그러한 가이드라인이 수립됐을 때 우리가 다른 (미국의) 동맹국들에 비해 먼저 협상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갑제씨도 비웃은 북한군 개입설 이젠 닥쳐라”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9/02/11 08:46
  • 수정일
    2019/02/11 08:46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아침신문 솎아보기] 지만원 망언에 동조한 한국당에 호남권 언론 분노… 중앙·동아일보도 사설 내고 비판

금준경 기자 teenkjk@mediatoday.co.kr  2019년 02월 11일 월요일

“5·18은 북한 특수군 600명이 주도한 게릴라전이었다.” “전두환은 영웅이다.”

지만원씨가 또 다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향한 망언을 쏟아냈다. 5·18은 북한군이 침투해 일으킨 게릴라전이었으며 광주의 참상을 세계에 알린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는 간첩이라는 주장이다. 그가 이 같은 발언을 한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주최한 대국민 공청회에서 이 같은 발언이 나왔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11일 광주전남지역 아침신문들에는 분노가 느껴졌다. 광남일보, 광주매일신문, 광주일보, 남도일보, 무등일보, 전남매일, 전남일보는 일제히 1면과 사설을 통해 이번 사안을 다뤘다. 광주매일신문의 사설 제목은 “조갑제씨도 비웃은 북한군 개입설 이젠 닥쳐라”다. 남도일보는 “광주를 다시 짓밟은 추한 자유한국당”, 무등일보는 “5·18 능멸한 한줌 세력들의 저의는 무엇인가” 사설을 냈다. 광남일보는 “지씨의 반역사적 정신병적 주장을 언제까지 듣고 있어야 하는가”라고 비판했다. 

 

▲ 무등일보, 남도일보 1면 기사.
▲ 무등일보, 남도일보 1면 기사.
 

지만원씨의 주장은 상식적으로 납득할만한 근거가 없다. 무등일보는 1980년 계엄사령부의 조사를 포함해 국가차원의 6번의 조사에서 북한군 개입은 허구임이 드러났고, 전두환씨와 신군부도 이 같은 의혹제기를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광주매일신문은 북한 대규모 병력이 한국군은 물론 미군도 모르게 남파될 수도 없다는 조갑제씨의 주장을 인용해 전했다. 2013년 대법원이 지만원씨의 명예훼손 주장을 인정해 유죄를 확정한 일도 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지씨의 북한군 침투설 주장을 담은 인터넷 게시글을 삭제한 것이 정당하는 2017년 판결도 있다. 

이들 신문은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토론회를 주최하고 망언에 동조한 점에도 분노했다. 이날 이종명 의원은 “사실에 기초해서 북한군이 개입한 폭동이었다는 것을 밝혀내야 한다”고 했고 김순례 의원은 “종북좌파가 판치면서 5·18 유공자라는 괴물집단이 만들어져 세금을 축내고 있다”고 말했다. 김진태 의원 역시 “5·18 문제 만큼은 우파가 물러서면 안 된다”고 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나경원 원내대표가 해명을 했지만 “역사적 사실은 해석을 달리할 수 있다”고 해 논란을 키웠고 야당을 중심으로 토론회를 주최한 의원들을 제명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 11일 광주전남지역 신문 사설 모음.
▲ 11일 광주전남지역 신문 사설 모음.
 

전남일보는 “국회의원이 공식 석상에서 했으리라곤 믿기 힘든 망발”이라고 지적했다. 남도일보는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백주 대낮에 이런 망언들을 쏟아낸 지씨와 김 의원 등의 과연 제 정신인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하면서 자유한국당을 가리켜 뿌리가 전두환, 노태우 군사정권에 기초하고 있으며 반민주적 정담임을 스스로 실토하고 있다. 그런 정당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부끄러울 일“이라고 비판했다. 광남일보는 “지씨의 주장에 부화뇌동해 함께 광주민주화운동을 폄훼하는 것은 역사에 죄를 짓는 일로 반드시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전남일보는 망언에 힘을 보탠 의원들을 제명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5·18은 광주의 민주화운동이 아니라 이 땅에 정의를 세운 한국의 민주화운동이기 때문이다.”

전국단위 종합일간지에서도 비판이 쏟아졌다. 한겨레, 경향신문, 한국일보, 서울신문,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관련 사설을 내고 한국당 의원들과 지만원씨를 비판했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도 한국당 의원들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고 발언의 문제를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5·18 민주화운동을 근거 없이 폭동으로 매도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피땀 흘려 이룬 자유민주주의 근본정신마저 부인하는 처사”라며 “더 실망스러운 건 자유한국당의 태도”라고 했다. 중앙일보는 “이들의 주장은 대부분 가짜뉴스성”이라며 “나경원 원내대표조차 어른스러운 대응 대신 ‘역사적 사실은 해석을 달리할 수 있다’고 해 논란을 키웠다. 극단적인 우익은 진정한 보수의 길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 중앙일보 11일 기사.
▲ 중앙일보 11일 기사.
 

다만 보수신문들에선 다른 신문과 온도차가 느껴졌다. 중앙일보는 사설을 통해 비판을 했지만 관련 사안을 다룬 6면 기사의 제목은 “김병준 ‘5·18은 민주화 밑거름’ 나경원 ‘희생자에 아픔 줬다면 유감’”으로 한국당의 해명에 방점을 찍었고 이 가운데서도 논란이 되지 않을 만한 내용을 제목으로 뽑았다. “여론 들끓는데...나경원 ‘5·18 다양한 해석 존재’ 발언 논란” 기사를 낸 한겨레와 대조적이다.  

조선일보는 관련 사설을 내지 않았다. 관련 기사는 “의원 3인의 5·18 비하... 코너 몰린 한국당”으로 제목을 뽑았고 동아일보는 기사와 사설을 통해 “한국당 일부 의원”이라고 썼다. 한국당 전체가 아닌 일부의 주장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6766#csidxc483810c23e80e69e093f805bdc92e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속보] 유엔 아동권리위, 일본정부에 조선학교 고교무상화 권고

[속보] 유엔 아동권리위, 일본정부에 조선학교 고교무상화 권고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8일 일본정부에 “조선학교도 고교무상화 대상으로 포함할것, 대학수험자격을 평등하게 보장할 것” para 39(c)에 대한 권고를 발표했다.

또한 차별금지 관련해서 일본에 아직도 포괄적인 차별금지법이 존재하지 않은 것, 소수자를 비롯한 사회적으로 소외된 그룹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존재하는 상황을 우려하며 para17 (a)(c), 특히 아이누, 부라쿠, 코리안을 비롯한 마이노리티 그룹에 속하는 아동, 이민 노동자의 아이들, LGBTI 아동, 장애를 지닌 아동에 대한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인권계몽활동, 인권교육활동을 보다 활발히 진행할것을 촉구 하였습니다. para18(c)

앞서 지난달 16~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UN 어린이권리조약’ 일본심사위원회가 열렸다. 이때 ‘재일조선학교 어머니 대표단’이 참가해 일본 정부의 ‘조선학교 차별문제’를 항의하는 행동을 펼쳤다. 또한 ‘우리학교시민모임’(대표 손미희) 등 국내 조선학교 지원단체들은 UN에 제출할 항의 서한에 476개 단체 1,641명의 연서명을 받아 공동행동을 전개했다.

강호석 기자  sonkang114@gmail.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선중앙통신사 논평 “남측 군부 행태, 뜻밖의 결과 초래할 수도”

조선중앙통신사 논평 “남측 군부 행태, 뜻밖의 결과 초래할 수도”
 
 
 
김영란 기자 
기사입력: 2019/02/08 [20:39]  최종편집: ⓒ 자주시보
 
 

 

북의 조선중앙통신사가 8, 논평 이중적 행태는 용납될 수 없다를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사는 논평을 통해서 남측 군 당국의 행태, '군사비를 증액하는 것과 무력증강 및 장비현대화를 꾀하는 것'을 비난했다.

 

남측 군 당국의 이런 행위에 대해 논평은 내외의 전폭적인 지지와 환영을 불러일으킨 역사적인 북남선언들에 대한 도전이며 난폭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논평은 남측 군 당국이 “(자신들의조치를 <자체의 방위력 강화를 위한 토대구축>으로 강변하고 있지만그것은 한갓 기만에 불과하다며 현실은 남조선군부가 동족과의 힘의 대결을 계속하려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조선중앙통신사 논평은 앞에서는 <화해의 미소>를 짓고 뒤에서는 대결의 칼을 갈며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보장에 엄중한 장애를 조성하는 남조선 군부의 이중적 행태는 절대로 용납될 수 없고 남조선 군 당국은 저들의 행위가 바람직하지 않은 뜻밖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데 대하여 심사숙고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래는 조선중앙통신사 논평 전문이다.

 

-------------------------아래------------------------------------

 

조선중앙통신사 논평이중적 행태는 용납될 수 없다.

 

남조선군부가 평화와 안정분위기를 해치는 무력증강소동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에 현재와 미래의 예상되는 군사적 위협과 안보변화에 대비한다.는 명목 하에 국방중기계획이라는 것을 새로 발표한 군 당국은 그에 따라 지난 시기보다 13.6%나 더 늘어난 2 500여 억US$의 군사비를 지출하려고 획책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온 겨레의 지향과 념원에 배치되는 위험천만한 행위이며 우리에 대한 로골적인 도발이 아닐 수 없다.

 

남조선군부의 행태는 내외의 전폭적인 지지와 환영을 불러일으킨 력사적인 북남선언들에 대한 도전이며 란폭한 위반이다.

 

지난해 북과 남은 대치지역에서의 군사적 적대관계종식을 조선반도 전 지역에서의 전쟁위험제거와 적대관계해소로 이어나가며 특히 군사적 신뢰가 구축되는데 따라 군축을 실현해나가기로 확약하였다.

 

남조선당국에는 선언들에 명기된 대로 긴장완화에 배치되는 일체 행동을 금지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더우기 지난날 있지도 않은 북의 위협을 운운하며 남조선전체를 극동최대의 화약고로 만든 군부로서는 그에 대해 론의 할 여지조차 없게 된 오늘의 정세 하에서 동족을 겨눈 살인장비들을 모조리 축소하는 데로 지체없이 나왔어야 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우리 앞에서는 군사적 긴장완화에 관심이나 있는 듯이 생색을 내고 돌아앉아서는 정세가 긴장하던 시기보다 더 엄청난 규모의 군사비를 투입하여 무력증강과 장비현대화에 나서고 있으며 지어 스텔스전투기 F-35A와 고고도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해상고고도요격미싸일 SM-3》 등 외국산 무장장비들까지 대대적으로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

 

과연 이것이 진정 남조선군당국의 현 정세흐름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이며 조선반도를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지대로 만들려는 립장인가 하는 것이다.

 

군부세력은 저들의 조치를 자체의 방위력강화를 위한 토대구축으로 강변하고 있지만 그것은 한갓 기만에 불과하다.

 

실지로 군 당국은 저들의 무력증강책동이 핵 및 대량살상무기대응체계로 명칭이 바뀌여진 이전의 3축타격체계라는 북침공격체계를 완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는 것을 조금도 숨기지 않고있다.

 

현실은 남조선군부가 동족과의 힘의 대결을 계속하려 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동족상쟁종식을 확약한 북남합의의 리면에서 감행되고 있는 무분별한 군사적 행위는 우리의 강한 경계심과 내외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그것은 현 정세발전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에서는 화해의 미소를 짓고 뒤에서는 대결의 칼을 갈며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보장에 엄중한 장애를 조성하는 남조선군부의 이중적 행태는 절대로 용납될 수 없다.

 

남조선 군 당국은 저들의 행위가 바람직하지 않은 뜻밖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데 대하여 심사숙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BBC 김복동 할머니 일대기 ‘절규하며 죽었다!’

‘우리의 영웅’, ‘우리의 엄마’, ‘우리의 희망’
 
뉴스프로 | 2019-02-08 12:24:47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BBC 김복동 할머니 일대기 ‘절규하며 죽었다!’ 
-일본에 강한 분노, 끝내 사과 받지 못해 
-‘우리의 영웅’, ‘우리의 엄마’, ‘우리의 희망’

BBC가 장문의 부고 기사로 김복동 할머니의 일대기를 다루었다. 유명한 정치인도 아닌, 유명한 과학자도 아닌 저 한반도 남쪽의 90세가 넘은 노인의 죽음에 대해 BBC가 그의 일생을 따라가며 되짚어내고 그의 죽음의 의미를 온 세계에 상기시킨 것이다.

그의 죽음과 삶을 되살리며 BBC는 일본의 전쟁 범죄와 사과하지 않는 파렴치함에 대해 전 세계에 알렸다. BBC는 그 가해자 일본에 대해 김복동 할머니가 마지막 숨을 거두면서까지 강한 분노를 표시하며 ‘절규하며 죽었다!’고 전했다.

BBC는 3일 ‘Obituary: Kim Bok-dong, the South Korean ‘comfort woman’-부고: 한국의 ‘위안부’ 김복동 할머니‘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고 김복동 할머니의 참혹했던 일본군 성노예 실태, 해방 후 귀국, 어머니의 고통스런 죽음, 자신의 과거를 알리고 일본에게 사과를 요구하며 싸움에 나선 치열한 삶, 그 후 인권운동가로서의 삶과 끝내 사과하지 않는 일본에 대한 분노에 대해 끝까지 싸울 것을 당부한 죽음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다루었다.

BBC는 ‘한국의 활동가 김복동 할머니가 향년 92세로 세상을 뜨셨다’로 기사를 시작하며 ‘할머니의 관은 서울에 주재한 일본 대사관 앞을 지나갔으며, 이 마지막 행렬에는 많은 조문객들이 현수막과 노란 나비들을 들고 함께했다. “일본은 사과해야 한다”라는 울부짖음이 군중들 위로 크게 울리기도 했고 또 다른 이들은 조용히 훌쩍였다’고 장례식 풍경을 전했다.

BBC는 이 장례 행렬에 대해 ‘이것은 일반적인 장례 행렬이 아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김복동 할머니는 일반적인 여성이 아니었고 이 장례 행렬은 그녀로부터 많은 것을 훔쳐간 한 국가에 저항하는 이분의 마지막 행동이었다’고 의미를 부여하며 그녀는 그토록 원했던 사과를 받지 못한 채, 여전히 불의에 맞서 싸우며, 그녀가 누릴 수도 있었던, 누렸어야 마땅한 자신의 삶을 낚아챈 일본에 대해 여전히 분노한 채로 월요일 향년 92세로 별세했다고 그의 죽음의 분노를 설명했다.

BBC는 ▲’I had to comply‘ ‘나는 복종해야 했다’ ▲First known footage of ‘comfort women’ ‘위안부’에 대해 알려진 첫 번째 영상 ▲’How could I tell anyone?’ “어떻게 남에게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겠나?” ▲’It’s not about money’ “돈이 문제가 아니다”로 나누어 김복동 할머니의 굳센 삶의 여정을 따라가며 조명했다.

특히 BBC는 김복동 할머니의 여성 인권운동에도 초점을 맞추며 “콩고민주공화국과 우간다에서 분쟁 중 성폭력을 당한 피해생존자들은 김복동 할머니를… ‘우리의 영웅’, ‘우리의 엄마’, ‘우리의 희망’이라고 부른다”는 정대협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이 기사는 김복동 할머니가 2016년 일본의 10억 엔을 지불하기로 한 2015년 한일 협정을 비웃었다며 김복동 할머니가 원했던 것, 할머니가 이제껏 싸워온 것은 상대가 죄를 온전히 인정하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BBC는 ‘김복동 할머니의 유산은 헛되지 않을 것’이라며 “할머님은 내가 가장 존경하는 롤모델이시다”라는 장례식 참석 군중의 말로 김복동 할머니의 유지가 이어져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글, 이하로)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BBC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bbc.in/2Ts0OOL

Obituary: Kim Bok-dong, the South Korean ‘comfort woman’

부고: 한국의 ‘위안부’ 김복동 할머니

By Flora Drury BBC News

South Korean campaigner Kim Bok-dong has died at the age of 92 
한국의 활동가 김복동 할머니가 향년 92세로 세상을 뜨셨다

The coffin passed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accompanied on its final journey by mourners waving banners and holding yellow butterflies.

할머니의 관은 서울에 주재한 일본 대사관 앞을 지나갔으며, 이 마지막 행렬에는 많은 조문객들이 현수막과 노란 나비들을 들고 함께했다.

Cries of “Japan must apologise” rang out above the crowd, while others quietly sobbed.

“일본은 사과해야 한다”라는 울부짖음이 군중들 위로 크게 울리기도 했고 또 다른 이들은 조용히 훌쩍였다.

It was not your usual funeral procession. But then, Kim Bok-dong was not your usual woman, and this was her final act of resistance against a country which had stolen so much from her.

이것은 일반적인 장례 행렬이 아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김복동 할머니는 일반적인 여성이 아니었고 이 장례 행렬은 그녀로부터 많은 것을 훔쳐간 한 국가에 저항하는 이분의 마지막 행동이었다.

Kim was one of thousands of so-called “comfort women” rounded up by the Japanese army and forced to work as sex slaves for years on end.

김 할머니는 일본군에 의해 붙잡혀 수년간 강제 성노예로 일하게 된 수천 명의 일명 “위안부” 여성들 중 한 명이었다.

She died on Monday, at the age of 92, without ever receiving the apology she wanted; still railing against the injustice; still angry with Japan for taking the life she could and should have had.

그녀는 그토록 원했던 사과를 받지 못한 채, 월요일 향년 92세로 별세했다. 여전히 불의에 맞서 싸우며, 그녀가 누릴 수도 있었던, 누렸어야 마땅한 자신의 삶을 낚아챈 일본에 대해 여전히 분노한 채로 말이다.

“I was born a woman,” she said, “but I never lived as a woman.” 
“나는 여성으로 태어났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러나 나는 여성으로서 살아 본 적이 없다.”

‘I had to comply’ 
‘나는 복종해야 했다’

It took Kim Bok-dong almost 40 years to find the strength to tell her story.

김복동 할머니가 자신의 이야기를 말할 용기를 내기까지 거의 40년의 세월이 걸렸다.

She was just 14 when the Japanese soldiers arrived at her family’s home in Yangsan, South Gyeongsang. They said she was needed to work in a factory. If she did not come, they warned her mother, the family would suffer.

할머니가 고작 14세였을 때, 일본군은 경상남도 양산에 있는 할머니 가족이 살던 집에 쳐들어왔다. 그들은 할머니가 공장에서 일하는 데 필요하다고 말했다. 만일 할머니가 따라오지 않으면 가족들이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할머니의 어머니에게 경고했다.

But Kim was not taken to work in a factory. Instead, the teenager found herself transported to one of hundreds of “comfort stations” set up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across the territory it had seized.

그러나 김 할머니는 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징집된 것이 아니었다. 그 대신 이 십대 소녀는 일본제국 군대가 점령한 영토 전반에 걸쳐 설치된 수백 개의 “위안소” 중 한 곳으로 실려가게 되었다.

First known footage of ‘comfort women’ 
‘위안부’에 대해 알려진 첫 번째 영상

These “stations” were, in reality, brothels where some estimate as many as 200,000 women were forced to work as sex slaves.

사실 이 “위안소”들은 추정상 약 20만 명에 달하는 여성들이 강제 성노예로 일하도록 만들어진 매춘굴이었다.

Kim, who should still have been in school, was among them.

아직 학교에 다녀야 할 나이의 김 할머니는 그들 중 하나였다.

Her young age did not go unnoticed after she arrived in China.

중국에 도착한 후 그녀가 어리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When they found out I was only 14, they talked among themselves saying ‘Isn’t she too young?’,” she told YouTube channel Asian Boss during an interview in October 2018.

“내가 14세에 불과하다는 것을 그들이 알아차렸을 때, 그들은 자신들끼리 말하길 ‘이 여자 아이는 너무 어리지 않나?’라고 했다”고 김 할머니는 유튜브 채널인 아시안 보스와의 인터뷰에서 2018년 10월 말했다.

Apparently, it was not a problem. She was sent to start work.

그것이 문제가 된 것 같지는 않았다. 그녀는 성노예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The first time, I got dragged into one of the rooms and beaten up a bit,” she recalled. “So I had to comply.”

“처음에 나는 여러 방들 중 한 방으로 끌려들어가 두드려 맞았다”고 그녀는 회상한다. “그래서 나는 복종해야만 했다.”

Afterwards, she said, the bed sheets were covered in blood. It was too much to bear, and she decided there was only one way out.

이후, 그녀는 말하길, 침대 시트는 피범벅이 되었다. 그것은 견디기 힘든 일이었고, 그녀는 그곳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오직 한 가지 뿐이라고 믿었다.

These Korean women were found by US Marines at a “comfort station” in China in April 1945 
이 한국 여성들은 미 해군에 의해 1945년 4월 중국의 한 “위안소”에서 발견되었다.

Using the little money she had been given by her mother, she and two others convinced a cleaner to buy them a bottle of the strongest alcohol they could find.

어머니가 주신 얼마 안 되는 돈으로 그녀와 두 명의 다른 여성들은 청소부를 설득하여 구할 수 있는 가장 독한 술 한 병을 샀다.

They drank until they passed out, but it wasn’t enough. The three girls were found, and their stomachs were pumped.

그들은 정신을 잃을 때까지 술을 마셨으나 그것은 충분하지 않았다. 세 명의 소녀들은 발견된 뒤 위 세척을 받았다.

When Kim finally woke up, she made a choice – no matter what happened, she would live to tell the tale.

마침내 깨어났을 때 김 할머니는 결심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살아남아 이 이야기를 알려야겠다고.

‘How could I tell anyone?’

“어떻게 남에게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겠나?”

The Japanese Imperial Army first introduced the idea of “comfort stations” in the early 1930s. It was supposed to stop their soldiers going on “raping sprees”, and keep them free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제국주의 일본군은 1930년대 초 “위안소”의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이는 일본군이 “무분별하게 강간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병을 옮기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In the beginning, it is thought they used prostitutes. But as Japan’s military grew, so did demand. Eventually, they turned to slavery.

초기에 일본군은 창녀를 이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 군인의 수가 늘어나면서 수요도 늘었다. 결국 그들은 노예를 찾고자 했다.

The men, Kim Bok-dong later recalled, would line up outside, waiting their turn.

후에 김복동 할머니는 남자들이 밖에서 줄을 서서 자기 차례를 기다렸다고 기억했다.

Weekends were particularly dreadful. On Saturdays, she would work for six hours, the men arriving one after the other. On Sundays, it was nine hours.

특히 주말은 끔찍했다. 토요일이면 김복동 할머니는 6시간을 일해야 했고 남자들은 쉬지 않고 들어왔다. 일요일에는 9시간이었다.

Sometimes she would see almost 50 men in a day. Some days, she lost count. By the time her “shift” ended, she could barely stand up or walk.

어느 때는 하루에 거의 50명 가량을 상대해야 했다. 어느 날은 수를 세다가 잊어버리기도 했다. 하루의 “근무시간”이 끝날 때면 할머니는 거의 일어서지도 걷지도 못했다.

Kim was moved from station to station, and in 1945 she found herself in Singapore. The Japanese began to move Kim and the other comfort women out of the brothels. Kim found herself working as a nurse, still waiting for rescue.

김 할머니는 여러 위안소를 전전했고 1945년에는 싱가포르에 있었다. 일본군은 김 할머니와 다른 위안부 여성들을 위안소 밖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김 할머니는 간호사로 일하며 구조되기를 기다렸다.

After first telling her story in 1992, she became a dedicated justice campaigner 
1992년 처음 자신의 이야기를 한 후로 김 할머니는 열성적인 정의 활동가가 되었다.

It was 1947 when she was finally brought home to South Korea. She didn’t know how long she had been gone; she also didn’t know how to find the words to explain what had happened to her.

김복동 할머니가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온 것은 1947년이었다. 김 할머니는 자신이 얼마 동안 떠나 있었는지 알지 못했고 또한 자신에게 어떠한 일이 있었는지를 설명할 말을 찾지 못했다.

“How could I have told them about my experiences?” she asked. “I had things done to me that were unfathomable.”

그녀는 “내가 경험한 것들을 어떻게 말할 수 있었겠나?”라고 물으며, “나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되는 많은 일을 겪었다”고 말했다.

She wasn’t alone in her silence, as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s Alexis Dudden explains.

커네티컷 대학의 알렉시스 더든 교수가 설명하듯 할머니는 침묵을 지켰던 유일한 사람은 아니었다.

“I think her history following her return to Korea is a really good explanation of the double victimization of those who survived,” the history professor said. “There was not space in this society for the women to go public.”

더든 역사학 교수는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 할머니에게 있었던 일은 생존한 위안부들이 겪어야 했던 이중 희생화의 좋은 설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이 사회에서 그 여성들이 대중 앞에 나설 곳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Kim did find her voice though, a few years after her return. Her mother wanted her to marry, and she felt she had to explain why she would not.

하지만 김복동 할머니는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귀국한 후 몇 년이 지나서였다. 어머니는 그녀가 결혼하기를 원했고, 할머니는 자신이 왜 결혼을 하지 않으려 하는지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I confessed that, given all the abuse done to my body, I didn’t want to screw up another man’s life,” she told Asian Boss.

김복동 할머니는 “내 몸에 가해진 온갖 학대를 생각하면 다른 남자의 인생을 꼬이게 만들고 싶지 않다고 고백했다”고 아시안 보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Her mother, she said, became distressed. Unable to share her daughter’s secret, she died shortly afterwards of a heart attack. Kim believed it was the pain of the secret which killed her.

김복동 할머니는 어머니가 많이 괴로워했다고 말했다. 딸의 비밀을 감당할 수 없었던 어머니는 이후 얼마 되지 않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김 할머니는 어머니를 죽인 것은 바로 그 비밀의 고통이었다고 믿었다.

‘It’s not about money’

“돈이 문제가 아니다”

It would take decades for Kim Bok-dong to talk again about what happened to her. She moved to Busan, where she ran a successful fish restaurant.

김복동 할머니가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하게 되기 까지 수십 년이 걸렸다. 김 할머니는 부산으로 옮겨가 생선 음식점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And then Kim Hak-sun came forward, sharing her own story of being imprisoned as a “comfort woman” by the Japanese in China – the first South Korean victim to break her silence so publicly. It was 1991. By March 1992, Kim Bok-dong had come forward to tell the world her account.

그러던 중 김학순 할머니가 중국에서 일본군에 의해 “위안부”로 붙잡혀 있었던 본인의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말했다. 김학선 할머니는 침묵을 깨고 공개적으로 발언한 최초의 한국인 피해자였다. 그게 1991년이었다. 1992년 3월, 김복동 할머니는 앞으로 나와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렸다.

“She had incredible strength – she was a survivor,” says Prof Dudden, who first met her more than two decades ago. “She came forward to tell her truth. That is when she makes her mark on the page.”

20여 년 전 김복동 할머니를 처음 만난 더든 교수는 “김 할머니는 정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생존자였다”며, “김 할머니는 진실을 말하기 위해 앞으로 나섰다. 그 때가 시작이었다”고 말했다.

Her story would not just impact her fellow survivors in South Korea, though. It would bring together survivors from around the world – including women in Vietnam who had been attacked by South Korean soldiers during the US war. In 2014, she set up The Butterfly Fund to support fellow victims.

하지만 할머니의 이야기가 한국에 있는 동료 생존자들에게만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세계 각지의 생존자들을 결집하게 했으며 그 중에는 미국과의 전쟁 중에 한국군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던 베트남 여성들도 포함되었다. 2014년 김복동 할머니는 동료 희생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나비재단을 설립했다.

“The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in conflict from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and Uganda, address Kim Bok-dong… as ‘our hero’, ‘our mama’, and ‘our hope’,” a spokesman for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for the Issu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recalls.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대변인은 “콩고민주공화국과 우간다에서 분쟁 중 성폭력을 당한 피해생존자들은 김복동 할머니를… ‘우리의 영웅’, ‘우리의 엄마’, ‘우리의 희망’이라고 부른다”고 회상한다.

Supporters marched alongside her coffin as it made its final journey through Seoul 
지지자들은 서울 시내를 지나는 김 할머니의 마지막 여정에 할머니의 관을 따라 행진했다.

Kim did not just share her story. When she had money, she gave it. In 2015, she started a scholarship for children in conflict regions with her own money. The fact her own education had been cut so short was a regret until the end of her life. When it became clear she was dying of cancer in 2018, she began to give away what little money remained.

김복동 할머니는 단순히 자신의 이야기를 알린 것만은 아니었다. 김 할머니는 돈이 있으면 이를 나누었다. 2015년 김 할머니는 자신의 돈으로 분쟁지역 어린이들을 위한 장학금 지급을 시작했다. 이른 나이에 교육을 중단한 것이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할머니에게 후회로 남았다. 2018년 암으로 죽을 것이 확실해지자, 할머니는 남아 있는 약간의 돈마저도 기부하기 시작했다.

But through all this – speaking around the world, campaigning outside the Japanese embassy every Wednesday – she still did not get the apology she felt she and the other victims deserved.

그러나 이런 모든 일들, 즉 전세계에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고 매주 수요일마다 일본 대사관 앞에서 캠페인을 벌이는 모든 행동에도 불구하고 할머니는 자신과 다른 희생자들이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여기는 사과를 아직 받아내지 못했다.

She was derisive of the 2015 deal between the Japanese and South Korea, which saw her former captors pay 1bn yen ($8.3m, £5.6m) to fund victims. 김 할머니는 자신의 납치범들이 피해자들에게 10억 엔(830만 달러, 560만 유로)을 지불하도록 한 2015년 한일 협정을 비웃었다.

What Kim wanted – what she was fighting for – was a full admission of guilt. Some still allege the women were not forced to work in the stations.

김복동 할머니가 원했던 것, 할머니가 이제껏 싸워온 것은 상대가 죄를 온전히 인정하는 것이었다. 어떤 이들은 그 여성들이 매춘소에서 일하도록 강요 받은 것이 아니라고 아직도 주장한다.

“We won’t accept it even if Japan gives 10bn yen. It’s not about money. They’re still saying we went there because we wanted to,” Kim told lawmakers in 2016.

2016년 김복동 할머니는 국회의원들에게 “우리는 일본이 100억 엔을 준다 해도 받지 않을 것이다. 돈이 문제가 아니다. 그들은 우리가 그곳에 가고 싶어해서 갔다고 아직도 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South Korea’s President Moon Jae-In has since said he will renegotiate the fund, focusing more on the victims.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그 이후 희생자들을 보다 초점을 맞춰 그 기금을 재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But it came too late for Kim. As she lay taking her final breaths, she expressed “strong anger” towards Japan, her friend Yoon Mee-Hyang told reporters. As Prof Dudden puts it, she “died screaming”.

그러나 김복동 할머니에게는 너무 늦었다. 윤미향 씨는 기자들에게 할머니는 병상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며 일본에 대해 “강한 분노”를 표현했다고 말했다. 더빈 교수의 말처럼 김복동 할머니는 “절규하며 죽었다.”

But her legacy will not be lost. In among the crowd at her funeral was Kim Sam, 27, who first met Kim “sitting up straight even in the rain as she spoke about her struggle”.

하지만 김복동 할머니의 유산은 헛되지 않을 것이다. 장례식에 참석한 군중들 중에 27세의 김삼 씨는 할머니를 처음 만났을 때, “할머님은 투쟁에 대해 말할 때 빗속에서조차도 자세를 똑바로 하고 앉으셨다”고 말했다.

“Upright, dignified – that’s how she always was, first as a victim and later as a human rights activist,” she recalled.

“고결하고 품위 있게, 김복동 할머님은 늘 그러셨다. 처음에는 희생자로서, 나중에는 인권운동가로서”라고 그녀는 회상했다.

“She’s a role model I respect the most.”

“할머님은 내가 가장 존경하는 롤모델이시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4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차송환 장기수·12명 종업원·김련희씨는 시급한 인도적 현안"

범시민대책회의 등, "김정은 위원장 답방때까지 돌아갈 수 있도록 준비해달라"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2.08  18:07:14
페이스북 트위터
   
▲ 민변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기획탈북 의혹사건 대응TF 등은 8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차 송환 장기수, 12명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김련희씨 등 인권 피해자들의 송환을 촉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지난 2000년 9월 2일 63명의 비전향 장기수가 판문점을 통해 북으로 건너간 후 2차 송환 희망자로 19년동안 남아있는 33명의 장기수. 3년 전인 2016년 4월 7일 총선을 며칠 앞둔 시기에 정보기관에 의한 납치 의혹을 받으며 한국에 들어온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2명과 지배인. 탈북 브로커에 속아 평양에 가족을 두고 한국에 들어왔다며 8년째 송환을 요구하고 있는 '평양시민' 김련희씨.

4.27판문점선언 합의에 따라 시급히 해결해야 할 민족 분단으로 인한 인도주의 문제의 당사자들로 거론되는 이들이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기획탈북 의혹사건 대응TF'와 '북 해외식당 종업원 문제해결을 위한 범시민대책회의', '평양시민 김련희 송환촉구모임' 등은 8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판문점선언 이행! 남북사이 시급한 인도적 문제 해결 및 송환촉구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이들에 대한 인권피해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원상회복 등을 촉구했다.

권오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은 기자회견에서 "수많은 이산가족의 인도적 문제가 있지만 다른 방면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이들 비전향 장기수, 강제 유인납치 의혹을 받는 12명 종업원, 김련희씨 등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정부에서도 일절 말이 없다. 이 문제보다 더 시급한 인도주의, 인권, 인륜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

먼저 "2000년 9월 2일 63명의 비전향 장기수가 송환되고 2차 송환 대상자 33명이 북녘으로 가겠다고 요구했으나 정부는 초기에 이들이 전향을 했다는 자격문제,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 등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상호주의 등을 걸어 머뭇거렸으며, 보수세력의 극심한 반대를 극복하지 못하고 10년의 세월을 헛되게 보냈다"고 지적했다.

"30~40년 징역을 산 사람들을 출소후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보안관찰법 대상으로 묶어 놓고 감시, 통제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지금도 어깨띠를 메고 민주화, 통일, 인권 현장을 다니고 있는 이 분들이 고향을 찾아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촛불정부의 소임"이라고 강조했다.

또 "12명 종업원의 강제입국은 국가정보기관이 개입하여 강제 유인 납치한 사건이라는 걸 이젠 세상이 다 알고, 김련희씨가 8년간 가족을 애타게 찾고 있다는 사실도 세계가 다 알고 있다. 청와대만 그 사실을 모르는 것 같다"고 개탄하고는 "문재인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결단하여 김정은 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할 때까지는 이들 모두 돌아갈 수 있도록 준비해달라"고 호소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소장인 박승렬 목사는 12명 종업원들의 강제입국 문제에 대해 "정권 차원에서 총선 승리를 위해 기획한 것이라는 진상이 명백한데도 불구하고 문재인 정부가 이들 12명 종업원들의 침해된 인권에 대한 원상회복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자초지종을 설명조차 하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해 대단히 실망스럽다"며, "왜 이 문제가 발생했는지, 무엇이 문제인지,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말했다.

또 "이들 종업원들이 끌려와서는 방치되어 있다. 두려움속에 살고 있으며 육체·심리적으로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인권침해를 당하며 살고 있는 이들에게 정부는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송환계획, 정착을 원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책임있는 계획을 발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경욱 민변TF 팀장은 "12명 종업원 전원이 계속되는 귀순공작 속에 숨어지내고 있다"면서 "일부 접촉 가능한 종업원들은 진상규명과 가해자처벌, 부모들에게 소식을 전해 줄 것을 원하고 있다"고 12명 종업원들의 근황을 소개했다.  

정보기관에서는 이들 종업원들에게 신변보호관을 붙여 사실상 감시를 하면서도 오히려 이런 상황을 이용해 민원창구 노릇을 하고 있는데, 민변 변호인들의 면담요구도 회피하고 있어 민변은 직권남용으로 신변보호관 등을 검찰에 고발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장 변호사는 "오는 4월 7일이면 이들 종업원들이 국가를 상대로 배상청구를 할 수 있는 '단기소멸 시효한도'가 만료되지만 이를 전달할 방법도 없어 답답하다"면서 "이들 종업원들이 부모형제를 만나게해서 그동안 어떻게 지냈는지에 대해 자유롭게 말하게 하면 진상규명도 자연스럽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청와대측에 요구서한을 전달했다. 왼쪽부터 장경욱 변호사, 박승렬 목사, 진관스님, 권오헌 명예회장.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수정 - 오후 11시 40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5.18 뒤집자"는 한국당 의원...'극우의 전당' 멍석 깔다

끝내 지만원 부른 한국당 "5·18은 폭동" 망언
2019.02.08 19:02:05
 

 

 

 

"저 빨갱이 새끼 잡아라. 빨갱이 앞잡이 새끼 잡아라. 간첩 잡아라!"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의 유족들에게 트라우마로 박힌 '빨갱이'와 '간첩' 소리가 버젓이 울려퍼졌다. 장소는 다름 아닌 국회였다. 

8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자유한국당 김진태·이종명 의원이 공동 주최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가 열렸다. 이 공청회에는 광주 민주화 운동의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해 벌금형을 선고받은 지만원 씨가 참석했다.  

논란 속에도 끝내 지 씨를 국회로 불러들인 이 자리를 1000여 명의 방청객이 발디딜 틈 없이 메웠다. 일부 방청객들은 성조기와 태극기를 가져왔고, 유튜브로 방송을 중계하는 60~70대도 있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가족을 잃은 유족들의 모임인 5.18 유족회를 비롯한 일부 시민단체들은 공청회 도중 "역사를 왜곡해선 안된다", "진실은 거짓을 이긴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항의했다. 

그러자 대회의실에 가득했던 천 여명의 관중들은 일제히 "빨갱이 새끼가 여기 있다", "간첩을 잡아라", "죽여라" 등의 거친 언사를 하며 격양된 반응을 보였고, 사회자는 "(5.18 유족 등을) 끌어내라"라고 소리쳤다.  

 

 

ⓒ프레시안(박정연)

 


20여 명 남짓한 5.18 유족회원들과 5월 어머니집 회원들은 약 100여 명의 방청객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끌려나왔다. 이 과정에서 항의를 하는 5.18 유족들과 끌어내려는 방청객들 사이의 몸싸움이 일어났으나, 국회 방호직원들의 만류로 저지되기도 했다.

이들은 대회의실을 벗어나서도 계속해서 고성과 함께 몸 싸움 시도가 이어졌고, 이로 인해 경찰 5명이 출동하기도 했다. 방청객들은 광주 유족을 가리키며 "빨갱이를 잡아가라", "간첩을 잡아가라"고 소리쳤고, 광주 시민들은 "모욕하지말라"고 외쳤다.

5월 어머니집 회원인 이근례씨는 다른 유가족에게 폭력을 행사하려는 방청객들을 향해 "왜 내 자식이 빨갱이냐"며 "거짓말 하지 말아라"고 눈물을 쏟았다. 그는 "어떤 남자가 나보고 아주 순식간에 '빨갱이 같은 년'이라고 욕을 했다"며 "5월 가족들은 '빨갱이'라는 단어에 트라우마가 있다. 광주 사람들은 대대손손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국민인데 아주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유가족인 추혜성 씨는 "국회가 어디냐.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민의의 정당이다"라며 "5.18 특별법이 구성이 되어서 한국당도 진상조사위원을 추천해서 정당하게 구성을 했으면, 그것에 최선을 다해야지. 왜 5월을 폄훼하고 왜곡하냐"고 했다. 

그는 "지만원은 5월 광주를 폄훼하고 왜곡해서 벌금형을 받았는데 신성한 국회에서 왜 저런것(공청회)를 여냐"며 "지만원 말대로 북한군이 내려왔다고 하면, 북한군이 600명 침투해서 그런 짓을 할때 국민을 보호하는 이나라 군인들은 무엇을 했냐"고 강조했다.

김창수 조선의열단 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은 "이 국회까지 와서 이런 공청회를 연다고 하는 것은 국회를 모독하는 것이고 광주민주화운동을 모독하는 것이고 광주의 영령, 유가족 모두 모독하는 것"이라며 "국회는 민의의 전당인데 어느 국민이 국회에서 이런 공청회를 용납하겠나"라고 했다. 
 

▲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지만원씨가 5.18 북한군 개입 여부와 관련해 발표하려 하자 5.18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항의하고 있다.ⓒ연합뉴스


지만원 "전두환은 영웅"... 여야3당 "멍석깔아준 한국당 제 정신이냐"

지만원 씨는 "전두환은 영웅"이라며 "전두환은 47살 때 별이 두 개 였는데, 그 순발력과 용기가 아니었다면 이 나라는 김재규가 일으키는 쿠데타 손에 넘어갔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지씨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북한군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다가 2013년 명예훼손 등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그런데도 지 씨는 5.18 민주화운동에 600명의 북한군, 이른바 광수(북한 특수군인)가 개입했다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5·18은 북한특수군 600명이 주도한 게릴라전"이라며 "시위대를 조직한 사람도, 지휘한 사람도 한국에는 없다"고 했다.  

망언은 지 씨에서 그치지 않았다. 행사를 마련한 한국당 이종명 의원은 “80년 광주 폭동이 10년, 20년 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에 의해 민주화 운동이 됐다. 이제 40년이 되었는데 다시 뒤집을 때"라고 주장했다. 그는 "80년 5월 전남도청 앞에서 수십 수백명 사람들이 사진에 찍혔는데, '북괴군이 아니라 나다'라고 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영상으로 축사를 한 김진태 의원은 "5.18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우파가 결코 물러서면 안 된다"면서 "이번 전당대회에 나온 사람들은 이러니 저러니해도 5.18 문제만 나오면 다 꼬리를 내린다, 이래서는 정말 싸울 수가 없다"고 자신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 14일 오후 국회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실 앞에서 5.18진상규명 조사위원회 위원 선정과 관련 나경원 원내대표와의 면담을 요구하며 농성중이던 오월 어머니회 회원들이 한국당 진상규명 조사위원 선정과 관련 기자회견을 준비하며 오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 씨는 "5·18 주역들은 북한인과 고정간첩, 적색 내국인으로 구성됐다"며 "작전의 목적은 전라도를 북한 부속지역으로 전환해 통일의 교두보로 이용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 씨는 "(사진을 가리키며) 여기 얼굴이 보이는 사람이 장성택과 리선권"이라며 북한 고위간부를 지낸 이들이 5.18 당시 광주에서 주요직책을 맡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가 제시한 근거는 광주 5.18 사진 사료와 비슷한 구도로 찍은 북한 간부들의 사진 뿐이었다.

또한 5.18 당시 군부의 폭력 참상을 찍은 독일기자 위르겐 힌츠페터를 두고 "북괴가 찍은 사진을 받아 자신의 이름으로 세계에 방송하게 한 간첩"이라며 "(곤봉으로 시민을 매질하는 사진을 가리키며) 힌츠페터가 광주에 가서 몇 시간 만에 돌아와 일본에서 송고한 사진"이라고 했다.  

지 씨는 지난해 말 힌츠페터와 그의 광주행을 도운 택시기사 김사복씨를 '간첩', '빨갱이'로 지칭해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바 있다. 

여여 3당은 이번 공청회를 강하게 규탄했다.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허무맹랑하고 사기에 가까운 지 씨의 주장에 동조하는 건 5·18 민주화운동 피해자의 원혼을 모독하는 행위"라며 "지만원 씨가 주장하는 허무맹랑하고 사기에 가까운 북한특수부대 광주 잠입설을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주제로 배정한 자체가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평화당 최경환 의원은 논평을 내고 "황당하고 경악스럽다"며 "5·18 북한 개입설을 주장하다 사법적 심판이 끝난 지만원에게 멍석까지 깔아준 것도 모자라 악의적으로 국민 분열을 조장하려는 의도가 분명해졌다"고 했다. 이어 "고작 지만원 같은 인사를 내세워 아무리 5·18을 왜곡하려 한다 해도 이를 믿어줄 국민은 없다"며 "자유한국당의 5.18 왜곡과 진상규명 방해 행위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도 "이미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해 법원으로부터 유죄판결을 받은 지씨를 다시 불러 행사를 개최하는 몰상식한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며 "이런 행사를 개최하는 한국당이 제 정신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정연 기자 daramji@pressian.com 구독하기 최근 글 보기
프레시안 박정연 기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과 “일본 속의 조선”이 처음 만나다

 

아래 기고문은 워싱턴 소재 <21세기 연구원> 정기열 원장이 보내온 글이다. 미국 드퍼대 학생들이 재일조선대학교를 방문한 경험이 의의가 깊다고 판단되어 소개한다. 기고문 일부 내용은 독자들과 판단이 다를 수 있음을 밝힌다.
정기열 원장은 철학박사(미국), 사회정치학박사(조선) 학위 소유자이며, 김일성종합대학 초빙교수이자 동경 조선대학교 객원교수이며, 현재 영문 <The 21st Century>(21cir.com)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고 있다.

들어가는 말: 천지개벽하는 조미관계와 ‘개 버릇 남 못 주는’ 제국의 이율배반

2019년 새해 벽두부터 ‘조미관계정상화’를 향한 움직임이 분주하다. 작년 2018년 한해 내내 조미관계가 ‘대결’에서 ‘대화’로 구도가 전환되며 ‘70년 조미(핵)대결사’는 오늘 드디어 종말을 고하고 있다. ‘극단적 비정상 상태’ 그 자체였던 70년 양국관계가 정상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모든 것이 근본에서부터 서서히 바뀌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디지만 하나씩 둘씩 바뀌고 있다. 그 사실을 오늘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오늘 바뀌고 있는 것은 그러나 구도만 아니다. 조선을 대하는 태도, 자세 또한 바뀌고 있다. 구도, 태도, 자세가 바뀌면서 두 나라 사이 많은 것이 오늘 근본에서부터 수정되기 시작했다. 격세지감(隔世之感)이라 아니할 수 없다. 천지개벽(天地開闢)이 따로 없다. 그 격세지감, 천지개벽은 그러나 누가 선사한 것이 아니다. 누구의 선사품이 아니다. ‘제국’(帝国)이 개과천선(改過遷善)했기 때문은 더욱 아니다. 그들은 개과천선 같은 것을 모른다. 역사상 존재한 모든 제국이 같다. 그들은 자신을 근본에서 스스로 바꿀 수 없는 존재다. 밖에서 힘으로 강제하거나 아니면 안에서부터 썩을 대로 썩어 내부 붕괴를 하기 전엔 스스로를 바꿀 수 없는 존재다. 오늘 미국이 대표적 경우다.

2019년 새해 트럼프 대통령은 조미관계개선에 더욱 ‘올-인’하는 모습이다. 김영철 부위원장의 워싱턴 방문, 트럼프 면담, ‘친서교환’, 스톡홀름에서의 조미실무회담 소식으로 세상 언론이 뜨겁다. 조미관계에서 변한 것이 하나 있다. 워싱턴은 조선 앞에선 이제 “제국 행보”를 삼가한다. ‘개 버릇 남 못 준다’고 때로 제국 행세 할 때조차 눈치 보며 한다. 그러다 주제 파악 못한 채 과거 버릇이 계속되면 조선은 대꾸도 않는다. 워싱턴의 못된 버릇 고치기 위해서다. 요즘 그 못된 버릇이 고쳐지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띤다. 이유여하를 막론코 미국은 오늘 조선 앞에선 더 이상 ‘제국 행세’ 않는다. 대신 종전선언, 평화협정체결, 교류, 친선, 협조, 관계정상화를 논한다. 그 워싱턴은 그러나 다른 한편에선 예의 그 못된 버릇을 여전히 벌리고 있다. 주권국가 베네수엘라에 대한 노골적인 ‘정권교체’를 시도하고 있다. 선출된 현직 대통령 마두로를 두고 어디서 기어 나온 듣도 보도 못한 30대 중반의 ‘워싱턴키드’’(Washington kid)를 대통령으로 인정하고 난리다. ‘붕괴 직전’ 모습의 워싱턴 정신상태가 오늘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대단히 상징적인 사건이다.

매티스 전국방장관, 켈리 전비서실장: “우리가 임기 동안 한 일의 대부분은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주둔(아프간, 시리아, 한국, 나토 등지의) 미군철수를 못하게 말리는 일이었다”

조선 앞에선 평화를 구걸하고 돌아서선 자기를 지킬 힘이 없는 상대에게 제국(늑대)의 이빨을 또 다시 드러낸 베네수엘라사건을 놓고 많은 사람들이 물을 수 있다. 트럼프의 조선에 대한 절절한 구애가 진정성 없는 거짓인가? 아니면 임기 초 때처럼 그가 아직도 네오콘전쟁세력에게 포위되어 처신이 자유롭지 못한 것인가? 후자라고 진단한다. 매티스 국방장관 사퇴 직후 1년 반 비서실장으로 일하다 동반 사퇴한 존 켈리의 <LA Times> 대담기사 내용이 그리 진단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다. 둘 다 해병대 장성출신인 백악관 최고위각료들이 2년 가까이 한 일은 ‘대통령이 틈만 나면 주장한 해외주둔미군철수를 못하게 막은 일’이다. 그 대상 국가들은 지난 2년 시도했으나 실천에 옮기지 못한 국가들이다. 매티스, 켈리 사퇴 직후 그러나 트럼프는 결국 자신의 공약을 실천에 옮기기 시작했다. 먼저 시리아, 아프간에서 철군이 시작됐다. 어느 순간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빌미로 주한미군철수 또한 전격적으로 단행할 수 있다. 트럼프가 살아있을 경우 ‘나토에서의 탈퇴’ 또한 시간문제일 것 같다. 분명한 것은 그가 오늘도 여전히 네오콘전쟁세력에게 포위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2019년 미국국가정보전략>: “트럼프 대통령 국가안전에 위협”

1월 23일 17개 국가정보조직이 공동으로 발간한 <2019년 국가정보전략>(2019 National Intelligence Strategy)의 충격적 내용이 공개됐다. “트럼프 대통령 국가에 위협적 존재’(“President Trump a Threat to the Nation”, 2019 US Intelligence Strategy Report Says)라는 주장이다. 지난 2년 트럼프시대를 끝없이 논하면서 한 이야기가 현실로 가시화되고 있다. 오늘 워싱턴은 기본 극소수의 트럼프진영과 절대다수의 반트럼프진영으로 나뉜 채 서로 막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언론은 거의 100% 반트럼프진영에 있다. 현직의 대통령을 국가정보조직들이 집단으로 ‘국가에 위협’이라는 주장은 1963년 케네디를 암살한 조직 곧 ‘딥스테이트’(Deep State)로 불리는 ‘금융지배세력’(The Financial Elites)이 그를 언제든 제거하겠다 공개 협박한 것에 다름없다. 트럼프가 과연 얼마를 더 버틸 수 있을까? 그가 살아서 백악관을 걸어나갈 수 있을까? 등을 지난 2년 끝없이 물었던 상황이 오늘 또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그들 지배세력은 오늘 국면이 시리아, 아프간, 머지 않아 한국에서의 미군철수마저 실천에 옮길 것이 확실해보이는 트럼프를 더 이상 살려둘 수 없다 결론 내린 것 같다. 반대 경우 그와 같은 내용의 국가정보전략이 만들어질 수 없다. 이와 같은 분석이 더욱 설득력을 얻는 이유는 정보 공개 직후인 1월 28일 CIA, FBI, NIA정보조직 수장들이 상원청문회에 모였다. 그리고 그들은 약속이나 한 듯 대통령의 조미관계개선, 시리아철군, 아프간철군에 대해 항명에 다름없는 발언을 던졌다. ‘대통령 정세인식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펼친 것이다. 자신들을 임명한 대통령의 권한과 지위를 집단으로 능멸한 행위다. ‘나토탈퇴’ 즉 수백 년 세계를 지배한 ‘대서양세력’(The Atlantic Power)의 근본을 허무는 어마어마한 초대형사건마저 터트릴 것이 확실한 ‘미친 놈’ 트럼프를 더 이상 살려둘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워싱턴지배계급 내부에 자리잡음 없이 불가능한 일종의 공개반역행위들이 연일 터지고 있다. 살아있는 현직의 대통령을 ‘국가안전에 위협’이라 말한 것은 트럼프를 물리적으로 제거하겠다는 내부 결정이 이미 내려졌다는 증거다. 대단히 구체적인 위협이다. 트럼프가 고대하고 있는 2-3월 전후해서 가지려는 김정은 위원장과의 2차조미정상회담 때까지 그가 살아남아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을까? 모른다.

트럼프 생존 여부 관계없이 ‘늑대’는 과거처럼 조선 앞에선 늘 ‘순한 양’처럼 행동할 것이다

트럼프가 살아남아 그가 바라고 고대하던 대로 70년 조미(핵)대결에 종지부를 찍는 역사적인 종전선언, 평화협정체결, 나아가 주한미군철수 결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인류사적 과업을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이뤄낼 수 있기를 학수고대한다. 그러나 만의 하나(오늘은 ‘만의 하나’가 아니다. 백의 하나도 아닐 것 같다. 어느 순간 그가 어떤 처지에 놓일지 아무도 모른다. 지난 2년에 비해 그를 제거하려는 움직임은 더욱 노골적이고 거세다. 트럼프로 인해 그들의 수백 년 세계지배구도가 극한의 위기에 처하고 있다는 증거다) 그가 잘못될 경우 트럼프행정부에서 ‘밀월관계’를 구가하며 순항하던 모양의 조미관계는 어떻게 될까? 많은 이들이 갖는 의문이다. 또 다시 과거의 핵대결구도로 180도 곤두박질칠까? 아니면 극도의 혼돈 과정을 거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조미관계는 결국 또 다시 대화구도에로 되돌아갈 수 밖에 없을까? 이 역시 후자라 진단한다. 조미(핵)대결은 누누이 말했듯 이미 끝났기 때문이다. 누가 백악관에 있던 대화 구도는 따라서 결국 유지될 수 밖에 없다. 물론 일정한 기간 트럼프와 했던 밀고 당기는 과정이 또 다시 재연될 수 있다. 그러나 오늘 조미관계는 누가 있으면 되고 없으면 안되는 상황은 이미 아니다. 두 나라는 이미 핵전략국가 대 핵전략국가 관계다. 대화 외에 다른 방법이 없는 관계다. 러미가 온갖 문제로 아무리 씨름해도 핵대결로 갈 수 없듯 조미관계 또한 이제 대화 외에 다른 길은 없다.

세상천지 모든 상대에게 툭하면 이빨을 드러내는 제국은 조선 앞에선 언제나 ‘순한 양’처럼 행동했다. 70년 조미대결사 전기간 그랬다. 코리아전쟁 발발 6개월 뒤 휴전협상에 매달리던 때부터다. 왜? 제국이 조선 앞에서 어제오늘 변함없이 순한 양처럼 행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딱 하나다. 힘 때문이다. 맨주먹으로 싸우다시피 한 조선을 상대로 1950년 전쟁 때 유엔을 등에 업고 15개 추종국가 끌고 갔던 때도 미국이 당시에 넘지 못했던 ‘조선의 힘’은 다른 것이 아니다. ‘조선사람의 정신’이다. 북녘동포들의 힘은 그러나 오늘 주지하듯 정신만이 아니다. 더 단단해진 정신력 외에 북녘동포들이 오늘 스스로를 지칭해 부르는 ‘핵전략국가’의 힘까지 더해진 (북녘 표현으로) ‘불패의 힘’이다. 그 힘을 이 글에선 ‘살리는 힘’이라 부르자. 늑대가 양을 해치는 힘을 ‘죽이는 힘’에 비유하면 늑대의 기(죽이는 힘)를 죽여 양을 살리고 지키는 힘을 ‘살리는 힘’이라 불러 크게 틀리지 않다. 그렇다. 조미대결사 전기간 제국이 조선 앞에서 양처럼 순하게 행동한 것은 앞에 논한 것처럼 그들이 개과천선해서가 아니다. 그들이 그리 행동하지 않으면 안되게끔 강제한 조선의 힘 때문이다. ‘제국주의’ 본성이 ‘죽이는 힘’이라면 그 죽이는 힘을 ‘살리는 힘’으로 강제해 정의와 평화를 지켜내는 일은 따라서 ‘반제자주’라 정의해 역시 틀리지 않다. 조선이 1세기 가까이 금과옥조처럼 지켜온 반제자주는 그러므로 자신과 세상의 모든 생명을 ‘살리는 힘’이다. 그리 비유해 틀리지 않다.

조미관계개선의 본질: ‘제국주의 곧 죽이는 힘’과 ‘반제자주 곧 살리는 힘’의 역학관계

오늘 조미관계에 발생한 천지개벽은 우리민족의 1세기 위대한 반제자주민족해방투쟁이 이룩한 변화다. 반제자주의 살리는 힘이 강제한 변화다. 세상은 그러나 어제처럼 오늘도 여전히 거꾸로 말한다. 왜? 첫째는 여전히 세상을 지배하는 제국주의가 세상을 속인(속이고 있는) 결과다. 둘째는 제국의 종이 되어 노예처럼 산 결과다. 셋째는 사대주의, 외세의존이 골수까지 찬 결과다. 그들이 세상을 거꾸로 보는 이유다.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언필칭 소위 주류보수언론이 세상을 속이는 짓은 따라서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그들은 태영호 박상학, 이만갑 같은 “탈북자”들 데려다 세상 속이는 일을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그 무엇으로도 속일 수 없는 것이 있다. 그들이 신주처럼 모시는 미국이 오늘 그들이 버리고 도망쳐 나와 “악마”라 욕하는 바로 그 ‘조국’ 앞에 순한 양이 되어 ‘종전선언’, ‘평화협정체결’, ‘조미관계정상화’에 동의하고 그를 실천에 옮기게 될 천지개벽의 변화다. 오늘 그들을 이용하는 “분단적폐세력”의 운명은 앞으로 얼마나 더 오래 갈까? 주인이 몰락할 경우 종들은 언제 용도폐기 될까? 시간문제다.

그렇다. 오늘 진행 중인 세상의 그 모든 변화는 누가 준 것이 아니다. 누구의 선사품이 아니다. 조미관계 경우 남북해외 우리민족이 피땀 흘려 쟁취한 것이다. 1세기 넘게 쉼없이 싸워 만든 결과다. 우리민족이 일궈낸 ‘위대한 인류사적 업적’이다. 그 모든 천지개벽은 2018년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를 기점으로 시작됐다. 신년사 뒤 70년 최악의 적대관계는 오늘 조미 양국 정상 간에 일종의 ‘밀월관계’가 형성될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밀월관계를 대표하는 상징은 오늘 ‘친서교환’이다. 트럼프는 김 위원장 친서를 ‘러브레터’라고까지 부른다. 친서외교는 2019년에도 이어지고 있다. 천지개벽한 조미관계를 상징하는 정상 간 밀월관계 곧 ‘조미관계정상화’는 그러나 국가차원에서만 전개되는 것이 아니다. 민간차원에서도 전개되고 있다. 최근 조선대학교에서 열린 “미국과 ‘일본 속 조선’과의 첫 만남”이 그것이다. 63년 역사 상 처음으로 ‘철천지 원쑤 제국주의’가 조대를 찾은 사건이다. ‘미국과 일본 속 조선’의 첫 만남은 그러나 뜨거웠다. 이글은 오늘 민간차원에서도 전개되는 ‘조미관계정상화’ 이야기다.

▲ 대화중인 재일조선대 학생과 미국 드퍼대 학생[사진 : 정기열 원장 제공]

“‘미국과 일본 속 조선’의 첫 만남’”: “North Korea in Japan: Colonialism and Education”

“일본 속의 조선”이란 표현은 조대를 찾은 미국 드퍼대(DePauw University) 학생들이 듣고 있는 교육학부 강의제목이다. 제목 뒤에 “식민주의와 교육”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14명 남녀(3학년 11, 4학년 3 / 백인 12, 흑인 1, 어머니가 우리민족, 아버지가 백인인 여학생 1) 대학생들을 인솔한 30대 중반의 백인교수 데맄 포드 박사가 개설한 강의다. 참고로 그의 조대 방문은 이번이 처음 아니다. 2016년 11월 조선대학교 60주년 기념학술대회 때 그는 미국측 발제자로 참가했다. 당시 그가 발표한 논문은 “세계사적 견지에서 본 해외코리안의 민족교육과 조선대학교: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민족교육”(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Korea Un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Korean Education as Resistance to Colonialism)이다. 2016년 조대 방문 뒤 그는 북녘(조선) 방문을 희망했다. <21세기 연구원>은 다음 해 8월 그와 그의 친구 4명이 참가한 “조선학습관광”(Korea Study Tour)을 조직했다. 그리고 작년 초 포드 교수는 <21세기 연구원> 부원장 중 하나로 연구원 사업에 합류했다.

여행 직후 우리는 드퍼대-조선대가 참가하는 <국제학생교류프로그램>(Int’l Student Exchange Program: ISEP)을 함께 기획했다. 작년 1월 양쪽 대학에서 공식 허가가 내려졌다. 그 뒤 1년의 준비를 거쳐 모두 16명(교수 2명 포함)의 미국대학생대표단의 첫 조선대학교 방문이 실현됐다. 방문 이틀 째 포드 교수는 드퍼대, 조선대 학생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강의 제목은 “The US-DPRK Relationship and the Fracturing of Unipolar Imperialism: Past, Present and Future”(조미관계와 일극제국주의의 붕괴: 과거, 오늘, 미래)다. 특강은 <21세기 연구원> 기관지 겸 독립영문매체인 <The 21st Century>(21cir.com)에 실렸다. 조선대학교 측에서도 외국어학부 교수의 영어 강의가 진행됐다. 강의 내용은 “재일본조선인역사와 민족교육운동”이다. 첫날 조대 방문에서 미국대학생들은 박물관 견학, 학생, 교직원과 함께 점심, 강의, 자유대화, 조선무용연습 참관, 무용학습과 통일열차, 풍물(이곳에서는 ‘세마치’라고 부른다)공연연습 참관, 풍물(북, 장구, 꽹과리, 징)학습, 그리고 저녁환영만찬을 대학식당에서 가졌다.

▲ 조선학교를 방문중인 미국 드퍼대 학생들[사진 : 정기열 원장 제공]

“생이 바뀌는 경험”(Life-changing Experience): “요코스카해군기지지하터널”, ‘강제징용’, ‘식민지노예노동’

체류 3일 째 아침부터 재일본조선인들의 ‘강제징용 노예로동’ 현장에 대한 학습방문이 시작됐다. 감상문에 소개된 것처럼 지하터널 현장 방문이 미국학생들에게 준 충격이 적지 않았다. 일제가 전쟁 말기 강제징용으로 끌고간 조선인노동자들을 동원 건축한 요코스카해군기지지하터널을 직접 들어가본 미국학생들의 “일본 속 조선”에 대한 학습은 그때부터 심각해지기 시작했던 것 같다. 미국학생들 생각이 빠르게 자라기/변하기 시작했던 시점은 바로 그때 같다. 그들의 ‘일본 속 조선’ 학습은 5일 째 늦은 오후 시간 바람이 몹시 매서웠던 날 문과성(文科省) 앞 ‘고교무상화 금요투쟁’까지 참가하게 되면서 그들 뇌리 속에 깊이 각인되기 시작한 것이 틀림없다. 그날 저녁 그들 모두는 눈물을 펑펑 쏟았다. 조선대 졸업생이 운영하는 불고기집 ‘온돌’에서 열린 만찬행사 때다. 14명 학생 거의 모두 말을 잇지 못했다. 이틀 뒤 오후 ‘일본 속 조선’에 대한 학습을 모두 마친 그들은 모두 무사히 미국에 돌아갔다. 몇일 뒤 그들 전원은 뜨거운 ‘감상문’을 보냈다. 교수도 귀중한 논문을 발표했다. 학생들 글에 ‘생이 바뀌는 경험’이란 표현이 많이 눈에 띄었다.

아래 감상문 내용을 짧게 요약한다: “오기 전 예상을 훨씬 넘었다, 끝없는 배움의 연속이었다. 짧은 5-6일 이리도 많은 것을 배울 줄 상상 못했다, ‘재일본조선인운동, 민족교육운동’이 무엇인지 처음 알게 됐다, 조선에 대한 일제의 반세기 식민지배가 무엇을 뜻하는지 깨달았다, 조선사람에게 통일이 무엇인지 처음 알게 됐다, 코리아의 통일을 지지한다, 나도 당신들과 함께 코리아 통일을 위해 싸우겠다, 이번 여행을 평생 못 잊을 것이다, ‘생이 바뀌는 경험’을 했다” 등이다. 이미 감상문 일부는 <조선신보>(일어판)에 먼저 소개됐다. 독자들 반응이 뜨겁자 신보에서 학생들 감상문 전체를 우리말로 번역해 신문에 싣기로 결정했다. 아마도 이삼 일 안에 신보에 실리게 될 것 같다. 미국대학생들 방문 기간 조선대 학생 약 2-30여명도 행사 전기간 교대로 참가했다. 보다 많은 학생들의 참가를 위한 대학의 배려다. 언어문제로 참가는 외국어학부 영어전공 학생들이 먼저 선정 대상이 됐다. 둘째 날 드퍼대-조대 교수의 영어공개강의 참가는 그러나 제한이 없었다. 원하는 학생 누구나 참가했다.

강의에 조대생이 100여명 넘게 참가했다. 반응도 뜨거웠다. 조대도 미국학생들도 모두 놀랐다. 외국어학부 영어전공 학생들도 행사에 누가 참가하는지를 놓고 선정과정이 필요했을 정도다. 참가 요구가 높았기 때문이다. 행사에 대한 반응은 ‘미국과 일본 속 조선’ 모두 같다. 학생, 교수 누구랄 것 없이 모두 뜨거웠다. 무엇보다 학생들 반응이 놀라웠다. 그들 모두는 순간에 ‘친구’가 됐다. 마치 수십 년 사귄 친구처럼 됐다. 일주일을 모두 그리 보냈다. 금방 하나가 됐다. 북녘처럼 ‘일본 속 조선’에게도 미국은 평생 ‘제국주의적’이다. 북녘 식으론 ‘철천지 원쑤’다. 반면 미국에게 ‘조선’은 평생 ‘악마’다. 70년 ‘악마화선전전’이 가공해낸 악마다. 서로 평생 ‘적’으로, ‘악마’로 알고 살았다. 그래서 서로를 알 기회가 없었다. 만날 기회도 없다. 물론 그들만이 아니다. 세상 전체가 그랬다. 남녘동포들도 크게 차이 없다. 우리도 몰랐다. 우리도 몰랐으니 다른 곳은 말할 나위가 없다. 서로 평생 ‘적’, ‘악마’로 알고 살았던 그들은 그러나 만나자마자 ‘친구’가 됐다. 순간에! 그렇다. ‘가공된 악마’는 정녕 순간에 사라졌다. 모래성처럼 무너졌다. ‘제국주의 원쑤’도 가슴과 가슴이 만나고 서로의 심장이 통하며 금방 ‘동지’가 됐다. 그들이 배운 우리 말 중 하나가 ‘동지’다. ‘축배’란 말도 배웠다. 처음부터 끝까지 그들이 외친 우리말은 ‘축배, 동지’였다.

▲ 토론중인 재일조선대 학생과 미국 드퍼대 학생들[사진 : 정기열 원장 제공]

<21세기 연구원>의 첫 “국제학생교류프로그램”(ISEP)의 성과와 의의, 전망

방문을 마치며 포드 교수가 제안했다. 조선대학이 받으면 드퍼대학은 내년에도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연구원 측에 내년 또 다시 같은 프로그램을 조대와 함께 조직해줄 것을 부탁했다. 조대에 그런 뜻을 전했다. 조대도 드퍼대와 같은 반응을 내놨다. 드퍼대가 다시 온다면 더 뜨겁게 환영하겠다는 뜻을 알려왔다. 이번 첫 국제학생교류프로그램 사업 성과가 서로의 심장 속에 깊이 각인된 결과라고 믿는다. 행사 뒤 양 대학 모두 이번 사업을 발기하고 조직한 <21세기 연구원> 측에 감사를 표했다. 연구원은 이번 사업에서 얻은 수익금을 대학에 기증했다.

연구원이 이번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한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드퍼대 포드 교수 강의 제목처럼 ‘일본 속의 조선’을 세상에 바로 알리기 위함이다; 2) 세상이 전혀 몰랐던 재일본조선인들의 70년 민족교육운동과 조국통일운동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3) ‘일본 속의 조선’은 일본당국이 해방 이후에도 조선사람(총련동포)들에게 끝없이 가한 식민지시대 민족차별정책과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법적 문제 등 온갖 형태의 탄압과 정치사회경제문화적 권리 박탈, 제약, 차별, 제재가 70년 넘게 가해지는 속에서도 꿋꿋이 이겨내고 아름답게 활짝 핀 한송이 흰색의 ‘목련꽃’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목련꽃은 조선대학교의 ‘대화’(大花)다); 4) 재일본조선인들에 대한 역대 일본당국의 온갖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적 차원의 차별, 억압, 탄압 문제들 중에서도 ‘조선학생들을 고교무상화프로그램에서 유독 제외시키고 있는’ 일본당국의 비열한 처사를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5) 재일본조선인들을 상대로 70년 넘게 일본당국이 벌이고 있는 “국가차원의 인권범죄, 인종범죄”가 세상에 철저히 숨겨져 있는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6) 달리 말해 70년 넘게 재일본조선인들이 처하고 있는 ‘최악의 인권문제”가 세상에 철저히 숨겨져 있는 현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7) 아베가 공언하고 있는 ‘총련조직과 재일본조선인들의 민족교육을 말살’하기 위한 비열하고 악랄한 민족차별정책으로 인해 전국의 수많은 조선학교들이 오늘 더욱 더 큰 재정위기, 폐교위기에로 내몰리고 있는 현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8) 끝으로 ‘조선(우리)학교 살리기 운동’에 우리민족은 물론 국제사회 특히 미국유럽사람들도 참가할 수 있도록 “재일본조선인문제”를 영어권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 풍물강습을 받고 있는 미국 드퍼대 학생들[사진 : 정기열 원장 제공]

“교수님, 우리가 미국서 배운 것 혹 모두 거짓 아닌가요?”

미국학생들이 행사 기간 자기들 교수를 찾아가 토로한 고백 중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우리가 그 동안 배우고 아는 거의 모든 것이 혹 거짓 아닌가?’였다. 한두 학생만 그런 물음을 던진 것이 아니다. 두 교수의 전언에 의하면 거의 모든 학생들이 자신들을 찾아 같은 내용의 고백을 했다는 것이다. 남녘 표현으로 ‘참교육’의 중요성을 또 다시 절감한 1주일이었다. “누가 무슨 내용으로 어떤 방향으로 무슨 목적을 갖고 어떻게 후대들을 교육하는가?”라는 문제가 교육에서 결정적 중요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또 다시 새롭게 절감한 시간이었다. 포드 교수가 행사 5일 째 오전 조선대학교 행사(영어강연대회) 때 드퍼대, 조선대 학생 모두 앞에서 한 짧은 축하연설을 소개한다: “교원으로 가장 보람되고 기쁜 일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생각과 사고가 자라고 깊어지는 것을 보는 일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자신이 데리고 온 학생들 거의 모두가 5-6일이라는 짧은 기간 빠르게 자라고 변하는 모습을 보며 깊은 감동을 경험한다. 이번 교류프로그램이 성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자신의 일처럼 도와 나서고 자신들을 가족처럼 따듯하게 맞아준 조선대학교와 학생들 모두에게 깊은 감사를 표한다.“

▲ 공동체놀이 중인 재일조선대 학생들과 미국 드퍼대 학생들[사진 : 정기열 원장 제공]

”13명 일본인 납치문제”와 일제강점기 “수백만 조선인(납치, 징용, 징병, 성노예 등)희생자 문제”

일본당국이 하루 속히 일제강점기 저들이 우리민족에게 가한 온갖 형태의 식민지범죄와 1945년 해방 뒤에도 일본 땅에 남은 수십 만 재일본조선인들에게 오늘 이 시간까지 또 다시 가한 온갖 형태의 식민지범죄에 대한 사죄와 보상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한다. 천인공노할 과거 그 모든 범죄에 대한 진솔한 인정과 사죄, 적극적 보상없이 “조선과 관계정상화 하겠다”는 주장은 한낮의 개꿈에 지나지 않는다. 미국(제국)에 편승 우리민족의 영구 분열을 70년 넘게 획책하고 확대, 조장하는 것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 비열한 과거의 모든 공개, 비공개 범죄들에 대해서도 성실하게 인정, 반성, 사죄하고 적극 보상해 나서야 한다.

그럼에도 일본당국은 오늘도 마치 약방의 감초처럼 틈만 나면 ‘13명 납치자문제’를 끄집어낸다. 일본우익들의 소위 ‘납치자 문제’는 “작은 바늘을 큰 몽둥이”라 우겨대는 행태를 빗댄 표현인 ‘침소봉대’(針小棒大)의 극단적 형태다. 집단적 사이코패스행위다. 집단정신병이다. 수십 년 같은 ‘거짓깃발’(False Flag)을 끝없이 흔들어대는 것은 사이코패스행태에 다름없다. ‘납치문제’는 이솝 우화의 ‘양치기 소년’처럼 ‘늑대 출현 거짓말’을 끝없이 반복하는 행위와 같다. 같은 거짓말을 끝없이 반복하는 것은 일종의 정신병이다. 소위 납치문제는 따라서 제 국민 모두를 집단으로 정신병자 만드는 일에 다름아니다. 제 국민과 세상을 상대로 “이미 오래 전 끝난 납치자 문제”를 수십년 재탕하며 오늘도 “조선사람 모두를 끝없이 악마화하는” 일본지배세력의 행위는 위선의 극치다. 부끄러운 줄 모르면 그는 이미 사람이 아니다. 그들의 정신상태를 의심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숱한 양심적 일본인들을 위해 소위 ‘납치자 문제’에 대한 정의를 아래 다시 정리한다.

‘납치문제’는 “일제가 식민지시대 수백만 조선인들을 저들의 침략전쟁과 강제노동 현장으로 끌어가고 수십만 조선여인들을 ‘일본군성노예’ 목적으로 ‘납치해간’ 국가차원의 범죄”가 진정한 “납치자 문제”다. 그들의 반세기 제국주의범죄가 진정한 납치자 문제다. 수백만 조선인들에 대한 제국주의범죄는 70년 지난 오늘도 부정한 채 ‘수십 명 납치자 문제’를 오늘도 끝없이 재탕하며 조선사람들을 악마화하는 일본사람들의 정신상태를 묻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일본사람들이 말하는 소위 납치자 문제는 자기기만이다. 자신을 속이는 일이다. 하여 결국 자신을 바보로 만드는 일이다. 하기야 아베, 다로 같은 일본우익세력은 납치자 문제를 저들의 정치적 목적에 이용 권력을 얻는다. 오늘도 그것으로 자리를 유지한다. 그들에 달리 할 말을 잃는 이유다. 그들 정신세계에는 자신을 진솔하게 돌아보고 반성하는 기능은 아예 본래부터 없다고 진단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일본군성노예로 끌려갔던 김복동 할머님께서 몇일 전 93세를 일기로 파란만장한 생을 마치셨다. 돌아가시면서도 ‘일본에 대한 분노’를 외치셨다. “아베 사죄를 받지 못한 것이 한’이라는 유언도 남기셨다. 자신을 돌아보지 못하는 사람과 집단, 민족, 국가에게 미래는 없다.

나가는 말

‘미국과 일본 속 조선’의 첫 만남 전기간 서울 KBS TV 편집국 기자 3명이 조대를 방문했다. 그들은 ‘재일본조선인 민족교육운동’ 전반을 1년 넘게 특별 취재하고 있다. 같은 기간 KBS TV 보도국도 3명의 기자들을 파견 조선초중급학교를 중심으로 특별 취재를 벌이고 있었다. 두 기자단은 우리 행사도 취재했다. 미국학생들과 대담도 했다. 미국대학생들의 역사적인 첫 조대방문이 나름 의미가 적지 않다 생각한 것 같다. KBS TV로부터 왜곡함이 없는 객관적 기사를 기대해본다. 머리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모든 것은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정녕 천지개벽이다. 이번 주 동국대학에서 교수와 박사생 4명이 조대를 방문했다. 다음 주에는 북한학대학 교수 10여 명이 조대를 방문한다고 한다. 그렇다. 조미관계가 ‘대결’에서 ‘대화’로 구도가 바뀌며 우리민족을 70년 나눠 놨던 온갖 분단의 장벽들이 서서히 무너져 가고 있다. 세상 모든 것이 서서히 바뀌고 있다. 동시에 지난 70년 역대일본당국이 장막 뒤에 꼭꼭 숨겨 놓은 재일본조선인들에 대한 그들의 천인공노할 ‘식민지범죄’ 또한 오늘 만천하에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끝)

▲ 재일조선대와 공동프로젝트에 참가한 미국 드퍼대 학생들[사진 : 정기열 원장 제공]

정기열 21세기연구소 발행인 겸 편집인  webmaster@minplus.or.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형제복지원에서 아동 시신 소각했다" 의혹 제기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복수 증언 확보...오거돈 부산시장 "진상 규명 필요"
2019.02.08 08:25:44

 

 

박정희-전두환 정권 시절 인권 유린의 상징 중 하나인 부산 형제복지원에서 사망한 아동들의 시신을 소각했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와서 주목된다. 

7일 방송된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충격 증언 '형제 지옥원'"편에서는 1970-80년대 형제복지원에서 일어난 불법 납치, 감금, 구타, 성폭행 등 무자비한 인권 유린의 실태에 대해 취재, 보도했다. 특히 이날 방송에서는 <프레시안>에서 최초로 보도했던 형제복지원이 수용됐던 아동들을 해외로 입양보낸 사실 뿐 아니라 아동들이 질병 등으로 사망했을 경우 불법으로 소각했을 가능성에 대해 보도했다. (☞관련 기사 바로 보기 : [단독] 형제복지원도 입양기관과 공생관계였다) 

"쓰레기장에서 사람을 태웠다. 소각 후 뼈를 직접 봤다" 

형제복지원에서 '선도실 소지(심부름하는 사람)'로 있었던 김모(가명) 씨는 이날 인터뷰에서 "걷지도 못하고 그냥 울기만 하는 아기들을 관리했다. (관리자들은) 아기에 대한 영·유아 지식이 없었다. (그때) 애들이 많이 죽어 나갔다, 조그마한 애들이"라고 '유아소대'의 실상에 대해 증언했다.  

김 씨는 "나보다 나이 많으신 분들이 마대 포대 등에 담아서 나왔다"면서 "그 야밤에 선도실 요원이 손수레를 끌고 목욕탕 불로 태웠다. 사람 타는 냄새는 나무 타는 냄새와 확연히 다르다"고 밝혔다.  
 

형제복지원에 무려 22년간 수용됐던 하인복 씨도 이날 인터뷰에서 유사한 상황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어린 나이에 배가 고프면 주워 먹는데 최고 만만한 게 쓰레기다...그런데 쓰레기장이 목욕탕 옆에 있었다. 그렇게 먹다가 불 때는 할아버지를 만났다. 간부 세 사람이 와서, 밑에 세 사람이 들고 와서 온갖 쓰레기 섞어서 뚤뚤 (마대자루로) 말아서 갖고 왔다. 이 세 사람이 안 가고 지키고 있었다. 그래서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사이에 다 탔을 거 같으니까 한 사람이 할아버지에게 '꺼내봐라' 했다...사람을 태운 거죠. 그거는 그 말을 그렇게 하는데 나는 처음에 얘기할 땐 안 믿었다...저는 그거(뼈) 모아둔 걸 보여주는 걸 직접 내가 봤죠."

하 씨는 머리뼈, 골반뼈 등의 모양을 봤을 때 다른 동물의 뼈가 아니라 사람의 유골이었다며 "어른 뼈는 아닌 것 같았다"고 말했다.  

 

 

▲ 형제복지원 생존피해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그린 아동 시신 소각 당시 상황. ⓒJTBC 화면 갈무리

 

▲ 형제복지원 생존피해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그린 아동 시신 소각 당시 상황. ⓒJTBC 화면 갈무리


"가족이 있는 아이들도 부랑아로 둔갑시켜 불법 수용...보조금, 노동착취, 해외입양으로 아동 팔아 돈 벌었다" 

형제복지원에 수용된 다수의 아동이 실제로는 오갈데 없는 부랑아나 고아가 아니라 멀쩡히 가족이 있는 경우도 다수였다는 사실도 지적됐다.  

형제복지원 피해 생존자 강호야 씨는 이날 인터뷰에서 길거리 단속 과정에 경찰에게 잡힌 뒤 형제복지원에 가게 된 상황을 증언했다.  

"(집이 있다고) 했다. 했는데 시청으로 보내주더라. 영도다리 건너입니다. 우리 집이' 이랬더니 '응 그래 집 보내줄게' 이러는데 그때부터 형제복지원 차가 와서 우리를 싣고 가 버리는데, 그때부턴 내 인생이 내 정체를 잊어버렸다. 그때부터." 

'부랑인 단속' 과정에서 잡힌 아이들은 형제복지원으로 끌려와 머리를 깎이고, 헌옷을 입고 깡통을 들게 한 뒤 '부랑아'로 조작돼 사진이 찍힌 뒤 불법 수용됐다. 이처럼 형제복지원은 빈곤층 아동을 사실상 납치해 '고아', '부랑아'로 둔갑시킨 뒤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받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날 방송은 형제복지원이 이처럼 불법 납치, 감금, 수용한 아동들을 정부 보조금, 노동 착취, 해외입양 등 세 가지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했다고 폭로했다. 그리고 피해자들의 증언을 보면 그 과정에서 부산의 경찰, 시 공무원들이 형제복지원과 결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 형제복지원에서 조작한 부랑아 사진들 ⓒJTBC 화면 갈무리



"박인근 일가, 사상 온천, 호주 골프장 등 상당한 부 축적"

형제복지원은 1987년 검찰 조사로 충격적인 실상의 일부가 외부로 알려졌다. 하지만 박인근 원장(2016년 사망)은 당시 2년 6개월형만을 살고 풀려났고, 이후 재단 이름을 바꿔가며 사회복지시설을 계속 운영했다. 그는 아들에게 법인 대표직을 물려주는 등 그가 형제복지원을 통해 축적한 엄청난 부는 자식들에게 상속됐다. 2014년 '느헤미야'로 법인명을 변경한 형제복지원은 설립 55년 만인 지난 2017년에서야 허가가 취소됐다.

이날 방송은 박인근 일가가 형제복지원이 있던 부산 사상구의 한 온천과 그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인근 전 원장의 최측근은 박 전 원장이 "'내가 그래도 가족들한테 (건물) 한 개 씩은 다 물려줬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방송은 "온천, 골프장을 비롯한 상당 수 건물과 재단 운영권이 박인근 일가로 넘어갔다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박민성 부산시의원은 "대부분은 목욕탕 사업을 하는데 쓰이거나 호주 골프장을 구입하거나 이런 비용으로 지출이 된다. 박인근의 재산을 은닉하고 재산을 불리는 데 쓰였다"고 밝혔다. 

1987년 형제복지원 사태에 대해 수사한 김용원 전 검사(현재 변호사)는 당시 형제복지원 수사가 청와대의 압력에 의해 제대로 진행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김 변호사는 형제복지원이 정치권의 비호를 받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하면서 "이 (수사) 외압의 주체는 청와대"라며 "시설 운영 주체가 누구냐? 박인근 원장이 운영했냐? 천만이다. 전두환 정권이 운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 바로 보기 : "전두환은 왜 형제복지원 수사를 방해했나") 

오거돈 부산시장은 이날 방송에서 형제복지원 문제에 대해 "진상 규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목격자의 제보를 취합하고 시굴도 하는 등 사전 작업을 거치고, 필요하다면 앞으로 유해발굴 작업까지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2018년 취임 후 형제복지원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과하고 진상 규명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문무일 검찰총장은 지난해 11월 20일 형제복지원 피해자들을 만나 당시 검찰 수사가 외압에 의해 조기 종결됐다고 사과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이와 동시에 검찰은 1987년 당시 내무부 훈령을 근거로 박인근 전 원장이 특수감금죄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린 법원의 판결에 법령위반이 있다며 형제복지원 사건을 대법원에 비상상고 했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