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미주도 연합들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에서 불법적 백린화학탄 폭격

미국 주도 연합군 전투기들 불법적 화학무기 백린탄 폭격
 
번역, 기사 이용섭 기자 
기사입력: 2018/11/03 [08:57]  최종편집: ⓒ 자주시보
 
 

 

미주도 연합들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에서 불법적 백린화학탄 폭격

 

미국과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걸핏하며 자신들과 맞서는 나라들에게 대량살상무기 보유요, 생화학무기 보유요 하면서 그게 바로 세계적 차원에서 안보를 불안하게 하고, 또 실제 대량살상무기나 생화학무기를 이용하여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들이나 나라들을 공격하려 한다고 세계 인민들을 상대로 하여 대대적으로 선전선동을 해댄다. 동시에 그들은 자신들과 맞서는 나라들의 대량살상무기, 생화학무기보유 및 생산을 중단시키기 위해 강력한 정치적, 군사적 압박을 세계적인 차원에서 펼쳐야한다고 유엔이요, 생화학무기금지기구요 하는 자신들의 꼭두각시 기구들을 앞에 내세워 상대국가들을 압박을 가하면서 동시에 해당 나라들을 악마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정말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대량살상무기요, 생화학무기를 전혀 생산도 하지 않고, 보유도 하지 않고 있으며, 더더구나 사용을 한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하는가? 아닌말로 지나가는 개가 코를 싸매쥐고 웃고, 가마솥의 삶은 소대가리가 박장대소할 소리밖에 안 되는 선전선동일 뿐이다. 세상에사 가장 먼저 대량살상무기를 연구 개발한 것도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요, 생산한 것도, 보유한 것도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다. 또 실제 실전에서 실제로 사용을 하였고 또 사용을 하고 있는 세력들도 바로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다. 더구나 실전을 넘어 서방의 제국주의세력들과 그 주구들을 제외하고는 지구상에 그 어떤 민족도 나라도 감히 상상도 하지 못하는 평화롭게 살고 있는 일반인들을 상대로 생화학무기를 실험하였으며, 사용을 하고 있는 세력들도 바로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다.

 

이에 대해서 이미 본지 10월 9일 자 “러 국방부 그루지아에서 생물무기연구진행 미국비난 및 고발장”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을 보도하였다.

 

관련기사: 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42135&section=sc29&section2=

 

또한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현재 수리아전에서도 자신들 정보조직의 하수집단들인 《하얀 철모(화이트 헬멧-White Helmet)》들을 내세워 “수리아 정부군을 비난하기 위해 ‘거짓 화학무기 공격설’ 자작극을 꾸미”고 있으며 그를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러시아의 스뿌뜨닉끄, 이란 이르나, 파르스통신, 수리아 사나, 레바논은 알 마스다르 등이 요 몇일 사이 집중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거기서 멈추지 않고 실제 수리아 인민들을 상대로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화학무기인 백린탄을 또 다시 사용하여 폭격을 가하였다. 이에 대해 수리아 국영 사나(SANA)는 10월 29일(현지 시간)에서 “미국 주도 연합군들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에서 불법적인 백린탄 폭격”이라는 제목으로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사용이 금지된 화학무기인 백린탄을 사용하여 수리아 인민들을 상대로 폭격을 감행하였음을 전하였다.

 

보도에 의하면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군 전투기들이 대시(ISIS)테러분자들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 남동부의 하진도심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불법인) 무기로 폭격을  가하여 수리아 영토에 대해 또 다른 침략공격을 감행하였다고 한다.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최근에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불법적 화학폭탄인 백린탄을 사용하여 수리아 민간인거주지를 폭격한데 대해서는 이미 본지 10월 21일 자에서 “《국제연합군》 데이르 에즈조르 수리아 민간인 또 다른 대량 학살”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을 보도하였다. 그런데 그로부터 10여 일도 채 되지 않아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연합군들은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화학무기 백린탄을 사용하여 수리아 민간인 거주지를 폭격을 감행하였다.

 

관련기사: 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42302&section=sc29&section2=

 

사나는 “몇 시간에 걸쳐 미국 주도의 연합군들이 데이르 에즈조르 시 동쪽으로 110Km 떨어진 곳에 있는 하진 도심의 여러 지역들을 백린폭탄(화학무기인 하얀 인 폭탄)으로 폭격을 가하였다.”고 말한 현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하여 보도하였다.

 

사나는 마지막으로 “사회관계망(SNS)활동가들은 연합군들이 인폭탄을 사용하여 하진 도심을 폭격하는 사진을 배포하였다.”고 하여 미국주도의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의 전투기들이 백린탄을 사용하여 수리아 민간인들을 폭격을 하였음이 사실임을 보도하였다. 

 

한편 이란의 파르스통신도 같은 사실을 10월 30일 자에서 “미군들 불법적인 무기로 데이르 에제조르를 또 다시 공격”이라는 제목으로 보도를 하였다. 파르스통신은 “미국이 이끄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불법적인(원문-비관습적인, 몰상식적인)무기들로 수리아의 데이르 에즈조르 지방에 대해  또 다시 폭격을 자행하였다.”다고 관련 사실을 상세히 전하였다.

 

이어서 보도는 미국의 전투기들이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백린폭탄들로 데이르 에즈조르 동쪽 하진 도심의 여러 거리들을 타격을 감행하였다고 보도한 수리아 사나를 인용하여 보도하였다. 불법적인 백린탄 폭격은 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이슬람국가(ISIL)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불법적인 무기들로 데이르 에즈조르를 공격한 것은 이번 달 들어 두 번째이다라고 보도하여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지난 10월에만 두 차례에 걸쳐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불법적 화학무기 백린탄을 사용하여 수리아 민간인 거주지역을 폭격하였음을 보도하였다.

 

한편 파르스통신은 “알-수와르 도심 남동쪽 마을에 대한 폭격으로 최소한 세 명의 민간인들이 숨지고 다섯 명이 부상을 당하였다.”고 보도한 수리아 국영 텔레비전을 인용하여 또 다른 폭격 사실을 전하였다. 보도에 의하면 그 폭격은 폭격을 당한 지역의 공공 및 개인 건물들에 큰 피해를 입혔다고 한다.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은 바로 이런 자들이다. 겉 다르고, 속 다른 저도가 아닌 보통의 상식을 가진 사람들은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교활하고 파렴치하여 악랄한 짓을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무렇지도 않게 하고 있다. 현재 서방제국주의연합세력들이 수리아전과 예멘전에서 벌이고 있는 전쟁범죄행위, 인도주의에 대한 범죄, 평화파괴, 국제안보파괴행위 등이 이를 명백하게 증명해주고 있다. 우리는 이와같은 짓을 저지르고 있는 서방연합세력들에 대해 정확하게 꿰뚫고 있어야한다. 

 

 

----- 번역문 전문 -----

 

미주도 연합들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에서 불법적 백린화학탄 폭격

 

▲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군 전투기들이 대시(ISIS)테러분자들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 남동부의 하진도심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불법적인 화학 무기로 폭격을 가하여 수리아 영토에 대해 또 다른 침략공격을 감행하였다. 현지 소식통들은 몇 시간에 걸쳐 미국 주도의 연합군들이 데이르 에즈조르 시 동쪽으로 110Km 떨어진 곳에 있는 하진 도심의 여러 지역들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불법적 화학무기인 백린폭탄으로 폭격을 가하였다고 사회관계망에 관련 사진들을 올렸다.     ©이용섭 기자

 

2018년 10월 29일

 

데이르 에즈조르, 사나 -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군 전투기들이 대시(ISIS)테러분자들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 남동부의 하진도심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불법인) 무기로 폭격을  가하여 수리아 영토에 대해 또 다른 침략공격을 감행하였다.

 

 

현지 소식통들은 몇 시간에 걸쳐 미국 주도의 연합군들이 데이르 에즈조르 시 동쪽으로 110Km 떨어진 곳에 있는 하진 도심의 여러 지역들을 백린폭탄(화학무기인 하얀 인 폭탄)으로 폭격을 가하였다고 사나에 말했다.

 

사회관계망활동가들은 연합군들이 인폭탄을 사용하여 하진 도심을 폭격하는 사진을 배포하였다.

 

Shaza / Hazem Sabbagh

 

 

----- 번역문 전문 -----

 

2018년 10월 30일, 5시 18분. 화요일

 

미군들 불법적인 무기로 데이르 에제조르를 또 다시 공격

 

▲ 미국이 이끄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불법적인 무기들로 수리아의 데이르 에즈조르 지방에 대해 또 다시 폭격을 자행하였다. 미국의 전투기들이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백린폭탄들로 데이르 에즈조르 동쪽 하진 도심의 여러 거리들에 대해 타격을 감행하였다. 불법적인 백린탄 폭격은 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이슬람국가(ISIL)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불법적인 무기들로 데이르 에즈조르를 공격한 것은 이번 달 들어 두 번째이다.     ©이용섭 기자

 

테헤란 (파르스통신)- 미국이 이끄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불법적인(원문-비관습적인, 몰상식적인)무기들로 수리아의 데이르 에즈조르 지방에 대해  또 다시 폭격을 자행하였다.

 

 

아랍어 사나통신은 월요일 미국의 전투기들이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백린폭탄들로 데이르 에즈조르 동쪽 하진 도심의 여러 거리들을 타격을 감행하였다고 전한 데이르 에즈조르의 현지 소식통들의 말을 인용하여 보도하였다.

 

이 것(불법적인 백린탄 폭격)은 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이슬람국가(ISIL)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불법적인 무기들로 데이르 에즈조르를 공격한 것은 이번 달 들어 두 번째이다.

 

지난 달 말 전개된 상황과 관련하여 보면 미국 주도의 연합군 전투기들이 백린폭탄을 이용하여 데이르 데즈조르의 동쪽 지방 도심의 이슬람국가(ISIS)가 장악하고 있는 곳을 폭격하였다고 수리아 국영텔레비전이 보도하였다.

 

수리아 국영 텔레비전은 알-수와르 도심 남동쪽 마을에 대한 폭격으로 최소한 세 명의 민간인들이 숨지고 다섯 명이 부상을 당하였다고 보도하였다.

 

또한 그 폭격은 그 지역의 공공 및 개인 건물들에 큰 피해를 입혔다.

 

 

----- 원문 전문 -----

 

US–led coalition uses banned white phosphorus bombs in Deir Ezzor countryside

 

▲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군 전투기들이 대시(ISIS)테러분자들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데이르 에즈조르 외곽 남동부의 하진도심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불법적인 화학 무기로 폭격을 가하여 수리아 영토에 대해 또 다른 침략공격을 감행하였다. 현지 소식통들은 몇 시간에 걸쳐 미국 주도의 연합군들이 데이르 에즈조르 시 동쪽으로 110Km 떨어진 곳에 있는 하진 도심의 여러 지역들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불법적 화학무기인 백린폭탄으로 폭격을 가하였다고 사회관계망에 관련 사진들을 올렸다.     © 이용섭 기자

 

29 October، 2018

 

Deir Ezzor, SANA – Warplanes of the US-led “international coalition” carried out another aggression on Syrian territory under the pretext of combating Daesh (ISIS) terrorists, bombing with internationally-banned weapons Hajin town in the southeastern countryside of Deir Ezzor.

 

 

Local sources told SANA that during the past hours, the US-led coalition shelled several areas in Hajin town, 110 km east of Deir Ezzor city, with white phosphorus bombs

 

Activists on social networking sites circulated pictures of the coalition’s strikes on Hajin town using phosphorus bombs.

 

Shaza / Hazem Sabbagh

 

 

----- 원문 전문 -----

 

Tue Oct 30, 2018 5:18 

 

US Attacks Deir Ezzur with Banned Weapons Again

 

▲ 미국이 이끄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불법적인 무기들로 수리아의 데이르 에즈조르 지방에 대해 또 다시 폭격을 자행하였다. 미국의 전투기들이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백린폭탄들로 데이르 에즈조르 동쪽 하진 도심의 여러 거리들에 대해 타격을 감행하였다. 불법적인 백린탄 폭격은 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들의 전투기들이 이슬람국가(ISIL)과 전투를 벌인다는 구실로 불법적인 무기들로 데이르 에즈조르를 공격한 것은 이번 달 들어 두 번째이다.     © 이용섭 기자

 

TEHRAN (FNA)- The US-led coalition's fighter jets launched airstrikes against Deir Ezzur province in Syria again with unconventional arms.

 

 

The Arabic-language website of SANA news agency quoted several local sources in Deir Ezzur as saying on Monday that the US warplanes targeted several districts in the town of Hajin in Eastern Deir Ezzur with white phosphorous bombs which are forbidden internationally.

 

This was the second time in a month that the US-led coalition's fighter jets attack Deir Ezzur with banned weapons under the pretext of fighting the ISIL.

 

In a relevant development late last month, the US-Led coalition warplanes targeted an ISIL-held town in the Eastern province of Deir Ezzur using white phosphorus munitions, killing several people, the Syrian state-run TV reported.

 

The Syrian state-run TV reported that at least three civilians were killed and five more injured in an airstrike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town of al-Suwar.

 

The strike also damaged public and private buildings in the area.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위법관들 연쇄 반발... 반개혁 사법파동 구실 찾나

[분석 - 그들은 왜?] '양승태 키즈 단합' 분석... "사법농단 ‘정치화’ 하려는 의도" 지적도

18.11.02 19:52l최종 업데이트 18.11.02 21:48l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법원 중앙홀에서 열린 사법부 70주년 행사에서 국기에 경례를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진성 헌법재판소장, 문 대통령, 김명수 대법원장.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법원 중앙홀에서 열린 사법부 70주년 행사에서 국기에 경례를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진성 헌법재판소장, 문 대통령, 김명수 대법원장.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 사법농단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을 향한 고위법관들의 반발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자신들의 행태를 비판한 것에도 강하게 반발했다. 또 이번 사건의 핵심인물인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 측은 검찰의 수사를 '문재인 정권의 정치보복'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위법관들이 청와대와 검찰에 반발하면서 지속적으로 논란을 만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고위법관들의 행동을 놓고 단순히 수사에 불만을 넘어 향후 진행될 재판에 영향을 끼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뿐 아니라 법조계 안팎에서는 청와대와 검찰, 김명수 대법원장 등을 상대로 한 '사법파동'을 일으킬 구실을 찾기 위한 의도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검찰 수사가 법관의 독립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명분을 쌓아 김 대법원장 퇴진 등을 요구하는 집단행동에 나설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근 고위법관들의 반발에 대해 법원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한 법조계 관계자는 최근 <오마이뉴스>와 만나 "강민구 부장판사, 윤종구 부장판사 등 검찰 수사와 청와대를 문제 삼는 고위법관들은 대부분 양 전 대법원장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소위 '양승태 키즈(kids, 아이들)'"라며 "법원 내부 게시판에 쓴다고 하지만 내부용이라고 볼 수 없다, 법원 안팎에 자신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만들려는 의도로 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ad
그는 "고위법관들이 검찰 수사 절차를 문제 삼자 보수 언론에서는 그들이 '인권'을 옹호하기 위해 고언에 나선 것처럼 보도한다, 아니면 청와대나 검찰이 사법부의 독립을 해치고 있다는 식으로 보도한다"라며 "검찰이 양 전 대법원장 등 최고위급 전현직 법관을 수사하게 되면 아마 이런 저항은 더 거세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행정부의 사법부 독립 침해를 구실로 고위법관들이 집단행동(사법파동)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판사들의 집단행동을 의미하는 '사법파동'은 한국 현대사에서 그동안 다섯 차례 발생했다. 1차 사법파동은 지난 1971년 검찰이 두 명의 법관을 구속하자 이를 대법원이 국가배상법을 위헌으로 결정한 것에 보복조치로 판단한 판사들이 집단 반발하면서 발생했다. 특히 1987년 6월항쟁 이후 사법부 개혁을 촉구하며 판사 400여 명이 성명을 발표한 2차 사법파동 사례가 대표적이다.  

수사 반대하던 고위법관들, 임종헌 구속되자 수사절차 비판
 
구속 심판대 오른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장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 사법농단 사건 '키맨'으로 불리는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이 26일 오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에 대해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 도착하고 있다.
▲ 구속 심판대 오른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장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 사법농단 사건 "키맨"으로 불리는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이 지난 10월 26일 오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에 대해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 도착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그동안 지방고등법원 부장판사와 지방법원장 등 고위법관들은 이번 사법농단 사건을 '부적절하지만 죄가 되지 않는다'는 식으로 해석하며 법원의 자체적인 조치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해왔다.

대표적으로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들은 지난 6월 5일 "대법원장이 형사고발, 수사의뢰, 수사촉구 등을 할 경우, 앞으로 관련 재판을 담당하게 될 법관에게 압박을 주거나 영향을 미침으로써 법관과 재판의 독립이 침해될 수 있음을 깊이 우려한다"라며 사법농단에 대한 고발이나 수사의뢰에 반대했다.

또 전국 법원장들도 지난 6월 7일 '전국 법원장 간담회'에서 "재판 거래 의혹은 합리적인 근거가 없고 사법부가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해선 안된다"라고 주장했다. 전국법관회의나 일선 지방법원의 판사들이 형사고발을 촉구하는 것과는 상반된 태도였다. 이후 이규진 전 양형위원회 상임위원이 소환조사를 받을 때나 유해용 전 대법원 수석재판연구관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됐을 때도 일부 법원 내부에서는 '죄가 되지 않는다'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이 '죄가 되지 않는다'며 사법농단 수사에 반대하는 고위법관들의 태도는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 되면서 방향이 달라졌다. 수사 절차를 문제 삼기 시작한 것이다. 검찰 수사가 일선 판사들을 넘어 임 전 차장을 징검다리 삼아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비롯한 전현직 대법관들에게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자 수사의 '정당성'을 문제삼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저 강민구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는 10월 16일 법원 내부 게시판과 자신의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중범죄나 사회적 이목이 집중된 사건 수사 관행을 보면 수시로 통밤을 넘겨 새벽이나 그 다음날 동이 트고 나서 수사기관에서 나오는 피의자 모습을 흔히 본다"면서 "이제는 이런 관행이 비록 당사자나 변호인의 자발적 동의가 있다 해도 위법이라고 외칠 때가 지났다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 1월 비슷한 취지의 글을 이미 올렸었고, 이를 다듬어 다시 제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자신과 가까운 임 전 차장의 검찰의 밤샘 조사를 받은 직후라는 점에서 법원 안팎의 비판이 이어졌다. 강 부장판사는 또 "이런 조서의 증거능력 배척하면 단박에 고칠 수 있고 형사재판 법관 한 명의 결단만 남았다"라며 "검사 욕할 게 아니라 판사가 불승인하면 하라 해도 안할 터, 즉 법원이 변하면 다 변합니다"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강 부장판사의 주장은 향후 임 전 차장의 재판을 맡게 될 재판부에 '밤샘 조사에서 나온 내용은 증거를 배척하라'는 메시지로 비칠 수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웠다. 법원 안팎에서도 "명백한 재판개입", "수사 통제 주문", "제 식구 감싸기"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그러자 강 부장판사는 다음날 "댓글을 보면 가관이다, 우리 사회에 일정한 비율의 화병 대중이 상존함을 느낀다"라고 불쾌감을 드러내고 계정을 닫았다.

최근 자신이 받은 검찰의 압수수색을 비판한 김시철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는 지난달 30일과 지난 1일 연달아 법원 내부 게시판에 장문의 글을 올려 지난달 11일과 29일 자신을 상대로 한 검찰 압수수색의 위법성을 주장했다. 또 재판거래 의혹 가운데 하나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파기환송심을 1년 6개월 동안 선고를 하지 않았던 과정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강변했다.

또 최인석 울산지방법원장은 지난달 29일 법원 내부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법원은 검사에게 영장을 발부해 주기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다, 장삼이사의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며 "압수수색 영장청구는 20년 동안 10배 이상 늘었다, 검찰을 무소불위의 빅 브라더로 만들어준 것은 다름 아닌 우리 법원"이라고 밝혔다. 검찰이 사법농단 사건을 수사하며 청구한 압수수색 영장이 번번이 기각되는 것에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이를 반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재인 정치보복' 주장, 조국 수석 때리는 이유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사진)이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검토 문건'을, 최근 논란이 되기 전엔 보고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3월 대통령 개헌안을 설명하는 조국 수석의 모습.
▲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사진).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검찰의 수사절차를 문제 삼는 고위법관들은 또 청와대와도 대립각을 세웠다. 이는 임종헌 전 차장이 지난달 27일 구속된 후 검찰의 수사에 대해 "정권교체에 따른 사법부 발 전형적인 정치보복"이라고 주장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과 고위법관들 사이의 '갈등'이나 '설전'으로 보도했지만, 그 내면에는 사법농단 사건을 '정치화'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임 전 차장의 변호인 황정근 변호사는 지난달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법리보다 정치적 고려가 우선된 부당한 구속"이라고 주장했다. 또 앞서 진행된 영장실질심사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법의 날' 행사에 와서 사법농단을 언급한 것은 잘못됐다, 사법농단 사건은 정치보복'이라는 취지의 변론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지난 9월 사법부 70주년 행사에 참석해 "지난 정부 시절의 사법농단과 재판거래 의혹이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뿌리째 흔들고 있다"라고 말한 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조국 민정수석을 향한 비판도 계속되고 있다. 조 수석은 지난달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강민구 부장판사를 비판하는 기사를 링크했다. 앞서 강 부장판사가 임 전 차장의 조사 시점에 맞춰 밤샘조사를 비판한 것을 지적한 기사였다. 이후 이를 두고 '사법독립을 해친다'는 보수 언론의 보도가 이어지자 "법관이 재판 외에 스스로 행한 문제 있는 행위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 예컨대 재벌 최고위 인사에게 문자 보내기, 사법농단 수사에 대한 조직 옹호형 비판 등"이라고 반박했다.

여기에 강 부장판사는 법원 내부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조 수석을 향해 "더 이상 지위를 남용해 법관을 치사한 방법으로 겁박하지 말라"라고 밝혔다. 또 언론과 인터뷰에서 "청와대가 특정 판사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검찰의 밤샘수사를 종용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조 수석은 재차 "재벌 최고위 인사에게 문자를 보낸 것이나 사법농단 수사에 조직 옹위형 비판하는 행위에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라고 반박했다.

이후 윤종구 서울고법 부장판사도 지난달 21일 판사 197명에게 이메일을 보내 "대통령은 헌법기관으로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으나 비서실은 다르다"라며 조 수석을 비판했다. 조 수석에게는 사법부를 비판할 '헌법적 근거가 없다'는 취지다. 그는 22일 관련 내용을 코트넷에 다시 게재하며 "대통령의 위임 없이 의견을 기재한 경우는 헌법 규정에 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법부 독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양승태 키즈들 단합하라는 메시지"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1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자신의 자택 인근에서 대법원장 재임 시절 법원행정처의 ‘(박근혜 청와대와) 재판 거래 의혹' 등 사법행정권 남용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지난 6월 1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자신의 자택 인근에서 대법원장 재임 시절 법원행정처의 ‘(박근혜 청와대와) 재판 거래 의혹" 등 사법행정권 남용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이 같은 고위법관들의 행태에 판사 출신 서기호 변호사는 "고위법관들의 글을 보면 마치 사법부가 탄압을 받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작성됐다"라며 "사법부의 독립이라는 건 결국 재판의 독립을 위해 존재하는 것인데 마치 사법부에서 어떤 잘못을 하더라도 국회나 검찰이 개입할 수 없는 것처럼 인식하게 만든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마치 모든 판사가, 사법부 전체가 수사를 받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에는 자신들을 피해자로 보이게 만드려는 의도가 있다고 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상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세력과 사회 보수 세력이 연합하는 과정으로 보인다"라며 "사법농단이라는 것 자체, 이를 수사하고 특별재판부를 만들고 관련 판사를 탄핵하려는 게 모두 문재인 정권이 보수를 탄압하는 과정이라는 프레임을 짜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자신들이 가해자이면서 '피해자 코스프레(흉내)'를 하며 '양승태 키즈'들의 단합을 메시지로 내놓고 있다"라며 "사법농단을 비리 사건이 아닌 법원 내부의 세대갈등 정도로 축소시키고 외부, 즉 청와대와 검찰이 사법부를 탄압하고 있다는 프레임으로 가는 걸 본격화 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개성 육로를 인도지원의 플랫폼으로”

‘2018 대북지원 국제회의’ 공동성명, ‘금융 채널 개설’ 촉구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11.02  23:17:40
페이스북 트위터

“40년간 대북사업, 방북 금지된 것은 처음”

   
▲  ‘2018 대북지원 국제회의’ 참석자 공동성명 발표 기자회견이 2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렸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지난 40년간 대북사업을 해왔던 기관으로서 이렇게 방북이 금지된 것은 처음이다.”

다니엘 제스퍼 미국친우봉사회(AFSC) 옹호사업담당관은 2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우리민족서로돕기가 주최한 ‘2018 대북지원 국제회의’ 참석자 공동성명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제스퍼 담당관은 “AFSC는 미국의 NGO다. 지난 40년간 인적교류를 계속해왔고 현재 4개의 (북한) 협동농장에서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함께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하고 2017년 9월 1일 미국 정부의 북한여행 제한조치에 따라 지난해 11월과 올해 5월 두 차례에 걸쳐 면제(weiver) 조치를 받고 방북할 수 있었지만 올해 9월 미국 국무부의 북한여행 제한조치가 갱신되면서 면제 신청이 거절당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모든 인도주의 단체들 역시 마찬가지라고.

그는 “지난 수십년 간에 걸쳐서 미국과 북한 사이에는 인도주의 활동이 관여정책의 최소기준선으로 간주돼 왔다”며 “이같은 조치는 북한의 수천 명의 주민들 개개인의 목숨에 큰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는 점에서 우려한다”고 말하고 “미국 정부는 인도주의 활동가들의 방북을 허가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유엔과 미국 법에 허용된 바에 따라서 인도주의적인 면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대북 인도적 지원물자 역시 마찬가지 상황. 북민협(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정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주성 월드비전 북한사업팀장은 “(한국 정부로부터) 승인된다 할지라도 그것을 가지고 제가 물자를 구매하기 어렵고 운반하기 어렵다”며 “중국에서 물자를 구매할 경우에 의뢰인들이 세컨더리 보이콧 때문에,,,인도적 지원물자 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은행들이 여러 가지 염려 속에서 한국정부의 승인에도 불구하고 민간단체에 송금해주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한 “한국에서 북한으로 보내는 비엘(bill of lading, 선하증권)을 가지고 선박회사들은 어려움이 있겠다는 것이 지금까지 저희들이 해본 결과”라며 “현재 북한에 보낼 수 있는 물자가 상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밀가루나 콩가루 정도 보낼 수 있지만 그것도 원활하지 않다”라고 현황을 전했다.

   
▲ 다니엘 제스퍼 미국친우봉사회(AFSC) 옹호사업담당관(오른쪽)과 젤버거 전 스위스개발협력처(SDC) 평양사무소장이 국제기구와 단체들의 현황과 입장을 밝혔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93년 이래 대북 지원사업을 해온 카타리나 젤버거 전 스위스개발협력처(SDC) 평양사무소장은 “북한주민들이 상당히 불균형한 식단을 가지고 있고 지방과 단백질 그리고 미량 영양소와 관련해 상당히 부족한 상태”라며 “더 이상 ‘벌크 푸드’ 방식의 식량 지원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보다 전문화된 식단, 식량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임신부, 수유부, 2세 이하 아동들을 위한 특별식단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한 보건분야와 농업에도 문제점이 있다면서 “북한 프로젝트를 지원해줄 수 있을만한 자금을 확보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우선은 우리가 금융채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없고 또 협력업체, 공급자를 찾기가 어렵다. 어렵게 공급자가 마련된다 하더라도 이 물건을 선적해줄 만한 해운사를 찾기가 어렵다”고 고충을 토로하고 “1인당 12달러면 백내장으로부터, 실명위험으로부터 한 환자를 구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개성 육로를 인도지원의 플랫폼으로”

   
▲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은 개성 육로를 인도지원의 풀랫폼으로 삼을 것을 제안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은 지난달 24~27일 북민협 대표단이 방북했을 당시 북측 민화협(민족화해협의회) 측에 ”인도적 물자나 필요 물자의 원활한 전달을 위해서 개성 육로를 적극적으로 개방해줄 것“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제NGO와 국제기구가 현재 (중국) 대련을 통해 (북한) 남포항으로 간다”며 “미국제재, 유엔제재, 한국제재 면제를 받아도 중국 제재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고 짚고 “인천항과 평택항을 통해서 개성육로로 물자를 전달해 줄 것을 꼭 실현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인천항과 파주 도라산과 개성을 잇는 하나의 새로운 평화의 길이 열리지 않겠냐”는 것.

강영식 총장은 “개성 육로를 인도지원의 플랫폼으로 활용해서 대한민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요청했다”며 아직 정부의 반응은 없지만 최근 남북고위급회담에서 합의한 산림협력과 방역사업 등을 육로를 통해 시행하게 되면 길이 열릴 것이라고 기대하고 “민간단체 물자 나아가서 국제NGO, 국제기구 물자도 개성 육로를 통해 처리 가능하다면 대한민국의 국격과 품격을 높이는 대단히 중요한 조치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아울러 “적어도 한국 정부의 승인을 받은 인도적 물자의 구입을 위한 달러 송금에 대해서는 보장해주는 정책을 우리 정부가 해줘야 된다”는 점과 “인도지원에 대한 영역에 대해서는 최소한 안정적인 금융구좌를 개설해 줌으로써 인도지원 행위가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달라는 요구를 국제사회에 하는 것이고 핵심은 미국 정부한테 요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박창일 평화3000 운영위원장(맨 오른쪽)은 대북 제재 완화나 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박창일 평화3000 운영위원장은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도 개선해서 이제 핵무기 없이 인민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경제에 모든 것을 쏟아붇겠다는 것이 북측의 입장이라는 것을 이번 방문을 통해 듣고 보고 하였다”고 전했다.

나아가 “이런 북한의 입장에 대해서 우리 대한민국을 비롯해 전세계 나라들은 북한의 이런 입장을 좀더 고무시키고 진척시킬 필요가 있다”고 전제하고 “북한의 비핵화 행동에 따라서 일정부분 바깥에서도 외부에서도 제재 완화나 해제를 해나갈 때 북한의 비핵화를 더 빨리 그리고 확실하게 진척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공동성명 “한 개 이상의 금융 채널을 개설하라”

   
▲ 이주성 북민협 정책위원장이 '2018 대북지원 국제회의' 참석자들이 채택한 공동성명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2018 대북지원 국제회의’ 참석자들은 ‘남북 공동선언 이행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협력 강화 공동성명성’를 통해 “외교적인 진전에도 불구하고 참석자들은 최근 몇 년간 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필요가 무시되고 있는 점에 우려를 표시했다”며 “특히, 기존의 ‘최대 압박’이라는 미국의 외교정책에 북한의 인도적 상황마저도 포함될 수 있는 최근의 변화에 대해서도 많은 염려가 제기되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유엔과 각국 정부를 향해 “북한에서의 인도적 활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물자 전달이 적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한 인도주의 기관 활동가들의 북한으로의 접근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투명한 규정과 관련 절차를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유엔과 각국 정부는 유엔 산하 기관과 국제기구, 주요 비정부 기관들이 북한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금융 채널을 개설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북한은 인도주의 지원의 투명성과 책무성을 증진하라”고 요구했다.

‘2018 대북지원 국제회의’는 (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경기도, 독일 프리드리히에버트재단 한국사무소가 공동 주최하고 통일부가 후원해 10월 31일과 11월 1일 이틀간 백범기념관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공개와 비공개 회의를 진행했다.

최완규 우리민족서로돕기 상임공동대표는 “10월 31일 약 300여명이 공개회의에 참석해서 열띤 관심을 보여주었고, 좋은 발제와 토론들이 있었다. 이튿날 11월 1일 비공개회의에 80여명이 참석해서 공개회의 때 다 못 나눈 민감한 부분들에 대해서 아주 허심탄회하게 서로의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히고 “획기적인 남북관계를 규율하는 패러다임에 맞춘 회의이기 때문에 주목받을 수 있고 의미를 갖는 회의였다”고 자평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36년간 외국군대가 주둔했던 용산기지 개방

[아침신문 솎아보기] 용산 미군기지 일부 시민에 개방… 욕망의 끝판왕 용산, 올바른 생태공원 돼야

이정호 기자 leejh67@mediatoday.co.kr  2018년 11월 03일 토요일
 

용산은 조선 왕이 있는 궁궐과 가깝고 한강 수로와도 가까워 한반도를 지배하려는 외국 군대의 단골 주둔지였다. 13세기 말 고려 때 쳐들어온 원나라 군사도 용산에 주둔해 일본 정벌을 위한 병참기지로 사용했다.

136년간 외국군대가 주둔했던 용산

1882년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청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자 청나라 군사가 용산에 주둔했지만 13년 뒤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이기면서 용산엔 청나라 군사 대신 일본군이 주둔했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도 용산에 주둔했던 일본군이 동원됐다. 명성황후 시해는 미우라 일본 공사가 용산에 살던 대원군의 왕궁 행차 경호를 위해 일본군을 붙이면서 시작됐다. 대원군은 1895년 10월8일 새벽 3시 일본군대의 호위를 받고 용산을 출발했다.  

일본은 친일파 이지용과 맺은 1904년 한일의정서를 내세워 용산 땅 300만평을 차지하고 그 중 115만평은 군사기지로 사용했다. 그 곳에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부가 들어서 일본군 2만명이 주둔했다. 용산은 일제가 한반도를 무력통치하고 만주 침공을 위한 후방기지가 됐다.  

용산에 일본군 주둔은 1895~1945년까지 반세기 동안 이어졌다. 이후엔 미군이 다시 반세기 넘게 주둔했다.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가 세워졌지만 아직도 미군 일부가 용산에 남아 있다. 

▲ 한국일보 3일자 2면
▲ 한국일보 3일자 2면
 

 

용산 미군기지 일부 시민에 개방

어제(2일) 용산 미군기지 일부가 시민에게 개방되자 오늘 아침 대부분의 신문이 그 사실을 전했다. 한국일보는 3일자 2면 머리에 ‘114년 만에… 용산 기지가 열렸다’는 제목을 달아 보도했다. 한국일보는 1904년 한일의정서를 기준으로 일본군과 미군의 연이은 주둔기간 ‘114년’을 제목에 달았지만 1882년 임오군란으로부터 계산하면 136년만이다.

다음은 주요 일간지 3일자 용산기지 개방 기사다.  

경향 8면    114년만에 빗장 열린 용산기지 
한겨레 1면 114년 만에 빗장 푼 용산 미군기지 
한겨레 6면 용산기지 첫 버스투어, 위수감옥에 가자 
한국 2면    114년만에… 용산기지가 열렸다 
조선 12면  114년만에 문 연 용산기지, 버스 타고 둘러보세요
동아 25면  114년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온 용산 미군기지
 

외국군 주둔으로 한세기가 훨씬 넘게 민간인이 들어갈 수 없었던 용산 미군기지가 일부 개방을 시작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용산 미군기지 내 주요 장소를 버스를 타고 둘러보도록 ‘용산기지 버스투어’를 연말까지 6차례 진행한다고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버스 투어는 ‘식민과 냉전의 상징’이던 용산기지가 미래 평화 명소로 첫 발을 내딛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용산기지에 남산과 한강을 잇는 생태공원을 만들어 평화를 위한 교훈의 장소로 물려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용산기지 주변은 2006년 5월 경찰이 투입돼 강제철거가 시작된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건설과 함께 또다른 탐욕을 키워왔다. 100년 넘게 외국군대의 군사기지였던 용산은 오세훈 서울시장 때 높이 620m 150층 초고층 랜드마크 타워와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발표로 또다른 탐욕의 화신이 됐다. 용산은 외군군대가 채 물러나기도 전에 부동산 자본이 주둔해 버린 셈이다. 신라 금관을 닮았다고 광고했던 150층 초고층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수많은 아파트 건설계획이 잇따랐다. 세입자에겐 평균 2500만원의 죄꼬리만한 보상비를 던져주고 내쫓는 철거가 시작됐고, 그 욕망의 끝은 2009년 1월20일 용산참사로 곧장 이어졌다.  

욕망의 끝판왕 용산, 올바른 생태공원 돼야 

1976년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썼던 당시 월간 ‘신동아’의 조세희 기자는 2009년 용산참사를 보고 “난쏘공이 목격한 철거는 70년대 산업화 과정에 도시 빈민을 추방이었는데, 2009년 용산에선 중산층까지 철거 대상이 됐다”고 했다. 인권재단 사람의 박래군 이사도 ‘녹색평론’ 2009년 7~8월호에 “난쏘공이나 영화 똥파리에 나오는 철거민은 도시 빈민이지만 용산 철거민은 중산층”이라며 가진 자들이 탐욕이 이젠 중산층까지 약탈해야만 하는 시대가 됐다고 썼다. 

용산참사가 일어난지 10년. 용산기지를 둘러싸고 이미 고층 아파트가 병풍처럼 들어선 마당에 앞으로 만들어질 생태공원은 이들 아파트의 정원이나 놀이터가 될 공산이 크다. 서울시는 앞으로 용산기지 개발에 이 점을 유념해야 한다.  

지난달 숨진 허수경 시인도 2011년 ‘열린 전철 문으로 들어간 너는 누구인가’라는 시에서 “저 멀리 용산참사의 시체가 떠내려가던 어떤 밤에 아무런 대항할 말을 찾지 못해서 울던 소경”이었다고 고백한다. 정치가, 행정이, 아무런 대항할 말을 찾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말문과 눈을 뜨게 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5320#csidx4dd90be101f42f7a51524302787738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도를 넘은 미국의 내정간섭

도를 넘은 미국의 내정간섭비건 대표, 철도·개성공단 기업인 방북 등 남북협력 계획 줄줄이 제동
▲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왼쪽)와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면담 모습. [사진 : 뉴시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남북공동선언 이행추진위원장인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을 콕 찍어 만난 데 이어 조명균 통일부 장관, 그리고 남북정상회담 총괄실무를 담당한 윤건영 국정기획상황실장까지 만나 좋게 발전하는 남북관계를 온통 휘저어 놓았다.

실제 비건 대표가 방한(10월28∼31일)하면서 애초 10월 안에 추진하려던 경의선 철도 공동조사, 개성공단 기업인 방북, 평양예술단의 서울 공연 등이 줄줄이 연기됐다.

미국의 일개 차관급 인사가 문재인 정부의 장관급 핵심라인을 만나 남북정상선언 이행에 제동을 건 것도 문제지만 ‘워킹그룹’이란 것을 만들어 남북협력사업에 사사건건 제재의 올가미를 씌우려는 시도는 명백한 내정간섭이란 비판이 쏟아진다.

민중당 이은혜 대변인은 1일 ‘위킹그룹’ 관련 논평을 내 “미국이 전화통화로 개별기업을 압박하는 걸로는 부족해 아예 협의기구에 정부를 가둬놓고 통제하려 든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라며 “한반도에 더 이상 미국의 간섭과 통제는 필요치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한국은 미국의 승인 없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을 둘러싼 논란이 채 가시지 않은 상황이어서 비건 대표의 방한 행보가 이와 연관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는 “남북한이 속도조절하라는 미국의 입장을 수용하기 어렵다”면서 “(미국의 입장을 따르면) 남북관계가 깨진다. 모든 것이 인질로 잡힐 수 있어 우리 정부의 입장이 어렵게 됐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미국의 남북관계 방해 움직임과 때를 같이한 자유한국당의 남북정상회담 흠집내기가 도를 넘고 있다.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판문점선언’ 국회비준을 한사코 반대하는가 하면, ‘9월 평양공동선언’과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서를 헌법재판소에까지 제출했다.

게다가 리선권 북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의 이른바 ‘냉면 발언’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재벌총수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확인해줬음에도 남북관계의 악화를 바라는 자유한국당은 이를 계속 쟁점으로 부각, 확산하고 있다.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이 이행되면 한반도엔 평화가, 남과 북엔 번영이 찾아온다. 이를 바라지 않는 미국과 일본, 그리고 이들을 추종하는 수구정당 때문에 남북정상선언이 심각한 난관에 봉착했다. 지금이야말로 문 대통령이 말한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며 끝끝내 스스로 일어서는 불굴의 용기”를 보여줄 때다.

강호석 기자  sonkang114@gmail.com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년마다 '전세 추방자'...상가는 10년인데 왜 주거는?

[기고] 주거 세입자 내쫓는 도시재생
2018.11.02 09:48:09
 
 
 

 

 

도시재생은 도시개발의 한 축입니다. 한 지역이 개발되면, 그 지역의 지가 및 임대료가 빠르게 상승합니다. 이것은 현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상식입니다. 따라서 다음의 메커니즘은 무척이나 자연스럽고 설득력 있습니다. ①도시재생 → ②부동산 가격(임대료, 집값) 상승 조장 → ③젠트리피케이션(원주민 내쫓김) 심화
 
도시재생에 명(明)이 있다면, 암(暗)도 있습니다. 암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라 일컫는 '원주민 내쫓김 현상'입니다. 소위 '도시재생 지역'에서 원주민이 내쫓기는 현상은 이제 뉴스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정부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으로 도시재생사업을 밀어붙입니다. 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단순합니다. 정부는 내쫓기는 자(세입자 등), 특히 주거세입자의 편이 아닙니다. 이는 진실입니다. 
 
주거 세입자는 보통 2년마다 이사합니다. 이사를 해본 사람은 다 압니다. 이사는 정말이지 너무나도 힘듭니다. 오죽하면 시중에 "이사 다니기 힘들어서 어떻게든 집을 사야겠다"라는 신세타령이 돌 정도입니다. 부정할 수 없습니다. 주거 세입자의 2년 주기 이사는 비(非)자발적입니다. 즉, "집 주인이 전세 보증금 올려달라고 해서 이사 간다"라는 말에 담긴 진짜 의미는, "집 주인이 전세 보증금 올려달라고 해서 '내쫓긴다'"입니다.
 
주거 세입자의 2년 주기 이사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주거 세입자를 보호해주는 기간을 늘리면 됩니다. 지금은 해당 법률이 주거 세입자를 2년만 보호해줍니다. 그걸 6년 또는 10년으로 바꾸면 됩니다. 
 
첫 번째 주장, 그러니까 '주거 세입자 보호 기간을 6년으로 늘리자'는 주장은 인권 및 주거∙정주권에 기초합니다. 쉬운 말로 풀이하면 이렇습니다. "인간적으로, 우리 아이들 초등학교 입학할 때부터 졸업할 때까지는 한동네에서 살 수 있도록 해줍시다!" 
 
두 번째 주장, 다시 말해 '주거 세입자 보호 기간을 10년까지 늘리자'는 주장은 상가 세입자가 적용받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의 비교에서 도출된 것입니다. 현행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상가 세입자를 10년간 보호해 줍니다. 그리고, 상가 세입자를 주거 세입자보다 특별히 더 보호해 주어야 할 마땅한 이유는 없습니다. 요컨대, 상가 세입자를 10년 보호해주는 것이 타당하다면, 주거 세입자를 10년 보호해 주는 것 역시 타당합니다.
 
하지만 정부 견해는 '유보를 가장한 반대'입니다. 정부는 (5년간 약 50조 원의 공적 자금을 투입하여 전국 약 500곳의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최초 선정지역 68곳을 발표하기 하루 전(2017년 12월 13일)에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관련 규정의 개정을 "2020년 이후에나 검토해 보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말은 결국 이렇게 풀이됩니다. '2020년 이전에는 관련 규정의 개정을 절대로 검토하지 않겠다'.
 
이는 바보 같은 입장 표명입니다. 왜냐하면,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을 2020년 이후에나 검토해야 할 논리적인 이유가 어디에도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당시 정부는 해당 사안의 검토를 왜 2020년 이후로 미루는지에 대한 제대로 된 이유를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궁금합니다. 그간 얼마나 많은 주거 세입자가 '①도시재생 → ②부동산 가격 상승 조장 → ③젠트리피케이션 심화'의 흐름으로 도시재생 지역에서 내쫓겼을까요? 누구도 조사한 적 없으니, 아무도 모릅니다. 
 

ⓒ프레시안(허환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9일 만에 김정은 현지시찰... "북미 협상, 좋은신호"

<로동신문>, 30일에 이어 1일에도 김 위원장 현지시찰 보도

18.11.01 20:03l최종 업데이트 18.11.01 20:05l

 

 

김정은 위원장 현지시찰 <로동신문>은 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현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 김정은 위원장 현지시찰 <로동신문>은 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현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 로동신문 캡쳐

관련사진보기

 
두문불출하던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모습을 드러냈다. 19일 만이다. 지난 30일 북의 관영매체인 <로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양강도 삼지연군의 건설 현장을 시찰했다고 보도했다. 사진 속 김 위원장은 검정 코트를 입고 양손을 주머니에 넣은 채 눈을 맞으며 간부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있었다. 김 위원장이 삼지연을 찾은 건 올해만 세 번째다.

이틀 후, 다시 김 위원장의 현지시찰 소식이 전해졌다. <로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이하 원산갈마)와 평안남도 양덕군 온천관광지구 건설 현장을 찾았다고 1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원산갈마 방문 역시 올해 세 번째다.

함경북도에서 강원도, 평안남도까지 폭넓은 시찰을 하며 세 번이나 방문한 이유는 무엇일까? 보름 넘는 시간 소식이 없던 김 위원장이 이 시기에 현지시찰을 단행한 이유를 두고 일각에서는 "북미 간의 물밑 협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는 증거"라고 짚었다.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달 초에 방북한 이후 미국과 물밑협상을 마친 김 위원장이 민생 행보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 현지시찰 후 만족
 
김정은 위원장의 삼지연 방문 <로동신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양강도 삼지연군 건설현장을 방문했다고 30일 보도했다.
▲ 김정은 위원장의 삼지연 방문 <로동신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양강도 삼지연군 건설현장을 방문했다고 30일 보도했다.
ⓒ 로동신문 캡쳐

관련사진보기

 
 
ad
<로동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원산갈마 지역을 시찰한 후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는 "날마다 눈에 띄게 달라지는 명사십리 건설현장을 돌아보니 머지않아 인파십리로 변할 그 날이 벌써 보이는 것만 같다"라고 했다.

호텔을 비롯해 전자오락관, 종합경기장들을 지어 원산갈마 지역이 관광지구로 부족함이 없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로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전자오락관, 종합경기장, 해안선과 비행장 사이의 공지(터)에 큰 규모의 물놀이 공원을 배치하는 것으로 계획한 것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라고 보도했다.

원산은 김 위원장이 성장기를 보낸 곳으로 그의 '제2의 고향'격인 도시다. 북측은 원산의 바닷가를 관광단지로 만들고 마식령스키장과 연결, 국제적인 관광지구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추진해왔다.

삼지연을 방문해 김 위원장이 한 말도 별반 다르지 않다. 백두산이 있는 삼지연군은 북한이 관광지로 역점 개발 중인 곳이다. 김 위원장은 이곳을 찾아 "지난 8월에 와봤을 때 골조 공사가 한창이었는데 2개월 남짓한 기간에 대부분 완공 단계에 들어섰다"라고 했다.

"비건 방남, 김정은 현지 시찰 우연 아냐"
 
김정은 위원장 현지시찰 <로동신문>은 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현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 김정은 위원장 현지시찰 <로동신문>은 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현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 로동신문 캡쳐

관련사진보기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김 위원장이 방문한 원산갈마와 삼지연의 공통점은 북측이 국제적인 개방도시로 삼으려는 곳"이라며 "북은 삼지연을 백두산관광과 연결하고 원산 갈마에 오성급 호텔을 짓겠다는 계획을 세워놨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통 5월과 8월에 집중해 현지지도를 하는데, 10월에 이곳을 방문한 것은 북의 비핵화 협상 일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미국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방한한 것도 북미 협상의 일정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짚었다.

김 위원장이 삼지연 현지시찰을 한 <로동신문>의 사진을 보면, 북측에는 눈이 내렸다. 앞서 기상청은 27일부터 29일까지 북측지역에 눈이 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28일에는 북측의 대부분 지역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릴 것이라고 했다.

<조선중앙방송>도 이날 대부분 지역에서 비와 눈이 내린다고 예보했다. 결국, 김 위원장이 삼지연을 방문한 것은 이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홍민 연구위원은 25일에 비건 특별대표의 방한 소식이 전해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최소한 24일 전에는 북미가 고위급회담의 교섭을 마무리했다는 것"이라며 "거기서 결정된 내용을 비건 대표가 한국에 와서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건 대표의 방한과 김 위원장의 현지시찰 재개가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 우연이 아니라는 해석이다.

"북, 자신감 드러내"
 
김정은 위원장 현지시찰 <로동신문>은 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현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 김정은 위원장 현지시찰 <로동신문>은 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현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 로동신문 캡쳐

관련사진보기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도 김 위원장이 활동을 재개한 것이 "북미관계와 연관이 있다"라고 풀이했다. 그는 "그동안 북미는 접촉 날짜도 잡지 못하고 경색국면이었다. 김 위원장은 장고에 들어갔을 것이다"라며 "원산을 찾아갔다는 건 미국과 협상이 끝났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역시 "김정은 위원장이 민생을 챙기기 시작했다는 건 북미 관계 정상화로 볼 수 있다"면서 "협상에 치중했다 어느 정도 정리가 됐기에 현지시찰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 위원장이 삼지연을 방문해 "당 창건 75돌을 맞는 2020년 10월까지 삼지연군 총건설 계획을 앞당겨 끝내는 것으로 다시 계획을 짜고 무조건 완수하라"고 지시한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긍정적 의미로 해석했다.

홍민 연구위원은 "적어도 2020년 10월 10일까지는 비핵화와 상응조치 등이 진행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라고 짚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대법원 재상고심 판결과 향후 대응 방안

<칼럼> 이장희 한국외대 명예교수
이장희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11.02  08:23:18
페이스북 트위터

일제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13년 만에 일본기업이 손해배상해야 한다는 최종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전원합의제는 2018년 10월 30일 이춘식씨 등 4명(3명 이미 사망)이 일제강제피해자 들이 일본기업 (주)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재상고심에서 신일철주금의 재상고를 기각하고 원고들에게 1억원씩 배상하라는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피해자들이 2005년 소송을 제기한지 13년 8개월이고, 2013년 9월 재상고심에 올라온 지 5년 여 만이다. 대법원이 법관 해외파견과 상고법원 설치라는 조직이기주의에 매몰되어 박근혜 정부와 재판거래를 하느라고 5년이나 지체됐다. 그것을 지연시키는데 ‘김 & 장’이라는 로펌이 또 한 몫 했다고 한다.

이번 대법 재상고심 원심 확정은 1965년 한일협정에 대한 법적 성격을 일제식민지 합법성을 전제로 한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협정의 하위 협정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점에서 미래 한일 식민지청산의 기본적인 법적 방향을 설정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나아가 이는 한국의 촛불시민혁정신이 한일관계의 역사정의 구현에도 영향을 준 사례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물론 이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발이 거세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이 매우 주요하다.

우선 판결의 요지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개인 손해배상 청구권은 소멸되지 않았다.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개인 피해자 손해배상 청구권이 소멸된 것은 아니다. 대법원이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의 효력 범위를 판단하면서 일제 강제징용은 일본의‘'반인도적 불법행위’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한일 청구권협정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강제징용피해 문제는 2005년 한일외교문서 공개에서 대일 8개 청구항목 제5호 “미불임금”에는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권이 미지급 임금이나 보상금을 달라는 것이 아니라 일본정부의 불법적 식민지배 및 침략전쟁의 수행과 직결된 일본 군수업체의 반인도적 불법행위에 대한 정신적 피해라는 ‘위자료 청구권’이라고 보았다.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끌려가 돈도 받지 못하고 감금상태에서 강제노역과 구타에 시달렸던 징용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라는 것이다. 한일청구권협정 제2조 1항에서 “완전히 최종 해결”이라는 것은 양 정부차원에서 외교적 보호권 포기에 불과하고, 피해자 개인의 손해배상 청구권은 별개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둘째, 일본법원 판결을 승인하지 않는다.
일본의 최고재판소 등 각 심급의 기각 판결은 “식민지배가 합법적이라는 법의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강제동원 자체를 불법으로 보는 대한민국 헌법 가치와 충돌한다”는 이유로 대법원은 배척했다. 즉, 일본재판부가 식민지배와 1940년대 2차대전시 일련의 일제 국민총동원령,징용령 등 일제법령 자체를 합법이라는 것을 전제로 피해자에게 ‘배상할 수 없다. 불법이 아니니, 불법에 상응한 배상도 없다’라는 취지의 판결은 우리 헌법의 핵심가치(대한민국 법통/3.1정신등)와 정면 충돌한다. 따라서 이는 위헌이기에 2015.5.24. 대법원은 1.2심을 모두 배척하였다. 이번 대법원도 이를 그대로 재확인하였다.

셋째, 피해자들의 청구권 소멸시효가 아직 지나지 않았다.
대법원은 피고[(주)신일본주금]와 일본 법원이 주장한 소멸시효 완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과거사 시효문제에서 국가권력에 의하거나, 국가권력의 강압아래 피해청구를 하기 어려웠던 기간 동안 시효를 배제하는 취지의 이전 대법원 상고 판결과 더불어 피고의 시효소멸 주장은 신의성실원칙과 권리남용원칙의 위반이라는 취지이다.

1945년 8월 15일 해방후 1965년 국교정상화까지 국교가 단절되어 피해자들은 권리주장이 불가하였고, 이후에도 한일협정 내용이 2005년까지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아, 피해자들은 협정에 개인청구권까지 포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 자신들의 청구주장을 할 수 없는 장애를 가지고 있었기에 이를 시효가 진행되지 못하는 객관적 사유로 판단하였다.

넷째, 피고인 적격문제는 문제없다.
대법원은 피고 기업인 현 (주)신일본주금이 피해자에게 손해를 준 2차대전 전후의 (구)신일본제철의 실질을 이어 받은 것으로 피고적격을 인정하였다. 일본에서는 동일성을 부인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국민징용령에 의하여 강제징용되어 일본국 회사인 (구)신일본제철에서 강제노동에 종사한 대한민국 국민 갑 등이 (구)신일본제철이 해산된 후 새로이 설립된 현 (주)신일본주금 상대로 국제법 위반 및 불법행위를 이유로 한 손해배상과 미지급 임금의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구)신일본제철은 실질적으로 동일성(영업,재산,임원,종업원 승계 함)을 유지하여 법적으로 동일한 회사로 볼 수 있으므로, 원고는 (구)신일본제철대한 청구권을 현 신일본제철에 대하여 행사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재상고 판결에 대한 일본의 반응은 매우 싸늘하다. 이번 대법원의 판결은 한일과거청산을 방해하는 법적 낡은 구조를 뒤흔들어 버렸다. 현재까지 한일 과거사 청산은 일제식민지 합법성을 인정한 기초위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런데 이번 판결은 일제식민지는 명백히 불법, 무효이고, 이에 근거한 한일관계가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판시하였다.

일본 외무성은 종전처럼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라는 기존입장을 반복하고, “이번 대한민국 대법원 판결은 국제법에 비추어 볼 때 있을 수 없는 판단”이라고 하고, 또 “일본 정부는 국제사법재판소 (ICJ)제소를 포함해 모든 옵션을 두고 의연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아베총리는 2018년 11월 1일 오전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해서 “한일관계 구축을 위한 협력에 역행하고 있는 움직임”이라고 하면서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해결방법은 없을까? 있다. 1965년 ‘분쟁해결에 관한 한-일 정부간 교환각서’에 의하면, 일차적으로 외교상의 경로, 두 번째로 양정부가 합의하는 절차에 따라 조정에 의하여 해결을 도모한다고 하였다. 현 한일 관계 분위기로 보아 둘 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일본은 이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하겠다는 것이다. 이 또한 한국의 재판관할권 동의 없이 ICJ가 재판관할권을 행사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일본은 ICJ규정 제36조 2항 선택조항 수락국이지만, 한국은 아니어서, ICJ는 한국에 대한 강제관할권을 행사할 수가 없다.

그러나 일본은 근거없는 치밀한 국제법 논리로 국제사회를 상대로 외교 홍보전을 전개할 것이 예상된다. 일본이 근거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국제법적 ICJ 판례로서 “독일-이태리간 국가 관할권 면제“(Jurisdictional Immunities of the State, Germany v. Italy: Greece Intervening: 2012)사건(일명 Ferrni 사건)이다.

제2차 대전 초기에 이태리가 독일나치정부를 지지하다가 전세가 기울자, 1943년부터 무소리니가 퇴진하고 이태리 국내 나치 저항세력이 독일나치를 상대로 저항하였다. 이 와중에 이태리군 포로로서 독일에서 강제노역에 종사했던 Ferrni라는 사람이 이태리법정에서 독일을 상대로 피해배상소송을 제기하고, 이태리 법원은 Ferrni에게 손해배상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내리자. 독일이이에 반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1947년 및 1951년에 독일-이태리도 한 1965년 한일협정과 유사한 합의로 이태리-독일차원에서 2차 대전중에 불법행위에 대해서 손해배상협상을 종결하였다. 그런데 이태리 피해자 한사람인 Ferrni가 독일군대를 피고로 하여 이태리 법원에 개인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다시 제기하였다. 이태리 법원은 피해자 Ferrni의 손을 들어주었다. 독일은 이 사건을 국가면제(state immunity)이론을 근거로 국제사법소(ICJ)에 제소하여 승소한 판결이다. 국가면제란 한국가의 사법부는 타 정부라는 주권국가를 사법재판대상으로 삼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ICJ는 국가주권이라는 근거하에 독일 주권기관 군대를 피고로 이태리 사법부가 재판하는 것을 거절한 것이다.

생각건대 이번 한일협정 일제강제징용 사건 판결은 2012년 독일-이태리 국가면책 사건과는 전혀 다르다. 피고가 사기업이라는 것이며, 국가 주권기관이 아니며, 반인도적 불법행위에는 국가면제이론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국제적 추세이다.

결론적으로 일본이 이 사건을 ICJ에 제소하더라도 한국정부는 응소할 가능성이 전혀 없고, 설사 응소하더라도 2012년 이태리-독일 ICJ 사건에 적용된 국가면제이론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한국이 승소할 가능성이 명백하다. 일본이 이러한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일본 ICJ 제소는 국제사회에 외교적 홍보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우리도 한일관계의 역사적 측면과 국제법적 논리를 치밀하게 대응하여 외교전에 임하여야 할 것이다.

일본 정부가 법적 논거로 삼는 1965년 한일협정은 일제 식민지를 합법성을 인정한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 근거한다. 그래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1965년 협정은 오늘 날 한일관계의 과거사 미청산에 근본적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양 대 조약의 근본적 한계점 때문에 1965년 한일협정은 일제과거를 청산하는 법적 논거로 적절치 않다. 그래서 피해자 개인이 직접 일본기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에 나선 것이다.

대한민국 대법원이 2012년 5월 24일에 이어 피해자 개인의 손을 두 번째로 들어준 것이다. 이번에는 한국외교부는 과거 적폐를 청산하는 차원에서 그리고 역사정의 정립 차원에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대법원의 재상고 판결이 온전하게 집행되도록 국제적으로 외교전을 치밀하게 펴야 할 것이다. 이것이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둔 온 겨레의 소망이다.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및 국제규범이 지향하는 공적 가치(2001년 Durban 선언)도 탈식민지화 및 인도주의의 구현이라는 큰 흐름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의 지도적 선진국가로서 반인륜적 범죄를 단죄한 한국 대법원 재상고심 판결을 겸허히 수용하고 이행하는데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할 것이다.

 

이장희 (평화통일시민연대 상임공동대표,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
‘남북평화기원 강명구 유라시아 평화마라토너와 함께하는 사람들’(평마사) 상임공동대표

   
 

고대 법대 졸업, 서울대 법학석사, 독일 킬대학 법학박사(국제법)

-한국외대 법대 학장, 대외부총장(역임)
-대한국제법학회장, 세계국제법협회(ILA) 한국본부회장.
엠네스티 한국지부 법률가위위회 위원장(역임)
-경실련 통일협회 운영위원장, 통일교욱협의회 상임공동대표,민화협 정책위원장(역임)
-동북아역사재단 제1대 이사, 언론인권센터 이사장 (역임)
-민화협 공동의장, 남북경협국민운동 본부 상임대표, 평화통일시민연대 상임공동대표
동아시아역사네트워크 상임공동대표, SOFA 개정 국민연대 상임공동대표(현재)
-한국외대 명예교수, 네델란드 헤이그 소재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재판관,
대한적십자사 인도법 자문위원, Editor-in-Chief /Kore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현재)

-국제법과 한반도의 현안 이슈들(2015), 한일 역사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공저,2013), 1910년 ‘한일병합협정’의 역사적.국제법적 재조명(공저, 2011),“제3차 핵실험과 국제법적 쟁점 검토”, “안중근 재판에 대한 국제법적 평가” 등 300여 편 학술 논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껌 값보다 못한 쌀값으로 어떻게 농사를 지으라는 말인가”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8/11/02 08:53
  • 수정일
    2018/11/02 08:53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껌 값보다 못한 쌀값으로 어떻게 농사를 지으라는 말인가”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8/11/02 [02:26]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농민단체들이 정부의 재고미 5만 톤 방출 계획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사진 : 전국농민회총연맹 / 민중의소리 재인용)     © 편집국

 

정부가 쌀값 폭등에 대응한다며 정부 재고미 5만 톤 방출 계획을 세우자 농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과 ()쌀생산자협회는 1일 오후 2시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공매계획 철회와 밥 한공기 300’ 보장을 촉구했다.

 

정부는 2일 경제부처 물가관리 차관 연석회의에서 쌀값 안정을 위해 2017년산 쌀 5만톤을 시장에 방출하기로 결정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은 지난 70년 동안 농민은 수출대기업을 위한 희생양이었다농산물 가격 후려치기 정책으로 당한 고통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며 촛불이 세웠다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농업적폐의 핵심농산물 가격 후려치기가 다시 재현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민단체들은 문재인 정부는 이명박 정부처럼 농산물을 중점물가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먼저 쌀값부터 잡을 요량으로 정부재고미 5만 톤 방출 계획을 세웠다며 이는 파렴치한 농민 배신행위이며 서민과 농민을 이간질 시키는 불량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부 언론에서 쌀값 폭등’ 보도를 내놓는 것에 대해 왜곡·불공정 보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이들은 “2016년 가격 12만 9천원은 30년 전 가격이며현재의 쌀값은 2013년 18만 3천원 선을 회복하고 있는 것이라며 지난 30년간 가장 낮은 가격과 지난 30년간 가장 높은 가격을 비교해 30%이상 폭등했다고 기사를”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농민단체들은 정부는 농민들의 혁신적인 정책에는 관심도 두지 않으면서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 수입량을 늘리고 농산물 가격이 떨어지면 수수방관하고 있다며 농산물 가격 정책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방안으로 농민에겐 생산비를 보장하고 국민에겐 안정된 가격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주요농산물 공공수급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민단체들은 우리는 밥 한 공기 300쌀 1kg에 3,000원을 강력히 주장한다며 껌 값보다 못한 쌀값으로 어떻게 농사를 지으라는 말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밥 한공기 300원은 되어야 농민이 웃습니다밥 한공기 300원은 먹어야 국민이 힘을 씁니다라며 별도의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 정부청사 앞에서 노숙농성 중인 농민단체 회원들.     © 편집국

 

한편 이들 농민단체들은 현재 정부의 재고미 5만 톤 방출 계획 철회를 촉구하며 서울 광화문 정부 청사 앞에서 노숙 농성 중이다.

 

-------------------------------------------------------------------

 <기자회견문>

 

밥 한 공기 300원 보장정부 공매 계획 철회 긴급 기자회견문

 

농업이 위기다.

농업소득은 10년 째 정체되어 있으며농지는 해마다 만 ha이상 줄어들고 있다.

식량자급률 24%, 이건 역대 최저치다.

2018년 마늘 양파 사태에서 보듯이 농산물 가격은 해년마다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수입개방은 여전하고농업생산비는 갈수록 상승하고 있다.

농촌은 거대한 양로원으로 전락했고 아이울음소리 그친지 오래다.

향후 30년 안에 농촌지역 60%가 소멸할 것이라는 예측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농민들은 여름 폭염과 태풍가을 수확기 잦은 비를 이기고 농사를 지었다.

수확을 마쳤다는 안도감도 잠시연일 언론은 쌀값이 폭등했다고 아우성이며 서민 장바구니 물가의 주범이 마치 쌀 값 인상에 있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언론은 진실을 말해야 한다.

2016년 가격 12만 9천원은 30년 전 가격이며현재의 쌀값은 2013년 18만 3천원 선을 회복하고 있는 것이다지난 30년간 가장 낮은 가격과 지난 30년간 가장 높은 가격을 비교해 30%이상 폭등했다고 기사를 내는 것은 명확히 왜곡이며 불공정 보도다.

 

지난 70년 동안 농민은 수출대기업을 위한 희생양이었다.

농산물 가격 후려치기 정책으로 당한 고통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촛불이 세웠다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농업적폐의 핵심농산물 가격 후려치기가 다시 재현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이명박 정부처럼 농산물을 중점물가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먼저 쌀값부터 잡을 요량으로 정부재고미 5만 톤 방출 계획을 세웠다.

이는 파렴치한 농민 배신행위이며 서민과 농민을 이간질 시키는 불량한 정책이다.

수확기 쌀 대책이 시장격리가 아니라 시장방출이라는 이 초유의 사태 앞에서 농민은 할 말이 없다.

2017년산 5만 톤 수확기 방출 계획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

 

정부는 농민들의 혁신적인 정책에는 관심도 두지 않으면서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 수입량을 늘리고 농산물 가격이 떨어지면 수수방관하고 있다.

농산물 가격 정책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방안을 농민들은 줄기차게 주장했다.

농민에겐 생산비를 보장하고 국민에겐 안정된 가격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주요농산물 공공수급제를 실시해야 한다농산물을 공공재로 취급해 국민 식탁을 국가가 직접 챙기고 책임져야 한다.

 

올 해는 향후 5년간 쌀 목표가격이 결정되는 해이다.

우리는 밥 한 공기 300쌀 1kg에 3,000원을 강력히 주장한다.

껌 값보다 못한 쌀값으로 어떻게 농사를 지으라는 말인가.

정부와 국회는 서로 책임을 미루지 말고 밥 한 공기 300원을 반드시 관철해야 한다.

 

우리는 또 다시 서울에 왔다창고에 그득한 나락을 보면 가격 걱정에 잠을 이루지 못한다.

생산량은 정부 발표보다 훨씬 줄었다. 11, 12월은 농민에겐 운명을 결정하는 달이다.

힘이 필요하면 힘으로정성이 필요하면 정성으로 농사짓듯이 시대를 개척할 것이다.

 

힘과 정성을 담아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 껌 값보다 못한 쌀 값 웬말이냐밥 한공기 300원 보장하라

2. 수확기 쌀 값 대책이 재고미 방출이냐공매계획 철회하라

3. 생산비 보장 가격안정농산물 공공수급제 도입하라

4. 대통령이 나서라농정을 근본부터 혁신하락.

 

2018년 11월 01

전국농민회총연맹, ()쌀생산자협회

 

--------------------------------------------------------

<밥 한공기 300원 대 국민 호소문>

 

농민은 파종 할 때부터 아래를 봅니다.

씨는 가장 아래에서 자리 잡습니다.

 

물꼬는 아래에 있습니다.

물은 아래로 흘러 어린 모를 키웁니다.

 

농민은 풀 자를 때비료 뿌릴 때농약 칠 때 아래를 봅니다.

 

콤바인을 할 때 하루 종일 아래를 봅니다.

이삭을 놓칠세라 아래로 아래로 밑 둥을 자릅니다.

 

농협직원이공판 검사원이 내 나락을 발로 비빌 때나는

아래에 있습니다.

 

세금이 오르고물가가 오르고막된 세상 혈압이 올라도

쌀 가격은 항상 아래에 있습니다.

 

지난 30년간 마을의 어른은 여전히 그 어른입니다.

지난 30년간 쌀값은 여전히 그 모냥 그 꼴입니다.

 

나는 농민입니다기타 직업군에등외 국민입니다.

직장을 찾아 누나와 삼촌이친구가 떠났습니다.

 

떠난 자리엔 그리움이 자라더니 서러움이 박혔습니다.

등굽은 소나무가 마을 지키듯나는 나이 70 먹은 동네 막내입니다.

 

청와대에서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와

낮은 데가 없으면 높은 데도 곧 무너진다고

그리 되는 것이 이치라

가을이 오듯이 그리 되리라 외칩니다.

 

국민여러분!!

밥 한공기 300원은 되어야 농민이 웃습니다.

밥 한공기 300원은 먹어야 국민이 힘을 씁니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남북, 1일 0시부로 적대행위 중지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8/11/01 10:36
  • 수정일
    2018/11/01 10:36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국방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발걸음”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10.31  20:16:48
페이스북 트위터

남북이 11월 1일 0시부로 지상, 해상, 공중에서의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한다. 종전선언에 한층 더 가까이 가게 됐다.

국방부는 31일 “남북군사당국은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2018년 11월 1일 00시부로 지상, 해상, 공중에서의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사분야 합의서’에서 남북은 11월 1일부로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근원으로 되는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하였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남북은 군사분계선(MDL)으로부터 5km 안에서 포병사격훈련 및 연대급 이상 야외기동훈련을 중지한다. MDL을 기준으로 10km 지역의 완충지대가 형성되는 것. 1953년 7월 정전협정 이후 총 96회 발생한 총.포격 도발이 이제 멈추게 됐다.

해상에서는 서해 남측 덕적도 이북으로부터 북측 초도 이남까지, 동해 남측 속초 이북으로부터 북측 통천 이남까지 수역에서 포사격 및 해상 기동훈련이 중지된다. 동.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80km의 완충수역이 설정돼, ‘분쟁의 바다’에서 ‘평화의 바다’로 전환되는 셈.

또한, 해안포와 함포의 포구, 포신에 덮개가 설치되고, 포문도 폐쇄돼, 동.서해 일대에서의 포성과 총성이 들리지 않게 됐다. 현재 해군은 연평도와 백령도 등에 있는 모든 해안포의 포문을 폐쇄했다.

공중에서의 적대행위도 중지된다. 남북은 MDL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했다. 고정익 항공기 동부 40km, 서부 20km, 회전익항공기 10km, 무인기 동부 15km, 서부 10km, 기구 25km 등으로, 국방부는 기종별 항공고시보(NOTAM)를 발령, 해당 지역에 대한 비행금지구역을 대내외에 선포했다.

   
▲ 9월 19일 남측 송영무 국방장관과 북측 노광철 인민무력상이 평양 백화원초대소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역사적인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에 서명했다. [자료사진-통일뉴스]

적대행위 중지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우발적 무력충돌방지를 위해 새로운 작전수행절차도 적용된다.

지상.해상은 경고방송→2차 경고방송→경고사격→2차 경고사격→군사적 조치 등 5단계, 공중은 경고교신 및 신호→차단비행→경고사격→군사적 조치 등 4단계로 남북이 지.해.공 작전수행절차에 합의했다.

국방부는 “합참 및 작전사 야전예규를 수정.완료하였고, 현장부대 교육 및 행동화 숙달 등을 조치하였다”고 밝혔다.

북측도 지난 26일 열린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서 11월 1일 0시부로 적대행위를 중지한다고 공식 표명했다. 최근 서해 해안포의 포문 폐쇄조치를 이행하는 등 적대행위 중지조치를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국방부가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11월 1일 이후 북측의 MDL 일대 훈련 진행 동향, 동.서해 완충구역 합의 이행실태, 비행금지구역 준수 여부 등을 면밀히 확인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엔사도 계기가 있을 때마다, 남북 간 군사분야 합의서에 명시된 지상.해상.공중에서의 상호 적대행위 전면 중지와 관련된 제반 조치를 지지하고 공감한다고 밝혀왔다.

다만, 대규모 군사훈련 및 무력증강 문제, 다양한 형태의 봉쇄.차단 및 항행 방해 문제, 상대방에 대한 정찰행위 중지 문제 등을 다루는 ‘남북군사공동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아 적대행위 중지를 위한 숙제로 남았다.

국방부는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군사당국이 11월 1일부로 이행하는 지상.해상.공중에서의 상호 적대행위 중지조치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을 촉진시키는 실효적 조치가 될 것”이라며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정착을 견인하는 의미있는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남북이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11월 1일 0시부로 적대행위를 중지함에 따라, 종전선언에 한 발짝 더 가가서게 됐다.

최종건 청와대 평화군비통제 비서관은 지난 9월 합의서 서명 직후, “정부가 추진하는 종전선언과 연결돼 있다”며 “남북관계 측면에 있어서도 남북관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안전핀이다. 이제는 군사적 안전 보장조치를 통해 좀 더 안전하게 남북관계를 견인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특집/ 평양이 왔다] 로금순 특파원의 北 사진전

[특집/ 평양이 왔다] 로금순 특파원의 北 사진전(24) - 미래유치원 체육유희오락경기
  • 로금순조선신보 평양지국 특파원
  • 승인 2018.10.31 15:50
  • 댓글 0

미래유치원

미래과학자거리(2015년11월 준공)에 있는 미래유치원.
2017년 5월31일, 이곳 유치원에서 국제아동절(6월1일)을 기념하여 체육유희오락경기가 있었다. 
이날 모음은 원아들의 노래와 춤, 태권도 연무를 비롯한 공연에 이어 롱구공넣기, 무릎싸움, 바줄(밧줄)당기기를 비롯한 체육경기 등 다채로운 내용으로 진행되였다. 
높이 울려퍼지는 어린이들의 웃음소리에 지나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구경하는 시민들의 모습도 있었다.

※ 2015년 평양시 평천구역에 있는 충성의 다리에서 양각다리까지의 대동강 호안을 따라 건설된 미래과학자거리에는 《미래형》의 53층 고층건물을 비롯한 수천 세대가 사는 살림집과 150여개의 상업시설, 학교, 유치원, 공원들로 형성되였는데 미래유치원도 그 중의 하나이다.

 

 

 

 

 

 

 

 

 

 

 

 

 

 

 

 

로금순 기자는 지난 2003년부터 조선신보 평양지국 특파원으로 해마다 넉 달 가량을 평양에 체류하면서 주로 북한의 정치, 경제, 문화, 인민생활 모습을 취재하고 있다. 지난 6.15시기엔 남북 교류활동을 많이 취재했으며, 평양발 직항편으로 남에도 여러 번 다녀갔다고 한다. 노 특파원은 제2의 6.15시대가 하루빨리 오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는 마음을 전해왔다. 현장언론 민플러스는 노 특파원의 허락을 받아 국내언론에선 쉽게 접할 수 없는 북의 다양한 모습들을 게재한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 [편집자]

로금순조선신보 평양지국 특파원  minplusnews@gmail.com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의 인어’ 해녀가 사라진다

고령화로 인해 명맥이 끊어질 위험에 처한 해녀 탐사
 
뉴스프로 | 2018-10-31 16:21:49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한국의 인어’ 해녀가 사라진다 
– 인디아투데이, 제주 해녀 역사에 주목 
– 고령화로 인해 명맥이 끊어질 위험에 처한 해녀 탐사

인도의 한 언론 매체가 제주 해녀를 탐사했다. <인디아투데이>지는 뉴욕에서 사진 작가로 활동하는 김미주 작가의 해녀 사진을 통해 해녀의 삶과 역사를 소개한다.

예로부터 해녀는 제주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고, 현대에 들어서도 해녀는 제주 지역경제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해녀는 점차 고령화 되가는 추세다. <인디아투데이>도 현재 해녀 수자는 4,500명 미만이며 전부 50세 이상이라고 적고 있다.

<인디아투데이>의 보도에서는 한때 한국의 ‘인어’로 불린 해녀가 사라져가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마저 느껴진다.

김미주 작가의 사진은 이 같은 안타까움을 더한다. 김 작가의 사진 속 해녀들은 하나 같이 깊은 주름이 패인 노년의 여성들이다. 고령화 추세에 해녀도 명맥이 희미해져감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바, <인디아투데이>의 해녀 보도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글, Wycliff Luke)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인디아투데이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bit.ly/2qddcoS

김미주 사진 작가 홈페이지: http://www.mijookim.com

Korea’s real life mermaids will soon be no more: About the last generation Haenyo

한국의 실생활 인어가 사라진다: 마지막 해녀 세대

For centuries, mermaids of Korea, Haenyo or ‘sea women’ from the Korean island province of Jeju have been diving into the chilly ocean waters to make their living by harvesting abalone, conch, and octopus.

수세기 동안, 한국의 인어, 즉 ‘바다 여인’이라 불리는 해녀들은 한국의 섬 제주도의 차가운 바닷물에 뛰어들어 전복, 조개, 문어 등을 잡아 생계를 유지해 왔다.

IndiaToday.in 
New Delhi 
October 29, 2018 
UPDATED: October 29, 2018 14:47 IST

For centuries, the haenyeo, or ‘sea women,’ from the Korean island province of Jeju have been diving into the chilly ocean waters in order to make their living by harvesting abalone, conch, and octopus. (Image: mijookim.com) 
수세기 동안, 한국의 인어, 즉 ‘바다 여인’이라 불리는 해녀들은 한국의 섬 제주도의 차가운 바닷물에 뛰어들어 전복, 조개, 문어 등을 잡아 생계를 유지해 왔다.

Ever seen a mermaid in real life? Visit South Korea before the last generation ceases to exist.

실제로 인어를 본 적이 있는가? 마지막 세대가 끝나기 전에 한국을 방문하시라.

For centuries, mermaids of Korea, haenyo or ‘sea women’ from the Korean island province of Jeju have been diving into the chilly ocean waters in order to make their living by harvesting abalone, conch, and octopus.

수세기 동안, 한국의 인어, 즉 ‘바다 여인’이라 불리는 해녀들은 한국의 섬 제주도의 차가운 바닷물에 뛰어들어 전복, 조개, 문어 등을 잡아 생계를 유지해 왔다.

Now comes the interesting part. 흥미로운 부분은 바로 이렇다. All modern diving equipment are available nowadays so it’s not really a difficult task but haenyo never used any breathing equipment in their life.

요즘은 모든 현대식 다이빙 장비들이 있어 그다지 어려운 작업이 아니지만 해녀들은 평생 어떠한 호흡장비도 사용해 본 적이 없었다.

They used to descend up to twenty meters in freezing cold water without any equipment, holding their breath for over two minutes at a time.

그들은 얼음같이 차가운 물 속에서 어떤 장비도 없이 해저 20미터 아래까지 내려가곤 했으며, 한 번에 2분 이상 숨을 참는다.

Who are the Haenyo?

해녀들은 누구인가?

1.They are known as the sea women of Jeju and wear old-fashioned headlight-shaped scuba masks, with lead weights strapped to their waists, so they can sink faster.

그들은 제주의 바다 여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헤드라이트 형태의 구식 스쿠버 마스크를 착용하고 더 빨리 잠수할 수 있도록 허리춤에 납을 매단다.

2. Also known as Korean Mermaids, haenyo are able to dive up to 65 feet (20 meters) under the sea, holding their breath for as long as two minutes at a time.

한국의 인어라고도 알려진 해녀들은 해저 최대 65피트 (20미터) 까지 잠수할 수 있으며 한 번에 2분까지 숨을 참을 수 있다.

Almost 100 per cent of haenyeo are over the age of 50.(Image: mijookim.com) 
해녀들의 거의 100 %가 50세 이상이다.

3. Although these women divers were very independent, they were often forbidden to travel outside their villages or reveal their skin.

이 여성 다이버들은 매우 독립적이지만, 종종 자신들이 사는 마을 바깥으로 나가거나 피부를 드러내는 것이 금지되었다.

4. There were over 26,000 haenyo in the 1960s and now there are less than 4,500.

1960년대에는 26,000 명이 넘는 해녀들이 있었으며 현재는 그 수가 4,500 명 미만이다.

5. Almost 100 per cent of these mermaids are over the age of 50.

이 해녀들의 거의 100%가 50 세 이상이다.

How do these mermaids search for their food? 
해녀들은 어떻게 자신들의 양식을 찾는가?

The mermaids store their harvest beneath the ‘tewak,’ which is a flotation device lef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ith a net hanging beneath it.(Image: mijookim.com) 
해녀들은 아래에 그물이 달린, 물 표면에 떠 있는 부유 도구 ‘태왁’ 밑에 수확물을 저장한다.

Many of them use various tools to dig conch and abalone from the crevices on the sea floor. Conch and abalone are shellfishes which can be eaten.

많은 해녀들은 해저 틈새의 소라와 전복을 캐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다. 소라와 전복은 식용 조개류이다.

The mermaids store their harvest beneath the ‘tewak,’ which is a flotation device lef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ith a net hanging beneath it.

해녀들은 아래에 그물이 달린, 물 표면에 떠 있는 부유 도구인 ‘태왁’ 밑에 자신들이 채취한 수확물을 저장한다.

Korea’s diving tradition 
한국의 잠수 전통

The Korean tradition of deep-sea diving for oysters, sea cucumbers, abalones, sea urchins, and squid dates back to the fifth century.

굴, 해삼, 전복, 성게, 오징어를 잡기 위해 깊은 바다 속으로 잠수하는 한국의 전통은 5세기까지 거슬러올라간다.

By the 18th-century, female divers largely outnumbered the males and thus became primary breadwinners of their families.(Image: mijookim.com) 
18세기경까지 여성 잠수부들의 수가 남성보다 훨씬 많았으며 따라서 가족의 주된 생계를 책임지게 되었다.

Diving was originally considered a male profession, but this changed in the 17th century and by the 18th century, female divers largely outnumbered the males and thus became primary breadwinners of their families.

원래 잠수는 남성의 직업으로 여겨졌으나, 17세기에 바뀌어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여성 잠수부의 수가 남성을 능가했고, 따라서 가족의 주된 생계를 책임지게 되었다.

History of diving 
잠수의 역사

When Korea was ruled by a king, most of the harvest made by these people were given to him as a tribute. But when Japan occupied Korea, this changed

왕이 한국을 다스리던 시절, 이 사람들이 거둔 수확의 대부분은 왕에게 공물로 주어졌다. 그러나 일본이 한국을 점령했을 때, 이것은 바뀌었다.

The practice was abolished and haenyo were free to sell their harvest on the market

그러한 관행은 없어졌고 해녀들은 자신들이 수확한 것을 자유롭게 시장에 내다 팔았다.

As the years passed, diving became a profitable profession for the haenyo

시간이 흐르면서 잠수는 해녀에게 수익성이 높은 직업이 되었다.

A great number of them were even hired by Japanese merchants to work as wage-laborers in Japan

그들 중 상당수는 일본 상인에 의해 고용되어 일본에서 임금 노동자로 일하기도 했다.

The outcome of World War II in 1945 brought the end of the Japanese rule in Korea, but women divers continued being an integral part of Jeju’s economy

1945년 2차 세계대전의 결말로 일본의 한국 통치가 종식되었으나 여성 잠수부들은 계속 제주 경제의 핵심 부분으로 남았다.

Men took care of the home, looked after the children, and cooked, while women took care of the financial well being of the family

여자들이 가족의 경제적 복지를 책임진 반면, 남자들이 가정을 보살피고, 아이들을 돌보고 요리를 했다.

From cotton suits to wetsuits 
면으로 된 옷에서 고무로 된 잠수복으로

For years, Korean mermaids wore homemade cotton suits while diving in the freezing waters of the ocean.

오랫동안 한국 해녀들은 차가운 바다에서 잠수하는 동안 집에서 손수 만든 면으로 된 작업복을 입었다.

The 1970s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m as wetsuits became available in the marketplace.

고무로 된 잠수복을 구입할 수 있게 되며 1970년대는 이들에게 전환점이 되었다.

Wetsuits made it possible for haenyo to dive deeper and spend more time underwater, thus increasing their incomes.(Image: mijookim.com) 
고무로 된 잠수복은 해녀들이 더 깊이 잠수하고 물속에 더 오래 머물 수 있게 함으로써 해녀들의 수입은 늘게 되었다.

However, this led to the decline in income as spending time underwater bought many risks and health problems for haenyo and women slowly abandoned the sea-diving industry.

하지만, 물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해녀들에게 그만큼 많은 위험과 건강문제를 안겨줘 여성들이 서서히 바다 잠수일을 포기하면서 수입의 감소로 이어졌다.

The tradition of haenyo still exists, though perhaps not for long. New York-based photographer Mijoo Kim, set out to document the resilient women, said

해녀의 전통이 여전히 남아 있기는 하나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다. 뉴욕에서 활동하는 사진작가 김미주 씨는 이 강인한 여성들을에 대해 기록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These women divers are carrying on a Korean legacy and will be the last of their kind.”

“이러한 여성 잠수부들은 한국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으며, 그분들이 마지막이 될 것이다.”

“They are the last generation of Haenyo,” Kim told the Huffington Post.

김 씨는 허핑턴포스트에 “그들이 해녀 세대의 마지막”이라고 전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3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징용배상판결 “대법관들 신선(神仙) 입장에서 봤다”

[아침신문 솎아보기] 조선일보 대법원 판결에 여전히 불편한 기색 
조선일보 “한국 국가 형체도 못 갖춰” 전 日 외무상 망발 인용보도 
중앙일보는 현직 외무상 단독인터뷰해 “한일은 끊을 수 없는 관계”

이정호 기자 leejh67@mediatoday.co.kr  2018년 11월 01일 목요일

조선일보가 어제에 이어 오늘도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조선일보는 오늘(1일)은 일본학과 교수의 입을 빌려 이틀 전 대법원의 배상판결을 “대법관들이 하늘에 있는 신선 입장에서 본 것 같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1일자 4면 머리에 “국제현실 고려했다면 징용배상 판결 어려웠을 것”이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한일협정 연구자인 이아무개 교수를 인터뷰한 기사였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사법부 논리로만 보면 ~ 1965년 한일협정 체제의 근간이 무너지게 된다”고 했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물질적 배상 대신 진정한 사죄를 받아내는 데 주력했는데 이번 사법부 판결은 이런 기조를 정면으로 부정했다는 거다. 

징용배상판결 “대법관들 신선(神仙) 입장에서 봤다” 

 

▲ 조선일보 4면
▲ 조선일보 4면
 
1965년 한일협정 체제가 그동안 양국 정부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53년이 지난 지금은 냉정하게 되돌아 봐야 한다. 시작부터 국민적 동의를 받지도 못했고, 이제 반세기가 지난 만큼 1965년 한일협정은 금과옥조가 아니다. 한일협정에 얽매이려면 엊그제 독도 가서 환하게 웃고 돌아온 국회의원들도 비난해야 마땅하다. 

 

조선일보는 60년대 박정희 정부가 맺은 한일협정을 “(당시) 한국 입장에선 대일외교를 돌파구 삼아 경제와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선택을 한 것”이라며 1965년 한일협정의 불가피성을 옹호했다. 

조선일보는 1일자 4면에 이어 5면에서도 대법원 배상판결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조선일보는 5면 머리에 ‘한국 다음 수순은 위안부 재단 해산, 도쿄선 3.1절 행사’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앞으로 양국관계에 민감한 일정이 줄줄이 잡혀 있는데 이런 판결이 나왔다며 대법원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 조선일보 5면의 2개 기사
▲ 조선일보 5면에 실린 2개 기사. 아래는 일본 전 외무상 망발 인용보도
 

 

조선일보 “한국 국가 형체도 못 갖춰” 전 日 외무상 발언 옮겨

조선일보는 5면 아래쪽에도 “일본 연일 강경 대응… 전 외무상 ‘한국, 국가로서의 형체 못 갖춘 듯”이란 거친 발언을 그대로 기사 제목에 담았다. 그동안 일본 정부의 행태로 봐서 한국 대법원의 배상판결을 환영할리 만무한 상황에서 “한국을 국가도 아니다”고 맹비난하는 나카소네 히로후미 일본 전직 외무상의 망발이 얼마나 뉴스 가치가 있는지 모를 일이다.  

반면 중앙일보는 일본 전직 외무상이 아닌 고노 다로 일본 현직 외무상을 단독 인터뷰해 1일자 5면에 “고노 ‘징용판결 유감…한일은 끊을 수 없는 관계”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현직 일본 외무상은 한국 대법원의 판결에 유감을 표했지만 조선일보가 인용한 전직 외무상의 망발과 달리 달리 “한일은 끊을 수 없는 관계”라며 한일관계의 특수성을 설명했다. 

▲ 중앙일보 5면. 현직 일본 외무상 단독인터뷰
▲ 중앙일보 5면. 현직 일본 외무상 단독인터뷰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 중간선거 파고드는 한인들... 그들은 왜 돈 내며 움직이나

[현지 취재] 점차 달라지는 미 의회의 한반도 평화 무드 숨은 공신들18.11.01 07:58l최종 업데이트 18.11.01 07:58l최현정(baltic)

 (10/28일, 메넨데즈 상원의원과(오른쪽 양복)과 필 머피 주지사(왼쪽 양복)가 유권자들과 만나고 있다.
▲  (10/28일, 메넨데즈 상원의원과(오른쪽 양복)과 필 머피 주지사(왼쪽 양복)가 유권자들과 만나고 있다.
ⓒ 최현정

관련사진보기


"저기 제 아들과 며느리도 왔네요. 난 항상 우리 아이들에게 좋은 성적을 받으라고 말해왔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인 난 매년 F, 낙제점을 받고 있습니다. 바로 미국 총기협회(NRA)로부터 말이죠. 그래도 난 굴하지 않고 미 총기협회와 계속해서 싸울 겁니다."

유대인 혐오자의 기관총 난사로 11명이 사망했다는 뉴스가 나온 지난 일요일(10월 28일), 뉴저지주 민주당 상원의원 밥 메넨데즈가 젊은 청중 앞에서 목청을 돋웠다. 휴일 아침 그를 지지하기 위해 모인 이들은 그의 승리를 기원하며 선거 날짜를 헤아렸다. 오는 11월 6일, 미국 중간 선거를 아흐레 앞둔 일요일 저지시티의 풍경이다.

초박빙 지역, 절박한 유세
 
ad
이날 정치 9단 밥 메넨데즈는 여유로워 보이지 않았다. 언론은 그가 상원으로 있는 뉴저지주를 초 박빙 지역으로 꼽고 있다. 쿠바계 이민자의 아들로 20살에 지역 교육위원으로 선출된 후 시장과 주 의회 상하원을 거쳐  연방하원 그리고 현재의 연방 상원의원까지 오른 그는 '질긴' 정치인이다. 

지난 회기 그는 부패 혐의로 재판을 받았고, 현재 제약회사 CEO 출신의 공화당 경쟁자와 접전중이다. 지역TV는 몇 달 전부터 두 사람의 네가티브 광고로 도배되고 있다. 48:52로 나뉜 미 상원의 민주:공화당의 판세를 좌우할 중요 지역으로 뉴저지주가 초미의 관심 지역이 된 이유다.

그런 이유로 이날 같은 당의 현 뉴저지 필 머피 주지사도 매넨데즈의 지원 유세에 합류했다. 공화당의 유력한 대선 후보였지만 '브리지 게이트' 등으로 한껏 비난 받던 크리스피 주지사의 뒤를 이어 지난 5월 새로 당선된 민주당 소속 주지사다. 청중들에게 머피 주지사는 지난 47년간 한번도 공화당 상원의원을 뽑지 않은 뉴저지주의 민주당 사랑을 거론하며 "다시 한번 메넨데즈!"를 외치고 다음 행사로 바쁘게 이동했다.
  
이 곳 뉴저지를 비롯해서 텍사스, 노스타코타, 아리조나 등이 지금 상원 의석을 놓고 접전을 벌이고 있다. 트럼프는 "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이겨도 내 책임은 아니다"라고 미리 엄포를 놓았다. 공화당이 현재의 구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원과는 달리 하원은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는 지역이 많다. 그 중 대표적인 곳이 한국계 앤디 김 후보가 현직 공화당 후보와 접전을 벌이고 있는 뉴저지 제3선거구.

최근 여론 조사에서 두 후보 똑같이 47.45% 를 기록, 부동표의 향배에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이다. 무엇보다 앤디 김 후보는 한인, 소수계라는 약점을 무릅쓰고 소액기부금만 443만달러(우리 돈 약 50억원)을 모금 중이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10월 16일 현재 민주당 소액 기부는 공화당에 비해 3배 많은 4600만달러(우리 돈 약 500억원)에 이른다고 했다.

우리 집에 도착한 감사 카드 
 
 테트 요호 의원이 보낸 땡큐카드
▲  테트 요호 의원이 보낸 땡큐카드
ⓒ 최현정

관련사진보기


지난 목요일(25일) 저녁 우리 집 우편함에도 감사 카드가 배달됐다. 이 '땡큐 카드' 발신인은 플로리다 하원의원인 테드 S. 요호 의원. 이번 중간 선거에서 재신임을 묻고 있는 그에게 남편과 나는 각자 55달러, 45달러의 후원금을 냈다.

굳이 우리 지역구도 아닌 플로리다 의원에게 편지까지 써서 후원금을 보낸 이유는 단순하다. 그가 현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 태평양 소위원회 위원장이고, 선거 후 미국 하원의 외교의 향방을 결정하는 외교위원장 확률이 가장 큰 인물이기 때문이다.

UN 총회 참석차 전 세계 정상들이 모였던 지난 9월, 미 영주권자와 시민권자 한인들은 '한반도 평화'라는 명제를 가지고 테드 의원을 만나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남북정상회담 당시 4명의 동료 의원들과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그는 한반도 상황에 대한 꽤 폭넓은 이해를 갖고 있어 보였다.  

비슷한 행사는 시카고에서도 열렸다. 연방 의회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인 피터 로스캠 의원을 위한 한인들의 펀드레이징. 공화당 내 가장 품위 있는 정치인으로 명성 높은 그에게 시카고를 중심으로 한 많은 한인들이 모여 그의 선거를 응원하고 지지를 다짐하는 행사였다. 

뉴욕 롱 아일랜드 지역의 한인들도 지난 15일, 지역의 탐 스와지 하원 의원 후원을 위한 모임을 가졌다. 지역의 유지가 집을 제공하고 그를 초대하는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시민참여센터 대표 등이 참여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지지하는 그의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지난 9월 23일 맨하튼 한국식당에서 열린 테드 요호 의원 후원 행사. 필자도 여기에 참석했다.
▲  지난 9월 23일 맨하튼 한국식당에서 열린 테드 요호 의원 후원 행사. 필자도 여기에 참석했다.
ⓒ 김동석

관련사진보기

 
"부모님이 계시는 한국 땅이 평화로워야 미 시민권자인 저도 더 열심히 이 곳에서 경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Stop the war in Korea Penisulla."
"미국서 태어난 딸 아이가 미국과 한국 모두를 자랑스럽게 하고 싶네요."
"내년엔 올해 아흔인 울 어머니를 노스코리아에 있는 고향집에 모시고 싶습니다."


한반도 정책의 한 축인 미 의회 의원들에게 보낸 체크의 내용은 간결하고 절절했다. 이민 100년을 맞는 미국땅에서 한 사람의 당당한 유권자로서 표하는 이런 정당한 의견들에 반대하는 의원은 찾기 힘들었다. 벌써부터 미 의회의 변화는 감지되기 시작된다.
 
달라지는 미 의회의 한반도 평화론


"트럼프정부의 완전한 비핵화 요구는 비현실적입니다.  북한이 미국으로부터 자국을 보호할 수 있을 만큼의 핵은 인정해주고 대북제재를 해제해주는 딜이 이뤄져야 합니다."

작년 7월 트럼프의 탄핵을 발의했던 브래드 셔먼 의원은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소위 민주당 간사로 이젠 다른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

"민주당원으로서 트럼프 승리를 바란다는 게 우스운 얘기로 들리겠지만 북한 핵 이슈는 미국만이 아닌 전세계 현안입니다. 성공한다면 모두에게 좋은 일일 것입니다." 

지난 18일, LA 한인타운에서 열린 한인 후원행사장에서의 발언이다.

제럴드 코놀리, 디나 티투스 의원 등도 미주한인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북한과 협상에서 우선적으로 다뤄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에게 각각 발송 했다. 뉴욕주 하원의 탐 스와지 의원도 남북한 통일과 미북간 평화 협정을 공개적으로 지지한다고 한인들에게 약속했다.
  
 테트 요호 의원 후원을 위해 모인 소액 체크들
▲  테트 요호 의원 후원을 위해 모인 소액 체크들
ⓒ 김동석

관련사진보기


미국 외교와 관련한 역할이 막중한 뉴저지 상원 의원도 최근 입장이 좀 바뀌었다. 트럼프의 북한 정책 전체가 아니라 대통령이 의회와 함께 하지 않는 문제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그와 가까운 인사는 선거 때라는 것 말고도 그의 지역구 뉴저지에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것을 확실히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온 발언들이라고 분석한다. 지난 13일 있었던 한인 후원 행사에서 메넨데즈는 미 각지에서 날아온 100여개의 체크와 편지를 받으며 이렇게 말했다. 한반도의 평화, 미국과 북한간 관계 변화를 얼마나 열성적으로 원하는지 알게 됐다고. 앞으로 한인들의 요구에 맞게 노력하겠다고.

10월 30일 기준으로 미국 대선이 정확히 일주일이 남았다. 후보만큼이나 바쁘고 열정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움직여온 한인들에게도 손에 땀을 쥐는 일주일일 것이다. 부디, 촛불로 민주 정부를 만들어낸 한국인의 의지와 열망이 미국에서도 멋지게 꽃피우길 바란다. 그래서 우리 가족과 친지와 친구들이 살고 있는 우리 한반도의 평화에 조금이라도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부은 다리 편하게 만들어 봅시다

부은 다리 편하게 만들어 봅시다 이경희박사의 자연치유요가

이경희 박사의 자연치유요가 16/ 하체비만에 좋은 자연치유요가 
 
사춘기가 되면서 갑자기 찌게 되는 살은 엉덩이 허벅지에 주로 집중된다. 나도 중학교 후반기부터 고등학교까지, 특히 고3때는 운동부족과 함께 앉아서 공부만해  허벅지와 다리가 늘 부어있었다. 그래서 엉덩이를 가리는 긴 티셔츠만 입고 다녔다. 아마도 공부 좀 했던 여고생의 반 이상은 하체비만일 것이다. 그 이후에도 기차를 타고 먼길을 가게 되면 도착 할 즈음 벗어놓은 신발이 꽉 끼는 경험을 많이 했다. 또는 높은  힐을 신고 돌아다니면 다리 부종을 경험하곤 했다.

다리부종 2.jpg  
 나이가 들면 발끝까지 갔다가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순환에 문제가 생기면서 부종과 다리 절임등의 다양한 증상들이 생기게 된다. 최근 부종(浮腫)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미용에 대한 인식 때문에 심각하게 느낀다. 골반변위로 인한 부종은 하지 쪽 신경기능의 장애를 포함한 근육의 위축, 좌골신경통, 생리통, 불임 등의 원인이 된다는 면에서 심각성을 강조해야 한다.

 
 비만처럼 느껴지는 부종은 간경변 등 만성 질환의 경우 다리가 붓거나 복수가 찰 수 있다. 또한 만성신부전 등 신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갑상선 기능 이상이나 정맥순환의 문제, 약 부작용과 이유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생리 전후의 여성, 음식을 짜게 먹는 사람, 많이 움직이지 않는 사람, 오래 서 있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 스트레스나 피로가 심한 사람 그리고 뚱뚱한 사람의 경우가 많다. 잘 붓는 사람이 쉽게 비만이 되기도 한다. 
 직업적으로는 오래 서 있거나, 종일 앉아 있는 직장인들이 한쪽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거나, 다리를 꼬거나 해서 생기는 골반변위가 하지 쪽의 순환장애로 이어지면서 부종이 되고, 반복된 부종은 결국 하체비만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체부종이나 하체비만이 심한 경우 골반변위부터 체크하고, 골반교정을 먼저 해야 한다.

다리부종.jpg  
 요가 동작으로는 평소 정맥순환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리를 하늘 쪽으로 향하거나, 상체를 아래로 내리는 동작과 복부를 따뜻하게 하는 동작과 요법들이 도움이 된다. 
 요가로 하는 골반교정 법은 다음 회차에 소개하기로 하고 지금 소개하는 자세들은 전신의 혈액순환 특히 정맥순환에 좋은 자세와 예쁜 다리를 만들어주는 동작들로 구성하였다.

 

1.JPG  

 -등을 대고 누워 다리를 90도로 세운다. 
 -무릎을 가슴 가까이 당긴 후 한번에 펴서 어깨로 선다
 -손으로 허리를 받치고, 호흡을 편안하게 하며 유지한다.

 

2.JPG

3.JPG  
 - 자전거 페달을 밟듯 다리를 앞으로 10회 굴린다.
  - 뒤로도 10회 굴린다.

 

4.JPG  
 -다리를 옆으로 뻗고, 발끝을 몸 쪽으로 당긴다. 
  -두 손으로 바닥을 짚고 내쉬는 호흡에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골반에 힘을 풀고, 10~20초 가량 머문다.

 

5.JPG

6.JPG

7.JPG

8.JPG  
 -서서 한쪽 다리를 뒤로 한껏 보내 뒤꿈치를 들고, 나머지 다리는 무릎을 직각으로 만든다. 
  -양팔은 천장방향으로 뻗어준다. 
 - 내쉬는 호흡에 척추는 바로 세우고, 하체는 더 깊게 앉아 10~20초 유지한다.
 -마시고 내쉬는 호흡에 앞다리는 무릎을 펴며 발바닥을 단단하게 바닥에 고정하고,  뒷다리는 바닥에서 떼어 서서히 들어 올린다. 
 -상체가 숙여지는 만큼 뒷다리를 들어올려 상체와 뻗은 다리가 바닥과 평행을 이루게 한다.
 - 편안한 호흡과 함께 10~20초 유지한다. 
 - 반대쪽도 같은 요령으로 실시한다.

 

9.JPG  
 -양 무릎은 뒤로 보내고, 엉덩이가 꽉 끼게 앉는다. 
  -손은 엉덩이 뒤로 짚고 서서히 눕는다. 
 -완전히 누운 후 양 팔꿈치를 머리 위로 잡고, 편안하게 호흡한다.
 -이때 허벅지가 떨어지지 꽉 조인다. 
 -10~20초간 유지한다. 
 -익숙해지면 시간을 점차 늘린다. 
 
 글·사진/이경희((사)한국자연치유요가협회(www.nyoga.co.kr) 대표,가톨릭 의과대학교 박사,차 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교수,대한통합의학 교육협의회 학술이사,전 고대의대 통합의학교실 연구교수) (출처: 통증자연치유요가 BIBLE)

2000.jpg 
 

TA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